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177B1 - 통합된 접지 구조를 갖는 회로 기판 자성 구성요소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통합된 접지 구조를 갖는 회로 기판 자성 구성요소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177B1
KR102194177B1 KR1020157027692A KR20157027692A KR102194177B1 KR 102194177 B1 KR102194177 B1 KR 102194177B1 KR 1020157027692 A KR1020157027692 A KR 1020157027692A KR 20157027692 A KR20157027692 A KR 20157027692A KR 102194177 B1 KR102194177 B1 KR 102194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circuit board
bobbin
core piece
magnetic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7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9851A (ko
Inventor
이펑 얀
로버트 보거트
젠후아 장
정주오 덩
Original Assignee
쿠퍼 테크놀로지스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퍼 테크놀로지스 컴파니 filed Critical 쿠퍼 테크놀로지스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50139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01F27/266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100, 200, 300, 400)는 보드 핀 부분(160, 260, 360, 460) 및 보드 핀 부분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구성요소 접지 섹션(162, 262, 362, 462)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접지 핀(152, 252, 352, 452)을 구비한 보빈(102, 202, 302, 402)을 포함한다. 구성요소 접지 섹션은 전력 공급 응용에서의 전자기 간섭에 대처하기 위해 자성 피스 또는 보빈에 고정된다. 구성요소는 개선된 성능 특성과 함께 감소된 수의 단계 및 더 큰 균일성으로 제조가능하다.

Description

통합된 접지 구조를 갖는 회로 기판 자성 구성요소 및 제조 방법{CIRCUIT BOARD MAGNETIC COMPONENT WITH INTEGRATED GROUND STRUCTURE AND METHODS FOR MANUFACTURE}
본 발명의 분야는 일반적으로 인덕터(inductor)와 같은 자성 구성요소의 제조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회로 기판 응용을 위한 통합된 접지 구조를 갖는 변압기 장치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인덕터 및 변압기와 같은 자성 구성요소는 현재 전자 장치를 위한 전력 공급 응용에 널리 사용된다. 회로 기판 응용을 위한 변압기 장치가 알려져 있으며, 회로 기판의 대응하는 관통 구멍 내에 전기적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전도성 핀(pin)을 포함하는 절연 보빈(bobbin) 상에 권취된 일차 및 이차 변압기 코일을 포함한다. 보빈 및 관련 코일은 자기 코어 조립체에 결합되고, 주지된 원리에 따르면, 변압기의 코일은 입력 전압과는 상이한 전압의 전력 공급 출력을 제공하기 위해 전압 입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더 높은 전압 입력이 회로 기판 상의 전자장치에 의한 사용에 적합한 더 낮은 전압 입력으로 강압될 수 있거나, 회로 기판 상의 전자장치로부터의 더 낮은 전압 출력이 다른 전기 장치에 입력되는 더 높은 전압으로 승압될 수 있다.
전자기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문제는 그러한 변압기의 소정 응용에서 골칫거리이며, 대응하는 개선이 요구된다. 일 단부에서 와이어를 자기 코어에 연결하고 대향 단부에서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조용한 노드(electrically quiet node)에 연결하는 것이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와이어의 일 단부는 전형적으로 변압기가 회로 기판 상에 설치될 때 회로 기판 조립체를 통해 조용한 전기적 노드에 연결되는 보빈 상에 제공된 전도성 핀에 연결되고, 이 와이어의 다른 단부는 전도성 에폭시를 사용하여 자기 코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EMI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그러한 와이어 조립 공정은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 그것은 또한 구성요소가 사용됨에 따라 접지 저항을 변동시킴으로써 야기되는 신뢰성 문제 및 성능 문제를 겪는다. 특히, 더 낮은 접지 저항이 바람직하지만, 실제 접지 저항은 제조 관점에서 제어하기가 어렵다. 그 결과, 코어 대 핀 저항이 시험되어야 하며, 이는 변압기 구성요소를 제공하는 증가된 비용으로 이어진다.
미국 특허 제 8,198,969 호는 보빈의 포켓(pocket) 내에 제공된 접지 핀을 갖고, 접지 핀의 단부를 자기 코어의 표면에 노출시키는 변압기 구성요소를 교시한다. 자기 코어에는 핀을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핀 및 코어는 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에 기술된 와이어 조립 고정에 비해 상당한 개선을 나타내지만, 제조 관점에서 완전히 만족스럽지는 않으며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circuit board transformer component)를 제공하며, 이러한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는 복수의 전기 전도성 핀(pin)이 제공된 보빈(bobbin); 및 이 보빈에 조립된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magnetic body)를 포함하며, 전기 전도성 핀 중 적어도 하나는 기판 핀 부분(board pin portion) 및 이 기판 핀 부분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구성요소 접지 섹션(component ground section)을 포함하는 접지 핀이다.
