KR101858066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066B1
KR101858066B1 KR1020110102090A KR20110102090A KR101858066B1 KR 101858066 B1 KR101858066 B1 KR 101858066B1 KR 1020110102090 A KR1020110102090 A KR 1020110102090A KR 20110102090 A KR20110102090 A KR 20110102090A KR 101858066 B1 KR101858066 B1 KR 101858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link
plate
cooling chambe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7595A (ko
Inventor
박규태
김선규
권혁구
이항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2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066B1/ko
Priority to US13/625,447 priority patent/US8936332B2/en
Publication of KR20130037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1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combined with t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1/00Cabinets with means for moving compartments up and dow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47B88/427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drawer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냉각실이 구비되는 냉장고 본체와, 냉각실의 전후방향을 따라 인출가능하게 후방영역에 수납되는 후방트레이와, 후방트레이의 인출경로를 따라 후방트레이의 전방에 수납되는 전방트레이와, 전방트레이를 후방트레이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링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트레이의 내부에 식품 수납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레이의 식품 수납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물품 또는 식품을 냉장상태 또는 냉동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상기 냉장고는, 냉각실을 구비한 냉장고 본체, 상기 냉각실을 개폐할 수 있게 상기 냉장고 본체에 구비되는 냉각실도어 및 상기 냉각실에 냉기를 제공할 수 있는 냉동사이클 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냉장고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냉동실에 구비된 트레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냉각실(20)을 구비한 냉장고 본체(10)와, 상기 냉각실(20)을 개폐하는 냉각실도어(3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실(20)은 예를 들면, 냉동실(21) 및 냉장실(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실도어(30)는 상기 냉동실(21)을 개폐하는 냉동실도어(31) 및 상기 냉장실(22)을 개폐하는 냉장실도어(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0)에는 상기 냉각실(20)에 냉기를 제공할 수 있게 냉동사이클 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동사이클 장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매가 방열되는 응축기와, 냉매가 감압 팽창되는 팽창장치와, 냉매가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하는 증발기를 구비한 소위 증기 압축식 냉동사이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실(20)에는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선반(35)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냉각실(20)에는 식품을 수납할 수 있게 트레이(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40)는 상향 개구된 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40)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반(35)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트레이(40)의 수납시 상기 트레이(40)의 상부 개구가 차단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40)의 양 측에는 상기 트레이(40)가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트레이지지부(4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지지부(45)에는 상기 트레이(40)를 지지하는 롤러(4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40)에는 상기 롤러(47)의 상면에 접촉되어 전후 슬라이딩하는 레일부(4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레일부(42)의 상측에는 상기 레일부(42)의 상면에 구름 접촉되는 지지롤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상기 트레이(40)의 인출시 상기 트레이(40)의 지지를 위해 상기 트레이지지부(45)로부터 충분히 인출되지 못하여 상기 트레이(40)의 내부 후방영역에 식품을 수납 및/또는 인출하기가 곤란하게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트레이(40)의 내부에 크기가 비교적 작은 식품을 적층하여 수납할 경우, 상기 트레이(40)의 후방영역은 접근이 상대적으로 곤란하여 식품 수납 및/또는 인출이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트레이의 내부에 식품 수납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레이를 충분히 인출할 수 있어 후방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냉각실이 구비되는 냉장고 본체; 상기 냉각실의 전후방향을 따라 인출가능하게 후방영역에 수납되는 후방트레이; 상기 후방트레이의 인출경로를 따라 상기 후방트레이의 전방에 수납되는 전방트레이; 및 상기 전방트레이를 상기 후방트레이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링크;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링크는, 상기 전방트레이 및 후방트레이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링크는, 일 단은 상기 후방트레이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전방트레이에 연결되는 후방링크와, 상기 후방링크의 전방에 배치되고 양 단부가 상기 후방트레이 및 전방트레이에 각각 연결되는 전방링크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트레이 