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3702A - 열 전도 부재 - Google Patents

열 전도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3702A
KR20200033702A KR1020180113334A KR20180113334A KR20200033702A KR 20200033702 A KR20200033702 A KR 20200033702A KR 1020180113334 A KR1020180113334 A KR 1020180113334A KR 20180113334 A KR20180113334 A KR 20180113334A KR 20200033702 A KR20200033702 A KR 20200033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graphite sheet
rib
conducting member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기
송인엽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조인셋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셋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인셋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3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3702A/ko
Publication of KR20200033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7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36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 H05K7/20445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the coupling element being an additional piece, e.g. thermal standoff
    • H05K7/20472Sheet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09J9/02Electrically-conducting adhesives
    • C09J2201/60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열전달이 우수하고 외력에 의한 손상이 적으며 제조가 용이한 열 전도 부재가 개시된다. 상기 열 전도 부재는, 가장자리를 따라 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리브에 의해 둘러싸인 수납 홈을 구비한 금속 박판; 상기 수납 홈에 수납되는 그라파이트 시트; 및 상기 리브의 상단면과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의 상면에 접촉하여 덮고 적어도 상기 리브의 상단면과 접착되는 열전도성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열 전도 부재{Thermal conductive element}
본 발명은 열 전도 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열전달이 우수하고 외력에 의한 손상이 적으며 제조가 용이한 열 전도 부재에 관련한다.
전자기기와 정보통신기기는 소형화 및 집적화되어감에 따라 열, 정전기 또는 전자파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부품으로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처리속도가 빨라지고 메모리 반도체는 용량이 커져 집적도가 증가함으로써 주변의 열, 정전기 및 전자파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따라서, 이들과 같이 실장된 IC 또는 LED 등의 전자부품이나 전자부품 모듈과 같은 열 소스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신속하게 외부로 방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통상 열을 발생하는 전자부품을 수납하는 케이스와 열 소스 사이에 열전 부재를 개재하고 케이스를 냉각유닛으로 사용하여 열전 부재를 통하여 열을 방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구비된 IC 또는 디스플레이에서 발생하는 열을 다른 곳으로 빠르게 전달하여 냉각하기 위해 열전 소재가 사용된다. 열전 소재로는 통상의 히트 싱크, 두께가 얇고 유연성이 있는 금속 판, 그라파이트 시트, 열전도성 실리콘고무 시트 또는 히트 파이프나 베이퍼 챔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히트 싱크는 일정 이상의 큰 체적을 가진 금속으로 되어 발열체의 열을 냉각하기 용이하나 체적이 커서 부피가 작은 이동통신기기에 적용하기 어렵고 두께 방향 및 면 방향의 열전달율이 유사하다는 단점이 있다.
열전도성 실리콘고무 시트는 가공성이 용이하고 탄성과 유연성이 있으나, 금속 박, 그라파이트 시트, 히트 파이프나 베이퍼 챔버에 비해 열전도율이 낮다.
구리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 박은 열전도율과 가공성이 좋고 가격이 저렴하나 탄성이 없고 두께 방향보다 면 방향으로 열전도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열 전도성 시트나 금속 박은 두께 방향이나 면 방향으로 열 전도율이 유사하다.
