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6401A - 캡 회전공급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캡 회전공급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6401A
KR20200036401A KR1020180116002A KR20180116002A KR20200036401A KR 20200036401 A KR20200036401 A KR 20200036401A KR 1020180116002 A KR1020180116002 A KR 1020180116002A KR 20180116002 A KR20180116002 A KR 20180116002A KR 20200036401 A KR20200036401 A KR 20200036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ap
container
transport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9572B1 (ko
Inventor
최철종
최희정
Original Assignee
최철종
최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철종, 최희정 filed Critical 최철종
Priority to KR1020180116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572B1/ko
Publication of KR20200036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 B65B7/2835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applying and rotating preformed 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 B65B7/2807Feeding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Of Jars (AREA)

Abstract

캡 회전공급 결합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캡 회전공급 결합장치는 용기를 일측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캡을 일측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 상기 제2 이송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이송부에서 이송된 상기 캡을 상기 용기의 상면으로 이송한 뒤, 상기 캡을 상기 용기에 안착시키고 회전시켜 선체결하는 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제1 결합부에서 선체결된 상기 캡을 회전을 통해 상기 용기에 체결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캡 회전공급 결합장치{CAP SPIN-SUPPLYING AND ASSEMBLING DEVICE}
본 발명은 캡 회전공급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사결합을 통해 캡과 봉입되는 용기는 입구의 외측면 및 캡의 내측면에 나사산을 형성한 뒤, 용기 및 캡의 나사선을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용기를 밀봉하게 된다.
이러한 용기에 캡을 조립하는 경우, 캡 회전공급 결합장치 등의 자동화 장비를 통해 용기 및 캡을 신속하게 결속하여 용기를 밀봉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캡 회전공급 결합장치는 통상적으로 로봇 암(Robot Arm) 등의 이송장비로 캡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캡을 잡은 뒤 용기 입구로 이송하고, 이어 캡을 회전시키며 캡을 용기 입구에 결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캡 회전공급 결합장치로 조립을 실시하는 경우, 캡과 용기 입구가 어긋난 상태에서 조립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캡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캡 및 용기의 나사산이 파손되어 불량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육안으로 캡과 용기의 조립 상황을 관찰하면서 지속적으로 공정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도록 작업을 진행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이로 인해, 인력 및 시간에 손실이 발생하였고, 캡 조립 과정의 생산수율도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개의 결합부를 구비하여, 조립 과정에서 불량율을 감소시킨 캡 회전공급 결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용기를 일측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캡을 일측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 상기 제2 이송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이송부에서 이송된 상기 캡을 상기 용기의 상면으로 이송한 뒤, 상기 캡을 상기 용기에 안착시키고 회전시켜 선체결하는 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제1 결합부에서 선체결된 상기 캡을 회전을 통해 상기 용기에 체결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캡 회전공급 결합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2 이송부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면에 상기 캡의 이송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수평홈 및 상기 수평홈의 단부와 접하고, 상기 수평홈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수직홈이 형성되는 가이딩부재; 상기 가이딩부재의 상기 수직홈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수평홈에서 이송된 상기 캡을 순차적으로 운반하는 운반부재; 및 상기 운반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일측 방향으로 상기 캡을 이동시켜 상기 용기에 선체결하는 제1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가이딩부재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결합부재를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면에서 상기 용기의 상면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부재; 및 상기 제1 이동부재와 접하고, 상기 용기의 이송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이동부재의 일측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수평이동관을 가지는 제2 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부재와 벨트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결합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측면에 탄성부재가 위치하는 제1 결합팔; 상기 제1 결합팔의 단부와 연결되고 상단부에 상기 벨트와 접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결합팔을 회전시키는 결합롤러를 가지는 제2 결합팔; 상기 제1 결합팔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캡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캡을 고정하며, 상기 캡을 향한 면에 그립홀이 형성되는 그립부재; 및 상기 그립부재의 상기 캡을 향한 내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캡의 일측면을 음압을 통해 고정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용기의 상부면과 접하는 가압몸체; 상기 가압몸체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일단부가 상기 그립홀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그립홀을 통해 공기가 연통되는 체결부재; 및 가요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그립홀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수축되거나 확장되는 자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회전공급 결합장치는 복수개의 결합부를 구비하여, 조립 과정에서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회전공급 결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1 결합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도 2에 도시한 운반부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Ⅳ"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제1 결합부재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회전공급 결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캡 회전공급 결합장치(1)는 제1 이송부(100), 제2 이송부(200), 제1 결합부(300) 및 제2 결합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이송부(100)는 제1 컨베이어(110), 이송부재(130) 및 제2 컨베이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베이어(110)는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개의 롤러를 평행하게 배치한 롤러 컨베이어 또는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롤러의 외측면과 접하며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벨트를 구비한 벨트 컨베이어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컨베이어(110)는 이전 공정에서 제작 또는 조립된 용기(20)를 캡 회전공급 결합장치(1) 방향으로 이송하여, 이후의 공정이 진행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제1 컨베이어(110)로 이송된 용기(20)는 제1 컨베이어(110)의 단부와 연결된 이송부재(130)로 이송된다.
