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8564A - 엘리베이터 승강장 로킹 장치 및 엘리베이터 승강장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승강장 로킹 장치 및 엘리베이터 승강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8564A
KR20200018564A KR1020207000100A KR20207000100A KR20200018564A KR 20200018564 A KR20200018564 A KR 20200018564A KR 1020207000100 A KR1020207000100 A KR 1020207000100A KR 20207000100 A KR20207000100 A KR 20207000100A KR 20200018564 A KR20200018564 A KR 20200018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ductive block
block
groove
contac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0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9239B1 (ko
Inventor
윤웨이 루
지 지앙
Original Assignee
상하이 미츠비시 엘리베이터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하이 미츠비시 엘리베이터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상하이 미츠비시 엘리베이터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18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66B13/165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로킹 장치를 개시하였으며, 이는 접촉 스위치, 커넥터, 회동 후크, 고정 후크를 포함하며, 접촉 스위치, 고정 후크는 장착판을 통해 상부 프레임 본체에 고정되고; 커넥터는 회동 후크에 고정되고, 회동 후크는 구동 도어 행거판에 고정되며; 상기 커넥터는 전도성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블록은 "U"자형으로, 전도성 블록이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값이 클 경우, 상기 "U"자형 전도성 블록의 2개의 분기 단에는 각각 2개의 절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2개의 절곡면의 바닥부는 나란하며; 커넥터가 회동 후크에 의해 제위치로 회동하게 되면, 커넥터의 전도성 블록의 일단이 절연 케이스의 관통홈에 진입될 수 있고, 이 때 전도성 블록이 접촉 스위치의 접촉점을 가압하여, 접촉점이 통하게 된다. 본 발명은 비동기식 베인 승강장 도어 장치의 승강장 도어 로킹부의 전기 안전 장치가 IP2X의 보호 등급에 만족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장치를 추가로 개시하였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승강장 로킹 장치 및 엘리베이터 승강장 장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부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엘리베이터 승강장 로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장 장치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엘리베이터 사고의 증가에 따라, 엘리베이터 안전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업계의 표준 법규는 2016년 이후 추가로 개선되었다. 새로운 국가 표준에 있어서, 5.10.1.2.2에는 "엘리베이터 통로, 머신 공간과 폴리 간에는 보호 케이스(커버)를 사용하여 전기 설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해야 하며, 사용되는 케이스(커버)의 보호 등급은 IP2X(GB 4208 참조) 이상이여야 된다"고 명확히 규정되어 있다. 더불어, 5.3.9.1.3에는 "승강장 도어의 로킹 상태를 보장하는 전기 안전 장치의 소자는 반드시 로킹 부재에 의해 강제적으로 작동되어야 하며, 중간에는 어떠한 기구가 있어서도 아니된다"라고 규정되어 있다. 승강장 도어 로킹부의 로킹은 국가 표준 규정에 부합된 전기 안전 장치에 의해 보장되며, 즉 승강장 도어 로킹부의 전기 안전 장치는 IP2X의 보호 등급에 만족해야 한다.
GB4208-2008의 케이스 보호 등급에 따르면, IP2X 보호 등급은 다음의 2가지의 내용을 만족해야 한다:
1. 손가락이 위험 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직경 12mm, 길이 80mm의 힌지 연결 프로브는 위험 부재와 충분한 간격을 구비해야 한다;
2. 고체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한다. 직경이 12.5mm의 볼형 물체 테스트기는 전체가 케이스 내로 진입해서는 아니된다.
힌지 연결 프로브의 크기는 "GB4208-2008 케이스 보호 등급"을 참조한다.
