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699A - 냉장고용 바스켓 조립체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바스켓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699A
KR20110001699A KR1020090059359A KR20090059359A KR20110001699A KR 20110001699 A KR20110001699 A KR 20110001699A KR 1020090059359 A KR1020090059359 A KR 1020090059359A KR 20090059359 A KR20090059359 A KR 20090059359A KR 20110001699 A KR20110001699 A KR 20110001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refrigerator
assembly
hook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9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1699A/ko
Priority to PCT/KR2010/004216 priority patent/WO2011002206A2/ko
Priority to CN201080029696.0A priority patent/CN102472562B/zh
Publication of KR20110001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6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2Bas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9Cooling space dividing part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바스켓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개방된 상측면의 외주부에 플랜지부를 갖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의 상측면을 가로질러 배치되며, 양단부에 상기 바스켓의 플랜지부와 결합되는 후크부가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저장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바스켓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후크부의 폭 보다 큰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바스켓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고정부가 절개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냉장고용 바스켓 조립체가 제공된다.
냉장고, 바스켓, 디바이더, 후크

Description

냉장고용 바스켓 조립체{BASCKET ASSEMBLY FOR A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용 바스켓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본체 내에 설치되어 음식물 등이 저장되는 바스켓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육류, 생선, 야채, 과일, 음료 등의 음식물을 신선한 상태로 보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냉동실, 냉장실, 야채실들 등의 저장 공간들이 구비된 냉장고 본체와, 상기 냉장고 본체에 구비되는 냉동사이클 장치와, 상기 냉장고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냉장고는 냉동실이나 냉장실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냉동사이클 장치가 작동하게 된다. 상기 냉동사이클 장치가 작동하게 됨에 따라 증발기에서 냉기를 형성하게 되며 그 증발기에 의해 형성되는 냉기는 저장 공간들을 순환 유동하게 된다. 냉기가 저장 공간들을 순환 유동하면서 그 저장 공간들을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냉장고의 본체 내에 형성되는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형태에 따라서 냉장고를 여러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러한 도어는 본체에 힌 지 결합되는 힌지식 도어와 서랍 형태로 장착되는 서랍식 도어로 대별할 수 있다. 도 1은 이러한 서랍식 도어를 갖는 냉장고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냉장고(10)는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12)와 상기 본체(12)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냉동실측 도어(14)와 냉장실측 도어(16)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도어(14, 16)의 하부에 서랍식 도어(1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서랍식 도어(18)의 상측 표면에는 손잡이(20)가 설치되어 있고, 내측으로 본체(10)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레일(22)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레일(22)의 사이에는 바스켓 조립체(30)가 장착되는데, 상기 바스켓 조립체(30)는 상기 서랍식 도어(18)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된다.
상기 바스켓 조립체(30)의 내부 공간에는 디바이더(40)가 설치된다. 상기 디바이더(40)는 상기 바스켓 조립체(30)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바스켓 조립체(30)의 테두리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42) 및 상기 고정부(42)의 하부에 위치하는 칸막이부(44)를 포함한다.
