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8821A - 살균 랩 시스템의 이용 방법 - Google Patents

살균 랩 시스템의 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8821A
KR20200018821A KR1020207003129A KR20207003129A KR20200018821A KR 20200018821 A KR20200018821 A KR 20200018821A KR 1020207003129 A KR1020207003129 A KR 1020207003129A KR 20207003129 A KR20207003129 A KR 20207003129A KR 20200018821 A KR20200018821 A KR 20200018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heet
translucency
wrap system
per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3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3423B1 (ko
Inventor
제프리 제임스 파머
켈리 엘. 홀트
로날드 케이. 앤더슨
멜리사 알. 게이너
코리나 슈바르츠
Original Assignee
오앤엠 할리야드 인터내셔널 언리미티드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앤엠 할리야드 인터내셔널 언리미티드 컴퍼니 filed Critical 오앤엠 할리야드 인터내셔널 언리미티드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200018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46/00Surgical drapes
    • A61B46/40Drape material, e.g. laminates; Manufacture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6Ethylene ox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61L2/28Devices for testing the effectiveness or completeness of sterilisation, e.g. indicators which change col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5Interconnection of layers the layers not being connected over the whole surface, e.g. discontinuous connection or patterned conn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3Visual insp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902Material properties transparent or translucent
    • A61B2017/00907Material properties transparent or translucent fo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2050/314Flexible bags or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8Aseptic storing means
    • A61L2202/181Flexible packaging means, e.g. permeable membranes, p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4Multi-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Opa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4Translu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80Medical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Package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배리어 특성을 갖고 제1 표면 및 제2 반대 표면을 갖는 투과성 재료를 포함하는 살균 랩 시스템의 이용 방법으로서, 외부 패널은 실질적으로 불투명하거나 제1 레벨의 반투명성을 가지고, 내부 패널은 배리어 특성을 갖고 제1 표면 및 제1 반대 표면을 갖는 투과성 재료를 포함하며, 내부 패널은 외부 패널의 반투명성보다 높은 레벨의 반투명성을 가지고, 상기 패널들은 이들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으로 함께 연결되는 살균 랩 시스템의 이용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관찰자 대면 패널을 관통하는 빛을 찾는 것에 의한, 외부 패널 틈에 대한 살균 랩 시스템의 점검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살균 랩 시스템의 이용 방법{METHOD OF USING A STERILIZATION WRAP SYSTEM}
본 출원은 2011.11.08 일자에 제출된 미국 임시 출원 번호 제61/557,215호, "Method of Using Sterilization Wrap System" 및 2012.01.30 일자에 제출된 미국 임시 출원 번호 제61/592,233호, "Method of Using Sterilization Wrap System"에 대하여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들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편입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살균되는 내용물을 함유하고 사용할 때까지 그 내용물을 무균성으로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일회용의 랩(disposable wraps)에 관련된다.
수술 또는 다른 살균 절차 중에 요구되는 가운, 시트, 드레이프, 기구 등과 같은 다양한 제품은 병원, 진료소 등의 일상적인 작업에서 매일 사용된다. 이러한 제품이 살균 상태로 미리 포장되지 않는 경우, 병원 또는 진료소에서 사용 전에 이것을 살균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제품이 일회용이 아니고, 한 번 이상 사용되는 경우, 이것은 세정되거나 이후 사용을 위해 준비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사용 전에, 상기 제품은 살균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관련 재료의 용적 때문에, 이후 사용을 위해 종종 이러한 제품을 살균하고 저장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세정, 세척 등 이후에, 이와 같은 제품이 살균 직물(sterilization fabric) 내에 랩핑된(wrapped) 다음, 이후 사용을 위해 살균되고 저장되는 절차가 발달하였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살균 직물은 미리 정해진 직사각형 형상으로 절단되어 살균 랩으로 판매된다.
종래의 일회용 살균 랩은 종종 강도 또는 흡수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추가적 재료층을 함유할 수 있는 평면, 무특성 재료 시트이다. 이와 같은 살균 랩은 종종 예를 들어, 종이 등과 같은, 비싸지 않고 상대적으로 불투과성인 재료로 만들어진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재료의 특성은, 랩핑된 트레이(tray) 또는 물품(article)의 살균을 보장하기 위한, 접는 기술 및 랩핑 배열에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어, Bourne, et al.의 미국 특허 제5,635,134호는, 물품의 편리한 이중 포장을 허용하는 2개의 유사한 크기의 중첩된 패널을 형성하기 위해, 살균 랩 중 하나 이상의 시트(예를 들어, 2개의 별개 시트 또는 위로 접혀진 1개의 시트)를 연결함으로써 형성된 다겹(multi-ply) 살균 랩을 개시한다. 다른 예로서, Robert T. Bayer의 미국 특허 공개 제2001/0036519호는, 서로 결합되는 2개의 유사한 크기의 중첩된 패널을 형성하기 위해 접혀진 단일 시트(a single sheet)의 살균 랩 재료로 형성된 2겹 살균 랩을 개시한다. 또 다른 예로서, Stecklein, et al.의 미국 특허 공개 제2005/0163654호는, 제1 메인 패널 및 상기 제1 메인 패널보다 작은 제2 패널을 갖는 살균 랩 재료를 개시한다. 메인 패널을 보강하고/하거나 추가 흡수성을 제공하기 위해 제2 패널이 메인 패널 내에 완전히 포함되도록, 제2 패널은 메인 패널의 중심부와 중첩되어 결합된다.
살균 랩 내에 통상적으로 랩핑되거나 포장된 품목이 오염될 수 있는 많은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나이프 컷(knife cuts), 마모 및 펑크(punctures)와 같은 소정 모드의 랩 불량은 잘 알려져 있다. 보다 일반적인 것이 아니더라도, 일반적인 것으로서 다른 모드의 불량이 있다. 이는 압력 컷(pressure cuts), 스낵 컷(snag cuts) 및 압력 홀(pressure holes)을 포함한다.
압력 컷은 나이프 컷과 같이 나타날 수 있으나, 더 면밀한 검사에 따라, 절단부(cut)의 바로 그 에지(edge) 주위의 섬유는 "용접(welded)"되거나, 서로 접합된다. 절단부의 에지는 접촉에 있어서 단단하게 느껴질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절단(cut)은 보통 도구 트레이의 하부의 경계선 또는 윤곽을 따른다. 또한, 다수의 트레이가 서로 적층되었다면, 이는 도구 트레이의 상부에 발생할 수도 있다. 압력 컷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일반적인 경우의 예는 20 파운드(pound) 트레이의 전단부를 들어올려 트레이의 모든 중량이 뒤쪽 에지에 집중되게 하고, 들어올리기 전에 보관 선반에 걸쳐 이를 끌어당기는 것일 수 있다. 이것은 가위를 이용하여 랩을 절단하는 것과 유사하다; 재료에 가해진 전단(shearing) 동작으로 2개의 단단한 고체 계면층 사이에서 재료가 만난다.
스낵 컷에서, 절단부의 에지는 느슨한 섬유가 매달려 있는 것을 보여 주고/거나 절단부의 폭에 걸쳐 놓이는 개별 섬유가 있다. 절단부의 에지는 압력 컷과 같이 거칠거나 단단하지 않다. 더 큰 스낵 컷에서, 절단 구역의 형상은 삼각형과 유사하고, 삼각형의 포인트(point)는 스낵이 시작한 곳이다. 스낵 컷은 트레이가 매우 느슨하게 랩핑된다면, 랩핑된 도구 트레이의 에지를 따라 발생할 것이다. 아니면, 이러한 종류의 절단은 랩이 너무 느슨하여 거친 표면 또는 코너(coners)를 만날 수 있는 트레이의 다른 구역에서 발생할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절단은 일반적으로 거칠어진 표면, 종종 잘 사용되는 오래된 살균기 카트에 걸쳐 끌어당겨지거나 끌리는 트레이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절단은 트레이의 느슨하게 랩핑된 구역이 물체의 코너 또는 에지를 만나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압력 홀은 홀의 바로 그 에지 주위의 섬유가 "용접"되거나, 서로 접합되는 미세한 개구부로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홀은 일반적으로 도구 트레이의 하부의 경계선을 따라 발견된다. 또한, 다수의 트레이가 서로 적층되었다면, 이는 도구 트레이의 상부에 발생할 수도 있다. 압력 홀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일반적인 경우의 예는, 병원의 다른 구역으로 이송되는 동안, 카트나 보관 선반의 에지로 트레이가 떨어뜨려지는 것일 수 있다.
일반적인 관행으로, 살균 랩은 이것이 살균된 물품으로부터 제거된 후 홀(holes), 파열(tears) 또는 다른 틈(breaches)에 대해 점검된다. Spierenburg에 의한 국제 공개 제2008/083426 A1호, "Sterilization Wrapping System"에는, 틈을 직접적으로 보는 관찰자(a viewer)는 틈 주위의 재료 및 틈에 의해 노출된 재료의 색 사이의 콘트라스트(contrast)를 알아차릴 것이기 때문에, 살균 랩 시스템의 중첩된 층 사이의 색차(color differences)를 갖는 것은 틈의 검출을 더 쉽게 할 수 있다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스템은 다겹 살균 랩의 관찰자의 맞은편(opposite) 쪽에 있는 시트 내 틈을 검출하는 문제를 다루지는 못하므로, 관찰자는 틈을 직접적으로 보아 색의 차이를 알아볼 수 없다.
따라서, 틈 - 특히 관찰자의 맞은편 쪽에 있는 다겹 살균 랩 시스템 내 틈,을 확인하는 업무를 간결하게 하는, 살균 조립체(assembly), 포장(package) 또는 시스템의 용이한 점검 방법에 대한 충족되지 않은 필요가 있다.
