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4331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4331A
KR20080094331A KR1020070038629A KR20070038629A KR20080094331A KR 20080094331 A KR20080094331 A KR 20080094331A KR 1020070038629 A KR1020070038629 A KR 1020070038629A KR 20070038629 A KR20070038629 A KR 20070038629A KR 20080094331 A KR20080094331 A KR 20080094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door
cover
refrigerator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8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4331A/ko
Priority to US12/106,039 priority patent/US20090033191A1/en
Publication of KR20080094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43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냉장고의 도어 배면에 구비되는 도어바스켓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며, 상기 도어바스켓의 상단 및 도어의 배면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바스켓커버가 구비되어, 도어바스켓 내부에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100)는 냉동실(200) 또는 냉장실(300)을 차폐하는 도어(220,320), 상기 도어(220,320)에 구비되는 도어바스켓(400) 및 상기 도어바스켓(400)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바스켓커버(5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바스켓커버(500)에는 커버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도어바스켓(400)의 상면 또는 도어의 배면에 선택적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에 의하면 냉장고의 도어바스켓의 활용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냉장고, 도어, 도어바스켓, 바스켓커버, 힌지

Description

냉장고{A refrigerator}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 예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 예인 냉장고의 도어바스켓에 바스켓커버가 차폐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도 3 의 바스켓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 예인 냉장고의 도어바스켓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 은 도 3 에 도시된 실시 예인 도어바스켓에 유제품이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 은 도 3 에 도시된 실시 예인 도어바스켓에 음료수병이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냉장고 120..... 베리어
140..... 선반 160..... 힌지
200..... 냉동실 220..... 냉동실도어
300..... 냉장실 320..... 냉장실도어
340..... 개방고정돌기 400..... 도어바스켓
410..... 커버체결부 420..... 차폐고정돌기
430..... 바스켓체결부 440..... 멈춤턱
460..... 차폐부재 470..... 하부홀
490..... 커버결합부 500..... 바스켓커버
520..... 상부간섭돌기 530..... 회전축
540..... 하부간섭돌기 570..... 개방후크
580..... 차폐후크 B....... 음료수병
D....... 유제품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냉장고의 도어 배면에 구비되는 도어바스켓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며, 상기 도어바스켓의 상단 및 도어의 배면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바스켓커버가 구비되어, 도어바스켓 내부에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의 저온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로서, 보관하고자 하는 식품의 상태에 따라서 음식물을 냉동 또는 냉장보관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의 내부는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서 냉각되며, 이러한 냉기는 압축-응축-팽창-증발의 사이클(Cycle)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냉매의 열교환작용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생성된다. 그리고, 냉장고의 내부로 공급된 냉기는 대류에 의해서 냉장고 내부에 고르게 전달되어 냉장고 내부의 음식물을 원하는 온도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사용자의 기호의 다양화와 식생활의 변화에 따른 대형화 및 다기능화의 추세에 있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구성을 가지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본체(1)의 내부에는 저장공간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저장공간은 상기 냉장고본체(1)의 내면을 형성하는 이너케이스(2)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이너케이스(2)에 의해 이루어지는 저장공간은 상하로 길게 형성된 베리어(3)에 의해 냉동실(5)과 냉장실(7)로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5)과 냉장실(7)은 각각 냉동실도어(5')와 냉장실도어(7')에 의해 별개로 개폐되며, 상기 냉동실(5)과 냉장실(7)에는 각각 선반(8)이 다수개 수평으로 설치되어 저장물이 안착된다.
또한, 상기 냉동실(5)과 냉장실(7)에는 야채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별도의 저장공간들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5',7')의 배면에는 다수개의 바스켓(9)이 설치된다.
상기 바스켓(9)에는 저장물이 보관되는데, 이러한 바스켓(9)중 일부에는 바 스켓커버(10)가 구비된다.