비제한적이며 총망라하는 것이 아닌 실시예가 하기의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며, 도면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동일한 도면 부호는 여러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품을 지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를 위한 제 1 예시적인 코어 피스(core piece)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코어 피스의 평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코어 피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접지 핀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보빈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예시적인 보빈 및 접지 핀의 측면도,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코어 피스를 포함하는 자기 코어 조립체와 조립되고 있는 보빈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조립체의 저면도이며, 코어에 대한 접지 핀의 연결을 예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6과 유사하지만 제조의 다른 단계를 예시하는 도면이며, 접지 핀이 전도성 에폭시를 사용하여 제위치에 접착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제조의 다른 스테이지에서의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조립체의 배면 사시도이며, 변압기 구성요소가 경화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접지 핀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보빈의 평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보빈의 정면 사시도,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보빈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자기 코어 피스의 정면 사시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자기 코어 피스의 평면도,
도 13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자기 코어 피스와 조립되고 있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보빈의 사시도이며, 코어에 대한 접지 핀의 연결을 예시하는 도면,
도 14는 도 13과 유사한 도면이지만, 조립체 내의 제 2 자기 코어 피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도 14와 유사한 도면이지만 제조의 다른 스테이지를 예시하며, 접지 핀이 전도성 에폭시를 사용하여 제위치에 접착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도 15와 유사한 도면이지만 제조의 다른 스테이지에서의 구성요소를 예시하며, 변압기 구성요소가 경화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자기 코어 피스의 정면 사시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자기 코어 피스의 평면도,
도 19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자기 코어 피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접지 핀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보빈의 정면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보빈의 측면도,
도 21은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코어 피스를 포함하는 자기 코어 조립체와 조립되고 있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보빈의 사시도이며, 자기 코어 피스에 대한 접지 핀의 연결을 예시하는 도면,
도 22는 도 21과 유사한 도면이지만 제조의 다른 스테이지를 예시하며, 접지 핀이 전도성 에폭시를 사용하여 제위치에 접착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도 21에 도시된 조립체의 측면도이며, 자기 코어 피스에 대한 접지 핀의 연결을 예시하는 도면,
도 24는 제조의 다른 스테이지에서의 도 22에 도시된 조립체의 측면도이며, 접지 핀이 전도성 에폭시를 사용하여 제위치에 접착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제 4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자기 코어 피스의 정면 사시도,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자기 코어 피스의 평면도,
도 27은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자기 코어 피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접지 핀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보빈의 배면 사시도,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예시적인 보빈의 저면도,
도 29는 도 27에 도시된 보빈의 배면 사시도이며, 보빈에 대한 접지 핀의 연결을 예시하는 도면,
도 30은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자기 코어 피스와 조립되고 있는 도 29에 도시된 보빈을 예시하는 도면,
도 31은 제 2 자기 코어 피스가 제공된 도 31의 조립체를 예시하는 도면,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구성요소와 종래의 변압기 구성요소의 비교적인 접지 저항 차트.
EMI 우려에 대처하기 위해 접지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조되는 구성요소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더 나은 접지 성능을 달성(즉, 제조되는 구성요소의 접지 저항을 상기에 기술된 유형의 공지된 구성요소에 비해 낮춤)하는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기술된다. 방법 태양이 하기의 설명에서 부분적으로 명백할 것이고 부분적으로 명확하게 논의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은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도 4 내지 도 6)의 제 1 예시적인 실시예를 집합적으로 예시하며,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100)는 일반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별도로 예시된 보빈(102)과, 도 1 및 도 2에 별도로 예시된 제 1 자성 피스(106), 및 제 2 자성 피스(108)로부터 제조된 자성체(magnetic body)(104)를 포함한다.
이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자성 피스(106)는 일반적으로 대체로 평평하거나 평면형인 베이스(base)(110), 및 베이스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직립 측벽(112, 114, 116)을 포함한다. 측벽(112, 114, 116)은 그것의 외부에서는 대체로 직선형이고 직선적이지만 내부에서는 둥글어서, 베이스(110) 위에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내부 리세스(recess) 또는 리셉터클(receptacle)(118)을 한정한다. 둥근 돌출부(120)가 리셉터클(118)의 중심 부분에서 베이스(110)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예에서, 돌출부(120)의 주연부(periphery)는 대체로 원형이고 베이스(110) 상에 360° 원호를 완성하는 반면, 리셉터클(118)은 측부 개방형이고 베이스(110) 위에 360°보다 훨씬 작은 원호를 완성한다.
베이스(110)의 전방 에지(122)는 노출되고, 도시된 예에서 홈(124) 및 테이퍼형(tapered) 측부 에지(126)를 포함한다. 테이퍼형 측부 에지(126)는 전방 에지(122)에 인접한 삼각형 형상 또는 웨지(wedge) 형상의 전방 모서리를 부여한다. 전방 에지(122)의 반대편 모서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 에지(126)와 같은 테이퍼형 모서리를 포함하지 않는다. 측벽(112, 116)은 베이스(110)의 전방 에지(122) 위로 연장되는 노출된 전방 표면(128, 130)을 추가로 포함한다. 베이스(110)의 전방 에지(122)는 또한 원하는 위치 및 배향으로의 보빈(102)의 안착(seating)을 돕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챔퍼링(chamfering)될 수 있다.
코어 피스(106)는 공지된 공정에 따라 공지된 자성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코어 피스(108)(도 4 내지 도 8)는 고려되는 실시예에서 코어 피스(106)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피스로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홈(124)은 코어 피스(108)에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으며 포함될 필요가 없다는 것에 유의한다.
이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보빈(102)은 전기 비전도성 또는 절연성 재료로부터 제조되고, 일반적으로 상부 플랜지(140), 관형 몸체(142), 하부 플랜지(144) 및 연결 부분(146)을 포함한다. 플랜지(140)는 공지된 방법 및 기술에 따른 일차 권선 또는 코일 및 이차 권선 또는 코일을 수용하기 위한 권선 공간(148)을 한정한다. 코일 또는 권선은 연결 부분(146) 내에 제공된 복수의 전기 전도성 핀(150, 152, 154, 156) 중 하나에 종단접속되거나 연결된다. 핀(150, 152, 154, 156)은 일반적으로 연결 부분(146)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고, 관형 부분(142)의 종축(158)에 대체로 평행하다.
