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9873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9873A
KR20170039873A KR1020150138977A KR20150138977A KR20170039873A KR 20170039873 A KR20170039873 A KR 20170039873A KR 1020150138977 A KR1020150138977 A KR 1020150138977A KR 20150138977 A KR20150138977 A KR 20150138977A KR 20170039873 A KR20170039873 A KR 20170039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gear
cover
guid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3499B1 (ko
Inventor
신정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8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499B1/ko
Priority to EP16852141.7A priority patent/EP3358282B1/en
Priority to EP20182146.9A priority patent/EP3754272B1/en
Priority to PCT/KR2016/011073 priority patent/WO2017057995A1/ko
Priority to US15/765,327 priority patent/US10677519B2/en
Publication of KR20170039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499B1/ko
Priority to US16/855,398 priority patent/US1092812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Y02B4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와 연통하는 투입구를 포함하며, 냉장대상물 또는 냉동대상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공간,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저장공간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 상기 드로워에 구비되어 냉장대상물이나 냉동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부에 투입구가 구비된 수용부, 상기 드로워의 마주보는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에 지지되어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투입구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 상기 드로워가 상기 투입구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투입구가 노출되도록 상기 커버를 이동시키고,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공간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투입구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커버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대상물이나 냉동대상물이 저장되는 공간에서 인출 가능한 수납장치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수납장치의 투입구를 용이하게 개폐 가능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냉매를 압축, 응축, 팽창, 증발시키는 싸이클(cycle)을 통해 저장공간에 수납된 저장물(냉장대상물 또는 냉동대상물)을 냉장 또는 냉동하는 장치이다. 즉, 냉장고는 저장물이 수납되는 저장공간과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어 저장공간 내부에 위치된 저장물을 상온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저장공간은 냉장고에 설정된 저장용량에 의해 부피가 제한될 것이므로, 상기 저장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하도록 설계하는 것은 냉장고 설계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고려대상 중 하나이다.
상기 저장공간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종래 냉장고 내부에는 저장물이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되 저장공간에서 인출 가능한 수납장치가 구비되었다. 즉, 종래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선반, 상기 선반의 하부에 위치되어 저장공간의 외부로 인출 가능한 드로워를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종래 수납장치는 상기 드로워를 개방면 방향으로 당기면 드로워의 상부면에 위치된 투입구가 선반의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자는 노출된 투입구를 통해 저장물을 드로워에 투입하거나 드로워에서 인출 가능했다.
그러나, 상술한 구조의 종래 수납장치는 투입구의 노출면적이 드로워의 상부면이 저장공간의 외부로 인출된 면적과 동일하기 때문에, 부피가 크거나 길이가 긴 저장물을 드로워에 투입하려면 사용자는 드로워를 저장공간에서 많이 인출해야만 했다.
본 발명은 저장물이 수납되는 드로워가 저장공간의 외부에 노출된 면적보다 드로워의 투입구가 외부에 노출되는 면적이 더 큰 수납장치 및 상기 수납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저장물이 수납되는 드로워의 이동방향과 드로워의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이동방향이 서로 다른 수납장치 및 상기 수납장치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외부와 연통하는 개방면을 포함하며, 냉장대상물 또는 냉동대상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공간; 상기 개방면을 통해 상기 저장공간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 상기 드로워에 구비되어 냉장대상물이나 냉동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부면에 투입구가 구비된 수용부; 상기 드로워의 마주보는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에 지지되어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투입구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 상기 드로워가 상기 개방면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투입구가 노출되도록 상기 커버를 이동시키고, 상기 드로워가 상기 개방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투입구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커버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로워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커버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커버의 이동방향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커버에 고정된 제1기어; 상기 드로워의 이동방향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드로워에 고정된 제2기어;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를 연결하는 연결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연결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기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기어 가이더; 상기 제1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2기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기어 가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커버를 결합하는 제1연결부; 상기 제2기어와 상기 드로워를 결합하는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드로워의 이동방향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의 영역 중 상기 드로워가 위치되는 면의 반대면(opposite side)에 구비되어 상기 제1기어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기어 가이더; 상기 제1기어 가이더 내부에 상기 제1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슬릿; 상기 제1바디의 영역 중 상기 드로워가 위치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기어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2기어 가이더; 상기 제2기어 가이더 내부에 상기 제1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연결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2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2기어에 힌지 결합하고, 상기 제2슬릿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드로워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바디; 상기 제2기어 가이더에 구비되며,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공간에서 인출될 때 상기 착탈바디를 상기 드로워에서 분리시키는 연결부 가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드로워에서 상기 제1바디를 향해 돌출된 기어 작동부; 상기 착탈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기어 