상기 바스켓커버(10)는 일반적으로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양단부의 회전중심(11)을 축으로 회전되어 바스켓(9) 내부의 저장공간을 개폐하게 되며, 상기 바스켓커버(10)의 선단에는 손잡이(12)가 구비되어 바스켓커버(10)의 개폐를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에 구비되는 바스켓(9)은 대부분 상측이 개방되어 유제품이나 젓갈류와 같이 고유한 냄새가 발산되는 음식물을 수용할 경우 고내(庫內)에 상기 유제품이나 젓갈류의 냄새가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바스켓(9)의 상측을 차폐하는 바스켓커버(10)가 구비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바스켓커버(10)에는 밀폐구조가 형성되지 않아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의 냄새가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폐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바스켓커버(10)는 내부에 병과 같이 그 높이가 큰 음식물을 수용할 경우 수용된 음식물의 상단부와 상기 바스켓커버(10)가 간섭되어 음식물의 보관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로 인하여 유제품과 음료수 병 등은 분리되어 보관되어야 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 은, 도어바스켓의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바스켓커버 및 이에 의해 밀폐되는 도어바스켓이 구비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냉동실 또는 냉장실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냉장고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도어바스켓 및 상기 도어바스켓 내부에 수용되는 저장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도어 또는 도어바스켓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바스켓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냉동실 또는 냉장실을 차폐하는 냉장고도어, 상기 도어의 배면에 형성되는 바스켓 장착부, 상기 바스켓 장착부에 장착되는 도어바스켓 및 상기 도어바스켓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바스켓커버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바스켓커버에는 커버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바스켓의 상면 또는 도어의 배면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고정수단은 상기 도어의 배면 및 상기 도어바스켓의 상단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고정돌기와 상기 바스켓커버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돌기와 걸림 결합되는 간섭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도어의 배면에 형성되는 개방고정돌기와 상기 도어바스켓의 상단에 형성되는 차폐고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섭돌기는 상기 바스켓커버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개방고정돌기와 체결되는 상부간섭돌기와 상기 바스켓커버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차폐고정돌기와 체결되는 하부간섭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스켓커버와 도어바스켓 사이에는 탄성재질의 차폐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고정수단은 상기 도어의 배면과 상기 도어바스켓의 상단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후크체결홀과 상기 바스켓커버에 형성되며, 상기 후크체결홀에 삽입되는 체결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후크는 상기 바스켓커버의 상면에 형성되는 개방후크와 상기 바스켓커버의 하면에 형성되는 차폐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크체결홀은 상기 도어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개방후크가 수용되는 상부홀과 상기 바스켓커버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차폐후크를 수용하는 하부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스켓커버에는 상기 도어바스켓의 양측면 후단부와 동일 수직선상에 회전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냉장고 도어바스켓의 활용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 예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100)는 이너케이스(도면부호 부여되지 않음)에 의해 전방이 개구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내부 공간은 상기 내부공간을 좌우로 구획하는 베리어(120)에 의해 음식물을 냉동저장하는 냉동실(200)과 음식물을 냉장저장하는 냉장실(300)로 나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200)과 냉장실(300)에는 다수개의 선반(140)이 구비되어 내부공간을 구획하게 되며, 상기 냉동실(200)과 냉장실(300)의 개구된 전방은 냉동실도어(220)와 냉장실도어(320)에 의해 각각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이를 위해 상기 냉동실도어(220)와 냉장실도어(320)는 힌지(160)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또한, 상기 냉동실도어(220)와 냉장실도어(320)의 배면에는 다수개의 도어바스켓(400)이 구비되며, 상기 도어바스켓(400)에는 일측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상기 도어바스켓(400)의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바스켓커버(5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도어바스켓(400)은 상기 냉동실도어(220)와 냉장실도어(320)에 형성되는 바스켓장착부(미도시)에 끼움 장착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스켓커버(500)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커버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도어바스켓(400)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도어(220,320) 배면 또는 상기 도어바스켓(400) 상단에 선택적으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도어바스켓(400) 및 바스켓커버(500)에 관한 설명은 