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1125A - 염소 사육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염소의 사육방법 - Google Patents

염소 사육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염소의 사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1125A
KR20200021125A KR1020180096480A KR20180096480A KR20200021125A KR 20200021125 A KR20200021125 A KR 20200021125A KR 1020180096480 A KR1020180096480 A KR 1020180096480A KR 20180096480 A KR20180096480 A KR 20180096480A KR 20200021125 A KR20200021125 A KR 20200021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goat
weight
breeding
ingredi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1788B1 (ko
Inventor
송동익
Original Assignee
송동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동익 filed Critical 송동익
Priority to KR1020180096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788B1/ko
Publication of KR20200021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7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염소 사육용 사료는 (1) 종래의 일반적인 염소 사료 성분 40∼60 중량%, 및 (2) 개똥쑥, 옻, 인삼, 및 돼지감자를 포함하는 부가 사료 성분 60∼40 중량%로 구성된다. 상기 염소 사료 성분은 염소 사육용 사료로 이미 공지된 것으로, 소맥피, 버섯부산물, 및 미강이 주성분을 이룬다. 상기 부가 사료 성분은 개똥쑥 40∼60 중량%, 옻 20∼30 중량%, 인삼 10∼20 중량%, 및 돼지감자 10∼2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가 사료 성분은 전체 부가 사료 성분 중에서 음양곽 1~2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맥피, 버섯부산물, 및 미강을 주성분하는 종래의 염소 사료 성분과 개똥쑥, 옻, 인삼, 돼지감자 및 음양곽으로 이루어진 상기 부가 사료 성분은 모두 분말로 분쇄한 후, 사료로 입제화한다. 염소는 생후 10개월 정도 사육하면 성장을 멈추게 되는데, 생후 5개월까지는 소맥피, 버섯부산물, 및 미강을 주성분하는 종래의 염소 사료를 먹이고, 생후 5개월 이후부터 약 5개월 동안 본 발명에 따른 염소 사육용 사료를 먹인다.

Description

염소 사육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염소의 사육방법{Feed for Breeding Goats and Method of Breeding Goats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염소 사육용 사료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육질이 부드럽고 맛이 좋은 염소 고기를 제공하며, 질병에 대한 면역력이 우수한 염소를 사육하기 위한 염소 사육용 사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육질이 부드럽고 맛이 좋은 염소 고기를 제공하며, 질병에 대한 면역력이 우수한 염소를 사육하는 방법도 포함한다.
염소는 대부분 소규모로 사육되는 동물로서 산업적 비중이 낮아 축산관련 분야에서 관심이 낮았으나, 흑염소 등을 가공한 식품이나 건강보조식품 등으로 개발되면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염소의 하루 산유량은 2.7 내지 3.6 kg으로, 젖소에 비해서는 적으나, 염소 사육은 농가의 부업으로 유휴지를 이용하여 소득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전망이 밝은 목축업으로 각광받고 있다.
한편, 염소고기는 지방질의 함량이 적은 반면, 단백질, 칼슘, 철분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임산부뿐만 아니라 회복기의 환자나 성장기의 어린이에게 좋은 식품이다. 또한, 염소고기는 토코페롤 함량이 높아 세포의 노화를 방지하고, 불임을 막아주는 작용뿐 아니라, 시력을 회복시키고, 두뇌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초강목에서는 염소육이 원양을 보하며 허약을 낫게 하고 마음을 평안케 한다고 기술한다.
이러한 염소육의 장점으로 인하여 염소를 사육하는 농가가 증가되었고, 나아가 염소육의 육질 및 풍미를 개선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있어왔다. 특허공개공보 제2013-112123호는 염소 사료 조성물에 파인애플, 맥반석, 유황, 생균제 등을 첨가하여 육질이 개선된 우수한 염소육을 얻을 수 있는 염소 사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특허공개공보 제2015-11475호는 흑염소의 육질을 부드럽게 하고 식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포도, 모과, 사과, 감, 유자, 쑥, 칡순, 산다래, 구지뽕 나무, 마늘, 양파 및 대파뿌리를 세척한 후, 숙성 발효시켜 건조 다시마를 혼합한 흑염소 보조사료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종래 오리고기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고 육질 및 맛을 개선하기 위해 인삼, 방아풀, 및 솔잎분말을 포함하는 오리 사육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오리의 사육방법에 대하여 출원하여 특허받은 바 있다(특허번호 제0466946호).
