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9065B1 - 분할장치 및 분할장치가 구비된 장치 - Google Patents

분할장치 및 분할장치가 구비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9065B1
KR101299065B1 KR1020110092163A KR20110092163A KR101299065B1 KR 101299065 B1 KR101299065 B1 KR 101299065B1 KR 1020110092163 A KR1020110092163 A KR 1020110092163A KR 20110092163 A KR20110092163 A KR 20110092163A KR 101299065 B1 KR101299065 B1 KR 101299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partition wall
partition
hole
lowe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2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8539A (ko
Inventor
박윤식
차현호
Original Assignee
박윤식
(주)세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식, (주)세고스 filed Critical 박윤식
Priority to KR1020110092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9065B1/ko
Publication of KR20130028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A47B88/975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in the form of repositionable partition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9Cooling space dividing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수납물을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서랍의 수납공간을 분할하는 분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 분할장치는 분할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납공간을 4분할, 3분할 및 2분할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분할장치 및 분할장치가 구비된 장치{Divider for Drawer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납물이 수용되도록 서랍에 구비된 수용공간을 분할하는 분할장치 및 상기 분할장치가 구비된 장치(가전기기나 가구와 같이 서랍이 구비된 물건의 통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 옷장 등의 가구와 냉장고, 전자레인지, 전자 오븐 등과 같은 가전기기 등에는 물체(수납물)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수용공간)이 구비된 수납체(서랍)이 구비되어 있다.
상술한 서랍의 수납공간에는 다양한 수납물이 저장되므로 사용자가 수납물들중에서 원하는 물체를 찾아서 인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사용자가 수납물을 구분하여 수납공간에 보관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을 분할하는 분할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은 미국 특허 제7,296,433호(2007.11.20)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분할장치는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이 수납공간 내부에 고정된 형태로 구비되어 있어 격벽의 위치를 조절할 수 없었다. 따라서 종래 분할장치는 수납되는 물체의 크기에 따라 물체가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것을 방해하여 오히려 서랍의 수납기능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종래 분할장치 중에는 수납공간을 4분할 하는 두 개의 격벽을 구비시키되 각각의 격벽이 수납공간 내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37377호(2010.12.30) 등에 개시되어 있다.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종래 분할장치는 서랍(D)의 수납공간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제1격벽(21)과 제2격벽(22)을 구비시켜 수납공간을 4분할함으로써 수납물의 크기에 따라 격벽에 의해 형성되는 각 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분할장치는 각 격벽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분할공간)의 크기를 조절 가능한 효과가 있는 반면 크기가 큰 수납물의 보관을 위해 특정 공간(23)의 크기를 키우면 주변에 있는 공간(24, 25, 26)의 크기가 작아져 수납물의 보관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즉 도 6과 같은 분할장치는 격벽에 의해 분할되는 각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기에는 유리하지만 경우에 따라 물체를 수납할 수 없는 공간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수용공간의 효율적 활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수납물을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서랍의 수납공간을 분할하는 분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공간의 분할을 통해 형성되는 분할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분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납공간을 3분할 또는 4분할 가능하도록 구비된 분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수납공간을 구비한 서랍의 상기 수납공간을 구분하는 분할장치에 있어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수납공간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두 개의 공간으로 분리하는 제1격벽과, 상기 제1격벽에 결합되고 상기 제1격벽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을 두 개의 공간으로 분할시키도록 구비되는 제2격벽과, 상기 제2격벽에 삽입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2격벽의 길이를 신장시키는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며 상기 제2격벽에서 인출될 경우 상기 제1격벽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공간 중 다른 하나의 공간을 두 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제3격벽을 포함하는 분할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제1격벽은 상기 서랍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제1하부로드, 상기 제1하부로드의 상부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상부로드, 상기 제1하부로드와 상기 제1상부로드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제1로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격벽은 상기 서랍의 바닥면에 위치하되 상기 제1하부로드와 결합하는 제2하부로드, 상기 제2하부로드의 상부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1상부로드와 결합하는 제2상부로드, 상기 제2하부로드와 상기 제2상부로드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제2로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격벽은 상기 제2하부로드에 삽입되는 제3하부로드, 상기 제2상부로드에 삽입되는 제3상부로드, 상기 제3하부로드와 상기 제3상부로드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제3로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분할장치는 상기 제2상부로드와 상기 