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7676A - 장애인용 리프트 진입발판 - Google Patents

장애인용 리프트 진입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7676A
KR20200027676A KR1020180105764A KR20180105764A KR20200027676A KR 20200027676 A KR20200027676 A KR 20200027676A KR 1020180105764 A KR1020180105764 A KR 1020180105764A KR 20180105764 A KR20180105764 A KR 20180105764A KR 20200027676 A KR20200027676 A KR 20200027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entry
ground
disabled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1635B1 (ko
Inventor
강성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텍
Priority to KR1020180105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635B1/ko
Publication of KR20200027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2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lifts connected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4Wheelchairs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용 차량 또는 일반 차량에 설치되는 휠체어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프트 수납함에서 인출된 리프트가 작동하여 지면에 닿으면 휠체어가 리프트에 승하차할 수 있도록 진입발판이 펼쳐지고, 리프트의 작동 시에는 진입발판을 잠금하여 휠체어에 착석한 장애인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서 버스의 내부로 또는 버스에서 지면으로 휠체어를 이송하는 장애인용 리프트의 진입측에 설치된 진입발판으로서, 리프트의 바닥판이 지면을 향해 이동함에 있어 지면과 접하면 진입발판의 잠금을 해제하고 리프트의 바닥판이 상향으로 선회하여 이동할 때에는 진입발판을 잠금하는 잠금부와, 일단은 리프트에 장착되고 타단은 진입발판에 장착되며 리프트에 힌지결합된 진입발판이 외측으로 펼쳐지거나 상향으로 선회하여 접혀지도록 신축 가능한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애인용 리프트 진입발판{Disabled lift entry platform}
본 발명은 장애인용 차량 또는 일반 차량에 설치되는 휠체어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프트 수납함에서 인출된 리프트가 작동하여 지면에 닿으면 휠체어가 리프트에 승하차할 수 있도록 진입발판이 펼쳐지고, 리프트의 작동 시에는 진입발판을 잠금하여 휠체어에 착석한 장애인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장애인이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기에 어려운 이유는 차량의 내부 바닥과 지면의 높이 차 때문이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저상버스가 개발되어 상용화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저상버스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저상버스에서 슬로프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상버스(10)는 탑승객이 위치하는 차량의 바닥을 낮춰 설계한 버스로서, 저상버스(10)에 장착된 장애인용 슬로프(11)가 지면으로 인출되면 휠체어(1)를 밀어 탑승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장거리를 운행하는 고속버스 등의 경우에는 화물 등을 수납하고 이동하여야 함에 따라 승객이 위치하는 차량의 바닥 하부에 화물칸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화물칸이 설치된 고속버스는 앞서 설명한 저상버스와 같이 바닥을 낮출 수 없어 장애인용 슬로프를 설치할 수 없으며, 설치한다고 하더라도 차량의 내부 바닥과 지면의 높이 차가 크게 발생하여 휠체어를 탑승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장애인용 슬로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장애인용 리프트이다.
도면에서,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장애인용 리프트가 장착된 버스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리프트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리프트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인용 버스(20)는 전방 측면에 일반인이 승하차할 수 있는 출입문(21)이 형성되고, 중간 측면에는 휠체어(1)를 탄 장애인이 승하차할 수 있는 중문(23)이 형성되며, 중문(23)의 아래에 위치한 수납함(25)에는 리프트 도어(30D)가 형성되고, 수납함(25)에는 휠체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리프트(30)가 내장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도어(30D)와 중문(23)을 개방한 후, 리프트(30)를 작동하면 리프트(30)가 버스의 수납함에서 나와 리프트(30)가 지면에 안착된 후 상부로 이동하며, 반대로 상부에 위치한 리프트(30)가 하향으로 이동하여 지면에 안착된 후 장애인용 버스(20)의 수납함(25) 내부로 진입해 들어간다.
