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0368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0368A
KR20150020368A KR20130095647A KR20130095647A KR20150020368A KR 20150020368 A KR20150020368 A KR 20150020368A KR 20130095647 A KR20130095647 A KR 20130095647A KR 20130095647 A KR20130095647 A KR 20130095647A KR 20150020368 A KR20150020368 A KR 20150020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rail
storage unit
coupled
slid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5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형민
김대연
노효석
박성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95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0368A/ko
Publication of KR20150020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3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47B88/427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dra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8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sing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A47B88/487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sing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with rollers, ball bearings, whe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저장유닛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저장유닛이 슬라이딩 이동될 때 슬라이딩 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슬라이드 레일이 순차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냉장고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에 수납되어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인입 및 인출되는 저장유닛, 상기 저장유닛이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하는 제 1 슬라이드 레일, 제 2 슬라이드 레일, 제 3 슬라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에는 고정장치가 마련되어 상기 저장유닛이 인출될 때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은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에 고정되어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과 함께 인출되며,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이 인출된 후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이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슬라이딩 장치에 의해 인입 및 인출되는 저장유닛을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저장실과,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를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장치이다.
저장실의 온도는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데 요구되는 일정 범위 내의 온도로 유지된다.
이러한 냉장고의 저장실은 그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고, 개방된 전면은 평상시 저장실의 온도 유지를 위해 도어에 의해 폐쇄된다.
저장실은 격벽에 의해 복수개로 구획되며, 복수개의 저장실 중 상부 쪽에 마련되는 저장실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양문형 도어에 의해 개폐되고, 하부 쪽에 마련되는 저장실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서랍형 도어에 의해 개폐된다.
서랍형 도어의 배면에는 수납용기가 결합되며, 수납용기는 슬라이딩 장치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데, 슬라이딩 장치는 저장실 내부의 양 측벽에 결합되는 커버레일과, 서랍형 도어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유닛을 포함한다.
슬라이드 유닛은 커버레일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제 1 슬라이드 레일과, 제 1 슬라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슬라이드 레일과, 제 2 슬라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수납용기의 양 측면에 결합되는 제 3 슬라이드 레일을 포함한다.
수납용기는 슬라이드 유닛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인입 및 인출되는데, 수납용기가 인입 및 인출되는 과정에서 제 1 슬라이드 레일에 수용되어 있던 제 2 슬라이드 레일과 제 3 슬라이드 레일은 각각 슬라이딩 운동되기 때문에 제 2 슬라이드 레일이 인출된 후에 제 3 슬라이드 레일이 인출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제 3 슬라이드 레일이 제 2 슬라이드 레일로부터 인출된 후 제 2 슬라이드 레일이 제 1 슬라이드 레일로부터 인출되거나, 제 3 슬라이드 레일과 제 2 슬라이드 레일이 제 1 슬라이드 레일로부터 동시에 인출되는 등 슬라이드 유닛의 불규칙한 운동이 일어나게 되면 수납용기가 완전히 인입 및 인출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되거나, 각각의 슬라이드 레일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의 마찰이 증가하여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저장유닛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저장유닛이 슬라이딩 이동될 때 슬라이딩 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슬라이드 레일이 순차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전면이 개방되는 복수개의 저장실, 상기 복수개의 저장실 중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저장실에 수납되어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인입 및 인출되는 저장유닛, 상기 저장유닛이 수납되는 저장실 내부의 양 측벽에 각각 마련되는 제 1 슬라이드 레일, 상기 제 1 슬라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슬라이드 레일 및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저장유닛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제 3 슬라이드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에는 고정장치가 마련되어 상기 저장유닛이 인출될 때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은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에 고정되어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과 함께 인출되며,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이 인출된 후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이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의 전단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의 전단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의 전단에는 상기 제1고정부가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의 전단에는 상기 제2고정부가 결합되는 결합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는 원기둥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며, 상기 결합홀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돌출부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내부에 상기 돌출부가 걸리도록 마련되는 걸림턱과,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저장유닛이 닫혀 있을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저장유닛이 인출될 때 상기 돌출부가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이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에 고정된 채로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과 함께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이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에 고정된 채로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과 