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4316A - 의류관리기 - Google Patents

의류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4316A
KR20220004316A KR1020200081998A KR20200081998A KR20220004316A KR 20220004316 A KR20220004316 A KR 20220004316A KR 1020200081998 A KR1020200081998 A KR 1020200081998A KR 20200081998 A KR20200081998 A KR 20200081998A KR 20220004316 A KR20220004316 A KR 20220004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mode
storage space
sensor
cloth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인규
이동훈
김진민
강태경
김효성
박일송
이경수
김도엽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1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4316A/ko
Publication of KR20220004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43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50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7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74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모드가 온(on)되면 의류 관리를 진행하고, 작동모드가 오프(off)되면 의류 관리를 정지하는 의류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모드가 온(on)되면 의류 관리를 진행하고, 작동모드가 오프(off)되면 의류 관리를 정지하는 의류관리기로서, 수납공간을 제공하고, 일면이 개방된 의류수납챔버;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개방된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수납공간 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력을 제공하는 팬; 상기 수납공간이 개방되도록 상기 도어를 동작시키는 액츄에이터; 상기 작동모드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공간 내의 객체 여부 판별 정보를 획득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작동모드의 온(on)/오프(off) 및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모드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획득한 객체 여부 판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납공간이 비정상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납공간이 상기 비정상 상황일 때, 상기 작동모드를 오프(off)시키고, 상기 도어가 개방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의류관리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관리기{CLOTHES CARE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관리기에 대한 발명이다.
의류관리기는 수납공간 내 수납된 의류로부터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의류관리기는 물 입자가 포함된 공기를 수납공간 내 의류에 제공하여 의류의 섬유조직 내 존재하는 냄새입자와 결합시키고, 냄새입자와 결합된 물 입자를 건조과정에서 의류와 분리하여 의류관리기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그런데, 의류관리기사용 중에는 의류관리기의 작동을 신속히 정지시키고 시간 지연 없이 도어를 개방 해야 하는 긴급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린이나 동물이 수납공간에 들어가서 갇히는 경우이다. 또한, 의류관리기 내 옷걸이에 거치된 의류가 수납공간의 바닥부에 낙하하여 공기 순환을 차단하는 등의 경우에도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의류관리기의 작동을 자동으로 중단하고 도어를 개방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는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특허문헌 1: 한국 공개특허 제10-2020-0030771호)”이 제안된 바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캐비닛의 수용 공간에 들어온 사람 또는 동물을 중간판의 처짐을 통해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이상이 감지된 경우 '문을 열고 내부를 확인하라'는 취지의 알림을 제공하는데 그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의류관리기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신속한 조치가 어려워 결국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은 사람 또는 동물 등의 하중에 의해 중간판이 처지는 경우 감지가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 예를 들어 아기 고양이와 같이 매우 가벼운 동물이 갇히는 경우나, 의류와 같이 상대적으로 가벼운 물체가 수납공간 내 바닥부에 낙하하여 공기 흡입구 또는 배출구를 폐쇄하는 상황은 제대로 감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20-0030771호(2020.3. 23.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수납공간 내 비정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작동모드를 자동으로 오프하고 도어를 스스로 신속히 개방하여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의류관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작동모드가 온(on)되면 의류 관리를 진행하고, 작동모드가 오프(off)되면 의류 관리를 정지하는 의류관리기이며, 수납공간을 제공하고, 일면이 개방된 의류수납챔버;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개방된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수납공간 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력을 제공하는 팬; 상기 수납공간이 개방되도록 상기 도어를 동작시키는 액츄에이터; 상기 작동모드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공간 내의 객체 여부 판별 정보를 획득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작동모드의 온(on)/오프(off) 및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모드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획득한 객체 여부 판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납공간이 비정상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납공간이 상기 비정상 상황일 때, 상기 작동모드를 오프(off)시키고, 상기 도어가 개방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개방된 일면부에 장착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상기 도어가 개방되도록 상기 도어를 푸시하는 푸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개방된 일면부에 장착되는 제1 자석; 및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제1 자석에 대응되도록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제2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석 및 상기 제2 자석 중 하나 이상은 전자석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석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 자석 및 상기 제2 자석 사이에 인력 또는 척력이 선택적으로 작용하도록 상기 전자석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팬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여부 판별 정보는 상기 전류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전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모드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전류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전류의 크기가 미리 입력된 값 이상일 때 상기 비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수납챔버에는 상기 팬으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를 상기 수납공간으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객체 여부 판별 정보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토출구에서의 