이송부재(130)는 예를 들어,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송부재(130)의 길이 방향 중심축은 모터 등의 회전 수단(미도시)과 연결되어, 이송부재(130)가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송부재(130)의 외측면에는 중심축 방향으로 절곡된 하나 이상의 이송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홈(131)은 이송부재(130)의 외측면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송홈(131)은 절곡된 면이 이송부재(130)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향한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송홈(131)의 절곡된 정도, 즉, 이송홈(131)의 곡률은 용기(20)의 외측면의 곡률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송홈(131)의 곡률이 용기(20)의 곡률과 동일하게 구성됨으로써, 용기(20)가 이송홈(131)에 끼워지는 끼움결합을 통해 이송부재(130)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송홈(131)에 용기(20)가 끼워진 이송부재(130)는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용기(20)를 후술할 제1 결합부(300) 및 제2 결합부(500)로 이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부(300) 및 제2 결합부(500)는 이송부재(130)를 통해 이송되는 용기(20)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이송부재(130)는 각 용기(20)가 제1 결합부(300) 또는 제2 결합부(500)의 하방에 위치하게 되면 잠시 회전을 중지하고, 제1 결합부(300) 또는 제2 결합부(500)에서 캡(30)과 용기(20)가 결합을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제1 결합부(300) 또는 제2 결합부(500)에서 캡(30)의 체결이 종료되면, 이송부재(130)는 다시 회전을 재개하여 이후 공정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및 캡(30)의 체결 과정에서 이송부재(130)는 이송홈(131)을 통해 용기(20)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용기(20)가 이송부재(13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송부재(130)는 용기(20)를 제1 결합부(300) 및 제2 결합부(500)로 이송하고, 캡(30)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용기(20)를 고정하여 조립공정이 용이하게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송부재(13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이송홈(131)에 용기(20)가 순차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작업자는 이송부재(130)의 회전 속도와 제1 컨베이어(110)가 시간당 공급한 용기의 개수가 대응되도록 이송부재(130) 및 제1 컨베이어(110)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단위시간당 제1 컨베이어(110)로 공급되는 용기(20)의 공급량이 단위시간당 이송부재(130)로 이송되는 용기(20)의 이송량보다 많을 경우, 용기(20)는 제1 컨베이어(110)와 이송부재(130) 사이에서 정체되며 시간적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반대로, 단위시간당 이송부재(130)로 이송되는 용기(20)의 이송량이 단위시간당 제1 컨베이어(110)로 공급되는 용기(20)의 공급량이 많을 경우, 이송부재(130)의 이송홈(131)에 용기(20)가 순차적으로 끼워지지 않아, 마찬가지로 공정에서 시간적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이송부재(130) 및 제1 컨베이어(110)는 이송홈(131)에 용기(20)가 순차적으로 끼워지도록 하여, 캡(30)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간적 소모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제1 컨베이어(110)와 이송부재(130) 사이에는 끼움부재(133)가 형성될 수 있다. 끼움부재(133)는 예를 들어, 끼움부재(133)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제1 컨베이어(11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기동하는 끼움팔(1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베이어(110)에 의해 이송된 용기(20)는 제1 컨베이어(110)의 하부면과 접하며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인해 이송부재(130)의 이송홈(131)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끼움부재(133)는 용기(20)가 이송홈(131)에 위치되면, 끼움팔(135)을 전진시켜, 끼움팔(135)을 통해 용기(20)가 이송부재(130)와 접한 면의 반대편을 가압하게 된다. 가압된 용기(20)는 이송부재(130)의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를 통해, 용기(20)는 이송홈(131)에 끼워지게 된다.
용기(20)가 이송홈(131)에 끼워지면, 끼움부재(133)는 끼움팔(135)을 끼움부재(133) 방향으로 후퇴시켜 다른 용기(20)들이 이송홈(131) 위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후 끼움팔(135)은 전진과 후퇴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용기(20)가 이송홈(131)에 끼워질 수 있도록 각각의 용기(20)에 순차적으로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를 통해, 끼움부재(133)는 용기(20)가 이송홈(131)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용기(20)를 가압하여, 용기(20)와 이송부재(130)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다.
제2 컨베이어(150)는 예를 들어, 이송부재(130)를 사이에 두고 제1 컨베이어(110)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컨베이어(150)의 단부는 이송부재(130)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컨베이어(150)는,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개의 롤러를 평행하게 배치한 롤러 컨베이어 또는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롤러의 외측면과 접하며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벨트를 구비한 벨트 컨베이어일 수 있다.
이송부재(130)로 이송되면서 캡(30)이 체결된 용기(20)는 이송부재(130)의 회전을 따라 제2 컨베이어(150)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컨베이어(150)의 상부면과 접하게 된다. 제2 컨베이어(150)는 이송부재(130)와 연결된 용기(20)의 하부면에 마찰력을 가해 용기(20)를 이송홈(131)에서 빼내 용기(20)와 이송부재(130)를 분리할 수 있다.
