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4432A - 이중선반구조를 구비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이중선반구조를 구비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4432A
KR20010064432A KR1019990064629A KR19990064629A KR20010064432A KR 20010064432 A KR20010064432 A KR 20010064432A KR 1019990064629 A KR1019990064629 A KR 1019990064629A KR 19990064629 A KR19990064629 A KR 19990064629A KR 20010064432 A KR20010064432 A KR 20010064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variable
connecting rod
refrigerato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4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익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64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4432A/ko
Publication of KR20010064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443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물의 크기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어 냉장고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선반구조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11)의 내부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선반(21)과, 고정선반(21)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변선반(22)과, 고정선반(21)과 가변선반(22)을 상호 연결하며 가변선반(22)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하는 위치가변수단으로 이루어진 이중선반구조를 구비한다. 위치가변수단은 고정선반(21)과 가변선반(22)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봉(32)과, 연결봉(32)의 양단이 삽입되도록 고정선반(21)에 형성된 삽입공(23a)과, 연결봉(32)이 그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가변선반(22)이 고정선반(21)에 대해 상하이동가능하도록 가변선반(22)에 형성된 위치가변슬롯(31)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선반구조를 구비한 냉장고{Refrigerator having double-deck shelf structure}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물의 크기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어 냉장고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선반구조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선반구조를 구비한 냉장고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이루는 본체(1)의 내부에는 식품 등의 저장물을 냉동 및 냉장보관시키기 위한 저장실(2)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고, 이 저장실(2)의 내부에는 저장물을 적재하기 위한 다수의 평판형상의 선반(3)이 평행하게 설치된다.
선반(3)은 저장실(2)의 측벽에 돌출형성된 다수의 트랙(4)위에 삽탈가능하게 안착되며, 각 트랙(4)은 저장물의 다양한 크기에 따라 각 선반(3)사이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선반구조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부피가 큰 물품을 저장실(2)내부에 수용하기 위해서는 선반(3)을 트랙(4)에서 분리한 후 새 위치에 다시 안착시켜야 하는데, 이 때 각 트랙(4)은 상하로 위치고정되어 있으므로 각 선반(3) 역시 상하로 위치고정될 수밖에 없어 저장실(2)의 공간을 최적의 상태로 이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선반(3)을 분리하기 전 선반(3)위의 모든 저장물을 빼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저장물의 크기에 따라 선반(3)을 완전히 저장실(2)의 외부로 분리해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 때 선반(3)을 별도의 장소에 보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반을 저장실의 외부로 분리해 내지 않고도 저장물의 크기에 따라 자유롭게 위치를 가변하여 저장실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선반구조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선반구조를 구비한 냉장고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선반구조를 구비한 냉장고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선반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Ⅳ-Ⅳ선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선반구조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선반구조가 일부 펼쳐진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선반구조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이중선반 21...고정선반 22...가변선반
23a...삽입공 31...위치가변슬롯 32...연결봉
33...최대이격홈 34...최소이격홈 35...걸림턱
36...공간부 37...가변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의 내부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선반과, 고정선반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변선반과, 고정선반과 가변선반을 상호 연결하며 가변선반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하는 위치가변수단으로 이루어진 이중선반구조를 구비한다.
