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0346A - 인간지방줄기세포의 증식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간지방줄기세포의 증식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0346A
KR20200030346A KR1020180109108A KR20180109108A KR20200030346A KR 20200030346 A KR20200030346 A KR 20200030346A KR 1020180109108 A KR1020180109108 A KR 1020180109108A KR 20180109108 A KR20180109108 A KR 20180109108A KR 20200030346 A KR20200030346 A KR 20200030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extract
sodium
composition
phosph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1011B1 (ko
Inventor
이선주
김미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80109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011B1/ko
Priority to CN201980055771.1A priority patent/CN112638357B/zh
Priority to US17/270,697 priority patent/US20210315799A1/en
Priority to PCT/KR2019/010815 priority patent/WO2020040621A1/ko
Priority to JP2021534101A priority patent/JP2021535208A/ja
Priority to CN202410183350.XA priority patent/CN118021632A/zh
Publication of KR20200030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011B1/ko
Priority to JP2023174389A priority patent/JP2024009897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52Cells of 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s; Mesenchyme
    • C12N5/0662Stem cells
    • C12N5/0667Adipose-derived stem cells [ADSC]; Adipose stromal stem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30Organ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70Undefined extracts
    • C12N2500/76Undefined extracts from pl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즈베리 케톤(Raspberry ketone), 갈산(gallic acid), 카페산(caffeic acid), 카르노스산(carnosic acid), 테르피네올(terpineol),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sodium mannose phosphate), 트로폴론(tropolone), 글리시르레틴산(glycyrrhetinic acid), 라노스테롤(lanosterol),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sodium riboflavin phosphate), 메나디온(menadione), 티옥산(thioctic acid), 락토플라빈(lactoflavin), 잔토필(xanthophyll), 양파, 쌀겨, 대나무, 당근 및 히비스커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가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약학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인간 지방 유래 줄기세포의 증식 촉진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탄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간 지방 유래 줄기세포의 증식을 촉진함으로써 피하지방층 구조를 강화하고, 피부의 탄력을 증가시키며 주름을 개선하여 항노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인간지방줄기세포의 증식 촉진용 조성물 {A composition for promoting the proliferation of human adipose derived stem cell}
본 발명은 라즈베리 케톤(Raspberry ketone), 갈산(gallic acid), 카페산(caffeic acid), 카르노스산(carnosic acid), 테르피네올(terpineol),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sodium mannose phosphate), 트로폴론(tropolone), 글리시르레틴산(glycyrrhetinic acid), 라노스테롤(lanosterol),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sodium riboflavin phosphate), 메나디온(menadione), 티옥산(thioctic acid), 락토플라빈(lactoflavin), 잔토필(xanthophyll), 양파 추출물, 쌀겨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당근 추출물, 히비스커스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가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약학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인간 지방 유래 줄기세포의 증식 촉진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탄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방조직은 근육과 함께 피부 구조의 지지체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수적으로는 지방세포의 수가 30-40%이지만 부피상으로는 90%를 차지할 정도로 피부 구조적으로 중요한 세포이다. 피하 지방조직은 개체의 노화에 따라 감소하며, 그에따라 피부의 탄력이 감소하고 주름이 많이 생겨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급격한 다이어트로 지방 감소시 안면부의 탄력이 감소하고 주름이 증가하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그러므로 피부 속의 구조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방조직의 수를 조절하여 피부 속 부피를 증가시키는 것이 피부 탄력 및 주름에 대한 개선방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피부의 탄력 개선을 위해 이용되는 지방이식 수술의 경우 이식한 줄기세포가 생체내 생착율이 매우 낮으며, 일정 시간 후 재수술을 해야 하고 이식한 지방이 뭉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수술 없이 피하지방층의 구조를 강화시킬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다만, 종래 지방 유래 줄기세포를 직접 주입하는 기술의 경우 안전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세포 배양 과정에서 분비되는 성분을 모방하고 피부에 공급해주는 기술의 경우 실제 성분 그대로를 모사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인간 지방 유래 줄기세포는 피부가 노화 될수록 세포 활성이 감소하여 증식에 걸리는 시간이 2배 이상 늘어나므로(Gerontolog 2011; 57:66-75), 노화가 진행되고 있는 피부에 존재하는 지방 줄기세포는 다른 응용 기술에 대하여 반응성이 매우 감소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피부 자극이 없으면서 지방 줄기세포의 증식을 촉진하여 피하 지방조직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지방 