인조 그라파이트 시트는 편상의 입자가 적층된 후 압력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열전도율이 면 방향으로 대략 800W/MK 로 좋으나 두께 방향의 열 전도율이 면 방향보다 매우 나쁘다. 특히, 그라파이트 시트는 외부의 힘에 의해 층간 분리가 잘 되고 부러지거나 찢어지기 용이하여 그라파이트 단독으로 사용하기 어려워 통상 그라파이트 시트에는 얇은 폴리머 필름을 베이스로 한 점착 테이프로 감싸 사용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불편하여 비용이 많이 들고 점착 테이프에 의해 열 전달 성능이 저하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그라파이트 시트는 두께가 얇아 전체적으로 총 체적이 작기 때문에 열을 면방향으로 잘 전달하나 스스로 열을 식히는 열 방출 효율이 적다. 예를 들어, 일정 이상의 부피를 갖는 히트 싱크의 역할을 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통상의 히트 파이프나 베이퍼 챔버는 열 전달, 열 소비 및 기계적 강도가 좋으나, 완전 밀폐된 금속 관의 내부에 윅(wick) 등의 유체 유로가 형성되고, 일 부위에는 유체가 존재하고 다른 부위에는 진공이 유지되어야 하는 복잡한 구조를 가지므로, 제조 방법이 복잡하여 제조 비용이 많이든다는 단점이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한 국내 등록특허 제1895573호는, 서로 반대되는 제1면과 제2면을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제1면에서 자기 점착력을 갖고 탄성과 유연성을 갖는 열전 시트; 상기 열전 시트의 제1면에 설치되어 자기 점착되고, 적어도 한 면이 외부에 노출되는 그라파이트 시트; 및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 위에 점착되는 열 전도성 점착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의 한 면의 가장자리는 상기 열전 시트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이들 가장자리 사이에서 상기 열전 시트의 제1면에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열전 시트의 접촉부가 상기 자기 점착력에 의해 발열 소자가 실장된 기구물에 점착되고, 상기 점착시트가 상기 발열 소자에 점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열전 부재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특허에 의하면, 열전 시트에 의한 수직방향으로의 열 전달성이 좋지 않고 또한, 열전 시트의 기계적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박형이면서 큰 사이즈의 열전 부재를 만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열전 시트의 휨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그라파이트 시트가 부서지기 용이하여 수평 방향으로의 열 전달이 적어 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열 전도 부재는 여러 장점과 단점을 갖아 사용자의 사용 용도에 맞게 선택되어 적용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형상을 하면서 얇은 두께로 제작되어 박형화되는 전자 기기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열 전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원으로부터 흡수한 열을 짧은 시간에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전달하여 신속하게 방열할 수 있는 열 전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력에 의한 변형이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열 전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을 방출할 수 있는 총 체적이 커서 히트싱크의 역할을 겸용할 수 있는 열 전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가 용이하고 경제적인 열 전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히트 파이프나 베이퍼 챔버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면서 두께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열 전달 효과가 좋고 가격이 저렴한 열 전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가장자리를 따라 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리브에 의해 둘러싸인 수납 홈을 구비한 금속 박판; 상기 수납 홈에 수납되어 상기 수납 홈의 바닥과 접촉하는 그라파이트 시트; 및 상기 리브의 상단면과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의 상면에 접촉하여 덮으며 적어도 상기 리브의 상단면과 접착되는 열전도성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브의 상단면과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의 상면은 높이가 같거나 유사한 수평 레벨을 이룰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의 하면과 상기 수납 홈의 바닥 사이에는 열전도 유닛이 개재될 수 있고, 상기 열전도 유닛은 두께가 얇은 열전도성 탄성체, 열전도성 접착제 또는 열전도성 양면 점착테이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금속 박판은 구리, 구리 합금,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열전도성 커버의 적어도 한 면에는 접착제가 형성되어 상기 접착제가 적어도 상기 리브의 상단면과 접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열전도성 커버는 폴리머가 혼합된 열전도성 폴리머시트이거나, 구리, 구리 합금,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의 금속 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착은 용가재나 솔더링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점착은 폴리머 점착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납 홈의 바닥으로부터 일체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구멍이나 관통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관통구멍이나 관통 홈에 끼워질 수 있으며, 상기 돌기는 상기 리브로부터 확장되거나 상기 리브에서 이격되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브는 폭이 넓어진 확장부나 폭이 좁아진 축소부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납 홈의 일부는 상기 리브에 의해 둘러 쌓이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는 하면의 대부분은 상기 수납 홈의 바닥에 열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의 상면의 대부분은 상기 커버에 열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는 인조 그라파이트 시트로 수평 방향의 열 전도율이 800/MK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열 전도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평면을 이루고, 상기 열전도 부재의 두께는 0.20㎜ 내지 0.7㎜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열 전도 부재는 열 방출 효과가 있는 히트 싱크의 역할을 겸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 박판의 두께 방향의 열 전달 능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발열체와 직접 접촉하여 전달받은 열을 빠르게 면 방향으로 열 전달 능력이 우수한 그라파이트 시트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면 방향으로 열 전도가 좋은 그라파이트 시트에 의해 수평면상의 다른 위치로 빠르게 전달함으로 발열체와 많이 떨어진 수평면 방향으로 발열체의 열을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그라파이트 시트가 금속 박판에 접촉되어 열 전달이 좋다.
