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9975B1 - 수납 공간 분할 장치 - Google Patents

수납 공간 분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9975B1
KR101199975B1 KR1020110003010A KR20110003010A KR101199975B1 KR 101199975 B1 KR101199975 B1 KR 101199975B1 KR 1020110003010 A KR1020110003010 A KR 1020110003010A KR 20110003010 A KR20110003010 A KR 20110003010A KR 101199975 B1 KR101199975 B1 KR 101199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fixing
frame
fixed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3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8475A (ko
Inventor
박윤식
차현호
Original Assignee
(주)세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고스 filed Critical (주)세고스
Publication of KR20110028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8475A/ko
Priority to CN201110090673.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462224B/zh
Priority to CN2011800549615A priority patent/CN103237477A/zh
Priority to PCT/KR2011/008734 priority patent/WO2012067417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A47B88/975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in the form of repositionable partitio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8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sing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A47B88/487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sing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with rollers, ball bearings, whee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 A47B88/931Rails or rods mounted above the drawer walls, e.g. for stabilisation of the drawer or for suspension of the content
    • A47B88/938Means for connecting rails or rods to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29Guide bearing means
    • A47B2210/0032B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29Guide bearing means
    • A47B2210/0037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29Guide bearing means
    • A47B2210/0043Wheel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 공간 분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납체의 안쪽에 형성된 수납 공간에 안쪽 면에 설치되어 공간을 분할하는 분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 공간의 안쪽 면을 감싸도록 서로 마주 보는 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서로 마주 보는 면을 가로 질러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 공간의 안쪽 면에 서로 마주 보는 면으로 공간이 분할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분할 벽체부,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할 벽체부의 양끝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안쪽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탄성력으로 상기 프레임부의 안쪽을 가압하여 연결된 상기 분할 벽체를 고정시키고, 연결된 상기 분할 벽체부의 누름 작동으로 탄성력이 해제되어 상기 프레임부을 따라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구름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납 공간 분할 장치 {storage space divisional apparatus}
본 발명은 수납 공간 분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 옷장 등의 가구와 냉장고, 전자레인지, 전자 오븐 등과 같은 가전 제품 등의 본체의 안쪽으로 보관 및 저장되는 물체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을 가지는 수납체가 설치되어 있다. 이런, 본체에는 물체를 수납하기 위해서 내부에 고정되는 수납체와 서랍 형태로 슬라이딩 되는 수납체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수납체는 본체의 안쪽에 설치되어 물체가 수납되는 것으로, 내부 공간에 고정된 상태로 상부가 개방되어 물체가 수납되도록 설치되거나, 슬라이드되는 장치로 본체의 안쪽에서 바깥 방향으로 인출 및 폐쇄되면서 물체가 수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술된 수납체의 안쪽에는 물체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물체를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다. 수납 공간에는 다양한 물체가 수납될 수 있는 것으로, 수납된 후에 다양한 물체가 서로 혼합되어 사용자가 수납된 물체 중에서 원하는 물체를 찾아서 인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수납체의 안쪽으로 물체가 수납되는 공간을 격벽으로 분할하여 각 분할된 공간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물체의 종류 별로 수납시킬 수 있다. 이런, 격벽으로 수납되는 공간을 분할하면 하나의 수납체 내부에서도 다양한 물체가 서로 섞이지 않고 수납이 가능하여 수납 공간을 확대할 수 있으며, 격벽에 분할되어 있는 수납 공간에 종류 별로 수납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쉽게 물체를 수납 및 인출하여 수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수납 공간 분할 장치는 수납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이 고정 형태로 설치되어 있어 수납되는 물체의 수량이 변경되거나, 크기가 달라져도 격벽 위치가 조절되기 어려움에 따라 공간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수납 공간 분할 장치는 격벽의 고정을 위해서 수납되는 공간의 안쪽으로 격벽을 고정하는 장치가 설치되어야 함으로써, 제조 시에 고정되는 장치가 미리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격벽으로 분할되는 수납체와 격벽이 없는 수납체가 구분되어 각각 따로 제작되고, 설치됨에 따라 격벽의 설치로 인한 수납체의 제조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수납체의 내부에서 사용자가 간단한 작동으로 이동 및 고정되면서 공간을 분할이 가능하여 공간의 활용도가 향상되는 수납 공간 분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 공간 분할 장치는 수납체의 안쪽에 형성된 수납 공간에 안쪽 면에 설치되어 공간을 분할하는 분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 공간의 안쪽 면을 감싸도록 서로 마주 보는 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서로 마주 보는 면을 가로 질러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 공간의 안쪽 면에 서로 마주 보는 면으로 공간이 분할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분할 벽체부,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할 벽체부의 양끝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안쪽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탄성력으로 상기 프레임부의 안쪽을 가압하여 연결된 상기 분할 벽체를 고정시키고, 연결된 상기 분할 벽체부의 누름 작동으로 탄성력이 해제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따라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구름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할 벽체부는 양끝이 상기 구름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따라서 이동되면서 상기 구름 고정부의 탄성에 의한 고정 및 해제되는 작동으로 분할되는 면적을 조절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수납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 공간의 안쪽 면을 감싸는 상부 방향에 위치하여 하부와 서로 마주 보는 방향이 개방되고, 상기 수납 공간 안쪽 면 방향이 폐쇄된 상부 레일을 가지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수납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 공간의 안쪽 면을 감싸는 하부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 레일과 대응되도록 상부와 서로 마주 보는 방향이 개방되고, 상기 수납 공간 안쪽 면 방향이 폐쇄된 하부 레일을 가지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은 결합에 의해 안쪽으로 상기 구름 고정부가 이동 및 고정되는 공간인 상기 상부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이 상호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상 하로 분리됨에 따라 안쪽에 상기 구름 고정부가 쉽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름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부의 서로 마주보는 양면인 상기 분할 벽체부의 양끝 방향으로 상기 상부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고정 몸체, 상기 고정 몸체의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분할 벽체부를 연결하여 함께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연결체, 상기 프레임부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 사이에 상기 고정 몸체의 상기 분할 벽체부에 수직되는 방향의 양쪽으로 바 형태로 돌출되어 탄성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탄성체, 상기 프레임부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체의 양끝에 각각 서로 