상기 토출온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모드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온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량이 미리 입력된 값 이상일 때, 상기 비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팬의 부하를 감지하는 부하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여부 판별 정보는 상기 부하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팬의 부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모드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부하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팬의 부하의 변화량이 미리 입력된 값 이상일 때 상기 비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부에 장착되는 하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여부 판별 정보는 상기 하중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중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모드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하중센서에서 감지된 하중의 시간에 따른 변화량이 미리 입력된 값 이상일 때 상기 비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수납공간에 노출되는 노출면을 구비하며,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내측면의 하부 또는 상기 도어의 상기 노출면의 하부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의 터치 또는 물리적 외력을 감지하는 접촉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여부 판별 정보는 상기 접촉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터치 또는 상기 물리적 외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모드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센서에서 외부로부터의 상기 터치 또는 상기 물리적 외력이 감지될 때 상기 비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작동모드가 온(on)된 상태에서 의류관리기의 수납공간 내에 어린이나 동물이 갇힌 정황이 감지되면, 의류관리기의 작동모드를 신속하게 오프시키는 동시에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함으로써, 의류관리기의 수납공간 내 갇힘으로 인한 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어린이나 동물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작동모드가 온(on)된 상태에서, 의류가 옷걸이에서 낙하되는 경우와 같은 비정상 상황이 발생되면, 수납공간 내 전류의 크기 변화, 온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 또는 팬의 부하 변화 등을 통해, 비정상 상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하여, 의류관리기의 작동모드를 신속하게 오프시키는 동시에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어린이가 수납공간에 들어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부에서 바라본 액츄에이터의 작동 전, 도어의 닫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부에서 바라본 의류관리기의 액츄에이터의 작동 후, 도어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액츄에이터가 설치된 의류관리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제어 로직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시간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전력의 증감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제어 로직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시간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고내토출 온도의 증감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제어 로직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어린이가 수납공간에 들어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제어 로직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제어 로직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유입', '공급', '유동', '결합'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유입, 공급, 유동, 결합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등의 방향에 대한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기(10)는, 감지센서로부터 획득한 객체 여부 판별 정보에 기초하여 수납공간 내에서 비정상 상황이 발생한 것을 판단할 수 있고, 비정상 상황으로 판단되면 작동모드를 오프(off)시키고 도어(200)를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다.
이러한 의류관리기(10)는 의류수납챔버(100), 도어(200), 액츄에이터(300), 감지센서(400), 제어부(500), 알림장치(600) 및 팬(700)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수납챔버(100)는 캐비닛 형상의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의류수납챔버(100)의 내부에는 의류의 보관이 가능한 수납공간(101)이 마련될 수 있다. 수납공간(101)에서는 의류에 대한 케어(리프레쉬) 기능이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납공간(101)에서는 의류관리기(10)의 케어 기능을 통해, 의류에 묻은 오염물 및 먼지가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케어 기능은 통상의 의류관리기(10)에서 수행되는 케어 기능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의류수납챔버(100)에는 객체 여부 판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감지센서(400), 도어(200)를 개방하기 위한 액츄에이터(300), 및 케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팬(700), 액츄에이터(300) 및 제어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 의류수납챔버(100)의 전면은 의류의 입출을 위해 개방될 수 있다. 의류수납챔버(100)의 전면은 도어(2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200)는 수납공간(101)을 개폐하도록 의류수납챔버(100)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어(200)는 의류수납챔버(100)의 전면 일측 가장자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어(200)는 닫힘에 의해 수납공간(101)을 밀폐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어(200)의 가장자리부와 이에 대응되는 의류수납챔버(100)의 전면 가장자리부에는, 수납공간(101)의 밀폐를 위한 실링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300)는 도어(200)를 개방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액츄에이터(300)는 도어(200)의 상측 내면부에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되도록 의류수납챔버(100)의 전면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300)는 도어(200)가 수납공간(10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도어(200)에 힘을 전달하는 기계 구조 또는 전자기력을 활용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300)는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도어(200)를 개방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3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액츄에이터(300)는 의류수납챔버(100)의 개방된 전면 상측부에 장착되는 모터(310), 및 모터(310)의 구동력에 의해 도어(200)를 푸시하는 푸셔(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터(310)의 작동은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푸셔(3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푸셔(320)에 제공할 수 있다. 모터(310)의 구동축은 푸셔(320)에 구동 연결될 수 있다.