도 3 및 도 4의 예에서 핀 중 하나, 즉 핀(152)은 접지 핀이며, 그 내의 관통 구멍을 통한 회로 기판에의 연결을 위해 축(158) 및 다른 핀(150, 154, 156)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방향 핀 기판 부분(160)과, 축(158) 및 다른 핀(150, 154, 156)에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구성요소 접지 부분(162)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그리고 다른 핀(150, 154, 156)과는 다르게, 접지 핀(152)은 직각 굽힘부(bend)를 포함하며, 이 직각 굽힘부는 직각 굽힘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접지 부분(162) 및 직각 굽힘부의 다른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핀 기판 부분(160)을 갖는다. 그렇기 때문에, 접지 부분(162)은 도 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분(146)의 수직 측벽(164)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반면, 핀 기판 부분(160)은 연결 부분(146)의 저부 벽(166)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다. 직각 굽힘부는 하기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코어 피스(106)에 대한 접지 핀(152)의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다른 핀(150, 154, 156)은 실질적으로 직선형이며, 직각 굽힘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플랜지(140, 144)는 각각 관형 부분(142)의 중공(hollow) 내부와 연통하는 중심 개구(168)를 포함한다. 중심 개구(168)는 보빈(102)이 코어 피스(106)에 조립될 때 자기 코어 피스(106)(도 1 및 도 2)의 돌출부(120)와 협력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102)은 피스를 적절한 배향으로 안내하기 위해 보빈(102) 내의 개구(168)(도 3) 및 코어 피스(106, 108) 내의 돌출부(120)(도 1 및 도 2)를 사용하여, 코어 피스(106, 108) 사이에 개재(sandwiching)될 수 있다. 자기 코어 피스(106, 108)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식으로 보빈(102)에 조립될 때 서로로부터 간극 조정될 수 있다.
도 6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102)이 코어 피스(106)에 조립됨에 따라, 접지 핀(152)의 구성요소 접지 부분(162)은 코어 피스 전방 에지(122)에서 홈(124) 내에 수용된다.
도 7은 구성요소 접지 부분(162)이 홈과 정합됨에 따라 홈(124)에 적용되고 있는 전도성 에폭시(170)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요소 접지 부분(162)은 전도성 에폭시를 이용하여 홈(124) 내에 고정되고, 구성요소(100) 전체가 경화되도록 베이킹된다.
홈(124)을 통한 구성요소 접지 부분(162)과 코어 피스(106)의 연결이 전통적으로 제공되는 것보다 더 적은 제조 단계로 그리고 비교적 더 낮은 비용으로 확실하게 성취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6은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도 13 내지 도 16)의 제 2 예시적인 실시예를 집합적으로 예시하며,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200)는 일반적으로 도 9 및 도 10에 별도로 예시된 보빈(202)과, 도 11 및 도 12에 별도로 예시된 제 1 자성 피스(206), 및 제 2 자성 피스(208)로부터 제조된 자성체(204)를 포함한다.
이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 1 자성 피스(206)는 일반적으로 대체로 평평하거나 평면형인 베이스(110), 및 베이스(110)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직립 측벽(112, 114, 116)을 포함한다. 측벽(112, 114, 116)은 그것의 외부에서는 대체로 직선형이고 직선적이지만 내부에서는 둥글어서, 베이스(110) 위에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내부 리세스 또는 리셉터클(118)을 한정한다. 둥근 돌출부(120)가 리셉터클(118)의 중심 부분에서 베이스(110)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예에서, 돌출부(120)의 주연부는 대체로 원형이고 베이스(110) 상에 360° 원호를 완성하는 반면, 리셉터클(118)은 측부 개방형이고 베이스(110) 위에 360°보다 훨씬 작은 원호를 완성한다.
베이스(110)의 전방 에지(122)가 노출되고, 코어 피스(106)(도 1 및 도 2)와는 다르게, 도시된 바와 같은 예시적인 코어 피스(206)에서는, 홈(124) 및 테이퍼형 측부 에지(126)가 생략된다. 코어 피스(206)에서의 베이스(110)의 전방 에지(122)는 전적으로 직선형 및 선형이고, 도시된 예에서 원하는 위치 및 배향으로의 보빈(202)의 안착을 돕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챔퍼링될 수 있다.
코어 피스(206)는, 코어 피스(106)와 유사하게, 공지된 공정에 따라 공지된 자성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코어 피스(208)(도 14 내지 도 16)는 고려되는 실시예에서 코어 피스(206)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피스로서 제조될 수 있다.
