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2965A - 분리가 용이한 힌지 캡 - Google Patents

분리가 용이한 힌지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2965A
KR20200032965A KR1020180112252A KR20180112252A KR20200032965A KR 20200032965 A KR20200032965 A KR 20200032965A KR 1020180112252 A KR1020180112252 A KR 1020180112252A KR 20180112252 A KR20180112252 A KR 20180112252A KR 20200032965 A KR20200032965 A KR 20200032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ide wall
hinge
length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신복
Original Assignee
삼화왕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화왕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화왕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2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2965A/ko
Publication of KR20200032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9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힌지 캡은, 용기의 토출구에 결합되는 하부캡; 및 상기 하부캡과 힌지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하부캡을 커버하는 상부캡;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의 원주방향 양 단부로부터 아래로 각각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1수직 절취부 와 제2수직 절취부를 포함하는 수직 절취부 및 상기 제1수직 절취부와 상기 제2수직 절취부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절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리가 용이한 힌지 캡{HINGE CAP STRUCTURE FOR EASY SEPARATION}
본 발명은, 분리가 용이한 힌지 캡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용기에 결합되는 힌지 캡을 용기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분리가 용이한 힌지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유리병은 액체의 토출을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고, 토출구에는 내부 액체의 토출을 제한하기 위한 캡이 결합된다. 이때, 캡은 용기의 토출구에 형성된 돌기와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캡은 유리 재질의 용기와는 다른 재질(일반적으로 LDPE)이 사용되기 때문에, 재활용을 위해서는 캡을 용기로부터 분리하여 배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된 캡은 별도의 도구를 통해 분리하는 작업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884806호 (2018.08.07)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하부캡을 연결하는 힌지부의 양쪽에 수직 절취부를 형성하고, 각각의 수직 절취부 사이에 수평 절취부를 형성함으로써, 용기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힌지 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힌지 캡은, 용기의 토출구에 결합되는 하부캡; 및 상기 하부캡과 힌지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하부캡을 커버하는 상부캡;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의 원주방향 양 단부로부터 아래로 각각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1수직 절취부 와 제2수직 절취부를 포함하는 수직 절취부 및 상기 제1수직 절취부와 상기 제2수직 절취부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절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수직 절취부는 상기 하부캡의 하단부까지 제1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수직 절취부는 상기 하부캡의 길이방향으로 제2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길이는 상기 제1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 절취부는 상기 제2길이와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캡은 상기 토출구에 대응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둘레를 따라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용기의 외벽과 오버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의 상기 힌지부와 대응되는 부분은, 상기 힌지부와 연결되는 제1측벽과 상기 제1측벽과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측벽 및 제2측벽 사이에는 상기 하부캡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 절취부는 상기 상기 제1측벽과 상기 제2측벽의 하단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힌지 캡은, 상,하부캡을 연결하는 힌지부의 양쪽에 수직 절취부를 형성하고, 각각의 수직 절취부 사이에 수평 절취부를 형성함으로써, 용기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도구없이 용기로부터 분리 할 수 있으므로, 재활용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캡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캡의 상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캡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캡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캡을 용기로부터 분리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용기(500)의 토출구(520)가 형성되는 방향을 “상방”, “상측”으로 설명할 수 있고, 그와 반대되는 방향을 “하방”, “하측”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캡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캡의 상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캡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캡의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힌지 캡은, 용기(500)와 결합되는 하부캡(200), 상부캡(100) 및 하부캡(200) 및 상부캡(100)을 연결하는 힌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힌지 캡은, 용기(500)의 토출구(520)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된 결합돌기(510)와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용기(500)와 상이한 재질로 제조됨으로써, 재활용을 위해 용기(500)와 분리하여 배출될 필요가 있는 힌지 캡이라면, 다양한 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힌지 캡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캡이 적용되는 용기(500)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으며, 용기(500)의 토출구(520) 역시 원통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기(500)의 재질은 유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힌지캡의 재질과 상이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캡은 하부캡(2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캡(200)은 용기(500)의 토출구(520)와 결합될 수 있다. 