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7156B1 - 연료탱크의 연료 유동음 평가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연료탱크의 연료 유동음 평가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7156B1
KR101617156B1 KR1020140174635A KR20140174635A KR101617156B1 KR 101617156 B1 KR101617156 B1 KR 101617156B1 KR 1020140174635 A KR1020140174635 A KR 1020140174635A KR 20140174635 A KR20140174635 A KR 20140174635A KR 101617156 B1 KR101617156 B1 KR 101617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fuel tank
anechoic chamber
nose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동협
이동근
안정모
Original Assignee
(주)동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희산업 filed Critical (주)동희산업
Priority to KR1020140174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71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7/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072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the wheels of the vehicle co-operating with rotatable ro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탱크의 연료 유동음 평가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료탱크의 연료 유동음 평가 시험장치를 실차와 유사한 형태로 구현해서 다양한 제동모드에 따라 연료탱크(40)의 유동을 실제 차량과 동일한 상태가 되도록 구현함으로써 연료 유동음에 대한 측정 데이터 값의 신뢰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차체부(20)의 노즈 다운 및 노즈 업 현상시에 발생하는 연료탱크(40)의 연료 유동음에 관한 시험 데이터 값도 구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연료탱크의 연료 유동음 평가 시험장치{TESTING APPARATUS FOR EVALUATING FUEL FLOWING SOUND IN FUEL TANK}
본 발명은 연료탱크의 연료 유동음 평가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 유동음 이외의 잡음이 함께 측정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함으로써 연료 유동음에 대한 측정 데이터 값의 신뢰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연료탱크의 연료 유동음 평가 시험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연료는 차량 이동시 연료탱크 내부에서 흔들림에 의한 유동이 일어나며, 이러한 연료의 유동에 의해 발생되는 연료 유동음에 대해선 종래에는 감성적 평가만 이루어져 왔었다.
즉, 시험자가 차를 직접 운전하여 연료탱크 내에서의 연료의 유동에 따른 소음 정도를 시험자의 자의적 판단에 따라 평가하였었다.
참고로, 종래의 연료 유동음 평가 시험시에 적용되는 차량 제동모드로는 아래와 같은 종류가 있으며, 시험자의 재량에 의해 적절히 적용되어진다.
차량 제동모드의 첫째는 일반제동 모드로서, 이 제동모드는 서행중 급 브레이크를 깊숙이 밟아 빠른 시간에 제동하는 급제동과, 서행중 브레이크를 서서히 밟아 비교적 오랜시간에 걸쳐 제동을 하는 완제동 모드로 구분된다.
둘째는 팁 인(Tip In) 아웃(Out) 제동모드로서, 엑셀을 최대로 밟아 급가속(팁 인) 한 후, 바로 떼어 내는(팁 아웃) 제동방식이다.
셋째는 반복 제동모드로서, 브레이크를 여러 번에 걸쳐서 제동하는 방식이다.
넷째는 스파이크(Spike) 제동모드로서, 브레이크 페달을 급격하게 밟은 후 떼는 제동방식이다.
다섯 번째는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로 주행시에 제동이 이루어지는 관성주행 제동모드이다.
상기한 제동모드를 적용하여 연료탱크의 연료 유동음을 평가하기 위한 종래의 시험장치에서는, 연료탱크의 단품평가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실차가 제작될 때 까지 기다려야 하므로 시간적인 제약이 따르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시험자의 평가에 따라 시험결과가 달라지는 등 시험 기준이 명확하지 않은 단점도 있었다.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방안으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0802753호에는 방음실을 이용해서 연료 유동음을 평가하는 시험장치가 개발되었다.
즉, 외부와 차단된 방음실 내부에 선형모터(리니어모터), 레일, 이송지그, 센서부재, 소음측정기를 설치하고, 방음실 외부에 소음 및 압력 데이터 수집기, 선형모터 제어기, 선형모터 제어카드, 컴퓨터를 설치해서, 각각의 제동모드 별로 설정된 속도 및 가속도의 프로파일을 따라 선형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고, 이때에 이송지그에 장착된 연료탱크의 연료 유동음을 측정하는 장치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10-0802753호에 기재된 종래의 시험장치는 선형모터가 방음실의 내부에 설치된 구성으로, 선형모터의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함께 측정됨으로써 순수한 연료 유동음만을 측정할 없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연료 유동음에 대한 측정 데이터 값에 신뢰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또한, 연료탱크가 장착된 이송지그가 선형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게 상시 연결된 구성으로, 관성주행 제동모드를 구현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관성주행 제동모드시의 연료 유동음을 측정할 수 없는 단점도 있다.
