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0771A -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0771A
KR20200030771A KR1020180109417A KR20180109417A KR20200030771A KR 20200030771 A KR20200030771 A KR 20200030771A KR 1020180109417 A KR1020180109417 A KR 1020180109417A KR 20180109417 A KR20180109417 A KR 20180109417A KR 20200030771 A KR20200030771 A KR 20200030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ing
manager
cabinet
sensing device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8948B1 (ko
Inventor
박은영
백동일
한동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9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948B1/ko
Priority to US16/567,502 priority patent/US11015283B2/en
Priority to EP19860738.4A priority patent/EP3810843B1/en
Priority to PCT/KR2019/011881 priority patent/WO2020055194A1/en
Publication of KR20200030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0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buttons or rotary d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50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2Air flow control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62Stopping or disabling machine operation
    • D06F2224/0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어린이를 보호하는 기능을 구비한 의류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르는 의류관리기는 의류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된 도어; 상기 캐비닛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의류를 처리하도록 마련된 의류처리장치; 상기 캐비닛에 사람 또는 동물이 들어갔는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감지장치; 및 상기 감지장치에서 사람 또는 동물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이상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Clothes refre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개시는 의류관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린이 보호 기능을 갖는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거나, 의류에 배어 있는 담배 냄새나 음식 냄새등과 같은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의류를 처리하거나 재생하는 의류관리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의류관리기는 의류를 수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캐비닛을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어린이가 캐비닛의 도어를 열고 수용 공간에 들어 갈 수 있다. 어린이가 캐비닛에 들어가서 도어를 닫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어린이는 질식하여 죽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의류관리기는 어린이가 캐비닛의 수용 공간에 들어간 것을 감지하여 알릴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지 않고 있다. 다만, 매뉴얼이나 라벨 등의 경고 문구를 통해 어린이가 캐비닛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종래의 의류관리기는 어린이의 질식사를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어린이가 의류관리기에 들어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어린이 보호 기능을 갖는 의류관리기에 관련된다.
또한, 본 개시는 어린이가 의류관리기에 들어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의류관리기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배기장치를 개방하여 어린이의 질식사를 막을 수 있는 어린이 보호 기능을 갖는 의류관리기에 관련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는 의류관리기는, 의류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된 도어; 상기 캐비닛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의류를 처리하도록 마련된 의류처리장치; 상기 캐비닛에 사람 또는 동물이 들어갔는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감지장치; 및 상기 감지장치에서 사람 또는 동물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이상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캐비닛의 수용 공간의 바닥을 형성하는 중간판; 및 상기 중간판의 아래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중간판이 접촉하면, 상기 프로세서로 신호를 전송하는 택트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택트 스위치는 일정 각도 선회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케이스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택트 스위치를 지지하는 서포트; 및 상기 서포트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은 배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상기 사람 또는 동물 검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기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캐비닛의 수용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장치는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제1배기장치와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배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장치는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는 사람 또는 동물을 인식하는 이미지 센서, 이산화수소 감지 센서, 모션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수용 공간의 바닥을 형성하는 중간판; 및 상기 중간판의 변위를 검출하는 변위 검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의류관리기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의류관리기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는 로드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도어가 열리면 신호를 출력하는 도어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작동 중에 상기 도어 센서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이상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관리기는 상기 프로세서에서 출력된 상기 이상 감지 신호를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제어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패널은 상기 감지장치를 온/오프할 수 있는 작동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캐비닛, 의류처리장치, 감지장치,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감지장치의 작동 버튼을 눌러 상기 감지장치가 작동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사람 또는 동물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이상 감지 신호를 출력하여 이상 감지 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작동 버튼이 다시 눌리거나 전원 버튼이 눌리면, 상기 감지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이상 감지 경보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의류관리기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작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관리기가 작동 중에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상기 사람 또는 동물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의류관리기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관리기의 작동 중에 상기 의류관리기의 도어가 열렸다 닫히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의류관리기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관리기에 의하면, 사람 또는 동물이 캐비닛의 수용 공간에 들어간 것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으므로 사람 또는 동물이 캐비닛의 수용 공간에서 질식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관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관리기의 기능 블록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관리기의 중간판과 감지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관리기에 사용되는 감지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감지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도 4의 감지장치가 최대로 선회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도 4의 감지장치의 택트 스위치가 눌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관리기에 사용되는 배기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관리기의 제어패널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관리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관리기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일 때, 사람 또는 동물을 감지하는 의류관리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2는 전원 오프시 사람 또는 동물이 의류관리기에 들어갔을 때, 도 9의 제어패널을 사용하여 의류관리기를 조작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의류관리기가 작동 중에 사람 또는 동물이 의류관리기에 들어갔을 때, 도 9의 제어패널을 이용하여 의류관리기를 조작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의류관리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의류관리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의류관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의한 의류관리기 및 의류관리기의 제어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개시는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한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하단'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서 어린이는 의류관리기에 들어갈 수 있는 사람 또는 동물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관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관리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관리기(1)는 캐비닛(10), 의류처리장치(30), 감지장치(40), 프로세서(6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의류관리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의류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11)이 마련되며, 캐비닛(10)의 전면은 의류를 넣고 뺄 수 있도록 개구가 마련된다. 캐비닛(10)의 전면에는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20)가 마련된다. 도어(20)는 캐비닛(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어(20)가 닫히면,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이 밀폐된다.
캐비닛(10)은 중간판(13)에 의해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중간판(13)의 상부는 의류가 수납될 수 있는 수용 공간(11)을 형성하며, 하부의 공간에는 의류처리장치(30)가 설치된다.