본 발명자는 염소에 관하여도 육질이 부드럽고 맛이 좋은 염소 고기를 제공하며, 사육시에 질병에 대한 면역력이 우수한 염소를 사육하는 방법을 연구하여 본 발명의 염소 사육용 사료를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육질이 부드럽고 맛이 좋은 염소 고기를 제공하도록 염소를 사육하기 위한 염소 사육용 사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육질이 부드럽고 맛이 좋은 염소 고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육시에 질병에 대한 면역력이 우수한 염소를 사육하기 위한 염소 사육용 사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육질이 부드럽고 맛이 좋은 염소 고기를 생산하고, 사육시에 질병에 대한 면역력이 우수한 염소를 사육하기 위한 염소 사육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소 사육용 사료는 (1) 종래의 일반적인 염소 사료 성분 40∼60 중량%, 및 (2) 개똥쑥, 옻, 인삼, 및 돼지감자를 포함하는 부가 사료 성분 60∼40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염소 사료 성분은 염소 사육용 사료로 이미 공지된 것으로, 소맥피, 버섯부산물, 및 미강이 주성분을 이룬다. 상기 부가 사료 성분은 개똥쑥 40∼60 중량%, 옻 20∼30 중량%, 인삼 10∼20 중량%, 및 돼지감자 10∼2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맥피, 버섯부산물, 및 미강을 주성분하는 종래의 염소 사료 성분과 개똥쑥, 옻, 인삼, 및 돼지감자로 이루어진 상기 부가 사료 성분은 모두 분말로 분쇄한 후, 사료로 입제화한다. 개똥쑥, 옻, 인삼, 및 돼지감자로 이루어진 부가 사료 성분은 종래의 염소 사료 성분과 혼합하지 않고 별도로 입제화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입제화된 종래의 염소 사료 성분과 입제화된 부가 사료 성분을 혼합하여 염소에게 먹인다.
나아가 상기 부가 사료 성분에는 음양곽 1~2 중량%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염소는 생후 10개월 정도 사육하면 성장을 멈추게 되는데, 생후 5개월까지는 소맥피, 버섯부산물, 및 미강을 주성분하는 종래의 염소 사료를 먹이고, 생후 5개월 이후부터 약 5개월 동안 본 발명에 따른 염소 사육용 사료를 먹인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염소 사육용 사료를 급여하여 염소를 사육한 경우 염소의 질병저항력이 강해지고, 육질에서의 근내 지방도, 연도가 증가하고 육색 및 풍미가 좋아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염소 사육용 사료에 관한 것으로, 육질이 부드럽고 맛이 좋은 염소 고기를 제공하며, 질병에 대한 면역력이 우수한 염소를 사육하기 위한 염소 사육용 사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육질이 부드럽고 맛이 좋은 염소 고기를 제공하며, 질병에 대한 면역력이 우수한 염소를 사육하는 방법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염소 사육용 사료는 (1) 종래의 일반적인 염소 사료 성분 40∼60 중량%, 및 (2) 개똥쑥, 옻, 인삼, 및 돼지감자를 포함하는 부가 사료 성분 60∼40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염소 사료 성분은 염소 사육용 사료로 이미 공지된 것으로, 소맥피, 버섯부산물, 및 미강이 주성분을 이룬다. 상기 부가 사료 성분은 개똥쑥 40∼60 중량%, 옻 20∼30 중량%, 인삼 10∼20 중량%, 및 돼지감자 10∼2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부가 사료 성분에는 음양곽 1~2 중량%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음양곽은 값이 비교적 비싼 한약 재료로 부가 사료 성분 중에서 1~2 중량%의 범위로 사용되어도 맛과 육질에 있어서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개똥쑥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으로 잔잎쑥, 개땅쑥, 계피쑥으로도 불리우며, 길가나 빈터, 강가 또는 산비탈에서 군락을 이루며 자란다. 높이가 약 1 m에 이르고 6-8월에 녹황색의 꽃이 피며 우리나라의 경기, 제주, 평북, 함남지방을 비롯하여 아시아 및 유럽 등지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한방에서는 예로부터 개똥쑥의 지방부를 청호라는 이름으로 해열제, 지혈제, 피부병 치료제 및 살충제 등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Arteannuin, Arteannuin B, Scopoletin, Coumarin, Eupatin 성분이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괴사시키는 항암효능이 입증되면서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생약재로 평가받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자연에서 채취한 개똥쑥은 건조시켜 분말로 분쇄하여 사용한다.