작동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스토퍼 및 제2스토퍼; 상기 착탈바디는 상기 연결부 가이더에 결합되는 결합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 가이더는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공간에서 기 설정된 기준거리 이상 인출되면 상기 제1스토퍼와 상기 제2스토퍼 중 상기 투입구에 가까운 위치에 구비된 스토퍼가 상기 드로워에서 멀어지도록 상기 결합축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부 가이더는 상기 드로워의 이동방향과 나란하도록 상기 제2기어 가이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축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축 제1가이더; 및 상기 제1축 가이더에서 상기 드로워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결합축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축 제2가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드로워와 상기 제1바디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돌출부; 상기 드로워와 상기 제1바디 중 나머지 하나에 상기 드로워의 이동방향에 나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드로워 가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드로워의 이동방향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바디; 및 상기 제1바디의 상부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된 제1전방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드로워의 이동방향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2바디; 및 상기 제2바디의 상부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2전방 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제1전방 곡면부 및 상기 제2전방 곡면부에 지지되어 상기 투입구의 전방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 바디; 및 상기 제1기어에 연결되며 상기 커버 바디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곡면부, 상기 제2곡면부 및 상기 커버 바디의 곡률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전방 곡면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 바디의 가장자리 일단을 지지하며, 상기 커버의 이동을 안내하는 커버 제1가이더; 상기 제2전방 곡면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 바디의 가장자리 타단을 지지하며, 상기 커버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커버 가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커버 바디와 상기 이송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돌기; 상기 커버 바디와 상기 이송부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돌기를 수용하되, 상기 돌기가 상기 드로워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슬롯;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투입구의 일부 영역만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는 상기 수용부와 상기 저장공간을 연통시키는 드로워 연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장물이 수납되는 드로워가 저장공간의 외부에 노출된 면적보다 드로워의 투입구가 외부에 노출되는 면적이 더 큰 수납장치 및 상기 수납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저장물이 수납되는 드로워의 이동방향과 드로워의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이동방향이 서로 다른 수납장치 및 상기 수납장치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냉장고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된 수납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수납장치에 구비된 구동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와 도 6은 수납장치에 구비된 드로워가 저장공간 내부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과 도 8은 수납장치에 구비된 드로워가 저장공간에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냉장고(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저장물(냉장대상 또는 냉동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공간(11, 13),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2, 도 6 참고)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은 캐비닛(1)의 내부에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상기 저장공간이 제1공간(11)과 제2공간(13)으로 구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저장공간이 제1공간(11)과 제2공간(13)으로 구분될 경우, 상기 제1공간(11)은 저장물의 냉장을 위한 냉장실과 저장물의 냉동을 위한 냉동실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고, 상기 제2공간(13)은 냉장실과 냉동실 중 나머지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공간(11)과 제2공간(13)은 격벽(15)을 통해 서로 구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은 서로 동일한 온도로 제어되는 하나의 공간을 구분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 모두 냉장실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 모두 냉동실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각 공간(11, 13)에는 저장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개방면이 구비되어야 한다. 즉, 제1공간(11)은 제1개방면(111)를 통해 캐비닛(1)의 외부와 연통하고, 제2공간(13)은 제2개방면(131)를 통해 캐비닛의 외부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개방면(111) 및 제2개방면(131)은 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개방면(111)은 하나의 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제1개방면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된 제1도어(112) 및 제2도어(114)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도 8 참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개방면(131) 역시 하나의 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제2개방면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도어를 통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열교환부(2, 도 6 참고)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1),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캐비닛의 외부 공기와 열교환시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23), 응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압력을 낮추는 팽창밸브(25), 팽창밸브를 통과한 냉매와 저장공간(11, 13)의 공기를 열교환시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27)로 구비될 수 있다. 증발기는 저장공간 내부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므로, 저장공간 내부에서 순환되는 공기는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냉각된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부는 제1공간(11)과 제2공간(13)의 온도를 상온보다 낮게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저장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제1공간(11)과 제2공간(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수납장치(P)가 더 구비되는데, 도 1은 상기 수납장치(P)가 제1공간(11)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상기 수납장치(P)가 격벽(15)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나, 상기 제1공간(11)이나 제2공간(13) 내부에 상기 수납장치(P)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선반(수납장치에 구비된 드로워를 지지할 수 있는 선반)이 존재한다면 상기 수납장치(P)는 상기 격벽(15)이 아닌 제1공간이나 제2공간에 구비된 선반에 지지 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공간(11)에 구비되어 상기 격벽(15)에 의해 하부면이 지지되는 수납장치(P)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수납장치(P)는 