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1058A -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1058A
KR20200031058A KR1020190113085A KR20190113085A KR20200031058A KR 20200031058 A KR20200031058 A KR 20200031058A KR 1020190113085 A KR1020190113085 A KR 1020190113085A KR 20190113085 A KR20190113085 A KR 20190113085A KR 20200031058 A KR20200031058 A KR 20200031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aluronic acid
sulfated
sulfated hyaluronic
hydrogel
diglycidyl e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정아
소진언
서혜원
정현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TW108132990A priority Critical patent/TWI724542B/zh
Publication of KR20200031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0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61K31/728Hyalur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의 알코올성 수산기 중 일부가 황산화 치환된 황산화 히알루론산, 그 유도체 및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가교 모노머를 가교제로 가교시켜 형성된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SULFATED HYALURONIC ACID-BASED HYDROGEL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히알루론산은 상당한 점탄성(viscoelastic)을 갖는 다당류 분자이다. 히알루론산은 윤활제 및 충격흡수제로 작용하고, 염증성 시토킨의 활성에 대항하는 연골세포를 보호하는 활액(synovial fluid)의 기본적인 성분으로서 관절강(joint cavity)에 존재한다(Asari 등, Arch Histol Cytol, 1995, 58:65-76; Brun 등, Osteoarthr Cartil, 2003, 11:208-16; Stove 등, J Orthop Res, 2002, 20:551-5). 히알루론산은 그 자체 또는 유도체 형태로 퇴행성 골관절염 등을 치료하기 위해 "점성보충제(viscosupplement)" 또는 윤활제로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황산화 히알루론산 및 그 유도체는 항염증성, 항-VEGF 효능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황산화 히알루론산을 실제 효능이 있는 의약품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체내 잔존률을 높이고, 용도에 적합한 물리적 특성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기존에 알려진 황산화 히알루론산 고분자 용액은 체내에서 분해가 빠르며, 용도에 따른 물성의 조절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항염증성, 항-VEGF 효능을 나타내면서, 분해에 대한 저항성이 있어 체내 효능 장기화가 가능하며, 용도별 물리적 특성의 조절이 가능한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 물질의 개발이 필요하다.
국제공개공보 WO2002-032407
본 발명은 황산화 히알루론산의 체내 효능 장기화 및 용도별 필요한 물성을 조절하기 위한 신규한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항염 또는 항혈관신생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의 알코올성 수산기 중 일부가 황산화 치환된 황산화 히알루론산, 그 유도체 및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가교 모노머를 가교제로 가교시켜 형성된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또는 항혈관신생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항암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은 항염 또는 항혈관신생 효능을 가지며, 체내에서 분해를 억제하여 항염 또는 항혈관신생 효능을 장기화할 수 있고, 용도에 맞게 용이하게 겔의 물리적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은 관절염, 안질환 등의 예방 또는 치료, 항암제로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부분 황산화 히알루론산(pSHA)의 황산화 치환을 확인하기 위한 1H NMR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을 확인하기 위한 1H NMR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의 안정성을 평가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의 세포 독성 평가 그래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의 항염 효능 평가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의 효소 저항성 평가 그래프이다.
도 8은 HUVEC 세포의 VEGF 처리 샘플 및 HUVEC 세포의 VEGF 비처리 샘플의 혈관 생성(tube formation)을 관찰한 광학 현미경 사진과, HUVEC 세포의 VEGF 처리 샘플에 본 발명의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pSHA Gel) 처리시의 혈관 생성(tube formation) 억제 효능을 관찰한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황산화 히알루론산, 그 유도체 및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된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은, 히알루론산의 알코올성 수산기 중 일부가 황산화 치환된 황산화 히알루론산, 그 유도체 및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가교 모노머를 가교제로 가교시켜 형성된다.