상기 위치가변수단은 고정선반과 가변선반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봉과, 연결봉의 양단이 삽입되도록 고정선반에 형성된 삽입공과, 연결봉이 그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가변선반이 고정선반에 대해 상하이동가능하도록 가변선반에 형성된 위치가변슬롯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는 외관을 이루는 본체(10)의 내부에 저장물을 냉동 또는 냉장보관하기 위한 저장실(11)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고, 각 저장실(11)을 개폐하는 도어(14)가 본체(10)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저장실(11)의 내부에는 저장물을 적재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선반(20)과 종래의 평판선반(12)이 다수 설치되고, 저장실(11)의 측벽에는 저장물의 크기에 따라 각 선반(20, 12)사이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선반(20, 12)을 상호 평행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트랙(13)이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중선반(20)은 트랙(13)위에 삽탈가능하게 안착되는 고정선반(21)과, 고정선반(21)의 하부에 위치하는 가변선반(22)과, 고정선반(21)과 가변선반(22)을 상호 연결하고 가변선반(22)의 위치를 상하로 가변하는 위치가변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선반(20)과 종래의 평판선반(12)은 저장실(11)의 공간 및 저장물의 크기에 따라 각각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 과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선반(20)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선반(20)의 고정선반(21)은 사각판형상으로 형성되며, 각 테두리에는 전·후면판(21a)(21b)과 좌·우측판(21c)(21d)이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하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판들(21a, 21b, 21c, 21d)에 의해 고정선반(21)의 하부에는 가변선반(22)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러한 고정선반(21)의 하부에 구비되는 가변선반(22)은 고정선반(21)보다 크기가 약간 작은 사각판형상으로 형성되며, 각 테두리에는 전·후면판(22a)(22b)과 좌·우측판(22c)(22d)이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하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가변수단은 고정선반(21)과 가변선반(22)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봉(32)과, 이 연결봉(32)의 양단이 삽입되도록 고정선반(21)에 형성된 삽입공(23a)과, 연결봉(32)의 이동을 안내하여 가변선반(22)이 고정선반(21)에 대해 상하이동가능하도록 가변선반(22)에 형성된 위치가변슬롯(31)을 포함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결봉(32)은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전후 한 쌍으로 이루어진 수직연결대(32b)와, 각 수직연결대(32b)의 하단에서 절곡하여 이들 수직연결대(32b)를 전후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연결대(32a)와, 각 수직연결대(32b)의 상단에서 외향절곡된 회동돌기(32c)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연결봉(32)은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23a)은 연결봉(32)의 회동돌기(32c)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고정선반(21)의 전·후면판(21a)(21b)의 내측가장자리부에 좌우 한 쌍으로 각각 구비되는데, 이 삽입공(23a)은 전·후면판(21a)(21b)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있는 삽입돌기(23)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위치가변슬롯(31)은 연결봉(32)의 수평연결대(32a)가 가변선반(22)의 전·후방을 관통하도록 가변선반(22)의 전·후면판(22a)(22b)의 각 내외측면을 관통하여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된다. 이 위치가변슬롯(31)은 횡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연결봉(32)의 수평연결대(32a)가 위치가변슬롯(31)에 삽통된 후 이를 따라 좌우이동함으로써 가변선반(22)을 승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위치가변수단에 있어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봉(32)의 수평연결대(32a)를 가변선반(22)의 전후측 위치가변슬롯(31)에 차례로 삽통시켜 가변선반(22)의 전후방을 관통한 후, 수직연결대(32b)의 상단에 형성된 회동돌기(32c)를 고정선반(21)의 전후측 삽입공(23a)에 각각 삽입시키면, 고정선반(21)과 가변선반(22)은 상호 연결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선반(21)에 연결된 가변선반(22)에 상하로 힘을 가하게 되면, 연결봉(32)의 수직연결대(32b)는 고정선반(21)의 삽입공(23a)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돌기(32c)를 축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수평연결대(32a)가 가변선반(22)의 위치가변슬롯(31)을 따라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가변선반(22)은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봉(32)과 위치가변슬롯(31)의 상호작동에 의해 상하이동이 가능한 가변선반(22)은 저장될 물품의 크기에 따라 가장 적합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은 가변선반(22)의 위치결정을 위해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가변슬롯(31)에는 연결봉(32)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홈(33, 34, 37)이 형성되어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위치가변슬롯(31)에 있어서, 가변선반(22)의 가장자리측 일단부 상측에 최대이격홈(33)이 형성되는데, 이 최대이격홈(33)에 연결봉(32)이 걸려 고정될 때, 연결봉(32)의 수직연결대(32b)가 거의 수직상태로 되어 가변선반(22)이 고정선반(21)과 최대로 이격되어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가변선반(22)의 중심부측의 위치가변슬롯(31) 타단부 상측에는 최소이격홈(34)이 형성되는데, 연결봉(32)의 수직연결대(32b)가 걸림돌기(32c)를 축으로 회동하여 최소이격홈(34)에 걸려 고정될 때, 가변선반(22)은 고정선반(21)과 최소로 이격되어 위치되게 된다. 이 때, 저장실내의 공간효율성과 미관을 고려하여 가변선반(22)은 고정선반(21)의 측면판들(21a, 21b, 21c, 21d)에 의해 형성된 하부공간내에 완전히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위치가변슬롯(31)의 길이는 수직연결대(32b)의 길이보다 약간 짧게 형성된다.
