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7532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7532A
KR20200037532A KR1020180116857A KR20180116857A KR20200037532A KR 20200037532 A KR20200037532 A KR 20200037532A KR 1020180116857 A KR1020180116857 A KR 1020180116857A KR 20180116857 A KR20180116857 A KR 20180116857A KR 20200037532 A KR20200037532 A KR 20200037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gear
door
catcher
protrusion
storag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7011B1 (ko
Inventor
엄태인
박현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6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011B1/ko
Priority to US17/250,958 priority patent/US11585593B2/en
Priority to EP19870023.9A priority patent/EP3839390B1/en
Priority to PCT/KR2019/012649 priority patent/WO2020071694A1/ko
Publication of KR20200037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6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 A47B88/463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self-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6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 A47B88/467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self-clo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73Braking devices, e.g. linear or rotational dampers or friction brakes; Buffers; End st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97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other guiding mechanisms, e.g. scissor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도어의 개폐에 따라 저장박스가 자동으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하는 개폐장치의 구조를 단순하게 개선하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저장박스를 후방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개선된 개폐장치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냉장고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며,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저장박스가 마련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배면에 상기 저장실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푸셔가 마련되는 도어 및 상기 저장박스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저장박스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랙기어, 상기 저장박스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도록 상기 랙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랙기어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걸림부재 및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푸셔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도록 회전되며,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푸셔에 걸림되도록 회전되어 상기 랙기어가 후방을 향해 이동되도록 밀어주는 캐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에 따라 저장박스가 자동으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하는 개폐장치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냉기 공급 장치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가전 기기이다.
저장실의 내부에는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용기가 마련되며, 저장용기는 저장실 내부로부터 외부로 인출되거나, 저장실 외부로부터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사용자는 저장용기를 저장실 내부로부터 인출하기 위해 도어를 개방한 후, 허리를 숙여 저장실 내부로 손을 깊숙히 넣어야 하기 때문에, 부담스러운 동작을 취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도어의 개폐에 따라 저장용기를 자동으로 인입 및 인출하기 위한 개폐장치가 적용되지만, 일반적으로 개폐장치는 링크 구조를 갖기 때문에, 도어가 닫히는 밀폐력을 통해서만 저장박스가 인입된다.
따라서, 저장박스에 도어가 닫히는 밀폐력 외에 다른 힘이 작용하지 않기 대문에, 저장실 내부로 인입된 저장박스가 완전히 인입되지 않으면, 도어의 밀폐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도어의 개폐에 따라 저장박스가 자동으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하는 개폐장치의 구조를 단순하게 개선한 냉장고를 제공한다.
또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저장박스를 후방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개선된 개폐장치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며,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저장박스가 마련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배면에 상기 저장실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푸셔가 마련되는 도어 및 상기 저장박스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저장박스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랙기어, 상기 저장박스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도록 상기 랙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랙기어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걸림부재 및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푸셔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도록 회전되며,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푸셔에 걸림되도록 회전되어 상기 랙기어가 후방을 향해 이동되도록 밀어주는 캐처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랙기어 및 캐처를 수용하는 케이스와, 상기 랙기어 및 캐처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저장실의 측벽에 인접한 제1케이스와, 상기 저장박스에 인접한 제2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랙기어는 상기 푸셔와 접촉되는 제1랙기어와, 상기 제1랙기어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걸림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제1랙기어 및 제2랙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제1랙기어 및 제2랙기어가 직선 운동될 때 회전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는 상기 제1랙기어와 상기 제2랙기어가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운동 되도록 상기 제1랙기어와 치합되는 제1기어와, 상기 제2랙기어와 치합되는 제2기어를 포함하는 2단 기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랙기어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캐처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는 일측이 상기 케이스에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제2랙기어에 지지되어 상기 제2랙기어가 전방을 향해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는 일측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캐처에 고정되어 상기 캐처에 탄성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1랙기어가 후방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저장박스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제1랙기어는 상기 푸셔와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에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캐처와 접촉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랙기어는 상기 걸림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회전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처는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돌기와, 상기 캐처가 상기 제1회전돌기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돌기와, 