함께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유닛을 인출하면, 상기 돌출부가 상기 걸림턱에서 걸림 해제되면서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이 전방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저장유닛이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전면이 개방되는 복수개의 저장실, 상기 복수개의 저장실 중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저장실에 수납되어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인입 및 인출되는 저장유닛, 상기 저장유닛이 수납되는 저장실 내부의 양 측벽에 각각 마련되는 제 1 슬라이드 레일, 상기 제 1 슬라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슬라이드 레일,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저장유닛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제 3 슬라이드 레일 및 상기 저장유닛의 인출 시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이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에 고정되어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과 함께 인출되도록 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유닛의 인출 시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이 인출된 후 상기 고정장치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며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이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의 전단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의 전단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의 전단에는 상기 제1고정부가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의 전단에는 상기 제2고정부가 결합되는 결합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는 원기둥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며, 상기 결합홀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돌출부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내부에 상기 돌출부가 걸리도록 마련되는 걸림턱과,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유닛이 닫혀 있을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저장유닛이 인출될 때 상기 돌출부가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이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에 고정된 채로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과 함께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이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에 고정된 채로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과 함께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유닛을 인출하면, 상기 돌출부가 상기 걸림턱에서 걸림 해제되면서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이 전방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저장유닛이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에 수납되어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인입 및 인출되는 저장유닛 및 상기 저장유닛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장치는, 상기 저장유닛이 수납되는 저장실 내부의 양 측벽에 각각 결합되는 커버레일, 상기 저장유닛의 양 측면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커버, 상기 커버레일에 고정되는 제 1 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제 1 슬라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슬라이드 커버에 고정되며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 슬라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유닛 및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이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에 고정되어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과 함께 인출되도록 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유닛의 인출 시 상기 제 1 슬라이드 레일로부터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이 함께 인출된 후, 상기 고정장치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며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이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슬라이드 레일이 순차적으로 인출되어 저장유닛의 인입 및 인출 동작 시 저장유닛이 완전히 인입 및 인출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 유닛 내부 부품의 마모를 감소시켜 슬라이드 레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실 내부와 저장유닛에 슬라이딩 장치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유닛이 저장실 내부에 인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유닛이 일부 인출되어 제 3 슬라이드 레일이 제 2 슬라이드 레일과 함께 인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유닛이 완전히 인출되어 제 3 슬라이드 레일이 제 2 슬라이드 레일로부터 인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복수개로 마련되는 저장실(20)과, 저장실(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30)와, 저장실(20)에 수납되어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인입 및 인출되는 저장유닛(40)과, 저장유닛(40)이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인입 및 인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장치(10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저장실(20)을 형성하는 내상(11)과,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3)을 포함하며, 저장실(20)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도 5 참조)
냉기공급장치는 압축기(C)와, 응축기와, 팽창밸브와, 증발기와, 송풍팬과, 냉기덕트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본체(10)의 내상(11)과 외상(13) 사이에는 저장실(20)의 냉기 유출을 방지하도록 단열재(15)가 발포된다.(도 5 참조)
본체(10)의 후방 하측에는 냉매를 압축하고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압축기(C)와 응축기가 설치되는 기계실(29)이 마련된다.(도 5 참조)
저장실(20)은 격벽(17)에 의해 복수개로 구획되며, 상하 방향으로 차례로 상실(21)과, 중실(23)과, 하실(25)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은 필요에 따라 식품을 냉장 보관하거나 또는 냉동 보관할 수 있다.
상실(21)에는 복수개의 선반(27)이 마련되어 상실(21)을 복수개로 구획할 수 있으며, 음식물 등을 저장할 수 있는 복수개의 저장용기(28)가 마련될 수 있다.
상실(21)은 본체(1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30)에 의해 개폐되며, 중실(23)과 하실(25)은 각각 본체(1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저장유닛(4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30)의 배면에는 음식물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도어가드(31)가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저장유닛(40)은 중실(23)과 하실(25)을 개폐하는 서랍식 도어(41)와, 서랍식 도어(41)의 배면에 장착되는 수납용기(43)를 포함하며, 서랍식 도어(41)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41a)가 마련될 수 있다.
수납용기(43)는 서랍식 도어(41)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마련되거나, 서랍식 도어(41)와 별개로 제작되어 서랍식 도어(41)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저장유닛(40)은 슬라이딩 장치(100)에 의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중실(23) 및 하실(25)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된다.