하부캡(200)은 토출구(520)의 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덮개부(210) 및 덮개부(210)의 둘레를 따라 아래로 연장되는 결합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하부캡(200)이 하측으로부터 내부에 토출구(520)의 소정의 구간이 수용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결합되는 용기(500)의 토출구(52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캡(200)은 덮개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210)는 용기(500)의 토출구(520)의 개구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덮개부(210)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토출구(520)의 둘레에 밀착될 수 있다. 덮개부(2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사용자에 의해 개봉될 수 있는 오프너(290)가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오프너(290)를 제거함으로써 용기(500) 내부의 액상의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하부캡(200)은 토출구(520)의 외주면과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캡(200)의 결합부(250)는 하방으로 개방된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결합부(250)는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어, 토출구(520)의 소정의 구간을 내측에 수용할 수 있다. 결합부(250)의 내주면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리브(255)가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고, 돌출리브(255)를 통해 토출구(5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합돌기(510)와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250)는 적어도 일부의 구간이 힌지부(300)와 연결되는 제1측벽(251) 및 제1측벽(251)과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 형성되는 제2측벽(252)을 포함하는 이중 측벽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측벽(251)은 결합부(250)의 외주면 상단부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측벽(252)은 제1측벽(25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측벽(251)과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측벽(251)의 상단부는 힌지부(300)와 연결되어 있어서, 힌지부(300)를 통해 외력이 전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250)는 복수의 절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절취부는 다른 영역에 비해 두께가 얇게 형성되거나, 절단 파선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쉽게 절취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한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복수의 절취부는 사용자가 상부캡(100)에 외력을 제공하면, 힌지부(300)를 통해 하부캡(200)으로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결합부(250)의 측벽에 단차를 발생시킴으로써, 힌지 캡을 용기(500)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구조이다. 복수의 절취부는 이중 측벽 구조를 포함하는 영역(A)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절취부는 제1측벽(251)의 원주방향 양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는 수직 절취부(260), 제1측벽(251)의 하단부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 절취부(270) 및 제1측벽(251)과 제2측벽(252)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리브(28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절취부(260)는 제1측벽(251) 상단부의 원주방향 일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제1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수직 절취부(261)와 타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제2길이를 갖도록 연장형성되는 제2수직 절취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수직 절취부(261)의 제1길이는 제2수직 절취부(262)의 제2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수직 절취부(261)의 제1길이는 결합부(250)의 외주면의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의 축방향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2수직 절취부(262)의 제2길이는 제1측벽(251)의 축방향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평 절취부(270)는 제1측벽(251)과 제2측벽(252)을 연결하도록, 제1측벽(251)의 하단부와 제2측벽(252)의 하단부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평 절취부(270)는 결합부(250)의 축방향 높이의 대체적으로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평 절취부(270)는 제1측벽(251) 및 제2측벽(252)의 축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250)의 이중 측벽 구조를 포함하는 영역(A)에 있어서, 제1측벽(251) 및 제2측벽(252)의 원주방향의 양단은 제1수직 절취부(261)와 제2수직 절취부(262)로써 구획 될 수 있고, 축방향 하단은 수평 절취부(270)로써 구획될 수 있는 것이다.
