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9449A - 인덕터 - Google Patents

인덕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9449A
KR20200019449A KR1020180094988A KR20180094988A KR20200019449A KR 20200019449 A KR20200019449 A KR 20200019449A KR 1020180094988 A KR1020180094988 A KR 1020180094988A KR 20180094988 A KR20180094988 A KR 20180094988A KR 20200019449 A KR20200019449 A KR 20200019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inner core
support
core
outer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0719B1 (ko
Inventor
정성범
강정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4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719B1/ko
Priority to US17/266,801 priority patent/US20210343464A1/en
Priority to PCT/KR2019/010058 priority patent/WO2020036376A1/ko
Publication of KR20200019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3/10Composite arrangements of magnetic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22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01F27/263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01F27/266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206Manufacturing of magnetic cores by mechanical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7Encapsulating or impregn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과, 코일의 내측에 배치되는 이너 코어와, 사각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코일 및 이너 코어를 수용하는 아우터 코어를 포함한 인덕터에 관한 것으로, 이너 코어는 아우터 코어와 별도로 제조되며 그 축 방향 양단 중 적어도 일단은 아우터 코어와 이격된다.

Description

인덕터{INDUCTOR}
본 발명은 전류의 시간에 따른 변화로 유도기전력을 형성할 수 있는 인턱터에 관한 것이다.
인덕터는 전류의 시간에 따른 변화로 유도기전력을 형성할 수 잇는 장치이다.
인덕터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권선된 코일과, 코일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 코어와, 코일 및 이너 코어를 내부에 수용하는 아웃터 코어를 포함한다.
인덕터는 상부 이너 코어부 및 상부 아우터 코어부가 일체로 형성된 상부 코어와, 하부 이너 코어부 및 하부 아우터 코어부가 일체로 형성된 하부 코어를 별도로 제조한 후, 코일이 상부 코어와 하부 코어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제조된다.
이러한 인덕터의 인덕턴스는 상부 이너 코어부의 하단과 하부 이너 코어부의 상단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층의 두께에 따라 변화된다.
따라서 인덕턴스가 다른 인덕터의 제조를 위해서는 상부 이너 코어부와 하부 이너 코어부를 연마하여 길이를 조정하는 작업이 필요하여 인덕터의 제조가 불편하다.
또한, 이와 같이 인덕턴스의 다른 다양한 인덕터의 제조를 위해서는 다양한 길이로 연마된 상부 이너 코어부를 갖는 상부 코어들과 다양한 길이로 연마된 하부 이너 코어부를 갖는 하부 코어들을 각각 제조하여야 하므로 관리가 불편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보다 다양한 사양으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는 인덕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인덕터는 중공으로 권선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내면과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코일의 내측에 배치되는 이너 코어와, 사각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상기 코일 및 상기 이너 코어를 수용하는 아우터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이너 코어는 상기 아우터 코어와 별도로 제조되며 상기 이너 코어의 축 방향 양단 중 적어도 일단은 상기 아우터 코어와 이격된다.
또한, 상기 이너 코어의 축 방향 양단은 상기 아우터 코어의 내면과 이격된다.
또한, 상기 이너 코너는 축 방향 길이가 상기 코일의 축 방향 길이 보다 짧다.
또한, 인서트 사출 성형을 통해 상기 코일 및 상기 이너 코어를 내부에 포함하는 지지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는 그 양면에 마련되어 상기 이너 코어의 양단이 노출되도록 하는 개구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체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코일과 연결되는 복수의 핀들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아우터 코어는 그 내면으로부터 상기 이너 코어의 축 방향 양단과 대응하도록 돌출된 한 쌍의 가이드부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체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하게 마련되며 상기 지지체의 아우터 코어 내부로의 삽입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들을 포함한다.
