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5228A - 차량의 구동라인의 토크 전달 구성요소를 갖는 시험 대상물을 시험하기 위한 테스트 벤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구동라인의 토크 전달 구성요소를 갖는 시험 대상물을 시험하기 위한 테스트 벤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5228A
KR20200035228A KR1020190117901A KR20190117901A KR20200035228A KR 20200035228 A KR20200035228 A KR 20200035228A KR 1020190117901 A KR1020190117901 A KR 1020190117901A KR 20190117901 A KR20190117901 A KR 20190117901A KR 20200035228 A KR20200035228 A KR 20200035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test bench
test
guide
test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0608B1 (ko
Inventor
외르크 크렙스
예니퍼 프르치빌스키
디어터 아폴트
Original Assignee
게테지스템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테지스템 게엠베하 filed Critical 게테지스템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35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5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2Gearings; Transmission mechanisms
    • G01M13/025Test-benches with rotational drive means and loading means; Load or drive simul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2Gearings; Transmission mechanisms
    • G01M13/027Test-benches with force-applying means, e.g. loading of drive shafts along several dire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5/00Testing of engines
    • G01M15/02Details or accessories of test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 Testing Of Engines (AREA)

Abstract

차량의 구동라인의 토크 전달 구성요소를 갖는 시험 대상물(4)을 시험하기 위한 테스트 벤치(1)이며,
구동 모터(3) 및 시험 대상물(4)을 수용하기 위한 캐리어(2),
캐리어(2)가 수직으로 변위가능하게 안내되는 프레임(5)으로서, 캐리어(2)는 구동 모터(3)를 수용하기 위한 모터 캐리어(8) 및 시험 대상물(4)을 수용하기 위한 시험 대상물 캐리어(9)를 갖는, 프레임(5), 및
프레임(5)에 대해 캐리어(2)를 수직 조정하기 위한 조정 유닛(6)을 갖는 테스트 벤치(1)에 있어서,
프레임(5)은 미네랄 캐스트로 제조되는 2개의 측벽(10, 11)을 갖고,
안내부(12, 13, 14, 15)가 캐리어(2)를 안내하기 위해 측벽(10, 11)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벤치.

Description

차량의 구동라인의 토크 전달 구성요소를 갖는 시험 대상물을 시험하기 위한 테스트 벤치{TEST BENCH FOR TESTING A TEST OBJECT WITH TORQUE TRANSMITTING COMPONENTS OF A DRIVELINE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구동라인의 토크 전달 구성요소를 갖는 시험 대상물을 시험하기 위한 테스트 벤치에 관한 것으로서, 테스트 벤치는, 구동 모터 및 토크 전달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캐리어, 캐리어가 수직으로 변위가능하게 안내되는 프레임으로서, 캐리어는 구동 모터를 수용하기 위한 모터 캐리어 및 시험 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한 시험 대상물 캐리어를 갖는, 프레임, 및 프레임에 대해 캐리어를 수직 조정하기 위한 조정 유닛을 갖는다.
트랜스미션 테스트 벤치의 형태의 이러한 테스트 벤치는 예를 들어 DE 10 2011 114 610 A1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캐리어는 시험 대상물로서 트랜스미션을 수용하기 위한 트랜스미션 클램핑 판뿐만 아니라, 테스트 벤치의 구동 모터를 수용하기 위한 모터 캐리어도 갖는다. 구동 모터가 놓이는 모터 캐리어 및 시험 대상물이 놓이는 트랜스미션 클램핑 판에 공통 안내부를 사용하는 것은, 시험될 상이한 시험 대상물 또는 트랜스미션의 테스트 벤치의 조건에 대한 동작상 신뢰성 있고 신속한 적응을 보장한다. 디엑시얼 트랜스미션(deaxial transmission)으로서 바람직하게 구축되는, 시험될 트랜스미션의 특별한 특징은, 대응 모터 차량 내의 설치 상황에 따라서, 트랜스미션의 구동 샤프트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출력 샤프트가, 구동 샤프트에 대해 상이한 높이 오프셋 및 상이한 수직 오프셋을 갖는다는 사실에 있다. 따라서, 트랜스미션의 출력 샤프트는 트랜스미션의 구동 샤프트의 높이와 관계없이 트랜스미션 테스트 벤치 내의 트랜스미션의 출력부에 사용되는 브레이크에 대해 시간 절약 방식으로 그리고 안전하게 동작하는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들 브레이크는 일반적으로 매우 큰 전기 모터 또는 동력계이며,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트랜스미션 테스트 벤치 상에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캐리어의 이용 가능한 가변성 때문에 출력부로서 사용되는 이들 전기 모터 또는 이들 동력계의 재위치 또는 변환이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는다. 공통 안내부는 또한 모터 캐리어 및 트랜스미션 클램핑 판을 위해 트랜스미션 테스트 벤치 상에, 트랜스미션 테스트 벤치의 프레임에 대한 모터 캐리어 및 트랜스미션 클램핑 판의 특히 안정적이고 견고한 연결을 제공한다.