도 2는 상기 바스켓 조립체(30)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디바이더(40)의 고정부(42)의 단부에는 후크부(42a)가 형성되어 상기 바스켓 조립체(30)의 테두리부(32)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바이더(40)는 상기 바스켓 조립체(3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여 활용도를 높이는 역할 외에도 내부 공간을 의도적으로 분할하여 안전 사고를 방지하는 역할도 겸하는 것으로서, 일부 국가에서는 그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 상의 편의를 위해서는 상기 디바이더가 용이하게 슬라이드 될 수 있어야 하지 만, 안전 사고의 방지 측면에서는 쉽게 분리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체결력을 증대시킬 경우 제조 과정에서의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디바이더의 슬라이드 성능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충분한 체결력을 얻을 수 있는 냉장고용 바스켓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디바이더의 조립성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충분한 체결력을 얻을 수 있는 냉장고용 바스켓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개방된 상측면의 외주부에 플랜지부를 갖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의 상측면을 가로질러 배치되며, 양단부에 상기 바스켓의 플랜지부와 결합되는 후크부가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저장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바스켓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후크부의 폭 보다 큰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바스켓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고정부가 절개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냉장고용 바스켓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측면에서는 후크부의 형상을 플랜지부의 형상에 보다 밀착하게 하여 체결력을 증대시킨 경우에도 절개부 및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토퍼의 존재로 인해서 고정부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절개부는 조립 시 에 고정부가 테두리부와 결합되는 시작점으로서 기능하고, 상기 스토퍼를 장착하여 고정부가 절개부로 인해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고정부의 이동 범위 외측에 위치하여, 고정부가 스토퍼로 인해서 절개부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절개부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장착되어, 절개부의 개방된 폭을 줄여서 고정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절개부와 완전히 중첩되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가 상기 플랜지부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토퍼로 인해서 절개부가 완전히 메워지므로 고정부가 이탈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냉장고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바스켓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전면 및 후면이란 냉장고 본체를 기준으로 한 것이로서, 바스켓이 냉장고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방향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절개부가 어느 한쪽에만 위치하는 경우에는 절개부가 위치하지 않은 쪽의 플랜지부를 먼저 고정부에 결합시킨 후 절개부로 다른 고정부를 통과시켜서 결합을 완료하게 되며, 절개부가 양쪽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양측의 고정부를 동시에 절개부에 통과시킨 후 결합을 완료하게 된다.
또한, 상기 후크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3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스켓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바스켓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를 포 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후크부는 상기 제1 연장부의 3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이 외에도,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바스켓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바스켓의 저면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후크부는 상기 제2 연장부의 3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측면들에 의하면, 절개부의 존재로 인해서 고정부와 플랜지부의 결합이 용이해지므로 후크부와 플랜지부 사이의 공차 등을 줄이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체결력을 높인 경우에도 용이한 조립이 가능해진다.
아울러, 후크부가 플랜지부의 3면을 둘러싸도록 하고 있으므로 보다 견고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바스켓 조립체의 실시예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스켓 조립체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스켓 조립체(100)는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바스켓 본체(110)를 포함하며, 상기 바스켓 본체(11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갖되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상기 개방된 상부면의 외주부를 따라서 플랜지부(112)가 형성되며, 상기 플 랜지부(112) 중 후측(도 3 기준)에는 플랜지부(112)의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114)를 갖는다. 참고로, 도 3에서 상기 바스켓 본체(110)의 전면이 냉장고의 도어측에 해당된다.
상기 바스켓 본체(110)에는 디바이더(120)가 좌우측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상기 디바이더(120)는 상기 바스켓 본체(110)의 상부면을 전후측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고정부(124)와 상기 고정부(124)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바스켓 본체(110)의 저장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24)의 양측 단부에는 후크부(13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크부(130)는 상기 플랜지부(112)와 결합되어 디바이더(120)가 바스켓 본체(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도 4는 상기 바스켓 조립체(100)의 후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4에서 상기 실시예는 도시를 위해서 뒤집힌 상태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플랜지부(112)의 절개부(114)의 하측면에는 제1 스토퍼(140)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데, 도 4에서 상기 제1 스토퍼(140)는 스크류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제1 스토퍼(140)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의 형태를 갖고 있으며, 그 전체 길이 중 일부가 상기 절개부(114)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즉 절개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도 3 및 4에서는 제1 스토퍼(140)가 상기 절개부(114)의 일부와 중첩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스토퍼에 의해 절개부 전체가 중첩되도록 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토퍼(140)와 이격되어 제2 스토퍼(150)가 플랜지부(112)의 저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2 스토퍼(150)는 제1 스토퍼(140)와 같이 탈부착 가능하게 할 수도 있으나, 도 4에서는 상기 바스켓 본체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제1 스토퍼(140)와 제2 스토퍼(150) 사이의 거리는 상기 고정부(120)의 슬라이드 범위에 해당된다. 