캡이 조립된 용기(20)는 이송부재(130)와 분리되어, 제2 컨베이어(150)를 따라 이동되며 다음 공정이 진행될 장비 또는 수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1 결합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제2 이송부(200)는 하나 이상의 캡(30)을 제1 결합부(300)로 이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이송부(200)는 내측면에 캡(30)이 슬라이딩 이동되어 제1 결합부(300)로 이송되는 슬라이드 레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개의 롤러를 평행하게 배치한 롤러 컨베이어 또는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롤러의 외측면과 접하며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벨트 컨베이어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2 이송부(200)의 일단부는 캡 공급 장치 등의 캡 공급 수단(미도시)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1 결합부(300)의 가이딩부재(34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이송부(200)는 캡 공급 수단에서 공급된 캡(30)을 제1 결합부(300)로 이송하여, 이후 제1 결합부(300)에서 캡(30)과 용기(20)의 결합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고하면, 제1 결합부(300)는 가이딩부재(340), 운반부재(330) 및 제1 결합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딩부재(34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밑면이 사각형인 사각 판재로 구성되고, 가이딩부재(340)의 상부면의 외곽은 제2 이송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가이딩부재(340)는 제2 이송부(200)와 접한 위치에 제2 이송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수평홈(341) 및 수평홈(341)의 단부와 접하고, 수평홈(34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홈(34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평홈(341)의 폭은 캡(30)의 폭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이송부(200)에서 이송된 캡(30)은 가이딩부재(340)로 이동할 때 수평홈(341)에 끼워지며 수평홈(341)의 내측면을 따라 수직홈(343)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이딩부재(340)는 캡(30)이 수평홈(341) 및 수직홈(343)을 매개로 가이딩 이동되도록 하여 캡(30)을 이송시킬 수 있다.
한편, 운반부재(330)는 운반몸체(331), 연결고리(333), 운반피스톤(335) 및 운반팔(33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반몸체(331)는 제1 이송부(100)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딩부재(340)의 상부면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운반몸체(331)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하나 이상의 지지부재(31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반몸체(331)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제1 지지부재(311) 및 제2 지지부재(313)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1 지지부재(311) 및 제2 지지부재(313)의 외측면을 감싸는 연결고리(333)를 통해 지지부재(310)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고리(333)는 제1 지지부재(311) 및 제2 지지부재(313)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운반몸체(331) 및 운반몸체(331)와 연결된 가이딩부재(34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운반팔(337)은 제1 이송부(10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폭 방향 길이가 가이딩부재(340)의 상면의 수직홈(343)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운반팔(337)이 수직홈(343)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운반팔(337)의 수평홈(341)과 접하는 면에는 운반홈(338)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반홈(338)은 수평홈(341)에서 이송된 캡(30)이 내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면, 예를 들어, 수평홈(341)과 마주보는 면은 캡(30)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운반팔(337)은 운반몸체(331)를 향한 면에서 지지부재(31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운반피스톤(33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반몸체(331)는 운반팔(337)과 마주보는 운반피스톤(335)이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운반홀(33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반피스톤(335)은 운반홀(334)에 끼워지며, 운반홀(334)의 내측면을 따라 기동될 수 있다. 이때, 운반피스톤(335)의 폭 방향 단면적은 운반홀(334)의 폭 방향 단면적과 동일하게 구비되어, 운반피스톤(335)이 운반홀(334)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운반몸체(331)는 운반홀(334)의 내부에 공기나 오일 등 유체를 주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는 펌프 수단(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반홀(334)에 운반피스톤(335)이 끼워진 상태에서 작업자는 펌프 수단을 가동하여 운반피스톤(335) 및 운반피스톤(335)과 연결된 운반팔(337)이 기동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반홀(334) 내부에 유체를 주입하면 운반피스톤(335)은 운반홀(334)에서 밀려나오며 운반팔(337)을 밀어내게 된다. 반대로 운반홀(334) 내부의 유체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펌프 수단을 구동시키면, 운반피스톤(335)은 운반몸체(331) 방향으로 이동되며 운반팔(337)을 당기게 된다.