유래 줄기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키는 물질을 찾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라즈베리 케톤(Raspberry ketone), 갈산(gallic acid), 카페산(caffeic acid), 카르노스산(carnosic acid), 테르피네올(terpineol),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sodium mannose phosphate), 트로폴론(tropolone), 글리시르레틴산(glycyrrhetinic acid), 라노스테롤(lanosterol),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sodium riboflavin phosphate), 메나디온(menadione), 티옥산(thioctic acid), 락토플라빈(lactoflavin), 잔토필(xanthophyll), 양파 추출물, 쌀겨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당근 추출물, 히비스커스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이 인간 지방유래 줄기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킴을 발견하고, 상기 물질이 피부 탄력 증가 및 주름 개선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라즈베리 케톤(Raspberry ketone), 갈산(gallic acid), 카페산(caffeic acid), 카르노스산(carnosic acid), 테르피네올(terpineol),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sodium mannose phosphate), 트로폴론(tropolone), 글리시르레틴산(glycyrrhetinic acid), 라노스테롤(lanosterol),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sodium riboflavin phosphate), 메나디온(menadione), 티옥산(thioctic acid), 락토플라빈(lactoflavin), 잔토필(xanthophyll), 양파 추출물, 쌀겨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당근 추출물, 히비스커스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가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라즈베리 케톤, 갈산, 카페산, 카르노스산, 테르피네올,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 트로폴론, 글리시르레틴산, 라노스테롤,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메나디온, 티옥산, 락토플라빈, 잔토필, 양파, 쌀겨, 대나무, 당근 및 히비스커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가 및 주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라즈베리 케톤, 갈산, 카페산, 카르노스산, 테르피네올,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 트로폴론, 글리시르레틴산, 라노스테롤,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메나디온, 티옥산, 락토플라빈, 잔토필, 양파 추출물, 쌀겨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당근 추출물, 히비스커스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가 및 주름 개선용 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라즈베리 케톤, 갈산, 카페산, 카르노스산, 테르피네올,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 트로폴론, 글리시르레틴산, 라노스테롤,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메나디온, 티옥산, 락토플라빈, 잔토필, 양파 추출물, 쌀겨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당근 추출물, 히비스커스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가 및 주름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라즈베리 케톤, 갈산, 카페산, 카르노스산, 테르피네올,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 트로폴론, 글리시르레틴산, 라노스테롤,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메나디온, 티옥산, 락토플라빈, 잔토필, 양파 추출물, 쌀겨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당근 추출물, 히비스커스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간 지방 유래 줄기세포의 증식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탄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출원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출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출원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출원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 본 발명은 라즈베리 케톤(Raspberry ketone), 갈산(gallic acid), 카페산(caffeic acid), 카르노스산(carnosic acid), 테르피네올(terpineol),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sodium mannose phosphate), 트로폴론(tropolone), 글리시르레틴산(glycyrrhetinic acid), 라노스테롤(lanosterol),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sodium riboflavin phosphate), 메나디온(menadione), 티옥산(thioctic acid), 락토플라빈(lactoflavin), 잔토필(xanthophyll), 양파 추출물, 쌀겨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당근 추출물, 히비스커스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 각각의 분획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가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물질 중, 1개, 2개, 3개, 4개, 5개, 6개, 7개, 8개, 9개, 10개, 11개, 12개, 13개, 14개, 15개, 16개, 17개, 18개, 19개, 20개, 21개, 22개, 23개 또는 24개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라즈베리 케톤, 갈산, 카페산, 카르노스산, 테르피네올,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 트로폴론, 글리시르레틴산, 라노스테롤,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메나디온, 티옥산, 락토플라빈 또는 잔토필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가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라즈베리 케톤, 갈산, 카페산, 카르노스산, 테르피네올,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 트로폴론, 글리시르레틴산, 라노스테롤,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메나디온, 티옥산, 락토플라빈 또는 잔토필이 다른 물질과 결합한 염의 형태인 것으로, 화장품학적으로 상기 화합물과 비슷한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노화된 피하 지방층을 활성화하고 