푸셔(320)는 회전시 도어(200)를 향해 돌출되는 블록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푸셔(320)는 모터(310)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될 수 있다. 모터(310)의 구동력에 의해 푸셔(320)가 회전될 때, 푸셔(320)의 에지부는 도어(200)를 푸쉬함으로써, 수납공간(101)을 개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푸셔(320)는 반원 형태의 블록 형태로 제공되지만,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푸셔(320)는 회전시 도어(200)를 푸시하여 수납공간(101)을 개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도 5를 참고하면, 액츄에이터(300)는 전자기력을 이용한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츄에이터(300)는 의류수납챔버(100)의 개방된 전면에 장착되는 제1 자석(330)과, 도어(200)에 장착되는 제2 자석(3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제1 자석(330) 및 제2 자석(340)은 도어(200)가 개폐될 때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300)의 제1 자석(330) 및 제2 자석(34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전자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자석(330)이 전자석일때 제2 자석(340)이 일반 자석이거나, 제1 자석(330)이 일반 자석일때 제2 자석(340)이 전자석이거나, 제1 자석(330) 및 제2 자석(340)이 모두 전자석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자석(330) 및 제2 자석(340) 사이에 인력이 발생되면, 제1 자석(330) 및 제2 자석(340) 간 인력에 의해, 도어(200)는 닫히거나 잠금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자석(330) 및 제2 자석(340) 사이에 척력이 발생되면, 도어(200)는 개방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감지센서(400)는 의류관리기(10)의 작동모드가 온(on)된 상태에서, 수납공간(101) 내의 객체 여부 판별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객체 여부 판별 정보는 수납공간(101) 내에 어린이, 애완동물 등의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나 의류가 낙하 했는지에 대하여 판별하기 위한 정보로 정의될 수 있고, 바닥부의 하중, 외부로부터의 터치 또는 물리적인 외력, 팬에 흐르는 전류, 공기의 온도, 및 팬의 부하(물리적 저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객체 여부 판별 정보는, 수납공간(101) 내 어린이가 갇히거나 의류가 낙하하여 수납공간(101) 내 공기의 흐름이 방해되는 등과 같이, 의류에 대한 케어 기능을 수행하기에 정상적이지 않을 때 수집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감지센서(400)는 전류센서(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류센서(430)는 팬(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팬(700)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전류센서(430)는 팬(700)에 흐르는 전류를 객체 여부 판별 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감지센서(400)의 객체 여부 판별 정보는 전류센서(430)에서 감지된 팬(700)에 흐르는 전류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류센서(430)에서 감지된 팬(700)에 흐르는 전류에 대한 정보(전류값 등)는, 제어부(500)에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의류관리기(10)의 전자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의류관리기(10)의 케어 기능을 제공하는 작동모드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할 수 있고, 액츄에이터(300)의 작동을 위한 온(on)/오프(off)를 제어할 수 있다. 작동모드의 온(on)은 작동모드가 수행되는 것을 의미하고, 작동모드의 오프(off)는 작동모드가 수행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작동모드의 온과 오프는 의류관리기(10)가 온(on)/오프(off)되는 것과 구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의류관리기(10)을 온(on) 시킨 상태에서, 의류 케어 기능이 수행되는 작동 모드는 켜지거나(on) 꺼질(off) 수 있다.
