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9140A - 습윤 압축 가스를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와 방법 및 상기 장치가 구비된 압축기 설비. - Google Patents

습윤 압축 가스를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와 방법 및 상기 장치가 구비된 압축기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9140A
KR20200019140A KR1020197037066A KR20197037066A KR20200019140A KR 20200019140 A KR20200019140 A KR 20200019140A KR 1020197037066 A KR1020197037066 A KR 1020197037066A KR 20197037066 A KR20197037066 A KR 20197037066A KR 20200019140 A KR20200019140 A KR 20200019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liquid desiccant
regenerator
compressed gas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7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2517B1 (ko
Inventor
바트 게르츠
Original Assignee
아틀라스 캅코 에어파워, 남로체 벤누트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틀라스 캅코 에어파워, 남로체 벤누트삽 filed Critical 아틀라스 캅코 에어파워, 남로체 벤누트삽
Publication of KR20200019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B01D53/229Integrated processes (Diffusion and at least one other process, e.g. adsorption,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25Regeneration of liquid ab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3Drying gases or vapours b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5Drying gases or vapours by refrigeration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8Drying gases or vapours by diff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8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as dry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B01D2053/221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2/00Absorbents, i.e. solvents and liquid materials for gas absorption
    • B01D2252/10Inorganic ab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2/00Absorbents, i.e. solvents and liquid materials for gas absorption
    • B01D2252/20Organic absorbents
    • B01D2252/202Alcohols or their derivatives
    • B01D2252/2023Glycols, diols or their deriva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rying Of Gas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습윤 압축 가스를 건조시키는 장치 - 장치(2)에는 액체 건조제가 제공되고 압축 가스를 압축 가스로부터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건조제와 접촉시키도록 구성된 건조기가 제공됨 - 로서, 건조기는 멤브레인 건조기(11)이고; 압축 가스를 건조시키는 장치(2)는 액체 건조제가 배치되는 회로(20), 및 액체 건조제가 회로(20)에서 연속적으로, 멤브레인(13)의 일측면 상의 압축 가스와 타측면 상의 액체 건조제의 사이에 파티션을 형성하는 멤브레인(13) - 멤브레인(13)은 압축 가스 중의 가스에 대해서는 불투과성 또는 실질상 불투과성이지만 압축 가스 중의 수분에 대해서는 선택적으로 투과성임 - 을 갖는 멤브레인 건조기(11); 액체 건조제를 가열하는 열교환기(29); 후속 사이클을 위해 멤브레인 건조기(11)를 통해 복귀되기 전에 액체 건조제에 흡수된 수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재생기(22) - 재생기(22)는, 수분이 흡수된 액체 건조제가, 하우징(23)을 통해 동시에 안내되며 접촉시에 액체 건조제로부터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플러싱제와 수분 전달 접촉 상태로 안내되는 하우징(23)에 의해 형성됨 - 를 통과하여 순환하는 것을 허용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회로(20)에는 재생기(22)의 하류 및 멤브레인 건조기(11)의 상류의 회로의 분기점과 멤브레인 건조기(11)의 하류 및 재생기(22)의 상류의 회로의 합류점 사이에 폐쇄 가능 바이패스(45)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습윤 압축 가스를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와 방법 및 상기 장치가 구비된 압축기 설비.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압축기 요소로부터 유래하는 습윤 압축 가스를 건조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축기 요소에 의해 흡입된 가스, 예를 들면 습한 주위 공기도, 또한 압축 후에 수증기의 형태의 소정량의 수분으로 충전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압축 가스 중의 수분은 압축기에 의해 공급되는 압축 가스의 소비자에게 손상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압축 가스는 통상적으로 이러한 소비자에게 공급되기 전에 건조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수증기로 충전된 압축 공기의 건조에 국한되지 않는다.
압축 가스를 건조시키기 위한 다양한 유형의 장치가 이미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 가스가 이 압축 가스로부터 수분을 추출하고 이를 흡수할 수 있는 건조제와 접촉하게 되는 건조기가 구비된 유형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체 건조제가 건조 대상 압축 가스 흐름에 살포되어 가스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고, 그 후 건조제가 수집되어 흡수된 수분과 함께 제거되거나 건조제를 재생하기 위해 처리되는데, 환언하면 건조 목적으로 건조제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흡수된 수분을 회수하는, 이러한 유형의 장치는 이미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유형의 장치의 단점은 가스와 액체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이다. 액체와 가스를 완벽하게 분리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액체 건조제는 필연적으로 건조된 가스와 함께 취해지며, 반대로 압축 가스도 또한 액체 건조제 중에 함께 취해지는데, 두 경우 모두 손실을 초래하고 수분을 흡수하는 건조제의 용량을 감소시킨다.
다른 단점은 가스 중의 임의의 오염은 건조제에도 미칠 수 있고 심지어는 축적될 수 있다는 것인데, 이는 건조제가 조기에 교체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단점은 이러한 방법은 100%의 주변 상대 습도에서는 적용될 수 없다는 것이다.
압축 가스 중의 수분에 선택적으로 투과성인 멤브레인이 사용되며, 건조 대상 압축 가스가 멤브레인의 일측면에 흐르고, 멤브레인의 타측면에서는 그 흐름 중에 통과가 허용되는 수분을 함께 취하는 플러싱 가스(flushing gas)가 사용되는, 다른 유형의 장치도 이미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유형의 건조 장치의 단점은 통상적으로 꽤 비효과적이라는 것이다.
본 발명은 비용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습윤 압축 가스를 건조시키는 비교적 간단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스는 이 경우에 N2, O2, CO2와 같은 다소 순수 가스, 또는 He 또는 Ar과 같은 희가스, 또는 예를 들면, 공기와 같은 가스 혼합물을 지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압축 가스가 압축 가스로부터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건조제와 접촉되게 하는 건조기가 제공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조기는 멤브레인 건조기이고;
압축 가스를 건조시키는 장치는, 액체 건조제가 연속적으로, 멤브레인의 일측면 상의 압축 가스와 타측면 상의 액체 건조제를 분리하는 멤브레인 - 멤브레인은 압축 가스 중의 가스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불투과성 또는 거의 불투과성이지만 압축 가스 중의 수분에 대해서는 선택적으로 투과성이며 압축 가스 측의 압력은 액체 건조제 측의 압력 이상임 - 을 갖는 멤브레인 건조기; 액체 건조제를 가열하기 위한 열교환기; 후속 사이클을 위해 멤브레인 건조기를 통해 다시 보내지기 전에 액체 건조제에 흡수된 수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재생기 - 재생기는, 흡수된 수분을 함유한 액체 건조제가, 하우징을 통해 동시에 유도되고 액체 건조제로부터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플러싱제(flushing agent)와 수분 전달의 목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하우징에 의해 형성됨 - 를 통해서 순환되는 회로를 포함하며;
회로에는 재생기의 하류 및 멤브레인 건조기의 상류의 회로의 분기점과 멤브레인 건조기의 하류 및 재생기의 상류의 회로의 합류점 사이에 폐쇄 가능 바이패스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멤브레인과 액체 건조제를 갖는 건조기가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장치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포함하여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 압축 가스를 물의 이슬점까지 냉각시킬 필요없이 수분이 제거될 수 있고;
- 이러한 장치는, 액체 건조제를 재생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압축 가스의 일부를 필요로 함이 없이 작동할 수 있으며;
- 이러한 장치는, 방출될 경우 오존층에 다소의 악영향을 미칠 수 있고 및/또는 소위 지구 온난화의 원인이 될 수 있고 및/또는 건강에 다소 유해할 수 있는 냉각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작동할 수 있으며;
- 압축 가스로부터 제거되는 수분의 양은, 예를 들면 액체 건조제의 유동을 조절함으로써 쉽고 다양한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그래서 건조된 압축 가스의 이슬점이, 통상적으로는 대략 - 20℃의 이슬점 내지 약 10℃의 이슬점까지 넓은 범위에 걸쳐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고;
- 장치는 압축 가스의 넓은 압력 영역 내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 건조 대상 가스와 액체 건조제 사이에 직접적인 접촉이 없고;
- 예를 들면 압축기로부터, 특히 액체 주입식 압축기로부터, 예를 들어 물 주입식 또는 오일 주입식 압축기로부터의 잔류 열과 같은, 저온에서의 잔류 열의 회수를 포함하여 에너지 회수가 가능해지며, 그래서 물 또는 오일의 온도는 각각 압축기에서 제한된 정도까지만 상승하며;
- 장치는, 아마도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펌프 및/또는 송풍기, 환풍기 또는 팬을 제외하고는, 가동 부품(moving parts)이 없는 단순한 구조를 갖는데, 이는 장치가 보다 조용이 작동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거의 필요하지 않음을 의미하고;
- 장치는 매우 신뢰성이 있으며;
- 멤브레인의 유형에 따라, 본 장치는 압축 가스에 소량의 오일도 또한 존재할 수 있는 오일 주입식 압축기에 적합하거나 적합하게 만들 수 있다.
