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4897A - 밸브 및 유체 공급 라인 - Google Patents

밸브 및 유체 공급 라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4897A
KR20200024897A KR1020207003142A KR20207003142A KR20200024897A KR 20200024897 A KR20200024897 A KR 20200024897A KR 1020207003142 A KR1020207003142 A KR 1020207003142A KR 20207003142 A KR20207003142 A KR 20207003142A KR 20200024897 A KR20200024897 A KR 20200024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valve
fluid
control device
fluid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3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8648B1 (ko
Inventor
류타로 단노
겐지 아이카와
아키히로 하라다
유야 스즈키
다카히로 마츠다
가츠노리 고메하나
마사히코 오치이시
츠토무 시노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Publication of KR20200024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7/0617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 G05D7/0623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et value given to the control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7/0617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 G05D7/0629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 G05D7/0635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by action on throttling means
    • G05D7/0641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by action on throttling means using a plurality of throttling means
    • G05D7/0647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by action on throttling means using a plurality of throttling means the plurality of throttling means being arranged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03Housing formed from a plurality of the same valv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25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with a plurality of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 F16K7/14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arranged to be deformed against a flat seat
    • F16K7/17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arranged to be deformed against a flat seat the diaphragm being actuated by fluid pressure

Abstract

배선을 심플하게 한 밸브, 및 이 밸브를 탑재한 유체 공급 라인을 제공함으로써, 재료 가스의 제어의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밸브(V)는, 밸브 본체(3)와, 밸브 본체(3)에 연결된 구동압 제어 장치(4)를 구비한다. 구동압 제어 장치(4)는, 라인 밖의 구동압 공급원(G)과 접속하는 제1 구동압 도입로(431)와, 제1 구동압 도입로(431)를 개폐하는 제1 자동 밸브(411)와, 밸브 본체(3)의 구동압 도입구(3a)에 연결하는 제2 구동압 도입로(433)와, 제1 자동 밸브(411)와 연동하여 제2 구동압 도입로(433)를 개폐함과 아울러, 제2 구동압 도입로(433)로부터 구동압을 배기하는 배기 통로(44)를 개폐하는 제2 자동 밸브(412)와, 제1 자동 밸브(411) 및 제2 자동 밸브(412)를 개재하여, 제1 구동압 도입로(431)와 제2 구동압 도입로(433)를 연결하는 제3 구동압 도입로(432)를 가진다.

Description

밸브 및 유체 공급 라인
본 발명은, 밸브 및 유체 공급 라인의 배선을 심플하게 함과 아울러, 재료 가스의 제어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제조 프로세스에 이용되는 프로세스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 라인에는, 자동 밸브 등의 유체 제어 기기가 이용된다.
최근, ALD(Atomic Layer Deposition) 등, 반도체 제조 프로세스가 고도화, 복잡화되고, 유체 공급 라인에 탑재되는 유체 제어 기기의 기기수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유체 제어 기기의 고도화에 의해, 전기 배선이나 구동압을 공급하는 에어 튜브 등, 유체 제어 기기 주위의 배선이 복잡화되어 있다.
이로부터, 특허문헌 1에서는, 제1 유로 및 제2 유로가 형성된 몸체와, 제1 유로와 제2 유로의 사이를 연통 또는 차단하는 밸브체를 구비한 밸브로서, 몸체는 밸브체 측에 위치하는 제1면과, 제1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면을 갖는 베이스부와, 제2면과 단차부를 형성하는 제3면을 갖는 제1 연결부와, 제1면과 단차부를 형성하는 제4면을 갖는 제2 연결부를 가지며, 제1 유로는 제1-1 유로와 제1-2 유로를 가지며, 제1-1 유로의 제1-1 포트는 제3면에 개구되고, 제1-2 유로의 제1-3 포트는 제1-1 유로의 제1-2 포트에 연통되고, 또한 밸브체로 향하여 개구되며, 제1-2 유로의 제1-4 포트는 제4면에 개구되고, 제1-3 포트를 개재하여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가 연통 가능하며, 제1 연결부는 다른 밸브의 몸체에서의 제2 연결부에 상당하는 부분에 대해 연결되고, 제1-1 유로와 다른 밸브의 몸체에서의 제1-2 유로에 상당하는 유로가 연통하는 밸브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16-223533호 공보
전기 배선이나 에어 튜브가 복잡화되면, 접힘이나 비틀림을 일으켜 동작 불량을 초래할 우려가 있고, 배선의 접속처가 혼동되기 쉬워져 유지보수 등에서는 불편하다. 또한, 반도체 제조 프로세스의 미세화에 따라, 유체 공급 라인에서 행해지는 재료 가스의 제어에도 한층 더 정밀도가 요구되는 요즈음에는, 배선을 심플하게 함으로써 전자 성능을 담보하고, 잡음의 저감이나 응답 지연의 방지를 실현하고자 한다는 요구도 있다.
