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895A - 핀치 밸브 - Google Patents

핀치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895A
KR20200028895A KR1020197037073A KR20197037073A KR20200028895A KR 20200028895 A KR20200028895 A KR 20200028895A KR 1020197037073 A KR1020197037073 A KR 1020197037073A KR 20197037073 A KR20197037073 A KR 20197037073A KR 20200028895 A KR20200028895 A KR 20200028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valve assembly
assembly
pinch valv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7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0588B1 (ko
Inventor
데클란 아이리쉬
셰인 몰로이
Original Assignee
카텐 컨트롤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텐 컨트롤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카텐 컨트롤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28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36Diaphragm cut-off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2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one side of the piston being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0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tubular diaphragm
    • F16K7/04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tubular diaphragm constrictable by external radial fo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0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tubular diaphragm
    • F16K7/04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tubular diaphragm constrictable by external radial force
    • F16K7/045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tubular diaphragm constrictable by external radial force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0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tubular diaphragm
    • F16K7/04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tubular diaphragm constrictable by external radial force
    • F16K7/06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tubular diaphragm constrictable by external radial force by means of a screw-spindle, cam, or other mechanical means
    • F16K7/061Screw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8Clamping means for squeezing flexible tubes, e.g. roller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t Valve (AREA)
  • Compressor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 Check Valves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 Prosthese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조립체 하우징(1); 교체 가능한 압축기 소자(2); 유체 도관을 지탱하기 위한 교체 가능한 홀더 소자(3)를 포함하는, 유체 도관의 압축을 위한 핀치 밸브 조립체가 제공되되, 홀더 소자는 교체 가능한 압축기 소자와 마주보고; 밸브 조립체는 압축기 소자가 압축기와 홀더 소자 사이의 유체 도관의 압축을 위해 조립체 하우징 내에서 홀더 소자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핀치 밸브
본 발명은 핀치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핀치 밸브 조립체는 생물학적 처리 산업에서 폴리머 일회용 기술에 사용되고, 그리고 일반적으로 폴리머 배관의 압축을 위한 것이다.
생물학적 처리는 생성물 및 화합물을 생성하도록 생세포 또는 컴포넌트(component)의 사용을 수반한다. 오염이 생성물을 사용에 부적합하게 만들 수 있으므로 미리 결정된 공정에서 생세포 또는 컴포넌트의 격리는 대단히 중요하다. 생물학적 처리 산업에서 오염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많은 컴포넌트는 "일회용"이다. 산업에서, "일회용" 기술은 주로 폴리머 컴포넌트-예컨대, 배관 및 백-와 관련된다. 이 컴포넌트는 생성물의 단일의 일괄처리만을 위해 세포 배양 배지를 수용 및 수송하도록 사용된다. 사용 후, 컴포넌트가 생산 용도로부터 제거되고 그리고 교체 컴포넌트가 다음의 생산 일괄처리를 위해 사용된다.
"일회용" 컴포넌트의 목적은 배지를 대안적인 생산 일괄처리에 의한 교차 오염으로부터 보호하여, 공정 장비의 살균 및 세정/소독을 위한 필요성을 제거하고, 그리고 박테리아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배관은 배지를 미리 결정된 처리 공장에서 하나의 공정 지점으로부터 또 다른 공정 지점으로, 예를 들어, 하나의 기계로부터 또 다른 기계로 수송하도록 생물학적 처리 전반에 걸쳐 사용된다. 배관은 예를 들어, 관을 통한 미리 결정된 배지의 흐름을 중단시키고 그리고 공정에서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또 다른 지점으로 배지의 추가의 수송을 방지하도록 종종 밀봉될 필요가 있다. 배관은 흔히 일회용이고 그리고 폴리머 물질로 제작된다. 배관을 밀봉하도록 사용되는 컴포넌트는 또한 흔히 일회용이고 그리고 또한 폴리머 물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배관 및 밀봉 장치는 일반적으로 일회용이다-배관 및 밀봉 컴포넌트는 미리 결정된 바이오 생성물의 하나의 생산 일괄처리를 넘어 사용되지 않는다-.