제2하부로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돌기, 상기 제3상부로드와 상기 제3하부로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제1돌기가 수용되도록 구비되는 제1수용홈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제3상부로드와 상기 제3하부로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돌기, 상기 제2상부로드와 상기 제2하부로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제1돌기가 수용되도록 구비되는 제1수용홈으로 구비되는 제3격벽 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분할장치는 상기 제1격벽과 상기 제2격벽을 결합시키는 바디, 상기 바디를 관통하는 착탈부 관통홀이 구비된 허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격벽은 상기 바디에 고정되되 상기 착탈부 관통홀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하부로드, 상기 바디에 고정되되 상기 착탈부 관통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상부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3격벽은 상기 착탈부 관통홀에 삽입되는 바디착탈부, 상기 바디착탈부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3하부로드, 상기 제3하부로드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되 상기 바디착탈부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3상부로드, 상기 제3하부로드의 타단과 상기 제3상부로드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3로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 분할장치는 상기 착탈부 관통홀에 구비되는 제2돌기, 상기 제2돌기가 수용되되 상기 바디착탈부에 구비되는 제2수용홈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바디착탈부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2돌기, 상기 착탈부 관통홀에 구비되어 상기 제2돌기가 수용되는 제2수용홈으로 구비되는 제3격벽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브는 상기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상부로드 관통홀과 하부로드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격벽은 상기 상부로드 관통홀에 삽입되는 제1상부로드, 상기 하부로드 관통홀에 삽입되는 제1하부로드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바디가 상기 제1격벽을 따라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 분할장치는 상기 상부로드 관통홀과 상기 하부로드 관통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3돌기, 상기 제3돌기가 수용되도록 상기 제1상부로드와 상기 제1하부로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3수용홈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제1상부로드와 상기 제1하부로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3돌기, 상기 제3돌기가 수용되도록 상기 상부로드 관통홀과 상기 하부로드 관통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3수용홈으로 구비되는 제2격벽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격벽은 상기 바디에 고정되되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상부로드와 제1하부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부로드는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상부수용관, 상기 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수용관에 삽입되며 상기 상부수용관에서 인출 가능한 상부삽입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부로드는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하부수용관, 상기 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수용관에 삽입되며 상기 하부수용관에서 인출 가능한 하부삽입축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허브는 상기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상부수용관과 상기 하부수용관이 삽입되는 제1격벽 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분할장치는 상기 제2격벽이 고정되는 회전바디, 상기 회전바디의 마주보는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바디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제1격벽이 고정되는 바디, 상기 회전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착탈부 관통홀이 구비된 허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격벽은 상기 바디를 관통하는 제1상부로드, 상기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상부로드와 소정거리 이격되는 제1하부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격벽은 상기 회전바디에 고정되되 상기 착탈부 관통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상부로드, 상기 회전바디에 고정되되 상기 착탈부 관통홀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하부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3격벽은 상기 착탈부 관통홀에 삽입되는 바디착탈부, 상기 바디착탈부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3하부로드, 상기 제3하부로드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되 상기 바디착탈부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3상부로드, 상기 제3상부로드의 타단과 상기 제3하부로드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3로드 고정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고, 수납공간이 구비된 서랍, 상기 수납공간 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분할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분할장치는 상기 수납공간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두 개의 공간으로 분리하는 제1격벽과, 상기 제1격벽에 결합되고 상기 제1격벽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을 두 개의 공간으로 분할시키도록 구비되는 제2격벽과, 상기 제2격벽에 삽입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2격벽의 길이를 신장시키는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며 상기 제2격벽에서 인출될 경우 상기 제1격벽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공간 중 다른 하나의 공간을 두 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제3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장치가 구비된 장치(가구 및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개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수납물을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서랍의 수납공간을 분할하는 분할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공간의 분할을 통해 형성되는 분할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분할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납공간을 