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840A -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건조 블록 - Google Patents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건조 블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25840A KR20200025840A KR1020180103776A KR20180103776A KR20200025840A KR 20200025840 A KR20200025840 A KR 20200025840A KR 1020180103776 A KR1020180103776 A KR 1020180103776A KR 20180103776 A KR20180103776 A KR 20180103776A KR 20200025840 A KR20200025840 A KR 202000258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mgyetang
- weight
- mold
- chicken
- dry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9
- 241000287828 Gallus gall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5000005035 ginseng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06010033546 Pallor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303 weig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9
- 240000004678 Panax pseudoginseng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29920001914 Ribonucleot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QXNVGIXVLWOKEQ-UHFFFAOYSA-N disodium Chemical compound [Na][Na] QXNVGIXVLWOKEQ-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2336 ribonucleot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06010034203 Pectus carinatum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05254 Allium ampelopras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0000006108 Allium ampelopras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1353 Dextr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4375 Dextr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9425 dextri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6002 Pepp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6761 Piper adunc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7804 Piper guineens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0000000129 Piper nigr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1592 potato starch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40069445 LICORICE EXTRACT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08050004114 Monellin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0000001016 Solanum tuberos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02595 Solanum tuberos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claims description 3
- UEDUENGHJMELGK-HYDKPPNVSA-N Steviosid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12C(=C)C[C@@]3(C1)CC[C@@H]1[C@@](C)(CCC[C@]1([C@@H]3CC2)C)C(=O)O[C@H]1[C@@H]([C@@H](O)[C@H](O)[C@@H](CO)O1)O)[C@@H]1O[C@H](CO)[C@@H](O)[C@H](O)[C@H]1O UEDUENGHJMELGK-HYDKPPNV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UEDUENGHJMELGK-VESORUSYSA-N Stevioside Natural products O=C(O[C@H]1[C@H](O)[C@H](O)[C@H](O)[C@@H](CO)O1)[C@@]1(C)[C@@H]2[C@](C)([C@H]3[C@@]4(CC(=C)[C@@](O[C@H]5[C@H](O[C@H]6[C@H](O)[C@@H](O)[C@H](O)[C@@H](CO)O6)[C@@H](O)[C@H](O)[C@@H](CO)O5)(C4)CC3)CC2)CCC1 UEDUENGHJMELGK-VESORUS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40013618 steviosid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9202 steviosid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872 degassing Methods 0.000 claims 1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41000208340 Araliaceae Species 0.000 abstract 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3925 f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8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8
- 241001247821 Ziziphus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953 sensor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4036 Castan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1001070941 Castane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OYHQOLUKZRVURQ-IXWMQOLASA-N Linole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OYHQOLUKZRVURQ-IXWMQOLASA-N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21122 unsaturated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150000004670 unsaturated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988 Bone and Bones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528 appetit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789 appet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HVYWMOMLDIMFJA-DPAQBDIFSA-N (3β)-Cholest-5-en-3-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03210 Arteri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166 Bambusa arundin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3917 Bambusa tuld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491 Bambusa tul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102000008186 Collage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35532 Collage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936 Intestine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8000001132 Osteopo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4371 Panax ginseng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334 Phyllostachys virid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25 bamb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5188 collagen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436 collage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410 fast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238 hear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778 linole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519 tissue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502 An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694 Atroph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1198 Basidiomyco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481 Brea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40107161 Choleste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613 Citrullus lan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828 Citrullus lanatus var citroid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149724 Cololabis adoce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6275 Fea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989 Glutam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876 Haliotis corrug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WHUUTDBJXJRKMK-VKHMYHEASA-N L-glutam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N)CCC(O)=O WHUUTDBJXJRKMK-VKHMYHEA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40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40116542 OTHER NUTRIENTS in ATC Drugs 0.000 description 1
- 241000269821 Scombr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587 Skeletal Muscle Fiber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356 Skelet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132 Stevia rebaud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890 S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8828 Underweigh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329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014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1320 ather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67 b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77 caloric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24 ca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27 cell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0 chicken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9 diges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776 essential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7 essential amino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626 essential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438 eyes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55 form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08 freeze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922 glutam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20 glutam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65 homogen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03 hus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37 immune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0 impreg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48 incor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2 lacqu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08 liv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8 loa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213 low-f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40 mackere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86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58 neurotransmitter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149 nood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29 palatabil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081 physical 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24 preserv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203 pre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KYQCOXFCLRTKLS-UHFFFAOYSA-N pyrazine Chemical compound C1=CN=CC=N1 KYQCOXFCLRTKL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2 seaso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68 sexu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59 skin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99 spi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20 subcutane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77 vacuum freeze-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584 weight ga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86 weight ga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90 white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50—Poultry products, e.g. poultry sausag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10—Soup concentrates, e.g. powders or cak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12—Starch; Modified starch; Starch derivatives, e.g. esters or ether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Abstract
본 발명은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건조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1) 부형제, 소스, 분말류 및 기타 재료로 구성된 재료를 전처리하는 단계; 2) 상기 재료를 계량하고 블랜칭한 후 냉각시키는 단계; 3) 상기 냉각된 재료를 균질하게 혼합하고 브릭스를 검사하는 단계; 4) 상기 재료를 몰드에 투입하고 트레이 준비와 상기 몰드를 트레이에 거치시키는 단계; 5) 상기 몰드를 급속 동결시키는 단계; 6) 기 동결된 몰드를 건조시키는 단계; 및 7) 상기 건조된 몰드를 탈판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건조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삼계탕용 건조 블록은 수분 첨가 복원시 다공성으로 인하여 삼계탕의 각 재료가 물을 빠르게 흡수하여 신속히 복원되면서 삼계탕 본연의 맛과 식감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결건조한 삼계탕용 건조 블록에 수분을 첨가하여 복원시 신속히 복원되면서 원래의 삼계탕 식감을 재현할 수 있는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건조 블록에 관한 것이다.