종래의 황산화 히알루론산, 그 유도체 및 염은 항염증성, 항-VEGF 효능이 알려져 있으나, 상기 황산화 히알루론산, 그 유도체 및 염을 포함하는 고분자 용액 등은 체내에서 분해가 빠르며, 용도에 따른 물성의 조절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히알루론산의 알코올성 수산기 중 일부가 황산화 치환된 황산화 히알루론산, 그 유도체 및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가교 모노머를 가교제로 가교시켜 형성된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을 제공함으로써, 체내에서 분해를 억제하여 황산화 히알루론산의 체내 효능을 장기화할 수 있고, 용도에 맞게 용이하게 겔의 물리적 특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은 항염 또는 항혈관신생 효능을 가지며, 관절염, 안질환 등의 예방 또는 치료, 항암제로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황산화 히알루론산은 히알루론산의 알코올성 수산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황산화 치환된 것을 의미하며, 상기 황산화 히알루론산 유도체는 그 외에 화학적으로 변형된 황산화 히알루론산 또는 치환된 황산화 히알루론산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황산화 히알루론산 유도체는 황산화 히알루론산-폴록사머 유도체, 황산화 히알루론산-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 황산화 히알루론산-(CH2)n-CH3 유도체, 황산화 히알루론산-벤질에스터 유도체, 황산화 히알루론산-키토산 유도체, 황산화 히알루론산-PLGA 유도체, 황산화 히알루론산-젤라틴 또는 황산화 히알루론산-콜라겐 유도체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황산화 히알루론산 염은 예를 들어, 황산화 히알루론산 나트륨, 황산화 히알루론산 칼슘, 황산화 히알루론산 마그네슘, 황산화 히알루론산 아연, 황산화 히알루론산 코발트 또는 황산화 히알루론산 테트라부틸암모늄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황산화 히알루론산은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SO3H 또는 H 일 수 있으며, n은 1 이상의 정수이다.
상기 황산화 히알루론산, 그 유도체 및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은,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800 내지 5,000kDa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4,000kDa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0 내지 3,000kDa일 수 있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 범위 내의 황산화 히알루론산, 그 유도체 또는 염을 사용함으로써 가교제와의 반응성, 하이드로겔 제조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조된 하이드로겔의 물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황산화 히알루론산은 황산화 히알루론산과, 그 유도체 및 염을 모두 지칭한다.
기존에는 황산화 히알루론산의 경우 가교 반응에 참여하는 -OH 그룹이 황산화 치환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가교 모노머로 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가교 방법으로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을 형성하는 것이 어려웠다.
이에,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의 알코올성 수산기의 황산화 치환율을 조절하여 제조된 황산화 히알루론산, 그 유도체 및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가교 모노머를 사용하여 가교시킴으로써 형성된 새로운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을 제공한다.
히알루론산은 프라이머리(primary) -OH 그룹 1개와, 이외에 세컨더리(secondary) -OH 그룹 3개를 더 포함해 총 4개의 -OH 그룹을 가지는데, 황산화 치환 반응시 반응성이 좋은 프라이머리(primary) -OH 그룹이 먼저 황산화 치환되고, 반응이 더 진행될수록 세컨더리(secondary) -OH 그룹이 황산화 치환될 수 있고, 히알루론산의 모든 -OH가 황산화 치환됐을 때 총 치환율은 400%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의 4개의 알코올성 수산기 중 일부가 황산화 치환된 황산화 히알루론산, 그 유도체 및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가교 모노머를 사용하는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히알루론산의 알코올성 수산기 중 30 내지 120%가 황산화 치환된 것일 수 있다. 이때, 100% 이상의 치환율을 갖는 것은 반응성이 좋은 프라이머리(primary) -OH 그룹이 황산화 치환되고 난 후, 세컨더리(secondary) -OH 그룹도 황산화 치환된 것일 수 있다. 프라이머리(primary) -OH 그룹의 경우 반응성 및 접근성이 좋기 때문에 가교시에도 이 부분이 먼저 그리고 주로 반응이 일어나므로 프라이머리(primary) -OH 그룹의 황산화 치환 정도는 가교에 있어 중요하다. 다만, 나머지 3개의 세컨더리(secondary) -OH 그룹도 반응성이 다소 떨어지지만 아예 반응이 안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황산화 치환율이 100%가 넘는 경우에도 가교되어 하이드로겔을 형성하는 것은, 1) (대부분은 프라이머리(primary) -OH그룹이 먼저 황산화 치환되지만) 일부 프라이머리(primary) -OH 그룹이 황산화 치환되지 않은 것이 있는 상태에서 세컨더리(secondary) -OH가 황산화 치환된 경우, 또는 2) (가교시 세컨더리(secondary) -OH 그룹은 반응성이 떨어지지만) 일부 세컨더리(secondary) -OH 그룹이 가교 반응한 경우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은 가교 모노머로서 히알루론산의 알코올성 수산기 중 일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20%만 황산화 치환된 것, 즉, 부분 황산화 히알루론산(partial sulfated HA)을 사용한 것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히알루론산의 알코올성 수산기 중 50 내지 90% 황산화 치환된 가교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황산화 치환된 가교 모노머를 사용한 것일 수 있다. 