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1982A - 중앙분리대 도색장치 - Google Patents

중앙분리대 도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1982A
KR20200031982A KR1020190055510A KR20190055510A KR20200031982A KR 20200031982 A KR20200031982 A KR 20200031982A KR 1020190055510 A KR1020190055510 A KR 1020190055510A KR 20190055510 A KR20190055510 A KR 20190055510A KR 20200031982 A KR20200031982 A KR 20200031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int
transmission unit
power transmission
paint spr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일
Original Assignee
이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일 filed Critical 이종일
Priority to KR1020190055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1982A/ko
Publication of KR20200031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9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B05B13/04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with spray heads reciprocating along a straight line
    • B05B13/041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with spray heads reciprocating along a straight line the angular position of the spray heads relative to the straight line being modified dur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ime, or sequence, of deli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과 같은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중앙분리대에 식별라인 등을 도색하는 것으로, 이동수단의 이동에 따라 중앙분리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도료 분사부가 상하/좌우/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도료를 분사하는 도료 분사부가 중앙분리대에 일정하게 접촉할 수 있고, 중앙분리대의 굴곡진 부분에서도 끊김 없이 일정하게 도료를 분사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중앙분리대 도색장치{A painting apparatus for median strip}
본 발명은 도로의 상하행선을 분리하는 중앙분리대 또는 가드레일과 같은 방호책에 식별라인을 도색하기 위한 도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로에는 차량의 운전자 보호 등을 위한 목적으로 중앙분리대 또는 가드레일과 같은 방호책이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행선과 하행선을 분리하는 중앙분리대는 콘크리트 구조물이 다수 개 연결된 형태이고, 가드레일은 다수 개의 금속구조물이 연결된 형태이다.
야간에 중앙분리대나 가드레일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중앙분리대나 가드레일의 일부분에 반사판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있었으나, 반사판만으로는 중앙분리대나 가드레일의 식별이 용이하지 않았다.
한편, 차로의 경계나 차선의 경계가 야간에도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식별용 도료(일반적으로 빛 반사 효율이 우수한 도료를 사용함) 또는 유리분말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차로의 경계선 외측에 차량의 이탈에 의한 추락 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의 방호책을 설치해 놓는 경우도 있는데, 야간에도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의 방호책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식별용 도료를 사용해서 방호책을 도색해 놓고 있다.
차로의 경계나 차선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식별용 도료를 분사하여 도색하는 장치는 기계화되어 있었으나, 세워져 있는 방호책을 도색하기 위한 장치는 안출되어 있지 않아 중앙분리대나 가드레일과 같은 방호책을 도색하려 할 때는 작업자가 일일이 붓 또는 스프레이건 등을 움직여서 도색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중앙분리대와 같은 방호책의 도색작업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진행할 경우, 차량사고나 장시간의 실외작업으로 인해 안전사고 등이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방호책을 도색하기보다는 반사판을 방호책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해 놓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01992호
본 발명은 중앙분리대의 식별라인 도색작업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진행할 경우 일어날 수 있는 차량사고 및 장시간의 실외작업으로 인한 안전사고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자는 것으로, 차량과 같은 이동수단을 이용함으로써 도색작업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특히 중앙분리대의 굴곡진 부분에서도 끊김 없이 도색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중앙분리대 도색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앙분리대 도색장치는, 중앙분리대에 접촉하는 롤러와 중앙분리대로 도료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구비되는 도료 분사부;
상기 도료 분사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수단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수단의 이동에 따라 상기 도료 분사부를 이동시키는 소정 길이의 동력 전달부;