액체 건조제는 바람직하게는 흡습성이 높으며, 건조 대상 압축 가스 중의 수분의 증기압 보다 낮은 수증기압을 특징으로 한다.
액체 건조제는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을 특징으로 한다: 비독성 또는 실질적으로 비독성; 비부식성 또는 실질적으로 비부식성; 저점도 및 안정성.
액체 건조제는 10℃에서 바람직하게는 250 센티푸아즈(centipoise)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센티푸아즈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 센티푸아즈 미만의 점도를 갖는다. 저점도는 회로에서 건조제를 펌핑하는 프로세스를 단순화하고, 멤브레인 건조기 및/또는 재생기를 통과하여 유동할 때의 압력 강하를 제한할 수 있으며, 건조제를 보다 신속하게 교체함으로써 건조 및 재생 모두에 대해 보다 나은 성능을 제공한다.
액체 건조제의 독성은 바람직하게는 호지 앤드 스터너 스케일(Hodge and Sterner scale)에 따라 클래스 4(약간 독성) 이상으로, 바람직하게는 클래스 5(실질적으로 비독성) 이상으로 분류된다. 이 스케일의 정의에 대해서는, Mike Lancaster(마이크 랜캐스터)의 "Green chemistry - an introductory text - 3rd edition", p. 20, 1.6 독성 측정, ISBN 978-1-78262-294-9를 참조하기 바란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액체 건조제는 바람직하게는 아래에 열거된 물질들 중 하나 이상 및 가능하게는 물을 포함한다:
- 모노-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약자로 MPG;
- 디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약자로 DPG;
-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약자로 TPG;
- 모노-에틸렌 글리콜, 또는 약자로 MEG;
- 디-에틸렌 글리콜, 또는 약자로 DEG;
- 트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약자로 TEG;
- 화학식 LiCl의 염화 리튬;
- 화학식 LiBr의 브롬화 리튬;
- 화학식 CaCl2의 염화칼슘.
예를 들면, 산화와 같은 특정 분해 프로세스를 방지 및/또는 감속시킴으로써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제가 건조제에 첨가될 수 있다. 건조제와 접촉하게 되는 장치 내의 이들 재료의 열화 및/또는 분해를 방지 또는 제한하기 위해, 예를 들면 부식 억제제와 같은 첨가제가 또한 건조제에 첨가될 수 있다.
멤브레인 건조기 내의 멤브레인에 가장 적합한 재료는, 기공들(pores)이 액체 건조제로 포화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기공이 없는 소수성 재료이다.
다른 적합한 재료는 15 나노미터 내지 100 나노미터의 크기 범위의 기공들을 갖는 미세 다공성 구조를 갖는 재료들을 포함한다.
다음의 비망라적인 목록의 재료들이 멤브레인 건조기 내의 멤브레인의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 폴리프로펜, 또는 약자로 PP;
-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텐, 또는 약자로 PTFE;
-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또는 약자로 PVDF;
- 폴리에테르설폰, 또는 약자로 PES;
- 폴리에테르이미드, 또는 약자로 PEI;
- 폴리에텐, 또는 약자로 PE;
- 폴리디메틸실록산, 또는 약자로 PDMS;
- 폴리이미드, 또는 약자로 PI.
예를 들면, TiO2와 같은 세라믹 재료뿐만 아니라 세라믹과 플라스틱 재료의 조합도 멤브레인 건조기 내의 멤브레인의 재료로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물질들은 모두 다소 미세 다공성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압축 가스가 멤브레인 건조기를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가능한 짧게 유지되며, 멤브레인 건조기는 바람직하게는 건조 대상 가스를 위한 입력부와 건조된 가스를 위한 배출구 및 액체 건조제를 위한 입력부와 출력부를 갖는 하우징 내의 별도의 컴파트먼트를 갖는 하우징으로 및 상기 컴파트먼트를 가로질러 연장되며 건조 대상 가스에 대한 입력부와 출력부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관형 멤브레인들(tubular membranes)로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압축 가스 중의 수분이 액체 건조제로 침투할 수 있는 넓은 멤브레인 표면이 형성되고, 그에 따라 보다 작은 멤브레인 표면에 비해 필요한 접촉 시간이 감소된다. 이와 같이, 멤브레인 건조기는 보다 컴팩트하게 또한 제작될 수 있다.
관형 멤브레인이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기공이 없는 소수성 물질의 중공 섬유에 의해 형성되는 멤브레인 구조가 보다 양호하며, 그래서 훨씬 더 넓은 멤브레인 표면이 생성될 수 있고 필요한 접촉 시간이 더욱 단축될 수 있으며 멤브레인 건조기가 보다 더 컴팩트하게 제작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중공 섬유로 형성된 관형 멤브레인을 갖는 이러한 멤브레인 구조는 액체 건조제의 압력에 보다 잘 견딜 수 있게 하는데 이는 굽힘을 방지한다.
중공 섬유로 형성된 관형 멤브레인을 갖는 이러한 멤브레인 구조가 대부분의 경우에 편평한 멤브레인 스킨보다 더 나은 선택이지만, 편평한 멤브레인 스킨은 부하 손실(load loss)을 저감시키고 생산이 더 용이하기 때문에 어떤 경우에는 이러한 편평한 멤브레인 스킨이 권장된다.
본 발명은 또한 가스 압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압축기 요소를 구비한 압축기 설비에 관한 것이며, 압축기 설비는 압축기 요소로부터 유래하는 압축 가스를 건조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재생기의 상류의 전술한 열교환기에서 액체 건조제를 가열 또는 예열하기 위해 압축기 요소로부터의 잔류 열이 비용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재생을 위해 외부 열이 필요하지 않거나 또는 보다 적게 필요하며, 그렇지 않으면 손실되는 경향이 있는 잔류 열이 유용한 문제에 사용되어 에너지가 회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축기 요소로부터의 잔류 열은 압축기 요소 내의 냉각 재킷 및 전술한 열교환기를 통해 냉각 매체를 연속적으로 안내함으로써 액체 건조제를 가열 또는 예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압축 가스를 냉각시키기 위해 압축기 요소의 후방에 애프터쿨러가 제공될 때, 이 애프터쿨러로부터 제거된 열의 일부는 액체 건조제를 데우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애프터쿨러 및 전술한 열교환기를 통해 냉각 매체를 연속적으로 안내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애프터쿨러에 의해 데워진 주위 공기를 멤브레인 건조기의 하류 및 재생기의 상류의 건조제의 회로의 일부에 걸쳐 송풍하는 것에 의해서도 또한 이루어질 수 있다.