카 도어 승강장 도어의 연동 장치는 일반적으로 카측의 베인과 승강장 도어측의 볼로 구성되어,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 동작을 구현하게 된다. 이에, 도어 개폐기의 베인은 2종류로 구분될 수 있으며, 동기식 베인과 비동기식 베인이다. 동기식 베인은 먼저 베인이 승강장 도어 연동 볼을 클램핑하는 동작을 구현하고, 다음으로 카 도어와 승강장 도어가 함께 연동되고; 비동기식 베인은 베인과 카 도어가 동시에 이동하며, 카 도어와 승강장 도어가 연동되기 전에 카 도어가 일반적으로 먼저 일정한 운행거리를 이동하게 된다. 비동기식 베인은 도어가 일정한 위치까지 폐쇄될 경우, 승강장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기 전에, 승강장 도어와의 연동을 언클램핑하게 되며, 이 때 승강장 도어 로킹부가 카 도어 베인의 제어를 받지 못해 일정 거리로 평행 이동한 후, 회동 후크가 로킹 위치로 회동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현재로서, 동기식 베인을 핵심으로 하는 승강장 도어 장치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스핀식 위치 도달 스위치를 전기 안전 장치로 사용하며, 이의 스핀(1-1)은 승강장 도어 로킹부의 후크에 장착되고, 접촉점 본체(1-2)가 상부 프레임 고정부재에 고정된다. 승강장 도어 로킹부가 로킹될 경우, 스핀(1-1)이 접촉점 본체(1-2)에 삽입되어 스위치가 접속되며, 해당 스핀식 위치 도달 스위치는 자체 케이스가 보호 등급이 IP2X 이상인 국가 표준 요구를 만족한다.
업계에서 비동기식 베인을 핵심으로 하는 승강장 도어 장치에 사용되는 전기 안전 장치 및 그의 보호 커버는 도 2a,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그 구조는 대동소이하며, 정적 접촉점이 전기 안전 장치 케이스의 외측에 노출된다. 따라서, 보호 커버에 의해 IP2X의 보호를 받아야 하지만, 동적 접촉점과 정적 접촉점 사이의 상호 이동으로 인해 일정한 이동 공간이 필요하므로, 보호 커버를 설치하여도, 보호 등급이 IP2X 이상인 국가 표준 요구에 만족하기 어렵다.
또한, 전술한 동기식 베인 승강장 장치와 비동기식 승강장 장치의 상이한 운행 방식으로 인해, 동기식 승강장 도어 장치의 승강장 도어 로킹부는 회전 이동만 하게 되고, 비동기식 승강장 도어 장치의 승강장 도어 로킹부는 가끔 먼저 평행 이동하고 다음으로 회전 이동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들은 스핀식 위치 도달 스위치를 승강장 도어 로킹부의 전기 안전 장치로 하여, 비동기식 베인 승강장 도어 장치에 설치하는 것에 불리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호 등급이 IP2X인 것을 만족하고, 동기식 베인 승강장 장치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동기식 베인 승강장 장치에도 사용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로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로킹 장치의 기술적 해결 방안은 접촉 스위치(5), 커넥터(6), 회동 후크(3), 고정 후크(4)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로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접촉 스위치(5), 고정 후크(4)는 장착판(14)을 통해 상부 프레임 본체(1)에 고정되고; 커넥터(6)는 회동 후크(3)에 고정되고, 회동 후크(3)는 구동 도어 행거판(2)에 고정되며;
접촉 스위치(5)는 절연 케이스(7)를 포함하고, 절연 케이스(7) 내에는 적어도 2개의 관통홈이 형성되어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각각의 관통홈 내에는 각각 탄성 소자(8)가 설치되되, 탄성 소자(8)의 이동단에는 접촉점(9)이 설치되고, 고정단에는 절연 케이스(7)의 홈바닥이 고정 연결되며; 접촉점(9) 상단면의 전도성 면은 나란하고 상측을 향하며; 상기 접촉 스위치(5) 작업 시의 전기적 부재는 탄성 소자, 탄성 소자와 절연 케이스(7)의 연결 부재 및 접촉점(9)을 포함하고;
커넥터(6)는 절연 블록(12)을 포함하고, 절연 블록(12)의 일단 바닥부에는 전도성 블록(13)이 고정 설치되어, 전도성 블록(13)의 단면이 관통홈의 단면과 서로 일치하며; 상기 커넥터(6) 작업 시의 전기적 부재는 전도성 블록(13)이고;
