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6082A - 적층 가공법에 의해 제작된 니오븀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의 결정립계 특성 향상을 위한 열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해 열처리된 니켈기 초내열합금 - Google Patents

적층 가공법에 의해 제작된 니오븀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의 결정립계 특성 향상을 위한 열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해 열처리된 니켈기 초내열합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6082A
KR20200036082A KR1020180112131A KR20180112131A KR20200036082A KR 20200036082 A KR20200036082 A KR 20200036082A KR 1020180112131 A KR1020180112131 A KR 1020180112131A KR 20180112131 A KR20180112131 A KR 20180112131A KR 20200036082 A KR20200036082 A KR 20200036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resistant alloy
nickel
based super
niob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현욱
이지원
Original Assignee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12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6082A/ko
Publication of KR20200036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1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nickel or cobalt or alloys based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22F10/20Direct sintering or melting
    • B22F10/28Powder bed fusion, e.g. selective laser melting [SLM] or electron beam melting [EBM]
    • B22F3/105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2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 B23K20/1215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the heat being generated by friction; Friction welding for other purposes than joining, e.g. built-up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33Ni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4Welding for other purposes than joining, e.g. built-up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3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 C22C19/05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 C22C19/051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and Mo or W
    • C22C19/057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with chromium and Mo or W with the maximum Cr content being less 1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5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용 스팀 혹은 가스터빈, 항공 엔진용 터빈을 구성하는 블레이드, 베인, 열교환기, 연소기 등 주요부품에 사용되는 Alloy 625(Ni-21Cr-9Mo-3.5Nb) 등의 니오븀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 중, 적층 가공법으로 제조된 니오븀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에 파형 결정립계(serrated grain boundary)를 형성하기 위한 열처리 방법 및 그에 의한 합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온에서 크리프, 피로, 산화, 부식 등 입계균열에 의한 파손 저항성을 높이는 니오븀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의 결정립계 파형화(serration) 열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해 열처리되어 파형 입계를 가진 니오븀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적층 가공법에 의해 제작된 니오븀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의 결정립계 특성 향상을 위한 열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해 열처리된 니켈기 초내열합금{METHOD OF HEAT TREATMENT OF ADDITIVE MANUFACTURED NI-BASE SUPERALLOY CONTAINING NIOBIUM FOR ENHANCING INTERFACIAL PROPERTIES OF GRAIN BOUNDARIES AND NI-BASE SUPERALLOY HEAT-TREATED THEREBY}
본 발명은 니오븀이 함유된 니켈기 초내열합금의 열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해 열처리된 니켈기 초내열합금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층 가공(additive manufacturing, AM)에 의해 제작된 니오븀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을 대상으로 고온에서 크리프, 피로, 산화, 부식 등 입계균열에 의한 파손 저항성을 높이기 위한 열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해 열처리된 니오븀 함유된 니켈기 초내열합금에 대한 것이다.
니켈기 초내열합금은 용접성, 내식성 및 고온 기계적 특성 등이 우수하여 항공기 및 발전용 가스터빈 파워 어셈블리(assembly)와 같은 고온용 부품의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고려되는 니오븀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인 Alloy 625는 대부분의 경우 단련재(wrought product)로서, 압연, 단조, 용접 및 기계가공에 의해 비교적 간단한 형상의 부품을 제작한다. 정밀주조(investment casting)에 의해서도 부품을 제작할 수 있으나, 제작 단가가 높고, 조대한 결정립, 주조결함, 편석 등의 품질 문제가 빈번히 발생한다. 단련과정과 용접 및 기계가공을 통해 얻어지는 Alloy625 단련 제품들은 품질은 우수하나, 가공단가가 높고, 좀 더 복잡한 형상의 부품 제작이 어려워 설계 자유도가 높지 않은 단점이 있다.