황산화 치환이 상기 범위 내로 이루어진 부분 황산화 히알루론산(partial sulfated HA)을 가교 모노머로 사용함으로써 황산화 히알루론산의 항염 또는 항혈관신생 효능을 최대로 구현하면서도 하이드로겔 형성이 잘 이루어지고, 체내의 잔류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응용 목적에 맞는 물성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가교제는 히알루론산의 -OH 그룹을 이용하여 가교하는 가교제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 형성시 상기 가교제는 예를 들면, 1,4-부탄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1,4-butanediol diglycidyl ether, BDDE), 폴리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Poly(ethylene glycol)diglycidyl ether), 비스페놀 에이 디글리시딜 에테르(Bisphenol A diglycidyl ether), 글리세롤 디글리시딜 에테르(Glycerol diglycidyl ether),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티르(Poly(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다이비닐 술폰(Divinyl sulfone), 폴리에틸렌글리콜 다이치올 (Poly(ethylene glycol dithiol), 시나믹 산 (cinnamic acid), 2-클로로-1-메틸피리디늄 아이오다이드(2-chloro-1-methylpyridinium iodide) 및 바이카보다이이미드(Bicarbodiim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4-부탄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1,4-butanediol diglycidyl ether)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은 항염 또는 항혈관신생의 효능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은 체내에서 분해 속도를 늦추어 항염 또는 항혈관신생의 효능을 장기화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은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제,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항암제 등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또는 항혈관신생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항암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은 본 발명의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과 희석제, 담체 등과 같은 다른 화학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 또는 이들의 조합이 필요에 따라 포함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생물체 내로 화합물의 투여를 용이하게 한다. 화합물을 투여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존재하며, 여기에는 경구, 주사, 에어로졸, 비경구, 및 국소 투여 등이 포함되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을 투여하여, 포유동물에서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의 투여는 바람직하게는 주사용 제제로서 투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을 통하여 치료할 수 있는 대표적인 예로는, 골관절염(osteoarthritis) 또는 류머티스성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의 치료에, 또는 통풍(gout) 또는 칼슘 피로포스페이트 침착 질환(calcium pyrophosphate dihydrate deposition disease)과 같은 다른 염증성 관절염에, 또는 수술 과정 후 형성될 수 있는 유착(adhesion)의 감소 또는 예방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은 만성 또는 급성 염증을 치료하는데 특히 유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치료"란 발병 증상을 보이는 객체에 사용될 때 질병의 진행을 중단, 지연 또는 완화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예방"이란 발병 증상을 보이지는 않지만 그러한 위험성이 높은 객체에 사용될 때 발병 징후를 중단, 지연 또는 완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 실시예는 당업자에게 본원에서 제공된 화합물, 조성물, 및 방법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평가되는지의 완전한 개시 및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제시되고, 순전히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발명자들이 그들의 발명으로 간주하는 것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결코 아니다. 반응 조건, 예를 들어, 구성요소 농도, 원하는 용매, 용매 혼합물, 온도, 압력, 및 다른 반응 파라미터 및 순도, 수율, 등과 같은 생성물 특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는 조건의 많은 변형 및 조합이 있다. 이러한 것들은 또한 본원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모든 가능한 변화에서 상기 설명된 요소의 어떤 조합도 본원에서 달리 지시되지 않거나 문맥상 달리 분명하게 부인되지 않으면 본 발명에 의해 포함된다.
