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5487A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5487A
KR20200035487A KR1020207008728A KR20207008728A KR20200035487A KR 20200035487 A KR20200035487 A KR 20200035487A KR 1020207008728 A KR1020207008728 A KR 1020207008728A KR 20207008728 A KR20207008728 A KR 20207008728A KR 20200035487 A KR20200035487 A KR 20200035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
frame
door
side door
beam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8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이치 미야자키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35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54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42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large commercial vehicles, e.g. trucks, construction vehicles or vehicles for mass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5Wheel loa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캐빈의 좌우측부에 설치한 1매 유리제 등의 수평 회동식의 사이드 도어의 강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원발명의 작업 차량은 주행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을 구비한다. 캐빈(7)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300)과, 캐빈(7)의 좌우측부를 개폐 가능하게 막는 사이드 도어(323)를 갖는다. 사이드 도어(323)의 내면측에 사이드 도어(323)의 강도를 높이는 측면으로부터 볼 때 C자형상의 보강 프레임(401)을 배치한다. 보강 프레임(401)은 사이드 도어(323)의 후방 가장자리측을 따라 연장되는 세로 프레임부(402)와, 세로 프레임부(402)의 상단측으로부터 사이드 도어(323)의 상방 가장자리측을 따라 전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가로 프레임부(403)와, 세로 프레임부(402)의 하단측으로부터 사이드 도어(323)의 상하를 구획하도록 전향으로 연장되는 하측 가로 프레임부(404)를 갖는다.

Description

작업 차량{WORKING VEHICLE}
본원발명은 농작업용의 트랙터 또는 토목작업용의 휠로더라는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농업용 트랙터 등의 작업 차량은 주행기체 상에 있는 조종 좌석을 덮는 캐빈을 구비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2 등 참조).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캐빈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과, 캐빈 프레임의 상단측에 배치한 지붕체를 갖고 있다. 캐빈 프레임은 지주(필러)나 빔부재(빔)를 조합한 소위 프레임 구조로 되어 있으며, 지주 및 빔부재에 의해 강성을 확보하고 있다.
일본 실용신안공개 소 58-17171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2-67657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4-257036호 공보
이 종류의 캐빈이 부착된 작업 차량에서는 캐빈의 좌우측부에 수평 회동식의 사이드 도어를 설치하고 있다. 사이드 도어는 시계 확보를 위해서 1매 유리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사이드 도어에는 이것을 록 상태와 록 해제 상태로 스위칭하는 도어록 부재와, 캐빈 프레임에 대하여 사이드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하 한쌍의 힌지를 직접적으로 부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사이드 도어의 지지 하중이나 개폐 시의 충격 하중 등이 상하 양쪽 힌지나 도어록 부재와의 연결부에 집중하여 사이드 도어가 비틀리거나 파손하거나 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도어록 부재는 사이드 도어의 전방부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오퍼레이터가 캐빈으로부터 내릴 때에는 조종 좌석으로부터 일어서서 도어록 부재의 실내 레버를 해제 조작하고나서 사이드 도어를 밀어서 연다는 동작을 하지 않으면 안되어 사이드 도어의 개방 조작성의 점을 감안하여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현상황을 검토하여 개선을 실시한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은 주행기체 상에 있는 조종 좌석을 덮는 캐빈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과, 상기 캐빈의 좌우측부를 개폐 가능하게 막는 사이드 도어를 갖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도어의 내면측으로 상기 사이드 도어의 강도를 높이는 측면으로부터 볼 때 C자형상의 보강 프레임을 배치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사이드 도어의 후방 가장자리측을 따라 연장되는 세로 프레임부와, 상기 세로 프레임부의 상단측으로부터 상기 사이드 도어의 상방 가장자리측을 따라 전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가로 프레임부와, 상기 세로 프레임부의 하단측으로부터 상기 사이드 도어의 상하를 구획하도록 전향으로 연장되는 하측 가로 프레임부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도어를 록 상태와 록 해제 상태로 스위칭하는 도어록 부재와, 상기 캐빈 프레임에 상기 사이드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하 한쌍의 힌지에 상기 보강 프레임을 연결하고 있다는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하측 가로 프레임부 중 상기 조종 좌석에 착좌한 오퍼레이터의 손이 닿는 부위에 손으로 쥠으로써 상기 도어록 부재를 록 해제의 방향으로 스위칭 조작하는 그립체를 설치하고 있다는 것이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사이드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는 상기 캐빈 프레임에 설치한 힌지 스테이와, 상기 힌지 스테이에 가로 회동 가능하게 피봇한 힌지 커버를 갖고, 상기 힌지 스테이에는 상기 힌지 커버의 내면측에 접촉하여 상기 사이드 도어의 최대 열림각을 규제하는 스토퍼 부재를 부착하고 있다는 것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힌지 스테이에 나사 삽입하는 스토퍼 볼트이며, 상기 스토퍼 볼트의 나사 삽입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힌지 커버와의 접촉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사이드 도어의 최대 열림각을 조절한다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원발명에 의하면 주행기체 상에 있는 조종 좌석을 덮는 캐빈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과, 상기 캐빈의 좌우측부를 개폐 가능하게 막는 사이드 도어를 갖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도어의 내면측에 상기 사이드 도어의 강도를 높이는 측면으로부터 볼 때 C자형상의 보강 프레임을 배치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사이드 도어의 후방 가장자리측을 따라 연장되는 세로 프레임부와, 상기 세로 프레임부의 상단측으로부터 상기 사이드 도어의 상방 가장자리측을 따라 전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가로 프레임부와, 상기 세로 프레임부의 하단측으로부터 상기 사이드 도어의 상하를 구획하도록 전향으로 연장되는 하측 가로 프레임부를 갖고 있으므로 상기 사이드 도어의 상부측을 둘러싸도록 상기 보강 프레임이 위치하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캐빈측방의 시계를 확보하면서 상기 보강 프레임을 상기 사이드 도어 자체의 강도 멤버에 이용하여 1매 유리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은 상기 사이드 도어의 강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측 가로 프레임부를 상기 캐빈 승강 시의 난간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사이드 도어를 록 상태와 록 해제 상태로 스위칭하는 도어록 부재와, 상기 캐빈 프레임에 상기 사이드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하 한쌍의 힌지에 상기 보강 프레임을 연결하고 있으므로 상기 도어록 부재 및 상기 상하 한쌍의 힌지와 상기 보강 프레임에 의해 상기 사이드 도어를 협지할 수 있고, 상기 사이드 도어에 대하여 상기 보강 프레임을 간단하며 또한 고강도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 도어의 조립 작업의 용이화 및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하측 가로 프레임부 중 상기 조종 좌석에 착좌한 오퍼레이터의 손이 닿는 부위에 손으로 쥠으로써 상기 도어록 부재를 록 해제의 방향으로 스위칭 조작하는 그립체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오퍼레이터는 상기 조종 좌석에 착좌한 채, 예를 들면 상기 프레임체째 상기 그립체를 쥔다는 매우 간단한 동작만으로 상기 도어록 부재를 록 해제할 수 있어 상기 사이드 도어의 개방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캐빈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사이드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는 상기 캐빈 프레임에 설치한 힌지 스테이와, 상기 힌지 스테이에 가로 회동 가능하게 피봇한 힌지 커버를 갖고, 상기 힌지 스테이에는 상기 힌지 커버의 내면측에 접촉하여 상기 사이드 도어의 최대 열림각을 규제하는 스토퍼 부재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상기 힌지 스테이에 부착하는 상기 스토퍼 부재를 이용한 간단한 구조만으로 상기 사이드 도어의 최대 열림각의 규제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종래 기술에 비해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어 비용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힌지 스테이에 나사 삽입하는 스토퍼 볼트이며, 상기 스토퍼 볼트의 나사 삽입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힌지 커버와의 접촉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사이드 도어의 최대 열림각을 조절하기 때문에 상기 사이드 도어의 최대 열림각의 조절 작업을 매우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트랙터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트랙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트랙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트랙터를 우측 경사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은 주행기체의 좌측면 설명도이다.
도 6은 주행기체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면 설명도이다.
도 7은 주행기체를 좌측 경사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주행기체의 우측면 설명도이다.
도 9는 주행기체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우측면 설명도이다.
도 10은 주행기체를 우측 경사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캐빈의 좌측면도이다.
도 12는 캐빈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캐빈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캐빈의 우측면도이다.
도 15는 캐빈의 배면도이다.
도 16은 캐빈의 저면도이다.
도 17은 캐빈 프레임의 좌측면도이다.
도 18은 캐빈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19은 캐빈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20은 캐빈 프레임의 우측면도이다.
도 21은 캐빈 프레임의 배면도이다.
도 22는 캐빈 프레임을 좌측 경사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3은 캐빈 프레임을 좌측 경사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4는 캐빈의 방진 지지 구조를 좌측 경사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5는 캐빈의 방진 지지 구조를 우측 경사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6은 우측 전방 지주 및 전방측 빔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7은 우측 후방 지주 및 후방측 빔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8은 지붕체의 평면도이다.
도 29는 이너 루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a)는 전방측 빔부재의 확대 단면도, 도 30(b)는 후방측 빔부재의 확대 단면도, 도 30(c)는 우측방 빔부재의 확대 단면도, 도 30(d)는 좌측방 빔부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1(a)는 전방측 빔부재, 좌측방 빔부재 및 좌측 전방 지주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31(b)는 전방측 빔부재, 우측방 빔부재 및 우측 전방 지주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2(a)는 후방측 빔부재, 좌측방 빔부재 및 좌후 지주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32(b)는 후방측 빔부재, 우측방 빔부재 및 우측 후방 지주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3(a)는 베이스 브래킷의 측면도, 도 33(b)는 베이스 브래킷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4는 보강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캐빈의 좌측면도이다.