최근 이러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으면서, 소재절감을 비롯한 공정단가 또한 절감할 수 있는 3차원 적층 가공법이 각광을 받고 있다. 공정 단순화를 비롯하여 적은 소재로 더 복잡한 구조를 제작 가능한 장점을 통하여 700℃ 이상의 항공 엔진용 터빈의 연소기 혹은 스팀터빈의 블레이드/베인 부품에 적용을 위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항공 엔진용 연소기, 스팀터빈 블레이드에서 소재는 700℃ 이상에서 장시간 사용되므로 크리프, 피로 등의 손상과 더불어 산화, 불순물 기체에 의한 부식 등에 의해 예측되지 않는 소재 파단이 우려된다. 따라서 이러한 소재의 주요한 손상의 원인인 크리프, 피로, 산화, 부식 등의 저항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제조업체, 부품가공업체 및 운영업체 모두에게 중요한 과제의 하나로 떠오르고 있다.
적층 가공법을 활용한 Alloy 625 합금에 대한 연구는 최근 사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 중에 있으나 제작 후 미세조직 균일화를 위한 후열처리 방안은 아직 통상적으로 확정된 바가 없다. 몇몇 문헌에서는 실험실적으로 고온영역에서 용체화 처리(1150℃/1~2시간) 후에 수냉(50℃/초 이상)을 한다고 보고하였다(도 2의 '제안되는 열처리 방법' 참조). 적층 가공법으로 Alloy 625합금을 제작 하면, 급열 급냉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수지상간 영역(intercolumnar region)에 Nb-rich phases(MC, Laves, Eta 등) 혹은 Nb-rich 편석 영역이 생성된다. 상기의 열처리 방법으로는 이러한 Nb-rich phases 혹은 편석 제거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으며, 결정립 크기 또한 균일하지 않게 나타나므로 크리프, 피로, 산화, 부식 등에 대한 저항성 개선이 제한적이다.
특히, 700℃ 이상의 고온 환경에서는 크리프, 피로, 산화, 부식 등의 손상에 의해 결정립계가 심각하게 열화되고, 취약해지므로 균질화와 재결정 및 균일한 결정립 크기뿐만 아니라 결정립계 열화 저항성 또한 향상시키는 경제적이며 간편한 열처리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862059호 (등록일: 2018.05.23.) 미국 공개특허 제2016-0138400호 (공개일: 2016.05.19)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116632호 (공개일: 2015.10.1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4차 산업 혁명을 주도하는 핵심적인 기술인 적층 가공법(additive manufacturing)을 이용하여 제작된 니오븀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이 700℃ 이상의 고온에서 장시간 노출되는 환경에서 크리프, 피로, 산화, 부식에 대한 저항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경제적이며 간편한 니오븀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에 대한 열처리 방법 및 상기 열처리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니오븀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층 가공법(additive manufacturing, AM)으로 제조된 니오븀(Nb)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의 제조 및 가공 후 열처리 방법에 있어서, (a) 적층 가공법으로 제조된 니오븀(Nb)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을 1250 ~ 1300℃에서 5분 이상 용체화 처리를 하는 단계; (b) 상기 용체화 처리를 한 후, 곧바로 시효처리를 위한 800 ∼ 900℃까지 1 ~ 10℃/분의 냉각속도로 서냉하는 단계; (c) 상기 서냉하는 단계 후에 800 ∼ 900℃에서 5분 ~ 10시간 동안 유지하여 시효처리를 하는 단계; 및 (d) 상기 시효처리 후에 공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층 가공법으로 제조된 니켈기 초내열합금의 열처리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적층 가공법으로 제조된 니오븀(Nb)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은 고에너지 직접 조사 방식(Direct Energy Deposition, DED) 또는 분말 적층 용융 방식(Powder Bed Fusion, PBF)을 이용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가공법으로 제조된 니켈기 초내열합금의 열처리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적층 가공법으로 제조된 니오븀(Nb)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은 금속 와이어 아크 적층 제조법(Metal Wire Arc Additive Manufacturing, MWAAM) 또는 적층 마찰 교반법(Additive Friction Stirring, AFS)을 이용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가공법으로 제조된 니켈기 초내열합금의 열처리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상기 니오븀(Nb)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은 Alloy 625(Ni-21.5Cr-2.5Fe-9Mo-3.5Nb-0.2Ti-0.2A1-0.06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기 초내열합금의 열처리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니켈기 초내열합금에 파형 결정립계(serrated grain boundary)를 형성시킴으로써, 700℃ 이상 고온에서의 장시간 사용 환경 하에서도 상기 니켈기 초내열합금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기 