상기 도료 분사부와 동력 전달부 사이에 구비되어 후단부는 상기 동력 전달부에 연결되고, 상기 도료 분사부와 연결축에 의해 좌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도료 분사부가 전방에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소정 각 회전한 후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댐핑부; 및
상기 분사노즐로 도료를 공급하는 도료 공급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앙분리대 도색장치는, 상기 동력 전달부의 선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댐핑부의 후단부가 상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축; 및
상기 도료 분사부와 상기 동력 전달부에 연결되고, 몸체의 회전에 따라 몸체의 일단부에서 인출 또는 삽입되는 로드가 상기 도료 분사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로드가 상기 몸체에서 인출 또는 삽입되면서 상기 도료 분사부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상하 회전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차량과 같은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중앙분리대에 식별라인 등을 도색하는 것으로, 이동수단의 이동에 따라 중앙분리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고, 도료를 분사하는 도료 분사부와 중앙분리대의 간격을 항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도료 분사부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중앙분리대의 굴곡진 부분에서도 끊김 없이 도료를 분사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분리대 도색장치의 전체적인 개략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앙분리대 도색장치의 도료 분사부를 정면과 측면에 바라본 개략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중앙분리대 도색장치의 댐핑부와 동력 전달부의 개략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중앙분리대 도색장치의 상하 회전 제어부와 상하 회전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하 회전하는 도료 분사부의 모습을 나타탠 상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분리대 도색장치의 승하강 제어부를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중앙분리대 도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중앙분리대 도색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과 같은 이동수단(2)의 이동과 함께 중앙분리대(1)의 식별선 도색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도색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앙분리대(1)에 접촉하는 롤러(116)에 의해 중앙분리대(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고, 중앙분리대(1)로 도료를 분사하는 분사노즐(111)이 내부에 구비되는 도료 분사부(110); 상기 도료 분사부(110)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수단(2)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수단(2)의 이동에 따라 상기 도료 분사부(110)를 이동시키는 소정 길이의 동력 전달부(130); 후단부는 상기 동력 전달부(130)에 연결되고, 상기 도료 분사부(110)가 연결축(125)에 의해 좌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도료 분사부(110)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소정 각 회전된 후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댐핑부(120); 및 상기 분사노즐(111)로 도료를 공급하는 도료 공급부(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부(130)의 선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댐핑부(120)의 후단부가 상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축(134); 및 도료 분사부(110)와 상기 동력 전달부(130)에 연결되고, 몸체(141)의 회전에 따라 몸체(141)의 일단부에서 인출 또는 삽입되는 로드(142)가 상기 도료 분사부(110)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로드(142)가 상기 몸체(141)에서 인출 또는 삽입되면서 상기 도료 분사부(110)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상하 회전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도료 분사부(11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분리대(1) 또는 방호벽에 접촉하는 롤러(116); 상기 롤러(116)가 고정되는 가드 프레임(115); 상기 가드 프레임(115)에 선단부가 연결되고, 전면은 개방되며, 분사노즐(111)이 내부에 구비되는 노즐 보호판(112);을 포함한다.
상기 도료 분사부(110)는 롤러(116)가 중앙분리대(1)에 접촉하고, 차량과 같은 이동수단(2)에 의해 중앙분리대(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도료 공급부(3)로부터 공급되는 도료를 분사노즐(111)이 중앙분리대(1)로 일정하게 분사하는 것이다.
상기 도료 공급부(3)는 분사노즐(111)과 호스 연결되고, 분사노즐(111)로 필요한 도료를 공급하는 것으로, 이동수단(2)에 구비될 수 있고, 도료 분사부(110)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도료 분사부(110)는 분사노즐(111)의 일측에 도료의 분사 후 도료의 표면에 유리분말을 분사하는 유리분말 분사보즐(117) 더 구비된다.
상기 유리분말 분사노즐(117)은 분사노즐(111)에 의해 중앙분리대(1)에 도료가 분사된 후 중앙분리대(1)의 도료 표면에 빛을 반사하는 유리분말을 분사하는 것으로, 야간과 같이 중앙분리대(1)의 식별라인이 잘 보이지 않는 경우 빛의 반사에 의해 식별라인이 잘 보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노즐 보호판(112)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111)을 고정 및 보호하는 것으로, 대략 육면체로 형성하되, 중앙분리대(1)와 마주하여 도료가 분사되는 전면은 개방되고, 선단부의 상하단부 또는 좌우단부에 롤러(116)의 고정을 위한 가드 프레임(115)이 형성된다.