필요한 재생에 도달하기 위해 건조제가 압축기 요소로부터의 잔류 열로 충분히 높은 온도까지 가열될 수 없는 경우, 이와 같이 가열하기 위해 예를 들면 전기 가열, 열 네트워크, 예를 들어 증기 네트워크, 또는 다른 프로세스로부터의 잔류 열과 같은, 다른 및/또는 추가 열원을 이용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은 건조 대상 압축 가스 중의 오일의 존재에 민감하지 않거나(insensitive) 실질적으로 민감하지 않은 물질로 제작된 멤브레인을 선택함으로써 및/또는 압축 가스 중의 오일의 양을 오일 분리기 및/또는 필터를 사용하여 사용되는 멤브레인에 문제를 유발하지 않는 수준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오일 주입식 압축기 요소를 갖는 압축기 설비와도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P, PE, PEI, PES, PI, PDMS, PVDF 또는 PTFE와 같은 미세 다공성 플라스틱의 멤브레인과 같은, 오일의 존재에 다소 민감한 멤브레인은 보호층, 예를 들면 발유성(oil-repellent) 또는 내유성(oil-proof) 층의 적용에 의해, 예를 들면 실리콘 보호층 또는 미세 다공성 PTFE로 제조된 멤브레인의 경우에 특히 권장되는 플루오로폴리머로 제조된 비정질 보호층을 적용함으로써, 오일의 존재에 민감하지 않거나 덜 민감하게 만들 수 있다.
오일 주입식 압축기 요소는 오일이 압축기 요소에 주입될 수 있게 하는 오일 회로를 항상 포함하며, 주입된 오일은 압축 가스로부터 분리되고는, 압축기 요소로 다시 주입되기 전에 냉각된다.
이 경우에, 오일 회로는 바람직하게는 오일로부터 열을 회수함으로써 액체 건조제를 동시에 가열하면서 오일을 냉각시키기 위해 전술한 열교환기를 통해 안내된다.
전술한 열교환기는 압축기 요소에 의해 압축된 가스의 적어도 일부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예컨대 다른 열교환 매체를 사용하여 액체 건조제로 열을 방출하고 이에 의해 압축 가스가 동시에 냉각되는 방식으로도 또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스 건조 장치에서, 2 bar 보다 큰, 바람직하게는 3 bar 보다 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 bar 보다 큰 압력 차가 바람직하게는 멤브레인 건조기 내의 멤브레인의 양측면 사이에 적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대기압 부근의 압력으로 재생 대상 액체 건조제와 접촉하게 되는 플러싱 가스로서 주위 공기가 재생기에서 유익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기압 부근의 액체 건조제의 회로에서 저압이 사용될 수 있다.
가스 건조 장치의 바람직한 특성에 따르면, 재생기는 일측면에 액체 건조제가 있고 타측면에 전술한 플러싱 가스가 있는 멤브레인을 갖는 재생기이며, 멤브레인은 액체 건조제에 대해서는 불투과성 또는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이지만 액체 건조제에 의해 건조기에 흡수되는 수분에 대해서는 선택적으로 투과성이다.
재생기 내의 멤브레인은 바람직하게는 소수성 물질로 제작된다.
재생기 내의 멤브레인의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비망라적인 목록의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한다:
- 폴리프로펜, 또는 약자로 PP;
-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텐, 또는 약자로 PTFE;
-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또는 약자로 PVDF,
PTFE 및 PVDF가 가장 선호되는데, 그 이유는 두 물질 모두 화학적 및 열적 안정성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TiO2와 같은 세라믹 재료뿐만 아니라 세라믹과 플라스틱 재료의 조합도 재생기 내의 멤브레인의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발유성 또는 내유성의 보호층도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멤브레인은 또한 예를 들면, 중공 섬유 형태의 관형 멤브레인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플러싱 가스 대신에, 액체 건조제를 재생하기 위해 물을 사용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액체 건조제와 재생기 내의 멤브레인의 조합에 있어서 적절한 선택이 이루어지면, 물이 재생기에서 건조제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이것의 장점은 제거된 수분이 플러싱 가스로 운반되어 나가는 것이 아니라 수집될 수 있다는 것이다.
건조제는 이를 통해 공기를 송풍하는 것에 의해서도 또한 재생될 수 있다. 건조제를 통과함에 따라 기포는 건조제 중의 수분의 일부를 수증기 형태로 흡수한다. 그래서, 기포가 건조제로부터 빠져 나갈 때, 수증기를 갖는 공기가 운반되어 나갈 수 있다. 건조제의 회로에는 용기(vessel)가 바람직하게 제공되는데, 이 용기에는 '습윤' 건조제가 첨가될 수 있고 이 용기로부터 "건조한(drier)" 건조제가 운반되어 나갈 수 있으며, 이 용기에는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베이스에서 및 미세 기포의 형태로 공기를 송풍하는 수단이 제공되고, 기포가 습윤 공기의 형태로 빠져 나가게 하는 수단이 제공된다. 공기를 송풍하기 위해 송풍기 또는 환풍기가 사용될 수 있다. 건조제의 오염을 제한하거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방지하기 위해, 송풍하기 전에 공기는 바람직하게 여과될 것이다.
액체 건조제의 회로는 재생기의 하류 및 멤브레인 건조기의 상류의 냉각기에 의해 비용 효과적인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멤브레인 건조기 내에서 액체 건조제의 흡수 용량이 증가된다. 이 냉각기는 예를 들면, 이를 가로질러 주위 공기를 송풍하는 환풍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거나, 이용 가능할 수 있는 냉각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멤브레인 건조기에서 유래하는 액체 건조제는, 전술한 열교환기를 통해 연속적으로 순환하게 함으로써, 액체 건조제가 소기의 온도로 보다 안정적으로 데워질 수 있는 버퍼 용기(buffer vessel)에서 버퍼링될 수 있다.
유사하게, 재생기에서 유래하는 액체 건조제도 또한 보다 안정적인 냉각을 위해 버퍼 용기에서 버퍼링될 수 있다.
액체 건조제의 회로에는 바람직하게는 탈기 장치(deaerator)가 제공되며, 그래서 멤브레인 건조기 내의 멤브레인을 통해 또는 불완전한 시일(imperfect seal)과 같은 다른 누출을 통해 압축 가스로부터 액체 건조제로 누출된 가스가 회로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하는데, 이는 그렇지 않을 경우 압축 가스로부터의 수분의 교환에 악영향을 미치거나 회로의 중단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옵션으로서, 회로에는 재생기의 하류 및 멤브레인 건조기의 상류의 회로의 분기점과 멤브레인 건조기의 하류 및 재생기의 상류의 회로의 합류점 사이에 폐쇄 가능 바이패스(closable bypass)가 제공될 수 있으며, 보다 신속하게 작동 가능 상태가 되도록 장치를 시동할 때 밸브가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또는 압축기 설비를 사용하는 습윤 압축 가스를 건조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또한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습윤 압축 가스를 건조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 압축 가스 중의 가스에 대해서는 불투과성 또는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이지만 압축 가스 중의 수분에 대해서는 선택적으로 투과성인 멤브레인을 갖는 멤브레인 건조기를 제공하는 단계;
- 접촉시에 건조 대상 압축 가스로부터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액체 건조제를 멤브레인의 일측면에서 멤브레인 건조기를 통해 순환시키는 단계;
- 액체 건조제의 측면의 압력보다 더 높은 압력으로 멤브레인의 타측면을 따라 멤브레인 건조기를 통해 건조 대상 가스를 보내는 단계;
- 멤브레인 건조기를 통해 안내되고 난 후의 액체 건조제를 가열하는 단계; 및
- 접촉시에 액체 건조제로부터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플러싱제와 접촉되게 함으로써 후속 사이클에서 멤브레인 건조기를 통해 재순환되기 전에 그 흡수된 수분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해 액체 건조제를 재생하는 단계.
선택된 플러싱제는, 바람직하게는 공기를 함유하고 재생 대상 액체 건조제와 접촉하게 되는 플러싱 가스일 것이다.
공기는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으며 비용이 들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액체 건조제는 바람직하게는, 압축 가스를 건조시키기 위해 멤브레인 건조기로 다시 보내어지기 전에 재생 후 먼저 냉각될 것이다.
이와 같이, 멤브레인 건조기 내의 액체 건조제는 건조 대상 가스로부터 수분을 흡수함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면, -20℃ 내지 +10℃ 사이에 있는 건조된 압축 가스의 이슬점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성을 보다 잘 보여주기 위한 의도로, 압축 가스를 건조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방법 및 이러한 장치가 구비된 압축기 설비의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가 이하에서 본질을 제한함이 없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된다.
