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9668B1 - 트랜스포머 - Google Patents

트랜스포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9668B1
KR102429668B1 KR1020200103905A KR20200103905A KR102429668B1 KR 102429668 B1 KR102429668 B1 KR 102429668B1 KR 1020200103905 A KR1020200103905 A KR 1020200103905A KR 20200103905 A KR20200103905 A KR 20200103905A KR 102429668 B1 KR102429668 B1 KR 102429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in
bobbin
primary
secondary terminal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2671A (ko
Inventor
윤황석
전충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Priority to KR1020200103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668B1/ko
Priority to CN202110812534.4A priority patent/CN114078625A/zh
Publication of KR20220022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22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027/297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with pin-like terminal to be inserted in hole of printed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으로, 내측 보빈(120)과 내측 보빈에 권선된 복수 개의 1차 코일(140)과 상기 내측 보빈(12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1차 코일(140)의 단부 리드선이 결선되는 복수 개의 1차 단자핀(130)과 상기 내측 보빈(120)과 결합되는 외측 보빈(160)과 상기 외측 보빈(160)에 권선된 복수 개의 2차 코일(180)과 상기 내측 보빈(120)에서 상기 1차 코일(140)이 돌출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인 상기 외측 보빈(160)의 일측에 상하로 분할되어 돌출 형성되고 상기 2차 코일(180)의 단부의 리드선이 결선되는 복수 개의 2차 단자핀(170)을 포함하고, 상기 2차 코일(180)은 상기 2차 단자핀(170) 하나 당 하나의 리드선(141)이 결선된다. 본 발명은 하나의 트랜스포머에서 여러 다른 출력전압을 얻을 수 있도록 제조하되, 단자핀 간 절연 거리가 확보될 수 있고, 자동 권선 및 자동 결선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트랜스포머{TRANSFORMER}
본 발명은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부품에 필요한 여러 다른 전압을 얻기 위하여 여러 개의 2차 코일을 가지는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
트랜스포머는 전기를 필요한 값으로 변환시키는 전원공급변환장치이다.
트랜스포머는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포함하며, 1차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전자기 유도현상에 의해 2차 코일도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기본 원리로 한다. 1차 코일의 전압과 전달되는 2차 코일의 전압의 비는 코일을 감는 권선수의 비와 대응된다.
이러한 트랜스포머는 1차 코일 주위를 둘러싼 자기장이 2차 코일 주위에 전압을 유도시키며, 코일에 감은 권선수의 비를 변화시켜 원하는 출력 전압을 모두 얻을 수 있다.
또한, 트랜스포머는 하나의 트랜스포머에 여러가지 종류의 출력 전압을 얻기 위하여 여러 개의 2차 코일을 권선하고,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조합하여 여러 다른 전압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여러 다른 전압을 얻을 수 있는 트랜스포머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종래의 트랜스포머(1)는 1차에 4개의 단자핀(3), 2차에 6개의 단자핀(5) 구조로 되고, 1차 보빈에 2개의 코일이 권선되고 2차 보빈에 4개의 코일이 권선된다.
트랜스포머(1)는 1차 보빈에 권선되는 2개의 1차 코일의 양끝 동선이 각각 1-2번, 4-6번의 단자핀(3)에 감기고 납땜 고정되며, 2차 보빈에 권선되는 4개의 2차 코일의 양끝 동선이 각각 7-12번, 8-12번, 11-9번, 11-10번의 단자핀(5)에 감기고 납땜 고정된다. 이러한 트랜스포머(1)는 2개의 1차 코일과 4개의 2차 코일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여러 다른 출력전압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트랜스포머(1)는 동선이 굵은 경우 단자핀 간 절연 거리 확보가 어려워 쇼트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대안으로 얇은 동선을 여러 개 사용하여 단자핀 하나에 여러 동선을 결선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도 단자핀 하나 당 여러 개의 동선이 결선되므로 단자핀 간 절연 거리 확보가 어려워 쇼트 발생 위험과 내전압이 불안정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트랜스포머(1)는 단자핀 하나에 여러 동선을 결선하므로 국지적 발열 위험성이 있고 전류 병목 발생으로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트랜스포머(1)는 단자핀 하나에 여러 동선을 결선하므로 자동 권선 및 자동 결선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트랜스포머에서 여러 다른 출력전압을 얻을 수 있으며, 단자핀 간 절연 거리(안전 거리)가 확보될 수 있고, 자동 권선 및 자동 결선이 가능하도록 한 트랜스포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자핀에 결선된 동선 간을 차폐하여 절연성이 확보되도록 한 트랜스포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내측 보빈과 상기 내측 보빈에 권선된 1차 코일과 상기 내측 보빈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1차 코일의 단부 리드선이 결선되는 복수 개의 1차 단자핀과 상기 내측 보빈과 결합되는 외측 보빈과 상기 외측 보빈에 권선된 복수 개의 2차 코일과 상기 내측 보빈에서 상기 1차 단자핀이 돌출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인 상기 외측 보빈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2차 코일의 단부의 리드선이 결선되는 복수 개의 2차 단자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2차 단자핀은 상기 외측 보빈의 타측에 상하로 분할되어 형성되고,상기 2차 단자핀 하나 당 상기 2차 코일의 하나의 리드선이 결선된다.
상기 1차 단자핀은 하부로 절곡되고 상기 본체의 하면에서 하부로 돌출된다.
