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2694A - 기기 대 기기 통신 방법, 단말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 Google Patents

기기 대 기기 통신 방법, 단말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2694A
KR20200032694A KR1020207002147A KR20207002147A KR20200032694A KR 20200032694 A KR20200032694 A KR 20200032694A KR 1020207002147 A KR1020207002147 A KR 1020207002147A KR 20207002147 A KR20207002147 A KR 20207002147A KR 20200032694 A KR20200032694 A KR 20200032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pool
terminal device
resource
transmission mod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2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이 탕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32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6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D2D 통신 방법, 단말기기와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단말기기는 상기 단말기기가 사용하는 전송 모드 및 상기 단말기기가 센싱 능력을 구비하는지 여부에 따라, 복수의 리소스 풀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리소스 풀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 중 상이한 리소스 풀은 각각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는 사용하는 전송 모드,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버전 및 센싱 능력 구비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상이한 단계;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리소스 풀 중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는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으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고, 상호 간섭을 감소시킨다.

Description

기기 대 기기 통신 방법, 단말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본 출원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기기 대 기기(Device to Device, D2D) 통신 방법, 단말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에 관한 것이다.
차량 네트워크 또는 차량 대 기기(Vehicle to Everything, V2X)로 불리우는 통신 시스템은 D2D 통신에 기반한 사이드 링크(Sidelink, SL) 전송 기술로서, 통상적인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에서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발송하는 방식과는 달리,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은 단말기와 단말기가 직접 통신하는 방식을 사용하므로, 더 높은 스펙트럼 효율과 더 낮은 전송 지연을 갖는다.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프로토콜의 버전 Release-14에서는 차량 네트워크에 대해 모드3(mode 3)과 모드4(mode 4)와 같은 두 가지 전송 모드를 정의하였다. 전송 모드3을 사용하는 단말기기와 전송 모드4를 사용하는 단말기기는 상이한 리소스 풀에서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모드3을 사용하는 단말기가 사용하는 리소스는 기지국에서 할당한 것이고, 단말기는 기지국에서 할당한 리소스에 따라 사이드 링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며; 모드4를 사용하는 단말기기는 스스로 사이드 링크의 전송 리소스를 선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단말기는 사이트 링크에서 리소스를 랜덤으로 선택하거나 또는 센싱 방식을 통해 리소스를 결정할 수 있다.
전송 모드3을 사용하는 단말기기는 기지국과 연결되고, 이의 전송 리소스는 기지국에서 할당한 것이므로, 전송 모드3을 사용하는 단말기기와 전송 모드4를 사용하는 단말기기가 공존할 경우, 전송 모드3을 사용하는 단말기기의 전송 신뢰도의 보호가 더 필요하다.
3GPP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신규 버전 Release-15의 단말기에 있어서, 마찬가지로 이 두 유형의 전송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두 버전에서의 단말기기는 센싱 능력을 가진 단말기기일 수 있고, 센싱 능력이 없는 단말기기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센싱 능력이 없는 단말기기는 기타 단말기기의 리소스 사용 상황을 획득할 수 없으므로, 전송 모드3을 사용하는 단말기기의 데이터 전송을 간섭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어떻게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가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으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상호 간섭을 감소시킬지는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가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으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상호 간섭을 감소시키는 D2D 통신 방법, 단말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제1 양태에 따른 D2D 통신 방법은, 단말기기는 상기 단말기기가 사용하는 전송 모드 및 상기 단말기기가 센싱 능력을 구비하는지 여부에 따라, 복수의 리소스 풀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리소스 풀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 중 상이한 리소스 풀은 각각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는 사용하는 전송 모드,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버전 및 센싱 능력 구비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상이한 단계;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리소스 풀 중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에 상이한 리소스 풀을 할당하고, 각 리소스 풀 사이의 관계를 합리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가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으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호 간섭을 감소시키며, 특히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기의 전송 신뢰도를 확보함과 동시에, 신규 버전을 지원하는 단말기기가 비교적 큰 리소스 풀 범위를 가지도록 하여, 리소스 이용률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는, 지원하는 프로토콜의 버전, 사용하는 전송 모드 및 센싱 능력 구비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상이하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기가 버전 Release-14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기는 상기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리소스 풀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1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2 리소스 풀로 결정하되, 여기서, 상기 제2 리소스 풀과 상기 제1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는 단계; 상기 단말기기가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3 리소스 풀로 결정하되, 여기서, 상기 제3 리소스 풀과 상기 제1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고, 상기 제3 리소스 풀과 상기 제2 리소스 풀 사이도 오버랩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 풀은 제1 서브 리소스 풀과 제2 서브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리소스 풀을 제1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리소스 풀을 상기 제1 리소스 풀 중 상기 제1 서브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기가 버전 Release-15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면, 상기 단말기기는 상기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리소스 풀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리소스 풀을 상기 제1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기가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거나, 또는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4 리소스 풀로 결정하되, 상기 제4 리소스 풀과 상기 제1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리소스 풀을 제1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리소스 풀을 상기 제1 리소스 풀 중 상기 제2 서브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4 리소스 풀은 상기 제2 리소스 풀 및/또는 상기 제3 리소스 풀을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리소스 풀은 상기 제4 리소스 풀을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3 리소스 풀은 상기 제4 리소스 풀을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기가 버전 Release-14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기는 상기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리소스 풀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5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기가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6 리소스 풀로 결정하되, 상기 제6 리소스 풀과 상기 제5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5 리소스 풀은 제3 서브 리소스 풀과 제4 서브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리소스 풀을 제5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상기 제5 리소스 풀 중 상기 제3 서브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기가 버전 Release-15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면, 상기 단말기기는 상기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리소스 풀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리소스 풀을 상기 제5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기가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7 리소스 풀로 결정하되, 상기 제7 리소스 풀과 상기 제5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는 단계;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8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리소스 풀을 제5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리소스 풀을 상기 제5 리소스 풀 중 상기 제4 서브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7 리소스 풀은 상기 제6 리소스 풀을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6 리소스 풀은 상기 제7 리소스 풀을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8 리소스 풀은 상기 제5 리소스 풀, 상기 제6 리소스 풀과 상기 제7 리소스 풀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풀을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5 리소스 풀은 상기 제8 리소스 풀을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6 리소스 풀은 상기 제8 리소스 풀을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7 리소스 풀은 상기 제8 리소스 풀을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스케줄링된 리소스이고;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는 상기 단말기기가 상응한 리소스 풀에서 스스로 선택한 리소스이다.
상기 제1 전송 모드는 예를 들어 상술한 전송 모드3일 수 있고, 단말기기가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단말기기가 상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스케줄링된 리소스이며; 상기 제2 전송 모드는 예를 들어 상술한 전송 모드4일 수 있고,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는 단말기기가 상응한 리소스 풀에서 스스로 선택한 리소스, 예를 들어 단말기기가 대응되는 리소스 풀에서 랜덤으로 선택한 리소스 및/또는 리소스 센싱 결과를 기반으로 선택한 리소스이다.