일회용 폴리머 디바이스는 내구성이 있는 디바이스가 아니고, 그리고 일반적으로 하나의 생산 일괄처리에만 사용되기 위해 조절된다. 이들은 재사용 가능한 조립체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지 않는다. 또한, 전혀 또는 거의 없는 제어가 배지의 수송을 위해 목적하는 흐름 속도를 달성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회용보다 더 많은 용도를 허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옵션이 이용 가능하다. 이들은 종종 성형된 폴리머 관의 '핀칭(pinching)'을 위해 재사용 가능한 스테인리스강 밸브 구성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스테인리스강 조립체는 완전한 일회용 밸브 및 배관 장비보다 더 내구성이 있다. 하이브리드 조립체는 새로운 배관이 생성물 접촉 물질로서 사용된다면 일괄처리 간의 재사용을 허용한다. 그러나, 일회용 배관 크기-배관 내경에 의해 결정됨-의 상당한 수 및 시장에서 입수 가능한 상이한 배관 벽 두께는 모든 일회용 배관 크기에 대한 스테인리스강 밸브 조립체를 장비 제작자와 최종 사용자 둘 다에 대해 비실용적이고 비용 효율적이지 않게 만든다.
기존의 일회용 배관에서 재사용될 수 있고, 생산 일괄처리에 대한 오염의 불가능성을 보장하는 핀치 밸브 조립체는 최신의 개선책일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조립체 하우징; 교체 가능한 압축기 소자; 유체 도관을 지탱하기 위한 교체 가능한 홀더 소자를 포함하는, 유체 도관의 압축을 위한 핀치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고, 홀더 소자는 교체 가능한 압축기 소자와 마주보고; 밸브 조립체는 압축기 소자가 압축기와 홀더 소자 사이의 유체 도관의 압축을 위해 조립체 하우징 내에서 홀더 소자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압축기와 홀더 소자 둘 다가 사용자에 의해 필요에 따라 쉽게 제거 및 교체될 수도 있으므로 유리하다. 홀더 소자는 상이한 크기의 유체 도관의 사용에 적합하도록 치수설정될 수 있다. 이것은 홀더가 미리 결정된 유체 도관 크기와 가장 적합하게 피팅되도록 선택될 수도 있지만 예를 들어, 상이한 도관 크기가 필요하다면, 전체 밸브 조립체를 제거 또는 교체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홀더는 일회용 소자일 수도 있지만 전체 밸브 조립체는 다수의 용도에 적합할 수도 있다. 또한, 교체 가능한 홀더 및 압축기를 사용하여, 최종 사용자는 -전체의 새로운 밸브 조립체를 사용할 필요 없이- 다수의 유체 도관 직경 및 도관 벽 두께에 맞추도록 밸브 내부를 조정할 수 있다. 교체 가능한 압축기 소자 및 교체 가능한 홀더 소자는 조립체가 최종 사용자에 의해 맞춤 제작되는 것을 제공한다. 이것은 조립체의 컴포넌트가 전체 핀치 밸브 조립체 밸브를 구조적으로 변경하거나 또는 제품 스트림에 영향을 주는 일 없이, 설치 후 교체 가능하므로 상당한 이점을 제공한다. 게다가, 교체 가능한 컴포넌트는 설치 및 교체하기가 간단하고 그리고 최종 사용자, 계약자 또는 장비 제작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 시, 밸브 조립체의 압축기 소자는 압축기와 홀더 소자 사이의 유체 도관이 압축해제되는 개방된 위치와 압축기와 홀더 소자 사이의 유체 도관이 압축되는 폐쇄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할 수도 있다. 이것은 따라서 조립체가 압축, 그리고 결과적으로, 압축기와 홀더 소자 사이에 배치되는 유체 도관의 폐쇄를 제공하므로 유리하다. 이것은 압축기 소자가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 도관을 통한 매체의 흐름의 유효 종료를 제공한다. 도관은 차후에 압축해제될 수도 있고, 그리고 결과적으로 개방될 수도 있어서, 필요에 따라 도관을 통한 매체의 흐름이 재개되게 한다.