떨어진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상부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에 구름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을 따라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바퀴, 상기 바퀴의 상기 프레임부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과 상기 수납체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바퀴와 함께 회전되면서 구름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바퀴축, 그리고 상기 탄성체의 돌출된 양끝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으로 상기 바퀴가 삽입되어 양측으로 상기 바퀴축이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지지되는 바퀴 힌지홈을 가지는 바퀴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몸체는 상기 분할 벽체부와 상기 연결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바퀴가 구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있는 상기 바퀴 지지체와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하도록 연결된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이 상기 상부 레일 방향으로 작용되어 상기 상부 레일과 접촉 고정되어 상기 분할 벽체부를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분할 벽체부를 사용자가 하부 방향으로 누름 작동하면 상기 탄성체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탄성에 의한 고정력이 해제되어 상기 고정 몸체가 하부로 이동되어 상기 상부 레일에서 떨어지면서 상기 바퀴의 구름 운동에 의해 상기 분할 벽체부가 이동되어 분할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 프레임의 안쪽에는 상기 상부 레일의 중앙에 상부 방향으로 상부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구름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부의 서로 마주보는 양면인 상기 분할 벽체부의 양끝 방향으로 상기 상부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고정 몸체, 상기 고정 몸체의 상부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고정홈에 삽입되는 위치에 돌출되어 있는 고정 돌기, 상기 고정 몸체의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분할 벽체부를 연결하여 함께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연결체, 상기 프레임부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 사이에 상기 고정 몸체의 상기 분할 벽체부에 수직되는 방향의 양쪽으로 바 형태로 돌출되어 탄성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탄성체, 상기 프레임부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체의 양끝에 각각 서로 떨어진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하부 레일의 상부에 구름 접촉되어 상기 하부 레일을 따라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바퀴, 상기 바퀴의 상기 프레임부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과 상기 수납체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바퀴와 함께 회전되면서 구름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바퀴축, 그리고 상기 탄성체의 돌출된 양끝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으로 상기 바퀴가 삽입되어 양측으로 상기 바퀴축이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지지되는 바퀴 힌지홈을 가지는 바퀴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분할 벽체부와 상기 연결체로 연결된 상기 고정 몸체의 상부에 돌출되어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바퀴 지지체 사이에 탄성 결합된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부 고정홈의 안쪽 면으로 접촉되도록 가압 고정되어 상기 분할 벽체부를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상부 고정홈에 삽입 고정 후에도 상기 고정 몸체가 상기 상부 레일에 접촉되어 고정되는 길이로 돌출되어 있어 상기 고정 돌기와 상기 고정 몸체가 상기 상부 삽입홈과 상기 상부 레일에 각각 접촉되면서 고정되어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상기 분할 벽체부를 사용자가 하부 방향으로 누름 작동하면 상기 탄성체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탄성에 의한 고정력이 해제되어 상기 바퀴의 구름 운동에 의해 상기 분할 벽체부가 이동되어 분할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상부 프레임의 안쪽에는 상기 상부 레일에 중앙에서 상부 방향으로 상부 바퀴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프레임의 안쪽에는 상기 하부 레일에 중앙에서 하부 방향으로 하부 바퀴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구름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부의 서로 마주보는 양면인 상기 분할 벽체부의 양끝 방향으로 상기 상부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고정 몸체, 상기 고정 몸체의 상부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바퀴홈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삽입 돌기, 상기 고정 몸체의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분할 벽체부를 연결하여 함께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연결체, 상기 프레임부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 사이에 상기 고정 몸체의 상기 분할 벽체부에 수직되는 방향의 양쪽으로 바 형태로 돌출되어 탄성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탄성체, 상기 프레임부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체의 양끝에 각각 서로 떨어진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상부 바퀴홈과 상기 하부 바퀴홈에 구름 접촉되어 상기 상부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을 따라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바퀴, 상기 바퀴의 상기 프레임부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과 상기 수납체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바퀴와 함께 회전되면서 구름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바퀴축, 그리고 상기 탄성체의 돌출된 양끝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으로 상기 바퀴가 삽입되어 양측으로 상기 바퀴축이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지지되는 바퀴 힌지홈을 가지는 바퀴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바퀴는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안쪽으로 홈 형태로 형성된 상기 상부 바퀴홈과 상기 하부 바퀴홈에 상 하부가 각각 삽입 지지되어 이동 시에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고정 몸체는 상기 분할 벽체부와 상기 연결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바퀴가 구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있는 상기 바퀴 지지체와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하도록 연결된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이 상기 상부 레일 방향으로 작용되어 상부에 돌출된 상기 삽입 돌기가 상기 상부 바퀴홈의 안쪽면으로 접촉 고정되어 상기 분할 벽체부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분할 벽체부를 사용자가 하부 방향으로 누름 작동하면 상기 탄성체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탄성에 의한 고정력이 해제되어 상기 바퀴의 구름 운동에 의해 상기 분할 벽체부가 이동되어 분할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안쪽에는 중앙에 상부 방향으로 상부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프레임의 안쪽에는 상기 하부 레일에 중앙에서 하부 방향으로 하부 바퀴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구름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부의 서로 마주보는 양면인 상기 분할 벽체부의 양끝 방향으로 상기 상부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고정 몸체, 상기 고정 몸체의 상부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몸체의 중앙에서 상부 방향으로 상기 상부 고정홈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홈 고정 돌기, 상기 고정 몸체의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분할 벽체부를 연결하여 함께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연결체, 상기 프레임부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 사이에 상기 고정 몸체의 상기 분할 벽체부에 수직되는 방향의 양쪽으로 바 형태로 돌출되어 탄성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탄성체, 상기 프레임부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체의 양끝에 각각 서로 떨어진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하부 바퀴홈의 상부에 구름 접촉되어 상기 하부 레일을 따라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바퀴, 상기 바퀴의 상기 프레임부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과 상기 수납체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바퀴와 함께 회전되면서 구름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바퀴축, 그리고 상기 탄성체의 돌출된 양끝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으로 상기 바퀴가 삽입되어 양측으로 상기 바퀴축이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지지되는 바퀴 힌지홈을 가지는 