중간판(13)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중간판(13)의 위에 물건을 놓거나 사람 또는 동물이 올라가는 경우 처짐이 발생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대략 5Kg의 중량을 갖는 물건(예를 들면, 이불)을 중간판(13)에 올려 놓는 경우, 중간판(13)은 약 2mm 이하로 처진다. 통상 어린이의 몸무게인 10-20Kg의 중량을 갖는 물건을 중간판(13)에 올려 놓는 경우, 중간판(13)은 약 3-5mm 정도 처진다. 즉, 중간판(13)은 중간판 (13) 위에 놓이는 물건의 중량에 따라 대략 선형적으로 변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30)는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에 수납된 의류를 리프레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의류처리장치(30)는 의류에 부착된 오염물을 제거하거나, 의류에 흡착된 먼지를 제거하거나, 의류에 발생된 주름을 펼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30)는 종래기술에 의한 의류관리기의 의류처리장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감지장치(40)는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에 사람 또는 동물(주로 어린이)가 들어갔는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감지장치(40)는 사람 또는 동물이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에 들어가면, 이를 감지하여 사람 또는 동물 감지신호를 프로세서(60)로 출력한다. 따라서, 감지장치(40)는 어린이 감지장치로 칭할 수 있다.
감지장치(40)는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에 들어간 사람 또는 동물을 감지할 수 있으면,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에 어린이가 들어간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어린이가 캐비닛(10)에 들어가면 어린이의 몸무게로 인해 중간판(13)이 아래로 처지게되므로, 감지장치(40)는 중간판(13)의 처짐을 검출하여 어린이가 캐비닛(10)에 들어갔는지를 감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중간판(13)의 처짐을 감지하는 감지장치(4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관리기의 중간판과 감지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관리기에 사용되는 감지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감지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감지장치가 최대로 선회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감지장치의 택트 스위치가 눌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감지장치(40)는 중간판(13)의 처짐을 감지할 수 있도록 중간판(13)의 아래에 설치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감지장치(40)는 택트 스위치(tact switch)(41)와 누름부재(15)를 포함할 수 있다.
택트 스위치(41)는 중간판(13)의 처짐을 검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택트 스위치(41)는 상하로 이동 가능한 노브(41a)와 노브(41a)의 이동을 안내하는 스위치 몸체(41b)를 포함하며, 노브(41a)가 눌리면 스위치 몸체(41b)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택트 스위치(41)는 프로세서(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중간판(13)이 택트 스위치(41)에 접촉하면, 즉 택트 스위치(41)의 노브(41a)를 누르면, 프로세서(60)로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프로세서(60)는 택트 스위치(41)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사람 또는 동물 감지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한다.
누름부재(15)는 중간판(13)의 하면에 설치되며, 중간판(13)이 처지는 경우 중간판(13)과 일체로 아래로 이동하여 택트 스위치(41)의 노브(41a)를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어린이가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에 들어간 경우에, 중간판(13)이 어린이의 몸무게에 의해 처지므로 중간판(13)의 하면에 설치된 누름부재(15)가 택트 스위치(41)의 노브(41a)를 누르게 된다.
택트 스위치(41)는 중간판(13)의 아래에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간판(13)의 아래에는 의류처리장치(30)가 마련되므로, 중간판(13)은 의류처리장치(30)의 케이스에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택트 스위치(41)를 중간판(13)의 아래에 고정시키면, 택트 스위치(41)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예를 들면, 중간판(13)에 중량이 큰 물건이 놓인 경우, 중간판(13)의 처짐이 커지게 되고, 이 경우, 택트 스위치(41)의 노브(41a)가 규격 이상으로 눌리게 되어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택트 스위치(41)가 일정 각도 선회할 수 있도록 중간판(13)의 아래에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택트 스위치(41)는 일정 각도 선회 가능한 서포트(43)에 설치된다. 서포트(43)는 고정 브라켓(4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고정 브라켓(45)은 의류처리장치(30)의 케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
서포트(43)는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 부근에는 택트 스위치(41)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회전 샤프트(44)가 마련된다.
고정 브라켓(45)은 대략 채널 형상으로 형성되며, 마주하는 양 측면(45a)에는 서포트(43)의 회전 샤프트(44)가 삽입되는 축 구멍(45b)이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 샤프트(44)를 고정 브라켓(45)의 축 구멍(45b)에 삽입하면, 서포트(43)가 고정 브라켓(45)에 대해 일정 각도 선회할 수 있다.
서포트(43)는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 부재(46)에 의해 상측 방향, 즉 중간판(13)을 향해 탄성지지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서포트(43)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고정 브라켓(45)에는 스토퍼(47)를 마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고정 브라켓(45)에 2개의 스토퍼(47)가 마련된다. 스토퍼(47)가 탄성 부재(46)에 의해 서포트(43)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므로, 서포트(43)는 중간판(13)으로부터 일정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서포트(43)가 중간판(13)으로부터 일정한 위치에 위치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택트 스위치(41)와 중간판(13)의 누름부재(15) 사이의 간격(G)도 일정하게 유지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46)로 2개의 토션 스프링을 사용한다. 2개의 토션 스프링(46)은 서포트(43)의 회전 샤프트(44)의 양측 단부에 삽입되어 서포트(43)를 상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 부재(46)로 토션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으나, 탄성 부재(46)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서포트(43)의 하부에 코일 스프링을 설치하여 서포트(43)를 상측 방향으로 지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서포트(43)를 탄성 부재(46)에 의해 탄성 지지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43)는 회전 샤프트(44)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θ)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중간판(13)에 과도한 중량이 인가되어 중간판(13)이 설계 처짐량 이상으로 처지는 경우에, 택트 스위치(41)를 지지하는 서포트(43)가 아래 방향으로 선회하므로 택트 스위치(4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어린이가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에 들어가면, 중간판(13)이 어린이의 몸무게에 의해 처지게 된다. 그러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판(13)에 설치된 누름부재(15)가 아래로 이동하여 택트 스위치(41), 즉 택트 스위치(41)의 노브(41a)를 누르게 된다. 