또한, 내부에 상기 이너 코어가 고정되고 상기 코일이 권선되는 보빈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지지체의 일측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지지체가 상기 아우터 코어에 일정 이상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와, 상기 지지체의 타측 단부 양측면에 각각 오목하게 마련된 고정 슬롯들을 포함하며,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슬롯들에 끼워지는 고정 클립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인덕터 제조방법은 와이어를 권선하여 중공 형상의 코일을 준비하고, 이너 코어를 준비하고, 상기 이너 코어를 상기 코일 내부에 고정하고, 상기 코일 및 상기 이너 코어를 사각 링 형상으로 형성된 아우터 코어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또한, 상기 코일의 준비 및 상기 이너 코어의 상기 코일 내부로의 고정은 상기 이너 코어를 보빈에 고정하고 상기 보빈에 와이어를 권선함에 따라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코일 및 상기 이너 코어의 상기 아우터 코어 내부로 삽입은, 인서트 사출 성형을 통해 내부에 상기 코일 및 상기 이너 코어가 배치된 지지체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체를 상기 아우터 코어로의 삽입함에 따라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지체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체의 양면에 상기 이너 코어의 양단과 대응하는 개구를 각각 형성한다.
또한, 상기 지지체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체에 상기 코일과 연결된 핀들을 고정한다.
또한, 상기 핀들을 일 방향으로 밴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인덕터는 이너 코어와 아우터 코어가 별도로 제조되므로, 이너 코어의 길이 또는 재질을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사양의 인덕터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인덕터는 공기층의 두께를 조절하기 위해 이너 코어를 연마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가 간편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인덕터는 이너 코어의 길이를 다양하게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사양의 인덕터를 간단히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인덕터는 코어가 인서트 사출되는 지지체를 포함하므로, 코어의 고정을 위해 필요한 테이핑이나 함침 등의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에서 코일과 이너 코어의 결합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턱터에서 코일, 이너 코어 및 핀이 고정된 지지체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턱터에서 지지체가 아우터 코어에 설치되는 것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에서 지지체가 아우터 코어 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에서 핀을 밴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에 적용된 보빈에 코일이 형성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에서 지지체가 아우터 코어에 설치되는 것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에서 지지체가 아우터 코어에 설치되는 것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에서 지지체가 아우터 코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이며, 본 출원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덕터는 와이어가 권선되어 형성되는 코일(11)과, 코일(11)의 내측에 배치되는 이너 코어(12)와, 코일(11)과 이너 코어(12)를 지지하는 지지체(13)와, 사각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코일(11) 및 이너 코어(12)가 포함된 지지체(13)를 내측에 수용하는 아우터 코어(15)를 포함한다.
코일(11)은 표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셀프 본딩 와이어를 권선함으로써 대략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방법을 통해서 원통 형상의 코일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너 코어(12)는 페라이트 등과 같은 강자성체에 의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축 방향 길이(도면에서 상하 길이)가 이너 코어(12)의 축 방향 길이(도면에서는 상하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된다.
따라서, 코일(11) 및 이너 코어(12)를 아우터 코어(15) 내부에 설치하면, 이너 코어(12)의 축 방향 양단, 즉, 도면에서 이너 코어(12)의 상단과 하단 중 적어도 일단은 이너 코어(12)의 내면과 이격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너 코어(12)는 코일(11)의 중앙에 설치되어, 이너 코어(12)의 상단은 아우터 코어(15)의 상부 내면과 이격되어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고, 이너 코어(12)의 상단은 아우터 코어(15)의 하부 내면과 이격되어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된다. 즉, 이너 코어(12)를 중심으로 이너 코어(12)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공기층이 형성된다.
이너 코어(12)의 상측에 형성되는 공기층의 두께(G1)와 하측에 형성되는 공기층의 두께(G2)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공기층의 두께에 따라 공기층과 인접한 아우터 코어(15)의 상부 및 하부에서 발생하는 열의 양이 변경되므로 아우터 코어(15)의 상부 및 하부에서 동일한 수준의 열이 발생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에서 너 코어(12)의 상측에 형성되는 공기층의 두께(G1)와 하측에 형성되는 공기층의 두께(G2)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측 공기층(G1)의 두께와 하측의 공기층은 두께(G2)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체(13)는 수지와 같은 절연재질로 형성되며, 인서트 사출 성형을 통해 내부에 코일(11) 및 이너 코어(12)가 고정된다. 따라서, 코일(11)을 고정하기 위한 테이핑이나 함침 등의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지지체(13)에는 인서트 사출 성형을 통해 코일(11)과 연결되는 복수의 핀(14)들도 고정된다. 핀(14)들은 코일(11)이 기판(미도시) 등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체(13)는 코일(11) 및 이너 코어(12)를 내부에 포함하면서 양측에 핀(14)들이 설치될 수 있도록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아우터 코어(15)는 페라이트와 같은 강자성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아우터 코어(15)는 이너 코어(12)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아우터 코어(15)는 직육면체 형상의 지지체(13)의 외면과 대응하도록 대략 사각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지체(13)와 대응하는 폭을 갖는다.