이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보빈(202)은 전기 비전도성 또는 절연성 재료로부터 제조되고, 일반적으로 상부 플랜지(240), 관형 몸체(242), 하부 플랜지(244) 및 연결 부분(246)을 포함한다. 플랜지(240)는 공지된 방법 및 기술에 따른 일차 권선 또는 코일 및 이차 권선 또는 코일을 수용하기 위한 권선 공간(248)을 한정한다. 코일 또는 권선은 연결 부분(246) 내에 제공된 복수의 전기 전도성 핀(250, 252, 254, 256) 중 하나에 종단접속되거나 연결된다. 핀(250, 252, 254, 256)은 일반적으로 연결 부분(246)으로부터 하향으로 그리고 종축(도 10에 도시되지 않음,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축(158)과 유사함)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도 9 및 도 10의 예에서 핀 중 하나, 즉 핀(250)은 접지 핀이며, 그 내의 관통 구멍을 통한 회로 기판에의 연결을 위해 축 및 다른 핀(252, 254, 256)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방향 핀 기판 부분(260)과, 다른 핀(252, 254, 256)의 축에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구성요소 접지 부분(262)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그리고 다른 핀(252, 254, 256)과는 다르게, 접지 핀(250)은 직각 굽힘부를 포함하며, 이 직각 굽힘부는 직각 굽힘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접지 부분(262) 및 직각 굽힘부의 다른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핀 기판 부분(260)을 갖는다. 그렇기 때문에,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 접지 부분(262)은 연결 부분(246)의 수평 상부 벽(264)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반면, 핀 기판 부분(260)은 연결 부분(246)의 저부 벽(266)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다. 직각 굽힘부는 하기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코어 피스(206)에 대한 접지 핀(250)의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플랜지(240, 244)는 각각 관형 부분(242)의 중공 내부와 연통하는 중심 개구(268)를 포함한다. 중심 개구(268)는 보빈(102)이 코어 피스(106)에 조립될 때 자기 코어 피스(206)(도 11 및 도 12)의 돌출부(120)와 협력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202)은 코어 피스(206)와 조립될 수 있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를 적절한 배향으로 안내하기 위해 보빈(202) 내의 개구(268)(도 10) 및 코어 피스(206, 208) 내의 돌출부(120)(도 11 및 도 12)를 사용하여, 보빈(202)이 코어 피스(206, 208) 사이에 개재되도록, 제 2 코어 피스(208)가 또한 조립된다. 자기 코어 피스(206, 208)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식으로 보빈(202)에 조립될 때 서로로부터 간극 조정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202)이 코어 피스(206)에 조립됨에 따라, 구성요소 접지 부분(262)이 보빈 연결 부분(246)의 상부 벽(264) 상에서 노출되고, 접지 핀(250)의 구성요소 접지 부분(262)이 자기 코어 피스(206)의 측벽(112)의 수직 면(face)(128)까지 연장된다.
도 15는 구성요소 접지 부분(262)을 제위치에 고정시키고 코어 피스(206)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적용되고 있는 전도성 에폭시(270)를 도시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요소(200) 전체는 이어서 구조물을 경화시키도록 베이킹된다.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와 비교하여, 자기 코어 피스(206)에 약간 더 단순한 형상을 제공하면서, 그리고 또한 보빈(202) 상에 제공된 핀 중 다른 핀을 접지 핀으로서 사용하면서, 구성요소 접지 부분(262)과 코어 피스(206)의 연결이 전통적으로 제공되는 것보다 더 적은 제조 단계로 그리고 비교적 더 낮은 비용으로 확실하게 성취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4는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300)(도 21 내지 도 24)의 제 3 예시적인 실시예를 집합적으로 예시하며,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300)는 일반적으로 도 19 및 도 20에 별도로 예시된 보빈(302)과, 도 17 및 도 18에 별도로 예시된 제 1 자성 피스(306), 및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된 제 2 자성 피스(308)로부터 제조된 자성체(304)를 포함한다.
이제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제 1 자성 피스(306)는 일반적으로 대체로 평평하거나 평면형인 베이스(110), 및 베이스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직립 측벽(112, 114, 116)을 포함한다. 측벽(112, 114, 116)은 그것의 외부에서는 대체로 직선형이고 직선적이지만 내부에서는 둥글어서, 베이스(110) 위에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내부 리세스 또는 리셉터클(118)을 한정한다. 둥근 돌출부(120)가 리셉터클(118)의 중심 부분에서 베이스(110)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예에서, 돌출부(120)의 주연부는 대체로 원형이고 베이스(110) 상에 360° 원호를 완성하는 반면, 리셉터클(118)은 측부 개방형이고 베이스(110) 위에 360°보다 훨씬 작은 원호를 완성한다.
베이스(110)의 전방 에지(122)가 노출되고, 도시된 예에서, 코어 피스(106)(도 1 및 도 2)와 유사하게 테이퍼형 측부 에지(126)를 포함하지만, 코어 피스(106)에서와 같은 홈(124)은 포함하지 않는다. 테이퍼형 측부 에지(126)는 전방 에지(122)에 인접한 삼각형 형상 또는 웨지 형상의 전방 모서리를 부여한다. 전방 에지(122)의 반대편 모서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 에지(126)와 같은 테이퍼형 모서리를 포함하지 않는다. 측벽(112, 114)은 베이스(110)의 전방 에지(122) 위로 연장되는 노출된 전방 표면(128, 130)을 추가로 포함한다. 베이스(110)의 전방 에지(122)는 또한 원하는 위치 및 배향으로의 보빈(302)의 안착을 돕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챔퍼링될 수 있다.
코어 피스(306)는 공지된 공정에 따라 공지된 자성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코어 피스(308)(도 21 내지 도 24)는 고려되는 실시예에서 코어 피스(306)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피스로서 제조될 수 있다.
이제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보빈(302)은 전기 비전도성 또는 절연성 재료로부터 제조되고, 일반적으로 상부 플랜지(340), 관형 몸체(342), 하부 플랜지(344) 및 연결 부분(346)을 포함한다. 플랜지(340)는 공지된 방법 및 기술에 따른 일차 권선 또는 코일 및 이차 권선 또는 코일을 수용하기 위한 권선 공간(348)을 한정한다. 코일 또는 권선은 연결 부분(346) 내에 제공된 복수의 전기 전도성 핀(350, 352, 354, 356) 중 하나에 종단접속되거나 연결된다. 핀(350, 352, 354, 356)은 일반적으로 연결 부분(346)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고, 관형 부분(342)의 종축(358)에 대체로 평행하다.