앞서 서술한 문제들은 살균 랩 시스템의 이용 방법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해 다루어진다. 상기 방법은 물품을 제공하는 단계 및 그 후, 배리어 특성(barrier properties)을 갖고 제1 표면(a first surface) 및 제2 반대 표면(a second opposing surface)을 갖는 투과성 재료를 포함하고, 실질적으로 불투명하거나 제1 레벨의 반투명성을 가지는 외부 패널(an exterior panel); 및 배리어 특성을 갖고 제1 표면 및 제2 반대 표면을 갖는 가스(gas) 투과성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패널의 반투명성보다 더 높은 레벨(level)의 반투명성을 갖는 내부 패널(an interior panel)을 포함하며, 상기 패널들은 이들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으로 함께 연결되는(joined), 살균 랩 시스템으로 상기 물품을 랩핑하는 단계(wrapping)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물품이 살균되도록 상기 랩핑된 물품을 충분한 시간 동안 살균 조건에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물품을 언랩핑(unwrapping)하는 단계 및 상기 살균 랩 시스템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살균 랩 시스템의 외부 패널 중 적어도 일부는 관찰자의 맞은편이고 내부 패널의 상응부(a corresponding portion)는 관찰자를 대면하도록 살균 랩 시스템을 배치하는 단계(positioning); 및 관찰자 대면 내부 패널을 관통하는(passing through) 빛을 찾음으로써(looking for) 외부 패널 틈에 대해 살균 랩 시스템을 점검하는 단계(inspecting)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살균 랩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살균 랩 시스템이 광원(a light source) 및 관찰자 사이에 위치하도록(located)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에서, 상기 살균 랩 시스템은 점검되는 살균 랩 시스템의 일부분 내 공간에 의해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이 분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패널은 다수의 본드 포인트(bond points)를 포함하고 상기 본드 포인트는 본드 포인트가 아닌, 제2 패널의 투과성 재료 상의 위치(locations)보다 더 높은 반투명성을 갖는 별개의 위치(discrete locations)를 정의하며, 이로써, 외부 패널 틈에 대해 살균 랩 시스템을 점검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본드 포인트를 경유하여(by way of) 관찰자 대면 패널을 관통하는 빛을 찾음으로써 수행된다.
본 발명은 살균 랩 시스템이 물품으로부터 제거된 후 살균 랩 시스템의 점검 방법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관찰자에 대하여 살균 랩 시스템을 배치하는 단계(즉, 배리어 특성을 갖고 제1 표면 및 제2 반대 표면을 갖는 가스 투과성 재료로 구성되고, 실질적으로 불투명하거나 제1 레벨의 반투명성을 가지는 제1 패널; 및 배리어 특성을 갖고 제1 표면 및 제2 반대 표면을 갖는 투과성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패널의 반투명성보다 높은 레벨의 반투명성을 가지는 제2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들은 이들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으로 함께 연결되며, 살균 랩 시스템의 하나의 패널의 적어도 일부는 관찰자의 맞은편이고 다른 패널의 상응부는 관찰자를 대면함); 및 관찰자 대면 패널을 관통하는 빛을 찾음으로써 관찰자의 맞은편 패널 내 틈에 대해 상기 살균 랩 시스템을 점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살균 랩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살균 랩 시스템이 광원 및 관찰자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에서, 상기 살균 랩 시스템은 점검되는 살균 랩 시스템의 일부분 내 공간에 의해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이 분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 따르면, 상기 제1 패널, 상기 제2 패널 또는 양(both) 패널은 다수의 본드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본드 포인트는 본드 포인트가 아닌, 제1 또는 제2 패널 각각의 투과성 재료 상의 위치보다 더 높은 반투명성을 갖는 별개의 위치를 정의하며, 이로써, 관찰자의 맞은편 패널 내 틈에 대해 살균 랩 시스템을 점검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본드 포인트를 경유하여 관찰자 대면 패널을 관통하는 빛을 찾음으로써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패널은 관찰자의 맞은편일 수 있고 상기 제2 패널은 관찰자를 대면하는 것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1 패널은 관찰자를 대면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제2 패널은 관찰자의 맞은편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배리어 특성을 갖고 제1 표면 및 제2 반대 표면을 갖는 투과성 재료를 갖고, 실질적으로 불투명하거나 제1 레벨의 반투명성을 가지는 제1 패널; 및 배리어 특성을 갖고 제1 표면 및 제2 반대 표면을 갖는 투과성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널의 반투명성보다 높은 레벨의 반투명성을 가지는 제2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들은 이들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으로 함께 연결되는, 살균 랩 시스템도 포함한다.
상기 제2 패널은 다수의 본드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드 포인트는 본드 포인트가 아닌, 제2 패널의 투과성 재료 상의 위치보다 더 높은 반투명성을 갖는 별개의 위치를 정의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패널 상의 다수의 본드 포인트는 본드 포인트가 아닌, 제2 패널의 투과성 재료 상의 위치보다 적어도 15 퍼센트 더 높은 반투명성을 갖는 제2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2 패널 상의 다수의 본드 포인트는 적어도 30 퍼센트 더 높은 반투명성을 갖는 제2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제2 패널 상의 다수의 본드 포인트는 적어도 45 퍼센트 더 높은 반투명성을 갖는 제2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 상기 제2 패널의 투과성 재료는 제1 패널의 투과성 재료보다 더 높은 레벨의 반투명성을 갖는 투과성 재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널 및 제2 패널 사이의 반투명성 차이는 적어도 15 퍼센트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패널 및 제2 패널 사이의 반투명성 차이는 적어도 30 퍼센트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1 패널 및 제2 패널 사이의 반투명성 차이는 적어도 45 퍼센트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살균 시스템은 다른 통상의 살균 시스템뿐만 아니라, 스팀(steam) 살균 조건, 에틸렌 옥사이드 살균 조건, 용도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에 따르면, 상기 제1 패널 및 상기 제2 패널은 단일 시트의 배리어 특성을 갖는 투과성 재료이고, 상기 단일 시트가 접혀져서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을 형성하며, 적어도 접힘 맞은편의 에지가 함께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 상기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은 함께 연결되는 재료의 독립적인 시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은 각각 주변부(a periphery)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은 상기 주변부에서 오버레이되어(overlaid)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리어 특성을 갖는 투과성 재료의 적어도 하나는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spunbond/meltblown/spunbond, SMS) 재료이다.
본 발명은 배리어 특성을 갖는 투과성 재료로 구성된 살균 랩 시스템도 포함하고, 상기 투과성 재료는: 제1 표면 및 제2 반대 표면을 갖고, 제1 재료는 실질적으로 불투명하거나 제1 레벨의 반투명성을 가지는 제1 시트; 및 제1 표면 및 제2 반대 표면을 갖고, 상기 제1 시트의 반투명성보다 더 높은 레벨의 반투명성을 가지는 제2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들은 이들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으로 함께 연결된다.
상기 제2 시트는 다수의 본드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본드 포인트는 본드 포인트가 아닌, 제2 시트 상의 위치보다 더 높은 반투명성을 갖는 별개의 위치를 정의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시트 상의 다수의 본드 포인트는 본드 포인트가 아닌, 제2 시트 상의 위치보다 적어도 15 퍼센트 더 높은 반투명성을 갖는 제2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2 시트 상의 다수의 본드 포인트는 적어도 30 퍼센트 더 높은 반투명성을 갖는 제2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제2 패널 상의 다수의 본드 포인트는 적어도 45 퍼센트 더 높은 반투명성을 갖는 제2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에서, 상기 제1 시트는 제1 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2 시트는 상기 제1 재료의 반투명성보다 더 높은 레벨의 반투명성을 갖는 제2 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트 및 제2 시트 사이의 반투명성 차이는 적어도 15 퍼센트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시트 및 제2 시트 사이의 반투명성 차이는 적어도 30 퍼센트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1 시트 및 제2 시트 사이의 반투명성 차이는 적어도 45 퍼센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에서, 제1 시트 및 제2 시트는 단일 시트의 배리어 특성을 갖는 투과성 재료이고, 상기 단일 시트가 접혀져서 제1 시트 및 제2 시트를 형성하며, 적어도 접힘 맞은편의 에지가 함께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 상기 제1 시트 및 제2 시트는 함께 연결되는 재료의 독립적인 시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시트 및 제2 시트는 각각 주변부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시트 및 제2 시트는 상기 주변부에서 오버레이되어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리어 특성을 갖는 투과성 재료의 적어도 하나는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재료이다.
본 발명은 살균 랩 시스템의 제조 방법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배리어 특성을 갖고 제1 표면 및 제2 반대 표면을 갖는 투과성 재료를 포함하고, 실질적으로 불투명하거나 제1 레벨의 반투명성을 가지는 제1 패널을 제공하는 단계; 및 배리어 특성을 갖고 제1 표면 및 제2 반대 표면을 갖는 투과성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널의 반투명성보다 높은 레벨의 반투명성을 가지는 제2 패널을 제공하는 단계; 및 이들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으로 상기 패널들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패널은 다수의 본드 포인트로 결합되거나(bonded) 이와 함께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본드 포인트는 본드 포인트가 아닌, 제2 패널의 투과성 재료 상의 위치보다 더 높은 반투명성을 갖는 별개의 위치를 정의한다. 상기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은 단일 시트의 배리어 특성을 갖는 투과성 재료로서 제공될 수 있고, 그 후 상기 단일 시트가 접혀져서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적어도 접힘 맞은편의 에지가 함께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은 함께 연결되는 재료의 독립적인 시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은 각각 주변부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은 상기 주변부에서 오버레이되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및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의 관점에서 이해될 때 하기 설명 및 청구항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더 분명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이해함으로써 더 잘 이해될 것이고, 상기 도면에서 유사 도면 부호는 본 명세서를 통해 비슷한 구조를 나타내고 유사 구성 요소를 언급한다:
도 1은 바람직한 살균 랩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다른 바람직한 살균 랩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바람직한 본드 패턴(bond pattern)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다른 바람직한 본드 패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다른 바람직한 본드 패턴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다른 바람직한 본드 패턴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바람직한 살균 랩 시스템의 이용 또는 점검 방법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다른 바람직한 살균 랩 시스템의 이용 또는 점검 방법의 측면도이다.