노브(41a)가 눌리면, 택트 스위치(41)는 프로세서(60)로 사람 또는 동물 감지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캐비닛(10)에 들어간 어린이의 몸무게가 설계 중량이면, 중간판(13)의 누름부재(15)에 의해 택트 스위치(41)의 노브(41a)만 아래로 이동하고, 서포트(43)는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어린이의 몸무게가 설계 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택트 스위치(41)의 노브(41a)가 눌린 상태에서 서포트(43)가 회전 샤프트(44)를 중심으로 아래로 일정 각도 선회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택트 스위치(41)를 탄성부재(46)로 지지하여 일정 각도 선회할 수 있도록 하면, 중간판(13)의 과도한 처짐에 의해 택트 스위치(4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택트 스위치(41)로 중간판(13)의 처짐을 검출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중간판(13)의 처짐을 검출하는 스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택트 스위치(41) 대신에 눌리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누름 스위치(push switch)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관리기(1)는 캐비닛(10)의 내부 공간(11)과 외부를 연통하는 배기장치(5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기장치(51,52)는 프로세서(60)의 제어에 따라 배기구(21,12)를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프로세서(60)에 의해 배기구(21,12)가 개방되면, 캐비닛(10)의 내부 공간(11)과 외부가 연통되어 외부의 공기가 캐비닛(1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따라서, 캐비닛(10)의 내부 공간(11)에 어린이가 들어간 경우, 배기장치(51, 52)가 배기구(21,12)를 개방하면 어린이가 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의류관리기(1)를 정상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프로세서(60)는 배기장치(51,52)를 제어하여 배기구(21,12)를 닫아 외부의 공기가 캐비닛(10)의 내부 공간(11)으로 인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장치(52,51)는 캐비닛(10)의 상면과 도어(20)에 마련될 수 있다. 제1배기장치(51)는 도어(20)에 형성된 제1배기구(21)를 개폐하도록 마련되고, 제2배기장치(52)는 캐비닛(10)의 상면에 형성된 제2배기구(12)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의류관리기(1)는 2개의 배기장치(51,52), 즉 제1배기장치(51)와 제2배기장치(52)를 포함하는 구성이나, 배기장치(51,52)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기장치(51,52)는 한 개만 설치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관리기의 도어에 설치된 배기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배기장치(51)는 배기구(21)를 차단할 수 있는 차단부재(53)와 차단부재(53)를 선회시킬 수 있는 모터(55)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구(21)는 의류관리기(1)의 도어(20)에 마련되며, 외부와 연통되는 개구로 형성된다. 도어(20)에 배기통로가 마련된 경우에는 배기구(21)는 배기통로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차단부재(53)는 도어(20)에 배기구(21)를 차단하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차단부재(53)는 도어(20)의 배기구(2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배기구(21)를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 차단부(53a)와 차단부(53a)의 양단에서 대략 수직하게 연장된 한 쌍의 지지팔(53b)을 포함한다. 한 쌍의 지지팔(53b)은 도어(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모터(55)는 지지팔(53b)의 일측에 설치되며, 지지팔(53b)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프로세서(60)가 모터(55)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한 쌍의 지지팔(53b)이 도어(20)에 대해 회전하므로, 차단부재(53)가 배기구(21)를 개폐할 수 있다. 즉, 차단부재(53)가 배기구(21)를 막고 있는 상태에서, 모터(55)가 일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면, 차단부재(53)가 회전하여 배기구(21)가 개방된다. 이후, 모터(55)를 반대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키면, 차단부재(53)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배기구(21)를 차단하게 된다.
캐비닛(10)의 상면에 설치되는 배기장치(52)는 도 8에 도시된 배기장치(51)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캐비닛(10)의 상면에 형성된 배기구(12)를 개폐하도록 설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캐비닛(10)의 상면에 설치되는 배기장치(52)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프로세서(60)는 감지장치(40), 예를 들면, 택트 스위치(41)로부터 사람 또는 동물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이상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프로세서(60)에서 이상 감지 신호가 출력되면, 의류관리기(1)는 스피커나 디스플레이로 이상 감지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60)는 의류처리장치(30)를 제어하여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에 수납된 의류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60)는, 예를 들면, 전자회로기판과 같은 처리 회로, ASIC, ROM, RAM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부품 및/또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60)가 의류처리장치(30)를 제어하여 의류를 처리하는 것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의류관리기의 프로세서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프로세서(60)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의류관리기(1)는 이상 감지 경보를 출력하기 위해 스피커(81)나 버저(82)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관리기(1)가 스피커(81)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프로세서(60)에서 이상 감지 신호가 출력되면, 스피커(81)가 이상 감지 경보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의류관리기(1)는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나 외부 기기로 이상 감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나 외부 기기가 이상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이상 감지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송신부(90)는 프로세서(60)의 제어에 따라 의류관리기(1)의 상태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이상 감지 신호를 모바일 기기나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송신부(90)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모바일 기기나 외부 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신부(90)는 퍼스널 컴퓨터나 모바일 기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는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60)에서 생성된 이상 감지 신호는 송신부(90)를 통해 모바일 기기 또는 외부 기기로 출력될 수 있다.
퍼스널 컴퓨터나 모바일 기기에 의류관리기(1)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에는, 통신 또는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에게 이상 감지 경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퍼스널 컴퓨터나 모바일 기기를 통해 의류관리기(1)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송신부(90)는 인터넷을 통해 클라우드(cloud), 웹 하드(web hard)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프로세서(60)에서 출력된 이상 감지 신호는 클라우드나 웹 하드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송신부(90)는 모바일 기기나 외부 기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의류관리기(1)의 프로세서(60)로 수신된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송신부(90)는 모바일 기기나 외부 기기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는 송신부(90)는 송수신부로 구현된다. 이와 같이 송신부(90)가 송수신부로 구현된 경우에, 사용자는 퍼스널 컴퓨터나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의류관리기(1)를 제어할 수 있다.
