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661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661B1
KR101857661B1 KR1020160150628A KR20160150628A KR101857661B1 KR 101857661 B1 KR101857661 B1 KR 101857661B1 KR 1020160150628 A KR1020160150628 A KR 1020160150628A KR 20160150628 A KR20160150628 A KR 20160150628A KR 101857661 B1 KR101857661 B1 KR 101857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eceiving portion
receiving
storag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0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661B1/ko
Priority to EP17200458.2A priority patent/EP3321615B1/en
Priority to US15/810,316 priority patent/US1034503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661B1/ko
Priority to US16/505,051 priority patent/US1068406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9Cooling space dividing part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냉장대상물이나 냉동대상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게 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를 개폐하는 도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캐비닛 상부에 구비되는 제1저장실; 상기 제1저장실 하부에 위치하는 제2저장실; 상기 제1저장실과 제2저장실을 상하로 구획하며, 상부면이 수평하게 형성된 격벽; 상기 격벽의 상부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상부에 저장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수용부; 상기 격벽의 상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수용부 도어; 상기 수용부 도어의 하부 좌우에서 상기 수용부 도어를 상기 격벽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그리고 상기 수용부 도어의 들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용부 도어의 상부 좌우에 구비되는 상부 리브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Refir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냉장대상물이나 냉동대상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게 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를 개폐하는 도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냉매를 압축, 응축, 팽창, 증발시키는 싸이클(cycle)을 통해 저장공간에 수납된 저장물(냉장대상물 또는 냉동대상물)을 냉장 또는 냉동하는 장치이다. 즉, 종래의 냉장고는 저장물이 수납되는 저장공간과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어 저장공간 내부에 위치된 저장물을 상온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저장공간은 냉장고에 설정된 저장용량에 의해 부피가 제한될 것이므로, 상기 저장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하도록 설계하는 것은 냉장고 설계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고려대상 중 하나이다.
상기 저장공간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종래 냉장고 내부에는 저장물이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되 저장공간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나 저장물을 지지하는 선반 등이 구비되었다.
냉장고에 구비되는 저장공간은 저장물의 부피를 고려하여 드로워 및 선반 등으로 구획되기 때문에, 냉장고의 용량에 따라 최대 부피가 설정되는 저장공간 내부에 설치 가능한 수납부(선반이나 드로워 등)의 개 수나 부피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는 냉장고의 저장공간에 새로운 수납장치를 추가하려면, 드로워와 선반 중 일부를 제거하거나, 드로워의 부피를 줄이거나, 선반과 드로워 또는 선반과 선반 사이의 간격을 줄여야 함을 의미한다. 새로운 수납장치의 추가를 위해서는 저장공간 중 일부를 수납장치의 설치를 위한 공간으로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새로운 수납장치의 설치를 위해 선반과 드로워의 부피나 수를 줄이는 등의 설계 변경은 설계 시 의도한 저장물을 드로워나 선반이 수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오히려 저장공간의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나아가, 새로운 수납장치의 설치를 위해 선반과 드로워의 부피나 수를 줄이는 등의 설계 변경은 저장공간을 새롭게 설계하는 것과 다르지 않아 종래 냉장고는 기 설계된 저장공간의 부피를 유지하면서 새로운 수납장치를 추가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한편 수납장치에는 저장실 내부에서 다른 저장공간 격리시키는 수납장치 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장치의 도어는 수납장치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수납장치의 도어가 개방되고 닫히는 과정이 수행되기 위한 여유 공간이 필요할 수 있다. 즉, 도어의 움직임에 필요한 여유 공간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여유 공간은 저장실 내의 저장공간을 축소시키는 문제 또한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냉장고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설치를 위해 요구되는 공간의 부피를 최소화 가능한 수납장치 및 상기 수납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저장공간을 구분하도록 구비된 격벽에 구비됨으로써 저장물의 수납을 위해 설정된 공간을 잠식하지 않고도 별도의 저장공간을 추가 가능한 수납장치 및 상기 수납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수납장치를 개폐하는 도어의 조작 용이성을 증진시키고, 상기 도어의 조작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여 냉장고의 저장 공간이 축소되는 것을 최소화한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도어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수납장치의 투입구를 개폐할 뿐 아니라 도어가 투입구의 특정지점을 통과한 때부터 도어의 속도를 감속하는 수납장치 및 상기 수납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수납장치의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작동시키는 이송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수납장치 및 상기 수납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수납장치의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더가 구비된 수납장치 및 상기 수납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서, 수납장치의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수평 방향으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사용이 편리한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도어의 이동을 가이드하거나 지지하는 구성들은 상기 도어의 후방 및/또는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시켜 미련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서, 수직 하방으로 함몰된 수납장치와 상기 수납장치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수납장치를 개폐하는 도어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어에 수직 상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거나 좌우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수평 방향으로 힘이 작용되더라도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동이 가능한 수납장치의 도어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서, 도어의 안정적인 이동을 위해 구비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를 보호하는 이송부 커버 바디를 구비하여 신뢰성 및 내구성이 증진된 수납장치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서, 수평으로 이동하는 판 형의 수용부 도어의 들림이 방지되고 전후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수납장치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서, 판 형의 수용부 도어의 좌우 뒤틀림을 최소화하고 수용부 도어에 마찰이 가해지는 것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서, 저장실의 전후가 좁은 환경에서 이송부 커버 바디가 고정되고,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도어가 이송부 커버에 원활히 삽입될 수 있는 수납장치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캐비닛 상부에 구비되는 제1저장실; 상기 제1저장실 하부에 위치하는 제2저장실; 상기 제1저장실과 제2저장실을 상하로 구획하며, 상부면이 수평하게 형성된 격벽; 상기 격벽의 상부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상부에 저장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수용부; 상기 격벽의 상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수용부 도어; 상기 수용부 도어의 하부 좌우에서 상기 수용부 도어를 상기 격벽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그리고 상기 수용부 도어의 들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용부 도어의 상부 좌우에 구비되는 상부 리브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리브는 상기 격벽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 도어의 측면 및 수용부 도어의 상면과 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리브는 상기 수용부 도어의 전후 길이 중 일부의 길이만 덮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부 도어는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4 개의 모서리에는 라운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리브는, 상기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측면에서 직선부와 상기 라운드가 만나는 부분을 덮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상부 리브는 항상 상기 라운드 부분의 일부(도어의 측면 직선부와 만나는 부분)을 덮도록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도어의 열림과 닫힘 초기에 원활히 도어의 열림과 닫힘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격벽에는 상기 롤러와 맞닿도록 상부로 돌출되어 전후로 연장되는 레일 리브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롤러는 상기 레일 리브의 상면과만 접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의 좌우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레일 리브의 양측을 감싸는 가이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 리브와 상기 가이드 리브 사이에는 좌우 갭이 형성되며, 상기 좌우 갭은 상기 도어의 측면과 상기 상부 리브 사이의 좌우 갭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정상적인 도어의 이동(좌우가 뒤틀리지 않은 상태에서의 이동) 시에는 상기 가이드 리브와 상기 레일 리브는 접촉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어의 좌우 뒤틀림이 발생되면 상기 가이드 리브가 레일 리브와 접촉한다. 따라서, 더 이상의 도어 뒤틀림이 발생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도어가 상부 리브와 접촉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된다.