또한, 방음실이라는 제한된 공간에서 레일을 따라 연료탱크가 이송하는 구성으로 연료탱크의 유동을 실제 차량과 같이 구현하는 데에 한계가 있으며, 이로 인해 종래의 시험장치에 의해서 측정된 연료 유동음에 대한 데이터 값에 신뢰성이 낮은 단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시험장치는 실차에서와 같은 제동장치 및 현가장치를 구비하지 않은 구성으로, 이 역시 실차와 같은 다양한 상황을 구현하는 데에 한계가 있어서 연료 유동음에 대한 측정 데이터 값에 신뢰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0802753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실차와 동일한 상태가 되도록 차륜부와 차체부로 분리 구성하고, 상기 차체부에 무향실을 설치하고, 상기 무향실내에 연료탱크를 설치해서, 연료탱크의 유동을 실제 차량과 동일한 상태가 되도록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연료 유동음에 대한 측정 데이터 값의 신뢰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연료탱크의 연료 유동음 평가 시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료탱크의 이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무향실의 외부에 설치함으로써, 연료 유동음 이외의 잡음이 함께 측정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고, 이를 통해 연료 유동음에 대한 측정 데이터 값의 신뢰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제동력을 발생하는 브레이크 사이에 필요에 따라 동력을 차단하는 클러치를 설치함으로써 관성주행 제동모드시의 연료 유동음도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륜부와 차체부사이에 서스펜션기구를 설치해서 급제동시와 급가속시에 발생하는 차체부의 노즈 다운 및 노즈 업 현상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노즈 다운 및 노즈 업 현상시에 발생하는 연료 유동음도 측정도 가능하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연료탱크의 연료 유동음 평가 시험장치는, 차륜부; 상기 차륜부상에 설치된 차체부; 상기 차체부에 설치된 무향실;
상기 무향실내에 설치된 연료탱크와 센서부재; 상기 차체부에서 무향실외부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차륜부의 구동축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서보모터; 및 상기 차체부에서 무향실외부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센서부재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서보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체부에서 무향실외부에 설치되면서 일단이 상기 서보모터와 연결된 것으로 상기 서보모터의 동력으로 축회전하는 동력축; 및 상기 동력축의 타단과 상기 구동축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동력축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축으로 전달하는 기어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보모터와 기어기구사이의 동력축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클러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륜부를 구성하는 모든 바퀴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감속 및 정지시키도록 동작하는 브레이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축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인코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륜부와 상기 차체부를 연결하는 것으로 급제동시와 급가속시에 발생하는 차체부의 노즈 다운 및 노즈 업 현상을 구현하는 서스펜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스펜션은 상기 차체부가 실차와 동일한 노즈 다운 및 노즈 업 현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차륜부를 구성하는 모든 바퀴의 위쪽에 각각 한 개씩 배치되게 설치된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륜부를 구성하는 모든 바퀴는 상기 차체부가 실차와 동일한 노즈 다운 및 노즈 업 현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공기가 주입된 타이어 바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차와 동일한 상태가 되도록 차륜부와 차체부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차체부에 무향실이 설치되고, 상기 무향실내에 연료탱크가 설치된 구성으로, 이를 통해 연료탱크의 유동을 실제 차량과 동일한 상태가 되도록 구현할 수 있게 되고, 이 결과 연료 유동음에 대한 측정 데이터 값의 신뢰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력을 발생하는 서보모터가 무향실의 외부에 설치됨으로써 차체부의 이동시 연료탱크의 유동에 따른 연료 유동음 측정시에 서보모터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들이 함께 측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연료 유동음에 대한 측정 데이터 값의 신뢰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체부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클러치의 연결을 해제시켜서 연료탱크가 장착된 차체부를 관성주행 상태로 만들고, 이때에 브레이크를 작동시킴으로써 관성주행 제동모드시의 연료 유동음에 관한 시험 데이터 값도 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가 주입된 타이어식 바퀴 및 차륜부와 차체부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서스펜션에 의해서 차체부의 이동시에 급제동 모드 및 급가속 모드를 실시해서 차체부가 실차와 동일한 노즈 다운 현상 및 노즈 업 현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됨으로써, 노즈 다운 및 노즈 업 현상시에 발생하는 연료탱크의 연료 유동음에 관한 시험 데이터 값도 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연료 유동음 평가 시험장치가 실차 형태로 구현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연료 유동음 평가 시험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료탱크의 연료 유동음 평가 시험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의 연료 유동음 평가 시험장치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륜부(10); 상기 차륜부(10)상에 설치된 차체부(20); 상기 차체부(20)에 설치된 무향실(30); 상기 무향실(30)내에 설치된 연료탱크(40)와 센서부재(50); 상기 차체부(20)에서 무향실(30)외부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차륜부(10)의 구동축(60)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서보모터(70); 및 상기 차체부(20)에서 무향실(30)외부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센서부재(50)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서보모터(7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80);를 포함한다.