닭고기는 싫어하는 사람이 거의 없을 정도로 인기가 많은 식품으로 맛도 좋고 단백질이 매우 풍부하며 지방과 칼로리가 낮고 불포화지방산 함유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특히 부위별로 영양성분이 달라 필요한 부위를 골라 섭취하기도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예전부터 전통적으로 삼계탕으로 섭취하여 왔으며, 삼계탕에 첨가되는 여러 가지 약재와 양념들의 성분으로 더욱 우리 몸에 좋은 성분을 섭취하는 보양식으로 자리 잡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닭고기의 영양성분과 그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방이 낮은 식품으로 지방은 에너지 저장 및 식욕을 만족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반면 다른 영양소에 비해 열량이 높은 편이다. 닭고기의 지방은 부드러우면서도 꺼껄꺼끌한 닭고기의 껍질부분(피하)에 몰려 있어 같이 요리하기도 하지만 지방을 꺼리는 사람은 껍질을 떼어내면 기름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닭고기의 부위중 가슴살은 지방분이 1.2%로 매우 적고 담백해서 체중을 조절하면서도 체력을 유지할 수 있어 다이어트 하는 사람에게 적극 권장할 식품이다.
칼로리가 낮은 식품으로 타육류에 비해 칼로리가 낮아 체중증가를 우려하는 중년층이나 조절을 하는 사람, 회복기 환자, 신체활동량이 적은 사무직 근로자에게 적합한 식품이다. 값이 싸고 경제적인 닭고기는 100g당 126kcal의 열량을 낸다. 타 육류와 비교해 볼 때 같은 비용으로 닭고기는 단백질과 아미노산이 가장 많다. 같은 값으로 닭고기를 섭취하는 것은 그만큼 열량섭취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은 식품으로 필수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은 피부 건강 유지에 꼭 필요한 영양성분으로 닭고기의 가슴살과 다리살에 16%이상 함유되어 있어 육류 중 가장 높다. 닭고기의 지방에는 동맥경화, 심장병 등의 예방효과를 가지는 리놀레산이 함유되어 있어 콜레스테롤 치수를 떨어뜨리며 어린이나 노인을 위한 음식이나 환자식에도 적합하다.
또한, 닭고기의 효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피부미용과 골다공증에 효과가 우수하다. 즉 닭고기의 부위중 날개는 피부미용과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날개에 콜라겐 성분이 들어 있어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고운 피부를 원하는 젊은 여성들에게 특히 좋다. 콜라겐은 일상적인 식사만으로는 충분한 섭취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자외선과 노화 등에 의해 자연적으로 소실이 되어 미용과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섭취가 꼭 필요해 콜라겐이 많이 들어있는 닭고기 날개육을 먹는 것이 좋다.
단백질이 많아 두뇌활동을 촉진시켜 준다. 즉 닭고기는 단백질이 많은 육류로 두뇌성장을 돕는 역할은 물론 몸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뼈대의 역할, 세포조직의 생성, 각종 질병을 예방해 준다. 또한 필수아미노산이 풍부한 닭고기는 뇌신경 전달물질의 활동을 촉진시키며 스트레스를 이겨내도록 도와준다.
산후 회복 식으로 훌륭한 영양식이다. 즉 임산부에게는 단백질과 질 좋은 지방을 많이 필요로 한다. 닭고기는 다른 육류에 비해 단백질이 높고 소화가 잘돼 많은 영양을 필요로 하는 임산부에게 훌륭한 영양식이다. 닭을 푹고아서 미역과 함께 끊이게 되면 산후 회복식으로 좋다.
우리 몸의 간장을 보호해 준다. 즉 간 기능의 이상으로 근육이 위축되거나 피로해지고 시력이 떨어지면 눈병이 잘 생긴다. 이에 한방에서는 닭간을 섭취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암세포의 증식을 막는 항암작용이 있다. 즉 닭고기에는 불포화지방산과 리놀에산이 함유되어 있어, 암 발생을 억제해주는 것은 물론 동맥경화, 심장병 등의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미국암연구협회(AICR)와 세계암연구재단(WCRF)은 암 예방 식생활에서 닭고기를 비롯한 백색육을 섭취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소화흡수가 잘된다. 즉 닭고기는 섬유질이 가늘고 연하며 지방이 근육섬유 속에 들어있지 않아 소화흡수가 잘된다. 어린이나 노인을 위한 음식, 회복기 환자는 물론 날씬해지고 싶은 여성에게 좋다.
감기치료에 좋다. 즉 닭 뼈를 진한국물로 우려내어 만든 치킨스프(Chicken soup)는 몸살감기 치료에 특효이다. 서양에서는 감기가 걸렸을 때 민간요법으로 할머니가 끊여주는 치킨스프를 먹는다. 또한 고급양식당이나 호텔에서 내놓고 있는 치킨 스톡(Chicken stock)도 닭살을 발라낸 닭 뼈들로 만든 치킨스프이다.