상기 2차 단자핀은 하부로 절곡되며 상기 본체의 하면에서 하부로 돌출된 하측 2차 단자핀과 상기 외측 보빈의 타측에서 상기 하측 2차 단자핀의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로 절곡되며, 상기 하측 2차 단자핀과 이격되게 나란히 배열되는 상측 2차 단자핀을 포함한다.
상기 하측 2차 단자핀과 상기 상측 2차 단자핀은 동일한 개수이다.
상기 상측 2차 단자핀은 상기 하측 2차 단자핀에 비해 길이가 길고, 상기 상측 2차 단자핀과 상기 하측 2차 단자핀의 단부는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상기 외측 보빈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2차 단자핀은 상하 상호 대칭하면서 쌍을 이루고, 상하 쌍을 이루는 두 개의 2차 단자핀에 상기 2차 코일이 한 개씩 연결된다.
상기 내측 보빈은 제1 몰딩부에 의해 몰딩되어 있다.
상기 1차 코일과 상기 1차 코일의 단부 리드선이 결선된 상기 1차 단자핀의 일부가 상기 제1 몰딩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1차 단자핀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1 몰딩부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외측 보빈은 상기 2차 코일이 권선되는 2차 권선부와 상기 2차 권선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그 사이에 권선 공간을 제공하는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와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에 형성되고 상기 2차 권선부에 권선된 상기 2차 코일의 리드선이 상기 2차 단자핀에 결선되기전 걸려 지지되는 복수 개의 걸림홈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홈의 양측에 해당하는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에서 상기 2차 단자핀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상부 플랜지에서 돌출되는 2차 단자핀이 상기 하부 플랜지에서 돌출되는 2차 단자핀에 비해 길이가 길다.
상기 외측 보빈은 제2 몰딩부에 의해 몰딩되고, 상기 상부 플랜지에서 돌출되는 2차 단자핀은 상기 제2 몰딩부의 측면으로 돌출되고, 하부로 절곡되며, 상기 하부 플랜지에서 돌출되는 2차 단자핀은 상기 제2 몰딩부의 하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 몰딩부의 측면으로 돌출되고 하부로 절곡된 상기 2차 단자핀은 상기 제2 몰딩부의 하면으로 돌출된 상기 2차 단자핀과 단부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보빈과 결합된 상기 외측 보빈은 제2 몰딩부에 의해 몰딩되어 있다.
상기 제2 몰딩부의 외부로 1차 단자핀과 2차 단자핀이 돌출된다.
상기 복수 개의 1차 단자핀은 서로 이격되고 1열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 개의 2차 단자핀은 서로 이격되고 2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단자핀 하나에 하나의 리드선(동선)을 결선하므로 동선이 굵은 경우도 단자핀 간 안전거리 확보가 가능하고 쇼트 발생 위험이 방지되며 내전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자핀 하나에 하나의 리드선을 결선하므로 전류 병목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높은 허용전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자핀 하나에 하나의 리드선을 결선하므로 자동 권선 및 결선이 가능하여 완전 자동화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서트 사출에 의해 풀 몰딩 타입으로 제조되므로 1차 코일과 2차 코일의 완벽한 절연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높은 절연신뢰성을 갖고, 2차 코일을 외부와 밀폐하므로 방수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여러 다른 전압을 얻을 수 있는 트랜스포머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로, 본체에 상부 코어와 하부 코어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하면에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내부를 보인 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측 보빈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측 보빈에 코일이 권선된 모습을 보인 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측 몰딩보빈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측 보빈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측 보빈에 코일에 권선된 모습을 보인 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측 보빈에 내측 몰빙보빈을 결합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 제조방법을 보인 과정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코일과 단자핀의 결선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로, 본체에 상부 코어와 하부 코어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트랜스포머(10)는 본체(100)와 본체(100)에 결합되는 코어(2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내부에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포함하고, 외부에 1차 코일과 연결된 1차 단자핀(130) 및 2차 코일과 연결된 2차 단자핀(170)을 포함한다. 본체(100)는 2차 코일을 물리적으로 단단히 감고,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전체적으로 몰딩하여 외부와 전기적으로 절연하며, 방수 기능을 부여한다.
본체(100)의 일측 하부에 1차 단자핀(130)이 위치하고 타측 하부에 2차 단자핀(170)이 위치한다. 1차 단자핀(130)은 입력용 단자핀이고 2차 단자핀(170)은 출력용 단자핀이다.
실시예에서 1차 단자핀(130)은 본체(100)의 일측 하면에서 하부로 돌출된 형상이다. 1차 단자핀(130)은 복수 개이며,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고 1열을 형성한다. 2차 단자핀(170)은 하측 2차 단자핀(170a)과 상측 2차 단자핀(170b)을 포함한다.
하측 2차 단자핀(170a)은 본체(100)의 타측 하면에서 하부로 돌출된 형상이고, 상측 2차 단자핀(170b)은 본체(100)의 타측 상단에서 외부로 돌출되고 하부로 절곡되며 절곡된 일부가 본체(100)의 하부로 돌출된 형상이다. 상측 2차 단자핀(170b)과 하측 2차 단자핀(170a)은 복수 개이며,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고 2열을 형성한다. 즉, 1차 단자핀(130)은 1열로 배치되고 2차 단자핀(170)은 2열로 배치된다. 2차 단자핀(170)의 2열 배치는 가닥수가 많은 리드선(동선)에 대한 분할 권선이 가능하도록 하고, 핀간 절연거리(안전거리)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리드선은 코일에서 접속을 위해 인출한 전선이다. 리드선은 동선을 사용할 수 있다.