또한, 복수의 밸브가 탑재되는 유체 공급 라인의 정밀도 향상을 위해서는, 밸브마다의 동작의 불균일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배선을 심플하게 한 밸브, 및 이 밸브를 탑재한 유체 공급 라인을 제공함으로써, 재료 가스의 제어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에 관한 밸브는,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 본체에 연결된 구동압 제어 장치를 구비한 밸브로서, 상기 구동압 제어 장치는, 라인 밖의 구동압 공급원과 접속하는 제1 구동압 도입로와, 상기 제1 구동압 도입로를 개폐하는 제1 자동 밸브와, 상기 밸브 본체의 구동압 도입구에 연결하는 제2 구동압 도입로와, 상기 제1 자동 밸브와 연동하여 상기 제2 구동압 도입로를 개폐함과 아울러, 상기 제2 구동압 도입로로부터 구동압을 배기하는 배기 통로를 개폐하는 제2 자동 밸브와, 상기 제1 자동 밸브 및 상기 제2 자동 밸브를 개재하여, 상기 제1 구동압 도입로와 상기 제2 구동압 도입로를 연결하는 제3 구동압 도입로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관한 유체 공급 라인은, 유량 제어 장치와, 상기 밸브를 구비한 유체 공급 라인으로서, 상기 유체 공급 라인 밖의 기구와, 상기 유량 제어 장치를 접속하는 제1 접속 수단과, 상기 유체 공급 라인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수단으로부터 분기하여, 상기 밸브에 접속하는 제2 접속 수단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1 접속 수단 및 상기 제2 접속 수단이, 상기 유체 공급 라인 밖의 기구로부터 상기 밸브의 구동에 이용하는 구동압을 공급하는 구동압 공급로인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접속 수단 및 상기 제2 접속 수단이, 상기 유체 공급 라인 밖의 기구와, 상기 유량 제어 장치 및 밸브를 통신 가능하게 하는 전기 배선인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유체 공급 라인은 복수 병설되어 가스 유닛을 구성하고 있고, 상기 제1 접속 수단은, 상기 가스 유닛 근방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유체 공급 라인마다 분기하여, 상기 복수의 유체 공급 라인 상의 유량 제어 장치마다 접속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유량 제어 장치는, 유량 레인지 가변형 유량 제어 장치로서, 상기 유량 레인지 가변형 유량 제어 장치는, 유량 제어 장치의 유량 검출부로의 유체 통로로서 적어도 소유량용과 대유량용의 유체 통로를 마련하고, 상기 소유량용 유체 통로를 통해 소유량 영역의 유체를 유량 검출부로 유통시킴과 아울러, 구동압의 공급 유무에 따라 유량 제어부의 검출 레벨을 소유량 영역의 검출에 적합한 검출 레벨로 전환하고, 또한, 상기 대유량용 유체 통로를 통해 대유량 영역의 유체를 상기 유량 검출부로 유통시킴과 아울러, 구동압의 공급 유무에 따라 유량 제어부의 검출 레벨을 대유량 영역의 유량의 검출에 적합한 검출 레벨로 전환함으로써, 대유량 영역과 소유량 영역의 유체를 각각 전환하여 유량 제어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유량 레인지 가변형 유량 제어 장치에 공급된 구동압이, 상기 유량 레인지 가변형 유량 제어 장치를 통해 다른 유체 제어 기기에 공급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유량 제어 장치는, 차압(差壓)식 유량 제어 장치로서, 상기 차압식 유량 제어 장치는, 밸브 구동부를 구비한 컨트롤 밸브부와, 상기 컨트롤 밸브의 하류측에 설치된 오리피스와, 상기 오리피스의 상류측의 유체 압력의 검출기와, 상기 오리피스의 하류측의 유체 압력의 검출기와, 상기 오리피스의 상류측의 유체 온도의 검출기와, 상기 각 검출기로부터의 검출 압력 및 검출 온도를 이용하여 유체 유량을 연산함과 아울러, 연산 유량과 설정 유량의 차를 연산하는 유량 비교 회로를 구비한 제어 연산 회로를 갖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에 접속하는 배선을 심플하게 할 수 있고, 이 밸브를 탑재한 유체 공급 라인의 배선도 심플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결과, 유체 공급 라인에서의 재료 가스의 제어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밸브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공급 라인에 의해 구성된 가스 유닛을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공급 라인에 의해 구성된 가스 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공급 라인에 의해 구성된 가스 유닛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공급 라인을 구성하는 밸브에 대해, 자기 센서를 구비시킨 경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a) 전체도,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공급 라인에 의해 구성된 가스 유닛에 있어서, 케이블의 배선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공급 라인에 의해 구성된 가스 유닛에 있어서, 구동압 공급로의 접속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유체 공급 라인에 의해 구성된 가스 유닛에 있어서, 구동압 공급로의 접속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공급 라인에 의해 구성된 가스 유닛을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공급 라인에 의해 구성된 가스 유닛에 있어서, 케이블의 배선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공급 라인에 의해 구성된 가스 유닛에 있어서, 구동압 공급로의 접속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밸브, 및 이 밸브를 구비한 유체 공급 라인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밸브(V)는, 밸브 본체(3)와 밸브 본체(3)에 연결된 구동압 제어 장치(4)를 구비한다.
밸브 본체(3)는, 예를 들어 다이어프램 밸브 등, 유체 제어 장치의 가스 라인에서 사용되는 밸브로서, 적어도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압을 내부에 도입하기 위한 구동압 도입구(3a)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압 제어 장치(4)는, 밸브 본체(3)의 구동압 도입구(3a)에 연결되어 있고, 라인 밖의 구동압 공급원(G)으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압을 밸브 본체(3)에 공급한다.
구동압 제어 장치(4)에는, 라인 밖의 구동압 공급원(G)으로부터 밸브 본체(3)에 구동압을 도입하는 도입로로서, 구동압 도입로(431, 432, 433)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압 도입로(431)는 라인 밖의 구동압 공급원(G)에 접속되어 있다. 구동압 도입로(432)는, 자동 밸브(411) 및 자동 밸브(412)를 개재하여, 구동압 도입로(431)와 구동압 도입로(433)를 연결하고 있다. 구동압 도입로(433)는, 밸브 본체(3)의 구동압 도입구(3a)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구동압 제어 장치(4)에는, 구동압 도입로(431)를 개폐하는 N.C.(Normal Close: 상시 폐쇄)의 자동 밸브(411)와, 자동 밸브(411)와 연동하여 구동압 도입로(433)를 개폐함과 아울러, 구동압 도입로(433)로부터 구동압을 장치 밖(A)으로 배기하는 배기 통로(44)를 개폐하는 N.O.(Normal Open: 상시 개방)의 자동 밸브(412)가 설치되어 있다.
자동 밸브(411, 412)는 각각, 밸브 구동부(421, 422)에 의해 개폐된다. 밸브 구동부(421, 422)는, 전원 공급원(E) 및 지시 신호 발신원(Q)으로부터 배선(45)을 개재하여 전원의 공급과 함께 동작을 지시하는 지시 신호를 받고, 지시 신호에 기초한 동작을 실행한다.
또, 자동 밸브(411, 412)는 모두, 통상적인 전자(電磁) 밸브나 에어 작동형 전자 밸브, 혹은 전기 밸브 등, 각종 밸브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 구동압 제어 장치(4)는, 자동 밸브(411, 412), 밸브 구동부(421, 422), 구동압 도입로(431, 432, 433) 등이 중공의 캡형상의 케이싱(40)으로 덮여 있고, 밸브 본체(3)에 케이싱(40)을 씌우도록 하여, 밸브 본체(3)와 일체화되어 있다.
또, 밸브 본체(3)와 케이싱(40)은 적절히 나사 멈춤고정이나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의 수단에 의해 일체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구동압 제어 장치(4)에서는, 자동 밸브(411, 412)의 개폐 상태에 관계없이, 라인 밖의 구동압 공급원(G)으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압이 항상 구동압 도입로(431)를 개재하여 자동 밸브(411)의 곳까지 공급되고 있다.
