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636B1 - 장애인용 리프트 진출발판 - Google Patents

장애인용 리프트 진출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636B1
KR102131636B1 KR1020180105765A KR20180105765A KR102131636B1 KR 102131636 B1 KR102131636 B1 KR 102131636B1 KR 1020180105765 A KR1020180105765 A KR 1020180105765A KR 20180105765 A KR20180105765 A KR 20180105765A KR 102131636 B1 KR102131636 B1 KR 102131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slide bar
bottom plate
bus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7677A (ko
Inventor
강성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텍
Priority to KR1020180105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636B1/ko
Publication of KR20200027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2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lifts connected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4Wheel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버스에 설치되는 휠체어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프트 수납함에서 인출된 리프트가 상향으로 선회하여 버스의 승차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리프트의 바닥판과 버스의 내부 바닥을 연결하여 휠체어 버스에서 리프트로 또는 리프트에서 버스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펼쳐지며 리프트의 이동시에는 리프트에 위치한 휠체어가 추락하지 않도록 수직하게 접혀져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프트의 바닥판에서 버스의 내부로 또는 버스 내부에서 리프트의 바닥판으로 휠체어를 이동할 수 있게 리프트의 진출 측에 힌지 결합되어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된 장애인용 리프트의 진출발판으로서, 리프트와 수납함을 연결하는 선회 링크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수납함에 힌지 결합되며 리프트가 상하방향으로 선회하도록 신축하는 신축부재와, 리프트에 장착되어 리프트가 상하방향으로 선회함에 따라 전후진 이동하면서 진출발판이 세워지도록 선회시키거나 세워진 진출발판과 간섭되어 하향으로 선회하지 않게 차단하는 슬라이드 바와, 리프트와 선회 링크의 각도 차이에 따라 슬라이드 바가 전후진 이동하도록 선회링크와 슬라이드 바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애인용 리프트 진출발판{Disabled lift entry platform}
본 발명은 버스에 설치되는 휠체어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프트 수납함에서 인출된 리프트가 상향으로 선회하여 버스의 승차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리프트의 바닥판과 버스의 내부 바닥을 연결하여 휠체어 버스에서 리프트로 또는 리프트에서 버스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펼쳐지며 리프트의 상하 선회 시에는 휠체어가 추락하지 않도록 수직하게 접혀져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장애인이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기에 어려운 이유는 차량의 내부 바닥과 지면의 높이 차 때문이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저상버스가 개발되어 상용화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저상버스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저상버스에서 슬로프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상버스(10)는 탑승객이 위치하는 차량의 바닥을 낮춰 설계한 버스로서, 저상버스(10)에 장착된 장애인용 슬로프(11)가 지면으로 인출되면 휠체어(1)를 밀어 탑승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장거리를 운행하는 고속버스 등의 경우에는 화물 등을 수납하고 이동하여야 함에 따라 승객이 위치하는 차량의 바닥 하부에 화물칸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화물칸이 설치된 고속버스는 앞서 설명한 저상버스와 같이 바닥을 낮출 수 없어 장애인용 슬로프를 설치할 수 없으며, 설치한다고 하더라도 차량의 내부 바닥과 지면의 높이 차가 크게 발생하여 휠체어를 탑승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장애인용 슬로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장애인용 리프트이다.
도면에서,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장애인용 리프트가 장착된 버스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리프트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리프트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인용 버스(20)는 전방 측면에 일반인이 승하차할 수 있는 출입문(21)이 형성되고, 중간 측면에는 휠체어(1)를 탄 장애인이 승하차할 수 있는 중문(23)이 형성되며, 중문(23)의 아래에 위치한 수납함(25)에는 리프트 도어(30D)가 형성되고, 수납함(25)에는 휠체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리프트(30)가 내장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도어(30D)와 중문(23)을 개방한 후, 리프트(30)를 작동하면 리프트(30)가 버스의 수납함에서 나와 리프트(30)가 지면에 안착된 후 상부로 이동하며, 반대로 상부에 위치한 리프트(30)가 하향으로 이동하여 지면에 안착된 후 장애인용 버스(20)의 수납함(25) 내부로 진입해 들어간다.
