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7442A - 냉장고 선반 - Google Patents

냉장고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7442A
KR20160147442A KR1020150084201A KR20150084201A KR20160147442A KR 20160147442 A KR20160147442 A KR 20160147442A KR 1020150084201 A KR1020150084201 A KR 1020150084201A KR 20150084201 A KR20150084201 A KR 20150084201A KR 20160147442 A KR20160147442 A KR 20160147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opening
engaging portion
refrigerator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4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4101B1 (ko
Inventor
김진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4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101B1/ko
Publication of KR20160147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7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선반에 관한 것으로, 전면선반, 후면선반 및 선반지지부를 포함하여, 전면선반은 후면선반에 연결되어 회전하여 폴딩 가능하고, 후면선반은 선반지지부에 연결되어 회전하여 폴딩 가능함에 따라, 필요에 따라 전면선반만 폴딩하거나, 전면선반 및 후면선반을 모두 폴딩 가능한 선반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선반{REFRIGERATOR SHELF}
본 발명은 냉장고 선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분되며,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의 냉기를 보존하기 위해 냉장고의 전면으로 도어가 설치된다. 그리고, 냉장고의 고내, 특히, 냉장실과 같은 수용공간의 경우, 수용공간에 저장될 음식물 등이 놓일 수 있는 복수의 선반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종래의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배치된 일반 선반의 경우, 선반들 사이의 간격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저장물을 저장하려면 일반 선반을 냉장실로부터 탈거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일반 선반을 반으로 나누어 하프폴딩 가능한 이단 선반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이단 선반은, 선반 사이의 간격에 비하여 낮은 저장물을 저장하는 경우에는 전면선반을 후면선반 전방에 배치하여 저장물을 안착시키는 역할을 하였고, 선반 사이의 간격에 비하여 높은 저장물을 저장하는 경우에는 전면선반을 후면선반으로 폴딩 또는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저장물을 안착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이단 선반의 경우에도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저장되는 저장물의 길이 또는 폭이 냉장실의 깊이에서 후면 선반의 길이를 뺀 길이보다 긴 경우에는 저장물이 냉장실 외부로 튀어나오기 때문에, 이러한 저장물을 보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둘째, 전면선반이 후면선반으로 폴딩되는 경우, 전면선반이 후면선반의 상면에 배치되어, 선반이 기존 위치보다 상부로 튀어나옴으로써, 미관 상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셋째, 전면선반이 후면선반 하부로 슬라이딩 인입되는 경우, 별도의 슬라이딩을 위한 구조가 필요하기 때문에, 냉장실의 저장용량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은, 후면 양측에 각각 돌출된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전면선반, 전면 양측에서 상기 제1 결합부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각각 돌출되어 상기 전면선반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2 결합부 및 후면 양측에 각각 돌출된 제3 결합부를 포함하는 후면선반, 후면프레임과 상기 후면프레임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선반 및 상기 후면선반을 지지하는 두 개의 측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프레임의 후면 양측에 상기 후면선반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3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4 결합부를 포함하는 선반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선반은 상기 후면선반 하면으로 폴딩되도록 회전 가능하고, 상기 후면선반은 상기 선반지지부의 상면 후단에 세워지도록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전면선반이 후면선반으로 아래로 회전하여 폴딩되기 때문에, 별도의 슬라이딩 인입장치가 필요없고, 냉장실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전면선반이 후면선반 아래로 회전하여 폴딩될 뿐만 아니라, 후면선반이 직각 또는 둔각으로 냉장실의 후방으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크기가 큰 저장물을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의 각 구성을 도시한 분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의 전면선반이 폴딩중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전면선반이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의 구성 중 전면선반의 제1 절개부의 구성을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의 후면선반의 폴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의 구성 중 후면선반이 선반지지부에 홀딩되는 부분의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의 구성 중 후면선반이 선반지지부에 홀딩되는 부분의 확대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조나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래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선반이 냉장실의 내부에 배치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이단 접이식 선반은 냉장실 및 냉동실 어디에도 적용 가능하고, 냉장고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게 적용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이 설치된 냉장고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케이스(10)의 내부에는 내부 케이스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케이스에는 식품의 냉장 또는 냉동 저장을 위한 냉장실과 냉동실이 형성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냉장실의 전면을 좌우 양측으로 회동하여 개방할 수 있도록 좌측과 우측에 각각 양문형 도어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전면에는 홈바 또는 디스펜서와 같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구성이 더 구비되기도 하며, 이와 같은 구성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냉동실 도어는 상기 냉동실의 전면을 좌우 양측으로 회동하여 개방할 수 있도록 좌측과 우측에 각각 양문형 도어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냉동실 도어에는 냉동실 내에 저장되는 저장 대상물을 수용하는 바스켓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의 양 측면의 각 상부에는 이동 레일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레일은 가이드 레일에 삽입된 채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된다.
