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829B1 - 도어록 시스템 및 도어록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도어록 시스템 및 도어록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829B1
KR102488829B1 KR1020160105645A KR20160105645A KR102488829B1 KR 102488829 B1 KR102488829 B1 KR 102488829B1 KR 1020160105645 A KR1020160105645 A KR 1020160105645A KR 20160105645 A KR20160105645 A KR 20160105645A KR 102488829 B1 KR102488829 B1 KR 102488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information
earphone
smartphone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0770A (ko
Inventor
바반싱
곽기택
Original Assignee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5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829B1/ko
Publication of KR20180020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36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in combination with a wake-up circuit
    • G07C2009/003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in combination with a wake-up circuit whereby the wake-up circuit is situated in the keyless data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도어록 제어 방법은: 도어록의 제1 통신 모듈이, 무선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어드버타이징 동작을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단계; 이어폰이 결합될 수 있는 스마트폰이, 이어폰에 구비된 임의의 조작키가 조작되어 생성되는 이어폰 조작 신호를 식별하고, 이어폰 조작 신호가 식별됨에 따라 도어록의 제1 통신 모듈을 탐색하기 위한 스캔 동작을 시작하고, 제1 통신 모듈로부터의 어드버타이징 신호가 수신되면 제1 통신 모듈과의 상호 통신을 시작하는 단계; 도어록이, 임의의 제1 정보를 생성하여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스마트폰이,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정보를 생성하고, 제2 정보를 도어록으로 전송하는 단계; 도어록이, 제2 정보를 분석하여 허용가능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도어를 해정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록 시스템 및 도어록 제어 방법{DOOR LOCK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ING DOOR LOCK}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디지털 도어록을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도어록이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사용자가 수동으로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과 도어록이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어서, 스마트폰이 도어록의 근방에 있을 때 자동으로 도어가 개폐되는 기능을 포함하는 비접촉식 디지덜 도어록이 구현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에 탑재되어 상술한 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다.
스마트폰에 탑재되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네트워크를 통해 자유롭게 다운로드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스마트폰에서 실행시키면, 스마트폰과 도어록이 특정의 통신 방식, 특히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은 예를 들면, 블루투스, WiFi, NFC 통신 방식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종래의 동작 방식에서는, 도어록이 주변에 스마트폰이 존재하는지를 수시로 스캔하고, 스마트폰이 탐지되면 즉시 상호 통신 연결하여 상호 인증 처리함으로써 도어의 잠금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스마트폰도, 상기 설치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주변이 도어록이 존재하는지를 수시로 스캔하고, 탐지되는 도어록과 즉시 상호 통신 연결하여 상호 인증 절차를 수행하도록 동작한다.
하지만, 스마트폰이 항시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서 도어록을 스캔하도록 하면, 무선 전파를 송신하기 위한 전력 소모가 많아져서, 자체 탑재한 배터리의 소모량이 많아진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배터리 소모량을 줄이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서, 어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의 터치 스크린에 소정의 오브젝트(아이콘 또는 위젯 등)를 배치하고, 상기 오브젝트가 터치됨에 따라서 블루투스 기능을 온시켜 도어록을 스캔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하지만, 이러한 구현 방식에서도,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지정한 오브젝트를 찾아내고 그것을 터치하여 조작하여야 하므로, 절차가 까다롭고 사용법이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특정의 오브젝트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간편한 조작만으로 스마트폰과 도어록의 블루투스 통신이 연결되고 도어록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는, 사용자 조작 편의성이 향상된 도어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제어 방법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수신한 고유정보가 허용될 때 도어를 해정 상태로 전환하는 도어록과,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통신가능한 제2 통신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고유정보를 송신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도어록 시스템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도어록의 상기 제1 통신 모듈이, 무선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어드버타이징 동작을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단계; 이어폰이 결합될 수 있는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이어폰에 구비된 임의의 조작키가 조작되어 생성되는 이어폰 조작 신호를 식별하고, 상기 이어폰 조작 신호가 식별됨에 따라 상기 도어록의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탐색하기 위한 스캔 동작을 시작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로부터의 어드버타이징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통신 모듈과의 상호 통신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도어록이, 임의의 제1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정보를 상기 도어록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도어록이, 상기 제2 정보를 분석하여 허용가능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도어를 해정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이어폰 