및 전방트레이를 전후를 따라 안내하는 레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은, 상기 냉각실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레일; 및 상기 고정레일에 대해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레일;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트레이에는 상기 후방링크 및 전방링크의 선단부가 각각 수용되는 전방부분링크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트레이에는 상기 후방링크 및 전방링크의 후단부가 각각 수용되는 후방부분링크수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부분링크수용부는 상기 후방링크 및 전방링크의 회동궤적에 대응되게 함몰된 함몰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부분링크수용부는 상기 후방링크 및 전방링크의 회동궤적에 대응되게 함몰된 함몰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트레이는 상기 가동레일보다 전방으로 이동된 후 상기 후방트레이의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전방링크는, 상기 후방트레이의 연결단부로부터 상기 전방트레이로 연장된 수평구간부와, 상기 직선구간부로부터 상기 전방트레이의 연결단부로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구간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링크는, 상기 후방트레이의 연결단부로부터 상측으로경사지게 연장되게 경사구간부와, 상기 경사구간부로부터 상기 전방트레이의 연결단부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구간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트레이의 하향 이동시 상기 후방링크 및 전방링크는 상호 접촉되어 상기 전방트레이를 지지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링크의 하단 및 상기 전방링크의 상단에는 상호 접촉면이 형성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레일에는 상기 전방링크와 접촉되는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실의 전후 방향을 따라 전방트레이 및 후방트레이를 배치하고 상기 전방트레이를 후방트레이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연결링크로 연결함으로써, 트레이(후방트레이)의 내부에 식품 수납 및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를 전방으로 충분히 인출할 수 있어 후방 공간(후방트레이)을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다. 특히 후방트레이의 내부에 식품을 적층 수납하는 것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냉장고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냉동실에 구비된 트레이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트레이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트레이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5의 후방트레이의 사시도,
도 7은 도 5의 전방트레이의 사시도,
도 8은 도 5의 연결링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도 5의 후방링크의 사시도,
도 10은 도 5의 전방링크의 사시도,
도 11은 도 8의 전방트레이의 하강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각실(120)이 구비되는 냉장고 본체(110)와, 상기 냉각실(120)의 전후방향을 따라 인출가능하게 후방영역에 수납되는 후방트레이(150)와, 상기 후방트레이(150)의 인출경로를 따라 상기 후방트레이(150)의 전방에 수납되는 전방트레이(170)와, 상기 전방트레이(170)를 상기 후방트레이(150)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링크(24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각실(120)은 냉동실(121) 및 냉장실(122)의 총칭이며, 상기 냉장고 본체(110)는 상기 냉동실(121) 또는 냉장실(122)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내부에는 복수의 냉각실(1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실(120)은 냉동실(121) 및 냉장실(122)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실(120)의 일 측(전면)에는 상기 냉각실(120)을 개폐할 수 있게 냉각실도어(13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냉각실도어(130)는 상기 냉동실(121)을 개폐하는 냉동실도어(131) 및 상기 냉장실(122)을 개폐하는 냉장실도어(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실(120)의 내부에는 복수의 선반(135)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각 냉각실(120)의 내부 공간이 상하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각 선반(135)의 상면에는 식품이 수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실(120)의 내부에는 복수의 트레이(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140)는 상기 냉동실(121) 및 냉장실(122)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140)는, 예를 들면, 상기 냉각실(120)의 전후방향을 따라 인출가능하게 후방영역에 수납되는 후방트레이(150)와, 상기 후방트레이(150)의 인출경로를 따라 상기 후방트레이(150)의 전방에 수납되는 전방트레이(170)와, 상기 전방트레이(170)를 상기 후방트레이(150)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링크(24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140)는 상기 전방트레이(170) 및 후방트레이(150)에 비해 전후로 긴 길이를 가지는 단일의 상향 개구된 통 형상의 트레이(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후방트레이(150) 및 전방트레이(170)는 상기 냉동실(121) 및 냉장실(122)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후방트레이(150) 및 전방트레이(170)는 상기 냉동실(121)에 구비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후방트레이(150) 및 전방트레이(170)는 수납위치 시 상기 냉동실(121)의 저부로부터 동일한 높이(동일 수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방트레이(15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개구된 통 형상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방트레이(150)는 직사각 통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방트레이(150)는, 