도 35는 보강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 사이드 도어의 내면도이다.
도 36은 힌지의 부착 구조를 나타내는 캐빈 프레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7은 힌지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38은 리어 유리의 배면도이다.
도 39는 리어 유리의 내면도이다.
도 40은 회동식 핸들과 피록킹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41은 회동식 핸들과 피록킹 블록의 평면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원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작업 차량인 트랙터를 예로 들어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처음에 도 1~도 10을 참조하면서 트랙터(1)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트랙터(1)의 주행기체(2)는 주행부로서의 좌우 한쌍의 전차륜(3)과 같이 좌우 한쌍의 후차륜(4)으로 지지되어 있다. 주행기체(2)의 전방부에 탑재한 동력원으로서의 커먼레일식의 디젤 엔진(5)(이하, 간단히 엔진이라고 함)으로 후차륜(4) 및 전차륜(3)을 구동함으로써 트랙터(1)가 전후진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엔진(5)은 보닛(6)으로 덮여 있다. 주행기체(2)의 상면에는 캐빈(7)이 설치되고, 상기 캐빈(7)의 내부에는 조종 좌석(8)과, 조타함으로써 전차륜(3)의 조향 방향을 좌우로 움직이도록 한 조종 핸들(둥근 핸들)(9)이 배치되어 있다. 캐빈(7)의 좌우 하부에는 오퍼레이터가 승강하는 스텝(10)이 설치되어 있다. 캐빈(7)의 바닥부보다 하측에는 엔진(5)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탱크(11)가 설치되어 있다.
주행기체(2)는 전방 범퍼(12) 및 전차축 케이스(13)를 갖는 엔진 프레임(14)과, 엔진 프레임(14)의 후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한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차축 케이스(13)의 좌우 양단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전차축(16)을 회전 가능하게 돌출시키고 있다. 전차축 케이스(13)의 좌우 양단측에 전차축(16)을 통해 전차륜(3)을 부착하고 있다. 기체 프레임(15)의 후방부에는 엔진(5)으로부터의 회전 이동력을 적당히 변속하여 전후 4륜(3, 3, 4, 4)으로 전달하기 위한 미션 케이스(17)를 연결하고 있다. 좌우의 기체 프레임(15) 및 미션 케이스(17)의 하면측에는 좌우 외측 방향으로 돌출한 바닥면으로부터 볼 때 직사각형 프레임판형상의 탱크 프레임(18)을 볼트 체결하고 있다. 실시형태의 연료 탱크(11)는 좌우 2개로 나뉘어 있다. 탱크 프레임(18)의 좌우 돌출부의 상면측에 좌우의 연료 탱크(11)를 나누어 탑재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17)의 좌우 외측면에는 좌우의 후차축 케이스(19)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장착하고 있다. 좌우의 후차축 케이스(19)에는 좌우의 후차축(20)을 회전 가능하게 내부 삽입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17)에 후차축(20)을 통해 후차륜(4)을 부착하고 있다. 좌우의 후차륜(4)의 상방은 좌우의 리어 펜더(21)에 의해 덮여 있다.
미션 케이스(17)의 후방부 상면에는, 예를 들면 로터리 경운기라는 작업기를 승강 이동시키는 유압식 승강 기구(22)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로터리 경운기 등의 작업기는 좌우 한쌍의 로어 링크(23) 및 톱 링크(24)로 이루어지는 3점 링크 기구를 통해 미션 케이스(17)의 후방부에 연결된다. 미션 케이스(17)의 후방측면에는 로터리 경운기 등의 작업기에 PTO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PTO축(25)을 후향으로 돌출하여 설치하고 있다.
엔진(5)의 후방측면으로부터 후향으로 돌출하여 설치하는 엔진 출력축(도시 생략)에는 플라이 휠(26)을 직결하도록 부착하고 있다. 양단에 자재축 이음을 갖는 동력 전달축(29)을 개재하여 플라이 휠(26)로부터 후향으로 돌출한 주동축(27)과, 미션 케이스(17) 앞면측으로부터 전향으로 돌출한 주변속 입력축(28)을 연결하고 있다(도 1, 도 7 및 도 10 참조). 미션 케이스(17) 내에는 유압 무단 변속기, 전후진 스위칭 기구, 주행 부변속 기어 기구 및 후륜용 차동 기어 기구를 배치하고 있다. 엔진(5)의 회전 동력은 주동축(27) 및 동력 전달축(29)을 경유하여 미션 케이스(17)의 주변속 입력축(28)으로 전달되고, 유압 무단 변속기 및 주행 부변속 기어 기구에 의해 적당히 변속된다. 그리고, 상기 변속 동력이 후륜용 차동 기어 기구를 통해 좌우의 후차륜(4)으로 전달된다.
미션 케이스(17)의 앞면 하부로부터 전향으로 돌출한 전차륜 출력축(30)에는 전차륜 구동축(31)을 개재하여 전륜용 차동 기어 기구(도시 생략)를 내장하는 전차축 케이스(13)로부터 후향으로 돌출한 전차륜 전달축(도시 생략)을 연결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17) 내의 유압 무단 변속기 및 주행 부변속 기어 기구에 의한 변속 동력은 전차륜 출력축(30), 전차륜 구동축(31) 및 전차륜 전달축으로부터 전차축 케이스(13) 내의 전륜용 차동 기어 기구를 경유하여 좌우 전륜(3)으로 전달된다.
이어서, 도 1~도 4를 참조하면서 캐빈(7) 내부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캐빈(7) 내에 있어서의 조종 좌석(8)의 전방에 스티어링 컬럼(32)을 배치하고 있다. 스티어링 컬럼(32)은 캐빈(7) 내부의 앞면측에 배치한 대시보드(33)의 배면측에 매설하는 상태로 세워서 설치하고 있다. 스티어링 컬럼(32)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한 핸들축의 상단측에 평면으로부터 볼 때 대략 둥근형의 조종 핸들(9)을 부착하고 있다.
스티어링 컬럼(32)의 우측에는 로터리 경운기 등의 작업기를 최상승 위치나 최하강 위치에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원터치 승강 레버(34)와, 주행기체(2)를 제동 조작하기 위한 좌우 한쌍의 브레이크 페달(35)을 배치하고 있다. 스티어링 컬럼(32)의 좌측에는 주행기체(2)의 진행 방향을 전진과 후진으로 스위칭 조작하기 위한 전후진 스위칭 레버(36)(리버서 레버)와, 동력 계단용의 클러치(도시 생략)를 차단 조작하기 위한 클러치 페달(37)을 배치하고 있다.
스티어링 컬럼(32)의 좌측에서 전후진 스위칭 레버(36)의 하방에는 전후진 스위칭 레버(36)를 따라 연장되는 오조작 방지체(38)(리버서 가드)를 배치하고 있다. 접촉 방지구인 오조작 방지체(38)를 전후진 스위칭 레버(36) 하방에 배치함으로써 트랙터(1)에 승강할 때에 오퍼레이터가 전후진 스위칭 레버(36)에 부주의하게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대시보드(33)의 배면 상부측에는 액정 패널을 내장한 조작 표시반(39)을 설치하고 있다.
캐빈(7) 내에 있는 조종 좌석(8) 전방의 바닥판(40)에 있어서 스티어링 컬럼(32)의 우측에는 엔진(5)의 회전 속도 또는 차속을 제어하는 액셀 페달(41)을 배치하고 있다. 또한, 바닥판(40) 상면의 대략 전체는 평탄면에 형성하고 있다. 조종 좌석(8)을 사이에 두고 좌우 양측에는 사이드 칼럼(42)을 배치하고 있다. 조종 좌석(8)과 좌측 사이드 칼럼(42) 사이에는 좌우 양쪽 후차륜(4)을 제동 상태로 유지하는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주차 브레이크 레버(43)와, 트랙터(1)의 주행 속도(차속)를 강제적으로 대폭으로 저감시키는 초저속 레버(44)(크리프 레버)와, 미션 케이스(17) 내의 주행 부변속 기어 기구의 출력 범위를 스위칭하기 위한 부변속 레버(45)와, PTO축(25)의 구동 속도를 스위칭 조작하기 위한 PTO 변속 레버(46)를 배치하고 있다. 조종 좌석(8)의 하방에는 좌우 양쪽 후차륜(4)의 차동 구동을 온오프하기 위한 디펜스 록 페달(47)을 배치하고 있다. 조종 좌석(8)의 후방좌측에는 PTO축(25)을 역전 구동시키는 조작을 실행하는 역전 PTO 레버(48)를 배치하고 있다.
조종 좌석(8)과 좌측 사이드 칼럼(42) 사이에는 조종 좌석(8)에 착좌한 오퍼레이터의 팔이나 팔꿈치를 얹기 위한 암레스트(49)를 설치하고 있다. 암레스트(49)는 조종 좌석(8)과는 별체로 구성함과 아울러, 트랙터(1)의 주행 속도를 증감속시키는 주변속 레버(50)와, 로터리 경운기라는 작업기의 높이 위치를 수동으로 변경 조절하는 다이얼식의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51)(승강 다이얼)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암레스트(49)는 후단 하부를 지점으로 하여 복수 단계로 리프업 회동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좌측 사이드 칼럼(42)에는 전방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엔진(5)의 회전 속도를 설정 유지하는 스로틀 레버(52)와, PTO축(25)으로부터 로터리 경운기 등의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을 계단 조작하는 PTO 클러치 스위치(53)와, 미션 케이스(17)의 상면측에 배치하는 유압 외부 인출 밸브(서브 컨트롤 밸브, 도시 생략)를 스위칭 조작하기 위한 복수의 유압 조작 레버(54)(SCV 레버)를 배치하고 있다. 여기에서, 유압 외부 인출 밸브는 트랙터(1)에 후장착되는 프론트 로더라는 별도의 작업기에 작동유를 공급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형태에서는 유압 외부 인출 밸브의 수(4연)에 맞춰 유압 조작 레버(54)를 4개 배치하고 있다.
