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9265A - 오돈텔라 아우리타 분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돈텔라 아우리타 분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9265A
KR20200029265A KR1020180107895A KR20180107895A KR20200029265A KR 20200029265 A KR20200029265 A KR 20200029265A KR 1020180107895 A KR1020180107895 A KR 1020180107895A KR 20180107895 A KR20180107895 A KR 20180107895A KR 20200029265 A KR20200029265 A KR 20200029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esity
odontella aurita
composition
odontella
auri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6046B1 (ko
Inventor
판철호
김상민
구송이
차광현
이은하
이희주
양중석
최용수
강경수
김형석
송대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07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046B1/ko
Priority to EP19168464.6A priority patent/EP3620166B1/en
Publication of KR20200029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0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sulfur, e.g. dimethyl sulfoxide [DMSO], docusate, sodium lauryl sulfate or aminosulfon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17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1623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Derivatives thereof; Homeopathic glob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52Polysaccharides, e.g. alginate, cellulose derivatives;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2018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mannitol;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16Wall or shell material
    • A61K9/4825Proteins, e.g. gela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33Encapsulating processes; Filling of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58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besity (AREA)
  • Myc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Diabet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오돈텔라 아우리타 분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및 항비만 효과를 향상시키는 오돈텔라 아우리타의 가공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분쇄물은 오돈텔라 아우리타의 미세유동화기 처리 분쇄물일 수 있으며, 상기 분쇄물은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의 체중 증가 저해 효과와 체내 지방 축적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오돈텔라 아우리타 분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obesity comprising the powder of Odontella aurita}
본 명세서에는 오돈텔라 아우리타 분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및 항비만 효과를 향상시키는 오돈텔라 아우리타의 가공방법이 개시된다.
비만은 체지방이 과도한 상태를 말하며, 과도한 체지방으로 인한 심장 질환을 포함한 여러 질병의 원인이 되는 건강 위험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 (WHO)는 세계적으로 대략 1억 600만 명 이상의 과체중을 가진 성인들이 있으며 최소 400만 명 이상이 비만이며 미국인의 세 명 중 두 명 이상이 과체중이거나 비만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했다 (Low et al, 2009; Cooke and Bloom, 2006). 또한 영국에서 약 20% 이상의 성인이 비만 진단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한국에도 비만 인구의 비율이 1995년 13.9%이었던 것이 2001년에는 30.6%로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대한 비만학회, 2010). 비만한 사람은 정상 체중인 사람에 비해 제 2형 당뇨병, 고지혈증, 관절염과 무호흡증을 비롯한 여러 질환에 걸릴 위험이 커지며 특히 여러 종류의 암과 심장 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 국립 보건 연구소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는 사망 원인 중 20%에 비만이 관여 했으며 이 수치는 이미 담배에 의한 죽음보다 더 많은 수치라고 보고했다 (Shi and Burn, 2006).
과체중과 비만은 한 가지 원인에서 비롯된다고 정의하기는 어려우나 기본적으로는 우리 몸에서 소비하는 열량에 비해 많은 열량을 섭취함으로써 발생한다 (NIH, 2010). 그 원인은 크게 내분비적 요소, 유전적인 요소, 사회 환경적인 요소 등으로 나눌 수 있으나, 내분비 질환이나 유전적인 요소 등의 2차적인 요소에 의한 비만은 5% 미만이고 대부분 병적 원인이 아닌 단순 비만으로서 소비하는 열량보다 과도한 섭식을 하는 식습관에 의해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 (대한 비만학회, 2010).
대부분의 비만과 과체중이 과도한 칼로리 섭취와 신체 활동 부족에 따른 것이므로 비만의 치료는 식이요법과 운동을 통한 생활 습관 개선이 치료의 기본이다. 비만 치료에 있어 체중 감량과 허리 둘레 감소는 중요한 목표이다. 치료의 원칙이 단순한데 비해 장기간의 체중 감량을 달성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비만은 수년 이상의 지속적인 치료를 필요로 하는 만성 질환으로 접근해야 한다. 생활 습관의 개선에 있어 저 열량식과 병행하여 운동 요법, 행동 치료 요법이 쓰이고 있으며 일부 심한 비만의 경우에는 외과적 수술이 사용되기도 한다.