의류관리기(1)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어 패널(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패널(70)의 일 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관리기의 제어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의류관리기(1)의 제어패널(70)은 디스플레이(71), 의류처리코스를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코스 선택 버튼(72), 특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옵션 선택 버튼(73), 전원 버튼(74), 동작 버튼(75)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71)는 선택된 의류처리코스, 의류관리기(1)의 상태, 이상 감지 경보 등, 사용자가 의류관리기(1)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형성된다. 디스플레이(71)는 이러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코스 선택 버튼(72)은 표준 코스를 선택할 수 있는 표준 버튼(72a),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코스를 선택할 수 있는 미세먼지 버튼(72b), 의류 처리를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코스를 선택할 수 있는 급속 버튼(72c), 의류를 살균할 수 있는 코스를 선택할 수 있는 살균 버튼(72d), 의류를 건조할 수 있는 코스를 선택할 수 있는 건조 버튼(72e), 의류의 종류 등에 대응하여 특별한 처리를 수행하는 스페셜 코스를 선택할 수 있는 스페셜 버튼(72f)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복수의 코스 선택 버튼(72)은 일 예일 뿐이며, 의류관리기(1)가 상술한 코스 외의 다른 의류 처리 코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경우에는 다른 의류 처리 코스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옵션 선택 버튼(73)은 조용히 버튼(73a), 예약 버튼(73b), 스마트 컨트롤 버튼(73c)을 포함할 수 있다.
조용히 버튼(73a)은 의류관리기(1)의 작동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한 버튼이다. 즉, 조용히 버튼(73a)을 누르면, 선택된 의류처리코스를 수행할 때, 소음이 최소화되도록 의류관리기(1)가 작동한다. 따라서, 조용히 버튼(73a)은 상술한 코스 선택 버튼(72)을 누르기 전에 선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조용히 버튼(73a)은 감지장치(40)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조용히 버튼(73a)은 감지장치(40)의 작동을 온/오프시키는 작동 버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조용히 버튼(73a)은 2가지 기능, 즉 의류관리기(1)의 동작 소음을 최소화하는 기능과 감지장치(40)를 온/오프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2가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조용히 버튼(73a)을 누르는 시간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조용히 버튼(73a)를 길게 누르면, 예를 들면 조용히 버튼(73a)을 3초 누르면 감지장치(40)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조용히 버튼(73a)을 짧게 누르면, 예를 들어, 3초 미만으로 누르면 조용히 버튼(73a)의 기 설정 기능인 의류관리기(1)의 동작 소음을 최소화하는 기능이 작동한다.
조용히 버튼(73a)을 3초 이상 누르면, 감지장치(40)가 작동하는 어린이 보호 모드가 설정된다. 감지장치(40)가 작동하는 중에 사람 또는 동물(주로 어린이)가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에 들어가면, 감지장치(40)는 이를 감지하여 프로세서(60)로 사람 또는 동물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어린이 보호 모드는 어린이 외에 사람 또는 동물이 캐비닛(10)에 들어간 경우에도 사람 또는 동물이 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호 모드를 의미한다.
감지장치(40)가 작동하는 중에 조용히 버튼(73a)을 다시 3초 이상 누르면, 감지장치(40)의 작동이 해제된다. 즉, 어린이 보호 모드의 설정이 해제된다. 감지장치(40)의 작동이 해제된 경우에는 어린이가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에 들어가도 감지장치(40)는 사람 또는 동물 감지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예약 버튼(73b)은 사용자가 의류관리기(1)의 의류처리코스와 작동시간을 예약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한다.
스마트 컨트롤 버튼(73c)은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와 의류관리기(1)를 연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즉, 스마트 컨트롤 버튼(73c)을 이용하여 스마트 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류관리기(1)를 등록하고,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의류관리기(1)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용히 버튼(73a)을 감지장치(40)를 작동시키는 작동 버튼으로 설정하였으나, 감지장치(40)를 작동시키는 작동 버튼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예약 버튼(73b)이나 스마트 컨트롤 버튼(73c)을 3초 이상 길게 누르는 경우 감지장치(40)를 작동시킬 수 있는 작동 버튼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74)은 의류관리기(1)를 온/오프 시킬 수 있다. 즉, 전원 버튼(74)을 누르면, 의류관리기(1)에 전원이 인가되어 사용자는 복수의 코스 선택 버튼(72)과 복수의 옵션 선택 버튼(73)을 사용하여 의류관리기(1)의 작동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전원 버튼(74)을 다시 누르면, 의류관리기(1)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오프 상태가 된다.
또한, 감지장치(40)가 작동하는 중에 전원 버튼(74)을 누르면, 어린이 보호 모드 설정이 해제되어 감지장치(40)가 작동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동작 버튼(75)은 의류관리기(1)가 의류처리코스를 수행하도록 한다. 즉, 동작 버튼(75)을 누르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의류처리코스가 수행된다. 의류관리기(1)가 동작 중에 동작 버튼(75)을 누르면, 의류관리기(1)의 작동이 일시적으로 중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어패널(70)이 복수의 버튼(72,73,74,75)으로 구현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제어패널(70)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코스 선택 버튼(72), 복수의 옵션 선택 버튼(73), 전원 버튼(74), 동작 버튼(75)을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소프트 웨어 버튼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관리기(1)에 사람 또는 동물(주로 어린이)가 들어갔을 때, 즉 사람 또는 동물이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에 들어갔을 때, 감지장치(40)는 사람 또는 동물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감지장치(40)로부터 사람 또는 동물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프로세서(60)는 사람 또는 동물이 질식되지 않도록 의류관리기(1)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어린이가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에 들어갔을 때, 프로세서(60)가 의류관리기(1)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의류관리기(1)가 정상적으로 의류 처리를 수행하고 있을 때 어린이가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에 들어간 경우의 의류관리기(1)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관리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사용자는 의류관리기(1)의 전원을 온(on)한다. 이때, 제어패널(70)의 전원 버튼(74)을 누르면 의류관리기(1)에 전원이 인가된다(S11).
이어서, 사용자는 감지장치(40)를 작동시킨다(S12). 감지장치(40)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9의 제어패널(70)의 조용히 버튼(73a)을 3초 이상 누르면, 감지장치(40)가 작동하는 어린이 보호 모드가 설정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제어패널(70)의 복수의 코스 선택 버튼(72)과 복수의 옵션 선택 버튼(73)을 이용하여 의류처리코스를 선택한다. 그 후, 동작 버튼(75)을 눌러 의류관리기(1)를 작동시킨다(S13).
의류관리기(1)가 작동 중에 프로세서(60)는 감지장치(40)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한다(S14).