아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 예인 냉장고의 도어바스켓에 바스켓커버가 차폐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는 도 3 의 바스켓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100)의 도어(220,320) 배면에 구비되는 도어바스켓(400)은 대략 가로방향 길이가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 및 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도어(220,320)의 배면에 끼움 장착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도어(220,320)의 배면은 가장자리를 따라 후방으로 돌출되는 도어라이너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라이너의 내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돌기로 이루어진 바스켓 장착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바스켓 장착부(미도시)에는 상기 도어바스켓(400)이 장착되고, 이를 위하여 상기 도어바스켓(400)의 외측 후단에는 상기 바스켓 장착부(미도시)에 형성된 돌기가 끼움 장착 가능하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홈으로 이루어지는 바스켓 체결부(430)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바스켓 장착부(미도시)와 바스켓 체결부(430)의 형상은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이에 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도어바스켓(400)의 양측면 후단 상측에는 각각 상방으로 일부분이 돌출 형성되고, 돌출부의 중앙에는 홀이 천공형성되어 상기 바스켓커버(500)가 장착되도록 하는 커버체결부(4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바스켓(40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커버체결부(410)의 후단 상측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커버체결부(410)에 장착된 바스켓커버(500)가 후 방으로 회동하는 범위를 제한하게 되는 멈춤턱(440)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멈춤턱(440)은 상기 커버체결부(410)를 연결하도록 형성하지 않고 각각의 커버체결부(410)에서 내측으로 소정길이로 돌출 형성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상기 도어(220,320)의 배면에 의해 바스켓커버(500)의 회동범위가 제한되므로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도어바스켓(400)의 뒤틀림 정도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이 양 측면에 형성된 커버체결부(410)를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바스켓(400)의 상단에는 상기 바스켓커버(500)와 체결되어 바스켓커버(500)가 상기 도어바스켓(400)의 내부공간을 밀폐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커버고정수단의 일구성인 차폐고정돌기(420)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고정수단은 상기 도어바스켓(400)의 내부 저장공간이 개방될 때 상기 도어(220.320)의 배면에 상기 바스켓커버(500)를 고정시키거나, 상기 도어바스켓(400)의 내부 저장공간이 차폐될 때 상기 도어바스켓(400)의 상단에 상기 바스켓커버(500)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고정수단은 상기 냉장실도어(320)의 배면에 형성되는 개방고정돌기(340), 상기 도어바스켓(400)의 상단에 형성되는 차폐고정돌기(420), 상기 개방고정돌기(340)와 간섭되는 상부간섭돌기(520) 및 상기 차폐고정돌기(420)와 간섭되는 하부간섭돌기(540)로 구성되며 이에 관한 설명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차폐고정돌기(420)는 상기 도어바스켓(400)의 전면 상단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돌출된 단부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차폐고정돌기(420)는 전반부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경사를 가지며 전방으로 돌출되다가 중앙부분에서 후측으로 함몰되어 걸림턱을 형성하고, 이러한 걸림턱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하부간섭돌기(540)가 간섭됨으로써 상기 바스켓커버(500)가 상기 도어바스켓(400)의 내부공간을 밀폐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 4 에서는 상기 차폐고정돌기(420)가 상기 도어바스켓(400)의 전면 상단 중앙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아래에서 설명할 바스켓커버(500)에 형성되는 하부간섭돌기(540)의 위치에 따라 양측면 상단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전면 및 양측면 상단에 모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의 도어바스켓(400)에 장착되는 바스켓커버(500)는 대략 사각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단부에는 전술한 커버 체결부(410)에 끼움장착되는 회전축(530)이 형성되고, 상기 바스켓커버(50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전술한 커버고정수단의 다른 구성인 상부간섭돌기(520)와 하부간섭돌기(540)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간섭돌기(520)는 상기 바스켓커버(500)의 상면 전단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도 2 에 도시되는 개방고정돌기(340)와 간섭하여 상기 도어바스켓(400)의 내부공간이 개방될 때 상기 바스켓커버(500)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개방고정돌기(도 2 에서 도면부호 340)는 상기 냉장실도어(320)의 배면에서 후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도어바스켓(40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커버(500)가 회동하여 상기 상부간섭돌기(520)가 맞물릴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간섭돌기(520)는 상기 바스켓커버(500)의 상면 전단을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며, 후측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전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대략“
Figure 112007029945910-PAT00001
”와 같은 단면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개방고정돌기(도 2 에서 도면부호 340)에 걸림결합된다.