저면판(151a)과, 상기 저면판(151a)의 양 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양 측면판(151b)과, 상기 저면판(151a)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수직으로 배치되는 전면판(151c) 및 후면판(151d)을 각각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트레이(150)의 후방 단부에는 주변(예를 들면, 상기 전면판(151c) 또는 측면판(151b))에 비해 상향 돌출된 낙하방지부(15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후방트레이(150)의 내부에 수납된 식품이 상기 후방트레이(150)의 후방으로 낙하하는 것이 방지 또는 억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낙하방지부(153)는 상기 후면판(151d)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낙하방지부(153)는 상기 후면판(151d)에 결합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낙하방지부(153)에는 관통공(15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트레이(150)의 전면판(151c)에는 높이가 낮아지게 소정 절취된 절취부(15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후방트레이(150)의 내부 관찰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전방트레이(170)는, 예를 들면 상향 개구된 통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방트레이(170)는 상향 개구된 직사각 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트레이(170)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판(171a)과, 상기 저면판(171a)의 양 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양 측면판(171b)과, 상기 저면판(171a)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수직으로 배치되는 전면판(171c) 및 후면판(171d)을 각각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방트레이(170)의 측면판(171b), 전면판(171c) 및 후면판(171d)은 동일한 높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트레이(170)의 전방영역에는 손잡이(17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전방트레이(170) 및 후방트레이(150)의 전후 이동시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방트레이(170)의 손잡이(173)는 상기 저면판(171a)의 전방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73)는 상기 전면판(171c)의 전방영역이 상향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트레이(150) 및 전방트레이(170)의 양 측에는 상기 후방트레이(150) 및 전방트레이(170)를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18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후방트레이(150) 및 전방트레이(170)의 전후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레일(180)은, 상기 냉동실(121)(냉각실(120))의 내벽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레일(182)과, 상기 고정레일(182)에 대해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레일(184)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동레일(184)의 수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후방트레이(150) 및 전방트레이(170)는 상기 가동레일(184)에 대해 상대 슬라이딩 이동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레일(184)의 후방 단부에는 상기 후방트레이(150)의 후방 이동시 상기 후방트레이(150)와 접촉될 수 있게 걸림턱(185)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후방트레이(150)의 후방 이동시 상기 가동레일(184)이 후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후방트레이(150)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방트레이(150) 및 전방트레이(170)의 양 측에는 상기 연결링크(249)의 일 부 영역이 각각 수용될 수 있게 링크수용부(21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수용부(210)는, 예를 들면, 상기 연결링크(249)들의 후방 영역이 수용되는 후방부분링크수용부(211) 및 상기 연결링크(249)의 전방 영역이 수용되는 전방부분링크수용부(231)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부분링크수용부(211)는 상기 후방트레이(150)의 양 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각 후방부분링크수용부(211)는, 예를 들면, 상기 후방트레이(150)의 측면판(151b)측에 구비되는 내측지지판(212)과, 상기 내측지지판(212)과 상호 협조적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외측지지판(222)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트레이(150)의 상면 및 후방 단부영역에는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돌출부(157)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후방부분링크수용부(211)는 상기 돌출부(157)에 접촉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 후방부분링크수용부(211)에는 상기 후방링크(250) 및 전방링크(260)의 각 후방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축부(224)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내측지지판(212) 또는 외측지지판(222) 중 어느 하나에 회동축부(224)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회동축부(224)가 결합되는 결합부(216)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224)는 상기 회동축부(224)의 단부가 소정 깊이 삽입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동축부(224)의 일측이 반경방향을 따라 축소되게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216)는 상기 회동축부(224)의 축소영역이 삽입될 수 있게 구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후방부분링크수용부(211)의 상기 내측지지판(212) 및 외측지지판(2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전방링크(260) 