상기 롤러 및 가이드 리브는, 각각 상기 도어의 좌측에 전후로 2 개소 우측에 전후로 2 개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도어의 뒤틀림이 발생될 수 있다. 도어가 수평면에서 어느 방향으로 뒤틀리더라도 전후좌우 4개의 개소에서 모두 접촉이 발생되어 더이상의 뒤틀림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 도어가 상기 수용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수용부 도어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력 제공부를 갖는 이송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력 제공부는 변위가 가변되더라도 일정한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판 스프링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수용부 도어가 상기 수용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이송부 도어의 이동 속도를 감속하는 속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격벽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력 제공부의 일단이 고정되는 이송부 바디; 상기 수용부 도어의 이동 방향에 나란하도록 상기 이송부 바디에 구비되는 이송 공간; 그리고 상기 이송공간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 도어에 연결되며, 상기 탄성력 제공부의 타단이 고정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수용부 도어의 좌우 중심에서 후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부 수용홈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이송부 수용홈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수용부 도어와 함께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이동하며, 상기 수용부 도어가 상기 수용부를 폐쇄한 때 상기 이송부 수용홈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격벽에 고정되어 하부에서 상기 수용부 도어의 전후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후방 좌우에는 상기 격벽에 상기 커버를 고정하는 체결부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체결부의 전방에는 상기 격벽과 상기 커버 사이에 상기 수용부 도어가 삽입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가 열림에 따라 상기 도어는 상기 커버 하부로 삽입되어 삽입 길이가 점차 커진다. 그리고, 도어가 닫힘에 따라 도어는 점차 커버를 벗어나게 된다.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는 커버의 전방에 위치하여 커버에서 완전히 빠져 나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도어가 커버에서 완전히 빠져나온 상태에서 상기 도어를 커넥터에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커버는 전방으로 상향 구배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의 높이는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작아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부 도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면은 상기 커버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구배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특징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모순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설치를 위해 요구되는 공간의 부피를 최소화 가능한 수납장치 및 상기 수납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저장공간을 구분하도록 구비된 격벽에 구비됨으로써 저장물의 수납을 위해 설정된 공간을 잠식하지 않고도 별도의 저장공간을 추가 가능한 수납장치 및 상기 수납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수납장치를 개폐하는 도어의 조작 용이성을 증진시키고, 상기 도어의 조작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여 냉장고의 저장 공간이 축소되는 것을 최소화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도어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수납장치의 투입구를 개폐할 뿐 아니라 도어가 투입구의 특정지점을 통과한 때부터 도어의 속도를 감속하는 수납장치 및 상기 수납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수납장치의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작동시키는 이송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수납장치 및 상기 수납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수납장치의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더가 구비된 수납장치 및 상기 수납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서, 수납장치의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수평 방향으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사용이 편리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 특히, 도어의 이동을 가이드하거나 지지하는 구성들은 상기 도어의 후방 및/또는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시켜 미련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서, 수직 하방으로 함몰된 수납장치와 상기 수납장치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수납장치를 개폐하는 도어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어에 수직 상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거나 좌우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수평 방향으로 힘이 작용되더라도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동이 가능한 수납장치의 도어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서, 도어의 안정적인 이동을 위해 구비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를 보호하는 이송부 커버 바디를 구비하여 신뢰성 및 내구성이 증진된 수납장치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서, 수평으로 이동하는 판 형의 수용부 도어의 들림이 방지되고 전후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수납장치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서, 판 형의 수용부 도어의 좌우 뒤틀림을 최소화하고 수용부 도어에 마찰이 가해지는 것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서, 저장실의 전후가 좁은 환경에서 이송부 커버 바디가 고정되고,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도어가 이송부 커버에 원활히 삽입될 수 있는 수납장치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납장치를 중심으로 도시한 것으로, 수용부 도어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도 1에 도시된 수납장치를 중심으로 도시한 것으로, 수용부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은 수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수납장치에 구비된 이송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수용부 도어가 수용부를 폐쇄한 경우 이송부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수용부 도어가 수용부를 개방한 경우 이송부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격벽 및 이송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9의 AA'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도 11의 수납장치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냉장고에서 저장실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실인 냉동실과 냉장실이 상/하로 구획되어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측에 배치되는 탑 마운트 타입(Top Mount-Type)과,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Type)의 냉장고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냉동실과 냉장실이 상/하로 구획되고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측에 배치되는 바텀 프리져 타입(Bottom Freezer-Type)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냉장고의 본체는 외부에서 사용자가 보았을 때에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또는 캐비닛(1)과 상기 캐비닛(1) 내부에 식품이 보관되는 저장실(11, 13)을 포함한다.
냉장고에는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20, 30)가 구비된다. 이때 도어는 각각 냉동실 도어(30) 및 상기 냉장실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도어는 그 일단이 힌지에 의해서 냉장고의 캐비닛(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냉동실 도어(30) 및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장실 도어(20) 및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전방을 향해서 냉장고의 양 모서리를 중심으로 개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1, 13)은 상기 캐비닛(1)과 상기 도어(20, 30)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단열된 공간을 이룬다. 상기 저장실(11, 13)은 상기 도어(20, 30)가 상기 저장실(11, 13)을 밀폐하게 되면, 외부로부터 격리되어 단열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저장실(11, 13)은 도어(20, 30)에 의한 단열벽 그리고 캐비닛(1)에 의한 단열벽을 통해 외부와 격리되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1, 13) 내에는 기계실에서 공급되는 냉기가 곳곳으로 유동가능해서, 상기 저장실 내에 보관되는 식품이 저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에 위치하는 저장실을 제1저장실이라 할 수 있다. 일례로, 제1저장실은 냉장실일 수 있다. 그리고 하부에 위치하는 저장실을 제2저장실이라 할 수 있다. 일례로, 제2저장실은 냉동실일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은 하나의 저장실이 좌우 도어(20)를 통해서 개폐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저장실은 좌우로 구획되어 각각 좌우 도어(30)를 통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1)의 바닥에 베리어(Barrier) 또는 격벽(15)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저장실(11)의 하단에는 격벽(15)이 설치되어, 상기 냉동실과 상기 냉장실을 구분할 수 있다. 상기 격벽(15)은 소정의 두께로 이루어져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22)에는 상측에 식품이 거치되는 선반(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반(40)은 복수 개가 마련되고, 각각의 선반(40)에는 식품이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선반(40)은 상기 저장실의 내부를 수평 방향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1)에는 인입 또는 인출이 가능한 드로워(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50)에는 식품 등이 수용되어 보관된다. 상기 드로워(50)는 상기 저장실(12) 내에 좌우측으로 두 개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좌측에 배치되는 드로워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상기 저장실(11)의 좌측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우측에 배치되는 드로워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상기 저장실(11)의 우측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격벽(15)에는 식품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멀티 수납실 또는 수납장치(P)라 할 수 있다. 상기 격벽(15)은 도어(20, 30)와는 별도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20, 30)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수납장치(P)를 이용하여 식품을 수납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1) 내에는 상기 선반(40)의 상측에 위치하는 공간, 상기 드로워(50)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 상기 격벽(15)에 형성되는 수납장치(P) 등으로 구분되어서, 식품이 저장되는 공간이 복수 개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수납장치(P)는 저장실(11)의 하면을 형성하는 격벽(15)에서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격벽(15) 일부분의 높이를 줄여 상기 수납장치(P)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장치(P)에 의해서 저장실(11)의 체적은 더욱 확장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공간은 하나의 저장실(storage compartment)(11)의 내부에 배치되는 저장 공간으로, 상기 저장실(11)에 공급되는 냉기가 각각의 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공간은 서로 냉기가 이동될 수 있을 정도로 구획되기 때문에, 앞에서 서술한 저장실과는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게 된다.