상기 푸셔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걸림부와,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푸셔에 접촉되어 상기 캐처가 회전되도록 하는 푸쉬부와, 상기 돌출부를 지지하는 제1랙기어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제2회전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홀과,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제2회전돌기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돌기와,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걸림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는 상기 제1랙기어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홈과, 상기 제2랙기어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홈과, 상기 제1회전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캐처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1회전돌기를 가이드 하기 위해 상기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에 한 쌍으로 마련되는 제1가이드슬롯과, 상기 제2가이드돌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걸림부재가 전후 방향으로 직선운동 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레일과,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제2회전돌기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제1랙기어의 상기 접촉부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홈과, 상기 걸림부재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홈과, 상기 캐처가 상기 제1회전돌기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제1가이드돌기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배면에 상기 저장실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푸셔가 마련되는 도어 및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는 저장박스가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 전방을 향해 이동되고, 상기 도어가 닫힐 때 후방을 향해 이동되는 랙기어, 상기 랙기어가 전방을 향해 이동되도록 상기 랙기어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랙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저장박스에 마련되는 걸림돌기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며, 상기 랙기어와 함께 이동되는 걸림부재,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푸셔에 의해 회전되는 캐처 및 상기 캐처가 후방을 향해 이동되도록 상기 캐처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가 닫혀있을 때 상기 캐처는 상기 랙기어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푸셔에 걸림되어 있고,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캐처는 상기 푸셔로부터 걸림 해제되면서 상기 푸셔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개방되어 상기 캐처가 회전되면 상기 랙기어는 상기 캐처로부터의 지지가 해제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을 향해 이동되고,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되어 있는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랙기어와 함께 이동되어 상기 저장박스가 전방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랙기어가 전방을 향해 이동될 때, 상기 걸림부재가 회전되어 상기 걸림돌기로부터 걸림이 해제되면서 상기 저장박스는 상기 저장실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푸셔는 상기 랙기어가 후방을 향해 이동하도록 밀어주고, 후방을 향해 이동되는 상기 랙기어와 함께 이동되는 상기 걸림부재가 회전되면서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되어 상기 저장박스를 후방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저장박스가 후방을 향해 이동되어 상기 저장실 내부로 인입되면, 상기 푸셔는 상기 캐처가 상기 랙기어를 지지하도록 상기 캐처를 회전시키고, 회전된 상기 캐처는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후방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저장박스가 후방을 향해 더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단순한 구조의 개폐장치를 통해 저장박스의 사용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저장박스의 일측에 개폐장치가 마련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랙기어와 피니언 기어가 표현되도록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닫혀 있을 때 저장박스와 개폐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닫혀 있을 때 저장박스와 개폐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캐처가 회전되어 제1랙기어 및 제2랙기어가 전방을 향해 이동하고, 저장박스가 제1랙기어 및 제2랙기어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걸림돌기가 걸림홈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도어의 푸셔가 제1랙기어의 접촉부에 접촉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걸림부재가 걸림돌기에 걸릴 수 있도록 회전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닫히면서 캐처가 회전되고, 랙기어 및 저장박스가 후방을 향해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닫히면서 캐처가 회전되어 캐처가 제1랙기어의 돌출부를 지지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3에서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캐처가 후방을 향해 이동하여 제1랙기어를 후방으로 밀어주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전면”, “후면”, “상단” 및 “하단”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며, 내부에 저장박스(28)가 마련되는 저장실(20)과, 저장실(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30)와, 도어(30)의 개폐에 따라 저장박스(28)가 저장실(20)로부터 자동으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하는 개폐장치(10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저장실(20)을 형성하는 내상(11)과,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3)을 포함하며, 저장실(20)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를 포함한다.
냉기공급장치는 압축기(C)와, 응축기(미도시)와, 팽창밸브(미도시)와, 증발기(E)와, 송풍팬(F)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본체(10)의 내상(11)과 외상(13) 사이 및 도어(30)의 내부에는 저장실(20)의 냉기 유출을 방지하도록 단열재(15)가 발포되어 충진된다.
저장실(20)은 본체(10)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며, 개방된 전면은 도어(30)에 의해 개폐된다.
저장실(20)은 격벽(17)에 의해 복수개로 구획될 수 있다.
격벽(17)에 의해 복수개로 구획되는 저장실(20)은 가로 방향으로 내상(11)에 결합되는 제1격벽(17a)에 의해 상부 저장실(21)과 하부 저장실(23)로 구획될 수 있다.
상부 저장실(21)은 세로 방향으로 내상(11)에 결합되는 제2격벽(17b)에 의해 좌측의 제1저장실(21a)과 우측의 제2저장실(21b)로 구획될 수 있다.
하부 저장실(23)은 세로 방향으로 내상(11)에 결합되는 제3격벽(17c)에 의해 좌측의 제3저장실(21c)과 우측의 제4저장실(21d)로 구획될 수 있다.
본체(10)의 후방 하측에는 냉매를 압축하고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압축기(C)와 응축기가 설치되는 기계실(25)이 마련된다.
저장실(20) 내부에는 음식물 등을 저장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선반(27) 및 저장박스(28)가 마련될 수 있다.
개폐장치(100)가 마련되는 저장박스(28)의 일측에는 저장박스(28)로부터 개폐장치(100)를 향해 돌출되는 걸림돌기(29)가 마련되며, 걸림돌기(29)는 개폐장치(100)에 걸림되어 개폐장치(100)에 의해 저장박스(28)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어(30)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저장실(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한다.
제1저장실(21a)과 제2저장실(21b)은 각각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도어(31a)와 제2도어(31b)에 의해 개폐되며, 제3저장실(21c)과 제4저장실(21d)은 각각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도어(31c)와 제4도어(31d)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부 저장실(21)을 개폐하는 제1도어(31a)와 제2도어(31b) 및 하부 저장실(23)을 개폐하는 제3도어(31c)와 제4도어(31d)는 양문형 도어로 마련될 수 있다.