상기 차륜부(10)는 구동륜에 해당하는 좌우측의 바퀴(11) 및 종동륜에 해당하는 좌우측의 바퀴(12)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륜의 바퀴(11)는 구동축(60)으로 연결되고, 상기 종동륜의 바퀴(12)는 종동축(90)으로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60)과 종동축(90)의 양단은 후술하는 브레이크와 연결된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무향실(30)은 일정 크기를 갖는 밀폐공간으로 외부소음의 차단을 방음시설이 구비된 구조이다.
상기 무향실(30)내에 설치된 연료탱크(40)는 필요시 분리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연료탱크(40)의 안착면과 결착패드 그리고 연료탱크 밴드 등은 실차에 장착되는 조건과 동일한 조건이 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센서부재(50)는 바퀴(11,12)의 회전에 따라 차체부(20)가 이동할 때에 연료탱크(40)속에 채워진 연료의 유동음, 압력, 진동 값 등을 검출하기 위해 연료탱크(40)에 장착되거나 또는 무향실(30)내에 설치된 센서들이며, 예를 들면 진동센서, 압력센서, 마이크로폰, 가속도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시험 목적에 따라 임의의 센서부재를 선택해서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체부(20)에서 무향실(30)외부에 설치되면서 일단이 상기 서보모터(70)와 연결된 것으로 상기 서보모터(70)의 동력으로 축회전하는 동력축(100), 및 상기 동력축(100)의 타단과 상기 구동축(60)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동력축(100)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축(60)으로 전달하는 기어기구(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동력축(100)은 서보모터(70)의 축과 직결되어서 동력전달을 위해 회전하는 축이고, 상기 기어기구(110)는 동력전달의 경로를 직각방향으로 변경하는 것으로 일예로서 베벨기어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보모터(70)와 기어기구(110)사이의 동력축(100)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8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클러치(120), 상기 차륜부(10)를 구성하는 모든 바퀴(11,12)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제어기(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축(60)의 회전을 감속 및 정지시키도록 동작하는 브레이크(130), 상기 구동축(60)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인코더(140, encoder)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동력축(100)은 서보모터(70)의 축과 직결되어서 동력전달을 위해 회전하며, 또한 서모모터(70)와 클러치(120)를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면서 클러치(120)와 기어기구(110)를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클러치(120)는 연결 및 해제시에 서보모터(70)의 동력을 기어기구(110)를 통해 구동축(60)으로 전달하거나 또는 차단하는 것으로, 클러치(120) 연결 상태에서는 반제동 모드, 팁 인 아웃 제동모드, 반복 제동모드, 스파이크 제동모드를 구현할 수 있고, 클러치(120) 연결해제 상태에서는 관성주행 제동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130)는 유압식 브레이크이며, 전술한 각종 제동모드를 구현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구동축(60) 및 종동축(90)에 제동력을 발생시켜서 구동축(60)과 종동축(90)의 회전을 감소 및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 인코더(140)는 차체부(20)에 연결되게 설치되어서 구동축(60)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차체부(20)의 속도와 가속도 및 감속도를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륜부(10)와 상기 차체부(20)를 연결하는 것으로 급제동시와 급가속시에 발생하는 차체부(20)의 노즈 다운(nose down) 및 노즈 업(nose up) 현상을 구현하는 서스펜션(1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서스펜션(150)은 상기 차체부(20)가 실차와 동일한 노즈 다운 및 노즈 업 현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차륜부(10)를 구성하는 모든 바퀴(11,12)의 위쪽에 각각 한 개씩 배치되게 설치된 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나, 서스펜션(150)이 코일스프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차륜부(10)를 구성하는 모든 바퀴(11,12)는 상기 차체부(20)가 실차와 동일한 노즈 다운 및 노즈 업 현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공기가 주입된 타이어 바퀴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기(80)의 제어에 의해 서보모터(70)가 구동하고, 클러치(120)가 연결된 상태이면, 이때의 구동력은 동력축(100)과 기어기구(110) 및 구동축(60)을 통해 구동륜에 해당하는 차륜부(10)의 앞쪽 바퀴(11)로 전달되고, 이로 인해 구동륜에 해당하는 앞쪽의 바퀴(11)와 뒤쪽의 바퀴(12)가 함께 회전하며, 바퀴(11,12)의 회전에 의해 차체부(20)가 이동하게 된다.