제2 양태에 따른 D2D 통신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가 복수의 리소스 풀을 결정하되,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 중 상이한 리소스 풀은 각각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는 사용하는 전송 모드,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버전 및 센싱 능력 구비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상이한 단계;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기로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정보를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기기는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를 위해 상이한 리소스 풀을 할당하고, 각 리소스 풀 사이의 관계를 합리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가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으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호 간섭을 감소시키며, 특히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기의 전송 신뢰도를 확보함과 동시에, 신규 버전을 지원하는 단말기기가 비교적 큰 리소스 풀 범위를 가지도록 하여, 리소스 이용률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는 지원하는 프로토콜의 버전, 사용하는 전송 모드 및 센싱 능력 구비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상이하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은 제1 리소스 풀, 제2 리소스 풀, 제3 리소스 풀과 제4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리소스 풀, 제2 리소스 풀과 제3 리소스 풀 사이는 서로 오버랩되지 않고, 상기 제4 리소스 풀과 상기 제1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으며, 여기서, 상기 제1 리소스 풀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한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3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4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 또는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센싱 능력을 구비한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4 리소스 풀은 상기 제2 리소스 풀 및/또는 상기 제3 리소스 풀을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리소스 풀은 상기 제4 리소스 풀을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3 리소스 풀은 상기 제4 리소스 풀을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 풀은 제1 서브 리소스 풀과 제2 서브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서브 리소스 풀은 구체적으로,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2 서브 리소스 풀은 구체적으로,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은 제5 리소스 풀, 제6 리소스 풀, 제7 리소스 풀과 제8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상기 제5 리소스 풀과 상기 제6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고, 상기 제5 리소스 풀과 상기 제7 리소스 풀 사이도 오버랩되지 않으며, 여기서, 상기 제5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 및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6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7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8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센싱 능력을 구비한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7 리소스 풀은 상기 제6 리소스 풀을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6 리소스 풀은 상기 제7 리소스 풀을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8 리소스 풀은 상기 제5 리소스 풀, 상기 제6 리소스 풀과 상기 제7 리소스 풀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풀을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5 리소스 풀은 상기 제8 리소스 풀을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6 리소스 풀은 상기 제8 리소스 풀을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7 리소스 풀은 상기 제8 리소스 풀을 포함한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5 리소스 풀은 제3 서브 리소스 풀과 제4 서브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3 서브 리소스 풀은 구체적으로,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4 서브 리소스 풀은 구체적으로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스케줄링된 리소스이고;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는 상기 단말기기가 상응한 리소스 풀에서 스스로 선택한 리소스이다.
제3 양태에 따른 단말기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기는 상기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어느 하나의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기기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기는 상기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기기의 조작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양태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어느 하나의 선택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의 조작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양태에 따른 단말기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기는 프로세서, 트랜시버와 메모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 트랜시버와 메모리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상기 메모리는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을 실행한다.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을 실행할 경우, 상기 실행을 통해 상기 단말기기가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실행을 통해 상기 단말기기가 제3 양태에 따른 단말기기를 구현하도록 한다.
제6 양태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프로세서, 트랜시버와 메모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 트랜시버와 메모리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상기 메모리는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을 실행한다.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을 실행할 경우, 상기 실행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실행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제4 양태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를 구현하도록 한다.
제7 양태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프로그램은 단말기기가 상기 제1 양태 및 그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른 어느 하나의 D2D 통신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8 양태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제2 양태 및 그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른 어느 하나의 D2D 통신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9 양태에 따른 시스템 칩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칩은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인스트럭션이 실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어느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제10 양태에 따른 시스템 칩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칩은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인스트럭션이 실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어느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제11 양태에 따른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경우, 상기 컴퓨터가 상기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어느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12 양태에 따른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경우, 상기 컴퓨터가 상기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어느 가능한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일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풀 할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풀 할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칩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이하,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은, 예컨대 글로벌 이동 통신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및 미래의 5G 통신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은 단말기기와 결합하여 각 실시예를 설명한다. 단말기기는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국, 이동 스테이션,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기, 이동기기,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를 가리킬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기는 셀룰러 폰, 무선 전화, 세션 시작 프로토콜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폰,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성능을 가진 핸드헬드 기기,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모뎀과 연결된 기타 처리기기, 차량용 기기, 웨어러블 기기, 미래 5G 네트워크에서의 단말기기 또는 미래 진화형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네트워크에서의 단말기기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은 네트워크 기기와 결합하여 각 실시예를 설명한다.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기기, 예를 들어 GSM 시스템 또는 CDMA에서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고, W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으며, LTE 시스템에서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거나, 또는 해당 네트워크 기기는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차량용 기기, 웨어러블 기기 및 미래 5G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측 기기 또는 미래 진화형 PLMN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측 기기 등일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하나의 네트워크 기기와 두 개의 단말기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할 수 있고, 각 네트워크 기기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는 기타 수량의 단말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모빌리티 매니지먼트 엔티티(Mobile Management Entity, MME),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P-GW) 등 기타 네트워크 엔티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단말기기(20)와 단말기기(30)는 D2D 통신모드로 통신할 수 있는데, D2D 통신을 수행할 때, 단말기기(20)와 단말기기(30)는 D2D 링크, 즉 사이드 링크(Sidelink, SL)를 통해 직접 통신한다. 예를 들어,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기(20)와 단말기기(30)는 사이드 링크를 통해 직접 통신한다. 도 1에서 단말기기(20)와 단말기기(30) 사이는 사이드 링크를 통해 통신하는데, 이의 전송 리소스는 네트워크 기기가 할당한 것이고; 도 2에서, 단말기기(20)와 단말기기(30) 사이는 사이드 링크를 통해 통신하는데, 이의 전송 리소스는 단말기기가 스스로 선택한 것으로서, 네트워크 기기가 전송 리소스를 할당할 필요가 없다.
D2D 통신은 차량 대 차량(Vehicle to Vehicle, “V2V”으로 약칭) 통신 또는 차량 대 기타 기기(Vehicle to Everything, V2X) 통신을 가리킬 수 있다. V2X통신에서, X는 무선 수신과 발송 능력을 가진 모든 기기를 가리킬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느리게 이동하는 무선 장치, 빠르게 이동하는 차량용 기기, 또는 무선 발송 수신 능력을 가진 네트워크 제어 노드 등을 가리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로 V2X 통신 시나리오에 응용되지만, 임의의 기타 D2D 통신 시나리오에 응용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그 어떤 한정도 하지 않는다.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두 유형의 단말기기, 즉 예컨대 차량용 단말기(Vehicle User Equipment, VUE) 또는 행인 핸드헬드 단말기(Pedestrian User Equipment, PUE)와 같은 센싱 능력을 가진 단말기기, 및 예컨대 PUE와 같은 센싱 능력이 없는 단말기기가 존재할 수 있다. VUE는 더 높은 처리 능력을 구비하며, 통상적으로 차량 내부의 축전지를 통해 급전되고, PUE는 처리 능력이 비교적 낮으며,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는 것도 PUE가 고려해야 할 하나의 주요한 요소이므로, 기존의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VUE는 완전한 수신 능력과 센싱 능력을 구비하는 것으로 간주되고; PUE는 수신 또는 센싱 능력을 부분적으로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만약 PUE가 일부 센싱 능력을 구비하면, 그 리소스의 선택은 VUE와 유사한 센싱 방법을 사용하여, 센싱 가능한 그 일부 리소스에서 사용 가능한 리소스의 선택을 수행할 수 있고, 만약 PUE가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PUE는 리소스 풀에서 랜덤으로 전송 리소스를 선택한다.