다른 것과는 다르게, 도 19 및 도 20의 예에서 핀 중 하나, 즉 핀(356)은 접지 핀이며, 그 내의 관통 구멍을 통한 회로 기판에의 연결을 위해 축(358) 및 다른 핀(350, 352, 354)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방향 핀 기판 부분(360)과, 축(358) 및 다른 핀(350, 352, 354)에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구성요소 접지 부분(362)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접지 핀(356)은 직각 굽힘부를 포함하며, 이 직각 굽힘부는 직각 굽힘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접지 부분(362) 및 직각 굽힘부의 다른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핀 기판 부분(360)을 갖는다. 그렇기 때문에, 접지 부분(362)은 도 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분(146)의 수직 측벽(164)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반면, 핀 기판 부분(360)은 연결 부분(146)의 저부 벽(166)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다. 직각 굽힘부는 하기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코어 피스(106)에 대한 접지 핀(152)의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이전의 실시예와는 다르게, 구성요소(300)에서의 접지 부분(362)은 외부로 그리고 보빈 커넥터 부분(146)의 측벽(168)과 대체로 나란히 연장된다.
보빈 플랜지(340, 344)는 각각 관형 부분(342)의 중공 내부와 연통하는 중심 개구(368)를 포함한다. 중심 개구(368)는 보빈(302)이 코어 피스(306)에 조립될 때 자기 코어 피스(306)(도 17 및 도 18)의 돌출부(120)와 협력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302)은 피스를 적절한 배향으로 안내하기 위해 보빈(302) 내의 개구(368)(도 19) 및 코어 피스(306, 308) 내의 돌출부(120)(도 17 및 도 18)를 사용하여, 코어 피스(306, 308)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자기 코어 피스(306, 308)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식으로 보빈(302)에 조립될 때 서로로부터 간극 조정될 수 있다.
도 21 및 도 2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302)이 코어 피스(306)에 조립됨에 따라, 접지 핀(356)의 구성요소 접지 부분(362)은 코어 피스(306)의 측벽(130)을 향해 연장된다.
도 23 및 도 24는 접지 핀(356)의 구성요소 접지 부분(362)을 고정시키고 코어 피스(306)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완성하기 위해 적용되고 있는 전도성 에폭시(370)를 도시한다. 구성요소(300) 전체는 구조물을 경화시키도록 베이킹된다.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와 비교하여, 자기 코어 피스(306)에 약간 더 단순한 형상을 제공하면서, 그리고 또한 보빈(302) 상에 제공된 핀 중 다른 핀을 접지 핀으로서 사용하면서, 구성요소 접지 부분(362)과 코어 피스(306)의 연결이 전통적으로 제공되는 것보다 더 적은 제조 단계로 그리고 비교적 더 낮은 비용으로 확실하게 성취될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31은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400)(도 29 내지 도 31)의 제 4 예시적인 실시예를 집합적으로 예시하며,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400)는 일반적으로 도 27 및 도 28에 별도로 예시된 보빈(402)과, 도 25 및 도 26에 별도로 예시된 제 1 자성 피스(406), 및 제 2 자성 피스(408)로부터 제조된 자성체(404)를 포함한다.
이제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제 1 자성 피스(406)는 일반적으로 대체로 평평하거나 평면형인 베이스(110), 및 베이스(110)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직립 측벽(112, 114, 116)을 포함한다. 측벽(112, 114, 116)은 그것의 외부에서는 대체로 직선형이고 직선적이지만 내부에서는 둥글어서, 베이스(110) 위에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내부 리세스 또는 리셉터클(118)을 한정한다. 둥근 돌출부(120)가 리셉터클(118)의 중심 부분에서 베이스(110)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예에서, 돌출부(120)의 주연부는 대체로 원형이고 베이스(110) 상에 360° 원호를 완성하는 반면, 리셉터클(118)은 측부 개방형이고 베이스(110) 위에 360°보다 훨씬 작은 원호를 완성한다.
베이스(110)의 전방 에지(122)가 노출되고, 코어 피스(106)(도 1 및 도 2)와는 다르게, 도시된 바와 같은 예시적인 코어 피스(406)에서는 홈(124) 및 테이퍼형 측부 에지(126)가 생략된다. 코어 피스(406)에서의 베이스(110)의 전방 에지(122)는 전적으로 직선형 및 선형이고, 도시된 예에서 원하는 위치 및 배향으로의 보빈(402)의 안착을 돕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챔퍼링될 수 있다.
코어 피스(406)는 공지된 공정에 따라 공지된 자성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코어 피스(408)(도 29 내지 도 31)는 고려되는 실시예에서 코어 피스(406)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피스로서 제조될 수 있다.