이어서, 도 11~도 27을 참조하면서 캐빈(7)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행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300)을 구비하고 있다. 캐빈 프레임(300)은 조종 좌석(8)의 전방에 위치하는 좌우 한쌍의 전방 지주(301)와, 조종 좌석(8)의 후방에 위치하는 좌우 한쌍의 후방 지주(302)와, 전방 지주(301)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방측 빔부재(303)와, 후방 지주(302)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후방측 빔부재(304)와, 전후로 배열되는 전방 지주(301)와 후방 지주(302)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를 구비한 대략 상자 프레임형상의 것이다. 캐빈 프레임(300)의 상단측, 즉 전방측 빔부재(303), 후방측 빔부재(304) 및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로 구성한 직사각형 프레임 상에는 지붕체(306)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각 전방 지주(301)의 하단측에는 좌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하부 플레이트판(307)의 좌우 외단측을 연결하고 있다. 좌우 양쪽 전방 하부 플레이트판(307)의 좌우 내단측에 대시보드(33)를 고정 지지하는 세로 길이의 보드 지지판(308)을 연결하고, 좌우 양쪽 전방 지주(301) 사이에 보드 지지판(308)을 세워서 설치하고 있다. 한편, 좌우 양쪽 후방 지주(302)의 하단부 사이에는 후방측 빔부재(304)와 평행형상으로 연장되는 후방 중간 빔부재(309)를 연결하고 있다. 후방 중간 빔부재(309)에는 하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후방 하부 프레임(310)의 상단측을 연결하고 있다. 전후로 배열되는 전방 하부 플레이트판(307)과 후방 하부 프레임(310)의 하단측에는 전후로 연장되는 저부 프레임(311)의 길이 방향 각 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각 후방 지주(302)의 하단측에는 리어 펜더(21)의 형상을 따라 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전방이며 또한 상방으로 팽창하도록 만곡한 펜더 프레임(312)의 후단 상부측을 연결하고 있다. 각 펜더 프레임(312)의 전단 하부측은 대응하는 전방 지주(301)의 하부로부터 후향으로 돌출된 사이드 프레임(313)의 후단측에 연결되어 있다. 각 사이드 프레임(313)에는 전방 하부 플레이트판(307)의 좌우 외단측도 연결되어 있다. 각 펜더 프레임(312)의 좌우 외면측 및 이것에 대응하는 후방 하부 프레임(310)의 좌우 외면측에 좌우의 리어 펜더(21)를 부착하고 있다.
후방 중간 빔부재(309)와 좌우의 후방 하부 프레임(310)에는 후방 중간 빔부재(309) 및 좌우의 후방 하부 프레임(310)로 둘러싸인 영역을 덮는 후방 커버판(314)을 부착하고 있다. 후방 커버판(314)의 하단측과 좌우의 저부 프레임(311)에는 측면으로부터 볼 때 L자판형상의 좌석 지지판(315)을 부착하고 있다. 좌석 지지판(315) 상에 조종 좌석(8)이 배치된다. 좌우의 펜더 프레임(312), 후방 하부 프레임(310) 및 저부 프레임(311)에는 후차륜(4)의 전방부 내면측을 따른 팽출형상의 펜더 내판(316)을 부착하고 있다. 좌우의 펜더 내판(316) 상에 사이드 칼럼(42)이 배치된다. 좌우의 전방 하부 플레이트판(307), 저부 프레임(311)의 전방부측, 사이드 프레임(313) 및 좌석 지지판(315)의 전단측에 바닥판 지지 플레이트(317)를 부착하여 지지하고 있다. 좌우의 바닥판 지지 플레이트(317) 상에 바닥판(40)이 배치된다. 좌우의 펜더 프레임(312)의 전단 하부측과 이것에 대응하는 저부 프레임(311)의 전후 중도부는 좌우 가로 길이의 보조 프레임(318)으로 연결되어 있다.
캐빈 프레임(300)의 앞면측, 즉 좌우의 전방 지주(301), 전방측 빔부재(303) 및 좌우의 전방 하부 플레이트판(307)으로 둘러싸이는 영역에는 프론트 유리(321)를 배치하고 있다. 캐빈 프레임(300)의 후면측, 즉 좌우의 후방 지주(302), 후방측 빔부재(304) 및 후방 중간 빔부재(309)로 둘러싸이는 영역에는 리어 유리(322)를 배치하고 있다. 캐빈 프레임(300)의 좌우측면측, 즉 전후로 배열되는 전방 지주(301) 및 후방 지주(302), 측방 빔부재(305), 펜더 프레임(312) 및 사이드 프레임(313)으로 둘러싸이는 영역에는 투명한 유리로 구성한 사이드 도어(323)를 배치하고 있다. 각 사이드 도어(323)는 대응하는 후방 지주(302)에 상하 한쌍의 힌지(324)를 개재하여 개폐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프론트 유리(321), 리어 유리(322) 및 좌우의 사이드 도어(323)의 배치 구조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각 지주(301, 302) 및 각 빔부재(303, 304, 305)는 캐빈(7)(캐빈 프레임(300))의 측변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캐빈 프레임(300)의 전후 좌우측면에 창을 넓게 취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캐빈 프레임(300)의 전후 좌우측면에 프론트 유리(321), 리어 유리(322) 및 좌우의 사이드 도어(323)(투명한 유리제)를 배치하고 있다. 그 결과, 오퍼레이터의 전후 좌우의 시계를 확보하는 것과, 캐빈 프레임(300)의 강성을 확보하는 것을 양립하고 있다.
도 22~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전방 하부 플레이트판(307)의 전방부측은 방진 부재로서의 전방 방진 고무체(98)를 개재하여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에 부착한 전방부 지지대(96)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후방 하부 프레임(310)과 저부 프레임(311)의 연결부(맞대기부)에는 좌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베이스 브래킷(327)을 설치하고 있다. 좌우의 베이스 브래킷(327)은 방진 부재로서의 후방 방진 고무체(99)를 개재하여 좌우의 후차축 케이스(19) 상에 부착한 후방부 지지대(97)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주행기체(2)는 복수의 방진 고무체(98, 99)를 개재하여 캐빈(7)을 방진 지지하고 있다.
도 11~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빈 프레임(300)에는 등구 부재 부착용의 각종 지지 스테이(331, 335, 338, 343)를 설치하고 있다. 즉, 전방측 빔부재(303)의 길이 중도부에는 좌우 한쌍의 전방 상단 지지 스테이(331)를 용접 고정하고 있다. 각 전방 상단 지지 스테이(331)는 전방 비스듬히 상향으로 돌출된 박판형상의 것이다. 각 전방 상단 지지 스테이(331)에는 전방 하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부착편(332)을 개재하여 등구 부재의 일례인 전방 상단 작업등(333)을 부착하고 있다. 좌우의 전방 상단 작업등(333)은 트랙터(1)의 전방을 비추는 것이다. 좌우의 전방 상단 작업등(333)은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를 방해하지 않도록 정면으로 볼 때 전방측 빔부재(303)와 겹치도록 위치시키고 있다. 지붕체(306)의 전방부측에는 각 전방 상단 작업등(333)이 끼워지도록 상향으로 함몰된 함몰부(334)(팽출부라고도 함)를 형성하고 있다. 캐빈 프레임(301)의 상단측에 지붕체(306)를 부착할 때에는 전방부측의 각 함몰부(334)에 전방 상단 작업등(333)이 수용되기 때문에 지붕체(306)와 각 전방 상단 작업등(333)이 간섭하는 일은 없다.
한편, 좌우의 후방 지주(302)의 상단측에는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를 방해하지 않도록 평면으로부터 볼 때 후방측 빔부재(304) 및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의 양쪽으로부터 멀어지는 좌우 외측 방향의 후방으로 돌출한 후 상단 지지 스테이(335)의 기단측을 용접 고정하고 있다. 각 후방 상단 지지 스테이(335)의 선단측에 후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부착편(336)을 개재하여 등구 부재의 일례인 후방 상단 작업등(337)을 부착하고 있다. 좌우의 후방 상단 작업등(337)은 트랙터(1)의 후방(작업기 등)을 비추는 것이다. 실시형태에서는 후방측 빔부재(304)가 아니라 각 후방 지주(302)의 상단측에 후방 상단 지지 스테이(335)를 설치함으로써 오퍼레이터의 후방 시계를 양호하게 확보하면서 좌우의 후방 상단 지지 스테이(335) 사이에 지붕체(306)의 후방부측의 배치 스페이스(공기 조화기(364)를 수용하는 후방부 커버(363)의 배치 스페이스)를 확보하고 있다.