상기와 같은 영양성분과 그 특징 및 효능을 더욱더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조리하는 통상적인 삼계탕(蔘鷄湯, 문화어: 닭곰탕)은 한국 요리 중 하나서로 닭 한 마리를 통째로 인삼, 대추, 생강, 마늘 등의 재료와 함께 고아 만드는 보양식으로 그 조리법은 내장을 꺼낸 닭의 뱃속에 깨끗한 헝겊으로 싼 찹쌀ㆍ마늘ㆍ대추 등을 넣고, 물을 넉넉히 부은 냄비나 솥에 푹 삶아 고기가 충분히 익었을 때 건져낸다. 인삼을 헝겊에 싸서 국에 넣고 푹 고아 인삼의 성분이 우러나게 하여 소금으로 간을 맞추어 국물만을 마시거나, 국물에 양념한 고기를 넣어 먹기도 한다. 그러나 인삼을 찹쌀 등과 함께 섞어서 닭 속에 넣어 고면 닭 뼈에 인삼의 영양분이 스며들어 인삼의 영양분이 감소된다. 인삼 이외에도 옻나무, 엄나무, 전복 등을 넣어 먹기도 하며,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삼복(초복, 중복, 말복)날에 먹는다. 삼계탕은 여름철의 대표적인 보양음식이다. 한편, 삼계탕은 계삼탕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병아리보다 조금 큰 닭을 이용한 것은 영계백숙이라고 하며, 닭 한 마리를 넣지 않고 반 토막을 내어 넣은 것을 반계탕이라고 한다.
이러한 삼계탕은 가장 대중적인 보양식으로 양질의 단백질이 풍부하고, 육질은 가늘고 연하며 글루탐산이 많아서 맛이 담백하고 소화가 잘되고, 또 닭 날개 부위에 풍부한 뮤신은 성장을 촉진하고 성기능과 운동기능을 증진시키며 단백질의 흡수력을 높인다.
더욱이 삼계탕의 주된 재료 가운데 하나인 인삼은 원기를 보강하고 체내 효소를 활성화시켜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면역기능을 보강하며, 밤과 대추는 위를 보하고 각 재료의 효능을 복합적으로 상승시키면서 빈혈을 예방하기도 한다.
이러한 삼계탕을 먹었을 때 특별히 더 효과를 볼 수 있는 체질로는, 여름철에 땀을 많이 흘리고, 쉽게 피로하면서 식욕이 떨어지거나 소화가 잘되지 않는 사람에게 좋다.
이러한 삼계탕은 맛이 자극적이지 않아 외국인의 입맛에도 잘 맞기 때문에 한국을 찾는 외국인들이 선호하는 한국 요리 중 하나로 꼽고 있다. 한국의 몇몇 식품 회사들이 동남아시아에 삼계탕 전문점을 운영하기도 하고, 2014년 8월 초 부터는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삼계탕을 미국으로 수출할 계획을 밝히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에는 예로부터 삼복더위라 하여 무더운 한 여름철에 건강을 지키기 위해 특별한 날을 정하여 보신효과가 뛰어난 음식을 먹는 풍습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보통 이때 먹는 음식으로는 보신탕, 수박, 삼계탕이 있는데, 이중 삼계탕은 닭에 마늘, 인삼(수삼), 대추 등을 넣고 끓여내는 탕으로 여름이 되어 식욕이 떨어지고 만성피로 등 이른바 여름을 타는 증세가 나타나 땀을 많이 흘려 기운이 빠지고 입맛을 잃기 쉬울 때 먹으면 보신효과가 매우 좋은 전통 음식이다.
통상의 삼계탕은 닭고기를 주재료로 하고, 찹쌀과 대추, 인삼, 밤, 마늘 등의 부재료 및 소금 등의 양념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대한민국 대표 영양식품으로 삼계탕의 제조법은 각각의 가정과 음식점 또는 전문요리사들에 따라 부재료와 세부조리법이 다르며 오랜 경험을 통해 부단히 개선되어 왔다.
그러나, 일반 가정이나 음식업소에서 삼계탕을 조리하여 먹기에는 조리하는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기 때문에 최근의 수요자는 즉석에서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패스트푸드를 선호하고 있다.
현재 시장에 유통되는 냉동삼계탕과 레토르트 삼계탕은 대추, 밤 등을 이용하여 만든 제품으로 초복, 중복, 말복 등과 같은 계절적인 요인으로 소비자에게 보양식으로 호황을 누리고 있지만, 이를 구입하여 해동시켜 가열할 경우 지방이 완벽하게 제거되지 않고, 장시간 고압살균에 의하여 제품의 육질에 탄력이 없어져 식감이 저하되고 육수의 제조시 투입되는 닭의 부산물로 인하여 특유의 이미나 이취가 발생되는 등과 같은 품질상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삼계탕의 제조와 관한 종래기술로는 인삼과 양념을 넣은 삼계에 여러 가지의 한약재를 혼합하여 열탕시키는 보양 삼계탕의 제조방법(한국공개특허 제 2000-54171호), 닭의 잔뼈를 제거한 즉석 삼계탕(한국공개특허 제 1998-8058호), 담자균 배양 찹쌀을 이용한 삼계탕(한국공개특허 제 1999-24211호), 야자삼계탕의 제조방법(한국공개특허 제 2000-28100호) 및 왕겨죽염과 대나무를 이용한 대나무통 삼계탕(한국공개특허 제 2000-63479호) 등이 있으나, 이들 종래기술들은 본 발명과 그 기술적 구성을 달리하고 있다. 또한, 즉석취식용 삼계탕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한국공개특허 제 1996-9904호), 상기한 바와 같은 지방제거 문제, 장시간의 고압살균으로 인한 식감의 저하문제 및 닭의 부산물로 인한 특유의 이미나 이취발생 문제를 지니고 있다.