구동압 제어 장치(4)의 개폐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우선 자동 밸브(411)가 밸브 구동부(421)에 의해 개방되면, 자동 밸브(411)까지 공급되어 있던 구동압은 구동압 도입로(432)를 개재하여 자동 밸브(412)로 도출된다. 또한, 자동 밸브(412)는 자동 밸브(411)와 연동되어 있고, 자동 밸브(411)의 개방에 따라 폐쇄하여 배기 통로(44)가 닫혀, 구동압 도입로(433)를 개재하여 밸브 본체(3)로 구동압이 공급된다.
한편, 자동 밸브(411)가 밸브 구동부(421)에 의해 폐쇄되면, 구동압 공급원(G)으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압은 자동 밸브(411)에 의해 차단된다. 또한, 자동 밸브(411)에 연동하는 자동 밸브(412)는 개방되고, 배기 통로(44)가 열려 밸브 본체(3) 내의 구동압이 배기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밸브(V)에 의하면, 구동압 제어 장치(4)와 밸브 본체(3)가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V)에 접속하는 배선을 심플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항상 밸브 본체(3)와 일체적으로 연결된 구동압 제어 장치(4)의 자동 밸브(411)의 곳까지 구동압이 공급되어 있고, 밸브 본체(3)의 구동압 도입구(3a)에 가까운 곳에서 구동압이 일정 압력으로 높아진 상태가 유지된다. 그 결과, 밸브 본체(3)는 개폐시 구동압의 압력 변화를 받기 어렵고, 개폐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재료 가스의 제어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술한 밸브(V)는, 밸브 본체(3)에 구동압 제어 장치(4)를 연결시킨 구조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밸브 본체(3) 내에 구동압 제어 장치(4)를 내장시키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이 공간에 구동압 제어 장치(4)를 내장시킬 수도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밸브(V)에 의해 구성된 유체 공급 라인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유닛(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3개의 유체 공급 라인(L1, L2, L3)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유체 공급 라인(L1, L2, L3)」이란, 가스 유닛의 구성단위 중 하나로서, 프로세스 유체가 유통하는 경로와, 이 경로 상에 배치된 일군의 유체 제어 기기에 의해 구성되고, 프로세스 유체를 제어하여, 독립적으로 피처리체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한 최소의 구성단위이다. 가스 유닛은 통상 이러한 유체 공급 라인을 복수 병설시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언급하는 「라인 밖」이란, 이 유체 공급 라인을 구성하지 않는 부분 또는 기구로서, 라인 밖의 기구에는, 유체 공급 라인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원이나 구동압을 공급하는 구동압 공급원, 유체 공급 라인과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 장치 등이 포함된다.
유체 공급 라인(L1, L2, L3)은 각각, 복수의 유체 제어 기기를, 유체가 밖으로 새지 않게 연통시킨 것이고, 유체 제어 기기는, 상술한 밸브(V)로 이루어지는 밸브(V11~V14, V21~V24, V31~V34)나 유량 제어 장치(F1~F3)에 의해 구성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밸브(V11~V14, V21~V24, V31~V34)를 밸브(V), 유량 제어 장치(F1~F3)를 유량 제어 장치(F)라고 합쳐 부르는 경우가 있다.
유량 제어 장치(F)는, 각 유체 공급 라인(L1, L2, L3)에 있어서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이 유량 제어 장치(F)는 예를 들어, 유량 레인지 가변형 유량 제어 장치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유량 레인지 가변형 유량 제어 장치는, 전환 밸브의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유량 제어 영역을 전환 선택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 유량 레인지 가변형 유량 제어 장치는, 유량 제어 장치의 유량 검출부로의 유체 통로로서 예를 들어, 소유량용과 대유량용의 유체 통로를 가지고 있다. 소유량용 유체 통로를 통해 소유량 영역의 유체를 유량 검출부로 유통시킴과 아울러, 유량 제어부의 검출 레벨을 소유량 영역의 검출에 적합한 검출 레벨로 전환하고, 대유량용 유체 통로를 통해 대유량 영역의 유체를 상기 유량 검출부로 유통시킴과 아울러, 유량 제어부의 검출 레벨을 대유량 영역의 유량의 검출에 적합한 검출 레벨로 전환함으로써, 대유량 영역과 소유량 영역의 유체를 각각 전환하여 유량 제어한다.
또, 유량 레인지 가변형 유량 제어 장치로서 구성된 유량 제어 장치(F)에 있어서, 유량 제어 영역의 전환 선택의 제어는, 유량 제어 장치(F)의 구동부에의 구동압의 공급 유무에 따라 실행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유량 제어 장치(F)에 공급된 구동압은, 일단 공급된 유량 제어 장치(F)를 통해, 유량 제어 장치(F)에 접속하는 밸브(V) 등의 다른 유체 제어 기기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유량 레인지 가변형 유량 제어 장치에 있어서, 오리피스 상류측 압력(P1) 및/또는 오리피스 하류측 압력(P2)을 이용하여, 오리피스를 유통하는 유체의 유량을 Qc=KP1(K는 비례 상수) 또는 Qc=KP2 m(P1-P2)n(K는 비례 상수, m과 n은 상수)으로서 연산하도록 한 압력식 유량 제어 장치에 있어서, 이 압력식 유량 제어 장치의 컨트롤 밸브의 하류측과 유체 공급용 관로 사이의 유체 통로를 적어도 2개 이상의 병렬형상의 유체 통로로 함과 아울러, 각 병렬형상의 유체 통로로 유체 유량 특성이 다른 오리피스를 각각 개재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소유량 영역의 유체의 유량 제어에는 한쪽의 오리피스로 소유량 영역의 유체를 유통시키고, 또한 대유량 영역의 유체의 유량 제어에는 적어도 다른 쪽의 오리피스로 대유량 영역의 유체를 유통시킨다.
또한, 유량의 레인지를 3단계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오리피스를 대유량용 오리피스와 중유량용 오리피스와 소유량용 오리피스의 3종류로 함과 아울러, 한쪽의 유체 통로에 제1 전환용 밸브와 제2 전환용 밸브와 대유량 오리피스를 직렬형상으로 개재시키고, 또한 다른 쪽의 유체 통로에 소유량 오리피스와 중유량 오리피스를 개재시키며, 또한, 두 전환 밸브 사이를 연통하는 통로와, 소유량 오리피스와 중유량 오리피스 사이를 연통하는 통로를 연통시킨다.