US 8 186 206 B2로부터, 예를 들어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서 있는, 중합체 기부를 갖는 구동라인의 구성요소를 위한 테스트 벤치가 공지되어 있다. 동력계가 중합체 기부 상에 장착된다. 프레임이 중합체 기부에 부착되고, 그것이 동력계에 연결된 구동라인 구성요소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중합체 기부의 중합체 재료는 석영 충전재 및 고강도 에폭시 수지로 제조된 중합체 복합 재료일 수 있다. 원하는 형상으로 캐스팅되거나 성형되는 중합체 재료는 특수 구동라인 시험 설치를 위한 바람직한 소음 및 진동 특성을 갖도록 선택된다.
DE 10 2009 025 049 B3은 시험체를 시험하기 위한 테스트 벤치를 개시하고 있다. 테스트 벤치는 시험체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시험체는 베어링 유닛 상에 놓이고 고정 요소에 대한 커플링을 통해 연결된다. 기계적 능동 부품, 즉 구동 유닛, 베어링 유닛 및 고정 요소를 갖는 테스트 벤치는 진동 감쇠 테이블 상에 놓인다. 진동 감쇠 테이블은 중합체 콘크리트로 제조될 수 있다. 진동 감쇠 테이블 상의 테스트 벤치의 설치 때문에, 테스트 벤치는 진동 감쇠 기초를 가지며, 이를 통해 테스트 벤치에 의해 생성된 진동이 지면에 감쇠된 방식으로 전달될 수 있다.
DE 10 2012 220 163 A1은 테스트 벤치를 수용하기 위한 선회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선회 장치는 고정 기부와, 상기 기부 상에 피봇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 부분을 갖는다. 상기 기부 및 상부 부분은 각각 진동 감쇠 기초 본체로서 형성된다. 사용된 진동 감쇠 기초 본체의 특성 및 설계로 인해, 진동 발생 테스트 벤치로부터 지면으로의 진동 전달이 최적화될 수 있다.
DE 39 19 450 A1은 회전 로터의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힘 및/또는 토크, 특히 로터의 불균형 또는 불균일성, 예컨대 공압 타이어의 타이어 불균일성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를 설명하고 있다. 측정 장치의 변환기 상으로의 방해 진동의 억제를 달성하기 위해, 측정 장치는 경화된 고충전 반응 수지로 제조된 블록형 성형체 형태의 기계 베드를 갖는다. 따라서, 기계 베드를 통해서 측정 장치 내로 도입되는 방해 진동이 억제될 수 있다.