바퀴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바퀴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안쪽으로 홈 형태로 형성된 상기 하부 바퀴홈의 상부에 삽입 지지되어 이동 시에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홈 고정 돌기는 상기 분할 벽체부와 상기 연결체로 연결된 상기 고정 몸체의 상부에 돌출되어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바퀴 지지체 사이에 탄성 결합된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부 고정홈의 안쪽면으로 접촉되도록 가압 고정되어 상기 분할 벽체부를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홈 고정 돌기는 상기 상부 고정홈에 삽입 고정 후에도 상기 고정 몸체가 상기 상부 레일에 접촉되어 고정되는 길이로 돌출되어 있어 상기 홈 고정 돌기와 상기 고정 몸체가 상기 상부 삽입홈과 상기 상부 레일에 각각 접촉되면서 고정되어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상기 분할 벽체부를 사용자가 하부 방향으로 누름 작동하면 상기 탄성체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탄성에 의한 고정력이 해제되어 상기 바퀴의 구름 운동에 의해 상기 분할 벽체부가 이동되어 분할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할 벽체부는, 상기 수납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 공간이 분할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안쪽 면에 가로 질러 양 끝이 각각 상기 프레임부에 위치하고 있는 벽체 몸체, 상기 벽체 몸체의 양 끝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 방향에 위치한 상기 벽체 몸체가 지지되어 상기 구름 고정부와 연결되는 벽체 지지 몸체, 그리고 상기 벽체 몸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벽체 몸체가 누름 작동하여 상기 벽체 지지 몸체로 연결된 상기 구름 고정부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작동이 되도록 사용자가 파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파지 몸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벽체 몸체는 양끝에 지지된 상기 벽체 지지 몸체가 상기 구름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따라서 이동 및 고정되면서 상기 수납 공간의 분할 면적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파지 몸체는 상기 벽체 몸체의 이동 시에 사용자가 파지하여 누름 작동으로 상기 구름 고정부의 탄성에 의한 고정력을 해제한 상태로 이동되어 상기 수납 공간의 분할되는 면적을 조절하며, 조절을 마치면 누름 작동력을 해제하면서 탄성의 의한 고정력으로 상기 벽체 몸체가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벽체 몸체는 서로 떨어져 마주보는 상하에 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수납 공간의 서로 마주보는 안쪽면의 가로 질러 교차되는 위치에서 각각의 교차 위치에서 상호 중첩되면서 교차 형태로 상기 수납 공간을 분할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파지 몸체는 상호 중첩되는 위치에서 교차되는 바 형태의 각각의 상기 벽체 몸체가 삽입 지지되어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교차되는 각각 상기 벽체 몸체를 누름 작동하여 탄성에 의한 고정력을 해제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교차 분할되는 상기 수납 공간의 분할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수납체를 선정하여 안쪽에 설치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선별적으로 원하는 수납 공간의 안쪽을 분할시키도록 설치하고, 분할되는 공간의 크기를 간단한 조작으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과 공간 활용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수납체의 수납 공간을 분할하는 분할 장치는 수납 공간을 분할하면서 이동되는 벽체가 설치되는 프레임 형태로 구비되어 수납 공간의 안쪽으로 설치된 상태로 수납 공간을 분할시키는 것으로, 수납체에 여타의 장치가 필요 없이 프레임의 장착으로 수납 공간을 분할할 수 있어 원하는 장소에 어디든 설치가 가능하고, 다른 장소로 이동한 후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프레임을 제거하여 전체 수납 공간을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분할 장치의 범용성이 확대되고, 활용도가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분할 장치의 수납 공간을 분할시키는 벽체는 프레임의 안쪽에서 구름체로 이동되고, 구름체는 탄성체로 지지되어 있어 탄성력에 의해 벽체가 고정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누름 조작으로 탄성에 의한 고정력이 쉽게 해제되어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수납 공간의 분할되는 크기를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분할 장치의 프레임은 수납 공간의 안쪽 면을 감싸면서 벽체가 이동되는 레일이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분할되는 공간의 수량과 크기에 따라 복수로 설치할 수 있고, 교차된 형태로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납 공간 분할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수납 공간 분할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수납 공간 분할 장치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정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수납 공간 분할 장치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측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수납 공간 분할 장치의 분할 벽체부가 이동되도록 제1 구름 고정부를 작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6은 도 1의 수납 공간 분할 장치의 분할 벽체부가 다른 실시예인 서로 교차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납 공간 분할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정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수납 공간 분할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측 단면도.
도 9는 도 7의 수납 공간 분할 장치의 분할 벽체부가 이동되도록 제2 구름 고정부를 작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납 공간 분할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정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수납 공간 분할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측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수납 공간 분할 장치의 분할 벽체부가 이동되도록 제3 구름 고정부를 작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납 공간 분할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정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수납 공간 분할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측 단면도.
도 15는 도 13의 수납 공간 분할 장치의 분할 벽체부가 이동되도록 제4 구름 고정부를 작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납 공간 분할 장치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납 공간 분할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납 공간 분할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수납 공간 분할 장치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정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수납 공간 분할 장치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측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수납 공간 분할 장치의 분할 벽체부가 이동되도록 제1 구름 고정부를 작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수납 공간 분할 장치의 분할 벽체부가 다른 실시예인 서로 교차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납 공간 분할 장치(100)는 냉장고, 가구 등의 수납되는 본체의 안쪽에 설치되는 수납체의 안쪽에 형성된 수납 공간에 설치되어 수납되는 공간을 조절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수납체를 도시하지 않았으나, 통상적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나머지 면이 폐쇄된 박스 형태의 수납체에 형성된 수납 공간의 안쪽으로 설치되어 수납 공간을 분할하는 수납 공간 분할 장치(100)를 개시하고 있다.
상술된, 수납 공간 분할 장치(100)는 수납 공간의 형태에 따라 안쪽 면에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 프레임부(110), 분할 벽체부(120), 그리고 제1 구름 고정부(13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10)는 수납 공간의 안쪽 면을 감싸는 상부에 위치한 상부 프레임(111), 및 하부 프레임(115)을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111)은 수납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수납 공간의 안쪽 면을 감싸는 상부 방향에 위치하여 하부와 서로 마주 보는 방향이 개방되고, 수납 공간 안쪽 면 방향이 폐쇄된 상부 레일(112)을 가진다. 상부 레일(112)은 분할 벽체부(120)가 설치되는 서로 마주 보는 방향이 개방되고, 수납체 방향으로 수납 공간에 장착되도록 폐쇄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115)은 수납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수납 공간의 안쪽 면을 감싸는 하부 방향에 위치하여 상부 레일(112)과 대응되도록 상부와 서로 마주 보는 방향이 개방되고, 수납 공간 안쪽 면 방향이 폐쇄된 하부 레일(116)을 가진다. 하부 레일(116)은 분할 벽체부(120)가 설치되는 서로 마주 보는 방향이 개방되고, 수납체 방향으로 수납 공간에 장착되도록 폐쇄되어 있다. 즉,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5)은 결합에 의해 안쪽으로 제1 구름 고정부(130)가 이동 및 고정되는 공간인 상부 레일(112)과 하부 레일(116)이 상호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상 하로 분리됨에 따라 안쪽에 제1 구름 고정부(130)가 쉽게 설치될 수 있다.