[제조예 1] - 부분 황산화 히알루론산(partial sulfated HA) 합성
HA에 테트라부틸 암모늄 염(tetrabutyl ammonium salt)을 도입한 HA-TBA 유도체를 유기 용매인 디메틸폼아마이드(DMF)에 3mg/mL의 농도로 녹인 후 설퍼 트리옥사이드 피리딘 컴플렉스(sulfur trioxide pyridine complex)를 HA-TBA 유도체 모노머의 10몰(mole)배 투입한 뒤, 질소가스, 5℃에서 2시간을 반응 후 에탄올 침전을 통하여 정제한 황산화 히알루론산 유도체를 수득하였다.
[ 제조예 2 내지 6]
설퍼 트리옥사이드 피리딘 컴플렉스(sulfur trioxide pyridine complex)를 HA-TBA 유도체 모노머의 각각 10.3, 10.3, 10.6, 15, 30몰(mole)배로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예 2~6의 황산화 히알루론산 유도체를 수득하였다.
[ 실험예 1:부분 SHA의 치환율 확인]
제조예 1~6에서 제조된 부분 황산화 히알루론산(pSHA) 및 히알루론산(HA)을 1H NMR 분석 및 원소 분석을 통하여 황산화 치환된 정도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 및 표 1에 나타내었다.
도 1의 NMR 데이터를 참조하면,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황산화 히알루론산(SHA)은 도 1 데이터에서 3.4ppm peak이 일부 남아있어 히알루론산의 프라이머리 -OH 그룹, 즉, C6 사이트 중 일부가 황산화된 부분 황산화 히알루론산(partial sulfated HA)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부분 황산화 히알루론산(partial sulfated HA)은 원소 분석 결과, 히알루론산의 질소와 황산화된 황의 비율이 약 44%인 치환율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예 2~6의 치환율도 확인하였으며, 하기 표 1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SHA 치환율(%)
제조예1 44
제조예2 86
제조예3 98
제조예4 110
제조예5 141
제조예6 241
황산화 치환 반응시 설퍼 트리옥사이드 피리딘 컴플렉스(sulfur trioxide pyridine complex)의 mole 배수에 따라 히알루론산 모노머 당 황산화 치환 정도를 조절할 수 있었으며, 제조예 1-3의 경우 프라이머리(primary) -OH 사이트인 C6 사이트가 일부만 황산화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제조예 4-6의 경우 C6 사이트가 100% 치환된 후 세컨더리(secondary) -OH 그룹이 추가 황산화 치환 반응이 일어나 각각 110%, 141%, 241%의 치환율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부분 황산화 히알루론산(pSHA)을 NaOH에 20wt%로 녹인 후 BDDE를 황산화 히알루론산 모노머에 대하여 5mole%로 넣어 30℃에서 오버나이트(overnight)하여 반응시켜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4
부분 황산화 히알루론산(pSHA), 반응액 농도, 가교제의 함량을 표 2에서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였다.
황산화 치환율(%) 반응액 농도(wt%) 가교제 (몰%)
실시예1 44 (제조예1) 20 5
실시예2 86 (제조예2) 20 5
실시예3 98 (제조예3) 20 3
실시예4 110 (제조예4) 20 4
비교예 1 내지 2
부분 황산화 히알루론산(pSHA), 반응액 농도, 가교제의 함량을 표 3에서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였다.
황산화 치환율(%) 반응액 농도(wt%) 가교제 (몰%)
비교예1 141 (제조예5) 20 4
비교예2 241 (제조예6) 20 4
황산화 치환율이 140%를 초과하는 비교예 1-2의 경우 겔화가 되지 않고, 반응이 완료된 이후에도 용액(solution)의 형태로 남아있어 물성 분석이 불가하였다.