옻은 동의보감에 의하면, 성질이 따뜻하고, 어혈을 없애며 여성의 생리불순, 생리통을 완화하고,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하며, 회충을 죽이고, 폐결핵을 치료하는 효능을 가진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또한, 옻은 아토피, 결핵, 골다공증, 골 연화 예방치료와 골수염, 관절염에 좋고, 피부병, 신장병, 결핵, 신경통, 간경화, 늑막염, 담낭, 신장, 허리통, 중풍, 방광결석을 치료하고, 혈전을 분리 배출 시키며 남성의 정력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자연에서 채취한 옻나무와 잎을 건조시켜 분말로 분쇄하여 사용한다.
인삼은 예로부터 한방의학에서 수천년 동안의 경험에 의하여 그 약효가 특출한 것으로 인정받아 왔다. 인삼에서는 사포닌이 가장 잘 알려져 있는 유용성분이다. 사포닌은 화학적으로 배당체라 불리는 화합물의 일종으로 지방 분해력이 크고, 영양분 흡수, 소화 촉진, 세포 내의 효소활성화로 신진대사 촉진, 동맥경화 예방, 고지혈증 개선, 당뇨병 개선, 고혈압 개선, 간 기능 강화, 항스트레스 효과, 원기회복 및 혈청단백질 합성을 촉진하는 기능이 있다. 또한, 인삼에 존재하는 폴리아세틸렌 화합물은 함암 효과, 항혈소판작용 및 항산화활성을 가지고 폴리페놀(polyphenol) 화합물은 노화억제와 관련된 지질과 산화 억제활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인삼의 산성 다당체는 지방분해를 촉진하는 독소의 하나인 톡소호르몬-L(toxohormone-L)의 활성을 억제하며, 면역기능을 증강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인삼을 건조시켜 분말로 분쇄하여 사용한다.
돼지감자는 국화과의 다년생 식물로서 뿌리줄기 끝이 굵어져서 덩이줄기가 되며, 덩이줄기가 약용부위이고, 생약명은 '우내', '국우'라고도 한다. 돼지감자에는 녹말, 당분, 루테인(Lutein), 헬레니엔(Helenien) 및 베타인(Betain) 등이 포함되어 있고, 약효로는 진통, 자양강장의 효과가 있으며, 최근에는 돼지감자의 덩이줄기에 당뇨병 치료 및 합병증 예방에 효과가 있어 천연 인슐린이라 불리는 이눌린(Inulin)이 함유되어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확한 돼지감자를 건조시켜 분말로 분쇄하여 사용한다.
