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733A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733A
KR20200025733A KR1020180103556A KR20180103556A KR20200025733A KR 20200025733 A KR20200025733 A KR 20200025733A KR 1020180103556 A KR1020180103556 A KR 1020180103556A KR 20180103556 A KR20180103556 A KR 20180103556A KR 20200025733 A KR20200025733 A KR 20200025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thermoplastic resin
weight
modified polyolefin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2757B1 (ko
Inventor
이수연
우은택
강태곤
김선영
Original Assignee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첨단소재(주) filed Critical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to KR1020180103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757B1/ko
Priority to US16/548,955 priority patent/US11136456B2/en
Priority to CN201910795477.6A priority patent/CN110872431B/zh
Publication of KR20200025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7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2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2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2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 C08F220/325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containing glycidyl radical, e.g. glycid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6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08L23/0884Epoxide containing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평균 입자 크기가 200 내지 400 ㎛인 마이카; 변성 폴리올레핀; 및 인계 난연제;를 포함하며,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제1 변성 폴리올레핀, 및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제2 변성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강성, 내충격성, 내열성, 난연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강성, 내충격성, 내열성, 난연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우수한 내충격성, 내열성, 치수안정성, 내후성, 내화학성, 전기 특성 등을 가지며, 투명성이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다. 통상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와 무기 필러의 블렌드는 고강성 등을 요구하는 성형품, 예를 들면, 자동차, 전기/전자 제품의 내/외장재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유리 섬유 등의 무기 필러가 블렌드될 경우, 유동성(성형성) 저하 및 성형품 표면에 무기 필러가 돌출되는 등의 외관 특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수지 조성물(블렌드)이 외관 특성이 중요한 IT 기기 등의 내/외장재에 사용될 경우, 무기 필러의 돌출이 주요 외관 품질 이슈로 인식되어 왔다. 또한, 수지 조성물의 사출 시, 무기 필러의 이방성 문제로 뒤틀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방성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판상 구조의 탈크(talc) 등을 무기 필러로 적용하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무기 필러로서 탈크를 사용할 경우, 탈크의 취성 때문에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와 무기 필러의 블렌드(수지 조성물)는 적용되는 무기 필러의 종류 및 형상에 따라, 굴곡 강도 등의 강성, 내열성, 난연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강성, 내충격성, 내열성, 난연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59886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강성, 내충격성, 내열성, 난연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평균 입자 크기가 200 내지 400 ㎛인 마이카; 변성 폴리올레핀; 및 인계 난연제;를 포함하며,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제1 변성 폴리올레핀,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제2 변성 폴리올레핀을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Y는 글리시딜 변성 에스테르기이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3에서, R2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3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1 내지 15 중량부; 상기 마이카 20 내지 60 중량부; 상기 제1 변성 폴리올레핀 0.1 내지 1 중량부; 상기 제2 변성 폴리올레핀 0.1 내지 2 중량부; 및 상기 인계 난연제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마이카 및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의 중량비(마이카:변성 폴리올레핀)는 1 : 0.01 내지 1 : 0.1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제1 변성 폴리올레핀 및 제2 변성 폴리올레핀의 중량비(제1:제2)는 0.1 : 1 내지 1 : 1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중합체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제1 변성 폴리올레핀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75 내지 99 중량%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1 내지 2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제2 변성 폴리올레핀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60 내지 99 중량% 및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1 내지 4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인계 난연제는 포스페이트 화합물, 포스포네이트 화합물, 포스피네이트 화합물, 포스핀옥사이드 화합물 및 포스파젠 화합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790에 의거하여, 6.4 mm 두께 시편을 사용하여 2.8 mm/min의 속도로 측정한 굴곡탄성율이 57,000 내지 85,000 kgf/cm2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듀폰 드롭(DuPont drop) 측정법에 의거하여 500 g 무게의 추(dart)를 사용하여 측정한 2.0 mm 두께 시편의 크랙(crack) 발생 낙하 높이가 20 내지 40 ㎝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648에 의거하여, 하중 1.8 MPa, 승온 속도 120℃/hr의 조건에서 측정한 열변형 온도(HDT)가 100 내지 120℃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UL-94 vertical test 방법으로 측정한 2.0 mm 두께 시편의 난연도가 5VB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성형품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강성, 내충격성, 내열성, 난연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C) 마이카; (D) 변성 폴리올레핀; 및 (E) 인계 난연제;를 포함한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페놀류(방향족 디올 화합물)를 포스겐, 할로겐 포르메이트, 탄산 디에스테르 등의 전구체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디페놀류로는 4,4'-비페놀,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또는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비스페놀-A 라고 불리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분지쇄가 있는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중합에 사용되는 디페놀류 전체에 대하여, 0.05 내지 2 몰%의 3가 또는 그 이상의 다관능 화합물, 구체적으로, 3가 또는 그 이상의 페놀기를 가진 화합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호모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코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이들의 블렌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에스테르 전구체(precursor), 예컨대 2관능 카르복실산의 존재 하에서 중합 반응시켜 얻어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로 일부 또는 전량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 내지 100,000 g/mol, 예를 들면, 15,000 내지 5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가공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ASTM D1238에 의거하여, 300℃, 1.2 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Melt-flow Index: MI)가 5 내지 80 g/10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용융흐름지수가 다른 2종 이상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혼합물일 수 있다.