좌우의 전방 지주(301)의 상하 중도부에는 전방 중단 지지 스테이(338)의 기단측을 용접 고정하고 있다. 각 전방 중단 지지 스테이(338)의 선단측에 등구 부재의 일례인 전방 복합등(339) 및 전방 중단 작업등(340)을 부착하고 있다. 각 전방 중단 지지 스테이(338)는 전방 복합등(339) 및 전방 중단 작업등(340)이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를 방해하지 않도록 평면으로부터 볼 때 전방측 빔부재(303) 및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의 양쪽으로부터 멀어지는 좌우 외측 방향의 전방으로 돌출하고, 길이 중도부로부터 전향으로 연장되도록 만곡하고 있다. 전방 복합등(339)은 트랙터(1)의 전방에 있는 차나 사람에 대하여 트랙터(1)의 차폭 및 좌우 회동 등의 의사를 나타내는 것이며, 실시형태 전방 복합등(339)은 방향 지시등과 차폭등으로 구성하고 있다. 좌우의 전방 중단 작업등(340)은 트랙터(1)의 전방을 비추는 것이다. 실시형태에서는 각각 전방 중단 지지 스테이(338)의 선단측에 상하 길이의 부착 브래킷(341)을 설치하고, 부착 브래킷(341)의 앞면측에 전방 복합등(339)을 부착하고 있다. 부착 브래킷(341)의 상단측에 전방 중단 작업등(340)을 부착하고 있다. 또한, 좌우의 전방 지주(301)에 있어서 전방 중단 지지 스테이보다 상방에는 미러 스테이(341)를 개재하여 사이드 미러(342)를 부착하고 있다. 미러 스테이(341)도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를 방해하지 않도록 평면으로부터 볼 때 전방측 빔부재(303) 및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의 양쪽으로부터 멀어지는 좌우 외측 방향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좌우의 후방 지주(302)의 하부에는 상하 길이의 후방 하단 지지 스테이(343)의 앞면측을 용접 고정하고 있다. 각 후방 하단 지지 스테이(343)의 후면측에 등구 부재의 일례인 후 복합등(344) 및 후방 하단 작업등(345)을 부착하고 있다. 각 후방 하단 지지 스테이(343)는 후방 복합등(344) 및 후방 하단 작업등(345)이 오퍼레이터의 후방 시계를 방해하지 않도록 배면으로부터 볼 때 좌우의 후방 지주(302)로부터 좌우 외측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후방 복합등(344)은 트랙터(1)의 후방에 있는 차나 사람에 대하여 트랙터(1)의 감속, 정지, 후퇴 및 좌우 회동 등의 의사를 나타내는 것이며, 실시형태의 후방 복합등(344)은 미등과 제동등과 후퇴등과 방향 지시등으로 구성하고 있다. 좌우의 후방 하단 작업등(345)은 트랙터(1)의 좌우측방을 비추는 것이다. 실시형태에서는 각 후방 하단 지지 스테이(343)의 앞면측에 후방 복합등(344)을 부착하고 있다. 후방 하단 지지 스테이(343)의 상단측에 후방 하단 작업등(345)을 부착하고 있다. 전방 복합등(339)과 후방 복합등은 거의 같은 정도의 상하 높이 위치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상세한 것은 도시하지 않지만, 실시형태에서는 캐빈 프레임(300)을 중공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중공형상의 내부를 케이블류 삽입 통과용의 배선 통로에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각 지주(301, 302), 빔부재(303, 304) 및 지지 스테이에 형성한 노치 구멍(도시 생략)으로부터 케이블을 인출하여 상기 케이블을 각 등구 부재(333, 337, 339, 340, 344, 345)에 접속하고 있다.
상기 기재 및 도 11~도 27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주행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7)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300)과, 상기 캐빈 프레임(300)의 상단측에 배치한 지붕체(306)를 갖는 작업 차량(1)에 있어서, 등구 부재(333, 337, 339, 340, 344, 345)를 부착하는 지지 스테이(331, 335, 338, 343)를 상기 캐빈 프레임(300)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캐빈 프레임(300)에 상기 등구 부재(333, 337, 339, 340, 344, 345)를 직접 부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조 라인에서의 조립 작업성 향상에 기여하여 비용 다운이 도모된다.
또한, 상기 캐빈 프레임(300)은 좌우 한쌍의 전방 지주(301)와, 좌우 한쌍의 후방 지주(302)와, 상기 전방 지주(301)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방측 빔부재(303)와, 상기 후방 지주(302)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후방측 빔부재(304)와, 전후로 배열되는 상기 전방 지주(301)과 상기 후방 지주(302)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측방 빔부재(305)를 구비하고, 상기 각 전방 지주(301)의 상하 중도부에 설치한 상기 지지 스테이(338)에 상기 등구 부재로서의 전방 복합등(339) 및 전방 중단 작업등(340)을 부착하고, 상기 각 후방 지주(302)의 하부에 설치한 지지 스테이(343)에는 상기 등구 부재로서의 후방 복합등(344) 및 후방 하단 작업등(345)을 부착하고 있으므로 상기 각 전방 지주(301)측의 지지 스테이(338)에는 전방 복합등(339) 및 전방 중단 작업등(340)을 정리하여 부착할 수 있고, 상기 각 후방 지주(302)측의 지지 스테이(343)에는 후방 복합등(344) 및 후방 하단 작업등(345)을 정리하여 부착할 수 있다. 즉, 상기 각 지지 스테이(338, 343)를 상기 복수의 등구 부재(339, 340, 344, 345)에 대한 지지 부재로서 겸용할 수 있고, 부품수의 삭감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등구 부재(339, 340, 344, 345)에 대한 케이블류의 처리도 간단화할 수 있다. 상기 캐빈(7) 내로부터의 전후 좌우의 시계의 확보도 용이하다.
상기 기재 및 도 11~도 27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주행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7)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300)과, 상기 캐빈 프레임(300)의 상단측에 배치한 지붕체(306)를 갖는 작업 차량(1)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300)은 좌우 한쌍의 전방 지주(301)와, 좌우 한쌍의 후방 지주(302)와, 상기 전방 지주(301)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방측 빔부재(303)와, 상기 후방 지주(302)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후방측 빔부재(304)와, 전후로 배열되는 상기 전방 지주(301)와 상기 후방 지주(302)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측방 빔부재(305)를 구비하고, 상기 전방측 빔부재(303)의 길이 중도부에 설치한 좌우 한쌍의 지지 스테이(331)에 전방 상단 작업등(333)을 각각 부착하는 한편, 상기 각 후방 지주(302)의 상단측에 설치한 지지 스테이(335)에는 후방 상단 작업등(337)을 부착하고 있으므로 상기 전방측 빔부재(303)에 상기 전방 상단 작업등(333)을 직접 부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후방측 빔부재(304)에 상기 후방 상단 작업등(337)을 직접 부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조 라인에서의 조립 작업성 향상에 기여하여 비용 다운이 도모된다. 게다가, 상기 지붕체(306)에 상기 각 상단 작업등(333, 337)을 부착하거나 케이블류를 인회하거나 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캐빈 프레임(300)에 대한 상기 지붕체(306)의 조립 작업도 간소화할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도 제조 라인에서의 조립 작업성 향상에 공헌한다.
또한, 상기 각 전방 상단 작업등(333)을 정면으로부터 볼 때 상기 전방측 빔부재(303)와 겹치도록 위치시키고 있으므로 상기 조종 좌석(8)에 착좌한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를 상기 각 전방 상단 작업등(333)이 차단할 우려를 각별히 저감할 수 있어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를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1~도 23을 참조하면서 캐빈(7)의 좌우 하부에 설치한 스텝(1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에 배열되는 전차륜(3)과 후차륜(4) 사이에서 캐빈(7)의 좌우 하부측에는 오퍼레이터가 승강하는 스텝(10)을 매달아서 설치하고 있다. 실시형태의 스텝(10)은 복수의 발판 단차부(351)(실시형태에서는 2단)과, 이들 발판 단차부(351)에 연결하는 전후의 측판부(352, 353)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발판 단차부(351)는 하단으로 갈수록 후차륜(4)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전후 방향으로 서로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고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하단측의 발판 단차부(351)쪽이 상단측의 발판 단차부(351)보다 전방에 어긋난 위치에 있다.
이 경우, 전방측판부(352)는 정면으로부터 볼 때 대략 L자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전방측판부(352)에 있어서의 세로 길이부(354)의 상단측은 각 전방 지주(301)의 하단측에 용접 고정한 브래킷편(355)에 볼트 체결하고 있다. 전방측판부(352)에 있어서의 세로 길이부(354)의 상하 중도 개소에는 상단측의 발판 단차부(351)의 전단측을 고정하고 있다. 전방측판부(352)의 하단 수평부(356)에는 하단측의 발판 단차부(351)의 전단측을 고정하고 있다. 전방측판부(352)의 하단 수평부(356)는 세로 길이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후방측판부(353)의 상단측은 좌우의 펜더 프레임(312)과 저부 프레임(311)을 연결시키는 보조 프레임(318)에 볼트 체결하고 있다. 후방측판부(353)의 상하 중도부에는 상단측의 발판 단차부(351)의 후단측을 고정하고 있다. 후방측판부(353)의 하단측에는 하단측의 발판 단차부(351)의 후단측을 고정하고 있다. 후방측판부(353)는 전방 비스듬히 하향으로 경사져 있어 상하 중도부 부근에서 더욱 전향으로 굴곡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캐빈(7)에 승차하는 오퍼레이터의 이동 방향을 조종 좌석(8)을 향하는 후방 비스듬히 상향을 향하기 쉬워진다(각 발판 단차부(351)의 어긋남 배치에 의해 오퍼레이터의 동선을 조종 좌석(8)을 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캐빈(7)으로의 승강성을 각별히 향상할 수 있다.