및 후방링크(250)의 상하 회동 궤적에 대응되게 두께방향으로 각각 함몰된 함몰부(214)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측지지판(222)에 상기 회동축부(224)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지지판(212)에 상기 함몰부(214) 및 상기 회동축부(224)가 결합되는 결합부(216)가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전방트레이(170)의 양 측에는 상기 연결링크(249)(후방링크(250) 및 전방링크(260))의 각 전방 영역을 수용할 수 있게 전방부분링크수용부(231)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방트레이(170)의 양 측면판(171b)의 후방영역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175)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175)에는 상기 전방부분링크수용부(231)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전방부분링크수용부(231)는, 상기 전방트레이(170)의 폭방향을 따라 각각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지지판(232)과, 상기 내측지지판(232)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측지지판(232)과 상호 협조적으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외측지지판(242)을 각각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전방부분링크수용부(231)는 상기 전방트레이(170)의 측면판(171b)의 대략 절반 정도의 길이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부분링크수용부(231)의 내측지지판(232) 및 외측지지판(2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전방링크(260) 및 후방링크(250)의 회동 궤적에 대응되게 두께방향으로 각각 함몰된 함몰부(236)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부분링크수용부(231)에는 상기 후방링크(250) 및 전방링크(260)의 각 전방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될 수 있게 회동축부(244)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내측지지판(232) 또는 외측지지판(242) 중 어느 하나에 회동축부(244)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회동축부(244)가 결합되는 결합부(238)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측지지판(232)에 함몰부(236) 및 결합부(238)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지지판(242)에 상기 회동축부(244)가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238)는 상기 회동축부(244)의 단부가 소정 깊이 삽입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동축부(244)의 일측이 반경방향을 따라 축소되게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238)는 상기 회동축부(244)의 축소영역이 삽입될 수 있게 구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후방링크(250)는,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트레이(150)의 연결단부(252)로부터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게 경사구간부(251)와, 상기 경사구간부(251)로부터 상기 전방트레이(170)의 연결단부(256)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구간부(254)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구간부(251) 및 상기 수평구간부(254)에는 상기 회동축부(224)가 각각 삽입 결합될 수 있게 축공(253)이 각각 관통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링크(260)는,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트레이(150)의 연결단부(262)로부터 상기 전방트레이(170)로 연장된 수평구간부(261)와, 상기 수평구간부(261)로부터 상기 전방트레이(170)의 연결단부(266)로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구간부(264)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구간부(261) 및 경사구간부(264)에는 상기 회동축부(244)가 각각 삽입 결합될 수 있게 축공(263)이 각각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트레이(170)의 하향 이동시 상기 후방링크(250) 및 전방링크(260)는 상호 접촉되어 상기 전방트레이(170)를 지지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방링크(250)의 하단 및 상기 전방링크(260)의 상단에는 상호 접촉면(255,26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면(255,265)은 상호 계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후방링크(250)는 두께방향을 따라 일 측이 계단상으로 절취되고, 상기 전방링크(260)는 두께방향을 따라 타측이 계단상으로 절취되어 상호 접촉 및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링크(260)의 후방 단부에는 상기 후방링크(250)의 경사구간부(251)에 대응되게 절취된 하향경사부(268)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향경사부(268)는 상기 전방링크(260)의 수평구간부(261)로부터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링크(250)의 전방 단부에는 상기 전방링크(260)의 경사구간부(264)와 접촉될 수 있게 상기 후방링크(250)의 수평구간부(254)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 상향경사부(258)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동레일(184)에는 상기 전방링크(260)와 접촉되는 롤러(1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롤러(190)는 전후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제1롤러(191) 및 제2롤러(19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동레일(184)의 선단에 배치되는 제1롤러(191)는 상기 전방트레이(170)의 하강시 상기 전방링크(260)의 수평구간부(261)에 접촉되어 상기 전방링크(260)의 하강을 안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전방트레이(170)의 하강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전방트레이(170) 또는 후방트레이(150)의 내부에 식품을 수납하거나 식품을 인출하고자 할 때는, 상기 전방트레이(170)의 손잡이(173)를 잡고 전방으로 당겨 인출할 수 있다.