상기 제1공간(11)에 구비되어 저장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격벽(15)에 의해 지지되는 드로워(3), 상기 드로워(3)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지지부(5) 및 제2지지부(6)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3)는 상기 제1개방면(111)를 통해 제1공간(11)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 바디(31), 상기 드로워 바디(31)에 구비되어 저장물이 수용되는 수용부(311)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311)는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상부면에 형성된 투입구(317)를 통해 드로워 바디(31)의 외부와 연통하고, 사용자는 상기 투입구(317)를 통해 저장물을 투입하거나 수용부(311)에서 저장물을 인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전방면(제1개방면를 향하는 드로워 바디의 일면)에는 전방패널(312)이 구비되는데, 상기 전방패널(312)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드로워 바디(311)를 인출할 수 있게 하는 핸들(313)이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전방패널(312)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투명재질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드로워 바디(31)의 전방에서 수용부(311)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드로워 바디(31)가 제1공간(11)에서 인출되거나 제1공간(11)으로 삽입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롤러(3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롤러(315)는 드로워 바디(3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드로워 바디(31)를 격벽(15)에 지지시킬 수 있는 한 드로워 바디(31)의 어디에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5)와 제2지지부(6)는 드로워 바디(31)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지지부(5)는 드로워 바디(31)의 이동방향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바디(51)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부(6)는 드로워 바디(31)의 이동방향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2바디(6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3)에는 드로워 바디(31)의 표면에서 상기 제1바디(51)를 향해 돌출된 제1돌출부(32) 및 드로워 바디(31)의 표면에서 제2바디(61)를 향해 돌출된 제2돌출부(33)가 구비되고, 상기 제1바디(51) 및 제2바디(61)에는 상기 돌출부(32, 33)들의 이동경로(드로워 바디가 제1공간에서 인출되거나 제1공간으로 삽입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드로워 가이더(55, 65)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바디(51)에는 상기 제1돌출부(32)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드로워 가이더(55)가 구비되고, 상기 제2바디(61)에는 상기 제2돌출부(33)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2드로워 가이더(65)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돌출부들(32, 33)은 제1바디(51)와 제2바디(61)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드로워 가이더(55) 및 제2드로워 가이더(65)는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마주보는 양면에 각각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상부에는 투입구(317)를 개폐하는 커버(7)가 구비되는데, 상기 커버(7)는 구동부(9)에 의해 투입구(317)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상기 커버(7)는 상기 제1지지부(5) 및 제2지지부(6)에 지지되어 상기 투입구(317)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부(9)는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커버(7)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투입구(317)를 노출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커버(7)는 상기 제1바디(51)와 제2바디(61)에 의해 지지되는 커버 바디(71), 상기 구동부(9)에 의해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부(75), 상기 커버 바디(71)와 이송부(75)를 연결하는 체결부(77)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 바디(71)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상기 수용부(311)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커버 바디(71)의 기준위치는 투입구(317)의 전방이다.
상기 기준위치는 상기 드로워 바디(31)가 제1공간(11)에서 인출되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의 커버 바디(71) 위치(상기 드로워 바디(31)가 제1공간(11)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 있을 때의 커버 바디의 위치)를 의미하며, 상기 기준위치에서 상기 커버 바디(71)는 투입구(317)의 전방공간을 폐쇄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커버 바디(71)에는 상기 커버 바디(71)를 제1바디(51) 및 제2바디(61)에 지지시키는 커버 플랜지(711, 713, 도 1 참고)가 구비되는데, 상기 커버 플랜지는 제1바디(51)에 지지되는 커버 제1플랜지(711), 제2바디(61)에 지지되는 커버 제2플랜지(713)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바디(51)에는 상기 커버 제1플랜지(711)가 수용되는 플랜지 수용홈(57, 도 1 참고)이 구비되고, 상기 제2바디(61)에는 커버 제2플랜지(713)가 수용되는 플랜지 수용홈(67, 도 1 참고)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75)는 상기 구동부(9)와 상기 커버 바디(71)를 연결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이송부(75)가 상기 투입구(317)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된 이송바디(751), 상기 이송바디(751)의 마주보는 양단이 절곡되어 구동부(9)가 결합되는 절곡부(755)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체결부(77)는 상기 커버 바디(71)와 상기 이송바디(751)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돌기(771), 상기 상기 커버 바디(71)와 상기 이송바디(751)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돌기(771)를 수용하는 슬롯(773)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돌기(771)는 커버 바디(71)에 구비되고, 슬롯(773)은 상기 이송바디의 절곡부(755)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슬롯(773)은 상기 돌기(771)가 드로워 바디(31)의 높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절곡부(775)의 높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커버 바디(71)가 곡면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커버 바디(71)가 드로워 바디(31)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구동부(9)는 상기 제1바디(51)에 지지되어 상기 이송부(75)에 고정되는 제1기어(91), 상기 제1바디(51)에 지지되어 상기 드로워 바디(31)에 고정되는 제2기어(93), 상기 제1기어(91)와 제2기어(93)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1기어(91)와 제2기어(93)를 연결하는 연결기어(9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기어(95)는 제1바디(5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91)는 커버 바디(71)의 이동방향(X축 방향)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랙기어(rack gear)로 구비되고, 상기 제2기어(91)는 드로워 바디(31)의 이동방향(X축 방향)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랙기어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기어(95)는 피니언(pinion)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9)는 드로워 바디(31)가 제1개방면(111)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투입구(317)가 노출되도록 상기 커버 바디(71)를 이동(-X축 방향)시키고, 상기 드로워 바디(31)가 제1개방면(111)에서 멀어지는 방향(-X축 방향)을 향해 이동(제1공간 내부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투입구(317)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커버 바디(71)를 이동(X축 방향)시키는 수단이 된다.