도 3의 (a) 및 (b)는 도 2에 도시한 운반부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를 참고하면, 제2 이송부(200)에서 이송된 캡(30)은 수평홈(341)을 통해 가이딩부재(340)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운반부재(330)는 펌프 수단을 통해 운반몸체(331)의 운반홀(334)로 유체를 주입하거나 배출하여 운반팔(337)의 위치를 조정하여, 운반홈(338)의 위치가 수평홈(341)과 접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캡(30)은 수평홈(341)에 의해 가이딩되며 운반팔(337)의 운반홈(338)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운반홈(338)의 절곡된 깊이는 캡(30)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반홈(338)의 절곡된 깊이는 캡(30)의 폭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운반홈(338)에는 오직 단일 개수의 캡(30)만이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후,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반부재(330)는 유체를 운반몸체(331)의 운반홀(334) 방향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운반피스톤(335)을 밀어내게 된다. 밀려난 운반피스톤(335)은 운반팔(337)을 이동되도록 하고, 운반피스톤(335)에 밀려난 운반팔(337)은 일측면에 형성된 운반홈(338)의 내부에 캡(30)이 위치되어, 가이딩부재(340)의 수직홈(343)을 따라 가이딩되며 제1 결합부재(400)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 결합부재(400)의 하방으로 이동된 캡(30)은 제1 결합부재(400)에 의해 들어 올려지며 운반홈(338)에서 제거된다. 캡(30)이 제거된 운송부재()는 운반팔(337)을 지지부재(310) 방향으로 잡아당겨 다른 캡(30)이 운반홈(338)에 위치되도록 운반팔(337)을 당기게 된다. 이후 운송부재()는 위 과정을 연속적으로 시행하여, 복수개의 캡(30)이 순차적으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이딩부재(340) 및 운반부재(330)는 복수개의 캡(30)을 순차적으로 제1 결합부재(400)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고하면, 운반부재(330)의 상부면에는 제2 이동부재(350) 및 제1 이동부재(370)가 위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이동부재(350)는 제1 지지부재(311) 및 제2 지지부재(313)의 외측면을 감싸며 지지부재(31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이동부재(350)의 일측면, 예를 들어, 이송부재(130)를 향한 면에 수평이동홈(35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이동홈(352)의 내측면에는 제1 지지부재(311) 및 제2 지지부재(313)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이동관(351)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이동관(351)은 폭 방향 단면이 원형인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이동부재(370)는 슬라이딩부재(371), 수직이동몸체(373) 및 수직이동관(375)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371)는 수평이동홈(352)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슬라이딩부재(371)의 높이는 수평이동홈(352)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슬라이딩부재(371)의 폭은 수평이동홈(352)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슬라이딩부재(371)가 수평이동홈(352)의 내측면과 접하면서 수평이동홈(352)에 끼워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재(371)의 좌우 측면에는 수평이동관(351)의 개수에 대응되어 좌우 측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홀(372)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홀(372)에 끼워진 수평이동관(351)은 슬라이딩부재(371)의 슬라이딩홀(372)을 관통하여, 슬라이딩부재(371)가 수평이동홈(352)의 내측면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되, 수평이동홈(352)에서 슬라이딩부재(371)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딩부재(371)의 내부에는 슬라이딩홀(372)의 내측면에 수평이동관(351)과 접하는 구동 수단(미도시)이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수단은 회전축에 바퀴가 결합된 모터일 수 있다. 이때, 바퀴는 수평이동관(351)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수평이동관(351)과 밀착될 수 있다.
구동 수단은 바퀴과 연결된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수평이동관(351)에 힘을 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슬라이딩부재(371)는 수평이동관(351)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며 슬라이딩부재(371)와 연결된 제1 이동부재(370) 및 제1 결합부재(400)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슬라이딩부재(371)가 수평이동관(35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수직이동몸체(373)는 일측면이 슬라이딩부재(371)와 연결되어, 슬라이딩부재(371)의 움직임에 따라 이송부재(130) 및 운반부재(330)의 상면에서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수직이동몸체(373)의 하부면에는 하나 이상의 수직이동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수직이동몸체(373)는, 예를 들어, 수직이동홀에 공기 또는 오일 등 유체를 공급하거나 수직이동홀에 저장된 유체를 배출하는 펌프 수단(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수직이동관(375)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관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직이동관(375)은 수직이동홀에 끼워지며 수직이동몸체(373)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연통 수단에 유체를 주입하거나 배출하는 것으로 수직이동관(375)이 수직이동홀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로 기동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이동몸체(373)의 수직이동홀에 유체를 주입함으로써, 수직이동관(375)에 압력을 가해 수직이동관(375)을 밀어내어 수직이동몸체(373)의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수직이동홀 내부의 유체를 연통 수단을 거쳐 배출하는 것으로 수직이동관(375)이 수직이동몸체(373)의 내부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이동부재(370)는 유압을 통해 수직이동관(375)이 수직이동홀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로 기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Ⅳ"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수직이동관(375)의 하방의 단부에는 구동부재(390)가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재(39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면이 수직이동관(375)의 하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구동부재(390)는 구동케이스(391) 및 구동모터(39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케이스(391)는 수직이동관(375)과 결합한 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케이스(391)의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구동케이스(391)의 일측면, 예를 들어, 제1 결합부재(400)를 향하는 면에는 개구인 구동개구(392)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구동모터(393)는 회전축이 형성된 모터 등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모터(393)는 전기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변환하는 전기모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구동모터(393)는 일단부에 구동롤러(39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구동모터(393)는 연결된 구동롤러(395)를 회전시켜, 구동롤러(395)와 벨트(380)를 매개로 연결된 제1 결합부재(4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케이스(391)의 내부 중공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구동케이스(391)의 상부면을 관통할 수 있다. 이때, 구동롤러(395)는 구동축이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구동축과 연결된 구동롤러(395)는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재(390)는 상부면에 구동케이스(391)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구동홀(397)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홀(397)은 구동부재(390)의 상부면에서 하부면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후술할 제1 결합부재(400)가 구동홀(397)에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구동부재(390)의 구동홀(397)에 제1 결합부재(400)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재(400)는 제2 결합팔(420), 제1 결합팔(410), 결합롤러(430), 그립부재(4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제2 결합팔(420)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관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팔(410)은 구동부재(390)의 구동홀(397)에 끼워지며, 구동홀(397)의 내측면과 접한 상태에서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2 결합팔(420)과 구동부재(390)의 구동홀(397)의 내측면의 사이에는 회전부재(421)가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부재(421)는 구동홀(397)의 내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베어링이거나, 제1 결합팔(410)과 접하는 면에 윤활유가 도포된 O링(O-Ring) 구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5를 참고하면, 회전부재(421)는 구동홀(397)의 내측면과 결합하고, 동시에 제1 결합팔(410)의 외측면에 형성된 회전홈(423)에 끼워지며 제1 결합팔(410)의 외측면과 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부재(421) 및 회전홈(423)은 제1 결합팔(41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2 결합팔(420)이 구동홀(397)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결합팔(420)의 상방 단부에는 결합롤러(430)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롤러(430)는 밑면이 제2 결합팔(420)의 상방 단부와 결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롤러(430)의 외측면은 벨트(380)와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벨트(380)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또는 폴리클로로프렌(polychloroprene) 등의 탄성을 가진 고무 재질로 구성된 링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링 형상의 벨트(380)의 내측면은 결합롤러(430) 및 구동롤러(395)의 외측면과 접하게 된다. 이때, 벨트(380)는 탄성을 통해 결합롤러(430) 및 구동롤러(395)의 외측면을 가압하며 결합롤러(430) 및 구동롤러(395)에 밀착된다.