제어부(500)는 작동모드가 온(on)된 상태에서, 전류센서(430)로부터 수납공간(101) 내에서 객체 여부 판별 정보가 획득되면, 객체 여부 판별 정보에 기초하여 수납공간이 비정상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비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작동모드를 오프(off)시키고, 도어(200)가 개방되도록 액츄에이터(3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500)가 전류센서(430)에서 수집되는 객체 여부 판별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비정상 상황은, 작동모드가 온(on)된 상태에서, 전류센서(430)에서 감지된 전류의 크기가 미리 입력된 값 이상인 상황이다.
알림장치(600)는 알림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어부(500)는 비정상 상황이 발생했다고 판단하면, 알림신호가 발생되도록 알림장치(600)를 제어한다. 일 예로, 알림신호는 빛, 소리 등일 수 있으며, 전자단말이 인식할 수 있는 전자신호일 수도 있다. 알림장치(600)는 발광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스피커 등일 수 있으며, 전자단말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통신수단일 수도 있다.
팬(700)은 수납공간(101) 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력을 제공할 수 있다. 팬(700)은 작동시 수납공간(101) 내 공기를 제공함으로써, 의류에 대한 케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팬(700)의 작동은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400)는 온도센서(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온도센서(440)를 통해 수납공간(101) 내 객체 여부 판별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온도센서(440)는 의류수납챔버(100)의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토출구는 팬(700)으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를 수납공간(101)으로 토출하는 배출구로 이해될 수 있으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는 토출온도로 명명될 수 있다. 온도센서(440)는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객체 여부 판별 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감지센서(400)의 객체 여부 판별 정보는 온도센서(440)에 의해 감지된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440)에서 감지된 공기의 온도에 대한 정보(온도값)는, 제어부(500)에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작동모드가 온(on)된 상태에서, 온도센서(440)로부터 수납공간(101) 내에서 객체 여부 판별 정보가 획득되면, 객체 여부 판별 정보에 기초하여 수납공간이 비정상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비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작동모드를 오프(off)시키고, 도어(200)가 개방되도록 액츄에이터(3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500)가 온도센서(440)에서 수집되는 객체 여부 판별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비정상 상황은, 제어부(500)는 작동모드가 온(on)된 상태에서, 온도센서(440)에서 감지된 온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량이 미리 입력된 값 이상인 상황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400)는 부하감지센서(4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서는 부하감지센서(450)를 통해 수납공간(101) 내 객체 여부 판별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부하감지센서(450)는 팬(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팬(700)의 부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팬(700)의 부하는 팬의 회전을 방해하는 물리적 저항일 수 있다. 일예로 공기의 저항이 강해지면 팬(700)의 부하가 증가할 수 있다. 부하감지센서(450)는 팬(700)의 부하를 객체 여부 판별 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감지센서(400)의 객체 여부 판별 정보는 부하감지센서(450)가 감지하는 팬(700)의 부하를 포함할 수 있다. 부하감지센서(450)에서 감지된 팬(700)의 부하에 대한 정보(부하값)는 제어부(500)에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작동모드가 온(on)된 상태에서, 부하감지센서(450)로부터 수납공간(101) 내에서 객체 여부 판별 정보가 획득되면, 객체 여부 판별 정보에 기초하여 수납공간이 비정상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비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저항체가 수납공간(101) 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작동모드를 오프(off)시키고, 도어(200)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부하감지센서(450)로부터 감지되는 수납공간(101) 내의 비정상 상황은, 작동모드가 온(on)된 상태에서, 부하감지센서(450)에서 감지된 팬(700)의 부하의 변화량이 미리 입력된 값 이상인 상황이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400)는 수납공간(101)의 바닥부에 장착되는 하중센서(410), 및 의류수납챔버(100) 또는 도어(200)에 장착되는 접촉센서(42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중센서(410)는 수납공간(101) 내 바닥부에서 감지되는 생명체(T) 및 의류 중 하나 이상의 하중을 감지할 수 있다. 하중센서(410)는 바닥부에서 감지되는 생명체(T) 및 의류 중 하나 이상의 하중을 객체 여부 판별 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감지센서(400)의 객체 여부 판별 정보는 하중센서(410)에서 감지된 생명체(T) 및 의류 중 하나 이상의 하중을 포함할 수 있다. 하중센서(410)에서 감지된 생명체(T) 또는 의류의 하중(하중값)은, 제어부(500)에 전달될 수 있다.