한편, 리프트가 상향으로 선회하여 버스 내부의 바닥과 같거나 비숫한 레벨에 위치할 때에 작업자는 진출발판을 펼쳐 진출발판이 버스 내부의 바닥에 안착되도록 한다. 그러면 펼쳐진 진출발판을 통해 리프트에 버스로 또는 버스에서 리프트로 휠체어를 이동시킬 수 있어 리프트를 통해 승차 또는 하차 가능하다.
하지만, 종래의 진출발판은 작업자가 리프트의 위치에 따라 펼치거나 접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리프트가 상향으로 선회하여 위치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진출발판을 펼칠 경우 지면에 위치한 작업자가 진출발판을 펼치기에는 높고, 버스 내부에서 진출발판을 펼치기에는 낮아 버스에서 열린 중문으로 추락할 위험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37509호(공개일; 2016.04.06)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리프트가 버스 내부의 바닥과 비숫한 위치(이하 '고점'이라 함)하였을 때에 진출발판이 기계적 구조에 의해 자동 펼쳐지고 리프트가 하향으로 선회하면 자동으로 접혀지며 더불어 고점 아래에 위치할 경우에는 진출발판이 외부 힘에도 펼쳐지지 않도록 구성한 장애인용 리프트 진출발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프트의 바닥판에서 버스의 내부로 또는 버스 내부에서 리프트의 바닥판으로 휠체어를 이동할 수 있게 리프트의 진출 측에 힌지 결합되어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된 장애인용 리프트의 진출발판으로서, 리프트와 수납함을 연결하는 선회 링크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수납함에 힌지 결합되며 리프트가 상하방향으로 선회하도록 신축하는 신축부재와, 리프트에 장착되어 리프트가 상하방향으로 선회함에 따라 전후진 이동하면서 진출발판이 세워지도록 선회시키거나 세워진 진출발판과 간섭되어 하향으로 선회하지 않게 차단하는 슬라이드 바와, 리프트와 선회 링크의 각도 차이에 따라 슬라이드 바가 전후진 이동하도록 선회링크와 슬라이드 바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는 선회 링크에 일단이 힌지 결합된 링크와, 리프트의 바닥판의 폭 방향으로 바닥판 저면에 위치하며 링크와 힌지 결합되어 링크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가로 바를 포함하며, 가로 바의 길이 중간에 슬라이드 바가 고정되어 진출발판이 위치한 전방으로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프트의 바닥판의 양측벽과 바닥판의 저면에 고정되어 바닥판을 보강하는 보강 프레임에는 가로 바가 관통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공이 형성되며, 가로 바의 양단에 각각 링크가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판의 저면에는 슬라이드 바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선회 링크에는 고정브래킷이 고정되고, 고정브래킷에 링크의 일단이 힌지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진출발판에는 슬라이드 바와 접하는 롤러가 장착되며, 전진하는 슬라이드 바의 선단에 롤러가 접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바에 밀려 진출발판이 상향으로 선회하고, 롤러가 슬라이드 바의 상부에 위치할 경우 슬라이드 바는 진출발판의 하향 선회를 차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프트와 진출발판의 사이에는 진출발판이 하향으로 선회하여 펼쳐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장착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리프트 진출발판은 리프트가 고점에 위치하였을 때에 진출발판이 기구적 구조에 의해 펼쳐지고 고점 아래에서는 접히게 됨에 따라 작업자가 수동으로 진출발판을 펼치거나 접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리프트 진출발판은 고점 아래에 위치할 경우에는 진출발판이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지 않도록 기구적으로 잠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에 따라 리프트에 휠체어가 승차된 상태에서 리프트가 이동하더라도 자칫 휠체어가 굴러 리프트 밖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저상버스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저상버스에서 슬로프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장애인용 리프트가 장착된 버스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리프트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리프트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리프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리프트가 선회함에 따라 진출발판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장애인용 리프트가 고점 아래에 위치할 때의 진출발판의 위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장애인용 리프트가 고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진출발판의 위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리프트 진출발판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리프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리프트가 선회함에 따라 진출발판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장애인용 리프트가 고점 아래에 위치할 때의 진출발판의 위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장애인용 리프트가 고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진출발판의 위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인용 리프트(110)는 수납함(101)에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구성되며, 수납함(101)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버스(20)의 화물칸 등에 설치되고, 리프트(110)는 수납함(101)에서 인출된 상태로 지면과 버스(20)의 중문(23) 사이를 선회하며 리프트(110)에 탑승한 휠체어 및 장애인을 버스(20)에 승차할 수 있게 돕거나 지면으로 하차할 수 있게 돕는다.