홀더 소자는 기저부에 나사산 형성된 채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홀더 소자는 기저부의 나사산 형성된 채널에 삽입된 나사산 형성된 볼트를 통해 조립체 하우징에 고정 가능할 수도 있다. 이것은 홀더 소자를 기저부에 고정시키는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쉬우므로 유리하다. 이것은 교체 가능한 홀더 소자가 필요에 따라 쉽게 그리고 신속하게 제거 및 교체될 수도 있으므로 유리하다.
밸브 조립체는 밸브 조립체 하우징에 고정 가능한 폐쇄 조립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것은 밸브 조립체를 작동시키는 수단을 제공하므로 유리하다.
폐쇄 조립체는 클램프를 사용하여 밸브 조립체 하우징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것은 밸브 조립체와 폐쇄 조립체를 함께 고정시키는 수단을 쉽게 사용하게 하므로 유리하다. 클램프는 밸브 조립체와 폐쇄 조립체의 분리를 위해, 예를 들어, 폐쇄 조립체의 교체를 위해 쉽게 개방될 수도 있고 게다가, 클램프는 목적하는 폐쇄 조립체 및 밸브 조립체가 제자리에 있다면 쉽게 재폐쇄될 수도 있다.
폐쇄 조립체는 수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폐쇄 조립체는 세장형 소자를 포함할 수도 있고, 폐쇄 조립체는 세장형 소자로의 비틀림 힘의 인가에 의해 압축기 소자를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폐쇄 조립체의 개방 및 폐쇄에 대한 사용자 제어의 방식을 제공하고 따라서 밸브 조립체 자체에 대한 사용자 제어를 제공하므로 유리하다.
폐쇄 조립체는 공압식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폐쇄 조립체는 바이어싱된 소자를 포함할 수도 있고, 폐쇄 조립체는 바이어싱된 소자의 공압식 작동에 의해 압축기 소자를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압축기 소자의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 사이의 신속한 전환을 제공하므로 유리하다. 이것은 공압식 작동이 미리 결정된 공정을 위해 가장 적합한 것으로 간주되든 아니든, 밸브 조립체를 개방된 위치 또는 폐쇄된 위치에 속하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밸브 조립체의 고장에 대한 안전장치(safeguard)를 더 제공한다.
밸브 조립체의 압축기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것은 일회용보다 더 많은 용도에 적합한 매우 내구성이 있는 조립체를 제공하므로 유리하다. 밸브 조립체의 홀더는 폴리페닐설폰(Polyphenylsulfone: PPSU)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것은 PPSU 컴포넌트가 많은 유체 도관 형상 및 프로파일에 맞추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쉽게 제작될 수도 있으므로 유리하다.
유체 도관은 폴리머 관일 수도 있다. 이러한 관은 생물학적 처리 산업에서 전형적이다. 따라서, 유체 도관인 이러한 관의 사용은 밸브 조립체가 특히 생물학적 처리 산업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제공한다.
도 1은 수동으로 작동되는 폐쇄 조립체에 연결된 본 발명의 핀치 밸브 조립체의 도면.
도 2a는 개방된 위치에서 압축기 소자를 가진 수동으로 작동되는 폐쇄 조립체에 연결된 본 발명의 핀치 밸브 조립체의 단면도.
도 2b는 개방된 위치에서 압축기 소자를 가진 수동으로 작동되는 폐쇄 조립체에 연결된 본 발명의 핀치 밸브 조립체의 도면.
도 3a는 폐쇄된 위치에서 압축기 소자를 가진 수동으로 작동되는 폐쇄 조립체에 연결된 본 발명의 핀치 밸브 조립체의 단면도.