(B)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통상적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체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등을 혼합한 후, 이를 중합하여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중합은 유화중합, 현탁중합, 괴상중합 등의 공지의 중합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비닐크실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비닐나프탈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은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전체 100 중량% 중, 20 내지 90 중량%, 예를 들면 30 내지 8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유동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페닐아크릴로니트릴,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등의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메타)아크릴산, 무수말레인산, N-치환말레이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함량은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전체 100 중량% 중, 10 내지 80 중량%, 예를 들면 20 내지 7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유동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Mw)이 50,000 내지 300,000 g/mol, 예를 들면, 80,000 내지 15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 성형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5 중량부, 예를 들면 3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강성, 내화학성, 유동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C) 마이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마이카는 변성 폴리올레핀 등과 함께 적용되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도, 내열성 등의 저하 없이, 강성, 내충격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평균 입자 크기가 200 내지 400 ㎛, 예를 들면 250 내지 350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마이카의 평균 입자 크기가 200 ㎛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강성, 치수안정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400 ㎛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내열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여기서, 상기 평균 입자 크기는 빛의 굴절을 이용하여 레이저 빔이 분산된 미립자 시료를 관통하면서 산란되는 광의 강도에 따른 각도 변화를 측정하여 마이카의 입자 크기 분포를 얻고, 이의 중간 값을 산출하여 평균 입자 크기를 얻을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마이카는 X축과 Y축의 길이로 나타내어지는 단면적에 비해 Z축 길이(두께)가 작은 박막 형태이며, 평균 두께가 30 내지 700 nm, 예를 들면 30 내지 300 nm일 수 있고, 평균 직경(X축, Y축 평균 길이) 및 평균 두께(Z축 길이)의 비(aspect ratio, 직경/두께)가 4 내지 30, 예를 들면, 10 내지 30일 수 있다. 상기 평균 직경 및 평균 두께의 비가 커질수록 강성 향상 효과가 커질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마이카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60 중량부, 예를 들면 25 내지 5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강성, 내충격성, 내열성, 치수안정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D) 변성 폴리올레핀
본 발명의 변성 폴리올레핀은 상기 마이카 등과 함께 적용되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 등의 저하 없이, 내충격성, 강성, 난연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제1 변성 폴리올레핀,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제2 변성 폴리올레핀을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4
[화학식 2]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Y는 글리시딜 변성 에스테르기이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6
상기 화학식 3에서, R2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3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제1 변성 폴리올레핀은 올레핀계 단량체 및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단량체가 공중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단량체로는 에틸렌을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탄소수 3 내지 19의 알킬렌, 예를 들면, 프로필렌, 이소프로필렌, 부틸렌, 이소부틸렌, 옥텐, 이들의 조합 등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로는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제1 변성 폴리올레핀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75 내지 99 중량%, 예를 들면 80 내지 99 중량%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1 내지 25 중량%, 예를 들면 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유동성(성형 가공성), 상용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제2 변성 폴리올레핀은 올레핀계 단량체 및 아크릴계 단량체가 공중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단량체로는 에틸렌을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탄소수 3 내지 19의 알킬렌, 예를 들면, 프로필렌, 이소프로필렌, 부틸렌, 이소부틸렌, 옥텐, 이들의 조합 등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킬은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의 예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제2 변성 폴리올레핀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60 내지 99 중량%, 예를 들면 65 내지 99 중량% 및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1 내지 40 중량%, 예를 들면 1 내지 3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내열도, 열안정성, 상용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은 랜덤, 블록, 멀티블록의 공중합체 형태일 수 있으며, 이들의 조합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은 ASTM D1238에 의거하여, 190℃, 2.16 kgf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가 0.01 내지 40 g/10분, 예를 들면, 0.1 내지 10 g/10분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제1 변성 폴리올레핀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부, 예를 들면 0.2 내지 0.