본 발명에 구비된 구동부(9)는 드로워 바디(31)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커버 바디(71)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드로워 바디(31)를 조금만 움직여도 투입구(317)의 노출 영역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달리 커버(7)는 드로워 바디(31)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드로워 바디(31)만 제1공간(11)에서 인출 가능한 경우를 가정해보자.
사용자가 수용부(311)에 저장물을 투입하거나 수용부(311)에서 저장물을 인출하려면 투입구(317)를 노출시켜야 하고, 투입구(317)를 노출시키려면 사용자는 드로워 바디(31)를 제1공간(11)에서 인출해야 한다.
이 경우, 투입구(317)가 외부에 노출되는 면적은 사용자가 드로워 바디(31)를 제1공간(11)에서 인출한 면적과 동일할 것이다. 따라서, 저장물을 수용부(311)에 투입하거나 수용부에서 인출할 때 저장물의 부피가 크면 클수록 사용자는 드로워 바디(31)를 제1공간(11)에서 더 많이 인출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구비된 구동부(9)는 상기 커버 바디(71)를 드로워 바디(31)가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드로워 바디(31)가 제1공간(11)에서 인출됨으로써 노출되는 투입구(317)의 면적과 커버 바디(71)가 제1공간(11) 내부를 향해 이동함으로써 노출되는 투입구(317)의 면적의 합만큼 투입구(317)를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드로워 바디(31)가 상기 제1공간(11)에서 인출됨으로써 노출되는 드로워 바디(31)의 상부면 면적보다 더 큰 면적으로 상기 투입구(317)를 노출 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수용부(311)에 저장물을 투입하거나 인출할 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드로워 바디(31)가 제1공간에서 인출됨으로써 노출되는 드로워 바디(31)의 상부면 면적보다 더 큰 면적으로 상기 투입구(317)를 노출시키므로 부피가 큰 저장물을 수용부(311)에 투입하거나 수용부(311)에서 인출할 때 편리한 효과가 있다.
상술한 제1기어(91), 제2기어(93) 및 연결기어(95)는 제1지지부(5)와 제2지지부(6) 중 어느 하나에만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커버 바디(7)가 안정적으로 이동하려면, 제1바디(51)에 접촉하는 이송바디(751)의 일면과 제2바디(61)에 접촉하는 이송바디(751)의 일면의 이동거리가 동일해야 하므로 상기 제1기어, 제2기어 및 연결기어는 상기 제1지지부의 제1바디(51) 및 제2지지부의 제2바디(61)에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9)가 제1지지부(5) 및 제2지지부(6)에 각각 구비될 경우, 상기 제1바디(51)에는 제1기어(91)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기어 가이더(52, 제1지지부 제1기어 가이더) 및 제2기어(93)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2기어 가이더(54, 제1지지부 제2기어 가이더)가 구비되고, 상기 제2바디(61)에는 제1기어(91) 및 제2기어(93)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기어 가이더(62, 제2지지부 제1기어 가이더, 도 1 참고) 및 제2기어 가이더(64, 제2지지부 제2기어 가이더, 도 1 참고)가 구비될 수 있다.
제1기어 가이더(52, 62)와 제2기어 가이더(54, 64)는 상기 제1바디(51)의 영역 중 상기 드로워 바디(31)를 향하는 면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드로워 바디(31)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기어 가이더(52, 62)와 제2기어 가이더(54, 64)가 상기 드로워 바디(31)를 향하는 제1바디(51)의 일면과 제2바디(61)의 일면에 각각 구비될 경우, 상기 연결기어(95) 역시 상기 드로워 바디(31)를 향하는 제1바디(51)의 일면 및 제2바디(61)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지지부의 제1기어 가이더(52)와 제2기어 가이더(54)는 제1바디(51)의 영역 중 상기 드로워 바디(31)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부의 제1기어 가이더(62)와 제2기어 가이더(64)는 제2바디(61)의 영역 중 드로워 바디(31)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될 수 있다(도 2).