비만을 위한 약물을 이용한 치료는 크게 세 가지 정도의 접근 방식이 있다 (Cooke and Bloom, 2006; Shi and Burn, 2004). 그 첫 번째 접근은 식욕을 억제하는 방식이다. 뇌의 신경을 자극해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방식으로 디에틸프로프리온 (diethylproprion), 펜디메트라진 (phendimetrazine), 펜터민 (phentermine) 등이 미국 FDA의 승인을 받아 비만 치료에 쓰이고 있다. 두 번째 접근은 섭취한 지방 흡수를 억제하는 방식이다. 대표적으로 오리스타트 (Orlistat)가 있으며, 이 약은 소화기관에 작용하며 지방의 흡수를 막는 것으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약물이다. 세 번째 접근은 생체 내 많은 에너지 소비를 통한 체중 감량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대표적인 약물은 시부트라민 (sibutramine)으로, 신경 조절을 통해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킨다. 그러나 이 약제들은 신경제 부작용이나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를 방해하는 등의 부작용으로 사용에 주의를 요한다. 특히 소아나 임산부 혹은 고혈압 등의 질환을 가진 경우 비만 치료제의 사용을 권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비만의 경우 단기간의 체중 감량 후 다시 체중이 증가하기 때문에 장기간의 치료를 요하므로 새로운 대체제의 발굴이 필요하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비만 및 과체중을 예방하는 혹은 치료하는 조성물을 찾아내기 위한 시도가 진행 중이며, 대표적으로 식물로부터 천연 조성물을 분리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천연물로부터 비만 및 과체중을 예방하는 혹은 치료하는 조성물을 찾아내기 위한 연구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북아시아 지역에서는 주로 약용식물로부터 산채류, 채소류 및 과일류로 확장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 또한 종래 전혀 알려진 바 없는 식물로부터 비만 및 과체중을 예방 혹은 치료하는 용도를 갖는 물질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식물로 분류되며, 배양을 통하여 바이오매스를 연중 생산할 수 있는 미세조류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3490호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인체 독성이 없으면서 지속적인 섭식이 가능한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항비만 효과를 향상시키는 오돈텔라 아우리타의 가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오돈텔라 아우리타 (Odontella Aurita) 분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체중을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분쇄물은 오돈텔라 아우리타의 미세유동화물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분쇄물은 오돈텔라 아우리타 미세유동화물의 동결건조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오돈텔라 아우리타 분쇄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오돈텔라 아우리타 (Odontella Aurita)를 포함하는 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현탁액을 미세유동화기에 주입하여 미세유동화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비만 효과를 향상시키는 오돈텔라 아우리타의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미세유동화물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현탁액은 물을 용매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현탁액은 103 내지 108 cells/ml 농도로 오돈텔라 아우리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미세유동화기의 처리 압력은 3,000 내지 20,000 psi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미세유동화기의 처리 횟수는 1회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동결건조는 미세유동화물을 -80 ℃ 이하에서 동결시킨 다음 1 내지 500 mTorr로 감압하여 얼음을 승화 및 제거하여 건조물을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오돈텔라 아우리타 분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항비만 효과를 향상시키는 오돈텔라 아우리타의 가공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험예에 따른 실험군의 사료 섭취량 대비 체중 증가량 비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험예에 따른 실험군의 부고환 지방 무게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돈텔라 아우리타의 동결건조물 및 오돈텔라 아우리타 미세유동화물의 동결건조물로부터 용출된 총 카로티노이드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3의 그래프에서 '무처리' 또는 '무처리 분말'은 미세유동화기로 처리하지 않은 실험군으로 실시예 1의 동결건조물을 의미하며, '미세유동화기 처리' 또는 '미세유동화기 처리 분말'은 미세유동화기로 처리한 실험군으로 실시예 2의 동결건조물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오돈텔라 아우리타 (Odontella Aurita) 분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오돈텔라 아우리타는 중심돌말목 (Centrales) 눈돌말과 (Eupodiscaceae) 오돈텔라종에 속하는 규조류로서, 단세포 해양 미세조류이다. 