의류관리기(1)가 작동 중에 어린이가 캐비닛(10)의 도어(20)를 열고 수용 공간(11)에 들어가면, 감지장치(40)는 이를 감지하여 프로세서(60)로 사람 또는 동물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어린이가 캐비닛(10)에 들어가면 중간판(13)이 처지고, 중간판(13)이 처지면 택트 스위치(41)가 작동하여 프로세서(60)로 신호를 출력한다.
프로세서(60)는 감지장치(40)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의류관리기(1)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이상 감지 신호를 출력하여 의류관리기(1)가 이상 감지 경보를 출력하도록 한다(S15). 만일, 의류관리기(1)가 배기장치(51,52)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프로세서(60)는 배기장치(51,52)를 제어하여 배기구(21,12)를 개방한다. 그러면, 외부 공기가 배기구(21,12)를 통해 캐비닛(10)의 내부 공간(11)으로 유입되므로 사용자가 늦게 도어(20)를 개방하는 경우에도 어린이의 질식을 방지할 수 있다.
의류관리기(1)에서 이상 감지 경보가 출력되면, 사용자는 의류관리기(1)의 도어(20)를 열어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을 확인하여, 어린이가 밖으로 나오도록 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감지장치(40)의 작동을 해제한다(S16). 그러면, 의류관리기(1)에서 출력되는 이상 감지 경보가 중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조용히 버튼(73a)을 3초 이상 누르거나 전원 버튼(74)을 누르면 감지장치(40)의 작동이 해제된다. 이때, 배기장치(51,52)가 배기구(21,12)를 개방한 상태인 경우에는 프로세서(60)는 배기장치(51,52)를 제어하여 배기구(21,12)를 닫도록 한다.
이상 감지 경보가 중단되면, 사용자는 의류관리기(1)를 재작동시킨다(S17).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어패널(70)의 동작 버튼(75)을 누르면, 의류관리기(1)가 재작동한다.
다음으로, 의류관리기(1)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일 때, 어린이가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에 들어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관리기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일 때, 의류관리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의류관리기(1)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어린이가 캐비닛(10)에 들어간 것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의류관리기(1)의 전원이 오프되기 전에 감지장치(40)가 작동하도록 설정될 필요가 있다.
즉, 의류관리기(1)의 전원을 오프하기 전에 제어패널(70)의 조용히 버튼(73a)을 3초 이상 눌러 감지장치(40)가 작동하도록 어린이 보호 모드를 설정한 후, 의류관리기(1)의 전원을 오프한다. 그러면, 의류관리기(1)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감지장치(40)는 작동하는 상태가 된다.
프로세서(60)는 감지장치(40)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한다(S21). 의류관리기(1)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어린이가 캐비닛(10)의 도어(20)를 열고 수용 공간(11)에 들어가면, 감지장치(40)는 이를 감지하여 프로세서(60)로 사람 또는 동물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어린이가 캐비닛(10)에 들어가면 중간판(13)이 처지고, 중간판(13)이 처지면 택트 스위치(41)가 작동하여 프로세서(60)로 신호를 출력한다.
프로세서(60)는 감지장치(40)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이상 감지 신호를 출력하여 의류관리기(1)가 이상 감지 경보를 출력하도록 한다(S22). 의류관리기(1)가 배기장치(51,52)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프로세서(60)는 배기장치(51,52)를 제어하여 배기구(21,12)를 개방한다. 그러면, 외부 공기가 배기구(21,12)를 통해 캐비닛(10)의 내부 공간(11)으로 유입되므로 사용자가 늦게 도착하는 경우에도 어린이의 질식을 방지할 수 있다.
의류관리기(1)에서 이상 감지 경보가 출력되면, 사용자는 의류관리기(1)의 도어(20)를 열어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을 확인하여, 어린이가 밖으로 나오도록 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감지장치(40)의 작동을 해제한다(S23). 그러면, 의류관리기(1)에서 출력되는 이상 감지 경보가 중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어패널(70)의 조용히 버튼(73a)을 3초 이상 누르거나 전원 버튼(74)을 누르면 감지장치(40)의 작동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의류관리기(1)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어린이가 캐비닛(10)에 들어간 것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프로세서(60)와 감지장치(40)에는 최소한의 전원이 공급되록 구성된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어린이가 의류관리기(1)의 캐비닛(10)에 들어갔을 때, 도 9의 제어패널(70)을 갖는 의류관리기(1)의 조작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는 전원 오프시 어린이가 의류관리기에 들어갔을 때, 도 9의 제어패널을 사용하여 의류관리기를 조작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의 (a)는 의류관리기(1)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일 때, 제어패널(70)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어린이 보호를 위해 감지장치(40)는 작동하는 상태이다. 즉, 의류관리기(1)의 전원을 오프하기 전에 사용자가 조용히 버튼(73a)을 3초 이상 눌러 감지장치(40)가 작동되는 어린이 보호 모드를 설정한 상태이다. 감지장치(40)를 작동시킨 후, 의류관리기(1)의 전원을 오프하여도 감지장치(40)는 그대로 작동한다.
의류관리기(1)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어린이가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에 들어가 도어(20)를 닫으면, 감지장치(40)는 중간판(13)의 처짐에 의해 이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러면, 감지장치(40)는 프로세서(60)로 사람 또는 동물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프로세서(60)는 이상 감지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패널(70)의 전원을 온시키고, 의류관리기(1)가 다양한 방법으로 이상 감지 경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60)는 제어패널(70)의 디스플레이(71)에 '이상 감지, 문을 열고 내부를 확인하세요'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패널(70)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60)는 스피커(81)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60)는 버저(82)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의류관리기(1)가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와 연결된 경우에는, 프로세서(60)는 통신이나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 이상 감지 신호를 전송하여 모바일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이상 감지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의류관리기(1)에서 출력되는 이상 감지 경보를 인식한 경우, 사용자는 의류관리기(1)의 도어(20)를 개방하여 어린이가 밖으로 나오도록 한다.
그러면, 프로세서(60)는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패널(70)의 디스플레이(71)에 '어린이 보호 설정 중, 어린이 보호 버튼을 3초간 누르세요'라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사용자가 제어패널(70)의 조용히 버튼(어린이 보호 버튼)(73a)을 3초 이상 누르면, 감지장치(40)의 작동이 중지되어 어린이 보호 설정이 해제된다. 그러면, 의류관리기(1)가 출력하는 이상 감지 경보가 중지된다.