이 경우, 상기 제1기어(91)는 제1연결부(911)를 통해 이송바디(751)에 연결되고, 제2기어(93)는 제2연결부(94)를 통해 드로워 바디(31)에 연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부의 제1기어 가이더(52) 내부에는 커버 바디(71)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911)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슬릿(521)이 구비되고, 상기 제1지지부의 제2기어 가이더(54) 내부에는 드로워 바디(31)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2연결부(94)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2슬릿(541)이 구비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지지부의 제1기어 가이더(62)에는 제1연결부(911)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슬릿(621)이 구비되고, 제2지지부의 제2기어 가이더(64)에는 제2연결부(94)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2슬릿(641)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술한 기능을 구현하는 한 상기 제1기어 가이더(52, 62) 및 제2기어 가이더(54, 64)는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상기 제1기어 가이더(52, 64)는 상기 제1기어(91)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기어(91)의 이동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2기어 가이더(54, 64)는 상기 제2기어(93)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기어(93)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부의 제1기어 가이더(52)에는 상기 연결기어(95)가 제1기어(91)에 결합될 수 있게 하는 제1연통부(523)가 구비되고, 상기 제1지지부의 제2기어 가이더(54)에는 연결기어(95)가 제2기어(93)에 결합될 수 있게 하는 제2연통부(5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의 제1기어 가이더(62) 및 제2기어 가이더(64)도 동일한 구조로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은 커버 바디(71)에 의해 개방되는 투입구(317)의 면적을 보다 확장시키기 위해 상기 제1바디(51)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제1곡면부(511, 513)가 구비되고, 상기 제2바디(61)의 상부면에는 제2곡면부(611, 6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곡면부는 제1바디(51)의 상부면 전방에 위치된 제1전방 곡면부(611)와 상기 제1전방 곡면부(511)에서 상기 제1바디(51)의 상부면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1후방 곡면부(513)로 구비되고, 상기 제2곡면부는 제2바디(61)의 상부면 전방에 위치된 제2전방 곡면부(611)와 상기 제2전방 곡면부(611)에서 상기 제2바디(61)의 상부면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2후방 곡면부(613)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전방 곡면부(511)와 제2전방 곡면부(611)는 서로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커버 바디(71)는 상기 제1전방 곡면부 및 제2전방 곡면부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바디(51, 61)의 상부면 전방에 곡면부(511, 611)가 구비되면, 커버 바디(71)가 동일한 거리(S)만큼 제1공간(11)의 후방으로 이동할 때 곡면부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의 투입구의 노출 면적(A1)보다 곡면부가 구비된 경우의 투입구의 노출면적(A2)이 크다. 따라서, 제1전방 곡면부(511)와 제2전방 곡면부(611)는 부피가 제한된 제1공간(11) 내부에서 투입구(317)의 노출 면적을 극대화하는 수단이 된다.
한편, 상술한 구조를 가진 수납장치(P)는 드로워 바디(31)의 청소 등과 같이 드로워 바디(31)를 제1공간(11)에서 분리해야 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드로워 바디(31)가 제1공간(11)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2연결부(94)는 드로워 바디(31)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결부(94)는 상기 드로워 바디(3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바디(941), 상기 드로워 바디(31)가 상기 제1공간(11)에서 인출될 때 상기 착탈바디(941)를 상기 드로워(31)에서 분리시키는 연결부 가이더(97)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탈바디(941)는 제2슬릿(541)에 삽입되어 제2슬릿(541)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데, 힌지(947)를 통해 제2기어(93)에 연결되고, 결합축(945)를 통해 연결부 가이더(97)에 결합된다.
상기 드로워 바디(31)에는 상기 착탈바디(94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기어 작동부(35)가 구비되는데, 상기 기어 작동부(35)는 드로워 바디(31)가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홈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드로워 바디(31)에서 제1바디(51)를 향해 돌출된 돌기(도 2 참고)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는 기어 작동부(35)가 드로워 바디(31)에서 제1바디(51)를 향해 돌출된 형태로 구비된 경우 착탈바디(941)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상기 착탈바디(941)에는 상기 기어 작동부(35)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홈(943)이 구비된다.