크기는 약 50 ㎛ 정도이고, 사각형 모양의 판상 모양으로, 각 판 (valve) 마다 2개 이상의 순상돌기 (labiate process)를 가지고 있다. 세포 안에는 많은 수의 엽록소를 가지고 있고, 각 세포들은 서로 일직선으로 연결되어 직선의 사슬을 형성하기도 한다. 오돈텔라 아우리타는 유럽, 미주, 아시아, 호주, 뉴질랜드 등 전 세계에 분포되어 있으며, 국내의 해안 전 지역에도 분포되어 있다. 오돈텔라 아우리타는 인체 독성이 없어 지속적인 섭식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오돈텔라 아우리타는 그 입수방법에 제한이 없으며, 채취한 것, 양식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이 없이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으로 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 등과 함께 목적으로 하는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항비만"이란 비만을 예방, 억제, 개선, 완화 또는 치료하는 것을 의미한다. 비만이란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로, 에너지 섭취가 에너지 소비보다 많아 소비되지 않고 남은 과잉 에너지가 여러 가지 지질의 형태로 체지방으로 축적되거나 혈액 내 지질 함량을 증가시킨 상태를 말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체중을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체중 증가를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부고환의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고지방 식이에 의한 체내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분쇄물은 오돈텔라 아우리타 세포의 분쇄물일 수 있다. 상기 분쇄물은 현탁액 또는 분말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분쇄물은 오돈텔라 아우리타의 미세유동화물, 즉 미세유동화기 처리로 얻어진 미세유동화기 처리 분쇄물일 수 있다. 상기 미세유동화란 (microfluidization)란 미세유동화기 (microfluidizer)를 사용하여, 비교적 일관된 크기의 입자가 잘 분산되어 있는 물리적으로 안정한 현탁액을 제조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미세유동화물은 미세유동화기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분쇄물은 오돈텔라 아우리타 분쇄물의 건조물일 수 있다. 상기 건조물을 제조하기 위한 건조법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건조방법을 제한이 없이 사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동결건조, 분무건조, 열풍건조 방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건조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오돈텔라 아우리타 분쇄물의 건조 분말을 수득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분쇄물은 오돈텔라 아우리타 미세유동화물의 건조물, 예컨대 동결건조물일 수 있다. 상기 동결건조 (freeze drying)란 건조방법의 한 종류로서, 물질을 동결시키고 수증기 (water vapor)의 부분압을 낮춤으로써 얼음을 직접 증기로 만드는 승화과정을 통해 건조물을 제조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냉동고를 이용하여 -80 ℃ 이하의 온도에서 물질을 동결시킨 다음 감압하여 얼음을 승화시켜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동결건조 시료를 얻을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분쇄물은 오돈텔라 아우리타 세포를 포함하는 현탁액을 미세유동화기 및 동결건조기 처리한 오돈텔라 아우리타 미세유동화물의 동결건조물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오돈텔라 아우리타 분쇄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돈텔라 아우리타 분쇄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 이상, 0.05 중량% 이상, 0.1 중량% 이상, 0.5 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20 중량% 이상, 30 중량% 이상 또는 40 중량% 이상이면서 50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 1 중량% 이하, 0.5 중량% 이하, 0.1 중량% 이하 또는 0.05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 (sucrose) 또는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불화수소산, 브롬화수소산, 포름산 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젖산, 시트르산,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톨루엔술폰산, 나프탈렌술폰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비경구 투여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하루에 체중 1 ㎏당 0.1~1,500 ㎎, 바람직하게는 1~500 ㎎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특정 환자에 대한 투여용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 상태, 식이, 투여 시간, 투여 방법, 배설률,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드링크제,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연고, 크림 등의 피부 외용제, 좌제, 주사제 및 멸균 주사용액 등을 비롯하여 약제학적 제제에 적합한 어떠한 형태로든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비경구, 경구 등의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경피 (trandermally),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 과립제, 분말제, 드링크제와 같은 액제, 캐러멜, 겔, 바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각 제형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 성분 이외에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오돈텔라 아우리타 분쇄물은 체중 감량 및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음료 등의 건강보조 또는 건강기능성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돈텔라 아우리타 분쇄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시에 전체 식품의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유효성분인 오돈텔라 아우리타의 첨가량은 사용목적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정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말을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효 성분의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이의 1일 투여 용량은 예를 들어 0.1mg/kg/일 내지 5000mg/k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50 mg/kg/일 내지 500 mg/kg/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연령, 건강 상태, 합병증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예를 들어, 츄잉껌, 캐러멜 제품, 캔디류, 빙과류, 과자류 등의 각종 식품류, 청량 음료, 미네랄 워터, 알코올 음료 등의 음료 제품, 비타민이나 미네랄 등을 포함한 건강기능성 식품류일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기능성 식품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명세서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오돈텔라 아우리타 (Odontella Aurita)를 포함하는 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현탁액을 미세유동화기에 주입하여 미세유동화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비만 효과를 향상시키는 오돈텔라 아우리타의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미세유동화물을 건조, 예컨대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오돈텔라 아우리타는 배양된 오돈텔라 아우리타를 원심분리하여 그 세포를 회수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원심분리는 5,000 rpm 이상, 7,000 rpm 이상, 9,000 rpm 이상, 10,000 rpm 이상, 13,000 rpm 이상, 15,000 rpm 이상, 17,000 rpm 이상, 또는 20,000 rpm 이상이거나 20,000 rpm 이하, 17,000 rpm 이하, 15,000 rpm 이하, 13,000 rpm 이하, 10,000 rpm 이하, 9,000 rpm 이하, 7,000 rpm 이하, 또는 5,000 rpm 이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원심분리는 시간당 100 L 이상, 200 L 이상, 300 L 이상, 400 L 이상, 500 L 이상, 600 L 이상, 700 L 이상, 800 L 이상, 900 L 이상, 또는 1,000 L 이상이거나 시간당 1,000 L 이하, 900 L 이하, 800 L 이하, 700 L 이하, 600 L 이하, 500 L 이하, 400 L 이하, 300 L 이하, 200 L 이하, 또는 100 L 이하의 속도로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오돈텔라 아우리타의 배양은 광생물 배양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오돈텔레 아우리타의 배양은 1일 이상, 3일 이상, 5일 이상, 7일 이상, 9일 이상, 11일 이상, 또는 13일 이상이거나 15일 이하, 13일 이하, 11일 이하, 9일 이하, 7일 이하, 5일 이하, 3일 이하, 또는 1일 이하의 기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현탁액은 물을 용매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현탁액은 103 내지 108 cells/ml 농도로 오돈텔라 아우리타를 포함하는 것이 오돈텔라 아우리타의 항비만 효능 증진에 있어서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현탁액 농도는 오돈텔라 아우리타의 항비만 효능 증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작용한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현탁액은 103 cells/ml 이상, 104 cells/ml 이상, 105 cells/ml 이상, 106 cells/ml 이상 또는 107 cells/ml 이상이면서 108 cells/ml 이하의 농도로 오돈텔라 아우리타를 포함함으로써, 미세유동화기의 노즐이 막혀 미세유동화 공정이 원활하지 않고 미세유동화물의 항비만 효능 증진 효과가 미미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미세유동화기의 처리 압력은 3,000 내지 20,000 psi인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미세유동화기의 처리 압력은 3,000 psi 이상, 4,000 psi 이상, 5,000 psi 이상, 6,000 psi 이상, 7,000 psi 이상, 8,000 psi 이상, 9,000 psi 이상 또는 10,000 psi 이상이면서 20,000 psi 이하, 15,000 psi 이하, 10,000 psi 이하 또는 5,000 psi 이하인 것일 수 있다. 