차체부(20)의 이동시에 무향실(30)내에 설치된 연료탱크(40)가 유동하고, 이때 일반제동 모드(급제동 모드 및 완제동 모드), 팁 인 아웃 제동모드, 반복 제동모드, 스파이크 제동모드의 프로파일을 따라 브레이크(130)를 작동시키면서 차체부(20)를 이동시키면서 연료탱크(40)의 유동을 유도하고, 이때 연료탱크(40) 및 무향실(30)에 설치된 센서부재(50)를 이용해서 각 제동모드별로 연료 유동 소음과 압력 및 진동을 측정해서 연료 유동음에 관한 시험 데이터 값을 구하게 된다.
한편, 각 제동모드별로 연료량을 달리하여 연료량의 많고 적음에 따른 연료 유동음에 관한 시험 데이터 값도 얻을 수 있으며, 시험 데이터 값을 이용해서 소음과 진동의 크기와 지속시간 그리고 주파수 대역에 따라 연료탱크 유동음에 대한 평가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클러치(120)가 연결된 상태에서 서보모터(70)가 구동하고 차체부(2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어기(80)의 제어에 의해 연결된 클러치(120)를 연결 해제시키게 되면, 이때부터는 관성주행 상태가 되며, 이때에 브레이크(130)를 작동시켜서 관성주행 제동모드시의 연료 유동음에 관한 시험 데이터 값을 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기가 주입된 타이어식 바퀴(11,12) 및 차륜부(10)와 차체부(20)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서스펜션(150)에 의해서 차체부(20)의 이동시에 급제동 모드 및 급가속 모드를 실시하게 되면, 차체부(20)가 실차와 동일한 노즈 다운 현상 및 노즈 업 현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바, 이를 통해 노즈 다운 및 노즈 업 현상시에 발생하는 연료 유동음에 관한 시험 데이터 값도 구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실차와 동일한 상태가 되도록 차륜부(10)와 차체부(20)로 분리 구성하고, 상기 차체부(20)에 무향실(30)을 설치하고, 상기 무향실(30)내에 연료탱크(40)를 설치한 구성으로, 이를 통해 연료탱크(40)의 유동을 실제 차량과 동일한 상태가 되도록 구현할 수 있게 되고, 이 결과 연료 유동음에 대한 측정 데이터 값의 신뢰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력을 발생하는 서보모터(70)가 무향실(30)의 외부에 설치된 구성으로, 차체부(20)의 이동시 연료탱크(40)의 유동에 따른 연료 유동음 측정시에 서보모터(70)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들이 함께 측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바, 이를 통해 연료 유동음에 대한 측정 데이터 값의 신뢰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체부(2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클러치(120)의 연결을 해제시킴으로써 연료탱크(40)가 장착된 차체부(20)를 관성주행 상태로 만들고, 이때에 브레이크(130)를 작동시킴으로써 관성주행 제동모드시의 연료 유동음에 관한 시험 데이터 값도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가 주입된 타이어식 바퀴(11,12) 및 차륜부(10)와 차체부(20)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서스펜션(150)에 의해서 차체부(20)의 이동시에 급제동 모드 및 급가속 모드를 실시하게 되면, 차체부(20)가 실차와 동일한 노즈 다운 현상 및 노즈 업 현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바, 이를 통해 노즈 다운 및 노즈 업 현상시에 발생하는 연료 유동음에 관한 시험 데이터 값도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차륜부 20 - 차체부
30 - 무향실 40 - 연료탱크
50 - 센서부재 60 - 구동축
70 - 서보모터 80 - 제어기
90 - 종동축 100 - 동력축
110 - 기어기구 120 - 클러치
130 - 브레이크 140 - 인코더
150 - 서스펜션

Claims (8)

  1. 차륜부;
    상기 차륜부상에 설치된 차체부;
    상기 차체부에 설치된 무향실;
    상기 무향실내에 설치된 연료탱크와 센서부재;
    상기 차체부에서 무향실외부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차륜부의 구동축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서보모터; 및
    상기 차체부에서 무향실외부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센서부재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서보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무향실내에는 연료탱크와 센서부재만 설치되고, 차체부의 이동시에 연료탱크에 채워진 연료의 유동음만이 센서부재에 의해 측정되고 연료 유동음 이외의 잡음은 센서부재에 의해 함께 측정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연료 유동음 평가 시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체부에서 무향실외부에 설치되면서 일단이 상기 서보모터와 연결된 것으로 상기 서보모터의 동력으로 축회전하는 동력축; 및