이러한 이동 레일 및 가이드 레일은 레일 어셈블리를 구성하여, 상기 바스켓이 상기 내부 케이스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상기 바스켓을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냉장실(11) 내부에는 야채 등의 저장 대상물이 수용될 수 있는 드로워가 설치된다. 이러한 드로워는 상기 냉장실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에 수용된 저장 대상물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시킨다.
상기 드로워는 상기 냉장고의 냉장실 및/또는 냉동실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드로워의 롤러 결합 장치(300)에 결합되어 상기 냉장고의 냉장실 및/또는 냉동실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다. 또한, 상기 드로워는 내부에 야채 등의 저장 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해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냉장실(11) 내부에는 야채 등의 저장 대상물이 안착될 수 있는 선반(40)이 설치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40)이 냉장실 내부에서 하나의 선반으로 장착된 구성에 대해 설명하나, 냉장실 및 냉동실 내부의 공간에 설치된 모든 선반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40)이 설치될 수 있는 바, 설치되는 선반의 수에 대한 제한은 없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의 각 구성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의 전면선반이 폴딩중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전면선반이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의 구성 중 전면선반의 제1 절개부의 구성을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의 후면선반의 폴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의 구성 중 후면선반이 선반지지부에 홀딩되는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의 구성 중 후면선반이 선반지지부에 홀딩되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40)은 전면선반(410), 후면선반(420) 및 선반지지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선반(410)은 후단이 상기 후면선반(420)의 선단에 연결되어, 상기 후면선반(420)의 하면에 상기 전면선반(410)의 하면이 접촉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후면선반(420)은 상기 선반지지부(430)에 직각 또는 둔각으로 세워지도록, 상기 후면선반(420)의 후단이 선반지지부(430) 후단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선반지지부(430)는 상기 전면선반(410) 및 상기 후면선반(42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반지지부(430)는 상기 전면선반(410)이 상기 후면선반(420) 하면에 폴딩되는 경우, 상기 전면선반(410)의 상면에 접촉하여 상기 전면선반(410)을 지지할 수 있고, 상기 후면선반(420)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후면선반(420)이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후면선반(420)을 고정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전면선반(410), 상기 후면선반(420) 및 상기 선반지지부(43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선반지지부(430)는 두 개의 측면프레임 및 후면프레임(4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측면프레임은 상기 선반 지지부(430)의 후면프레임(433) 양 측면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전면선반(410) 및 상기 후면선반(420)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두 개의 측면 프레임은 각각 상기 전면 선반(410)이 지지되는 제1 측면부(431) 및 상기 후면 선반(420)이 지지되는 제2 측면부(432)를 구비한다.