모터 차량을 위한 오늘날의 구동부에서, 예를 들어 모터 차량을 위한 하이브리드 구동부 또는 순수 전기 구동부와 같은 전기 모터가 점점 더 사용되고 있다. 전기 모터는 통상적으로 종래의 내연 기관보다 높은 회전 속도로 동작되어, 과거보다 더 높은 회전 속도에서 모터 차량의 구동라인의 토크 전달 구성요소를 시험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인 최신의 테스트 벤치는 생성된 진동을 위해 구성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증가된 회전 속도의 조건 하에서 시험 대상물을 시험할 수 있도록, 상이한 시험 대상물에 쉽게 적응될 수 있고 향상된 감쇠 특성을 갖는 테스트 벤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차량의 구동라인의 토크 전달 구성요소를 갖는 시험 대상물을 시험하기 위한 테스트 벤치에 의해 충족되고, 테스트 벤치는, 구동 모터 및 토크 전달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캐리어, 캐리어가 수직으로 변위가능하게 안내되는 프레임으로서, 캐리어는 구동 모터를 수용하기 위한 모터 캐리어 및 시험 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한 시험 대상물 캐리어를 갖는, 프레임, 및 프레임에 대해 캐리어를 수직 조정하기 위한 조정 유닛을 갖는다. 프레임은 미네랄 캐스트(mineral cast)로 제조되는 2개의 측벽을 갖고, 캐리어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는 측벽 상에 배열된다.
캐리어는 그 모터 캐리어로 구동 모터를 그리고 그 시험 대상물 캐리어로 시험 대상물, 예를 들어 트랜스미션을 수용한다. 따라서, 구동 모터 및 시험 대상물은 프레임에 대해 함께 변위가능하게 안내된다. 이러한 공통 안내부의 사용은 테스트 벤치의 조건에 대한 시험될 트랜스미션 또는 상이한 시험 대상물의 신뢰성 있고 신속한 적응을 보장한다. 측벽이 미네랄 캐스트로 제조되기 때문에, 프레임의 개선된 감쇠 특성이 프레임의 높은 안정성으로 존재하는 것이 보장된다. 이는 또한 높은 회전 속도를 위한 시험 구동 구성요소 및 토크 전달 구성요소를 시험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모터 캐리어 및 시험 대상물 캐리어는 별개의 상호연결된 유닛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시험 대상물 캐리어는 프레임의 2개의 측벽 사이에 배열될 수 있고, 그 위에서 수직으로 변위가능하게 안내될 수 있다.
프레임의 측벽은 본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미네랄 캐스트는 적어도 미네랄 충전재 뿐만 아니라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네랄 캐스트는 적어도 80 부피%의 미네랄 충전재 및 최대 20 부피%의 바인더를 가질 수 있다. 미네랄 충전재는 석영 모래를 함유할 수 있다. 바인더는 수지, 특히 에폭시 수지를 함유할 수 있다.
테스트 벤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안내부는 각각 캐리어를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캐리어를 안내하고 캐리어를 고정하기 위한 기능은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안내부와 별개로 형성된 하나의 유닛이 캐리어를 고정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안내부는 이들 각각이 안내 슬롯 및 적어도 하나의 안내 요소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안내 요소는 안내 슬롯 내에서 변위가능하게 안내된다.
측벽은 각각 적어도 2개의 안내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안내부의 안내 슬롯은 측벽 내에 배열될 수 있고, 캐리어에 연결된 안내 요소는 수직으로 변위가능하게 안내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캐리어는 적어도 2개의 안내부의 안내 슬롯을 가질 수 있고, 안내 요소는 프레임에 장착된다.
이러한 경우에, 캐리어의 안내 요소는 각각 캐리어를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를 가질 수 있다.
2개의 측벽 중 제1 측벽의 안내부 및 2개의 측벽 중 제2 측벽의 안내부는 서로 대향하여 쌍으로 배열될 수 있다.
안내부는 모터 캐리어를 안내하기 위한 모터 캐리어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모터 캐리어 안내부는 각각 각각의 측면에 캐스팅되는 보강 판을 가질 수 있고, 안내 슬롯이 보강 판 내에 제조된다.
또한, 안내부는 시험 대상물 캐리어를 안내하기 위한 시험 대상물 캐리어 안내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시험 대상물 캐리어 안내부는 각각 각각의 측벽 상에 부착되고 시험 대상물 캐리어가 수직으로 안내되는 안내 레일을 가질 수 있다.
안내 레일은 각각 시험 대상물 캐리어를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를 측벽 상에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안내 레일은 각각의 측벽의 전방 면 상에 배열될 수 있고, 2개의 측벽의 전방 면은 공통 평면 내에 배열된다.