3분할 또는 4분할 가능하도록 구비된 분할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분할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 분할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 분할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종래 분할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 분할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분할장치(100)는 수납공간(S)이 구비된 서랍(D)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분할장치(100)는 상기 수납공간(S)의 마주보는 양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수납공간(S)을 두 개의 공간(분할공간, S1과 S2)으로 분할하는 제1격벽(1), 일단은 상기 제1격벽(1)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납공간(S)에 접촉하여 상기 제1격벽(1)에 의해 분할된 두 개의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S1)을 다시 두 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제2격벽(3), 상기 제2격벽(3)에 삽입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2격벽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격벽에 의해 분할된 두 개의 공간 중 다른 하나의 공간(S2)를 두 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제3격벽(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격벽(1)은 수납공간(S)의 바닥면 방향에 위치(바닥면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하는 제1하부로드(13), 상기 제1하부로드의 상부방향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상부로드(11), 상기 제1상부로드(11)와 제1하부로드(13)가 고정되는 제1로드 고정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로드 고정부(15)는 상기 제1상부로드(11)와 제1하부로드(13)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수용공간(S)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1격벽(1)이 수용공간(S)의 내주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제1격벽(1)은 막대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상부로드와 제1하부로드에 의해 구비되는 경우를 설명한 것이지만 제1격벽(1)은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판(board)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제2격벽(3)은 상기 제1상부로드(11)와 결합하는 제2상부로드(31), 상기 제1하부로드(13)와 결합하는 제2하부로드(33), 상기 제2상부로드와 제2하부로드가 고정되는 제2로드 고정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격벽(1)의 제1상부로드(11)와 제1하부로드(13)가 제2격벽(3)의 제2상부로드(31)와 제2하부로드(33)에 연결되는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데 도 1은 제1상부로드(11)와 제1하부로드(13)가 제2상부로드(31)의 외주면과 제2하부도르(33)의 외주면에 각각 고정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달리 상기 제1상부로드(11)는 상기 제2상부로드(31)의 외주면 상부 또는 하부에 고정되고, 제1하부로드(13)는 상기 제2하부로드(33)의 외주면 상부 또는 하부에 고정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2로드 고정부(35)는 제2상부로드(31)와 제2하부로드(33)를 고정하되 수납공간(S)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구비되어 제2격벽(3)이 수납공간(S)의 내주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수납공간(S)은 제1격벽(1)에 의해 두 개의 공간(S1, S2)으로 분할되고, 상기 두 개의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S1)은 상기 제2격벽(3)에 의해 두 개의 공간으로 분할된다.
한편 상기 제3격벽(5)은 상기 제2격벽(3)으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격벽(1)에 의해 분할 된 공간(S1, S2) 중 제2격벽(3)에 의해 분할되지 않은 공간(S2)을 선택적으로 분할하는 수단이다.
즉 상기 제3격벽(5)은 상기 제2격벽의 제2상부로드(31)에 인출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3상부로드(51), 상기 제2격벽의 제2하부로드(33)에 인출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3하부로드(53), 제3상부로드(51)와 제3하부로드(53)가 고정되는 제3로드 고정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로드 고정부(55)는 제3상부로드(51)와 제3하부로드(53)가 제2상부로드(31)와 제2하부로드(33)에서 인출될 경우 수납공간(S)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제3격벽(5)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수납공간(S)는 제3격벽(5)이 제2격벽(3)에서 인출되면 4분할되고, 제3격벽(5)이 제2격벽(3)에 삽입되면 3분할되므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수납공간(S)를 4분할하여 수납물을 저장할 수도 있고, 수납공간(S)을 3분할하여 수납물을 저장 할 수도 있게 된다.
한편 제2격벽(3)에서 인출된 제3격벽(5)이 서랍(D)의 이동 중 제2격벽(3)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3격벽(5)은 제3격벽 위치고정부(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격벽 위치고정부(57)는 상술한 기능을 구현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제2격벽의 제2상부로드(31) 내주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1돌기(571)와, 상기 제3상부로드(51)에 구비되어 상기 돌기(571)가 수용되는 제1수용홈(573)이 일례가 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돌기(571)는 제3상부로드(51)에 구비되고 제1수용홈(573)은 제2상부로드(31)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나아가 상기 제3격벽 위치고정부(57)는 제2하부로드(33)와 제3하부로드(53)에도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돌기(571)와 제1수용홈(573)은 제2하부로드(31) 내주면과 제3하부로드(53)의 외주면에 각각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격벽(3)에서 제3격벽(5)이 인출되면 제1돌기(571)와 제1수용홈(573)이 체결되어 서랍(D)의 이동에 의해 제3격벽(5)이 의도하지 않게 제2격벽(3)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분할장치(100)는 수납공간(S) 내부에서 제2격벽(3)의 위치를 변경하기 어려운데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분할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 분할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분할장치(100)는 제3격벽(5)이 제2격벽(2)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될 뿐만 아니라 제2격벽(3)이 수납공간(S)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분할장치(100)는 제1격벽(1)과 제2격벽(3)이 고정되되 제2격벽(3)이 제1격벽(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허브(7)를 더 포함한다.