사용자가 감지장치(40)의 작동을 중지시키면, 프로세서(60)는 제어패널(70)의 전원을 오프시켜 도 1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관리기(1)가 전원이 오프된 상태로 되돌아가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감지장치(40)로 중간판(13)의 아래에 설치된 택트 스위치(41)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택트 스위치(41)를 사용하지 않고 캐비닛(10)의 도어(20)의 개폐를 이용하여 어린이가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에 들어간 것을 감지하고 이를 외부로 알리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즉, 감지장치(40)로 도어(20)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는 도어 센서(23)(도 2 참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만, 감지장치(40)로 도어 센서(23)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의류관리기(1)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일 경우에는 어린이가 캐비닛(10)에 들어간 것을 감지할 수 없고, 의류관리기(1)가 작동 중인 경우에만 어린이가 캐비닛(10)에 들어간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하, 감지장치(40)로 도어 센서(23)를 사용하는 경우에, 의류관리기(1)의 제어방법에 대해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은 의류관리기가 작동 중에 어린이가 의류관리기에 들어갔을 때, 도 9의 제어패널을 이용하여 의류관리기를 조작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의 (a)는 의류관리기(1)가 표준 코스로 의류를 처리하는 상태일 때, 제어패널(70)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어린이 보호를 위해 감지장치(40)가 작동하는 상태이다. 즉, 의류관리기(1)를 작동시키기 전에 사용자가 제어패널(70)의 조용히 버튼(73a)을 3초 이상 눌러 감지장치(40)가 작동하는 어린이 보호 모드를 설정한 상태이다.
의류관리기(1)가 정상적으로 작동 중에 어린이가 캐비닛(10)의 도어(20)를 열면,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패널(70)의 디스플레이(71)에 '문열림, 문을 닫고 다시 시작하세요'라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다. 의류관리기(1)의 정상 작동 중에 도어(20)가 열리면, 도어 센서(23)가 이를 감지하여 프로세서(60)로 신호를 출력한다. 도어 센서(23)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프로세서(60)는 의류관리기(1)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그후, 어린이가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에 들어가 도어(20)를 닫으면, 프로세서(60)는 이상을 감지하고 이상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프로세서(60)는 도어 센서(2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개방되었다가 다시 닫힌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프로세서(60)는 의류관리기(1)의 작동 중에 도어(20)가 개방되었다가 닫힌 것을 인식하면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상 감지 신호를 출력하여 의류관리기(1)가 이상 감지 경보를 출력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도 1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60)는 제어패널(70)의 디스플레이(71)에 '이상 감지, 문을 열고 내부를 확인하세요'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71)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외에도 프로세서(60)는 의류관리기(1)가 다양한 방법으로 이상 감지 경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60)는 스피커(81)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60)는 버저(82)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의류관리기(1)가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와 연결된 경우에는, 프로세서(60)는 통신이나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 이상 감지 신호를 전송하여 모바일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이상 감지 경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의류관리기(1)에서 출력되는 이상 감지 경보를 인식하면, 사용자는 의류관리기(1)의 도어(20)를 개방하여 어린이가 밖으로 나오도록 한다.
그러면, 프로세서(60)는 도 1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패널(70)의 디스플레이(71)에 '어린이 보호 설정 중, 어린이 보호 버튼을 3초간 누르세요'라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사용자가 제어패널(70)의 조용히 버튼(73a)을 3초 이상 누르면, 감지장치(40)의 작동이 중지되어 어린이 보호 설정이 해제된다. 그러면, 의류관리기(1)가 출력하는 이상 감지 경보가 중지된다.
사용자가 감지장치(40)의 작동을 중지시키면, 프로세서(60)는 도 13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패널(70)의 디스플레이(71)에 '문닫힘, 동작 버튼을 누르세요'라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어패널(70)의 동작 버튼(75)을 누르면, 의류관리기(1)는 진행하다가 중지한 의류처리코스를 재실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관리기(1)에 의하면, 도어(20)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는 도어 센서(23)를 감지장치(40)로 이용하여 어린이 보호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만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류관리기(1)는 조용히 버튼(73a)을 길게(예를 들면, 3초) 누르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으면 어린이 보호 모드가 설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집에 어린이가 없는 경우에, 어린이 보호 모드를 설정하지 않으면, 의류관리기(1)의 동작 중에 도어(20)가 열렸다 닫혀도 이상 감지 경보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의류관리기(1)의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에 사람 또는 동물(주로 어린이)이 들어간 것을 감지하기 위해 중간판(13)의 처짐을 검출하는 택트 스위치(41)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에 사람 또는 동물이 들어간 것을 감지하는 센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에 사람 또는 동물이 들어간 것을 감지할 수 있는한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의류관리기(1)의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에 사람 또는 동물이 들어가면, 수용 공간(11)의 상태가 변화하므로 공간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사용하여 사람 또는 동물이 의류관리기(1)의 캐비닛(10)에 들어갔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와 같이 사람 또는 동물의 이미지를 인식하여 사람 또는 동물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100)를 사용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관리기(1)의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00)는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에 들어온 사람 또는 동물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00)를 감지장치로 사용하면,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에 들어온 것이 사람 또는 동물인지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물건을 캐비닛(10)의 중간판(13)에 놓았을 경우에는, 프로세서(60)는 이미지 센서(100)를 이용하여 사람 또는 동물이 들어오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이상 감지 경보를 출력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에 사람 또는 동물이 들어오면, 수용 공간(11)의 이산화탄소(CO2) 농도가 상승하므로 이를 감지하여 사람 또는 동물이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에 들어왔는지는 인식하도록 감지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의 이산화탄소의 농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CO2) 센서(101)를 감지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센서(101)는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나,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의 상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산화탄소 센서(101)를 감지장치로 사용하면, 사람 또는 동물이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에 들어왔는지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에 들어온 사람 또는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모션 감지 센서(passive infrared (PIR) sensor)(102)를 감지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모션 감지 센서(102)는 사람 또는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이므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의 상부에 설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에 사람 또는 동물이 들어오면, 수용 공간(11)의 온도가 상승하므로 이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103)를 감지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온도 감지 센서(103)로는 방사열을 검출할 수 있는 서모파일(thermopile)을 사용할 수 있다. 