회복시킬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라즈베리 케톤, 갈산, 카페산, 카르노스산, 테르피네올,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 트로폴론, 글리시르레틴산, 라노스테롤,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메나디온, 티옥산, 락토플라빈, 잔토필, 양파 추출물, 쌀겨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당근 추출물 및 히비스커스 추출물이 인간 지방 유래 줄기세포의 증식을 촉진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상기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피부 탄력 증가 및 주름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 물질의 피부 탄력 증가 및 주름 개선 효과는 지금까지 전혀 알려지지 않았고, 본 발명자에 의해 최초로 개발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라즈베리 케톤(Raspberry ketone)”의 분자식은 C10H12O2이고, 분자량은 164.20으로, 아래 화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라즈베리케톤은 그 획득 방법에 제한되지 않고,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갈산(gallic acid)”의 분자식은 C7H6O5이고, 분자량은 170.12로, 아래 화학식 2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본 발명의 갈산은 그 획득 방법에 제한되지 않고,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카페산(caffeic acid)”의 분자식은 C9H8O4, 분자량은 180.157로, 아래 화학식 3으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본 발명의 카페산은 그 획득 방법에 제한되지 않고,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카르노스산(carnosic acid)”의 분자식은 C20H28O4이고, 분자량은 332.44로, 아래 화학식 4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4
본 발명의 카르노스산은 그 획득 방법에 제한되지 않고,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테르피네올(terpineol)”의 분자식은 C10H18O이고, 분자량은 154로, 아래 화학식 5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5]
Figure pat00005
본 발명의 테르피네올은 그 획득 방법에 제한되지 않고,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sodium mannose phosphate)”의 분자식은 C6H12O9PNA, 분자량은 282.12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는 소듐 만노오스 6-포스페이트, 또는 D-만노오스-6-포스페이트 소듐 염(D-Mannose-6-phosphate sodium salt)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아래 화학식 6으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pat00006
본 발명의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는 그 획득 방법에 제한되지 않고,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트로폴론(tropolone)”의 분자식은 C7H6O2이고, 분자량은 122로, 아래 화학식 7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7]
Figure pat00007
본 발명의 트로폴론은 그 획득 방법에 제한되지 않고,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글리시르레틴산(glycyrrhetinic acid)”의 분자식은 C30H46O4이고, 분자량은 471로, 아래 화학식 8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8]
Figure pat00008
본 발명의 글리시르레틴산은 그 획득 방법에 제한되지 않고,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라노스테롤(lanosterol)”의 분자식은 C30H50O이고, 분자량은 427로, 아래 화학식 9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9]
Figure pat00009
본 발명의 라노스테롤은 그 획득 방법에 제한되지 않고,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sodium riboflavin phosphate)”의 분자식은 C17H20N4NaO9P이고, 분자량은 478.33으로, 아래 화학식 10으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10]
Figure pat00010
본 발명의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는 그 획득 방법에 제한되지 않고,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메나디온(menadione)”은 비타민 K의 일종인 노란색 결정으로, 분자식은 C11H8O2이고, 분자량은 172.18이며, 아래 화학식 11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11]
Figure pat00011
본 발명의 메나디온은 그 획득 방법에 제한되지 않고,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티옥산(thioctic acid)”은 리포산(lipoic acid)라고도 하며, 분자식은 C8H14O2S2이고, 분자량은 206으로, 아래 화학식 12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12]
Figure pat00012
본 발명의 티옥산 또는 리포산은 그 획득 방법에 제한되지 않고,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락토플라빈(lactoflavin)”은 우유에서 분리한 리보플라빈(riboflavin, vitamin B2)을 의미한다. 본 발명 락토플라빈의 분자식 C17H20N4O6이고, 분자량은 376.36으로, 아래 화학식 13으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13]
Figure pat00013
본 발명의 락토플라빈은 그 획득 방법에 제한되지 않고,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잔토필(xanthophyll)”은 식물의 잎사귀, 꽃, 과실 등의 녹색부에 존재하는 카로티노이드계의 옥시카로티노이드 색소로 노란색을 나타내며, 분자식은 C40H56O2, 분자량은 569이다. 상기 잔토필은 구체적으로 루테인(lutein)일 수 있으며, 아래 화학식 14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14]
Figure pat00014
본 발명의 잔토필 또는 루테인은 그 획득 방법에 제한되지 않고,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라즈베리 케톤, 갈산, 카페산, 카르노스산, 테르피네올,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 트로폴론, 글리시르레틴산, 라노스테롤,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메나디온, 티옥산, 락토플라빈 또는 잔토필은 용매화된 형태뿐만 아니라 비-용매화된(unsolvated)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화합물은 결정형 또는 무정형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물리적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화합물들의 범위에는 상기 화합물뿐만 아니라 이의 화장품학적, 식품학적,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역시 포함됨이 자명하다.