테스트 벤치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측벽은 공통 기부 판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면을 사용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테스트 벤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테스트 벤치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테스트 벤치의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따른 테스트 벤치의 정면도.
도 5는 도 1에 따른 테스트 벤치의 수평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세부 사항(Ⅵ)의 모터 캐리어 안내부 중 하나의 확대도.
도 7은 도 4에 따른 세부 사항(Ⅶ)의 시험 대상물 캐리어 중 하나의 확대도.
도 8은 도 7에 따른 절단선 Ⅷ-Ⅷ을 따른 시험 대상물 캐리어 안내부의 영역에서의 단면도.
도 1, 도 2, 도 3 및 도 4는 상이한 관점에서 테스트 벤치(1)를 도시하고, 다음에 함께 설명된다.
테스트 벤치(1)는 구동 모터(3) 및 여기서 트랜스미션 형태의 일예로서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시험 대상물(4)을 수용하기 위한 캐리어(2)를 갖는다. 캐리어(2)는 테스트 벤치(1)의 프레임(5) 상에서 수직으로 변위가능하게 안내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테스트 벤치(1)의 기부 판(7) 상에 설치되고, 캐리어(2)에 대해 상방으로 수직으로 지지되는 조정 유닛(6)이 사용된다.
캐리어(2)는 구동 모터(3)를 수용하기 위한 모터 캐리어(8) 및 시험 대상물(4)을 수용하기 위한 시험 대상물 캐리어(9)를 갖는다. 모터 캐리어(8) 및 시험 대상물 캐리어(9)는 별개의 유닛으로서 설계되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호연결되고 함께 나사결합된다. 용접 연결과 같은, 다른 연결 유형, 또는 일체형 단일편 설계가 또한 고려될 수 있다.
프레임(5)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된 2개의 측벽, 즉 제1 측벽(10) 및 제2 측벽(11)을 갖는다. 2개의 측벽(10, 11)은 미네랄 캐스트로 제조된다. 2개의 측벽(10, 11) 사이에, 캐리어(2)의 모터 캐리어(8)가 수용되고, 2개의 측벽(10, 11)에 대해 수직으로 변위가능하게 안내된다.
제1 측벽(10)은 몇 개의 모터 캐리어 안내부(12) 및 하나의 시험 대상물 캐리어 안내부(13)를 갖는다. 제2 측벽(11)은 유사하게 몇 개의 모터 캐리어 안내부(14) 및 하나의 시험 대상물 캐리어 안내부(15)를 갖는다. 모터 캐리어 안내부(12, 14)는 모터 캐리어(8)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시험 대상물 캐리어 안내부(13, 15)는 시험 대상물 캐리어(9)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원칙적으로, 캐리어(2)를 안내하기 위해 모터 캐리어 안내부만 또는 시험 대상물 캐리어 안내부만 제공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하에서, 모터 캐리어 안내부(12, 14)는 특히 도 5 및 도 6에 의해 상세히 설명되며, 도 5는 테스트 벤치(1)를 통한 수평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6은 제2 측벽(11)의 모터 캐리어 안내부(14) 중 하나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6에 따른 제2 측벽(11)의 모터 캐리어 안내부(14)는 모든 모터 캐리어 안내부(12, 14)에 대해 대표적으로 설명되어 있으며, 이들 모두는 설계가 동일하다.
도 6에 따른 모터 캐리어 안내부(14)는 제2 측벽(11)에 캐스팅되고 수직 평면 내에 배열되는 보강 판(17)을 갖는다. 보강 판(17) 내에서, 수직으로 정렬되고 두께 방향으로 보강 판(17)을 통해서 완전히 연장되는 안내 슬롯(16)이 제조된다. 보강 판(17)은 스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슬롯(35)이 또한 제2 측벽의 미네랄 캐스트 재료 내에 배열되고, 이는 제2 측벽(11)을 통해 완전히 연장되고 캐리어(2)의 모터 캐리어(8)까지 도달된다.