도어(30)의 배면에는 음식물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복수개의 도어가드(35)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어(30)의 배면에는 저장실(2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푸셔(35)가 마련될 수 있다.
푸셔(35)는 하기할 개폐장치(100)와 함께 도어(30)의 개폐에 따라 저장박스(28)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에 대해서는 개폐장치(100)를 설명할 때,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저장박스의 일측에 개폐장치가 마련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랙기어와 피니언 기어가 표현되도록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장치(100)는 저장박스(28)의 일측에 마련되어 도어(30)의 개폐에 따라 저장박스(28)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상에서 저장박스(28)가 저장실(20)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을 저장박스(28)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하고, 저장박스(28)가 저장실(20) 내부로 인입되는 방향을 저장박스(28)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한다.
개폐장치(100)는 케이스(110, 120)와, 케이스(110, 120) 내부에 수용되어 도어(30)의 개폐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랙기어(130, 140)와, 제1랙기어(130) 및 제2랙기어(140)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150)와, 케이스(110, 120) 내부에 수용되어 도어(30)의 푸셔(35)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캐처(160)와, 제2랙기어(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랙기어(140)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걸림부재(170)와, 제2랙기어(140)가 전방을 향해 이동되도록 제2랙기어(140)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제1탄성부재(180)와, 캐처(160)가 후방을 향해 이동되도록 캐처(160)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제2탄성부재(19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 120)는 저장실(20)의 측벽에 인접한 제1케이스(110)와, 저장박스(28)에 인접한 제2케이스(120)를 포함하며, 개폐장치(100)의 모든 구성을 수용할 수 있다.
케이스(110, 12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기 하도록 한다.
랙기어(130, 140)는 도어(30)의 개폐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랙기어(130, 140)는 도어(30)의 푸셔(35)와 접촉되는 제1랙기어(130)와, 제1랙기어(140)와 피니언기어(150)에 의해 연결되어 제1랙기어(130)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랙기어(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랙기어(130)는 도어(30)의 푸셔(35)와 접촉되는 접촉부(131)와, 접촉부(131)에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캐처(160)와 접촉되는 돌출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랙기어(130)는 도어(3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캐처(160)에 의해 돌출부(133)가 지지되어 후방으로 이동되어 있게 된다.
도어(30)가 열릴 때는 제1랙기어(130)를 지지하고 있는 캐처(160)가 회전되면서 캐처(160)가 제1랙기어(130)를 지지하지 않게 되어 제1랙기어(130)는 전방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도어(30)가 닫힐 때는 도어(30)의 푸셔(35)에 의해 접촉부(131)가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밀리면서 제1랙기어(130)가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랙기어(140)는 걸림부재(17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회전돌기(141)와, 일측이 제1케이스(110)에 지지되는 제1탄성부재(180)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랙기어(140)는 도어(30)의 개폐에 따라 제1랙기어(130)와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운동 될 수 있다.
제1랙기어(130)와 제2랙기어(140) 사이에는 피니언기어(150)가 마련되어 제1랙기어(130)와 제2랙기어(140)는 각각 피니언기어(150)에 치합될 수 있다.
피니언기어(150)는 제1랙기어(130) 및 제2랙기어(140)와 치합되어 제1랙기어(130) 및 제2랙기어(140)가 직선 운동될 때 회전될 수 있다.
피니언기어(150)는 제1랙기어(130)와 제2랙기어(140)가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운동 되도록 제1랙기어(130)와 치합되는 제1기어(151)와, 제2랙기어(140)와 치합되는 제2기어(153)를 포함하는 2단 기어로 마련될 수 있다.
피니언기어(150)는 제1기어(151)에 마련된 제1회전축(155)과 제2기어(153)에 마련된 제2회전홈(157)이 각각 하기할 제1케이스(110)의 제1회전홈(116)과 제2케이스(120)의 제2회전축(12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캐처(160)는 케이스(110, 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어(30)의 개폐에 따라 푸셔(35)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캐처(160)는 케이스(110, 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돌기(161)와, 캐처(160)가 제1회전돌기(161)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돌기(162)와, 푸셔(35)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걸림부(163)와, 도어(30)가 닫힐 때 푸셔(35)에 접촉되어 캐처(160)가 회전되도록 하는 푸쉬부(164)와, 제1랙기어(130)의 돌출부(133)를 지지하는 제1랙기어 지지부(165)와, 일측이 제1케이스(110)에 고정되는 제2탄성부재(190)의 타측이 고정되는 제2고정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돌기(161)는 하기할 제1케이스(110) 및 제2케이스(120)에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는 제1가이드슬롯(119, 12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케이스(110) 및 제2케이스(120)에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는 제1가이드슬롯(119, 127)은 제1회전돌기(16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돌기(162)는 제2케이스(120)의 제2가이드슬롯(129)에 삽입되어 캐처(160)가 제1회전돌기(161)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제1가이드돌기(162)가 삽입되는 제2가이드슬롯(129)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캐처(160)가 회전된 후에 캐처(160)에 다른 힘이 작용하기 전에는 캐처(160)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걸림부(163)는 도어(30)의 푸셔(35)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도어(30)가 닫혀 있을 때 푸셔(35)에 걸려있을 수 있다.