가이드 리브(280)는 제1측벽(251)과 제2측벽(252) 사이에 축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280)의 둘레 역시 절취부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제1측벽(251)을 제2측벽(252)으로부터 분리 시킬 수 있다. 가이드 리브(280)는 제1측벽(251)과 제2측벽(252) 사이에서 하부캡(200)의 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리브(280)는 사용자가 수직 절취부(260)를 통해 제1측벽(251)을 제2측벽(252)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제1수직 절취부(261)와 제2수직 절취부(262)에 각각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 리브(280)를 통해, 분리되는 방향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이드 리브(280)의 상단은 제1측벽(251)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고, 하단은 수평 절취부(270)의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캡은 상부캡(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캡(100)은 하부캡(200)을 커버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캡(100)은 힌지부(300)를 통해 하부캡(200)과 연결될 수 있다. 상부캡(100)은 힌지 결합을 통해 하부캡(200)을 상측으로부터 개폐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힌지 캡을 용기(500)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상부캡(100)에 외력을 제공하여, 힌지부(300)를 통해 하부캡(200)에 외력을 전달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캡은 힌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300)는 상부캡(100)과 하부캡(200)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힌지부(300)는 상부캡(100) 및 하부캡(2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힌지부(300)는 하부캡(200)의 제1측벽(251)과 연결될 수 있다. 힌지부(300)의 원주 방향 길이는 하부캡(200)의 제1측벽(251)의 원주방향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힌지부(300)의 원주방향 일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제1수직 절취부(261)가 연장 형성될 수 있고, 타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제2수직 절취부(262)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힌지부(300)를 통해 결합부(250)에 제공되면, 힌지부(300)와 연결된 제1측벽(251)이 제1수직 절취부(261) 및 제2수직 절취부(262)를 통해 제2측벽(25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캡이 용기(500)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캡을 용기(500)로부터 분리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캡은, 결합부(250)를 통해 용기(500)의 토출구(520)와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별도의 분리도구 없이, 결합부(25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절취부를 통해 용기(500)와 분리될 수 있다.
먼저, 도 3의 (c)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상부캡(100)을 통해 외력이 제공되면, 힌지부(300)를 통해, 결합부(250)의 제1측벽(251)이 제2측벽(25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제1측벽(251)은 제1측벽(251)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제1수직 절취부(261) 및 제2수직 절취부(262)를 따라서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리브(280)는 수직 절취부(260)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측벽(251)이 수직 절취부(260)를 따라 분리되기 시작 한 후, 가이드 리브(280)가 분리될 수 있다.
도 3(e)를 참조하면, 제1측벽(251)은 수직 절취부(260) 및 가이드 리브(280)를 따라 수평 절취부(270)까지 분리될 수 있다. 이로써, 결합부(250)의 이중 측벽 구조를 포함하는 영역(A)에서, 제1측벽(251)이 제2측벽(25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f)를 참조하면, 제1수직 절취부(261)의 길이는 제2수직 절취부(26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1수직 절취부(261)는 결합부(250)의 외측면의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2수직 절취부(262)의 길이는 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평 절취부(270)의 높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계속적인 외력의 제공으로 인해, 제1수직 절취부(261)를 따라 결합부(250)가 분리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수평 절취부(270)가 제1수직 절취부(261)로부터 제2수직 절취부(262)를 향하는 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3(g) 및 도 3(h)를 참조하면, 결합부(250)는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제1직 절취부(261)(260)를 통해 분리될 수 있다. 한편 결합부(250)에 있어서, 제2수직 절취부(262)의 길이는 제1수직 절취부(261)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제2수직 절취부(262)의 아래쪽은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부캡(100)을 잡고, 힌지 캡을 용기(500)로부터 완전히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캡의 제1측벽(251)와 제2측벽(252)은 양단부의 제1수직 절취부(261) 및 제2수직 절취부(262)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리브(280)를 포함함에 따라, 결합부(250)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250)를 용기(500)의 토출부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수직 절취부(260)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캡은, 제1측벽(251)과 제2측벽(252)사이에 수평 절취부(270)를 형성하여, 제1측벽(251)과 제2측벽(252)의 분리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수평 절취부(270)는 결합부(250)의 길이방향의 대체적으로 중앙부의 높이에 형성함으로써, 금형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어, 제조시 금형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힌지 캡은, 상,하부캡(200)을 연결하는 힌지부(300)의 양쪽에 수직 절취부(260)를 형성하고, 각각의 수직 절취부(260) 사이에 수평 절취부(270)를 형성함으로써, 용기(5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도구 없이 용기(500)로부터 분리 할 수 있으므로, 재활용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상부캡
200: 하부캡
210: 덮개부
250: 결합부
251: 제1측벽
252: 제2측벽
260: 수직 절취부
261: 제1수직 절취부
262: 제2수직 절취부
270: 수평 절취부
280: 가이드 리브
300: 힌지부
500: 용기
510: 결합돌기
520: 토출구

Claims (6)

  1. 용기의 토출구에 결합되는 하부캡; 및
    상기 하부캡과 힌지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하부캡을 커버하는 상부캡;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의 원주방향 양 단부로부터 아래로 각각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1수직 절취부 와 제2수직 절취부를 포함하는 수직 절취부 및 상기 제1수직 절취부와 상기 제2수직 절취부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절취부를 포함하는 분리가 용이한 힌지 캡.