상기 전도성 블록(13)은 "U"형으로, 전도성 블록(13)이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값이 크게 될 경우, 상기 "U"형 전도성 블록의 2개의 분기 단에는 각각 2개의 절곡면이 형성되되, 상기 2개의 절곡면의 바닥부는 나란하며;
커넥터(6)가 회동 후크(3)에 의해 제위치로 회동하게 되면, 커넥터(6)의 전도성 블록(13)의 일단이 절연 케이스(7)의 관통홈에 진입될 수 있고, 이 때 전도성 블록(13)이 접촉 스위치(5)의 접촉점(9)을 가압하여, 접촉점(9)이 통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도성 블록은 전도성 금속 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면의 가장자리 방향이 상기 관통홈의 홈 방향과 평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면의 가장자리 방향이 상기 관통홈의 홈 방향과 수직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도성 블록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값이 15mm보다 크게 될 경우, 상기 "U"형 전도성 블록의 2개의 분기단에는 각각 2개의 절곡면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연 케이스(7) 외부에 절연 슬리브(25)가 설치되고, 절연 슬리브(25)는 절연 케이스(7)의 2개의 날개와 중앙 이격판(7d)에 고정 설치되어, 커넥터(6)가 회전하면서 평행 이동 가능하는 개구홈을 형성하고; 해당 개구홈의 상단 폭은 12mm 이하로, 해당 개구홈이 접촉 스위치(5)의 전기적 부재와 이격되는 최단 거리가 h이며; 절연 슬리브(25)에는 제1 돌기 블록(25a)과 제2 돌기 블록(25b)이 형성되고, 홈체의 중부 구역(G)이 형성되며, 중부 구역(G)이 z 방향에서의 투영 거리는 11mm 이하이고; 제2 돌기 블록(25b)에 의해 개구홈의 하단 폭(b1, b2)이 b이고, 해당 개구홈이 접촉 스위치(5)의 전기적 부재와 이격되는 최단 거리가 h이며; 절연 케이스(7)의 하단에 회동 후크 회피 공간(25c)이 형성되어, 회동 후크(3)가 회전하면서 평행 이동하여 접촉 스위치(5)를 출입하도록 하며;
여기서, h는
Figure pct00001
보다 크며;
여기서, b는 관통홈의 폭으로 b≤12mm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연 블록(12)은 전도성 블록(13)의 상부면을 완전히 커버하고, 전도성 블록(13)의 측면과 하부면을 부분적으로 커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6)에 의해 접촉 스위치(5)가 통할 경우, 커넥터(6)의 전도성 블록(13)과 접촉 스위치(5)의 접촉점(9)의 전도성 면이 접촉하게 되어, 전도성 블록(13)이 절연 케이스(7)의 홈 내로 진입하게 되고, 커넥터(6)의 절연 블록(12)과 접촉 스위치(5)의 절연 케이스(7) 사이에 형성된 간격(c)이 4mm 이하로, 여기서 부재의 외부 윤곽에서 커넥터(6)의 전기적 부재에 도달하는 깊이(H1)는
Figure pct00002
보다 크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장 장치를 추가로 제공하며, 그의 기술적 해결 방안은:
상기 상부 프레임 본체(1)와 도어 가이드 레일(20)은 고정 연결되고, 구동 도어 행거판(2)과 종동 도어 행거판(15)은 도어 가이드 레일(20)에서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구동 도어 행거판(2)과 종동 도어 행거판(15)은 각각 제1 와이어 베이스(18), 제2 와이어 베이스(19)를 통해 와이어(17)와 연결되고, 와이어(17)는 2개의 와이어 휠(16)에 감겨져 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접촉 스위치(5), 고정 후크(4)는 장착판(14)을 통해 상부 프레임 본체(1)에 고정되고; 커넥터(6)는 회동 후크(4)에 고정되고, 회동 후크(3)는 구동 도어 행거판(2)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동기식 베인 승강장 도어 장치의 승강장 도어 로킹부의 전기 안전 장치가 IP2X의 보호 등급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부피가 작고,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며, 재료 단가가 절약되고, 가공이 간편하다.