따듯한 공기는 위로 상승하므로, 온도 감지 센서(103)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의 상부에 설치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사람 또는 동물의 몸무게로 인한 의류관리기(1)의 중간판(13)의 변위를 검출하여 사람 또는 동물이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에 들어왔는지 여부를 인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중간판(13)의 변위를 검출할 수 있는 변위 검출 센서를 감지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관리기(1)의 중간판(13)의 하면에 영구자석을 설치하고, 영구자석의 아래에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TMR 센서(Tunneling Magneto Resistance sensor)(110)를 설치할 수 있다. 그러면, 사람 또는 동물이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에 들어가 중간판(13)이 처지면, 중간판(13)의 변위를 TMR 센서(200)로 감지하여 프로세서(60)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60)는 TMR 센서(1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캐비닛(10)에 사람 또는 동물이 들어간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감지장치로 중간판(13)의 변위를 검출할 수 있는 LVDT(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센서(111)가 사용될 수 있다. LVDT 센서(111)는 중간판(13)의 변위를 검출하는 것이므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관리기(1)의 중간판(13)의 아래에 설치된다. 따라서, 프로세서(60)는 LVDT 센서(11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캐비닛(10)에 사람 또는 동물이 들어간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사람 또는 동물이 캐비닛(10)의 수용 공간(11)에 들어가면, 사람 또는 동물의 몸무게 만큼 의류관리기(1)의 중량이 증가하므로, 로드셀(120)을 이용하여 의류관리기(1)의 중량 변화를 측정하여 사람 또는 동물이 캐비닛(10)에 들어갔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로드셀(120)은 의류관리기(1)의 중량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관리기(1)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개시는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개시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개시는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의류관리기 10; 캐비닛
11; 수용 공간 12, 21; 배기구
13; 중간판 15; 누름부재
20; 도어 23; 도어 센서
30; 의류처리장치 40; 감지장치
41; 택트 스위치 43; 서포트
44; 회전 샤프트 45; 고정 브라켓
46; 탄성부재 47; 스토퍼
60; 프로세서 70; 제어패널
71; 디스플레이 72; 코스 선택 버튼
73; 옵션 선택 버튼 74; 전원 버튼
75; 동작 버튼 81; 스피커
90; 송신부 100; 이미지 센서
110; TMR 센서 120; 로드셀

Claims (20)

  1. 의류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된 도어;
    상기 캐비닛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의류를 처리하도록 마련된 의류처리장치;
    상기 캐비닛에 사람 또는 동물이 들어갔는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감지장치; 및
    상기 감지장치에서 사람 또는 동물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이상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캐비닛의 수용 공간의 바닥을 형성하는 중간판; 및
    상기 중간판의 아래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중간판이 접촉하면, 상기 프로세서로 신호를 전송하는 택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택트 스위치는 일정 각도 선회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의류관리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케이스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택트 스위치를 지지하는 서포트; 및
    상기 서포트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배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상기 사람 또는 동물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기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캐비닛의 수용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의류관리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장치는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제1배기장치와 상기 캐비닛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배기장치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는 사람 또는 동물을 인식하는 이미지 센서, 이산화수소 감지 센서, 모션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수용 공간의 바닥을 형성하는 중간판; 및
    상기 중간판의 변위를 검출하는 변위 검출 센서;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의류관리기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의류관리기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는 로드셀;을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도어가 열리면 신호를 출력하는 도어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작동 중에 상기 도어 센서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이상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의류관리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상기 이상 감지 신호를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도록 마련되는, 의류관리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제어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패널은 상기 감지장치를 온/오프할 수 있는 작동 버튼을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버튼을 짧게 누르면, 기 설정된 다른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작동 버튼을 길게 누르면, 상기 감지장치가 작동하는 어린이 보호 모드가 설정되는, 의류관리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가 작동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작동 버튼을 길게 누르면 상기 감지장치의 작동이 해제되는, 의류관리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패널은 전원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 버튼이 오프되면, 상기 감지장치의 작동이 해제되는, 의류관리기.
  16. 캐비닛, 의류처리장치, 감지장치,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의 작동 버튼을 눌러 상기 감지장치가 작동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사람 또는 동물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이상 감지 신호를 출력하여 이상 감지 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작동 버튼이 다시 눌리거나 전원 버튼이 눌리면, 상기 감지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이상 감지 경보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의 제어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의류관리기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작동하도록 형성된, 의류관리기의 제어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캐비닛의 수용 공간의 바닥을 형성하는 중간판; 및
    상기 중간판의 아래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중간판이 접촉하면, 상기 프로세서로 신호를 전송하는 택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의 제어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관리기가 작동 중에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상기 사람 또는 동물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의류관리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의류관리기의 제어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관리기의 작동 중에 상기 의류관리기의 도어가 열렸다 닫히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의류관리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의류관리기의 제어방법.
