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9745A - 에어백 커버 - Google Patents

에어백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9745A
KR20200029745A KR1020180108148A KR20180108148A KR20200029745A KR 20200029745 A KR20200029745 A KR 20200029745A KR 1020180108148 A KR1020180108148 A KR 1020180108148A KR 20180108148 A KR20180108148 A KR 20180108148A KR 20200029745 A KR20200029745 A KR 20200029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cover
side wall
airbag
airba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6842B1 (ko
Inventor
유재호
이원석
윤종길
이경필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180108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842B1/ko
Publication of KR20200029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60R21/21656Steering wheel covers or similar cup-shaped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05Manufacturers' emblems, name plates, bonnet ornaments, mascots or the like; 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4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with embl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에어백 커버에 관한 것으로, 스티어링 휠에 결합되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상면을 차폐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죽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는 외측 상방을 향해 경사지게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죽커버의 가장자리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경사부의 외측면을 감싼 상태로 고정되는 구성을 마련하여, 가죽커버 설치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작업 난이도를 낮춰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백 커버{AIR BAG COVER}
본 발명은 에어백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에 결합되고 상면에 엠블럼이 설치된 가죽커버가 설치되는 에어백 커버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 장치, 예컨대, 운전석 에어백 장치와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자동차의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된다.
운전석 에어백 장치는 일반적으로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고, 인플레이터, 에어백 쿠션 및 에어백 쿠션을 절첩 상태로 수용하는 하우징, 하우징의 개구를 커버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자동차의 충돌시, 에어백 쿠션은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가 주입되면서 팽창하고, 에어백 쿠션의 팽창력에 의해 부드러운 수지로 제조된 커버가 파열되어 커버에 개구가 형성되면 상기 개구를 통해 차량의 승객을 향하여 팽창된다.
이러한 운전석 에어백 장치에는 소위 엠블렘이라 불리는 장식 플레이트를 갖는 커버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에어백 커버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백 커버는 에어백 쿠션의 팽창력에 의해 파열되는 티어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티어라인은 엠블렘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된다.
미국 특허 공개번호 2006-0202449호 미국 특허번호 5,775721호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커버(1)는 상면과 하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티어링 휠에 결합되는 측벽부(2)와 측벽부(2)의 상단을 차폐하는 상부 플레이트(3)를 포함하고, 상부 플레이트(3)의 상면에는 엠블럼이 설치된 가죽커버(4)가 설치된다.
가죽커버(4)는 상부 플레이트(3)의 상면과 측면 및 상부 플레이트(3)의 가장자리 하면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부 플레이트(3)는 측벽부(2)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플레이트(3)는 스티어링 휠 상면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상방을 향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 플레이트(3)의 가장자리와 에어백 커버(1)의 측벽을 이루는 측벽부(2)는 90°보다 작은 예각(α)을 이룬다.
이로 인해, 종래기술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커버(1)는 가죽커버(4) 설치시 예각을 이루는 상부 플레이트(3)의 가장자리와 측벽부(2)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서 설치 작업 및 마감처리를 해야함에 따라,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측벽부(2)의 외면에는 에어백 커버(1)의 강성을 보강하는 다수의 지지리브(5)가 일정 간격마다 상하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가죽커버(4)가 설치된 에어백 커버(1)는 혼(horn) 작동을 위해 누름 조작되는 경우, 지지리브(5)의 외측에 설치된 가죽커버(4)와 스티어링 휠이나 시라우드(shroud) 사이에서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커버(1)에서 상부 플레이트(3)의 가장자리는 가죽커버(4)를 감싸서 설치하기 위해, 측벽부(2)의 외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예컨대 약 6㎜ 이상 돌출 형성되어야 한다.