이제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보빈(402)은 전기 비전도성 또는 절연성 재료로부터 제조되고, 일반적으로 상부 플랜지(440), 관형 몸체(442), 하부 플랜지(444) 및 연결 부분(446)을 포함한다. 플랜지(440)는 공지된 방법 및 기술에 따른 일차 권선 또는 코일 및 이차 권선 또는 코일을 수용하기 위한 권선 공간(448)을 한정한다. 코일 또는 권선은 연결 부분(446) 내에 제공된 복수의 전기 전도성 핀(450, 452, 454, 456) 중 하나에 종단접속되거나 연결된다. 핀(450, 452, 454, 456)은 일반적으로 연결 부분(446)으로부터 하향으로 그리고 종축(도 27에 도시되지 않음,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축(158)과 유사함)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도 27의 예에서 핀 중 하나, 즉 핀(450)은 접지 핀이며, 이 접지 핀은, 다른 핀과는 다르게, 그 내의 관통 구멍을 통한 회로 기판에의 연결을 위해 다른 핀(452, 454, 456)의 축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방향 핀 기판 부분(460)과, 다른 핀(452, 454, 456)의 축에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구성요소 접지 부분(462)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접지 핀(450)은 직각 굽힘부를 포함하며, 이 직각 굽힘부는 직각 굽힘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접지 부분(462) 및 직각 굽힘부의 다른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핀 기판 부분(460)을 갖는다. 그렇기 때문에, 도 27에 도시된 예에서 접지 부분(462)은 연결 부분(446)의 수평 상부 벽(464)에 평행하게 그리고 또한 보빈 하부 플랜지(444)의 주 표면(major surface)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반면, 핀 기판 부분(460)은 연결 부분(446)의 저부 벽(466)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다. 직각 굽힘부는 하기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보빈(402)에 대한 접지 핀(450)의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플랜지(440, 444)는 각각 관형 부분(442)의 중공 내부와 연통하는 중심 개구(468)를 포함한다. 중심 개구(468)는 보빈(402)이 코어 피스(406)에 조립될 때 자기 코어 피스(406)(도 25 및 도 26)의 돌출부(120)와 협력한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핀(450)의 접지 부분(462)은 일반적으로 보빈 플랜지(440)의 주 표면과 나란히 위치하고, 그것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전도성 에폭시(470)를 이용하여 제위치에 접착될 수 있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402)은 코어 피스(406)와 조립될 수 있고,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를 적절한 배향으로 안내하기 위해 보빈(402) 내의 개구(468)(도 27 및 도 28) 및 코어 피스(406, 408) 내의 돌출부(120)(도 25 및 도 26)를 사용하여, 보빈(402)이 코어 피스(406, 408) 사이에 개재되도록, 제 2 코어 피스(408)가 또한 조립된다. 자기 코어 피스(406, 408)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식으로 보빈(402)에 조립될 때 서로로부터 간극 조정될 수 있다.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와 비교하여, 자기 코어 피스(406)에 약간 더 단순한 형상을 제공하면서, 구성요소 접지 부분(462)과 보빈의 연결이 전통적으로 제공되는 것보다 더 적은 제조 단계로 그리고 비교적 더 낮은 비용으로 확실하게 성취될 수 있다.
일 단부에서 자기 코어에 연결되고 대향 단부에서 전기적으로 조용한 노드에 연결된 와이어를 갖는 종래의 변압기 구성요소와 비교하여, 성능에 있어서의 현저한 개선이 관찰되었다. 그러한 종래의 변압기 구성요소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의 직류 저항(Direct Current Resistance, DCR)의 비교예가 하기의 표 1에 기재된다. 표 1에서, 해법 A는 구성요소(100)의 실시예를 말하고, 해법 B는 구성요소(200 또는 300)의 실시예를 말하고, 해법 C는 상기에 기술된 구성요소(400)의 실시예를 말한다.
샘플
번호
코어와 접지 핀 사이의 DCR (㏀)
전통적 방법 해법 A 해법 B 해법 C
1 11.20 4.69 3.25 2.78
2 14.50 3.14 2.26 2.73
3 10.26 3.75 1.69 2.58
4 11.98 3.88 2.42 2.71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구성요소와 종래의 변압기 구성요소의 비교적인 접지 저항 차트이다. 도 32에서, 발명 A는 구성요소(100)의 실시예를 말하고, 발명 B는 구성요소(200 또는 300)의 실시예를 말하고, 발명 C는 상기에 기술된 구성요소(400)의 실시예를 말한다.
본 발명의 독창적인 개념의 이익 및 이점이 이제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비추어 명백할 것으로 여겨진다.
복수의 전기 전도성 핀이 제공된 보빈; 및 보빈에 조립된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를 포함하며, 전기 전도성 핀 중 적어도 하나는 기판 핀 부분(board pin portion) 및 기판 핀 부분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구성요소 접지 섹션(component ground section)을 포함하는 접지 핀인,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선택적으로, 보빈은 후방 벽을 갖는 연결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접지 핀의 구성요소 접지 섹션은 후방 벽에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자성체는 제 1 자기 코어 피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자기 코어 피스는 전방 에지 및 전방 에지 내에 형성된 홈을 포함한다. 접지 핀의 구성요소 접지 섹션은 홈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전도성 에폭시가 구성요소 접지 섹션을 제 1 자기 코어 피스에 고정시킨다.