도 9는 표 2로부터 데이터 및 정보의 그래프의 도면이다.
도 10은 표 3으로부터 데이터 및 정보의 그래프의 도면이다.
도 11은 표 2 및 표 4로부터 데이터 및 정보의 그래프의 도면이다.
도 12는 표 2, 표 4 및 표 5로부터 데이터 및 정보의 그래프의 도면이다.
도 13은 표 6으로부터 데이터 및 정보의 그래프의 도면이다.
도 14는 표 7로부터 데이터 및 정보의 그래프의 도면이다.
도 15는 표 7 및 표 8로부터 데이터 및 정보의 그래프의 도면이다.
도 16은 표 9로부터 데이터 및 정보의 그래프의 도면이다.
도 17은 표 10으로부터 데이터 및 정보의 그래프의 도면이다.
정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일회용(disposable)"은 저렴하여 단 한 번의 사용 후에 경제적으로 폐기될 수 있는 제품을 나타낸다. "일회용" 제품은 일반적으로 한 번의 사용으로 의도된다. "한 번의 사용(single-use)"이라는 용어는 오직 한 번만 사용되는 것으로 의도되고 사용된 후에 재사용되거나, 원상태로 되돌리거나, 복원되거나 수선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은 제품을 가리킨다. 이러한 제품은 오염 또는 감염에 대한 가능성을 감소시켜, 임상 셋팅(clinical settings)에서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제품들은 재처리 및 재사용을 위해 수집되거나 조립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 흐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살균 조립체(sterilization assembly)"는 살균 전에 비-살균 물품 또는 비-살균 내용물 주위로 랩핑되거나, 접혀지거나 아니면 이를 둘러싸는 직물(들) 및/또는 가요성 재료(들)로 구성된 가요성 물품을 나타낸다. 살균 랩은, 랩핑 또는 폴딩(folding), 핸들링(handling), 강도(strength), 살균, 살균 후의 보관, 및/또는 언랩핑이나 언폴딩(unfolding)에 이점을 제공하는 구체적인 물성, 기능적 특성 및/또는 구조를 제공하는 복수의 패널 및/또는 섹션(sections)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비직조 웹(nonwoven web)"은 교차되(interlaid)지만 식별할 수 있게 반복하는 방식이 아닌 개별적인 섬유 또는 필라멘트(filaments)의 구조를 갖는 웹을 나타낸다. 비직조 웹은 과거에는 예를 들면, 멜트블로잉(meltblowing), 스펀본딩(spunbonding) 및 본디드 카디드 웹 프로세스(bonded carded web process)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공정에 의해 형성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스펀본디드 웹(spunbonded web)"은 예를 들어, 비-이덕티브(non-eductive) 또는 이덕티브(eductive) 유체 드로잉(fluid-drawing) 또는 다른 알려진 스펀본딩 메커니즘에 의해, 이후 급속하게 축소되는 압출 필라멘트의 직경을 갖는 방사구(spinnerette)에서, 다수의 미세한, 보통 원형인 모세관으로부터, 필라멘트로서 용융 열가소성 재료를 압출하여 형성된 작은 직경의 섬유 및/또는 필라멘트의 웹을 나타낸다. 스펀본디드 비직조 웹의 제조는, Appel, et al., 미국 특허 제4,340,563호; Dorschner et al., 미국 특허 제3,692,618호; Kinney, 미국 특허 제3,338,992호 및 제3,341,394호; Levy, 미국 특허 제3,276,944호; Peterson, 미국 특허 제3,502,538호; Hartman, 미국 특허 제3,502,763호; Dobo et al., 미국 특허 제3,542,615호; 및 Harmon, 캐나다 특허 제803,714호와 같은 특허에 예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멜트블로운 섬유(meltblown fiber)"는, 마이크로섬유 직경에 해당할 수 있는, 직경을 축소시키기 위해 용융 열가소성 재료의 필라멘트를 약화시키는 고속 가스(예를 들어, 공기) 스트림으로, 용융 스레드(threads) 또는 필라멘트로서 다수의 미세한, 보통 원형인 다이(die) 모세관을 통해, 용융 열가소성 재료를 압출시킴으로써 형성된 섬유를 의미한다. 이후, 임의로 제공된 멜트블로운 섬유의 웹을 형성하기 위해, 멜트블로운 섬유는 고속 가스 스트림에 의해 운반되고 수집 표면 상에 증착된다. 멜트블로운 공정은 잘 알려져 있으며, NRL Report 4364, V.A. Wendt, E.L. Boone, 및 CD. Fluharty에 의한 "Manufacture of Super-Fine Organic Fibers"; NRL Report 5265, K.D. Lawrence, R.T. Lukas, 및 J.A. Young에 의한 "An Improved device for the Formation of Super-Fine Thermoplastic Fibers"; 및 1974년 11월 9일에 발행된 Buntin, et al.의 미국 특허 제3,849,241호를 포함하는, 다양한 특허 및 간행물에 설명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초음파 결합(ultrasonic bonding)"은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 편입되는 Bornslaeger의 미국 특허 제4,374,888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음파 혼(sonic horn)과 앤빌 롤(anvil roll) 사이로 직물을 통과시킴으로써 수행되는 공정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포인트 결합(point bonding)"은 다수의 별개의 본드 포인트에서 하나 이상의 직물 층을 결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열 포인트 결합(thermal point bonding)은 예를 들어, 가열 캘린더 롤(calender roll) 및 앤빌 롤과 같은 가열 롤 조립체 사이에 결합되도록 섬유의 웹 또는 직물을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캘린더 롤은 전체 직물이 그 전체 표면에 걸쳐 결합되지 않도록 하는 어느 방법으로 패턴화되고, 앤빌 롤은 일반적으로 부드럽다. 그 결과, 캘린더 롤의 다양한 패턴은 기능적 및/또는 미적 이유로 개발되었다. 패턴의 일 예는, 포인트를 가지며, Hansen and Pennings의 미국 특허 제3,855,046호에 교시된 바와 같은, 약 200 본드(bonds)/평방인치(square inch) (31 본드/평방 센티(square cm))로 약 30% 본드 구역(bond area)을 갖는 Hansen Pennings 또는 "H&P" 패턴이다. 다른 예는 Vogt의 미국 디자인 특허 제239,566호에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퍼센트 결합 구역(percent bonding area)은 직물 라미네이트 웹 구역의 약 5% 내지 약 30% 범위이다. 스팟 결합(spot bonding)은 직물의 통기성(breathability) 또는 핸드(hand)를 파괴하지 않고 각 층 내에 필라멘트 및/또는 섬유를 결합시킴으로써 각각의 개별 층에 무결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라미네이트 층을 함께 유지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불투명성(opacity)"은 재료의 시각적(optical) 밀도를 의미하고 투명성(transparency)의 반대이다. 높은 불투명성을 갖거나 불투명한 재료는, 다른 물품을 숨기거나, 이것이 적용된 것에 색조를 더하거나 그늘지게 할 수 있는, 좋은 은폐력 또는 도포력(hiding or covering power)을 가진다. 더 큰 불투명성을 갖는 재료는 가시 스펙트럼에서 전자기 방사선에 더 큰 불가입성(impenetrability)을 가질 것이다.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재료는 빛이 거의 관통하지 못하도록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비직조 직물과 같은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재료의 광 투과도(light transmittance)(가시 스펙트럼)는, 예를 들어, Virginia 주, Reston 소재의 HunterLab Associates, Inc.로부터 입수가능한 HunterLab D25 광학 센서 및 HunterLab DP-9000 프로세서와 같은 통상의 컬러 미터 분광 광도계(color meter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측정되었을 때 일반적으로 약 25 % 미만일 것이다. 다른 예로서,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비직조 직물의 광 투과도는 일반적으로 약 20 % 미만일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비직조 직물의 광 투과도는 일반적으로 약 15 % 미만일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비직조 직물의 광 투과도는 일반적으로 약 10 % 미만일 것이고 10 % 내지 5 % 사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반투명성(translucence)" 및 "반투명한(translucent)"은 실질적으로 투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것 사이의 범위에 있는 재료의 광 투과도 또는 시각적 밀도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실질적으로 투명한 재료는 또렷하게 나타나는 반면, 반투명한 재료는 빛이 확산하여(diffusely) 관통하도록 한다. 반투명한 재료는, 불투명하거나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재료보다, 가시 스펙트럼에서 더 큰 레벨의 전자기 방사선이 이를 관통하도록 할 것이나, 투명하거나 실질적으로 투명한 재료보다는, 가시 스펙트럼에서 더 낮은 레벨의 전자기 방사선이 이를 관통하도록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반투명성 및 만족스러운 레벨의 배리어 특성을 갖는 비직조 직물과 같은 반투명한 재료의 광 투과도(가시 스펙트럼)는, 예를 들어, Virginia 주, Reston 소재의 HunterLab Associates, Inc.로부터 입수가능한 HunterLab D25 광학 센서 및 HunterLab DP-9000 프로세서와 같은 통상의 컬러 미터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되었을 때 일반적으로 약 30 % 초과일 것이다. 광 투과도는 퍼센트로서 표현되고 하기 화학식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광 투과도 = (100 - 퍼센트 불투명성). 따라서, 70 % 의 퍼센트 불투명성을 갖는 재료는 30 % 의 광 투과도를 가진다. 다른 예로서, 반투명성 및 만족스러운 레벨의 배리어 특성을 갖는 비직조 직물의 광 투과도는 일반적으로 약 35 % 초과일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반투명성 및 만족스러운 레벨의 배리어 특성을 갖는 비직조 직물의 광 투과도는 일반적으로 약 40 % 초과(예를 들어, 50 %, 60 %, 심지어 70 %)일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반투명성 및 만족스러운 레벨의 배리어 특성을 갖는 비직조 직물의 광 투과도는 약 30 % 내지 약 60 % 일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도면에 도시되고/되거나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설명에서, 특정 용어는 명확성을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선택된 특정 용어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각 특정 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모든 기술적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외부 패널(12) 및 내부 패널(14)를 포함하는 바람직한 살균 랩 시스템(10)이 나타난다. 도 2는,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편입되고 2011.02.10 일자에 공개된 미국 특허 공보 제2011/0033137A1호, "Flexible Multi-Panel Sterilization Assembly"에 설명된 바와 같은 멀티-패널 살균 조립체의 형태일 수 있는 다른 바람직한 살균 랩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살균 랩 시스템(10)은 외부 패널(12) 및 제2 패널(12)을 가질 수 있다. 설명을 간결하게 하기 위해 조립체의 다른 세부 사항은 나타내지 않는다.