3GPP 프로토콜의 버전 Release-14에서는 두가지 전송 모드, 즉 전송 모드3(mode3)과 전송 모드4(mode4)를 정의한다. 전송 모드3을 사용하는 단말기기의 전송 리소스는 기지국에서 할당한 것으로서, 단말기기는 기지국에서 할당한 리소스에 따라 사이드 링크에서 데이터를 발송하고; 기지국은 단말기기를 위해 1회 전송을 위한 리소스를 할당할 수도 있고, 단말기기를 위해 반 정적 전송을 위한 리소스를 할당할 수도 있다. 전송 모드4를 사용하는 단말기기가 센싱 능력을 구비한다면, 센싱(sensing)과 예약(reservation)의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리소스 풀에서 전송 리소스를 랜덤으로 선택한다. 센싱 능력을 구비한 단말기기는 리소스 풀에서 센싱 방식을 통해 사용 가능한 리소스 집합을 획득하고, 단말기기는 상기 집합에서 하나의 리소스를 랜덤으로 선택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차량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서비스는 주기적인 특징을 가지므로, 단말기기는 통상적으로 반 정적 전송의 방식, 즉 단말기기가 하나의 전송 리소스를 선택한 후, 복수의 전송 주기에서 지속적으로 상기 리소스를 사용하여, 리소스 재선택 및 리소스 충돌 확률을 저감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단말기기는 이번에 전송되는 제어 정보에 다음번 전송 리소스를 예약하는 정보를 휴대시켜, 기타 단말기기가 상기 단말기기의 제어 정보를 검출하여, 해당 리소스가 해당 단말기기에 예약되어 사용 여부를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리소스 충돌을 저감시키는 목적을 달성한다.
전송 모드3의 리소스는 기지국이 스케줄링한 것이고, 전송 모드4의 리소스는 미리 구성되거나 또는 기지국이 구성한 것이므로, 이 둘은 리소스 풀이 중첩되는 상황이 존재하지 않게 되는 바, 즉 전송 모드3과 전송 모드4 각각에 대응되는 리소스 풀은 분리되거나 오버랩되지 않는 것으로서, 모드3을 사용하는 단말기기는 모드3을 지원하는 리소스 풀 중 시간 주파수 리소스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모드4를 사용하는 단말기기는 모드4를 지원하는 리소스 풀 중 시간 주파수 리소스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3GPP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신규 버전 Release-15의 통신 프로토콜의 단말기기에 있어서, 마찬가지로 두 유형의 전송 모드, 예를 들어 상술한 전송 모드3과 전송 모드4를 지원한다. Release-15의 단말기기와 Release-14의 단말기기가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으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경우, 센싱 능력을 구비한 단말기기는 리소스 센싱을 통해 리소스를 선택할 수 있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는 기타 단말기기의 데이터 전송과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피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전송 모드3을 사용하는 단말기기가 기지국과 연결되고, 그 전송 리소스는 기지국에서 할당한 것이므로, 전송 모드3을 사용하는 단말기기와 전송 모드4를 사용하는 단말기기가 공존할 경우, 전송 모드3을 사용하는 단말기기의 전송 신뢰도의 보호가 더 필요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에 대해 상이한 리소스 풀을 할당하고, 각 리소스 풀 사이의 관계를 합리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가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으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호 간섭을 감소시킨다. 여기서,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는 지원하는 프로토콜의 버전, 사용하는 전송 모드 및 센싱 능력 구비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상이하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방법은 단말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단말기기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단말기기(20) 또는 단말기기(30)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D2D 통신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310에서, 단말기기는 단말기기가 사용하는 전송 모드 및 단말기기의 센싱 능력 구비 여부에 따라, 복수의 리소스 풀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리소스 풀을 결정한다.
여기서, 복수의 리소스 풀 중 상이한 리소스 풀은 각각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는 사용하는 전송 모드,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버전 및 센싱 능력 구비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상이하다.
상기 단말기기는 예를 들어 핸드헬드 단말기(PUE) 또는 차량용 단말기(VUE)일 수 있다.
320에서, 단말기기는 상기 리소스 풀 중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단말기기가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으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경우, 센싱 능력을 구비하는 단말기기는 리소스 센싱을 통해 리소스를 선택할 수 있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는 기타 단말기기의 데이터 전송과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피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단말기기는 단말기기가 사용하는 전송 모드 및 단말기기의 센싱 능력 구비 여부에 따라, 복수의 리소스 풀에서 자신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리소스 풀을 결정한다.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은 네트워크 기기가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기기가 사전에 약정한 것, 예를 들어 프로토콜에서 규정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에서, 상이한 리소스 풀은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는 사용하는 전송 모드,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버전 및 센싱 능력 구비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상이하다. 리소스 풀을 할당할 때 단말기기가 사용하는 전송 모드를 고려할 뿐만 아니라, 단말기기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버전 및 단말기기의 센싱 능력 구비 여부도 고려하므로,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의 간섭을 최소화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두가지 리소스 풀 할당 방식을 제공한다. 이하 도 4와 도 5를 결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방식1
센싱 능력을 구비하는 단말기기와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는 리소스 풀을 공유하지 않는다.
(1) 단말기기가 버전 Release-14(이하, Rel-14로 간략히 기재)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이하, Rel-15로 간략히 기재)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으면, 단말기기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리소스 풀을 결정하는 것은,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1 리소스 풀로 결정하고;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2 리소스 풀로 결정하되, 여기서, 제2 리소스 풀과 제1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고;
단말기기가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3 리소스 풀로 결정하되, 여기서, 제3 리소스 풀과 제1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고, 제3 리소스 풀과 제2 리소스 풀 사이도 오버랩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선택적으로, 제1 리소스 풀은 제1 서브 리소스 풀과 제2 서브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여기서, 단말기기가 상기 리소스 풀을 제1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것은,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1 리소스 풀 중 제1 서브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2) 단말기기가 버전 Release-15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면, 단말기기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리소스 풀을 결정하는 것은,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1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것;
단말기기가 제1 전송 모드를 지원하거나, 제2 전송 모드를 지원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4 리소스 풀로 결정하고, 제4 리소스 풀과 제1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선택적으로, 단말기기가 상기 리소스 풀을 제1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것은,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1 리소스 풀 중 제2 서브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방식1에서, 상술한 제4 리소스 풀은 제2 리소스 풀 및/또는 제3 리소스 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4는 리소스 풀 할당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에서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은 제1 리소스 풀, 제2 리소스 풀, 제3 리소스 풀과 제4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제1 리소스 풀, 제2 리소스 풀과 제3 리소스 풀 사이는 서로 오버랩되지 않고, 제4 리소스 풀과 제1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는다. 여기서, 각 리소스 풀은 상응한 유형의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표 1은 상이한 리소스 풀에 대응되는 단말기기의 유형을 나타낸다.
리소스 풀 단말기기의 유형
제1 리소스 풀 제1 서브 리소스 풀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
제2 서브 리소스 풀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
제2 리소스 풀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한다
제3 리소스 풀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한다
제4 리소스 풀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한다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센싱 능력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4 리소스 풀은 제2 리소스 풀 및/또는 제3 리소스 풀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즉 제4 리소스 풀의 범위는 제2 리소스 풀 및/또는 제3 리소스 풀의 범위보다 클 수 있다.이해해야 할 것은, 제4 리소스 풀은 제2 리소스 풀 및/또는 제3 리소스 풀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제2 리소스 풀은 제4 리소스 풀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또는 제3 리소스 풀은 제4 리소스 풀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2 리소스 풀과 제4 리소스 풀 사이의 크기 위치 관계 및 제3 리소스 풀과 제4 리소스 풀 사이의 크기 위치 관계를 한정하지 않는 바, 제1 리소스 풀, 제2 리소스 풀과 제3 리소스 풀 사이가 서로 오버랩되지 않고, 제4 리소스 풀과 제1 리소스 풀 사이가 오버랩되지 않도록 확보하기만 하면 된다.
더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리소스 풀과 리소스 풀 사이가 오버랩 되지 않는 다는 것은 예를 들어 리소스 풀과 리소스 풀 사이가 직교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제1 리소스 풀은 제1 서브 리소스 풀과 제2 서브 리소스 풀로 분할될 수도 있고, 분할하지 않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리소스 풀은 제2 리소스 풀과 제3 리소스 풀을 포함하고, 제1 리소스 풀, 제2 리소스 풀과 제3 리소스 풀 사이는 서로 오버랩되지 않으며, 제4 리소스 풀과 제1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는다.