걸림부(163)는 도어(30)가 열릴 때 푸셔(35)에 의해 전방쪽으로 힘을 받기 때문에, 캐처(160)는 제1회전돌기(161)를 중심으로 도면상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캐처(160)가 제1회전돌기(161)를 중심으로 도면상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걸림부(163)는 푸셔(35)로부터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
푸쉬부(164)는 도어(30)가 닫힐 때 푸셔(35)에 의해 후방쪽으로 힘을 받기 때문에, 캐처(160)는 제1회전돌기(161)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랙기어 지지부(165)는 도어(30)가 닫혀 있을 때 제1랙기어(130)의 돌출부(133)를 지지하여 제1랙기어(130)가 전방을 향해 이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개폐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할 때 하기하겠지만, 도어(30)가 닫힐 때 푸셔(35)가 캐처(160)를 회전시킨 후 제1랙기어(130)의 접촉부(131)를 밀어주어 제1랙기어(13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저장박스(28)가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어(30)가 닫힐 때 제1랙기어(130)의 접촉부(131)가 푸셔(35)에 접촉되지만, 도어(30)가 닫히고 난 후에는, 캐처(160)의 제1회전돌기(161)가 제2탄성부재(190)의 탄성력에 의해 케이스(110, 120)의 제1가이드슬롯(119, 127)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도어(30)가 완전히 닫힌 후에 제1랙기어(130)의 돌출부(133)는 캐처(160)의 제1랙기어 지지부(16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걸림부재(170)는 제2랙기어(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랙기어(140)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걸림부재(170)는 제2랙기어(140)의 제2회전돌기(1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홀(171)과, 걸림부재(170)가 제2회전돌기(141)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돌기(173)와, 저장박스(28)의 걸림돌기(29)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걸림홈(17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가이드돌기(173)는 하기할 제1케이스(110)의 가이드레일(113)을 따라 가이드되며, 하기할 가이드레일(113)의 형상에 의해 걸림부재(170)는 제2회전돌기(141)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걸림홈(175)은 도어(30)가 닫혀 있을 때 저장박스(28)의 걸림돌기(29)에 걸려 있어 제2랙기어(140)와 저장박스(28)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걸림홈(175)은 제2랙기어(140)가 전방을 향해 이동될 때 걸림돌기(29)를 밀어주는 제1면(177)과, 제2랙기어(140)가 후방을 향해 이동될 때 걸림돌기(29)를 밀어주는 제2면(179)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30)가 개방되면서 제2랙기어(140)가 전방을 향해 이동할 때, 걸림홈(175)의 제1면(177)이 걸림돌기(29)를 밀어주어 저장박스(28)는 전방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걸림부재(170)는 제2랙기어(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제2랙기어(140)가 전방을 향해 이동되는 과정에서 걸림부재(170)는 제2회전돌기(14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걸림돌기(29)로부터 걸림 해제될 수 있다.
걸림홈(175)이 걸림돌기(29)로부터 걸림 해제되면, 저장박스(28)는 구속 없이 자유롭게 전방을 향해 더 이동될 수 있다.
도어(30)가 닫힐 때는, 도어(30)가 닫히는 과정에서 걸림부재(170)가 다시 제2회전돌기(14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걸림돌기(29)에 걸릴 수 있다.
이때, 걸림홈(175)의 제2면(179)은 걸림돌기(29)가 후방을 향하도록 밀어주어 저장박스(28)가 제2랙기어(140)와 함께 후방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제1탄성부재(180)는 일측은 제1케이스(110)에 지지되고, 타측은 제2랙기어(140)의 제2지지부(143)에 지지될 수 있다.
제2랙기어(140)는 제1탄성부재(180)에 의해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2탄성부재(190)는 일측은 제1케이스(110)에 고정되고, 타측은 캐처(160)의 제2고정부(166)에 고정될 수 있다.
