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1928A - 방수형 조인트 커넥터 - Google Patents

방수형 조인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1928A
KR20200031928A KR1020180111039A KR20180111039A KR20200031928A KR 20200031928 A KR20200031928 A KR 20200031928A KR 1020180111039 A KR1020180111039 A KR 1020180111039A KR 20180111039 A KR20180111039 A KR 20180111039A KR 20200031928 A KR20200031928 A KR 20200031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housing
terminal
space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0031B1 (ko
Inventor
이정재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1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031B1/ko
Publication of KR20200031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형 조인터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인트커넥터의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을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다수개의 터미널안착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선단에는 프론트시일(30)이 설치된 상태로 프론트홀더(50)가 장착되고 후단에는 리어시일(40)을 게재한 상태로 리어홀더(60)가 장착된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2)에는 메일터미널(20)이 삽입되어 장착된 상태로 상기 리어홀더(6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프론트홀더(50)의 전면판(54)에 형성된 와이어통공(56)과 상기 프론트시일(30)에 형성된 통공(34)을 관통하여 상대 터미널이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2)으로 삽입되어 상기 메일터미널(20)과 결합되고 상기 메일터미널(20)은 다수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로를 연결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방수형 조인트커넥터의 크기가 소형화되고 부품수가 줄어들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방수형 조인트 커넥터{Waterproof type joint connector}
본 발명은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수가 가능하고 피메일 터미널을 삽입하여 회로를 연결하는 방수형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조인트 커넥터는 내부에 있는 터미널이 전부 또는 몇 개씩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대 조인트 커넥터가 결합됨에 의해 각종 전장부품들이 형성하는 회로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조인트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2개의 커넥터가 서로 결합되어 회로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회로를 연결하는 조인트 커넥터가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커넥터로 구성되어 서로 결합되어 체결됨에 의해 회로를 연결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조인트 커넥터가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커넥터로 구성되기 때문에 결합되었을 때 상대적으로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이는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커넥터의 체결구조와 오조립 방지 가이드와 같은 구조가 반드시 있어야 하기 때문에 그러하다.
그리고, 메일커넥터의 경우에는 하우징의 내부에 메일터미널이 위치되는데, 상기 메일터미널이 있는 내부가 피메일커넥터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이므로 외부의 물체에 의해 메일터미널이 손상될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
또한, 조인트커넥터 공급자의 경우 피메일 커넥터에 와이어에 연결된 피메일터미널을 모두 삽입하여 납품하여야 하므로, 작업공수가 많아지는 문제점도 있다. 특히, 방수형에서는 와이어와 피메일터미널을 연결하면서 와이어시일을 일일이 함께 조립해야 하므로 더욱 작업공수가 많아지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조인트 커넥터의 경우에서는 메일터미널이 메일커넥터에 설치되는 것이 압입에 의해서만 이루어진다. 즉, 메일터미널의 돌기부가 메일커넥터 하우징에 형성된 통공 내에 압입된 상태로만 메일터미널이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고정 상태에서 상대 터미널이 결합되면 메일터미널의 고정상태가 훼손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236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와이어에 연결된 터미널을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하여 내부의 터미널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수형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의 터미널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방수형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의 터미널을 하우징에 압입하여 설치함과 동시에 터미널의 후단을 지지하는 구조를 가지는 방수형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다수개의 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에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서 삽입되어 위치되고 다수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의 후단을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장착되는 리어홀더와, 상기 하우징의 후단 외면과 상기 리어홀더의 내면 사이에 위치되어 방수작용을 하는 리어시일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의 터미널안착공간 후단에는 압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의 탭부가 압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의 후단 외면을 둘러서는 상기 리어시일이 안착되는 리어시일안착단이 하우징 외면을 다른 부분보다 낮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스페이서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측 외면으로 개방되고, 상기 스페이서공간에는 상기 터미널과 결합되는 상대 터미널을 지지하는 스페이서가 설치된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스페이서공간 내에 위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공간 입구를 차폐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제1록킹턱과 제2록킹턱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체결후크를 포함한다.