이하에서 도면과 상세한 설명을 결합하여 본 발명에 대해 추가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동기식 베인 승강장 도어 로킹부의 전기 안전 장치에 있어서 스핀식 위치 도달 스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2b는 종래 기술의 비동기식 베인 승강장 도어 로킹부의 전기 안전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로킹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로킹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로킹 장치의 접촉 스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로킹 장치의 접촉 스위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로킹 장치의 접촉 스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전도성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전도성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전도성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전도성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로킹 장치의 제1,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로킹 장치는 접촉 스위치(5), 커넥터(6), 회동 후크(3), 고정 후크(4)를 포함하며, 접촉 스위치(5), 고정 후크(4)는 모두 장착판(14)에 장착되고, 장착판(14)은 상부 프레임 본체(1)에 고정되며; 커넥터(6)는 회동 후크(3)에 고정되고, 회동 후크(3)는 구동 도어 행거판(2)에 고정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케이스(7)는 수직으로 배치되고, 절연 케이스(7) 내에는 중앙 이격판(7d)이 설치되며, 중앙 이격판(7d)에 의해 절연 케이스(7)가 2개의 평행되고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관통홈(7b, 7c)으로 분리되며; 절연 케이스(7) 외부에는 절연 슬리브(25)가 설치되되, 절연 슬리브(25)는 절연 케이스(7)의 2개의 날개와 중앙 이격판(7d)에 고정 설치되어, 커넥터(6)가 회전하면서 평행 이동 가능 하게 하는 개구홈을 형성하고; 해당 개구 홈의 상단 폭은 어느 정도 제한되며(12mm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11.5mm로 설정하였으며, 해당 개구홈(도 15에 도시된 홈체 상단)이 전기적 부재와 이격되는 최단 거리는 19mm 이상이며;
절연 슬리브(25)에는 제1 돌기 블록(25a)과 제2 돌기 블록(25b)이 형성되고, 홈체의 중부 구역(G)이 형성되며, 중부 구역(G)이 z 방향에서의 투영 거리는 11mm로 설정되어, 직경이 12.5mm인 볼이 진입할 수 없고; 제1 돌기 블록(25a)과 제2 돌기 블록(25b)은 힌지 연결 프로브의 진입 방향을 제한할 수 있어, 직경이 12mm인 힌지 연결 프로브는 중부 구역(G)을 통해 전기적 부재와 접촉할 수 없고;
개구홈의 하단이 커넥터(6)를 통과하지 않아, 제2 돌기 블록(25b)을 설치함으로써, 2개의 개구홈의 하단 폭(b1, b2)이 더 작게 되되, 본 실시예에서는 7.5mm로 설정하며, 해당 개구홈이 전기적 부재와 이격되는 최단 거리가 7mm 이상이고;
절연 케이스(7)의 하단에는 회동 후크 회피 공간(25c)이 형성되어, 회동 후크(3)가 회전하면서 평행 이동하여 접촉 스위치(5)를 출입하도록 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스위치(5)의 바닥부가 고정 후크(4)와 이격되는 거리(x)를 12mm 이하로 설정한다. 직경이 12mm인 힌지 연결 프로브 및 직경이 12.5mm인 볼은 모두 전기적 부재와 접촉할 수 없게 된다.
