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361B1 - 디지털 도어록 및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록 및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361B1
KR102087361B1 KR1020130134526A KR20130134526A KR102087361B1 KR 102087361 B1 KR102087361 B1 KR 102087361B1 KR 1020130134526 A KR1020130134526 A KR 1020130134526A KR 20130134526 A KR20130134526 A KR 20130134526A KR 102087361 B1 KR102087361 B1 KR 102087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door lock
door
unit
bluetooth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4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3281A (ko
Inventor
김석환
곽기택
Original Assignee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4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361B1/ko
Publication of KR20150053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 G07C2209/64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using a proximity sens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록 및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록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도어록 근거리 통신부와, 휴대용 디바이스가 도어록 근거리 통신부의 동작에 의한 도어 내부 통신 영역에 위치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휴대용 디바이스 위치 검출부와, 및 도어록 근거리 통신부를 통한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에 따른 도어의 개방과 관련하여 휴대용 디바이스 위치 검출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디지털 도어록과 무선으로 연동 가능한 휴대용 디바이스가 도어 내부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어 의도하지 않는 도어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록 및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Digital door lock and Digital door lock system}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록 및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도어록과 무선으로 연동 가능한 휴대용 디바이스가 도어 내부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록 및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블루투스 기능을 구비한 디바이스와 디지털 도어록의 연동 방법은, 크게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디지털 도어록에 등록하는 단계와 디지털 도어록에서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단계로 구분된다.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디지털 도어록에 등록하는 단계는 블루투스 디바이스와 디지털 도어록을 등록 모드로 변경한 후 블루투스에서 지원하는 페어링(pairing) 과정을 통해서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디지털 도어록에 등록한다. 그리고 디지털 도어록는 등록된 블루투스 디바이스가 블루투스 통신 영역에 들어서면 이를 인증하게 된다.
디지털 도어록에서 등록된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단계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스마트폰으로 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는 먼저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몸에 소지한 상태로 디지털 도어록 가까이 접근한다. 디지털 도어록 앞에서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주머니 또는 가방에서 꺼내서 만약 화면 잠금 기능이 설정되어 있다면 화면 잠금을 해제한 후 도어록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도어 개방 버튼을 누른다. 도어 개방 버튼이 눌러지면 스마트폰에서는 도어 개방 명령을 디지털 도어록에 전송하게 되고, 도어 개방 명령을 수신한 디지털 도어록은 디지털 도어록의 잠금 장치를 해제하게 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기능은 도어 개방 버튼이 눌러지면 턴온되며, 도어 개방 명령을 전송한 후에는 블루투스 기능을 턴오프하게 된다. 반면 디지털 도어록은 항상 블루투스 기능이 턴온되어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제1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꺼내서 도어록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도어 개방 버튼을 눌러야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다소 불편하다는 번거로움 외에는 보안상의 별다른 문제점이 없다. 하지만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불편하여 사용자들이 선호하지 않는다.
제2 실시예는 스마트폰에서 도어록 애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이면서 디지털 도어록과의 연결을 주기적으로 시도한다. 마찬가지로 디지털 도어록은 "ADVERTISEMENT" 패킷을 주기적으로 송신하면서 스마트폰과의 연결을 주기적으로 시도한다.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몸에 소지한 상태로 디지털 도어록 가까이 접근하면, 디지털 도어록과 스마트폰은 자동으로 연결을 형성한 후 상호 인증 과정을 거친 후 도어 개방 명령을 디지털 도어록에 전송한다. 디지털 도어록은 도어 개방 명령을 수신한 후 웨이크업 버튼이 눌러지기를 일정 시간 동안 대기한다. 사용자가 디지털 도어록의 웨이크업 버튼을 누르면 디지털 도어록은 디지털 도어록의 잠금장치를 해제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도어록과 스마트폰의 BLE 기능이 항상 턴온 상태이기 때문에 상호 연결을 형성한 후에 계속해서 연결을 유지한 상태로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으로 문을 연 후 거실로 들어가고, 거실 한쪽에 스마트폰을 놓아 두었는데 BLE 통신이 가능해서 계속해서 디지털 도어록과 스마트폰이 연결을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이미 디지털 도어록이 하나의 스마트폰과 연결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디지털 도어록과 스마트폰에서는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전류를 계속해서 사용하게 된다. 이는 연결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소비하는 전류량에 비해 월등히 많은 전류를 사용하기 때문에 디지털 도어록 및 스마트폰의 건전지 사용 기간을 줄이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디지털 도어록이 이미 스마트폰과 연결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디지털 도어록에 접근하는 다른 스마트폰과는 연결을 형성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집안에서 스마트폰을 소지한 채 디지털 도어록에 접근하게 되면, 디지털 도어록은 정상적으로 연결을 형성하게 되고 상호 인증을 수행하게 되어 디지털 도어록에서 웨이크업 버튼이 눌러지면 디지털 도어록의 잠금 장치를 해제하게 된다. 이것은 스마트폰이 집밖에 위치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즉 집 안에 위치해 있으면서 디지털 도어록과 연결이 형성되는 위치에 있게 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문 밖에서 침입자가 우연하게 디지털 도어록의 웨이크업 버튼을 누리면 문이 열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록과 무선으로 연동 가능한 휴대용 디바이스가 도어 내부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록 및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록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도어록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가 상기 도어록 근거리 통신부의 동작에 의한 도어 내부 통신 영역에 위치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휴대용 디바이스 위치 검출부와, 및 상기 도어록 근거리 통신부를 통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에 따른 도어의 개방과 관련하여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위치 검출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제공한다.