도 1은 압축기로부터 유래하는 압축 가스를 건조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2 내지 도 6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건조 장치(2)를 포함하는 압축기 설비(1)이다.
압축기 설비(1)는, 가스, 이 경우 주위 공기(5)가 통과하여 흡인될 수 있는 에어 필터에 연결된 입력부(4) 및 압축기 요소(3)에 의해 고압으로 압축 가스를 도시하지 않은 공압 드릴, 퍼커션 해머(percussion hammer), 또는 기타 공구 또는 장치의 사용자 네트워크(8)에 공급하기 위해 압력 도관(7)이 연결된 출력부(6)가 구비된 압축기 요소(3)를 포함한다.
압축 가스를 사용자 네트워크(8)에 공급되기 전에 냉각시키기 위해 애프터쿨러(9)가 알려진 방식으로 압력 도관(7)에 통합된다. 압축 가스에 존재하는 물은 애프터쿨러(9)에서 냉각시에 응축되어 응축 분리기(10)를 통해 배출된다.
가스 건조 장치(2)는 애프터쿨러(9)의 하류에서 압력 도관(7)에 포함되며 하우징(12)으로 구성된 멤브레인 건조기(11)를 포함하고, 하우징(12)은 편평한 멤브레인(13)을 사용하여 2개의 컴파트먼트 또는 채널로, 각각 애프터쿨러(9)로부터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제1 컴파트먼트(14)를 통해 사용자 네트워크(8)로 안내되는 압축 가스를 위한 입력부(15)와 출력부(16)를 갖는 제1 컴파트먼트(14), 및 액체 건조제를 위한 입력부(18)와 출력부(19)를 갖는 제2 컴파트먼트(17)로 분할된다.
가스 건조 장치(2)는, 멤브레인 건조기(11)의 제2 컴파트먼트(17)가 포함되며 펌프(21)를 사용하여 제2 컴파트먼트(17)를 가로질러 화살표 A와 반대 방향인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액체 건조제가 순환되는 회로(20)를 또한 포함한다.
액체 건조제는 압축 가스로부터 수분을 흡수할 수 있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흡습성이 높으며, 환언하면 수분을 흡인하며, 장치가 작동 중일 때 회로 내의 지배적 압력 및 온도 하에서 건조 대상 압축 가스 중의 수분의 증기압 보다 낮은 물에 대한 증기압을 특징으로 한다.
적합한 액체 건조제의 예로는, 가능하게는 물을 첨가한 MPG; DPG; TPG; MEG; DEG; TEG; LiCl; LiBr 및 CaCl2,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이 있다. 하지만, 이 목록은 비망라적이다.
멤브레인 건조기(11) 내의 멤브레인(13)은, 압축 가스 중의 가스에 대해서는 불투과성 또는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이지만 압축 가스 중의 수증기의 형태인 수분에 대해서는 선택적으로 투과성인 특성을 갖는다.
멤브레인(13)은 바람직하게는 대략 15 나노미터 내지 100 나노미터 사이의 기공을 갖는 소수성, 즉 발수성의 미세 다공성 물질로 제조된다.
이러한 물질의 예는 비망라적인 물질들의 목록으로서 아래에 요약되어 있는데, 즉 PP(폴리프로펜);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텐); PVDF(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PES(폴리에테르설폰); 다공성 PEI(폴리에테르이미드); 미세 다공성 PE(폴리에텐); PDMS(폴리디메틸실록산) 및 PI(폴리이미드)이다.
이산화 티타늄과 같은 세라믹 재료뿐만 아니라 세라믹과 플라스틱 재료의 조합도 멤브레인 건조기 내의 멤브레인의 재료로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가스 건조 장치(2)는, 회로(20)에 포함되며 하우징(23)의 형태로 제조된 재생기(22)를 포함하고, 이 재생기를 통해 환경(5)으로부터의 주위 공기가 환풍기 또는 송풍기(24) 등을 이용해 화살표 C의 방향으로 플러싱 가스로서 흡인된다.
액체 건조제는 회로(20)에 의해서 재생기(22)를 통해 화살표 C와 반대 방향으로 안내되고 컨택터(26) 상에서 재생기(22) 내의 분무기(25)를 사용하여 상부에서 분무화되는데, 이 컨택터를 따라서 및/또는 이 컨택터를 통해서 주위 공기가 분무화된 건조제와 접촉하도록 유동하며, 이로써 건조제에 흡수된 수분이 플러싱 가스에 의해 흡수되고 흡수된 수분과 함께 환경(5)으로 다시 분출된다.
액체 건조제는 트레이(27)의 바닥에 수집되며, 이곳으로부터 액체 건조제는 제2 펌프(28)를 사용하여 회로(20) 내로 다시 펌핑된다.
송풍기(24)의 설치에 의해, 재생기(22)에는 약간의 부압(負壓)이 우세하지만, 송풍기(24)가 주위 공기를 재생기를 통해 송풍할 때 약간의 정압(正壓)이 있을 수 있다.
회로(20)에서, 멤브레인 건조기(11)의 하류 및 재생기(22)의 상류에, 멤브레인 건조기(11)로부터 유래하는 액체 건조제를 가열하는 열교환기(29)가 제공된다.
도 1의 도시된 예에서, 열교환기(29)는 전기 저항(30)을 포함한다.
압축기 설비(1)의 작동은 매우 간단하며 다음과 같다.
작동시, 압축기 요소(3)는 습윤 압축 가스의 소정 흐름을 제공하고, 이로써 가스는 애프터쿨러(9)를 통해 안내되며, 애프터쿨러에서 가스는 냉각되고 가스 중에 존재하는 수분의 일부는 응축 분리기(10)를 통해 응축액으로서 가스로부터 제거된다.
압축 가스는 그리고 나서 멤브레인 건조기(11)를 통해 100%의 상대 습도로 안내되는데, 멤브레인 건조기에서 압축 가스는 수분을 전달할 목적으로 멤브레인(13)을 통해 멤브레인(13)의 타측면에서 액체 건조제와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압축 가스로부터의 수분은 멤브레인(13)을 통해 확산되고, 멤브레인(13)의 양측면 사이의 압력 차에 의해 잠재적으로 지지되는 액체 건조제에 의해 멤브레인에서 흡수된다.
열교환기(29)에서 가열함으로써, 건조제의 수증기 압력이 증가된다. 열교환기(29)를 통과한 후, 액체 건조제는 재생기(22)를 통해 안내되는데, 여기서 플러싱 가스와, 이 경우에는 주위 공기와 직접 접촉하게 된다. 가열된 건조제 내의 증기압은 이제 플러싱 가스에서의 증기압보다 높으므로, 플러싱 가스는 건조제에 흡수된 수분을 건조제로부터 추출한다. 이어서, 플러싱 가스는 송풍기(24)에 의해 건조제로부터 추출된 수분과 함께 가스 건조 장치(2)로부터 배기되어 환경(5)으로 송풍된다. 송풍기(24)의 흡인 효과는 또한 재생기(22) 내에 부압을 발생시키는데, 이는 플러싱 가스가 건조제로부터 수분을 훨씬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건조제를 예를 들면 90℃로 가열함으로써, 플러싱 가스에 의한 수분의 흡수가 촉진된다.
트레이(27)에 수집된 저수분의 액체 건조제는 그 다음에 다시금 압축 가스로부터 수분을 추출하기 위해 멤브레인 건조기(11)를 통해 다시 안내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액체 건조제는 회로(20) 내에서 연속적으로 순환되고 압축 가스로부터 수분이 연속적으로 추출되며, 이로 인해 멤브레인 건조기(11)를 떠나는 가스는 건조된 압축 가스이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설비(1)의 변형예는 도 1의 압축기 설비(1)와 유사하지만, 다음의 두 가지 차이점이 있다:
- 이 경우, 열교환기(29)는 액체 건조제가 흐르는 1차 부분(29a) 및 열교환 목적으로 1차 부분(29a)과 접촉하며 작동 중에 따뜻한 매체가 안내되는 2차 부분(29b)을 갖는 열교환기이고;
- 재생기는 하우징(23)을 2개의 컴파트먼트로 분할하는 멤브레인(31)을 포함하는데, 이들 두 컴파트먼트는, 액체 건조제가 열교환기(29)에서 가열된 후에 화살표 D의 방향으로 통과하여 이송되는 입력부(33)와 출력부(34)를 갖는 제1 컴파트먼트(32), 및 송풍기(24)를 사용하여 역류로 플러싱 가스가 화살표 C의 방향으로 통과하여 흡인되는 입력부(36)와 출력부(37)를 갖는 제2 컴파트먼트(35)이다.