분할 벽체부(120)는 수납 공간을 분할하도록 배치된 벽체 몸체(121), 벽체 지지 몸체(122), 그리고 파지 몸체(123)를 포함한다. 벽체 몸체(121)는 결합된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5)의 서로 마주 보는 면을 가로 질러 배치되어 있으며, 수납 공간의 안쪽 면에 서로 마주 보는 면으로 공간이 분할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벽체 몸체(121)는 수납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수납 공간이 분할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안쪽 면에 가로 질러 양 끝이 각각 결합된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5)에 위치하고 있다. 벽체 몸체(121)는 서로 마주보는 면을 가로 지른 위치에서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바 형태로 구비되어 중량을 최소화하면서 수납 공간을 분할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벽체 지지 몸체(122)는 벽체 몸체(121)의 양 끝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결합된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5) 방향에 위치한 벽체 몸체(121)가 지지되어 제1 구름 고정부(13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벽체 지지 몸체(122)는 수납 공간을 분할하도록 바 형태로 상하 배치된 벽체 몸체(121)의 양끝을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벽체 몸체(121)는 양끝에 지지된 벽체 지지 몸체(122)가 제1 구름 고정부(130)에 연결되어 연통된 상부 레일(112)과 하부 레일(116)를 따라서 이동 및 고정되면서 수납 공간의 분할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파지 몸체(123)는 벽체 몸체(12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벽체 몸체(121)가 누름 작동하여 벽체 지지 몸체(122)로 연결된 제1 구름 고정부(130)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작동이 되도록 사용자가 파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파지 몸체(123)는 바 형태의 벽체 몸체(121)가 삽입되어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일체로 하부로 누름 작동할 수 있다. 즉, 파지 몸체(123)는 벽체 몸체(121)의 이동 시에 사용자가 파지하여 누름 작동으로 제1 구름 고정부(130)의 탄성에 의한 고정력을 해제한 상태로 이동되어 수납 공간의 분할되는 면적을 조절하며, 조절을 마치면 누름 작동력을 해제하면서 탄성의 의한 고정력으로 벽체 몸체가 고정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분할 벽체부(12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벽체 몸체(121)는 서로 떨어져 마주보는 상하에 바 형태로 구비되어 수납 공간의 서로 마주보는 안쪽 면의 가로 질러 교차되는 위치에서 각각의 교차 위치에서 상호 중첩되면서 교차 형태로 수납 공간을 분할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파지 몸체(123)는 상호 중첩되는 위치에서 교차되는 바 형태의 각각의 벽체 몸체(121)가 삽입 지지되어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교차되는 각각 벽체 몸체(121)를 누름 작동하여 탄성에 의한 고정력을 해제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교차 분할되는 수납 공간의 분할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구름 고정부(130)는 결합된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5) 안쪽에 배치된 제1 고정 몸체(131), 제1 연결체(132), 제1 탄성체(133), 제1 바퀴(134), 제1 바퀴축(135), 그리고 제1 바퀴 지지체(136)를 포함한다. 제1 고정 몸체(131)는 결합된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5)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결합된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5)의 서로 마주보는 양면인 벽체 지지 몸체(122)의 양끝 방향으로 상부 레일(112)과 하부 레일(116)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1 연결체(132)는 제1 고정 몸체(131)의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제1 고정 몸체(131)와 벽체 지지 몸체(122)를 연결하여 함께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 탄성체(133)는 결합된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5)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 레일(112)과 하부 레일(116) 사이에 제1 고정 몸체(131)의 벽체 지지 몸체(122)에 수직되는 방향의 양쪽으로 바 형태로 돌출되어 탄성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 바퀴(134)는 결합된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5)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탄성체(133)의 양끝에 각각 서로 떨어진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상부 레일(112)과 하부 레일(116)에 구름 접촉된 상태에서 상부 레일(112)과 하부 레일(116)을 따라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 바퀴축(135)은 제1 바퀴(134)의 결합된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5)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과 수납체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으며, 제1 바퀴(134)와 함께 회전되면서 구름되도록 돌출되어 있다.
제1 바퀴 지지체(136)는 탄성체의 돌출된 양끝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으로 제1 바퀴(134)가 삽입되어 양측으로 제1 바퀴축(135)이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지지되는 제1 바퀴 힌지홈(137)을 가진다. 제1 바퀴 지지체(136)는 제1 고정 몸체(131)의 벽체 지지 몸체(122)에 수직되는 방향의 양쪽으로 위치한 제1 탄성체(133)에서 일측이 돌출되어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고, 타측에 제1 바퀴(134)의 제1 바퀴축(135)이 제1 바퀴 힌지홈(13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제1 바퀴 지지체(136)는 제1 바퀴(134)의 회전을 지지하면서 제1 탄성체(133)와 연결하여 제1 바퀴(134)로부터 제1 고정 몸체(131)가 상부로 탄성에 의해 가압하여 상부 레일(112)과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고정 몸체(131)는 벽체 지지 몸체(122)와 제1 연결체(132)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1 바퀴(134)가 구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있는 제1 바퀴 지지체(136)와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하도록 연결된 제1 탄성체(133)의 탄성력이 상부 레일(112) 방향으로 작용하여 상부 레일(112)과 접촉 고정됨에 따라 벽체 몸체(121)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벽체 몸체(121)를 사용자가 파지 몸체(123)를 파지한 상태에서 하부 방향으로 누름 작동하면 제1 탄성체(133)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탄성에 의한 고정력이 해제되면서, 제1 고정 몸체(131)가 하부로 이동되어 상부 레일(112)에서 떨어지면서 제1 바퀴(134)의 구름 운동에 의해 벽체 몸체(121)가 이동되어 분할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납 공간 분할 장치는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납 공간 분할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정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수납 공간 분할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측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수납 공간 분할 장치의 분할 벽체부가 이동되도록 제2 구름 고정부를 작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납 공간 분할 장치(100)는 프레임부(110), 분할 벽체부(120), 그리고 제2 구름 고정부(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레임부(110)의 일부 구성 및 분할 벽체부(120)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6의 수납 공간 분할 장치(100)의 구성 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함에 따라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프레임부(110)는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5)으로 분할되어 결합에 의해 수납 공간의 안쪽에 장착되도록 구비되고,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5)의 안쪽에는 서로 마주 보는 공간이 개방되어 있는 상부 레일(112)과 하부 레일(116)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111)의 안쪽에는 상부 레일(112)의 중앙에 상부 방향으로 상부 고정홈(113)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구름 고정부(200)는 결합된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5) 안쪽에 배치된 제2 고정 몸체(201), 고정 돌기(202), 제2 연결체(203), 제2 탄성체(204), 제2 바퀴(205), 제2 바퀴축(206), 그리고 제2 바퀴 지지체(207)를 포함한다. 제2 고정 몸체(201)는 결합된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5)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결합된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5)의 서로 마주보는 양면인 벽체 지지 몸체(122)의 양끝 방향으로 상부 레일(112)과 하부 레일(116)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고정 돌기(202)는 제2 고정 몸체(201)의 상부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부 고정홈(113)에 삽입되는 위치에 돌출되어 있다. 고정 돌기(202)는 제2 고정 몸체(201)와 함께 이동되면서 고정 시에 상부 고정홈(113)의 안쪽 면에 접촉되면서 고정되어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연결체(203)는 제2 고정 몸체(201)의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제2 고정 몸체(201)와 벽체 지지 몸체(122)를 연결하여 함께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2 탄성체(204)는 결합된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5)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 레일(112)과 하부 레일(116) 사이에 제2 고정 몸체(201)의 벽체 지지 몸체(122)에 수직되는 방향의 양쪽으로 바 형태로 돌출되어 탄성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2 바퀴(205)는 결합된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5)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 탄성체(204)의 양끝에 각각 서로 떨어진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하부 레일(116)의 상부에 구름 접촉되어 하부 레일(116)을 따라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2 바퀴축(206)은 제2 바퀴(205)의 결합된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5)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과 수납체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으며, 제2 바퀴(205)와 함께 회전되면서 구름되도록 돌출되어 있다.