    상기 동력축의 타단과 상기 구동축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동력축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축으로 전달하는 기어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연료 유동음 평가 시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보모터와 기어기구사이의 동력축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클러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연료 유동음 평가 시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륜부를 구성하는 모든 바퀴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감속 및 정지시키도록 동작하는 브레이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연료 유동음 평가 시험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인코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연료 유동음 평가 시험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륜부와 상기 차체부를 연결하는 것으로 급제동시와 급가속시에 발생하는 차체부의 노즈 다운 및 노즈 업 현상을 구현하는 서스펜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연료 유동음 평가 시험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은 상기 차체부가 실차와 동일한 노즈 다운 및 노즈 업 현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차륜부를 구성하는 모든 바퀴의 위쪽에 각각 한 개씩 배치되게 설치된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연료 유동음 평가 시험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륜부를 구성하는 모든 바퀴는 상기 차체부가 실차와 동일한 노즈 다운 및 노즈 업 현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공기가 주입된 타이어 바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의 연료 유동음 평가 시험장치.
KR1020140174635A 2014-12-08 2014-12-08 연료탱크의 연료 유동음 평가 시험장치 KR101617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635A KR101617156B1 (ko) 2014-12-08 2014-12-08 연료탱크의 연료 유동음 평가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635A KR101617156B1 (ko) 2014-12-08 2014-12-08 연료탱크의 연료 유동음 평가 시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7156B1 true KR101617156B1 (ko) 2016-05-02

Family

ID=56021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635A KR101617156B1 (ko) 2014-12-08 2014-12-08 연료탱크의 연료 유동음 평가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71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95275A (zh) * 2019-05-31 2019-08-06 北京长城华冠汽车技术开发有限公司 模拟测量制动踏板行程的试验台装置及制动油量测试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753B1 (ko) * 2006-11-08 2008-02-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의 연료 유동음 평가 시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753B1 (ko) * 2006-11-08 2008-02-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의 연료 유동음 평가 시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95275A (zh) * 2019-05-31 2019-08-06 北京长城华冠汽车技术开发有限公司 模拟测量制动踏板行程的试验台装置及制动油量测试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06831B2 (ja) 車両の構成要素の複合体をテストするための方法及び試験台
CN107856764B (zh) 用于测量车辆的运行特性的挂车
CN106895981B (zh) 一种汽车传动系试验台架加速惯量电模拟控制方法
JP6105611B2 (ja) 衝突シミュレーション試験用試験設備
CN102483110B (zh) 用于确定车辆中的离合器的接触点的方法和系统
CN103370253B (zh) 用于操作轨道车辆的方法
CN105393102A (zh) 传动系统的试验系统
DE102010000781A1 (de) Massemessung eines Schwungrad-Hybridfahrzeugs
WO2016143492A1 (ja) 車両試験装置、車両試験方法及び車両試験装置用プログラム
KR101617156B1 (ko) 연료탱크의 연료 유동음 평가 시험장치
CN103707872B (zh) 接合位置存储装置和使用它的制动系统
JP2019100981A (ja) タイヤ騒音試験装置及び方法
CN103542973A (zh) 一种测试车辆制动性能的方法及装置
CN104807632B (zh) 一种汽车动力与传动系统性能试验台架
US20130074609A1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torque of an electric motor
JP2012245903A5 (ko)
KR20160069121A (ko) 연료탱크의 연료 유동음 평가 시험장치
KR101666950B1 (ko) 연료탱크의 연료 유동음 평가 시험장치
JP2007118767A (ja) 車両用ブレーキシステム
CN202974540U (zh) Abs制动检测台
JP2013514051A (ja) 電気モータの制御方法
CN107631885A (zh) 一种机动车检测设备滚筒
KR101305799B1 (ko) 기계식 제동장치를 이용한 차량의 회생제동 제어방법 및 장치
RU2426662C1 (ru) Способ диагностирования тормозной системы автомобиля
CN104266847A (zh) 一种车辆高速制动试验装置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