제4 리소스 풀은 제3 리소스 풀을 포함하는데, 제4 리소스 풀과 제3 리소스 풀이 모두 제1 전송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기와 대응될 수 있고, 전송 리소스는 모두 기지국에서 할당한 것이므로, 기지국의 스케줄링을 통해 단말기기 사이의 간섭을 피할 수 있으며; 제4 리소스 풀은 센싱 능력을 구비하는 단말기기와 대응될 수 있으므로, 센싱을 통해 제3 리소스 풀 중 단말기기에 대한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제4 리소스 풀은 제2 리소스 풀을 포함하는데, 만약 제4 리소스 풀 중 단말기기가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제2 리소스 풀 중 단말기기가 센싱 능력을 구비하므로, 센싱을 통해 제4 리소스 풀 중 단말기기에 대한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만약 제4 리소스 풀 중 단말기기가 센싱 능력을 구비하면, 제4 리소스 풀과 제2 리소스 풀 중 단말기기는 모두 센싱 능력을 구비하므로, 단말기기 사이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제4 리소스 풀 중 단말기기가 센싱 능력을 구비할 수도 있고,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센싱 능력을 구비하는 단말기기는 센싱을 통해 제4 리소스 풀 중 기타 단말기기에 대한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제4 리소스 풀과 제1 서브 리소스 풀, 제2 서브 리소스 풀은 오버랩되지 않는데, 제1 서브 리소스 풀, 제2 서브 리소스 풀 중 단말기기가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아, 제4 리소스 풀 중 단말기기에 대한 간섭을 피할 수 없으므로, 리소스 풀의 공유를 실현할 수 없는 바, 오버랩되지 않는 리소스 풀을 분할하는 방식을 통해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가 제4 리소스 풀 중 단말기기에 대한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한편으로는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고 제2 전송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기의 리소스 풀과, 센싱 능력을 구비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기의 리소스 풀을 구분하여, 센싱을 통해 리소스를 선택하는 단말기기에 대한 리소스를 랜덤으로 선택하는 단말기기의 간섭을 피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고 제2 전송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기의 리소스 풀과, 제1 전송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기의 리소스 풀을 구분하여 기지국에 의해 리소스가 할당되는 단말기기에 대한 리소스를 랜덤으로 선택하는 단말기기의 간섭을 피하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 및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며 제2 전송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기에 비교적 큰 리소스 풀을 구성하여, 비교적 큰 리소스 풀 범위를 사용할 수 있으며, 리소스 이용률을 향상시킨다.
방식2
센싱 능력을 구비하는 단말기기와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는 리소스 풀을 공유할 수 있다.
(1) 단말기기가 버전 Release-14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으면, 단말기기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리소스 풀을 결정하는 것은,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5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것;
단말기기가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6 리소스 풀로 결정하되, 제6 리소스 풀과 제5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선택적으로, 제5 리소스 풀은 제3 서브 리소스 풀과 제4 서브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여기서, 단말기기가 상기 리소스 풀을 제5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것은,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5 리소스 풀 중 제3 서브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2) 단말기기가 버전 Release-15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면, 단말기기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리소스 풀을 결정하는 것은,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5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것;
단말기기가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7 리소스 풀로 결정하고, 제7 리소스 풀과 제5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는 것;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8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선택적으로, 단말기기가 상기 리소스 풀을 제5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것은,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5 리소스 풀 중 제4 서브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방식2에서 제7 리소스 풀은 제6 리소스 풀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방식2에서 제8 리소스 풀은 제5 리소스 풀, 제6 리소스 풀과 제7 리소스 풀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풀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5은 리소스 풀 할당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에서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은 제5 리소스 풀, 제6 리소스 풀, 제7 리소스 풀과 제8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제5 리소스 풀과 제6 리소스 풀 사이는 서로 오버랩되지 않고, 제5 리소스 풀과 제7 리소스 풀 사이는 서로 오버랩되지 않는다. 여기서, 각 리소스 풀은 상응한 유형의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표 2는 상이한 리소스 풀에 대응되는 단말기기의 유형을 나타낸다.
리소스 풀 단말기기의 유형
제5 리소스 풀 제3 서브 리소스 풀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한다
제4 서브 리소스 풀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
제6 리소스 풀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한다
제7 리소스 풀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한다
제8 리소스 풀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센싱 능력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8 리소스 풀은 제5 리소스 풀, 제6 리소스 풀과 제7 리소스 풀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풀을 포함한다. 제8 리소스 풀의 범위는 제5 리소스 풀, 제6 리소스 풀과 제7 리소스 풀의 범위보다 클 수 있다.이해해야 할 것은, 제8 리소스 풀은 제5 리소스 풀, 제6 리소스 풀과 제7 리소스 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또는 제5 리소스 풀은 제8 리소스 풀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제6 리소스 풀은 제8 리소스 풀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제7 리소스 풀은 제8 리소스 풀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5 리소스 풀과 제8 리소스 풀 사이의 크기 위치 관계, 제6 리소스 풀과 제8 리소스 풀 사이의 크기 위치 관계 및 제7 리소스 풀과 제8 리소스 풀 사이의 크기 위치 관계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 바, 제5 리소스 풀과 제6 리소스 풀 사이가 오버랩되지 않고, 제5 리소스 풀과 제7 리소스 풀 사이가 오버랩되지 않도록 확보하기만 하면 된다.
한편, 제5 리소스 풀은 제3 리소스 풀과 제4 서브 리소스 풀로 분할 될 수 있고, 분할하지 않고,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 및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리소스 풀과 제6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고, 제5 리소스 풀과 제7 리소스 풀 사이도 오버랩되지 않는다.
제7 리소스 풀은 제6 리소스 풀을 포함하는데, 리소스 풀에서 제6 리소스 풀, 제7 리소스 풀 중 단말기기는 모두 기지국에 의해 리소스가 할당되므로, 제6 리소스 풀, 제7 리소스 풀 중 단말기기는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제7 리소스 풀과 제3 서브 리소스 풀, 제4 서브 리소스 풀은 오버랩되지 않는데, 제3 서브 리소스 풀, 제4 서브 리소스 풀에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가 포함되고, 이러한 단말기기는 리소스를 랜덤으로 선택하므로, 제7 리소스 풀 내의 단말기기에 대해 간섭을 발생하게 된다.
제8 리소스 풀은 제7 리소스 풀을 포함하고, 제8 리소스 풀 중 단말기기는 센싱 능력을 구비하여, 센싱을 통해 제7 리소스 풀 내의 단말기기에 대한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제8 리소스 풀은 제3 서브 리소스 풀, 제4 서브 리소스 풀을 포함하고, Release-14를 지원하는 단말기기 중 센싱 능력을 구비하는 단말기기와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는 리소스 풀을 공유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Release-15을 지원하는 단말기기 중 센싱 능력을 구비하는 단말기기와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도 리소스 풀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 및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센싱 능력을 가지며 제2 전송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기를 위해 비교적 큰 리소스 풀을 구성함으로써, 비교적 큰 리소스 풀 범위를 사용할 수 있고. 리소스 이용률을 향상시킨다.