상기 노즐 보호판(112)의 형상은 육면체에 한정되지 않고, 전면과 상하면이 개방될 수 있다. 그러나 노즐 보호판(112)의 좌우측면은 개방하지 않고 폐쇄함으로써, 분사노즐(111)의 도료 분사시 바람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116)는 가드 프레임(115)에 고정되어 있으나, 가드 프레임(115)이 없을 경우 노즐 보호판(112)의 선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111)은 노즐 보호판(112) 내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도료 공급부(3)와 호스에 의해 연결되며, 도료를 중앙분리대(1)로 분사하여 중앙분리대(1)에 식별선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노즐 보호판(112)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노즐 고정바(114)에 연결되어 노즐 보호판(112)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분사노즐(111)은 노즐 보호판(112) 내부에 구비되나, 상기 노즐 보호판(112)이 없을 경우 상기 가드 프레임(115)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노즐 보호판(112)은 일측면에 전후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장홈(112a)이 형성되고, 상기 장홈(112a)에는 상기 분사노즐(111)에 연결되는 노즐 고정바(114)가 너트(114a) 체결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분사노즐(111)은 상기 노즐 고정바(114)에 의해 노즐 보호판(112) 내부에서 전후방향 및/또는 좌우방향으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도료 분사부(110)는 동력 전달부(130)를 통해 이동수단(2)의 동력을 공급받는다.
상기 동력 전달부(130)는 상기 도료 분사부(110)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수단(2)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수단(2)의 동력을 도료 분사부(110)로 전달하여 이동수단(2)의 이동에 따라 상기 도료 분사부(110)를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동력 전달부(13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수단(2)에 후단부가 연결되고, 전면이 개방되는 관 형상의 제1 전달부(131); 및 상기 제1 전달부(131)의 전면으로 삽입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전달부(131)의 전방으로 인출 또는 삽입되면서 동력 전달부(130)의 전체 길이를 가변시키는 제2 전달부(13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전달부(132)는 후술할 댐핑부(12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부(130)는, 제2 전달부(132)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외주연에 스프링(132b)이 감겨진 연결봉(132a); 상기 제1 전달부(131)의 측면에 상기 연결봉(132a)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132a)의 일단부가 관통하는 연결구(131a); 및 상기 연결봉(132a)의 일단부에 체결되는 너트(133);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전달부(132)가 상기 연결봉(132a)에 감겨진 스프링(132b)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전달부(131)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것이다.
상기 제1 전달부(131)는 후단부가 이동수단(2)에 연결되고, 전면은 개방되어 상기 제2 전달부(132)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삽입 또는 인출되는 것으로, 이로 인해 이동수단(2)과 중앙분리대(1)의 거리 변화에 상관없이 상기 도료 분사부(110)의 롤러(116)가 중앙분리대(1)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제1 전달부(131)와 제2 전달부(132)는 스프링(132b)이 감겨진 연결봉(132a)에 의해 연결되는데, 상기 제1 전달부(131)의 좌우측면에는 내부가 중공된 연결구(131a)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전달부(132)의 좌우측면에는 일단부가 상기 연결구(131a)를 관통하여 너트(133) 체결되는 연결봉(132a)이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연결봉(132a)의 외주연에는 스프링(132b)이 감겨져 있다.