이 유량 레인지 가변형 유량 제어 장치에 의하면, 유량 제어 범위를 확대시키면서, 높은 제어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에서는, 유량 제어 장치(F)를 차압 제어식 유량 제어 장치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차압 제어식 유량 제어 장치는, 베르누이의 정리로부터 도출한 유량 연산식을 기초로서 이용하고, 이에 각종 보정을 가함으로써 유체 유량을 연산하여 제어하는 장치이다.
이 차압식 유량 제어 장치는, 밸브 구동부를 구비한 컨트롤 밸브부와, 컨트롤 밸브의 하류측에 설치된 오리피스와, 오리피스의 상류측의 유체 압력(P1)의 검출기와, 오리피스의 하류측의 유체 압력(P2)의 검출기와, 오리피스의 상류측의 유체 온도(T)의 검출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내장하는 제어 연산 회로에 의해, 각 검출기로부터의 검출 압력 및 검출 온도를 이용하여 유체 유량(Q)을 Q=C1·P1/√T·((P2/P1)m-(P2/P1)n)1/2(단 C1은 비례 상수, m 및 n은 상수)에 의해 연산함과 아울러, 연산 유량과 설정 유량의 차를 연산한다.
차압식 유량 제어 장치에 의하면, 인라인의 형태로 또한 장착 자세에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게다가 압력의 변동에 대해서도 제어 유량이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고정밀도의 유량 계측 또는 유량 제어를 실시간으로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유량 제어 장치(F)는, 유량 제어 장치(F)의 동작 정보를 취득하는 동작 정보 취득 기구나, 동일한 라인을 형성하는 밸브(V)의 동작 정보를 집약하여 밸브(V)를 감시함과 아울러, 각 밸브(V)를 제어 가능한 정보 처리 모듈을 구비하고 있다.
동작 정보 취득 기구는 예를 들어, 유량 제어 장치(F)에 내장되는 각종 센서나 유량 제어를 행하는 연산 장치, 이들 센서나 연산 장치 등의 정보의 처리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 모듈 등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특히, 동일한 유체 공급 라인(L1, L2, L3)을 구성하는 밸브(V)에 대해, 유량 제어 장치(F)를 개재하여 라인 밖의 기구로부터 구동압을 공급시키거나, 통신 가능하게 시킴으로써, 각 밸브(V)의 동작 정보를 유량 제어 장치(F)에 집약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각 밸브(V)의 동작 정보와 유량 제어 장치(F)의 동작 정보를 합하여 라인 전체의 동작 정보가 구성된다.
밸브(V)는, 동작 기구로서 상술한 구성을 갖는 것 외에, 밸브(V)의 동작 정보를 취득하는 동작 정보 취득 기구로서, 소정의 개소에 압력 센서, 온도 센서, 리미트 스위치, 혹은 자기 센서 등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이들 압력 센서, 온도 센서, 리미트 스위치, 혹은 자기 센서 등에 의해 검출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정보 처리 모듈이 내장되어 있다.
또, 동작 정보 취득 기구의 장착 위치는 제한되지 않고, 그 기능을 감안하여 구동압 공급로 상이나 전기 배선 상 등의 밸브(V) 밖에 장착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압력 센서는 예를 들어, 소정의 공간 내의 압력 변화를 검출하는 감압 소자나, 감압 소자에 의해 검출된 압력의 검출값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 소자 등에 의해 구성되고, 밀폐된 내부 공간의 압력 변화를 검출한다.
또한, 온도 센서는 예를 들어,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유로의 근방에 설치하여 해당 개소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해당 설치 개소의 온도를, 유로 내를 유통하는 유체의 온도라고 간주할 수 있다.
또한, 리미트 스위치는 예를 들어, 피스톤의 근방에 고정되고, 피스톤의 상하동에 따라 스위치가 전환된다. 이에 의해, 밸브(V)의 개폐 횟수나 개폐 빈도, 개폐 속도 등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자기 센서는, 소정의 위치에 장착된 자석과의 사이의 거리 변화를 센싱함으로써, 밸브(V)의 개폐 상태뿐만 아니라, 개방도를 계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 센서(S)는, 다이어프램(51)의 주연(周緣)을 누르는 누름 어댑터(52)의 내측으로서, 스템(53)에 대향하는 면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밸브(V)의 개폐 동작에 따라 슬라이딩하는 스템(53)의 누름 어댑터(52) 근방에는, 자석(M)이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자기 센서(S)는 평면 코일, 발진 회로, 및 적산 회로를 가지고 있고,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자석(M)과의 거리 변화에 따라 발진 주파수가 변화한다. 그리고, 이 주파수를 적산 회로에서 변환하여 적산값을 구함으로써, 밸브(V)의 개폐 상태뿐만 아니라, 개방시의 개방도를 계측할 수 있다.
밸브(V) 내의 정보 취득 기구에 의해 취득된 정보는, 동일한 유체 공급 라인(L1, L2, L3)을 구성하는 유량 제어 장치(F)에 집약된다.
가스 유닛(1)은, 구동압을 공급하는 구동압 공급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원,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 등에 의해 구성되는 라인 밖의 기구와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가스 유닛(1)을 구성하는 유체 제어 기기는, 라인 밖의 기구와 소정의 유체 제어 기기를 직접 접속하는 제1 접속 수단과, 이 제1 접속 수단으로부터 분기하여, 혹은 이 제1 접속 수단이 접속하는 유체 제어 기기를 개재하여, 라인 밖의 기구와 다른 유체 제어 기기를 접속하는 제2 접속 수단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체 공급 라인(L1)이면, 나중에 상세히 설명하는 도 5에서, 라인 밖으로부터의 전력 공급 및 라인 밖과의 통신에서는, 메인 케이블(10)과 연장 케이블(11)이 제1 접속 수단을 구성하고, 서브 케이블(111, 112, 113, 114)이 제2 접속 수단을 구성한다. 또한, 나중에 상세히 설명하는 도 6에서, 라인 밖으로부터의 구동압의 공급에서는, 메인 튜브(20), 연장 튜브(21), 및 서브 튜브(214)가 제1 접속 수단을 구성하고, 연장 튜브(211, 212, 213), 서브 튜브(215, 216, 217, 218)가 제2 접속 수단을 구성한다.