한편 리프트가 지면에 닿을 경우 리프트의 높이와 지면 사이에 발생하는 단차에 의해 휠체어가 리프트에 승차할 수 없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리프트의 진입 측에는 진입발판이 장착되어 리프트와 지면 사이에 단차에 따른 승하차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종래에는 리프트가 지면에 닿기 전에 보조자가 수동으로 진입발판을 펼치거나 접게 구성되었다. 이 경우 리프트가 지면에서 상향으로 이동할 시에 반드시 진입발판을 수직하게 위치하고 잠금하여야 휠체어가 리프트 밖으로 추락하지 않아 안전하지만, 보조자가 과실로 인해 진입발판을 잠금하지 않거나 펼쳐진 상태로 리프트를 작동하기도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37509호(공개일; 2016.04.06)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휠체어를 착석한 장애인이 리프트에 승차한 상태로 리프트가 작동할 경우 추락을 방지할 수 있게 진입발판이 잠금되고, 리프트가 지면에 안착되었을 때에는 잠금 해제되고 펼쳐져 휠체어가 승하차 가능하도록 구성한 장애인용 리프트 진입발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서 버스의 내부로 또는 버스에서 지면으로 휠체어를 이송하는 장애인용 리프트의 진입 측에 설치된 진입발판으로서, 리프트의 바닥판이 지면을 향해 이동함에 있어 지면과 접하면 진입발판의 잠금을 해제하고 리프트의 바닥판이 상향으로 선회하여 이동할 때에는 진입발판을 잠금하는 잠금부와, 일단은 리프트에 장착되고 타단은 진입발판에 장착되며 리프트에 힌지결합된 진입발판이 외측으로 펼쳐지거나 상향으로 선회하여 접혀지도록 신축 가능한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부는 진입발판에 고정된 힌지축과, 리프트의 측벽을 관통한 힌지축의 단부에 고정되며 둘레에 잠금홈이 형성된 잠금회전판과, 리프트의 측벽에 힌지 결합되어 잠금홈에 정합하거나 정합 해제되도록 선회하는 잠금레버와, 잠금레버에서 연장되어 리프트가 지면에 닿기 이전에 지면과 접하여 잠금레버를 정합 해제되는 방향으로 선회시키는 선회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단은 리프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잠금레버에 고정되며, 잠금레버가 잠금회전판의 잠금홈에 정합하는 방향으로 잠금레버를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선회판의 단부에는 지면과 접하는 휠이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레버가 선회하여 정합 해제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1센서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센서에서 발생한 전기적신호에 의해 액추에이터가 신장하여 진입발판이 지면과 접하도록 하향 선회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진입발판이 지면에 접할 때의 액추에이터의 스트로크를 감지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며, 제2센서에서 발생한 전기적신호에 의해 액추에이터의 신장이 정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액추에이터가 수축하여 진입발판이 상향으로 선회하여 접혔을 때의 스트로크를 감지하는 제3센서를 포함하며, 제3센서에서 발생한 전기적신호에 의해 리프트가 상향으로 선회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액추에이터의 피스톤 단부에는 진입발판에 연결된 회전브래킷이 힌지 결합되어 피스톤의 직선운동을 진입발판의 선회운동으로 전환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리프트 진입발판은 리프트가 작동하여 지면에 닿을 경우 잠금이 해제되고 동시에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진입발판이 펼쳐져 지면에서 리프트로 또는 리프트에서 지면으로 휠체어가 이동 가능하며, 리프트가 상향으로 이동할 시에는 진입발판이 수직하게 위치하여 리프트에 승차한 휠체어가 리프트 외부로 추락하지 않게 장애인을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리프트 진입발판은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진입발판이 완전히 접혀져야 다음 단계인 리프트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진입발판이 펼쳐진 상태로 리프트가 작동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저상버스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저상버스에서 슬로프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장애인용 리프트가 장착된 버스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리프트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리프트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리프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진입발판의 잠금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리프트의 발판이 지면에 닿았을 경우 잠금부의 잠금해제 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진입발판의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구동부의 작동에 따른 진입발판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리프트 진입발판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리프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진입발판의 잠금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리프트의 발판이 지면에 닿았을 경우 잠금부의 잠금해제 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진입발판의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구동부의 작동에 따른 진입발판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인용 리프트(110)는 수납함(101)에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구성되며, 수납함(101)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버스(20)의 화물칸 등에 설치되고, 리프트(110)는 수납함(101)에서 인출된 상태로 지면과 버스(20)의 중문(23) 사이를 선회하며 리프트(110)에 탑승한 휠체어 및 장애인을 버스(20)에 승차할 수 있게 돕거나 지면으로 하차할 수 있게 돕는다.