또한, 금속 박판과 그라파이트 시트는 두께가 얇고 유연성 있으므로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이 용이하며, 그라파이트 시트를 금속 박판의 수용 홈에 수납하기 쉽고 금속 박판에 의해 수납 된 그라파이트 시트는 외력에 의한 변형이나 파손이 방지된다.
또한, 비교적 넓은 면적의 금속 박판에 의해 전체적으로 총 체적이 비교적 커서 열을 스스로 방출할 수 있는 히트싱크의 역할을 겸용할 수 있다.
또한, 수용 홈에 그라파이트 시트를 수납 한 후 열 전도성 커버로 덮고 리브에 접착하여 제조하므로 통상의 히트 파이프나 베이퍼 챔버에 비교하여 진공이 되지 않고 유체 유로 등이 없기에 열 전달 및 열 방출 효과는 일부 떨어지나 제조가 용이하여 제조 비용이 낮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 전도 부재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폭 방향으로 절단한 결합 전 단면도이고, 2(b)는 결합 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금속 박판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 전도 부재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는 폭 방향으로 절단한 결합 전 단면도이고, 2(b)는 결합 후 단면도이다.
열 전도 부재(100)는, 금속 박판(110), 금속 박판(110) 내측에 수납되어 접촉하는 그라파이트 시트(120) 및 금속 박판(110)의 상부에 결합하는 열전도성 커버(130)로 구성된다.
열 전도 부재(100)의 두께는 0.20㎜ 내지 0.7㎜일 수 있으며, 폭과 길이는 두께에 비하여 매우 크고, 전체적으로 적어도 일부는 평면을 이룬다.
금속 박판(110)은, 가령 구리, 구리 합금,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되며, 가장자리를 따라 일체로 리브(rib, 112)가 돌출되는데, 리브(112)는 정해진 폭과 높이를 갖는다. 여기서, 높이는 수납 홈(111)의 깊이에 대응한다.
금속 박판(110)의 두께는 0.1㎜ 내지 0.4㎜일 수 있으며, 일 예로, 금속 박판(110)의 두께는 0.15㎜이고, 리브(112)의 폭과 높이는 각각 1㎜, 0.05㎜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리브(112)는 연속하여 이어지는데, 대향하는 대상물의 구조에 따라 리브(112)는 연속하여 이어질 필요는 없으며, 결과적으로 후술하는 수납 홈(111)의 일부는 리브(112)가 둘러 쌓이지 않을 수 있다.
금속 박판(110)은 리브(112)로부터 수납 홈(111)으로 수평면상에서 연장되는 돌기(114)를 구비할 수 있는데,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후술하는 그라파이트 시트(120)에 돌기(114)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 홈(124)을 형성하여 돌기(114)가 관통 홈(124)에 끼워져 그라파이트 시트(12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돌기(114)가 크게 형성되어 금속 박판(110)을 통하여 발열체의 열이 상하방향으로 열전도성 커버(130)에 넓은 면적에 걸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금속 박판(110)의 리브(112)로 둘러싸인 부분은 수납 홈(111)을 형성하는데, 수납 홈(111)은 에칭이나 프레스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수납 홈(111)에는 그라파이트 시트(120)가 수납되며, 잘 알려진 것처럼, 그라파이트 시트(120)는 두께 방향으로 낙엽이 쌓인 편상 구조로 되어 있어 평면 방향으로 열 전도성이 우수하다.