또는 공장에서 통조림 캔으로 삼계탕을 제조하여 대량으로 공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의 삼계탕은 내용물과 함께 통조림 캔에 넣어 밀봉시킨 후 익힘으로서 닭에서 나오는 기름과 찌꺼기가 배출되지 못하고 뒤범벅이 된다. 이와 같이 제조방법은 통상의 통조림(예를 들어, 꽁치 통조림, 고등어 통조림 등) 제조방법과 동일한 것이어서 통조림과 같은 유사한 맛을 내는 바, 이는 솥 등과 같은 용기에 서 직접 끓여 익히는 고유의 삼계탕 맛을 낼 수가 없는 중대한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상기와 같이 번거롭고 어려운 조리가 어려운 현대에서는 주재료인 닭고기를 소금물로 세척하고 난 다음 배를 갈라 내장을 제거시키고 그 속에 대추, 인삼, 밤, 마늘 등의 부재료 및 소정 량의 소금 등의 양념을 넣은 후 소정량의 물과 함께 통조림 캔에 담아 가열을 하여 익히고 동시에 멸균과정을 거쳐 통조림 캔용 삼계탕의 제품을 출시하여 수출이 용이하도록 하거나 소비자가 구입 후 통조림 캔을 개봉한 후 데워서 보양식으로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정도의 상태로 영양 상태나 맛에 있어서 가정이나 전문점에서 만들어내는 삼계탕의 본연의 맛과 풍미를 느끼기 힘들기 때문에 자기 취향에 맞게 양념을 다시하거나 필요한 영양성분을 추가하여 다시 끓이는 등 신속하게 섭취할 수 없어 추가요리와 요리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불편함을 동반함은 물론 수출품과 같이 오랫동안 보관하거나 이동하도록 하는 관정에서 내용물이 주변의 환경변화에 변질되어 장기간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장기간 보관하고 영양가가 높으면서도 삼계탕의 본연의 맛을 보존하고 보다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던 중, 삼계탕의 재료 등을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고 균질하게 혼합하고, 이를 동결건조시킨 삼계탕용 건조 블록을 제조하였고, 상기 건조 블록에 통상의 컵라면과 같이 뜨거운 물을 붓고 3~4분 경과 후 이를 섭취한 결과 삼계탕 본연의 맛과 영양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 블록에 물을 부으면 잘 풀릴 뿐 아니라, 느끼한 맛이 적고 구수한 풍미가 있어 한국인들의 입맛에 잘 맞는 인스턴트 삼계탕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삼계탕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삼계탕을 건조하는 가공과정에서 삼계탕이 다공성을 가지면서 조직이 파괴되지 않도록 하여, 수분 첨가 복원시 건조 전의 원물 상태로 신속히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장기보관용 삼계탕의 동결건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부형제, 소스, 분말류 및 기타 재료로 구성된 재료를 입고와 검사, 세척, 절단 및 선별의 재료를 전처리하는 제1 단계; 2) 상기 제1 단계 후, 상기 재료를 계량하고 블랜칭한 후 냉각시키는 제2 단계; 3) 제2 단계 후, 상기 냉각된 재료를 균질하게 혼합하고 브릭스를 검사하는 제3 단계; 4) 제3 단계 후, 상기 재료를 몰드에 투입하고 트레이 준비와 상기 몰드를 트레이에 거치시키는 제4 단계; 5) 제4 단계 후, 상기 몰드를 급속 동결시키는 제5 단계; 6) 제5 단계 후, 상기 동결된 몰드를 건조시키는 제6 단계; 및 7) 상기 제6 단계 후, 상기 건조된 몰드를 탈판하여 포장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는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삼계탕용 건조 블록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형제는 덱스트린, 소스는 치킨엑기스, 정제염, 5`-리보뉴클레오티드이나트륨 및 후추, 분말류는 쌀가루 및 감자전분, 기타 재료는 닭가슴살, 대파 및 인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재료는 덱스트린 11.11 중량%, 치킨엑기스 20.64 중량%, 정제염 0.95 중량%, 5`-리보뉴클레오티드이나트륨 0.79중량%, 후추 0.16 중량%, 쌀가루 4.45 중량%, 감자전분 1.59 중량%, 닭가슴살 44.44 중량%, 대파 11.11 중량% 및 인삼 4.76 중량%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5`-리보뉴클레오티드이나트륨 대신에 감자 추출물(피로즐친), 감초 추출물(glycyrrhetenic acid), 스테비아 추출물(stevioside) 및 타강카 추출물(monellin)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소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4 단계에 사용되는 몰드는 가로, 세로 4~8 cm, 높이는 0.5~2 cm 규격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5 단계의 급속동결은 -20℃ 이하에서 12시간 이상 수행되고, 제6 단계의 건조는 진공도 0.3-1.0, 건조시간 20-36시간, 초기온도 30℃-85℃에서 수행되어 함수율 8% 이하가 되도록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7 단계의 탈판은 흡습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시간에 탈판하여 HD 비닐로 포장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상기 제7 단계는 탈판 이외에 추가적으로 사이즈 선별, 개별포장, 포장검사, 금속검출 및 최종 포장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삼계탕용 건조 블록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삼계탕용 