상기 홈(943)은 상기 착탈바디(941)에 고정되어 구비되되 기어 작동부(35)가 수용 가능한 공간만큼 서로 이격된 제1스토퍼(943a)와 제2스토퍼(943b)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토퍼(943a)는 상기 드로워 바디(31)가 인출되는 제1개방면(111)에 가까운 스토퍼이고, 제2스토퍼(943b)는 제1스토퍼(943a)보다 제1개방면(111)에서 먼 위치에 구비된 스토퍼로 정의된다.
상기 연결부 가이더(97)는 상기 드로워 바디(31)가 상기 제1공간(11)에서 기 설정된 기준거리(L, 도 6 참고) 이상 인출되면, 제1개방면(111)에 가까운 곳에 위치된 제1스토퍼(943a)가 상기 드로워 바디(31)에서 멀어지도록 상기 결합축(945)을 이동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연결부 가이더(97)는 제2기어 가이더(54) 내부에 구비되되 제1면(973, 도 2 참고)과 제2면(975)이 구비된 가이더 바디(971), 상기 가이더 바디(971)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축(975)이 삽입되는 축 가이더(977, 979)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면(973)은 상기 가이더 바디(971) 내부에 구비되는 착탈바디(941)와 제2기어(93)가 서로 연결될 수 있게 하는 개방된 면이고, 상기 제2면(975)은 상기 착탈바디(974)가 제2슬릿(541)에 삽입될 수 있게 하는 개방된 면이다.
한편, 상기 축 가이더는 상기 가이더 바디(97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축 제1가이더(977)와 축 제2가이더(979)로 구비되는데, 상기 축 제1가이더(977)는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이동방향에 나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축 제2가이더(979)는 축 제1가이더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1개방면(111)을 향할수록 상기 드로워 바디(31)에서 멀어지도록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연결부 가이더(97)는 상기 축 제1가이더(977)와 축 제2가이더(979)가 상기 제2기어 가이더(54)에 구비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구비된 수납장치(P)의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드로워 바디(31)가 제1공간(11)에서 인출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커버 바디(71)는 기준위치에 있으므로 수용부의 투입구(317) 전방공간은 커버 바디(71)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커버 바디(71)와 이송부(75)는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상부에서 왕복 가능해야 하므로,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인출방향(X축 방향)에 대한 상기 커버 바디(71)와 이송바디(751)의 길이의 합은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인출방향에 대한 투입구(317)의 길이보다 짧다.
따라서, 열교환부(2, 도 6 참고)를 통해 제1공간(11)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이송바디(751)의 후방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수용부(311) 내부로 공급될 것이다. 열교환부(2)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수용부(311)로 유입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드로워 바디(31) 중 제1공간(11)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에 위치한 면에는 저장공간 연통부(3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제1공간(11)의 후방면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상기 저장공간 연통부(37)는 드로워 바디(31)의 후방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 연통부(37)는 드로워 바디(31)를 관통하는 구멍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드로워 바디(31)의 상단이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313)을 통해 드로워 바디(31)를 제1공간(11)에서 인출하면, 기어 작동부(35)와 착탈바디(941)는 드로워 바디(31)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착탈바디(941)가 드로워 바디(31)와 동일한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연결기어(95)에 의해 제1기어(91)는 드로워 바디(31)가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할 것이다.
상기 제1기어(91)는 이송바디(751)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송바디(751)에 연결된 커버 바디(71)는 드로워 바디(31)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해 이동(제1공간의 후방면을 향해 이동)할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 바디(31)의 이동 시 커버 바디(71)가 제1공간(11)의 후방면을 향해 이동(-X축 방향을 향해 이동)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드로워 바디(31)가 제1공간(11)에서 인출됨으로써 노출되는 투입구(317)의 면적과 커버 바디(71)가 제1공간(11) 내부를 향해 이동함으로써 노출되는 투입구(317)의 면적의 합만큼 투입구(317)를 노출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커버 바디(71)가 지지되는 제1지지부(5)와 제2지지부(6)의 상부면 전방에는 제1전방 곡면부(511)와 제2전방 곡면부(611)가 구비되어 있어, 본 발명은 투입구(317)의 노출 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는 상기 수납장치(P)의 상부에 선반 등과 같이 저장물을 지지하는 수단이 위치된 경우 매우 유용할 것이다. 상기 수납장치(P)의 상부에 위치한 지지수단과 수납장치(P) 사이의 간격이 좁을 경우, 사용자는 드로워 바디(31)를 제1공간(11)에서 많이 인출해야만 부피가 큰 저장물을 수용부(311)에 투입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드로워 바디(31)의 인출면적보다 더 큰 면적으로 투입구(317)를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커버 바디(71)에 구비된 돌기(771)를 이송바디(751)에 연결하는 슬롯(773)은 돌기(771)가 드로워 바디(31)의 높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므로, 커버 바디(71)가 제1전방 곡면부(511)와 제2전방 곡면부(611)를 따라 드로워 바디(31)의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커버 바디(71)의 표면이 각 곡면부(511, 611)를 따라 드로워 바디(31)의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커버 바디(71)에 구비된 커버 플랜지(711, 713, 도 1 참고)는 각 지지부(5, 6)에 구비된 플랜지 수용홈(57, 67)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이송바디(751)의 이동 시 커버 바디(71)가 비틀어지는 문제가 방지된다.