그라파이트 시트(120)는 인조 그라파이트 시트로 수평방향의 열 전도율이 800/MK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라파이트 시트(120)의 두께는 리브(112)의 높이와 같거나 유사하게 형성되어 리브(112)의 상단면과 그라파이트 시트(120)의 상부면이 같은 수평 레벨을 이루거나 이와 유사한 레벨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그라파이트 시트(120)가 외력에 의해 층상으로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후술하는 것처럼, 열전도성 커버(130)가 리브(112)와 그라파이트 시트(120)에 잘 밀착되어 접촉할 수 있게 한다.
일 예로, 그라파이트 시트(120)의 두께는 0.01㎜ 내지 0.15㎜일 수 있다.
상기한 것처럼, 그라파이트 시트(120)는 금속 박판(110)의 수납 홈(111)에 수납되어 금속 박판(110)과 열적으로 접촉함으로써 두께 방향으로 열전도가 좋은 금속 박판(110)에 접촉된 발열체로부터 발생한 열을 전달받아 수납 홈(111)에 해당하는 면적에 걸쳐 평면 방향으로 신속하게 전달한다.
그라파이트 시트(120)의 하면과 수납 홈(111)의 바닥 사이에는 열전도 유닛이 개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그라파이트 시트(120)가 금속 박판(110)에 탄성을 갖고 밀착되어 접촉한다.
열전도 유닛은, 가령 열전도성 탄성체, 열전도성 점착제 또는 열전도성 양면 점착테이프일 수 있으며, 액상의 열전도성 고무를 얇게 바르거나 충진한 후 경화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열전도 유닛의 두께는 0.003㎜ 내지 0.02㎜일 수 있다.
열전도 유닛은, 그라파이트 시트(120)나 금속 박판(110)보다 열전도율이 떨어지지만 그라파이트 시트(120)나 금속 박판(110)을 신뢰성 있게 밀착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열전달이 잘 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것처럼, 그라파이트 시트(120)에 고정 돌기(114)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 홈(124)을 형성하여 고정 돌기(114)가 고정 홈(124)에 끼워져 그라파이트 시트(12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열전도성 커버(130)는 그라파이트 시트(120)의 상면과 금속 박판(110)의 리브(112)의 상단면과 잘 접촉하도록 덮고, 적어도 리브(112)의 상단면과 접착되거나 점착되며,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접착은 히트 파이프에 사용되는 용가재나 솔더링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점착은 폴리머 점착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용가재는 브레이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금속 재질, 가령 Cu/Ag 를 사용할 수 있고 솔더링으로는 납(Pb)이 없는 Sn/Ag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리브(112)의 폭이 넓은 경우나 가격이 저렴한 열 전도 부재(100)인 경우, 열전도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할 수 있고 열전도성 접착제로 열전도성 점착테이프나 열전도성 본드(Bond)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것처럼, 리브(112)의 상단면과 그라파이트 시트(120)의 상부면이 같거나 유사한 수평 레벨을 이루기 때문에 열전도성 커버(130)는 평면을 이룬다.
열전도성 커버(130)는 열전도성 파우더와 폴리머가 혼합된 열전도성 폴리머시트이거나, 구리나 구리 합금,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의 금속 박일 수 있으며, 가령 0.1㎜ 내지 0.3mm 정도의 두께를 갖는다.
열전도성 커버(130)는, 리브(112)의 상단면과 그라파이트 시트(120)의 상부면 전체에 걸쳐 덮이고, 열전도성 커버(130)의 가장자리는 적어도 리브(112)의 상단면에 접착된다.
열전도성 커버(130)가 그라파이트 시트(120)의 상면과 금속 박판(110)의 리브(112)의 상단면을 덮어도 수납 홈(111)이 완전히 밀봉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작업이 쉽고 밀봉되지 않은 부분을 통하여 미소량의 공기가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상기한 것처럼, 리브(112)는 연속하여 이어지지 않아 수납 홈(111)의 일부는 리브(112)가 둘러 쌓이지 않은 부분에서 미소량의 공기가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열 전도성 커버(130)는 압력에 의해 그라파이트 시트(120)의 상면과 금속 박판(110)의 리브(112)의 상단면을 압력에 의해 누르며 접착한다.
이런 압착 공정을 통하여 그라파이트 시트(120)의 상하면은 금속 박판(110)과 열전도성 커버(130)와 잘 밀착되도록 접촉하여 열 전달이 잘된다.