외부 패널(12)은, 배리어 특성을 갖고 제1 표면(16) 및 제2 반대 표면(18)을 갖는 투과성 재료로 만들어지거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패널(12)은 실질적으로 불투명일 수 있거나 제1 레벨의 반투명성을 가질 것이다. 상기 내부 패널(14)은 배리어 특성을 갖고 제1 표면(20) 및 제2 반대 표면(22)을 갖는 투과성 재료로 만들어지거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패널(14)은 상기 제1 패널의 반투명성보다 높은 레벨의 반투명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패널들은 이들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으로 함께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에서, 내부 패널(14)의 투과성 재료는 외부 패널(12)의 투과성 재료보다 높은 레벨의 반투명성을 가지는 투과성 재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투과도의 관점으로 표현된, 제1 패널 및 제2 패널 사이의 반투명성의 차이는 적어도 15 퍼센트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패널 및 제2 패널 사이의 반투명성의 차이는 적어도 30 퍼센트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1 패널 및 제2 패널 사이의 반투명성의 차이는 적어도 45 퍼센트일 수 있다. 제1 패널 및 제2 패널 사이의 반투명성의 차이는 75 퍼센트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널 및 제2 패널 사이의 반투명성의 차이는 250 퍼센트 이상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1 패널 및 제2 패널 사이의 반투명성의 차이는 500 퍼센트 이상일 수 있다.
이제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내부 패널(14), 및 제2 패널 상에 위치할 수 있는 다수의 본드 포인트(100)가 도시된다(축척 없음). 이러한 본드 포인트(100)는 본드 포인트가 아닌, 상기 제2 패널의 투과성 재료 상의 위치(102)보다 더 높은 반투명성을 갖는 별개의 위치를 정의한다. 이는 도 3 내지 도 6에 가장 잘 도시될 수 있다. 외부 패널(12)은 유사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패널의 일 특성은, 약 30 퍼센트의 총 본드 구역을 갖고 평방 인치 당 약 100 본드 초과의, 비교적 균일한 본드 밀도를 가지는 것이다. 예를 들어, (통상의 광학 현미경 방식으로 결정될 때) 상기 제2 패널은 약 10 내지 약 40 퍼센트의 총 본드 구역을 가질 수 있으며, 평방 인치 당 약 100 본드 내지 약 500 핀(pin) 본드의 본드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총 본드 구역 및 본드 밀도의 조합은, 반복된 필라멘트 기재를, 부드러운 앤빌 롤과 충분히 접촉할 때 약 30 퍼센트 미만의 총 본드 표면 구역을 제공하고 평방 인치 당 약 100 핀 본드 초과를 갖는 핀 본드 패턴과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드 패턴은 부드러운 앤빌 롤과 접촉할 때, 평방 인치 당 약 150 내지 약 250 핀 본드의 핀 본드 밀도 및 약 10 퍼센트 내지 약 25 퍼센트의 총 본드 표면 구역을 가질 수 있다.
패턴의 일 예는, 그 내용이 참조로서 편입되는, Hansen and Pennings의 미국 특허 제3,855,046호에 교시된 바와 같은, 약 200 본드/평방 인치 (31 본드/평방 센티)로 약 30% 본드 구역을 갖는 Hansen Pennings 또는 "H&P" 패턴이다. 다른 예는, Vogt의 미국 디자인 특허 제239,566호에 나타나고 상기 도 3에 도시되며 "RHT" 패턴으로서 정의된다. 상기 RHT 패턴의 본드 구역은 약 20 % ± 10 % 이다. 일반적으로, 퍼센트 결합 구역은 직물 라미네이트 웹의 약 5 % 내지 약 30 % 범위이다.
바람직한 본드 패턴이 도 4에 나타난다(714 패턴). 상기 본드 패턴은 평방 인치 당 약 306 핀의 핀 밀도를 갖는다. 각각의 핀은 길이로 약 0.025 인치의 변(sides)을 갖는 평방 본드 표면(square bond surface)을 정의한다. 상기 핀이 부드러운 앤빌 롤러와 접촉할 때, 이들은 약 15.7 퍼센트의 총 본드 표면 구역을 창출한다. 높은 근량(basis weight)의 기재(substrate)는 일반적으로 그 값에 근접한 본드 구역을 갖는다. 더 낮은 근량의 기재는 일반적으로 더 낮은 본드 구역을 갖는다. 도 5는 다른 바람직한 본드 패턴이다(WW 13 패턴). 도 5의 패턴은 평방 인치 당 약 278 핀의 핀 밀도를 갖는다. 각각의 핀은 약 0.035 인치 길이의 (및 약 0.02 인치 떨어진) 2개 평행한 변 및 각각 약 0.0075 인치 반경을 갖는 두 반대되는 볼록 변(opposed convex sides)을 갖는 본드 표면을 정의한다. 상기 핀이 부드러운 앤빌 롤러와 접촉할 때, 이들은 약 17.2 퍼센트의 총 본드 표면 구역을 창출한다. 도 6은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본드 패턴이다. 도 6의 패턴은 평방 인치 당 약 103 핀의 핀 밀도를 갖는다. 각각의 핀은 길이로 약 0.043 인치의 변을 갖는 평방 본드 표면을 정의한다. 상기 핀이 부드러운 앤빌 롤러와 접촉할 때, 이들은 약 16.5 퍼센트의 총 본드 표면 구역을 창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패널(14) 상에 있는 다수의 본드 포인트(100)는 본드 포인트가 아닌, 제2 패널의 투과성 재료 상의 위치(102)보다 적어도 15 퍼센트 더 높은 반투명성을 갖는 제2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 패널 상에 있는 다수의 본드 포인트는 적어도 30 퍼센트 더 높은 반투명성을 갖는 제2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2 패널 상에 있는 다수의 본드 포인트는 적어도 45 퍼센트 더 높은 반투명성을 갖는 제2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반투명성의 차이는 75 퍼센트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반투명성의 차이는 250 퍼센트 이상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반투명성의 차이는 500 퍼센트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살균 시스템은 다른 통상의 살균 시스템뿐만 아니라, 스팀 살균 조건, 에틸렌 옥사이드 살균 조건, 용도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에 따르면, 외부 패널(12) 및 내부 패널(14)은 단일 시트의 배리어 특성을 갖는 투과성 재료이고, 상기 단일 시트가 접혀져서 외부 패널(12) 및 내부 패널(14)을 형성하며, 적어도 접힘 맞은편의 에지가 함께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 상기 외부 패널(12) 및 내부 패널(14)은 함께 연결되는 재료의 독립적인 시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패널(12) 및 내부 패널(14)은 각각 주변부(24)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외부 패널(12) 및 내부 패널(14)은 상기 주변부(24)에서 오버레이되어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리어 특성을 갖는 투과성 재료의 적어도 하나는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재료이다.
본 발명의 중요한 구현에는, 살균 랩 시스템의 이용 방법이 있다. 상기 방법은 물품을 제공하는 단계 및 그 후, 배리어 특성을 갖고 제1 표면(16) 및 제2 반대 표면(18)을 갖는 투과성 재료를 포함하고, 실질적으로 불투명하거나 제1 레벨의 반투명성을 가지는 외부(또는 제1) 패널(12); 및 배리어 특성을 갖고 제1 표면(20) 및 제2 반대 표면(22)을 갖는 투과성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패널(12)의 반투명성보다 높은 레벨의 반투명성을 가지는 내부(또는 제2) 패널(14)을 갖고, 상기 패널들은 이들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으로 함께 연결되는, 살균 랩 시스템(10)으로 상기 물품을 랩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물품이 살균되도록 상기 랩핑된 물품을 충분한 시간 동안 살균 조건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살균된 물품은 저장될 수 있거나 수술실 또는 다른 위치로 운반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물품을 언랩핑하는 단계 및 상기 살균 랩 시스템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방법은 상기 살균 랩 시스템(10)의 외부 패널(12) 중 적어도 일부는 관찰자 "V" 맞은편이고 내부 패널(14)의 상응부는 관찰자 "V"를 대면하도록 살균 랩 시스템(10)을 배치하는 단계; 및 관찰자 "V" 대면 내부 패널(14)을 관통하는 빛 "L"을 찾음으로써 외부 패널(12) 내 틈(30)에 대해 살균 랩 시스템(10)을 점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살균 랩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살균 랩 시스템이 광원 "LS" 및 관찰자 "V"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구현에서, 상기 살균 랩 시스템(10)은 점검되는 살균 랩 시스템의 일부분 내 공간(32)에 의해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이 분리되도록 배치되거나 유지되거나 조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패널은 다수의 본드 포인트(10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본드 포인트는 본드 포인트가 아닌, 내부 패널(14)(또는 내부 패널)의 투과성 재료 상의 위치(102)보다 더 높은 반투명성을 갖는 별개의 위치를 정의하며, 이로써, 외부 패널 틈에 대해 살균 랩 시스템을 점검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본드 포인트를 경유하여 관찰자 대면 내부 패널(14)을 관통하는 빛을 찾음으로써 수행된다.