도 5에 도시된 장애인용 리프트(110)에 있어서, 수평 상태의 리프트(110)의 바닥판(111)의 양측에는 접이식 손잡이(113)가 장착되고, 바닥판(111)의 정면에는 휠체어(1)가 지면과 바닥판(111)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진입발판(115)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장착되며, 바닥판(111)의 배면에는 바닥판(111)과 버스(20)의 내부 바닥 사이를 휠체어(1)가 이동할 수 있도록 진출발판(116)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바닥판(111)은 선회 링크(117)의 일측에 연결되며 선회 링크(117)는 수납함(101)의 안쪽에서 수납함(10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프레임(120)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리프트 진입발판(115)은 휠체어(1)가 원활하게 리프트(110)에 승차할 수 있도록 리프트(110)가 지면에 안착되었을 때에 지면을 향해 펼쳐지도록 작동하고, 리프트(110)가 지면에서 상부로 선회할 때에는 승차한 휠체어(1)가 리프트(110) 밖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직하게 접혀지도록 작동하며 잠금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장애인용 리프트 진입발판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1)가 리프트(110)로 진입하는 방향에 수직으로 접히거나 선회하여 펼쳐지는 진입발판(115)이 장착된다.
진입발판(115)은 리프트(110)의 양측벽(112A, 112B)에 힌지 결합된 상태로, 진입발판(115)의 일측 양단에 고정된 힌지축은 리프트(110)의 양측벽(112A, 112B)을 관통한 상태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보이듯이, 리프트(110)의 일측벽(112A) 외측에는 진입발판(115)의 선회를 잠금하는 잠금부(130)가 장착되고, 리프트(110)의 타측벽(112B) 외측에는 진입발판(115)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수직으로 접히거나 또는 펼쳐지도록 구동시키는 구동부(140)가 장착된다.
잠금부(130)는 진입발판(115)에 고정되며 리프트(110)의 일측벽(112A)을 관통한 힌지축(131)과, 외주면에 잠금홈(133H)이 형성되고 힌지축(131)에 고정되어 진입발판(115)과 함께 회전하는 잠금회전판(133)과, 리프트(110)의 일측벽(112A)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선회하며 잠금회전판(133)의 외주면과 접하여 잠금홈(133H)과 정합하여 진입발판(115)을 잠금하거나 상향으로 선회하여 정합 해제되어 진입발판(115)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레버(135)와, 상기 잠금레버(135)에 고정되어 잠금레버(135)와 함께 선회하며 리프트(110)의 바닥판(111) 아래로 연장되며 단부에 휠(1)이 장착된 선회판(137)을 포함하며, 잠금레버(135)에는 레버손잡이(135L)가 형성되는데, 레버손잡이(135L)는 리프트(110)의 일측벽 상부로 돌출되게 연장되어 작업자가 액추에이터(141)의 고장 등으로 정상적인 작동이 불가능할 경우 레버손잡이(135L)를 수동으로 밀게 됨에 따라 잠금레버(135)가 상향으로 선회하게 되고 잠금레버(135)가 잠금홈(133H)에서 인출되어 정합 해제된다.
그리고 일단은 리프트(1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잠금레버(135)에 고정된 코일스프링(139)은 잠금레버(135)의 단부가 잠금회전판(133)의 잠금홈(133H)에 정합하는 방향으로 잠금레버(135)가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잠금부(130)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110)가 지면을 향해 하향으로 이동하는 중, 리프트(110)의 바닥판(111) 아래로 연장된 선회판(137)의 휠(1)이 리프트(110) 보다 우선하여 지면에 접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리프트(110)가 계속하여 하향으로 선회할 경우 선회판(137)이 상향으로 선회하면서 동시에 잠금레버(135) 또한 상향으로 선회하게 된다. 그러면 잠금레버(135)의 끝단이 잠금회전판(133)의 잠금홈(133H)에서 인출되어 상향으로 선회하게 됨에 따라 진입발판(115)은 잠금해제된 상태가 된다.