한편, 상기 바스켓커버(500)의 하면에는 상기 하부간섭돌기(540)와 상기 차폐고정돌기(420)가 체결될 때 상기 바스켓커버(500)에 의해 상기 도어바스켓(400)의 내부공간이 보다 효과적으로 밀폐되도록 하기 위한 차폐부재(46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차폐부재(460)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며, 적어도 상기 하부간섭돌기(540)와 차폐고정돌기(420)가 체결된 상태의 높이와 대응되는 두께 이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도어바스켓(400)과 바스켓커버(500)는 다른 형태로 형성되어 다른 형태의 커버고정수단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 예인 냉장고의 도어바스켓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관한 부분은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도어바스켓(400)의 양측면에는 상기 바스켓커버(500)가 끼움 결합되는 커버결합부(490)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결합부(490)는 상기 도어바스켓(400)의 양측면 후단 상측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돌출된 부분은 전체적으로 뒤집어진 오메가(Ω)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스켓커버(500)에 형성되는 회전축(530)이 상부를 통해 억지 삽입된 뒤 중앙부에서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커버고정수단은 상기 냉동실도어(220)의 배면에 형성되는 상부홀(도 2 에서 도면부호 480), 상기 도어바스켓(400)의 상단에 형성되는 하부홀(470), 상기 상부홀(도 2 에서 도면부호 480)에 삽입되는 개방후크(570) 및 상기 하부홀(470)에 삽입되는 차폐후크(580)로 구성되며 이에 관한 설명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하부홀(470)은 상기 도어바스켓(400)의 양 측면 상단 전방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차폐후크(580)가 상기 하부홀(470)에 수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상기 하부홀(470)의 내측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차폐후크(580)의 단부가 걸리도록 걸림턱이 더 형성된다.
상기 차폐후크(580)는 상기 바스켓커버(50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도어바스켓(400)의 내부 저장공간이 차폐될 때 상기 하부홀(470)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차폐후크(580)의 단부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홀(도 2 에서 도면부호 480)은 상기 도어바스켓(400)의 내부가 개방될 때, 상기 바스켓커버(500)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냉동실도어(220)의 배면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도어바스켓(40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커버(500)가 회동하여 상기 개방후크(570)가 삽입 가능한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홀(도 2 에서 도면부호 480)의 내측에도 전술한 하부홀(470)과 마찬가지로 내측에 상기 개방후크(570)의 단부가 걸리도록 걸림턱이 더 형성된다.
상기 개방후크(57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홀(도 2 에서 도면부호 480)에 삽입되어, 상기 바스켓커버(500)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바스켓커버(500)의 상면 전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차폐후크(58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작용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100)에 음식물을 수납하기 위해서는 상기 냉동실도어(220) 또는 상기 냉장실도어(320)를 개방하고 음식물의 상태에 따라 원하는 장소에 음식물을 보관하게 된다.