초내열합금의 열처리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 방법에 따라 열처리된 니오븀(Nb)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처리 방법은, 적층 가공법으로 제조된 니오븀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에 파형 결정립계(serrated grain boundary) 형성을 유도하기 위한 최적화된 열처리 조건을 포함함으로써, 초내열합금의 기본적인 특성은 그대로 유지시키면서 결정립계의 형상을 파형모양으로 변화시켜서 계면에너지가 낮은 저밀도의 탄화물의 석출을 유도하고 결정립계와 기지와의 결합력을 높임으로써, 700℃ 이상의 고온에서 장시간 노출되는 환경에서도 크리프, 피로, 산화, 부식 등 입계균열 파손에 대하여 저항성을 크게 향상시킴과 동시에 열처리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처리 방법의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공정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처리 방법과 기존에 보고된 바 있는 열처리 방법을 보여주는 열처리 프로파일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처리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파형입계를 보여주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니켈기 초내열합금의 주요 손상원인인 입계손상은 모두 취약한 결정립계를 따라 균열이 주로 생성되고 전파한다. 이에 따라, 입계 자체의 에너지를 낮추고, 균열진정 노정을 늘리며, 입계에 석출되는 석출상, 예컨대 탄화물의 형상과 특성을 변화시킨다면, 입계손상의 저항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입계 에너지를 낮추고, 균열진정 노정을 늘리며 탄화물의 형상과 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파형(wave type)의 결정립계를 형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되, 특히, 적층 가공법에 의해 제조된 니켈기 초내열합금에 최적화된 신규한 열처리 방법에 대한 것이다.
참고로, 파형의 결정립계는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해 입계손상에 대한 저항성을 증대시킨다.
먼저 결정립간의 어긋남(misorientation) 정도를 낮추어 기지와의 결합력이 증가하고 동시에 입계를 따르는 균열의 진정 노정을 길게 한다. 또한 결정립계에 석출되는 탄화물은 밀도가 낮고 안정된 계면에너지를 갖는 판상모양을 갖도록 유도하여, cavity 생성을 억제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적층 가공법에 의해 제조된 니켈기 초내열합금에 파형의 결정립계를 형성하여 판상의 석출물을 유도하는 열처리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파형 입계 발생에 대한 기구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입계 스스로가 온도에 따라 총 에너지를 낮추기 위해 형상을 변화시킨 다는 것이 최근 본 발명자에 의해 독창적으로 제안되고 있다.
즉, 고온 영역에서는 결정립간 어긋남보다는 표면에너지의 영향이 커서 표면적을 가능한 작게 하기 위해 직선형의 입계가 발달한다. 중간온도 영역 이하에서는 상대적으로 결정립간 어긋남이 중요하므로 입계가 결정학적으로 유리하게 배열되도록 여러 개의 세그먼트(segment)로 분리되는 파형입계가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파형 입계의 발생 기구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니켈기 합금에서 파형입계를 얻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들을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한다.
첫째로, 입계에서의 탄화물 석출은 최대한 지연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탄화물은 결정립계 고정효과(pinning effect)로 입계의 움직임에 방해되고, 이미 석출된 탄화물들은 그 특성(밀도, 모양 등)을 개선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탄소의 과포화는 최소화되어야 한다.
둘째로, 입계가 스스로 움직여서 평형상태에 근접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과 온도를 부여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조건들을 충족하기 위하여, 적층 가공법에 의해 제조된 니켈기 초내열합금을 탄화물이 용해, 고용되는 고온영역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유지한 후, 결정립간 어긋남이 중요하게 되는 중간온도 이하까지 서냉하는 열처리 방법을 제시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열처리 방법은 파형 입계의 생성하는 것과 동시에 니켈기 합금에서 요구되는 기본적인 특성은 그대로 유지시킨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새로운 열처리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처리 방법의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공정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처리 방법('본 발명의 열처리 방법')과 기존에 적층 가공법에 의해 제조된 니켈기 초내열합금에 대해 보고된 열처리 방법('기존 열처리 방법')을 보여주는 열처리 프로파일의 모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처리 방법은 먼저 적층 가공법으로 제조된 니오븀(Nb)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의 용체화 처리를 위하여 고온영역인 1250 ∼ 1300℃에서 5분 이상의 용체화 처리시간을 유지한다(S100).