한편 잠금해제를 감지하기 위한 제1리미트스위치(151)가 리프트(110)의 일측벽(112A)에 장착되며 잠금레버(135)가 선회하여 잠금홈(133H)에서 이탈하는 시점에 잠금레버(135)가 제1리미트스위치(151)와 접하게 되고, 제1리미트스위치(151)에서 전기적신호를 발생하여 잠금 해제를 입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잠금해제가 되면 제1리미트스위치(151)의 신호에 의해 리프트(110)의 타측벽(112B)에 장착된 구동부(140)가 작동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40)는 일단은 진입발판(115)에 고정되고 타단은 리프트(110)의 타측벽에 고정되며 신축 가능한 액추에이터(141)와, 액추에이터(141)의 신장에 의해 진입발판(115)이 하향으로 선회하여 리프트(110)의 바닥판(111)과 지면을 연결하도록 펼쳐졌을 때를 감지하는 제2리미트스위치(152)와, 액추에이터(141)의 수축에 의해 진입발판(115)이 상향으로 선회하여 수직하게 위치할 때를 감지하는 제3리미트스위치(153)를 포함한다. 또한 액추에이터(141)의 피스톤(141P) 단부는 진입발판(131)에 고정된 회전브래킷(143)에 힌지 결합된다. 직선 이동하는 피스톤(141P)의 단부에 회전브래킷(143)을 연결하고 회전브래킷(143)을 진입발판(131)을 연결함으로써, 피스톤(141P)의 전후진 직선 운동을 진입발판(131)의 선회 운동으로 전환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잠금부(130)의 제1리미트스위치(151)에서 신호가 입력되면 액추에이터(141)의 스트로크가 신장하면서 진입발판(115)은 힌지축(131)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선회하며, 액추에이터(141)의 스트로크가 최대로 신장되었을 때에 이를 감지하는 제2리미트스위치(152)에서 전기적신호가 발생된다. 제2리미트스위치(152)에서 발생한 신호에 의해 액추에이터(141)는 정지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액추에이터(141)가 최대로 신장된 상태의 진입발판(115)은 리프트(110)의 바닥판(111)과 지면을 연결하는 슬로프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지면에 위치한 휠체어(1)가 리프트(110)의 바닥판(111) 상면으로 쉽게 승차하거나 또는 리프트(110)에 위치한 휠체어(1)가 지면으로 쉽게 하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휠체어(1)가 지면에서 리프트(110)로 올라오거나 또는 리프트(110)에서 지면으로 내려간 상태에서 작업자는 리프트(110)의 다음 작동을 위해 신호를 입력하면 그 신호에 의해 액추에이터(141)는 수축하게 된다.
액추에이터(141)가 수축하면 진입발판(115)을 상향으로 선회하여 수직하게 접히게 되고, 이때 제3리미트스위치(153)는 진입발판(115)이 수직하게 접힘을 감지하고 전기적신호를 발생하면 그 신호에 의해 리프트(110)는 상향으로 선회하게 된다.
진입발판(115)이 상향으로 선회하면 잠금부(130)의 잠금회전판(133) 또한 회전하게 되고, 진입발판(115)이 수직하게 접혀진 상태는 잠금회전판(133)의 잠금홈(133H)이 잠금레버(135)와 정합하여 잠금되는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제3리미트스위치(153)에서 신호가 발생하면 리프트(110)가 상향으로 선회하면서 선회판(137)은 하향으로 선회하게 되고, 잠금레버(135) 또한 선회판(137)과 함께 선회하면서 잠금레버(135)의 끝단은 잠금회전판(133)의 잠금홈(133H)에 삽입되어 정합되면서 잠금된다.