단자핀이 서로 이격되어 절연이 유지되어야 권선된 코일 간의 내전압 특성이 향상되고 인접 단자핀과의 상호 용량이 작아져 다른 단자핀에 끼칠 수 있는 노이즈가 최소화되어 전압의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하다.
2차 단자핀(170)을 2열로 형성하면 트랜스포머의 크기가 커지지 않아도 많은 수의 단자핀을 포함할 수 있고, 단자핀 하나에 하나의 리드선만 결선할 수 있다.
코어(200)는 상부 코어(200a)와 하부 코어(200b)를 포함한다. 상부 코어(200a)는 본체(100)의 상부에서 결합되고 하부 코어(200b)는 본체(100)의 하부에서 결합된다. 상부 코어(200a)와 하부 코어(200b)는 코일을 둘러싸 자로를 형성한다. 상부 코어(200a)와 하부 코어(200b)는 자성 재료로 형성된다. 자성 재료는 강한 자속을 얻을 수 있는 강자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높은 주파수에서 손실이 적은 페라이트 코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자성 재료는 Mn-Zn 페라이트 코어를 사용할 수 있다.
상부 코어(200a)와 하부 코어(200b)는 평판부(a), 양측 다리부(b) 및 중앙 다리부(c)를 포함한다. 양측 다리부(b)는 평판부(a)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며, 중앙 다리부(c)는 양측 다리부(b)의 사이에서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한 상부 코어(200a)와 하부 코어(200b)는 단면이 E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부 코어(200a)와 하부 코어(200b)는 평판부(a)가 코어 결합부(101)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밀착되고, 양측 다리부(b)가 코어 결합부(101)의 폭방향 양측면에 밀착되며, 중앙 다리부(c)가 코어 결합공(112)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본체(100)에 결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하면에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체(100)의 일측 하면에서 1차 단자핀(130)이 하부로 돌출되고, 본체(100)의 타측 하면 및 본체의 타측 하면에서 이격된 위치에 2차 단자핀(170)이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2차 단자핀(170)은 하측 2차 단자핀(170a)과 상측 2차 단자핀(170b)의 2열 배치로 된다.
입력전압에 대한 여러 다른 출력전압을 선택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1차 코일에 대한 2차 코일의 권선비, 코일 두께를 여러 가지로 가져가고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1차 코일은 2개 이상 권선되고 2차 코일은 8개 이상 권선될 수 있다. 그리고, 단자핀 하나에 코일의 단부 리드선이 하나씩 결선되도록 1차 단자핀(130)은 4개 이상이고, 하측 2차 단자핀(170a)은 8개 이상이고, 상측 2차 단자핀(170b)은 8개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하측 2차 단자핀(170a)과 상측 2차 단자핀(170b)은 동일한 개수일 수 있다.
실시예는 2개의 1차 코일과 8개의 2차 코일을 가져 4개의 트랜스포머 기능을 1개의 트랜스포머에서 구현한다. 이를 위한 1차 코일은 2개이고, 2차 코일은 8개이며, 1차 단자핀(130)은 5개이고, 2차 단자핀(170)은 16개이다. 2차 단자핀(170)은 상하로 8개씩 분할하여 단자핀 간 안전거리 확보 및 가닥수가 많은 리드선에 대한 분할 권선이 가능하도록 한다.
1열의 1차 단자핀(130)과 2열의 2차 단자핀(170)은 기판에 형성된 기판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어 기판의 회로와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내부를 보인 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체(100)는 내부에 1차 코일(140)과 2차 코일(180)을 포함한다. 본체(100)는 절연 재질로 형성되어 2차 코일(180)을 외부와 절연하고 내습 등으로부터 2차 코일(180)을 보호한다. 2차 코일(180)은 1차 코일(140)의 외주면을 둘러싸게 배치되고, 2차 코일(180)과 1차 코일(140)은 제1 몰딩부(150)에 의해 절연된다.
1차 코일(140)의 단부 리드선은 1차 단자핀(130)에 하나씩 결선되고, 2차 코일(180)의 단부 리드선은 2차 단자핀(170)에 하나씩 결선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체(100)는 내측 보빈(120), 1차 코일(140), 1차 단자핀(130), 외측 보빈(160), 2차 코일(180) 및 2차 단자핀(170)을 포함한다.
내측 보빈(120)에 1차 코일(140)이 권선된다. 1차 단자핀(130)은 내측 보빈(12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고 1차 코일의 단부 리드선과 연결된다.
내측 보빈(120)은 외측 보빈(160)의 중앙에 삽입식으로 결합된다. 외측 보빈(160)은 2차 코일이 권선된다. 2차 단자핀(170)은 내측 보빈(120)에서 1차 코일(140)이 돌출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인 외측 보빈(160)의 타측에 상하로 분할되어 돌출 형성되고 2차 코일(180)의 단부의 리드선과 연결된다.
내측 보빈(120)의 일측에서 돌출된 1차 단자핀(130)은 하부로 절곡되고 본체(100)의 하면에서 하부로 돌출된다.
외측 보빈(160)의 타측 하부에서 돌출되는 하측 2차 단자핀(170a)은 본체(100)의 하면에서 하부로 돌출되며, 외측 보빈(160)의 타측 상부에서 돌출되는 상측 2차 단자핀(170b)은 본체(100)의 타측 상부에서 외부로 인출되고 하부로 절곡된다.