(도 5 및 도 6에서 하나만 볼 수 있는) 2개의 클램핑 요소(18)가 안내 슬롯(16)을 통과한다. 클램핑 요소(18)는 제1 측벽(10)과 대면하는 제2 측벽(11)의 내부측 상에서 모터 캐리어(8)에 연결된다. 제1 측벽(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제2 측벽(11)의 측면 상에서, 클램핑 요소(18)는 클램핑 헤드(36)를 갖고, 이에 의해 모터 캐리어(8)는 제2 측벽(11)에 대해 클램핑될 수 있다. 클램핑 요소(18)는 클램핑 헤드(36)로서 나사 헤드를 갖는 나사로서 형성된다. 클램핑 요소(18)는 모터 캐리어(8)의 대응 나사식 보어(37) 내로 나사결합된다.
이하에서, 시험 대상물 캐리어 안내부(13, 15)는 특히 도 7 및 도 8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되며, 도 7은 도 4에 따른 세부 사항(Ⅶ)의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절단선 Ⅷ-Ⅷ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과 함께, 제1 측벽(10)의 시험 대상물 캐리어 안내부(13)가 제2 측벽(11)의 시험 대상물 캐리어 안내부(15)와 동일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2 측벽(11)의 시험 대상물 캐리어 안내부(15)가 제1 측벽(10)의 시험 대상물 캐리어 안내부(13)에 대해서도 대표적으로 설명된다.
제2 측벽(11)의 시험 대상물 캐리어 안내부(15)는 외부 안내 레일(19) 및 내부 안내 레일(38)을 포함한다. 내부 안내 레일(38)은 제2 측벽(11)의 전방 면(24) 내의 수직 홈(39) 내에 배열되고, 제2 측벽(11) 상에 부착된다. 외부 안내 레일(19)은 내부 안내 레일(38) 상에 부착된다. 2개의 안내 레일(19, 38)의 각각은 횡단면이 L-형상으로 형성되고, 횡단면에서 시험 대상물 캐리어(9)의 전방 판(21)이 수직으로 변위가능하게 안내되는 안내 홈(20)을 함께 형성한다. 이를 위해, 안내 홈(20)은 대응식으로 수직으로 정렬된다.
2개의 안내 슬롯(22)이 전방 판(19) 내에 형성되고, 이를 통해 각각 2개의 클램핑 요소(23)가 통과된다. 클램핑 요소(23)는 모터 캐리어(8)와 대면하는 전방 판(21)의 측면 상에서, 내부 안내 레일(38)에 나사결합되고, 모터 캐리어(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전방 판(21)의 측면 상에, 클램핑 헤드를 갖고, 이에 의해 전방 판(21)이 내부 안내 레일(38)에 클램핑될 수 있다. 클램핑 요소(23)는 클램핑 헤드로서 나사 헤드를 갖는 나사로서 형성된다. 클램핑 요소(23)는 전방 판(21)의 대응 나사식 보어 내로 나사결합된다.
제2 측벽(11)의 모터 캐리어 안내부(14)는,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측벽(11)의 모터 캐리어 안내부(12)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2개의 측벽(10, 11)의 모터 캐리어 안내부(12, 14) 각각은 서로 대향하여 쌍으로 배열된다.
제1 측벽(10)의 시험 대상물 캐리어 안내부(13)는 제2 측벽(11)의 시험 대상물 캐리어 안내부(15)와 유사하게 형성되고, 제2 측벽(11)의 시험 대상물 캐리어 안내부(15)의 안내 홈(20)과 대면하는 안내 홈을 갖는다.
측벽(10, 11)은 공통 기부 판 상에 장착된다. 조정 유닛(6)은 기부 판 상에 서 있다. 조정 유닛(6)은 2개의 리프팅 스트럿(25, 26)을 갖고, 이들 스트럿은 한편으로는 기부 판(7)에 대해 수직으로 지지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모터 캐리어(8)에 대해 수직으로 지지되고, 공통 리프팅 모터(27)에 의해 구동되어, 모터 캐리어(8)가 기부 판(7)에 대해 그리고 2개의 측벽(10, 11)에 대해 수직으로 변위가능하다.