상세히, 상기 제1 측면부(431)의 상면 중 상기 전면선반(410)의 후단과 상기 후면선반(420)의 전단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반원 형태의 삽입홈(4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434)은 상기 후면선반(420)과 상기 전면선반(410)의 연결부분이 안착되는 홈으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또한, 상기 제2 측면부(432)의 후단에는 상기 후면선반(420)이 연결되기 위한 제4 결합부(435)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히, 상기 제4 결합부(435)는 상기 제2 측면부(432)의 후단에서 반원형태로 돌출되고, 중심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측면부(432)는 상기 제4 결합부(435)의 후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후면선반(420)에 상면의 일부가 삽입되는 돌출부(436)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히, 상기 돌출부(436)는 상기 제2 측면부(432)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측면부(432)의 상부면의 일부는 상기 전면선반(410)의 높이만큼의 깊이를 가진 안착홈(437)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안착홈(437)의 길이는 상기 전면선반(410)의 측면부 길이와 동일하거나 짧을 수 있다. 상기 안착홈(435)의 길이가 상기 측면부 길이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전면선반(410)에 형성된 제1 절개부(414)의 길이와 상기 제2 측면부(432)의 상부면에 형성된 안착홈(435)의 길이의 합은 상기 전면선반(410)의 측면부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길 수 있다. 상기 제1 절개부(414)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후면프레임(433)은, 2 개의 상기 제2 측면부(432)의 후단 양 측면에 배치되어, 2 개의 상기 측면프레임이 서로 평행하도록 상기 제2 측면부(432) 양측면에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면프레임(433)은 상기 전면선반(410) 및 상기 후면선반(420)이 폴딩되는 경우 상기 전면선반(410) 및 상기 후면선반(420)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선반(410)은 전면유리(411)와 제1 프레임(412)을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전면선반(410) 및 상기 후면선반(420)이 각각 유리와 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선반 자체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전면유리(411)는 저장물을 선반에 보관할 경우, 저장물이 안착되는 영역이다. 그러나, 상기 저장물을 선반에 안착할 수만 있다면, 유리에만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상기 제1 프레임(412)은 상기 전면유리(411)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유리(411)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412)은 상기 후면선반(420)과 연결되기 위한 제1 결합부(413)와 상기 선반지지부(430)에서 상기 제2 측면부(432) 선단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1 절개부(4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413)는 상기 제1 프레임(412)의 후단 양측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제1 결합부(413)는 일정폭을 가지도록 상기 제1 프레임(412)의 후면양단에 각각 돌출되고, 상기 제1 결합부(413)의 폭방향은 상기 제1 프레임(412)의 후단과 평행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413)는 중심에서 폭방향으로 제1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절개부(414)는 상기 제1 프레임(412)의 후단 상면의 일부가 상기 제1 측면부(432)의 상면 폭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절개된 형태로 상기 제1 프레임(412)의 상면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절개부(414)에 상기 제2 측면부(432) 선단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프레임(412)이 회전하여 상기 후면선반(420) 아래로 폴딩되는 경우, 상기 제2 측면부(432) 중 삽입홈(434)과 안착홈(437) 사이에 배치된 부분이 상기 제1 절개부(414)에 삽입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절개부(414)에 상기 제2 측면부(432) 선단 일부가 삽입되면, 상기 제1 프레임(412)이 상기 안착홈(437)에 안착되더라도, 상기 후면선반(420)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후면선반(420)은 후면유리(421)와 제2 프레임(4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후면유리(421)는 상기 전면유리(411)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하는 바,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 프레임(422)은 상기 후면유리(421)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상기 후면유리(421)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422)은 상기 전면선반(410)과 연결되는 제2 결합부(423) 및 상기 선반지지부(430)와 연결되는 제3 결합부(4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423)는 상기 제2 프레임(422)의 선단 양측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제2 