상기의 열 전도부재(100)는 전체적으로 납작하게 평면을 이루는 시트 형상으로, 구리나 구리 합금과 같이 열 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된 금속 박판(110)이 단단한 케이스 역할을 하고, 금속 박판(110) 위에 평면 상으로 열전달성이 좋은 그라파이트 시트(120)가 수납되고, 열전도성 커버(130)가 금속 박판(100)과 그라파이트 시트(120)를 접촉하여 덮는 구조를 구비한다.
따라서, 금속 박판(110)의 하면에 발열체가 접촉하고 열전도성 커버(130)의 상면에 냉각부재가 접촉하는 경우, 발열체로부터 발생한 열은 금속 박판(110)과 열전도성 커버(130)를 통하여 상하방향으로 냉각부재에 신속하게 전달되어 방출된다. 또한, 발열체로부터 발생한 열은 금속 박판(110)을 통하여 그라파이트 시트(120)에 전달되고, 그라파이트 시트를 통하여 발열체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진 다른 위치로 빠르게 전달된다.
한편, 금속 박판(110)이 기구적으로 케이스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수납 홈(111)에 수납된 기계적 강도가 약한 그라파이트 시트(120)가 외력에 의해 깨지거나 갈라지는 것을 막을 수 있어 별도의 폴리머 필름이 개재된 점착테이프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금속 박판을 보여준다.
금속 박판(210)은, 상기의 일 실시 예와 같이, 가장자리를 따라 리브(212)가 형성되는데, 다른 부분보다 넓은 폭을 갖는 확장부(213, 213')를 구비한다.
이 실시 예에 의하면, 확장부(213, 213')를 구비하여 열전도성 커버(130)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발열체로부터 발생한 열을 열전도성 커버(130)에 더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
그 결과, 당연히 발열체로부터 발생한 열은 상하방향으로 금속 박판(210)과 열전도성 커버(130)를 통하여 냉각부재가 빠른 시간이 전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리브(212)는 사용 용도에 따라 다른 부분보다 좁은 폭을 가진 축소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금속 박판(210)의 수납 홈(211)에는 하나 이상의 지지 돌기(214)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지지 돌기(214)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라파이트 시트(120)에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지지 돌기(214)가 이 관통구멍에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수납 홈(211)에 수납된 그라파이트 시트(120)가 움직이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발열체로부터 금속 박판(210)에 전달된 열이 열전도성 커버(130)에 전달되는 통로를 지지 돌기(214)가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돌기(214)는 비교적 면적이 넓은 열 전도 부재(100)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돌기(214)나 확장부(213, 213')의 외부로 노출된 면은 열전도성 커버(130)과 접착하여 그라파이트 시트(120)가 금속 박막(210) 및 열전도성 커버(130)에 잘 밀착되어 접촉함으로써 열 전달이 잘 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열 전도 부재(100)가 비교적 면적이 넓는 경우, 총 체적이 크므로 스스로 열을 발산하여 열을 제거하는 히트 싱크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열 전도 부재(100)는 진공을 이루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다양한 형상과 다양한 구조로 제공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열 전도 부재(100)는 통상의 히트 파이프나 베이퍼 챔버가 갖는 유로 유체를 가지지 않고 진공이 아니기 때문에 비교적 제조가 용이하여 가격이 싸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100: 열 전도 부재
110: 금속 박판
111: 수납 홈
112: 리브
114: 고정 돌기
120: 그라파이트 시트
124: 고정 홈
130: 열전도성 커버

Claims (17)

  1. 가장자리를 따라 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리브에 의해 둘러싸인 수납 홈을 구비한 금속 박판;
    상기 수납 홈에 수납되어 상기 수납 홈의 바닥과 접촉하는 그라파이트 시트; 및
    상기 리브의 상단면과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의 상면에 접촉하여 덮으며 적어도 상기 리브의 상단면과 점착 또는 접착되는 열전도성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2. 청구항 1에서,
    상기 리브의 상단면과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의 상면은 높이가 같거나 유사한 수평 레벨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3. 청구항 1에서,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의 하면과 상기 수납 홈의 바닥 사이에는 열전도 유닛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4. 청구항 3에서,
    상기 열전도 유닛은 두께가 얇은 열전도성 탄성체, 열전도성 접착제 또는 열전도성 양면 점착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5. 청구항 1에서,
    상기 금속 박판은 구리, 구리 합금,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6. 청구항 5에서,