특히 각각의 공간은 단열되는 공간을 이루는 저장실과는 달리, 하나의 저장실 내에서 온도 차이는 존재할 수 있지만 서로 단열되는 공간을 이루지는 않는다.
하나의 저장실에 공급되는 냉기는 다른 저장실로 자유롭게 이동하지는 않지만, 하나의 저장실에 공급되는 냉기는 하나의 저장실 내부에 설치되는 각각의 구획되는 공간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선반(40)의 상측에 위치하는 냉기는 상기 드로워(50)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내측에는 복수 개의 바스켓(80)이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바스켓(80)은 서로 높이를 달리하게 배치되어서, 상기 바스켓(80)의 내부 공간에는 식품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격벽(15)의 상면, 즉 저장실(11)의 하면과 상기 드로워(50)와 같은 별도의 저장공간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갭(G)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4)를 개폐하는 수용부 도어의 이동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갭(G)은 수평 판 형상의 수용부 도어의 높이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용부 도어가 원활히 출입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만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격벽(15)에서 함몰된 공간을 사용하므로 저장실 체적이 증가하게 되고, 수평 판 형상의 수용부 도어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수용부 도어에 의해 저장실 내부의 저장 공간 축소가 매우 작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P)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냉장고(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저장물(냉장 대상물 또는 냉동 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실(11, 13), 상기 저장실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캐비닛(1)의 내부에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와 도 3은 상기 저장공간이 제1저장실(11)과 제2저장실(13)로 구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저장실이 제1저장실(11)과 제2저장실(13)로 구분될 경우, 상기 제1저장실(11)은 냉장실과 냉동실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고, 상기 제2저장실(13)은 냉장실과 냉동실 중 나머지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저장실(11)과 제2저장실(13)은 격벽(15)을 통해 서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저장실(11)과 제2저장실(13)은 하나의 냉장실 또는 하나의 냉동실이 격벽(15)에 의해 구분된 공간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각 저장실(11, 13)에는 저장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개방면이 구비되어야 한다. 즉, 제1저장실(11)은 제1개방면 또는 제1개구부(111)를 통해 캐비닛(1)의 외부와 연통하고, 제2저장실(13)은 제2개방면 또는 제2개구부(131)를 통해 캐비닛의 외부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개방면(111) 및 제2개방면(131)은 냉장고 도어(20, 30)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저장실(11)과 제2저장실(13)이 하나의 냉장실 또는 냉동실 내부에서 서로 구획되는 경우, 하나의 도어를 통해서 상기 제1저장실(11)과 제2저장실을 동시에 개폐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열교환부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캐비닛의 외부 공기와 열교환시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응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압력을 낮추는 팽창밸브, 팽창밸브를 통과한 냉매와 저장공간(11, 13)의 공기를 열교환시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로 구비될 수 있다. 증발기는 저장공간 내부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므로, 저장공간 내부의 공기는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냉각되며,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열교환부는 제1공간(11)과 제2공간(13)의 온도를 상온보다 낮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인 제1저장실(11)과 제2공간인 제2저장실(13)을 구분하는 격벽(15)에는 수납장치(P)가 구비된다. 상기 수납장치(P)는 상기 격벽(15)에서 하방으로 함몰되어 저장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4)와 상기 격벽(15)의 상부면으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수용부 도어(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4)는 상기 격벽(15) 자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격벽(15)에 결합되는 수용부 바디(3)를 통해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수용부 바디(3)가 상기 격벽(15)의 상부에서 결합되는 구성인 경우, 상기 수용부 바디(3)는 상기 격벽과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수용부 바디(3)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 바디(3)는 용기 형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용기 형상 부분이 수용부(4)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한 두께(캐비닛의 높이방향 길이, Z축 방향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되어 저장공간 내부를 구분하는 수단이면 무엇이든 상기 격벽(15)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격벽(15)의 일부분 중 두께가 작아지게 함몰된 부분을 저장실로 형성하는 경우 이를 수용부(4)라 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11)은 냉장실과 냉동실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고, 상기 제2저장실(13)은 냉장실과 냉동실 중 나머지 하나로 구비될 경우, 상기 격벽(15)은 단열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 바디(3)는 상기 격벽(15)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저장실(11)과 제2저장실(13)이 하나의 냉장실 또는 하나의 냉동실 내부에서 분할됨으로써 구분되는 공간이라면, 상기 격벽(15)은 단열부의 존재가 필수적이지 않으므로 상기 수용부 바디(3)가 곧 격벽(15)이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용부 바디(3)가 격벽(15)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4)는 상기 수용부 바디(3)의 표면이 제2저장실(13)을 향해 오목하게 절곡 내지는 함몰되어 형성되는 공간으로, 저장물은 수용부(4)의 상부면에 형성된 투입구(41)를 통해 수용부(4)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4)는 캐비닛 도어를 향하는 바디(3)의 전방면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제1저장실(11) 하면에서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비된 수납장치(P)가 격벽(15)에 구비될 경우, 상기 수납장치(P)의 인접한 상부에 전술한 선반(40)이나 드로워(50) 등의 별도의 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수납장치(P)와 상기 별도의 장치 사이의 간격이 좁으면 상기 수용부(4)가 제1저장실(11)의 전방에 있어야만 사용자가 저장물을 쉽게 수용부(4)에 투입하거나 수용부(4)에서 인출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수납장치(P)의 직상부에는 선반(40)이나 드로워(50)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수납장치(P)의 후방 상부에 상기 선반(40)이나 드로워(5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장치(P)와 상기 선반(40)이나 드로워(50)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4)는 상기 수용부 바디(3)에 일체로 구비된 수용홈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트레이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수용부(4)가 수용홈 및 트레이로 구비되면, 수용부(4)의 세척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투입구(41)를 통해 트레이를 인출한 뒤 세척할 수 있으므로, 수용부(4)가 수용홈만으로 구비되는 경우에 비해 수용부(4)를 쉽게 청소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수용부 바디(3)가 격벽(15)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면, 상기 수용부(4)는 격벽(15)에 매립된 상태가 될 것이므로, 상기 수용부(4)의 설치를 위한 추가적인 공간이 요구되지 않는다.
즉, 상기 수용부 바디(3)는 격벽(15)의 상부면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4)는 상기 격벽(15) 속에 위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P)는 제한된 부피를 가진 저장실(11, 13)을 축소시키기 않으면서도 상기 저장실(11)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총 저장실 체적을 확장시킬 수 있다.