또한, 최대이격홈(33)과 최소이격홈(34)사이에는 다수의 가변홈(37)이 위치가변슬롯(31)의 상측에 형성되는데, 이들 가변홈(37)에 연결봉(32)을 적절히 위치시킴으로써 가변선반(22)의 하측에 보관되는 저장물의 크기에 따라 가변선반(22)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최소이격홈(34)에는 위치가변슬롯(31)의 상측에서 공간부(36)를 두고 일부절개되어 형성된 걸림턱(35)이 구비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연결봉(32)이 최소이격홈(34)에 삽입될 때에는 연결봉(32)이 걸림턱(35)을 상기 공간부(36)측으로 밀면서 최소이격홈(34)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걸림턱(35)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이러한 걸림턱(35)은 연결봉(32)이 가변선반(22)의 자중에 의해 최소이격홈(34)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선반(20)의 작동 및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봉(32)이 위치가변슬롯(31)의 최대이격홈(33)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고정선반(21)과 가변선반(22)사이의 공간이 최대로넓혀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에는 가변선반(22)에 놓인 저장물의 무게와 가변선반(22)의 자중에 의해 연결봉(32)은 최대이격홈(33)에 확실히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부피가 큰 물품을 저장할 수 있도록 가변선반(22)하부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자가 가변선반(22)을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봉(32)이 위치가변슬롯(31)을 따라 가변선반(22)의 중심부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가변선반(22)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되는 물품의 크기에 맞추어 적절한 위치의 가변홈(37)에 연결봉(32)을 삽입시키고, 가변선반(22)을 놓게 되면 연결봉(32)은 가변홈(37)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더욱이, 가변선반(22)에 놓여있던 기존의 저장물 중 비교적 부피가 작은 것은 가변선반(22)위에 그대로 적재한 상태에서 가변선반(22)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보다 더 큰 부피의 물품을 저장할 수 있도록 연결봉(32)이 최소이격홈(34)에 삽입될 때까지 가변선반(22)을 밀어올리게 되면,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선반(22)은 고정선반(21)의 하부공간에 수용되어 이들사이의 공간은 없어지게 되고, 가변선반(22)의 하부공간은 최대로 넓어지게 된다. 즉, 저장공간의 확보를 위해 종래와 같이 선반을 냉장고의 외부로 완전히 빼내어 별도로 보관해야 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가변선반(22)을 고정선반(21)에서 이격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가변선반(22)을 하측으로 잡아당기면, 연결봉(32)이 걸림턱(35)을 상기 공간부(36)측으로 밀면서 최소이격홈(34)에서 이탈하여 위치가변슬롯(31)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후 사용자가 원하는 가변홈(37) 또는 최대이격홈(33)에 연결봉(32)을 위치시킴으로써 가변선반(22)에 저장물을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선반과 가변선반으로 이루어진 이중선반구조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할 물품의 크기에 따라 선반과 기존의 저장물을 저장실의 외부로 완전히 빼내지 않고도 가변선반의 위치를 다양하게 가변하여 저장실의 공간을 최적의 상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냉장고의 효율과 사용상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저장물을 냉동 및 냉장보관하도록 저장실(11)을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11)의 내부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선반(21)과,
    상기 고정선반(21)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변선반(22)과,
    상기 고정선반(21)과 상기 가변선반(22)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가변선반(22)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하는 위치가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선반구조를 구비한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가변수단은 상기 고정선반(21)과 상기 가변선반(22)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봉(32)과, 상기 연결봉(32)의 양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선반(21)에 형성된 삽입공(23a)과, 상기 연결봉(32)이 그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가변선반(22)이 상기 고정선반(21)에 대해 상하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가변선반(22)에 형성된 위치가변슬롯(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선반구조를 구비한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32)은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전후 한 쌍으로 이루어진 수직연결대(32b)와, 상기 각 수직연결대(32b)의 하단에서 절곡하여 상기 수직연결대(32b)를 전후방향으로 연결하며 상기 위치가변슬롯(31)을 따라 좌우이동하는 수평연결대(32a)와, 상기 수직연결대(32b)의 상단에서 외향절곡되어 상기 삽입공(23a)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회동돌기(32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선반구조를 구비한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23a)은 상기 고정선반(21)의 전면판(21a)과 후면판(21b)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위치가변슬롯(31)은 상기 가변선반(22)의 전면판(22a)과 후면판(22b)의 각 내외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선반구조를 구비한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가변슬롯(31)의 상측에는 상기 연결봉(32)이 걸려 위치고정되는 다수의 홈(33, 34, 37)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선반구조를 구비한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홈(33, 34, 37)중에서 상기 가변선반(22)이 상기 고정선반(21)과 최소로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상기 연결봉(32)이 걸려 고정되는 홈(34)에는 상기 연결봉(32)이 상기 홈(34)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위치가변슬롯(31)의 상측에서 일부절개되어 형성된 걸림턱(3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선반구조를 구비한 냉장고.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32)과 상기 삽입공(23a)과 상기 위치가변슬롯(31)은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선반구조를 구비한 냉장고.