내측 보빈(120)은 제1 몰딩부(150)에 의해 몰딩되어 있다. 제1 몰딩부(150)는 절연 재질로 형성되어 1차 코일(140)을 2차 코일(180)과 절연하고 내습 등으로부터 1차 코일(140)을 보호한다. 1차 코일(140)과 1차 코일의 단부 리드선이 결선된 1차 단자핀(130)의 일부는 제1 몰딩부(150)의 내부에 위치하고, 1차 단자핀(130)의 나머지 부분은 제1 몰딩부(150)의 외부로 위치한다.
내측 보빈(120)이 결합된 외측 보빈(160)은 제2 몰딩부(190)에 의해 몰딩되어 있다. 제2 몰딩부(190)는 절연 재질로 형성되어 2차 코일(180)을 외부와 절연하고 내습 등으로부터 2차 코일(180)을 보호한다. 제2 몰딩부(190)의 외부로 1차 단자핀(130)과 2차 단자핀(170)이 인출된다. 즉, 제1 몰딩부(150)의 외부로 위치되는 1차 단자핀(130)의 일부가 제2 몰딩부(190)의 내부에 위치하고 나머지 부분이 제2 몰딩부(190)의 외부로 돌출된다. 또한 2차 단자핀(170)은 일부가 제2 몰딩부(190)의 내부에 위치하고, 나머지 부분이 제2 몰딩부(190)의 외부로 돌출된다. 내측 보빈(120)이 결합된 외측 보빈(160)이 제2 몰딩부(190)로 몰딩된 것이 본체(100)가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측 보빈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내측 보빈(120)은 1차 코일이 권선되는 1차 권선부(121)와 1차 권선부(121)의 중앙을 상하로 관통하는 코어 결합공(122)을 구비한다. 내측 보빈(120)은 1차 권선부(121)의 상단과 하단에 외경 방향으로 확장하여 형성되는 상단 플랜지(123)와 하단 플랜지(124)를 구비한다. 하단 플랜지(124)는 일측에 연장 플랜지(125)가 더 형성되며, 연장 플랜지(125)에 복수 개의 1차 단자핀(130)이 구비된다. 복수 개의 1차 단자핀(130)은 연장 플랜지(125)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끼움공에 고정될 수도 있고, 내측 보빈(120)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연장 플랜지(125)에 일체로 고정할 수도 있다. 내측 보빈(120)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1차 단자핀(130)을 내측 보빈(120)에 일체로 고정하면 1차 단자핀(130)이 내측 보빈(12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내측 보빈(120)은 상단 플랜지(123)의 양단에 몰딩물질이 주입되는 요입홈(126)이 형성된다. 요입홈(126)은 내측 보빈(120)이 외측 보빈(160)에 결합된 상태에서 내측 보빈(120)과 외측 보빈(160)의 사이에 인서트 사출을 위한 몰딩물질을 주입하기 위한 구멍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내측 보빈(120)에 제1 몰딩부(150)를 결합하여 내측 몰딩보빈(110)을 제조하고 내측 몰딩보빈(110)을 외측 보빈(160)에 결합한다. 그러나, 내측 보빈(120)을 외측 보빈(160)에 결합하고 외측 보빈(160)에 제2 몰딩부(19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내측 보빈(120)과 외측 보빈(160)의 사이에 몰딩물질을 주입하여 내측 보빈(120)과 외측 보빈(160)의 사이에 제1 몰딩부(150)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내측 보빈(120)에 요입홈(126)이 형성되어야 내측 보빈(120)과 외측 보빈(160)의 사이에 몰딩물질을 주입할 수 있다.
내측 보빈(120)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며 절연 수지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보빈(120)은 고내열성과 고내전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내측 보빈(120)은 PBT 재료를 사용하여 절연 성능을 20kv/mm 이상 확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측 보빈에 코일이 권선된 모습을 보인 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내측 보빈(120)의 1차 권선부(121)에 1차 코일(140)이 권선된다. 실시예에서 1차 권선부(121)에 권선되는 1차 코일(140)은 2개 이상이다. 1차 권선부(121)에 권선된 1차 코일(140)의 단부 리드선(141)은 1차 단자핀(130)에 감고 납땜(p)하는 방식으로 결선한다.
1차 코일(140)은 2개 이상으로 되고 1차 권선부(121)에 복수 회 권선된다. 상단 플랜지(123)와 하단 플랜지(124)는 1차 권선부(121)의 권선 공간을 최대로 확보하여 1차 권선부(121)에 권선되는 1차 코일(140)을 지지함으로써 1차 코일(140)이 1차 권선부(121)에 안정적으로 권선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측 몰딩보빈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내측 보빈(120)과 1차 코일(140)에 제1 몰딩부(150)가 결합되어 내측 몰딩보빈(110)을 형성한다. 제1 몰딩부(150)는 1차 단자핀(13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내측 보빈(120)과 1차 코일(140)과 1차 코일(140)의 단부 리드선(141)이 결선된 부분에 몰딩물질을 결합하여 형성된다.
내측 보빈(120)에 제1 몰딩부(150)를 결합하기 전 1차 단자핀(130)을 절곡시켜 1차 단자핀(130)이 제1 몰딩부(150)의 하부로 돌출되게 한다. 제1 몰딩부(150)는 내측 보빈(120)을 일정 두께로 균일하게 감싸 1차 코일(14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측 보빈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외측 보빈(160)은 2차 코일(180)이 권선되는 2차 권선부(161)와 2차 권선부(161)의 중앙을 상하 관통하는 보빈 결합공(162)이 구비된다. 보빈 결합공(162)에 내측 보빈(120) 또는 내측 보빈(120)에 제1 몰딩부(150)를 결합한 내측 몰딩보빈(110)이 결합된다. 실시예에서는 보빈 결합공(162)에 내측 몰딩보빈(110)이 결합된다.