상기 도어록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위해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위치 검출부는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가 상기 도어록 근거리 통신부의 동작에 의한 도어 내부 통신 영역에 위치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와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록은,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도어록 블루투스 통신부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가 상기 도어록 블루투스 통신부의 동작에 의한 도어 내부 통신 영역에 위치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휴대용 디바이스 위치 검출부와, 및 상기 도어록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에 따른 도어의 개방과 관련하여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위치 검출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위치 검출부는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가 상기 도어록 블루투스 통신부의 동작에 의한 도어 내부 통신 영역에 위치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센서의 검출 영역은 상기 도어록 근거리 통신부 또는 상기 도어록 블루투스 통신부의 내부 통신 영역 범위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가 상기 도어록 근거리 통신부 또는 상기 도어록 블루투스 통신부의 동작에 의한 도어 내부 통신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로부터 위치 정보를 얻도록 상기 도어록 근거리 통신부 또는 상기 도어록 블루투스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위치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결과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가 상기 도어록 근거리 통신부 또는 상기 도어록 블루투스 통신부의 동작에 의한 도어 내부 통신 영역에 위치할 가능성이 있거나, 또는 상기 도어록 근거리 통신부 또는 상기 도어록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가 상기 도어록 근거리 통신부 또는 상기 도어록 블루투스 통신부의 동작에 의한 도어 내부 통신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도어의 폐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도어록은 상기 도어록 근거리 통신부 또는 상기 도어록 블루투스 통신부를 웨이크업시키기 위한 웨이크업 버튼을 구비한 키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이크업 버튼이 눌러진 경우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시도하도록 상기 도어록 근거리 통신부 또는 상기 도어록 블루투스 통신부를 웨이크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각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디바이스와 디지털 도어록을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는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 블루투스 통신부와, 및 상기 디지털 도어록과 관련된 도어록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상기 디지털 도어록은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도어록 블루투스 통신부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가 상기 도어록 블루투스 통신부의 동작에 의한 도어 내부 통신 영역에 위치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휴대용 디바이스 위치 검출부와, 및 상기 도어록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에 따른 도어의 개방과 관련하여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위치 검출부를 동작시키는 도어록 제어부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록과 무선으로 연동 가능한 휴대용 디바이스가 도어 내부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어 의도하지 않는 도어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ONG CONNECTION에 의해 BLE 기능이 턴오프된 휴대용 디바이스가 소정의 위치를 벗어난 경우 자동으로 BLE 기능을 턴온 상태로 전환해주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지원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록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의 위치 검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도어록에서의 휴대용 디바이스 인증모드를 설명하는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디바이스에서의 디지털 도어록 인증모드를 설명하는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및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지원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통신 지원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은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110)과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구비한 복수의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포함한다.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에 지원되는 근거리 통신에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등에 기재된 블루투스 통신 이외에 지그비 통신 또는 와이파이 통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블루투스 기술은 2.4GHz를 사용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 모바일폰 및 노트북 등에서 지원되고 있다. 블루투스 기술은 BT3.0과 BT4.0으로 구별되는데, BT3.0은 블루투스 클래식이라 하며, BT4.0은 블루투스 저전력 또는 블루투스 스마트라고 한다. BT4.0은 통신 프로토콜을 변경하여 전류 소비량을 최소화함으로써 건전지에 의해서 작동하는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이러한 블루투스 저전력(BLE : Bluetooth Low Energy)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이러한 BLE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110)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록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도어록(110)은 전원부(210), 도어록 NFC부(220), 키 입력부(230), 메모리부(240), 디스플레이부(250), 스피커 구동부(260), 잠금장치 구동부(270), 휴대용 디바이스 위치 검출부(28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한다. 디지털 도어록(110)은 이들 구성 이외에 키패드(미도시됨)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210)는 디지털 도어록(110)의 각 구성에 필요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배터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어록 NFC부(220)는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이루는 구성으로,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통신할 수 있다.