저장공간(11, 13)의 부피를 잠식하지 않고 수용부(4)가 설치될 수 있다는 것은 저장물의 수납을 위해 저장공간(11, 13)에 설치된 장치(드로워, 선반 등)의 부피를 변경하지 않고도 저장물의 수납을 위한 공간을 추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바디(3)가 격벽(15)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구비(수납장치가 격벽에 구비)되는 것은 수납장치(P)의 설치를 위해 요구되는 공간의 부피를 최소화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 도어(5)는 상기 수용부에 형성된 투입구(41)를 개폐하는 수단으로, 상기 수용부 바디(3)의 표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도어 바디(51)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디(51)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상기 도어 바디(51)에는 핸들(5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4)는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41)는 수용부의 상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투입구(41)를 통한 식품의 출입은 상하 방향으로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투입구(41)를 개폐하는 도어는 수평 방향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식품 투입 방향과 수용부 도어(5)의 이동 방향은 서로 수직으로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저장실(11, 13)에는 저장물이 수납되는 드로워(50, 저장공간에서 인출되도록 구비되어 저장물이 수납되는 수단)나 저장물을 지지하는 선반(40, 저장공간 내부에 고정되어 저장물을 지지하는 수단)이 저장공간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술한 수납장치(P)의 상부에는 드로워나 선반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도어(5)가 상부에 위치된 드로워나 선반을 향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부 바디(3)에 결합되어 있으면, 상기 수납장치(P)와 드로워 사이의 거리 또는 수납장치와 선반 사이의 거리는 도어(5)의 회전반경보다 길어야만 저장물을 수용부(4)에 투입하거나 수용부에서 인출할 수 있다.
수납장치(P)의 설치를 위해 선반이나 드로워의 높이 변경이 필요하다면 이는 저장공간이 잠식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수납장치(P)의 투입구(41)가 상기 바디(3)의 표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도어 바디(51)에 의해 개폐되도록 한 것은 수납부(P)의 설치를 위해 요구되는 공간의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장치(P)는 이송부(7)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7)는 도어(5)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송부(7)는 도어(5)가 열린 상태에서 이를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송부(7)는 도어(5)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급격히 열리거나 닫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송부(7)는 도어(5)가 닫히는 힘을 자동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수납장치(P)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도어 바디(51)의 이동속도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상기 도어 바디(51)가 상기 투입구(41)를 개방한 때 상기 도어 바디(51)를 초기위치(도 2의 상태)로 이동시키는 복원력을 상기 도어에 제공하는 이송부(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11, 13)의 저장공간을 잠식하지 않고 수납장치(P)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부(7)는 수용부 바디(3)가 제2공간(13)을 향해 오목하게 절곡됨으로써 구비되는 이송부 수용홈(31)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부 수용홈(31)은 도어 바디(51)의 이동방향(제1공간의 깊이 방향, X축 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상기 도어 바디(51)는 커넥터(57)를 통해 상기 이송부(7)에 연결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57)는 도어 바디(51)에 고정되는 커넥터 바디(571), 상기 커텍터 바디(571)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7)에 연결되는 슬라이더 체결부(573)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7)는 상기 이송부 수용홈(31)에 구비되는 이송부 바디(71), 상기 도어 바디(51)의 이동방향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부 바디(71)에 구비되는 이송공간(S), 상기 이송공간을 따라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72), 상기 도어 바디(51)가 상기 투입구(41)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도어 바디(51)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력 제공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7)는 상기 도어 바디(51)가 투입구(4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도어 바디(51)의 속도를 감속하는 속도제어부(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공간(S)은 이송부 수용홈(31)에 고정되는 베이스(711), 상기 베이스(711)에 의해 형성되는 면들 중 도어 바디(31)에 나란한 마주보는 양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측벽(713) 및 제2측벽(715)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더(72)는 상기 이송공간(S)을 따라 왕복 가능한 슬라이더 바디(721),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와 상기 슬라이더 체결부(753)를 연결하는 도어 체결부(727)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는 제1체결부(722) 및 제2체결부(723)를 통해 상기 이송부 바디(71)에 구비된 슬라이더 가이더(92, 94)에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더 가이더는 제1측벽(713)에 구비되는 제1가이더(92), 상기 제2측벽(715)에서 연장되는 제2가이더(94)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가이더(92)는 이송공간(S)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2가이더(94)는 이송공간(S)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722)는 상기 이송공간(S)의 상부에 위치되는 슬라이더 바디(721)를 상기 제1가이더(92)에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체결부(723)는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를 제2가이더(94)에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된다.
도 5는 슬라이더 바디(721)의 바닥면에서 돌출된 뒤 상기 제1가이더(92)를 향해 절곡된 제1체결부(722), 슬라이더 바디의 바닥면에서 돌출된 뒤 제2가이더(94)를 향해 절곡된 제2체결부(723)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는 상기 슬라이더 가이더(92, 94)를 통해 도어 바디(51)의 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디(51)가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도어 체결부(727)는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에서 도어 바디(51)를 향해 연장되되, 상기 슬라이더 바디의 높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거리 이격된 제1리브(727a) 및 제2리브(727c)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체결부(573)는 상기 제1리브(727a)와 제2리브(727c) 사이의 공간에 삽입될 것이다.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는 사용자가 도어 바디(51)를 제1저장실(11)의 후방으로 밀 때 이송공간(S)의 후방으로 이동하고, 제1공간의 후방에 위치된 도어 바디(51)는 탄성력 제공부(73)가 슬라이더 바디(721)에 복원력을 제공할 때 제1저장실(11)의 전방으로 이동할 것이므로, 상술한 슬라이더 체결부(573) 및 도어 체결부(727)의 구조만으로도 상기 이송부(7)는 도어 바디(51)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조만을 가진 이송부(7)는 사용자가 도어 바디(51)를 제1저장실(11)의 전방으로 당길 경우, 슬라이더 체결부(573)가 도어 체결부(727)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려면 상기 슬라이더 체결부(573)에는 제2리브(727c)를 향해 절곡된 후크(5731)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리브에는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절곡된 제2절곡부(727d)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절곡부(727d)는 제2리브에 직교하도록 구비되는 것보다 예각(acute angle)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어 바디(51)의 청소나 수리 등이 필요한 경우, 도어 바디(51)는 슬라이더(72)에서 분리될 수 있어야 하는데, 상기 제2리브에 직교하는 제2절곡부(727d)가 구비된 이송부에서 도어 바디(51)를 슬라이더(72)에서 분리하려면, 사용자는 후크(5731)의 자유단이 제2절곡부(727d)이 자유단에 간섭되지 않는 높이까지 도어 바디(51)를 Z축 방향으로 들어 올려야 한다. 그런데, 수납장치(P)의 상부에 드로워나 선반이 위치되어 수납장치(P)의 상부에 공간이 부족하다면, 상기 도어 바디(51)를 분리하기 어려울 것이므로, 상기 제2절곡부(727d)는 제2리브에 대해 예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2절곡부(727d)가 제2리브(727c)에 대해 예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면, 사용자는 후크(5731)를 중심으로 도어 바디(51)를 조금 회전시킨 후 제1공간의 전방(X축 방향)으로 도어 바디(51)를 당기기만 하면 도어 바디(51)를 슬라이더(72)에서 분리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도어 바디(51)가 후크(5731)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리브(727a)에는 상기 제2절곡부(727d)와 동일한 각도를 가지는 제1절곡부(727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장치(P)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하려면 수납장치(P)가 격벽(15)의 상부면에 구비되어야 하고, 격벽(15)의 상부에는 드로워나 선반이 인접하게 구비될 것이다. 따라서, 도어 바디(51)를 제1개방면 방향으로 당길 때 상기 슬라이더 체결부(573)가 도어 체결부(727)에서 분리되지 않는 한 상기 제1절곡부 및 제2절곡부의 각도는 작을수록 좋을 것이다.