도 9,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6)는 전도성 블록(13), 절연 블록(12)을 포함하되, 전도성 블록(13)은 "U"자형으로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절연 블록(12)은 전도성 블록(13)의 상부면을 완전히 커버하고, 전도성 블록(13)의 측면 및 하부면을 부분적으로 커버하며;
전도성 블록(13)은 절곡된 전도성 금속 재료로 구성된다. 전도성 블록(13)의 절곡된 가장자리는 관통홈과 홈 방향으로 평행되고, 전도성 블록이 부피가 작은 관계로, 절곡된 내부 챔버도 작게 되므로, 해당 형태의 전도성 블록은 상하 대응되는 주형으로 전도성 금속 재료를 프레스 성형해야 함과 더불어,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절곡변의 수직도를 보장하여 관통홈과 마찰 접촉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해당 구조의 전도성 블록은 재료를 절약하게 되어 단가가 감소하게 된다.
도 11, 12에는 본 발명의 제3, 제4 실시예의 전도성 블록이 도시되어 있다. 전도성 블록(13)은 절곡된 전도성 금속 재료로 구성된다. 전도성 블록의 절곡변은 관통홈의 홈 방향과 수직되며, 이 때 절곡된 내부 챔버는 비교적으로 커서 일반적인 절곡기를 통해 가공될 수 있으며, 더불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변이 관통홈의 홈 방향과 평행되지 않아,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변의 수직도에 대한 요구가 비교적으로 작다. 재료 사용량과 가공 난이도를 고려하면, 해당 실시 방식이 실시예 1, 2보다 더 유리하다.
절연 블록(12)은 상부 절연 블록(22)과 하부 절연 블록(23)으로 구성되며, 하부 절연 블록(23)은 전도성 블록(13)을 상부 절연 블록(22)에 고정시키고; 하부 절연 블록(23)은 스냅 조인트에 의해 상부 절연 블록(22)에 고정된다.
커넥터(6)의 전도성 블록(13)의 전도면과 접촉 스위치(5)의 접촉점의 전도면이 접촉할 경우, 전도성 블록(13)이 절연 케이스(7)의 홈 내로 진입하게 되어, 접촉 스위치(5)의 단부의 개구에 의해 커넥터(6)의 삽입 헤드가 출입하게 된다. 커넥터(6)의 절연 블록(12)과 접촉 스위치(5)의 절연 케이스(7)와 절연 슬리브(25) 사이에 형성된 간격에는 어느 정도 제한이 있으며, 4mm 이하로, 본 실시예에서는 2mm로 설정한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6)에 의해 접촉 스위치(5)의 접촉점(9)이 통할 경우, 접촉 스위치(5)의 판스프링(8), 접촉점(9), 가압판(10), 나사 조임부재(11) 등 전기적 부재들은 커넥터(6)의 전도체와 함께 절연 케이스(7), 절연 슬리브(25), 하부 절연 블록(23) 및 회동 후크(3)가 형성한 공간 내에 위치하게 된다. 직경이 12mm인 힌지 연결 프로브가 이러한 전기적 부재들과 접촉할 수 없고, 직경이 12.5mm인 볼은 절연 케이스(7)와 절연 블록(12) 외부에서 회동하게 되어, 상기 볼도 이러한 부재들과 접촉할 수 없게 된다.
승강장 도어가 폐쇄될 경우, 절연 케이스(7), 절연 슬리브(25), 회동 후크(3)와 절연 블록(12)에 의해 IP2X의 보호 등급에 도달하게 된다. 승강장 도어가 개방될 경우, 커넥터(6)는 도어 행거판을 따라 떠나게 되고, 커넥터(6)의 전도성 블록(13)은 더 이상 전하를 갖지 않게 되며, 절연 케이스(7), 절연 슬리브(25) 및 고정 후크(4)도 IP2X의 보호에 도달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장치는 상부 프레임 본체(1), 구동 도어 행거판(2), 종동 도어 행거판(15), 와이어 휠(16), 와이어(17), 제1 와이어 베이스(18), 제2 와이어 베이스(19), 도어 가이드 레일(20)을 포함하고;
도어 가이드 레일(20)은 상부 프레임 본체(1)와 고정 연결되고; 구동 도어 행거판(2)과 종동 도어 행거판(15)은 도어 가이드 레일(20)에서 수평 이동할 수 있으며; 구동 도어 행거판(2)과 종동 도어 행거판(15)은 각각 제1 와이어 베이스(18), 제2 와이어 베이스(19)를 통해 와이어(17)와 연결되고, 와이어(17)는 2개의 와이어 휠(16)에 감겨져 회로를 형성하며;
접촉 스위치(5), 고정 후크(4)는 장착판(14)을 통해 상부 프레임 본체(1)에 고정되고; 커넥터(6)는 회동 후크(3)에 고정되고, 회동 후크(3)는 구동 도어 행거판(2)에 고정된다.