상기 연결봉(132a)은 제1 전달부(131)와 제2 전달부(132)의 상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전달부(132)가 상기 제1 전달부(131)에 삽입 시, 상기 연결봉(132a)의 일단부가 연결구(131a)의 후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고, 이로 인해 연결봉(132a) 외측의 스프링(132b)이 연결구(131a)와 연결봉(132a)의 머리부 사이에서 압착되며, 압착되었던 스프링(132b)의 탄성복원력에 상기 제2 전달부(132)가 상기 제1 전달부(131)에서 인출되며, 이로 인해 동력 전달부(130)의 전체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중앙분리대(1)에서 이동수단(2)이 소정 거리 멀어지거나 근접하여도 도료 분사부(110)의 롤러(116)가 항시 중앙분리대(1)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수단(2)이 이동 중 중앙분리대(1)에 근접하게 되면, 상기 제2 전달부(132)가 제1 전달부(131) 내부로 삽입되고, 이동수단(2)이 중앙분리대(1)에서 멀어지게 되면 제2 전달부(132)가 제1 전달부(131) 내부에서 탄성복원력에 의해 인출되며, 이로 인해 도료 분사부(110)의 롤러(116)가 항시 중앙분리대(1)에 접촉하고, 분사노즐(111)이 도료를 안정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동력전달부(130)와 도료 분사부(110) 사이에는 상기 도료 분사부(110)의 좌우 회전 시, 탄성복원력에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댐핑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댐핑부(12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 전달부(130)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고정축(134)에 연결되고, 도료 분사부(110)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1 링크(113)와 연결축(125)에 의해 연결되기 위한 제2 링크(122)가 중앙부에 형성되는 지지판(121); 및 상기 제2 링크(122)의 좌우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고, 전후단부가 상기 지지판(121)과 도료 분사부(110)에 연결되는 탄성스프링(123);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121)은 동력 전달부(130)의 전방에 위치하고, 후면 좌우측에는 상기 동력 전달부(130)의 고정축(134)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121)의 전면 중앙부에는 도료 분사부(110)의 제1 링크(113)와 연결축(125)에 의해 연결되는 제2 링크(122)가 형성되어 상기 도료 분사부(110)가 댐핑부(120)의 전방에서 좌우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도료 분사부(110)가 전방에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소정 각 회전한 후에는 탄성스프링(12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는 것이다.
즉, 상기 댐핑부(120)는 도료 분사부(110)와 제1 링크(113), 제2 링크(122) 및 연결축(125)에 의해 좌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도료 분사부(11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한 후에는 탄성스프링(12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돕는 것으로, 특히 중앙분리대(1)의 굴곡진 부위에서 상기 도료 분사부(110)가 좌우 회전과 상기 동력 전달부(130)의 길이 가변에 의해 중앙분리대(1)의 굴곡진 표면을 따라 밀착되면서 이동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해 중앙분리대(1)의 굴곡진 부위에서도 도료 분사에 의한 도색 작업이 끊기지 않고 쉽게 이루어지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앙분리대 도색장치(100)는, 상기 동력 전달부(130)의 선단부에 고정축(134)이 형성되고, 상기 댐핑부(120)의 후단부가 상기 고정축(134)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도료 분사부(110)와 상기 동력 전달부(130)의 하부에 연결되고, 몸체(141)의 회전에 따라 몸체(141)의 일단부에서 인출 또는 삽입되는 로드(142)가 상기 동력 전달부(130)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로드(142)가 상기 몸체(141)에서 인출 또는 삽입되어 전체 길이가 가변되면서 상기 도료 분사부(110)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상하 회전 제어부(1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하 회전 제어부(14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형상의 몸체(141); 및 상기 몸체(141)의 내부에 나사 방식으로 삽입되어 몸체(141)의 회전에 따라 몸체(141) 일단부에서 인출 또는 삽입되는 로드(142);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41)는 상기 도료 분사부(110)의 하부에 순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몸체(141)의 일단부에서 소정 길이 돌출되는 상기 로드(142)는 동력 전달부(13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3 링크(135)에 핀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로드(142)는 상기 제3 링크(13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몸체(141)는 소정 길이의 봉에 의해 노즐 보호판(112) 또는 가드 프레임(115)의 하부에 연결되며,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에 의해 로드(142)를 몸체(141)의 일단부에서 소정길이 인출되거나 삽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몸체(141)의 회전 방향에 따라 몸체(141) 일단부에서 돌출되는 로드(142)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하 회전 제어부(140)는, 상기 몸체(141)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톱니(143); 및 상기 톱니(143)에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걸리면서 밀거나 당김에 의해 상기 몸체(141)를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작동손잡이(144);를 포함한다.