제2 바퀴 지지체(207)는 제2 탄성체(204)의 돌출된 양끝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으로 제2 바퀴(205)가 삽입되어 양측으로 제2 바퀴축(206)이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지지되는 제2 바퀴 힌지홈(208)을 가진다. 제2 바퀴 지지체(207)는 제2 고정 몸체(201)의 벽체 지지 몸체(122)에 수직되는 방향의 양쪽으로 위치한 제2 탄성체(204)에서 일측이 돌출되어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고, 타측에 제2 바퀴(205)의 제2 바퀴축(206)이 제2 바퀴 힌지홈(20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제2 바퀴 지지체(207)는 제2 바퀴(205)의 회전을 지지하면서 제2 탄성체(204)와 연결하여 제2 바퀴(205)로부터 제2 고정 몸체(201)가 상부로 탄성에 의해 가압하여 상부 레일(112)과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고정 몸체(201)는 벽체 지지 몸체(122)와 제2 연결체(203)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2 바퀴(205)가 구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있는 제2 바퀴 지지체(207)와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하도록 연결된 제2 탄성체(204)의 탄성력이 상부 레일(112) 방향으로 작용되어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고정 돌기(202)가 상부 고정홈(113)의 안쪽 면으로 접촉 고정되어 벽체 몸체(121)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고정 돌기(202)는 상부 고정홈(113)에 삽입 고정 후에도 제2 고정 몸체(201)가 상부 레일(112)에 접촉되어 고정되는 길이로 돌출되어 있어 고정 돌기(202)와 제2 고정 몸체(201)가 상부 삽입홈(113)과 상부 레일(112)에 각각 접촉되면서 고정되어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벽체 몸체(121)를 사용자가 파지 몸체(123)를 파지한 상태에서 하부 방향으로 누름 작동하면 제2 탄성체(204)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탄성에 의한 고정력이 해제되어 제2 바퀴(205)의 구름 운동에 의해 벽체 몸체(121)가 이동되어 분할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납 공간 분할 장치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납 공간 분할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정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수납 공간 분할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측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수납 공간 분할 장치의 분할 벽체부가 이동되도록 제3 구름 고정부를 작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납 공간 분할 장치(100)는 프레임부(110), 분할 벽체부(120), 그리고 제3 구름 고정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레임부(110)의 일부 구성 및 분할 벽체부(120)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6의 수납 공간 분할 장치(100)의 구성 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함에 따라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프레임부(110)는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5)으로 분할되어 결합에 의해 수납 공간의 안쪽에 장착되도록 구비되고,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5)의 안쪽에는 서로 마주 보는 공간이 개방되어 있는 상부 레일(112)과 하부 레일(116)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111)의 안쪽에는 상부 레일(112)에 중앙에서 상부 방향으로 상부 바퀴홈(114)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프레임(115)의 안쪽에는 하부 레일(116)에 중앙에서 하부 방향으로 하부 바퀴홈(117)이 형성되어 있다.
제3 구름 고정부(300)는 결합된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5) 안쪽에 배치된 제3 고정 몸체(301), 삽입 돌기(302), 제3 연결체(303), 제3 탄성체(304), 제3 바퀴(305), 제3 바퀴축(306), 그리고 제3 바퀴 지지체(307)를 포함한다. 제3 고정 몸체(301)는 결합된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5)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결합된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5)의 서로 마주보는 양면인 벽체 지지 몸체(122)의 양끝 방향으로 상부 레일(112)과 하부 레일(116)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삽입 돌기(302)는 제3 고정 몸체(301)의 상부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부 바퀴홈(114)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있다. 삽입 돌기(302)는 벽체 몸체(121)의 고정 시에 상부 레일(112)의 중앙에 형성된 상부 바퀴홈(114)의 안쪽 면에 접촉되면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연결체(303)는 제3 고정 몸체(301)의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제3 고정 몸체(301)와 벽체 지지 몸체(122)를 연결하여 함께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3 탄성체(304)는 결합된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5)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 레일(112)과 하부 레일(116) 사이에 제3 고정 몸체(301)의 벽체 지지 몸체(122)에 수직되는 방향의 양쪽으로 바 형태로 돌출되어 탄성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3 바퀴(305)는 결합된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5)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3 탄성체(304)의 양끝에 각각 서로 떨어진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상부 바퀴홈(114)과 하부 바퀴홈(117)에 구름 접촉되어 상부 레일(112)과 하부 레일(116)을 따라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제3 바퀴(305)는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5)의 안쪽으로 홈 형태로 형성된 상부 바퀴홈(114)과 하부 바퀴홈(117)에 상 하부가 각각 삽입 지지되어 이동 시에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바퀴축(306)은 제3 바퀴(305)의 결합된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5)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과 수납체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으며, 제3 바퀴(305)와 함께 회전되면서 구름되도록 돌출되어 있다.
제3 바퀴 지지체(307)는 제3 탄성체(304)의 돌출된 양끝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으로 제3 바퀴(305)가 삽입되어 양측으로 제3 바퀴축(306)이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지지되는 제3 바퀴 힌지홈(308)을 가진다. 제3 바퀴 지지체(307)는 제3 고정 몸체(301)의 벽체 지지 몸체(122)에 수직되는 방향의 양쪽으로 위치한 제3 탄성체(304)에서 일측이 돌출되어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고, 타측에 제3 바퀴(305)의 제3 바퀴축(306)이 제3 바퀴 힌지홈(30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제3 바퀴 지지체(307)는 제3 바퀴(305)의 회전을 지지하면서 제3 탄성체(304)와 연결하여 제3 바퀴(305)로부터 제3 고정 몸체(301)가 상부로 탄성에 의해 가압하여 상부에 돌출된 삽입 돌기(302)가 상부 레일(112)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제3 고정 몸체(301)는 벽체 지지 몸체(122)와 제3 연결체(303)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3 바퀴(305)가 구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있는 제3 바퀴 지지체(307)와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하도록 연결된 제3 탄성체(304)의 탄성력이 상부 레일(112) 방향으로 작용되어 상부에 돌출된 삽입 돌기(302)가 상부 바퀴홈(114)의 안쪽면으로 접촉 고정되어 벽체 몸체(121)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벽체 몸체(121)를 사용자가 파지 몸체(123)를 파지한 상태에서 하부 방향으로 누름 작동하면 제3 탄성체(304)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탄성에 의한 고정력이 해제되어 삽입 돌기(302)가 상부 바퀴홈(114)에서 떨어지면서 제3 바퀴(305)의 구름 운동에 의해 벽체 몸체(121)가 이동되어 분할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납 공간 분할 장치는 도 13 내지 도 15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납 공간 분할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정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수납 공간 분할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측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3의 수납 공간 분할 장치의 분할 벽체부가 이동되도록 제4 구름 고정부를 작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납 공간 분할 장치(100)는 프레임부(110), 분할 벽체부(120), 그리고 제4 구름 고정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레임부(110)의 일부 구성 및 분할 벽체부(120)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6의 수납 공간 분할 장치(100)의 구성 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함에 따라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프레임부(110)는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5)으로 분할되어 결합에 의해 수납 공간의 안쪽에 장착되도록 구비되고,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5)의 안쪽에는 서로 마주 보는 공간이 개방되어 있는 상부 레일(112)과 하부 레일(116)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111)의 안쪽에는 중앙에 상부 방향으로 상부 고정홈(113)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프레임(115)의 안쪽에는 하부 레일(116)에 중앙에서 하부 방향으로 하부 바퀴홈(117)이 형성되어 있다.