승강장 도어가 폐쇄될 경우, 구동 도어 행거판(2)과 종동 도어 행거판(15)은 와이어(17)의 작용에 의해 동시에 가까워 지고, 회동 후크(3)와 고정 후크(4)가 서로 맞물려 승강장 도어 로킹부가 로킹되며, 이 때 커넥터(6)는 절연 케이스(7)의 관통홈(7b, 7c) 내로 진입하게 되고, 커넥터(6)의 전도체(13)가 접촉점(9)에 힘을 인가하게 되며, 이 때 탄성 소자인 판스프링(8)이 해당 힘의 작용에 의해 변형되어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게 되고, 접촉점(9)은 이에 의해 변위가 발생하여 접촉점이 통하게 되어, 전기 안전 장치가 승강장 도어 로킹부를 로킹하는 신호를 발송하게 되며, 이 때 직경이 12mm인 힌지 연결 프로브일 뿐만 아니라, 직경이 12.5mm인 볼도 전하를 갖는 접촉점(9) 내부와 접촉할 수 없게 되며;
승강장 도어가 점차적으로 개방될 경우, 구동 도어 행거판(2)과 종동 도어 행거판(15)은 와이어(17)의 작용에 의해 동시에 분리되고, 회동 후크(3)는 평행 이동하여 회전한 후 고정 후크(4)를 벗어나 개방하게 되어, 승강장 도어 로킹부가 개방된다. 이와 함께, 커넥터(6)와 접촉점(9)은 상대적으로 평행 이동한 후 분리되고, 커넥터(6)의 전도체(13)가 접촉점(9)에서의 힘이 상실되고, 판스프링(8)이 탄성 에너지를 방출하여 초기 상태로 복원되며, 이로써 접촉점(9)도 초기 상태로 복원되며, 해당 과정에서, 직경이 12mm인 힌지 연결 프로브일 뿐만 아니라, 직경이 12.5mm인 볼도 접촉점(9) 내부와 접촉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동기식 베인 승강장 도어 장치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비동기식 베인 승강장 도어 장치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발명을 위한 구체적인 실시 방식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는 여러 가지의 변형과 개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해당될 것이다.