상기 상하 회전 제어부(140)는 핸드잭(hand-jack) 또는 나사잭(screw-jack) 일 수 있으며, 작동손잡이(144)의 작동에 따라 몸체(141)가 회전되고, 몸체(141)의 회전 방향에 따라 로드(142)가 몸체(141)의 일단부에서 인출되거나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 회전 제어부(140)는 몸체(141) 내부의 유압에 의해 로드(142)가 몸체(141)의 일단부에서 인출 또는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로드(142)가 몸체(141)에 삽입될 경우, 몸체(141) 외부로 돌출되는 로드(142)의 길이가 짭아지면서 몸체(141)에 연결된 도료 분사부(110)의 하부가 당겨져 하측으로 회전하고, 반대로 로드(142)가 몸체(141)에서 소정 길이 인출되어 돌출되는 길이가 길어질 경우, 도료 분사부(110)의 하부가 밀리면서 상측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작동손잡이(144)의 작동 방향(몸체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김)에 따라 상기 도료 분사부(110)가 댐핑부(120)의 전방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간단히 회전하고, 이로 인해 중앙분리대(1)의 도색작업을 해야 할 위치에 맞추어 도료 분사부(110)를 상하 조절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앙분리대 도색장치(100)는, 상기 동력 전달부(130)의 후단부와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구비되는 나사축(152)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동력 전달부(130)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상기 도료 분사부(11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 제어부(1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승하강 제어부(150)는, 상기 나사축(152)이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소정 높이의 고정 프레임(151); 및 상기 고정 프레임(151)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단부가 연결편(153a)에 의해 상기 나사축(152)에 고정되고, 상기 동력 전달부(130)의 후단부가 내부에 구비되는 고정부(154)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나사축(152)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동력 전달부(13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 프레임(153);을 포함한다.
즉, 상기 고정 프레임(151)은 이동수단(2)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151)의 전면에는 나사축(152)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 하는 승하강 프레임(153)이 구비되며, 승하강 프레임(153)에는 동력 전달부(130)가 고정부(154)에 의해 연결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나사축(152)이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151)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고, 나사축(152)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상기 승하강 프레임(153)이 상승 또는 하강하며, 이에 따라 동력 전달부(130)가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도료 분사부(110)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중앙분리대(1)에 도료를 분사하여 식별라인 등을 도색하는 것으로, 이동수단(2)의 이동에 따라 중앙분리대(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고, 도료 분사부(110)가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도료를 분사하는 도료 분사부(110)가 중앙분리대(1)에 항시 일정하게 접촉할 수 있으며, 중앙분리대(1)의 굴곡진 부분에서도 끊김 없이 도료를 분사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중앙분리대 2 : 이동수단
3 : 도료 공급부 100 : 중앙분리대 도색장치
110 : 도료 분사부 111 : 분사노즐
112 : 노즐 보호판 112a : 장홈
113 : 제1 링크 114 : 노즐 고정바
115 : 가드 프레임 116 : 롤러
117 : 유리분말 분사노즐 120 : 댐핑부
121 : 지지판 122 : 제2 링크
123 : 탄성스프링 125 : 연결축
130 : 동력 전달부 131 : 제1 전달부
132 : 제2 전달부 140 : 상하 회전 제어부
141 : 몸체 142 : 로드
150 : 승하강 제어부 151 : 고정 프레임
152 : 나사축 153 : 승하강 프레임
154 : 고정부

Claims (3)

  1. 중앙분리대(1)에 접촉하는 롤러(116)와 중앙분리대(1)로 도료를 분사하는 분사노즐(111)이 구비되는 도료 분사부(110);
    이동수단(2)에 연결되고, 이동수단(2)의 이동에 따라 상기 도료 분사부(110)를 이동시키는 동력 전달부(130);
    상기 도료 분사부(110)와 동력 전달부(130) 사이에 구비되고, 선단부는 연결축(125)에 의해 상기 도료 분사부(110)와 좌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후단부는 상기 동력 전달부(130)에 연결되고, 전방에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기 도료 분사부(110)를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댐핑부(120); 및