멤브레인(31)은 액체 건조제에 대해서는 불투과성 또는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이지만, 액체 건조제에 의해 멤브레인 건조기(11)에서 흡수된 수분에 대해서는 선택적으로 투과성이다.
이 멤브레인은 바람직하게는 소수성 물질, 예컨대 PP(폴리프로펜);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텐), 또는 PVDF(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로 제조된다.
그 외에는, 이 변형예의 장치의 작동은 도 1에 따른 장치의 작동과 유사한데, 차이점은 이 경우에는 재생기(22)에서 액체 건조제와 플러싱 가스 사이의 접촉은 직접적이 아니라 멤브레인(31)을 통해 간접적으로 발생한다는 점에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설비(1)의 개선된 변형예이며, 이 경우에 압축기 요소(3)로부터의 잔류 열이 열교환기(29)에서 액체 건조제를 가열하는데 사용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순환 펌프(38)를 사용하여 냉각 매체가, 열교환기(29)의 2차 부분(29b)이 또한 포함되는 폐회로(39) 내의 압축기 요소(3) 상의 냉각 재킷을 통해 순환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멤브레인 건조기(11)로부터 나오며 수분이 충전된 액체 건조제를 위해 회로(20)에는 버퍼 용기(40)가 포함된다.
액체 건조제는 순환 펌프(41)를 사용하여 이 버퍼 용기(40)로부터 폐쇄 회로(42) 내에서 열교환기(29)의 1차 부분(29a)을 통해 안내되는데, 이로써 장치는 작동 조건의 변화에 보다 안정적으로 반응한다.
버퍼 용기(40)에는 자동 탈기 장치(48) 또는 에어 벤트가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멤브레인 건조기(11) 내의 멤브레인(13)이 압축 가스로부터의 가스도 이를 통과하도록 허용하는 경우에, 회로(20)를 통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회로(20) 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장치의 건조 용량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고, 회로(20)의 특정 부분에 가스가 축적될 수도 있어, 건조제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심지어 차단할 수도 있으며, 이는 장치(1)의 성능의 저하 또는 성능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압축기 요소(3)로부터 잔류 열을 회수하는 다른 가능성은 압축기 요소(3)의 윤활 및 냉각을 위해 압축기 요소에 오일을 주입하는데 사용되는 오일 회로를 갖는 오일 주입식 압축기 요소의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액체 건조제를 가열하기 위해 따뜻한 오일(warm oil)이 회로(39)에 사용될 수 있다.
오일 주입식 압축기 요소에서는, 통상적으로 압축 가스에 매우 소량이 오일이 존재한다.
멤브레인 건조기(11) 내의 멤브레인(13)을 제작하는 재료에 따라, 이 멤브레인(13)에는 발유성 또는 내유성 보호층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멤브레인(13)이 예를 들면, PP, PE, PEI, PES, PI, PDMS, PTFE 또는 PVDF와 같은 미세 다공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경우, 예를 들면 실리콘으로 제조된 보호층, 또는 예를 들면 TeflonTM과 같은, 플루오로폴리머로 제조된 비정질 보호층이 적용될 수 있으며, 후자는 예를 들면, 미세 다공성 PTFE로 제조된 멤브레인의 경우에 특히 권장된다.
도 4에는 재생기(22)의 하류 및 멤브레인 건조기(11)의 상류에서 회로(20)에 냉각기(43)가 포함되고 냉각기(43)로부터 유래하는 냉각된 저수분 액체 건조제를 버퍼링시키기 위해 버퍼 용기(44)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도 3의 압축기 설비와 다른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설비(1)의 다른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수분이 풍부한 액체 건조제의 버퍼 용기(40)와 저수분 액체 건조제의 버퍼 용기(44) 사이에, 보다 신속하게 작동 가능 상태가 되도록 가스 건조 장치(2)를 시동할 때 사용될 수 있는 폐쇄 가능 바이패스(45)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저수분 액체 건조제를 버퍼링하기 위한 버퍼 용기(44)가 냉각기(43)의 상류 및 재생기(22)의 하류에 설치되는 것이 배제되지는 않는다. 이때 냉각기(43)는 멤브레인 건조기(11)의 상류에 있어서 바로 앞에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액체 건조제는 고온으로 버퍼 용기(40 및 44)에 유지되며, 그래서 액체 건조제의 증기압을 더 높게 만드는데 이는 액체 건조제의 보다 효율적인 재생을 초래한다.
도 5에는, 도 5의 경우의 멤브레인 건조기(11)가 편평한 멤브레인(13)을 갖지 않고, 대신에 예를 들면, 중공 섬유(46)의 형태인 다양한 관형 멤브레인들로 구성된 멤브레인(13)을 갖는다는 점에서 도 4의 장치와 상이한 다른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대해, 하우징(12)에는, 액체 건조제를 위한 입력부(18)와 출력부(19)를 갖는 제2 컴파트먼트(17) 및 압축 가스를 위한 입력부(15)와 출력부(16)를 각각 갖는 2개의 서브컴파트먼트(14a 및 14b)를 획정하는 2개의 파티션(47)이 마련되며, 2개의 서브컴파트먼트들(14a 및 14b)은, 컴파트먼트(17)를 가로질러 연장되고 압축 가스가 서브컴파트먼트(14a)로부터 서브컴파트먼트(14b)로 안내되게 하며 이와 같이 함으로써 그 수분을 중공 섬유(46)의 벽을 통해 액체 건조제에 전달하는 것인, 전술한 섬유(46)에 의해 유동 관계로 연결된다.
유사하게, 재생기에는 편평한 멤브레인(31)과 대조적으로 관형 또는 섬유상의 멤브레인이 마련될 수 있다.