기부 판(7)의 하부측 상에서, 기부 판은, 테스트 벤치가 T-트립 레일 상에 확실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몇 개의 고정 요소(28)를 갖는다.
베어링 부착부(29) 상에서, 베어링(30)이 도시되지 않은 트랜스미션 출력 샤프트를 위해 배열되고, 조정 휠(31)을 거쳐 테스트 벤치(1)에 대해 종방향으로 수평으로 변위가능한 슬레지(32)를 포함한다. 베어링 부착부(22)의 클램핑 판(33)이 제1 측벽(10)에 견고하게 연결되고, 따라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지 않다. 슬레지(32)는 클램핑 판(33) 상에서 종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수평방향 돌출(projection)에서 시험 대상물(4)의 조정에 의해 생성되는, 트랜스미션 출력 샤프트의 길이 차이가 슬레지(32)에 의해 보상될 수 있고, 그에 의해 베어링(30)의 위치가 변화된다.
이와 관련하여, 베어링(30)은 토크 측정점으로서 설계될 수 있고, 따라서 베어링(30)은 트랜스미션 출력 샤프트에 작용하는 힘을 측면(10) 내로 전달할 뿐만 아니라, 트랜스미션 출력 샤프트에 의해 전달되는 토크뿐만 아니라 회전 속도도 결정하고, 이들을 평가 장치 또는 기록 장치에 전달한다.
베어링(30)의 배열체는 브레이크 플랜지(34)를 갖는다. 브레이크 플랜지(34)는 예를 들어, 동력계와 같은 브레이킹 배열체에 대한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이에 의해 시험 대상물(4), 예를 들어 트랜스미션을 위한 환경 조건 또는 동작 조건이 시뮬레이션될 수 있다. 대응 브레이크 플랜지가 또한 다른 출력 샤프트 상에서 시험 대상물의 다른 측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출력 구동 샤프트로서 2개의 측면 샤프트를 갖는 트랜스미션이 시험될 수 있다.
1 : 테스트 벤치
2 : 캐리어
3 : 구동 모터
4 : 시험 대상물
5 : 프레임
6 : 조정 유닛
7 : 기부 판
8 : 모터 캐리어
9 : 시험 대상물 캐리어
10 : 제1 측벽
11 : 제2 측벽
12 : 모터 캐리어 안내부
13 : 시험 대상물 캐리어 안내부
14 : 모터 캐리어 안내부
15 : 시험 대상물 캐리어 안내부
16 : 안내 슬롯
17 : 보강 판
18 : 클램핑 요소
19 : 외부 안내 레일
20 : 안내 홈
21 : 전방 판
22 : 안내 슬롯
23 : 클램핑 요소
24 : 전방 면
25 : 리프팅 스트럿
26 : 리프팅 스트럿
27 : 리프팅 모터
28 : 고정 요소
29 : 베어링 부착부
30 : 베어링
31 : 조정 휠
32 : 슬레지
33 : 클램핑 판
34 : 브레이크 플랜지
35 : 슬롯
36 : 클램핑 헤드
37 : 나사식 보어
38 : 내부 안내 레일
39 : 홈

Claims (15)

  1. 차량의 구동라인의 토크 전달 구성요소를 갖는 시험 대상물(4)을 시험하기 위한 테스트 벤치(1)이며,
    구동 모터(3) 및 시험 대상물(4)을 수용하기 위한 캐리어(2),
    캐리어(2)가 수직으로 변위가능하게 안내되는 프레임(5)으로서, 캐리어(2)는 구동 모터(3)를 수용하기 위한 모터 캐리어(8) 및 시험 대상물(4)을 수용하기 위한 시험 대상물 캐리어(9)를 갖는, 프레임(5), 및
    프레임(5)에 대해 캐리어(2)를 수직 조정하기 위한 조정 유닛(6)을 갖는 테스트 벤치(1)에 있어서,
    프레임(5)은 미네랄 캐스트로 제조되는 2개의 측벽(10, 11)을 갖고,
    안내부(12, 13, 14, 15)가 캐리어(2)를 안내하기 위해 측벽(10, 11)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벤치.