도 5에 도시된 장애인용 리프트(110)에 있어서, 리프트(110)의 바닥판(111)의 양측에는 접이식 손잡이(113)가 장착되고, 바닥판(111)의 전단에는 휠체어(1)가 지면과 바닥판(111)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진입발판(115)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장착되며, 바닥판(111)의 후단에는 바닥판(111)과 버스(20)의 내부 바닥 사이를 휠체어(1)가 이동할 수 있도록 진출발판(120)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바닥판(111)은 선회 링크(117)의 일측에 연결되며 선회 링크(117)는 수납함(101)의 안쪽에서 수납함(10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프레임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리프트 진출발판(120)은 휠체어(1)가 원활하게 리프트(110)에서 버스 내부로 또는 버스 내부에서 리프트로 승하차할 수 있도록 리프트(110)가 버스 내부 바닥면과 비숫한 위치(이하 고점이라 함)하였을 때에 버스 내부 안쪽으로 펼쳐지도록 작동하고, 리프트(110)가 고점 아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수직하게 접혀져 휠체어가 리프트 밖으로 추락하지 못하게 고정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110)의 진출 쪽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선회 가능한 진출발판(120)이 펼쳐지는 방향으로 선회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40)과, 리프트(110)의 저면에 장착되어 수납함(101)이 위치한 전방으로 전진함에 따라 펼쳐진 진출발판(120)이 접혀지도록 밀며 진출발판(120)이 접혀진 상태에서 펼쳐지지 않도록 진출발판(120)과 간섭되는 슬라이드 바(160)와, 리프트(110)와 수납함(101)을 연결하는 선회 링크(117)에 연결되어 선회하는 바닥판(111)과 선회 링크(117)의 사이각 차에 의해 슬라이드 바(16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선회 링크(117)와 슬라이드 바(160)를 연결하는 연결부(150)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장애인용 리프트 진출발판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110)와 수납함(101)을 연결하는 선회 링크(117)에는 신축부재인 유압실린더(130)가 신축 가능하게 장착됨에 있어 유압실린더(130)의 일단은 선회 링크(117) 그리고 유압실린더(130)의 타단은 수납함(101)에 결합된다. 따라서 유압실린더(130)의 신축에 의해 선회 링크(117)는 선회하면서 리프트(110)를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시키며, 선회 링크(117)와 리프트(110)의 사이각에 차이가 발생한다.
아래에서는 선회 링크(117)에 연결된 연결부(15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보이듯이, 선회 링크(117)의 길이 중간에는 고정브래킷(151)이 고정되고, 고정브래킷(151)에는 링크(153)의 일단이 힌지 결합된다.
리프트(110)의 바닥판(111)에는 바닥판(111)의 폭방향으로 위치한 가로 바(155)가 위치하고, 가로 바(155)는 링크(153)의 타단에 힌지 결합된다. 여기에서 바닥판(111)을 보강하기 위해 바닥판(111)의 저면 고정된 보강 프레임(116) 그리고 리프트(110)의 양측벽(112)의 하부에는 가로 바(155)가 관통하여 이동 가능한 장공(119)들이 형성된다.