이로 인해, 종래기술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커버(1)는 측벽부(2)를 상부 플레이트(3)의 직경보다 일정 거리만큼 작은 직경으로 한정됨에 따라, 내부에 설치되는 에어백 쿠션의 용량을 증대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에어백 커버에 가죽커버 설치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작업 난이도를 낮출 수 있는 에어백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에 에어백 쿠션이 설치되는 공간을 증가시켜 에어백 쿠션의 용량을 증대할 수 있는 에어백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커버는 스티어링 휠에 결합되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상면을 차폐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죽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는 외측 상방을 향해 경사지게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죽커버의 가장자리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경사부의 외측면을 감싼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커버에 의하면, 가죽커버 설치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작업 난이도를 낮춰 설치작업시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어링 휠에 결합되는 측벽부의 상단에 경사지게 경사부를 형성해서 상부 플레이트와 경사부가 둔각을 이루게 함으로써, 가죽커버를 설치하는 작업공간을 확장시켜 가죽커버 설치 및 마감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접착력을 증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 플레이트와 경사부의 외측면을 일치시켜 평면을 이룸에 따라, 가죽커버 설치 및 마감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에어백 쿠션이 설치되는 공간을 증가시켜 에어백 쿠션의 용량을 증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백 쿠션 전개시 에어백 커버가 복수개로 절개되어 젖혀지는 힘을 증대해서 에어백 쿠션과의 간섭을 회피함으로써, 에어백 쿠션의 전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개 도어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커버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종래기술과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커버의 단면을 대비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각각 자동차의 충돌 발생시 종래기술과 본 발명의 에어백 커버의 전개 동작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B-B'선에 대한 단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C-C'선에 대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좌측', '우측', '전방', '후방', '상방' 및 '하방'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각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과 하면이 개구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티어링 휠에 결합되는 측벽부(20), 측벽부(20)의 상단을 차폐하는 상부 플레이트(30) 및 상부 플레이트(30)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죽커버(40)를 포함한다.
측벽부(20)는 스티어링 휠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공간에 대응되도록, 단면이 원 형상이나 타원 형상, 사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벽부(20)의 하부에는 측벽부(20)의 하면을 차폐하는 하부 커버(50)(도 4 참조)가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30)는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백 커버(1)의 상부 플레이트(3)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고, 스티어링 휠 상면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상방을 향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죽커버(40)는 상부 플레이트(30)의 상면 및 측면과 측벽부(30)의 상단부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부 플레이트(30)는 측벽부(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측벽부(20)는 도 1에 도시된 측벽부(2)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측벽부(20)의 상단부에는 상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지게 경사부(21)가 형성된다.
즉, 경사부(21)는 측벽부(20)의 상단에서 상부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경사부(21)의 외측면은 상부 플레이트(30)의 외측면과 일치되어 평면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가죽커버(40)의 가장자리는 상부 플레이트(30)와 경사부(21)의 외측면을 감싼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경사부(21)는 가죽커버(40)를 접착해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길이, 즉 6㎜ 이상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부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와 경사부(21)의 외측면은 90°보다 큰 둔각(β)을 이룬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측벽부의 상단에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경사부를 형성해서 상부 플레이트와 경사부가 둔각을 이루게 함으로써, 가죽커버를 설치하는 작업공간을 확장시켜 가죽커버 설치 및 마감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본 실시 예에서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20)의 외면에 에어백 커버(10)의 강성을 보강하는 다수의 지지리브(22)가 일정 간격마다 상하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더라도, 가죽커버의 작업 공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혼 작동을 위해 누름 조작되는 경우, 가죽커버와 스티어링 휠이나 시라우드 사이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커버에 비해 내부에 설치되는 에어백 쿠션의 용량을 증대할 수 있다.
도 4는 종래기술과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커버의 단면을 대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10)는 측벽부(20)의 상단에 경사부(21)를 마련하고, 경사부(21)의 경사 각도를 조절해서 경사부(21)의 외측면을 상부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 측면과 일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측벽부(20)의 직경(D), 즉 내경을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백 커버(1)의 측벽부(2) 직경(d)보다 크게 변경할 수 있다(D>d).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경사부의 경사 각도를 조절해서 에어백 커버 내부에 에어백 쿠션이 설치되는 공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에어백 쿠션의 용량을 증대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은 각각 자동차의 충돌 발생시 종래기술과 본 발명의 에어백 커버의 전개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백 커버의 전개 동작이 예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커버의 전개 동작이 예시되어 있다.
에어백 커버(1)의 상부 플레이트(3)에는 자동차의 충돌 발생시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가 가능하도록 티어라인(도면 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부 플레이트(3)는 상기 티어라인을 따라 절개되면서 복수개로 분할되고, 분할된 각 플레이트는 측벽부(2) 상단을 중심으로 외측을 향해 젖혀지게 된다.