본 발명은 살균 랩 시스템이 물품으로부터 제거된 후 살균 랩 시스템(10)의 점검 방법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관찰자에 대하여 살균 랩 시스템(10)을 배치하는 단계(즉, 배리어 특성을 갖고 제1 표면(16) 및 제2 반대 표면(18)을 갖는 투과성 재료로 구성되고, 실질적으로 불투명하거나 제1 레벨의 반투명성을 가지는 외부 패널(12); 및 배리어 특성을 갖고 제1 표면(20) 및 제2 반대 표면(24)을 갖는 투과성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 패널(12)의 반투명성보다 높은 레벨의 반투명성을 가지는 내부 패널(14)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들은 이들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으로 함께 연결되며, 살균 랩 시스템(10)의 하나의 패널의 적어도 일부는 관찰자 "V"의 맞은편이고 다른 패널의 상응부는 관찰자 "V"를 대면함); 및 관찰자 "V" 대면 패널을 관통하는 빛 "L"을 찾음으로써 패널 내 틈(30)에 대해 상기 살균 랩 시스템(10)을 점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살균 랩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살균 랩 시스템(10)이 광원 "LS" 및 관찰자 "V"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에서, 상기 살균 랩 시스템(10)은 점검되는 살균 랩 시스템의 일부분 내 공간(32)에 의해 외부 패널(12) 및 내부 패널(14)이 분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 따르면, 상기 외부 패널(12), 상기 내부 패널(14) 또는 양 패널(12 및 14)은 다수의 본드 포인트(10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본드 포인트는 본드 포인트가 아닌, 제1 또는 제2 패널 각각의 투과성 재료 상의 위치(102)보다 더 높은 반투명성을 갖는 별개의 위치를 정의하며, 이로써, 패널 내 틈에 대해 살균 랩 시스템을 점검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본드 포인트(100)를 경유하여 관찰자 "V" 대면 패널을 관통하는 빛 "L"을 찾음으로써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외부 패널(12)은 관찰자 "V"의 맞은편일 수 있고 상기 내부 패널(14)은 관찰자 "V"를 대면하는 것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외부 패널(12)은 관찰자 "V"를 대면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내부 패널(14)은 관찰자 "V"의 맞은편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살균 랩 시스템의 제조 방법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배리어 특성을 갖고 제1 표면(15) 및 제2 반대 표면(18)을 갖는 투과성 재료를 포함하고, 실질적으로 불투명하거나 제1 레벨의 반투명성을 가지는 외부 패널(12)을 제공하는 단계; 및 배리어 특성을 갖고 제1 표면(20) 및 제2 반대 표면(22)을 갖는 투과성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패널(12)의 반투명성보다 높은 레벨의 반투명성을 가지는 내부 패널(14)을 제공하는 단계; 및 이들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으로 상기 패널들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패널은 다수의 본드 포인트(100)로 결합되거나 이와 함께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본드 포인트는 본드 포인트가 아닌, 제2 패널의 투과성 재료 상의 위치(102)보다 더 높은 반투명성을 갖는 별개의 위치를 정의한다. 상기 외부 패널(12) 및 내부 패널(14)은 단일 시트의 배리어 특성을 갖는 투과성 재료로서 제공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단일 시트는 접혀져서 외부 패널(12) 및 내부 패널(14)을 형성할 수 있고, 적어도 접힘 맞은편의 에지가 함께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은 함께 연결되는 재료의 독립적인 시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패널(12) 및 내부 패널(14)은 각각 주변부(25)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은 상기 주변부(24)에서 오버레이되어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구현을 하기 실시예에서 평가한다.
바람직한 랩을 가스 투과성 비직조 직물의 두 적층된(stacked) 패널(겹들(plies) 또는 개별적으로는 겹(ply)으로도 언급됨)로 만들었다. 각각의 직물의 겹/패널은 마이크로브(microbe) 오염에 대하여 배리어 특성을 가졌다. 각각의 겹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스팀 살균의 일반적인 온도에서 치수적으로(dimensionally) 안정한 다른 열가소성 폴리머(이들은 줄어들지 않음)로도 만들었다. 또한, 각각의 겹/패널은 색에서 상대적인 차이를 가졌다: 하나는 다른 것보다 더 밝음. (더 밝은 색의) 내부 겹의 불투명성은 외부 겹보다 더 적었다. 상기 예에서, 각각의 겹이 열로(thermally) 결합되었고, 이로써 결합된 구역은 결합되지 않은 구역보다 더 반투명(덜 불투명)하게 된다.
바람직한 겹들 및 패널은 멜트블로운 재료층을 샌드위칭하면서(sandwiching), 스펀본드 재료의 열로 포인트 결합된 층으로 구성된 라미네이트 재료이다("SMS" 재료로도 언급됨). (내용물을 감쌀 때 랩의 바깥이 되도록) 한 겹은 외부 면(side)을 형성하고, (내용물을 감쌀 때 랩의 안이 되도록) 다른 겹은 내부 면을 형성한다; 외부 겹은 내부 겹(예를 들어, 하얀색)에 비해 어두운 색(예를 들어, 파란색)이어서, 내부 겹은 항상 외부 겹보다 적은 불투명성을 갖는다.
더 밝은 색의 내부 겹과 대조적인 어두운 색의 외부 겹의 적층 배열은, 동일한 색의 두 적층된 겹들과 비교하여, 내부 겹을 통해, 외부 겹 내 틈, 예를 들어 외부 겹 내 파열 또는 홀을 검출하는 것을 더 쉽게 한다.
본 발명은, 하얗고 덜 불투명한(즉, 더 반투명한) 유사 치수적(similar dimensioned) SMS의 내부 겹과 대조적인, 파란 SMS의 외부 겹을 통해 도시되고, 상기 겹들은 적어도 가까운 하나의 공통의 에지에서 함께 부착된다. 적절한 외부 및 내부 SMS 겹들의 예가 표 1에 나타난다. 근량은 평방 야드(yard) 당 온스(ounces) (osy) - 상기 osy 값을 33.91로 곱함으로써 평방 미터(meter) 당 그램(grams)으로 전환될 수 있음 - 로 기록한다. SMS 내 멜트블로운(MB)의 양은 14 내지 35 % 범위이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1의 외부 및 내부 실시예 겹들 및 선택된 적층된 조합의, 상대적 불투명성, 또는 역으로 (반투명성 = 100 - 퍼센트 불투명성으로서 표현되는) 반투명성은 통상의 컬러 미터 분광 광도계를 통해 측정하였다. 적절한 분광 광도계는 Va 주, Reston 소재의 HunterLab Associates, Inc.로부터 입수가능한 HunterLab D25 광학 센서 및 HunterLab DP-9000 프로세서이다. 상기 HunterLab D25 광학 센서는 빨강, 초록, 파랑의 신호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HunterLab DP-9000 프로세서는 상기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데이터를 CIE Tristimulus XYZ Scale에 대한 X, Y 및 Z 값으로 전환한다. 장비 셋-업(set-up)은, 견본 포트(specimen port)가 구역 뷰 삽입을 통해 0.75 인치 직경의 개구(opening)로 감소된 것을 제외하고는 통상의 실행을 따랐다(역시 HunterLab Associates, Inc.로부터 입수가능함). 표준화 절차, 및 제조자의 지시 또는 다른 일반적으로 용인된 실행의 기준에 대한 치수(measurements)를 취하기 위해 적절한 검은 유리 및 눈금이 매겨진 하얀 타일(tiles)을 사용하였다. 다른 위치에서 2 색도계(Colorimeter) 유닛, 1 & 2를 사용하여 치수를 취했고 다만 그 외에는 같은 제조(make) 및 모델(model)이었다.
상기 분광 광도계 배열은, 검은 유리를 백(back)으로 하여 축소된 견본 포트 옆에 놓여진 샘플에 대해 Y 값을 및 하얀 타일을 백으로 하여 동일한 놓여진 샘플에 대해 다른 Y 값을 산출한다; 이러한 Y 값을 "콘트라스트 비(contrast ratio) 방법"에 따라 비교하여 샘플에 대한 "불투명성"을 산출한다. 상기 콘트라스트 비 방법은, 검은 유리를 백으로 한 샘플에 대한 Y 값을 하얀 타일을 백으로 한 샘플에 대한 Y 값으로 나누고, 그 후 상기 비에 100을 곱한다.
표 2는, 표 1 실시예의 샘플(각각 단일 겹으로서)에 대한 평균 불투명성 값을 나열하고, 도 9는 Avg 값을 통해 그들의 관계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등가 근량에서 내부 실시예(하얀색)은 외부 실시예(파란색)보다 적은 불투명성을 갖는다. 색도계 1에 대한 평균은 두 샘플의 것이고, 색도계 2에 대한 그것은 세 샘플이며, Avg 값은 모든 다섯 샘플의 평균을 나타낸다.
[표 2]
Figure pat00002
본 발명을 대표하는 샘플은 외부 겹(파란색)의 맨 위(top)에 내부 겹(하얀색)을 적층함으로써 만들었다. 동일한 색인 2 겹들을 다른 것의 맨 위에 하나를 적층함으로써 및 본 발명의 샘플의 배열을 반전시킴으로써(하얀색의 맨 위에 파란색) 비교 샘플도 만들었다.
내부 겹을 통한 빛의 검출에 의해 외부 겹 내 틈 검출을 용이하게 하는 것에 관한 본 발명의 구현을 입증하기 위해서, 본 발명을 대표하는 샘플에 대해 선택된 외부 겹들 내 1.4 ㎜ 홀 직경을 만들었다(뾰족한 막대를 통해). 비교예에 대해서도 선택된 외부 겹들 내 1.4 ㎜ 홀 직경을 만들었다(뾰족한 막대를 통해).