캐처(160)는 제2탄성부재(190)에 의해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케이스(110, 120)는 저장실(20)의 측벽에 인접한 제1케이스(110)와, 저장박스(28)에 인접한 제2케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케이스(110)는 제1랙기어(13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홈(111)과, 제2랙기어(14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홈(112)과, 제2랙기어(140)의 제2회전돌기(141) 및 걸림부재(170)의 제2가이드돌기(173)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1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113)은 걸림부재(17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레일(114)과, 걸림부재(170)가 제2회전돌기(141)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2가이드돌기(173)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레일(115)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재(170)는 제2가이드돌기(173)가 제1가이드레일(114)에서 제2가이드레일(115)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제2회전돌기(141)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걸림부재(170)가 제2회전돌기(141)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걸림홈(175)은 걸림돌기(29)로부터 걸림 해제될 수 있다.(도 9 참조)
제1케이스(110)는 피니언기어(150)의 제1회전축(155)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홈(116)과, 제1탄성부재(180)의 일측이 지지되는 제1지지부(117)와, 제2탄성부재(190)의 일측이 고정되는 제1고정부(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케이스(110)는 캐처(160)의 제1회전돌기(16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회전돌기(161)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슬롯(119)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케이스(120)는 제1랙기어(130)의 접촉부(131)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홈(121)과, 걸림부재(17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홈(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케이스(120)는 피니언기어(150)의 제2회전홈(17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회전축(125)과, 캐처(160)가 제1회전돌기(161)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제1가이드돌기(162)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슬롯(12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가이드슬롯(129)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회전된 캐처(160)는 캐처(160)에 다른 힘이 작용하기 전까지는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케이스(120)는 제1케이스(110)에 형성된 제1가이드슬롯(119)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1가이드슬롯(127)을 포함하며, 제1가이드슬롯(119, 127)은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에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5를 참고로 하여 도어(30)가 개폐될 때, 개폐장치(100)에 의해 저장박스(28)가 저장실(20) 내부로부터 외부로 인출되거나, 저장실(20) 외부로부터 내부로 인입되는 동작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닫혀 있을 때 저장박스와 개폐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닫혀 있을 때 저장박스와 개폐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캐처가 회전되어 제1랙기어 및 제2랙기어가 전방을 향해 이동하고, 저장박스가 제1랙기어 및 제2랙기어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걸림돌기가 걸림홈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도어의 푸셔가 제1랙기어의 접촉부에 접촉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걸림부재가 걸림돌기에 걸릴 수 있도록 회전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닫히면서 캐처가 회전되고, 랙기어 및 저장박스가 후방을 향해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닫히면서 캐처가 회전되어 캐처가 제1랙기어의 돌출부를 지지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에서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캐처가 후방을 향해 이동하여 제1랙기어를 후방으로 밀어주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걸림부재(170)의 걸림홈(175)이 저장박스(28)의 걸림돌기(29)에 걸림되어 있다.
도어(3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도어(30)의 푸셔(35)는 캐처(160)의 걸림부(163)에 걸림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가 개방되면, 캐처(160)는 제1회전돌기(161)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캐처(160)가 회전될 때, 제1가이드돌기(162)는 제2가이드슬롯(129)을 따라 가이드 될 수 있다.
제2가이드슬롯(129)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2가이드슬롯(129)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제1가이드돌기(162)는 고정되어 캐처(160)는 제1회전돌기(161)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캐처(160)가 회전되면, 캐처(160)의 제1랙기어 지지부(165)에 지지되어 있던 제1랙기어(130)의 돌출부(133)는 전방을 향하여 이동되고, 제1랙기어(130)와 함께 제2랙기어(140)도 전방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제2랙기어(140)가 전방을 향해 이동되면, 제2랙기어(140)와 함께 전방으로이동되는 걸림부재(170)에 의해 저장박스(28)는 전방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가 개방될 때, 걸림부재(170)의 걸림홈(175)이 저장박스(28)의 걸림돌기(29)에 걸려있기 때문에, 걸림홈(175)의 제1면(177)이 걸림돌기(29)를 전방을 향해 밀어주어 저장박스(28)는 전방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도어(30)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제2랙기어(140)의 제2회전돌기(141)와 걸림부재(170)의 제2가이드돌기(173)는 제1가이드레일(114)을 따라 가이드 되어 전방을 향해 이동되다가 제2가이드돌기(173)가 제2가이드레일(115)을 따라 가이드 되면서 걸림부재(170)는 제1회전돌기(161)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걸림부재(170)가 제1회전돌기(161)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걸림부재(170)의 걸림홈(175)은 걸림돌기(29)로부터 걸림 해제되어 저장박스(28)는 아무런 구속 없이 전방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가 닫히면, 도어(30)의 푸셔(35)가 제1랙기어(130)의 접촉부(131)에 접촉되어 접촉부(131)를 후방을 향해 밀어줄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랙기어(13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제1랙기어(130)와 함께 제2랙기어(140)도 후방으로 이동되고, 제2랙기어(140)와 함께 걸림부재(170)도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걸림부재(170)의 제2가이드돌기(173)가 제2가이드레일(115)을 따라 이동되다가 제1가이드레일(114)로 이동될 때, 걸림부재(170)는 제2회전돌기(141)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걸림부재(170)가 제2회전돌기(141)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걸림부재(170)의 걸림홈(175)은 걸림돌기(29)에 걸릴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170)의 걸림홈(175)이 걸림돌기(29)에 걸려있는 상태에서 제2랙기어(140)가 후방을 향해 이동되기 때문에, 저장박스(28)는 후방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도어(30)의 푸셔(35)가 캐처(160)의 푸쉬부(164)를 밀어주어 캐처(160)는 제1회전돌기(161)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랙기어(130)는 접촉부(131)가 도어(30)의 푸셔(35)에 의해 후방을 향해 밀리는 동시에 돌출부(133)가 