본 발명의 용어 “양파(onion, Allium cepa)”는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두해살이풀로, 주요성분으로 퀘르세틴, 크롬 및 알리신 등을 포함하여 항염, 혈당조절, 혈압 저하 등의 작용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양파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뿌리, 줄기, 잎 등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쌀겨(rice bran)”는 현미를 도정하여 정백미를 만들 때 생기는 과피, 종피, 호분층 등의 분쇄혼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비타민 B1, B2, 나이아신 등 무기질과 오리자놀, 토코페롤 및 피틴산 등을 포함하여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항산화, 항암 등의 작용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대나무(bamboo, Bambusoideae)”는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 대나무아과에 속하는 상록성 여러해살이 식물로, 한방에서는 항산화, 살균, 항암 효과 등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대나무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뿌리, 줄기, 잎 등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당근(carrot, Daucus carota var. sativa)”은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두해살이풀로, 주요성분으로 베타카로틴, 리코펜 등을 포함하여 항산화, 노화 방지 및 면역력 향상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당근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뿌리, 줄기, 잎 등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히비스커스(Rose of China, Hibiscus) “는 쌍떡잎식물 아욱목 아욱과 무궁화속에 속한 식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히비스커스산, 하이드록시시트릭산 등이 풍부하여 비만 예방 등의 효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히비스커스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뿌리, 줄기, 잎 등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추출물(extract)"은, 목적하는 물질을 다양한 용매에 침지한 다음, 상온, 저온 또는 가온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액상성분, 상기 액상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의 결과물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과물에 더하여, 상기 결과물의 희석액, 이들의 농축액, 이들의 조정제물, 정제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포괄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양파, 쌀겨, 대나무, 당근 또는 히비스커스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천연, 잡종, 변종식물의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뿌리, 지상부, 줄기, 잎, 꽃, 열매의 몸통, 열매의 껍질뿐만 아니라 식물 조직으로부터 추출 가능하다. 상기 추출물은 물 또는 다양한 유기용매 등으로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물, 극성용매 또는 비극성용매가 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부탄올 등),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등의 다가 알코올,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이거나, 보다 구체적으로 물, 저급 알코올, 1,3-부틸렌글라이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후박 또는 알로에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상기 후박 또는 알로에의 뿌리, 줄기, 잎, 열매, 꽃, 이들의 건조물, 가공물 등을 상기 용매에 침지하고, 상온에서 추출하는 냉침추출법, 가열추출법, 초음파를 가하여 추출하는 초음파추출법, 환류 냉각기를 이용한 환류추출법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분획물"은 여러 다양한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양파 추출물, 쌀겨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당근 추출물 및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분획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분획 방법은 피부 탄력 증가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용매를 처리하여 수행하는 용매 분획법,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수행하는 한 외여과 분획법,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를 수행하는 크로마토그래피 분획법, 및 이의 조합 등이 될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데에 사용되는 분획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증류수, 알코올 등의 극성 용매; 헥산(Hexan),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등의 비극성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 중 알코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4의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라즈베리 케톤, 갈산, 카페산, 카르노스산, 테르피네올,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 트로폴론, 글리시르레틴산, 라노스테롤,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메나디온, 티옥산, 락토플라빈, 잔토필, 양파, 쌀겨, 대나무, 당근 및 히비스커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2 중량%(w/w)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2 중량% 이상이면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인간 지방 유래 줄기세포(Human adipose derived stem cell)의 증식을 촉진할 수 있다. 즉,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인간 지방 유래 줄기세포의 증식을 촉진함으로써 피부 탄력을 증가시키고 주름을 개선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인간 지방 유래 줄기세포(human adipose derived stem cell)"는 인간의 지방조직에서 채취할 수 있는 줄기세포로서 신체의 다양한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다능세포(Multipotent cell)를 의미한다. 지방 유래 줄기세포는 피하 지방조직에 존재하고 있으며, 지방세포로의 분화능을 갖는다. 