상기 전방트레이(170)를 전방으로 당기면 상기 가동레일(184)이 상기 고정레일(182)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전방트레이(170) 및 후방트레이(150)가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가동레일(184)은 미리 설정된 길이 만큼 상기 고정레일(182)의 전방으로 이동된 후 정지될 수 있다.
상기 가동레일(184)이 정지되면 상기 전방트레이(170) 및 상기 후방트레이(150)는 상기 가동레일(184)에 대해 상대 슬라이딩 이동하여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후방트레이(150)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전방링크(260)의 수평구간부(261)가 상기 롤러(190)에 접촉지지되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전방트레이(170)의 후방단부가 상기 제1롤러(191)를 지나면 상기 전방트레이(170)는 자중에 의해 하강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방링크(260) 및 후방링크(250)는 각 후방단부의 회동축부(224,244)을 중심으로 하향 회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방트레이(170) 및 후방트레이(150)는 상기 가동레일(184)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됨과 아울러 상기 전방링크(260) 및 후방링크(250)는 하향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전방트레이(170)는 상기 전방링크(260)의 상단 접촉면(265)과 상기 후방링크(250)의 하단 접촉면(255)이 상호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접촉면(255,265)들이 상호 접촉되면 상기 후방링크(250) 및 상기 전방링크(260)의 상호 구속이 발생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트레이(170)는 하강위치에 정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전방트레이(170) 및 후방트레이(150)의 내부에 식품의 수납 및/또는 인출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특히, 후방트레이(150)의 상부 개구가 충분히 개방되어 내부 관찰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내부에 식품의 적층 수납 및 또는 인출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방트레이(170)를 수납위치로 이동(철회)시키고자 할 때는, 상기 전방트레이(170)의 전면부를 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전방트레이(170)를 후방으로 가압하면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전방링크(260)는 저면이 상기 제1롤러(191)와 구름접촉되면서 상향 회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후방트레이(150)는 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전방트레이(170)는 상기 전방링크(260) 및 후방링크(250)가 상향 회동하면서 상승될 수 있다.
상기 후방트레이(150) 및 전방트레이(170)가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동되면 상기 전방트레이(170)는 상승되어 상기 가동레일(184)의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후방트레이(150)가 상기 가동레일(184)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걸림턱(185)과 접촉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후방트레이(150) 및 전방트레이(170)는 상기 가동레일(184)과 함께 상기 고정레일(182)에 대해 상대 슬라이딩하면서 후방으로 이동되어 최초의 수납위치에 수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110 : 냉장고 본체 120 : 냉각실
121 : 냉동실 122 : 냉장실
130 : 냉각실도어 131 : 냉동실도어
132 : 냉장실도어 140 : 트레이
150 : 후방트레이 151a,171a : 저면판
151b,171b : 측면판 151c,171c : 전면판
151d,171d : 후면판 153 : 낙하방지부
180 : 레일 182 : 고정레일
184 : 가동레일 185 : 걸림턱
190 : 롤러 191 : 제1롤러
210 : 링크수용부 211 : 후방부분링크수용부
212,232 : 내측지지판 214,236 : 함몰부
222,242 : 외측지지판 224,244 : 회동축부
231 : 전방부분링크수용부 249 : 연결링크
250 : 후방링크 251,264 : 경사구간부
253,263 : 축공 254,261 : 수평구간부
255,265 : 접촉면

Claims (16)

  1. 냉각실이 구비되는 냉장고 본체;
    상기 냉각실의 전후방향을 따라 인출가능하게 후방영역에 수납되는 후방트레이;
    상기 후방트레이의 인출경로를 따라 상기 후방트레이의 전방에 수납되는 전방트레이;
    상기 전방트레이를 상기 후방트레이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링크; 및
    상기 후방트레이 및 상기 전방트레이의 전후를 따라 안내하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트레이의 양측에는 상기 연결링크를 수용하기 위한 전방부분링크수용부가, 상기 후방트레이의 양측에는 상기 연결링크를 수용하기 위한 후방부분링크수용부가 설치되며,
    상기 각 링크수용부는,
    일면이 상기 전방트레이 및 후방트레이의 양 측면에 밀착되고, 다른 일면은 상기 연결링크의 회동 궤적을 따라 함몰되도록 함몰부가 형성되는 내측지지판; 및