상기 탄성력 제공부(73)는 투입구(41)를 개방한 상태에 있는 도어 바디(51)를 투입구(41) 방향으로 복귀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력 제공부(73)은 일단은 상기 이송부 바디(7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에 고정된 인장스프링(tension spring)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형태의 스프링(constant torque spring, constant force spring, or spiral spring)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탄성력 제공부(73)는 상기 슬라이더 바디(72)가 이송공간(S)의 전방(X축 방향)을 향해 이동할 때 거의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게 하는 것이 특징으로, 스풀회전축(733)을 통해 이송부 바디(7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스풀(spool, 731), 일단은 스풀(731)에 고정되고, 타단은 슬라이더 바디(721)에 고정되도록 상기 스풀(731)에 감긴 금속판(735)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속도제어부(74)는 이송공간(S)의 전방(X축 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슬라이더 바디(721)의 이동속도를 감속 가능한 한 어떠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속도제어부(74)는 실린더 및 피스톤으로 구비되는 댐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형태의 기어 형태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상기 속도제어부(74)는 이송부 바디(71)에 고정되는 실린더, 일단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하고 자유단은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에 고정된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에 위치된 헤드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속도제어부(74)는 도어 바디(51)가 투입구(4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헤드가 실린더의 내주면에 마찰할 것이기 때문에 도어 바디(51)의 속도가 지나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력 제공부(73)가 도어 바디(51)에 제공하는 복원력이 너무 크면, 상기 도어 바디(51)가 투입구(4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도어 바디(51)가 바디(3)에 충돌하여 손상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손이 도어 바디(51)에 부딪힐 위험이 있다. 상기 속도제어부(74)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이 된다.
도 5의 속도제어부(74)는 슬라이더 바디(721)에 구비된 랙 기어(725)에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랙 기어(725)는 이송공간(S)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의 하부면에 구비된다. 즉, 상기 랙 기어(725)는 제1체결부(722)와 제2체결부(72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724)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속도제어부(74)는 상기 랙 기어(725)에 결합 가능한 기어(741), 상기 기어의 회전을 방해하는 저항력을 제공하는 저항력 제공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항력 제공부는 상기 이송부 바디(71)에 고정되며 유체가 저장되는 케이스(745),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회전체(743),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기어(741)와 회전체(743)를 연결하는 회전축(742)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어(741)는 상기 도어 바디(51)가 투입구(41)를 폐쇄하기 시작하는 지점(A1, 도 7 참고)에서 투입구(41)가 50% 폐쇄되는 지점(A2) 사이에서 상기 랙 기어(725)에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장치(P)의 상부에 드로워나 선반이 위치된 경우를 가정하면, A1지점까지는 도어 바디(51)가 빠르게 이동하는 것이 투입구(41)의 신속한 폐쇄라는 관점에서 유리하고, A1지점까지 도어 바디(51)가 빠르게 이동해도 앞서 언급한 도어 바디(51)의 빠른 속도 때문에 발생 가능한 문제들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상술한 이유에서, 상기 기어(741)는 상기 도어 바디(51)가 투입구(41)를 50% 폐쇄하는 지점에서 투입구(41)를 90% 폐쇄한 지점 사이에서 랙 기어(725)에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P)는 상기 도어 바디(51)가 투입구(41)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위치고정부(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6)는 슬라이더 바디(721)와 이송부 바디(71)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체결돌기(61),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와 이송부 바디(71)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는 착탈부(63)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는 상기 체결돌기(61)는 슬라이더 바디(721)에 구비되고, 상기 착탈부(63)는 이송부 바디(71)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착탈부(63)는 상기 체결돌기(61)를 통해 외력이 입력될 때마다 상기 체결돌기(61)와 결합된 상태(도 7 참고) 및 상기 체결돌기(61)에서 분리된 상태(도 6 참고)를 반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탈부(63)는 이송부 바디(71)에 고정되는 착탈부 제1바디(631), 상기 착탈부 제1바디(631) 내부에서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체결돌기(61)가 착탈 가능한 착탈부 제2바디(63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착탈부 제1바디(631)에는 착탈부 제2바디(632)가 삽입되는 삽입홀(631f), 착탈부 제2바디(63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631a), 상기 착탈부 제2바디(632)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다수의 경로(631b, 631c, 631d, 631e)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631a)은 상기 착탈부 제2바디(632)를 삽입홀(631f)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착탈부 제2바디의 이동경로는 상기 삽입홀(631f)에서 착탈부 제1바디(631)의 바닥면(삽입홀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1경로(631b), 상기 제1경로의 일단에서 상기 삽입홀(631f)을 향해 연장되는 제2경로(631c), 제2경로에서 착탈부 제1바디(631)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는 제3경로(631d), 제3경로(631d)에서 삽입홀(631f)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1경로(631b)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4경로(631e)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착탈부 제2바디(632)에는 축(632b)을 통해 착탈부 제2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바(632a), 상기 바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경로(631b, 631c, 631d, 631e)에 삽입되는 돌기(632c), 상기 착탈부 제2바디(6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삽입홀(631f)을 통해 착탈부 제1바디(631)의 외부에 노출되는 제1바(632d) 및 제2바(632e)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바디(51)가 제1공간(11)의 후방(-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더 바디(721)에 의해 상기 체결돌기(61)는 착탈부 제2바디(632)를 착탈부 제1바디(631)의 바닥면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착탈부 제2바디(632)가 가압되면, 돌기(632c)는 제1경로(631b) 및 제2경로(631c)를 따라 이동하여 제2경로(631c)와 제3경로(631d)의 연결지점(제1지점)에 위치하고, 제1바(632d)와 제2바(632e)는 삽입홀(631f)에 간섭되면서 체결돌기(61)를 향해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착탈부 제2바디에 구비된 돌기(632c)가 제1지점에 위치되면, 체결돌기(61)는 착탈부 제2바디(632)에 고정된 상태(도 7 참고)가 되므로 상기 도어 바디(51)는 투입구(41)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 바디(51)를 제1공간(11)의 후방면을 향해 한 번 더 밀어주면, 상기 체결돌기(61)는 착탈부 제2바디(632)을 가압하므로, 상기 돌기(632c)는 제3경로(631d) 및 제4경로(631e)를 통해 제4경로(631e)와 제1경로(631b)의 연결지점(제2지점)으로 이동한다(도 6 참고).