일 예로 사용자가 유제품 또는 젓갈류는 상기 냉장실(300)에 보관하기 위해서는 냄새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장소에 음식물을 보관하게 되며, 이러한 장소를 상기 냉장실도어(320)의 이면에 구비되는 도어바스켓(400)이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도어바스켓(400)에는 바스켓커버(500)가 구비되어 상기 도어바스켓(400)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키게 되는데, 아래에서는 이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은 도 3 에 도시된 실시 예인 도어바스켓에 유제품이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도어바스켓(400)의 내부에 수용된 유제품(D)은 상기 바스켓커버(500)에 의해 내부공간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밀폐된 상태는 상기 도어바스켓(400)에 구비되는 차폐고정돌기(420)와 상기 바스켓커버(500)에 구비되는 하부간섭돌기(540)가 서로 맞물려 고정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스켓커버(500)의 하면에 구비되는 탄성재질의 차폐부재(460)가 상기 차폐고정돌기(420)와 하부간섭돌기(540)가 체결된 상태의 높이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차폐고정돌기(420)와 하부간섭돌기(540)가 체결될 때 탄성변형하여 상기 바스켓커버(500)와 도어바스켓(400) 사이의 틈새를 견고하게 차폐하여 밀폐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도 7 은 도 3 에 도시된 실시 예인 도어바스켓에 음료수병이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로,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냉장실(300) 내부에 저장되는 음료수병(B)은 그 크기가 상기 도어바스켓(400)의 내부 저장공간의 높이보다 크므로 상기 바스켓커버(5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바스켓(400)의 내부에 수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바스켓커버(500)는 상기 회전축(530)을 중심으로 90도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바스켓커버(500)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부간섭돌기(540)가 상기 냉장실도어(320)의 배면에 형성되는 개방고정돌기(340)와 체결되어 상기 바스켓커버(500)는 상기 냉장실도어(320)의 배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유제품(D)을 상기 도어바스켓(400) 내부에 수용할 때에는 상기 하부홀(470)에 상기 차폐후크(580)가 체결되도록 하여 상기 도어바스켓(400) 내부공간을 밀폐시키게 된다.
이때에는 상기 차폐후크(580)가 상기 하부홀(470)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도어바스켓(400)의 상단부와 상기 바스켓커버(500)의 하면이 밀착되므로 별도의 차폐부재가 구비되지 않아도 무관하나 밀폐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차폐부재를 더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도어바스켓(400) 내부에 음료수병(B)과 같은 음식물을 보관할 때에는 상기 개방후크(570)를 상기 상부홀(480)에 체결되도록 하여 상기 바스켓커버(50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의 도어 이면에 구비되는 도어바스켓의 내부 저장공간에 유제품이나 젓갈류와 같이 음식물 고유의 냄새가 고내(庫內)로 확산 될 여지가 다분한 음식물을 바스켓커버를 이용하여 도어바스켓 내부를 밀폐시킴으로써 고내(庫內) 음식물 냄새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음료수 병이나 물병 등과 같이 도어바스켓의 내부공간보다 높이가 높은 음식물을 보관할 경우 바스켓커버를 90도 회동시켜 도어 배면에 바스켓커버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도어바스켓의 활용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용이하게 바스켓커버를 조작하여 수납공간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 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도어바스켓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됨에 따라 도어바스켓 뿐만 아니라 냉장고 전체에 대한 사용자의 제품만족도가 상승하게 되어 제품의 전반적인 인지도가 상승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10)

  1. 냉동실 또는 냉장실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냉장고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도어바스켓 및
    상기 도어바스켓 내부에 수용되는 저장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도어 또는 도어바스켓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바스켓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냉동실 또는 냉장실을 차폐하는 냉장고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도어바스켓 및
    상기 도어바스켓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바스켓커버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바스켓커버에는 커버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도어바스켓의 상면 또는 도어의 배면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고정수단은,
    상기 도어의 배면 및 상기 도어바스켓의 상단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고정돌기와
    상기 바스켓커버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돌기와 걸림 결합되는 간섭돌기를 포 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도어의 배면에 형성되는 개방고정돌기와
    상기 도어바스켓의 상단에 형성되는 차폐고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돌기는,
    상기 바스켓커버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개방고정돌기와 체결되는 상부간섭돌기와
    상기 바스켓커버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차폐고정돌기와 체결되는 하부간섭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커버와 도어바스켓 사이에는 탄성재질의 차폐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고정수단은,
    상기 도어의 배면과 상기 도어바스켓의 상단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후크체결홀과