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2 변성 폴리올레핀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 중량부, 예를 들면 0.5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강성, 내열성, 유동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제1 변성 폴리올레핀 및 제2 변성 폴리올레핀의 중량비(제1:제2)는 0.1 : 1 내지 1 : 1, 예를 들면 0.2 : 1 내지 0.8 : 1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강성, 내열성 등이 더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마이카 및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의 중량비(마이카:변성 폴리올레핀)는 1 : 0.01 내지 1 : 0.1, 예를 들면 1 : 0.01 내지 1 : 0.08, 구체적으로 1 : 0.03 내지 1 : 0.05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강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더 우수할 수 있다.
(E) 인계 난연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인계 난연제는 통상적인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인계 난연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스페이트(phosphate) 화합물, 포스포네이트(phosphonate) 화합물, 포스피네이트(phosphinate) 화합물, 포스핀옥사이드(phosphine oxide) 화합물, 포스파젠(phosphazene) 화합물, 이들의 금속염 등의 인계 난연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인계 난연제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방향족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7
상기 화학식 4에서, R1, R2,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6-C20(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또는 C1-C10의 알킬기가 치환된 C6-C20의 아릴기이고, R3는 C6-C20의 아릴렌기 또는 C1-C10의 알킬기가 치환된 C6-C20의 아릴렌기, 예를 들면, 레조시놀, 하이드로퀴논, 비스페놀-A, 비스페놀-S 등의 디알콜로부터 유도된 것이며, n은 0 내지 10, 예를 들면 0 내지 4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방향족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로는, n이 0인 경우, 디페닐포스페이트 등의 디아릴포스페이트,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트리자이레닐포스페이트, 트리(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 트리(2,4,6-트리메틸페닐)포스페이트, 트리(2,4-디터셔리부틸페닐)포스페이트, 트리(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고, n이 1인 경우, 비스페놀-A 비스(디페닐포스페이트), 레조시놀 비스(디페닐포스페이트), 레조시놀 비스[비스(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 레조시놀 비스[비스(2,4-디터셔리부틸페닐)포스페이트], 하이드로퀴논 비스[비스(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 하이드로퀴논 비스[비스(2,4-디터셔리부틸페닐)포스페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의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인계 난연제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부, 예를 들면 3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내열성, 유동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산화 방지제, 적하 방지제, 활제, 이형제, 핵제, 안정제, 안료, 염료,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첨가제 사용 시, 그 함량은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40 중량부, 예를 들면 0.1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구성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200 내지 280℃, 예를 들면 220 내지 250℃에서 용융 압출한 펠렛 형태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790에 의거하여, 6.4 mm 두께 시편을 사용하여 2.8 mm/min의 속도로 측정한 굴곡탄성율이 57,000 내지 85,000 kgf/cm2, 예를 들면 57,000 내지 80,000 kgf/cm2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듀폰 드롭(DuPont drop) 측정법에 의거하여 500 g 무게의 추(dart)를 사용하여 측정한 2.0 mm 두께 시편의 크랙(crack) 발생 낙하 높이가 20 내지 40 ㎝, 예를 들면 20 내지 35 ㎝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648에 의거하여 하중 1.8 MPa, 승온 속도 120℃/hr의 조건에서 측정한 열변형 온도(HDT)가 100 내지 120℃, 예를 들면 102 내지 115℃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UL-94 vertical test 방법으로 측정한 2.0 mm 두께 시편의 난연도가 5VB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품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펠렛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조된 펠렛은 사출성형, 압출성형, 진공성형, 캐스팅성형 등의 다양한 성형방법을 통해 다양한 성형품(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성형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잘 알려져 있다. 상기 성형품은 내 강성, 내충격성, 내열성, 난연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하므로, 전기/전자 제품의 내/외장재 등으로 유용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비스페놀-A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유동지수(MI, ASTM D1238에 의거, 300℃, 1.2 kg 조건에서 측정): 19±2 g/10분)를 사용하였다.