본 발명의 열처리 방법이 제공되는 상기 적층 가공법으로 제조된 니오븀(Nb)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은 ASTM(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F42 및 ISO TC261(Additive Manufacturing)에 정의된 고에너지 직접 조사 방식(Direct Energy Deposition, DED) 또는 분말 적층 용융 방식(Powder Bed Fusion, PBF) 등에 의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DED 공법은 금속표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국부적으로 용해된 Pool을 구성함과 동시에 금속 분말을 공급하여 형상을 제조하는 공법(DMD, MMAAM, AFS, LENS, EBF 등)이며, 상기 PBF 공법은 파우더 챔버 내에서 높은 열에너지원(레이저 혹은 전자빔)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용해시켜 형상을 제조하는 공법(SLM, EBM 등)이다.
상기 DED 공법과 PBF 공법은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지만, DED 공법이 현재로서는 PBF 공법보다 강성이 우수하고 대형부품적용에 유리한 점이 많아서 활발한 연구와 응용이 진행되고 있다.
상기 DED 공법 중 최근 주목받고 있는 방식으로는 금속 와이어 아크 적층 제조법(Metal Wire Arc Additive Manufacturing, MWAAM) 및 적층 마찰 교반법(Additive Friction Stirring, AFS)이 있다.
상기 MWAAM 방식은 GMAW, GTAW, PAW 등의 아크를 열원으로 금속 용가재(filler metal)를 송급해 와이어를 적층함으로써 부품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또한. 상기 AFS 방식은 금속 또는 금속 매트릭스 복합재(MMC)의 증착을 위한 고상 열기계 공정(solid-state thermo-mechanical process)으로서, 벌크 또는 분말 형태의 용가재가 회전하는 AFS 공구를 통해 공급되면 기판 사이에서 강제 유동되어 심한 소성 변형, 동적 재결정, 압밀화(분말의 경우) 및 증착이 일어나 기판 상에 용가재를 이루는 소재가 적층되는 방식이다.
본 단계에서 상기 용체화 처리 온도를 1250 ∼ 1300℃로 한정한 이유는 1300℃를 초과할 경우 결정립 조대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져, 최종 기계적 특성을 크게 저하시킬 우려가 있으며, 편석대 혹은 결정립계 등에서 부분적 용해(incipient melting)가 발생하기 때문에 그 이하로 낮추어야 한다.
한편, 용체화 처리 온도가 1250℃ 미만일 경우 재결정(recrystallization)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때 방향성이 매우 강한(textured) columnar 결정립 조직이 적층 제조 이후 그대로 유지되어 기계적 특성이 크게 저하되고, 이방성(anisotropy)이 존재하게 된다. 한편, 재결정이 발생한다고 해도, Nb-rich 한 편석대가 완전히 용해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NbC가 완전히 용해되지 않아 서냉을 하더라도 결정립계 움직임이 제약을 받아 파형입계가 잘 발달하지 않게 된다.
상기 용체화 처리시간은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여 상기 적층 가공법에 의해 제조된 합금에서 균질화 처리가 충분하게 일어나는 즉, 소재 내의 탄화물을 충분히 용해하고 편석대를 제거하며, 아울러 결정립 성장이 적절히 발생하여 취약한 결정립계 면적을 줄일 수 있을 정도의 시간을 말하며, 본 단계에서는 5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니오븀(Nb)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을 시효처리 온도(800 ∼ 900℃)인 중온영역까지 1 ∼ 10℃/분의 속도로 서냉한다(S200).
본 단계에서는 중온영역까지 분당 1 ~ 10℃로 서냉해 니오븀(Nb)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에 파형 입계를 형성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체화 처리 후 곧바로 시효처리 온도까지 서냉함에 있어 분당 1 ~ 10℃ 이하로 한정한 이유는 냉각속도가 분당 10℃를 초과할 경우 결정립계가 파형으로 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적 여유가 없어 탄화물이 먼저 석출되기 때문에 파형입계를 얻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냉각속도가 분당 1℃ 미만일 경우 입내 탄화물이 조대화되고, 고용강화효과가 크게 떨어져, 고온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용체화 처리 후 그 온도에서 실온까지의 온도영역의 전 범위에서 분당 1 ~ 10℃로 서냉할 경우, 완전한 파형입계 생성이 부족하고, 안전된 판상의 탄화물 석출이 미흡하여 입계파단 저항성의 개선이 크지 않다.