미세유동화기의 처리 압력은 오돈텔라 아우리타의 항비만 효능 증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상기 범위의 처리 압력에 의해 세포를 효과적으로 분쇄하여 고른 입자가 잘 분산되어 있는 현탁액을 제조함으로써 오돈텔라 아우리타의 항비만 효능 증진이 가능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미세유동화기의 처리 압력은 5,000 내지 10,000 psi 또는 3,000 내지 7,000 psi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미세유동화기의 처리 횟수는 1회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동결건조는 미세유동화물을 -80 ℃ 이하 또는 -130 내지 -80 ℃에서 동결시킨 다음 1 내지 500 mTorr, 1 내지 400 mTorr, 1 내지 300 mTorr, 1 내지 200 mTorr, 1 내지 100 mTorr, 10 내지 80 mTorr, 10 내지 60 mTorr 또는 20 내지 40 mTorr로 감압하여 얼음을 승화 및 제거하여 건조물을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오돈텔라 아우리타의 동결건조물 제조
400 L 광생물배양기에서 F/2 배지를 사용하여 1주일 동안 오돈텔라 아우리타 (㈜바이오원, 강릉, 대한민국)를 배양하였다. 이렇게 배양한 오돈텔라 아우리타를 연속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15,000 rpm에서 시간당 500 L 속도로 원심분리하여 오돈텔라 아우리타의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세포를 동결건조 (-118 ℃, 28 mTorr, 2일, Model FDCF-12003, OPERON, 대한민국)하여 오돈텔라 아우리타의 동결건조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오돈텔라 아우리타의 미세유동화기 처리 분쇄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오돈텔라 아우리타를 배양한 다음 회수한 오돈텔라 아우리타 세포를 증류수에 108 cells/㎖ 농도로 현탁하여 미세유동화기 (Microfluidizer M-110EH, Microfluidics Co., MA, USA)에 주입하여 분쇄하였다. 오돈텔라 아우리타의 미세유동화물 제조를 위한 미세유동화기의 처리 압력은 5,000 psi였고, 미세유동화기로 단회 처리하여 수득한 미세유동화물을 동결건조 (-118 ℃, 28 mTorr, 2일, Model FDCF-12003, OPERON, 대한민국)하여 미세유동화물의 동결건조물 (이하, '미세유동화기 처리 분쇄물'로 지칭함)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체중 감량 및 지방 축적 억제 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동결건조물 및 미세유동화기 처리 분쇄물의 체중 감량 및 지방 축적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C57BL/6 마우스 (두열바이오텍, 서울, 대한민국)를 대상으로 하기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수컷 C57BL/6 마우스를 무작위로 4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1주일 동안 정상 식이 기간을 주었다. 이후, 음성 대조군에는 정상 식이를 주고 고지방 식이군에는 지방을 60 중량%로 포함하는 고지방 식이를 12주간 섭식시켰다. 또한, 실험군에는 실시예 1의 동결건조물 또는 실시예 2의 미세유동화기 처리 분쇄물 10 중량%를 포함하는 고지방 식이를 고지방 식이군과 동일하게 12주간 섭식시켰다. 이렇게 섭식시킨 각 그룹의 체중 증가량과 사료 섭취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로부터 각 그룹의 사료 섭취량 대비 체중 증가량 비율 (Food Efficiency Ratio; FFR, 체중 증가량/사료 섭취량 × 100)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또한, 각 그룹의 마우스에서 지방질이 얼마나 축적되었는지 부고환 지방 무게를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정상 식이 고지방 식이 고지방 식이
+
실시예 1의 동결건조물
고지방 식이
+
실시예 2의 미세유동화기 처리 분쇄물
체중 증가량
(g)
12.27 24.23 15.90 14.23
사료 섭취량
(g)
194.78 198.21 187.06 197.64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동결건조물과 실시예 2의 미세유동화기 처리 분쇄물을 섭취한 고지방 식이 실험군은 각각 고지방 식이군 대비 34.8%, 41.6% 가량의 체중 감량을 보였다.
또한, 도 1에 따르면 실시예 1의 동결건조물과 실시예 2의 미세유동화기 처리 분쇄물을 섭취한 고지방 식이 실험군은 사료 섭취량 대비 체중 증가량 비율 (FER)이 고지방 식이군 대비 각각 30.3%, 41.0% 가량 감소하여 체중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2에 따르면 실시예 1의 동결건조물과 실시예 2의 미세유동화기 처리 분쇄물을 섭취한 고지방 식이 실험군은 부고환 지방 무게가 고지방 식이군 대비 각각 33.3%, 61.9% 가량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부고환에서 고지방 식이에 따른 지방질 축적이 상당한 정도로 억제되어 고지방 식이에도 불구하고 부고환에서의 지방질 축적이 일어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오돈텔라 아우리타의 현탁액을 순차적으로 미세유동화기 및 동결건조기 처리한 오돈텔라 아우리타 미세유동화물의 동결건조물을 섭취한 실험군에서 체중 감량 및 지방 축적 억제 효과가 현저하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본 명세서에 따른 오돈텔라 아우리타의 분쇄물, 구체적으로는 미세유동화기 처리에 의한 오돈텔라 아우리타의 분쇄물은 고지방 식이에 따른 체중 증가를 억제하고 부고환에서의 지방질 축적증을 막는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므로,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의약품, 건강기능식품에 안전한 물질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유용 물질의 용출 정도 측정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동결건조물의 섭취 시 생체이용률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 