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304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304B1
KR101664304B1 KR1020140181574A KR20140181574A KR101664304B1 KR 101664304 B1 KR101664304 B1 KR 101664304B1 KR 1020140181574 A KR1020140181574 A KR 1020140181574A KR 20140181574 A KR20140181574 A KR 20140181574A KR 101664304 B1 KR101664304 B1 KR 101664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us bar
wire
fixing
electric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1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3152A (ko
Inventor
피영범
송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40181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304B1/ko
Publication of KR20160073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전선이 설치되며, 상기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선의 심선부와 면접하는 심선접촉부를 포함하는 버스바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전선을 압착하여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전선을 고정시키는 압착부 및 상기 압착부를 압입하여 상기 하우징에 상기 압착부를 고정시키는 고정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용이하게 전선을 설치할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커넥터하우징과 터미널로 구성되며, 세탁기, 냉장고 또는 자동차 등의 전원회로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들 전기 전자 기기에 상기 커넥터를 사용하면 복수의 부품을 개별로 조립하여 그 후 최종 제품에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기기 제조뿐 아니라, 유지보수작업을 대폭 간소화 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커넥터에는 상대커넥터가 결합됨으로써 둘 사이에 각각 구비된 터미널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에는 다수개의 터미널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상대커넥터에는 상기 다수개의 터미널 사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버스바(Bus bar) 타입의 터미널이 구비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커넥터를 일반적으로 조인트커넥터라 한다.
상기 조인트커넥터의 제조 공정을 살펴보면,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의 피복을 제거한다. 이후, 전선에 단자를 압착한 뒤 전선이 압착된 단자를 커넥터의 단자삽입홀에 삽입한다. 이후, 커넥터에 리테이너와 캡을 장착하여 조인트 커넥터를 조립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전선에 단자를 압착하고, 단자가 압착된 전선을 커넥터의 단자삽입홀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과정에서 조인트 커넥터 기능과 연관이 없는 회로를 가진 전선에 단자를 압착하거나 조인트 기능과 관계 없는 회로를 가진 전선을 커넥터에 설치하는 등의 불필요한 작업 공정과 불필요한 부자재 사용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작업 공정 없이 버스바와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커넥터는, 복수의 전선이 설치되며, 상기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선의 심선부와 면접하는 심선접촉부를 포함하는 버스바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전선을 압착하여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전선을 고정시키는 압착부 및 상기 압착부를 압입하여 상기 하우징에 상기 압착부를 고정시키는 고정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전선에 단자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로 커넥터에 장착할 수 있다. 즉, 피복부가 박리된 전선을 커넥터에 삽입하면, 커넥터에 구비된 압착부가 커넥터에 삽입되는 전선의 심선부를 압입하여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한다. 이로 인하여 커넥터와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단자와 같이 별도의 부재를 전선에 설치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전선을 커넥터에 장착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동일한 회로를 연결하는 버스바가 설치된 커넥터에 전선을 장착할 때, 상기 전선을 압착하는 압착부가 커넥터에 장착되는 전선을 일괄적으로 압입하기 때문에 버스바의 조인트 기능과 관계 없는 전선이 커넥터에 장착되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인트를 위한 버스바를 하나의 패널을 구부려 상기 전선의 심선부와 접촉하는 심선접촉부를 형성함으로써, 버스바와 전선이 조인트되기 위한 별도의 부재나 회로가 요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폐쇄위치 및 개방위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절단선 Ⅱ-Ⅱ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A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제1 하우징과 고정클립의 체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하우징의 하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전선이 커넥터에 장착되는 장착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폐쇄위치 및 개방위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절단선 Ⅱ-Ⅱ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A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제1 하우징과 고정클립의 체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하우징의 하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전선이 커넥터에 장착되는 장착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10)는, 복수의 전선(50)이 설치되며, 상기 전선(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선(50)의 심선부(52)와 면접하는 심선접촉부(220)를 포함하는 버스바(200)를 포함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전선(50)을 압착하여 하우징(100) 내에 전선(50)을 고정시키는 압착부(300) 및 상기 압착부(300)를 압입하여 하우징(100)에 압착부(300)를 고정시키는 고정클립(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전선(50)에 단자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로 커넥터(10)에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10)의 하우징(100)은, 상기 버스바(200)가 설치되는 제1 하우징(100a)과, 상기 제1 하우징(100a) 상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도 2 참고)와 제1 하우징(100a) 상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도 1 참고)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힌지부(150)를 포함하는 제2 하우징(100b)을 포함한다.