제4 구름 고정부(400)는 결합된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5) 안쪽에 배치된 제4 고정 몸체(401), 홈 고정 돌기(402), 제4 연결체(403), 제4 탄성체(404), 제4 바퀴(405), 제4 바퀴축(406), 그리고 제4 바퀴 지지체(407)를 포함한다. 제4 고정 몸체(401)는 결합된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5)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결합된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5)의 서로 마주보는 양면인 벽체 지지 몸체(122)의 양끝 방향으로 상부 레일(112)과 하부 레일(116)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홈 고정 돌기(402)는 제4 고정 몸체(401)의 상부에 돌출되어 있으며, 제4 고정 몸체(401)의 중앙에서 상부 방향으로 상부 고정홈(113)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있다. 홈 고정 돌기(402)는 벽체 몸체(121) 고정 시에 제4 고정 몸체(401)와 함께 이동되어 상부 고정홈(113)에 안쪽 면에 접촉 고정되도록 돌출되어 벽체 몸체(121)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4 연결체(403)는 제4 고정 몸체(401)의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제4 고정 몸체(401)와 벽체 지지 몸체(122)를 연결하여 함께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4 탄성체(404)는 결합된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5)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 레일(112)과 하부 레일(116) 사이에 제4 고정 몸체(401)의 벽체 지지 몸체(122)에 수직되는 방향의 양쪽으로 바 형태로 돌출되어 탄성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4 바퀴(405)는 결합된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5)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4 탄성체(404)의 양끝에 각각 서로 떨어진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하부 바퀴홈(117)의 상부에 구름 접촉되어 하부 레일(116)을 따라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4 바퀴축(406)은 제4 바퀴(405)의 결합된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5)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과 수납체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으며, 제4 바퀴(405)와 함께 회전되면서 구름되도록 돌출되어 있다. 즉, 제4 바퀴(405)는 하부 프레임(115)의 안쪽으로 홈 형태로 형성된 하부 바퀴홈(117)의 상부에 삽입 지지되어 이동 시에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바퀴 지지체(407)는 제4 탄성체(404)의 돌출된 양끝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으로 제4 바퀴(405)가 삽입되어 양측으로 제4 바퀴축(406)이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지지되는 제4 바퀴 힌지홈(408)을 가진다. 제4 바퀴 지지체(407)는 제4 고정 몸체(401)의 벽체 지지 몸체(122)에 수직되는 방향의 양쪽으로 위치한 제4 탄성체(404)에서 일측이 돌출되어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고, 타측에 제4 바퀴(405)의 제4 바퀴축(406)이 제4 바퀴 힌지홈(40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제4 바퀴 지지체(407)는 제4 바퀴(405)의 회전을 지지하면서 제4 탄성체(404)와 연결하여 제4 바퀴(405)로부터 제4 고정 몸체(401)가 상부로 탄성에 의해 가압하여 상부 레일(112)과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제4 고정 몸체(401)는 벽체 지지 몸체(122)와 제4 연결체(403)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4 바퀴(405)가 구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있는 제4 바퀴 지지체(407)와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하도록 연결된 제4 탄성체(404)의 탄성력이 상부 레일(112) 방향으로 작용되어 제4 고정 몸체(401)의 상부에 돌출된 홈 고정 돌기(402)가 상부 고정홈(113)의 안쪽면으로 접촉 고정되어 벽체 몸체(121)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홈 고정 돌기(402)는 상부 고정홈(113)에 삽입 고정 후에도 제4 고정 몸체(401)가 상부 레일(112)에 접촉되어 고정되는 길이로 돌출되어 있어 홈 고정 돌기(402)와 제4 고정 몸체(401)가 상부 삽입홈(113)과 상부 레일(112)에 각각 접촉되면서 고정되어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벽체 몸체(121)를 사용자가 파지 몸체(123)를 파지한 상태에서 하부 방향으로 누름 작동하면 제4 탄성체(404)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탄성에 의한 고정력이 해제되어 제4 고정 몸체(401)가 상부 레일(112)에서 떨어짐과 동시에 홈 고정 돌기(402)가 상부 고정홈(113)에서 떨어지면서, 제4 바퀴(405)의 구름 운동에 의해 벽체 몸체(121)가 이동되어 분할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수납 공간 분할 장치110 : 프레임부
111 : 상부 프레임112 : 상부 레일
113 : 상부 고정홈114 : 상부 바퀴홈
115 : 하부 프레임116 : 하부 레일
117 : 하부 바퀴홈120 : 분할 벽체부
121 : 벽체 몸체122 : 벽체 지지 몸체
123 : 파지 몸체130 : 제1 구름 고정부
131 : 제1 고정 몸체132 : 제1 연결체
133 : 제1 탄성체134 : 제1 바퀴
135 : 제1 바퀴축136 : 제1 바퀴 지지체
137 : 제1 바퀴 힌지홈200 : 제2 구름 고정부
201 : 제2 고정 몸체202 : 고정 돌기
203 : 제2 연결체204 : 제2 탄성체
205 : 제2 바퀴206 : 제2 바퀴축
207 : 제2 바퀴 지지체208 : 제2 바퀴 힌지홈
300 : 제3 구름 고정부301 : 제3 고정 몸체
302 : 삽입 돌기303 : 제3 연결체
304 : 제3 탄성체305 : 제3 바퀴
306 : 제3 바퀴축307 : 제3 바퀴 지지체
308 : 제3 바퀴 힌지홈400 : 제4 구름 고정부
401 : 제4 고정 몸체402 : 홈 고정 돌기
403 : 제4 연결체404 : 제4 탄성체
405 : 제4 바퀴406 : 제4 바퀴축
407 : 제4 바퀴 지지체408 : 제4 바퀴 힌지홈

Claims (8)

  1. 수납체의 안쪽에 형성된 수납 공간에 안쪽 면에 설치되어 공간을 분할하는 분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 공간의 안쪽 면을 감싸도록 서로 마주 보는 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서로 마주 보는 면을 가로 질러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 공간의 안쪽 면에 서로 마주 보는 면으로 공간이 분할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분할 벽체부,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할 벽체부의 양끝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안쪽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탄성력으로 상기 프레임부의 안쪽을 가압하여 연결된 상기 분할 벽체를 고정시키고, 연결된 상기 분할 벽체부의 누름 작동으로 탄성력이 해제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따라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구름 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분할 벽체부는 양끝이 상기 구름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따라서 이동되면서 상기 구름 고정부의 탄성에 의한 고정 및 해제되는 작동으로 분할되는 면적을 조절시킬 수 있는
    수납 공간 분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수납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 공간의 안쪽 면을 감싸는 상부 방향에 위치하여 하부와 서로 마주 보는 방향이 개방되고, 상기 수납 공간 안쪽 면 방향이 폐쇄된 상부 레일을 가지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수납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 공간의 안쪽 면을 감싸는 하부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 레일과 대응되도록 상부와 서로 마주 보는 방향이 개방되고, 상기 수납 공간 안쪽 면 방향이 폐쇄된 하부 레일을 가지는 하부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은 결합에 의해 안쪽으로 상기 구름 고정부가 이동 및 고정되는 공간인 상기 상부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이 상호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상 하로 분리됨에 따라 안쪽에 상기 구름 고정부가 쉽게 설치될 수 있는
    수납 공간 분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부의 서로 마주보는 양면인 상기 분할 벽체부의 양끝 방향으로 상기 상부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고정 몸체,
    상기 고정 몸체의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분할 벽체부를 연결하여 함께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연결체,
    상기 프레임부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 사이에 상기 고정 몸체의 상기 분할 벽체부에 수직되는 방향의 양쪽으로 바 형태로 돌출되어 탄성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탄성체,