상기 허브(7)는 상기 제2격벽(3)이 고정되는 바디(71)를 포함하는데 상기 바디(71)에는 제1격벽(1)이 바디(71)를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제1격벽 관통홀(73)이 구비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격벽 관통홀(73)은 후술할 착탈부 관통홀(75)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1격벽(1)의 제1상부로드(11)가 삽입되는 상부로드 관통홀(731), 상기 착탈부 관통홀(75)의 하부에 구비되어 제1하부로드(13)가 삽입되는 하부로드 관통홀(733)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바디(71)는 상기 제1상부로드(11)와 제1하부로드(13)를 따라 수납공간(S) 내부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2격벽(3)의 제2상부로드(31)와 제2하부로드(33)는 상기 바디(7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상기 제1상부로드(11)와 상기 제1하부로드(13)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바디(71)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격벽(3)에 삽입되되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3격벽(5)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처럼 제3상부로드(51)와 제3하부로드(53)가 상기 바디(71)를 관통하여 제2상부로드(31)와 제2하부로드(33)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도 2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 구비되는 제3격벽(5)의 경우 제3상부로드(51)와 제3하부로드(53)의 일단은 제3로드 고정부(55)에 의해 고정되고, 제3상부로드(51)와 제3하부로드(53)의 타단은 바디착탈부(59)에 의해 고정된다.
이 때 상기 바디(71)에는 상기 바디착탈부(59)가 관통하는 착탈부 관통홀(75)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3격벽(5)은 상기 착탈부 관통홀(75)을 통해 제2격벽(3)의 제2상부로드(31)와 제2하부로드(33)가 형성하는 공간에 삽입되거나 제2상부로드(31)와 제2하부로드(33)가 형성하는 공간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허브(7)는 제2격벽(3)에서 인출된 제3격벽(5)이 서랍(D)의 이동 중 제2격벽(3)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2격벽(3)에 삽입된 제3격벽(5)이 서랍의 이동 중 제2격벽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3격벽 고정부(7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격벽 고정부(77)는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한 다양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는데 착탈부 관통홀(75)의 내주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2돌기(771)와, 상기 바디착탈부(59)에 구비되어 상기 제2돌기(771)가 수용되는 제2수용홈(773)을 포함하는 제3격벽 고정부(77)가 일례가 될 수 있다.
나아가 제3격벽 고정부(77)의 제2수용홈(773)은 바디착탈부(59) 뿐만 아니라 제3로드 고정부(55)에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로드 고정부(55)는 제3격벽(5)이 제2격벽(3)에 삽입될 경우 상기 착탈부 관통홀(75)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제2수용홈(773)이 제3로드 고정부(55)에 구비되어 있으면 제2격벽(3)에 삽입된 제3격벽(5)이 서랍의 이동 중 제2격벽(3)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돌기(771)는 상기 바디착탈부(59)에 구비되고 상기 제2수용홈(773)은 상기 착탈부 관통홀(75)에 구비되도록 제3격벽 고정부(77)를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분할장치(100)는 제1격벽(1)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2격벽(3)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격벽 고정부(7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격벽 고정부(79)는 바디(71)를 관통하는 상부로드 관통홀(731)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제3돌기(791), 상기 제1격벽(1)의 제1상부로드(11)에 상기 제3돌기(791)가 수용되도록 구비되는 제3수용홈(793)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3돌기(791)는 제1상부로드(11)에 구비되고 제3수용홈(793)은 상부로드 관통홀(731)에 구비되도록 제2격벽 고정부(79)를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상기 제2격벽 고정부(79)는 상기 제3돌기(791)와 제3수용홈(793)이 하부로드 관통홀(733)과 제1하부로드(13)에 각각 더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분할장치(100)는 제2격벽에 의해 분할되는 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격벽(3)이 임의로 이동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분할장치(100)는 4분할된 수납공간(S)을 필요에 따라 3분할시킴으로써 제2격벽(3)으로 분할된 공간에 보관하기 어려운 수납물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 분할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는 제3격벽(3)을 통해 4분할된 수납공간을 3분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제1격벽(1)의 길이를 조절하여 3분할된 수납공간을 2분할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구비되는 제1격벽(1)은 제1상부로드(11)와 제1하부로드(13)를 포함하되 상기 제1상부로드(11)는 상부수용관(111)과 상부삽입축(113)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하부로드(13)는 하부수용관(131)과 하부삽입축(13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수용관(111)은 내부가 비어있는 파이프형상으로 구비되되 허브(7)의 바디(71)에 고정되어 구비되고, 상기 상부삽입축(113)은 상기 바디(71)를 관통하여 상부수용관(111)에 삽입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수용관(131) 역시 