상기 커버 바디(71)가 드로워 바디(31)의 상부에서 비틀리면 커버 바디(71)가 드로워 바디(31)의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상기 플랜지(711, 713) 및 플랜지 수용홈(57, 67)에 더해 제1바디의 곡면부(511, 513)와 제2바디의 곡면부(611, 613)에는 커버 바디(71)의 가장자리가 수용되는 커버 가이더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전방 곡면부(511)와 제1후방 곡면부(513)에는 커버 바디(71)의 가장자리가 수용되는 커버 제1가이더(56, 도 1 참고)가 구비되고, 상기 제2전방 곡면부(611)와 제2후방 곡면부(613)에는 커버 바디(71)의 가장자리가 수용되는 커버 제2가이더(66, 도 1 참고)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청소와 같이 드로워 바디(31)를 제1공간(11)에서 분리할 필요가 있을 경우, 사용자는 드로워 바디(31)를 제1개방면(111) 방향으로 당기기만 하면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 바디(31)가 제1공간(11)에서 기준거리(L) 이상 인출되면, 드로워 바디(31)는 구동부(9)에서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기준거리(L)는 결합축(945)을 축 제2가이더(979)에 진입시키는 상기 기어 작동부(35)의 이동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바디(31)가 상기 기준거리 이상 제1공간(11)에서 인출되면, 상기 결합축(945)은 축 제2가이더(979)에 의해 드로워 바디(3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1스토퍼(943a)는 드로워 바디(3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것이므로 상기 기어 작동부(35)는 착탈바디(941)의 홈(943)에서 분리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냉장고 1: 캐비닛 11: 제1공간
111: 제1개방면 112: 제1도어 114: 제2도어
13: 제2공간 131: 제2개방면 15: 격벽
2: 열교환부 P: 수납장치 3: 드로워
31: 드로워 바디 311: 수용부 312: 전방패널
313: 핸들 317: 투입구 35: 기어 작동부
5: 제1지지부 51: 제1바디 511: 제1전방 곡면부
513: 제1후방곡면부 52: 제1기어 가이더 521: 제1슬릿
523: 제1연통부 54: 제2기어 가이더 541: 제2슬릿
543: 제2연통부 55: 제1드로워 가이더 56: 커버 제1가이더
57: 플랜지 수용홈 6: 제2지지부 61: 제2바디
611: 제2전방 곡면부 613: 제2후방곡면부 62: 제1기어 가이더
64: 제2기어 가이더 65: 제2드로워 가이더 66: 커버 제2가이더
67: 플랜지 수용홈 7: 커버 71: 커버 바디
711: 커버 제1플랜지 713: 커버 제2플랜지 75: 이송부
751: 이송바디 755: 절곡부 77: 체결부
9: 구동부 91: 제1기어 911: 제1연결부
93: 제2기어 95: 연결기어 94: 제2연결부
941: 착탈바디 943: 홈 945: 결합축
947: 힌지 97: 연결부 가이더 971: 가이더 바디
973: 제1면 975: 제2면 977: 축 제1가이더
979: 축 제2가이더

Claims (15)

  1. 외부와 연통하는 개방면을 포함하며, 냉장대상물 또는 냉동대상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공간;
    상기 개방면을 통해 상기 저장공간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
    상기 드로워에 구비되어 냉장대상물이나 냉동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부면에 투입구가 구비된 수용부;
    상기 드로워의 마주보는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에 지지되어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투입구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
    상기 드로워가 상기 개방면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투입구가 노출되도록 상기 커버를 이동시키고, 상기 드로워가 상기 개방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투입구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커버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로워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커버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커버의 이동방향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커버에 고정된 제1기어;
    상기 드로워의 이동방향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드로워에 고정된 제2기어;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를 연결하는 연결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연결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기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기어 가이더;
    상기 제1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2기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기어 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커버를 결합하는 제1연결부;
    상기 제2기어와 상기 드로워를 결합하는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드로워의 이동방향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의 영역 중 상기 드로워가 위치되는 면의 반대면(opposite side)에 구비되어 상기 제1기어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기어 가이더;
    상기 제1기어 가이더 내부에 상기 제1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슬릿;
    상기 제1바디의 영역 중 상기 드로워가 위치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기어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2기어 가이더;
    상기 제2기어 가이더 내부에 상기 제1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연결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2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2기어에 힌지 결합하고, 상기 제2슬릿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드로워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바디;
    상기 제2기어 가이더에 구비되며,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공간에서 인출될 때 상기 착탈바디를 상기 드로워에서 분리시키는 연결부 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에서 상기 제1바디를 향해 돌출된 기어 작동부;
    상기 착탈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기어 작동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스토퍼 및 제2스토퍼;