결합부(423)는 상기 제2 프레임(422)의 전면 양단에 일정 폭을 가지도록 돌출되고, 상기 제2 결합부(423)의 폭방향은 상기 제2 프레임(422)의 선단과 평행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결합부(423)의 중심에는 폭방향으로 제2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선반(410)과 상기 후면선반(420)은 상기 제1 결합부(413)와 상기 제2 결합부(423)에 제1 핀(50)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결합부(413)와 상기 제2 결합부(423)가 교차되어, 상기 제1 결합부(413)에 형성된 제1 개구와 상기 제2 결합부(423)에 형성된 제2 개구가 겹쳐져 연통개구를 형성하면, 상기 제1 핀(50)이 상기 제1 결합부(413) 및 상기 제2 결합부(423)에 의해 형성된 연통개구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결합부(413)는 상기 제2 결합부(423)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1 프레임(411)의 후면 양단에서 상기 제2 결합부(423)의 길이만큼 상기 제1 프레임(411)의 후면 중심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선반(411)이 상기 후면선반(420) 아래로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선반지지부(430)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제2 결합부(423)는 상기 제1 측면부(431) 후단에 형성된 상기 삽입홈(434)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3 결합부(424)는 상기 제2 프레임(422)의 후면 양단에 각각 돌출되어 중심에 제3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히, 상기 제3 결합부(424)는 상기 제2 프레임(422)의 후면 양단에서 돌출되고, 돌출부분 중 일부에 상기 제4 결합부(435)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포함한 상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 결합부(424)의 홈에 상기 제4 결합부(435)가 삽입되어 상기 제3 결합부(424)에 형성된 제3 개구와 상기 제4 결합부(435)에 형성된 제4 개구가 서로 연결되어 연통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3 결합부(424)에 형성된 홈(425)은 상기 제4 결합부(435)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4 결합부(435)의 폭보다 크거나 동일한 크기의 폭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422)의 후면 양단에서 상기 제3 결합부(424)와 연장되는 부분에는 제2 절개부(4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절개부(425)는 상기 제3 결합부(424)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제2 프레임(422)의 후면까지 일정폭을 가지도록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4 결합부(435)로부터 연장된 돌출부(436)의 상면 일부가 상기 제2 프레임(422)의 후면에 형성된 상기 제2 절개부(425)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40)은,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가 서로 연통되어 형성된 연통개구 각각에 삽입되는 2개의 제1 핀(50) 및 상기 제3 개구와 상기 제4 개구가 서로 연통되어 형성된 연통개구에 각각 삽입되는 2개의 제2 핀(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결합부(413)와 상기 제2 결합부(424)의 제1 개구 및 제2 개구는 상기 제1 핀(50)이 삽입될 수 있는 원형태의 개구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1 핀(50)은 원기둥 형태로 상기 제1 개구 및 제2 개구의 연통개구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전면선반(410)이 상기 후면선반(420) 아래로 폴딩할 수 있도록, 제1 결합부(413) 및 상기 제2 결합부(423)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결합부(435)는 원형태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 결합부(424)의 상기 제3 개구는 삽입개구(424a)와 홀딩개구(424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개구(424a)는 상기 후면선반(420)과 상기 선반지지부(430)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2 핀(60)이 삽입되는 개구이고, 상기 홀딩개구(424b)는 상기 제2 프레임(422)이 폴딩되는 경우, 상기 제2 핀(60)이 홀딩개구(424b)의 내면과 간섭하여 상기 제2 프레임(422)의 움직임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개구이다. 상세히, 상기 삽입개구(424a)는 원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홀딩개구(424b)는 상기 삽입개구(424a)의 원형태에서 양측면이 일부채워진 형태의 개구로, 상기 삽입개구(424a)의 원형태보다 좁은 폭의 개구일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제2 핀(60)은 상기 홀딩개구(424b)와 동일한 형태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의 폴딩동작을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40)의 전면선반(410)이 폴딩되는 동작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전면선반(410)의 후단은 상기 제1 결합부(413), 상기 제2 결합부(423) 및 상기 제1 핀(50)에 의해 상기 후면선반(420)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전면선반(410)을 밀면, 상기 전면선반(410)은 상기 후면선반(420) 밑으로 