키 입력부(230)는 사용자의 키 입력을 위한 것으로, 휴대용 디바이스(120), 예를 들면 스마트폰을 디지털 도어록(110)에 등록하기 위한 등록 버튼(232)과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서 등록된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연결을 시도하기 위한 웨이크업 버튼(234)을 포함한다.
등록 버튼(232)이 눌러지면 디지털 도어록(110)은 휴대용 디바이스(120) 등록 모드로 진입하게 되며 이 모드 동안에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디지털 도어록(110)에 등록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디지털 도어록(110)은 자동으로 연결을 시도하여 상호 인증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데, 만약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디지털 도어록(110)에 가까이 접근했음에도 불구하고 상호 인증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웨이크업 버튼(234)을 눌러서 다시 한번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디지털 도어록(110)의 상호 인증을 시도할 수 있다.
메모리부(240)에는 디지털 도어록(110)의 전체 동작 프로그램과 인증에 관련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키 값들이 저장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키 입력부(230) 등의 동작과 관련된 내용이 표시되는 구성이며, 스피커 구동부(260)는 등록이 완료되거나 인증이 성공 또는 실패 시에 사용자에게 이러한 정보를 알리기 위한 구성이다.
잠금장치 구동부(270)는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예를 들면 모티스 등을 구동한다.
휴대용 디바이스 위치 검출부(28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도어록 NFC부(220)의 동작에 의해 형성되는 도어 내부의 블루투스 통신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휴대용 디바이스 위치 검출부(280)는 이를 위해 적외선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는 도어 내부에 있는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제어부(290)는 등록 버튼(232)이 눌러지면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등록하기 위해 디지털 도어록(110)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9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연결되면 휴대용 디바이스 위치 검출부(280)를 제어하여 도어 내부의 블루투스 통신 영역으로부터 사람의 움직임이 있는지를 수신한다. 제어부(290)는 휴대용 디바이스 위치 검출부(280)의 검출 결과 도어 내부의 블루투스 통신 영역에서 사람의 움직임이 있으면,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도어 내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부(29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도어 내부에 없다고 판단되면 휴대용 디바이스(12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거나, 또는 웨이크업 버튼(234)이 눌러진 경우에도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도어 외부에 있는지 내부에 있는지를 판단한 후 외부에 있는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12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90)는 도어록 NFC부(220)를 통해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 정보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290)는 가속도 센서 정보가 계속 동일한 경우 도어 내부의 통신 영역의 어느 장소에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놓여 있다고 판단하여, 휴대용 디바이스(120)에 대한 인증을 거부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도어록 애플리케이션(310), 디바이스 NFC부(320), 디바이스 입력부(330), 디바이스 디스플레이부(340) 및 디바이스 제어부(350)를 포함한다.
도어록 애플리케이션(310)은 디지털 도어록(110)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인터넷 또는 데이터 통신 등을 통해 다운받아 저장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이다.
디바이스 NFC부(320)는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이루는 구성으로,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구비한 모든 디바이스(120)와 통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 입력부(330)는 도어록 애플리케이션(310)의 동작에 따라 요구되는 사용자 입력부로, 메뉴 상의 버튼 등을 포함한다. 디바이스 디스플레이부(340)는 도어록 애플리케이션(310)의 동작에 따라 필요한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구성이다.