상기 스페이서의 헤드 내면과 상기 스페이서공간의 입구 내측의 시일안착단의 사이에는 상기 몸체가 중앙을 관통하는 사이드시일이 압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은 상대 터미널과 결합되는 탭부의 후단에 연결부가 구비되어 다수개의 탭부가 상기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리어홀더의 내면에 지지된다.
상기 하우징의 선단 내부에는 시일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시일공간에는 프론트시일이 설치된다.
상기 프론트시일은 육면체 형상으로 된 것으로 상기 터미널안착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시일이 시일공간 내에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 프론트홀더가 장착된다.
상기 프론트홀더는 상기 시일공간의 횡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판형상의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 가장자리를 둘러 전면판과 직교하게 형성되는 측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판에는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의 갯수와 같거나 작은 갯수의 통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다수개의 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선단 내부에 시일공간이 형성되며 후단 외면을 둘러 리어시일안착단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에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서 삽입되어 위치되고 다수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터미널과, 상기 시일공간에 안착되고 상기 터미널안착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이 형성되며 방수역할을 하는 탄성재질의 프론트시일과,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 장착되고 상기 프론트시일의 통공과 같거나 작은 갯수의 와이어통공을 가지는 프론트홀더와, 상기 터미널의 후단을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장착되는 리어홀더와, 상기 하우징의 후단 외면과 상기 리어홀더의 내면 사이에 위치되어 방수작용을 하는 리어시일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스페이서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측 외면으로 개방되고, 상기 스페이서공간에는 상기 터미널과 결합되는 상대 터미널을 지지하는 스페이서가 설치된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스페이서공간 내에 위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공간 입구를 차폐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제1록킹턱과 제2록킹턱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체결후크를 포함한다.
상기 스페이서의 헤드와 상기 하우징의 스페이서공간 입구의 시일안착단 사이에는 사이드시일이 설치되는데, 상기 사이드시일은 상기 스페이서의 몸체가 관통한 상태로 상기 헤드와 시일안착단 사이에 압착된다.
상기 프론트시일은 상기 시일공간에 안착되는 육면체 형상의 시일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시일공간의 내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 개의 리브가 나란히 형성되어 압착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방수형 조인트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하우징내에서 메일터미널과 피메일터미널이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회로를 연결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하우징간의 체결을 위한 구조와 조립을 안내하는 구조가 없어도 되므로 조인트 커넥터의 전체 크기가 소형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메일터미널이 하나의 피메일터미널이 안착될 수 있는 터미널안착공간 내에 위치하므로 외부의 물체에 의한 불의의 외력발생이 없다. 그렇지 않다하더라도 프론트홀더의 와이어통공의 크기는 피메일터미널이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이므로 불의의 외력이 메일터미널에 작용하지 않게 되어 메일터미널의 설치 상태가 정확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메일터미널이 하우징의 압입공에 압입되어 하우징에 고정됨과 동시에 하우징 후단에 장착되는 리어홀더에 의해 지지므로 메일터미널의 설치상태가 견고하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형 조인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하우징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터미널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프론트홀더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리어홀더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례의 방수형 조인트 커넥터의 골격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절연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10)에는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다수개의 터미널 안착공간(12)이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6개의 터미널 안착공간(12)이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의 횡방향으로는 스페이서공간(14)이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공간(1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스페이서(70)가 삽입되어 위치된다. 상기 스페이서공간(14)은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외면으로 개방된다. 상기 스페이서공간(14)의 입구에 근접한 내측에는 시일안착단(14')이 형성된다. 상기 시일안착단(1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사이드시일(80)이 위치된다. 상기 스페이서공간(14)의 입구 내측에는 1차록킹단(15)과 2차록킹단(15')이 내부로 가면서 차례로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스페이서(70)의 설치 위치를 설정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선단 내측에는 시일공간(16)이 형성된다. 