지방 유래 줄기세포가 분비하는 아디포카인(adipokine)은 피부 진피층 내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피부 재생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지방세포(adipose cell)"는 개체의 지방조직에서 지방을 저장하는 세포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피하지방층에 존재하는 백색 지방세포(white adipocyte)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간 지방 유래 줄기세포에 라즈베리 케톤, 갈산, 카페산, 카르노스산, 테르피네올,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 트로폴론, 글리시르레틴산, 라노스테롤,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메나디온, 티옥산, 락토플라빈, 잔토필, 양파, 쌀겨, 대나무, 당근 및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대조군 대비 인간 지방 유래 줄기세포의 세포의 세포활성율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켜 그 증식을 촉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물질을 포함하는 본 발명 조성물은 피부의 탄력 증가시키고 주름을 개선하여 항노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피부 탄력 증가"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개체의 피하 지방층 구조를 강화시켜 피부의 탄력을 높이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개선"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개체의 피부 주름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연고, 크림, 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이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콜, 식물성 유지,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발명은 라즈베리 케톤, 갈산, 카페산, 카르노스산, 테르피네올,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 트로폴론, 글리시르레틴산, 라노스테롤,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메나디온, 티옥산, 락토플라빈, 잔토필, 양파 추출물, 쌀겨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당근 추출물, 히비스커스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 이외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보조제 예컨대 친수성 또는 친지성 겔화제, 친수성 또는 친지성 활성제, 보존제, 항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및 염료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양태로, 본 발명은 라즈베리 케톤, 갈산, 카페산, 카르노스산, 테르피네올,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 트로폴론, 글리시르레틴산, 라노스테롤,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메나디온, 티옥산, 락토플라빈, 잔토필, 양파 추출물, 쌀겨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당근 추출물, 히비스커스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가 및 주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인간 지방 유래 줄기세포의 증식을 촉진함으로써 피부 탄력을 증가시키고 주름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라즈베리 케톤, 갈산, 카페산, 카르노스산, 테르피네올,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 트로폴론, 글리시르레틴산, 라노스테롤,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메나디온, 티옥산, 락토플라빈, 잔토필, 양파, 쌀겨, 대나무, 당근, 히비스커스, 추출물, 분획물, 피부 탄력 증가 및 개선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은 라즈베리 케톤, 갈산, 카페산, 카르노스산, 테르피네올,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 트로폴론, 글리시르레틴산, 라노스테롤,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메나디온, 티옥산, 락토플라빈 또는 잔토필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가 및 주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라즈베리 케톤, 갈산, 카페산, 카르노스산, 테르피네올,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 트로폴론, 글리시르레틴산, 라노스테롤,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메나디온, 티옥산, 락토플라빈 또는 잔토필이 다른 물질과 결합한 염의 형태인 것으로, 식품학적으로 상기 화합물과 비슷한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라즈베리 케톤, 갈산, 카페산, 카르노스산, 테르피네올,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 트로폴론, 글리시르레틴산, 라노스테롤,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메나디온, 티옥산, 락토플라빈, 잔토필, 양파 추출물, 쌀겨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당근 추출물, 히비스커스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 이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품보조첨가제"란 식품에 보조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각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식품보조첨가제의 예로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는 건강기능식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 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피부 탄력 증가 및 주름 개선을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이 취할 수 있는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인 의미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기능성 식품 등 당업계에 알려진 용어와 혼용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식품에 포함될 수 있는 적절한 기타 보조성분과 공지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또한, 동물을 위한 사료로 이용되는 식품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 본 발명은 라즈베리 케톤, 갈산, 카페산, 카르노스산, 테르피네올,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 트로폴론, 글리시르레틴산, 라노스테롤,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메나디온, 티옥산, 락토플라빈, 잔토필, 양파 추출물, 쌀겨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당근 추출물, 히비스커스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가 및 주름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인간 지방 유래 줄기세포의 증식을 촉진함으로써 피부 탄력을 증가시키고 주름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라즈베리 케톤, 갈산, 카페산, 카르노스산, 테르피네올,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 트로폴론, 글리시르레틴산, 라노스테롤,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메나디온, 티옥산, 락토플라빈, 잔토필, 양파, 쌀겨, 대나무, 당근, 히비스커스, 추출물, 분획물, 피부 탄력 증가 및 개선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은 라즈베리 케톤, 갈산, 카페산, 카르노스산, 테르피네올,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 트로폴론, 글리시르레틴산, 라노스테롤,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메나디온, 티옥산, 락토플라빈 또는 잔토필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가 및 주름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라즈베리 케톤, 갈산, 카페산, 카르노스산, 테르피네올,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 트로폴론, 글리시르레틴산, 라노스테롤,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메나디온, 