또한 가로 바(155)의 길이 중간에는 전방으로 슬라이드 바(160)가 고정되며, 슬라이드 바(160)는 진출발판(120)이 위치한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진출발판(120)을 밀어 접히는 방향 즉 상향으로 선회시킨다. 이런 상태에서 슬라이드 바(160)가 더 전진하면 슬라이드 바(160)에 간섭되어 진출발판(120)은 하향으로 선회하지 않고 세워진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유압실린더(130)의 신축에 의해 리프트(110)는 상하방향으로 선회 이동하고, 이때 리프트(110)와 선회링크(153)의 각도 차이에 의해 연결부(150)의 구성 중 하나인 고정브래킷(151)에 힌지 결합된 링크(153)는 힌지를 중심으로 선회하게 된다. 링크(153)의 선회에 의해 가로 바(155)는 장공(119)을 따라 전후진 이동하며, 가로 바(155)의 길이 중간에 고정된 슬라이드 바(160)가 전후진하며 진출발판(120)을 선회시킨다.
여기에서 리프트(110)가 상향으로 이동하여 고점에 도달하는 과정에 있어 슬라이드 바(160) 또한 진출발판(120)과 간섭된 상태에서 후진하여 리프트(110)가 고점에 도달하였을 때에 최대로 후진하게 된다. 반대로 리프트(110)가 고점에서 하향 선회하면 슬라이드 바(160)는 최대로 후진한 상태에서 전진하면서 진출발판(120)을 밀어올리고 더 전진하여 진출발판(120)이 하향으로 선회하지 않게 진출발판(120)의 하단과 간섭된다.
한편, 진출발판(120)은 리프트(110)의 양측벽(112)과 힌지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드 바(160)의 전진에 의해 상향으로 선회하여 접히고, 반대로 슬라이드 바(160)의 후진에 의해 하향으로 선회 즉 펼쳐질 수 있게 된다.
진출발판(120)에는 슬라이드 바(160)와 간섭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슬라이드 바(160)와 간섭되는 지점에 고무 롤러(121)를 장착한다. 따라서 후진해 있던 슬라이드 바(160)가 전진하면서 고무 롤러(121)와 접하고, 이 상태에서 슬라이드 바(160)가 더 전진하면 고무 롤러(121)가 가압되면서 진출발판(120)은 상향으로 선회하게 된다. 이때 고무 롤러(121)는 회전하며 전진하는 슬라이드 바(160)의 선단에서 슬라이드 바(160)의 상단에서 벗어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드 바(160)가 더 전진하면 고무 롤러(121)는 슬라이드 바(160)의 상부에 위치하고 진출발판(120)이 하향으로 선회하지 못하게 지지하게 된다.
한편, 진출발판(120)과 리프트(110)의 사이에는 스프링이 위치하여 진출발판(120)이 펼쳐지는 방향 즉 하향으로 선회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스프링은 토션스프링(140)으로 일단은 리프트(110)의 바닥판에 고정되고 타단은 진출발판(120)에 고정되어 선회 가능한 진출발판(12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바닥판(111)의 저면에는 슬라이드 바(160)가 정위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바닥판(111)에는 가이드(157)가 고정되며, 슬라이드 바(160)의 선단에는 반구형태의 고무(161)가 고정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장애인용 리프트 진출발판의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제어에 의해 리프트(110)가 수납함(101)에서 인출되며, 버스에서 휠체어(1)를 하차하기 위해서는 리프트(110)를 상향으로 선회시키고, 반대로 지면에서 휠체어(1)를 리프트(110)에 승차하기 위해서는 하향으로 선회한다.
아래에서는 리프트(110)가 하향 즉 지면에 위치하여 리프트(110)의 바닥판(111)에 휠체어(1)가 올려진 상태에서 고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리프트(110)가 지면에 접한 상태에서는 리프트(110)와 선회링크(153)의 각이 좁아져 가로 바(155)는 장공(119)을 따라 최대로 전진한 상태가 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바(160)가 선회한 진출발판(120)의 하부에 위치하여 진출발판(120)이 펼쳐지지 않게 한다.