파이프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바디(71)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삽입축(133)은 바디(71)를 관통하여 하부수용관(131)에 삽입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부삽입축(113)과 하부삽입축(133)을 상부수용관(111)과 하부수용관(131)에 삽입함으로써 3분할된 수납공간을 2분할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격벽(1)은 삽입축 고정부(17)가 더 구비되어 서랍의 이동 중 삽입축(113, 133)들이 수용관(111, 131)에서 인출되거나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삽입축 고정부(17)는 상기 상부수용관(111)의 내부 또는 상부삽입축(113)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4돌기(171), 상기 제4돌기가 수용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상부수용관(111)의 내부 또는 상기 상부삽입축(113)의 외주면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제4수용홈(173)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삽입축 고정부(17)는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한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으며 도 4 (a)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1상부로드(11)에만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 4 (a)는 상부수용관(111)과 하부수용관(131)은 바디(71)에 고정되고 상부삽입축(113)과 하부삽입축(133)만이 이동 가능한 구조를 도시한 것이나 도 4 (b)는 상부수용관(111)과 하부수용관(131)도 바디(71)를 관통하여 상부삽입축(113)과 하부삽입축(133)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도 4 (b)의 실시예의 경우 상부수용관(111)은 바디(71)에 구비된 상부로드 관통홀(731)을 통해 상기 바디(7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하부수용관(131) 역시 바디(71)에 구비된 하부로드 관통홀(733)을 통해 상기 바디(71)를 관통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분할장치(100)에는 상기 상부수용관(111)과 하부수용관(131)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수용관 고정부(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관 고정부(8)는 바디(71)에 구비된 상부로드 관통홀(731)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5돌기(81), 상기 제5돌기가 수용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상부삽입축(113)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5수용홈(83)으로 구비될 수 있다(제5돌기는 상부삽입축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제5수용홈은 상부로드 관통홀에 구비되어도 무방함).
나아가 상기 수용관 고정부(8)는 제5돌기(81)와 제5수용홈(83)이 하부로드 관통홀(733)과 하부삽입축(133)에 각각 추가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 분할장치(1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분할장치(100)는 제2격벽(3)과 제3격벽(5)이 허브(9)를 통해 회전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이는 수납공간(S)이 제1격벽(1)에 의해 2분할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분할장치는 도 2-3에 도시된 분할장치와 비교할 때 제2격벽(3)과 제3격벽(5)이 허브(9)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이 특징이므로 이하에서는 허브(9)를 중심으로 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구비된 허브(9)는 제1격벽(1)이 고정되는 바디(91), 상기 제2격벽(3)이 고정되되 상기 바디(9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회전바디(94), 상기 회전바디(94)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3격벽(5)이 고정되는 바디착탈부(59)가 수용되는 착탈부 관통홀(95)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91)는 상기 회전바디(94)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바디(911), 상기 회전바디(94)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바디(913), 상기 상부바디와 하부바디를 연결하는 연결바디(915)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바디(911)와 하부바디(913)에는 제1격벽 관통홀(93)의 상부로드 관통홀(931)과 하부로드 관통홀(933)이 각각 구비되는데 상부로드 관통홀(931)에는 제1상부로드(11)가 삽입되고 하부로드 관통홀(933)에는 제1하부로드(13)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상부바디(911)와 하부바디(913)에는 상기 회전바디(94)의 회전축을 구성하는 상부회전축(9111)과 하부회전축(9131)이 구비된다.
한편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상부바디(911)와 하부바디(913)는 연결바디(915)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데 상기 연결바디(915)는 상기 제2격벽(3)과 제3격벽(5)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결바디(915)는 상기 제2격벽(3)과 제3격벽(5)이 제1격벽(1)의 제1상부로드(11)와 제1하부로드(13) 사이에 위치한 경우 제2격벽(3)과 제3격벽(5)에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회전바디(94)의 회전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바디(94)는 상부바디(911)와 하부바디(913) 사이에 위치하는 원기둥형상으로 구비되되 상부회전축(9111)이 수용되는 상부 축수용홈(941)과 하부회전축(9131)이 수용되는 하부 축수용홈(943)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바디(94)의 중심에는 상기 착탈부 관통홀(95)이 구비되어 바디착탈부(59)가 수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바디(94)에는 제2격벽(3)이 고정되는데 상기 제2격벽(3)의 제2상부로드(31)는 착탈부 관통홀(95)의 상부에 고정되고, 제2하부로드(33)는 착탈부 관통홀(95)의 하부에 고정된다.