이러한 상부 플레이트(3)의 하면에는 분할된 상부 플레이트(3)가 측벽부(2)를 중심으로 외측을 향해 원활하게 젖혀지도록 가이드홈(5)이 형성된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백 커버(1)에서는 상부 플레이트(3)의 가장자리가 측벽부(2) 상단에 지지되면서 젖힘 동작을 방해하는 힘이 크게 작용한다.
이로 인해,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백 커버(1)는 분할된 각 플레이트가 충분히 젖혀지지 못함에 따라, 에어백 쿠션이 팽창 전개되는 과정에서 에어백 커버(1)와 간섭된다.
이와 같은 에어백 쿠션과 에어백 커버(1)의 간섭으로 인해, 에어백 쿠션의 전개속도가 저하되고, 완전히 전개되는 시간이 불필요하게 지연되며, 에어백 쿠션의 전개 형상이 불안정해짐에 따라, 에어백 쿠션의 전개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커버(10)는 상부 플레이트(30)의 끝단에 측벽부(20) 상단에 마련된 경사부(21)가 연결됨에 따라, 상부 플레이트(30)와 경사부(21)가 연결되는 부분에서 탄성력이 작용한다.
그래서 자동차의 충돌 발생시, 상부 플레이트(30)에서 분할된 각 플레이트들은 가이드 홈(31)을 중심으로 회전해서 젖힘 동작하고, 이때 각 플레이트들에 작용하는 젖힘 동작을 방지하는 힘은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백 커버(1)에 비해 감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충돌 발생시 상부 플레이트가 절개되어 젖혀지는 힘을 증대해서 원활하게 전개시킴으로써,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에어백 쿠션 전개시 에어백 커버와의 간섭으로 인해 전개속도가 저하되고 전개 형상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백 쿠션 전개시 상부 플레이트가 절개되면서 분할된 각 플레이트, 즉 전개 도어의 위치를 상부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에어백 커버(10)가 상부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원 형상인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차종별로 스티어링 휠의 디자인이 다양화되고, 차량에 적용되는 전자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조작스위치가 스티어링 휠에 마련된 각 스포크에 설치되고 있다.
이로 인해, 에어백 커버(10)의 디자인도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상부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가 측벽부(20)로부터 돌출되는 폭이 가죽커버의 설치 가능한 한계폭보다 큰 구간과 작은 구간을 동시에 갖는 에어백 커버(11)를 제2 실시 예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B-B'선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에 도시된 C-C'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11)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에어백 커버(10)의 구성과 유사하다.
다만, 상부 플레이트(30)는 상부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원 형상이 아닌 대략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벽부(20)는 단면이 사각 형상이나 육각 형상과 같은 다각 형상 또는 원 형상으로 형성된 다각 통체나 원통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와 측벽부의 단면 형상이 상이한 경우, 상부 플레이트의 가장자리가 측벽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폭이 구간별로 상이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커버(11)의 전후 방향 폭(W)과 좌우 방향 폭(w)이 크게 차이나는 경우, 상부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가 측벽부(20) 외측으로 돌출되는 폭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가 측벽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폭(W1)이 미리 설정된 설치한계값 미만으로 매우 협소한 경우, 측벽부(20)의 상단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2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설치한계값은 상부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 상면, 측면 및 하면을 감싸도록 가죽커버(40)의 설치 및 마감처리가 가능한 폭으로서, 실제 제품에서 약 5.5㎜로 설정될 수 있다.
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가 측벽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폭(W2)이 상기 설치한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측벽부(20)의 상단에는 경사부(21)가 제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상부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가 측벽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폭에 기초해서 측벽부(20)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경사부(21)를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에어백 커버의 상부에 가죽커버를 설치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가죽커버 설치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가죽커버의 가장자리가 들뜸으로 인한 가죽커버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고,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측벽부의 내부 공간을 최대화함으로써, 에어백 커버 내부에 설치되는 에어백 쿠션의 용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상부 플레이트(30)가 대략 타원 형상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상부 플레이트(30)가 서로 다른 곡률을 갖는 복수의 구간을 갖는 경우, 상부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가 측벽부(20) 외측으로 돌출되는 폭에 따라 측벽부(20) 상단에 선택적으로 경사부(21)를 마련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에어백 커버에 가죽커버 설치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작업 난이도를 낮춰 설치작업시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에어백 커버 기술에 적용된다.