    상기 착탈바디는 상기 연결부 가이더에 결합되는 결합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 가이더는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공간에서 기 설정된 기준거리 이상 인출되면 상기 제1스토퍼와 상기 제2스토퍼 중 상기 투입구에 가까운 위치에 구비된 스토퍼가 상기 드로워에서 멀어지도록 상기 결합축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가이더는
    상기 드로워의 이동방향과 나란하도록 상기 제2기어 가이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축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축 제1가이더; 및
    상기 제1축 가이더에서 상기 드로워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결합축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축 제2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와 상기 제1바디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돌출부;
    상기 드로워와 상기 제1바디 중 나머지 하나에 상기 드로워의 이동방향에 나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드로워 가이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드로워의 이동방향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바디; 및 상기 제1바디의 상부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된 제1전방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드로워의 이동방향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2바디; 및 상기 제2바디의 상부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2전방 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제1전방 곡면부 및 상기 제2전방 곡면부에 지지되어 상기 투입구의 전방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 바디; 및 상기 제1기어에 연결되며 상기 커버 바디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곡면부, 상기 제2곡면부 및 상기 커버 바디의 곡률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방 곡면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 바디의 가장자리 일단을 지지하며, 상기 커버의 이동을 안내하는 커버 제1가이더;
    상기 제2전방 곡면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 바디의 가장자리 타단을 지지하며, 상기 커버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커버 가이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바디와 상기 이송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돌기;
    상기 커버 바디와 상기 이송부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돌기를 수용하되, 상기 돌기가 상기 드로워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슬롯;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투입구의 일부 영역만을 덮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는 상기 수용부와 상기 저장공간을 연통시키는 드로워 연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50138977A 2015-10-02 2015-10-02 냉장고 KR101733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977A KR101733499B1 (ko) 2015-10-02 2015-10-02 냉장고
EP16852141.7A EP3358282B1 (en) 2015-10-02 2016-10-04 Refrigerator
EP20182146.9A EP3754272B1 (en) 2015-10-02 2016-10-04 Refrigerator
PCT/KR2016/011073 WO2017057995A1 (ko) 2015-10-02 2016-10-04 냉장고
US15/765,327 US10677519B2 (en) 2015-10-02 2016-10-04 Refrigerator
US16/855,398 US10928124B2 (en) 2015-10-02 2020-04-22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977A KR101733499B1 (ko) 2015-10-02 2015-10-02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873A true KR20170039873A (ko) 2017-04-12
KR101733499B1 KR101733499B1 (ko) 2017-05-10

Family

ID=58580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977A KR101733499B1 (ko) 2015-10-02 2015-10-02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4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532A (ko) * 2018-10-01 2020-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EP4253888A3 (en) * 2019-07-12 2023-12-2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532A (ko) * 2018-10-01 2020-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EP4253888A3 (en) * 2019-07-12 2023-12-2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3499B1 (ko)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54272B1 (en) Refrigerator
US10571184B2 (en) Refrigerator
US10465975B2 (en) Refrigerator
US20130270989A1 (en) Slid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RU2608220C1 (ru) Скольз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холодильник, имеющий скольз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101621578B1 (ko) 냉장고
US8590993B2 (en) Refrigerator and receptacle assembly thereof
EP2175218B1 (en) Refrigerator
US9726423B1 (en) Sliding shelf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EP2375200A1 (en) Refrigerator
US20120181910A1 (en) Refrigerator with drawer type door
US20170167780A1 (en) Refrigerator
KR101741392B1 (ko) 자동 인출 선반을 포함하는 냉장고
US10823492B2 (en) Refrigerator
CN106839582A (zh) 冰箱
US10928123B2 (en) Refrigerator
KR101733499B1 (ko) 냉장고
KR20190020385A (ko) 냉장고
KR20170039875A (ko) 냉장고
KR20080079107A (ko) 냉장고
KR101857661B1 (ko) 냉장고
JP4667288B2 (ja) 貯蔵庫
CN115164473B (zh) 一种易于开启柜门的冷柜
KR102078440B1 (ko) 스윙 이동이 가능한 냉장고
KR100709405B1 (ko) 냉장고 이중서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