각각의 동결건조물 1 g을 취하여 5 mL의 70 % 에탄올을 첨가하여 2 시간 동안 유용 물질의 용출 정도를 측정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유용 물질로는 카로티노이드를 선택하였으며, 용출된 총 카로티노이드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1 g의 오돈텔라 아우리타의 동결건조물 (실시예 1)과 1 g의 오돈텔라 아우리타 미세유동화기 처리 분쇄물 (실시예 2)로부터 용출된 총 카로티노이드는 각각 3.3 mg, 12.7 mg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세유동화기 처리에 의하여 용출된 총 카로티노이드가 3.8배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 따른 미세유동화기 처리 분쇄물은 실제 소화 과정에서 유용 물질이 잘 용출되도록 하여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 제형예 1] 연질 캡슐
실시예 2의 오돈텔라 아우리타 분쇄물 8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팜유 2mg, 식물성 경화유 8mg, 황납 4mg 및 레시틴 9m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혼합하여 연질 캡슐 충진액을 제조하였다. 1 캡슐당 400㎎씩 충진하여 연질 캡슐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별도로 젤라틴 66 중량부, 글리세린 24 중량부 및 솔비톨액 10 중량부의 비율로 연질 캡슐 시트를 제조하고 상기 충진액을 충진시켜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 400mg이 함유된 연질 캡슐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2] 정제
실시예 2의 오돈텔라 아우리타 분쇄물 8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갈락토올리고당 200㎎, 유당 60㎎ 및 맥아당 140㎎을 혼합하고 유동층 건조기를 이용하여 과립한 후 당 에스테르(sugar ester) 6㎎을 첨가하였다. 이들 조성물 500mg을 통상의 방법으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3] 드링크제
실시예 2의 오돈텔라 아우리타 분쇄물 8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포도당 10g, 구연산 0.6g, 및 액상 올리고당 25g을 혼합한 후 정제수 300㎖를 가하여 각 병에 200㎖씩 되도록 충진하였다. 병에 충진한 후 130℃에서 4∼5초간 살균하여 드링크제를 제조하였다.
[ 제형예 4] 과립제
실시예 2의 오돈텔라 아우리타 분쇄물 8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무수결정 포도당 250㎎ 및 전분 550㎎을 혼합하고, 유동층 과립기를 사용하여 과립으로 성형한 후 포에 충진하여 과립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5] 주사제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실시예 2의 오돈텔라 아우리타 분쇄물 10-5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제형예 6] 건강기능식품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실시예 2의 오돈텔라 아우리타 분쇄물 20mg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μg
비타민 E 1.0mg
비타민 B1 0.13mg
비타민 B2 0.15mg
비타민 B6 0.5mg
비타민 B12 0.2μg
비타민 C 10mg
비오틴 10μg
니코틴산아미드 1.7mg
엽산 50μg
판토텐산 칼슘 0.5mg
황산 제1철 1.75mg
산화아연 0.82mg
탄산마그네슘 25.3mg
제1인산칼륨 15mg
제2인산칼슘 55mg
구연산칼륨 90mg
탄산칼슘 100mg
염화마그네슘 24.8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형예 7] 건강 음료
하기 표 4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실시예 2의 오돈텔라 아우리타 분쇄물 1000mg
구연산 1000mg
올리고당 100 g
타우린 1g
정제수 잔량
통상의 건강 음료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하였다.
[제형예 8] 밀가루 식품
하기 표 5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밀가루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실시예 2의 오돈텔라 아우리타 분쇄물 5중량%
밀가루 95중량%
상기 표 5에 따란 제조한 밀가루를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 제형예 9] 선식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은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분말과 본 명세서에 따른 오돈텔라 아우리타 분쇄물을 하기 표 6과 같은 비율로 배합하여 선식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실시예 2의 오돈텔라 아우리타 분쇄물 3중량%
현미 30중량%
율무 20중량%
보리 25중량%
들깨 7중량%
검정콩 7중량%
검은깨 7중량%
찹쌀 0.5중량%
지황 0.5중량%
이상,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오돈텔라 아우리타 (Odontella Aurita) 분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체중을 감소시키는 것인, 항비만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것인, 항비만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물은 오돈텔라 아우리타의 미세유동화물인, 항비만용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물은 오돈텔라 아우리타 미세유동화물의 동결건조물인, 항비만용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돈텔라 아우리타 분쇄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된 것인, 항비만용 조성물.