편의상 저장유닛(40)은 하실(25)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는 저장유닛(40)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슬라이딩 장치(100)도 하실(25)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는 저장유닛(40)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장치(100)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유닛(40)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장치(100)는 일측은 저장유닛(40)이 수납되는 하실(25) 내부의 양 측벽에 각각 결합되며, 타측은 저장유닛(40)의 수납용기(43) 양 측면에 각각 결합된다.
도면상에는 슬라이딩 장치(100)의 타측이 저장유닛(40)의 수납용기(43) 양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수납용기(43)의 양 측면이 아닌 서랍식 도어(41)의 배면에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슬라이딩 장치(100)가 수납용기(43)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장치(100)는 하실(25) 내부의 양 측벽에 결합되는 커버레일(110)과, 일측은 수납용기(43)의 양 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은 커버레일(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유닛(120)과, 하기할 피니언 기어(126)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바(130)와, 슬라이드 유닛(120) 사이에 연결되는 보강 프레임(140)과, 슬라이드 유닛(120) 중 하기할 제 2 슬라이드 레일(122)과 제 3 슬라이드 레일(123)에 결합되어 저장유닛(40)의 인출 시 제 3 슬라이드 레일(123)이 제 2 슬라이드 레일(122)에 고정되어 제 2 슬라이드 레일(122)과 함께 인출되도록 하는 고정장치(150)를 포함한다.
커버레일(110)은 하실(25) 내부의 양 측벽에 결합되며, 하단부에 랙기어(111)가 마련된다.
커버레일(110)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랙기어(111) 상부에는 피니언 기어(126)가 치합되어 저장유닛(40)이 하실(25)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때, 피니언 기어(126)가 랙기어(111)에 치합되어 회전하며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저장유닛(40)이 하실(25)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한다.
커버레일(110)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랙기어(111)는 커버레일(110) 하단부의 전단부에만 마련되고, 후단부에는 랙기어(111)가 제거된 평면부(113)가 마련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126)가 랙기어(111)에 치합되어 이동할 때는 마찰 소음이 발생되는데, 커버레일(110)의 하단부에 평면부(113)가 마련됨으로써 피니언 기어(126)가 랙기어(111)를 지나 평면부(113) 상부를 이동할 때는 피니언 기어(126)가 평면부(113)에 접촉되지 않고 평면부(113) 상부에 떠있는 상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마찰 소음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피니언 기어(126)가 평면부(113)를 따라 이동할 때는 마찰 소음이 제거되지만, 피니언 기어(126)가 평면부(113)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저장유닛(40)의 서랍식 도어(41)가 뒤틀리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서랍식 도어(41)가 뒤틀리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슬라이드 유닛(120) 사이에는 보강 프레임(140)이 연결되는데, 슬라이드 유닛(120) 사이에 보강 프레임(140)이 연결되는 구성은 하기하도록 한다.
수납용기(43)의 양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슬라이드 유닛(120)은 커버레일(110)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제 1 슬라이드 레일(121)과, 제 1 슬라이드 레일(1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슬라이드 레일(122)과, 제 2 슬라이드 레일(1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 슬라이드 레일(123)과, 수납용기(43)의 양 측면에 결합되며 제 3 슬라이드 레일(123)이 고정되는 슬라이드 커버(124)와, 제 3 슬라이드 레일(1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126)를 포함한다.
제 1 슬라이드 레일(121)과 제 2 슬라이드 레일(122) 사이와, 제 2 슬라이드 레일(122)과 제 3 슬라이드 레일(123) 사이에는 슬라이딩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슬라이딩부(125)가 마련된다.
슬라이딩부(125)에는 제 1 슬라이드 레일(121)과 제 2 슬라이드 레일(122) 및 제 2 슬라이드 레일(122)과 제 3 슬라이드 레일(123)의 슬라이딩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베어링(125a)이 결합될 수 있다.
제 3 슬라이드 레일(123)에는 피니언 기어(126)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 결합부(123a)가 마련된다.
제 3 슬라이드 레일(123)의 피니언 기어 결합부(123a)에 결합된 피니언 기어(126)는 저장유닛(4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때 커버레일(110)의 하단부에 마련된 랙기어(111)와 평면부(113)를 따라 이동하여 저장유닛(40)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수납용기(43)의 양 측면에 각각 결합된 슬라이드 유닛(120)의 피니언 기어(126) 사이에는 저장유닛(40)이 하실(25)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될 때 수납용기(43)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바(130)가 연결된다.