(B)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스티렌 75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25 중량%가 중합된 SAN 수지(중량평균분자량: 90,000 g/mol)를 사용하였다.
(C) 무기 충전제
(C1) 평균 입자 크기가 280 ㎛인 마이카(제조사: IMERYS, 제품명: Suzorite 60-S)를 사용하였다.
(C2) 평균 입자 크기가 60 ㎛인 마이카(제조사: IMERYS, 제품명: Suzorite 200-HK)를 사용하였다.
(C3) 평균 입자 크기가 150 ㎛인 마이카(제조사: IMERYS, 제품명: Suzorite 150-S)를 사용하였다.
(C4) 평균 입자 크기가 420 ㎛인 마이카(제조사: IMERYS, 제품명: Suzorite 40-S)를 사용하였다.
(C5) 평균 입자 크기가 15 ㎛인 탈크(제조사: Koch, 제품명: KCP 04)를 사용하였다.
(C6) 평균 입자 크기가 7 ㎛인 규회석(제조사: Imerys, 제품명: NYGLOS 4W) 를 사용하였다.
(D) 변성 폴리올레핀
(D1) 제1 변성 폴리올레핀으로서,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제조사: Dupont, 제품명: Elvaloy PTW)를 사용하였다.
(D2) 제2 변성 폴리올레핀으로서,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제조사: Dupont, 제품명: Elvaloy AC1330)를 사용하였다.
(E) 인계 난연제
올리고머형 비스페놀-A 디포스페이트(bisphenol-A diphosphate, 제조사: Yoke Chemical, 제품명: YOKE BDP)를 사용하였다.
(F)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45 중량%의 부타디엔 고무(평균 입자 크기: 310 nm)에 55 중량%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중량비: 75/25)가 그라프트 공중합된 g-ABS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9
상기 각 구성 성분을 하기 표 1 및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함량으로 첨가한 후, 230℃에서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압출은 L/D=36, 직경 45 mm인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였으며, 제조된 펠렛은 80℃에서 2시간 이상 건조 후, 6 Oz 사출기(성형 온도 230℃, 금형 온도: 60℃)에서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방법
(1) 강성 평가: ASTM D790에 의거하여, 2.8 mm/min의 속도로 6.4 mm 두께 시편의 굴곡탄성율(단위: kgf/cm2)를 측정하였다.
(2) 내충격성 평가: 두께 2.0 mm 시편을 500 g의 추를 이용한 듀폰 드롭(DuPont drop) 측정법 방식의 낙추 평가 장비로 충격하여, 상기 시편에 크랙(crack)이 발생하는 높이(단위 : ㎝)를 측정하였다.
(3) 내열성 평가: ASTM D648에 의거하여, 하중 1.8 MPa, 승온 속도 120℃/hr의 조건에서 열변형 온도(HDT, 단위: ℃)를 측정하였다.