도 13, 도 19,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측판부(353)의 좌우 방향의 폭은 전방측판부(352)(세로 길이부(354))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 넓게 설정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오퍼레이터가 각 발판 단차부(351)에 발을 얹을 때 전방측판부(352)(세로 길이부(354))의 존재가 방해되지 않고, 이 점에서도 캐빈(7)으로의 승강성 향상에 공헌한다. 또한, 후방측판부(353)가 폭이 넓기 때문에 후방측판부(353)의 존재에 의해 후차륜(4)의 흙의 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기재 및 도 11~도 2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엔진(5)을 탑재한 주행기체(2)와, 상기 주행기체(2)를 지지하는 좌우 한쌍 전륜(3) 및 후차륜(4)과, 상기 주행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과, 상기 캐빈(7) 내에 승강하기 위한 스텝(10)을 구비하는 작업 차량(1)에 있어서, 전후로 배열되는 상기 전차륜(3)과 상기 후차륜(4) 사이에서 상기 캐빈(7)의 좌우 하부측에 상기 스텝(10)을 매달아서 설치한 구조로서, 상기 스텝(10)은 복수의 발판 단차부(351)와, 이들 발판 단차부(351)에 연결하는 전후의 측판부(352, 353)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발판 단차부(351)는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후차륜(4)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전후 방향으로 서로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고 있으므로 상기 캐빈(7) 내외를 향하는 오퍼레이터의 동선을 따라 상기 각 발판 단차부(351)를 위치시키게 되어 상기 캐빈(7)으로의 승강성을 각별히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측판부(353)의 좌우 방향의 폭을 상기 전방측판부(352)(세로 길이부(354))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 넓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오퍼레이터가 상기 각 발판 단차부(351)에 발을 얹을 때에 상기 전방측판부(352)의 존재가 방해되지 않고, 이 점에서도 상기 캐빈(7)으로의 승강성 향상에 공헌한다. 또한, 상기 후방측판부(353)가 폭이 넓으므로 상기 후방측판부(353)의 존재에 의해 상기 후차륜(4)의 흙의 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 도 2, 도 11, 도 14,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서 지붕체(306) 내외의 공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캐빈 프레임(301)의 상단측에 부착한 지붕체(306)는 외장인 아우터 루프(361)와, 캐빈(7)의 천장을 구성하는 이너 루프(362)와, 후방측 빔부재(304)보다 후방으로 돌출한 후방부 커버(363)를 구비하고 있다. 이너 루프(362) 및 후방부 커버(363)를 아우터 루프(361)로 상방으로부터 덮음으로써 지붕체(306) 내부를 중공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아우터 루프(361)의 후방부측도 후방측 빔부재(304)보다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전방 상단 작업등(333)이 끼워지는 함몰부(334)(팽출부)는 아우터 루프(361)의 전방부측에 형성하고 있다.
지붕체(306) 내부는 이너 루프(362)와 후방부 커버(363)에 의해 전후 2실로 구획하고 있다. 이너 루프(362)측의 공간이 전실에 상당하고, 후방부 커버(363)측의 공간이 후실에 상당한다. 지붕체(306) 내부의 후실측(후방부 커버(363)측)에는 캐빈(7) 내의 공조를 관리하는 공기 조화기(364)를 수용하고 있다. 공기 조화기(364)는 엔진(5)의 냉각수를 이용한 난방이나, 엔진에 의해 구동하는 컴프레서, 콘덴서 및 이배퍼레이터 등을 이용한 냉방에 의해 캐빈(7) 내의 공조(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공기 조화기(364)를 후방측 빔부재(304)보다 후방으로 돌출한 후방부 커버(363)측에 배치함으로써 캐빈(7)의 전고가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특히, 실시형태에서는 후방측 빔부재(304)가 아니라 각 후방 지주(302)의 상단측에 후방 상단 지지 스테이(335)를 설치함으로써 오퍼레이터의 후방 시계를 양호하게 확보하면서 좌우의 후방 상단 지지 스테이(335) 사이에 지붕체(306)의 후방부측의 배치 스페이스(공기 조화기(364)를 수용하는 후방부 커버(363)의 배치 스페이스)를 확보하고 있다.
후방부 커버(363)는 캐빈 프레임(300)의 후방측 빔부재(304)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후방부 커버(363) 및 공기 조화기(364)는 캐빈 프레임(300)의 후방측 빔부재(304)로 지지하고 있다. 후방부 커버(363)의 가장자리부에는 밀봉재(365)를 부착하고 있다. 이너 루프(362) 및 후방부 커버(363) 상에 아우터 루프(361)를 씌워서 부착한 상태에서는 아우터 루프(361)의 내면측에 밀봉재(365)가 밀착하여 지붕체(306) 내부의 후실측(후방부 커버(363)측)이 밀폐형상이 된다.
아우터 루프(361)의 좌우측부는 좌우 내측을 향하는 비스듬히 하향으로 잘라낸 것 같이 경사져 있다. 아우터 루프(361)의 좌우측부 중 엔진(5)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테일 파이프(229)(도 1~도 10 참조)와 반대측의 측부에는 지붕체(306) 내부의 후실측(후방부 커버(363)측)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외기 도입구(366)를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테일 파이프(229)는 캐빈(7)의 전방 우측에 있어서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우측 전방 지주(301)를 따라 연장되어 있음). 이에 대하여 외기 도입구(366)는 아우터 루프(361) 좌측부의 후방부측(후방부 커버(363)와 대응하는 개소)에 형성하고 있다. 외기 도입구(366)는 후방부 커버(363)의 좌측벽부에 형성한 연통구(도시 생략)를 통해 후방부 커버(363) 내의 공기 조화기(364)에 좌측방으로부터 면하게 하고 있다. 외기 도입구(366)에는 격자형상의 통기 프레임체(367)를 장착하고 있다.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후방부 커버(363)의 좌측벽부에 형성한 연통구에는 제진 필터를 부착하고 있다. 한편, 조종 좌석(8)에 착좌한 오퍼레이터의 후방 헤드부에 대치하는 이너 루프(362)의 후방부측에는 후방부 커버(363) 내와 캐빈(7) 내를 연통시키는 내기 도입구(368)를 형성하고 있다. 내기 도입구(368)에는 격자상의 통기 프레임체(369)를 장착하고 있다.
후방부 커버(363) 내에는 후방부 커버(363)의 좌측벽부에 형성한 연통구를 개폐하는 내외기 스위칭 셔터판(370)을 배치하고 있다. 내외기 스위칭 셔터판(370)은 액츄에이터(371)의 구동에 의해 개폐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내외기 스위칭 셔터판(370)을 개방 이동시키면, 후방부 커버(363)의 연통구가 개방되어 후방부 커버(363) 내의 공기 조화기(364)의 구동에 의해 외기 도입구(366)로부터 연통구를 거쳐 후방부 커버(363) 내에 외부 공기가 유도된다. 내외기 스위칭 셔터판(370)을 폐지 이동시키면, 후방부 커버(363)의 연통구가 폐지되어 외기 도입구(366)로부터 외부 공기가 들어가지 않게 되고, 공기 조화기(364)의 구동에 의해 내기 도입구(368)로부터 후방부 커버(363) 내에 캐빈(7) 내의 공기가 유도된다. 실시형태에서는 내외기 스위칭 셔터판(370)의 개도(개폐 정도)에 의해 후방부 커버(363) 내의 공기 조화기(364)로 유도되는 외기와 내기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364)의 앞면측에 형성한 조정 공기 방출구(372)에는 후실측(후방부 커버(363)측)으로부터 전실측(이너 루프(362)측)으로 조정 공기를 안내하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 두갈래형상의 공조 덕트(373)의 상류측을 접속하고 있다. 공조 덕트(373)의 상류측은 내기 도입구(368)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후방부 커버(363)의 앞면측과 이너 루프(362)의 후면측을 관통하고 나서 좌우로 두 갈래형상으로 분기되어 있다. 공조 덕트(373)의 두갈래형상의 덕트부(374)는 전방측 빔부재(303), 후방측 빔부재(304) 및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로 구성한 사각형 프레임을 따라 평면으로부터 볼 때 직사각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공조 덕트(373)의 각 덕트부(374)의 중도 부분에는 이너 루프(362)의 좌우 양측부에 설치한 냉난방용 분출구(375)와 덕트부(374)의 연통 상태를 조절하는 조절 셔터판(376)을 배치하고 있다. 좌우의 조절 셔터판(376)은 액츄에이터(377) 및 푸쉬풀 와이어(378)에 의해 연동하여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공조 덕트(373)의 각 덕트부(374)의 하류측은 이너 루프(362)의 전방부에 김서림 제거용 분출구(379)에 연통하고 있다. 각 분출구(375, 379)에는 공기 조화기(364)로부터의 조정 공기의 풍량이나 풍향을 변경 조절하는 핀(도시 생략)을 설치하고 있다.