상기 설명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를 위해 상이한 리소스 풀을 할당하고, 각 리소스 풀 사이의 관계를 합리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가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으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호 간섭을 감소시키며, 특히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기의 전송 신뢰도를 확보함과 동시에, 신규 버전을 지원하는 단말기기가 비교적 큰 리소스 풀 범위를 가지도록 하여, 리소스 이용률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는, 지원하는 프로토콜의 버전, 사용하는 전송 모드 및 센싱 능력 구비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상이하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Release-15를 지원하는 단말기기는 Release-15를 지원하는 단말기기 또는 Release-15를 지원하는 기타 버전의 단말기기, 예를 들어 Release-15를 지원하는 Release-16의 단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송 모드는 예를 들어 상술한 3GPP 프로토콜의 Release-14 중 전송 모드3일 수 있고, 단말기기가 상기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단말기기가 상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스케줄링된 리소스이며; 상기 제2 전송 모드는 예를 들어 상술한 3GPP 프로토콜의 Release-14 중 전송 모드4일 수 있고, 단말기기가 상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는 단말기기가 스스로 선택한 리소스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응한 리소스 풀에서 랜덤으로 선택한 리소스 또는 단말기기가 리소스 센싱 결과를 기반으로 결정한 리소스일 수 있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기기(10)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D2D 통신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610에서, 네트워크 기기가 복수의 리소스 풀을 결정하되,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 중 상이한 리소스 풀은 각각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는 사용하는 전송 모드,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버전 및 센싱 능력 구비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상이하다.
620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기로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정보를 발송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기기는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를 위해 상이한 리소스 풀을 할당하고, 각 리소스 풀 사이의 관계를 합리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가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으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호 간섭을 감소시키며, 특히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기의 전송 신뢰도를 확보함과 동시에, 신규 버전을 지원하는 단말기기가 비교적 큰 리소스 풀 범위를 가지도록 할 수 있으며, 리소스 이용률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는, 지원하는 프로토콜의 버전, 사용하는 전송 모드 및 센싱 능력 구비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상이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은 제1 리소스 풀, 제2 리소스 풀, 제3 리소스 풀과 제4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리소스 풀, 제2 리소스 풀과 제3 리소스 풀 사이는 서로 오버랩되지 않고, 상기 제4 리소스 풀과 상기 제1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으며,
여기서, 상기 제1 리소스 풀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2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한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3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4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 또는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센싱 능력을 구비한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4 리소스 풀은 상기 제2 리소스 풀 및/또는 상기 제3 리소스 풀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리소스 풀은 제1 서브 리소스 풀과 제2 서브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서브 리소스 풀은 구체적으로,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서브 리소스 풀은 구체적으로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은 제5 리소스 풀, 제6 리소스 풀, 제7 리소스 풀과 제8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상기 제5 리소스 풀과 상기 제6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고, 상기 제5 리소스 풀과 상기 제7 리소스 풀 사이도 오버랩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제5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 및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6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7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8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센싱 능력을 구비한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7 리소스 풀은 상기 제6 리소스 풀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8 리소스 풀은 상기 제5 리소스 풀, 상기 제6 리소스 풀과 상기 제7 리소스 풀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풀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5 리소스 풀은 제3 서브 리소스 풀과 제4 서브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3 서브 리소스 풀은 구체적으로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4 서브 리소스 풀은 구체적으로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스케줄링된 리소스이고;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는 상기 단말기기가 상응한 리소스 풀에서 스스로 선택한 리소스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네트워크 기기가 할당한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은 구체적으로 상술한 도 3 내지 도 5 및 표 1과 표 2에서 단말기기가 리소스 풀을 선택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간결성을 위하여, 여기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더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다양한 실시에에서 상기 각 과정의 번호의 크기는 수행 순서의 선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 바, 각 과정의 수행 순서는 그 기능과 내적인 논리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과정에 대해 그 어떤 한정도 하지 말아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D2D 통신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였고, 이하 도 7 내지 도 11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며, 방법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특징은 아래의 장치 실시예에도 적용된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기(7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기(700)는 결정유닛(710)과 전송유닛(720)을 포함한다. 여기서,
결정유닛(710)은 상기 단말기기가 사용하는 전송 모드 및 상기 단말기기의 센싱 능력 구비 여부에 따라, 복수의 리소스 풀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리소스 풀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 중 상이한 리소스 풀은 각각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는 사용하는 전송 모드,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버전 및 센싱 능력 구비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상이하고;
전송유닛(720)은 상기 리소스 풀 중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에 상이한 리소스 풀을 할당하고 각 리소스 풀 사이의 관계를 합리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가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으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호 간섭을 감소시키며, 특히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기의 전송 신뢰도를 확보함과 동시에, 신규 버전을 지원하는 단말기기가 비교적 큰 리소스 풀 범위를 가지도록 할 수 있으며, 리소스 이용률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는, 지원하는 프로토콜의 버전, 사용하는 전송 모드 및 센싱 능력 구비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상이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버전 Release-14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으면, 상기 결정유닛(710)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1 리소스 풀로 결정하고;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2 리소스 풀로 결정하되, 여기서, 상기 제2 리소스 풀과 상기 제1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고; 상기 단말기기가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3 리소스 풀로 결정하되, 여기서, 상기 제3 리소스 풀과 상기 제1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으며, 상기 제3 리소스 풀과 상기 제2 리소스 풀 사이도 오버랩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리소스 풀은 제1 서브 리소스 풀과 제2 서브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결정유닛(710)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리소스 풀을 상기 제1 리소스 풀 중 상기 제1 서브 리소스 풀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버전 Release-15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면, 상기 결정유닛(710)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리소스 풀을 상기 제1 리소스 풀로 결정하고; 상기 단말기기가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거나, 또는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4 리소스 풀로 결정하되, 상기 제4 리소스 풀과 상기 제1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결정유닛(710)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리소스 풀을 상기 제1 리소스 풀 중 상기 제2 서브 리소스 풀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4 리소스 풀은 상기 제2 리소스 풀 및/또는 상기 제3 리소스 풀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버전 Release-14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으면, 상기 결정유닛(710)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5 리소스 풀로 결정하고; 상기 단말기기가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6 리소스 풀로 결정하되, 상기 제6 리소스 풀과 상기 제5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5 리소스 풀은 제3 서브 리소스 풀과 제4 서브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결정유닛(710)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상기 제5 리소스 풀 중 상기 제3 서브 리소스 풀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버전 Release-15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면, 상기 결정유닛(710)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리소스 풀을 상기 제5 리소스 풀로 결정하고; 상기 단말기기가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7 리소스 풀로 결정하되, 상기 제7 리소스 풀과 상기 제5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으며;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8 리소스 풀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결정유닛(710)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리소스 풀을 상기 제5 리소스 풀 중 상기 제4 서브 리소스 풀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7 리소스 풀은 상기 제6 리소스 풀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8 리소스 풀은 상기 제5 리소스 풀, 상기 제6 리소스 풀과 상기 제7 리소스 풀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풀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스케줄링된 리소스이고;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는 상기 단말기기가 상응한 리소스 풀에서 스스로 선택한 리소스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8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800)는 결정유닛(810)과 전송유닛(820)을 포함한다. 여기서,
결정유닛(810)은 복수의 리소스 풀을 결정하되,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 중 상이한 리소스 풀은 각각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는 사용하는 전송 모드,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버전 및 센싱 능력 구비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상이하며;