  7. 오돈텔라 아우리타 (Odontella Aurita)를 포함하는 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현탁액을 미세유동화기에 주입하여 미세유동화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비만 효과를 향상시키는 오돈텔라 아우리타의 가공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미세유동화물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항비만 효과를 향상시키는 오돈텔라 아우리타의 가공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현탁액은 물을 용매로 포함하는 것인, 항비만 효과를 향상시키는 오돈텔라 아우리타의 가공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현탁액은 103 내지 108 cells/ml 농도로 오돈텔라 아우리타를 포함하는 것인, 항비만 효과를 향상시키는 오돈텔라 아우리타의 가공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유동화기의 처리 압력은 3,000 내지 20,000 psi인, 항비만 효과를 향상시키는 오돈텔라 아우리타의 가공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유동화기의 처리 횟수는 1회인, 항비만 효과를 향상시키는 오돈텔라 아우리타의 가공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건조는 미세유동화물을 -80 ℃ 이하에서 동결시킨 다음 1 내지 500 mTorr로 감압하여 얼음을 승화 및 제거하여 건조물을 제조하는 것인, 항비만 효과를 향상시키는 오돈텔라 아우리타의 가공방법.
KR1020180107895A 2018-09-10 2018-09-10 오돈텔라 아우리타 분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166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895A KR102166046B1 (ko) 2018-09-10 2018-09-10 오돈텔라 아우리타 분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EP19168464.6A EP3620166B1 (en) 2018-09-10 2019-04-10 Composition for anti-obesity comprising the pulverized material of odontella aurita as an active ingred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895A KR102166046B1 (ko) 2018-09-10 2018-09-10 오돈텔라 아우리타 분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265A true KR20200029265A (ko) 2020-03-18
KR102166046B1 KR102166046B1 (ko) 2020-10-15

Family

ID=66105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895A KR102166046B1 (ko) 2018-09-10 2018-09-10 오돈텔라 아우리타 분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3620166B1 (ko)
KR (1) KR1021660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3490A (ko) 2011-06-08 2014-03-18 페르망탈그 혼합영양 배양 모드에서의 epa 및 dha의 제조를 위한 오돈텔라 속의 미세조류의 신규 균주
KR20160030179A (ko) * 2013-07-19 2016-03-16 로께뜨프레르 초고압 균질화를 통해 클로렐라 세포벽을 파괴하기 위하여 최적화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95959B1 (fr) * 1999-07-09 2005-02-25 Codif Internat Sa Produit cosmetique ou pharmaceutique du type qui contient un principe actif pour lutter contre d'adiposite
KR101855837B1 (ko) * 2016-03-25 2018-05-09 주식회사 바이오원 미세조류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3490A (ko) 2011-06-08 2014-03-18 페르망탈그 혼합영양 배양 모드에서의 epa 및 dha의 제조를 위한 오돈텔라 속의 미세조류의 신규 균주
KR20160030179A (ko) * 2013-07-19 2016-03-16 로께뜨프레르 초고압 균질화를 통해 클로렐라 세포벽을 파괴하기 위하여 최적화된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dil Haimeur, et al., Lipids in Health and Disease 2012, 11:147 (2012.12.31. 공개)* *
Hamza Amine, et al., Journal of Endocrinology. (2016) 228, 1-12 (2016.12.31. 공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6046B1 (ko) 2020-10-15
EP3620166A1 (en) 2020-03-11
EP3620166B1 (en) 202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326B1 (ko)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257023B1 (ko) 겹달맞이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위축증 또는 근감소증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597235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JPWO2004112817A1 (ja) セリ科植物由来抽出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8070570A (ja) クロモジ抽出物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20200140749A (ko) 꾸지뽕나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0874778B1 (ko) 발효청국장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1626642B1 (ko) 당뇨병 개선 효과능이 있는 탱자 발효 조성물
KR20100064519A (ko)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95471A (ko) 오미자박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31373A (ko)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102166046B1 (ko) 오돈텔라 아우리타 분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00117979A (ko) 흑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풍 또는 고요산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070092587A1 (en) Extract from plant of japanese parsley famil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2517662B1 (ko) 차가버섯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633488B1 (ko) 배초향 추출물 또는 틸리아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904819B1 (ko) 여주와 마늘을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 Jis-1로 발효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 또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010290A1 (ko) 설포라핀이 증대된 내복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30399B1 (ko) 엉겅퀴, 민들레, 양배추, 꿀 및 생강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에 의해 발생하는 위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40007869A (ko) 금은화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40075097A (ko)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간질환 개선용 조성물
JP2023536936A (ja) ローズヒップ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筋肉疾患改善、治療又は予防用、又は筋機能改善用組成物
KR20150031372A (ko) 비타민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20210158444A (ko) 자바투메릭 또는 잔소리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