음양곽(淫羊藿, Epimedii Herba)은 매자나무과에 속하는 삼지구엽초 및 동속 근연식물의 지상부로 이카린(icariin)을 함유하고, 잎에는 정유, 세릴알코올(ceryl alcohol), 탄닌(tannin), 유지가 함유되어 있으며, 지방산은 팔미트산(palmitic acid), 스테아르산(stearic acid), 올렌산(oleic acid), 리놀렌산(linoleic acid)등이다. 음양곽의 약리작용으로는 정액분비촉진, 혈압강하, 관상동맥 혈류량 증가, 혈당강하, 콜레스테롤강하, 면역기능증진, 진해, 거담, 평천, 진정작용, 억균, 소염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채취한 음양곽을 건조시켜 분말로 분쇄하여 사용한다.
소맥피, 버섯부산물, 및 미강을 주성분하는 종래의 염소 사료 성분과 개똥쑥, 옻, 인삼, 및 돼지감자로 이루어진 상기 부가 사료 성분은 모두 분말로 분쇄한 후, 사료로 입제화한다. 개똥쑥, 옻, 인삼, 및 돼지감자로 이루어진 부가 사료 성분은 종래의 염소 사료 성분과 혼합하지 않고 별도로 입제화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입제화된 종래의 염소 사료 성분과 입제화된 부가 사료 성분을 혼합하여 염소에게 먹인다.
염소는 생후 10개월 정도 사육하면 성장을 멈추게 되는데, 생후 5개월까지는 소맥피, 버섯부산물, 및 미강을 주성분하는 종래의 염소 사료를 먹이고, 생후 5개월 이후부터 약 5개월 동안 본 발명에 따른 염소 사육용 사료를 먹인다.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험군 및 대조군 염소 모두 생후 5개월까지는 모유 및 어린 염소용 사료를 급여하여 사육하였다.
실험군
개똥쑥 25 중량%, 옻 12.5 중량%, 인삼 6.25 중량%, 및 돼지감자 6.25 중량%를 혼합하여 분말화하고, 이를 공지된 일반 염소사료 50 중량%와 배합하여 입제화한 사료를 생후 5개월 이후부터 5개월 동안 급여하여 사육하였다.
대조군
일반염소사료 100 중량%를 생후 5개월 이후부터 5개월 동안 급여하여 사육하였다.
염소 생후 10개월 후 실험군 및 대조군의 염소고기를 구워 20인의 관능검사단에게 육질 및 풍미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관능검사단 중 90 %인 18인이 실험군의 염소고기가 육질이 더 부드럽고, 풍미가 더 우수하다고 평가하였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8)

  1. (1) 종래의 일반적인 염소 사료 성분 40∼60 중량%, 및 (2) 개똥쑥, 옻, 인삼, 및 돼지감자를 포함하는 부가 사료 성분 60∼40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소 사육용 사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사료 성분은 개똥쑥 40∼60 중량%, 옻 20∼30 중량%, 인삼 10∼20 중량%, 및 돼지감자 10∼2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소 사육용 사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사료 성분이 전체 부가 사료 성분 중에서 음양곽 1~2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소 사육용 사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소 사료 성분은 소맥피, 버섯부산물, 및 미강이 주성분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소 사육용 사료.
  5. 개똥쑥 40∼60 중량%, 옻 20∼30 중량%, 인삼 10∼20 중량%, 및 돼지감자 10∼2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소 사육용 사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사료 성분이 전체 부가 사료 성분 중에서 음양곽 1~2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소 사육용 사료.
  7. 염소를 사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생후 5개월까지는 소맥피, 버섯부산물, 및 미강을 주성분하는 종래의 염소 사료를 먹이고, 생후 5개월 이후부터 5개월 동안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염소 사육용 사료를 먹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소의 사육 방법.
  8. 염소를 사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생후 5개월까지는 소맥피, 버섯부산물, 및 미강을 주성분하는 종래의 염소 사료를 먹이고, 생후 5개월 이후부터 5개월 동안 종래의 일반적인 염소 사료 40∼60 중량%, 및 제5항 또는 제6항에 따른 염소 사육용 사료 60∼40 중량%를 혼합하여 먹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소의 사육 방법.