    상기 프레임부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체의 양끝에 각각 서로 떨어진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상부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에 구름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을 따라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바퀴,
    상기 바퀴의 상기 프레임부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과 상기 수납체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바퀴와 함께 회전되면서 구름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바퀴축, 그리고
    상기 탄성체의 돌출된 양끝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으로 상기 바퀴가 삽입되어 양측으로 상기 바퀴축이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지지되는 바퀴 힌지홈을 가지는 바퀴 지지체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몸체는 상기 분할 벽체부와 상기 연결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바퀴가 구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있는 상기 바퀴 지지체와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하도록 연결된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이 상기 상부 레일 방향으로 작용되어 상기 상부 레일과 접촉 고정되어 상기 분할 벽체부를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분할 벽체부를 사용자가 하부 방향으로 누름 작동하면 상기 탄성체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탄성에 의한 고정력이 해제되어 상기 고정 몸체가 하부로 이동되어 상기 상부 레일에서 떨어지면서 상기 바퀴의 구름 운동에 의해 상기 분할 벽체부가 이동되어 분할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수납 공간 분할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안쪽에는 상기 상부 레일의 중앙에 상부 방향으로 상부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름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부의 서로 마주보는 양면인 상기 분할 벽체부의 양끝 방향으로 상기 상부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고정 몸체,
    상기 고정 몸체의 상부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고정홈에 삽입되는 위치에 돌출되어 있는 고정 돌기,
    상기 고정 몸체의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분할 벽체부를 연결하여 함께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연결체,
    상기 프레임부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 사이에 상기 고정 몸체의 상기 분할 벽체부에 수직되는 방향의 양쪽으로 바 형태로 돌출되어 탄성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탄성체,
    상기 프레임부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체의 양끝에 각각 서로 떨어진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하부 레일의 상부에 구름 접촉되어 상기 하부 레일을 따라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바퀴,
    상기 바퀴의 상기 프레임부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과 상기 수납체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바퀴와 함께 회전되면서 구름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바퀴축, 그리고
    상기 탄성체의 돌출된 양끝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으로 상기 바퀴가 삽입되어 양측으로 상기 바퀴축이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지지되는 바퀴 힌지홈을 가지는 바퀴 지지체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분할 벽체부와 상기 연결체로 연결된 상기 고정 몸체의 상부에 돌출되어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바퀴 지지체 사이에 탄성 결합된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부 고정홈의 안쪽 면으로 접촉되도록 가압 고정되어 상기 분할 벽체부를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상부 고정홈에 삽입 고정 후에도 상기 고정 몸체가 상기 상부 레일에 접촉되어 고정되는 길이로 돌출되어 있어 상기 고정 돌기와 상기 고정 몸체가 상기 상부 삽입홈과 상기 상부 레일에 각각 접촉되면서 고정되어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상기 분할 벽체부를 사용자가 하부 방향으로 누름 작동하면 상기 탄성체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탄성에 의한 고정력이 해제되어 상기 바퀴의 구름 운동에 의해 상기 분할 벽체부가 이동되어 분할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수납 공간 분할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안쪽에는 상기 상부 레일에 중앙에서 상부 방향으로 상부 바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프레임의 안쪽에는 상기 하부 레일에 중앙에서 하부 방향으로 하부 바퀴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름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부의 서로 마주보는 양면인 상기 분할 벽체부의 양끝 방향으로 상기 상부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고정 몸체,
    상기 고정 몸체의 상부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바퀴홈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삽입 돌기,
    상기 고정 몸체의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분할 벽체부를 연결하여 함께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연결체,
    상기 프레임부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 사이에 상기 고정 몸체의 상기 분할 벽체부에 수직되는 방향의 양쪽으로 바 형태로 돌출되어 탄성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탄성체,
    상기 프레임부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체의 양끝에 각각 서로 떨어진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상부 바퀴홈과 상기 하부 바퀴홈에 구름 접촉되어 상기 상부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을 따라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바퀴,
    상기 바퀴의 상기 프레임부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과 상기 수납체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바퀴와 함께 회전되면서 구름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바퀴축, 그리고
    상기 탄성체의 돌출된 양끝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으로 상기 바퀴가 삽입되어 양측으로 상기 바퀴축이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지지되는 바퀴 힌지홈을 가지는 바퀴 지지체
    를 포함하며,
    상기 바퀴는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안쪽으로 홈 형태로 형성된 상기 상부 바퀴홈과 상기 하부 바퀴홈에 상 하부가 각각 삽입 지지되어 이동 시에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고정 몸체는 상기 분할 벽체부와 상기 연결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바퀴가 구름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있는 상기 바퀴 지지체와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하도록 연결된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이 상기 상부 레일 방향으로 작용되어 상부에 돌출된 상기 삽입 돌기가 상기 상부 바퀴홈의 안쪽면으로 접촉 고정되어 상기 분할 벽체부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분할 벽체부를 사용자가 하부 방향으로 누름 작동하면 상기 탄성체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탄성에 의한 고정력이 해제되어 상기 바퀴의 구름 운동에 의해 상기 분할 벽체부가 이동되어 분할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수납 공간 분할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안쪽에는 중앙에 상부 방향으로 상부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프레임의 안쪽에는 상기 하부 레일에 중앙에서 하부 방향으로 하부 바퀴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름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부의 서로 마주보는 양면인 상기 분할 벽체부의 양끝 방향으로 상기 상부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고정 몸체,
    상기 고정 몸체의 상부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몸체의 중앙에서 상부 방향으로 상기 상부 고정홈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홈 고정 돌기,