좌우 양쪽 조절 셔터판(376)에 의해 각 덕트부(374)의 하류측으로의 흐름(각 김서림 제거용 분출구(379)로의 흐름)을 막으면, 공기 조화기(364)로부터의 조정 공기는 좌우의 냉난방용 분출구(375)만으로부터 캐빈(7) 내로 분출한다. 좌우 양쪽 조절 셔터판(376)에 의해 좌우의 냉난방용 분출구(375)로의 흐름을 막으면, 공기 조화기(364)로부터의 조정 공기는 좌우의 김서림 제거용 분출구(379)만으로부터 캐빈(7) 내로 분출한다. 좌우 양쪽 조절 셔터판(376)의 회동각도에 따라 냉난방용 분출구(375)로부터의 조정 공기의 풍량과, 김서림 제거용 분출구(379)로부터의 조정 공기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기재 및 도 1, 도 2, 도 11, 도 14, 도 28 및 도 29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주행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7)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300)과, 상기 캐빈 프레임(300)의 상단측에 배치한 지붕체(306)를 갖는 작업 차량(1)에 있어서, 상기 주행기체(2)에 탑재한 엔진(5)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테일 파이프(135)를 상기 주행기체(2)의 좌우 한쪽에 구비하고, 상기 지붕체(306)의 내부를 전후 2실로 구획하고, 후실(363)측에 공기 조화기(364)를 수용하고, 상기 지붕체(306)의 좌우측부 중 상기 테일 파이프(229)와 반대측에 상기 후실(363)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외기 도입구(366)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테일 파이프(229)로부터의 배기가스를 상기 외기 도입구(366)에 도입할 우려를 각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빈 프레임(300)은 좌우 한쌍의 전방 지주(301)와, 좌우 한쌍의 후방 지주(302)와, 상기 전방 지주(301)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방측 빔부재(303)와, 상기 후방 지주(302)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후방측 빔부재(304)와, 전후로 배열되는 상기 전방 지주(301)와 상기 후방 지주(302)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측방 빔부재(305)를 구비하고, 상기 지붕체(306)의 후실(363)을 상기 후방측 빔부재(304)보다 후방으로 돌출시켜 상기 후실(363)을 상기 후방측 빔부재(304)로 지지하고, 상기 각 후방 지주(302)의 상단측에 설치한 지지 스테이(335)에 후방 상단 작업등(337)을 부착하고 있으므로 상기 캐빈(7)의 전고를 높게 하는 일 없이 상기 지붕체(306) 내부에 상기 공기 조화기(364)를 배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지붕체(306)의 전실(362)에 상기 공기 조화기(364)를 수용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를 제한한다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후방 지주(302)의 상단측에 설치한 지지 스테이(335)에 후방 상단 작업등(337)을 부착함으로써 상기 지붕체(306)의 후실(363)측의 배치 스페이스를 상기 양쪽 후방 상단 작업등(337)용의 상기 지지 스테이(335) 사이에 형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오퍼레이터의 후방 시계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0(a)~도 30(d), 도 31 및 도 32를 참조하면서 빔부재(303, 304, 305)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붕체(306)를 지지하는 사각형 프레임은 전방측 빔부재(303), 후방측 빔부재(304) 및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를 구비하고 있다. 전방측 빔부재(303), 후방측 빔부재(304) 및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는 캐빈 프레임(300)을 구성하는 프레임 부재에 상당하는 것이다. 도 30(a)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측 빔부재(303)는 중공형상(단면 직사각형상)의 각 파이프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도 31(a), 도 3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측 빔부재(303)의 좌우 각 끝면은 전방 지주(301)의 상단측면에 용접 고정하고 있다.
후방측 빔부재(304) 및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는 모두 단면 C자형상(홈형)의 강재로 이루어져 있다. 후방측 빔부재(304)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후방측 빔부재(304) 및 각 측방 빔부재(305)의 개구부에는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보강판(304a, 305a)을 끼워넣어 용접 고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후방측 빔부재(304) 및 각 측방 빔부재(305) 중 적어도 길이 중도부는 각 파이프와 같은 중공형상(단면 직사각형상)이 되어 있다.
32(a), 도 3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측 빔부재(304)의 좌우 각 끝면은 후방 지주(302)의 상단측면에 용접 고정하고 있다. 도 31(a), 도 3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측방 빔부재(305)의 전방 끝면은 전방 지주(301)의 상단측면에 용접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전방 지주(301)의 상단측에는 전방측 빔부재(303)의 좌우 어느 하나의 끝면과, 좌우 중 어느 하나의 측방 빔부재(305)의 전방 끝면이 맞대어 있다. 전방측 빔부재(303)와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의 내측에는 비스듬한 형상의 보강 브래킷(319)을 용접 고정하고 있다. 보강 브래킷(319)의 존재에 의해 전방측 빔부재(303)와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와 전방 지주(301)의 연결 강도를 확보하고 있다.
도 32(a), 도 3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측방 빔부재(305)의 후방 끝면은 후방 지주(302)의 상단측면에 용접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후방 지주(302)의 상단측에는 후방측 빔부재(304)의 좌우 중 어느 하나의 끝면과, 좌우 중 어느 하나의 측방 빔부재(305)의 후방 끝면이 맞대어 있다. 후방측 빔부재(304)와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의 내측에도 비스듬한 형상의 보강 브래킷(319)을 용접 고정하고 있다. 보강 브래킷(319)의 존재에 의해 후방측 빔부재(304)와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와 후방 지주(302)의 연결 강도를 확보하고 있다.
상기 기재 및 도 30~도 3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주행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7)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300)을 갖는 작업 차량(1)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300) 중 적어도 1개의 프레임 부재(304, 305)을 단면 C자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부재(304, 30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보강판(304a, 305a)을 상기 프레임 부재(304, 305)의 개구부에 용접 고정함으로써 상기 프레임 부재(304, 305) 중 적어도 길이 중도부를 중공형상으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종래와 같은 고비용의 각 파이프재를 사용하지 않고, 프레임 부재(304, 305), 나아가서는 캐빈 프레임(300)의 강성을 향상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저비용화가 도모된다.
이어서, 도 22~도 25 및 도 33(a), 도 33(b)를 참조하면서 캐빈(7) 후방 하부측의 방진 지지 구조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캐빈 프레임(300)의 후방 하부측에 있는 좌우의 맞대기부에 좌우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베이스 브래킷(327)을 부착하고 있다. 이 경우, 도 22~도 25 및 도 33(a), 도 3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후방 하부 프레임(310)과 저부 프레임(311)의 연결부(맞대기부)에 좌우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베이스 브래킷(327)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주행기체(2)의 미션 케이스(17)로부터 좌우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후차축 케이스(19) 상의 후방부 지지대(97)에 방진 부재인 후방 방진 고무체(99)를 개재하여 베이스 브래킷(327)을 연결하고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저부 프레임(311)의 후단 상면에 후방 하부 프레임(310)의 하단면을 용접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저부 프레임(311)의 후단측에 베이스 브래킷(327)을 미리 용접에 의해 부착하여 유닛화하고 있다.
베이스 브래킷(327)은 후방 방진 고무체(99)가 매달리는 기판 플레이트(328)와, 기판 플레이트(328)와 저부 프레임(311)의 연결 강도를 보완하는 전후 한쌍의 지주편(329) 및 보강판편(330)을 구비하고 있다. 기판 플레이트(328)는 저부 프레임(311)의 후단 하면측에 대하여 좌우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용접 고정하고 있다. 전후 한쌍의 지주편(329)은 기판 플레이트(328)의 상면과 저부 프레임(311)의 후단측을 연결하고 있다. 후방 지주편(329)은 중공형상(단면 직사각형상)의 각 파이프재인 저부 프레임(311)의 후방 개구 단면을 가로막고 있다. 전방 지주편(329)은 보강판편(330)을 개재하여 저부 프레임(311)의 후단측면을 지지하고 있다. 보강판편(330)은 후방 하부 프레임(310)과 저부 프레임(311)의 맞대기부에 측방으로부터 겹치도록 배치하고 있다. 보강판편(330)에는 후방 하부 프레임(310)과 저부 프레임(311)과의 맞대기부에 면하는 개구 구멍(330a)을 형성하고 있다. 개구 구멍(330a)의 존재에 의해 후방 하부 프레임(310)과 저부 프레임(311)의 맞대기부 중 보강판편(330)이 덮이는 부분과, 보강판편(330)을 용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저부 프레임(311)에 보강판편(330)이 부착된 베이스 브래킷(327)을 미리 부착해서 유닛화한 후에 저부 프레임(311)에 후방 하부 프레임(310)을 후장착으로 용접 고정할 수 있다. 게다가, 저부 프레임(311)에 후방 하부 프레임(310)을 용접 고정함에 있어서 개구 구멍(330a)의 존재에 의해 저부 프레임(311)과 후방 하부 프레임(310)의 맞대기부 중 보강판편(330)이 덮이는 부분의 용접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저부 프레임(311) 및 후방 하부 프레임(310)의 접합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는 것이면서 저부 프레임(311) 및 후방 하부 프레임(310)의 접합 강도 향상, 나아가서는 캐빈 프레임(300)의 강성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캐빈 프레임(300)의 후방 하부측에 있는 좌우의 맞대기부에 좌우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베이스 브래킷(327)을 부착하고, 주행기체(2)의 미션 케이스(17)로부터 좌우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후차축 케이스(19) 상의 지지대(97)에 방진 부재(99)를 개재하여 베이스 브래킷(327)을 연결하고 있으므로 캐빈 프레임(300)의 후방 하부측을 그보다 좌우 외측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고, 캐빈 프레임(300)의 후방 하부측을 주행기체(2)에 대하여 방진적이며 또한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4 및 도 35를 참조하면서 캐빈(7) 후방 하부측의 방진 지지 구조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캐빈(7)의 좌우 각 측부(캐빈 프레임(300)의 좌우측면측)에는 상기 개소를 개폐 가능하게 막는 투명한 1매 유리제의 사이드 도어(323)를 배치하고 있다. 사이드 도어(323)는 대응하는 후방 지주(302)에 상하 한쌍의 힌지(324)를 개재하여 개폐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사이드 도어(323)의 전방부측에는 상기 사이드 도어(323)를 록 상태와 록 해제 상태로 스위칭하는 도어록 부재(400)를 설치하고 있다. 도어록 부재(400)의 외면측에 설치한 손잡이(400a)를 조작함으로써 도어록 부재(400)가 록킹되거나 록 해제되거나 해서 사이드 도어(323)의 개폐가 행해진다. 사이드 도어(323)의 내면측에는 상기 사이드 도어(323)의 강도를 높이는 측면으로부터 볼 때 C자형상의 보강 프레임(401)을 배치하고 있다.