티옥산, 락토플라빈 또는 잔토필이 다른 물질과 결합한 염의 형태인 것으로, 약학적으로 상기 화합물과 비슷한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단일제제로도 사용할 수 있고, 피부 탄력 증가 및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진 약물을 추가로 포함하여 복합제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 본 발명은 라즈베리 케톤, 갈산, 카페산, 카르노스산, 테르피네올,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 트로폴론, 글리시르레틴산, 라노스테롤,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메나디온, 티옥산, 락토플라빈, 잔토필, 양파 추출물, 쌀겨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당근 추출물, 히비스커스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가 및 주름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인간 지방 유래 줄기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함으로써 피부 탄력을 증가시키고 주름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라즈베리 케톤, 갈산, 카페산, 카르노스산, 테르피네올,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 트로폴론, 글리시르레틴산, 라노스테롤,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메나디온, 티옥산, 락토플라빈, 잔토필, 양파, 쌀겨, 대나무, 당근, 히비스커스, 추출물, 분획물, 피부 탄력 증가 및 개선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은 라즈베리 케톤, 갈산, 카페산, 카르노스산, 테르피네올,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 트로폴론, 글리시르레틴산, 라노스테롤,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메나디온, 티옥산, 락토플라빈 또는 잔토필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가 및 주름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외에 필요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하지 않는 한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주입되는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의미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비자연적 담체(non-naturally occuring carrier)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상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구체적으로,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오일,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은 소독 청결제, 샤워폼, 연고액, 물티슈, 코팅제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의약외품의 제제화 방법, 용량, 이용방법, 구성성분 등은 기술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기술로부터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은 개체의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개체는 쥐, 가축, 인간 등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 본 발명은 라즈베리 케톤, 갈산, 카페산, 카르노스산, 테르피네올,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 트로폴론, 글리시르레틴산, 라노스테롤,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메나디온, 티옥산, 락토플라빈, 잔토필, 양파 추출물, 쌀겨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당근 추출물, 히비스커스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간 지방 유래 줄기세포의 증식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인간 지방 유래 줄기세포의 증식을 촉진함으로써 피부 탄력을 증가시키고 주름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라즈베리 케톤, 갈산, 카페산, 카르노스산, 테르피네올,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 트로폴론, 글리시르레틴산, 라노스테롤,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메나디온, 티옥산, 락토플라빈, 잔토필, 양파, 쌀겨, 대나무, 당근, 히비스커스, 추출물, 분획물, 피부 탄력 증가 및 개선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탄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복강 내 투여, 정맥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국소 투여, 비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피부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는 특성상, 상기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피부에 도포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매일 투여 또는 간헐적으로 투여해도 좋고, 1일당 투여 횟수는 1회 또는 2~3회로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을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다른 약물 치료와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개체"는 피부 탄력이 감소하였거나, 피부 주름이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쥐, 생쥐, 가축 등의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간 지방 유래 줄기세포의 증식을 촉진함으로써 피하지방층 구조를 강화하고, 피부의 탄력을 증가시키며 주름을 개선하여 항노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라즈베리 케톤, 갈산, 카페산, 카르노스산, 테르피네올,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 트로폴론, 글리시르레틴산, 라노스테롤,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메나디온, 티옥산, 락토플라빈, 잔토필, 양파, 쌀겨, 대나무, 당근 및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처리한 인간 지방 유래 줄기세포에서 세포활성율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하기 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양파, 쌀겨, 대나무, 당근 및 히비스커스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에서 상기 양파, 쌀겨, 대나무, 당근 및 히비스커스의 추출물은 각각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뒤, 이를 건조시켜 파우더 형태로 만들어 이용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 화합물 및 추출물의 인간 유래 지방 줄기세포의 증식 촉진 효과 확인
인간 지방줄기세포(human adipose derived stem cells)를 론자(Lonza, Inc. Walkersville, MD, USA)에서 구입한 후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섭씨 37도, 5% 이산화탄소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각각의 소재를 0.2ppm, 2ppm, 20ppm의 농도로 처리한 뒤 인간지방줄기세포의 세포활성 정도를 CCK-8키트(Dojindo)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각 소재는 아래 표 1의 농도에서 최고 활성도를 보였으며, 모두 비처리군(대조군) 대비 20% 이상 높은 세포활성율을 보였다(도 1).
[표 1]