저장유닛(40)이 하실(25)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는 과정에서 피니언 기어(126)가 커버레일(110)의 랙기어(111) 상부를 이동할 때는 피니언 기어(126)가 랙기어(111)에 치합되어 회전하며 이동하다가 랙기어(111)를 지나 평면부(113)를 이동할 때는 피니언 기어(126)에 치합되는 랙기어(111)가 평면부(113)에는 삭제되어 있기 때문에 피니언 기어(126)와 평면부(113)가 접촉되지 않아 마찰 소음은 발생되지 않지만, 서랍식 도어(41)의 뒤틀림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서랍식 도어(41)의 뒤틀림이 방지되도록 슬라이드 유닛(120)의 슬라이드 커버(124) 사이에는 보강 프레임(140)이 연결된다.
보강 프레임(140)의 양 끝단이 수납용기(43)의 양 측면에 결합된 슬라이드 커버(124)에 각각 결합되어 슬라이드 커버(124) 사이를 지지해주기 때문에 저장유닛(40)의 인입 및 인출 시 서랍식 도어(41)의 뒤틀림이 방지될 수 있다.
저장유닛(40)이 하실(25)로부터 인입 및 인출될 때, 저장유닛(40)은 슬라이드 유닛(120)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인입 및 인출되는데, 저장유닛(40)이 인출되는 과정에서 제 1 슬라이드 레일(121)에 수용되어 있던 제 2 슬라이드 레일(122)과 제 3 슬라이드 레일(123)은 각각 슬라이딩 운동되기 때문에 제 2 슬라이드 레일(122)이 인출된 후에 제 3 슬라이드 레일(123)이 인출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 3 슬라이드 레일(123)이 먼저 제 2 슬라이드 레일(122)로부터 인출된 후 제 2 슬라이드 레일(122)이 제 1 슬라이드 레일(121)로부터 인출될 수도 있고, 제 2 슬라이드 레일(122)과 제 3 슬라이드 레일(123)이 동시에 인출되는 등의 불규칙한 운동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불규칙한 운동에 의해 저장유닛(40)의 인입 및 인출 시 저장유닛(40)이 하실(25) 내부로부터 완전히 인입 및 인출되지 못하고 중간에 걸리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제 1 슬라이드 레일(121)과 제 2 슬라이드 레일(122) 사이 및 제 2 슬라이드 레일(122)과 제 3 슬라이드 레일(123) 사이에 마련되는 베어링(125a)의 마찰이 증가하여 슬라이드 유닛(120)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슬라이드 레일(122)과 제 3 슬라이드 레일(123)이 순차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슬라이드 유닛(120) 중 제 2 슬라이드 레일(122)과 제 3 슬라이드 레일(123)에는 제 3 슬라이드 레일(123)이 제 2 슬라이드 레일(122)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장치(150)가 마련된다.
고정장치(150)는 제 2 슬라이드 레일(122)의 전단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151)와, 제 3 슬라이드 레일(123)의 전단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153)를 포함한다.
제1고정부(151)의 결합을 위해 제 2 슬라이드 레일(122)의 전단에는 결합돌기(122a)가 마련되며, 제2고정부(153)의 결합을 위해 제 3 슬라이드 레일(123)의 전단에는 결합홀(123b)이 마련된다.
제 3 슬라이드 레일(123)의 전단에 마련된 결합홀(123a)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153)는 원기둥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며, 결합홀(123a)에 결합되는 결합부(153a)와, 결합부(153a)에서 연장되어 제 2 슬라이드 레일(122)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53b)를 포함한다.
제 2 슬라이드 레일(122)의 전단에 마련된 결합돌기(122a)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151)는 제2고정부(153)의 돌출부(153b)가 수용되는 수용부(151a)와, 수용부(151a) 내부에 돌출부(153b)가 걸리도록 마련되는 걸림턱(151b)과, 결합돌기(122a)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홀(151c)을 포함한다.
저장유닛(40)이 하실(25) 내부에 인입된 상태에서는 제2고정부(153)의 돌출부(153b)가 제1고정부(151)의 수용부(151a) 내부에 수용되어 있게 된다.
저장유닛(40)이 인출될 때는 제2고정부(153)의 돌출부(153b)가 제1고정부(151)의 걸림턱(151b)에 걸려 제 3 슬라이드 레일(123)은 제 2 슬라이드 레일(122)에 고정된 상태로 제 2 슬라이드 레일(122)과 함께 제 1 슬라이드 레일(121)로부터 인출된다.