상기 버스바(200)는 커넥터(10)에 설치되는 전선(50)의 동일 회로를 연결하는 장치이며, 하나의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200)는 복수의 전선(50)이 통전될 수 있도록 전선(50)의 설치 방향을 가로지르는 판,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 설명에서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버스바(200)의 심선접촉부(220)는, 전선(50)의 심선부(52)를 향해 돌출되게 굽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심선접촉부(220)는 패널의 버스바(200)를 접어 복수 개 형성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심선접촉부(220)는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200)가 설치되는 제1 하우징(100a)을 도 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상기 제1 하우징(100a)은, 제1 하우징(100a)의 일 측면에 형성되며, 버스바(200)가 삽입되는 버스바 삽입홀(120)과, 상기 전선(50)의 설치 방향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며, 버스바 삽입홀(120)로 삽입된 버스바(200)를 지지하고, 제1 하우징(100a)의 바닥면(F)에서 버스바(200)의 심선접촉부(220)와 대향하는 버스바 지지부(140)와, 제1 하우징(100a)의 측면에 형성되며, 버스바(200)에 안착된 전선(50)이 버스바(200)와 제1 하우징(100a) 측면 사이로 끼임을 방지하는 전선정렬가이드(160)와, 상기 압착부(300)의 일 단에 삽입되어 압착부(300)를 제1 하우징(100a)에 고정되도록 하는 압착부고정홈(180)을 포함한다.
상기 버스바(200)는 제1 하우징(100a)의 일 측면에 형성된 버스바 삽입홀(120)을 통해 제1 하우징(100a)에 설치된다. 왜냐하면, 버스바(200)가 제1 하우징(100a)의 상측에서부터 제1 하우징(100a)에 설치될 경우, 제1 하우징(100a)의 측면에 형성된 전선정렬가이드(160)와 버스바(200)의 측면이 간섭되어 버스바(200)가 제1 하우징(100a)에 설치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 버스바(200)는 버스바 삽입홀(120)에 삽입될 때, 심선접촉부(220)가 형성된 상태로 삽입된다. 이로 인하여 버스바 삽입홀(120)은 심선접촉부(220)가 형성되어 변형된 버스바(2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다르게, 버스바 삽입홀(120)은 일자(一字) 형상으로 형성되어 판 형상의 버스바(200)가 삽입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판 형상의 버스바(200)가 버스바 삽입홀(120)에 삽입되면 제1 하우징(100a)에 형성된 버스바 지지부(140)에 의해 버스바(200)가 변형될 수도 있다.
상기 버스바 지지부(140)는, 버스바(200)의 심선접촉부(220)를 지지한다. 즉, 제1 하우징(100a)에 전선(50)이 설치되면, 압착부(300)가 전선(50) 상부에서 전선(50)을 압입한다. 상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착부(300)의 압입력에 의해 심선접촉부(220)가 변형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심선접촉부(220)에 대응하도록 돌기 형상으로 형성하여 심선접촉부(220)가 원 상태에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버스바 지지부(140)는, 전선(50)의 설치 방향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며, 전선(50)의 피복부(54)를 지지하는 피복접촉부(145)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피복접촉부(145)는 하우징(100)의 전선삽입구(110)와 인접하고, 전선(50)의 피복부(54)를 지지하도록 제1 하우징(100a)의 바닥면(F)에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피복접촉부(145)는 전선(50)이 제1 하우징(100a)에 설치될 때, 전선(50)의 피복부(54)가 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커넥터(10) 사용 시, 전선(50)의 꺾임을 허용하기 위함이다.