상기 착탈부 제2바디에 구비된 돌기(632c)가 제2지점에 위치되면, 체결돌기(61)는 착탈부 제2바디(632)에서 분리되므로, 슬라이더 바디(721)는 탄성력 제공부(73)의 복원력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과정에서 상기 도어 바디(51)는 투입구(41)를 폐쇄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수납장치(P)는 이송부 수용홈(31)으로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수납장치(P)에는 상기 이송부 수용홈(31)의 상부에 위치하는 커버(7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75)는 상기 슬라이더(72)와 함께 이동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도어 바디(51)가 투입구(41)를 폐쇄한 때 상기 이송부 수용홈(3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75)는 상기 이송부 수용홈(31)의 상부에 위치하는 커버 바디(751), 상기 이송부 바디(71)에 고정되어 상기 커버 바디(751)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커버 지지부(75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바디(751)는 슬라이더 바디에 구비된 커버 고정부(726)를 통해 슬라이더(72)에 고정된다. 상기 커버 지지부(753)는 상기 이송부 바디(71)에는 고정되지만 상기 커버 바디(751)에는 고정되지 않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커버 지지부(753)는 슬라이더 바디(721)와 함께 이동하는 커버 바디(751)를 지지하는 수단이기 때문이다. 이 경우, 상기 위치고정부의 착탈부(63)는 상기 커버 지지부(75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 수용홈(31)의 상부에서 이송부 수용홈으로 낙하하는 이물질이 이송부 수용홈(3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송부 수용홈(31)은 상기 커버 바디(751)가 상기 바디(3)에 투영된 투영면 내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바디(71)의 중심과 이송부 수용홈(31)의 중심이 동일할 경우, 상기 커버 바디의 너비(L3, Y축 방향에 대한 커버 바디의 길이)는 이송부 수용홈(31)의 너비(Y축 방향에 대한 이송부 수용홈의 길이)보다 크게 구비되고, 커버 바디의 길이(X축 방향에 대한 커버 바디의 길이)는 이송부 수용홈의 길이(X축 방향에 대한 이송부 수용홈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송부 수용홈(31)의 측면에서 상기 이송부 수용홈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바디(3)에는 이송부 수용홈(31)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차단벽(3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 바디의 너비(L3)는 차단벽(33)의 너비(L2)보다 길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 바디(751)의 상부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차단벽(33)의 외부에 낙하되어야 이송부 수용홈(31)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상기 바디(3)에는 상기 도어 바디(51)의 이동방향(X축 방향)에 나란한 상기 차단벽(33)의 양측면 중 일면에서 바디(3)의 가장자리를 향해 하향 경사진 제1경사면(35), X축 방향에 나란한 차단벽(33)의 양측면 중 타면에서 상기 바디(3)의 가장자리를 향해 하향 경사진 제2경사면(3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바디(51)가 투입구(41)를 개폐하거나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도어 바디(51)와 슬라이더 바디(721)를 연결하는 커넥터(57)가 이송부 수용홈(31)을 통과하므로, 상기 커넥터(57)에도 이송부 수용홈(31)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입방지부가 필요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방지부는 커넥터 바디(571)와 슬라이더 체결부(573) 사이에 위치하여 커넥터(57)로 낙하하는 이물질(액체나 고체)을 이송부 수용홈(31)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유입방지부는 상기 커넥터 바디(571)와 상기 슬라이더 체결부(573)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이송부 수용홈(31)의 너비방향(Y축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배수가이더(577), 상기 커넥터 바디(571)와 배수가이더(577) 사이에 위치하는 커넥터 경사면(574, 57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가이더(577)의 너비(L1)는 이송부 수용홈(31)의 너비나 차단벽의 너비(L2)보다 길게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커넥터 경사면은 상기 커넥터 바디(571)와 배수가이더(577) 사이로 유입된 이물질을 차단벽(33)의 외부로 안내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상기 커넥터 경사부가 배수가이더(577)의 중앙에서 배수가이더(577)의 가장자리 일측을 향해 하향 경사진 커넥터 제1경사면(574), 배수가이더(577)의 중앙에서 배수가이더의 가장자리 타측을 향해 하향 경사진 커넥터 제2경사면(575)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술한 구조로 구비된 수납장치(P)는 수용부 도어(5)의 이동방향에 나란한 도어 바디(51)의 일측면이 이동한 거리가 수용부 도어(5)의 이동방향에 나란한 도어 바디(51)의 타측면이 이동한 거리와 동일하지 않으면, 도어 바디(51)가 투입구(41)를 개폐하지 못하거나 도어 바디(51)를 이동시키는데 많은 힘이 요구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도어 바디(51)가 바디(3)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할 때 비틀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수납장치(P)에는 도어 바디(51)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더(5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더(55)는 도어 바디(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롤러(551), 상기 수용부 바디(3)에 구비되어 상기 롤러(551)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롤러 수용홈(55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롤러 수용홈(553)은 수용부 바디(3)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부 도어(5)의 이동방향에 나란한 방향(X축 방향)을 따라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가이더(55)는 도어 바디(51)의 양단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따라서 투명 도어 바디(55)의 디자인을 훼손하지 않는다. 즉, 도어 바디(55)를 통해서 투시를 통해 수용부 내부를 볼 수 있는데, 이때 상기 가이더(55)가 시야를 방해하지 않게 된다.
상기 가이더(55)는 도어 바디(51)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할 뿐 도어 바디(51)에 탄성력이나 댐핑력을 제공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도어(5)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고 도어(5)에 탄성복원력 및/또는 댐핑력을 제공하는 이송부(7)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리고 도어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더(55)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어(5)의 들림 방지와 비틀림에 의한 마찰 저항을 줄일 수 있는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어(5)는 투명한 글라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어서 상대적으로 무거울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의 운송 과정에서 진동에 의해서 들림이 발생되어 파손 및 제품의 완성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도어(5)의 좌우 속도차로 인해 비틀림에 의한 마찰 저항이 발생될 수 있다. 왜냐하면, 도어(5)를 좌우 중심이 아닌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친 지점에서 밀거나 당기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5)가 상부로 이동하는 것 즉 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상부 리브(30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부 리브(300)는 도어의 좌우에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리브(300)는 격벽(15) 또는 수용부 바디(4)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리브(300)는 상기 도어(5)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후 상기 도어(5)의 좌우 중심으로 수평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리브(300)는 상기 도어의 상면과 갭을 형성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돌출되는 수직부(300a)와 상기 수직부에서 도어의 중심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어 상기 도어의 상면 일부를 덮는 수평부(30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리브(300)는 상기 도어(5)가 삽입되어 전후 이동이 허용될 수 있을 정도의 높이와 좌우 폭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상부 리브(300)의 전후 길이는 상기 도어(5)의 전후 길이에 비해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5)는 이송부(7)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도어(5)를 냉장고에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상부 리브(300)로 인해 도어(5)의 선택적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도어(5)와 상부 리브(300) 사이의 간격, 도어(5)의 형상 및 상부 리브(300)의 위치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리브(300)는 도어(5)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5)의 후방 부분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도어(5)의 최후단에서 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5)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후단의 2 개의 모서리는 라운드(54)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5)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격벽의 상면과 나란하게 수평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리브(300)는 라운드(4)를 일부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리브(300)는 도어의 측면 직선부(55)에서 라운드(54)로 이어지는 부분을 덮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상부 리브(300)는 라운드(54)의 일부분 직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사용자가 도어의 핸들(53)을 잡고 도어(5)를 들어 올려 잡아 당기는 경우 상기 도어(5)가 상기 상부 리브(300)에서 용이하게 벗어날 수 있다. 반대로 도어(5)를 삽입하는 경우도 매우 용이하게 된다. 왜냐하면, 도어(5)의 라운드 부분이 먼저 상기 상부 리브(300)에 삽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도 상기 도어(5)의 전방 라운드 모서리 부분과 상기 상부 리브(300)도 동일하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도 상기 상부 리브(300)는 상기 도어(5)의 전방 라운드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를 덮게 된다. 이로 인해서 도어가 닫힐 때도 매우 원활하게 닫힐 수 있다. 마찬가지로 라운드 모서리 부분이 먼저 상기 상부 리브(300)에 삽입되기 때문이다.