[ 실험예 2: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 하이드로겔 확인]
실시예 3에서 제조된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 하이드로겔을 1H NMR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의 NMR 데이터를 참조하면, 실시예 3에서 제조된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 하이드로겔은 도 2 데이터에서 1.52ppm peak가 생성되어 BDDE로 가교된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 하이드로겔이 제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3: 하이드로겔의 점탄성 측정]
실시예 1~4,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을 25℃에서 4% strain, 2.5Hz로 25mm 강철 플레이트가 장착된 MCR 302 유동계를 이용하여 점탄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실시예 1~4,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을 Autoclave로 121℃ 고압 증기 멸균한 후의 점탄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멸균 전 멸균 후
G'(Pa) G''(Pa) G'(Pa) G''(Pa)
실시예1 883 971 776 836
실시예2 1521 656 253 37
실시예3 267 33 165 25
실시예4 274 36 189 28
비교예1 56 10 X X
비교예2 겔 형성 X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4에서 제조된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이 응용 목적에 따라 단단한 물성부터 부드러운 물성까지 다양한 범위의 점탄성을 갖도록 제조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4를 참조하면, 필요시 습식 또는 건식 멸균을 통해 최종 멸균 후에도 원하는 점탄성의 범위를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4: 멸균 후 고온 안정성 평가]
실시예 2 및 3에서 제조된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과, 시노비안(Synovian)을 121℃에서 표 5의 특정 시간 동안 G' 200~300Pa이 되도록 멸균한 후, 55℃에서 2주, 4주 이후 물성 평가를 통해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시노비안 실시예2 실시예3
건식 멸균(분) 40 120 10
0주 G'(Pa) 285 253 165
G''(Pa) 46 37 25
│η*│(Pa·S) - 16271 10589
pH - 6.89 7.31
2주 G'(Pa) 145 206 129
G''(Pa) 30 28 21
│η*│(Pa·S) - 13247 8329
pH - 6.85 7.32
4주 G'(Pa) 111 121 118
G''(Pa) 26 18 20
│η*│(Pa·S) - 7771 7609
pH - 6.87 7
상기 표 5 및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 2, 3의 경우 멸균 후 55℃의 가혹 조건에서 보관하였을 때, 점탄성 및 복소점도 유지율이 50% 이상 수준으로 시노비안(Synovian) 대비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 실험예 5: 세포 독성 평가]
실시예 1 및 2의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pSHA Gel), 히알루론산(HA), 황산화 히알루론산(SHA)을 사용하여 Chondrocyte, FLS 2종류의 세포의 세포 독성을 각각 평가하였다.
FLS, Chondrocyte 2종류의 세포를 각각 96 well에 8.0x103 및 3.4x104 cells/well로 시딩(seeding) 후 오버나이트(overnight)하여 세포를 키운 후, 각 샘플을 1mg/ml 처리하였다. 실시예 1을 chondrocyte, 실시예 2를 FLS에 샘플 처리 후 추가로 24시간 인큐베이션(incubation) 후 세포의 viability를 resazaurin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pSHA Gel),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HA), 황산화 히알루론산(SHA)의 모든 샘플이 아무런 샘플도 처리하지 않은 control 군 대비 FLS, Chondrocyte 2종류의 세포의 viability가 각각 80% 이상으로 세포 독성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6: 항염 효능 평가]
실시예 1 및 2의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pSHA Gel), 히알루론산(HA), 황산화 히알루론산(SHA)을 사용하여 Chondrocyte, FLS 2종류 세포의 항염 효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Chondrocyte, FLS 2종류의 세포를 각각 96 well에 3.4x104 8.0x103 cells/well로 시딩(seeding)하고, TNF-alpha를 10ng/ml 및 1ng/ml 처리하여 오버나이트(overnight)로 세포를 activation한 후, 실시예 1을 chondrocyte에 5mg/ml, 실시예 2를 FLS에 1mg/ml 처리하였다. 샘플 처리 후 추가로 24시간 인큐베이션(incubation) 후 배지 내 세포의 cytokine 분비량을 ELI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5(Chondrocyte) 및 도 6(FLS)에 나타내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및 2의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pSHA Gel)이 아무런 샘플도 처리하지 않은 control 군 대비 Chondrocyte 세포의 IL-6 분비가 61% 이하로 감소하였으며, FLS 세포의 IL-6 및 IL-8 분비가 40% 이하로 감소하는 항염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7: 항응고 반응 평가]
실시예 2의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pSHA Gel), 헤파린(Heparin), 황산화 히알루론산(SHA)을 사용하여 Factor IIa와 Factor Xa의 활동 저해 정도를 발색분석법(Chromogenic assay)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Anti-IIa activity [Unit/mg] Anti-Xa activity [IU/mg]
Heparin 209 209
SHA 0.0 0.05
실시예2 0.0 0.03
상기 표 6을 참조하면, 황산화 히알루론산(SHA) 및 실시예 2의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pSHA Gel)이 헤파린 대비하여 Factor IIa 및 Factor Xa를 저해하는 활동이 7000배 정도 낮아, 항응고 반응이 거의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8: 효소 저항성 평가]
실시예 2의 pSHA Gel의 효소 저항성을 시노비안(Synovian)과 비교하여 도 7에 나타내었다.