조작 신호가 식별됨에 따라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웨이크업시켜 상기 스캔 동작을 소정 시간 동안 또는 소정 횟수만큼 시도한 후, 이전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들에 앞서서, 상기 도어록과 상기 스마트폰의 상호 등록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상호 등록 단계는: 상기 도어록의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상호 통신을 시작하고, 상기 도어록이 등록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스마트폰이 소정의 보안 알고리즘을 실행시키고, 상기 도어록이 상기 보안 알고리즘을 동시에 유지하는 것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은, 임의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보안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상기 제1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보안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기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스마트폰에서 전송한 상기 제2 정보가 상기 기준 정보와 일치할 때, 상기 제2 정보를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 시스템은: 도어록에 탑재된 제1 통신 모듈과 통신가능한 제2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결합된 이어폰에 배치된 조작키가 조작되어 생성되는 이어폰 조작 신호를 식별하면,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동작시켜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탐색하는 스캔 동작을 시작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로부터의 어드버타이징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통신 모듈과의 상호 통신을 시작하고, 상기 도어록으로부터 수신된 제1 정보에 기반하여 제2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제2 정보를 상기 도어록에 전송하는 스마트폰과: 도어를 잠금 상태 또는 해정 상태로 전환하는 잠금부와 상기 제2 통신 모듈과 통신가능한 제1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통신 모듈과 통신 연결되면, 상기 제1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2 정보를 분석하여 허용가능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도어를 해정 상태로 전환하는 도어록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록과 상기 스마트폰은 서로 인증된 보안 알고리즘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보안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상기 제2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도어록은, 임의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보안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상기 제1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보안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기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스마트폰에서 전송한 상기 제2 정보가 상기 기준 정보와 일치할 때, 상기 제2 정보를 허용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과 통신가능한 스마트폰에 의하면,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터치하여 조작하거나 스마트폰에 구비된 특정 버튼을 눌러 조작하지 않고, 단지 이어폰에 부착된 임의의 조작키를 누르는 것만으로도 도어록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은 이어폰에 구비된 임의의 버튼이 조작될 때에만 블루투스 기능이 웨이크업되어 도어록을 스캔하게 됨으로써, 스마트폰의 배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제어 방법의 동작 원리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시스템의 구현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제어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폰의 동작 절차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제어 방법에 있어서 도어록의 동작 절차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과 통신가능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록 시스템 및 도어록 제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각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그 기능을 고려하여 예시적으로 명명된 것이므로, 용어 자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예측하고 한정하여 이해해서는 안 될 것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과 스마트폰에 의한 도어록 제어 방법의 동작 원리를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도어록 제어 방법은, 근거리 무선 통신, 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서 수신한 고유정보가 허용될 때 도어를 해정 상태로 전환하는 도어록(10)과,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도어록(10)에 대하여 상기 고유정보를 송신하는 스마트폰(20)에 의하여 구현된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통신, WiFi 통신, NFC 통신 등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스마트폰(20)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음향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음향 신호를 이어폰(25)에 출력하는 기능과, 사용자가 이어폰(25)에 구비된 임의의 조작키(26)를 조작함에 따라 생성되는 이어폰 조작 신호를 식별하는 기능과, 이어폰 조작 신호가 식별되면 도어록(10)에 탑재된 제1 통신 모듈(11)(또는, 제1 블루투스 모듈)을 소정 시간 동안 탐색하는(또는, 스캐닝(scanning)) 스캔 기능과, 도어록(10)의 제1 블루투스 모듈(11)이 탐색된 후 상기 제1 블루투스 모듈(11)로부터 전송된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1 정보를 자체 구비한(즉, 도어록 제어 애플리케이션에 탑재된) 보안 알고리즘에 의해 처리하여 제2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2 정보를 제1 블루투스 모듈(11)에 대하여 전송하는 인증 요청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폰(25)은, 스마트폰(20)의 이어폰 소켓에 결합되고, 이어폰 소켓을 통해 음향으로 변환될 전압 신호를 입력받는다. 또한, 이어폰(25)은 하나 또는 복수의 조작키(26)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조작키(26)가 조작됨에 따라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킨다. 스마트폰(20)은 이어폰 소켓을 통해서 상기 신호를 감지하고, 어떤 조작키(26)가 조작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제어 방법은, 스마트폰(20)과 도어록(10)이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 물론, 음성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을 위해 설계된 모바일 통신망을 이용한 통신, RFID, NFC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적외선 통신 등의 다른 무선 통신 방식을 활용할 수도 있다.