  2. 제1항에 있어서,
    모터 캐리어(8) 및 시험 대상물 캐리어(9)는 별개의 상호연결된 유닛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벤치.
  3. 제2항에 있어서,
    모터 캐리어(8)는 프레임(5)의 2개의 측벽(10, 11) 사이에 배열되고, 이들 측벽 상에서 수직으로 변위가능하게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벤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벽(10, 11)은 서로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벤치.
  5. 제1항에 있어서,
    안내부(12, 13, 14, 15) 각각은 캐리어(2)를 프레임(5)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벤치.
  6. 제1항에 있어서,
    안내부(12, 13, 14, 15) 각각은 하나의 안내 슬롯(16, 22) 및 적어도 하나의 안내 요소를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요소는 안내 슬롯(16, 22) 내에서 변위가능하게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벤치.
  7. 제6항에 있어서,
    캐리어(2)의 안내 요소 각각은 캐리어(2)를 프레임(5)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벤치.
  8.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측벽(10, 11) 중 제1 측벽(10)의 안내부(12, 13), 및 2개의 측벽(10, 11) 중 제2 측벽(11)의 안내부(14, 15)는 서로 대향하여 쌍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벤치.
  9. 제1항에 있어서,
    안내부는 모터 캐리어(8)를 안내하기 위한 모터 캐리어 안내부(12, 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벤치.
  10. 제9항에 있어서,
    모터 캐리어 안내부(12, 14) 각각은 각각의 측벽(10, 11)에 캐스팅되는 보강 판(17)을 갖고,
    안내 슬롯(16)이 보강 판(17) 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벤치.
  11. 제1항에 있어서,
    안내부는 시험 대상물 캐리어(9)를 안내하기 위한 시험 대상물 캐리어 안내부(13, 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벤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시험 대상물 캐리어 안내부(13, 15) 각각은, 각각의 측벽(10, 11)에 부착되고, 시험 대상물 캐리어(9)가 수직으로 안내되는 안내 레일(19)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벤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측벽(10, 11) 상의 안내 레일(19) 각각은 시험 대상물 캐리어(9)를 프레임(5)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2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벤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각각의 안내 레일(19)은 각각의 측벽(10, 11)의 전방 면(24) 상에 배열되고,
    2개의 측벽(10, 11)의 전방 면(24)은 공통 평면 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벤치.
  15. 제1항에 있어서,
    측벽(10, 11)은 공통 기부 판(7)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벤치.
KR1020190117901A 2018-09-25 2019-09-25 차량의 구동라인의 토크 전달 구성요소를 갖는 시험 대상물을 시험하기 위한 테스트 벤치 KR1022506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216382.0A DE102018216382A1 (de) 2018-09-25 2018-09-25 Prüfstand zum Testen eines Prüflings mit drehmomentübertragenden Komponenten eines Antriebsstrangs eines Fahrzeugs
DE102018216382.0 2018-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228A true KR20200035228A (ko) 2020-04-02
KR102250608B1 KR102250608B1 (ko) 2021-05-10

Family

ID=67998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901A KR102250608B1 (ko) 2018-09-25 2019-09-25 차량의 구동라인의 토크 전달 구성요소를 갖는 시험 대상물을 시험하기 위한 테스트 벤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628997B1 (ko)
KR (1) KR102250608B1 (ko)
CN (1) CN110940516A (ko)
DE (1) DE1020182163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213284B3 (de) 2021-11-25 2023-02-23 Zf Friedrichshafen Ag Antriebsmodul für einen Antriebsstrangprüfstand, Antriebsstrangprüfstand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Antriebsmoduls
DE102021214127A1 (de) 2021-12-10 2023-06-15 Zf Friedrichshafen Ag Bremsenprüfstand und Prüfstandsystem