분광 광도계의 견본 포트와 대비하여 바로 옆에 놓인 외부 겹이 있는 적층된 2 겹들, 외부 겹 위에 내부 겹, 및 맨 위에 뒤판(backing plate)(검은 유리 및 하얀 타일),로 불투명성 치수를 만들었다. 상기 샘플 및 이들의 불투명성 값을 표 3에 나열했다; 색도계 1에 대한 값은 개별적인 치수를 나타낸다; 색도계 2에 대한 값은 적어도 두 치수의 평균을 나타낸다. 이들의 관계는, 도면의 도 10에 가능한 한 평균을 낸 색도계 2 평균을 사용하여 나타낸다.
[표 3]
Figure pat00003
표 4 내지 표 6의 정보는 포인트 결합에 의해 제공된 반투명성의 향상을 잘 보여준다. 모든 샘플에 대한 포인트 결합은 동일한 결합 패턴, ~20 % 결합된 구역(80 % 나머지는 비결합됨)이 부여된, RHT 패턴을 사용하였다.
표 4A는, 별표(*)로 나타낸 것을 제외하고, 두 샘플의 평균으로서 색도계 1; 세 샘플의 평균으로서 색도계 2; 색도계 1 & 2 치수의 평균으로서 Avg에 대하여, 불투명성 값을 나열하였다. 테스트된 다른 종류의 샘플은: 비결합된(unbonded)(즉, 결합된 영역은 없음), 다른 근량의 100 % 하얀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직물(MB); 열로 포인트 결합된, 1 osy 근량을 갖는 100 % 하얀 폴리프로필렌 MB; 및 2.57 osy 의 파란 외부 실시예의 샘플이다(표 2 불투명성 값의 재현 가능성을 결정하기 위한 재시험). 별표(*)는 색도계 1에 대한 오직 하나의 샘플에 대한 불투명성 값을 나타낸다.
[표 4A]
Figure pat00004
표 4B는, 도 3의 패턴을 사용하여 각각의 직물을 열로 포인트 결합한 후에, 샘플 번호 5 내지 9의 MB 직물에 관한, 세 샘플의 색도계 2에 대한 불투명성 평균을 나열하고, 이는 다른 포인트 결합된 직물에 관한 패턴과 일치한다(matched). 표 4B의 샘플 번호는 표 4A의 그것과 각각 상응한다(예를 들어 7B 샘플은 표 4A의 샘플 번호 7로부터 만들었음).
[표 4B]
Figure pat00005
표 5는, 이 후 "필름화(filmed)"됨으로써 각 샘플은 100 % 결합된, 표 2 및 표 5에 나열된 샘플에 관한 색도계 1에 대한 불투명성 값을 나열하였다. 상기 용어 "필름화"는 샘플을 얇은 금속 호일 조각(하나는 지지하기 위해 뻣뻣함, 다른 하나는 알루미늄 호일) 사이에 샌드위칭하고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데스크탑 라미네이트를 통과시킴으로써 샌드위치된 샘플을 가열하고 압력을 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열 및 압력의 조합은, 개별적인 섬유 및 필라멘트를 필름의 외관을 갖는 시트로 융합시키는 결과를 야기한다. 이러한 절차의 목적은, 비직조 직물 내 섬유 또는 필라멘트로 형성된 섬유 구조(fibrous structure)를 제거함으로써 비직조 직물(예를 들어, MB 또는 SMS)을 형성하는 중합성 재료의 불투명성의 레벨을 결정하는 것이다. 별표(*)는 오직 하나의 샘플에 대한 불투명성 값을 나타낸다. "포인트 및 필름화"로 설명된 샘플은 "필름화"되기 전에 재료 내에 존재하는 포인트 본드를 처음에 가졌다. 오직 "필름화"로 설명된 샘플은 "필름화" 전에 비결합된 재료였다(즉, 포인트 본드를 함유하지 않음).
[표 5]
Figure pat00006
도면의 도 11은 표 2 및 표 4A & B로부터의 불투명성 Avg 값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러한 결과의 검토는 여러 예상하지 않은 결과를 보여준다. 이는 일반적으로 하기와 같다:
(도 11에 비결합된 MB 하얀색으로서 정의된) 비결합된 MB 샘플은, 심지어 비결합된 MB의 근량이 더 적을 때에도, (도 11에 SMS 하얀색으로서 정의된) 내부 하얀 SMS 실시예보다 더 높은 불투명성 값을 갖는다.
MB의 포인트 결합은 불투명성을 감소시킨다; 당량(equivalent weight)의 비결합된 하얀 MB 샘플에 관한 불투명성 값을 삽입한 것(즉, 약 1 osy 의 근량의 MB 하얀색에 관한 도 11로부터 85의 % 불투명성)은 결합된 하얀 MB 샘플(도 11의 결합된 MB 하얀색)로부터 ~15 % 차이를 보여준다.
하얀 SMS에 대한 MB 재료에 의한 불투명성 기여(contribution)는 불투명성 내 중요한 요인이다.
도면의 도 12는 표 2 및 4A&B로부터 얻은 불투명성 값에 표 5의 필름화된 불투명성 값을 첨가한 그래프이다. 특별한 점은, 100 % 결합된 하얀 MB에 관한 불투명성은 근량과 관련해 기본적으로 변함없다는 것이다. 상기 하얀 MB는 첨가된 안료(pigment)를 갖지 않기 때문에, 필름화된 MB는 깨끗한 필름이다. (비결합된 MB의 불투명함은 멜트블로운 섬유의 표면의 광 반사율에서 비롯된다.) 필름화된 SMS 하얀색 및 SMS 파란색 샘플은 안료로부터의 불투명성 기여를 나타낸다.
표 6은, MB 재료에 의한 결과에 대한 기여를 설명하기 위해, 두 적층된 겹들의 샘플을 나열한다. 표 6의 샘플 세트(Set) 28은 표 3의 발명 세트를 나타낸다. 표 6의 샘플 세트 27은 표 3의 "구성. 세트 2(Comp. Set 2)"이다. 표 1에 주어진 바와 같이, MB 기여는 14 내지 35 % 이다. 이러한 100 % MB 내부 겹들의 각각의 중량은 샘플 세트 27 및 28의 내부 겹들 내 MB보다 더 크기 때문에, 샘플 세트 29, 30 및 31은 두 적층된 겹들의 배열에 상당히 더 많은 MB 기여를 갖는다. 표 6으로부터의 정보의 그래프인 도면의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색도계 1에 대한 이들의 불투명성 값은 정해진 파란 SMS 외부에 대해 더 크다.
[표 6]
Figure pat00007
도 13에 나타난 하나의 데이터 포인트는, 1.85 osy 의 외부 파란 SMS 겹 상에 적층된, 내부 겹으로서의 필름화된 하얀 SMS에 관한 것이다. 필름화하는 것(filming)(데스크탑 라미네이터의 사용으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100 % 결합된 구역을 창출하는 것)은 색도계 1에 대해 ~5 % 의 불투명성 값으로, 두 적층된 겹들 내 감소를 보여준다.
표 7은 결과 불투명성에 대한 MB 기여의 영향을 더 보여주기 위해, 두 적층된 겹들의 샘플을 나열한다. 상기 표에 나열된 샘플 세트는, 세 개의 다른 중량으로, 정해진 재료의 하얀 내부 겹들을 파란 외부 SMS 겹들 상에 각각 적층함으로써 만든다. 불투명성 값은 색도계 2 치수로부터의 결과이고 두 개별적인 값의 평균이다. 내부 겹으로서 샘플 세트 32 및 35는 하얀 SMS를 사용하고; 샘플 세트 34 및 37은 하얀 비결합된 MB를 사용하며; 샘플 세트 33 및 36은, 상응하는 세트 34 및 37의 비결합된 MB로부터, SMS 겹들의 그것과 일치하는 (도 3의) 패턴으로 열 포인트 결합을 통해 만들어진 하얀 결합된 MB를 사용한다. 상기 표에 나열된 결과 불투명성 값은 도 14에 도시된다. 상기 표 및 도 14 둘 다, 정해진 중량에 대해 MB 기여가 증가할수록, 불투명성은 감소함을 보여준다. 또한, 표 7 및 도 14는 MB의 열 포인트 결합의 영향을 보여준다: 두 적층된 겹들에 대한 결과 불투명성을 감소시키는 것과 상응하여, 내부 겹 내 MB의 포인트 본딩, 이것은 (불투명성 값을 연결시키는 표 4A 및 4B를 비교함으로써 입증된 바와 같이) 상기 겹 내 불투명성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열로 포인트 결합된 MB 구성요소가 있는 하얀 직물은 본 발명에서 더 큰 불투명성의 겹들 다음에 겹하는 것(plying)이 선호된다. 특히 본 발명에 적당한 것은 40 % 미만의, 열로 포인트 결합된 MB 중량 기여를 갖는 하얀 겹들이다.
[표 7]
Figure pat00008
적층된 겹들에 대한 앞선 불투명성 값은, 견본 포트 바로 옆의 파란 SMS 및 상기 파란 SMS 위에 적층된 하얀 겹으로부터 결과이다. 이러한 적층된 겹들의 순서를 반전시키는 것은 결과 불투명성을 변화시킨다. (결과 불투명성에 대한 겹들 상의 순서를 반전시키는) 이러한 영향을 설명하기 위해, 표 8은 표 7과 반대의 배치의, 하얀 및 파란 SMS 겹들의 선택된 적층에 대한 불투명성 값을 나열한다: 샘플 세트 38은 샘플 세트 32의 특정한 겹 배열에 대한 적층을 반전시키고; 샘플 세트 39는 샘플 세트 35의 1.20 SMS 겹들에 대한 적층을 반전시킨다. 결과 불투명성은 색도계 2를 통한 두 치수의 평균이다. 다른 불투명성 값으로 적층 배열 결과를 반전시킴으로써; 도 15는 그래프로, 표 8의 불투명성을 상응하는 관련된 표 7의 불투명성과 비교한다.