상기 바디착탈부(59)는 제3격벽(5)의 제3상부로드(51)와 제3하부로드(53)의 일단을 고정하되 상기 회전바디(94)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므로 제3격벽(5)에 외력이 작용하면 바디착탈부(59)는 제2격벽(3)의 제2상부로드(31)와 제2하부로드(33)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허브(9)에도 서랍의 이동 중 제3격벽(5)이 제2격벽(3)에 삽입되거나 제2격벽(3)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격벽 고정부(9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격벽 고정부(97)는 착탈부 관통홀(95)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제6돌기(971), 제6돌기가 수용되되 상기 바디착탈부(59)에 구비되는 제6수용홈(973)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3격벽 고정부(9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6돌기(971)는 바디착탈부(59)에 구비되고 제6수용홈(973)은 착탈부 관통홀(95)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제6수용홈(973)은 제3로드 고정부(55)에 추가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허브(9)가 구비된 분할장치(100)는 제1격벽(1), 제2격벽(3) 및 제3격벽(5)을 통해 수납공간을 4개의 공간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 때 제3격벽(5)을 제2격벽(3)에 삽입하면 수납공간을 3개의 공간으로 분할할 수 있고, 회전바디(94)를 통해 제2격벽(3)과 제3격벽(5)을 회전시키면 수납공간을 2개의 공간으로 분할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납물의 크기에 맞게 수납공간을 분할하여 수납물의 보관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 분할장치는 수납물을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납공간의 효율적 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분할장치가 구비된 장치(가구나 가전기기와 같이 서랍이 구비된 물건의 통칭)로 확장될 수 있다.
즉 가구나 가전기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내부에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인출 가능한 서랍이 구비되고, 상기 서랍의 수납공간에 상술한 분할장치를 구비시킨다면 수납공간의 분할이 용이한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필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분할장치 1: 격벽 11: 제1상부로드
111: 상부수용관 113: 상부삽입축 13: 제1하부로드
131: 하부수용관 133: 하부삽입축 15: 제1로드고정부
17: 삽입축 착탈부 3: 제2격벽 31: 제2상부로드
33: 제2하부로드 35: 제2로드 고정부 5: 제3격벽
51: 제3상부로드 53: 제3하부로드 55: 제3로드고정부
57: 제3격벽 위치고정부 59: 바디착탈부 7: 허브
71: 바디 73: 제1격벽 관통홀 75: 착탈부 관통홀
77: 제3격벽 고정부 79: 제2격벽 고정부 8: 수용관 고정부

Claims (12)

  1. 수납공간을 구비한 서랍의 상기 수납공간을 구분하는 분할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두 개의 공간으로 분리하는 제1격벽;
    상기 제1격벽에 결합되고 상기 제1격벽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을 두 개의 공간으로 분할시키도록 구비되는 제2격벽;
    상기 제2격벽에 삽입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2격벽의 길이를 신장시키는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며, 상기 제2격벽에서 인출될 경우 상기 제1격벽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공간 중 다른 하나의 공간을 두 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제3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3격벽이 상기 제2격벽에 삽입되면 상기 수납공간은 세 개의 공간으로 분할되고, 상기 제3격벽이 상기 제2격벽으로부터 인출되면 상기 수납공간은 네 개의 공간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격벽은 상기 서랍의 바닥면 방향에 위치하는 제1하부로드, 상기 제1하부로드의 상부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상부로드, 상기 제1하부로드와 상기 제1상부로드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제1로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격벽은 상기 서랍의 바닥면 방향에 위치하되 상기 제1하부로드와 결합하는 제2하부로드, 상기 제2하부로드의 상부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1상부로드와 결합하는 제2상부로드, 상기 제2하부로드와 상기 제2상부로드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제2로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격벽은 상기 제2하부로드에 삽입되는 제3하부로드, 상기 제2상부로드에 삽입되는 제3상부로드, 상기 제3하부로드와 상기 제3상부로드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제3로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부로드와 상기 제2하부로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돌기와, 상기 제3상부로드와 상기 제3하부로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제1돌기가 수용되도록 구비되는 제1수용홈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제3상부로드와 상기 제3하부로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돌기와, 상기 제2상부로드와 상기 제2하부로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제1돌기가 수용되도록 구비되는 제1수용홈으로 구비되는 제3격벽 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격벽과 상기 제2격벽을 결합시키는 바디, 상기 바디를 관통하는 착탈부 관통홀이 구비된 허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격벽은 상기 바디에 고정되되 상기 착탈부 관통홀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하부로드, 