한편, 블루투스 통신 방식은, 적어도 2개의 장치가 서로 1 대 1로 상호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하나의 장치는 다른 장치의 응답을 기다리는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출력하고, 다른 장치는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탐색하는 스캔 동작을 수행하다가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검출하면 응답신호를 전송하고, 이어서 상호 프로토콜 정합 절차를 거친 후 1 대 1로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블루투스 통신은 하나의 장치가 주기적으로 어드버타이징하도록 구성되어야 하는데, 스마트폰(20)이 어드버타이징하도록 구성한다면 스마트폰의 전력 소모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어록(10)이 어드버타이징하도록 하고, 스마트폰(20)이 그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스캔하도록 구성한다.
더욱,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20)은 평소에는 스캔 동작을 중지시킨 상태로 유지되고, 즉, 블루투스 모듈을 슬립모드로 유지하고, 사용자에 의해서 소정의 신호가 발생할 때, 즉, 이어폰(25)의 임의의 조작키(26)가 눌려질 때, 블루투스 모듈을 웨이크업시켜 스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어폰(25)에 구비된 조작키(26)는 예를 들면, 이어폰을 통해 출력되는 음향의 볼륨을 업 또는 다운시키기 위한 키, 스마트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키, 스마트폰이 제공할 수 있는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거나 웨이크업시키거나 종료하기 위한 키, 통화를 개시하거나 종료하기 위한 키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스마트폰(20)은, 이어폰(25)의 어떤 조작키(26)가 조작되었는지에 상관없이, 이어폰(25)의 어떠한 키라도 조작되면 스캐닝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어폰(25)에 구비된 특정의 키가 조작될 때에만 스캐닝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어록(10)은, 스마트폰(20)의 블루투스 모듈의 연결을 허용하기 위한 어드버타이징(advertising)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상호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기능, 스마트폰(20)에서 전송한 고유 정보(예를 들면, 제2 정보)가 허용가능한지를 판정하는 인증 기능, 상기 고유 정보가 허용가능한 경우에 도어를 해정 상태 또는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제어 방법은 도어록 제어용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가 스마트폰(20)에 탑재되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도어록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2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조작을 표시하는 모든 신호(즉, 사용자 조작 신호)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조작을 표시하는 신호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20)의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특정의 오브젝트를 터치하는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 스마트폰(20)의 외부에 설치된 조작키를 조작했을 때 발생하는 신호, 이어폰의 조작키(26)를 조작함에 따라 발생하는 이어폰 조작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이러한 다양한 신호 중에서 이어폰 조작 신호를 식별할 수 있으며, 신호가 식별되면 상기한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스캔하는 기능을 개시하게 한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20)에서 실행될 때, 백그라운드에서 항시 실행되고 있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인 도어록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방해받지 않으며, 자신이 원하는 다른 소프트웨어나 애플리케이션을 임의로 설치하고 실행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시스템의 구현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스마트폰(20)은 도어록(10)과 블루투스 통신가능한 제2 블루투스 모듈(21)(또는, 제2 블루투스 모듈)과; 이어폰(25)이 삽입되어 이어폰에 음향 신호를 공급하고 이어폰의 조작키(26)가 조작됨에 따라 전송되는 이어폰 조작 신호를 수신하는 이어폰 결합부(23)와; 이어폰 결합부를 통해 이어폰에 음향 신호를 공급하고 제2 블루투스 모듈(21)을 동작시켜 타 블루투스 장치와의 연결 및 통신을 지원하고, 그리고 스마트폰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처리하는 스마트폰 제어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폰 제어부(22)는, 상술한 도어록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시키고, 이어폰 조작 신호가 수신될 때 제2 블루투스 모듈(21)을 동작시킨다.