    상기 분사노즐(111)로 도료를 공급하는 도료 공급부(3);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부(130)는,
    후단부는 이동수단(2)에 연결되고, 전면이 개방되는 관 형상의 제1 전달부(131); 및
    후단부가 상기 제1 전달부(131)의 전면으로 삽입되고, 선단부는 상기 댐핑부(120)에 연결되며,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전달부(131)의 전방으로 인출거나 내부로 삽입되면서 동력 전달부(130)의 전체 길이를 가변시키는 제2 전달부(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 도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130)는,
    상기 제1 전달부(131)의 측면에 형성되는 연결구(131a); 및
    상기 제2 전달부(132) 측면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외주연에 스프링(132b)이 감겨지며, 후단부는 상기 연결구(131a)를 관통하여 너트(133)가 체결되는 연결봉(132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 도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130)의 선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댐핑부(120)의 후단부가 상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축(134); 및
    상기 도료 분사부(110)와 상기 동력 전달부(130)에 연결되고, 몸체(141)의 회전에 따라 몸체(141)의 일단부에서 인출 또는 삽입되는 로드(142)가 상기 동력 전달부(130)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로드(142)가 상기 몸체(141)에서 인출 또는 삽입되어 전체 길이가 가변되면서 상기 도료 분사부(110)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상하 회전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 도색장치.
KR1020190055510A 2019-05-13 2019-05-13 중앙분리대 도색장치 KR202000319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510A KR20200031982A (ko) 2019-05-13 2019-05-13 중앙분리대 도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510A KR20200031982A (ko) 2019-05-13 2019-05-13 중앙분리대 도색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865A Division KR101979714B1 (ko) 2018-09-17 2018-09-17 중앙분리대 도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982A true KR20200031982A (ko) 2020-03-25

Family

ID=70001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510A KR20200031982A (ko) 2019-05-13 2019-05-13 중앙분리대 도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198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992B1 (ko) 2001-12-31 2005-07-25 최장선 차선도색차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992B1 (ko) 2001-12-31 2005-07-25 최장선 차선도색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714B1 (ko) 중앙분리대 도색장치
KR101351307B1 (ko) 도로의 차선도색장치
KR102230724B1 (ko) 가드레일 표시라인 도색장치
CN111746151B (zh) 一种钢管喷印装置
KR101589024B1 (ko) 파괴 방수형 소방차
KR20200031982A (ko) 중앙분리대 도색장치
CN108311327B (zh) 一种道路设施维护用公路警示桩喷漆设备
EP0021584B1 (en) Motorised vehicle for effecting a spraying operation
CN107435304A (zh) 一种安全型道路护栏清洁装置
KR100680148B1 (ko) 굴절식 보조사다리를 구비한 고가사다리
CN204911932U (zh) 立式粉末喷涂喷房清理装置
CN105080772A (zh) 立式粉末喷涂喷房清理装置
KR200392250Y1 (ko) 가로등 램프 하우징의 탈착구조
CN108590127B (zh) 一种用于高空作业的自动刷墙装置
CN210889001U (zh) 大倾角液压支架
KR102182714B1 (ko) 경계석 도색 장치
CN204111157U (zh) 一种自动扶梯或人行道断链保护装置
US3943635A (en) Guide line tracer
DE202007006874U1 (de) Wintergartenmarkise und Reinigungseinrichtung für eine Wintergartenverglasung
KR102639169B1 (ko) 선박 블록 외판 블라스팅 장치
KR20110117448A (ko) 가드레일 페인팅머시인
DE202013001422U1 (de) Vorrichtung für Strahlarbeiten
ITBZ20100008A1 (it) Barriera paraneve per tetti
CN208576964U (zh) 一种煤仓清堵装置
CN219710062U (zh) 一种桥梁防护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