보강 프레임(401)은 사이드 도어(323)의 후방 가장자리측을 따라 연장되는 세로 프레임부(402)과, 세로 프레임부(402)의 상단측으로부터 사이드 도어(323)의 상방 가장자리측을 따라 전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가로 프레임부(403)과, 세로 프레임부(402)의 하단측으로부터 사이드 도어(323)의 상하를 구획하도록 전향으로 연장되는 하측 가로 프레임부(404)를 갖고 있다. 하측 가로 프레임부(404)는 사이드 도어(323) 내면의 상하 중도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사이드 도어(323)의 강도를 높이는 전후 길이의 프레임체에 상당하는 것이다.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도어(323)의 상부측을 둘러싸도록 보강 프레임(401)이 위치하고 있다.
보강 프레임(401)은 도어록 부재(400)와 상하 한쌍의 힌지(324)에 연결되어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하측 가로 프레임부(404)의 전단측을 도어록 부재(400)에 연결하고 있다. 하측 가로 프레임부(404)와 세로 프레임부(402)의 코너부를 하부 힌지(324)의 전단측에 연결하고, 세로 프레임부(402)의 상단측을 상부 힌지(324)에 연결하고 있다. 즉, 도어록 부재(400) 및 상하 한쌍의 힌지(324)와 보강 프레임(401)에 의해 사이드 도어(323)를 협지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상측 가로 프레임부(403)의 전단측은 사이드 도어(323)의 상단 전방부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하부 힌지(324)와 펜더 프레임(312)은 에어 실린더(405)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하측 가로 프레임부(404)의 전후 중도부, 즉 하측 가로 프레임부(404) 중 조종 좌석(8)에 착좌한 오퍼레이터의 손이 닿는 부위에는 손으로 쥠으로써 도어록 부재(400)를 록 해제의 방향으로 스위칭 조작하는 그립체(406)를 설치하고 있다.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그립체(406)는 하측 가로 프레임부(404)에 내장한 와이어 부재를 통해 도어록 부재(400)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하측 가로 프레임부(404)째 그립체(406)를 쥐면 와이어 부재를 통해 도어록 부재(400)가 록 해제 방향으로 스위칭 작동한다. 그 결과, 도어록 부재(400)가 록 해제된다. 오퍼레이터는 조종 좌석(8)에 착좌한 채, 예를 들면 하측 가로 프레임부(404)째 그립체(406)를 쥔다는 매우 간단한 동작만으로 도어록 부재(400)를 록 해제할 수 있다. 그대로 사이드 도어(323)를 누르면 스무드하게 사이드 도어(323)가 개방 회동한다.
상기 기재 및 도 34 및 도 3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주행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7)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300)과, 상기 캐빈(7)의 좌우측부를 개폐 가능하게 막는 사이드 도어(323)를 갖는 작업 차량(1)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도어(323)의 내면측에 상기 사이드 도어(323)의 강도를 높이는 측면으로부터 볼 때 C자형상의 보강 프레임(401)을 배치하고, 상기 보강 프레임(401)은 상기 사이드 도어(323)의 후방 가장자리측을 따라 연장되는 세로 프레임부(402)과, 상기 세로 프레임부(402)의 상단측으로부터 상기 사이드 도어(323)의 상방 가장자리측을 따라 전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가로 프레임부(403)와, 상기 세로 프레임부(402)의 하단측으로부터 상기 사이드 도어(323)의 상하를 구획하도록 전향으로 연장되는 하측 가로 프레임부(404)를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 사이드 도어(323)의 상부측을 둘러싸도록 상기 보강 프레임(401)이 위치하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캐빈(7)측방의 시계를 확보하면서 상기 보강 프레임(401)을 상기 사이드 도어(323) 자체의 강도 멤버에 이용하여 1매 유리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은 상기 사이드 도어(323)의 강성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상기 하측 가로 프레임부(404)를 상기 캐빈(7) 승강 시의 난간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도어(323)를 록 상태와 록 해제 상태로 스위칭하는 도어록 부재(400)와, 상기 캐빈 프레임(300)에 상기 사이드 도어(323)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하 한쌍의 힌지(324)에 상기 보강 프레임(401)을 연결하고 있으므로 상기 도어록 부재(400) 및 상기 상하 한쌍의 힌지(324)와 상기 보강 프레임(401)에 의해 상기 사이드 도어(323)를 협지할 수 있고, 상기 사이드 도어(323)에 대하여 상기 보강 프레임(401)을 간단하며 또한 고강도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 도어(323)의 조립 작업의 용이화 및 제조 비용의 저감이 도모된다.
상기 기재 및 도 34 및 도 3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주행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7)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300)과, 상기 캐빈(7)의 좌우측부를 개폐 가능하게 막는 사이드 도어(323)를 갖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도어(323)의 전방부측에 상기 사이드 도어(323)를 록 상태와 록 해제 상태로 스위칭하는 도어록 부재(400)를 설치하고, 상기 사이드 도어(323) 내면 중 상하 중도부에 상기 사이드 도어(323)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전후 길이의 프레임체(404)를 배치하고, 상기 프레임체(404)의 전단측에 상기 도어록 부재(400)를 연결하고, 상기 프레임체(404) 중 상기 조종 좌석(8)에 착좌한 오퍼레이터의 손이 닿는 부위에 손으로 쥠으로써 상기 도어록 부재(400)를 록 해제의 방향으로 스위칭 조작하는 그립체(406)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오퍼레이터는 상기 조종 좌석(8)에 착좌한 채, 예를 들면 상기 프레임체(404)째 상기 그립체(406)를 쥔다는 매우 간단한 동작만으로 상기 도어록 부재(400)를 록 해제할 수 있어 상기 사이드 도어(323)의 개방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6 및 도 37을 참조하면서 사이드 도어(323)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324)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캐빈 프레임(300) 중 후방 지주(302)에 대하여 사이드 도어(323)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하 각 힌지(324)는 후방 지주(302)에 설치한 힌지 스테이(408)와, 힌지 스테이(408)에 가로 회동 가능하게 피봇한 힌지 커버(409)를 갖고 있다. 힌지 커버(409)의 전반부를 사이드 도어(323)의 후방 가장자리측에 볼트 체결하고 있다. 힌지 스테이(408)는 후방 지주(302)로부터 돌출한 평판부(408a)와, 평판부(408a)의 선단측에 형성한 피봇팅부(408b)를 구비하고 있다. 힌지 스테이(408)의 평판부(408a)에는 힌지 커버(409)의 내면 후방부측에 접촉하여 사이드 도어(323)의 최대 열림각을 규제하는 스토퍼 부재로서의 스토퍼 볼트(410)를 부착하고 있다. 스토퍼 볼트(410)는 힌지 커버(409)의 내면 후방부측에는 금속제의 접촉 플레이트(411)를 설치하고 있다. 사이드 도어(323)를 개방하여 힌지 커버(409)의 접촉 플레이트(411)에 스토퍼 볼트(410)의 헤드부 또는 선단부를 접촉시킨 상태가 사이드 도어(323)의 최대 열림각이 된다. 스토퍼 볼트(410)의 나사 삽입량을 조절함으로써 힌지 커버(490)의 접촉 플레이트(411)와 스토퍼 볼트(410)의 접촉 위치가 변경되어서 사이드 도어(323)의 최대 열림각이 조절된다.
상기 기재 및 도 36 및 도 37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주행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7)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300)과, 상기 캐빈(7)의 좌우측부를 개폐 가능하게 막는 사이드 도어(323)를 갖는 작업 차량(1)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300)에 대하여 상기 사이드 도어(323)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324)을 구비하고, 상기 힌지(324)는 상기 캐빈 프레임(300)에 설치한 힌지 스테이(408)와, 상기 힌지 스테이(408)에 가로 회동 가능하게 피봇한 힌지 커버(409)를 갖고, 상기 힌지 스테이(408)에는 상기 힌지 커버(409)의 내면측에 접촉하여 상기 사이드 도어(323)의 최대 열림각을 규제하는 스토퍼 부재(410)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상기 힌지 스테이(408)에 부착하는 상기 스토퍼 부재(410)를 이용한 간단한 구조만으로 상기 사이드 도어(323)의 최대 열림각의 규제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 도어(323)의 최대 열림각을 규제하는 구조를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비용 다운이 도모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 부재(410)는 상기 힌지 스테이(408)에 나사 삽입하는 스토퍼 볼트이며, 상기 스토퍼 볼트(410)의 나사 삽입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힌지 커버(409)와의 접촉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사이드 도어(323)의 최대 열림각을 조절하기 때문에 상기 사이드 도어(323)의 최대 열림각의 조절 작업을 매우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8~도 41을 참조하면서 개폐창으로서의 리어 유리(322)의 개폐 위치를 복수 단계로 스위칭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캐빈(7)의 후방측부(캐빈 프레임(300)의 후면측)에는 상기 장소를 개폐 가능하게 막는 투명한 1매 유리제의 리어 유리(322)를 배치하고 있다. 리어 유리(322)는 후방측 빔부재(304)에 좌우 한쌍의 경첩(413)을 개재하여 개폐 가능(리프업 회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캐빈 프레임(300) 중 후방 중간 빔부재(309) 상면의 좌우 중앙부에는 리어 유리(322)의 개폐 위치를 결정하는 피록킹부로서의 피록킹 블록(414)을 볼트 체결하고 있다. 피록킹 블록(414)은 한쪽의 후방 지주(302)를 향해서 개구한 평면으로부터 볼 때 コ자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리어 유리(322) 내면의 자유단측에는 회동식 핸들(415)을 부착하고 있다. 회동식 핸들(415)은 리어 유리(322) 내면의 자유단측에 체결한 핸들 베이스부(416)와, 핸들 베이스부(416)로부터 전향으로 돌출한 회동축부(417)와, 회동축부(417)로부터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핸들부(418)를 구비하고 있다. 회동축부(417)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적당히 간격을 형성하여 위치하는 하향 돌출형상의 복수의 결합 돌기(420a, 420b)를 형성하고 있다. 실시형태의 결합 돌기(420a, 420b)는 2개 있으며, 각 결합 돌기(420a)와 피록킹 블록(414)의 결합의 조합에 의해 전폐 위치를 포함하여 리어 유리(322)의 개폐 위치를 4단계로 스위칭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즉, 피록킹 블록(414)의 캐빈(7) 내부측 전방측면(414a)에 회동축부(417) 후단측의 제 1 결합 돌기(420a)를 서로 겹치도록 접촉시킨 상태에서는 캐빈(7)의 후방측부가 리어 유리(322)에 의해 폐쇄된다(리어 유리(322)는 전폐 위치가 된다). 피록킹 블록(414)의 コ자형상의 함몰 홈(414b)에 제 1 결합 돌기(420a)를 끼워 넣은 상태에서는 리어 유리(322)가 캐빈(7)의 후방측부로부터 약간 멀어진 최소 반개 위치가 된다. 피록킹 블록(414) 전방측면(414a)에 회동축부(417) 전단측의 제 2 결합 돌기(420b)를 서로 겹치도록 접촉시킨 상태에서는 리어 유리(322)가 최소 반개 위치보다 캐빈(7)의 후방측부로부터 멀어진 중간 반개 위치가 된다. 피록킹 블록(414)의 함몰 홈(414b)에 제 2 결합 돌기(420b)를 끼워 넣은 상태에서는 리어 유리(322)가 캐빈(7)의 후방측부로부터 가장 멀어진 최대 개방 위치가 된다. 또한, 개폐창으로서는 리어 유리(32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개폐창은 리프업 회동식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하 회동식의 것이나 수평 회동식의 것이어도 좋다.