만일 용체화 처리 후 그 온도에서 본 발명의 시효처리 온도가 아닌 다른 온도구간에서 분당 1 ~ 10℃로 서냉할 경우 파형 입계와 안전된 판상의 탄화물의 생성이 충분하게 구현되지 않는다.
이어서, 상기 니오븀(Nb)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을 시효처리 온도인 800 ∼ 900℃에서 5분 이상의 시효처리 시간을 유지한다(S300).
용체화 처리 후 곧바로 서냉하여 도달하는 시효처리 온도를 800 ∼ 900℃로 한정한 이유는 900℃를 초과할 경우 서냉하는 온도 구간이 충분하지 않아 높은 분율의 파형입계 생성이 유도되지 않는다. 또한, 시효처리온도가 800℃ 미만일 경우 그 온도 대에서 빠르게 형성되는 입계 석출물에 의하여 오히려 파형입계 형성 분율이 현저히 낮아지게 된다.
상기 시효처리 시간은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여 완전한 파형 결정립계가 시편 전체에 균일하게 생성하도록 유도하고, 만일 파형 결정립계에 탄화물이 석출할 경우 판상의 안전한 계면을 갖는 탄화물들이 일부 석출되는 시간을 말한다. 본 단계에서 시효처리 시간을 5분 ~ 10시간으로 한정한 이유는 시효처리 시간이 5분 미만일 경우 시간이 충분하지 않아 시편 전체에 완전한 형상의 파형 결정립계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 시효처리 시간이 10시간을 초과할 경우, 입내 및 입계 탄화물이 조대화되어 탄소에 의한 고용강화효과가 떨어지고, 고온에서 사용할 경우 초기 미세한 탄화물 석출의 촉진이 억제되어 고온 강도를 열화시키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시효처리된 니오븀(Nb)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을 공냉(약 100℃/분)하여 열처리를 종결한다(S400).
시효처리 후 공냉을 해야 하는 이유는 적층 가공 중 발생한 잔류응력이 열처리 후에도 다 해소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수냉을 하게 될 경우, 샘플의 변형이 발생하며, 로냉을 하게 될 경우 계속해서 진행되는 열처리 효과에 의하여 탄화물의 조대화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열처리 방법은, 적층 가공법으로 제조된 니오븀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에 파형 결정립계(serrated grain boundary) 형성을 유도하기 위한 최적화된 열처리 조건을 포함함으로써, 초내열합금의 기본적인 특성은 그대로 유지시키면서 결정립계의 형상을 파형모양으로 변화시켜서 계면에너지가 낮은 저밀도의 탄화물의 석출을 유도하고 결정립계와 기지와의 결합력을 높임으로써, 700℃ 이상의 고온에서 장시간 노출되는 환경에서도 크리프, 피로, 산화, 부식 등 입계균열 파손에 대하여 저항성을 크게 향상시킴과 동시에 열처리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명세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아래 표 1의 '본원 실시 예'에 기재된 열처리 조건에 따라 Alloy 625 시편을 열처리하였다.