회전한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전면선반(410)이 회전하여, 상기 전면선반(410)의 하면과 상기 후면선반(420)의 하면이 접촉하면, 상기 전면선반(410)은 상기 제2 측면부(432)에 형성된 상기 안착홈(437)에 안착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후면선반(420)에 돌출된 상기 제2 결합부(423)는 상기 삽입홈(434)에 삽입되고, 상기 전면선반(410)에 형성된 제1 절개부(414)에 상기 제2 측면부(432)의 선단 일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후면선반(420)은 수평한 형태로 상기 선반지지부(430)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제2 측면부(432)에 형성된 안착홈(437)은 상기 전면선반(410)의 높이와 동일한 깊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전면선반(410)이 폴딩되어 상기 안착홈(437)에 안착되는 경우의 상기 후면선반(420)의 높이와 상기 전면선반(410)이 폴딩되기 전 상태에서의 상기 후면선반(420)의 높이와 기울기는 동일하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40)의 전면선반(410) 및 후면선반(420)이 폴딩되는 동작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전면선반(410)이 폴딩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후면선반(420)을 들어올리면, 상기 후면선반(420)의 제3 결합부(424), 상기 선반지지부(430)의 제4 결합부(435) 및 제2 핀(60)에 의해 상기 후면선반(420)이 냉장실의 후방으로 회전한다. 이 경우, 상기 제2 핀(60)은 상기 제3 결합부(424)의 삽입개구(424a)에 삽입되어 상기 후면선반(420)이 상기 선반지지부(430)에 세워지도록 회전한다. 이 경우, 상기 후면선반(420)은 90도로 회전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의 (b)를 참조하면, 상기 후면선반(420)이 회전하여 상기 후면선반(420)과 상기 선반지지부(430)가 수직이 되면, 상기 후면선반(42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2 핀(60)은 상기 제3 결합부(424)의 홀딩개구(424b)에 삽입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핀(60)과 상기 홀딩개구(424b)의 형태가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제2 핀(60)의 외주면은 상기 홀딩개구(424b)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홀딩개구(424b)의 내주면에 간섭된다. 상기 제2 핀(60)과 상기 홀딩개구(424b)의 간섭으로 발생되는 고정력에 의해 상기 후면선반(420)은 상기 선반지지부(430)에 수직인 상태에서 회전이 중지되고, 상기 선반지지부(430)에 세워진 상태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면선반(410) 및 상기 후면선반(420)은 완전히 폴딩되어 상기 냉장실에 공간을 제공한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선반(40)의 전면선반(410) 및 후면선반(420)이 폴딩되는 동작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 및 도 8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전면선반(410)이 폴딩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후면선반(420)을 들어올리면, 상기 후면선반(420)의 제3 결합부(424), 상기 선반지지부(430)의 제4 결합부(435) 및 제2 핀(60)에 의해 상기 후면선반(420)이 냉장실의 후방을 통해 회전한다.
도 6 및 도 8의 (b)를 참조하면, 상기 후면선반(420)의 후면 중 상기 제4 결합부(435)가 형성된 부분과 상기 선반지지부(430)의 돌출부(436)가 접촉하도록 상기 후면선반(420)이 회전하면, 상기 후면선반(420)의 상기 제3 결합부(424)에 형성된 상기 제2 절개부(425)에 상기 돌출부(436)의 상면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후면선반(420)이 상기 선반지지부(430)에 세워진 상태로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후면선반(420)은 90도 이상 회전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후면선반(420)이 고정된 상태에서 냉장고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앞으로 회전하여 제자리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에서는 냉장고 선반(40)의 전면선반(410) 및 후면선반(420)이 폴딩되는 두 가지 실시예를 각각 기재하였지만, 두 실시예는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본원 발명의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면 냉장고 선반의 구성요소가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Claims (8)

  1. 전면선반;
    상기 전면선반이 아래로 회전하도록, 상기 전면선반의 후단에 결합된 후면선반;
    상기 후면선반이 위로 회전하도록 상기 후면선반의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전면선반 및 상기 후면선반을 지지하는 선반지지부를 포함하고,
    제1 개구가 형성된 제1 결합부가 상기 전면선반 후단에 돌출 형성되고,
    제2 개구가 형성된 제2 결합부가 상기 후면선반 선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가 연결되어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가 형성한 연통개구에 제1 핀이 결합하여 상기 전면선반과 상기 후면선반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선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지지부는,
    후면프레임 및 상기 후면프레임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후면선반이 결합된 두 개의 측면프레임을 포함하는, 냉장고 선반.