캐처(160)의 제1랙기어 지지부(165)에 의해 후방을 향해 밀려 후방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가 닫혀 저장박스(28)가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캐처(160)는 제2탄성부재(190)의 탄성력에 의해 후방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캐처(160)의 제1회전돌기(161)는 제1가이드슬롯(119, 127)을 따라 후방을 향해 이동되고, 제1가이드돌기(162)는 제2가이드슬롯(129)을 따라 후방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제1가이드돌기(162)가 제2가이드슬롯(129)을 따라 후방을 향해 이동되면, 제2가이드슬롯(129)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캐처(160)는 다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캐처(160)가 제2탄성부재(190)의 탄성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캐처(160)의 제1랙기어 지지부(165)는 제1랙기어(130)의 돌출부(133)를 후방을 향해 밀어주기 때문에, 저장박스(28)는 후방을 향해 더 이동되어 도어(30)의 밀폐력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제2탄성부재(190)의 탄성력이 제1탄성부재(180)의 탄성력보다 크기 때문에, 캐처(160)는 제2탄성부재(190)의 탄성력에 의해 후방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냉장고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11 : 내상
12 : 외상 13 : 단열재
17 : 격벽 17a : 제1격벽
17b : 제2격벽 17c : 제3격벽
20 : 저장실 21 : 상부 저장실
21a : 제1저장실 21b : 제2저장실
23 : 하부 저장실 23a : 제3저장실
23b : 제4저장실 25 : 기계실
27 : 선반 28 : 저장박스
29 : 걸림돌기
30 : 도어 31a : 제1도어
31b : 제2도어 31c : 제3도어
31d : 제4도어 33 : 도어가드
35 : 푸셔
100 : 개폐장치
110, 120 : 케이스
110 : 제1케이스 111 : 제1가이드홈
112 : 제2가이드홈 113 : 가이드레일
114 : 제1가이드레일 115 : 제2가이드레일
116 : 제1회전홈 117 : 제1지지부
118 : 제1고정부 119 : 제1가이드슬롯
120 : 제2케이스 121 : 제1가이드홀
123 : 제2가이드홀 125 : 제2회전축
127 : 제1가이드슬롯 129 : 제2가이드슬롯
130 : 제1랙기어(랙기어) 131 : 접촉부
133 : 돌출부
140 : 제2랙기어(랙기어) 141 : 제2회전돌기
143 : 제2지지부
150 : 피니언기어 151 : 제1기어
153 : 제2기어 155 : 제1회전축
157 : 제2회전홈
160 : 캐처 161 : 제1회전돌기
162 : 제1가이드돌기 163 : 걸림부
164 : 푸쉬부 165 : 제1랙기어 지지부
166 : 제2고정부
170 : 걸림부재 171 : 회전홀
173 : 제2가이드돌기 175 : 걸림홈
177 : 제1면 179 : 제2면
180 : 제1탄성부재 190 : 제2탄성부재

Claims (20)

  1.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며,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저장박스가 마련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배면에 상기 저장실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푸셔가 마련되는 도어; 및
    상기 저장박스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저장박스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랙기어;
    상기 저장박스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도록 상기 랙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랙기어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걸림부재; 및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푸셔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도록 회전되며, 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푸셔에 걸림되도록 회전되어 상기 랙기어가 후방을 향해 이동되도록 밀어주는 캐처;
    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랙기어 및 캐처를 수용하는 케이스와, 상기 랙기어 및 캐처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저장실의 측벽에 인접한 제1케이스와, 상기 저장박스에 인접한 제2케이스를 포함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는 상기 푸셔와 접촉되는 제1랙기어와, 상기 제1랙기어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걸림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랙기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제1랙기어 및 제2랙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제1랙기어 및 제2랙기어가 직선 운동될 때 회전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기어는 상기 제1랙기어와 상기 제2랙기어가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운동 되도록 상기 제1랙기어와 치합되는 제1기어와, 상기 제2랙기어와 치합되는 제2기어를 포함하는 2단 기어로 마련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랙기어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캐처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는 일측이 상기 케이스에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제2랙기어에 지지되어 상기 제2랙기어가 전방을 향해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전달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부재는 일측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캐처에 고정되어 상기 캐처에 탄성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1랙기어가 후방을 향해 이동되도록 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박스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랙기어는 상기 푸셔와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에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캐처와 접촉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랙기어는 상기 걸림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회전돌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캐처는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돌기와, 상기 캐처가 상기 제1회전돌기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돌기와, 상기 푸셔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걸림부와,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푸셔에 접촉되어 상기 캐처가 회전되도록 하는 푸쉬부와, 상기 돌출부를 지지하는 제1랙기어 지지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제2회전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홀과,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제2회전돌기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돌기와,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는 상기 제1랙기어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홈과, 상기 제2랙기어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홈과, 상기 제1회전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캐처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1회전돌기를 가이드 하기 위해 상기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에 한 쌍으로 마련되는 제1가이드슬롯과, 상기 제2가이드돌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걸림부재가 전후 방향으로 직선운동 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레일과,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제2회전돌기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제1랙기어의 상기 접촉부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홈과, 상기 걸림부재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홈과, 상기 캐처가 상기 제1회전돌기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제1가이드돌기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슬롯을 포함하는 냉장고.