디바이스 제어부(350)는 사용자가 디바이스 입력부(330)를 통해 도어록 애플리케이션(310) 구동 명령을 입력하면 도어록 애플리케이션(310)을 동작시키고, 또한 도어록 애플리케이션(310)의 동작에 따라 디바이스 디스플레이에 각 상태를 표시하며, 디바이스 NFC부(320)를 동작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의 위치 검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어(410)를 중심으로 도어(410)의 바깥 면에는 도어록 NFC부(220)가 배치되어 있고, 도어(410)의 안쪽 면에는 휴대용 디바이스 위치 검출부(280)가 배치되어 있다.
도어록 NFC부(220)가 동작하면, BLE RF 영역이 형성되는데, 무선 통신의 특성상 BLE RF 영역이 도어 외부뿐만 아니라 도어 내부에도 형성되어 진다. 이에 의해,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도어 내부에 있는 경우에도 도어(410)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디바이스 위치 검출부의 센서 검출 영역은 도어(410) 내부에 형성된 BLE RF 영역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휴대용 디바이스 위치 검출부는 복수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도어록에서의 휴대용 디바이스 인증모드를 설명하는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디지털 도어록(110)의 전원부(210)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디지털 도어록(110)은 BLE 인증모드를 수행하게 된다(S502).
BLE 기능이 턴온되어 주기적으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연결을 확인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디지털 도어록(110)은 BLE 연결을 반복해서 확인한다(S504).
제어부(290)는 BLE 연결이 형성되어 있으면, 휴대용 디바이스 위치 검출부(280)를 동작시켜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도어 내부에 위치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검출한다(S506).
또한 제어부(290)는 도어록 NFC부(220)를 통해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S508). 이 경우 위치 정보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290)는 가속도 센서 정보가 계속 동일한 경우 도어 내부의 통신 영역에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놓여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휴대용 디바이스 위치 검출부(280)의 검출 결과 및/또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도어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S510).
제어부(29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도어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도어의 폐쇄를 유지하기 위해 종료한다. 그러나,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도어 내부에 위치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제어부(290)는 도어록 NFC부(220)를 통해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키 값을 수신하고,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키 값이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키 값들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S512).
제어부(290)는 인증이 완료되면, 모티스가 구동하도록 잠금장치 구동부(270)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도어는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된다(S514). 도 5에서는 휴대용 디바이스(12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도어를 개방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휴대용 디바이스(12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휴대용 디바이스(120)로부터 도어 개방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만 도어를 개방할 수도 있다.
한편, 디지털 도어록(110)은 현재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연결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LONG CONNECTION이 발생하는지를 확인한다(S516). 여기서 LONG CONNECTION은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디지털 도어록(110)과 연결이 형성된 후 정해진 시간, 예를 들어 30초가 경과하면 발생할 수 있다. LONG CONNECTION이 발생하면 디지털 도어록(110)은 NOTI_LONG CONNECTION을 휴대용 디바이스(120)로 전송한다(S518).
한편, 디지털 도어록(110)은 BLE 연결이 없으면 웨이크업 버튼(234)이 눌러졌는지를 반복해서 확인한다(S520). 여기서 웨이크업 버튼(234)은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디지털 도어록(110) 근처에 접근하게 되면 자동으로 휴대용 디바이스(120)와 디지털 도어록(110)의 연결이 형성되어야 하는데 통신 상태 불량 등의 이유로 연결을 형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런 문제를 보완한다. 즉 사용자가 디지털 도어록(110)의 웨이크업 버튼(234)을 누르면 제어부(290)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웨이크업시킨다(S522). 이에 디지털 도어록(110)과 휴대용 디바이스(120) 간에 BLE 통신이 연결되고, 이어서 제어부(290)는 휴대용 디바이스 위치 검출부(280)를 동작시켜 휴대용 디바이스(120)가 도어 내부에 위치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검출한다(S506).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디바이스에서의 디지털 도어록 인증모드를 설명하는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휴대용 디바이스(120)은 평상시에 인증모드를 실행한다(S602). BLE 기능이 턴온되어 주기적으로 디지털 도어록(110)과의 연결을 확인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디지털 도어록(110)과의 BLE 연결을 반복해서 확인한다(S604).