특히, 스마트폰 제어부(22)는, 도어록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제공된 소정의 보안 알고리즘을 구동할 수 있다. 이 알고리즘은 도어록(10)에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어록(10)은 스마트폰(20)과 블루투스 통신가능한 제1 블루투스 모듈(11)과; 도어를 잠금 상태 또는 해정 상태로 전환/유지하는 잠금부(13)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고유 정보(즉, 제2 정보)를 인증 처리하고 인증 처리의 결과에 따라 잠금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도어록 제어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록(10)에는, 상기 스마트폰에 탑재된 보안 알고리즘과 동일한 보안 알고리즘 또는 상기 스마트폰에 탑재된 보안 알고리즘과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미리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록 제어부(12)는, 제1 블루투스 모듈(11)과 제2 블루투스 모듈(21)이 서로 통신 연결되면, 임의의 문자열을 구성하고, 구성된 문자열을 상기 보안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제1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정보를 제2 블루투스 모듈(21)로 전송하고, 또한, 제1 정보를 보안 알고리즘(이때의 보안 알고리즘은 스마트폰의 보안 알고리즘과 동일하게 동작하는 알고리즘이어야 한다)으로 다시 처리하여 제2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 정보를 기준 정보로 설정하여 유지하고, 제2 블루투스 모듈(21)로부터 전송된 제2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제2 정보가 상기 기준 정보와 동일한지 비교하고, 양자가 동일한 경우에 스마트폰(20)을 등록된 사용자로 판정하여 잠금부(13)를 해정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제어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폰의 동작 절차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20)을 이용하여 도어록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한 애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20)에 설치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S11). 도어록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20)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며, 이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제어부(22)는 스마트폰(20)에서 발생하는 모든 사용자 조작 신호를 감시할 수 있다(S12).
도어록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제어부(22)가 모든 사용자 조작 신호를 감시하는 중에, 스마트폰(20)에 결합된 이어폰(25)에 구비된 조작키(26)를 조작하였음을 표시하는 이어폰 조작 신호를 식별하게 되면(S13), 스마트폰 제어부(22)는 주변에 도어록(10)이 존재하는지 탐색하는 스캔 기능을 실행한다(S14). 만일 도어록의 제1 블루투스 모듈(11)로부터 송신되는 어드버타이징 신호가 탐지되면(S15), 제1 블루투스 모듈(11)과의 통신을 연결하여 추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한다(S16).
만일, 도어록의 제1 블루투스 모듈(11)로부터의 어드버타이징 신호가 탐지되지 않으면, 미리정해진 시간 동안 신호 수신을 대기할 수 있으며(S19), 그 시간이 종료할 때까지도 도어록의 제1 블루투스 모듈(11)에 의한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도어록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은 스캔 기능을 중지한다(S20).
한편, 스마트폰(20)과 도어록(10)의 블루투스 통신이 확립되면, 스마트폰(20)은 도어록(10)으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하게 될 것이며(S17), 스마트폰 제어부(22)는 수신한 제1 정보를 보안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제2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2 정보를 다시 도어록(10)으로 반송한다(S18).
도어록(10)은 제2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증 처리를 수행하고, 인증 여부에 따라서 도어록(10)을 잠금 해제하거나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제어 방법에 있어서 도어록의 동작 절차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어록(10)의 제1 블루투스 모듈(11)은 소정의 시간 주기마다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출력한다(S21). 한편, 어드버타이징 동작을 수행하는 도중에 스마트폰(20)으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S22), 스마트폰의 제2 블루투스 모듈(21)과의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한다(S23).
상호 통신이 확립되면, 도어록(10)은 임의의 문자열을 보안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제1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정보를 스마트폰 측으로 송신한다(S24), 그리고, 제1 정보를 다시 보안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제2 정보를 생성하여 기준 정보로서 관리한다.
그리고, 스마트폰(20)으로부터 송신된 제2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S25), 제2 정보와 기준 정보를 서로 비교하고, 제2 정보가 기준 정보와 동일하거나 허용가능한 형태인지 판정한다(S26).
판정 결과, 제2 정보가 허용가능하다면, 도어를 해정 상태로 전환하도록 잠금부(13)를 제어할 수 있다(S27).