도 3b는 폐쇄된 위치에서 압축기 소자를 가진 수동으로 작동되는 폐쇄 조립체에 연결된 본 발명의 핀치 밸브 조립체의 도면.
도 4는 공압식으로 작동되는 폐쇄 조립체에 연결된 본 발명의 핀치 밸브 조립체의 도면.
도 5a는 개방된 위치에서 압축기 소자를 가진 공압식으로 작동되는 폐쇄 조립체에 연결된 본 발명의 핀치 밸브 조립체의 도면.
도 5b는 개방된 위치에서 압축기 소자를 가진 공압식으로 작동되는 폐쇄 조립체에 연결된 본 발명의 핀치 밸브 조립체의 단면도.
도 6a는 폐쇄된 위치에서 압축기 소자를 가진 공압식으로 작동되는 폐쇄 조립체에 연결된 본 발명의 핀치 밸브 조립체의 도면.
도 6b는 폐쇄된 위치에서 압축기 소자를 가진 공압식으로 작동되는 폐쇄 조립체에 연결된 본 발명의 핀치 밸브 조립체의 단면도.
본 발명은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은 유체 도관의 압축을 위한 본 발명의 핀치 밸브 조립체를 도시한다. 핀치 밸브 조립체는 조립체 하우징(1); 교체 가능한 압축기(2); 유체 도관을 지탱하기 위한 교체 가능한 홀더(3)를 포함하고, 홀더(3)는 교체 가능한 압축기(2)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핀치 밸브 조립체는 압축기(2)가 압축기(2)와 홀더(3) 사이의 하우징(1) 내 개구(4)에 배치될 수 있는 유체 도관의 압축을 위해 조립체 하우징(1) 내에서 홀더(3)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압축기(2)는 압축기(2)와 홀더(3) 사이의 개구(4)에 배치된 유체 도관(미도시)이 압축해제되는 개방된 위치(도 2a 및 도 2b, 도 5a 및 도 5b 참조)와 압축기(2)와 홀더(3) 사이의 개구(4)에 배치된 유체 도관이 압축기(2)가 홀더(3)를 향하여 이동되는 작용에 의해 압축되는 폐쇄된 위치(도 3a 및 도 3b, 도 6a 및 도 6b 참조)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유체 도관, 예를 들어, 관이 변형 가능한 물질, 예를 들어, 고무 배관 또는 다른 폴리머 배관으로 이루어질 때, 도관을 압축하는 것은 "핀칭" 효과를 내고 따라서 유체 도관을 폐쇄한다. 도관은 다시 개방된 위치로의 압축기(2)의 이동에 의해 압축해제될 수도 있다.
하우징 내에서, 교체 가능한 홀더(3)는 미리 결정된 생물공정이 착수되기 위해 사용될 배관의 프로파일과 가장 잘 매칭되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홀더(3)는 기저부(6)에 나사산 형성된 채널(5)을 포함한다. 홀더(3)는 홀더를 하우징 내에서 제자리에 고정시키는 효과를 내는 나사산 형성된 볼트(7)를 사용하여 하우징에 고정된다. 상이한 홀더가 하우징(1) 또는 폐쇄 조립체(8, 15)를 변화시킬 어떠한 필요조건 없이, 필요한 배관에 따라 필요한 경우 사용될 수도 있다.
폐쇄 조립체(8, 15)는 정합 페룰 단부(mating ferrule end)를 통해 하우징(1)에 고정될 수도 있고 그리고 폐쇄 조립체(8, 15)와 하우징(1)은 트라이클램프(triclamp)(9)를 사용하여 함께 클램핑된다.
교체 가능한 압축기(2)는 공정을 위해 사용될 배관의 프로파일과 매칭되도록 구성된다. 압축기(2)는 정합 나사산을 통해 폐쇄 조립체의 스템(stem)(11, 17) 구조체에 고정된다. 나사산 형성된 채널은 스템(11, 17)의 나사산 형성된 단부가 고정될 수도 있는 압축기(2)에 제공된다. 스템(11, 17)과 압축기(2) 둘 다에는 시징(seizing)을 방지하기 위한 적합한 코팅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것은 조작자와 접촉할 수 있는 윤활유가 전체 조립체에서 사용되도록 요구되지 않음을 제공한다.