도 6에는, 별도의 재생기(22)가 회로(20)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도 4의 장치와 상이한 다른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건조제의 재생은 건조제를 통해 공기를 송풍함으로써 실시된다. 도 6에는 버퍼 용기(40)에 공기를 송풍함으로써 이것이 어떻게 달성될 수 있는지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목적으로 다른 또는 추가의 용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송풍기 또는 환풍기를 사용하여, 공기가 필터(50)를 통해 송풍되고 용기(40) 내에서 도관(51)을 통해 안내된다. 필터(50)는 필수는 아니며 다른 방식으로 통합될 수도 있다. 필터(50)는 분진 또는 다른 오염 물질이 건조제에 송풍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관(51)이 용기(40)에 들어가는 지점에는, 버퍼 용기(40) 내의 건조제로 송풍되는 공기의, 예를 들면 미세 기포의, 소기의 분포를 달성하기 위해, 모든 종류의 수단이, 예를 들면 미세 개구를 갖는 튜브 또는 멤브레인으로 제조되거나 다공성 재료로 제조되는 디퓨저가 제공될 수 있다. 기포는 건조제로부터 수분의 일부를 추출하고 이를 수증기로서 운반해 간다. 이러한 식으로, 건조제는 매우 간단하게 재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결코, 예로서 기재되고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압축 가스를 건조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방법 및 이러한 장치를 갖는 압축기 설비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모든 종류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58)

  1. 습윤 압축 가스를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 - 상기 장치(2)에는 액체 건조제가 제공되고 압축 가스를 상기 압축 가스로부터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상기 건조제와 접촉시키도록 구성된 건조기가 마련됨 - 로서,
    상기 건조기는 멤브레인 건조기(11)이고;
    상기 압축 가스를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2)는, 상기 액체 건조제가 배치되는 회로(20), 및 상기 액체 건조제가 상기 회로(20)에서 연속적으로, 멤브레인(13)의 일측면 상의 상기 압축 가스와 타측면 상의 상기 액체 건조제의 사이에 파티션을 형성하는 멤브레인(13) - 상기 멤브레인(13)은 상기 압축 가스 중의 가스에 대해서는 불투과성 또는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이지만 상기 압축 가스 중의 수분에 대해서는 선택적으로 투과성임 - 을 갖는 상기 멤브레인 건조기(11); 상기 액체 건조제를 가열하기 위한 열교환기(29); 후속 사이클을 위해 상기 멤브레인 건조기(11)를 통해 복귀되기 전에 상기 액체 건조제에 흡수된 수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재생기(22) - 상기 재생기(22)는, 수분이 흡수된 액체 건조제가, 하우징(23)을 통해 동시에 안내되며 접촉시에 상기 액체 건조제로부터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플러싱제(flushing agent)와 수분 전달 접촉 상태로 안내되는 하우징(23)에 의해 형성됨 - 를 통과하여 순환하는 것을 허용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20)에는, 상기 재생기(22)의 하류 및 상기 멤브레인 건조기(11)의 상류의 상기 회로의 분기점과, 상기 멤브레인 건조기(11)의 하류 및 상기 재생기(22)의 상류의 상기 회로의 합류점 사이에 폐쇄 가능 바이패스(45)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는, 상기 압축 가스 측의 압력을 상기 액체 건조제 측의 압력 이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 조정 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 및/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는, 습윤 압축 공기를 건조시키도록 구성된 건조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건조제는 흡습성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10℃에서의 상기 액체 건조제의 점도는 250 센티푸아즈(centipoise) 미만, 바람직하게는 200 센티푸아즈 미만,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150 센티푸아즈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건조제의 독성은 클래스 4 이상, 바람직하게는 클래스 5 이상으로 호지 앤드 스터너 스케일(Hodge and Sterner scale)에 따라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건조제는,
    - 모노-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약자로 MPG;
    - 디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약자로 DPG;
    -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약자로 TPG;
    - 모노-에틸렌 글리콜, 또는 약자로 MEG;
    - 디-에틸렌 글리콜, 또는 약자로 DEG;
    - 트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약자로 TEG;
    - 화학식 LiCl의 염화 리튬;
    - 화학식 LiBr의 브롬화 리튬;
    - 화학식 CaCl2의 염화칼슘
    중 하나 이상과, 가능하게는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건조기(11) 내의 상기 멤브레인(13)의 재료는 실질적으로 기공(pores)이 없는 소수성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건조기(11) 내의 상기 멤브레인(13)의 재료는 대략 15 나노미터 내지 100 나노미터의 크기의 기공을 갖는 미세 다공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건조기(11) 내의 상기 멤브레인(13)의 재료는 다음의 비망라적인 물질들:
    - 폴리프로펜, 또는 약자로 PP;
    -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텐, 또는 약자로 PTFE;
    -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또는 약자로 PVDF;
    - 폴리에테르설폰, 또는 약자로 PES;
    - 폴리에테르이미드, 또는 약자로 PEI;
    - 폴리에텐, 또는 약자로 PE;
    - 폴리디메틸실록산, 또는 약자로 PDMS;
    - 폴리이미드, 또는 약자로 PI;
    - 화학식 TiO2의 이산화 티타늄:
    의 목록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건조기(11)는, 건조 대상 가스를 위한 입력부(15)와 건조된 가스를 위한 출력부(16)를 구비하는 하우징(12)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12) 내의 별도의 컴파트먼트(17)는, 상기 액체 건조제를 위한 입력부(18)와 출력부(19)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건조기(11)는 하우징(12)과, 상기 하우징(12) 내의 상기 컴파트먼트(17)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상기 건조 대상 압축 가스를 위한 상기 입력부(15)와 상기 출력부(16)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관형 멤브레인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멤브레인들은 중공 섬유들(46)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섬유들(46)은 소수성 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3항 및/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멤브레인들은 실질적으로 기공이 없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건조기(11)의 상기 멤브레인(13)에는 발유성(oil-repellent) 또는 내유성(oil-proof) 보호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건조기(11)의 상기 멤브레인(13)에는 실리콘 또는 플루오로폴리머 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건조기(11) 내의 상기 멤브레인(13)의 양측면 사이의 압력 차는 2 bar 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3 bar 보다 크며, 더 바람직하게는 4 bar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기(22)는, 일측면에 상기 액체 건조제가 있고 타측면에 상기 플러싱제가 있는 멤브레인(31)을 갖는 멤브레인 재생기이며, 상기 멤브레인(31)은 상기 액체 건조제에 대해서는 불투과성 또는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이지만 상기 액체 건조제에 의해 상기 멤브레인 건조기(11)에 흡수된 수분에 대해서는 선택적으로 투과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기(22) 내의 상기 멤브레인(31)은 소수성 물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19항 및/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기(22) 내의 상기 멤브레인(13)의 재료는 다음의 비망라적인 목록:
    - 폴리프로펜, 또는 약자로 PP;
    -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텐, 또는 약자로 PTFE;
    -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또는 약자로 PVDF;
    - 화학식 TiO2의 이산화 티타늄
    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기(22)는, 상기 건조제를 위한 입력부(33)와 출력부(34)를 갖는 하우징(23), 및 상기 플러싱 가스를 위한 입력부(36)와 출력부(37)을 갖는 상기 하우징(23) 내의 별도의 컴파트먼트(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기(22)는, 상기 하우징(23) 내의 별도의 컴파트먼트(35)를 가로질러 연장되며 상기 건조제를 위한 입력부(33)와 출력부(34)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관형 멤브레인들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멤브레인들은 중공 섬유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1항 내지 제18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기(22)는, 상기 액체 건조제의 회로(20)에 연결된 용기로서 상기 건조제를 통과하게 공기를 송풍하고 이를 운반해 가도록 구성된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건조제의 회로(20)에는, 상기 재생기(22)의 하류 및 상기 멤브레인 건조기(11)의 상류에 냉각기(43)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건조제의 회로(20)에는, 상기 재생기(22)의 하류의 상기 냉각기(43)로부터 유래하는 냉각된 액체 건조제를 위한 버퍼 용기(44)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건조제의 회로(20)에는, 상기 재생기(22)의 하류 및 상기 냉각기(43)의 상류에서 상기 재생기(22)로부터 유래하는 액체 건조제를 위한 버퍼 용기(44)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건조제의 회로(20)에는, 상기 멤브레인 건조기(11)로부터 유래하는 액체 건조제를 위한 버퍼 용기(40)가 마련되고, 상기 액체 건조제가 상기 열교환기(29)를 통해 순환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상기 액체 건조제는 상기 버퍼 용기(40)에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건조제의 회로(20)에는 탈기 장치(deaerator)(48)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 장치(48)는 상기 건조제를 위한 버퍼 용기(40, 4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1항 내지 제31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제의 순환을 허용하는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펌프(21, 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45)는 상기 두 버퍼 용기들(40, 44)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가스 압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압축기 요소(3)를 갖는 압축기 설비로서,
    상기 압축기 설비(1)는 상기 압축기 요소(3)에서 유래하는 압축 가스를 건조시키기 위한 제1항 내지 제33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따른 장치(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설비.
  35. 제34항에 있어서, 건조 대상 압축 공기를 상기 멤브레인 건조기(11)를 통해 안내되기 전에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압축기 요소(3)의 하류에 애프터쿨러(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설비.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애프터쿨러(9)는 응축 분리기(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설비.
  37. 제34항 내지 제36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29)는, 상기 재생기(22)의 상류의 상기 액체 건조제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압축기 요소(3)의 잔류 열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설비.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요소(3)는 냉각 재킷을 포함하고, 상기 액체 건조제를 가열하기 위해, 냉각 매체가 상기 냉각 재킷과 상기 열교환기(29)를 통해 연속적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설비.