BLE 연결이 형성되면, 디바이스 제어부(350)는 디바이스 NFC부(320)를 통해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서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정보는 가속도 센서 정보일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110)은 휴대용 디바이스(12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S608), 도어를 개방하게 된다. 한편,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디지털 도어록(110)과의 상호 인증을 수행하여 디바이스 디스플레이부(340)에 "도어를 개방하려면 확인버튼을 누르세요"와 같은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어서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디지털 도어록(110)으로부터 NOTI_LONG CONNECTIONDL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한다(S610). 디지털 도어록(110)으로부터 NOTI_LONG CONNECTION이 수신되면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BLE 기능을 턴오프하고, 현재의 위치정보를 저장한 후 LONG CONNECTION이 발생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S612).
LONG CONNECTION이 발생한 상태에서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사용자가 BLE 기능을 턴온하겠다고 버튼을 입력했는지를 확인한다(S614). 또한 위치 정보가 설정한 값에 도달하여 갱신이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한다(S616).
사용자가 BLE 기능 턴온 버튼을 누르면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BLE 기능을 턴온한다(S618). 또한, 위치 정보 갱신이 발생하면 휴대용 디바이스(120)는 역시 BLE 기능을 턴온할 수 있다(S618). 여기서 위치 정보 갱신은 휴대용 디바이스(120)에서 GPS 기술을 이용하여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함으로 도어록 애플리케이션(310)에서는 위치 정보가 갱신되었음을 통보받기 위하여 그 조건을 지정할 수 있는데 만약 50M로 지정하면 휴대용 디바이스(120)은 기준 위치와 비교하여 50M 이상 벗어나게 되면 위치 정보 갱신을 발생한다.
LONG CONNECTION에 의해 휴대용 디바이스(120)의 BLE 기능이 턴오프 상태일 때 휴대용 디바이스(120)를 소지한 사용자가 자유롭게 이동하여 일정 거리 벗어나게 되면 자동으로 BLE 기능을 턴온해 줌으로써 사용자는 다시 디지털 도어록(110)과 인증을 하기 위해 휴대용 디바이스(120)을 조작하여 BLE 기능을 턴온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디지털 도어록 120: 휴대용 디바이스
210: 전원부 220: 도어록 NFC부
230: 키 입력부 232: 등록 버튼
234: 웨이크업 버튼 240: 메모리부
250: 디스플레이부 260: 잠금장치 구동부
280: 휴대용 디바이스 위치 검출부 290: 제어부
310: 도어록 애플리케이션 320: 디바이스 NFC부
330: 디바이스 입력부 340: 디바이스 디스플레이부
350: 디바이스 제어부

Claims (14)

  1. 휴대용 디바이스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도어를 개방하는 잠금장치 구동부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도어록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가 상기 도어록 근거리 통신부의 동작과 관련된 도어 내부 통신 영역에 위치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휴대용 디바이스 위치 검출부와, 및
    상기 도어록 근거리 통신부를 통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에 따른 도어의 개방과 관련하여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위치 검출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위치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결과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가 상기 도어의 내부에 있으면 상기 잠금장치가 해제되지 않도록 상기 잠금장치 구동부를 제어하고, 그리고 일정시간 동안 상기 도어록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간에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유지되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턴오프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위해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위치 검출부는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가 상기 도어록 근거리 통신부의 동작과 관련된 도어 내부 통신 영역에 위치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해 사람이 있는지를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4. 휴대용 디바이스와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도어를 개방하는 잠금장치 구동부와,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도어록 블루투스 통신부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가 상기 도어록 블루투스 통신부의 동작과 관련된 도어 내부 통신 영역에 위치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휴대용 디바이스 위치 검출부와, 및
    상기 도어록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에 따른 도어의 개방과 관련하여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위치 검출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위치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결과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가 상기 도어의 내부에 있으면 상기 잠금장치가 해제되지 않도록 상기 잠금장치 구동부를 제어하고, 그리고 일정시간 동안 상기 도어록 블루투스 통신부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간에 블루투스 통신 연결이 유지되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턴오프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위치 검출부의 검출 영역은 상기 도어록 블루투스 통신부의 내부 통신 영역 범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가 상기 도어록 블루투스 통신부의 동작과 관련된 도어 내부 통신 영역에 위치되어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로부터 위치 정보를 얻도록 상기 도어록 블루투스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록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가 상기 도어록 블루투스 통신부의 동작과 관련된 도어 내부 통신 영역에 위치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도어의 폐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블루투스 통신부를 웨이크업시키기 위한 웨이크업 버튼을 구비한 키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웨이크업 버튼이 눌러진 경우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시도하도록 상기 도어록 블루투스 통신부를 웨이크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10. 