제 3 슬라이드 레일(123)이 제 2 슬라이드 레일(122)과 함께 인출된 후에는 저장유닛(40)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돌출부(153b)가 걸림턱(151b)으로부터 걸림해제되어 고정장치(150)의 고정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제 3 슬라이드 레일(123)이 제 2 슬라이드 레일(122)로부터 인출된다.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돌출부(153b)가 걸림턱(151b)으로부터 걸림해제될 수 있도록 걸림턱(151b)은 고무 등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10을 참고로 하여 저장유닛(40)이 하실(25)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는 동작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유닛(40)이 하실(25) 내부에 인입된 상태에서는 제 1 슬라이드 레일(121)에 제 2 슬라이드 레일(122)과 제 3 슬라이드 레일(123)이 모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슬라이드 레일(122)의 전단과 제 3 슬라이드 레일(123)의 전단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제1고정부(151)와 제2고정부(153)도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2고정부(153)의 돌출부(153b)는 제1고정부(151)의 수용부(151a)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유닛(40)이 하실(25) 내부로부터 인출되게 되면, 저장유닛(40)에 결합된 제 3 슬라이드 레일(123)이 저장유닛(40)과 함께 저장유닛(40)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인출된다.
제 3 슬라이드 레일(123)이 인출될 때, 제 3 슬라이드 레일(123)에 결합된 제2고정부(153)의 돌출부(153b)가 제 2 슬라이드 레일(122)에 결합된 제1고정부(151)의 걸림턱(151b)에 걸리면서 제 3 슬라이드 레일(123)이 제 2 슬라이드 레일(122)과 함께 제 1 슬라이드 레일(121)로부터 인출된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유닛(40)이 인출되는 과정에서 제 2 슬라이드 레일(122)과 제 3 슬라이드 레일(123)이 함께 인출된 후에 저장유닛(40)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걸림턱(151b)에 걸려있던 돌출부(153b)가 걸림턱(151b)으로부터 걸림해제되어 제 3 슬라이드 레일(123)이 제 2 슬라이드 레일(122)로부터 인출되어 저장유닛(40)이 인출되게 된다.
저장유닛(40)이 하실(25) 내부에 인입된 상태에서 제 1 슬라이드 레일(121)에 수용되어 있던 제 2 슬라이드 레일(122)과 제 3 슬라이드 레일(123)이 순차적으로 제 2 슬라이드 레일(122)이 제 1 슬라이드 레일(121)로부터 인출된 후 제 3 슬라이드 레일(123)이 제 2 슬라이드 레일(122)로부터 인출되기 때문에 슬라이드 유닛(120)이 규칙적인 운동을 하여 저장유닛(40)이 하실(25) 내부로 완전히 인입되거나 하실(25) 내부로부터 완전히 인출될 수 있게 되고, 베어링(125a)의 마찰이 감소되어 슬라이드 유닛(120)의 수명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냉장고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11 : 내상
13 : 외상 15 : 단열재
17 : 격벽
20 : 저장실 21 : 상실
23 : 중실 25 : 하실
27 : 선반 28 : 저장용기
29 : 기계실
30 : 도어 31 : 가드
40 : 저장유닛 41 : 서랍식 도어
41a : 손잡이 43 : 수납용기
100 : 슬라이딩 장치
110 : 커버레일 111 : 랙기어
113 : 평면부
120 : 슬라이드 유닛 121 : 제 1 슬라이드 레일
122 : 제 2 슬라이드 레일 122a : 결합돌기
123 : 제 3 슬라이드 레일 123a : 피니언 기어 결합부
123b : 결합홀 124 : 슬라이드 커버
125 : 슬라이딩부 125a : 베어링
126 : 피니언 기어
130 : 연결바
140 : 보강 프레임
150 : 고정장치 151 : 제1고정부
151a : 수용부 151b : 걸림턱
151c : 삽입홀 153 : 제2고정부
153a : 결합부 153b : 돌출부
C : 압축기

Claims (16)

  1.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전면이 개방되는 복수개의 저장실;
    상기 복수개의 저장실 중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저장실에 수납되어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인입 및 인출되는 저장유닛;
    상기 저장유닛이 수납되는 저장실 내부의 양 측벽에 각각 마련되는 제 1 슬라이드 레일;
    상기 제 1 슬라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슬라이드 레일; 및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저장유닛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제 3 슬라이드 레일;
    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에는 고정장치가 마련되어 상기 저장유닛이 인출될 때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은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에 고정되어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과 함께 인출되며,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이 인출된 후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이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의 전단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의 전단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의 전단에는 상기 제1고정부가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의 전단에는 상기 제2고정부가 결합되는 결합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원기둥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며, 상기 결합홀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돌출부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내부에 상기 돌출부가 걸리도록 마련되는 걸림턱과,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닛이 닫혀 있을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저장유닛이 인출될 때 상기 돌출부가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이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에 고정된 채로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과 함께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이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에 고정된 채로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과 함께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유닛을 인출하면, 상기 돌출부가 상기 걸림턱에서 걸림 해제되면서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이 전방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저장유닛이 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전면이 개방되는 복수개의 저장실;