즉, 상기 고정부(120)가 슬라이드할 수 있는 범위는 상기 제1 스토퍼(140)와 제2 스토퍼(150)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절개부(114)의 폭(a, 도 7 참조)은 상기 후크부(130)의 폭(b) 보다 크거나 같다. 따라서, 상기 후크부(130)는 상기 절개부(114)를 통과할 수 있지만, 제1 스토퍼(140)가 부착되면 절개부(114) 중 저1 스토퍼(140)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폭(c)은 상기 후크부(130)의 폭보다(b) 작으므로 상기 후크부(130)는 상기 절개부(114)를 통과할 수 없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후크부(130)의 단부 부근은 전체적으로 'U'자 형태를 띠고 있고, 상기 플랜지부(112)는 상기 바스켓 본체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112a)와 상기 제1 연장부(112a)의 단부로부터 상기 바스켓 본체의 저면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112b)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후크부(130)의 단부는 상기 제2 연장부(112b)의 3면, 즉 전면, 배면 및 저면을 모두 둘러싸고 있으므로, 상기 절개부를 통과하지 않으면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바스켓 조립체(100)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스토퍼(140)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130) 중 전면에 위치하는 후크 부(130)를 먼저 바스켓 본체(110)의 전면에 위치하는 플랜지부(112)와 결합시킨다. 이 경우에는 후크부(130)의 일측만이 결합되므로 비교적 손쉽게 플랜지부(112)와 후크부(130)를 결합시킬 수 있다.
그 후, 후면측에 위치하는 후크부(130)를 상기 절개부(114) 내부로 통과시킨 후, 상기 제1 스토퍼(140)를 스크류로 고정하면 상기 디바이더(120)가 플랜지부(112)에 고정된다. 이렇게 고정된 디바이더(120)는 상기 제1 스토퍼(140)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후크부(130)가 상기 절개부(114)를 통과할 수 없으므로 분리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절개부는 후면부에만 위치하는 것은 아니며, 전면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전면부와 후면부 모두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디바이더의 이동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으나, 이동 범위의 외측, 즉 두 개의 스토퍼의 외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절개부(114)를 제1 스토퍼(140)와 제2 스토퍼(150)의 사이가 아닌 외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스토퍼(140)가 상기 절개부(114)와 중첩될 필요가 없고, 디바이더(120)의 이동 범위 내에서의 플랜지부(112)의 형상이 일정하므로 보다 원활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에서 제2 연장부를 생략한 형태도 가능하다. 즉, 도 8에 도시된 단면도와 같이, 플랜지부(112)는 제1 연장부(112a)만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후크부(130')의 단부가 상기 제1 연장부(112a)의 상면, 측면 및 배면을 모두 둘러싸도록 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도 1은 서랍식 도어를 갖는 냉장고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에 설치되는 바스켓 조립체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스켓 조립체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예의 후면측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 중 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 중 선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스켓 조립체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스켓 조립체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Claims (8)

  1. 개방된 상측면의 외주부에 플랜지부를 갖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의 상측면을 가로질러 배치되며, 양단부에 상기 바스켓의 플랜지부와 결합되는 후크부가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저장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바스켓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후크부의 폭 보다 큰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바스켓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고정부가 절개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냉장고용 바스켓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고정부의 이동 범위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바스켓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절개부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바스켓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절개부와 완전히 중첩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바스켓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냉장고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바스켓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바스켓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3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바스켓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바스켓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제1 연장부의 3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바스켓 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바스켓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바스켓의 저면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부는 상기 제2 연장부의 3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바스켓 조립체.