외측 보빈(160)은 2차 권선부(161)의 상단과 하단에 외경 방향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163)와 하부 플랜지(164)를 구비한다. 상부 플랜지(163)와 하부 플랜지(164)의 사이 2차 권선부(161)에 2차 코일(180)이 권선된다.
2차 권선부(161)가 상부 플랜지(163) 및 하부 플랜지(164)와 연결되는 부분은 라운드지게 형성하여 내압을 개선한다. 내압은 높은 전압을 가했을 때 터지지 않고 견디는 정도를 의미한다. 라운드진 부분의 형성은 인서트 사출 후 내부 공극을 없앰으로써 강도 보강에 따른 내압 개선의 효과를 갖는다.
외측 보빈(160)은 상부 플랜지(163)와 하부 플랜지(164)를 대칭 형상으로 형성하여 좌우 힘의 균형을 이루도록 한다. 이는 외측 보빈(160)에 2차 코일(180)을 권선하는 과정에서 외측 보빈(160)이 파손되는 문제를 최소화한다.
외측 보빈(160)은 상부 플랜지(163)와 하부 플랜지(164)에 걸림홈(165)이 형성된다.
걸림홈(165)은 2차 권선부(161)에 권선된 2차 코일의 단부 리드선이 2차 단자핀(170)에 결선되기전 걸려 지지되는 부분이다. 걸림홈(165)은 상부 플랜지(163)와 하부 플랜지(164)에 후단 방향으로 요입 형성되고 상하로 개구된 복수 개로 형성된다.
걸림홈(165)의 양측에 해당하는 상부 플랜지(163)와 하부 플랜지(164)에서 2차 단자핀(170)이 돌출된다.
외측 보빈에서 돌출되는 복수 개의 2차 단자핀은 상하 상호 대칭하면서 쌍을 이루고, 상하 쌍을 이루는 두 개의 2차 단자핀(170)에 2차 코일(180)의 단부 리드선이 한 개씩 연결된다. 실시예에서 2차 단자핀(170)은 16개이다.
상부 플랜지(163)에서 돌출되는 상측 2차 단자핀(170b)이 하부 플랜지(164)에서 돌출되하측 2차 단자핀(170a)에 비해 길이가 길다. 상측 2차 단자핀(170b)이 하측 2차 단자핀(170a)에 비해 길이가 길어야 상측 2차 단자핀(170b)을 절곡시켜 하측 2차 단자핀(170a)과 동일한 높이로 만들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 몰딩부(190)의 외부로 돌출된 상측 2차 단자핀(170b)과 제2 몰딩부(190)의 외부로 돌출되고 하부로 절곡된 하측 2차 단자핀(170a)의 단부는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이는 2열로 배열된 상측 2차 단자핀(170b)과 하측 2차 단자핀(170a)을 기판에 끼움 결합하기 용이하게 한다.
복수 개의 2차 단자핀(170)은 걸림홈(165)의 양측에 해당하는 상부 플랜지(163)와 하부 플랜지(164)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끼움공에 고정될 수도 있고, 외측 보빈(160)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부 플랜지(163)와 하부 플랜지(164)에 일체로 고정될 수도 있다. 외측 보빈(160)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2차 단자핀(170)을 외측 보빈(160)에 일체로 고정하면 2차 단자핀(170)이 외측 보빈(16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외측 보빈(160)은 내측 보빈(120)과 마찬가지로 고내열성과 고내전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측 보빈에 코일에 권선된 모습을 보인 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외측 보빈(160)의 2차 권선부(161)에 2차 코일(180)이 권선된다. 2차 권선부(161)에 권선된 2차 코일(180)의 단부 리드선(171)은 2차 단자핀(170b)에 감고 납땜(p)하는 방식으로 결선한다.
2차 코일(180)은 2차 권선부(161)에 복수 회 권선된다. 상부 플랜지(163)와 하부 플랜지(164)는 2차 권선부(161)의 권선 공간을 최대로 확보하여 2차 권선부(161)에 권선되는 2차 코일(180)을 지지함으로써 2차 코일(180)이 2차 권선부(161)에 안정적으로 권선되도록 한다.
복수 개의 2차 코일(180)은 입력전압에 대한 여러 다른 출력전압을 선택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1차 코일에 대한 권선비 및 코일 두께가 여러 종류로 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2차 권선부(161)에 권선되는 2차 코일(180)은 8개 이상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측 보빈에 내측 몰빙보빈을 결합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외측 보빈(160)의 보빈 결합공(162)에 내측 몰딩보빈(110)을 결합한다. 1차 단자핀(130)과 2차 단자핀(170)이 반대 방향에 위치하도록 내측 몰딩보빈(110)을 외측 보빈(160)의 보빈 결합공(162)에 결합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내측 몰딩보빈(110)이 결합된 외측 보빈(160)을 금형에 넣고 인서트 사출하면 내측 보빈(120)과 외측 보빈(160)에 제2 몰딩부(190)가 결합된 본체(100)가 형성된다.
제2 몰딩부(190)는 2차 코일(180)을 감싸고, 외측 보빈(160)과 내측 몰딩보빈(110)의 경계를 감싸 내측 몰딩보빈(110)과 외측 보빈(160)을 일체화한다.