이 상태에서 리프트(110)에 휠체어가 승차하고 진입발판(115)을 세워 잠금하면 리프트(110)의 바닥판(111)에 위치한 휠체어는 리프트(110)의 양측벽(112)과 세워진 진출발판(120) 그리고 세워진 진입발판(115)에 의해 자칫 리프트(110)에 오작동이 발생하더라도 리프트(110)의 밖으로 추락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유압실린더(130)의 길이가 신장되면서 선회 링크(117)가 선회하고 이에 따라 리프트(110) 또한 상향으로 선회하게 된다. 이때 선회링크(153)와 리프트(110)의 사이각은 점차 커지게 된다.
선회링크(153)와 리프트(110)의 사이각이 커지면 링크(153)에 연결된 가로 바(155)는 장공(119)을 따라 후진하게 된다. 가로 바(155)의 후진과 더불어 슬라이드 바(160)가 후진하더라도 슬라이드 바(160)의 선단이 진출발판(120)의 고무 롤러(121)와 간섭된 상태에서는 진출발판(120)이 하향으로 선회하지 못하게 되며, 리프트(110)가 고점에 도달하면 슬라이드 바(160)가 최대로 후진하게 된 상태로 고무 롤러(121)에서 완전히 벗어나게 되어 진출발판(120)이 하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된다. 토션스프링(140)의 탄성력은 항상 진출발판(120)이 펼쳐지는 방향으로 제공됨에 따라 슬라이드 바(160)의 선단이 고무 롤러(121)에서 완전히 벗어나면 진출발판(120)은 펼쳐지게 된다.
이때 리프트(110)는 고점에 위치한 상태로 개방된 중문(23)을 통해 노출된 버스(20) 내부의 바닥과 리프트(110)의 사이에 진출발판(120)이 위치하여 휠체어가 진출발판(120)을 통해 이동 가능하게 된다.
한편, 리프트(110)를 고점에서 하향으로 이동할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반대로 슬라이드 바(160)가 전진하면서 진출발판(120)의 고무 롤러(121)를 토션스프링(140)의 탄성력보다 큰 힘으로 밀게 되고 그에 따라 진출발판(120)은 상향으로 선회하여 세워진 상태에서 슬라이드 바(160)와 간섭에 의해 하향으로 선회하지 못하게 선회 차단된다.
1 : 휠체어
101 : 수납함
110 : 리프트
111 : 바닥판
112 : 측벽
115 : 진입발판
117 : 선회 링크
119 : 장공
120 : 진출발판
121 : 고무 롤러
130 : 유압실린더
140 : 토션스프링
150 : 연결부
151 : 고정브래킷
153 : 링크
155 : 가로 바
157 : 가이드
160 : 슬라이드 바
161 : 고무

Claims (7)

  1. 리프트(110)의 바닥판(111)에서 버스의 내부로 또는 버스 내부에서 리프트(110)의 바닥판(111)으로 휠체어(1)를 이동할 수 있게 리프트(110)의 진출 측에 힌지 결합되어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된 장애인용 리프트의 진출발판으로서,
    리프트(110)와 수납함(101)을 연결하는 선회 링크(117)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수납함(101)에 힌지 결합되며 리프트(110)가 상하방향으로 선회하도록 신축하는 신축부재와,
    리프트(110)에 장착되어 리프트(110)가 상하방향으로 선회함에 따라 전후진 이동하면서 진출발판(120)이 세워지도록 선회시키거나 세워진 진출발판(120)과 간섭되어 하향으로 선회하는 것을 차단하는 슬라이드 바(160)와,
    리프트(110)와 선회 링크(117)의 각도 차에 따라 슬라이드 바(160)가 전후진 이동하도록 선회 링크(117)와 슬라이드 바(160)를 연결하는 연결부(150)를 포함하며,
    연결부(150)는,
    선회 링크(117)에 일단이 힌지 결합된 링크(153)와, 리프트(110)의 바닥판(111)의 폭 방향으로 바닥판(111)의 저면에 위치하며 링크(153)와 힌지 결합되어 링크(153)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가로 바(155)를 포함하며,
    가로 바(155)의 길이 중간에 슬라이드 바(160)가 고정되어 진출발판(120)이 위치한 전방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리프트 진출발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리프트(110)의 바닥판(111)의 양측벽(112)과 바닥판(111)의 저면에 고정되어 바닥판(111)을 보강하는 보강 프레임(116)에는 가로 바(155)가 관통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공(119)이 형성되며, 가로 바(155)의 양단에 각각 링크(153)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리프트 진출발판.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바닥판(111)의 저면에는 슬라이드 바(16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157)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리프트 진출발판.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선회 링크(117)에는 고정브래킷(151)이 고정되고, 고정브래킷(151)에 링크(153)의 일단이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리프트 진출발판.