    상기 열전도성 커버의 적어도 한 면에는 점착제 또는 접착제가 형성되어 상기 점착제 또는 접착제가 적어도 상기 리브의 상단면과 점착 또는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7. 청구항 1에서,
    상기 열전도성 커버는 폴리머가 혼합된 열전도성 폴리머시트이거나, 구리, 구리 합금,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의 금속 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8. 청구항 1에서,
    상기 접착은 용가재나 솔더링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점착은 폴리머 점착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9. 청구항 1에서,
    상기 수납 홈의 바닥으로부터 일체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구멍이나 관통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관통구멍이나 관통 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10. 청구항 9에서,
    상기 돌기는 상기 리브로부터 확장되거나 상기 리브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11. 청구항 1에서,
    상기 리브는 폭이 넓어진 확장부나 폭이 좁아진 축소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12. 청구항 1에서,
    상기 수납 홈의 일부는 상기 리브에 의해 둘러 쌓이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13. 청구항 1에서,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는 하면의 대부분은 상기 수납 홈의 바닥에 열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의 상면의 대부분은 상기 커버에 열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14. 청구항 1에서,
    상기 그라파이트 시트는 인조 그라파이트 시트로 수평 방향의 열 전도율이 800/MK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15. 청구항 1에서,
    상기 열 전도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16. 청구항 1에서,
    상기 열전도 부재의 두께는 0.20㎜ 내지 0.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17. 청구항 1에서,
    상기 열 전도 부재는 열 방출 효과가 있는 히트 싱크의 역할을 겸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KR1020180113334A 2018-09-20 2018-09-20 열 전도 부재 KR202000337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334A KR20200033702A (ko) 2018-09-20 2018-09-20 열 전도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334A KR20200033702A (ko) 2018-09-20 2018-09-20 열 전도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702A true KR20200033702A (ko) 2020-03-30

Family

ID=70003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334A KR20200033702A (ko) 2018-09-20 2018-09-20 열 전도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37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851B1 (ko) * 2022-05-11 2023-04-03 (주) 넥스원이노베이션 방열기능을 구비한 차폐부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851B1 (ko) * 2022-05-11 2023-04-03 (주) 넥스원이노베이션 방열기능을 구비한 차폐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04718B (zh) 复合片以及使用该复合片的电池组
JP5096010B2 (ja) 熱拡散シート及び熱拡散シートの位置決め方法
US7737550B2 (en) Optimization of electronic package geometry for thermal dissipation
JP2003168882A (ja) 熱伝導性シート
CN105723821A (zh) 便携式电子设备的冷却构造
JP2007012913A (ja) 放熱シート及び放熱構造
TWI637680B (zh) 散熱結構及其製作方法及電子設備
JP2007311770A (ja) 半導体装置
TW201248109A (en) Electronic equipment
JP2009124091A (ja) 半導体パッケージモジュール
JP2008066374A (ja) 放熱性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パワーモジュール
JPWO2017159528A1 (ja) 複合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池パック
JP2023126380A (ja) 熱伝導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1895573B1 (ko) 복합 열전 부재
KR101801879B1 (ko) 복합 열전 부재
KR20200033702A (ko) 열 전도 부재
CN214279961U (zh) 显示装置及其散热结构
KR101934573B1 (ko) 열 전도성 적층체
CN108614384B (zh) 一种电子设备及散热组件
JP6021745B2 (ja) 冷却部材および半導体装置
JP2020061482A (ja) 放熱構造
GB2388473A (en) Compliant thermal interface for connecting electronic components to a heat sink
JP2014135374A (ja) 伝熱基板
CN110098153B (zh) 电力电子模块及制造电力电子模块的方法
CN210093799U (zh) 超薄型散热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