본체(100)는 양측을 몰딩 플랜지가 형성하며 그 사이를 코어 결합부(101)가 형성한다. 몰딩 플랜지는 외측 보빈(160)의 상부 플랜지(163)와 하부 플랜지(164)의 부분을 제2 몰딩부(190)가 소정의 두께로 감싸 형성되는 부분이다. 코어 결합부(101)는 양측 몰딩 플랜지의 사이의 단차진 부분에 해당한다. 코어 결합부(101)의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는 코어 결합공(122)이 형성된다. 코어 결합부(101)와 코어 결합공(122)에 상부 코어(200a)와 하부 코어(200b)가 결합된다. 코어 결합부(101)의 폭 및 길이는 코어 결합부(101)에 결합되는 상부 코어(200a)와 하부 코어(200b)의 크기를 고려하여 미리 설계된다.
1차 단자핀(130)은 본체(100)의 일측 하면에서 하부로 돌출되고, 하측 2차 단자핀(170a)은 본체(100)의 타측 하면에서 하부로 돌출된다. 또한 상측 2차 단자핀(170b)은 본체(100)의 타측 상부에서 외부로 돌출된다. 본체의 타측 상부에서 외부로 돌출된 상측 2차 단자핀(170b)은 하부로 절곡하여 하측 2차 단자핀(170a)과 이격되고 나란히 배열되게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 제조방법을 보인 과정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트랜스포머 제조방법은 내측 보빈(120)을 준비하는 단계, 내측 보빈(120)의 1차 권선부(121)에 1차 코일(140)을 권선하는 단계, 내측 보빈(120)에 제1 몰딩부(150)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내측 몰딩보빈(110)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트랜스포머 제조방법은 외측 보빈(160)을 준비하는 단계, 외측 보빈(160)에 2차 코일을 권선하는 단계, 외측 보빈(160)의 내측 몰딩보빈(110)을 결합하는 단계, 내측 보빈(120)과 외측 보빈(160)에 제2 몰딩부(190)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본체(100)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트랜스포머 제조방법은 본체(100)의 타측 상부로 인출된 상측 2차 단자핀(170b)을 절곡하여 하측 2차 단자핀(170a)과 나란히 2열로 배치하는 단계, 본체(100)의 코어 결합부(101)에 상부 코어(200a)와 하부 코어(200b)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최종 트랜스포머를 제조할 수 있다.
내측 보빈(120)을 준비하는 단계는, 사출 성형에 의해 코어 결합공(122), 1차 권선부(121), 상단 플랜지, 하단 플랜지(124) 및 연장 플랜지(125)를 갖고, 연장 플랜지(125)에 복수 개의 1차 단자핀(130)이 돌출되게 내측 보빈(120)을 성형한다.
내측 보빈(120)의 1차 권선부(121)에 1차 코일(140)을 권선하는 단계는, 1차 권선부(121)에 복수 개의 1차 코일(140)을 권선하며, 1차 코일(140)의 단부 리드선(141)은 1차 단자핀(130)에 감고 납땜하여 고정한다. 이때, 1차 단자핀(130) 하나 당 하나의 리드선(141)이 결선되도록 하여 1차 단자핀(130) 간 절연거리가 확보되도록 한다.
내측 보빈(120)에 제1 몰딩부(150)를 결합하는 단계는, 1차 단자핀(130)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내측 보빈(120)과 1차 코일(140)과 1차 코일(140)의 단부 리드선(141)이 결선된 부분에 제1 몰딩부(150)를 결합한다.
외측 보빈(160)을 준비하는 단계는, 사출 성형에 의해 보빈 결합공(162), 2차 권선부(161), 상부 플랜지(163), 하부 플랜지(164) 및 요입홈(126)을 갖고, 상부 플랜지(163)와 하부 플랜지(164)에 2차 단자핀(170)이 돌출되게 외측 보빈(160)을 성형한다.
외측 보빈(160)에 2차 코일(180)을 권선하는 단계는, 2차 권선부(161)에 복수 개의 2차 코일을 권선하며, 2차 코일(180)의 단부 리드선(171)은 2차 단자핀(170)에 감고 납땜하여 고정한다. 이때, 2차 단자핀(170) 하나 당 하나의 리드선(171)이 결선되도록 하여 2차 단자핀(170) 간 절연거리가 확보되도록 한다. 또한, 2차 코일 하나의 양단 리드선(171)은 상하로 위치된 2차 단자핀(170)에 각각 결선한다.
외측 보빈(160)에 내측 몰딩보빈(110)을 결합하는 단계,는 외측 보빈(160)의 보빈 결합공(162)에 내측 몰딩보빈(110)을 결합한다.
내측 보빈(120)과 외측 보빈(160)에 제2 몰딩부(190)를 결합하는 단계는, 1차 단자핀(130)과 2차 단자핀(170)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내측 보빈(120)과 외측 보빈(160)과 2차 코일(180)과 2차 코일의 단부 리드선(171)이 결선된 부분에 제2 몰딩부(190)를 결합한다.
본체(100)의 타측 상부로 인출된 상측 2차 단자핀(170b)을 절곡하여 하측 2차 단자핀(170a)과 나란히 2열로 배치하는 단계는, 상측 2차 단자핀(170b)과 하측 2차 단자핀(170a)을 이격시켜 2차 단자핀(170) 간 안전거리를 확보한다.