각각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디바이스와 디지털 도어록을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는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 블루투스 통신부와, 및 상기 디지털 도어록과 관련된 도어록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도어록은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도어를 개방하는 잠금장치 구동부와,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도어록 블루투스 통신부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가 상기 도어록 블루투스 통신부의 동작과 관련된 도어 내부 통신 영역에 위치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휴대용 디바이스 위치 검출부와, 및 상기 도어록 블루투스 통신부를 통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에 따른 도어의 개방과 관련하여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위치 검출부를 동작시키는 도어록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위치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결과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가 상기 도어의 내부에 있으면 상기 잠금장치가 해제되지 않도록 상기 잠금장치 구동부를 제어하고, 그리고 일정시간 동안 상기 도어록 블루투스 통신부와 상기 디바이스 블루투스 통신부 간에 블루투스 통신 연결이 유지되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턴오프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30134526A 2013-11-07 2013-11-07 디지털 도어록 및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KR102087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526A KR102087361B1 (ko) 2013-11-07 2013-11-07 디지털 도어록 및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526A KR102087361B1 (ko) 2013-11-07 2013-11-07 디지털 도어록 및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281A KR20150053281A (ko) 2015-05-18
KR102087361B1 true KR102087361B1 (ko) 2020-03-11

Family

ID=53389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4526A KR102087361B1 (ko) 2013-11-07 2013-11-07 디지털 도어록 및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3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821B1 (ko) 2020-06-09 2021-02-10 (주)인더코어비즈니스플랫폼 도어 잠금장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2097B1 (ko) 2015-08-31 2017-11-02 주식회사 에스엘피테크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차량 도어를 개폐하는 장치 및 방법
CN111445603B (zh) * 2020-03-25 2022-11-18 上海银基信息安全技术股份有限公司 基于蓝牙的数据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20220366749A1 (en) * 2021-05-17 2022-11-17 Somnath Mukherjee Locking system for port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1915A (ja) * 2006-01-19 2007-08-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錠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0203086A (ja) * 2009-03-02 2010-09-16 Toyota Motor Corp 電子キーシステム及び建物
US20120234058A1 (en) * 2011-03-17 2012-09-20 Unlkey Technologies, Inc. Wireless access control system and rel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473B1 (ko) * 2007-08-24 2009-07-21 송계원 양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1915A (ja) * 2006-01-19 2007-08-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錠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0203086A (ja) * 2009-03-02 2010-09-16 Toyota Motor Corp 電子キーシステム及び建物
US20120234058A1 (en) * 2011-03-17 2012-09-20 Unlkey Technologies, Inc. Wireless access control system and related metho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821B1 (ko) 2020-06-09 2021-02-10 (주)인더코어비즈니스플랫폼 도어 잠금장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281A (ko) 2015-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1053B2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screen lock
KR101692993B1 (ko) 스마트 도어락
CN105900102B (zh) 基于传感器的近场通信认证
KR102260948B1 (ko) 화면잠금을 제어하는 방법 및 휴대 단말
US9524601B1 (en) Wireless access control system including door position based lock switching and related methods
KR102087361B1 (ko) 디지털 도어록 및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JP6244176B2 (ja) 車載通信システム
KR102071027B1 (ko) 휴대용 디바이스와 디지털 도어록의 연동 방법
CN112085872A (zh) 基于nfc的解锁方法、相关装置及系统
TWI532017B (zh) 無線遙控方法、無線子機以及開關控制裝置
JP6782184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及び車両制御方法
WO2016177201A1 (zh) 一种控制隐私数据的方法、终端及穿戴设备
KR101640879B1 (ko)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CN107945341A (zh) 智能门锁控制方法及装置
TW201704610A (zh) 智慧型門禁裝置
KR102488829B1 (ko) 도어록 시스템 및 도어록 제어 방법
KR20080082725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 제어장치 및 방법
KR20210050230A (ko) 모바일 단말의 스크린 락킹을 제어하는 보안 방법
KR20150075137A (ko) 스마트 감지 시스템
JP2015206212A (ja) ドア錠制御システム
KR20160006128A (ko) 스마트 감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