접촉센서(420)는 외부로부터의 터치 또는 물리적 외력을 객체 여부 판별 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감지센서(400)의 객체 여부 판별 정보는 접촉센서(420)에서 감지된 외부로부터의 터치 또는 물리적 외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센서(420)는 의류수납챔버(100)의 내측면 하부에 설치되거나, 수납공간(101)에 노출되는 도어(200)의 노출면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접촉센서(420)는 의류수납챔버(100)의 내측면 하부 또는 도어(200)의 노출면 하부 이외에도, 생명체(T)가 손쉽게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접촉센서(420)는 생명체(T)가 터치될 때, 생명체(T)를 감지하는 정전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접촉센서(420)는 생명체(T)의 물리적인 외력이 가해질 때, 물리적 외력을 감지할 수 있는 기계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계적 센서는 외력에 의해 눌릴 수 있는 푸쉬 플레이트일 수 있다. 접촉센서(420)에서 감지된 객체 여부 판별 정보는, 제어부(500)에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작동모드가 온(on)된 상태에서, 하중센서(410) 또는 접촉센서(420)로부터 수납공간(101) 내에서 객체 여부 판별 정보가 획득되면, 객체 여부 판별 정보에 기초하여 수납공간이 비정상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비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작동모드를 오프(off)시키고 도어(200)가 개방되도록 액츄에이터(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0)가 하중센서(410)에서 수집되는 객체 여부 판별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비정상 상황은, 작동모드가 온(on)된 상태에서, 감지된 하중의 시간에 따른 변화량이 제어부(500)에 미리 입력된 값 이상인 상황이다. 또한 제어부(500)가 접촉센서(420)에서 수집되는 객체 여부 판별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비정상 상황은, 작동모드가 온(on)된 상태에서, 접촉센서(420)에서 접촉이 감지되는 상황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400)는 하중센서(410), 접촉센서(420), 전류센서(430), 온도센서(440) 및 부하감지센서(450) 중 2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 5 실시예에서는 하중센서(410), 접촉센서(420), 전류센서(430), 온도센서(440) 및 부하감지센서(450) 중 2 이상을 통해, 수납공간(101) 내 객체 여부 판별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하중센서(410), 접촉센서(420), 전류센서(430), 온도센서(440) 및 부하감지센서(450)는,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각의 센서에 대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5 실시예에서는 하중센서(410), 접촉센서(420), 전류센서(430), 온도센서(440) 및 부하감지센서(450) 중 2 이상을 이용하여, 수납공간(101) 내 객체 여부 판별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복수 종류의 감지센서(400)를 통해 객체 여부 판별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수납공간(101) 내 비정상 상황을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고, 작동모드를 오프(off)시키고 도어(20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의류관리기
100: 의류수납챔버 101: 수납공간
200: 도어 300: 액츄에이터
310: 모터 320: 푸셔
330: 제1 자석 340: 제2 자석
400: 감지센서 410: 하중센서
420: 접촉센서 430: 전류센서
440: 온도센서 450: 부하감지센서
500: 제어부 600: 알림장치
700: 팬

Claims (8)

  1. 작동모드가 온(on)되면 의류 관리를 진행하고, 작동모드가 오프(off)되면 의류 관리를 정지하는 의류관리기이며,
    수납공간을 제공하고, 일면이 개방된 의류수납챔버;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개방된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수납공간 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력을 제공하는 팬;
    상기 수납공간이 개방되도록 상기 도어를 동작시키는 액츄에이터;
    상기 작동모드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공간 내의 객체 여부 판별 정보를 획득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작동모드의 온(on)/오프(off) 및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모드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획득한 객체 여부 판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납공간이 비정상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납공간이 상기 비정상 상황일 때, 상기 작동모드를 오프(off)시키고, 상기 도어가 개방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의류관리기.