전송유닛(820)은 단말기기에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정보를 발송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기기는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를 위해 상이한 리소스 풀을 할당하고, 각 리소스 풀 사이의 관계를 합리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가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으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호 간섭을 감소시키며, 특히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기의 전송 신뢰도를 확보함과 동시에, 신규 버전을 지원하는 단말기기가 비교적 큰 리소스 풀 범위를 가지도록 할 수 있으며, 리소스 이용률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는, 지원하는 프로토콜의 버전, 사용하는 전송 모드 및 센싱 능력 구비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상이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은 제1 리소스 풀, 제2 리소스 풀, 제3 리소스 풀과 제4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리소스 풀, 제2 리소스 풀과 제3 리소스 풀 사이는 서로 오버랩되지 않고, 상기 제4 리소스 풀과 상기 제1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으며, 여기서, 상기 제1 리소스 풀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한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3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4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 또는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센싱 능력을 구비한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4 리소스 풀은 상기 제2 리소스 풀 및/또는 상기 제3 리소스 풀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리소스 풀은 제1 서브 리소스 풀과 제2 서브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서브 리소스 풀은 구체적으로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서브 리소스 풀은 구체적으로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은 제5 리소스 풀, 제6 리소스 풀, 제7 리소스 풀과 제8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상기 제5 리소스 풀과 상기 제6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고, 상기 제5 리소스 풀과 상기 제7 리소스 풀 사이도 오버랩되지 않으며, 여기서, 상기 제5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 및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6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7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8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센싱 능력을 구비한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7 리소스 풀은 상기 제6 리소스 풀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8 리소스 풀은 상기 제5 리소스 풀, 상기 제6 리소스 풀과 상기 제7 리소스 풀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풀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5 리소스 풀은 제3 서브 리소스 풀과 제4 서브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3 서브 리소스 풀은 구체적으로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4 서브 리소스 풀은 구체적으로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스케줄링된 리소스이고;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는 상기 단말기기가 상응한 리소스 풀에서 스스로 선택한 리소스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기(900)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기는 프로세서(910), 트랜시버(920)와 메모리(930)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910), 트랜시버(920)와 메모리(930)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상기 메모리(930)는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프로세서(910)는 상기 트랜시버(920)가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신호를 발송하도록 상기 메모리(930)에 저장된 인스트럭션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910)는,
복수의 리소스 풀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 중 상이한 리소스 풀은 각각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는 사용하는 전송 모드,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버전 및 센싱 능력 구비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상이하며;
상기 트랜시버(920)는 단말기기에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정보를 발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버전 Release-14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으면, 상기 프로세서(910)는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1 리소스 풀로 결정하며;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2 리소스 풀로 결정하되, 여기서, 상기 제2 리소스 풀과 상기 제1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고; 상기 단말기기가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3 리소스 풀로 결정하되, 여기서, 상기 제3 리소스 풀과 상기 제1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고, 상기 제3 리소스 풀과 상기 제2 리소스 풀 사이도 오버랩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리소스 풀은 제1 서브 리소스 풀과 제2 서브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910)는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리소스 풀을 상기 제1 리소스 풀 중 상기 제1 서브 리소스 풀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버전 Release-15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면, 상기 프로세서(910)는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리소스 풀을 상기 제1 리소스 풀로 결정하고; 상기 단말기기가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거나, 또는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4 리소스 풀로 결정하되, 상기 제4 리소스 풀과 상기 제1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910)는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리소스 풀을 상기 제1 리소스 풀 중 상기 제2 서브 리소스 풀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4 리소스 풀은 상기 제2 리소스 풀 및/또는 상기 제3 리소스 풀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버전 Release-14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으면, 상기 프로세서(910)는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5 리소스 풀로 결정하고; 상기 단말기기가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6 리소스 풀로 결정하되, 상기 제6 리소스 풀과 상기 제5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5 리소스 풀은 제3 서브 리소스 풀과 제4 서브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910)는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상기 제5 리소스 풀 중 상기 제3 서브 리소스 풀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버전 Release-15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면, 상기 프로세서(910)는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리소스 풀을 상기 제5 리소스 풀로 결정하고; 상기 단말기기가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7 리소스 풀로 결정하되, 상기 제7 리소스 풀과 상기 제5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으며;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8 리소스 풀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910)는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리소스 풀을 상기 제5 리소스 풀 중 상기 제4 서브 리소스 풀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7 리소스 풀은 상기 제6 리소스 풀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8 리소스 풀은 상기 제5 리소스 풀, 상기 제6 리소스 풀과 상기 제7 리소스 풀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풀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스케줄링된 리소스이고;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는 상기 단말기기가 상응한 리소스 풀에서 랜덤으로 선택한 리소스 및/또는 상기 단말기기가 리소스 센싱 결과를 기반으로 결정한 리소스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910)는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910)는 기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특정 용도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부재, 이산 하드웨어 어셈블리 등일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통상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930)는 읽기 전용 메모리와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910)에 인스트럭션과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930)의 일부는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910) 중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인스트럭션을 통해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측위 방법의 단계와 결합하여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로서 구현되어 수행을 완성하거나, 또는 프로세서(910) 중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수행을 완성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이이피롬, 레지스터 등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저장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매체는 메모리(93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910)는 메모리(930) 중 정보를 읽어내고, 그 하드웨어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더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기(900)는 상기 방법(300)에서 방법(300)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기기, 및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기(700)에 대응될 수 있고, 상기 단말기기(900) 중 각 유닛 또는 모듈은 각각 상기 방법(300)에서 단말기기가 수행하는 각 동작 또는 처리과정을 수행하며, 여기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1000)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프로세서(1010), 트랜시버(1020)와 메모리(1030)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1010), 트랜시버(1020)와 메모리(1030)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상기 메모리(1030)는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프로세서(1010)는 상기 메모리(1030)에 저장된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상기 트랜시버(1020)가 신호를 수신하거나 신호를 발송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1010)는,
복수의 리소스 풀을 결정하되,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 중 상이한 리소스 풀은 각각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는 사용하는 전송 모드,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버전 및 센싱 능력 구비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상이하고;
상기 트랜시버(1020)는 단말기기에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정보를 발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은 제1 리소스 풀, 제2 리소스 풀, 제3 리소스 풀과 제4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리소스 풀, 상기 제2 리소스 풀과 상기 제3 리소스 풀 사이는 서로 오버랩되지 않고, 상기 제4 리소스 풀과 상기 제1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으며, 여기서, 상기 제1 리소스 풀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한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3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4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 또는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센싱 능력을 구비한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4 리소스 풀은 상기 제2 리소스 풀 및/또는 상기 제3 리소스 풀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리소스 풀은 제1 서브 리소스 풀과 제2 서브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서브 리소스 풀은 구체적으로,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서브 리소스 풀은 구체적으로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은 제5 리소스 풀, 제6 리소스 풀, 제7 리소스 풀과 제8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상기 제5 리소스 풀과 상기 제6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고, 상기 제5 리소스 풀과 상기 제7 리소스 풀 사이도 오버랩되지 않으며, 여기서, 상기 제5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 및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6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7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8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센싱 능력을 구비한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7 리소스 풀은 상기 제6 리소스 풀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8 리소스 풀은 상기 제5 리소스 풀, 상기 제6 리소스 풀과 상기 제7 리소스 풀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풀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5 리소스 풀은 제3 서브 리소스 풀과 제4 서브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3 서브 리소스 풀은 구체적으로,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4 서브 리소스 풀은 구체적으로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스케줄링된 리소스이고;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는 상기 단말기기가 상응한 리소스 풀에서 스스로 선택한 리소스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1010)는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1010)는 기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특정 용도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부재, 이산 하드웨어 어셈블리 등일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통상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030)는 읽기 전용 메모리와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010)에 인스트럭션과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1030)의 일부는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1010) 중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인스트럭션을 통해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측위 방법의 단계와 결합하여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로서 구현되어 수행을 완성하거나, 또는 프로세서(1010) 중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수행을 완성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이이피롬, 레지스터 등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저장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매체는 메모리(103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1010)는 메모리(1030) 중 정보를 읽어내고, 그 하드웨어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더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1000)는 상기 방법(600)에서 방법(600)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기, 및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800)에 대응될 수 있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1000) 중 각 유닛 또는 모듈은 각각 상기 방법(600)에서 네트워크 기기가 수행하는 각 동작 또는 처리과정을 수행하며, 여기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칩을 나타내는 일 구조도이다. 도 11의 시스템 칩(1100)은 입력 인터페이스(1101), 출력 인터페이스(1102),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3), 메모리(1104)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1101), 출력 인터페이스(1102), 상기 프로세서(1103) 및 메모리(1104)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프로세서(1103)는 상기 메모리(1104) 중 코드를 실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코드가 실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1103)는 방법 실시예에서 단말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300)을 실현할 수 있다. 