전력의 공급 및 라인 밖과의 통신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 밖의 기구와 가스 유닛(1)을 접속하는 메인 케이블(10)에 의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메인 케이블(10)은, 가스 유닛(1) 근방에 설치된 분기 커넥터(C1)에 의해 연장 케이블(11)과 분기 케이블(101)로 분기되고, 분기 케이블(101)은 분기 커넥터(C2)에 의해 연장 케이블(12)과 분기 케이블(102)로 분기되며, 분기 케이블(102)은 분기 커넥터(C3)를 개재하여 연장 케이블(13)에 접속한다.
또, 여기서 분기 커넥터(C1)가 설치되는 위치를 「가스 유닛(1) 근방」으로 하는 것은, 분기 케이블(101, 102)이나 연장 케이블(11, 12, 13)의 길이를 최대한 짧게 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분기 커넥터(C1)가 설치되는 위치로서의 「가스 유닛(1) 근방」이 의미하는 곳은 적어도 라인 밖의 기구와, 연장 케이블(11, 12, 13)을 개재하여 메인 케이블(10)이 접속하는 유량 제어 장치(F1, F2, F3)를 연결하는 경로 중, 유량 제어 장치(F1, F2, F3) 쪽으로 치우친 위치를 의미한다. 더욱 적합하게는, 각 유량 제어 장치(F1, F2, F3)에 접속하는 연장 케이블(11, 12, 13)이나 분기 케이블(101, 102)을, 각 기기 등을 접속하는 데에 필요 최소한의 길이로 하였을 때에 분기 커넥터(C1)가 설치되는 위치이다.
각 유체 공급 라인(L1, L2, L3)에 대해 보면, 유체 공급 라인(L1)에서는, 연장 케이블(11)은 유량 제어 장치(F1)에 접속되어 있다. 연장 케이블(11)이 접속되어 있는 유량 제어 장치(F1)로부터는, 서브 케이블(111, 112)이 도출되고, 서브 케이블(111)은 밸브(V11)에 접속하며, 서브 케이블(112)은 밸브(V12)에 접속한다.
또한, 서브 케이블(112)이 접속되어 있는 밸브(V12)로부터는 서브 케이블(113)이 도출되고, 서브 케이블(113)은 밸브(V13)에 접속한다. 또한, 서브 케이블(113)이 접속되어 있는 밸브(V13)로부터는 서브 케이블(114)이 도출되고, 서브 케이블(114)은 밸브(V14)에 접속한다.
유체 공급 라인(L2)도 유체 공급 라인(L1)과 마찬가지의 구성에 의해 라인 밖의 기구와 접속한다.
즉, 연장 케이블(12)은 유량 제어 장치(F2)에 접속되어 있다. 연장 케이블(12)이 접속되어 있는 유량 제어 장치(F2)로부터는, 서브 케이블(121, 122)이 도출되고, 서브 케이블(121)은 밸브(V21)에 접속하며, 서브 케이블(122)은 밸브(V22)에 접속한다.
또한, 서브 케이블(122)이 접속되어 있는 밸브(V22)로부터는 서브 케이블(123)이 도출되고, 서브 케이블(123)은 밸브(V23)에 접속한다. 또한, 서브 케이블(123)이 접속되어 있는 밸브(V23)로부터는 서브 케이블(124)이 도출되고, 서브 케이블(124)은 밸브(V24)에 접속한다.
유체 공급 라인(L3)도 유체 공급 라인(L1)과 마찬가지의 구성에 의해 라인 밖의 기구와 접속한다.
즉, 연장 케이블(13)은 유량 제어 장치(F3)에 접속되어 있다. 연장 케이블(13)이 접속되어 있는 유량 제어 장치(F3)로부터는, 서브 케이블(131, 132)이 도출되고, 서브 케이블(131)은 밸브(V31)에 접속하며, 서브 케이블(132)은 밸브(V32)에 접속한다.
또한, 서브 케이블(132)이 접속되어 있는 밸브(V32)로부터는 서브 케이블(133)이 도출되고, 서브 케이블(133)은 밸브(V33)에 접속한다. 또한, 서브 케이블(133)이 접속되어 있는 밸브(V33)로부터는 서브 케이블(134)이 도출되고, 서브 케이블(134)은 밸브(V34)에 접속한다.
여기서, 유체 공급 라인(L1)에 대해, 연장 케이블(11)은 유량 제어 장치(F1)에 접속하고, 유량 제어 장치(F1)로부터는 서브 케이블(111, 112)이 도출되어 있지만, 유량 제어 장치(F1) 내에서 연장 케이블(11)과 서브 케이블(111, 112)은 접속되어 있다. 접속은, 유량 제어 장치(F1) 내에 설치된 연산 처리 장치를 개재한 것이어도 되고, 연장 케이블(11)을 분기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밸브(V12, V13)에서도, 서브 케이블(112)은 서브 케이블(113)과 접속하고, 서브 케이블(113)은 서브 케이블(114)과 접속하고 있다. 이 서브 케이블(112, 113, 114)의 접속에 대해서도, 밸브(V12, V13) 내에 설치된 연산 처리 장치를 개재한 것이어도 되고, 서브 케이블(112, 113)을 분기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어떤 접속에 대해서도, 라인 밖의 기구와 밸브(V11, V12, V13, V14)가 유량 제어 장치(F1)를 개재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됨과 아울러, 전력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으면 된다.
또, 다른 유체 공급 라인(L2, L3)에서의 접속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서, 밸브(V21, V22, V23, V24)는, 메인 케이블(10), 연장 케이블(12), 및 서브 케이블(121, 122, 123, 124)에 의해, 유량 제어 장치(F2)를 개재하여 라인 밖의 기구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밸브(V31, V32, V33, V34)는, 메인 케이블(10), 연장 케이블(13), 및 서브 케이블(131, 132, 133, 134)에 의해, 유량 제어 장치(F3)를 개재하여 라인 밖의 기구와 접속되어 있다.
구동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 밖의 기구로부터 가스 유닛(1)으로 메인 튜브(20)에 의해 공급된다.
메인 튜브(20)는, 가스 유닛(1) 근방에 설치된 분기 조인트(J1)에 의해, 유체 공급 라인(L1, L2, L3)마다 구동압을 공급하기 위한 연장 튜브(21, 22, 23)로 분기된다.
각 유체 공급 라인(L1, L2, L3)에 대해 보면, 유체 공급 라인(L1)에서는, 연장 튜브(21)는 조인트(J11)에 의해 연장 튜브(211)와 서브 튜브(214)로 분기된다. 서브 튜브(214)는 유량 제어 장치(F1)에 접속되어 있고, 이에 의해 유량 제어 장치(F1)에 구동압이 공급된다.