한편,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전방 양측에는 상기 상부 리브(300)가 덮고 있기 때문에 상부로 도어가 들리지 않는다. 그리고 도어의 후방에는 이송부(7)에 의해서 도어(5)를 잡고 있다. 따라서, 상부로 도어가 들리지 않는다. 그러므로, 도어가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점에 적어도 3 개소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들은 삼각형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냉장고 이송 중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도어가 들려서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 핸들(53)을 통해서 도어를 들어 올리는 힘을 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상부 리브(300)가 좌우에서 상기 도어(5)의 상부를 막고 있기 때문에 도어(5)는 들리지 않고 전후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AA'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롤러(551)가 홈 형태의 롤러 수용홈(553)을 타고 전후로 이동하는 것으로 설명한 바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롤러(551)의 하면과 좌우면과 롤러 수용홈(553) 사이에 마찰이 발생되어 도어의 개방 시 소음이나 마찰 저항이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음과 마찰 저항을 줄이는 한편 도어(5)의 비틀림에 의한 마찰을 줄일 수 있는 가이드 리브(555)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리브(55)는 롤러(551)의 좌우에서 상기 롤러(551)의 바닥면 보다 더욱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551)의 회전축(554)은 상기 가이드 리브(555)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롤러(551)는 롤러 브라켓(557)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롤러 브라켓(557)은 도어(5)의 하면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수용부 바디(3)의 표면에는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상방으로 돌출된 레일 리브(55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551)는 상기 레일 리브(556)를 타고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롤러(551)의 하면과 레일 리브(556)의 상면과 접촉이 수행되어 도어(5)가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마찰 면적이 현저히 줄어들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리브(555)는 상기 레일 리브(556)의 좌우에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리브(555)는 상기 레일 리브(556)의 상면보다 더욱 하방으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즉, 레일 리브(556)의 양쪽에서 가이드 리브(555)가 레일 리브를 감싸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5)가 일측으로 비틀리면 어느 한쪽의 가이드 리브(555)와 레일 리브(556)가 접촉하여 도어가 더욱 더 비틀리는 것이 방지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도어(5)가 타측으로 비틀리면 다른 한쪽의 가이드 리브(555)와 레일 리브(556)가 접촉하여 도어가 더욱 더 비틀리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5)의 측면과 상면은 상기 상부 리브(300)와 갭을 갖는다. 즉, 정상적인 도어(5)의 사용에서는 상기 도어(5)와 상부 리브(300)는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정상적인 도어(5)의 사용이 아닌 도어가 들리는 경우에만 양자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도어의 들림 방지 및 양자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어(5)의 측면과 상기 상부리브(300) 내지는 수용부 바디(4)의 접촉은 방지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도어(5)의 측면과 상부 리브(300) 내지는 수용부 바디(4)의 좌우 갭은 가이드 리브(555)와 롤러(551) 사이의 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는 도어의 좌우에 각각 4 개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가 안정적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555)는 롤러(551)의 인근에 구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마찬가지로 4 개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전후로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상기 도어가 뒤틀리는 경우 도어의 측면이 상부리브(300)나 수용부 바디(4)에 접촉하기 전에 롤러(551)가 상기 가이드 리브(555)에 접촉하게 된다. 그러므로 도어가 손상되거나 뒤틀리는 것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P)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도어(5)와 이송부의 커버 바디(751)은 함께 전후로 이동되는 구성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커버 바디(751)가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마련되는 경우라 할 수 있다. 즉, 격벽(15)의 전후 폭 다시 말하면 저장실의 깊이가 충분히 큰 경우 도어(5)의 후방에 커버 바디(751)가 이동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 내지는 길이가 마련되는 경우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냉장고의 크기가 작은 경우나 격벽(15)의 후방에 저장실과는 별도의 공간이 형성되는 경우 수납장치(P)가 구비되는 저장실의 전후 깊이는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수기 기능이 부가된 냉장고에서는 상기 저장실 후방에 정수를 위한 구성들이 장착될 수 있어서 커버 바디(751)가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이 제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 바디(751)가 격벽(15) 또는 수용부 바디(4)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체결부(7a)를 통해서 커버 바디(751)는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7a)는 커버 바디(751)의 후방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7a)를 통해 상기 도어(5)가 최대로 후방 이동되는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바디(751)는 도어가 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도어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75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751a)는 커버 바디(751)의 전방과 양측으로 연속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5)는 상기 개구부(751a)를 통해서 상기 커버 바디(751)의 하부로 삽입되었다가 다시 상기 커버 바디(751)에서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 바디(751)는 항상 이송부(7)의 다른 구성들을 덮고 있기 때문에 이송부(7) 구성들이 보호될 수 있고 이물질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7a)는 상기 개구부(751a)의 후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삽입되는 도어(5)가 체결부(7a)에 걸리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커버 바디(751)는 체결부(7a)를 기준으로 전방 부분이 공중에 떠 있는 형상을 갖게 된다. 왜냐하면 공중에 떠 있는 부분, 즉 개구부(7a)를 통해서 도어(5)가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커버 바디(751)의 형상 내지는 구조로 인해 커버 바디(751)의 전방은 하방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디(5)는 상기 커버 바디(751)에 부딪혀 원활한 삽입이 어려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 바디(751)는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구배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커버 바디(751)의 전방에서 개구부(751a)의 높이가 가장 크고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초기에 도어(5)가 원활히 커버 바디(751)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향 구배를 통해서 하방 변형 가능성이 줄어들고 하방 변형이 발생되더라도 도어의 삽입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 바디(751)의 구배뿐만 아니라 도어(5)가 슬라이딩하는 부분도 구배를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5)도 구배를 갖고 전후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5)는 롤러(551)에 의해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격벽(15) 내지는 수용부 바디(4)에 지지된다. 특히, 롤러 수용홈이나 롤러 가이드 리브에 상기 도어가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홈(553)이나 롤러 가이드 리브(556)도 전후로 구배를 줄 수 있다. 개구부(751a)의 전방 부분 즉 도어(5)가 상기 커버 바디(751)에 삽입되기 전 부분이 가장 낮고 이후 점차 높아지도록 구배를 줄 수 있다.