핀치 밸브 조립체의 압축기(2) 및 하우징(1)은 충분한 강도 및 내구성을 밸브에 제공하도록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핀치 밸브 조립체의 홀더(3)는 폴리페닐설폰(PPSU)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핀치 밸브 조립체에는 수동 폐쇄 조립체(8)(도 1, 도 2 및 도 3) 또는 공압식 폐쇄 조립체(15)(도 4, 도 5 및 도 6)가 제공될 수 있다.
수동 폐쇄 조립체(8)는 세장형 소자 또는 스템(11)을 포함하고 그리고 폐쇄 조립체는 캡 또는 보닛(10)을 통해 스템(11)으로의 사용자에 의한 회전력 또는 비틀림 힘의 인가에 의해, 압축기(2)를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로(역 또한 같음)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스템에 부착된 수동 PV 압축기 홀더가 제공된다. 이것은 스템으로부터 비틀림 움직임을 제거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그리고 선형 운동이 압축기(2)를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로(역 또한 같음) 이동시키는 것을 제공한다.
수동 폐쇄 조립체(8)는 코팅된 보닛(10) 및 작동기 하우징을 포함한다. 보닛(10)은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보닛(10)은 적합하게 코팅된 스템(11)과 매칭되도록 나사산 형성된다. 스템(11)은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보닛과 스템은 필요한 선형 힘 및 행정을 생성하여 사용 시 유체 도관을 압축 및 밀봉하도록 치수설정되고 그리고 구성된다. 폐쇄 조립체(8)는 힘을 생성하여 누출 무결성을 보장하여 ANSI FCI 70/2 Class VI 사양을 충족시키도록 구성된다. 스템(8)의 행정은 사용 시 유체 도관이 폐쇄 조립체(8)가 개방된 위치로 비틀림으로써 작동될 때 압축해제된 상태(즉, 완전히 개방됨)로 복귀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구성된다. 폴리머 PPS(40% GF)는 개방된 위치와 폐쇄된 위치 사이의 비틀림을 위한 수동 핸들 휠을 위한 경량 조립체를 보장하도록 활용된다.
공압식 폐쇄 조립체(15)는 스템(17)에 고정된 스프링 소자(13)의 형태인 바이어싱된 소자를 포함하고 그리고 폐쇄 조립체는 압축기(2)를 바이어싱된 소자의 공압식 작동에 의해 개방된 위치로부터 폐쇄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공압식 폐쇄 조립체(15)는 적합하게 코팅된 압축기 헤드(16)를 활용한다. 압축기 헤드(16)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압축기 헤드(16)는 스템(17)과 매칭되도록 나사산 형성된다. 스템(17)은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보닛과 스템은 필요한 선형 힘 및 행정을 생성하여 사용 시 유체 도관을 압축 및 밀봉하도록 치수설정되고 그리고 구성된다. 폐쇄 조립체(15)는 힘을 생성하여 누출 무결성을 보장하여 ANSI FCI 70/2 Class VI 사양을 충족시키도록 구성된다.
스프링 소자(13)는 바이어싱된 힘을 스템(17)에 제공한다. 다시, 스템(8)의 행정은 사용 시 유체 도관이 폐쇄 조립체(15)가 개방된 위치로 작동될 때 압축해제된 상태(즉, 완전히 개방됨)로 복귀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구성된다. 얇은 벽 작동기 하우징(14)은 경량 조립체를 보장하도록 활용될 수도 있다. 스프링 소자(13)를 위한 적합한 바이어싱된 힘은 디폴트 상태를 밸브 조립체에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즉, 고장시 개방, 고장시 폐쇄 또는 고장시 멈춤-. 도 6에서, 고장시 폐쇄 유형이 예시된다. 기밀 피스톤(18)은 폐쇄 조립체(17)의 공압식 제어가 요구되는 "핀칭" 기능을 달성하게 한다.