이와 같이 잠금레버(135)와 잠금홈(133H)이 기계적으로 잠금되면 액추에이터(141)가 오작동에 의해 신장되더라도 진입발판(115)이 하향을 선회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리프트(110)의 작동 중에는 진입발판(115)이 펼쳐져 휠체어가 추락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진입발판을 펼치거나 접었으나, 리프트가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자동으로 진입발판이 펼쳐지고, 리프트가 상향으로 이동하면서 자동으로 접히면서 잠금되도록 구성하여 작업자에 의해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리프트 진입발판이 작동함에 있어서, 액추에이터(141)의 고장이 발생하여 신축되지 않을 경우 진입발판(115)의 선회는 불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회전브래킷(143)과 진입발판(115)을 연결하는 도 8에 도시된 볼트를 해체하고 회전브래킷(143)을 진입발판(115)과 간섭되지 않게 위치한다. 그러면 진입발판(115)은 액추에이터(141)의 신축과 무관하게 선회 가능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수동으로 레버손잡이(135L)를 밀게 됨에 따라 잠금레버(135)가 상향으로 선회하게 되어 잠금레버(135)가 잠금홈(133H)에서 인출되어 정합 해제된다. 그러면 진입발판(115)은 하향으로 선회하여 펼쳐지게 되고, 반대로 진입발판(115)과 액추에이터(141)를 분리한 상태에서 진입발판(115)을 상향으로 선회시키면 잠금레버(135)가 코일스프링(139)의 탄성력에 의해 선회하면서 잠금홈(133H)에 정합하여 잠금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141)의 작동이 불가능할 경우에도 진입발판(115)을 접거나 펼쳐 휠체어를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1 : 휠체어
101 : 수납함
110 : 리프트
112A, 112B : 측벽
111 : 바닥판
115 : 진입발판
116 : 진출발판
117 : 선회 링크
130 : 잠금부
131 : 힌지축
133 : 잠금회전판
133H : 잠금홈
135 : 잠금레버
135L : 레버손잡이
137 : 선회판
137W : 휠
139 : 코일스프링
140 : 구동부
141 : 액추에이터
151, 152, 153 : 리미트스위치

Claims (9)

  1. 지면에서 버스의 내부로 또는 버스에서 지면으로 휠체어를 이송하는 장애인용 리프트(110)의 진입측에 설치된 진입발판으로서,
    리프트(110)의 바닥판(111)이 지면을 향해 이동함에 있어 지면과 접하면 진입발판(115)의 잠금을 해제하고 리프트(110)의 바닥판(111)이 상향으로 선회하여 이동할 때에는 진입발판(115)을 잠금하는 잠금부(130)와,
    일단은 리프트(110)에 장착되고 타단은 진입발판(115)에 장착되며 리프트(110)에 힌지결합된 진입발판(115)이 외측으로 펼쳐지거나 상향으로 선회하여 접혀지도록 신축 가능한 액추에이터(141)를 구비한 구동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리프트 진입발판.
  2. 제1항에 있어서,
    잠금부(130)는 진입발판(115)에 고정된 힌지축(131)과, 리프트(110)의 측벽을 관통한 힌지축(131)의 단부에 고정되며 둘레에 잠금홈(133H)이 형성된 잠금회전판(133)과, 리프트(110)의 측벽에 힌지 결합되어 잠금홈(133H)에 정합하거나 정합 해제되도록 선회하는 잠금레버(135)와, 잠금레버(135)에서 연장되어 리프트(110)가 지면에 닿기 이전에 지면과 접하여 잠금레버(135)를 정합 해제되는 방향으로 선회시키는 선회판(1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리프트 진입발판.
  3. 제2항에 있어서,
    일단은 리프트(1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잠금레버(135)에 고정되며, 잠금레버(135)가 잠금회전판(133)의 잠금홈(133H)에 정합하는 방향으로 잠금레버(135)를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13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리프트 진입발판.
  4. 제2항에 있어서,
    선회판(137)의 단부에는 지면과 접하는 휠(137W)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리프트 진입발판.
  5. 제2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잠금레버(135)가 선회하여 정합 해제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1센서(15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리프트 진입발판.
  6. 제5항에 있어서,
    제1센서(151)에서 발생한 전기적신호에 의해 액추에이터(141)가 신장하여 진입발판(115)이 지면과 접하도록 하향 선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리프트 진입발판.
  7. 제6항에 있어서,
    진입발판(115)이 지면에 접할 때의 액추에이터(141)의 스트로크를 감지하는 제2센서(152)를 포함하며, 제2센서(152)에서 발생한 전기적신호에 의해 액추에이터(141)의 신장이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리프트 진입발판.
  8. 제7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141)가 수축하여 진입발판(115)이 상향으로 선회하여 접혔을 때의 스트로크를 감지하는 제3센서(153)를 포함하며, 제3센서(153)에서 발생한 전기적신호에 의해 리프트(110)가 상향으로 선회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리프트 진입발판.