하이드로겔 1g을 히알루론산 분해 효소인 히알루로니데이즈 (Hyaluronidase) 500uint/g solution 10ul와 섞은 후 37℃에서 4% strain, 2.5Hz로 25mm 강철 플레이트가 장착된 MCR 302 유동계를 이용하여 점탄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을 참조하면, 시노비안(Synovian)의 경우 시간에 따른 겔의 분해가 빠른 반면, 실시예 2의 pSHA Gel의 경우 분해 효소에 의한 물성 저하가 현저히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9: HUVEC 항혈관생성 효능 확인]
HUVEC 세포의 VEGF 처리 및 VEGF 비처리 샘플 군의 Matrigel을 이용하여 3D culture를 진행하였을 때 형성되는 혈관 생성(tube formation)을 도 8에 나타내었다.
VEGF 처리군/VEGF 비처리 군에서 HUVEC 세포를 matrigel이 coating 되어있는 96 well에 시딩(seeding)하여 16h 인큐베이션(incubation) 후 혈관(tube)의 형성 정도를 광학 현미경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각 샘플의 혈관 생성(tube formation) 저해 효능 평가를 위하여 matrigel이 코팅된 96well에 HUVEC 세포를 시딩(seeding) 한 뒤 일정 농도의 VEGF를 처리하고, 실시예 2의 황산화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pSHA Gel)을 처리 후 16시간 인큐베이션(incubation) 후 혈관(tube)의 형성 정도를 광학 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 2의 pSHA Gel을 처리한 경우 샘플을 처리하지 않은 control 군 대비 혈관 생성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0)

  1. 히알루론산의 알코올성 수산기 중 일부가 황산화 치환된 황산화 히알루론산, 그 유도체 및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가교 모노머를 가교제로 가교시켜 형성된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산화 히알루론산, 그 유도체 및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가교 모노머는, 히알루론산의 알코올성 수산기 중 30 내지 120%가 황산화 치환된 것인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1,4-부탄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1,4-butanediol diglycidyl ether), 폴리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Poly(ethylene glycol)diglycidyl ether), 비스페놀 에이 디글리시딜 에테르(Bisphenol A diglycidyl ether), 글리세롤 디글리시딜 에테르(Glycerol diglycidyl ether),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티르(Poly(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다이비닐 술폰(Divinyl sulfone), 폴리에틸렌글리콜 다이치올 (Poly(ethylene glycol dithiol), 시나믹 산 (cinnamic acid), 2-클로로-1-메틸피리디늄 아이오다이드(2-chloro-1-methylpyridinium iodide) 및 바이카보다이이미드(Bicarbodiim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인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산화 히알루론산, 그 유도체 및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은,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800 내지 5,000kDa인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은 항염 또는 항혈관신생을 위해 사용하는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
  6. 제1항에 따른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또는 항혈관신생용 약제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따른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8. 제1항에 따른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9. 제1항에 따른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약제학적 조성물.
  10. 제1항에 따른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유동물에서 관절염을 치료하는 방법.