상기 바디에 고정되되 상기 착탈부 관통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상부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3격벽은 상기 착탈부 관통홀에 삽입되는 바디착탈부, 상기 바디착탈부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3하부로드, 상기 제3하부로드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되 상기 바디착탈부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3상부로드, 상기 제3하부로드의 타단과 상기 제3상부로드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3로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 관통홀에 구비되는 제2돌기, 상기 제2돌기가 수용되되 상기 바디착탈부에 구비되는 제2수용홈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바디착탈부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2돌기, 상기 착탈부 관통홀에 구비되어 상기 제2돌기가 수용되는 제2수용홈으로 구비되는 제3격벽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상기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상부로드 관통홀과 하부로드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격벽은 상기 상부로드 관통홀에 삽입되는 제1상부로드, 상기 하부로드 관통홀에 삽입되는 제1하부로드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바디가 상기 제1격벽을 따라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로드 관통홀과 상기 하부로드 관통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3돌기, 상기 제3돌기가 수용되도록 상기 제1상부로드와 상기 제1하부로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3수용홈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제1상부로드와 상기 제1하부로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3돌기, 상기 제3돌기가 수용되도록 상기 상부로드 관통홀과 상기 하부로드 관통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3수용홈으로 구비되는 제2격벽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격벽은 상기 바디에 고정되되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상부로드와 제1하부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부로드는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상부수용관, 상기 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수용관에 삽입되며 상기 상부수용관에서 인출 가능한 상부삽입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부로드는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하부수용관, 상기 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수용관에 삽입되며 상기 하부수용관에서 인출 가능한 하부삽입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상기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상부수용관과 상기 하부수용관이 삽입되는 제1격벽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격벽이 고정되는 회전바디, 상기 회전바디의 마주보는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바디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제1격벽이 고정되는 바디, 상기 회전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착탈부 관통홀이 구비된 허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격벽은 상기 바디를 관통하는 제1상부로드, 상기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상부로드와 소정거리 이격되는 제1하부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격벽은 상기 회전바디에 고정되되 상기 착탈부 관통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상부로드, 상기 회전바디에 고정되되 상기 착탈부 관통홀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하부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3격벽은 상기 착탈부 관통홀에 삽입되는 바디착탈부, 상기 바디착탈부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3하부로드, 상기 제3하부로드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되 상기 바디착탈부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3상부로드, 상기 제3상부로드의 타단과 상기 제3하부로드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3로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장치.
  11.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고, 수납공간이 구비된 서랍;
    상기 수납공간 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분할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분할장치는
    상기 수납공간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두 개의 공간으로 분리하는 제1격벽;
    상기 제1격벽에 결합되고 상기 제1격벽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을 두 개의 공간으로 분할시키도록 구비되는 제2격벽;
    상기 제2격벽에 삽입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2격벽의 길이를 신장시키는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며 상기 제2격벽에서 인출될 경우 상기 제1격벽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공간 중 다른 하나의 공간을 두 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제3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장치가 구비된 가구.