  2. 제1항에 있어서,
    제1수직 절취부는 상기 하부캡의 하단부까지 제1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수직 절취부는 상기 하부캡의 길이방향으로 제2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는 분리가 용이한 힌지 캡.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길이는 상기 제1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분리가 용이한 힌지 캡.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절취부는 상기 제2길이와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는 분리가 용이한 힌지 캡.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은 상기 토출구에 대응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둘레를 따라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용기의 외벽과 오버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의 상기 힌지부와 대응되는 부분은, 상기 힌지부와 연결되는 제1측벽과 상기 제1측벽과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측벽 및 제2측벽 사이에는 상기 하부캡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는 분리가 용이한 힌지 캡.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절취부는 상기 상기 제1측벽과 상기 제2측벽의 하단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힌지 캡.

KR1020180112252A 2018-09-19 2018-09-19 분리가 용이한 힌지 캡 KR202000329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252A KR20200032965A (ko) 2018-09-19 2018-09-19 분리가 용이한 힌지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252A KR20200032965A (ko) 2018-09-19 2018-09-19 분리가 용이한 힌지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965A true KR20200032965A (ko) 2020-03-27

Family

ID=69959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252A KR20200032965A (ko) 2018-09-19 2018-09-19 분리가 용이한 힌지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29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373B1 (ko) * 2019-03-22 2020-05-14 노윤호 용기와 별개로 분리 수거가 가능한 용기용 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806B1 (ko) 2016-01-29 2018-08-07 남중희 수평 가압형의 개방구조를 갖는 병마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806B1 (ko) 2016-01-29 2018-08-07 남중희 수평 가압형의 개방구조를 갖는 병마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373B1 (ko) * 2019-03-22 2020-05-14 노윤호 용기와 별개로 분리 수거가 가능한 용기용 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14629B2 (ja) 注出キャップ
KR102542756B1 (ko) 합성수지제 용기 덮개
KR20200032965A (ko) 분리가 용이한 힌지 캡
JP5897412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5991838B2 (ja) 複合容器蓋
JP5362457B2 (ja) 分別廃棄性に優れたヒンジキャップ
KR101837400B1 (ko) 친환경 스파우트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친환경 액체용기
JP6415241B2 (ja) 容器から分離可能なキャップ
JP4465565B2 (ja) 容器口から分離容易なキャップ体
KR101049660B1 (ko) 힌지캡
JP5297949B2 (ja) 注出キャップ
JP5384000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5047695B2 (ja) 注出キャップ
JP5199043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0376678Y1 (ko) 분리형 마개
JP7073136B2 (ja) 容器蓋
KR102019746B1 (ko) 분리방지 구조를 갖는 병뚜껑
KR102657074B1 (ko) 분리 배출이 용이한 안전 캡
JP3188139U (ja) ボトルキャップ
KR200467289Y1 (ko) 용기캡
JP7246831B2 (ja) 注出キャップ
JP7470372B2 (ja) キャップ
KR101988294B1 (ko) 멀티 실링부를 구비한 밀폐 용기
JP5269487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0450258Y1 (ko) 절취 가능한 페트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