상기 시일공간(1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프론트시일(30)이 설치된다. 상기 시일공간(16)의 내측에서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2)이 시작된다. 상기 하우징(10)의 후단 외면에는 리어시일안착단(17)이 형성된다. 상기 리어시일안착단(17)은 그 횡단면 형상이 모서리가 라운드로 되는 사각형상이다. 상기 리어시일안착단(17)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리어시일(40)이 위치된다. 상기 리어시일안착단(17)은 상기 하우징(10)의 다른 외면에 비해 낮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의 후단으로는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2)의 일단부에 압입공(18)이 형성된다. 상기 압입공(18)은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2)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내경이 작게 형성된다. 상기 압입공(1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메일터미널(20)이 압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압입공(18)들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10)의 후단 내부에는 터미널턱(18')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턱(18')에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20)의 후단이 위치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선단 외면에는 프론트체결턱(19)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프론트체결턱(19)은 2개가 서로 반대되는 외면에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체결턱(19)은 아래에서 설명될 프론트홀더(50)와의 체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10)의 후단 외면에는 리어체결턱(19')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리어체결턱(19')은 2개가 한쌍으로 2쌍이 서로 반대되는 외면에 형성된다. 상기 리어체결턱(19')은 아래에서 설명될 리어홀더(60)와의 체결을 위한 것이다.
메일터미널(20)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메일터미널(20)은 다수개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례의 메일터미널(20)은 상대 터미널(도시되지 않음)과의 결합을 위한 탭부(22)가 선단에 있다. 상기 탭부(22)들을 연결하는 연결부(24)가 상기 탭부(22)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도록 상기 탭부(22)의 후단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24)에 인접한 상기 탭부(22)에는 결합턱(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턱(26)은 상기 탭부(22)의 폭방향 양측으로 돌출되게 만들어진다. 상기 결합턱(26)은 상기 압입공(18)내에 압입된다. 상기 결합턱(26)의 선단 사이의 길이는 상기 압입공(18)의 내경보다 크다. 상기 메일터미널(20)은 본 실시례에서는 탭부(22)가 3개씩 서로 연결된 것이 2개가 있다. 하지만, 상기 메일터미널(20)의 개수는 회로의 연결에 필요한 것 만큼 사용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시일공간(16)에는 프론트시일(30)이 설치된다. 상기 프론트시일(30)은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프론트시일(30)은 매트시일이 사용된다. 즉, 상기 프론트시일(30)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된 시일몸체(32)를 가진다. 상기 시일몸체(32)를 관통하여서는 통공(34)이 다수가 형성된다. 상기 통공(34)은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2)의 개수만큼 형성된다. 상기 통공(34)을 회로 연결을 위한 상대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통과한다.  상기 시일몸체(32)의 외면을 둘러서는 리브(3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3줄의 리브(36)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리브(36)는 상기 시일공간(16)의 내면에 탄성변형된 상태로 밀착된다. 상기 통공(34)의 내부에도 상기 리브(36)와 같은 구성이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리어시일안착단(17)에는 리어시일(40)이 설치된다. 상기 리어시일(40)도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져 방수작용을 한다. 상기 리어시일(40)은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링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리어시일(40)의 골격을 시일몸체(42)가 형성한다. 상기 시일몸체(42)의 내부를 관통하여 중앙통공부(44)가 형성된다. 상기 중앙통공부(44)에는 상기 하우징(10)이 위치된다. 상기 중앙통공부(44)의 내면이 상기 하우징(10)의 리어시일안착단(17)에 안착된다. 상기 시일몸체(42)의 외면과 상기 중앙통공부(44)의 내면에는 리브(4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리브(46)는  다수개가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리브(46)는 상기 프론트시일(30)의 리브(36)와 같은 형상이고 같은 역할을 한다. 상기 리어시일(40)은 아래에서 설명될 리어홀더(60)와 하우징(10) 사이의 방수를 수행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선단에는 프론트홀더(50)가 설치된다. 상기 프론트홀더(50)는 상기 하우징(10)의 선단에 장착되어 외부의 이물이 하우징(10)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시일공간(16)에 있는 프론트시일(30)이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프론트홀더(50)의 골격을 프론트홀더몸체(52)가 형성한다. 상기 프론트홀더몸체(52)는 전면판(54)과 측판(55)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판(54)은 상기 하우징(10)의 선단 입구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된다. 상기 전면판(54)의 가장자리를 둘러 전면판(54)과 직교하게 상기 측판(55)이 형성된다. 상기 측판(55)은 상기 하우징(10)의 선단 외면과 마주보게 된다.