본 발명은 수동 모드와 공압식 폐쇄 모드 간에서 변경될 가능성을 제공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수동 폐쇄 조립체(8)는 트라이클램프(9)를 해제함으로써 제거될 수도 있고 그리고 공압식 폐쇄 조립체(15)는 자체 동일한 트라이클램프(9)를 다시 밀봉함으로써 부착될 수도 있어서 폐쇄 조립체(15)를 핀치 밸브 조립체에 고정시킨다.
배관 크기를 변경하기 위해서, 교체 가능한 홀더(3) 및 압축기(2)는 제거 및 교체될 수도 있다. 각각의 압축기(2) 및 홀더(3)는 동일한 폐쇄 조립체(8)를 보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그리고 밸브 본체가 유체 도관에 영향을 주는 필요한 행정을 요구된 깊이 및 힘에 제공하여 -도관 구조에 대한 손상 없이- 내부 유체 압력에 대해 도관을 밀봉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압축기 소자(2)가 폐쇄 조립체에 제공될 수도 있어서 폐쇄 조립체의 제거 및 교체가 압축기 소자(2)의 제거 및 교체를 더 발생시킨다.
기존의 금속성 핀치 밸브 구조체는 하나의 공정 라인(즉, 관 또는 도관) 크기만을 위해 사용될 수 있어서, 각각의 일회용 라인 크기에 대한 별개의 분리 조립체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홀더(2)와 압축기(3)의 교체가 오로지 명시된 크기 범위 내에서 라인 크기를 변경하기 위한 필요조건이라는 것을 제공한다.
단어 "포함하다/포함하는" 및 단어 "가진/포함하는"은 본 발명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언급된 특징, 정수, 단계 또는 컴포넌트의 존재를 명시하도록 사용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또는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군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료성을 위해, 별개의 실시형태의 맥락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특정한 특징은 또한 단일의 실시형태에서 결합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정반대로, 간결성을 위해 단일의 실시형태의 맥락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은 또한 별도로 또는 임의의 적합한 하위-결합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Claims (13)

  1. 유체 도관의 압축을 위한 핀치 밸브 조립체로서,
    조립체 하우징;
    교체 가능한 압축기 소자;
    유체 도관을 지탱하기 위한 교체 가능한 홀더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 소자는 상기 교체 가능한 압축기 소자와 마주보고;
    상기 밸브 조립체는 상기 압축기 소자가 상기 압축기와 상기 홀더 소자 사이의 유체 도관의 압축을 위해 상기 조립체 하우징 내에서 상기 홀더 소자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핀치 밸브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 시, 상기 압축기 소자는 상기 압축기와 상기 홀더 소자 사이의 유체 도관이 압축해제되는 개방된 위치와 상기 압축기와 상기 홀더 소자 사이의 유체 도관이 압축되는 폐쇄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핀치 밸브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소자는 기저부에 나사산 형성된 채널을 포함하는, 핀치 밸브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소자는 상기 기저부의 상기 나사산 형성된 채널에 삽입된 나사산 형성된 볼트를 통해 조립체 하우징에 고정 가능한, 핀치 밸브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 하우징에 고정 가능한 폐쇄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핀치 밸브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조립체는 클램프를 사용하여 상기 밸브 조립체 하우징에 고정되는, 핀치 밸브 조립체.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조립체는 수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핀치 밸브 조립체.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조립체는 공압식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핀치 밸브 조립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조립체는 세장형 소자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폐쇄 조립체는 상기 세장형 소자로의 비틀림 힘의 인가에 의해 상기 압축기 소자를 상기 개방된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핀치 밸브 조립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조립체는 바이어싱된 소자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폐쇄 조립체는 상기 바이어싱된 소자의 공압식 작동에 의해 상기 압축기 소자를 상기 개방된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핀치 밸브 조립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되는, 핀치 밸브 조립체.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폴리페닐설폰(Polyphenylsulfone: PPSU)으로 제작되는, 핀치 밸브 조립체.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도관은 폴리머 관인, 핀치 밸브 조립체.