이와 같은 스마트폰과 도어록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스마트폰(20)에 설치된 도어록 제어용 소프트웨어에서 제공하는 별도의 오브젝트를 터치하거나 조작하지 않고, 또는 스마트폰(20)에 구비된 특정 기능키를 조작하지 않고도, 단지 이어폰(25)에 구비된 아무 조작키(26)라도 조작하는 것만으로 도어록에 대한 통신 기능을 웨이크업시켜 도어록(10)의 해정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도어록 제어용 소프트웨어는 스마트폰(20)의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여 모든 사용자 조작 정보를 감시하므로 사용자가 현재 스마트폰(20)을 이용하여 수행하고 있는 동작에 무관하게 언제라도 도어록(10)과의 블루투스 통신을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어 절차에 앞서서, 스마트폰을 도어록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즉, 스마트폰(20)의 보안 알고리즘과 도어록(10)의 보안 알고리즘을 관련짓기 위한 절차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20)에 도어록 제어용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여 실행시키고, 등록 메뉴를 실행한다. 등록 메뉴가 실행되면 스마트폰(20)은 도어록(10)을 스캔하기 시작한다.
한편, 도어록(10)에서도 등록 메뉴를 실행시킨다. 등록 메뉴가 실행되면 도어록(10)은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출력하기 시작한다.
도어록(10)의 어드버타이징 신호에 대하여 스마트폰(20)이 응답 신호를 전송하면, 도어록(10)과 스마트폰(20) 각각에 탑재된 보안 알고리즘이 서로 관련맺어진다. 즉, 도어록(10)이 스마트폰(20)에 탑재된 보안 알고리즘과 동일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는 예를 들면, 각자 이미 동일한 보안 알고리즘을 구비하고, 보안 알고리즘에서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데에 사용되는 고유키가 서로 동일하게 공유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상호 보안 알고리즘을 관련짓는 것으로 등록하는 절차가 완료될 수 있다. 이로써, 도어록이 생성하는 기준 정보와, 스마트폰이 생성하는 제2 정보가 서로 동일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수신한 고유정보가 허용될 때 도어를 해정 상태로 전환하는 도어록과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가능한 제2 통신 모듈 및 이어폰이 결합될 수 있는 이어폰 결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도어록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도어록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도어록의 상기 제1 통신 모듈이, 무선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어드버타이징 동작을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스마트폰에서 발생하는 모든 사용자 조작을 표시하는 신호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도록 구성된 도어록 제어용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의해서 상기 이어폰 결합부에 결합된 상기 이어폰에서 출력하는 이어폰 조작 신호를 식별하고 - 상기 이어폰은, 상기 이어폰에 구비된 임의의 조작키가 조작될 때 상기 이어폰 조작 신호를 상기 스마트폰 측으로 출력함 -, 상기 이어폰 조작 신호가 식별된 경우, 상기 제2 통신 모듈로 하여금 상기 도어록의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탐색하기 위한 스캔 동작을 시작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제1 통신 모듈로부터의 어드버타이징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호 통신을 시작하게 하는 단계;
    상기 도어록이, 임의의 제1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정보를 상기 도어록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도어록이, 상기 제2 정보를 분석하여 허용가능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도어를 해정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어록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이어폰 조작 신호가 식별됨에 따라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웨이크업시켜 상기 스캔 동작을 소정 시간 동안 또는 소정 횟수만큼 시도한 후, 이전의 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들에 앞서 수행되는, 상기 도어록과 상기 스마트폰의 상호 등록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호 등록 단계는:
    상기 도어록의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상호 통신을 시작하고,
    상기 도어록이 등록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스마트폰이 소정의 보안 알고리즘을 실행시키고,
    상기 도어록이 상기 보안 알고리즘을 동시에 유지하는 것 포함하는, 도어록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은, 임의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보안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상기 제1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보안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기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스마트폰에서 전송한 상기 제2 정보가 상기 기준 정보와 일치할 때, 상기 제2 정보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제어 방법.