상기 전면판(54)에는 와이어통공(56)이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통공(56)은 다수개가 형성되는데, 상기 프론트시일(30)의 통공(34)의 갯수보다는 적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와이어통공(56)의 개수와 동일한 숫자만큼 상기 와이어통공(5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론트홀더(50)의 측판(55)에는 체결걸이편(57)이 탄성변형가능하게 만들어진다. 상기 체결걸이편(57)은 상기 측판(55)의 일부를 형성하는데 탄성변형이 가능한 외팔보 형태이다. 상기 체결걸이편(57)에는 체결공(58)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58)에는 상기 하우징(10)의 프론트체결턱(19)이 위치된다. 상기 체결걸이편(57)은 본 실시례에서 2개가 상기 프론트체결턱(19)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의 후단에는 리어홀더(60)가 설치된다. 상기 리어홀더(60)는 상기 하우징(10)의 후단에 장착되어 상기 리어시일(40)을 압착시키는 역할과 상기 메일터미널(20)을 지지하여 정확한 위치에 있도록 한다. 상기 리어홀더(60)의 골격을 리어홀더몸체(62)가 형성한다. 상기 리어홀더몸체(62)는 배면판(64)과 측판(65)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면판(64)은 상기 하우징(10)의 후단 횡단면의 형상과 같은 형상을 가지는 판이고, 상기 배면판(64)의 가장자리를 둘러 배면판(64)에 직교하게 측판(65)이 형성된다. 상기 배면판(64)의 내면에는 상기 메일터미널(20)의 연결부(24)가 밀착된다. 상기 측판(65)의 내측 내면을 둘러서는 상기 리어시일(40)의 외면에 형성된 리브(46)가 밀착된다.
상기 리어홀더(60)의 측판(65)에는 체결걸이편(67)이 탄성변형가능하게 외팔보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체결걸이편(67)에는 체결공(68)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68)에는 후단체결턱(19')이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걸이편(67)에는 2개의 체결공(68)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걸이편(67)은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2개가 서로 마주보게 상기 측판(65)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스페이서공간(14)에는 스페이서(70)가 설치된다. 상기 스페이서(70)는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2)에서 상기 메일터미널(20)과 결합된 상대 터미널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스페이서(70)의 몸체(72)는 상기 스페이서공간(14) 내에 들어가서 상대 터미널을 걸어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몸체(72)의 일단부에는 헤드(74)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헤드(74)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으로 개구된 상기 스페이서공간(14)의 입구를 막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페이서(70)의 헤드(74) 양측에는 체결후크(7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후크(76)는 어느 정도의 탄성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제1록킹단(15)과 제2록킹단(15')에 선택적으로 길어진다. 도 3에는 제1록킹단(15)에 상기 체결후크(76)가 길어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스페이서(70)의 헤드(74) 내면에는 일측이 밀착되게 사이드시일(80)이 설치된다. 상기 사이드시일(80)은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서 상기 스페이서공간(14)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사이드시일(80)을 상기 스페이서(70)의 몸체(72)가 관통하게 된다. 상기 스페이서(70)가 관통하는 상기 사이드시일(80)은 상기 스페이서(70)가 2차록킹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시일안착단(14')에 안착되어 압착된 상태가 되어 스페이서공간(14)에 대한 방수작용을 한다. 상기 사이드시일(80)은 상기 시일안착단(14')이 형성되어 있는 공간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지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대략 도넛형상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형 조인트 커넥터가 사용되는지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부품들은 별도로 만들어져서 조립된다.