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1975B1 - 냉장고용 선반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1975B1
KR101071975B1 KR1020080130827A KR20080130827A KR101071975B1 KR 101071975 B1 KR101071975 B1 KR 101071975B1 KR 1020080130827 A KR1020080130827 A KR 1020080130827A KR 20080130827 A KR20080130827 A KR 20080130827A KR 101071975 B1 KR101071975 B1 KR 101071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receiving portion
partition
refrigerator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0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2420A (ko
Inventor
이영길
한남규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0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975B1/ko
Publication of KR20100072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2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97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선반은,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수용부;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는 제1면과 제2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티션을 포함하되, 상기 파티션은 상기 수용부 내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1 면 또는 상기 제2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뉘어지면, 나머지 하나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서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반에 보관되는 심품의 냉기와의 접촉요구 정도에 따라, 굴곡면이 형성되는 제1면과 평평한 판 형상의 제2면에 선택적으로 식품을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파티션

Description

냉장고용 선반{Shelf f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나눠지는 파티션을 구비한 냉장고용 선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장고용 선반에 관한 것으로 냉장고 내부에 채소나 과일과 같은 음식물을 보관하는 저장용기이다.
이러한 선반 내부공간을 활용하기 위해 종래에는 파티션을 이용하여 선반의 내부공간을 나누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어왔다.
하지만, 기존의 냉장고에 사용된 선반의 내부공간을 나누는 파티션은 고정형으로 되어 있거나, 후크 방식의 고정형으로 되어 있어 착탈만 가능한 구조로 되어있다.
고정형 파티션은 하나의 선반에 다른 종류의 식품을 보관하고자 할 때 공간활용이 어려운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후크 방식의 고정형으로 되어 있어 착탈만 가능한 구조는 선반 에서 파티션을 제거한 상태에서 파티션을 따로 보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선반 내부에 서로 다른 종류의 식품의 특성에 따라 선반의 내부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파티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선반은,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수용부;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는 제1면과 제2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티션을 포함하되, 상기 파티션은 상기 수용부 내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1면이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뉘어지면, 상기 제2면은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서 세워져 상기 수용부의 내부공간을 나누어 상기 제1면과 상기 바닥면에 식품을 놓고 보관할 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제2면이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뉘어지면, 상기 제1면은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서 세워져 상기 수용부의 내부공간을 나누어 상기 제2면과 상기 바닥면에 식품을 놓고 보관할 공간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선반은,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중 어느 하나는 굴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선반은, 상기 수용부 내부에 형성되는 걸림홈; 상기 회전축의 일단과 타단에 형성되는 확장부; 상기 확장부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선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선반에 보관되는 식품의 냉기와의 접촉요구 정도에 따라, 굴곡면이 형성되는 제1면과 평평한 판 형상의 제2면에 선택적으로 식품을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식품이 보관되지 않은 일측의 선반(즉, 제1면과 제2면이 뉘어지지 않은 쪽)에도 식품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기 때문에 선반의 공간활용이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선반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선반의 단면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선반의 단면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선반의 단면도 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선반은,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수용부;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는 제1면과 제2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티션을 포함하되, 상기 파티션은 상기 수용부 내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1면이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뉘어지면, 상기 제2면은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서 세워져 상기 수용부의 내부공간을 나누어 상기 제1면과 상기 바닥면에 식품을 놓고 보관할 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제2면이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뉘어지면, 상기 제1면은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서 세워져 상기 수용부의 내부공간을 나누어 상기 제2면과 상기 바닥면에 식품을 놓고 보관할 공간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선반은,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중 어느 하나는 굴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선반은, 상기 수용부 내부에 형성되는 걸림홈; 상기 회전축의 일단과 타단에 형성되는 확장부; 상기 확장부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부(1)는 바닥면(40)과 상기 바닥면(40)과 연속되게 형성되는 전면(10), 후면(20) 그리고 측면(30)으로 이루어지는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30)의 길이는 상기 전면(10)과 후면(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10), 후면(20) 그리고 측면(30)의 상단(즉, 상기 수용부의 상단)에는 돌출면(50)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면(50)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면(50)과 상기 전면(10), 후면(20) 그리고 측면(30) 사이에는 홈이 형성된다.
상기 측면(30) 하부(즉, 수용부의 내부 하측)에는 걸림홈(60)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60)에 의해 상기 측벽(30)의 외측은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측 벽(30)의 내측면은 함입되게 된다.
상기 수용부(1) 내부에는 파티션(200)이 힌지결합 된다.
상기 파티션(200)은 회전축(120)과 상기 회전축(120)에 형성되는 제1면(100)과 제2면(1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면(100)과 상기 제2면(110) 사이의 각도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면(100) 또는 상기 제2면(11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수용부(1)의 바닥면(40)에 뉘어지면, 나머지 하나는 상기 수용부(1)의 내부에서 세워지게 되도록 하게된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1면(100)이 바닥면(40)에 뉘어지면 상기 제2면(110)은 세워지게 되고, 이렇게 세워진 상기 제2면(110)은 상기 수용부(1)의 내부공간을 나누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면(100)위에 식품을 놓게되면, 식품의 무게에 의해 상기 파티션은 자연스럽게 제1면(100)이 바닥면(40)에 뉘어지고 상기 제2면(110)이 세워진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상기 제1면(100)과 상기 제2(110)면 중 어느 하나는 굴곡면으로 이루어지며, 다른 하나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일 예로 상기 제1면(100)에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연속되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면(100)은 물결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120)의 일단과 타단에는 확장부(125)가 형성되며, 상기 확장부(125)의 단면두께는 상기 회전축(120)의 중심부보다 두껍게 이루어지며, 상기 확장부(125) 내부에는 수용홈이 형성된다.
상기 확장부(125)의 끝단부(즉, 상기 수용홈의 입구부분)에는 걸림면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 내부에는 스프링(123)과 걸림돌기(121)가 삽입설치 된다.
상기 걸림돌기(121)는 원통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돌출면과 상기 수용홈에 형성되는 걸림면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수용홈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걸림돌기(121)가 상기 걸림홈(60)에 삽입 설치됨에 따라, 상기 파티션(200)은 상기 수용부(1) 내부에 힌지결합이 된다.
본 발명에 다른 냉장고용 선반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야채 채소와 같이 신선도의 유지를 위해 냉기와의 많은 접촉을 요구하는 식품을 보관하고자 할 때는 굴곡면이 형성되는 제1면(100)이 바닥에 오도록하고, 상기 제1면(100) 위에 식품을 놓게 된다.
이때, 식품의 무게에 의해 상기 파티션은 자연스럽게 제1면(100)이 바닥면(40)에 뉘어지고 상기 제2면(110)이 세워진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상기 굴곡면이 형성되는 제1면(100)에 형성되는 오목부와 볼록부 사이에는 냉기가 원활히 순환할 수 있기 때문에 식품에 냉기가 원활히 공급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선반의 바닥면과 식품사이에 거리가 이격되기 때문에 식품이 선반바닥면의 낮은 온도에 의해 동결되는 것이 방지된다.
냉기와의 많은 접촉을 요구하지 않은 식품을 보관하고자 할 때는 평평한 판 형상의 제2면(110)이 바닥에 오도록하고, 상기 제2면(110) 위에 식품을 놓게 된다.
이때, 식품의 무게에 의해 상기 파티션은 자연스럽게 제2면(110)이 바닥면(40)에 뉘어지고 상기 제1면(100)이 세워진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본 발명은 선반 내부에 서로 다른 종류의 식품의 특성에 따라 선반의 내부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파티션을 제공하는데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선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선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선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선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수용부 10: 전면
20: 후면 30: 측면
40: 바닥면 100: 제1면
110: 제2면 200: 파티션