아우터 코어(15)은 그 내면으로부터 이너 코어(12)의 축 방향 양단과 대응하도록 돌출된 한 쌍의 가이드부(15a)들을 포함한다. 즉, 한 쌍의 가이드부(15a)들은 이너 코어(12)의 상단 및 하단과 대응하도록 아우터 코어(15)의 내부 상면 및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이너 코어(12)와 아우터 코어(15) 사이에 작용하는 자속을 안내하여 자속의 흐름을 개선한다. 이때, 가이드부(15a)들은 이너 코어(12)의 축 방향 양단과 각각 이격된다.
한편, 지지체(13)는 한 쌍의 가이드부(15a)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한 쌍의 가이드홈(13a)들을 포함한다. 가이드홈(13a)들은 지지체(13)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오목하게 마련되며, 지지체(13)의 아우터 코어(15) 내부로의 삽입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따라서, 가이드부(15a) 및 가이드홈(13a)에 의해 지지체(13)의 아우터 코어(15) 내부로의 삽입이 안내된다.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너 코어(12)와 아우터 코어(15)는 서로 별도로 제조된다. 따라서 동일한 아우터 코어(15)에 다양한 길이의 이너 코어(12)를 적용하면, 이너 코어(12)의 양단과 아우터 코어(15)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층의 두께가 변경된다. 따라서 이너 코어(12)의 길이를 다양하게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사양의 인덕터를 간단히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이너 코어(12)와 아우터 코어(15)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너 코어(12)와 아우터 코어(15)는 서로 별도로 제조되므로, 이너 코어(12)의 길이를 일정하게 하면서도 이너 코어(12)를 여러 다른 투자율 갖는 재질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너 코어(12)의 재질을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사양의 인덕터를 간단히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코일(11)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너 코어(1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코일(11)의 중공 및 이너 코어(12)는 모두 원형 단면을 갖는다. 그러나, 이는 일례를 보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일의 중공과 이너 코어는 서로 대응하는 대략 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거나, 서로 대응하는 타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코일의 중공과 이너 코어의 단면은 서로 대응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이너 코어(12)는 중공의 코일(11) 내에 직접 고정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를 보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11)의 권선을 위한 보빈(16)을 준비하고, 보빈(16) 내에 이너 코어(12)를 고정한 후, 보빈(16)에 코일(11)을 권선하여 코일(11) 내측에 이너 코어(12)가 설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너 코어(12)는 보빈(16)에 인서트 사출되어 고정되거나, 보빈(16) 내에 접착제 등을 통해 본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인덕터의 제조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셀프 본딩 와이어를 권선하여 대략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코일(11)을 준비하고, 코일(11) 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이너 코어(12)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코일(11)의 내부에 이너 코어(12)를 고정한다. 이너 코어(12)를 코일(11)의 내부 중앙측에 설치하면, 이너 코어(12)의 상단은 코일(11)의 상단 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이너 코어(12)의 하단은 코일(11)의 하단 보다 상측에 위치한다(도 6 참조).
이너 코어(12)를 코일(11) 내에 고정한 후,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서트 사출 성형을 통해 내부에 이너 코어(12) 및 코일(11)이 고정되고 외측으로 핀(14)들이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는 지지체(13)를 형성한다.
지지체(13)가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과정에서 지지체(13)의 상면과 하면에는 이너 코어(12)의 상단 및 하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가 각각 마련되어, 이너 코어(12)의 상단 및 하단은 각각 노출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너 코어(12) 및 코일(11)을 포함한 지지체(13)는 아우터 코어(15) 내측에 삽입되어 본딩 등의 방법을 통해 아우터 코어(15) 내에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14)들은 하측으로 밴딩하여 인덕터가 기판에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는 형태로 변형하면 인덕터의 제조는 완료된다.