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메일터미널(20)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메일터미널(20)의 탭부(22)는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2) 내에 있도록 상기 압입공(18)에 압입되고 상기 리어시일(40)이 상기 리어시일안착단(17)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리어홀더(60)가 상기 하우징(10)에 장착되어 상기 메일터미널(20)의 연결부(24)를 지지한다. 상기 연결부(24)는 상기 리어홀더(60)의 배면판(64)에 의해 지지되면 상기 터미널턱(18')에 안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상기 메일터미널(20)은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선단에 있는 시일공간(16)에는 프론트시일(30)이 안착되고, 상기 프론트시일(30)을 상기 프론트홀더(50)가 상기 하우징(10)에 장착됨에 의해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공간(14)에는 상기 스페이서(70)가 위치되는데, 상대터미널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후크(76)가 상기 제1록킹단(15)에 록킹된 상태이다. 즉, 상기 헤드(74)가 하우징(10)의 외면으로 돌출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스페이서(70)의 몸체(72)가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2)을 통한 상대 터미널의 진입을 방해하지 않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도 3의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홀더(50)의 와이어통공(56)을 통해서 와이어와 연결된 상대터미널이 삽입된다. 상기 상대 터미널은 상기 와이어통공(56)과 상기 프론트시일(30)의 통공(34)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10)의 터미널안착공간(12)으로 들어간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2)으로 들어간 상대 터미널의 선단은 상기 스페이서(70)가 있는 위치를 지나 상기 메일터미널(20)의 탭부(22)와 결합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필요한 개수의 상대 터미널이 상기 각각의 터미널안착공간(12)에 삽입되면 각각의 상대 터미널과 관련된 회로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대 터미널이 각각 상기 메일터미널(20)의 탭부(22) 들에 연결되어 회로의 연결이 완성되면 상기 스페이서(70)를 1차록킹상태에서 2차록킹상태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스페이서(70)의 헤드(74)를 눌러서 상기 체결후크(76)가 제1록킹턱(15)에 걸어진 상태에서 제2록킹턱(15')에 걸어진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70)가 상기 스페이서공간(14) 내부로 삽입되면 상대 터미널이 상기 몸체(72)에 걸어져서 임의로 빠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70)의 체결후크(76)가 제2록킹턱(15')에 걸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사이드시일(80)이 상기 시일안착단(14')과 스페이서(70)의 헤드(74) 사이에 압착되어 방수작용을 한다.
한편, 상기 프론트시일(30)은 상대 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를 통해서 수분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물론 프론트시일(30)의 외면과 상기 시일공간(16)의 내면 사이를 통한 수분의 침입도 역시 차단하게 된다.
상기 리어홀더(60)와 상기 하우징(10)의 리어시일안착단(17)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리어시일(40)에 의해서는 상기 하우징(10)의 후단쪽으로 수분이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70)는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페이서(70)는 상대 터미널이 제 위치에 있도록 하는 것이나, 상대 터미널이 상기 메일터미널(20)과 정확하게 결합되어 있는 상태가 보장되는 구조라면 스페이서(70)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상기 상대 터미널과 와이어에 방수를 위한 와이어시일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프론트시일(30)과 프론트홀더(50)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하우징(10)의 터미널안착공간(12)의 입구 내면에 와이어시일이 압착되어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하우징(10) 내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터미널이 메일 터미널(20)이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피메일 터미널 또는 다른 형태의 터미널이 사용될 수 있다.