    상기 고정 몸체의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분할 벽체부를 연결하여 함께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연결체,
    상기 프레임부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 사이에 상기 고정 몸체의 상기 분할 벽체부에 수직되는 방향의 양쪽으로 바 형태로 돌출되어 탄성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탄성체,
    상기 프레임부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체의 양끝에 각각 서로 떨어진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하부 바퀴홈의 상부에 구름 접촉되어 상기 하부 레일을 따라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바퀴,
    상기 바퀴의 상기 프레임부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과 상기 수납체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바퀴와 함께 회전되면서 구름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바퀴축, 그리고
    상기 탄성체의 돌출된 양끝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으로 상기 바퀴가 삽입되어 양측으로 상기 바퀴축이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지지되는 바퀴 힌지홈을 가지는 바퀴 지지체
    를 포함하며,
    상기 바퀴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안쪽으로 홈 형태로 형성된 상기 하부 바퀴홈의 상부에 삽입 지지되어 이동 시에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홈 고정 돌기는 상기 분할 벽체부와 상기 연결체로 연결된 상기 고정 몸체의 상부에 돌출되어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바퀴 지지체 사이에 탄성 결합된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부 고정홈의 안쪽면으로 접촉되도록 가압 고정되어 상기 분할 벽체부를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홈 고정 돌기는 상기 상부 고정홈에 삽입 고정 후에도 상기 고정 몸체가 상기 상부 레일에 접촉되어 고정되는 길이로 돌출되어 있어 상기 홈 고정 돌기와 상기 고정 몸체가 상기 상부 삽입홈과 상기 상부 레일에 각각 접촉되면서 고정되어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상기 분할 벽체부를 사용자가 하부 방향으로 누름 작동하면 상기 탄성체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탄성에 의한 고정력이 해제되어 상기 바퀴의 구름 운동에 의해 상기 분할 벽체부가 이동되어 분할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수납 공간 분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벽체부는,
    상기 수납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 공간이 분할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안쪽 면에 가로 질러 양 끝이 각각 상기 프레임부에 위치하고 있는 벽체 몸체,
    상기 벽체 몸체의 양 끝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 방향에 위치한 상기 벽체 몸체가 지지되어 상기 구름 고정부와 연결되는 벽체 지지 몸체, 그리고
    상기 벽체 몸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벽체 몸체가 누름 작동하여 상기 벽체 지지 몸체로 연결된 상기 구름 고정부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작동이 되도록 사용자가 파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파지 몸체
    를 포함하며,
    상기 벽체 몸체는 양끝에 지지된 상기 벽체 지지 몸체가 상기 구름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따라서 이동 및 고정되면서 상기 수납 공간의 분할 면적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파지 몸체는 상기 벽체 몸체의 이동 시에 사용자가 파지하여 누름 작동으로 상기 구름 고정부의 탄성에 의한 고정력을 해제한 상태로 이동되어 상기 수납 공간의 분할되는 면적을 조절하며, 조절을 마치면 누름 작동력을 해제하면서 탄성의 의한 고정력으로 상기 벽체 몸체가 고정될 수 있는
    수납 공간 분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 몸체는 서로 떨어져 마주보는 상하에 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수납 공간의 서로 마주보는 안쪽면의 가로 질러 교차되는 위치에서 각각의 교차 위치에서 상호 중첩되면서 교차 형태로 상기 수납 공간을 분할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파지 몸체는 상호 중첩되는 위치에서 교차되는 바 형태의 각각의 상기 벽체 몸체가 삽입 지지되어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교차되는 각각 상기 벽체 몸체를 누름 작동하여 탄성에 의한 고정력을 해제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교차 분할되는 상기 수납 공간의 분할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수납 공간 분할 장치.
KR1020110003010A 2010-11-15 2011-01-12 수납 공간 분할 장치 KR101199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10090673.7A CN102462224B (zh) 2010-11-15 2011-04-12 收纳空间分隔装置
CN2011800549615A CN103237477A (zh) 2010-11-15 2011-11-15 收纳空间分割装置
PCT/KR2011/008734 WO2012067417A2 (ko) 2010-11-15 2011-11-15 수납 공간 분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13252 2010-11-15
KR1020100113252 2010-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475A KR20110028475A (ko) 2011-03-18
KR101199975B1 true KR101199975B1 (ko) 2012-11-12

Family

ID=43934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010A KR101199975B1 (ko) 2010-11-15 2011-01-12 수납 공간 분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9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5470A (ko) 2017-04-13 2018-10-23 김종원 수납공간 분할형 서랍
EP3839389A4 (en) * 2018-10-02 2021-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RID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732B1 (ko) * 2011-10-25 2019-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드로워
WO2015090474A1 (en) * 2013-12-20 2015-06-25 Arcelik Anonim Sirketi Refrigeration appliance vegetable container partitioning arrangement
KR102475037B1 (ko) * 2020-10-20 2022-12-07 명진실업 주식회사 칸막이 조절 구조를 갖춘 주방가구용 분리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0647A (ja) 2002-02-28 2003-09-09 Takara Standard Co Ltd 引出しの仕切り装置
KR200435735Y1 (ko) 2006-09-29 2007-02-12 정용주 서랍용 보조수납용기 및 이를 구비한 서랍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0647A (ja) 2002-02-28 2003-09-09 Takara Standard Co Ltd 引出しの仕切り装置
KR200435735Y1 (ko) 2006-09-29 2007-02-12 정용주 서랍용 보조수납용기 및 이를 구비한 서랍장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5470A (ko) 2017-04-13 2018-10-23 김종원 수납공간 분할형 서랍
EP3839389A4 (en) * 2018-10-02 2021-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RIDGE
US11774170B2 (en) 2018-10-02 2023-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475A (ko) 201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9975B1 (ko) 수납 공간 분할 장치
KR101315651B1 (ko) 냉장고 및 냉동고용 슬라이딩 선반
US9534833B2 (en) Basket for refrigerator
US9677807B2 (en) Refrigerator
KR101299065B1 (ko) 분할장치 및 분할장치가 구비된 장치
US9872562B2 (en) Cabinet
EP2292998B1 (en) Refrigerator draw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9170043B2 (en) Refrigerator
CN110446441B (zh) 包括至少一个搁架的特别是冷藏器或冷冻器的家用电器或家具物品
KR20080045366A (ko) 냉장고 선반의 높이조절 구조
JPH0654726A (ja) 薄型の引出し用摺動器
KR101262162B1 (ko) 자동 잠금 장치가 설치된 수납 공간 분할 장치
EP2826403B1 (en) Storage having pair of drawers drawn in opposite directions
KR20180047445A (ko) 저장 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101645539B1 (ko) 냉장고
JP3177386U (ja) 双方向引き出し用スライドレール及びその引き出しセット
WO2006088918A2 (en) Utility drawer system
KR20160147442A (ko) 냉장고 선반
KR20150029785A (ko) 냉장고 바스켓
JP4216771B2 (ja) 建物
KR200474324Y1 (ko) 수납장 조립 셋트
KR20160057639A (ko) 서랍 칸막이
TWI586928B (zh) 伸縮冰箱
KR200396914Y1 (ko) 책꽂이용 칸막이
CN109737683B (zh) 一种搁物架及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