먼저, 적층 가공법(본 실시예에서는 PBF 공법중의 하나인 Selective Laser Melting법 적용)으로 제조된 Alloy 625 시편의 용체화 처리를 위하여 고온영역인 1250 ∼ 1300℃에서 용체화 처리시간(5분 이상)을 유지했다. 그 후, 시효처리 온도(800 ∼ 900℃)인 중온영역까지 1 ∼ 10℃/분의 속도로 서냉했다. 이어서, 시효처리 온도인 800 ∼ 900℃에서 시효처리 시간(5분 이상)을 유지한 후, 공냉하여 열처리를 완료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열처리 방법에 의하여 도 3에 보듯이, 결정립계 전체에 걸쳐서 성공적으로 파형입계 생성이 유도되었다. 아울러 계면에너지가 낮은 판상의 탄화물들이 파형입계를 따라 안정적으로 석출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 내지 9>
아래 표 1의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9'에 기재된 열처리 조건 각각에 따라, 본원 실시 예와 용체화처리온도, 용체화처리시간, 서냉조건, 시효처리온도 또는 시효처리시간을 달리하여 Alloy 625 시편을 열처리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의 '파형입계 생성 유무' 항목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본원 실시예에서 얻어진 초내열합금 시편에는 파형입계가 생성된 반면, 본원 실시예의 열처리 조건을 벗어나는 범위에서 열처리된 비교예에 따른 시편에서는 절대로 파형의 결정립계가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6)

  1. 적층 가공법(additive manufacturing, AM)으로 제조된 니오븀(Nb)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의 제조 및 가공 후 열처리 방법에 있어서,
    (a) 적층 가공법으로 제조된 니오븀(Nb)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을 1250 ~ 1300℃에서 5분 이상 용체화 처리를 하는 단계;
    (b) 상기 용체화 처리를 한 후, 곧바로 시효처리를 위한 800 ∼ 900℃까지 1 ~ 10℃/분의 냉각속도로 서냉하는 단계;
    (c) 상기 서냉하는 단계 후에 800 ∼ 900℃에서 5분 ~ 10시간 동안 유지하여 시효처리를 하는 단계; 및
    (d) 상기 시효처리 후에 공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층 가공법으로 제조된 니켈기 초내열합금의 열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가공법으로 제조된 니오븀(Nb)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은 고에너지 직접 조사 방식(Direct Energy Deposition, DED) 또는 분말 적층 용융 방식(Powder Bed Fusion,PBF)을 이용해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가공법으로 제조된 니켈기 초내열합금의 열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가공법으로 제조된 니오븀(Nb)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은 금속 와이어 아크 적층 제조법(Metal Wire Arc Additive Manufacturing, MWAAM) 또는 적층 마찰 교반법(Additive Friction Stirring, AFS)을 이용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가공법으로 제조된 니켈기 초내열합금의 열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오븀(Nb)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은 Alloy 625 (Ni-21.5Cr-2.5Fe-9Mo-3.5Nb-0.2Ti-0.2A1-0.06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가공법으로 제조된 니켈기 초내열합금의 열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니켈기 초내열합금에 파형 결정립계(serrated grain boundary)를 형성시킴으로써, 700℃ 이상 고온에서의 장시간 사용 환경 하에서도 상기 니켈기 초내열합금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가공법으로 제조된 니켈기 초내열합금의 열처리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열처리된 니오븀(Nb)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
KR1020180112131A 2018-09-19 2018-09-19 적층 가공법에 의해 제작된 니오븀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의 결정립계 특성 향상을 위한 열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해 열처리된 니켈기 초내열합금 KR202000360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131A KR20200036082A (ko) 2018-09-19 2018-09-19 적층 가공법에 의해 제작된 니오븀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의 결정립계 특성 향상을 위한 열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해 열처리된 니켈기 초내열합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131A KR20200036082A (ko) 2018-09-19 2018-09-19 적층 가공법에 의해 제작된 니오븀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의 결정립계 특성 향상을 위한 열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해 열처리된 니켈기 초내열합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082A true KR20200036082A (ko) 2020-04-07

Family

ID=70290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131A KR20200036082A (ko) 2018-09-19 2018-09-19 적층 가공법에 의해 제작된 니오븀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의 결정립계 특성 향상을 위한 열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해 열처리된 니켈기 초내열합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608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73391A (zh) * 2021-06-02 2021-09-10 上海电机学院 一种提高镍基合金锻件抗高温氧化性能的方法
CN113996805A (zh) * 2021-10-27 2022-02-01 北京科技大学 一种gh4169高温合金铸锭成型方法
KR20220115420A (ko) * 2021-02-10 2022-08-17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층제조된 초내열합금의 강도 및 연성 향상을 위한 열처리 방법