Claims (3)

  1. 삭제
  2.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수용부;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는 제1면과 제2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티션을 포함하되,
    상기 파티션은 상기 수용부 내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1면이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뉘어지면, 상기 제2면은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서 세워져 상기 수용부의 내부공간을 나누어 상기 제1면과 상기 바닥면에 식품을 놓고 보관할 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제2면이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뉘어지면, 상기 제1면은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서 세워져 상기 수용부의 내부공간을 나누어 상기 제2면과 상기 바닥면에 식품을 놓고 보관할 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중 어느 하나는 굴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선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내부에 형성되는 걸림홈;
    상기 회전축의 일단과 타단에 형성되는 확장부;
    상기 확장부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선반.
KR1020080130827A 2008-12-22 2008-12-22 냉장고용 선반 KR101071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827A KR101071975B1 (ko) 2008-12-22 2008-12-22 냉장고용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827A KR101071975B1 (ko) 2008-12-22 2008-12-22 냉장고용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2420A KR20100072420A (ko) 2010-07-01
KR101071975B1 true KR101071975B1 (ko) 2011-10-10

Family

ID=42635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0827A KR101071975B1 (ko) 2008-12-22 2008-12-22 냉장고용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19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899B1 (ko) * 2010-07-22 2013-07-1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용 저장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8188U (ko) * 1980-08-13 1982-03-01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8188U (ko) * 1980-08-13 1982-03-0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2420A (ko)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7594B2 (ja) 保冷容器
EP2565566A2 (en) Accommodation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JP2010203735A (ja) 冷蔵庫
KR101071975B1 (ko) 냉장고용 선반
KR101091003B1 (ko) 냉장고용 선반
KR20090121029A (ko) 병홀더를 구비한 선반 및 이를 가지는 냉장고
KR19990038664U (ko) 냉장고의 도어가드
KR100735962B1 (ko) 냉장고용 홈바
JP2008224130A (ja) 冷蔵庫
US20190331406A1 (en) Drawer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CN114761745A (zh) 用于储存和供应冷冻甜品的容器
US9310125B2 (en) Refrigerator and door pocket of refrigerator
KR20070062350A (ko) 냉장고용 선반
KR20050003865A (ko)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KR100237696B1 (ko) 냉장고의 계란꽂이 선반
KR100514912B1 (ko) 냉장고
KR101125888B1 (ko) 냉장고의 야채보관함
KR20030039246A (ko) 냉장고의 선반
KR20080026389A (ko) 냉장고용 에그트레이 키트
KR200281032Y1 (ko) 냉장고의도어바스켓가변구조
KR19980032834U (ko) 냉장고의 냉장실 서랍식 인출장치
KR20230133717A (ko) 수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0765435B1 (ko) 냉장고 도어의 포켓 구조
KR20070097826A (ko) 냉장고용 도어바스켓
KR100727668B1 (ko) 냉장고용 선반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