간결성을 위하여, 여기서는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코드가 실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1103)는 방법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600)을 실현할 수 있다. 간결성을 위하여, 여기서는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실시예가 설명하는 각 예시적인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를 결합하여,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실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하드웨어 형태으로 수행할 것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형태식으로 수행할 것인지는 기술적 해결수단의 특정된 응용과 설계 제약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각 특정된 응용에 대해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실현은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본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설명의 편리와 간결성을 위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시스템, 장치와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상술한 방법 실시예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다는 것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몇개의 실시예에서 이해할 수 있는 것은, 개시된 시스템, 장치와 방법은 기타 방식을 통해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설명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획분은 단지 일종 논리적 기능의 획분으로서, 실제로 구현 시 별도의 획분 방식이 존재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어셈블리는 결합될 수 있으며, 다른 시스템에 집적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을 무시하거나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표시되거나 기재된 서로 사이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분리 부품으로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이거나 아닌 것일 수 있고, 유닛으로서 표시된 부분은 물리적 유닛이거나 아닐 수 도 있는 바, 즉 한 곳에 위치될 수 있거나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그 중 일부 또는 모든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서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모니터링유닛에 집적될 수 있고, 각 유닛이 단독으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둘 또는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만약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실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서 판매되거나 사용될 경우,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본질적으로 또는 선행기술에 비해 기여하는 부분 또는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바, 몇개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여 하나의 컴퓨터 기기(개인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다)가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방법의 모든 또는 일부 단계를 수행하도록 한다. 상술한 저장매체는 USB 메모리, 모바일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시디롬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설명은 단지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일 뿐, 본 출원의 실시예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범위 내에서 변화 또는 대체를 쉽게 생각해 낼 수 있고, 이러한 변화 또는 대체 또한 본 출원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44)

  1. 기기 대 기기(D2D) 통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기는 상기 단말기기가 사용하는 전송 모드 및 상기 단말기기가 센싱 능력을 구비하는지 여부에 따라, 복수의 리소스 풀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리소스 풀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 중 상이한 리소스 풀은 각각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는 사용하는 전송 모드,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버전 및 센싱 능력 구비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상이한 단계;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리소스 풀 중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대 기기(D2D)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기가 버전 Release-14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기는 상기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리소스 풀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1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2 리소스 풀로 결정하되, 여기서, 상기 제2 리소스 풀과 상기 제1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는 단계;
    상기 단말기기가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3 리소스 풀로 결정하되, 여기서, 상기 제3 리소스 풀과 상기 제1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고, 상기 제3 리소스 풀과 상기 제2 리소스 풀 사이도 오버랩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 풀은 제1 서브 리소스 풀과 제2 서브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리소스 풀을 제1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리소스 풀을 상기 제1 리소스 풀 중 상기 제1 서브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기가 버전 Release-15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면, 상기 단말기기는 상기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리소스 풀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리소스 풀을 상기 제1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기가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거나, 또는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4 리소스 풀로 결정하되, 상기 제4 리소스 풀과 상기 제1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리소스 풀을 제1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리소스 풀을 상기 제1 리소스 풀 중 상기 제2 서브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리소스 풀은 상기 제2 리소스 풀 및/또는 상기 제3 리소스 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기가 버전 Release-14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기는 상기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리소스 풀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5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기가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6 리소스 풀로 결정하되, 상기 제6 리소스 풀과 상기 제5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리소스 풀은 제3 서브 리소스 풀과 제4 서브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리소스 풀을 제5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상기 제5 리소스 풀 중 상기 제3 서브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기가 버전 Release-15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면, 상기 단말기기는 상기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리소스 풀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리소스 풀을 상기 제5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기가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7 리소스 풀로 결정하되, 상기 제7 리소스 풀과 상기 제5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는 단계;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8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리소스 풀을 제5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리소스 풀을 상기 제5 리소스 풀 중 상기 제4 서브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리소스 풀은 상기 제6 리소스 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8 리소스 풀은 상기 제5 리소스 풀, 상기 제6 리소스 풀과 상기 제7 리소스 풀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스케줄링된 리소스이고;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는 상기 단말기기가 상응한 리소스 풀에서 스스로 선택한 리소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기기 대 기기(D2D) 통신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가 복수의 리소스 풀을 결정하되,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 중 상이한 리소스 풀은 각각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는 사용하는 전송 모드,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버전 및 센싱 능력 구비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상이한 단계;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기기로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정보를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대 기기(D2D) 통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은 제1 리소스 풀, 제2 리소스 풀, 제3 리소스 풀과 제4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리소스 풀, 제2 리소스 풀과 제3 리소스 풀 사이는 서로 오버랩되지 않고, 상기 제4 리소스 풀과 상기 제1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으며,
    여기서, 상기 제1 리소스 풀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한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3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4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 또는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센싱 능력을 구비한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리소스 풀은 상기 제2 리소스 풀 및/또는 상기 제3 리소스 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 풀은 제1 서브 리소스 풀과 제2 서브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서브 리소스 풀은 구체적으로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2 서브 리소스 풀은 구체적으로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은 제5 리소스 풀, 제6 리소스 풀, 제7 리소스 풀과 제8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상기 제5 리소스 풀과 상기 제6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고 상기 제5 리소스 풀과 상기 제7 리소스 풀 사이도 오버랩되지 않으며,
    여기서, 상기 제5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 및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6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7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8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센싱 능력을 구비한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리소스 풀은 상기 제6 리소스 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8 리소스 풀은 상기 제5 리소스 풀, 상기 제6 리소스 풀과 상기 제7 리소스 풀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리소스 풀은 제3 서브 리소스 풀과 제4 서브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3 서브 리소스 풀은 구체적으로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4 서브 리소스 풀은 구체적으로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4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스케줄링된 리소스이고;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는 상기 단말기기가 상응한 리소스 풀에서 스스로 선택한 리소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단말기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기가 사용하는 전송 모드 및 상기 단말기기가 센싱 능력 구비 여부에 따라, 복수의 리소스 풀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리소스 풀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 중 상이한 리소스 풀은 각각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는 사용하는 전송 모드,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버전 및 센싱 능력 구비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상이한 결정유닛;
    상기 리소스 풀 중 시간 주파수 리소스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전송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기가 버전 Release-14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으면, 상기 결정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1 리소스 풀로 결정하고;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2 리소스 풀로 결정하되, 여기서, 상기 제2 리소스 풀과 상기 제1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으며;
    상기 단말기기가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3 리소스 풀로 결정하되, 여기서, 상기 제3 리소스 풀과 상기 제1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고, 상기 제3 리소스 풀과 상기 제2 리소스 풀 사이도 오버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 풀은 제1 서브 리소스 풀과 제2 서브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결정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리소스 풀을 상기 제1 리소스 풀 중 상기 제1 서브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기.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기가 버전 Release-15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면, 상기 결정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리소스 풀을 상기 제1 리소스 풀로 결정하고;
    상기 단말기기가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거나, 또는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4 리소스 풀로 결정하되, 상기 제4 리소스 풀과 상기 제1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리소스 풀을 상기 제1 리소스 풀 중 상기 제2 서브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기.