상기에서 코일(11)의 준비는 셀브 본딩 와이어를 권선함에 따라 이루어지나, 인덕터가 보빈(16)을 포함할 경우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빈(16) 내부에 이너 코어(12)를 고정하고, 보빈(16)에 와이어를 권선하여 코일(11)을 형성함에 따라 이루어진다. 여기에서는 보빈(16)에 이너 코어(12)가 고정된 후 보빈(16)에 코일(11)이 형성되나, 역순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에서 지지체(13)는 본딩을 통해 아우터 코어(15) 내에 고정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덕터는 고정 클립(17)을 포함하여 고정 클립(17)을 통해 지지체(13)가 아우터 코어(15)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체(13)는 지지체(13)의 일측 단부 상면 및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스토퍼(13b)와, 지지체(13)의 타측 단부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마련된 고정 슬롯(13c)들을 포함한다.
고정 클립(17)은 대략 눕혀진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 클립(17)의 상부 및 하부가 지지체(13)의 상면 및 하면에 마련된 고정 슬롯(13c)들에 끼워진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13)를 아우터 코어(15) 내로 일정 이상 삽입하면, 지지체(13)의 일측 단부에 마련된 스토퍼(13b)가 아우터 코어(15)의 일면(도면에서는 전면)에 걸려, 지지체(13)의 추가 삽입은 제한된다.
상기에서 지지체(13)의 추가 삽입은 지지체(13)에 마련된 스토퍼(13b)를 통헤 제한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체(13)에 마련된 구성 대신 아우터 코어(15)에 형성된 구성을 통해 지지체(13)의 추가 삽입이 제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지지체(13)의 타측 단부에 마련된 고정 슬롯(13c)에 고정 클립(17)을 끼우면, 고정 클립(17)이 아우터 코어(15)의 타측면(도면에서는 후면) 에 걸리므로, 고정 클립(17)에 의해 지지체(13)가 아우터 코어(15)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다는 점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인덕터               11: 코일
12: 이너 코어 13: 지지체
13a: 가이드홈 14: 핀
15: 아우터 코어 15a: 가이드부

Claims (15)

  1. 중공으로 권선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내면과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코일의 내측에 배치되는 이너 코어와,
    사각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상기 코일 및 상기 이너 코어를 수용하는 아우터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이너 코어는 상기 아우터 코어와 별도로 제조되며 상기 이너 코어의 축 방향 양단 중 적어도 일단은 상기 아우터 코어와 이격되는 인덕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코어의 축 방향 양단은 상기 아우터 코어의 내면과 이격되는 인덕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코너는 축 방향 길이가 상기 코일의 축 방향 길이 보다 짧은 인덕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인서트 사출 성형을 통해 상기 코일 및 상기 이너 코어를 내부에 포함하는 지지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는 그 양면에 마련되어 상기 이너 코어의 양단이 노출되도록 하는 개구들을 포함하는 인덕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코일과 연결되는 복수의 핀들을 더 포함하는 인덕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코어는 그 내면으로부터 상기 이너 코어의 축 방향 양단과 대응하도록 돌출된 한 쌍의 가이드부들을 포함하는 인덕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하게 마련되며 상기 지지체의 아우터 코어 내부로의 삽입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들을 포함하는 인덕터.
  8.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이너 코어가 고정되고 상기 코일이 권선되는 보빈을 더 포함하는 인덕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지지체의 일측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지지체가 상기 아우터 코어에 일정 이상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와, 상기 지지체의 타측 단부 양측면에 각각 오목하게 마련된 고정 슬롯들을 포함하며,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슬롯들에 끼워지는 고정 클립을 더 포함하는 인덕터.
  10. 와이어를 권선하여 중공 형상의 코일을 준비하고,
    이너 코어를 준비하고,
    상기 이너 코어를 상기 코일 내부에 고정하고,
    상기 코일 및 상기 이너 코어를 사각 링 형상으로 형성된 아우터 코어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인덕터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준비 및 상기 이너 코어의 상기 코일 내부로의 고정은 상기 이너 코어를 보빈에 고정하고 상기 보빈에 와이어를 권선함에 따라 이루어지는 인덕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및 상기 이너 코어의 상기 아우터 코어 내부로 삽입은,
    인서트 사출 성형을 통해 내부에 상기 코일 및 상기 이너 코어가 배치된 지지체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체를 상기 아우터 코어로의 삽입함에 따라 이루어지는 인덕터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체의 양면에 상기 이너 코어의 양단과 대응하는 개구를 각각 형성하는 인덕터 제조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체에 상기 코일과 연결된 핀들을 고정하는 인덕터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핀들을 일 방향으로 밴딩하는 인덕터 제조방법.