건조 블록은 수분 첨가 복원시 다공성으로 인하여 삼계탕의 각 재료가 물을 빠르게 흡수하여 신속히 복원되면서 삼계탕 본연의 맛과 식감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제조방법은 삼계의 식감이 향상되고 삼계탕 특유의 이미나 이취를 제거하여 소비자가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즉석냉동 삼계탕을 제공함으로써, 즉석에서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패스트푸드를 선호하고 있는 현대인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국민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중 재료의 전처리 단계(제 1단계)로서, (a) 재료 입고와 3단 세척, (b) 절단, (c) 선별 단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중 재료 계량/블랜칭 및 냉각 단계(제 2단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중 부형제와 재료의 혼합 및 브릭스 검사 단계(제 3단계)로서, 상단으로부터 부형제 용해, 소스와 분말류 투입, 기타 재료 투입, 균질화될 때까지 혼합/교반, 브릭스 검사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중 몰드 투입 및 트레이 거치 단계(제 4단계)로서, (a) 몰드 투입, (b) 트레이 준비, (c) 트레이 거치 단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중 급속 동결 단계(제 5단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중 건조 단계(제 6단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중 포장 단계(제 4단계)로서, (a) 탈판, (b) 사이즈 선별, (c) 개별포장, (d) 포장 검사, (e) 금속 검출 단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중 재료 계량/블랜칭 및 냉각 단계(제 2단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중 부형제와 재료의 혼합 및 브릭스 검사 단계(제 3단계)로서, 상단으로부터 부형제 용해, 소스와 분말류 투입, 기타 재료 투입, 균질화될 때까지 혼합/교반, 브릭스 검사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중 몰드 투입 및 트레이 거치 단계(제 4단계)로서, (a) 몰드 투입, (b) 트레이 준비, (c) 트레이 거치 단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중 급속 동결 단계(제 5단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중 건조 단계(제 6단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중 포장 단계(제 4단계)로서, (a) 탈판, (b) 사이즈 선별, (c) 개별포장, (d) 포장 검사, (e) 금속 검출 단계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각 단계별로 설명한다.
제 1 단계: 재료 전처리 단계
제 1단계는 재료 전처리실에서 이루어진다.
재료의 전처리는 첫째, 재료를 입고하여 검사한다. 예를 들면, 야채의 비가식부위가 제대로 절단되었는지 여부, 재료에 노엽이나 흙 등이 혼입되었는지 여부 등을 검사한다. 또한, 이때 재료의 외관, 맛과 함께 이물질 등이 혼입되었는지를 확인 검사한다. 예를 들면, 재료의 원산지와 유통 기한을 확인하고, 야채의 신선도와 이물질이 혼입되었는지를 검사한다.
둘째, 이물질 혼입을 철저히 예방 및 관리하기 위하여, 입고된 야채 등을 3단 세척한다. 예를 들면, 세척 수조의 세척상태와 이물질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야채 세척의 횟수를 철저히 준수하였는지를 확인한다.
셋째, 재료를 적절한 크기로 절단한다. 예를 들면, 닭가슴살은 10 × 10 mm의 절단규격에 따라 절단하고, 대파는 5 mm 크기로 절단하며, 인삼은 3~5 mm 크기로 절단한다.
넷째, 야채와 재료를 선별한다. 이때도 이물질의 여부와 규격에 따른 절단 등으로 선별한다.
제 2 단계: 재료 계량/블랜칭 및 냉각 단계
2 단계부터 제조 가공실에서 재료를 처리한다.
계량된 재료를 순서대로 뜨거운 물에서 개별 블랜칭시킨다. 블랜칭은 다양한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야채 등은 껍질을 벗기기 위해, 미리조리하기 위하여, 냉동하기 위하여, 좋지 않은 향미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재료 계량을 위해 저울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하고, 블랜칭을 하기 위해 블랜칭 온도와 시간을 준수하여야 한다. 블랜칭 시간은 재료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는데, 통상 30초-5분 동안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닭가슴살은 90℃에서 4분, 대파는 90℃에서 30초, 인삼은 90℃ 1분 블랜칭된다.
블랜칭 완료 후 냉침 수조에서 재료를 냉각시킨다. 이때 냉각수 온도와 위생을 확인하며, 냉침조는 2시간 사용후 1회 교체한다. 냉각 기준은 계절별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절기에는 품온 25℃ 이하로, 동절기에는 품온 20℃ 이하로 냉각시킨다.
제 3 단계: 부형제와 재료의 혼합 및 브릭스 검사 단계
3단계도 제조 가공실에서 재료를 처리한다.
첫째, 부형제를 용해시킨다. 구체적으로, 덱스트린 100중량부를 정제수 300~350중량부에 용해시킨다. 이때, 분말 덩어리가 유무를 확인하여 이를 완전히 용해시킨다.
둘째, 부형제를 용해시킨 후, 재료를 투입한다. 상기 재료는 소스 및 분말류를 먼저 투입한 후, 기타재료를 투입한다. 이때 배합비와 일치하도록 정량투입을 준수해야 한다.