이때, 하우징(100)의 전선삽입구(110)에 인접한 피복접촉부(145)의 일 면(143)은 경사지게 형성된다(도 3의 θ). 왜냐하면, 하우징(100)에 전선(50)을 삽입할 때, 전선(5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피복접촉부(145)는 전선(50)의 피복부(54)를 향해 돌출된 복수의 전선고정용 돌기(149)를 포함하고, 버스바 지지부(140)와 인접한 일 단(147)은 제1 하우징(100a)의 바닥면(F)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선고정용 돌기(149)는 피복접촉부(145)의 상단에 전선(50)의 피복부(54)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전선고정용 돌기(149)는 하우징(100)에 설치된 전선(50)의 피복부(54)를 압입하여 전선(50)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전선고정용 돌기(149)를 전선(50)의 피복부(54)를 압입하는 돌기이므로 전선(50)의 피복부(54)가 박리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선(50)의 피복부(54)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도록 전선(50)의 피복부(54)의 재질과 마찰이 발생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선정렬가이드(160)는 버스바(200)가 설치된 제1 하우징(100a)에 전선(50)이 설치되면, 전선(50)이 버스바(200)와 제1 하우징(100a)의 측면 사이에 끼임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전선정렬가이드(160)는 제1 하우징(100a)의 측면에서 제1 하우징(100a)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전선정렬가이드(160)에 의하여 제1 하우징(100a)에 설치된 전선(50)이 제1 하우징(100a) 내부 중심에 위치하게 되므로 위치에서 벗어남 없이 압착부(300)에 압입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전선정렬가이드(160)는 제1 하우징(100a)의 양 측면에 모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선(50)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버스바 지지부(140)는 복수 개가 소정 간격 이격된다. 일 예로, 버스바 지지부(140)가 두 개 설치된다고 가정하면, 상기 피복접촉부(145)를 기준으로 피복접촉부(145)와 인접한 버스바 지지부(140)부터 제1 버스바 지지부(140a) 및 제2 버스바 지지부(140b)라고 한다. 이때, 피복접촉부(145)에서 제1 버스바 지지부(140a) 사이의 공간을 제1 이격공간(S₁_도 2 참고)이라고 하고, 제1 및 제2 버스바 지지부(140a, 140b) 사이의 공간을 제2 이격공간(S₂_도 3 참고)이라고 가정하면, 상기 전선정렬가이드(160)는 상기 제1 이격공간(S₁)과 제2 이격공간(S₂)에 설치되는 제1 전선정렬가이드(160a)와 상기 제1 및 제2 버스바 지지부(140a, 140b) 사이의 제2 전선정렬가이드(160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전선정렬가이드(160a)는 피복접촉부(145)에서 제1 버스바 지지부(140a)를 향하도록 경사지고, 이와 유사하게, 상기 제2 전선정렬가이드(160b)는 제1 버스바 지지부(140a)에서 제2 버스바 지지부(140b)를 향하도록 경사진다. 즉, 제1 및 제2 전선정렬가이드(160a, 160b)는 톱니 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전선정렬가이드(160)는 제1 이격공간(₁)과 제2 이격공간(S₂)을 일부 채워 전선(50)이 제1 하우징(100a)의 측면에 인접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압착부고정홈(180)과 인접한 제1 하우징(100a)의 측면을 개구되고, 상기 고정클립(400)은 제1 하우징(100a)의 개구된 측면(O)을 감싸며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클립(400)은 상기 압착부고정홈(180)에 끼워진 압착부(300)의 일 단을 압입하여 압착부(300)가 제1 하우징(100a)에 고정되게 한다. 이러한 고정클립(400)이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압착부(300)가 안정적으로 압착부(300)를 고정하기 위하여 제1 하우징(100a)의 측면에서부터 압착부(300) 상부까지 압입하게 된다. 이때, 고정클립(400)의 측면과 제1 하우징(100a)의 측면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클립(400)이 끼워지는 제1 하우징(100a)의 측면 일부를 개구하게 된다.