연장 튜브(211)는, 조인트(J111)에 의해 연장 튜브(212)와 서브 튜브(215)로 다시 분기된다. 서브 튜브(215)는 밸브(V11)에 접속되어 있고, 이에 의해 밸브(V11)에 구동압이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연장 튜브(212)는, 조인트(J112)에 의해 연장 튜브(213)와 서브 튜브(216)로 다시 분기된다. 서브 튜브(216)는 밸브(V12)에 접속되어 있고, 이에 의해 밸브(V12)에 구동압이 공급된다.
또한, 연장 튜브(213)는, 조인트(J113)에 의해 서브 튜브(217)와 서브 튜브(218)로 다시 분기된다. 서브 튜브(217)는 밸브(V13)에 접속되어 있고, 이에 의해 밸브(V13)에 구동압이 공급된다. 또한, 서브 튜브(218)는 밸브(V14)에 접속되어 있고, 이에 의해 밸브(V14)에 구동압이 공급된다.
유체 공급 라인(L2)에도 유체 공급 라인(L1)과 마찬가지의 구성에 의해 구동압이 공급된다.
즉, 연장 튜브(22)는 조인트(J12)에 의해 연장 튜브(221)와 서브 튜브(224)로 분기된다. 서브 튜브(224)는 유량 제어 장치(F2)에 접속되어 있고, 이에 의해 유량 제어 장치(F2)에 구동압이 공급된다.
연장 튜브(221)는, 조인트(J121)에 의해 연장 튜브(222)와 서브 튜브(225)로 다시 분기된다. 서브 튜브(225)는 밸브(V21)에 접속되어 있고, 이에 의해 밸브(V21)에 구동압이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연장 튜브(222)는, 조인트(J122)에 의해 연장 튜브(223)와 서브 튜브(226)로 다시 분기된다. 서브 튜브(226)는 밸브(V22)에 접속되어 있고, 이에 의해 밸브(V22)에 구동압이 공급된다.
또한, 연장 튜브(223)는, 조인트(J123)에 의해 서브 튜브(227)와 서브 튜브(228)로 다시 분기된다. 서브 튜브(227)는 밸브(V23)에 접속되어 있고, 이에 의해 밸브(V23)에 구동압이 공급된다. 또한, 서브 튜브(228)는 밸브(V24)에 접속되어 있고, 이에 의해 밸브(V24)에 구동압이 공급된다.
유체 공급 라인(L3)에도 유체 공급 라인(L1)과 마찬가지의 구성에 의해 구동압이 공급된다.
즉, 연장 튜브(23)는 조인트(J13)에 의해 연장 튜브(231)와 서브 튜브(234)로 분기된다. 서브 튜브(234)는 유량 제어 장치(F3)에 접속되어 있고, 이에 의해 유량 제어 장치(F3)에 구동압이 공급된다.
연장 튜브(231)는, 조인트(J131)에 의해 연장 튜브(232)와 서브 튜브(235)로 다시 분기된다. 서브 튜브(235)는 밸브(V31)에 접속되어 있고, 이에 의해 밸브(V31)에 구동압이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연장 튜브(232)는, 조인트(J132)에 의해 연장 튜브(233)와 서브 튜브(236)로 다시 분기된다. 서브 튜브(236)는 밸브(V32)에 접속되어 있고, 이에 의해 밸브(V32)에 구동압이 공급된다.
또한, 연장 튜브(233)는, 조인트(J133)에 의해 서브 튜브(237)와 서브 튜브(238)로 다시 분기된다. 서브 튜브(237)는 밸브(V33)에 접속되어 있고, 이에 의해 밸브(V33)에 구동압이 공급된다. 또한, 서브 튜브(238)는 밸브(V34)에 접속되어 있고, 이에 의해 밸브(V34)에 구동압이 공급된다.
여기서, 유체 공급 라인(L1)에 대해, 유량 제어 장치(F1)와 밸브(V11, V12, V13, V14)는 모두 조인트(J11, J111, J112, J113), 연장 튜브(211, 212, 213), 및 서브 튜브(214, 215, 216, 217, 218)를 개재하여 연장 튜브(21)나 그 앞의 메인 튜브(20)와 접속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튜브(21)와 유량 제어 장치(F1)를 접속한 후, 유량 제어 장치(F1)로부터 구동압을 각 밸브(V11, V12, V13, V14)에 공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유량 제어 장치(F1) 내에, 메인 튜브(20)로부터 공급된 구동압을 각 밸브(V11, V12, V13, V14)에 분배하기 위한 기구를 설치해도 되고, 유량 제어 장치(F1) 내에 끌어넣은 메인 튜브를 유량 제어 장치(F1) 내에서 분기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 유체 공급 라인(L2, L3)에 대해서도 이와 마찬가지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유체 공급 라인(L1, L2, L3)의 구성에 의하면, 전력 공급이나 통신을 행하기 위한 케이블이 심플한 것이 되고, 잡음을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지시 신호의 전송 속도의 지연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구동압을 공급하는 튜브의 내용적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밸브(V)나 유량 제어 장치(F) 등의 각 유체 제어 기기의 개폐 속도를 유지함과 아울러, 각 유체 제어 기기의 개폐 속도에 오차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유체 제어 기기마다의 동작의 불균일을 억제하여 유체 공급 라인(L1, L2, L3)의 제어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각 밸브(V)가 유량 제어 장치(F)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유량 제어 장치(F)가 각 밸브(V)를 식별하여 제어 가능하게 하면, 동일한 라인을 구성하는 각 밸브(V)를 개별적으로 식별하여 이상의 유무를 진단하거나, 라인 전체에서 본 각 밸브(V)의 동작을 해석하거나 할 수 있다.
또, 유량 제어 장치(F1, F2, F3)에 집약된 각 유체 공급 라인(L1, L2, L3)의 동작 정보를, 메인 케이블(10)을 개재하여 외부의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해 송신하고, 이 정보 처리 장치에서 이상의 유무를 진단시키거나, 동작을 해석시키거나 할 수도 있다. 또, 외부의 정보 처리 장치는, 라인 밖의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어도 되고, 라인 밖의 기구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장치이어도 된다. 또한, 이러한 외부의 정보 처리 장치는 이른바 서버 컴퓨터 등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유체 공급 라인(L1, L2, L3)은, 도 9~도 11에 도시된 가스 유닛(2)을 구성할 수도 있다.