셋째, 투입한 재료가 균질화 될때까지 교반함으로써 균질하게 혼합되도록 한다. 이때 교반시간은 대략 15분을 준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상기 혼합된 재료의 브릭스(brix)를 측정한다. 각 제품별 brix를 확인하고, brix는 배합수로 조절할 수 있다. 전체 혼합된 재료의 브릭스는 대략 23~24 brix가 바람직하다.
제 4 단계: 몰드 투입 및 트레이 거치 단계
4단계도 제조 가공실에서 재료를 처리한다.
첫째, 몰드에 투입한다. 이때, 몰드 크기를 확인하고, 트레이(tray)별 몰드개수를 확인한다. 트레이 하나당 팬입량(kg)을 확인한다. 트레이는 세척 후 건조하여 준비하고, 상기 혼합물이 투입된 몰드를 트레이에 거치시킨다.
상기 몰드를 사용함으로써 하기 동결시 건조된 블록은 몰드 이내로 한정된다. 상기 몰드는 가로 세로 4~8 cm, 높이는 0.5~2 cm 정도가 바람직하다.
제 5 단계: 급속 동결 단계
5단계는 급속 동결실에서 재료를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30℃의 동결실에서 12시간 이상 급속동결시킨다.
제 6 단계: 건조 단계
6단계는 건조실에서 재료를 처리한다. 건조 조건은 진공동결건조실에서 제품의 특성에 따라 온도조건, 건조시간 설정을 달리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건조기의 상태를 수시로 확인하면서, 진공도는 0.3-1.0, 건조시간은 20-36시간, 온도조건은 초기 30℃-85℃이다. 바람직하게는, 진공도 0.8 Torr, 열판온도 50℃의 조건에서 24시간 건조하여 함수율 8%의 삼계탕 블럭을 제조한다.
제 7 단계: 포장 단계
7단계 이하는 포장실에서 재료를 처리한다.
상기 포장은 탈판, 사이즈 선별, 개별포장, 포장검사, 금속검출, 최종 포장 단계로 구성된다.
첫째, 탈판은 흡습이 되지 않도록 단시간에 탈판하여 하이덴비닐로 포장하여 밀봉한다.
둘째, 사이즈 선별은 중량 미달, 성형불량, 미건조 블록을 선별한 후, 형태 불량품과 함께 완제품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용해하여 이물검사를 실시한다. 이때, 미생물의 2차 오염 방지를 위하여 작업자의 손과 도구를 철저히 소독한다. 포장하기 전에 포장기에 걸릴 우려가 있는 돌출 부분을 제거한다.
셋째, 개별포장은 포장기를 이용하여 개별로 3방 Box 포장한다
넷째, 포장검사는 실링불량, 공포 등의 불량을 체크한다.
다섯째, 금속검출 관리는 철(Fe)은 1.0mmΦ 이하, 스테인레스(Sus)는 3.0mmΦ 이하가 되도록 관리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재료 준비 및 전처리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비의 즉석 삼계탕용 재료를 준비하였다.
야채의 비가식부위를 절단하고, 각 재료에서 노엽이나 흙 등의 이물질을 제고하고, 재료를 적절한 크기로 절단한다. 구체적으로, 닭가슴살은 10 × 10 mm의 절단규격에 따라 절단하고, 대파는 5 mm 크기로 절단하며, 인삼은 3~5 mm 크기로 절단하였다.
재료명 | 배합비 | 비고 | |
부형제 | 덱스트린 | 11.11% | |
소스 | 치킨엑기스 | 20.64% | |
정제염 | 0.95% | ||
5`-리보뉴클레오티드이나트륨 | 0.79% | ||
후추 | 0.16% | ||
분말류 | 쌀가루 | 4.45% | |
감자전분 | 1.59% | ||
기타 재료 | 닭가슴살 | 44.44% | 10×10mm 절단 |
대파 | 11.11% | 5mm 절단 | |
인삼 | 4.76% | 3-5mm 절단 | |
100.00% |
<실시예 2>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각 재료를 상기 표 1에 따라 순서대로 뜨거운 물에서 개별 블랜칭시켰다. 블랜칭 완료 후 하절기에는 품온 25℃ 이하로, 동절기에는 품온 20℃ 이하로 냉각시켰다. 그리고 나서, 부형제인 덱스트린을 정제수에 용해시켰다. 이때 사용된 정제수는 표 1의 재료 100 중량%의 3.5배가 되는 양을 사용하였다. 다음, 소스 및 분말류를 투입하고 균질하게 혼합하였다. 마지막으로 기타 재료인 닭가슴살, 대파, 인삼 등을 첨가하고 15분 동안 교반하여 균질하게 혼합하였다. 그리고, 최종 브릭스(brix)를 측정하였다. 상기 혼합된 재료를 몰드에 투입하고, 이를 트레이에 거치시켰다. 상기 트레이에 거치된 몰드를 -30℃의 동결실에서 12시간 동안 급속동결시켰다. 다시 동결된 재료를 진공도 0.8 Torr, 열판온도 50℃의 조건에서 24시간 건조하여 함수율 8%의 삼계탕용 건조 블록을 제조하였다
상기 건조된 블록을 흡습이 되지 않도록 단시간에 탈판하여 하이덴비닐(HD 비닐)로 포장하여 밀봉하였다. 그후, 선별, 개별포장, 포장검사, 금속검출, 최종 포장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소스인 5`-리보뉴클레오티드이나트륨 대신에 감자 추출물(피로즐친)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건조 블록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의 소스인 5`-리보뉴클레오티드이나트륨 대신에 감초 추출물(glycyrrhetenic acid)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건조 블록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의 소스인 5`-리보뉴클레오티드이나트륨 대신에 스테비아 추출물(stevioside)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건조 블록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의 소스인 5`-리보뉴클레오티드이나트륨 대신에 타강카 추출물(monellin),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건조 블록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소스인 5`-리보뉴클레오티드이나트륨 대신에 설탕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건조 블록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의 인삼을 첨가하지 않고 실시예 2와 동일하게 건조 블록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시중에서 판매중인 일반 레토르트 파우치 필름을 사용한 즉석 냉동 삼계탕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1> 관능검사 1