본체(100)의 코어 결합부(101)에 상부 코어(200a)와 하부 코어(200b)를 결합하는 단계는, 본체(100)의 코어 결합부(101)에 결합된 상부 코어(200a)와 하부 코어(200b)는 본체(100)와 접하는 면에 에폭시 본딩하거나 상부 코어(200a)와 하부 코어(200b)가 접하는 면에 에폭시 본딩하여 결합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에폭시 본딩은 방수성은 높이고 파손시 파편을 최도화하며 크랙 확인도 용이하게 한다.
내측 보빈(120)의 두께, 내측 보빈(120)에 결합되는 제1 몰딩부(150)의 두께, 외측 보빈(160)의 두께, 외측 보빈(160)에 결합되는 제2 몰딩부(190)의 두께는 0.5~0.55mm 범위로 균일하게 제작할 수 있고, 본체(100)는 1차 코일(140)과 2차 코일(180)을 완전히 차폐하는 구조이다.
실시예에서 1차 단자핀(130)과 2차 단자핀(170)의 직경은 1.5mm이고, 단자핀 간 간격은 4~5mm 범위이며, 상측 2차 단자핀(170b)과 하측 2차 단자핀(170a)간 이격 거리는 3mm이다. 이러한 소형 트랜스포머에서 단자핀 하나당 하나의 리드선이 결선되면 단자핀간 안전거리가 확보되어 쇼트 발생이 방지되며 내압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1차 단자핀과 리드선의 결선 부분이 제1 몰딩부의 내부에 위치되고, 2차 단자핀(170)과 리드선(171)의 결선 부분이 제2 몰딩부(190)의 내부에 위치되므로 결선이 된 후에는 외력에 의한 접촉 불량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코일과 단자핀의 결선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내측 보빈에 권선되는 첫번째 1차 코일의 양단 리드선이 1번과 2번의 1차 단자핀에 각각 결선되고, 두번째 1차 코일의 양단의 리드선이 4번과 5번의 1차 단자핀에 각각 결선될 수 있다.
또한, 외측 보빈에 권선되는 첫번째 2차 코일의 양단이 13번과 7번의 2차 단자핀에 각각 결선되고, 두번째 2차 코일의 양단이 12번과 6번의 2차 단자핀에 각각 결선되고, 세번째 2차 코일의 양단이 11번과 8번의 단자핀에 각각 결선되고, 네번째 2차 코일의 양단이 10번과 9번의 2차 단자핀에 각각 결선되고, 다섯번째 2차 코일의 양단이 21번과 15번의 2차 단자핀에 각각 결선되고, 여섯번째 2차 코일의 양단이 20번과 14번의 2차 단자핀에 각각 결선되고, 일곱번째 2차 코일의 양단이 19번과 16번의 2차 단자핀에 각각 결선되고, 일곱번째 2차 코일의 양단이 18번과 17번의 2차 단자핀에 각각 결선될 수 있다.
13번과 21번은 기판에 형성된 기판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어 서로 연결되고 기판의 출력측 회로와 연결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2개의 2차 단자핀에 한 개의 코일을 연결한 구조의 도 14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1차 2차 Terminal Wire Turns
S F
W3 NS1 6 12 UST 0.1Φ×80P 2
14 20 UST 0.1Φ×80P 2
W4 NS2 7 13 UST 0.1Φ×80P 2
15 21 UST 0.1Φ×80P 2
W5 NS3 11 8 UST 0.1Φ×80P 2
19 16 UST 0.1Φ×80P 2
W6 NS4 10 9 UST 0.1Φ×80P 2
18 17 UST 0.1Φ×80P 2
도 1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2차 단자핀에 회로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1차 코일에 대한 2차 코일의 권선비를 조절할 수 있고 여러 다른 출력전압을 얻을 수 있으므로 높은 허용전류를 갖는다.
상기한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는 단자핀 하나에 하나의 리드선(동선)을 결선하므로 동선이 굵은 경우도 단자핀 간 절연거리 확보가 가능하고 쇼트 발생 위험이 방지되며 내전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는 단자핀 하나에 하나의 리드선을 결선하므로 전류 병목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는 단자핀 하나에 하나의 리드선을 결선하므로 자동 권선 및 결선이 가능하여 자동화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는 가닥수가 많은 리드선에 대한 상하 분할 권선이 가능하여 소형화한 트랜스포머에도 단자핀 간 절연거리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인서트 사출에 의해 1차 코일과 2차 코일의 완벽한 절연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높은 절연신뢰성을 갖고, 2차 코일을 외부와 밀폐하므로 방수가 가능하다.