가스 유닛(1)과 달리, 가스 유닛(2)을 구성하는 유체 공급 라인(L1, L2, L3)은 각각 별개로 라인 밖의 기구와 접속되어 있다.
즉, 가스 유닛(2)과 전력의 공급 및 라인 밖과의 통신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 밖의 기구와 유체 공급 라인(L1)을 접속하는 메인 케이블(10a), 라인 밖의 기구와 유체 공급 라인(L2)을 접속하는 메인 케이블(10b), 라인 밖의 기구와 유체 공급 라인(L3)을 접속하는 메인 케이블(10c)에 의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각 유체 공급 라인(L1, L2, L3)에 있어서, 유량 제어 장치(F)로부터 밸브(V)에의 접속은 가스 유닛(1)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구동압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 밖의 기구로부터 가스 유닛(2)으로, 각 유체 공급 라인(L1, L2, L3)마다 메인 튜브(20a, 20b, 20c)에 의해 공급된다.
또, 각 유체 공급 라인(L1, L2, L3)에 있어서, 조인트(J11, J12, J13)로부터 유량 제어 장치(F)나 밸브(V)에의 접속은 가스 유닛(1)과 마찬가지이다.
또, 상술한 본 실시형태에 대해, 가스 유닛(1, 2)은 모두 3개의 유체 공급 라인(L1, L2, L3)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의 적용이 라인의 수에 의해 제한되는 일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일은 없고,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구성, 수단, 혹은 기능의 변경이나 추가 등이 여러 가지 가능하다.
1, 2 가스 유닛
10, 10a, 10b, 10c 메인 케이블
101, 102 분기 케이블
11, 12, 13 연장 케이블
111, 112, 113, 114 서브 케이블
121, 122, 123, 124 서브 케이블
131, 132, 133, 134 서브 케이블
20, 20a, 20b, 20c 메인 튜브
21, 22, 23 연장 튜브
211, 212, 213 연장 튜브
214, 215, 216, 217, 218 서브 튜브
221, 222, 223 연장 튜브
224, 225, 226, 227, 228 서브 튜브
231, 232, 233 연장 튜브
234, 235, 236, 327, 238 서브 튜브
3 밸브 본체
3a 구동압 도입구
4 구동압 제어 장치
40 케이싱
411, 412 자동 밸브
421, 422 밸브 구동부
431, 432, 433 구동압 도입로
44 배기 통로
45 배선
L1, L2, L3 유체 공급 라인
C1, C2, C3 분기 커넥터
F(F1, F2, F3) 유량 제어 장치
J1 분기 조인트
J11, J111, J112, J113 조인트
J12, J121, J122, J123 조인트
J13, J131, J132, J133 조인트
V(V11~V14, V21~24, V31~34) 밸브

Claims (8)

  1.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 본체에 연결된 구동압 제어 장치를 구비한 밸브로서,
    상기 구동압 제어 장치는,
    라인 밖의 구동압 공급원과 접속하는 제1 구동압 도입로와,
    상기 제1 구동압 도입로를 개폐하는 제1 자동 밸브와,
    상기 밸브 본체의 구동압 도입구에 연결하는 제2 구동압 도입로와,
    상기 제1 자동 밸브와 연동하여 상기 제2 구동압 도입로를 개폐함과 아울러, 상기 제2 구동압 도입로로부터 구동압을 배기하는 배기 통로를 개폐하는 제2 자동 밸브와,
    상기 제1 자동 밸브 및 상기 제2 자동 밸브를 개재하여, 상기 제1 구동압 도입로와 상기 제2 구동압 도입로를 연결하는 제3 구동압 도입로를 갖는, 밸브.
  2. 유량 제어 장치와,
    청구항 1에 기재된 밸브를 구비한 유체 공급 라인으로서,
    상기 유체 공급 라인 밖의 기구와, 상기 유량 제어 장치를 접속하는 제1 접속 수단과,
    상기 유체 공급 라인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수단으로부터 분기하여, 상기 밸브에 접속하는 제2 접속 수단을 갖는, 유체 공급 라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수단 및 상기 제2 접속 수단이, 상기 유체 공급 라인 밖의 기구로부터 상기 밸브의 구동에 이용하는 구동압을 공급하는 구동압 공급로인, 유체 공급 라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수단 및 상기 제2 접속 수단이, 상기 유체 공급 라인 밖의 기구와, 상기 유량 제어 장치 및 밸브를 통신 가능하게 하는 전기 배선인, 유체 공급 라인.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 라인은 복수 병설되어 가스 유닛을 구성하고 있고,
    상기 제1 접속 수단은, 상기 가스 유닛 근방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유체 공급 라인마다 분기하여, 상기 복수의 유체 공급 라인 상의 유량 제어 장치마다 접속하는, 유체 공급 라인.
  6.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제어 장치는, 유량 레인지 가변형 유량 제어 장치로서,
    상기 유량 레인지 가변형 유량 제어 장치는,
    유량 제어 장치의 유량 검출부로의 유체 통로로서 적어도 소유량용과 대유량용의 유체 통로를 마련하고,
    상기 소유량용 유체 통로를 통해 소유량 영역의 유체를 유량 검출부로 유통시킴과 아울러, 구동압의 공급 유무에 따라 유량 제어부의 검출 레벨을 소유량 영역의 검출에 적합한 검출 레벨로 전환하고, 또한, 상기 대유량용 유체 통로를 통해 대유량 영역의 유체를 상기 유량 검출부로 유통시킴과 아울러, 구동압의 공급 유무에 따라 유량 제어부의 검출 레벨을 대유량 영역의 유량의 검출에 적합한 검출 레벨로 전환함으로써, 대유량 영역과 소유량 영역의 유체를 각각 전환하여 유량 제어하는, 유체 공급 라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량 레인지 가변형 유량 제어 장치에 공급된 구동압이, 상기 유량 레인지 가변형 유량 제어 장치를 통해 다른 유체 제어 기기에 공급되는, 유체 공급 라인.
  8.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제어 장치는, 차압식 유량 제어 장치로서,
    상기 차압식 유량 제어 장치는,
    밸브 구동부를 구비한 컨트롤 밸브부와,
    상기 컨트롤 밸브의 하류측에 설치된 오리피스와,
    상기 오리피스의 상류측의 유체 압력의 검출기와,
    상기 오리피스의 하류측의 유체 압력의 검출기와,
    상기 오리피스의 상류측의 유체 온도의 검출기와,
    상기 각 검출기로부터의 검출 압력 및 검출 온도를 이용하여 유체 유량을 연산함과 아울러, 연산 유량과 설정 유량의 차를 연산하는 유량 비교 회로를 구비한 제어 연산 회로를 갖는, 유체 공급 라인.