KR1020180096480A 2018-08-20 2018-08-20 염소 사육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염소의 사육방법 KR102141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480A KR102141788B1 (ko) 2018-08-20 2018-08-20 염소 사육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염소의 사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480A KR102141788B1 (ko) 2018-08-20 2018-08-20 염소 사육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염소의 사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125A true KR20200021125A (ko) 2020-02-28
KR102141788B1 KR102141788B1 (ko) 2020-08-06

Family

ID=69638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480A KR102141788B1 (ko) 2018-08-20 2018-08-20 염소 사육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염소의 사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7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75648A1 (ko) * 2020-10-05 2022-04-14 이상우 보양염소의 사육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7706A1 (en) * 2010-01-13 2011-07-21 Dodds, W., Jean Animal food compositions
KR101390725B1 (ko) * 2013-12-13 2014-04-30 동암영농조합법인 유황이 함유된 양돈 사료 및 이를 이용한 돼지의 사육방법
KR20150107175A (ko) * 2014-03-13 2015-09-23 김성건 자리공을 함유하는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축용 사료
CN105614057A (zh) * 2015-12-29 2016-06-01 张旭东 一种提高免疫猪饲料
KR20170067927A (ko) * 2015-12-08 2017-06-19 주식회사 한국에프에프씨 가축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7706A1 (en) * 2010-01-13 2011-07-21 Dodds, W., Jean Animal food compositions
KR101390725B1 (ko) * 2013-12-13 2014-04-30 동암영농조합법인 유황이 함유된 양돈 사료 및 이를 이용한 돼지의 사육방법
KR20150107175A (ko) * 2014-03-13 2015-09-23 김성건 자리공을 함유하는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축용 사료
KR20170067927A (ko) * 2015-12-08 2017-06-19 주식회사 한국에프에프씨 가축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614057A (zh) * 2015-12-29 2016-06-01 张旭东 一种提高免疫猪饲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75648A1 (ko) * 2020-10-05 2022-04-14 이상우 보양염소의 사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788B1 (ko) 202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homas et al. Mustard
CN101623054B (zh) 一种育肥羔羊黄芪风味中草药饲料添加剂
Sandeep et al. Moringa for nutritional security (Moringa oleifera Lam.)
Vaughan et al. The utilization of mustards
CN104543451A (zh) 一种适口鲶鱼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256744B1 (ko) 고추씨와 고추씨유를 이용한 핫소스 및 그 제조방법
Masih et al. Moringa: A multipurpose potential crop-A review
KR100730291B1 (ko) 양파와 생약제를 함유한 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CN105379988A (zh) 一种湖羊母羊空怀期专用饲料
JPWO2006067906A1 (ja) 蓮からの抽出エキスを含有してなる組成物
KR20130100406A (ko) 홍삼부산물을 이용한 사료 제조방법
CN104256851A (zh) 植物复方提取液、其制备方法及鱼类制品、其制备方法
KR20200021125A (ko) 염소 사육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염소의 사육방법
KR20150054519A (ko) 참마와 개땅쑥을 포함하는 고추장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고추장
Kelechi et al. Economic study of tropical leafy vegetables in South-East of Nigeria: The case of Rural Women Farmers
CN105394419A (zh) 一种提高肉仔鸡免疫力饲料
El-Gindy et al. Chemical studies and utilization of Tamarindus indica and its seeds in some technological application
CN101623058B (zh) 一种育肥羔羊甘草风味中草药饲料添加剂
KR20190091919A (ko) 약모밀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첨가제
KR20100115481A (ko) 연육제
Yadav et al. Moringa oleifera: a plant critical for food security, nutraceutical values and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the hindu-kush himalayan region: a review.
KR20150068643A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축산물 및 수산물의 특이냄새제거제 및 제조방법
KR20180065797A (ko) 십전대보탕을 먹인 오리를 이용한 한방오리탕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한방오리탕
Biswas et al. The Miracle Plant—Moringa
KR101203790B1 (ko) 머위 된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머위 된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