KR1020197037073A 2017-05-15 2017-05-15 핀치 밸브 KR1023605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7/061643 WO2018210403A1 (en) 2017-05-15 2017-05-15 A pinch val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895A true KR20200028895A (ko) 2020-03-17
KR102360588B1 KR102360588B1 (ko) 2022-02-08

Family

ID=58794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7073A KR102360588B1 (ko) 2017-05-15 2017-05-15 핀치 밸브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614172B2 (ko)
EP (1) EP3635287B1 (ko)
JP (1) JP7096844B2 (ko)
KR (1) KR102360588B1 (ko)
CN (1) CN110945272B (ko)
BR (1) BR112019024059B1 (ko)
CA (1) CA3063810A1 (ko)
DK (1) DK3635287T3 (ko)
ES (1) ES2920491T3 (ko)
IL (1) IL270614B2 (ko)
WO (1) WO20182104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06149A1 (de) * 2020-03-06 2021-09-09 Gemü Gebr. Müller Apparatebau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Quetschventil
GB202105923D0 (en) 2021-04-26 2021-06-09 Cytiva Sweden Ab Reconfigurable bioprocessing system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7446A (en) * 1979-05-29 1981-03-24 Ray Charles W Fluid flow shut-off system
KR200310681Y1 (ko) * 2002-12-17 2003-04-18 주식회사 금양테크 핀치 밸브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70143A (en) * 1936-09-21 1937-02-09 Charles F Schisler Hose clamp
FR873587A (fr) * 1941-07-04 1942-07-13 Galassi Ortolani & Müller Soupape ou organe analogue pour fluides en général et plus spécialement pour fluides corrosifs
GB693028A (en) 1951-04-13 1953-06-17 Ronald Frederick George Morris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inch valves
US3412742A (en) * 1964-03-25 1968-11-26 Mueller Co Squeeze type corporation stop
US3436054A (en) * 1966-08-15 1969-04-01 George S Cole Line valve of the compressible-tube type
US3920215A (en) 1973-02-09 1975-11-18 Dieter W Knauf Valve
US4259985A (en) * 1978-12-18 1981-04-07 Brunswick Corporation Three-way solenoid-operated pinch valve assembly
US4518145A (en) * 1982-09-28 1985-05-21 Empire Abrasive Equipment Corporation Valve for regulating the pressurized flow of abrasives, in particular blast media
US4516593A (en) * 1984-05-14 1985-05-14 Anthony Muto Plumbing repair device and method
US4895341A (en) * 1988-09-30 1990-01-23 Whitey Co. Pinch valve
EP0336663B1 (en) 1988-04-05 1994-08-24 Whitey Co. Valve for fluids
US4877053A (en) * 1988-04-05 1989-10-31 Whitey Co. Pinch valve
US4899783A (en) * 1988-09-30 1990-02-13 Whitey Co. Pinch valve
US5316262A (en) * 1992-01-31 1994-05-31 Suprex Corporation Fluid restrictor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N2120246U (zh) * 1992-04-08 1992-10-28 王晋冀 一种可切断管道的闸阀
US5197708A (en) * 1992-08-11 1993-03-30 Flow-Rite Controls, Ltd. Tubing pinch valve device
US6386505B2 (en) * 2000-03-06 2002-05-14 Levitronix Llc Clamping apparatus
US6755388B2 (en) * 2000-12-05 2004-06-29 Asahi Organic Chemicals Industry Co., Ltd Pinch valve