KR1020207003142A 2017-09-30 2018-08-28 유체 공급 라인 KR1022686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92269 2017-09-30
JPJP-P-2017-192269 2017-09-30
PCT/JP2018/031754 WO2019065048A1 (ja) 2017-09-30 2018-08-28 バルブ及び流体供給ラ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897A true KR20200024897A (ko) 2020-03-09
KR102268648B1 KR102268648B1 (ko) 2021-06-23

Family

ID=65903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142A KR102268648B1 (ko) 2017-09-30 2018-08-28 유체 공급 라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43549B2 (ko)
JP (1) JP7216422B2 (ko)
KR (1) KR102268648B1 (ko)
CN (1) CN111033104B (ko)
SG (1) SG11202001451XA (ko)
TW (1) TWI678489B (ko)
WO (1) WO20190650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6095A1 (en) 2017-12-21 2019-06-27 Swagelok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 and monitoring of actuated valves
WO2020171018A1 (ja) * 2019-02-19 2020-08-27 株式会社フジキン バルブ
JP7389461B2 (ja) * 2019-10-31 2023-11-30 株式会社フジキン バルブ装置および流体制御装置
JP7425462B2 (ja) * 2019-10-31 2024-01-31 株式会社フジキン 流体制御装置および半導体製造装置
JP2022029854A (ja) * 2020-08-05 2022-02-18 株式会社堀場エステック 流量制御装置、流量制御方法、及び、流量制御プログラ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6481A (ja) * 1987-09-12 1989-05-18 Wabco Westinghouse Fahrzeugbremsen Gmbh 中継弁装置
KR20020093857A (ko) * 2000-03-27 2002-12-16 파커-한니핀 코포레이션 반도체 제조용 처리기체의 유량제어시스템 및 방법
JP2004316837A (ja) * 2003-04-18 2004-11-11 Koganei Corp 流体圧バルブユニット
JP2012033188A (ja) * 2011-10-03 2012-02-16 Tohoku Univ 流量レンジ可変型流量制御装置
JP2016223533A (ja) 2015-05-29 2016-12-28 株式会社フジキン バルブおよび流体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77791A (en) * 1955-08-15 1959-03-17 Fisher Governor Co Flexible diaphragm flow control valve
JPS61116107A (ja) * 1984-11-09 1986-06-03 Hitachi Ltd アクチユエ−タの制御装置
US4702287A (en) * 1986-08-22 1987-10-27 Eagle-Picher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automatic inflation of tires for testing
JP3628767B2 (ja) * 1994-12-19 2005-03-16 大阪瓦斯株式会社 圧力制御装置
US5654885A (en) * 1995-03-28 1997-08-05 Virginia Valve Company Corporation Valve position controller
JP3859221B2 (ja) * 1997-09-05 2006-12-20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空気圧駆動用の開閉制御弁
JP2000018419A (ja) * 1998-07-06 2000-01-18 Techno Excel Co Ltd 電磁比例制御弁及び電磁比例制御弁装置
KR100452318B1 (ko) * 2002-01-17 2004-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압력조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압력조절방법
JP4204400B2 (ja) 2003-07-03 2009-01-07 忠弘 大見 差圧式流量計及び差圧式流量制御装置
WO2005062148A1 (en) 2003-12-22 2005-07-07 Greenlight Power Technologies, Inc. Controlled process gas pressure decay at shut down
JP2006319190A (ja) * 2005-05-13 2006-11-24 Ckd Corp ガス供給集積ユニット、ガスユニット及びモジュールユニット
JP4856905B2 (ja) 2005-06-27 2012-01-18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流量レンジ可変型流量制御装置
GB2437306B (en) * 2006-04-22 2010-07-07 Sam Mather Autonomous shut-off valve system
US20080149186A1 (en) * 2006-12-21 2008-06-26 Martin Ricky L Method and apparatus for emission management
JP2008292484A (ja) * 2008-05-19 2008-12-04 Horiba Stec Co Ltd 集積タイプのマスフローコントローラを用いた流体供給機構
JP4977669B2 (ja) * 2008-09-05 2012-07-18 忠弘 大見 差圧式流量計
US7770612B1 (en) * 2009-09-04 2010-08-10 Jimmy Earle Brown Pressure-actuated air gun
JP5250875B2 (ja) * 2009-10-20 2013-07-31 Smc株式会社 フローコントローラ
KR102209182B1 (ko) * 2015-08-26 2021-01-29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분류 시스템
CN107013740A (zh) * 2017-05-11 2017-08-04 闫化存 一种磁控传感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6481A (ja) * 1987-09-12 1989-05-18 Wabco Westinghouse Fahrzeugbremsen Gmbh 中継弁装置
KR20020093857A (ko) * 2000-03-27 2002-12-16 파커-한니핀 코포레이션 반도체 제조용 처리기체의 유량제어시스템 및 방법
JP2004316837A (ja) * 2003-04-18 2004-11-11 Koganei Corp 流体圧バルブユニット
JP2012033188A (ja) * 2011-10-03 2012-02-16 Tohoku Univ 流量レンジ可変型流量制御装置
JP2016223533A (ja) 2015-05-29 2016-12-28 株式会社フジキン バルブおよび流体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16422B2 (ja) 2023-02-01
US20200225686A1 (en) 2020-07-16
JPWO2019065048A1 (ja) 2020-10-22
TW201915371A (zh) 2019-04-16
TWI678489B (zh) 2019-12-01
WO2019065048A1 (ja) 2019-04-04
US11243549B2 (en) 2022-02-08
CN111033104B (zh) 2021-12-03
SG11202001451XA (en) 2020-03-30
KR102268648B1 (ko) 2021-06-23
CN111033104A (zh) 2020-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8648B1 (ko) 유체 공급 라인
US20230258281A1 (en) Valve, Abnormality Diagnosis Method of Valve
CN104048705B (zh) 采用主元件连接平台的过程变量测量
US20230003318A1 (en) A valve for adjusting a fluid flow and method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uch a valve
CN108496064B (zh) 能够测定流量的气体供给装置、流量计以及流量测定方法
KR20180079426A (ko) 유체 제어 장치, 유체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유체 제어 시스템
KR102305808B1 (ko) 유체 공급 라인의 이상 진단 방법
KR102285972B1 (ko) 유체 공급 라인 및 동작 해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