구동부재(390)의 구동모터(393)가 회전하는 경우, 구동롤러(395)가 회전됨에 따라 구동롤러(395)와 접하는 벨트(380)도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벨트(380)와 접한 결합롤러(430) 또한 구동롤러(395)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결합롤러(430)의 상방면에는 결합노즐(431)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노즐(431)은 고무파이프 등의 유체를 주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는 관재가 끼움결합할 수 있도록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폭 방향 단면이 작아질 수 있다.
제2 결합팔(420)은 결합노즐(431)을 매개로 내부의 중공부가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결합노즐(431)에 연결한 관재를 통해 기체 등의 유체를 주입할 경우, 유체는 제2 결합팔(420)의 중공부로 이동하여, 제2 결합팔(420)의 내부 압력은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관재를 통해 빨아들이는 음압이 발생할 경우, 제2 결합팔(420)의 내부 유체는 결합노즐(431)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며, 제2 결합팔(420)의 내부 압력은 하강하게 된다.
한편, 제2 결합팔(420)의 하방의 단부에는 제1 결합팔(4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팔(410)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관재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결합팔(420)의 길이 방향과 제1 결합팔(410)의 길이 방향은 서로 일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결합팔의 하방의 단부와 제1 결합팔(410)의 상방의 단부가 서로 결합되어, 제1 결합팔(410)과 제2 결합팔(420)의 내부 중공부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팔(410)의 하면에는 결합홀(411)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411)은 제1 결합팔(410)의 내부 중공부를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여, 결합홀(411)을 매개로 공기 등의 유체가 제1 결합팔(410)의 내부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팔(410)의 하면에는 결합홀(411)을 매개로 가압부재(47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가압부재(470)는 가압몸체(475), 체결부재(471) 및 자바라(47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몸체(475)는 하단부에 개구가 형성된 관재 형상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공기 등의 유체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단부에는 결합홀(411)에 끼워질 수 있는 체결부재(47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재(471)의 폭 방향 단면적은 결합홀(411)의 폭 방향 단면적과 동일하도록 구비되어, 체결부재(471)가 결합홀(411)에 끼워지는 끼움결합을 통해 제1 결합팔(410)과 가압부재(470)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체결부재(471)의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결합홀(411)의 내측면에 이에 대응되는 대응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결합을 통해 제1 결합팔(410)과 가압부재(470)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작업자가 결합노즐(431)을 통해 빨아들이는 음압을 가하는 경우, 제2 결합팔(420) 및 이에 연통되도록 연결된 제1 결합팔(410)의 내부 압력은 낮아지게 된다. 또한, 제1 결합팔(410)의 하단부의 결합홀(411)을 통해 외부 공기가 제1 결합팔(410)의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30)이 그립부재(450)에 끼워지는 경우, 가압부재(470)는 캡(30)의 상면과 접하게 된다. 이때, 결합노즐(431)에 음압이 발생하면, 캡(30)은 가압부재(470) 및 캡(30) 사이의 공간과 외부 공간 사이의 기압차가 형성되고, 이로 인해 캡(30)은 가압부재(470)에 밀착될 수 있다.
이후, 결합노즐(431)에 공기를 주입하는 양압이 발생하는 경우, 결합노즐(431)로 주입된 공기는 제2 결합팔(420) 및 제1 결합팔(410)의 내부를 거쳐 결합홀(411)을 통해 가압부재(470)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한 공기는 캡(30)을 밀어내어 가압부재(470)와 캡(30)을 분리하게 된다.