KR1019990064629A 1999-12-29 1999-12-29 이중선반구조를 구비한 냉장고 KR200100644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629A KR20010064432A (ko) 1999-12-29 1999-12-29 이중선반구조를 구비한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629A KR20010064432A (ko) 1999-12-29 1999-12-29 이중선반구조를 구비한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432A true KR20010064432A (ko) 2001-07-09

Family

ID=19631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4629A KR20010064432A (ko) 1999-12-29 1999-12-29 이중선반구조를 구비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443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702B1 (ko) * 2005-12-20 2008-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가변선반
KR100881989B1 (ko) * 2002-11-04 2009-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선반구조
KR101035180B1 (ko) * 2004-11-05 2011-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선반의 계단식 인출구조
WO2015185093A1 (en) * 2014-06-02 2015-12-10 Arcelik Anonim Sirketi Wire rack for a cooling unit
EP3805677A1 (en) * 2019-10-10 2021-04-14 Arçelik Anonim Sirketi A refrigerator comprising a movable shel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989B1 (ko) * 2002-11-04 2009-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선반구조
KR101035180B1 (ko) * 2004-11-05 2011-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선반의 계단식 인출구조
KR100848702B1 (ko) * 2005-12-20 2008-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가변선반
WO2015185093A1 (en) * 2014-06-02 2015-12-10 Arcelik Anonim Sirketi Wire rack for a cooling unit
EP3805677A1 (en) * 2019-10-10 2021-04-14 Arçelik Anonim Sirketi A refrigerator comprising a movable shel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99352A1 (en) Tool container
US6488168B1 (en) Article-storing box placed in an automobile trunk
CN106766632B (zh) 冰箱及其搁物架
KR20010064432A (ko) 이중선반구조를 구비한 냉장고
KR101199975B1 (ko) 수납 공간 분할 장치
KR101774101B1 (ko) 냉장고 선반
KR100881989B1 (ko) 냉장고용 선반구조
US6220465B1 (en) Freezer organizer system
KR100432733B1 (ko)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KR100476441B1 (ko) 냉장고의 선반
KR100203987B1 (ko) 냉장고의 선반
KR20050045684A (ko) 멀티형 러기지 플로어 박스
KR100782183B1 (ko) 냉장고 이중서랍
KR100389414B1 (ko) 냉장고용 선반
KR200391417Y1 (ko) 냉장고용 계란수납함
KR200281099Y1 (ko) 신발장
KR20050056767A (ko) 행거를 구비한 냉장고용 서랍
KR101071975B1 (ko) 냉장고용 선반
JP4259658B2 (ja) 冷蔵庫
KR101427049B1 (ko) 다단 적층 수납바구니
KR19990038482U (ko) 냉장고
KR200155035Y1 (ko) 냉장고용 보조선반 장치
CN217876733U (zh) 蛋架和冰箱
KR200184962Y1 (ko) 잡지수납대
CN214536977U (zh) 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