KR1020190113085A 2018-09-13 2019-09-11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202000310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8132990A TWI724542B (zh) 2018-09-13 2019-09-12 基於硫酸化玻尿酸之水凝膠及含彼之藥學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09800 2018-09-13
KR1020180109800 2018-09-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058A true KR20200031058A (ko) 2020-03-23

Family

ID=6977820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084A KR102248721B1 (ko) 2018-09-13 2019-09-11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190113086A KR20200031059A (ko) 2018-09-13 2019-09-11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190113085A KR20200031058A (ko) 2018-09-13 2019-09-11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084A KR102248721B1 (ko) 2018-09-13 2019-09-11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190113086A KR20200031059A (ko) 2018-09-13 2019-09-11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3) KR102248721B1 (ko)
TW (3) TWI724542B (ko)
WO (3) WO202005519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32407A2 (de) 2000-10-19 2002-04-25 Hans-Knöll-Institut für Naturstoff-Forschung e.V. Verwendung von hyaluronsäure-derivaten zur hemmung von entzündlichen arthritide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0971961T3 (da) 1997-04-04 2003-03-24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N-sulfaterede hyaluronsyreforbindelser, derivater deraf og en fremgangsmåde til deres fremstilling
JPH11279042A (ja) * 1998-03-30 1999-10-12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IT1317358B1 (it) * 2000-08-31 2003-06-16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Derivati cross-linkati dell'acido ialuronico.
ITPD20060219A1 (it) * 2006-05-31 2007-12-01 Fidia Farmaceutici Composizioni farmaceutiche contenenti acido ialuronico solfatato nel trattamento dell'osteoartrosi
US8343942B2 (en) 2008-04-04 2013-01-01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Methods for treating interstitial cystitis
KR101303284B1 (ko) * 2011-04-06 2013-09-04 한국원자력연구원 히알루론산과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를 함유한 수화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5168B1 (ko) * 2016-06-01 2018-07-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히알루로네이트 기반 자가치유 하이드로젤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32407A2 (de) 2000-10-19 2002-04-25 Hans-Knöll-Institut für Naturstoff-Forschung e.V. Verwendung von hyaluronsäure-derivaten zur hemmung von entzündlichen arthritid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24542B (zh) 2021-04-11
KR20200031059A (ko) 2020-03-23
WO2020055201A1 (ko) 2020-03-19
TWI782232B (zh) 2022-11-01
TW202026005A (zh) 2020-07-16
WO2020055202A1 (ko) 2020-03-19
TWI728463B (zh) 2021-05-21
TW202026004A (zh) 2020-07-16
KR20200031057A (ko) 2020-03-23
TW202027758A (zh) 2020-08-01
WO2020055199A1 (ko) 2020-03-19
KR102248721B1 (ko) 202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1702B2 (en) Crosslinking hyaluronan and chitosanic polymers
JP2003523460A5 (ko)
RU2014129816A (ru) Неантикоагулянтные гликозаминогликаны, содержащие повторяющиеся дисахаридные звенья, и их медицинское применение
JP2021531305A (ja) 線維性癒着の処置のための高硫酸化フカン
US20020062019A1 (en) Glycosaminoglycans derived from K5 polysaccharide having high anticoagulant and antithrombotic activitie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US8227449B2 (en) Glycosaminoglycans derived from K5 polysaccharide having high anticoagulant and antithrombotic activitie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KR102542329B1 (ko) 항염 또는 항혈관신생용 약제학적 조성물
US11203649B2 (en) Functionalized hyaluron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in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states
CN111511773B (zh) 戊聚糖多硫酸酯以及含有戊聚糖多硫酸酯的药物
US20220233745A1 (en) Resorbable implantable device based on crosslinked glycosaminoglycan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20200031058A (ko) 황산화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CN110769858A (zh) 水溶性多糖衍生物、其制备工艺及其用途
KR102103180B1 (ko) 히알루론산유도체, 플루란 및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유착방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043349A1 (en) Hydrogel based on crosslinked hydroxyphenyl derivative of hyaluronic acid
KR102053913B1 (ko) 다당류를 이용한 가교 중점도 용액의 제조 방법
IT202100012737A1 (it) Miscele di polisaccaridi e poliamminosaccaridi con proprietà reologiche migliorate
Almeidab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new pectin derivative with antitumor proper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