DE102022202301B3 (de) * 2022-03-08 2023-06-15 Zf Friedrichshafen Ag Prüfstand für Antriebsstrangelemente eines Kraftfahrzeugs
DE102022203236B3 (de) * 2022-04-01 2023-07-06 Zf Friedrichshafen Ag Prüfstand zum Prüfen eines elektrisch antreibbaren Achsmoduls für ein Kraftfahrzeug und Baukastensystem
CN117705443B (zh) * 2024-02-05 2024-04-19 四川众能传动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机车主传动系统试验平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14610A1 (de) * 2010-06-21 2011-12-22 GIF Gesellschaft für Industrieforschung mbH Getriebeprüfstand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19450A1 (de) * 1989-06-14 1990-12-20 Hofmann Gmbh & Co Kg Maschinen Messvorrichtung zum messen von periodisch sich aendernden kraeften und/oder momenten an sich drehenden rotoren
US6938500B2 (en) * 2003-06-17 2005-09-06 The Boeing Company Spindle test apparatus and method
DE102009025049B3 (de) * 2009-06-10 2010-12-30 Neumayer Tekfor Holding Gmbh Prüfstand
US8186206B2 (en) 2010-04-16 2012-05-29 Avl North America Inc. Polymer base for hybrid powertrain and NVH test installations
DE102012220163B4 (de) * 2012-11-06 2023-06-01 Zf Friedrichshafen Ag Schwenkeinrichtung zum Aufnehmen eines Prüfstandes
CN203869797U (zh) * 2014-03-20 2014-10-08 成都伟特自动化工程有限公司 用于自动变速器的新型扭矩测试实验装置
CN104569852A (zh) * 2014-12-11 2015-04-29 中科华核电技术研究院有限公司北京分公司 核电站导轨式电源模块通用测试台
CN207850684U (zh) * 2018-03-09 2018-09-11 吉测(苏州)测试系统有限公司 自适应输入输出具有不同高度差的变速箱检测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14610A1 (de) * 2010-06-21 2011-12-22 GIF Gesellschaft für Industrieforschung mbH Getriebeprüfst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28997A1 (de) 2020-04-01
KR102250608B1 (ko) 2021-05-10
CN110940516A (zh) 2020-03-31
EP3628997B1 (de) 2022-07-06
DE102018216382A1 (de)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0608B1 (ko) 차량의 구동라인의 토크 전달 구성요소를 갖는 시험 대상물을 시험하기 위한 테스트 벤치
US7698870B2 (en) Support frame including longitudinal and transverse beam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frame
US5067348A (en) Rotary member measuring apparatus with improved support bed
US6640935B1 (en) Elevator having vibration damping to attenuate vibration transfer to an elevator cage
US9457994B2 (en) Method of assembling an elevator machine frame
US20080126889A1 (en) Transmission headstock for test stands
US8814519B2 (en) Fan, method for assembling a fan wheel and device
JP6939977B2 (ja) 連結軸ベアリングを組み込んだ、動力装置を支持するための一体鋳造デバイス及び自動車
CN106568556A (zh) 一种衬套刚度测试工装和设备
CN110823594A (zh) 一种动力总成测试台架
EP0775905B1 (en) Apparatus for a test of passing a wheel comprising a rim and a tyre over an obstacle
CN101372201A (zh) 一种变速箱悬置软垫
CN204592112U (zh) 后桥质量减振器
KR101638455B1 (ko) 쇽업소버용 테스트 장치
CN109649145B (zh) 可调式装置和方法及装设该装置的车辆
US20210031329A1 (en) Machining device having a vibration-damping device, and method
KR20110001506A (ko) 수동변속기용 래틀 민감도 측정장치
CN103983348A (zh) 用于测量轮胎噪声的车辆
CN109882719A (zh) 一种拉线位移传感器固定装置
US6743077B2 (en) Wide-wheel grinding machine
KR101617156B1 (ko) 연료탱크의 연료 유동음 평가 시험장치
CN203688117U (zh) 变速器输入轴阻力矩测量装置
CN215762996U (zh) 一种可调式阻尼装置
KR100350146B1 (ko) 엔진 마운트의 스프링 특성 시험용 장착지그
CN111735637B (zh) 动态自动动平衡制动仪检验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