상기한 트랜스포머는 TV, 모니터, LED 드라이브 전원장치, PC 파워서플라이 등에 설치하여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2차 단자핀은 서로 이격되고 2열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설계 조건에 따라 3열 이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트랜스포머 100: 본체
101: 코어 결합부 110: 내측 몰딩보빈
120: 내측 보빈 121: 1차 권선부
122: 코어 결합공 123: 상단 플랜지
124: 하단 플랜지 125: 연장 플랜지
126: 요입홈 130: 1차 단자핀
p: 납땜 140: 1차 코일
141: 1차 코일의 단부 리드선 150: 제1 몰딩부
160: 외측 보빈 161: 2차 권선부
162: 보빈 결합공 163: 상부 플랜지
164: 하부 플랜지 165: 걸림홈
170: 2차 단자핀 170a 하측 2차 단자핀
170b: 상측 2차 단자핀 180 2차 코일
181: 2차 코일의 단부 리드선 190: 제2 몰딩부
200: 코어 200a: 상부 코어
200b: 하부 코어

Claims (15)

  1.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코어;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내측 보빈;
    상기 내측 보빈에 권선된 1차 코일;
    상기 내측 보빈의 일측 측면에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1차 코일의 단부 리드선이 결선되는 복수 개의 1차 단자핀;
    상기 내측 보빈과 결합되는 외측 보빈;
    상기 외측 보빈에 권선된 복수 개의 2차 코일; 및
    상기 내측 보빈에서 상기 1차 단자핀이 돌출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인 상기 외측 보빈의 타측 측면에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2차 코일의 단부의 리드선이 결선되는 복수 개의 2차 단자핀;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2차 단자핀은 상기 외측 보빈의 타측 측면에 상하로 분할되어 형성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외측 보빈을 몰딩한 제2 몰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2차 단자핀은
    상기 제2 몰딩부 내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2 몰딩부의 하부로 돌출되는 하측 2차 단자핀; 및
    상기 제2 몰딩부의 측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2 몰딩부 외에서 절곡되어 상기 하측 2차 단자핀과 이격되게 나란히 배열되는 상측 2차 단자핀;
    을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단자핀은
    하부로 절곡되고 상기 본체의 하면에서 하부로 돌출된 트랜스포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단자핀 하나 당 상기 2차 코일의 하나의 리드선이 결선되는 트랜스포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2차 단자핀과 상기 상측 2차 단자핀은 동일한 개수인 트랜스포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2차 단자핀은 상기 하측 2차 단자핀에 비해 길이가 길고,
    상기 상측 2차 단자핀과 상기 하측 2차 단자핀의 단부는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트랜스포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빈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2차 단자핀은 상하 상호 대칭하면서 쌍을 이루고,
    상하 쌍을 이루는 두 개의 2차 단자핀에 상기 2차 코일이 한 개씩 연결되는 트랜스포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빈은 제1 몰딩부에 의해 몰딩되어 있는 트랜스포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코일과 상기 1차 코일의 단부 리드선이 결선된 상기 1차 단자핀의 일부가 상기 제1 몰딩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1차 단자핀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1 몰딩부의 외부로 돌출된 트랜스포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빈은
    2차 코일이 권선되는 2차 권선부;
    상기 2차 권선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그 사이에 권선 공간을 제공하는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및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에 형성되고 상기 2차 권선부에 권선된 상기 2차 코일의 리드선이 상기 2차 단자핀에 결선되기전 걸려 지지되는 복수 개의 걸림홈;
    을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의 양측에 해당하는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에서 상기 상측 2차 단자핀과 상기 하측 2차 단자핀이 각각 돌출 형성되는 트랜스포머.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빈과 결합된 상기 외측 보빈이 상기 제2 몰딩부에 의해 몰딩되어 있는 트랜스포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몰딩부의 외부로 1차 단자핀과 2차 단자핀이 돌출된 트랜스포머.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1차 단자핀은 서로 이격되고 1열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 개의 2차 단자핀은 서로 이격되고 2열을 형성하는 트랜스포머.
KR1020200103905A 2020-08-19 2020-08-19 트랜스포머 KR102429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905A KR102429668B1 (ko) 2020-08-19 2020-08-19 트랜스포머
CN202110812534.4A CN114078625A (zh) 2020-08-19 2021-07-19 变压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905A KR102429668B1 (ko) 2020-08-19 2020-08-19 트랜스포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671A KR20220022671A (ko) 2022-02-28
KR102429668B1 true KR102429668B1 (ko) 2022-08-05

Family

ID=80283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905A KR102429668B1 (ko) 2020-08-19 2020-08-19 트랜스포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29668B1 (ko)
CN (1) CN11407862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7312A (ja) 2007-01-18 2008-07-31 Fdk Corp トランス
KR102132848B1 (ko) * 2019-08-27 2020-07-13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트랜스포머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147B1 (ko) * 2010-12-29 2012-03-21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42559A (ko) * 2014-10-10 2016-04-20 주식회사 솔루엠 코일 부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7312A (ja) 2007-01-18 2008-07-31 Fdk Corp トランス
KR102132848B1 (ko) * 2019-08-27 2020-07-13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트랜스포머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671A (ko) 2022-02-28
CN114078625A (zh)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1022B2 (en) Advanced electronic header apparatus and methods
KR102091117B1 (ko) 트랜스포머 및 그 제조방법
US20130049913A1 (en) Coil device
US7091815B2 (en) Electrical device, transformer, and indu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ical device
US8773234B2 (en) Transformer
KR101240854B1 (ko) 트랜스포머
KR102132848B1 (ko) 트랜스포머 및 그 제조방법
KR102313650B1 (ko) 트랜스포머 및 이의 제조방법
JP5217528B2 (ja) 多連インダクタ
KR100795572B1 (ko) 고체절연 주상 변압기 및 그 제조 방법
US6301127B1 (en) Circuit block for power supply
KR101806443B1 (ko)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KR102429668B1 (ko) 트랜스포머
CN110600241A (zh) 多路开关电源变压器及其制备方法
KR102173774B1 (ko) 코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1328286B1 (ko) 트랜스포머
CN210865846U (zh) 多路开关电源变压器
KR200432586Y1 (ko) 고체절연 주상 변압기
KR102647723B1 (ko) 트랜스포머
KR102477029B1 (ko) 트랜스포머
KR20150139851A (ko) 통합된 접지 구조를 갖는 회로 기판 자성 구성요소 및 제조 방법
KR102603589B1 (ko) 코일 부품
TWI771711B (zh) 磁感應組件
CN112823401A (zh) 变压器及其制造方法
JPH06204053A (ja) モールドトラ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