삼계탕의 품질의 변화를 시험하기 위하여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삼계탕용 건조 블록을 100℃의 물에 넣고, 3분간 풀어준 후, 얻어진 삼계탕의 식감 및 탄력성과 같은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관능검사는 잘 훈련된 25세에서 35세의 패널요원 30명을 대상으로 전체적 기호도, 닭고기 살의 탄력성 및 식감에 대하여 9점 항목척도법(9점: 대단히 좋다, 1점: 대단히 싫다)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구분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 실시예 6 | 비교예 1 |
전체적 기호도 | 8.5 | 8.2 | 8.1 | 8.2 | 8.2 | 6.2 |
탄력성 | 8.9 | 8.5 | 8.5 | 8.4 | 8.3 | 6.4 |
식감 | 8.6 | 8.3 | 8.2 | 8.3 | 8.1 | 6.3 |
<실험예 2> 관능검사 2
인삼의 첨가여부에 따른 맛과 냄새의 변화를 시험하기 위하여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삼계탕용 건조 블록을 100℃의 물에 넣고, 3분간 풀어준 후, 얻어진 삼계탕의 이미와 이취와 같은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를 표 32에 나타내었다. 관능검사는 잘 훈련된 25세에서 35세의 패널요원 10명을 대상으로 이미와 이취에 대하여 9점 항목척도법(9점: 대단히 좋다, 1점: 대단히 싫다)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구분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 실시예 6 | 비교예 1 |
이미 | 8.4 | 8.3 | 8.2 | 8.2 | 8.2 | 4.6 |
이취 | 8.5 | 8.2 | 8.3 | 8.1 | 813 | 5.3 |
<실험예 3> 물에 풀리는 정도 비교
상기 실시예 2의 삼계탕용 건조 블록 및 비교예 3의 즉석 냉동 삼계탕에 뜨거운 물을 부어 복원시킨 후 복원된 삼계탕의 물에 풀리는 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2의 삼계탕용 건조 블록은 100℃의 물에 넣는 순간 즉시 물에 골고루 분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비교예 3의 제품은 100℃의 물을 넣으니 멍울이 생겨서 숟가락으로 저으면서 일일히 풀어 주어야 했다.
<실험예 4> 가열시 거품 발생 비교
상기 실시예 2의 삼계탕용 건조 블록 및 비교예 3의 즉석 냉동 삼계탕에 뜨거운 물을 부어 복원시킨 후 복원된 삼계탕의 거품 발생을 비교하였다. 실시예 2의 삼계탕용 건조 블록은 100℃의 물을 넣고 3분간 데우는 조리공정 중 거품 발생이 거의 없었으나, 비교예 3의 제품은 3분간 데우는 조리공정 중 거품양이 많아 거품이 끓어 넘칠 정도였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9)
1) 부형제, 소스, 분말류 및 기타 재료로 구성된 재료를 입고와 검사, 세척, 절단 및 선별의 재료를 전처리하는 제1 단계;
2) 상기 제1 단계 후, 상기 재료를 계량하고 블랜칭한 후 냉각시키는 제2 단계;
3) 제2 단계 후, 상기 냉각된 재료를 균질하게 혼합하고 브릭스를 검사하는 제3 단계;
4) 제3 단계 후, 상기 재료를 몰드에 투입하고 트레이 준비와 상기 몰드를 트레이에 거치시키는 제4 단계;
5) 제4 단계 후, 상기 몰드를 급속 동결시키는 제5 단계;
6) 제5 단계 후, 상기 동결된 몰드를 건조시키는 제6 단계; 및
7) 상기 제6 단계 후, 상기 건조된 몰드를 탈판하여 포장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는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방법.
2) 상기 제1 단계 후, 상기 재료를 계량하고 블랜칭한 후 냉각시키는 제2 단계;
3) 제2 단계 후, 상기 냉각된 재료를 균질하게 혼합하고 브릭스를 검사하는 제3 단계;
4) 제3 단계 후, 상기 재료를 몰드에 투입하고 트레이 준비와 상기 몰드를 트레이에 거치시키는 제4 단계;
5) 제4 단계 후, 상기 몰드를 급속 동결시키는 제5 단계;
6) 제5 단계 후, 상기 동결된 몰드를 건조시키는 제6 단계; 및
7) 상기 제6 단계 후, 상기 건조된 몰드를 탈판하여 포장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는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형제는 덱스트린, 소스는 치킨엑기스, 정제염, 5`-리보뉴클레오티드이나트륨 및 후추, 분말류는 쌀가루 및 감자전분, 기타 재료는 닭가슴살, 대파 및 인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방법.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는 덱스트린 11.11 중량%, 치킨엑기스 20.64 중량%, 정제염 0.95 중량%, 5`-리보뉴클레오티드이나트륨 0.79중량%, 후추 0.16 중량%, 쌀가루 4.45 중량%, 감자전분 1.59 중량%, 닭가슴살 44.44 중량%, 대파 11.11 중량% 및 인삼 4.76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방법.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5`-리보뉴클레오티드이나트륨 대신에 감자 추출물(피로즐친), 감초 추출물(glycyrrhetenic acid), 스테비아 추출물(stevioside) 및 타강카 추출물(monellin)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소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 사용되는 몰드는 가로, 세로 4~8 cm, 높이는 0.5~2 cm 규격인 것을 징으로 하는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의 급속동결은 -20℃ 이하에서 12시간 이상 수행되고, 제6 단계의 건조는 진공도 0.3-1.0, 건조시간 20-36시간, 초기온도 30℃-85℃에서 수행되어 함수율 8% 이하가 되도록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단계의 탈판은 흡습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시간에 탈판하여 HD 비닐로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방법.