  39. 제37항 및/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애프터쿨러(9)에서 제거된 열의 일부는 상기 액체 건조제를 가열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설비.
  40. 제34항 내지 제39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설비(1)는 스크류 압축기, 루트(root) 압축기, 치형(tooth) 압축기, 베인(vane) 압축기, 스크롤 압축기, 피스톤 압축기, 또는 터보 압축기 타입의 적어도 하나의 압축기 요소(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설비.
  41. 제34항 내지 제40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압축기 요소(3)는 오일 주입식 압축기 요소(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설비.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주입식 압축기 요소(3)는, 상기 압축기 요소(3) 내로 오일을 주입하기 위한 오일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오일 회로는 상기 액체 건조제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열교환기(29)를 통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설비.
  43. 습윤 압축 가스를 건조시키는 방법으로서,
    - 압축 가스 중의 가스에 대해서는 불투과성 또는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이지만 압축 가스 중의 수분에 대해서는 선택적으로 투과성인 멤브레인(13)을 갖는 멤브레인 건조기(11)를 제공하는 단계;
    - 접촉시에 건조 대상 상기 압축 가스로부터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액체 건조제가, 상기 멤브레인(13)의 일측면에서 상기 멤브레인 건조기(11)를 통과하게 순환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
    - 상기 액체 건조제의 측면의 압력보다 더 높은 압력으로 상기 멤브레인(13)의 타측면을 따라 상기 멤브레인 건조기(11)를 통과하게 상기 건조 대상 가스를 보내는 단계;
    - 상기 멤브레인 건조기(11)를 통해 안내되고 난 후의 상기 액체 건조제를 가열하는 단계; 및
    - 접촉시에 상기 액체 건조제로부터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플러싱제와 접촉되게 함으로써, 후속 사이클에서 상기 멤브레인 건조기(11)를 통과하게 재순환되기 전에, 그 흡수된 수분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액체 건조제를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 모노-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약자로 MPG;
    - 디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약자로 DPG;
    -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약자로 TPG;
    - 모노-에틸렌 글리콜, 또는 약자로 MEG;
    - 디-에틸렌 글리콜, 또는 약자로 DEG;
    - 트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약자로 TEG;
    - 화학식 LiCl의 염화 리튬;
    - 화학식 LiBr의 브롬화 리튬;
    - 화학식 CaCl2의 염화칼슘
    중 하나 이상과 가능하게는 물을 함유하는, 높은 흡습성의 액체 건조제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제43항 및/또는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건조기(11) 내의 상기 멤브레인(13)의 재료는, 다음의 비망라적인 물질들:
    - 폴리프로펜, 또는 약자로 PP;
    -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텐, 또는 약자로 PTFE;
    -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또는 약자로 PVDF;
    - 폴리에테르설폰, 또는 약자로 PES;
    - 폴리에테르이미드, 또는 약자로 PEI;
    - 폴리에텐, 또는 약자로 PE;
    - 폴리디메틸실록산, 또는 약자로 PDMS;
    - 폴리이미드, 또는 약자로 PI;
    - 화학식 TiO2의 이산화 티타늄
    의 목록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6. 제43항 내지 제45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건조제의 재생을 위해 선택된 상기 플러싱제는, 공기를 함유하고 재생 대상 상기 액체 건조제와 접촉하게 되는 플러싱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 가스는 대기압과 거의 동등한 압력에서 재생 대상 상기 상기 액체 건조제와 접촉하게 되는 주위 공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제의 재생을 위해, 재생기(22)가 사용되며, 상기 재생기(22)를 통하여, 재생 대상 상기 액체 건조제가 안내되고, 재생기(22)를 통해 흡인되거나 송풍된 주위 공기와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9. 제43항 내지 제45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건조제의 재생을 위한 상기 플러싱제는, 물을 함유하고 재생 대상 상기 액체 건조제와 접촉하게 되는 플러싱 액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0. 제43항 내지 제49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기(22)를 위해, 멤브레인(31)을 갖는 멤브레인 재생기가 선택되고, 상기 액체 건조제는 상기 멤브레인(31)의 일측면을 따라 안내되고 상기 플러싱제는 상기 멤브레인(31)의 타측면을 따라 안내되며, 상기 멤브레인(31)은 상기 액체 건조제에 대해서는 불투과성 또는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이지만 상기 액체 건조제 중의 수분에 대해서는 선택적으로 투과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기(22) 내의 상기 멤브레인(13)의 선택된 재료는 다음의 비망라적인 목록:
    - 폴리프로펜, 또는 약자로 PP;
    -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텐, 또는 약자로 PTFE;
    -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또는 약자로 PVDF;
    - 화학식 TiO2의 이산화 티타늄
    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소수성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2. 제43항 내지 제51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건조제는, 압축 가스를 건조시키기 위해 상기 멤브레인 건조기(11)로 되보내어지기 전에, 재생된 후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3. 적어도 하나의 압축기 요소(3)를 구비한 압축기 설비(1)로부터 유래하는 습윤 압축 가스를 건조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압축 가스를 건조시키기 위해 제43항 내지 제52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건조제의 가열을 위해, 상기 압축기 요소(3)의 잔류 열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축기 요소(3)는, 상기 압축기 요소(3)에의 오일의 주입을 위한 회로(39)를 갖는 오일 주입식 압축기 요소(3)로서 상기 액체 건조제를 가열하는데 상기 회로(39) 내의 상기 오일의 잔류 열이 이용되는 오일 주입식 압축기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6. 제43항 내지 제55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20℃ 내지 +10℃ 사이에 있는 건조된 압축 가스의 이슬점에 도달하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7. 제43항 내지 제56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재생된 액체 건조제의 일부는 개방 위치에 있는 폐쇄 가능 바이패스(45)를 통해서 보내지며, 이어서 상기 멤브레인 건조기(11)를 통과함이 없이 추가로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8. 습윤 압축 가스를 건조시키는 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33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따른 장치 또는 제34항 내지 제42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따른 압축기 설비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97037066A 2017-06-16 2018-06-04 습윤 압축 가스를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와 방법 및 상기 장치가 구비된 압축기 설비. KR1023025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E2017/5430 2017-06-16
BE2017/5430A BE1025321B1 (nl) 2017-06-16 2017-06-16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drogen van een vochtig gecomprimeerd gas en een compressorinstallatie voorzien van zulke inrichting
PCT/IB2018/053971 WO2018229593A1 (en) 2017-06-16 2018-06-04 Device and method for drying a moist compressed gas and a compressor installation provided with such a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140A true KR20200019140A (ko) 2020-02-21
KR102302517B1 KR102302517B1 (ko) 2021-09-17

Family

ID=59101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7066A KR102302517B1 (ko) 2017-06-16 2018-06-04 습윤 압축 가스를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와 방법 및 상기 장치가 구비된 압축기 설비.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11325064B2 (ko)
EP (1) EP3638401B1 (ko)
JP (1) JP7155169B2 (ko)
KR (1) KR102302517B1 (ko)
CN (2) CN109126398B (ko)
AU (1) AU2018284198B2 (ko)
BE (1) BE1025321B1 (ko)
BR (1) BR112019026857A2 (ko)
CA (1) CA3062264C (ko)
DK (1) DK3638401T3 (ko)
ES (1) ES2884905T3 (ko)
MX (1) MX2019015098A (ko)
NZ (1) NZ759648A (ko)
PL (1) PL3638401T3 (ko)
PT (1) PT3638401T (ko)
RS (1) RS62283B1 (ko)
RU (1) RU2733843C1 (ko)
TW (1) TWI693963B (ko)
WO (1) WO2018229593A1 (ko)
ZA (1) ZA2019074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25321B1 (nl) * 2017-06-16 2019-01-29 Atlas Copco Airpower Naamloze Vennootschap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drogen van een vochtig gecomprimeerd gas en een compressorinstallatie voorzien van zulke inrichting
CN110812997B (zh) * 2019-10-25 2022-03-15 仪征祥源动力供应有限公司 一种空压机用空气分级过滤干燥装置
WO2024030940A2 (en) * 2022-08-03 2024-02-08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Efficient liquid-air contactor in parallel flow configuratio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78321A2 (en) * 1994-03-25 1995-10-25 Essex Invention S.A. A contactor, particularly a vapour exchanger for the control of the air hygrometric content, a device for air handling
WO2002044624A1 (de) * 2000-12-01 2002-06-06 Daimlerchrysler Ag Vor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befeuchtung und entfeuchtung der zuluft von fertigungsprozessen und raumlufttechnik-anlagen
KR101083713B1 (ko) * 2011-01-14 2011-11-15 (주)세한플랜트 비가열식 압축공기 건조시스템
WO2014038934A1 (en) * 2012-09-04 2014-03-13 2Ndair B.V. Air-conditioning system and use thereof
US20150217220A1 (en) * 2012-08-27 2015-08-06 Nitto Denko Corporation Gas-permeable filter imparted with oil repellency
KR101555165B1 (ko) * 2015-05-28 2015-09-22 천병호 공기압축기
KR101593815B1 (ko) * 2014-08-07 2016-02-15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제습 장치 및 방법
KR101611996B1 (ko) * 2014-10-13 2016-04-12 박종경 공압 시스템용 흡착식 압축공기 제습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6118A (en) * 1987-08-20 1989-03-03 Komatsu Mfg Co Ltd Preamble membrane dehumidification device
JPH0199631A (ja) * 1987-10-13 1989-04-18 Shirakawa Seisakusho:Kk 除湿機
JPH05264069A (ja) * 1992-03-18 1993-10-12 Daikin Ind Ltd 表面フッ素化多孔質膜およびチューブ
JPH10192658A (ja) * 1997-01-13 1998-07-28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無結露型冷房装置
US7478540B2 (en) * 2001-10-26 2009-01-20 Brooks Automation, Inc. Methods of freezeout prevention and temperature control for very low temperature mixed refrigerant systems
DE102006010723A1 (de) * 2006-03-08 2007-09-13 Knorr-Bremse Systeme für Schienenfahrzeuge GmbH Kompressoranordnung
US7794523B2 (en) * 2006-11-14 2010-09-14 Linde Llc Method for the recovery and re-use of process gases
BE1019332A5 (nl) * 2010-05-11 2012-06-05 Atlas Copco Airpower Nv Warmtewisselaar.