KR1020180109417A 2018-09-13 2018-09-13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638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417A KR102638948B1 (ko) 2018-09-13 2018-09-13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16/567,502 US11015283B2 (en) 2018-09-13 2019-09-11 Clothes manag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9860738.4A EP3810843B1 (en) 2018-09-13 2019-09-11 Clothes manag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9/011881 WO2020055194A1 (en) 2018-09-13 2019-09-11 Clothes manag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417A KR102638948B1 (ko) 2018-09-13 2018-09-13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771A true KR20200030771A (ko) 2020-03-23
KR102638948B1 KR102638948B1 (ko) 2024-02-22

Family

ID=69773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417A KR102638948B1 (ko) 2018-09-13 2018-09-13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15283B2 (ko)
EP (1) EP3810843B1 (ko)
KR (1) KR102638948B1 (ko)
WO (1) WO202005519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4316A (ko) 2020-07-03 2022-01-11 코웨이 주식회사 의류관리기
KR20220157775A (ko) * 2021-05-21 2022-11-29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 의류 관리기
WO2024019291A1 (ko) * 2022-07-18 2024-01-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434B1 (ko) * 2018-08-07 2024-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홈어플라이언스 및 클라우드 서버에서 수행되는 사고 예방 제어 방법
KR20210036718A (ko) * 2019-09-26 2021-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1962270B (zh) 2020-07-01 2023-04-07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衣物护理设备
US12006611B2 (en) * 2021-02-03 2024-06-1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Child detection algorithm for a laundry appliance
CN114575126B (zh) * 2021-06-01 2024-04-26 李子强 一种干衣柜
CN115618894A (zh) * 2021-07-12 2023-01-17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识别设备及衣物识别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1257A (ja) * 1993-03-23 1994-09-27 Toshiba Erebeeta Technos Kk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20090105085A (ko) * 2008-04-01 2009-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20120235514A1 (en) * 2010-10-29 2012-09-20 Stmicro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to detect child presence using active mems sensors
KR101580607B1 (ko) * 2015-07-24 2015-12-29 김정호 차량 유리문 자동 승강 제어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6316U (ko) 1997-10-25 1999-05-25 전주범 눌림감지 사운드 경보기능을 갖는 리모트콘트롤러
US7106207B1 (en) * 2005-06-15 2006-09-12 Marchan Leonito E Vehicle child seat alarm
US7768757B2 (en) * 2006-04-12 2010-08-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Circuit diagnostics switch system
US7742751B2 (en) * 2006-12-20 2010-06-22 Intel Corporation Filter scheme for receiver
EP2048274A1 (en) * 2007-10-09 2009-04-15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Home appliance including detection system for presence of a living being within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S2355231B1 (es) * 2008-11-10 2012-02-14 Art�?Culos Ferreter�?A, S.A. (Arfe) Planchadora de ropa.
KR101053624B1 (ko) 2008-11-14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019668B1 (ko) 2008-12-15 2011-03-0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세탁기의 도어 개방 장치 및 방법
WO2011025101A1 (ko) * 2009-08-28 2011-03-03 (주)엘지전자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13124798A (ja) 2011-12-14 2013-06-24 Panasonic Corp 冷蔵庫
US9916746B2 (en) * 2013-03-15 2018-03-13 August Home, Inc. Security system coupled to a door lock system
US9125380B2 (en) * 2013-05-22 2015-09-08 Richard Deutsch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animal behavior
JP6238341B2 (ja) 2013-07-19 2017-11-29 東洋電装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US9366588B2 (en) * 2013-12-16 2016-06-14 Lifescan,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to determine area sensor
KR102235174B1 (ko) 2014-07-16 2021-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952052B1 (ko) * 2014-11-22 2019-02-25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의류 관리기의 제어 방법, 제어 시스템 및 의류 관리기
US10815001B2 (en) * 2015-02-04 2020-10-27 Amardeep Singh SARAI Cockpit internal anti sabotage system (CIASS)
JP2017006499A (ja) 2015-06-25 2017-01-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KR101813593B1 (ko) * 2016-03-15 2018-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향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KR102606117B1 (ko) * 2016-06-03 2023-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JP6590262B2 (ja) * 2017-01-13 2019-10-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動工具
US10995443B2 (en) * 2018-03-12 2021-05-04 Clarence Wheeler Washer/dryer appliance comprising weight sensing technology
US10774464B2 (en) * 2018-09-12 2020-09-1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Laundry appliance having an ironing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1257A (ja) * 1993-03-23 1994-09-27 Toshiba Erebeeta Technos Kk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20090105085A (ko) * 2008-04-01 2009-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20120235514A1 (en) * 2010-10-29 2012-09-20 Stmicro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to detect child presence using active mems sensors
KR101580607B1 (ko) * 2015-07-24 2015-12-29 김정호 차량 유리문 자동 승강 제어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4316A (ko) 2020-07-03 2022-01-11 코웨이 주식회사 의류관리기
KR20220157775A (ko) * 2021-05-21 2022-11-29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 의류 관리기
WO2024019291A1 (ko) * 2022-07-18 2024-01-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10843A4 (en) 2021-08-18
KR102638948B1 (ko) 2024-02-22
WO2020055194A1 (en) 2020-03-19
EP3810843A1 (en) 2021-04-28
US20200087846A1 (en) 2020-03-19
US11015283B2 (en) 2021-05-25
EP3810843B1 (en) 2023-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8948B1 (ko)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9512643B1 (en) Door unlocking systems and methods
US10769916B2 (en) Refrigerator and home automation system having the same
CN107852566A (zh) 基于背景的手势识别和控制
US11184473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selectively applying security mode in mobile device
ITUB20159599A1 (it) Dispositivo di controllo per apparecchi elettrici di comando
EP2822264B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080100917A (ko) 지능형 창호 시스템
JP2017538238A (ja) 警報通知メッセージを送信する方法及び装置
KR20030019895A (ko) 이동 단말 장치
US20220269768A1 (en) Facial recognition by a security / automation system control panel
JP2005307736A (ja) 機器制御装置、機器制御方法、機器制御プログラム及び機器制御システム
JP3554470B2 (ja) 窓戸制御システム
KR102087361B1 (ko) 디지털 도어록 및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KR20140106342A (ko) 자동 녹화 및 실시간 영상 통화가 가능한 가정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시스템
KR101945228B1 (ko) 방향인식 카운트 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JP2006251984A (ja) 電子機器、電子機器自動制御装置、電子機器自動制御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自動制御方法
WO2020071129A1 (ja) 制御システム
KR101283653B1 (ko)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에서의 도어 오픈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996716B1 (ko) 방범용 개폐식 침대
AU2020265397A1 (en) Disarm node and security monitoring system including such a node
JP7486090B2 (ja) 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US20220270470A1 (en) Security / automation system control panel with short range communication disarming
US12022574B2 (en) Security / automation system with cloud-communicative sensor devices
KR20220087816A (ko) 경보장치가 구비된 스마트 금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