(4) 난연성 평가: UL-94 vertical test 방법으로 2.0 mm 두께 시편의 난연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2 3 4 5 6 7
(A) (중량부) 100 100 100 100 100 100 100
(B) (중량부) 5 11 11 11 11 11 15
(C)
(중량부)
(C1) 30 42 42 42 42 50 42
(C2) - - - - - - -
(C3) - - - - - - -
(C4) - - - - - - -
(C5) - - - - - - -
(C6) - - - - - - -
(D)
(중량부)
(D1) 0.5 0.5 0.2 0.5 0.8 0.5 0.5
(D2) 1 1 1 1 1 1 1
(E) (중량부) 11 11 11 11 11 11 11
(F) (중량부) - - - - - - -
굴곡탄성율 59,000 60,000 67,000 67,000 65,000 78,000 68,000
크랙 발생 높이 33 30 24 25 27 22 21
열변형 온도 115 110 108 108 105 106 102
난연도 (5VB) Pass Pass Pass Pass Pass Pass Pass
비교예
1 2 3 4 5 6 7 8 9
(A) (중량부)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B) (중량부) 11 11 11 11 11 11 11 11 18
(C)
(중량부)
(C1) - - - - - 42 42 42 42
(C2) 42 - - - - - - - -
(C3) - 42 - - - - - - -
(C4) - - 42 - - - - - -
(C5) - - - 42 - - - -
(C6) - - - - 42 - - - -
(D)
(중량부)
(D1) 0.5 0.5 0.5 0.5 0.5 - 0.5 - 0.5
(D2) 1 1 1 1 1 1 - - 1
(E) (중량부) 11 11 11 11 11 11 11 11 11
(F) (중량부) - - - - - - - 7 -
굴곡탄성율 54,000 56,000 68,000 44,300 54,000 60,000 50,000 55,000 65,000
크랙 발생 높이 24 22 15 17 23 18 17 21 22
열변형 온도 102 104 107 99 103 105 103 98 95
난연도 (5VB) Pass Pass Pass Pass Fail Pass Pass Fail Fail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강성, 내충격성, 내열성, 난연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모두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마이카 (C1) 대신에 평균 입자 크기가 작은 마이카 (C2) 및 (C3)를 적용한 비교예 1 및 2의 경우, 강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본 발명의 마이카 (C1) 대신에 평균 입자 크기가 큰 마이카 (C4)를 적용한 비교예 3의 경우, 내충격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마이카 (C1) 대신에 탈크 (C5)를 적용한 비교예 4의 경우, 강성, 내충격성, 내열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본 발명의 마이카 (C1) 대신에 규회석 (C6)를 적용한 비교예 5의 경우, 강성, 난연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변성 폴리올레핀 (D1)를 적용하지 않은 비교예 6의 경우, 내충격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제2 변성 폴리올레핀 (D2)를 적용하지 않은 비교예 7의 경우, 강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으며, 변성 폴리올레핀 대신에 g-ABS를 적용한 비교예 8의 경우, 내열성, 난연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B)가 과량 적용될 경우(비교예 9), 내열성, 난연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3)

  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평균 입자 크기가 200 내지 400 ㎛인 마이카;
    변성 폴리올레핀; 및
    인계 난연제;를 포함하며,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제1 변성 폴리올레핀,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제2 변성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8

    [화학식 2]
    Figure pat00009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Y는 글리시딜 변성 에스테르기이다;
    [화학식 3]
    Figure pat00010

    상기 화학식 3에서, R2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3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1 내지 15 중량부; 상기 마이카 20 내지 60 중량부; 상기 제1 변성 폴리올레핀 0.1 내지 1 중량부; 상기 제2 변성 폴리올레핀 0.1 내지 2 중량부; 및 상기 인계 난연제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카 및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의 중량비(마이카:변성 폴리올레핀)는 1 : 0.01 내지 1 : 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성 폴리올레핀 및 제2 변성 폴리올레핀의 중량비(제1:제2)는 0.1 : 1 내지 1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성 폴리올레핀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75 내지 99 중량%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1 내지 2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성 폴리올레핀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60 내지 99 중량% 및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1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계 난연제는 포스페이트 화합물, 포스포네이트 화합물, 포스피네이트 화합물, 포스핀옥사이드 화합물 및 포스파젠 화합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790에 의거하여, 6.4 mm 두께 시편을 사용하여 2.8 mm/min의 속도로 측정한 굴곡탄성율이 57,000 내지 85,000 kgf/c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듀폰 드롭(DuPont drop) 측정법에 의거하여 500 g 무게의 추(dart)를 사용하여 측정한 2.0 mm 두께 시편의 크랙(crack) 발생 낙하 높이가 20 내지 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648에 의거하여, 하중 1.8 MPa, 승온 속도 120℃/hr의 조건에서 측정한 열변형 온도(HDT)가 100 내지 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UL-94 vertical test 방법으로 측정한 2.0 mm 두께 시편의 난연도가 5VB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20180103556A 2018-08-31 2018-08-31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2202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556A KR102202757B1 (ko) 2018-08-31 2018-08-31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US16/548,955 US11136456B2 (en) 2018-08-31 2019-08-23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CN201910795477.6A CN110872431B (zh) 2018-08-31 2019-08-27 热塑性树脂组合物和由其生产的制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556A KR102202757B1 (ko) 2018-08-31 2018-08-31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733A true KR20200025733A (ko) 2020-03-10