    상기 연결링크를 사이에 두고, 내측지지판과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외측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링크는, 상기 함몰부에 수용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전방트레이 및 후방트레이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연결링크는, 일 단은 상기 후방트레이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전방트레이에 연결되는 후방링크와, 상기 후방링크의 전방에 배치되고 양 단부가 상기 후방트레이 및 전방트레이에 각각 연결되는 전방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은, 상기 냉각실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레일 및 상기 고정레일에 대해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레일에는 상기 전방링크와 접촉되는 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전방링크의 수평구간부의 하부면을 접촉 지지하면서, 상기 전방링크의 하강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지지며,
    상기 후방트레이의 전면부와 후면부에는 각각 전면판과 후면판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판에는,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후면판의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판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도록 이루어져, 후방영역에 수납되는 수납 물품의 낙하를 방지하는 낙상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판의 상부에는 절취되어 상기 후방트레이의 수납 물품의 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절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분링크수용부는, 상기 후방링크 및 전방링크의 선단부를 각각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부분링크수용부는, 상기 후방링크 및 전방링크의 후단부를 각각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삭제
  9. 삭제
  10. 제6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트레이는 상기 가동레일 보다 전방으로 이동된 후 상기 후방트레이의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링크는, 상기 후방트레이의 연결단부로부터 상기 전방트레이로 연장된 수평구간부와, 상기 수평구간부로부터 상기 전방트레이의 연결단부로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구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링크는, 상기 후방트레이의 연결단부로부터 상측으로경사지게 연장되게 경사구간부와, 상기 경사구간부로부터 상기 전방트레이의 연결단부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구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트레이의 하향 이동시 상기 후방링크 및 전방링크는 상호 접촉되어 상기 전방트레이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링크의 하단 및 상기 전방링크의 상단에는 상호 접촉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삭제
  16. 삭제
KR1020110102090A 2011-10-04 2011-10-06 냉장고 KR101858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090A KR101858066B1 (ko) 2011-10-06 2011-10-06 냉장고
US13/625,447 US8936332B2 (en) 2011-10-04 2012-09-24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090A KR101858066B1 (ko) 2011-10-06 2011-10-06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595A KR20130037595A (ko) 2013-04-16
KR101858066B1 true KR101858066B1 (ko) 2018-05-15

Family

ID=48438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090A KR101858066B1 (ko) 2011-10-04 2011-10-06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06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595A (ko) 2013-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6332B2 (en) Refrigerator
RU2491484C1 (ru) Холодильник
KR101554852B1 (ko) 냉장고
EP2728284B1 (en) Refrigerator
US9062910B2 (en) Refrigerator
AU2012250112B2 (en) Crisper drawers with rollers and ramp
KR101899808B1 (ko) 냉장고
KR102472387B1 (ko) 냉장고
US10047999B2 (en) Refrigerator
AU2013248179B2 (en) Refrigerator
KR101810467B1 (ko) 냉장고
KR20140134865A (ko) 냉장고
KR101013683B1 (ko) 냉장고
KR101838065B1 (ko) 냉장고
KR101858066B1 (ko) 냉장고
KR101923474B1 (ko) 드로어를 구비한 냉장고
KR100513680B1 (ko) 냉장고
KR100651278B1 (ko) 냉장고의 서랍 장착구조
KR101659083B1 (ko) 냉장고
JP2016200319A (ja) 冷蔵庫
KR101742828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아이스 메이커 어셈블리
KR20170001698A (ko) 냉장고
KR101096820B1 (ko) 냉장고의 이중서랍
KR100709405B1 (ko) 냉장고 이중서랍
KR20180067478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