KR1020180094988A 2018-08-14 2018-08-14 인덕터 KR102520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988A KR102520719B1 (ko) 2018-08-14 2018-08-14 인덕터
US17/266,801 US20210343464A1 (en) 2018-08-14 2019-08-09 Inductor
PCT/KR2019/010058 WO2020036376A1 (ko) 2018-08-14 2019-08-09 인덕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988A KR102520719B1 (ko) 2018-08-14 2018-08-14 인덕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449A true KR20200019449A (ko) 2020-02-24
KR102520719B1 KR102520719B1 (ko) 2023-04-12

Family

ID=69525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988A KR102520719B1 (ko) 2018-08-14 2018-08-14 인덕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343464A1 (ko)
KR (1) KR102520719B1 (ko)
WO (1) WO2020036376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789Y1 (ko) * 2002-03-12 2002-06-26 크로바하이텍(주) 쵸크 코일
KR200352340Y1 (ko) * 2004-03-15 2004-06-04 아비코전자 주식회사 표면실장형 인덕터
WO2016003190A1 (ko) * 2014-07-01 2016-01-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
JP2017168564A (ja) * 2016-03-15 2017-09-21 Ntn株式会社 磁性素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7606B2 (ja) * 1992-05-07 2001-08-13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インダクタンス可変型コイル装置
EP1211700A3 (en) * 2000-11-30 2003-10-15 NEC TOKIN Corporation Magnetic core including magnet for magnetic bias and inductor component using the same
JP2012039098A (ja) * 2010-07-13 2012-02-23 Sumitomo Electric Ind Ltd リアクトル及びコイル部品
CN103733283A (zh) * 2011-08-01 2014-04-16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扼流线圈
KR102070051B1 (ko) * 2013-06-17 2020-0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인덕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WO2017047740A1 (ja) * 2015-09-17 2017-03-23 Ntn株式会社 磁性素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789Y1 (ko) * 2002-03-12 2002-06-26 크로바하이텍(주) 쵸크 코일
KR200352340Y1 (ko) * 2004-03-15 2004-06-04 아비코전자 주식회사 표면실장형 인덕터
WO2016003190A1 (ko) * 2014-07-01 2016-01-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
JP2017168564A (ja) * 2016-03-15 2017-09-21 Ntn株式会社 磁性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36376A1 (ko) 2020-02-20
KR102520719B1 (ko) 2023-04-12
US20210343464A1 (en)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5856B2 (en) Coil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il component
JP6094251B2 (ja) コイル装置
CN107221414B (zh) 磁性元件
JP2005510050A5 (ko)
US9030284B2 (en) Combined structure of hollow bobbin and conductive sheet, hollow bobbin, and conductive sheet
US20080143470A1 (en) Coil unit
JP2018037608A (ja) コイル装置および保持部材
US9905356B2 (en) Magnetic component for a switching power suppl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agnetic component
JP2017112213A (ja) チョークコイル
JP6706148B2 (ja) コイル部品
JP2000277337A (ja) コイル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EP3510608B1 (en) Coupled inductor
CN105742038A (zh) 共模扼流线圈
KR102520719B1 (ko) 인덕터
JP2000182844A (ja) インダクタンス部品
JP2017069349A (ja) コイル部品
JP2001313220A (ja) インダクタンス部品
KR102425338B1 (ko) 유도성 소자용 코어 및 유도성 소자
KR102194177B1 (ko) 통합된 접지 구조를 갖는 회로 기판 자성 구성요소 및 제조 방법
JPH07106147A (ja) 面実装型インダクタ
JP2022018792A (ja) トランス
JP4603728B2 (ja) 磁心及びコイル部品
KR101735645B1 (ko) 인덕터 및 트랜스포머
KR101105481B1 (ko) 평면 변압기
JPH09180945A (ja) ピン端子付ボビン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