Figure pat00015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추출물 총 19종은 인간 지방 유래 줄기세포의 증식을 유의적으로 촉진하는바, 피부의 탄력 증가시키고 주름을 개선하여 항노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라즈베리 케톤(Raspberry ketone), 갈산(gallic acid), 카페산(caffeic acid), 카르노스산(carnosic acid), 테르피네올(terpineol),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sodium mannose phosphate), 트로폴론(tropolone), 글리시르레틴산(glycyrrhetinic acid), 라노스테롤(lanosterol),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sodium riboflavin phosphate), 메나디온(menadione), 티옥산(thioctic acid), 락토플라빈(lactoflavin), 잔토필(xanthophyll), 양파 추출물, 쌀겨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당근 추출물, 히비스커스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가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라즈베리 케톤, 갈산, 카페산, 카르노스산, 테르피네올,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 트로폴론, 글리시르레틴산, 라노스테롤,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메나디온, 티옥산, 락토플라빈 또는 잔토필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2 중량%(w/w)로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인간 지방 유래 줄기세포(Human adipose derived stem cell)의 증식을 촉진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연화장수(영양유액), 수렴 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피부접착용 패취, 피부접착용 겔, 파우더, 연고, 서스펜션, 에멀젼, 스프레이 또는 미용액에서 선택되는 제형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라즈베리 케톤(Raspberry ketone), 갈산(gallic acid), 카페산(caffeic acid), 카르노스산(carnosic acid), 테르피네올(terpineol),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sodium mannose phosphate), 트로폴론(tropolone), 글리시르레틴산(glycyrrhetinic acid), 라노스테롤(lanosterol),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sodium riboflavin phosphate), 메나디온(menadione), 티옥산(thioctic acid), 락토플라빈(lactoflavin), 잔토필(xanthophyll), 양파 추출물, 쌀겨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당근 추출물, 히비스커스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가 및 주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라즈베리 케톤, 갈산, 카페산, 카르노스산, 테르피네올,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 트로폴론, 글리시르레틴산, 라노스테롤,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메나디온, 티옥산, 락토플라빈 또는 잔토필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9. 라즈베리 케톤(Raspberry ketone), 갈산(gallic acid), 카페산(caffeic acid), 카르노스산(carnosic acid), 테르피네올(terpineol),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sodium mannose phosphate), 트로폴론(tropolone), 글리시르레틴산(glycyrrhetinic acid), 라노스테롤(lanosterol),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sodium riboflavin phosphate), 메나디온(menadione), 티옥산(thioctic acid), 락토플라빈(lactoflavin), 잔토필(xanthophyll), 양파 추출물, 쌀겨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당근 추출물, 히비스커스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가 및 주름 개선용 약학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라즈베리 케톤, 갈산, 카페산, 카르노스산, 테르피네올,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 트로폴론, 글리시르레틴산, 라노스테롤,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메나디온, 티옥산, 락토플라빈 또는 잔토필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11. 라즈베리 케톤(Raspberry ketone), 갈산(gallic acid), 카페산(caffeic acid), 카르노스산(carnosic acid), 테르피네올(terpineol),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sodium mannose phosphate), 트로폴론(tropolone), 글리시르레틴산(glycyrrhetinic acid), 라노스테롤(lanosterol),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sodium riboflavin phosphate), 메나디온(menadione), 티옥산(thioctic acid), 락토플라빈(lactoflavin), 잔토필(xanthophyll), 양파 추출물, 쌀겨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당근 추출물, 히비스커스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가 및 주름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라즈베리 케톤, 갈산, 카페산, 카르노스산, 테르피네올,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 트로폴론, 글리시르레틴산, 라노스테롤,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메나디온, 티옥산, 락토플라빈 또는 잔토필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13. 라즈베리 케톤(Raspberry ketone), 갈산(gallic acid), 카페산(caffeic acid), 카르노스산(carnosic acid), 테르피네올(terpineol),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sodium mannose phosphate), 트로폴론(tropolone), 글리시르레틴산(glycyrrhetinic acid), 라노스테롤(lanosterol),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sodium riboflavin phosphate), 메나디온(menadione), 티옥산(thioctic acid), 락토플라빈(lactoflavin), 잔토필(xanthophyll), 양파 추출물, 쌀겨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당근 추출물, 히비스커스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간 지방 유래 줄기세포의 증식 촉진용 조성물.
  14. 라즈베리 케톤(Raspberry ketone), 갈산(gallic acid), 카페산(caffeic acid), 카르노스산(carnosic acid), 테르피네올(terpineol), 소듐 만노오스 포스페이트(sodium mannose phosphate), 트로폴론(tropolone), 글리시르레틴산(glycyrrhetinic acid), 라노스테롤(lanosterol), 소듐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sodium riboflavin phosphate), 메나디온(menadione), 티옥산(thioctic acid), 락토플라빈(lactoflavin), 잔토필(xanthophyll), 양파 추출물, 쌀겨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당근 추출물, 히비스커스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탄력을 증가시키는 방법.