.
.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단계는 탈판 이외에 추가적으로 사이즈 선별, 개별포장, 포장검사, 금속검출 및 최종 포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방법.
제 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삼계탕용 건조 블록.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3776A KR102094908B1 (ko) | 2018-08-31 | 2018-08-31 |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건조 블록 |
PCT/KR2018/013555 WO2020045740A1 (ko) | 2018-08-31 | 2018-11-08 |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건조 블록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3776A KR102094908B1 (ko) | 2018-08-31 | 2018-08-31 |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건조 블록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25840A true KR20200025840A (ko) | 2020-03-10 |
KR102094908B1 KR102094908B1 (ko) | 2020-03-30 |
Family
ID=69645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3776A KR102094908B1 (ko) | 2018-08-31 | 2018-08-31 |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건조 블록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4908B1 (ko) |
WO (1) | WO202004574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73587A (zh) * | 2020-10-29 | 2021-01-29 | 北京老家香味餐饮管理有限责任公司 | 一种麻椒鸡的制备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7716A (ko) * | 1993-09-27 | 1995-04-15 | 이중덕 | 즉석 곰탕의 제조방법 |
KR20150050670A (ko) * | 2013-10-30 | 2015-05-11 | 태경농산주식회사 | 블럭화된 즉석 김국 및 그의 제조방법 |
KR20180006749A (ko) * | 2016-07-11 | 2018-01-19 | 농업회사법인 한조주식회사 | 즉석 한방삼계탕용 기능성 스프의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1320B1 (ko) * | 2010-10-25 | 2011-04-29 | 학교법인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 즉석 떡국용 분말 조미식품 |
KR101558671B1 (ko) * | 2013-11-12 | 2015-10-08 |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 품질개선 및 저장성이 향상된 즉석섭취용 삼계탕의 제조방법 |
-
2018
- 2018-08-31 KR KR1020180103776A patent/KR10209490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11-08 WO PCT/KR2018/013555 patent/WO202004574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7716A (ko) * | 1993-09-27 | 1995-04-15 | 이중덕 | 즉석 곰탕의 제조방법 |
KR20150050670A (ko) * | 2013-10-30 | 2015-05-11 | 태경농산주식회사 | 블럭화된 즉석 김국 및 그의 제조방법 |
KR20180006749A (ko) * | 2016-07-11 | 2018-01-19 | 농업회사법인 한조주식회사 | 즉석 한방삼계탕용 기능성 스프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94908B1 (ko) | 2020-03-30 |
WO2020045740A1 (ko) | 2020-03-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578612A (zh) | 一种辣子鸡制品的加工方法 | |
KR20190048295A (ko) | 영양 만두의 제조방법 | |
CN105815749A (zh) | 一种即食辣椒酱及其制备方法 | |
KR101843030B1 (ko) | 닭갈비 양념 소스의 제조방법 | |
KR100415765B1 (ko) | 뽕잎분말을 함유하는 닭고기 가공식품 | |
KR101420387B1 (ko) |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852959B1 (ko) | 진공 포장된 장기보관용 통조림 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 | |
KR101578795B1 (ko) | 즉석 건조 전복 해산물 죽의 제조방법 | |
CN103919185A (zh) | 一种低油脂、高蛋白质花生米及其原味、山椒花生米制作 | |
Ekesa | Selected superfoods and their derived superdiets | |
KR102094908B1 (ko) |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건조 블록 | |
KR20180001900A (ko) | 양배추와 콩나물을 이용한 순대의 제조방법 | |
KR102340300B1 (ko) | 장어뼈 튀김 및 그 제조방법 | |
JP2003274908A (ja) | ポタージュス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101003563B1 (ko) | 홍삼김치의 제조방법 | |
Göğüş et al. | Functional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some turkish traditional foods | |
KR100630477B1 (ko) | 부대찌개 및 그 제조방법 | |
KR101295682B1 (ko) | 잡곡을 이용한 삼계죽의 제조방법 | |
KR20160081252A (ko) | 현미찹쌀이 포함된 햄버거패티 및 그 제조방법 | |
CN110074334A (zh) | 一种香辣肉制品熟食及其制备方法 | |
CN103549509A (zh) | 一种鱼制品及其制备方法 | |
CN107361310A (zh) | 一种坚果烤鸭翅及其制备方法 | |
CN104000152B (zh) | 一种具有排毒养颜功效的柠檬麦芽调味料 | |
KR101471294B1 (ko) | 콜라겐이 함유된 콩고기 전병김밥의 제조방법 | |
KR102078057B1 (ko) | 참옻 분말을 이용한 육개장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