KR1020090059359A 2009-06-30 2009-06-30 냉장고용 바스켓 조립체 KR2011000169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359A KR20110001699A (ko) 2009-06-30 2009-06-30 냉장고용 바스켓 조립체
PCT/KR2010/004216 WO2011002206A2 (ko) 2009-06-30 2010-06-29 냉장고의 바스켓 조립체
CN201080029696.0A CN102472562B (zh) 2009-06-30 2010-06-29 用于冰箱的储物篮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359A KR20110001699A (ko) 2009-06-30 2009-06-30 냉장고용 바스켓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699A true KR20110001699A (ko) 2011-01-06

Family

ID=43411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359A KR20110001699A (ko) 2009-06-30 2009-06-30 냉장고용 바스켓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10001699A (ko)
CN (1) CN102472562B (ko)
WO (1) WO2011002206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08826A3 (de) * 2011-04-05 2015-09-02 BSH Hausgeräte GmbH Trenneinrichtung, Lagerbehälter und Haushaltsgerät
US9534833B2 (en) 2013-09-09 2017-01-03 Lg Electronics Inc. Basket for refrigerator
KR20200037925A (ko) * 2018-10-02 2020-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200038350A (ko) * 2018-10-02 2020-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45053B (zh) * 2012-05-08 2014-06-18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抽屉及具有该抽屉的冰箱
CN102679681A (zh) * 2012-06-08 2012-09-19 青岛海日高科模型有限公司 一种间隔可调的冰箱抽屉
KR101716033B1 (ko) * 2015-06-16 2017-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DE102021209088A1 (de) * 2021-08-18 2023-02-23 BSH Hausgeräte GmbH Lagerbehältervorrichtung mit Lagerschale und daran angeordneter, verschiebbarer Einhängevorrichtung, sowie Haushaltskältegerä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7839A (en) * 1997-06-12 1999-07-27 Snap-On Technologies, Inc. Drawer with double-tiered sliding tray system
KR20030040777A (ko) * 2001-11-16 2003-05-23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CN2630767Y (zh) * 2003-06-02 2004-08-04 海尔集团公司 电冰箱抽屉
KR20080055255A (ko) * 2006-12-15 200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0854807B1 (ko) * 2007-04-24 2008-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
KR101356827B1 (ko) * 2007-06-22 2014-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조립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08826A3 (de) * 2011-04-05 2015-09-02 BSH Hausgeräte GmbH Trenneinrichtung, Lagerbehälter und Haushaltsgerät
US9534833B2 (en) 2013-09-09 2017-01-03 Lg Electronics Inc. Basket for refrigerator
KR20200037925A (ko) * 2018-10-02 2020-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200038350A (ko) * 2018-10-02 2020-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02206A3 (ko) 2011-04-14
CN102472562B (zh) 2014-06-04
CN102472562A (zh) 2012-05-23
WO2011002206A2 (ko) 201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1699A (ko) 냉장고용 바스켓 조립체
RU2608220C1 (ru) Скольз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холодильник, имеющий скольз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101313552B1 (ko) 냉장고
US8511767B2 (en) Multi-piece basket assembly for a consumer appliance
EP3152502B1 (en) Refrigerator
US9939191B2 (en) Horizontal flipper mullion incorporated within a false mullion of an appliance
KR20160021187A (ko)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080094331A (ko) 냉장고
KR20150094049A (ko) 냉장고
KR20100008104A (ko) 냉장고용 야채박스 및 그를 구비한 냉장고
US8333447B2 (en) Basket kick-out
CN107144083B (zh) 制冷间室及具有其的冰箱
US10808982B2 (en) Modular flipper mullion receiver
US20190360741A1 (en) Refrigerator appliance with multiple zone flexible chamber in door
KR101750232B1 (ko) 냉동칸이 구비되는 양념냉장고
US20160178275A1 (en) Domestic cooling appliance with a specific receptacle for a light module
US20070138804A1 (en) Support assembly for a refrigerator storage pan
US20190368804A1 (en) Refrigerator having foreign matter blocking function
RU2493508C2 (ru) Холодильный и/или морозильный аппарат
EP3343153A1 (en) Home appliance device
RU2488756C2 (ru)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KR101902247B1 (ko) 분리바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구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WO2006090331A2 (en) A cooling device
KR200265317Y1 (ko) 개폐식도어가드를갖는냉장고
KR101564109B1 (ko) 냉장고의 도어 바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