이러한 구배를 통해서 상기 도어(5)는 커버 바디(751)를 파고 들어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개구부(751a)의 전방에서 상기 개구부(751a)의 높이를 더욱 키울 수 있다. 이는 도어가 삽입되는 삽입구의 높이를 더욱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사용 기간이 증가하더라도 상기 도어(5)와 커버 바디(751)가 간섭되어 도어(5)가 원활히 닫히지 않는 문제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P : 수납장치 4 : 수용부 바디
5 : 수용부 도어 7 : 이송부
15 : 격벽 75 : 커버
551 : 롤러 555 : 가이드 리브
556 : 레일 리브 300 : 상부 리브

Claims (20)

  1. 캐비닛 상부에 구비되는 제1저장실;
    상기 제1저장실 하부에 위치하는 제2저장실;
    상기 제1저장실과 제2저장실을 상하로 구획하며, 상부면이 수평하게 형성된 격벽;
    상기 격벽의 상부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상부에 저장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수용부;
    상기 격벽의 상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수용부 도어;
    상기 수용부 도어의 하부 좌우에서 상기 수용부 도어를 상기 격벽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상기 수용부 도어의 들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용부 도어의 상부 좌우에 구비되는 상부 리브;
    상기 수용부 도어가 상기 수용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수용부 도어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력 제공부를 갖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가 구비되도록 하방으로 오목하게 절곡되어, 상기 수용부 도어의 이동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이송부 수용홈; 그리고
    상기 이송부 수용홈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이송부 수용홈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리브는 상기 격벽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 도어의 측면 및 수용부 도어의 상면과 갭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리브는 상기 수용부 도어의 전후 길이 중 일부의 길이만 덮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도어는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4 개의 모서리에는 라운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리브는, 상기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 도어의 측면에서 직선부와 상기 라운드가 만나는 부분을 덮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는 상기 롤러와 맞닿도록 상부로 돌출되어 전후로 연장되는 레일 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좌우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레일 리브의 양측을 감싸는 가이드 리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리브와 상기 가이드 리브 사이에는 좌우 갭이 형성되며, 상기 좌우 갭은 상기 수용부 도어의 측면과 상기 상부 리브 사이의 좌우 갭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및 가이드 리브는, 각각 상기 수용부 도어의 좌측에 전후로 2 개소 우측에 전후로 2 개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수용부 도어가 상기 수용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수용부 도어의 이동 속도를 감속하는 속도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격벽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력 제공부의 일단이 고정되는 이송부 바디;
    상기 수용부 도어의 이동 방향에 나란하도록 상기 이송부 바디에 구비되는 이송 공간; 그리고
    상기 이송공간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 도어에 연결되며, 상기 탄성력 제공부의 타단이 고정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수용부 도어의 좌우 중심에서 후방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삭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수용부 도어와 함께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이동하며, 상기 수용부 도어가 상기 수용부를 폐쇄한 때 상기 이송부 수용홈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격벽에 고정되어 하부에서 상기 수용부 도어의 전후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후방 좌우에는 상기 격벽에 상기 커버를 고정하는 체결부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체결부의 전방에는 상기 격벽과 상기 커버 사이에 상기 수용부 도어가 삽입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전방으로 상향 구배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의 높이는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작아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도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면은 상기 커버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구배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60150628A 2016-11-11 2016-11-11 냉장고 KR101857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628A KR101857661B1 (ko) 2016-11-11 2016-11-11 냉장고
EP17200458.2A EP3321615B1 (en) 2016-11-11 2017-11-07 Refrigerator
US15/810,316 US10345032B2 (en) 2016-11-11 2017-11-13 Refrigerator
US16/505,051 US10684066B2 (en) 2016-11-11 2019-07-08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628A KR101857661B1 (ko) 2016-11-11 2016-11-11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7661B1 true KR101857661B1 (ko) 2018-05-14

Family

ID=60269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628A KR101857661B1 (ko) 2016-11-11 2016-11-11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345032B2 (ko)
EP (1) EP3321615B1 (ko)
KR (1) KR1018576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72934B2 (ja) * 2019-11-13 2023-05-12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5454A (en) * 1940-04-27 1941-03-18 Koropchak Vladimir Refrigerator cabinet door construction
BR9400865A (pt) * 1994-03-17 1995-10-17 Multibras Eletrodomesticos Sa Gabinete de refrigeração combinado
KR100885411B1 (ko) * 2006-05-30 2009-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기 유출 방지장치를 갖는 냉장고
JP2009040677A (ja) * 2007-07-26 2009-02-26 Rohm & Haas Co 燃料電池のための水素源の調製
KR20090121030A (ko) 2008-05-21 2009-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딩 선반을 구비한 냉장고
JP5443721B2 (ja) * 2008-09-16 2014-03-19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JP5624775B2 (ja) * 2009-09-16 2014-11-1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KR101580447B1 (ko) 2009-10-26 2015-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자동 도어 닫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30055177A (ko) * 2011-11-18 2013-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2784417B1 (en) * 2013-03-25 2019-12-2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sub door opening limiter
US9178328B2 (en) * 2013-06-28 2015-11-03 Intel Corporation Shielded sockets for microprocessors and fabrication thereof by overmolding and plating
KR102118445B1 (ko) 2013-09-05 2020-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465975B2 (en) * 2013-09-03 2019-11-0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2233289B1 (ko) * 2013-10-28 2021-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15072591A1 (ko) * 2013-11-13 2015-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228776B2 (en) * 2014-02-24 2016-01-05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pantry compartment
CN104344676B (zh) * 2014-03-03 2017-01-18 海尔集团公司 储物盒组件和具有该储物盒组件的冰箱
KR101684054B1 (ko) * 2015-01-21 2016-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9759479B2 (en) * 2015-10-22 2017-09-12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modular system for incorporating a pantry compartment within an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45032B2 (en) 2019-07-09
US10684066B2 (en) 2020-06-16
EP3321615B1 (en) 2020-04-15
US20180135909A1 (en) 2018-05-17
EP3321615A1 (en) 2018-05-16
US20190331401A1 (en) 2019-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4841B2 (en) Refrigerator
US8607588B2 (en)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drawer
US10641544B2 (en) Refrigerator
KR102437382B1 (ko) 수납장치
AU2013248179B2 (en) Refrigerator
KR101741392B1 (ko) 자동 인출 선반을 포함하는 냉장고
EP2594878A2 (en) Refrigerator
KR20170093530A (ko) 냉장고
KR20200085103A (ko) 냉장고
KR101857661B1 (ko) 냉장고
KR101013683B1 (ko) 냉장고
KR20090109297A (ko) 냉장고
KR20170052409A (ko) 냉장고
CN113074489B (zh) 一种冰箱
KR20120114610A (ko) 냉장고
KR101096820B1 (ko) 냉장고의 이중서랍
CN113074490A (zh) 一种冰箱
KR100709405B1 (ko) 냉장고 이중서랍
KR20170127811A (ko) 냉장고
KR20080079065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