10: 하우징 12: 터미널안착공간
14: 스페이서공간 14': 시일안착단
15: 제1록킹턱 15': 제2록킹턱
16: 시일공간 17: 리어시일안착단
18: 압입공 18': 터미널턱
19: 프론트체결턱 19': 리어체결턱
20: 메일터미널 22: 탭부
24: 연결부 26: 결합턱
30: 프론트시일 34: 시일몸체
36: 리브 40: 리어시일
42: 시일몸체 44: 중앙통공부
46: 리브 50: 프론트홀더
52: 홀더몸체 54: 전면판
55: 측판 57: 체결걸이편
58: 체결공 60: 리어홀더
62: 리어홀더몸체 64: 배면판
65: 측판 67: 체결걸이편
68: 체결공 70: 스페이서
72: 몸체 74: 헤드
76: 체결후크 80: 사이드시일

Claims (16)

  1.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다수개의 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에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서 삽입되어 위치되고 다수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의 후단을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장착되는 리어홀더와,
    상기 하우징의 후단 외면과 상기 리어홀더의 내면 사이에 위치되어 방수작용을 하는 리어시일을 포함하는 방수형 조인트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터미널안착공간 후단에는 압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의 탭부가 압입되어 설치되는 방수형 조인트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후단 외면을 둘러서는 상기 리어시일이 안착되는 리어시일안착단이 하우징 외면을 다른 부분보다 낮게 형성되는 방수형 조인트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스페이서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측 외면으로 개방되고, 상기 스페이서공간에는 상기 터미널과 결합되는 상대 터미널을 지지하는 스페이서가 설치되는 방수형 조인트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스페이서공간 내에 위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공간 입구를 차폐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제1록킹턱과 제2록킹턱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체결후크를 포함하는 방수형 조인트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헤드 내면과 상기 스페이서공간의 입구 내측의 시일안착단의 사이에는 상기 몸체가 중앙을 관통하는 사이드시일이 압착되어 설치되는 방수형 조인트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대 터미널과 결합되는 탭부의 후단에 연결부가 구비되어 다수개의 탭부가 상기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리어홀더의 내면에 지지되는 방수형 조인트커넥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선단 내부에는 시일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시일공간에는 프론트시일이 설치되는 방수형 조인트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시일은 육면체 형상으로 된 것으로 상기 터미널안착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이 형성되는 방수형 조인트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시일이 시일공간 내에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 프론트홀더가 장착되는 방수형 조인트커넥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홀더는 상기 시일공간의 횡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판형상의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 가장자리를 둘러 전면판과 직교하게 형성되는 측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판에는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의 갯수와 같거나 작은 갯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방수형 조인트커넥터.
  12.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다수개의 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선단 내부에 시일공간이 형성되며 후단 외면을 둘러 리어시일안착단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에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서 삽입되어 위치되고 다수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터미널과,
    상기 시일공간에 안착되고 상기 터미널안착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이 형성되며 방수역할을 하는 탄성재질의 프론트시일과,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 장착되고 상기 프론트시일의 통공과 같거나 작은 갯수의 와이어통공을 가지는 프론트홀더와,
    상기 터미널의 후단을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장착되는 리어홀더와,
    상기 하우징의 후단 외면과 상기 리어홀더의 내면 사이에 위치되어 방수작용을 하는 리어시일을 포함하는 방수형 조인트커넥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스페이서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측 외면으로 개방되고, 상기 스페이서공간에는 상기 터미널과 결합되는 상대 터미널을 지지하는 스페이서가 설치되는 방수형 조인트커넥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스페이서공간 내에 위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공간 입구를 차폐하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제1록킹턱과 제2록킹턱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체결후크를 포함하는 방수형 조인트커넥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헤드와 상기 하우징의 스페이서공간 입구의 시일안착단 사이에는 사이드시일이 설치되는데, 상기 사이드시일은 상기 스페이서의 몸체가 관통한 상태로 상기 헤드와 시일안착단 사이에 압착되는 방수형 조인트커넥터.