    상기 바스켓커버에 형성되며, 상기 후크체결홀에 삽입되는 체결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후크는,
    상기 바스켓커버의 상면에 형성되는 개방후크와
    상기 바스켓커버의 하면에 형성되는 차폐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체결홀은,
    상기 도어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개방후크가 수용되는 상부홀과,
    상기 바스켓커버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차폐후크를 수용하는 하부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커버에는,
    상기 도어바스켓의 양측면 후단부와 동일 수직선상에 회전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70038629A 2007-04-20 2007-04-20 냉장고 KR20080094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629A KR20080094331A (ko) 2007-04-20 2007-04-20 냉장고
US12/106,039 US20090033191A1 (en) 2007-04-20 2008-04-18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629A KR20080094331A (ko) 2007-04-20 2007-04-20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4331A true KR20080094331A (ko) 2008-10-23

Family

ID=40154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629A KR20080094331A (ko) 2007-04-20 2007-04-20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033191A1 (ko)
KR (1) KR200800943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3055B2 (en) 2010-09-10 2014-07-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427B1 (ko) * 2007-07-27 2008-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캔 수납장치
KR20100118435A (ko) * 2009-04-28 2010-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가드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101602215B1 (ko) * 2009-05-08 2016-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수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40019906A (ko) * 2012-08-06 2014-02-18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2778579B1 (en) * 2013-03-13 2021-07-21 Whirlpool Corporation Improved assembly for a closable compartment
US9784494B2 (en) 2014-10-27 2017-10-10 Whirlpool Corporation Universal fixing system for a range of modular refrigerator components
US9671154B1 (en) 2016-02-19 2017-06-06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torage units
US11047615B1 (en) 2021-01-05 2021-06-29 Sub-Zero Group, Inc. Flip up compartment floo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46342A (en) * 1940-05-06 1941-06-17 Joseph D Brown Humidity drawer
US2859595A (en) * 1954-03-25 1958-11-11 Gen Motors Corp Two temperature refrigerator with forced air circulation
US3165227A (en) * 1963-11-07 1965-01-12 Johnson & Son Inc S C Package and composition
US3383009A (en) * 1967-03-17 1968-05-14 Gen Films Inc Container
US4291801A (en) * 1980-10-03 1981-09-29 Plastic Reel Corporation Of America Video cassette storage container
US4801182A (en) * 1987-12-21 1989-01-31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door structure
IT1230958B (it) * 1989-06-30 1991-11-08 Eurodomestici Ind Riunite Frigorifero, congelatore o similare con contenitore amovibile in cui e' realizzato il vuoto.
US5797488A (en) * 1996-08-21 1998-08-25 Zag Ltd. Case for a circular saw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3055B2 (en) 2010-09-10 2014-07-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33191A1 (en) 200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4331A (ko) 냉장고
CA2757470C (en) Refrigerator
KR101701860B1 (ko) 냉장고
KR20060115581A (ko) 보관통이 있는 냉장고
KR20170110484A (ko) 냉장고
KR101132505B1 (ko) 결로방지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
KR100854807B1 (ko)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
KR20090132283A (ko) 냉장고의 제빙 장치
EP4040092B1 (en) Refrigerator
WO2019113408A1 (en) Modular flipper mullion receiver
US20210364220A1 (en) Refrigerator
KR20160095919A (ko) 냉장고 냉기 유입구용 가스켓
KR101304814B1 (ko) 냉장고 도어의 전후방 단차 방지구조
KR20090062051A (ko)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
KR102297099B1 (ko) 양념 및 야채 보관 냉장고
EP2655991A2 (en) A refrigerator
KR100644255B1 (ko) 냉장고 수납부의 차폐구조
JP2005282897A (ja) 冷蔵庫
KR101271961B1 (ko) 냉장고의 야채실도어 고정구조
KR100651308B1 (ko) 냉장고
KR20100007495A (ko) 냉장고
KR20090132284A (ko) 냉장고
KR20130053215A (ko) 냉장고
KR940000388Y1 (ko) 김치냉장고
KR20110051350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