또한, 고정클립(400)은 압착부(300)의 상면 일부를 고정하여 압착부(300)가 제1 하우징(100a) 내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클립(400)은 바람직하게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하우징(100a)은 고정클립(4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측면을 개구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하우징(100a)의 개구된 측면(O)에 대향하는 제1 하우징(100a)의 바닥면(F)에는 고정클립(400)이 장착, 고정되는 클립체결부(17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클립(400)은 클립체결부(170)에 장착되는 클립고정부(470)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립체결부(170)는 제1 하우징(100a)의 바닥면(F)의 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거나, 제1 하우징(100a)의 바닥면(F)의 측면이 다단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립체결부(170)가 제1 하우징(100a)의 바닥면(F)의 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경우 상기 클립고정부(470)는 상기 돌출된 클립체결부(17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클립체결부(170)가 다단으로 형성될 경우 클립고정부(470)는 상기 클립체결부(170)에 대향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클립(400)이 제1 하우징(100a)에 설치되면 제1 하우징(100a)에서 이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의 제1 하우징(100a)의 상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2 하우징(100b)은 제1 하우징(100a)과 힌지부(150)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힌지부(150)는 제1 하우징(100a)에 대응하는 너비(d)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하우징(100a, 100b)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르게는 별도로 제작되어 제1 하우징(100a)과 제2 하우징(100b) 사이를 연결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제2 하우징(100b)은, 폐쇄위치 시, 제1 하우징(100a)의 외무 하면에 맞물려 제2 하우징(100b)의 위치를 고정하는 폐쇄고정부(190)와, 폐쇄위치 시, 압착부(300)의 상면을 가압하는 압착부 가압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하우징(100b)의 측면의 높이(L₂)는 제1 하우징(100a)의 측면의 높이(L₁)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때, 폐쇄고정부(190)는, 제2 하우징(100b)의 측면의 높이(L₂)와 제1 하우징(100a)의 측면의 높이(L₁)의 차이에서 발생한 면적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하우징(100b)이 폐쇄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폐쇄고정부(190)가 제1 하우징(100a)의 하부 외면에 면접하도록 형성되어 제1 하우징(100a)이 상기 폐쇄고정부(190) 상에 안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폐쇄고정부(190)는 챔퍼(chamFer)구조로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폐쇄고정부(190)의 형상은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압착부 가압부(130)는 제2 하우징(100b)의 내측면에 전선(50)이 설치되는 방향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하게는 삼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왜냐하면, 압착부(300)가 전선(50)의 심선부(52)를 가압할 때, 전선(50)이 버스바(200)의 굴곡진 형태와 유사하게 굽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압착부(300)는 앞서 설명된 제1 및 제2 버스바 지지부(140a, 140b) 사이의 제2 이격공간(S₂)과 대향되는 전선(50)의 심선부(52)를 가압하도록 굽어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압착부 가압부(130)가 상기 제2 이격공간(S₂)을 가압하는 압착부(300) 상면을 압입하면서 압착부(300)와 제2 하우징(100b) 상면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압착부(300)가 하우징(100) 내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압착부(300) 상면을 가압하는 압착부 가압부(130)의 가압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압착부(3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압착부 가압부(130)에 의해 가압되는 압착부(300)를 살펴보면, 압착부(300)는, 전선(50)의 피복부(54)를 향해 굽어지도록 형성되며, 폐쇄위치 시, 전선(50)의 피복부(54)를 가압하는 피복가압부(340)와, 압착부고정홈(180)에 끼움되도록 제1 하우징(100a)의 바닥면(F)을 향해 굽어지도록 형성된 하우징고정부(380)와, 피복가압부(340)와 하우징고정부(380) 사이에 형성되며, 전선(50)의 설치방향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전선(50)의 심선부(52)를 가압하는 심선가압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압착부(300)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압착부(300)는 제1 하우징(100a)에서 탄성적으로 유동되게 한다. 즉, 상기 압착부고정홈(180)에 압착부(300)의 일 단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로 인하여 압착부(300)의 타 단은 일 단에 비하여 상, 하 이동이 가능한 판스프링의 원리로 작동 가능하다. 따라서, 제2 하우징(100b)이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변경될 때, 타 단이 탄성적으로 상부로 이동하면서 전선(50)을 압입하는 압입력이 저하되고 전선(50)이 하우징(100)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피복가압부(340)는 전선(50)이 버스바(200) 상에 위치하면, 전선(50)의 피복부(54)를 가압하여 전선(50)이 설치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피복가압부(340)는 전선(50)의 피복부(54)를 향해 굽어진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피복가압부(340)의 형상은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고정부(380)는 압착부고정홈(180)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압착부고정홈(180)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되어 하우징고정부(380)가 압착부고정홈(180)에 억지끼움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심선가압부(320)는 전선(50)의 심선부(52)를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전선(50)의 설치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심선가압부(320)가 이격되게 형성되면 서로 다른 심선가압부(320)가 전기적으로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심선가압부(320)는 전선(50)의 심선부(52)를 압입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돌기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심선가압부(320)의 구조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이하 도 7을 참고하여 상기 구성에 따른 커넥터(10)에 전선(50)이 설치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제2 하우징(100b)이 개방 상태로, 제1 하우징(100a)의 버스바 삽입홀(120)을 통해 버스바(200)를 삽입하여 제1 하우징(100a)에 설치하고, 버스바(200) 상에 압착부(300)를 안착한다(도 7의 (a)).