KR102202757B1 KR102202757B1 (ko) 2021-01-13

Family

ID=69639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556A KR102202757B1 (ko) 2018-08-31 2018-08-31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36456B2 (ko)
KR (1) KR102202757B1 (ko)
CN (1) CN11087243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2709A1 (ko) * 2022-03-21 2023-09-28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1658A (ko) * 2021-05-31 2022-12-07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645A (ko) * 1992-06-24 1994-03-22 프란체스코 아우투오리 글리세로포스포리피드의 제조방법
JP2001226570A (ja) * 2000-02-18 2001-08-21 Toray Ind Inc 難燃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2005320367A (ja) * 2004-05-06 2005-11-17 Teijin Chem Ltd 摺動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KR20150078277A (ko) * 2013-12-30 2015-07-08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6508A1 (en) * 2002-05-14 2003-11-20 Lee Coreen Y. Polycarbonate and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ic blends with improved impact resistance
US20050234202A1 (en) * 2003-10-30 2005-10-20 Fan Xiyun S Modifier for polycarbonate/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blends
KR100504967B1 (ko) 2004-03-15 2005-07-29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과 유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20070135570A1 (en) * 2005-12-14 2007-06-14 General Electric Company Thermoplastic polycarbonate compositions with low gloss, articles made therefrom and method of manufacture
US7632881B2 (en) * 2006-06-22 2009-12-15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Polycarbonate compositions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DE102008048204A1 (de) 2008-09-20 2010-04-01 Bayer Materialscience Ag Spannungsrissbeständige und verzugsarme Zweikomponenten-Formteile enthaltend Talk
JP2010106194A (ja) 2008-10-31 2010-05-13 Kaneka Corp 低線膨張係数の樹脂組成物
JP5909374B2 (ja) 2011-03-29 2016-04-26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強化系難燃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CN103467954B (zh) 2012-09-26 2016-12-21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聚碳酸酯组合物及其应用
KR101562093B1 (ko) 2012-12-27 2015-10-20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EP3484957B1 (de) * 2016-07-13 2021-05-26 Ems-Chemie Ag Leitfähige thermoplastische polyamidformmasse
CN107556725A (zh) 2017-08-16 2018-01-09 上海金发科技发展有限公司 无卤阻燃聚碳酸酯组合物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645A (ko) * 1992-06-24 1994-03-22 프란체스코 아우투오리 글리세로포스포리피드의 제조방법
JP2001226570A (ja) * 2000-02-18 2001-08-21 Toray Ind Inc 難燃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2005320367A (ja) * 2004-05-06 2005-11-17 Teijin Chem Ltd 摺動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KR20150078277A (ko) * 2013-12-30 2015-07-08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2709A1 (ko) * 2022-03-21 2023-09-28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71520A1 (en) 2020-03-05
CN110872431A (zh) 2020-03-10
KR102202757B1 (ko) 2021-01-13
US11136456B2 (en) 2021-10-05
CN110872431B (zh)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4824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935087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81830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114537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664845B1 (ko) 저수축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00710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220275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234189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191391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25254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206337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018713B1 (ko)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4288344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KR10231040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100077939A (ko) 휨특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1743330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859010B1 (ko) 전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체
KR102662428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32723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225383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220161658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30070864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230123135A (ko)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190134116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