이를 통해, 가압부재(470)는 캡(30)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제1 결합부재(400)와 캡(30)의 결합력을 강화하거나, 제1 결합부재(400)에서 캡(30)을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체결부재(471)와 가압몸체(475) 사이에는 자바라(473)가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바라(473)는 일단부는 체결부재(471)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가압몸체(475)와 연결되고, 외측면에는 복수개의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자바라(473)는 가요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되어, 외력에 따라 주름이 접하거나 펴짐으로 인해 자바라(473)의 전체 길이가 연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결합노즐(431)로 공기가 주입되는 양압이 가해지면, 자바라(473)는 공기가 주입되는 과정에서 주름이 펴지며 전체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반대로 결합노즐(431)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음압이 가해지면, 자바라(473)는 전체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즉, 가압부재(470)가 음압을 통해 캡(30)에 밀착되면, 자바라(473)는 길이가 축소되며 캡(30)을 그립부재(450) 방향을 잡아당겨 캡(30)과 그립부재(450)의 결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캡(30)이 그립부재(450) 및 가압부재(470)에 밀착되도록 하여, 캡(30)이 용기(20)에 비스듬하게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캡(30)에 가압부재(470)가 밀착된 상태에서 결합노즐(431)로 공기가 주입되면, 자바라(473)는 길이가 길어지며 캡(30)을 그립부재(450)의 외부로 밀어내어 캡(30)과 그립부재(450)가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그립부재(450)는 공기압으로 캡(30)과 제1 결합부(300)와의 결합력을 강화하거나, 제1 결합부(300)와 캡(30)의 결합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결합 과정에서 캡(30)이 비스듬하게 끼워지면서 발생하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결합팔(410)의 하부면에는 그립부재(450)가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립부재(450)의 상단부는 제1 결합팔(410)의 하부 외측면의 일부를 감싸며 제1 결합팔(410)과 접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그립부재(450)는 제1 결합팔(410)의 외측면을 따라 제1 결합팔(410)의 길이 방향으로 기동될 수 있다.
또한, 그립부재(450)의 하단부에는 그립홀(45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그립홀(451)의 폭 방향 단면적은 캡(30)의 외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캡(30)의 폭 방향 단면적과 동일한 값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그립부재(450)와 제2 결합팔(420) 사이에는 탄성부재(46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460)는 가요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460)는 제1 결합팔(410)의 외측면을 감싸며 탄성부재(460)의 양단부는 그립부재(450) 및 제2 결합팔(420)과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재(460)는 그립부재(450)가 제1 결합팔(410)의 외측면을 따라 기동될 때, 탄성력을 통해 그립부재(45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여, 이후 작업이 용이하게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결합부(300)가 캡(30)을 용기(20)의 개구에 결합하는 과정을 서술하고자 한다.
제1 이송부(100)에 의해 가이딩부재(340)로 이송된 캡(30)은 운반부재(330)에 의해 하나씩 순차적으로 이동된다. 이후, 제1 이동부재(370)는 슬라이딩부재(371)를 통해 제2 이동부재(350)의 수평이동관(351)을 따라 구동부재(390) 및 제1 결합부재(400)가 수평하게 이동하도록 하여, 제1 결합부재(400)가 캡(30) 상부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제1 이동부재(370)는 수직이동몸체(373)의 내부로 유체가 주입되도록 하여, 수직이동관(375)이 유체에 의해 밀려나며 구동부재(390) 및 제1 결합부재(400)가 캡(30)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30)이 그립부재(450)의 내부에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그립부재(450)에 캡(30)이 끼워지는 과정에서 그립부재(450)는 캡(30)이 그립부재(450)에 가하는 반작용으로 인해 제1 결합팔(410)의 외측면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그립부재(450)는 캡(30)이 끼워지는 과정에서 캡(30)과 그립부재(450)가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반작용력을 흡수하여, 캡(30)이 그립부재(450)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460)는 탄성에 의한 반발력을 그립부재(450)에 가해, 캡(30)이 끼워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력을 흡수하고, 그립부재(45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캡(30)이 그립부재(450)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작업자는 제2 결합팔(420)의 결합노즐(431)에 연결된 관재로 공기가 배출되는 음압을 가해 제1 결합팔(410) 및 제2 결합팔(420)의 내부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결합팔(410)의 결합홀(411)에 끼워진 가압부재(470)는 캡(30)과 밀착되어, 캡(30)이 그립부재(45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재(470)의 자바라(473)는 공기압을 인해 수축되며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이로 인해, 가압몸체(475) 및 가압몸체(475)에 밀착된 캡(30)은 결합홀(411) 방향으로 이동하며 캡(30)과 제1 결합부재(400) 사이의 결합력이 강화될 수 있다.
이후, 제1 결합부재(400)와 결합된 캡(30)은 제1 이동부재(370) 및 제2 이동부재(350)를 통해 용기(20)의 상부면으로 이동된다.
캡(30)이 용기(20)의 상부면으로 이동되면, 제1 이동부재(370)는 제1 결합부재(400) 및 제1 결합부재(400)와 연결된 캡(30)을 용기(20)의 상부면에 접근시키게 된다. 이때, 구동부재(390)는 구동롤러(395) 및 구동롤러(395)와 연결된 벨트(380)를 회전하도록 하여, 벨트(380)와 연결된 제1 결합부재(400)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회전하는 제1 결합부재(400)는 결합된 캡(30) 또한 함께 회전하도록 하여, 캡(30)의 나사산이 용기(20)의 대응나사산에 끼워지도록 하여 캡(30)과 용기(20)가 나사결합되도록 하여 캡(30)과 용기(20)를 선결합하게 된다.