  6. 제1항에 있어서,
    진출발판(120)에는 슬라이드 바(160)와 접하는 롤러(121)가 장착되며, 전진하는 슬라이드 바(160)의 선단에 롤러(121)가 접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바(160)에 밀려 진출발판(120)이 상향으로 선회하고, 롤러(121)가 슬라이드 바(160)의 상부에 위치할 경우 슬라이드 바(160)는 진출발판(120)의 하향 선회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리프트 진출발판.
  7. 제6항에 있어서,
    리프트(110)와 진출발판(120)의 사이에는 진출발판(120)이 하향으로 선회하여 펼쳐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40)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리프트 진출발판.
KR1020180105765A 2018-09-05 2018-09-05 장애인용 리프트 진출발판 KR102131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765A KR102131636B1 (ko) 2018-09-05 2018-09-05 장애인용 리프트 진출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765A KR102131636B1 (ko) 2018-09-05 2018-09-05 장애인용 리프트 진출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677A KR20200027677A (ko) 2020-03-13
KR102131636B1 true KR102131636B1 (ko) 2020-07-08

Family

ID=69938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765A KR102131636B1 (ko) 2018-09-05 2018-09-05 장애인용 리프트 진출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6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27546A1 (en) * 1993-05-26 1994-12-08 Ricon Corporation Vehicle lifts
WO2004074041A2 (en) * 2003-02-19 2004-09-02 Lift-U, Division Of Hogan Mfg., Inc. Wheelchair lift assembly having a compact stowed profi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7509A (ko) 2014-09-29 2016-04-06 주식회사 오텍 휠체어 리프트를 구비한 장애인용 버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27546A1 (en) * 1993-05-26 1994-12-08 Ricon Corporation Vehicle lifts
WO2004074041A2 (en) * 2003-02-19 2004-09-02 Lift-U, Division Of Hogan Mfg., Inc. Wheelchair lift assembly having a compact stowed prof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677A (ko) 2020-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76808B1 (en) Door and ramp evacuation unit for passenger transport vehicles
JP4703553B2 (ja) 重ね式プラットフォームを有する車椅子アクセス装置
US4058228A (en) Passenger vehicle access stair and elevator apparatus
US4081091A (en) Wheelchair lift
US5316432A (en) Wheelchair lifts with automatic barrier
US6379102B1 (en) Wheelchair lift with foldable platform
US6558106B2 (en) Foldaway lifting device for disabled people in wheelchairs and children's pushchairs
US5160236A (en) Retractable van side door ramp
US20070183880A1 (en) Slidably collapsible two arm wheel chair lift
US5224723A (en) Vehicle step and platform apparatus
EP2168544A2 (en) Lifts
US3083784A (en) Movable stair assembly
US20230391171A1 (en) Vehicle with a platform unit on a bodywork opening
CA1119131A (en) Wheelchair lift
KR102131636B1 (ko) 장애인용 리프트 진출발판
US20040028513A1 (en) Single arm wheelchair lift
US4124100A (en) Locking arrangement for wheelchair lift device
JP5161719B2 (ja) 車両用昇降装置
KR102131635B1 (ko) 장애인용 리프트 진입발판
GB2140749A (en) Wheelchair elevator for passenger vehicles
JP2005319886A (ja) 鉄道車両用の車椅子スロープ装置
CN109969424B (zh) 行动不便旅客用登机车
JP4128320B2 (ja) 車椅子昇降装置
JP3137172U (ja) 昇降装置
KR101144942B1 (ko) 철도차량의 비상도어용 핸드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