    상기 복수개의 저장실 중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저장실에 수납되어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인입 및 인출되는 저장유닛;
    상기 저장유닛이 수납되는 저장실 내부의 양 측벽에 각각 마련되는 제 1 슬라이드 레일;
    상기 제 1 슬라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슬라이드 레일;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저장유닛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제 3 슬라이드 레일; 및
    상기 저장유닛의 인출 시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이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에 고정되어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과 함께 인출되도록 하는 고정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유닛의 인출 시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이 인출된 후 상기 고정장치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며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이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의 전단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의 전단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의 전단에는 상기 제1고정부가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의 전단에는 상기 제2고정부가 결합되는 결합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원기둥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며, 상기 결합홀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돌출부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내부에 상기 돌출부가 걸리도록 마련되는 걸림턱과,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닛이 닫혀 있을 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저장유닛이 인출될 때 상기 돌출부가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이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에 고정된 채로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과 함께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이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에 고정된 채로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과 함께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유닛을 인출하면, 상기 돌출부가 상기 걸림턱에서 걸림 해제되면서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이 전방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저장유닛이 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에 수납되어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인입 및 인출되는 저장유닛; 및
    상기 저장유닛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장치는,
    상기 저장유닛이 수납되는 저장실 내부의 양 측벽에 각각 결합되는 커버레일;
    상기 저장유닛의 양 측면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커버;
    상기 커버레일에 고정되는 제 1 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제 1 슬라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슬라이드 커버에 고정되며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 슬라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유닛; 및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이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에 고정되어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과 함께 인출되도록 하는 고정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유닛의 인출 시 상기 제 1 슬라이드 레일로부터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이 함께 인출된 후, 상기 고정장치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며 상기 제 3 슬라이드 레일이 상기 제 2 슬라이드 레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20130095647A 2013-08-12 2013-08-12 냉장고 KR201500203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5647A KR20150020368A (ko) 2013-08-12 2013-08-12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5647A KR20150020368A (ko) 2013-08-12 2013-08-12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368A true KR20150020368A (ko) 2015-02-26

Family

ID=52579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5647A KR20150020368A (ko) 2013-08-12 2013-08-12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036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2613B2 (en) Refrigerator
EP3343156B1 (en) Refrigerator
KR20130115546A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101896466B1 (ko) 냉장고
KR102591765B1 (ko) 냉장고
EP2455693A2 (en) Refrigerator and receptacle assembly thereof
JP2006003063A (ja) 冷蔵庫
KR101995427B1 (ko) 냉장고
KR20110010405A (ko) 냉장고
US8162422B2 (en) Refrigerator
KR20200077957A (ko) 냉장고
KR20090133009A (ko) 냉장고의 서랍
KR20090133004A (ko) 냉장고의 드로어
KR101392524B1 (ko) 냉장고 내부도어 개폐구조
KR20200037532A (ko) 냉장고
KR20150020368A (ko) 냉장고
KR20090109297A (ko) 냉장고
JP2008309450A (ja) 冷蔵庫
KR101266872B1 (ko) 냉장고의 슬라이드레일장치
WO2018123338A1 (ja) 冷蔵庫
KR20140104243A (ko) 냉장고
KR20080014554A (ko) 냉장고의 슬라이드레일장치
JP2006200889A (ja) 冷蔵庫
JP6890245B2 (ja) 卵収納ケース及びそれを用いた冷蔵庫
JP6839488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