  16.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배면에 상기 저장실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푸셔가 마련되는 도어; 및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는 저장박스가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 전방을 향해 이동되고, 상기 도어가 닫힐 때 후방을 향해 이동되는 랙기어;
    상기 랙기어가 전방을 향해 이동되도록 상기 랙기어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랙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저장박스에 마련되는 걸림돌기에 걸림 및 걸림 해제되며, 상기 랙기어와 함께 이동되는 걸림부재;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푸셔에 의해 회전되는 캐처; 및
    상기 캐처가 후방을 향해 이동되도록 상기 캐처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제2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냉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닫혀있을 때 상기 캐처는 상기 랙기어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푸셔에 걸림되어 있고,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캐처는 상기 푸셔로부터 걸림 해제되면서 상기 푸셔에 의해 회전되는 냉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어 상기 캐처가 회전되면 상기 랙기어는 상기 캐처로부터의 지지가 해제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을 향해 이동되고,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되어 있는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랙기어와 함께 이동되어 상기 저장박스가 전방을 향해 이동되는 냉장고.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가 전방을 향해 이동될 때, 상기 걸림부재가 회전되어 상기 걸림돌기로부터 걸림이 해제되면서 상기 저장박스는 상기 저장실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푸셔는 상기 랙기어가 후방을 향해 이동하도록 밀어주고, 후방을 향해 이동되는 상기 랙기어와 함께 이동되는 상기 걸림부재가 회전되면서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되어 상기 저장박스를 후방을 향해 이동시키는 냉장고.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박스가 후방을 향해 이동되어 상기 저장실 내부로 인입되면, 상기 푸셔는 상기 캐처가 상기 랙기어를 지지하도록 상기 캐처를 회전시키고, 회전된 상기 캐처는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후방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저장박스가 후방을 향해 더 이동되도록 하는 냉장고.
KR1020180116857A 2018-10-01 2018-10-01 냉장고 KR102607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857A KR102607011B1 (ko) 2018-10-01 2018-10-01 냉장고
US17/250,958 US11585593B2 (en) 2018-10-01 2019-09-27 Refrigerator
EP19870023.9A EP3839390B1 (en) 2018-10-01 2019-09-27 Refrigerator
PCT/KR2019/012649 WO2020071694A1 (ko) 2018-10-01 2019-09-27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857A KR102607011B1 (ko) 2018-10-01 2018-10-01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532A true KR20200037532A (ko) 2020-04-09
KR102607011B1 KR102607011B1 (ko) 2023-11-29

Family

ID=70054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857A KR102607011B1 (ko) 2018-10-01 2018-10-01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85593B2 (ko)
EP (1) EP3839390B1 (ko)
KR (1) KR102607011B1 (ko)
WO (1) WO20200716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5395A (ko) 2022-03-16 2023-09-25 윤태균 전지가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64651B2 (en) * 2019-06-05 2024-01-09 Knape & Vogt Manufacturing Company Closing device for drawers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4712A (ja) * 2001-06-08 2002-12-18 Matsushita Refrig Co Ltd 歯車機構及びこの歯車機構を備えたドア開放装置及びこのドア開放装置を備えた収納庫並びに冷蔵庫
KR20050105342A (ko) * 2004-04-28 2005-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00037361A (ko) * 2008-10-01 201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냉장고
KR20110080021A (ko) * 2010-01-04 2011-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인출 선반을 포함하는 냉장고
KR20140035226A (ko) * 2012-09-13 2014-03-21 (주)세고스 자동 개방 장치
KR20140105687A (ko) * 2013-02-23 2014-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CN105627661A (zh) * 2016-03-01 2016-06-01 仝达机电工业(惠州)有限公司 一种用于冰箱的自动开门、开抽屉装置
KR20170039873A (ko) * 2015-10-02 2017-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80053170A (ko) * 2016-11-11 201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873115B1 (ko) * 2016-11-03 2018-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58387A1 (de) * 1998-12-17 2000-06-21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Kältegerät
US6702411B2 (en) * 2002-06-21 2004-03-09 Oscar Helver Hands free cabinet drawer assist system
KR20040056343A (ko) * 2002-12-23 2004-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야채박스 설치구조
WO2008069248A1 (ja) * 2006-12-08 2008-06-12 Nifco Inc. 引き込み機構及び取り付け構造