리어 유리(322)의 외면 상부측에는 리어 유리(322)를 청소하는 와이퍼(421)를 설치하고 있다(도 38 참조). 한편, 리어 유리의 내면 상부측에는 와이퍼(421)를 구동시키는 와이퍼 모터(도시 생략) 등을 수용한 와이퍼 구동 케이스(422)를 부착하고 있다(도 39 참조). 와이퍼(421)는 리어 유리(322)의 외면 상부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튀어나와 있기 때문에 지붕체(306)의 후방부 커버(363)에는 리어 유리(322)를 크게 리프업 회동시켰을 때에 와이퍼(421)가 후방부 커버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향으로 함몰된 함몰부(423)를 형성하고 있다(도 29 참조).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유리(322)의 좌측부에 부착한 고정 브래킷(424)에는 반사판(427)을 설치하고 있다. 고정 브래킷(424)과 좌측의 후방 지주(302)는 에어 실린더 등의 댐퍼체(425)를 개재하여 연결하고, 리어 유리(322)의 우측부와 우측의 후방 지주(302)는 에어 실린더 등의 댐퍼체(426)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도 39 참조).
상기 기재 및 도 38~도 4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주행기체(2) 상의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7)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300)과, 상기 캐빈(7)의 일측부를 개폐 가능하게 막는 회동식의 개폐 창(322)을 갖는 작업 차량(1)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300)에는 상기 개폐창(322)의 개폐 위치를 결정하는 피록킹부(414)를 부착하고, 상기 개폐창(322)의 자유단측에 설치한 회동식 핸들(415)에는 상기 회동식 핸들(415)의 회동 조작에 의해 상기 피록킹부(414)에 선택적으로 계탈하는 복수의 결합 돌기(420a, 420b)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상기 회동식 핸들(415)의 회동 조작이라는 매우 간단한(원터치적인) 조작만으로 상기 개폐창(322)의 개폐 위치를 복수 단계로 스위칭할 수 있어 상기 개폐창(322)을 전폐로 하거나 반개로 하거나 하는 개폐 작업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에 있어서의 각 부의 구성은 도시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1 : 트랙터 2 : 주행기체
3 : 전차륜 4 : 후차륜
7 : 캐빈 8 : 조종 좌석
300 : 캐빈 프레임 301 : 전방 지주
302 : 후방 지주 303 : 전방측 빔부재
304 : 후방측 빔부재 304a, 305a : 보강판
305 : 측방 빔부재 327 : 베이스 브래킷
330 : 보강판편 330a : 개구 구멍
400 : 도어록 부재 401 : 보강 프레임
406 : 그립체 408 : 힌지 스테이
409 : 힌지 커버 410 : 스토퍼 볼트
414 : 피록킹 블록 415 : 회동식 핸들
420a : 제 1 결합 돌기 420b : 제 2 결합 돌기

Claims (3)

  1. 주행기체 상에 있는 조종 좌석을 덮는 캐빈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의 좌우측부를 개폐 가능하게 막는 사이드 도어를 갖는 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도어는 유리로 구성되고,
    상기 사이드 도어의 내면측에 보강 프레임이 배치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프레임부를 가짐과 함께,
    상기 사이드 도어를 록 상태와 록 해제 상태로 스위칭하는 도어록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가로 프레임부에,
    상기 도어록 부재를 록 해제의 방향으로 스위칭 조작하는 그립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2. 제 1 항에 있어서,
    도어록 부재는, 상기 사이드 도어의 전방부측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록 부재의 외면측에는,
    도어록 부재를 록 또는 록 해제하는 조작용의 손잡이가 설치되고,
    상기 사이드 도어의 내면측에는, 상기 그립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에는,
    캐빈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사이드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하 한쌍의 힌지와,
    상기 도어록 부재를 연결함과 함께,
    상기 도어록 부재와 상기 상하 한쌍의 힌지 사이의 전후 방향의 중도부에, 상기 그립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KR1020207008728A 2014-06-26 2015-06-19 작업 차량 KR202000354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31858A JP2016008034A (ja) 2014-06-26 2014-06-26 作業車両
JPJP-P-2014-131858 2014-06-26
PCT/JP2015/067783 WO2015198999A1 (ja) 2014-06-26 2015-06-19 作業車両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322A Division KR20170023793A (ko) 2014-06-26 2015-06-19 작업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487A true KR20200035487A (ko) 2020-04-03

Family

ID=549380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322A KR20170023793A (ko) 2014-06-26 2015-06-19 작업 차량
KR1020207008728A KR20200035487A (ko) 2014-06-26 2015-06-19 작업 차량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322A KR20170023793A (ko) 2014-06-26 2015-06-19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6008034A (ko)
KR (2) KR20170023793A (ko)
CN (1) CN106457981A (ko)
WO (1) WO20151989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3105274A1 (de) * 2023-03-03 2024-09-05 Claas Tractor Sas Kabine für eine landwirtschaftliche Arbeitsmaschi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1715A (ja) 1982-04-02 1983-10-08 Sony Corp 再生装置
JP2002067657A (ja) 2000-09-04 2002-03-0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空気調和機を取り付けるキャビンの構造
JP2004257036A (ja) 2003-02-25 2004-09-16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キャビンの開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589A (ja) * 1991-06-26 1993-01-14 Iseki & Co Ltd トラクタ等のキヤビンルーフ
JP3475952B2 (ja) * 2001-12-10 2003-12-10 井関農機株式会社 移動車両のキャビン
JP4259094B2 (ja) * 2002-11-07 2009-04-30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上部車体構造
CN202788376U (zh) * 2012-08-31 2013-03-13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杭州分公司 一种汽车门铰链
JP5319029B1 (ja) * 2013-02-22 2013-10-1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用キャブおよび建設機械
CN203285214U (zh) * 2013-06-06 2013-11-13 无锡同捷汽车设计有限公司 一种角度可调式限位铰链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1715A (ja) 1982-04-02 1983-10-08 Sony Corp 再生装置
JP2002067657A (ja) 2000-09-04 2002-03-0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空気調和機を取り付けるキャビンの構造
JP2004257036A (ja) 2003-02-25 2004-09-16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キャビンの開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98999A1 (ja) 2015-12-30
KR20170023793A (ko) 2017-03-06
CN106457981A (zh) 2017-02-22
JP2016008034A (ja) 2016-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5404B1 (ko) 작업 차량
KR102140360B1 (ko) 작업 차량
KR102140429B1 (ko) 작업 차량
JP2015112880A (ja) キャビンのルーフ構造
KR20200035487A (ko) 작업 차량
JP6346001B2 (ja) トラクタ
JP6309363B2 (ja) 作業車両
JP2016010990A (ja) 作業車両
WO2016060022A1 (ja) 作業車両
WO2015083789A1 (ja) キャビンのフレーム構造及びドア構造
JP6275568B2 (ja) 作業車両
JP6216281B2 (ja) トラクタ
JP6258796B2 (ja) 作業車両
WO2015147231A1 (ja) 作業車両
JP2016008035A (ja) 作業車両
JP2016008036A (ja) 作業車両
JP2016008030A (ja) 作業車両
JP2016008032A (ja) 作業車両
JP2015189450A (ja) 作業車両
JP6177176B2 (ja) 作業車両
JP2015193306A (ja) 作業車両
JP2015189449A (ja) 作業車両
JP6148611B2 (ja) キャビンのフレーム構造
JP6148612B2 (ja) キャビンのフロントガラス取付構造
JP6080750B2 (ja) トラクタにおけるキャビンの空調ダク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