이때, 상기 압착부(300)는 일 단이 제1 하우징(100a)의 압착부고정홈(180)에 끼움되어 고정클립(400)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압착부(300)의 타 단은 상기 압착부(300)의 일 단에 비해 상, 하로 자유유동이 가능한 상태이다.
상기 상태에서 압착부(300)와 버스바(200) 사이에 피복부(54)가 일부 박리된 복수의 전선(50)을 삽입한다. 이때, 압착부(300)의 심선가압부(320)가 전선(50)의 심선부(52)를 일부 압입하면서 전선(50)이 압착부(300)와 하우징(100) 사이에 거치될 수 있게 한다(도 7의 (b)).
이후, 제2 하우징(100b)를 폐쇄위치로 회동하면, 압착부(300)가 압착부 가압부(130)에 의해 압입되면서 전선(50)의 상부를 압입하고, 전선(50)이 변형되면서 버스바(200)와 연결된다(도 7의 (c)).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도 8에 도시된 도면 부호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도면 부호가 동일한 경우 동일 구성이라 판단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10a)는 서로 다른 조인트 회로를 하나의 커넥터(10a)에서 조인트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커넥터(10a)는 복수의 압착부(300a, 300b)와 고정클립(400)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커넥터(10a)에 서로 다른 두 개의 회로를 조인트 할 경우, 하나의 하우징(100) 내에 소정 간격 이격된 제1 압착부(300a)와 제2 압착부(300b)가 설치된다. 이때, 제1 압착부(300a)와 제2 압착부(300b) 사이에는 제1 압착부(300a)와 제2 압착부(300b)에 각각 고정되는 전선이 섞이거나 엉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격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이격부(500)는 제1 압착부(300a)와 제2 압착부(300b)의 각각의 일 면과 면접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압착부(300a, 300b)와 접하는 이격부(500)는 전선정렬가이드(160)와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하우징(100b)은 상기 제1 압착부(300a)와 제2 압착부(300b)를 각각 가압할 수 있도록 제1 가압부(130a) 및 제2 가압부(130b)를 포함한다. 이때, 제1 및 제2 가압부(130a, 130b)는 소정 간격(G) 이격되어 상기 이격부(500)가 제1 및 제2 가압부(130a, 130b)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본 발명의 변형예의 제1 및 제2 압착부(300a, 300b)는 하나의 고정클립(400)으로 제1 하우징(100a)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클립(400)은 제1 및 제2 압착부(300a, 300b)에 각각 대응하도록 분리 형성되지 않고, 좌, 우 높이를 따라 일자(一字)로 형성되어 제1 및 제2 압착부(300a, 300b)가 하우징(100)에 일체로 고정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는 서로 다른 두 개의 회로가 조인트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두 개 이상의 복수의 회로가 조인트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전선(50)에 단자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로 커넥터에 장착할 수 있다. 즉, 전선(50)의 피복부(54)가 박리된 전선(50)을 커넥터(10)에 삽입하며, 커넥터(10)에 구비된 압착부(300)가 커넥터(10)에 삽입되는 전선(50)을 압입하여 커넥터(10)와 전선(5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한다. 이로 인하여 커넥터(10)와 전선(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단자와 같이 별도의 부재를 전선에 설치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전선(50)을 커넥터(10)에 장착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동일한 회로를 연결하는 버스바(200)가 설치된 커넥터(10)에 전선(50)을 장착할 때, 상기 전선(50)을 압착하는 압착부(300)가 커넥터(10)에 장착되는 전선(50)을 일괄적으로 압입하기 때문에 버스바(200)의 조인트 기능과 관계 없는 전선(50)이 커넥터(10)에 장착되는 경우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조인트를 위한 버스바(200)를 하나의 패널을 구부려 상기 전선(50)의 심선부(52)와 접촉하는 심선접촉부(220)를 형성함으로써, 버스바(200)와 전선(50)이 조인트되기 위한 별도의 부재나 회로가 요구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커넥터 100: 하우징
100a: 제1 하우징 100b: 제2 하우징
120: 버스바 삽입홀 140: 버스바 지지부
150: 힌지부 160: 전선정렬가이드
180: 압착부고정홈 200: 버스바
300: 압착부 400: 고정클립

Claims (11)

  1. 복수의 전선이 설치되며, 상기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선의 심선부와 면접하는 심선접촉부를 포함하는 버스바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전선을 압착하여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전선을 고정시키는 압착부; 및
    상기 압착부를 압입하여 상기 하우징에 상기 압착부를 고정시키는 고정클립; 을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버스바가 설치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 상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제1 하우징 상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힌지부를 포함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버스바가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삽입되도록 일 측면에 형성된 버스바 삽입홀과,
    상기 전선의 설치 방향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며, 상기 버스바 삽입홀로 삽입된 상기 버스바를 지지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바닥면에서 상기 심선접촉부와 대향되는 버스바지지부와,