또한 선택적으로, 보빈은 상부 벽을 갖는 연결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접지 핀의 구성요소 접지 섹션은 상부 벽과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 자성체는 제 1 자기 코어 피스를 포함할 수 있고, 제 1 자기 코어 피스는 베이스 및 베이스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 접지 섹션은 측벽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전도성 에폭시가 구성요소 접지 섹션을 제 1 코어 피스의 측벽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보빈은 선택적으로 측벽을 갖는 연결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접지 핀의 구성요소 접지 섹션은 측벽과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 자성체는 제 1 자기 코어 피스를 포함할 수 있고, 제 1 자기 코어 피스는 전방 에지 및 그것의 일부분을 따른 테이퍼형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 접지 섹션은 테이퍼형 섹션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측벽이 테이퍼형 섹션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전도성 에폭시가 구성요소 접지 섹션을 테이퍼형 섹션의 측벽에 고정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보빈은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구성요소 접지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구성요소 접지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와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 전도성 에폭시가 구성요소 접지 섹션을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자성체는 보빈을 개재시키는 제 1 자성 피스 및 제 2 자성 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보빈은 제 1 플랜지, 제 2 플랜지 및 이들 사이의 권선 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연결 부분은 제 1 및 제 2 플랜지 중 하나에 인접하게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핀은 열(row)을 이루어 커넥터 부분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접지 핀은 열의 단부에 위치될 수 있거나, 접지 핀은 열 중의 적어도 2개의 다른 핀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보빈은 또한 제 1 플랜지, 제 2 플랜지 및 이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관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관형 부분은 축을 한정할 수 있고, 기판 핀 부분은 축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의 실시예가 또한 개시된다. 변압기 구성요소는 복수의 전기 전도성 핀이 제공된 커넥터 부분 및 권선 공간을 한정하는 보빈; 보빈에 조립된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로서, 전기 전도성 핀 중 적어도 하나는 기판 핀 부분 및 기판 핀 부분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구성요소 접지 섹션을 포함하는 접지 핀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 및 구성요소 접지 섹션을 자성체 및 보빈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시키는 전도성 에폭시를 포함한다.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를 제조하는 방법이 또한 개시된다. 본 방법은 복수의 전기 전도성 핀이 제공된 커넥터 부분 및 권선 공간을 한정하는 보빈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전기 전도성 핀 중 적어도 하나는 기판 핀 부분 및 기판 핀 부분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구성요소 접지 섹션을 갖는 접지 핀인, 단계; 보빈을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와 조립하는 단계; 및 구성요소 접지 섹션을 전도성 에폭시를 이용하여 자성체 및 보빈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는 최선의 태양을 비롯해 본 발명을 개시하기 위해, 그리고 또한 임의의 장치 또는 시스템의 제조 및 사용 그리고 임의의 포함된 방법의 수행을 비롯해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예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특허가능한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당업자에게 떠오르는 다른 예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다른 예는, 그것이 특허청구범위의 문자 언어와 상이하지 않은 구조적 요소를 갖는다면, 또는 그것이 특허청구범위의 문자 언어와 실질적으로 차이가 없는 등가의 구조적 요소를 포함한다면,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5)

  1.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circuit board transformer component)에 있어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측벽, 및 상기 복수의 측벽 사이에 형성되는 둥근 내부 리셉터클을 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 코어 피스;
    상기 둥근 내부 리셉터클 내에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 부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연결 부분을 포함하는 보빈(bobbin)으로서, 상기 연결 부분은, 접지 핀과 다수의 직선형 핀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기 전도성 핀을 구비하며, 상기 접지 핀은, 기판 핀 부분, 구성요소 접지 부분, 및 상기 기판 핀 부분과 상기 구성요소 접지 부분 사이에서 연장하는 직각 굽힘부를 포함하는, 상기 보빈; 및
    상기 자기 코어 피스 및 상기 보빈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구성요소 접지 부분을 고정하는 전도성 에폭시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둥근 내부 리셉터클은 측부 개방형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기 코어 피스는 측부 개방형 리셉터클의 일단부에서 복수의 노출된 에지 표면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출된 에지 표면 중 하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구성요소 접지 부분의 부분 및 상기 전도성 에폭시는 상기 홈 내에 수용되는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베이스의 노출된 전방 에지 내에 형성되는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연결 부분은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구성요소 접지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기 코어 피스의 복수의 노출된 에지 표면 중 하나를 향하여 상기 연결 부분의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벽 중 하나를 따라서 연장하며, 상기 전도성 에폭시는 상기 구성요소 접지 부분을 상기 복수의 노출된 에지 표면 중 하나에 고정시키는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출된 에지 표면은 테이퍼형 측부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에폭시는 상기 구성요소 접지 부분을 테이퍼형 측부 에지에 고정시키는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둥근 내부 리셉터클은 반원형인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기 코어 피스는 상기 둥근 내부 리셉터클 내에 돌출부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중공형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공형 본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기 코어 피스와 상기 보빈의 조립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돌출부와 협력하는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 접지 부분은 상기 보빈의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 부분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전도성 에폭시는 상기 구성요소 접지 부분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 부분에 고정시키는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제 1 플랜지, 제 2 플랜지, 및 상기 제 1 플랜지와 제 2 플랜지 사이의 권선 공간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기 코어 피스는 제 1 자기 코어 피스 및 제 2 자기 코어 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플랜지, 제 2 플랜지 및 권선 공간을 포함하는 상기 보빈은 상기 제 1 자기 코어 피스 및 제 2 자기 코어 피스 사이에 개재되는(sandwiched)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기 전도성 핀은 열을 이루어 상기 보빈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접지 핀은 상기 열의 일 단부에 위치하는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기 전도성 핀은 열을 이루어 상기 보빈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접지 핀은 상기 열에서 적어도 두 개의 다른 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