KR20220122373A (ko) 2021-02-26 2022-09-02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고 속도 및 열처리 조절에 의한 초내열합금 르네(Rene') 80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초내열합금 르네(Rene') 80
CN116949380A (zh) * 2023-09-20 2023-10-27 北京钢研高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热强性高温合金的热处理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6632A (ko) 2014-04-08 2015-10-16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Nb이 함유된 니켈기 초내열합금의 용접부 고인성을 위한 열처리 방법 및 그에 의한 용접부를 갖는 초내열합금
US20160138400A1 (en) 2014-11-17 2016-05-19 Alcoa Inc. Aluminum alloys having iron, silicon, vanadium and copper
KR101862059B1 (ko) 2016-11-29 2018-05-29 국방과학연구소 고강도 니켈기 초내열합금의 설계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6632A (ko) 2014-04-08 2015-10-16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Nb이 함유된 니켈기 초내열합금의 용접부 고인성을 위한 열처리 방법 및 그에 의한 용접부를 갖는 초내열합금
US20160138400A1 (en) 2014-11-17 2016-05-19 Alcoa Inc. Aluminum alloys having iron, silicon, vanadium and copper
KR101862059B1 (ko) 2016-11-29 2018-05-29 국방과학연구소 고강도 니켈기 초내열합금의 설계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420A (ko) * 2021-02-10 2022-08-17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층제조된 초내열합금의 강도 및 연성 향상을 위한 열처리 방법
WO2022173082A1 (ko) * 2021-02-10 2022-08-18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층제조된 초내열합금의 강도 및 연성 향상을 위한 열처리 방법
KR20220122373A (ko) 2021-02-26 2022-09-02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응고 속도 및 열처리 조절에 의한 초내열합금 르네(Rene') 80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초내열합금 르네(Rene') 80
CN113373391A (zh) * 2021-06-02 2021-09-10 上海电机学院 一种提高镍基合金锻件抗高温氧化性能的方法
CN113996805A (zh) * 2021-10-27 2022-02-01 北京科技大学 一种gh4169高温合金铸锭成型方法
CN116949380A (zh) * 2023-09-20 2023-10-27 北京钢研高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热强性高温合金的热处理方法
CN116949380B (zh) * 2023-09-20 2023-12-12 北京钢研高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热强性高温合金的热处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rrut et al. High temperature materials for aerospace applications: Ni-based superalloys and γ-TiAl alloys
KR20200036082A (ko) 적층 가공법에 의해 제작된 니오븀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의 결정립계 특성 향상을 위한 열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해 열처리된 니켈기 초내열합금
JP4546318B2 (ja) Ni基合金部材とその製造法及びタービンエンジン部品並びに溶接材料とその製造法
JP6057363B1 (ja) Ni基超耐熱合金の製造方法
US8220697B2 (en) Weldability of alloys with directionally-solidified grain structure
US11718897B2 (en) Precipitation hardenable cobalt-nickel base superalloy and article made therefrom
KR101007582B1 (ko) 파형 입계를 위한 니켈기 합금의 열처리 방법 및 그에 의한합금
US9828657B2 (en) Ni-base super alloy
KR102443966B1 (ko) Ni기 합금 연화 분말 및 해당 연화 분말의 제조 방법
US20210331239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Nickel-Based Alloy Repaired Member
EP2530181B1 (en) Components and processes of producing components with regions having different grain structures
JP2020070487A (ja) 高ガンマプライムニッケル基超合金、その使用、及びタービンエンジン構成要素を作製する方法
JP7450639B2 (ja) 低積層欠陥エネルギー超合金、構造部材及びその使用
EP3357605A1 (en) Manufacturing method and post-processing treatment
JP2009149976A (ja) 三元ニッケル共晶合金
KR102388622B1 (ko) 미세조직 개선 및 인장강도 향상을 위한 초내열합금 in718의 3d 프린팅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초내열합금 in718 합금
KR102047326B1 (ko) 결정립계 계면 특성이 우수한 니오븀 함유 니켈기 초내열합금의 열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해 열처리된 니켈기 초내열합금
CN108779517B (zh) 高抗氧化合金和使用所述合金的燃气涡轮机应用
Morad et al. Nickel base superalloys used for aero engine turbine blades
JP2010235996A (ja) Ni基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4934211B (zh) 镍基高温合金、镍基高温合金粉末和镍基高温合金构件
Gontcharov et al. Weldability and Properties of Newly Developed LW4280 High Gamma Prime Nickel Based Superalloy for 3D AM and Repair of Turbine Engine Components
CN111788322A (zh) 用于机器部件的增材制造的高性能金属合金
Sun et al.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of Ni-rich Ni 3 Al coatings produced by EB-PVD for repairing single crystal blades
JP3779228B2 (ja) Ni基高温強度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