  2. 제 1 항에 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개방된 일면부에 장착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상기 도어가 개방되도록 상기 도어를 푸시하는 푸셔;를 포함하는,
    의류관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개방된 일면부에 장착되는 제1 자석; 및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제1 자석에 대응되도록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제2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석 및 상기 제2 자석 중 하나 이상은 전자석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석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 자석 및 상기 제2 자석 사이에 인력 또는 척력이 선택적으로 작용하도록 상기 전자석을 제어하는,
    의류관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팬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여부 판별 정보는 상기 전류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전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모드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전류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전류의 크기가 미리 입력된 값 이상일 때 상기 비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는,
    의류관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수납챔버에는 상기 팬으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를 상기 수납공간으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객체 여부 판별 정보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토출구에서의 상기 토출온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모드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온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량이 미리 입력된 값 이상일 때, 상기 비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는,
    의류관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팬의 부하를 감지하는 부하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여부 판별 정보는 상기 부하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팬의 부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모드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부하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팬의 부하의 변화량이 미리 입력된 값 이상일 때 상기 비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는,
    의류관리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부에 장착되는 하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여부 판별 정보는 상기 하중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중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모드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하중센서에서 감지된 하중의 시간에 따른 변화량이 미리 입력된 값 이상일 때 상기 비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는,
    의류관리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수납공간에 노출되는 노출면을 구비하며,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의류수납챔버의 내측면의 하부 또는 상기 도어의 상기 노출면의 하부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의 터치 또는 물리적 외력을 감지하는 접촉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여부 판별 정보는 상기 접촉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터치 또는 상기 물리적 외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모드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센서에서 외부로부터의 상기 터치 또는 상기 물리적 외력이 감지될 때 상기 비정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는,
    의류관리기.
KR1020200081998A 2020-07-03 2020-07-03 의류관리기 KR202200043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998A KR20220004316A (ko) 2020-07-03 2020-07-03 의류관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998A KR20220004316A (ko) 2020-07-03 2020-07-03 의류관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316A true KR20220004316A (ko) 2022-01-11

Family

ID=79355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998A KR20220004316A (ko) 2020-07-03 2020-07-03 의류관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43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318A1 (ko) * 2022-06-20 2023-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771A (ko) 2018-09-13 2020-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771A (ko) 2018-09-13 2020-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관리기 및 이의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318A1 (ko) * 2022-06-20 2023-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5295B1 (ko) 가전제품 및 가전제품 제어방법
KR100872218B1 (ko) 건조기의 제어장치
US11015283B2 (en) Clothes manag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80148597A1 (en) Dryer with clogging detecting function
EP2049725B1 (en) Apparatus for treating cloth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080148592A1 (en) Dryer with safety function
JPH10137300A (ja) 乳児保育器
KR20190140849A (ko) 빨래 건조기
US20150059200A1 (en) Dryer applian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060026921A (ko) 온도/습도조절이 가능한 장롱
KR20220004316A (ko) 의류관리기
JP2021146141A (ja) 洗濯機および衣類乾燥機
US20190194859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775670B2 (ja) 浴室乾燥機
JP5987034B2 (ja) 洗濯機
JP6360799B2 (ja) 電気負荷制御装置及びこの電気負荷制御装置を用いた洗濯機
KR20030064427A (ko) 자동 감지 기능을 갖는 열풍식 건조장치
CN106939502A (zh) 衣物处理机器
KR100762333B1 (ko) 공기순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와 그 제어방법
JP6681701B2 (ja) 電気機器
JP2005305009A (ja) 洗濯機
JP2007236719A (ja) 衣類乾燥機
JP6875083B2 (ja) 洗濯機
JP2008161530A (ja) イオン発生装置を備えた保管庫
KR102087616B1 (ko) 드럼세탁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