이때, 캡(30)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구동부재(390)의 구동롤러(395) 및 구동롤러(395)와 벨트(380)를 매개로 연결된 제1 결합부재(400)가 회전하는 각도는 180° 내지 360° 사이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캡(30)을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제1 결합부재(400)가 회전하는 각도를 180° 내지 360°으로 설정한 것은, 회전각도가 180°미만인 경우 선체결이 견고하지 않아 캡(30)과 결합된 용기(20)가 제2 결합부(500)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분리되기 때문이다. 또한, 제1 결합부재(400)가 360°이상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결합부재(400)가 지나치게 오래 회전하여, 캡(30)을 용기(20)에 선체결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져 전체적인 체결 공정의 진행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이다.
즉, 제1 결합부재(400)가 캡(30)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회전되는 정도는 반 바퀴 이상 한 바퀴 미만으로 설정하여, 제1 결합부(300)에서는 캡(30)과 용기(20)가 사전 체결하는 선체결이 신속히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캡(30) 및 용기(20)의 체결공정의 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중 하나로, 제1 결합부재(400)가 고속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캡(30)이 빠르게 용기(20)에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캡(30)이 결합 과정에서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면, 결합 과정에서 캡(30) 또는 용기(20)가 파손되어, 불량이 발생하기가 쉬워진다. 반면에 캡(30)이 저속으로 회전하면 조립 과정에서 시간상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회전공급 결합장치(1)는 제1 결합부재(400)의 회전속도를 조정하는 것이 아닌, 캡(30)이 용기(20)에 반 바퀴 내지 한 바퀴 회전하는 선체결이 진행시키도록 한다. 이로 인해, 제1 결합부(300)는 고속으로 회전할 필요가 없어, 캡(30)이 체결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량을 방지하는 한편, 저속으로 회전함으로써 발생하는 공정의 시간 손실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회전공급 결합장치(1)는 선체결을 실시하여 캡(30) 결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량율을 감소시키고, 공정 상 이점을 가져올 수 있다.
한편, 제2 결합부(500)는 제3 결합팔(510) 및 제2 결합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결합팔(510)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관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결합팔(510)은 제2 결합부(500) 내부에 형성된 회전모터 등의 회전수단(미도시)과 연결되어, 일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부재(530)는 제3 결합팔(510)의 하방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결합부재(530)는 용기(20)에 선체결된 캡(30)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구비되어, 선체결된 캡(30)의 외측면을 가압하며 캡(30)의 결합을 실시할 수 있다.
제1 결합부(300)에서 캡(30)이 선체결된 용기(20)는 이송부재(130)에 의해 제2 결합부(500)의 제2 결합부재(530)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용기(20)가 하방으로 이동되면 제3 결합팔(510)은 회전하는 동시에 제2 결합부재(530)를 캡(30)으로 이동시켜 제2 결합부재(530)가 캡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할 수 있다.
캡(30)의 외측면과 접하는 제2 결합부재(530)는 제3 결합팔(510)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하며, 캡(30)과 용기(20)를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캡(30)은 제1 결합부(300)에서 선체결이 실시되었기 때문에, 제2 결합부재(530)가 고속으로 회전하더라도, 캡(30)이 용기(20)에 결합되면서 발생하는 파손 동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회전공급 결합장치(1)는 복수개의 결합부를 구비하여, 캡(30) 조립 과정에서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 캡 회전공급 결합장치 20 : 용기
30 : 캡 31 : 나사산
100 : 제1 이송부 110 : 제1 컨베이어
130 : 이송부재 131 : 이송홈
133 : 끼움부재 135 : 끼움팔
150 : 제2 컨베이어 200 : 제2 이송부
300 : 제1 결합부 310 : 지지부재
311 : 제1 지지부재 313 : 제2 지지부재
330 : 운반부재 331 : 운반몸체
333 : 연결고리 334 : 운반홀
335 : 운반피스톤 337 : 운반팔
338 : 운반홈 340 : 가이딩부재
341 : 수평홈 343 : 수직홈
350 : 제2 이동부재 351 : 수평이동관
352 : 수평이동홈 370 : 제1 이동부재
371 : 슬라이딩부재 372 : 슬라이딩홀
373 : 수직이동몸체 375 : 수직이동관
380 : 벨트 390 : 구동부재
391 : 구동케이스 392 : 구동개구
393 : 구동모터 395 : 구동롤러
397 : 구동홀 400 : 제1 결합부재
410 : 제1 결합팔 411 : 결합홀
420 : 제2 결합팔 421 : 회전부재
423 : 회전홈 430 : 결합롤러
431 : 결합노즐 450 : 그립부재
451 : 그립홀 460 : 탄성부재
470 : 가압부재 471 : 체결부재
473 : 자바라 475 : 가압몸체
500 : 제2 결합부 510 : 제3 결합팔
530 : 제2 결합부재

Claims (6)

  1. 용기를 일측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캡을 일측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
    상기 제2 이송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이송부에서 이송된 상기 캡을 상기 용기의 상면으로 이송한 뒤, 상기 캡을 상기 용기에 안착시키고 회전시켜 선체결하는 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제1 결합부에서 선체결된 상기 캡을 회전을 통해 상기 용기에 체결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캡 회전공급 결합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2 이송부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면에 상기 캡의 이송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수평홈 및 상기 수평홈의 단부와 접하고, 상기 수평홈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수직홈이 형성되는 가이딩부재;
    상기 가이딩부재의 상기 수직홈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수평홈에서 이송된 상기 캡을 순차적으로 운반하는 운반부재; 및
    상기 운반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일측 방향으로 상기 캡을 이동시켜 상기 용기에 선체결하는 제1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캡 회전공급 결합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가이딩부재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결합부재를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면에서 상기 용기의 상면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부재; 및
    상기 제1 이동부재와 접하고, 상기 용기의 이송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이동부재의 일측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수평이동관을 가지는 제2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캡 회전공급 결합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부재와 벨트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결합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캡 회전공급 결합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측면에 탄성부재가 위치하는 제1 결합팔;
    상기 제1 결합팔의 단부와 연결되고 상단부에 상기 벨트와 접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결합팔을 회전시키는 결합롤러를 가지는 제2 결합팔;
    상기 제1 결합팔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캡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캡을 고정하며, 상기 캡을 향한 면에 그립홀이 형성되는 그립부재; 및
    상기 그립부재의 상기 캡을 향한 내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캡의 일측면을 음압을 통해 고정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캡 회전공급 결합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용기의 상부면과 접하는 가압몸체;
    상기 가압몸체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일단부가 상기 그립홀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그립홀을 통해 공기가 연통되는 체결부재; 및
    가요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그립홀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수축되거나 확장되는 자바라를 포함하는 캡 회전공급 결합장치.