  3. 제 2 항에 있어서,
    제3 개구가 형성된 제3 결합부가 상기 후면선반 후단 양측에 돌출 형성되고,
    제4 개구가 형성된 제4 결합부가 상기 두 개의 측면프레임 후단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3 결합부와 상기 제4 결합부가 연결되어 상기 제3 개구 및 상기 제4 개구가 형성한 연통개구에 제2 핀이 결합하여 상기 후면선반과 상기 선반지지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선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개구는,
    상기 제3 결합부와 상기 제4 결합부가 연결되면, 상기 제3 개구와 연통되어 연결핀이 삽입되는 삽입개구; 및
    상기 삽입개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후면선반이 90도 이상 회전하면 상기 연결핀이 삽입되며, 내주면이 상기 연결핀의 외주면과 간섭하여 상기 연결핀을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후면선반을 고정시키는 홀딩개구를 포함하는 냉장고 선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은,
    상기 전면선반이 지지되는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1 측면부의 후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후면선반이 지지되는 제2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부는,
    상기 전면선반이 상기 후면선반 아래로 회전하면 상기 전면선반의 상면이 안착되기 위해, 상기 전면선반의 측면길이에 대응되는 길이와 상기 전면선반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측면프레임의 이격거리는 상기 전면선반의 선단길이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선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선반은,
    상기 전면선반이 상기 후면선반 아래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2 측면부 선단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면 후단에 제1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선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은,
    상기 제2 측면부 후단에서 연장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면선반은,
    후면에 제2 절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면선반이 회전하면, 상기 후면선반이 고정되도록, 상기 제2 절개부에 상기 돌출부의 상면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선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 후단에는, 상기 전면선반이 상기 후면선반 아래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2 결합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선반.
KR1020150084201A 2015-06-15 2015-06-15 냉장고 선반 KR101774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201A KR101774101B1 (ko) 2015-06-15 2015-06-15 냉장고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201A KR101774101B1 (ko) 2015-06-15 2015-06-15 냉장고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442A true KR20160147442A (ko) 2016-12-23
KR101774101B1 KR101774101B1 (ko) 2017-09-01

Family

ID=57736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201A KR101774101B1 (ko) 2015-06-15 2015-06-15 냉장고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1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451A (ko) * 2017-08-17 2019-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선반
JP2019138557A (ja) * 2018-02-09 2019-08-22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5472A (ko) 2022-05-27 2023-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2263B2 (ja) 1995-10-26 2002-11-05 三洋電機株式会社 冷蔵庫等の棚のストッパー装置
KR101410460B1 (ko) 2009-07-02 2014-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선반 및 이를 갖춘 냉장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451A (ko) * 2017-08-17 2019-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선반
JP2019138557A (ja) * 2018-02-09 2019-08-22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4101B1 (ko) 2017-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78806B (zh) 储物装置及具有该储物装置的冰箱
US9464841B2 (en) Refrigerator
KR102560477B1 (ko) 냉장고
EP2292998B1 (en) Refrigerator draw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440261B1 (ko) 냉장고
EP2818814B1 (en) Refrigerator
US11725873B2 (en) Refrigerator
US10228186B2 (en) Refrigerator
CN105247307A (zh) 用于冰箱的搁架组件
EP2826403B1 (en) Storage having pair of drawers drawn in opposite directions
KR101774101B1 (ko) 냉장고 선반
KR102043201B1 (ko) 냉장고
KR101750543B1 (ko) 냉장고
WO2022262807A1 (zh) 制冷电器及其储存组件
KR20140119970A (ko) 냉장고
KR20010064432A (ko) 이중선반구조를 구비한 냉장고
CN109737683B (zh) 一种搁物架及冰箱
KR20020051121A (ko) 냉장고용 선반
KR19990017216U (ko) 냉장고의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