[표 8]
Figure pat00009
불투명성에 대한 MB 기여의 영향은 파란 SMS 내 틈이 존재할 때 더 감지된다. 표 9 및 10은 색도계 2에 대한 두 치수의 평균인 불투명성 값을 제공한다. 샘플 세트에 대해, 파란 SMS 겹들 내로 1.4 ㎜ 홀의 틈을 (앞서 언급된 막대를 이용해) 뚫었다. 표 9의 SMS 겹들은: 1.20 osy 의 중량을 갖는 파란 SMS1; 2.56 osy 의 중량을 갖는 파란 SMS2이다. 표 9에서, 파란 SMS 겹들 다음에 각각 적층된 하얀 겹들은 모두 2.56 osy 이었으나, MB 기여 또는 열 포인트 결합에 있어서 서로 달랐다: 샘플 세트 40은 비결합된 하얀 MB를 사용하였고; 샘플 세트 41은, SMS 겹들에 사용된 것과 일치하는 패턴으로 열로 포인트 결합된 MB를 사용했으며; 샘플 세트 42는 하얀 SMS를 사용하였다. 표 10에서 SMS 겹들은 표 9의 그것에 더해 1.85 osy 의 중량을 갖는 파란 SMS3을 포함한다. 표 10의 하얀 겹들은 대략 1.20 osy 이었으나 표 9의 하얀 겹들처럼 MB 기여 및 열 포인트 결합에 있어서 서로 달랐다: 샘플 세트 43은 ~1.10 osy 의 비결합된 하얀 MB를 사용하였고; 샘플 세트 44는, SMS 겹들에 사용된 것과 일치하는 패턴으로 열로 포인트 결합된 ~1.10 osy 의 MB를 사용했으며; 샘플 세트 45는 1.20 osy 의 하얀 SMS를 사용하였다. 표 9 및 10의 결과 불투명성은 (색도계의 견본 포트와 대비되는 적층 방향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하얀 SMS 겹들이 가장 작았다.
[표 9]
Figure pat00010
[표 10]
Figure pat00011
도 16 및 도 17은 파란 겹 다음에 적층된 하얀 겹의 종류와 관련해 표 9 및 표 10의 불투명성 값을 각각 그래프로 보여준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40 % 미만의 MB % 및 열적 본드 포인트를 갖는 하얀 SMS 겹들은 파란 SMS 다음으로 짝지어졌을 때, 심지어 파란 SMS 내 틈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가장 낮은 결과 불투명성 값을 보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제시되지만; 당업자에게 명백하듯이, 본 발명은 다양한 선택적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고, 청구항의 근거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수치가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수치는 축척으로 도시된 것이 아니고, 관련 요소는 본 발명의 새로운 특성을 강조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구조적이고 기능적인 세부사항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수행을 교시하는 목적을 위해 제공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좌측, 우측, 전방 또는 후방과 같은 방향 용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었지만; 설명된 실시예에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22)

  1. 배리어 특성을 갖고 제1 표면 및 제2 반대 표면을 갖는 투과성 비직조 재료를 포함하고, 제1 레벨의 반투명성을 갖는 외부 패널; 및
    배리어 특성을 갖고 제1 표면 및 제2 반대 표면을 갖는 투과성 비직조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패널의 제1 레벨의 반투명성보다 높은 제2 레벨의 반투명성을 가지는 내부 패널로서, 여기서 상기 내부 패널의 반투명의 레벨은 투명과 불투명 사이의 범위 내에 포함되며, 여기서 상기 내부 패널은 다수의 본드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본드 포인트는 본드 포인트가 아닌, 상기 내부 패널의 투과성 비직조 재료 상의 위치보다 더 높은 반투명성을 갖는 별개의 위치를 정의하는, 내부 패널
    을 포함하며,
    랩 시스템이 살균 사이클에 적용된 물품으로부터 제거된 후 랩 시스템의 내부 패널을 통해 랩 시스템의 외부 패널로부터 통과하는 빛을 찾는 경우에, 상기 외부 패널에 비해 상기 내부 패널의 더 높은 레벨의 반투명성은 상기 외부 패널의 틈의 살균 후 검출을 용이하게 하며, 여기서 광 투과도의 관점으로 표현된, 상기 내부 패널과 상기 외부 패널 사이의 반투명성의 차이는 적어도 15 퍼센트인, 살균 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패널 상의 다수의 본드 포인트는 본드 포인트가 아닌, 내부 패널의 투과성 비직조 재료 상의 위치보다 적어도 15 퍼센트 더 높은 반투명성을 갖는 내부 패널을 제공하는, 살균 랩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스팀 살균 랩 시스템인, 살균 랩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에틸렌 옥사이드 살균 랩 시스템인, 살균 랩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패널 및 상기 내부 패널은 단일 시트의 배리어 특성을 갖는 투과성 비직조 재료이고, 상기 단일 시트가 접혀져서 상기 외부 패널 및 상기 내부 패널을 형성하는, 살균 랩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패널 및 상기 내부 패널은 재료의 독립적인 시트인, 살균 랩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패널 및 상기 내부 패널은 각각 주변부를 가지고, 상기 외부 패널 및 상기 내부 패널은 오버레이되는, 살균 랩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배리어 특성을 갖는 투과성 비직조 재료의 적어도 하나는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재료인, 살균 랩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광 투과도의 관점으로 표현된, 제2 패널과 제1 패널 사이의 반투명성의 차이는 적어도 45퍼센트인, 살균 랩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광 투과도의 관점으로 표현된, 제2 패널과 제1 패널 사이의 반투명성의 차이는 적어도 75퍼센트인, 살균 랩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광 투과도의 관점으로 표현된, 제2 패널과 제1 패널 사이의 반투명성의 차이는 적어도 250퍼센트인, 살균 랩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광 투과도의 관점으로 표현된, 제2 패널과 제1 패널 사이의 반투명성의 차이는 적어도 500퍼센트인, 살균 랩 시스템.
  13. 배리어 특성을 갖는 투과성 비직조 재료를 포함하는 살균 랩 시스템으로서, 상기 투과성 비직조 재료는
    제1 표면 및 제2 반대 표면을 가지며, 제1 레벨의 반투명성을 갖는 외부 시트; 및
    제1 표면 및 제2 반대 표면을 가지며, 상기 외부 시트의 제1 레벨의 반투명성보다 높은 제2 레벨의 반투명성을 가지는 내부 시트로서, 여기서 상기 내부 시트의 반투명성의 레벨은 투명과 불투명 사이의 범위 내에 포함되며, 여기서 상기 내부 시트는 다수의 본드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본드 포인트는 본드 포인트가 아닌, 상기 내부 시트 상의 위치보다 더 높은 반투명성을 갖는 별개의 위치를 정의하는, 내부 시트
    를 포함하며,
    랩 시스템이 살균 사이클에 적용된 물품으로부터 제거된 후 랩 시스템의 내부 시트를 통해 랩 시스템의 외부 시트로부터 통과하는 빛을 찾는 경우에, 상기 외부 시트에 비해 상기 내부 시트의 더 높은 레벨의 반투명성은 상기 외부 시트의 틈의 살균 후 검출을 용이하게 하며, 여기서 광 투과도의 관점으로 표현된, 상기 내부 시트와 상기 외부 시트 사이의 반투명성의 차이는 적어도 15 퍼센트인, 살균 랩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시트 상의 다수의 본드 포인트는 본드 포인트가 아닌, 상기 내부 시트 상의 위치보다 적어도 15퍼센트 더 높은 반투명성을 갖는 내부 시트를 제공하는, 살균 랩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시트 및 상기 내부 시트는 단일 시트의 배리어 특성을 갖는 투과성 비직조 재료이고, 상기 단일 시트가 접혀져서 상기 외부 시트 및 상기 내부 시트를 형성하는, 살균 랩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시트 및 상기 내부 시트는 재료의 독립적인 시트인, 살균 랩 시스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시트 및 상기 내부 시트는 각각 주변부를 가지고, 상기 외부 시트 및 상기 내부 시트는 오버레이되는, 살균 랩 시스템.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시트 또는 상기 내부 시트 중 적어도 하나는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재료인, 살균 랩 시스템.
  19. 제13항에 있어서,
    광 투과도의 관점으로 표현된, 제2 시트와 제1 시트 사이의 반투명성의 차이는 적어도 45퍼센트인, 살균 랩 시스템.
  20. 제13항에 있어서,
    광 투과도의 관점으로 표현된, 제2 시트와 제1 시트 사이의 반투명성의 차이는 적어도 75퍼센트인, 살균 랩 시스템.
  21. 제13항에 있어서,
    광 투과도의 관점으로 표현된, 제2 시트와 제1 시트 사이의 반투명성의 차이는 적어도 250퍼센트인, 살균 랩 시스템.
  22. 제13항에 있어서,
    광 투과도의 관점으로 표현된, 제2 시트와 제1 시트 사이의 반투명성의 차이는 적어도 500퍼센트인, 살균 랩 시스템.