KR1020180109108A 2018-08-23 2018-09-12 인간지방줄기세포의 증식 촉진용 조성물 KR102311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108A KR102311011B1 (ko) 2018-09-12 2018-09-12 인간지방줄기세포의 증식 촉진용 조성물
CN201980055771.1A CN112638357B (zh) 2018-08-23 2019-08-23 用于促进源自人脂肪的干细胞的分化或增殖的组合物
US17/270,697 US20210315799A1 (en) 2018-08-23 2019-08-23 Composition for Promoting Differentiation or Proliferation of Human Adipose-Derived Stem Cell
PCT/KR2019/010815 WO2020040621A1 (ko) 2018-08-23 2019-08-23 인간지방줄기세포의 분화 또는 증식 촉진용 조성물
JP2021534101A JP2021535208A (ja) 2018-08-23 2019-08-23 ヒト脂肪幹細胞の分化または増殖促進用組成物
CN202410183350.XA CN118021632A (zh) 2018-08-23 2019-08-23 用于促进人脂肪干细胞的分化或增殖的组合物
JP2023174389A JP2024009897A (ja) 2018-08-23 2023-10-06 ヒト脂肪幹細胞の分化または増殖促進用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108A KR102311011B1 (ko) 2018-09-12 2018-09-12 인간지방줄기세포의 증식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346A true KR20200030346A (ko) 2020-03-20
KR102311011B1 KR102311011B1 (ko) 2021-10-08

Family

ID=69958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108A KR102311011B1 (ko) 2018-08-23 2018-09-12 인간지방줄기세포의 증식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01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3702A (ko) * 2006-08-09 2008-02-13 닛세이 바이오 카부시키 가이샤 피구의 밀도를 개량시키는 화장품용 배합제 및 화장품
KR20110023892A (ko) * 2008-06-25 2011-03-08 바스프 에스이 화장용 조성물, 벤조트로폴론 유도체 및 벤조트로폴론 유도체의 합성 방법
KR20130077953A (ko) * 2011-12-30 2013-07-10 (주)아모레퍼시픽 카르노스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엘라스테이즈 활성 저해제
KR101409111B1 (ko) * 2013-12-02 2014-06-17 스킨큐어(주) 카페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50105721A (ko) * 2014-03-10 2015-09-18 한국콜마주식회사 구기자나무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 화장료 조성물
KR20160129453A (ko) * 2015-04-30 2016-11-09 (주)컬러핑크알앤디 마태반 발효물 및 마유를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712608B1 (ko) * 2016-02-22 2017-03-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α-테르피네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80021578A (ko) * 2016-08-22 2018-03-0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갈릭산 배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3702A (ko) * 2006-08-09 2008-02-13 닛세이 바이오 카부시키 가이샤 피구의 밀도를 개량시키는 화장품용 배합제 및 화장품
KR20110023892A (ko) * 2008-06-25 2011-03-08 바스프 에스이 화장용 조성물, 벤조트로폴론 유도체 및 벤조트로폴론 유도체의 합성 방법
KR20130077953A (ko) * 2011-12-30 2013-07-10 (주)아모레퍼시픽 카르노스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엘라스테이즈 활성 저해제
KR101409111B1 (ko) * 2013-12-02 2014-06-17 스킨큐어(주) 카페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50105721A (ko) * 2014-03-10 2015-09-18 한국콜마주식회사 구기자나무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 화장료 조성물
KR20160129453A (ko) * 2015-04-30 2016-11-09 (주)컬러핑크알앤디 마태반 발효물 및 마유를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712608B1 (ko) * 2016-02-22 2017-03-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α-테르피네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80021578A (ko) * 2016-08-22 2018-03-0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갈릭산 배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011B1 (ko) 2021-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97913B1 (en) Cosmetic use of a hydroxypyranone derivative compound for promoting differentiation of adipocytes
JP6709783B2 (ja) アルパインワームウッド抽出物を含む脱毛防止または育毛促進用組成物
WO2011043212A1 (ja) セラミド産生促進剤及び保湿剤
JP2024009897A (ja) ヒト脂肪幹細胞の分化または増殖促進用組成物
JP6647292B2 (ja) スクテラリア・アルピナ抽出物を含む脱毛防止または育毛促進用組成物
KR102184156B1 (ko) 인간지방줄기세포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CN112638357B (zh) 用于促进源自人脂肪的干细胞的分化或增殖的组合物
TWI693077B (zh) 以醋栗(Ribes grossularia)萃取及穀胱甘肽製備組成物作為皮膚美白、抑制黑色素產生或減少黑色素、及抑制色素的用途
TWI706792B (zh) 臭菘提取物或其餾分的用途
KR102311011B1 (ko) 인간지방줄기세포의 증식 촉진용 조성물
KR20190130543A (ko)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40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JP7028803B2 (ja) 美白剤
JP5643123B2 (ja) 美白剤
JP2017521411A (ja) スクテラリア・アルピナ抽出物を含む美白用組成物
JP2011032177A (ja) Kit切断抑制剤
KR102503007B1 (ko) 인간지방줄기세포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KR20190132705A (ko) 철갑상어 알 및 철갑상어 양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을 위한 조성물
CN112584820A (zh) 含有百里香复合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皮肤保湿用化妆品组合物
JP2013256448A (ja) 美白剤
KR102628237B1 (ko) 천연 발효물 유래 고 기능성 펩타이드 제조 방법
JP2011032176A (ja) メラニン産生促進剤
KR101967919B1 (ko) 누리장나무 추출물의 헥산 분획물 또는 누리장나무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07954B1 (ko) 산옥잠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하지방 감소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JP2017521412A (ja) インペラトリア抽出物を含む美白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