  12.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고, 수납공간이 구비된 서랍;
    상기 수납공간 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분할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분할장치는
    상기 수납공간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두 개의 공간으로 분리하는 제1격벽;
    상기 제1격벽에 결합되고 상기 제1격벽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을 두 개의 공간으로 분할시키도록 구비되는 제2격벽;
    상기 제2격벽에 삽입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2격벽의 길이를 신장시키는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며 상기 제2격벽에서 인출될 경우 상기 제1격벽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공간 중 다른 하나의 공간을 두 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제3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
KR1020110092163A 2011-09-09 2011-09-09 분할장치 및 분할장치가 구비된 장치 KR101299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163A KR101299065B1 (ko) 2011-09-09 2011-09-09 분할장치 및 분할장치가 구비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163A KR101299065B1 (ko) 2011-09-09 2011-09-09 분할장치 및 분할장치가 구비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539A KR20130028539A (ko) 2013-03-19
KR101299065B1 true KR101299065B1 (ko) 2013-08-27

Family

ID=48179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2163A KR101299065B1 (ko) 2011-09-09 2011-09-09 분할장치 및 분할장치가 구비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906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16399A1 (en) * 2016-10-31 2018-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orage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N108278806A (zh) * 2017-12-25 2018-07-1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储物装置及具有该储物装置的冰箱
CN109813042A (zh) * 2017-11-21 2019-05-28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储物装置及具有该储物装置的冰箱
CN109813041A (zh) * 2017-11-21 2019-05-28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储物装置及具有该储物装置的冰箱
CN109813038A (zh) * 2017-11-21 2019-05-28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储物装置及具有该储物装置的冰箱
WO2019100995A1 (zh) * 2017-11-21 2019-05-3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储物装置及具有该储物装置的冰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13044A (zh) * 2017-11-21 2019-05-28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储物装置及具有该储物装置的冰箱
CN109813040B (zh) * 2017-11-21 2022-03-25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储物装置及具有该储物装置的冰箱
CN108344242B (zh) * 2017-12-25 2020-12-08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储物装置及具有该储物装置的冰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1061A (ja) 2003-10-29 2005-05-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引出し
KR20100137377A (ko) * 2009-06-22 2010-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1061A (ja) 2003-10-29 2005-05-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引出し
KR20100137377A (ko) * 2009-06-22 2010-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16399A1 (en) * 2016-10-31 2018-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orage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10772423B2 (en) * 2016-10-31 2020-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orage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10743662B2 (en) 2017-11-21 2020-08-18 Qingdao Haier Co., Ltd. Storage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10859308B2 (en) 2017-11-21 2020-12-08 Qingdao Haier Co., Ltd. Storage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N109813038A (zh) * 2017-11-21 2019-05-28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储物装置及具有该储物装置的冰箱
WO2019100995A1 (zh) * 2017-11-21 2019-05-3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储物装置及具有该储物装置的冰箱
WO2019100994A1 (zh) * 2017-11-21 2019-05-3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储物装置及具有该储物装置的冰箱
US20200232701A1 (en) * 2017-11-21 2020-07-23 Qingdao Haier Co., Ltd. Storage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N109813042A (zh) * 2017-11-21 2019-05-28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储物装置及具有该储物装置的冰箱
CN113865247B (zh) * 2017-11-21 2023-09-19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储物装置及具有该储物装置的冰箱
CN109813038B (zh) * 2017-11-21 2020-10-30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储物装置及具有该储物装置的冰箱
CN109813041B (zh) * 2017-11-21 2020-11-27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储物装置及具有该储物装置的冰箱
CN109813041A (zh) * 2017-11-21 2019-05-28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储物装置及具有该储物装置的冰箱
CN113865247A (zh) * 2017-11-21 2021-12-31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储物装置及具有该储物装置的冰箱
CN108278806B (zh) * 2017-12-25 2020-12-11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储物装置及具有该储物装置的冰箱
CN108278806A (zh) * 2017-12-25 2018-07-1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储物装置及具有该储物装置的冰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539A (ko) 201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9065B1 (ko) 분할장치 및 분할장치가 구비된 장치
KR101315651B1 (ko) 냉장고 및 냉동고용 슬라이딩 선반
WO2020029887A1 (zh) 一种冰箱抽屉组件
KR102423571B1 (ko) 냉장고
US10619914B2 (en) Telescoping fixture applied to a refrigerator door or the like
US20140312759A1 (en) Food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262162B1 (ko) 자동 잠금 장치가 설치된 수납 공간 분할 장치
EP3061506B1 (en) Jungle gym
KR20130098623A (ko) 저장유닛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101199975B1 (ko) 수납 공간 분할 장치
EP4009833A1 (en) Magnetic separator for drawers and drawer system including the same
WO2020029889A1 (zh) 一种可调式冰箱抽屉组件
KR20200077957A (ko) 냉장고
US9243840B1 (en) Refrigerator drawer with swivel support for removable bins
KR200492097Y1 (ko)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
KR200473255Y1 (ko) 조립식 수납장
CN110822802B (zh) 一种用于冰箱的抽屉组件
KR200460599Y1 (ko) 파티션 선반장치
JP2017075738A (ja) 冷蔵庫
US20190331406A1 (en) Drawer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JP2000009381A (ja) 冷蔵庫の棚装置
JP2021085603A (ja) 冷蔵庫
JP6384830B2 (ja) 配膳車
JP2000197532A (ja) 収納具の引き出し
KR20050056767A (ko) 행거를 구비한 냉장고용 서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