KR1020207003129A 2011-11-08 2012-11-05 살균 랩 시스템의 이용 방법 KR1021534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57215P 2011-11-08 2011-11-08
US61/557,215 2011-11-08
US201261592233P 2012-01-30 2012-01-30
US61/592,233 2012-01-30
US13/667,526 2012-11-02
US13/667,526 US9718253B2 (en) 2011-11-08 2012-11-02 Method of using a sterilization wrap system
PCT/IB2012/056163 WO2013068907A1 (en) 2011-11-08 2012-11-05 Method of using a sterilization wrap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2079A Division KR102077184B1 (ko) 2011-11-08 2012-11-05 살균 랩 시스템의 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821A true KR20200018821A (ko) 2020-02-20
KR102153423B1 KR102153423B1 (ko) 2020-09-10

Family

ID=482227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2079A KR102077184B1 (ko) 2011-11-08 2012-11-05 살균 랩 시스템의 이용 방법
KR1020207003129A KR102153423B1 (ko) 2011-11-08 2012-11-05 살균 랩 시스템의 이용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2079A KR102077184B1 (ko) 2011-11-08 2012-11-05 살균 랩 시스템의 이용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9) US9718253B2 (ko)
EP (2) EP3838299A1 (ko)
JP (1) JP6075925B2 (ko)
KR (2) KR102077184B1 (ko)
CN (1) CN103917251B (ko)
AU (2) AU2012335252B2 (ko)
BR (1) BR112014011091B1 (ko)
CA (3) CA2854864C (ko)
HK (1) HK1202080A1 (ko)
IN (1) IN2014CN03439A (ko)
MX (1) MX354188B (ko)
RU (1) RU2630973C2 (ko)
WO (1) WO20130689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86836T3 (es) 2013-10-11 2018-10-22 C.R. Bard Inc. Kit de procedimiento que puede sujetarse
US20150247281A1 (en) 2014-02-28 2015-09-03 Avent, Inc. Reduced medical wet packs, post steam sterilization
FR3028208B1 (fr) 2014-11-07 2022-07-08 Arjowiggins Healthcare Materiau multicouche sterilisable
USD825198S1 (en) * 2015-04-09 2018-08-14 Medline Industries, Inc. Sterile wrap
US10537707B2 (en) 2016-02-12 2020-01-21 C. R. Bard, Inc. Wrap systems for medical device kits
ES2932996T3 (es) 2016-02-12 2023-01-30 Bard Inc C R Sistemas de envoltura para kits de dispositivos médicos
US11939811B2 (en) 2021-09-10 2024-03-26 Andersen Corporation Sill corner brackets for coastal impact resistant fenestrations
WO2023203400A1 (en) * 2022-04-19 2023-10-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isual recognition tool for package inspe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92214A (en) * 1977-01-24 1981-07-01 Faser Ind Method of providing a heat seal between a paper member and a clear plastic member and detecting a break therein and heat sealed package
JPS58116581U (ja) * 1982-02-01 1983-08-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包装材料
JPS5931255Y2 (ja) * 1977-11-30 1984-09-05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滅菌袋
WO2008083426A1 (en) * 2007-01-10 2008-07-17 Ampack Medical Pty Ltd Sterilization wrapp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803714A (en) 1969-01-14 Harmon Carlyle Continuous filament fabric
US239566A (en) 1881-03-29 Johf fkanklin smith
US3338992A (en) 1959-12-15 1967-08-29 Du Pont Process for forming non-woven filamentary structures from fiber-forming synthetic organic polymers
US3502763A (en) 1962-02-03 1970-03-24 Freudenberg Carl Kg Process of producing non-woven fabric fleece
NL297313A (ko) 1962-08-30 1900-01-01
US3502538A (en) 1964-08-17 1970-03-24 Du Pont Bonded nonwoven sheets with a defined distribution of bond strengths
US3341394A (en) 1966-12-21 1967-09-12 Du Pont Sheets of randomly distributed continuous filaments
US3542615A (en) 1967-06-16 1970-11-24 Monsanto Co Process for producing a nylon non-woven fabric
US3849241A (en) 1968-12-23 1974-11-19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Non-woven mats by melt blowing
DE1950669C3 (de) 1969-10-08 1982-05-13 Metallgesellschaft Ag, 6000 Frankfurt Verfahren zur Vliesherstellung
CA948388A (en) 1970-02-27 1974-06-04 Paul B. Hansen Pattern bonded continuous filament web
US3685720A (en) * 1970-07-28 1972-08-22 Charles E Brady Package for sterilized products
US3761013A (en) * 1972-03-20 1973-09-25 S Schuster Double wall package for storing items in bacteria-free condition
GB1453447A (en) 1972-09-06 1976-10-20 Kimberly Clark Co Nonwoven thermoplastic fabric
US3990872A (en) * 1974-11-06 1976-11-09 Multiform Desiccant Products, Inc. Adsorbent package
JPS6129121Y2 (ko) 1977-11-30 1986-08-28
JPS5485899A (en) 1977-12-20 1979-07-07 Yamada Kikai Kogyo Kk Bundling device
JPS584898Y2 (ja) 1978-02-03 1983-01-27 森 基二 湿布絆
US4340563A (en) 1980-05-05 1982-07-20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nonwoven webs
US4374888A (en) 1981-09-25 1983-02-22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laminate for recreation fabric
US4516679A (en) 1982-11-04 1985-05-14 Simpson Carolyn N Tamper-proof wrap
JPS602539U (ja) * 1983-06-17 1985-01-10 大研医器株式会社 医療器具滅菌袋
JPS60135134U (ja) * 1984-02-20 1985-09-07 大研医器株式会社 医療器具滅菌袋
JPH07111405B2 (ja) * 1987-03-04 1995-11-29 株式会社東芝 欠陥検査装置
US5899856A (en) 1988-09-08 1999-05-04 Sudormed, Inc. Dermal patch detecting long-term alcohol consumption and method of use
JPH02107951A (ja) * 1988-10-17 1990-04-19 Mitsubishi Rayon Co Ltd ピンホール検査装置
CA2111071E (en) * 1993-06-30 2011-08-23 Sonya Nicholson Bourne Single step sterilization wrap system
US5814178A (en) * 1995-06-30 1998-09-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for making a bulked fabric laminate
JP3238861B2 (ja) * 1996-04-25 2001-12-17 株式会社巴川製紙所 滅菌袋用紙
US6406764B2 (en) 1998-05-18 2002-06-18 American Threshold Industries, Inc. Two-ply sterilization wrap and method for sterilizing an article
US20050079093A1 (en) 2003-10-14 2005-04-14 Allegiance Corporation Sterilization wraps and methods for sterilizing articles
US20050170726A1 (en) 2003-12-30 2005-08-04 K.B. Aviation, Inc, D/B/A Brunson Associates Multiple layer nonwoven products and methods for creating color schemes and for producing such products
US20060067855A1 (en) 2004-09-30 2006-03-30 Mathis Michael P Multiple ply sterilization wrap
US20060104857A1 (en) 2004-11-15 2006-05-18 Pigott James M Sterilization wrap with indicia for placement of medical instrumentation or trays
US7619131B2 (en) 2005-12-02 2009-11-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rticles comprising transparent/translucent polymer composition
US20090053103A1 (en) * 2007-08-20 2009-02-26 William Patrick Mortimer Non-linting sterilization packaging material
US8261963B2 (en) 2009-08-06 2012-09-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lexible multi-panel sterilization assembly
US20120234333A1 (en) 2011-03-16 2012-09-20 Jenkins Shawn E Medical Fabric With Asymmetrical Lay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92214A (en) * 1977-01-24 1981-07-01 Faser Ind Method of providing a heat seal between a paper member and a clear plastic member and detecting a break therein and heat sealed package
JPS5931255Y2 (ja) * 1977-11-30 1984-09-05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滅菌袋
JPS58116581U (ja) * 1982-02-01 1983-08-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包装材料
WO2008083426A1 (en) * 2007-01-10 2008-07-17 Ampack Medical Pty Ltd Sterilization wrapp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354188B (es) 2018-02-16
WO2013068907A1 (en) 2013-05-16
CN103917251A (zh) 2014-07-09
CA2854864A1 (en) 2013-05-16
CA3055494C (en) 2021-05-04
US20170281816A1 (en) 2017-10-05
US20190232610A1 (en) 2019-08-01
EP3838299A1 (en) 2021-06-23
AU2016208296B2 (en) 2018-10-18
EP2776075A1 (en) 2014-09-17
CN103917251B (zh) 2016-12-07
US20200254126A1 (en) 2020-08-13
US10730265B2 (en) 2020-08-04
US20130111852A1 (en) 2013-05-09
EP2776075B1 (en) 2021-02-24
RU2014121520A (ru) 2015-12-20
AU2016208296A1 (en) 2016-08-11
US11654652B2 (en) 2023-05-23
US10710330B2 (en) 2020-07-14
JP2015502777A (ja) 2015-01-29
WO2013068907A4 (en) 2013-07-11
US20210370639A1 (en) 2021-12-02
CA3055491C (en) 2020-06-02
US9718253B2 (en) 2017-08-01
BR112014011091B1 (pt) 2019-09-24
HK1202080A1 (en) 2015-09-18
BR112014011091A2 (pt) 2017-05-16
US20170281817A1 (en) 2017-10-05
US10220596B2 (en) 2019-03-05
CA2854864C (en) 2020-08-25
JP6075925B2 (ja) 2017-02-08
US9840065B2 (en) 2017-12-12
IN2014CN03439A (ko) 2015-07-03
US20170281290A1 (en) 2017-10-05
US11969985B2 (en) 2024-04-30
US20240165918A1 (en) 2024-05-23
AU2012335252A1 (en) 2014-05-01
US20230256709A1 (en) 2023-08-17
KR102153423B1 (ko) 2020-09-10
AU2012335252B2 (en) 2016-09-22
US11123952B2 (en) 2021-09-21
BR112014011091A8 (pt) 2017-07-11
MX2014005109A (es) 2014-05-28
RU2630973C2 (ru) 2017-09-15
KR102077184B1 (ko) 2020-02-13
CA3055491A1 (en) 2013-05-16
KR20140098067A (ko) 2014-08-07
CA3055494A1 (en) 201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7184B1 (ko) 살균 랩 시스템의 이용 방법
AU2012213025B2 (en) Flexible multi-panel sterilization assembly with bolsters
EP2760484B1 (en) Flexible multi-panel sterilization assembly with side tabs
AU2017200033B2 (en) Flexible multi-panel sterilization assembly with bols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