CN101975421A (zh) * 2010-09-21 2011-02-16 华南理工大学 一种热泵驱动的膜式液体除湿与蓄能装置
JP5821456B2 (ja) * 2011-09-16 2015-11-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TWI525184B (zh) * 2011-12-16 2016-03-11 拜歐菲樂Ip有限責任公司 低溫注射組成物,用於低溫調節導管中流量之系統及方法
US10041692B2 (en) * 2013-02-26 2018-08-07 Carrier Corporation Regeneration air mixing for a membrane based hygroscopic material dehumidification system
WO2015132809A1 (en) * 2014-03-06 2015-09-11 Universita' Degli Studi Di Genova Modular contactor with hydrophobic flat membranes and air conditioning plant therewith
BE1025321B1 (nl) * 2017-06-16 2019-01-29 Atlas Copco Airpower Naamloze Vennootschap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drogen van een vochtig gecomprimeerd gas en een compressorinstallatie voorzien van zulke inrichting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78321A2 (en) * 1994-03-25 1995-10-25 Essex Invention S.A. A contactor, particularly a vapour exchanger for the control of the air hygrometric content, a device for air handling
WO2002044624A1 (de) * 2000-12-01 2002-06-06 Daimlerchrysler Ag Vor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befeuchtung und entfeuchtung der zuluft von fertigungsprozessen und raumlufttechnik-anlagen
US6887303B2 (en) * 2000-12-01 2005-05-03 Daimlerchrysler Ag Device for continuously humidifying and dehumidifying feed air
KR101083713B1 (ko) * 2011-01-14 2011-11-15 (주)세한플랜트 비가열식 압축공기 건조시스템
US20150217220A1 (en) * 2012-08-27 2015-08-06 Nitto Denko Corporation Gas-permeable filter imparted with oil repellency
WO2014038934A1 (en) * 2012-09-04 2014-03-13 2Ndair B.V. Air-conditioning system and use thereof
JP2015526690A (ja) * 2012-09-04 2015-09-10 セカンドエア・ベスローテン・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2ndAir B.V. 空調システム及びその使用方法
KR101593815B1 (ko) * 2014-08-07 2016-02-15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제습 장치 및 방법
KR101611996B1 (ko) * 2014-10-13 2016-04-12 박종경 공압 시스템용 흡착식 압축공기 제습장치
KR101555165B1 (ko) * 2015-05-28 2015-09-22 천병호 공기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29593A1 (en) 2018-12-20
RS62283B1 (sr) 2021-09-30
MX2019015098A (es) 2020-02-17
PL3638401T3 (pl) 2021-10-18
CN209791246U (zh) 2019-12-17
JP7155169B2 (ja) 2022-10-18
DK3638401T3 (da) 2021-07-26
US11325064B2 (en) 2022-05-10
KR102302517B1 (ko) 2021-09-17
TWI693963B (zh) 2020-05-21
CN109126398B (zh) 2022-06-07
CA3062264A1 (en) 2018-12-20
BE1025321A1 (nl) 2019-01-22
JP2020524073A (ja) 2020-08-13
BE1025321B1 (nl) 2019-01-29
EP3638401A1 (en) 2020-04-22
EP3638401B1 (en) 2021-05-26
RU2733843C1 (ru) 2020-10-07
CN109126398A (zh) 2019-01-04
NZ759648A (en) 2022-04-29
PT3638401T (pt) 2021-07-29
ZA201907493B (en) 2021-03-31
TW201904648A (zh) 2019-02-01
BR112019026857A2 (pt) 2020-06-30
AU2018284198A1 (en) 2019-12-19
US20200122082A1 (en) 2020-04-23
CA3062264C (en) 2022-11-29
AU2018284198B2 (en) 2023-10-19
ES2884905T3 (es) 2021-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2517B1 (ko) 습윤 압축 가스를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와 방법 및 상기 장치가 구비된 압축기 설비.
KR101433977B1 (ko) 유체의 수분 함유량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773789B1 (ko) 공기 조화 방법 및 장치
JP2021001725A (ja) 一定の体積の液体を通して気体流を生成して処理するための装置並びに前記装置を実行するための設備及び方法
US11512858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ing method
JP5290776B2 (ja) 吸収式冷凍装置
US9463434B2 (en) Heat reactivated adsorbent gas fractionator and process
CN105986446A (zh) 烘干系统及其使用方法
CN108430606B (zh) 使用选择性转移膜的蒸发冷却系统和方法
JP6970522B2 (ja) 空気浄化システム
EP2623179A1 (en) A rotary air drying apparatus
JP2009066504A (ja) アフタークーラー
CA2981226C (en) Device for the extraction of water from the environment
KR100701910B1 (ko) 압축기로부터의 가스를 냉각하고, 이와 동시에 이 가스로부터 액체를 제거하는 압축 가스 냉각 및 액체 제거 장치
JP2006255627A (ja) 除湿機
JP7457891B2 (ja) 二酸化炭素分離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JP2005220750A (ja) 空気圧縮機
KR20240068382A (ko) Cda 순환형 하이브리드 제습을 위한 공기정화장치 및 이를 적용한 밀폐형 efem
KR20240068580A (ko) Cda 순환형 하이브리드 제습을 위한 공기정화장치 및 이를 적용한 밀폐형 efem
KR101964502B1 (ko) 압축 가스용 건조기, 건조기를 구비한 압축기 설비 및 가스의 건조 방법
TR2021018814T6 (tr) Sıkıştırılmış bir gazın kurutulması için kurutma cihazı ve yöntemi
JPH03127675A (ja) 溶剤洗浄装置
SK288817B6 (sk) Sušič stlačeného vzduchu s prídavným oplachom a jeho zapojenie do pneumatického systému
JP2000279746A (ja) 除湿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