    상기 제1 하우징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버스바에 안착된 상기 전선이 상기 버스바와 상기 제1 하우징 측면 사이로 끼임을 방지하는 전선정렬가이드와,
    상기 압착부의 일 단이 삽입되어 상기 압착부를 제1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하는 압착부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지지부는,
    상기 전선의 설치 방향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선의 피복부를 지지하는 피복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피복접촉부는,
    상기 전선의 피복부를 향해 돌출된 복수의 전선고정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지지부와 인접한 일 단은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바닥면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선정렬가이드는,
    상기 전선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폐쇄위치 시, 상기 제1 하우징의 외부 하면에 맞물려 상기 제2 하우징의 위치를 고정하는 폐쇄고정부와,
    상기 폐쇄위치 시, 상기 압착부의 상면을 가압하는 압착부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상기 전선의 피복부를 향해 굽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폐쇄위치 시, 상기 전선의 피복부를 가압하는 피복가압부와,
    상기 압착부고정홈에 끼움되도록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바닥면을 향해 굽어지도록 형성된 하우징고정부와,
    상기 피복가압부과 상기 하우징고정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전선의 설치방향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선의 심선부를 가압하는 심선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심선가압부는,
    상기 전선의 설치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고정홈과 인접한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면은 개구되며,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제1 하우징의 개구된 측면을 감싸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개구된 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상기 고정클립이 장착, 고정되는 클립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클립체결부에 장착되는 클립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40181574A 2014-12-16 2014-12-16 커넥터 KR101664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574A KR101664304B1 (ko) 2014-12-16 2014-12-16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574A KR101664304B1 (ko) 2014-12-16 2014-12-16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152A KR20160073152A (ko) 2016-06-24
KR101664304B1 true KR101664304B1 (ko) 2016-10-10

Family

ID=56343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1574A KR101664304B1 (ko) 2014-12-16 2014-12-16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3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8048A (ko) * 2021-09-10 2023-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587208B1 (ko) * 2021-11-17 2023-10-10 주식회사 경신 케이블의 접속용 조인트 터미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103B1 (ko) 2010-06-29 2011-01-10 성승현 꽂음형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8198A (ja) * 1994-11-24 1996-06-07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のスプライス部保護具
US5906503A (en) * 1996-12-06 1999-05-25 Pauduit Corp. Modular plug with automatically staggered wir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103B1 (ko) 2010-06-29 2011-01-10 성승현 꽂음형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152A (ko) 2016-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7761B1 (ko) 전자 부품
US9331419B2 (en) Electric connector
JP2019197685A (ja) ケーブルコネクタ装置
KR20070012666A (ko) 인쇄 회로용 플러그인 커넥터
CN108432059B (zh) 分支连接器
KR101664304B1 (ko) 커넥터
KR20200031928A (ko) 방수형 조인트 커넥터
KR200471891Y1 (ko) 커넥터 어셈블리
EP3217479B1 (en) Electrical connector limiter structure of wire connection terminal
KR101651653B1 (ko) 와이어 투 와이어 커넥터 조립체
KR20100001179U (ko) 커넥터
KR20160053370A (ko) 케이블 접속용 전기커넥터
KR20150124554A (ko) 지아이에프 커넥터
KR101783857B1 (ko) 커넥터
JP7068512B2 (ja) 直接差し込みコネクタ用の接点及び直接差し込みコネクタ
JP2020013647A (ja) 電気コネクタ
KR20090093650A (ko) 커넥터 어셈블리
JP5394013B2 (ja) シールド用ケース及び該シールド用ケース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KR200490279Y1 (ko) 케이블 연결유닛의 릴리즈 키
KR101533913B1 (ko) 터미널이 구비된 커넥터
KR101869479B1 (ko) 피씨비 조립용 터미널 블록
KR200428337Y1 (ko) 포선타입 와이어플레이트용 압접커넥터
KR20090006808U (ko) 커넥터
KR102520911B1 (ko) 커넥터조립체
KR101847440B1 (ko) 도전성 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