  15.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자기 코어 피스를 포함하는 자성체로서, 상기 자기 코어 피스는 평면형 베이스, 상기 베이스 위로 연장하는 복수의 측벽, 및 상기 복수의 측벽 사이에 형성되는 반원형 내부 리세스를 갖는, 상기 자성체;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권선 공간, 및 복수의 전기 전도성 핀이 제공된 연결 부분을 포함하는 보빈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는 상기 반원형 내부 리세스 내로 삽입되고, 상기 복수의 전기 전도성 핀은 다수의 직선형 핀과, 기판 핀 부분 및 상기 기판 핀 부분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구성요소 접지 부분을 포함하는 접지 핀을 구비하는, 상기 보빈; 및
    상기 구성요소 접지 부분을 상기 자성체 및 상기 보빈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시키는 전도성 에폭시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기 코어 피스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구성요소 접지 부분의 부분은 상기 홈 내에 수용되는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기 코어 피스는 적어도 하나의 에지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구성요소 접지 부분은 상기 전도성 에폭시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에지 표면에 고정되는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에지 표면은 테이퍼형 에지 표면인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 접지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전도성 에폭시는 상기 구성요소 접지 부분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에 고정시키는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
  20.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 위로 형성되는 둥근 내부 리셉터클 및 상기 둥근 내부 리셉터클 내에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 코어 피스를 제공하는 단계;
    중공형 본체, 제 1 및 제 2 플랜지 사이에서 연장하는 권선 공간, 및 상기 제 1 및 제 2 플랜지 중 하나로부터 연장하는 연결 부분을 구비하는 보빈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연결 부분은 복수의 전기 전도성 핀이 제공되며, 상기 복수의 전기 전도성 핀은 다수의 직선형 핀과, 기판 핀 부분 및 상기 기판 핀 부분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구성요소 접지 부분을 포함하는 접지 핀을 구비하는, 상기 보빈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중공형 본체 및 상기 돌출부를 가이드로서 사용하여 상기 보빈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기 코어 피스에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요소 접지 부분의 단부를 전도성 에폭시로 상기 자기 코어 피스 및 상기 보빈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 변압기 구성요소 제조 방법.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157027692A 2013-04-07 2014-04-01 통합된 접지 구조를 갖는 회로 기판 자성 구성요소 및 제조 방법 KR1021941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225848.XA CN104103407B (zh) 2013-04-07 2013-04-07 集成有接地结构的电路板磁性元件及其制造方法
CN201310225848.X 2013-04-07
PCT/US2014/032445 WO2014168780A1 (en) 2013-04-07 2014-04-01 Circuit board magnetic component with integrated ground structure and methods for manufa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851A KR20150139851A (ko) 2015-12-14
KR102194177B1 true KR102194177B1 (ko) 2020-12-22

Family

ID=50686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7692A KR102194177B1 (ko) 2013-04-07 2014-04-01 통합된 접지 구조를 갖는 회로 기판 자성 구성요소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194177B1 (ko)
CN (1) CN104103407B (ko)
TW (1) TW201513145A (ko)
WO (1) WO20141687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78113A (zh) * 2018-08-03 2018-11-23 洪光岱 一种变压器
CN109637782A (zh) * 2019-02-13 2019-04-16 格力电器(合肥)有限公司 牢固度高的引脚结构及电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74532A1 (en) * 2009-09-30 2011-03-31 Astec International Limited Low Cost Charger Transform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4504A (en) * 1981-06-19 1984-01-03 Tdk Electronics Co., Ltd. Ferrite core
JPS59111010U (ja) * 1983-01-18 1984-07-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フライバツクトランス
US6950291B1 (en) * 1999-11-29 2005-09-27 Lucent Technologies Inc.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for small magnetic devices
JP3831368B2 (ja) * 2003-09-25 2006-10-11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リーケージトランス
US7135949B2 (en) * 2004-07-15 2006-11-1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Transformer or inductor containing a magnetic core having abbreviated sidewalls and an asymmetric center core portion
KR100726262B1 (ko) * 2004-08-05 2007-06-08 스미다 코포레이션 자기 소자
KR20060059065A (ko) * 2004-11-26 2006-06-01 (주)서전 변압기의 커트 코어
TWI381612B (zh) * 2008-08-04 2013-01-01 Delta Electronics Inc 變壓器結構
JP5286374B2 (ja) * 2011-02-04 2013-09-11 株式会社鷺宮製作所 モールドコイルおよびモールドコイルを用いた電磁弁
GB201105077D0 (en) * 2011-03-25 2011-05-11 Redisem Ltd Transformer for resonant convert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74532A1 (en) * 2009-09-30 2011-03-31 Astec International Limited Low Cost Charger Transfor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13145A (zh) 2015-04-01
CN104103407B (zh) 2019-07-09
WO2014168780A1 (en) 2014-10-16
KR20150139851A (ko) 2015-12-14
CN104103407A (zh) 201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09483B (zh) 变压器和板状线圈模制主体
US7986208B2 (en) Surface mount magnetic component assembly
US4583068A (en) Low profile magnetic structure in which one winding acts as support for second winding
KR101686975B1 (ko) 코일 부품
US9378885B2 (en) Flat coil windings, and inductive devices and electronics assemblies that utilize flat coil windings
US20080303624A1 (en) Inductor
JP2015015492A (ja) 表面実装磁性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66735B1 (ko) Pfc 코일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773234B2 (en) Transformer
US9905356B2 (en) Magnetic component for a switching power suppl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agnetic component
US20190131050A1 (en) Monolithic 3d inductor
US8188825B2 (en) Transformer structure
KR102194177B1 (ko) 통합된 접지 구조를 갖는 회로 기판 자성 구성요소 및 제조 방법
US11257614B2 (en) Integrated vertical inductor
KR101168323B1 (ko) 어댑터용 트랜스포머
US20120206230A1 (en) Low-loss choke structure with no air gap
US20160027575A1 (en) Circuit board magnetic component with integrated ground structure and methods for manufacture
CN110600241A (zh) 多路开关电源变压器及其制备方法
KR101153521B1 (ko) 트랜스포머와 이를 구비하는 파워 모듈 및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TWI575542B (zh) Detachable transformer
KR102173774B1 (ko) 코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TWI447759B (zh) 表面安裝磁性元件總成
KR102603589B1 (ko) 코일 부품
KR102429668B1 (ko) 트랜스포머
TWM542845U (zh) 磁性元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