10,11: 에어백 커버
20: 측벽부 21: 경사부
22: 지지리브
30: 상부 플레이트 31: 가이드 홈
40: 가죽커버 50: 하부커버
D,d: 측벽부 직경 W,w: 상부 플레이트 직경
W1,W2: 상부 플레이트의 가장자리가 측벽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폭

Claims (7)

  1. 스티어링 휠에 결합되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상면을 차폐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죽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는 외측 상방을 향해 경사지게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죽커버의 가장자리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경사부의 외측면을 감싼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외면이 서로 다른 곡률을 갖는 복수의 구간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경사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가장자리가 상기 측벽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폭이 미리 설정된 폭 미만인 구간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3. 제1항에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와 경사부의 외측면은 90°보다 큰 둔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경사부는 상단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외측면과 일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가죽커버의 가장자리 고정이 가능하도록 미리 설정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측벽부의 직경을 증가시켜 상기 에어백 커버 내부에 수용되는 에어백 쿠션의 용량을 증대 가능하도록, 경사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는 자동차의 충돌시 에어백 쿠션이 팽창 전개되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복수로 분할하는 티어라인과,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분할된 각 전개 도어가 상방으로 회전하면서 외측을 향해 젖혀지도록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 전개 도어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외측면과 경사부의 연결된 부분에서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 원활하게 외측으로 젖혀지며,
    상기 각 전개 도어의 위치는 상기 가이드 홈의 위치에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KR1020180108148A 2018-09-11 2018-09-11 에어백 커버 KR102096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148A KR102096842B1 (ko) 2018-09-11 2018-09-11 에어백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148A KR102096842B1 (ko) 2018-09-11 2018-09-11 에어백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745A true KR20200029745A (ko) 2020-03-19
KR102096842B1 KR102096842B1 (ko) 2020-04-06

Family

ID=69957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148A KR102096842B1 (ko) 2018-09-11 2018-09-11 에어백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84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5721A (en) 1995-05-12 1998-07-07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Cover for a gas bag of an occupant restraining system in vehicles
JP2003137054A (ja) * 2001-10-30 2003-05-14 Inoac Corp エアバッグドアのインサート部材
US20060202449A1 (en) 2000-02-29 2006-09-14 Takata Corporation Cover for air bag device
JP2009255899A (ja) * 2008-03-21 2009-11-05 Takata Corp エアバッグカバー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2010023783A (ja) * 2008-07-24 2010-02-04 Autoliv Development Ab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5721A (en) 1995-05-12 1998-07-07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Cover for a gas bag of an occupant restraining system in vehicles
US20060202449A1 (en) 2000-02-29 2006-09-14 Takata Corporation Cover for air bag device
JP2003137054A (ja) * 2001-10-30 2003-05-14 Inoac Corp エアバッグドアのインサート部材
JP2009255899A (ja) * 2008-03-21 2009-11-05 Takata Corp エアバッグカバー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2010023783A (ja) * 2008-07-24 2010-02-04 Autoliv Development Ab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6842B1 (ko) 202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7593B2 (en) Side airbag curtain directional deployment bracket
EP1908648B1 (en) Airbag device
KR102641412B1 (ko) 커튼 에어백 장치
JP5639131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の配置構造
JP4308643B2 (ja)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KR102043016B1 (ko) 테더 가이드 유닛 및 그가 적용된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장치
KR20180066903A (ko) Fmh 충격 흡수 성능을 개선한 자동차용 커튼 에어백 램프 브래킷
US20060220357A1 (en) Pillar trim component
GB2357470A (en) Pillar trim for an inflatable restraint system
CN108016398B (zh) 侧帘式安全气囊总成
KR102096842B1 (ko) 에어백 커버
JP4715030B2 (ja) 乗員脚部保護装置
JP4614797B2 (ja) エアバッグドア
JP6542727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KR102609538B1 (ko) 드라이버 에어백 장치
JP6602831B2 (ja) 車両用内装部材
KR100461067B1 (ko) 커튼에어백의 쿠션전개구조
JP4391273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2509831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100462111B1 (ko) 커튼 에어백 전개를 위한 센터필러트림 구조
KR100552053B1 (ko) 커튼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의 헤드 라이닝 구조
KR100757588B1 (ko) 자동차의 필라 트림구조
KR101684944B1 (ko)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2656681B1 (ko) 차량용 트림에어백
KR100445173B1 (ko) 자동차의 에어 백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