  28. 제23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리소스 풀은 상기 제2 리소스 풀 및/또는 상기 제3 리소스 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기.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기가 버전 Release-14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으면, 상기 결정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5 리소스 풀로 결정하고;
    상기 단말기기가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6 리소스 풀로 결정하되, 상기 제6 리소스 풀과 상기 제5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리소스 풀은 제3 서브 리소스 풀과 제4 서브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결정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상기 제5 리소스 풀 중 상기 제3 서브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기.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기가 버전 Release-15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면, 상기 결정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리소스 풀을 상기 제5 리소스 풀로 결정하고;
    상기 단말기기가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7 리소스 풀로 결정하되, 상기 제7 리소스 풀과 상기 제5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으며;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면, 상기 리소스 풀을 제8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기.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기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으면, 상기 리소스 풀을 상기 제5 리소스 풀 중 상기 제4 서브 리소스 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기.
  33. 제29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리소스 풀은 상기 제6 리소스 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기.
  34. 제29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8 리소스 풀은 상기 제5 리소스 풀, 상기 제6 리소스 풀과 상기 제7 리소스 풀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기.
  35. 제23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스케줄링된 리소스이고;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는 상기 단말기기가 상응한 리소스 풀에서 스스로 선택한 리소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기.
  36. 네트워크 기기에 있어서,
    복수의 리소스 풀을 결정하되,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 중 상이한 리소스 풀은 각각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상이한 유형의 단말기기는 사용하는 전송 모드,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버전 및 센싱 능력 구비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상이한 결정유닛;
    단말기기로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정보를 발송하는 전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은 제1 리소스 풀, 제2 리소스 풀, 제3 리소스 풀과 제4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리소스 풀, 제2 리소스 풀과 제3 리소스 풀 사이는 서로 오버랩되지 않고, 상기 제4 리소스 풀과 상기 제1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으며,
    여기서, 상기 제1 리소스 풀은,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한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3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4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 또는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센싱 능력을 구비한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리소스 풀은 상기 제2 리소스 풀 및/또는 상기 제3 리소스 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39.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 풀은 제1 서브 리소스 풀과 제2 서브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서브 리소스 풀은 구체적으로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고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2 서브 리소스 풀은 구체적으로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소스 풀은 제5 리소스 풀, 제6 리소스 풀, 제7 리소스 풀과 제8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상기 제5 리소스 풀과 상기 제6 리소스 풀 사이는 오버랩되지 않고, 상기 제5 리소스 풀과 상기 제7 리소스 풀 사이도 오버랩되지 않으며,
    여기서, 상기 제5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 및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6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7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8 리소스 풀은,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센싱 능력을 구비한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리소스 풀은 상기 제6 리소스 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42. 제40항 또는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8 리소스 풀은 상기 제5 리소스 풀, 상기 제6 리소스 풀과 상기 제7 리소스 풀 중 적어도 하나의 리소스 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43. 제40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리소스 풀은 제3 서브 리소스 풀과 제4 서브 리소스 풀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3 서브 리소스 풀은 구체적으로 버전 Release-14를 지원하고,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지 않으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4 서브 리소스 풀은 구체적으로 버전 Release-15를 지원하고,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하며 센싱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기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44. 제36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제1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시간 주파수 리소스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스케줄링된 리소스이고;
    상기 단말기기가 상기 제2 전송 모드를 사용할 경우, 상기 시간 주파수 리소스는 상기 단말기기가 상응한 리소스 풀에서 스스로 선택한 리소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KR1020207002147A 2017-08-02 2017-08-02 기기 대 기기 통신 방법, 단말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KR202000326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095650 WO2019023998A1 (zh) 2017-08-02 2017-08-02 设备对设备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694A true KR20200032694A (ko) 2020-03-26

Family

ID=65232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2147A KR20200032694A (ko) 2017-08-02 2017-08-02 기기 대 기기 통신 방법, 단말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17453B2 (ko)
EP (1) EP3618522B1 (ko)
JP (1) JP2020532893A (ko)
KR (1) KR20200032694A (ko)
CN (1) CN110710295B (ko)
WO (1) WO20190239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67705A (zh) * 2020-10-26 2021-02-12 Tcl通讯(宁波)有限公司 频域资源分配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6762365A (zh) * 2021-05-11 2023-09-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侧行传输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5696470A (zh) * 2021-07-26 2023-02-03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传输资源确定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3065252A1 (en) * 2021-10-21 2023-04-27 Nokia Shanghai Bell Co., Ltd. Resources usage optimizatio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24230B2 (ja) * 2014-01-29 2018-11-14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デバイスツーデバイス発見またはデバイスツーデバイス通信のためのリソース選択
US10660146B2 (en) * 2014-03-21 2020-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device to device synchronization priority
CN106256157B (zh) * 2014-05-06 2019-08-06 Lg电子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中指示d2d资源池的方法和装置
US10039119B2 (en) * 2014-05-23 2018-07-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vices and methods for D2D transmission
JP2017523666A (ja) * 2014-06-27 2017-08-17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バイス・ツー・デバイス通信のためのリソースプール・アクセス
US10251161B2 (en) * 2014-08-07 2019-04-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resource block pool of terminal in D2D communication, and apparatus therefor
US9888508B2 (en) * 2014-11-06 2018-02-06 Intel Corporation D2D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 of transmission for overlapped D2D resource pools
US20160295624A1 (en) * 2015-04-02 2016-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source pool design for vehicular communications
US10616864B2 (en) * 2015-08-07 2020-04-07 Sharp Kabushiki Kaisha Allocating resources for wireless sidelink direct communications
CN106793090B (zh) * 2016-07-29 2018-10-16 北京展讯高科通信技术有限公司 D2d直接通信资源的选择方法及系统
CN108024264B (zh) * 2016-11-03 2022-08-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资源选择方法及装置
CN108633048A (zh) * 2017-03-24 2018-10-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资源分配方法及装置
CN108696935A (zh) * 2017-04-11 2018-10-23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v2x资源配置方法、装置和相关设备
CN110235497B (zh) * 2017-05-04 2022-02-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配置传输资源的方法、装置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710295A (zh) 2020-01-17
JP2020532893A (ja) 2020-11-12
US20200120729A1 (en) 2020-04-16
EP3618522A4 (en) 2020-04-22
EP3618522B1 (en) 2021-05-19
US11317453B2 (en) 2022-04-26
CN110710295B (zh) 2021-01-22
EP3618522A1 (en) 2020-03-04
WO2019023998A1 (zh) 2019-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00501B2 (ja) データ伝送方法、端末機器及びネットワーク機器
US11317453B2 (e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method for reducing mutual interference between different types of terminal devices,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10809866B (zh) 命令接收方法、装置及通信系统
JP2022511296A (ja) 構成情報の伝送方法および端末機器
CN109565680B (zh) 资源调度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11419111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10651514B (zh) 数据传输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JP2022509581A (ja) リソースプールを切り替える方法、端末デバイス及び通信デバイス
JP2020524939A (ja) 無線通信方法及びデバイス
JP6995888B2 (ja) 無線通信方法及び装置
JP2021529442A (ja) 物理ランダムアクセスチャネル伝送用のチャネルアクセス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0520575A (ja) 信号を伝送する方法、ネットワーク機器及び端末機器
JP2021528894A (ja) 能力のインタラクション方法および関連機器
KR20180127963A (ko) 릴레이 전송 방법 및 장치
JP2022506187A (ja) データ伝送方法及び端末デバイス
KR20200032084A (ko) 상향 전송 방법 및 단말기 디바이스
WO2016045097A1 (zh) D2d信号跳频方法及基站
JP2023134649A (ja) サイドリンクにおける伝送モードの決定方法、端末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JP2022521747A (ja) 無線通信方法、端末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KR20210044230A (ko) 자원 할당의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US11122548B2 (e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KR20200052314A (ko) 무선 통신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KR20220045141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네트워크 기기 및 저장 매체
JP2022506321A (ja) 無線通信方法及びデバイス
US107432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allo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