  16. 제 12 항 내지 제 1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시일은 상기 시일공간에 안착되는 육면체 형상의 시일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시일공간의 내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 개의 리브가 나란히 형성되어 압착되는 방수형 조인트커넥터.








KR1020180111039A 2018-09-17 2018-09-17 방수형 조인트 커넥터 KR102580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039A KR102580031B1 (ko) 2018-09-17 2018-09-17 방수형 조인트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039A KR102580031B1 (ko) 2018-09-17 2018-09-17 방수형 조인트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928A true KR20200031928A (ko) 2020-03-25
KR102580031B1 KR102580031B1 (ko) 2023-09-19

Family

ID=70001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039A KR102580031B1 (ko) 2018-09-17 2018-09-17 방수형 조인트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0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84804A (zh) * 2021-12-20 2022-04-05 重庆智荟数创科技有限公司 缆芯接头识别机构及其使用方法
KR20220093526A (ko) *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유라 방수 커넥터
KR102559139B1 (ko) * 2022-11-09 2023-07-24 박문수 방습기능이 향상된 승강기용 리드선 커넥팅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6645A (ja) * 1999-04-21 2000-11-02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01006799A (ja) * 1999-06-23 2001-01-12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コネクタ
KR200312367Y1 (ko) 2003-02-21 2003-05-0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KR20110139439A (ko) * 2010-06-23 2011-12-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용 블록시일
JP2013058381A (ja) * 2011-09-08 2013-03-2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ジョイントコネクタ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2015216063A (ja) * 2014-05-13 2015-12-0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685680B1 (ko) * 2015-07-27 2016-12-12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방수 조인트 커넥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6645A (ja) * 1999-04-21 2000-11-02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01006799A (ja) * 1999-06-23 2001-01-12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コネクタ
KR200312367Y1 (ko) 2003-02-21 2003-05-0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KR20110139439A (ko) * 2010-06-23 2011-12-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용 블록시일
JP2013058381A (ja) * 2011-09-08 2013-03-2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ジョイントコネクタ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2015216063A (ja) * 2014-05-13 2015-12-0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685680B1 (ko) * 2015-07-27 2016-12-12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방수 조인트 커넥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3526A (ko) *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유라 방수 커넥터
CN114284804A (zh) * 2021-12-20 2022-04-05 重庆智荟数创科技有限公司 缆芯接头识别机构及其使用方法
CN114284804B (zh) * 2021-12-20 2023-12-22 国网甘肃省电力公司庆阳供电公司 缆芯接头识别机构及其使用方法
KR102559139B1 (ko) * 2022-11-09 2023-07-24 박문수 방습기능이 향상된 승강기용 리드선 커넥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031B1 (ko) 202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07248A1 (en) Connector
KR102003652B1 (ko) 단자 피팅
US7497700B2 (en) Electrical connector
US4479691A (en) Connector assembly
CN112425006B (zh) 接受不同密封构造的电连接器
US3329925A (en) Interlocking shielded connector
TWI739373B (zh) 電連接器
KR20200031928A (ko) 방수형 조인트 커넥터
US1113361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06510169A (ja) 端子位置維持(assurance)システム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US9496629B2 (en) Structure of socket contact
US11158972B2 (en) Socket connector assembly
JP3127884U (ja) 電気コネクタ
JP2016197584A (ja) 電気コネクタ
KR101664304B1 (ko) 커넥터
CN109586115B (zh) 电源连接用连接器
WO2012095921A1 (en) Connector
KR200431601Y1 (ko) 커넥터
JP2008210658A (ja) 防水コネクタ
TWI774958B (zh) 中繼連接器
KR20200142359A (ko) 방수 커넥터조립체
JP2019096426A (ja) ジョイント端子
US20230246374A1 (en) Adaptor
US20230076927A1 (en) Cable-end connector, board-end connector and assembly thereof
KR100976510B1 (ko) 수직형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