KR1020180116002A 2018-09-28 2018-09-28 캡 회전공급 결합장치 KR102179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002A KR102179572B1 (ko) 2018-09-28 2018-09-28 캡 회전공급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002A KR102179572B1 (ko) 2018-09-28 2018-09-28 캡 회전공급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401A true KR20200036401A (ko) 2020-04-07
KR102179572B1 KR102179572B1 (ko) 2020-11-16

Family

ID=70291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002A KR102179572B1 (ko) 2018-09-28 2018-09-28 캡 회전공급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5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4138A1 (ko) 2020-03-25 2021-09-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핸들 풀림 방지 구조를 구비한 배터리 팩
CN117302661A (zh) * 2023-11-28 2023-12-29 四川威纳尔特种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芯片封装用键合丝卷料的自动装盒装置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0822U (ja) * 2000-02-07 2000-08-15 株式会社ナカキン キャップ装着装置
JP2001122392A (ja) * 1999-10-27 2001-05-08 Seiko Corp キャッパー用キャップ支持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6076105B2 (ja) * 2013-01-28 2017-02-08 株式会社日清製粉グループ本社 不定比酸化物粒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0822B2 (ja) * 1995-02-24 2000-07-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輪郭線データ変換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2392A (ja) * 1999-10-27 2001-05-08 Seiko Corp キャッパー用キャップ支持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3070822U (ja) * 2000-02-07 2000-08-15 株式会社ナカキン キャップ装着装置
JP6076105B2 (ja) * 2013-01-28 2017-02-08 株式会社日清製粉グループ本社 不定比酸化物粒子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4138A1 (ko) 2020-03-25 2021-09-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핸들 풀림 방지 구조를 구비한 배터리 팩
CN117302661A (zh) * 2023-11-28 2023-12-29 四川威纳尔特种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芯片封装用键合丝卷料的自动装盒装置及方法
CN117302661B (zh) * 2023-11-28 2024-02-06 四川威纳尔特种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芯片封装用键合丝卷料的自动装盒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572B1 (ko) 2020-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36401A (ko) 캡 회전공급 결합장치
KR100774147B1 (ko) 기계식 밸브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벽면 등반 로봇
US8561282B2 (en) Method of coupling container body and cover member
WO2015174841A1 (en) Filling device
US20080223418A1 (en) Device for Cleaning and Doping Equipment for Threads
CN111570149B (zh) 一种环保三通管加工装置
CN103878710B (zh) 夹紧装置
CN107923434A (zh) 用于提取器系统的轴承组件
CN106181142A (zh) 钢管焊接装置
KR100987149B1 (ko) 스티커 라벨링장치
CN203772502U (zh) 一种旋转式车轮气密检测机
US9643205B2 (en) Tire lubricator device of tire testing machine
CN106758992B (zh) 一种可引导限位的道路护栏清洗设备
KR101867560B1 (ko)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
KR101870771B1 (ko) 스팀세척 파우치 제품용 회전식 제조장치
CN213839097U (zh) 一种易于连接的油缸接头
CN211428267U (zh) 打钉机构
CN115673749A (zh) 一种乳液泵生产线
KR101942964B1 (ko) 유압식 그리스 자동 공급장치
KR101164586B1 (ko) 관로 보수용 튜브반전 장치
KR101620565B1 (ko) 복층유리 가스주입장치
CN114243231A (zh) 一种电芯拔钢钉注氮补液线
KR101311182B1 (ko) 충전 및 밀봉 과정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의 마무리 공정 장치
KR20160069174A (ko) 화장품 용기용 오링 조립유닛과 이를 갖는 화장품 용기 조립장치
CN113264229B (zh) 一种医疗输液软袋灌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