  5.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수신한 고유정보가 허용될 때 도어를 해정 상태로 전환하는 도어록과, 이어폰이 결합될 수 있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도어록 시스템으로서,
    상기 도어록은:
    도어를 잠금 상태 또는 해정 상태로 전환하는 잠금부;
    상기 스마트폰의 제2 통신 모듈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가능한 제1 통신 모듈; 및
    상기 제2 통신 모듈과의 상호 통신이 시작되면, 임의의 제1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된 제2 정보를 분석하여 허용가능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도어를 해정 상태로 전환하는 도어록 제어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도어록에 탑재된 제1 통신 모듈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가능한 제2 통신 모듈;
    상기 이어폰이 결합될 수 있는 이어폰 결합부; 및
    상기 스마트폰에서 발생하는 모든 사용자 조작을 표시하는 신호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도록 구성된 도어록 제어용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키고, 상기 도어록 제어용 소프트웨어를 통해서 상기 이어폰 결합부에 결합된 상기 이어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이어폰 조작 신호를 식별하고 - 상기 이어폰은, 상기 이어폰에 구비된 임의의 조작키가 조작될 때 상기 이어폰 조작 신호를 상기 스마트폰 측으로 출력함 -, 상기 제2 통신 모듈로 하여금 상기 도어록의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탐색하는 스캔 동작을 시작하게 하고 또한 상기 제1 통신 모듈로부터의 어드버타이징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통신 모듈과의 상호 통신을 시작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도어록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제2 정보를 상기 도어록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스마트폰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과 상기 스마트폰은 서로 인증된 보안 알고리즘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보안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상기 제2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도어록은, 임의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보안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상기 제1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보안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기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스마트폰에서 전송한 상기 제2 정보가 상기 기준 정보와 일치할 때, 상기 제2 정보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시스템.
KR1020160105645A 2016-08-19 2016-08-19 도어록 시스템 및 도어록 제어 방법 KR102488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645A KR102488829B1 (ko) 2016-08-19 2016-08-19 도어록 시스템 및 도어록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645A KR102488829B1 (ko) 2016-08-19 2016-08-19 도어록 시스템 및 도어록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770A KR20180020770A (ko) 2018-02-28
KR102488829B1 true KR102488829B1 (ko) 2023-01-17

Family

ID=61401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645A KR102488829B1 (ko) 2016-08-19 2016-08-19 도어록 시스템 및 도어록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8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79645A (ja) 2014-10-15 2016-05-16 株式会社Photosynth 電子錠システム、解錠方法及び鍵開閉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79645A (ja) 2014-10-15 2016-05-16 株式会社Photosynth 電子錠システム、解錠方法及び鍵開閉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770A (ko)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5273B1 (ko)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를 위한 액세서리의 구성
EP3133851B1 (en) Method and device for acquiring using authority
KR101614984B1 (ko) 존재 검출 방법, 장치, 및 이용
CN109716854B (zh) 一种连接建立方法、设备、系统及介质
EP3397018B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WO2017185711A1 (zh) 控制智能设备的方法、装置、系统和存储介质
JP2017509277A (ja) スマート・ハードウェアデバイスの制御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80037194A1 (en) Electronic key system
JP2015045141A (ja) 解錠システム
US11704396B2 (en) Vehicle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mobile device used for vehicle authentication, vehicle authentication system, and vehicle authentication method
CN110060675B (zh) 唤醒音箱的方法及设备
CN109376519B (zh) 一种指纹解锁方法及终端设备
KR20130089394A (ko) 엔에프씨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20140085952A (ko) 휴대단말기의 보안모드 변경 방법 및 장치
WO2019052551A1 (zh) 终端设备的交互方法、存储介质以及终端设备
WO2019057119A1 (zh) 基于移动终端的wifi热点连接方法及移动终端、存储介质
CN112085872A (zh) 基于nfc的解锁方法、相关装置及系统
WO2017164494A1 (ko) 출입관리기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방법, 그 방법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그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분배 서버
KR20120034338A (ko)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보안 운용 방법 및 시스템
CN110393021B (zh) 一种基于无线通信的连接方法及终端
JP6810638B2 (ja) 中継装置および電気錠
JP6244215B2 (ja) 車載通信システム
KR102488829B1 (ko) 도어록 시스템 및 도어록 제어 방법
CN110533800B (zh) 智能门锁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WO2016177201A1 (zh) 一种控制隐私数据的方法、终端及穿戴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