KR100872226B1 (ko) * 2007-04-20 2008-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080101335A (ko) * 2007-05-17 200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090133009A (ko) * 2008-06-23 2009-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서랍
KR101013683B1 (ko) * 2008-06-23 2011-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DE202009004710U1 (de) 2009-04-04 2009-06-25 Düperthal Sicherheitstechnik Gmbh & Co. Kg Schrank, insbesondere Sicherheitsschrank
IT1392184B1 (it) * 2008-12-12 2012-02-22 Salice Arturo Spa Dispositivo di apertura e chiusura di una parte spostabile di un mobile
KR20110010405A (ko) * 2009-07-24 2011-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8282177B1 (en) * 2009-09-16 2012-10-09 Whirlpool Corporation Independent self-close mechanism for pullout drawer
KR101580447B1 (ko) 2009-10-26 2015-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자동 도어 닫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JP2011250881A (ja) * 2010-05-31 2011-12-15 Nifco Inc 移動体動作装置
KR101704817B1 (ko) 2010-08-20 201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2564024B (zh) * 2012-02-21 2014-02-26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冰箱
AT512694B1 (de) * 2012-03-16 2013-12-15 Blum Gmbh Julius Ausstoßvorrichtung für ein bewegbares Möbelteil
KR20130115546A (ko) * 2012-04-12 2013-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20130117903A (ko) 2012-04-13 2013-10-29 (주)세고스 서랍용 개폐보조장치
KR102028022B1 (ko) * 2013-04-05 2019-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T516677B1 (de) * 2015-01-02 2019-08-15 Blum Gmbh Julius Möbelantrieb
EP3258196B1 (en) 2015-02-13 2022-05-2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O2017057995A1 (ko) * 2015-10-02 2017-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63790B1 (ko) * 2016-06-07 2022-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12524874B (zh) 2015-11-04 2022-12-30 Lg 电子株式会社 冰箱
TWI538638B (zh) * 2015-11-12 2016-06-21 川湖科技股份有限公司 用於傢俱組件的驅動機構及方法
KR102491227B1 (ko) * 2016-04-01 2023-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서랍장치
CN106037297B (zh) * 2016-06-24 2018-06-05 无锡海达尔精密滑轨股份有限公司 具有消音回弹功能的同步抽屉滑轨系统
KR20180077993A (ko) * 2016-12-29 2018-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TWI616165B (zh) * 2017-03-07 2018-03-01 川湖科技股份有限公司 用於可活動傢俱組件的回歸機構
DE102017107461A1 (de) * 2017-04-06 2018-10-11 Karl Simon Gmbh & Co. Kg Bewegungsanordnung
TWI616161B (zh) * 2017-04-12 2018-03-01 川湖科技股份有限公司 用於傢俱組件的離合器
KR102539114B1 (ko) * 2018-08-29 2023-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4712A (ja) * 2001-06-08 2002-12-18 Matsushita Refrig Co Ltd 歯車機構及びこの歯車機構を備えたドア開放装置及びこのドア開放装置を備えた収納庫並びに冷蔵庫
KR20050105342A (ko) * 2004-04-28 2005-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00037361A (ko) * 2008-10-01 201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냉장고
KR20110080021A (ko) * 2010-01-04 2011-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인출 선반을 포함하는 냉장고
KR20140035226A (ko) * 2012-09-13 2014-03-21 (주)세고스 자동 개방 장치
KR20140105687A (ko) * 2013-02-23 2014-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20170039873A (ko) * 2015-10-02 2017-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5627661A (zh) * 2016-03-01 2016-06-01 仝达机电工业(惠州)有限公司 一种用于冰箱的自动开门、开抽屉装置
KR101873115B1 (ko) * 2016-11-03 2018-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80053170A (ko) * 2016-11-11 201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5395A (ko) 2022-03-16 2023-09-25 윤태균 전지가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56200A1 (en) 2021-11-18
WO2020071694A1 (ko) 2020-04-09
EP3839390B1 (en) 2023-12-06
EP3839390A1 (en) 2021-06-23
KR102607011B1 (ko) 2023-11-29
EP3839390A4 (en) 2021-11-03
US11585593B2 (en)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2613B2 (en) Refrigerator
EP3043132B1 (en) Refrigerator
US20130270989A1 (en) Slid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627935B1 (ko) 냉장고
EP3545246B1 (en) Refrigerator
KR20060081923A (ko) 냉장고
KR20110010405A (ko) 냉장고
KR20170093530A (ko) 냉장고
EP3671084B1 (en) Refrigerator
KR20200037532A (ko) 냉장고
US8162422B2 (en) Refrigerator
KR102629962B1 (ko) 냉장고
JP6628584B2 (ja) 冷蔵庫の引出装置
KR102613450B1 (ko) 냉장고
KR20070020119A (ko) 야채박스의 이중 인출구조
KR20050047257A (ko) 저장고
KR20240052562A (ko) 도어 개방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20230101423A (ko) 냉장고
KR20080067781A (ko) 냉장고
KR20150020368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