DE20117946U1 (de) * 2001-11-03 2003-03-13 Mueller A & K Gmbh Co Kg Absperrorgan für strömende Medien
JP2003172464A (ja) 2001-12-05 2003-06-20 Asahi Organic Chem Ind Co Ltd ピンチバルブ
CN101431201B (zh) * 2007-11-05 2010-09-2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夹持装置
CN101718374A (zh) * 2009-12-17 2010-06-02 范光豹 一种挂钩
US20120018654A1 (en) 2010-07-26 2012-01-26 Jon Peter Wennberg Pinch valves having a multi-piece valve body to receive flexible tubing
EP2543914B1 (de) * 2011-07-05 2015-04-22 Asco Numatics GmbH Vorrichtung zum radialen Zusammendrücken einer elastischen Leitung für eine strömendes Medium
DE102011080139A1 (de) * 2011-07-29 2013-01-31 GEMÜ Gebr. Müller Apparatebau GmbH & Co. KG Membranventil
TWM444458U (zh) * 2012-06-15 2013-01-01 Ktl Int Co Ltd 管夾
US9127781B2 (en) * 2013-04-08 2015-09-08 Pbm Valve, Inc. Pinch valve
JP6355366B2 (ja) 2014-03-07 2018-07-11 旭有機材株式会社 ピンチバルブ
AU2016332061B2 (en) 2015-10-01 2022-04-07 Repligen Corporation Valve assembly with directional flow path
CN205978969U (zh) * 2016-08-18 2017-02-22 天津市翔悦密封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引流顶压夹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7446A (en) * 1979-05-29 1981-03-24 Ray Charles W Fluid flow shut-off system
KR200310681Y1 (ko) * 2002-12-17 2003-04-18 주식회사 금양테크 핀치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35287B1 (en) 2022-04-06
DK3635287T3 (da) 2022-07-04
US20210033204A1 (en) 2021-02-04
ES2920491T3 (es) 2022-08-04
IL270614B2 (en) 2023-09-01
JP2020519832A (ja) 2020-07-02
CN110945272A (zh) 2020-03-31
US11614172B2 (en) 2023-03-28
KR102360588B1 (ko) 2022-02-08
EP3635287A1 (en) 2020-04-15
BR112019024059A2 (pt) 2020-06-02
JP7096844B2 (ja) 2022-07-06
CA3063810A1 (en) 2018-11-22
IL270614B1 (en) 2023-05-01
BR112019024059B1 (pt) 2022-12-20
IL270614A (ko) 2019-12-31
WO2018210403A1 (en) 2018-11-22
CN110945272B (zh) 202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9783A (en) Pinch valve
KR101796613B1 (ko) 유체 밸브와 함께 사용되기 위한 밸브 시트 장치
US4895341A (en) Pinch valve
KR102360588B1 (ko) 핀치 밸브
US4877053A (en) Pinch valve
AU2018101478A4 (en) A pinch valve
US9457482B2 (en) Protective casing of robot grippers
EP2542806A1 (en) Diaphragm valve
JP2009510364A (ja) 高圧空気パルスを制御するための弁
US2994337A (en) Diapinch valve for hazardous materials
EP0336663B1 (en) Valve for fluids
JP2011220501A (ja) ピンチバルブ
US4800920A (en) Pinch valve
CN105992898B (zh) 滑阀
CN111886430B (zh) 生物过程流系统
CN207261703U9 (zh) 活塞式气控大流量通断阀
CN212584389U (zh) 简易的阀门操作杆
CN110325703A (zh) 线性致动器,以及包括这种线性致动器的关闭/开启系统
WO2023016626A1 (en) Interchangeable multiport pinch valve assembly
KR20150004364U (ko) 앵글 밸브
WO2021025646A1 (en) Cam control valve for microfluidic systems
DE202017007357U1 (de) Ein Quetschventil
CN110701320A (zh) 卫生用流量调节截止阀
CH705530A2 (de) Vorrichtung zur Unterbrechung der pneumatischen Energiezufuhr über einen Rohrstrang.
AU2013205202A1 (en) Actuator compon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