  9. 제6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141)의 피스톤(141P) 단부에는 진입발판(115)에 연결된 회전브래킷(143)이 힌지 결합되어 피스톤(141P)의 직선 운동을 진입발판(115)의 선회 운동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리프트 진입발판.
KR1020180105764A 2018-09-05 2018-09-05 장애인용 리프트 진입발판 KR102131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764A KR102131635B1 (ko) 2018-09-05 2018-09-05 장애인용 리프트 진입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764A KR102131635B1 (ko) 2018-09-05 2018-09-05 장애인용 리프트 진입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676A true KR20200027676A (ko) 2020-03-13
KR102131635B1 KR102131635B1 (ko) 2020-07-08

Family

ID=69938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764A KR102131635B1 (ko) 2018-09-05 2018-09-05 장애인용 리프트 진입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6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1326A (ko) * 2020-11-05 2022-05-13 (주)신우 프론티어 휠체어 리프트용 추락방지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27546A1 (en) * 1993-05-26 1994-12-08 Ricon Corporation Vehicle lifts
JP2004097339A (ja) * 2002-09-06 2004-04-02 Autech Japan Inc フラッパー構造
JP3556123B2 (ja) * 1999-05-19 2004-08-18 株式会社ダイフク 車両用昇降装置
JP5077677B2 (ja) * 2008-02-22 2012-11-21 株式会社ダイフク 車両用昇降装置
KR20160037509A (ko) 2014-09-29 2016-04-06 주식회사 오텍 휠체어 리프트를 구비한 장애인용 버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27546A1 (en) * 1993-05-26 1994-12-08 Ricon Corporation Vehicle lifts
JP3556123B2 (ja) * 1999-05-19 2004-08-18 株式会社ダイフク 車両用昇降装置
JP2004097339A (ja) * 2002-09-06 2004-04-02 Autech Japan Inc フラッパー構造
JP5077677B2 (ja) * 2008-02-22 2012-11-21 株式会社ダイフク 車両用昇降装置
KR20160037509A (ko) 2014-09-29 2016-04-06 주식회사 오텍 휠체어 리프트를 구비한 장애인용 버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1326A (ko) * 2020-11-05 2022-05-13 (주)신우 프론티어 휠체어 리프트용 추락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1635B1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0275A (en) Rotary bus lift with power stowable platform
US4420286A (en) Invalid lift apparatus
US6182798B1 (en) Mobile lifting device for the disabled
US7520551B2 (en) Method of loading an ambulance cot into an ambulance
US4759682A (en) Vehicle entrance ramp
AU2003202922B2 (en) Safety belt system for wheelchair lifts
US6203266B1 (en) Power safety barrier for wheelchair lift
US7296960B2 (en) Coupling system for attachment of a seat to allow securing and/or lifting thereof
US7100316B2 (en) Collapsible ironing board
JP2006298282A (ja) 車両用折畳み乗降補助装置
US6729829B2 (en) Wheelchair vehicle access system
KR102131635B1 (ko) 장애인용 리프트 진입발판
KR100814684B1 (ko) 수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KR200485722Y1 (ko)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
KR100969560B1 (ko)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한 철도차량용 휠체어 승하차장치
JP2003339773A (ja) 車両用リフトアップシート
KR100638176B1 (ko) 탑승체 추락방지용 전동식 안전바를 갖는 휠체어 리프트
KR200378545Y1 (ko) 비상시 수동조작이 가능한 전동식 안전보호대를 갖는휠체어 리프트
KR102131636B1 (ko) 장애인용 리프트 진출발판
ES2923389T3 (es) Cabina equipada con un dispositivo de bloqueo y desbloqueo de las puertas e instalación de transporte de pasajeros que comprende al menos tal cabina
KR100788747B1 (ko)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JPS602022Y2 (ja) 身体障害者用自動車のシ−ト引出装置
KR102104278B1 (ko) 노약자 편의성을 갖춘 버스
GB2078176A (en) Wheeled chair or platform
KR200292093Y1 (ko) 전동차용 장애자 승하차 발판 및 안전발판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