1: 상부 프레임 본체
2: 구동 도어 행거판
3: 회동 후크
4: 고정 후크
5: 접촉 스위치
6: 커넥터
7: 절연 케이스
7b, 7c: 관통홈
7d: 중앙 이격판
8: 판스프링
9: 접촉점
10: 가압판
11: 나사 조임부재
12: 절연 블록
13: 전도성 블록
14: 장착판
15: 종동 도어 행거판
17: 와이어
18: 제1 와이어 베이스
19: 제2 와이어 베이스
20: 도어 가이드 레일
21: 절연 커버 케이스
22: 상부 절연 블록
23: 하부 절연 블록
24: 리벳
25: 절연 슬리브
25a: 제1 돌기 블록
25b: 제2 돌기 블록
25c: 접촉 스위치의 회동 후크 회피 공간

Claims (9)

  1. 접촉 스위치(5), 커넥터(6), 회동 후크(3), 및 고정 후크(4)를 포함하고,
    접촉 스위치(5), 고정 후크(4)는 장착판(14)을 통해 상부 프레임 본체(1)에 고정되고; 커넥터(6)는 회동 후크(3)에 고정되고, 회동 후크(3)는 구동 도어 행거판(2)에 고정되며;
    접촉 스위치(5)는 절연 케이스(7)를 포함하고, 절연 케이스(7) 내에는 적어도 2개의 관통홈이 형성되어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각각의 관통홈 내에는 각각 탄성 소자(8)가 설치되되, 탄성 소자(8)의 이동단에는 접촉점(9)이 설치되고, 고정단에는 절연 케이스(7)의 홈바닥이 고정 연결되며; 접촉점(9) 상단면의 전도성 면은 나란하고 상측을 향하며; 상기 접촉 스위치(5) 작업 시의 전기적 부재는 탄성 소자, 탄성 소자와 절연 케이스(7)의 연결 부재 및 접촉점(9)을 포함하고;
    커넥터(6)는 절연 블록(12)을 포함하고, 절연 블록(12)의 일단 바닥부에는 전도성 블록(13)이 고정 설치되어, 전도성 블록(13)의 단면이 관통홈의 단면과 서로 일치하며; 상기 커넥터(6) 작업 시의 전기적 부재는 전도성 블록(13)이고;
    상기 전도성 블록(13)은 "U"자형으로, 전도성 블록(13)이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값이 클 경우, 상기 "U"자형 전도성 블록의 2개의 분기 단에는 각각 2개의 절곡면이 형성되되, 상기 2개의 절곡면의 바닥부는 나란하며;
    커넥터(6)가 회동 후크(3)에 의해 제위치로 회동하게 되면, 커넥터(6)의 전도성 블록(13)의 일단이 절연 케이스(7)의 관통홈에 진입될 수 있고, 이 때 전도성 블록(13)이 접촉 스위치(5)의 접촉점(9)을 가압하여, 접촉점(9)이 통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로킹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블록은 전도성 금속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로킹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면의 가장자리 방향이 상기 관통홈의 홈 방향과 평행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로킹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면의 가장자리 방향이 상기 관통홈의 홈 방향과 수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로킹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블록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값이 15mm보다 크게 될 경우, 상기 "U"자형 전도성 블록의 2개의 분기단에는 각각 2개의 절곡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로킹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케이스(7) 외부에 절연 슬리브(25)가 설치되고, 절연 슬리브(25)는 절연 케이스(7)의 2개의 날개와 중앙 이격판(7d)에 고정 설치되어, 커넥터(6)가 회전하면서 평행 이동 가능하는 개구홈을 형성하고; 해당 개구홈의 상단 폭은 12mm 이하로, 해당 개구홈이 접촉 스위치(5)의 전기적 부재와 이격되는 최단 거리가 h이며;
    절연 슬리브(25)에는 제1 돌기 블록(25a)과 제2 돌기 블록(25b)이 형성되고, 홈체의 중부 구역(G)이 형성되며, 중부 구역(G)이 z 방향에서의 투영 거리는 11mm 이하이고; 제2 돌기 블록(25b)에 의해 개구홈의 하단 폭(b1, b2)이 b이고, 해당 개구홈이 접촉 스위치(5)의 전기적 부재와 이격되는 최단 거리가 h이며; 절연 케이스(7)의 하단에 회동 후크 회피 공간(25c)이 형성되어, 회동 후크(3)가 회전하면서 평행 이동하여 접촉 스위치(5)를 출입하도록 하며;
    여기서, h는
    Figure pct00003
    보다 크고;
    여기서, b는 관통홈의 폭으로 b≤1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로킹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블록(12)은 전도성 블록(13)의 상부면을 완전히 커버하고, 전도성 블록(13)의 측면과 하부면을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로킹 장치.
  8.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6)에 의해 접촉 스위치(5)가 통할 경우, 커넥터(6)의 전도성 블록(13)이 접촉 스위치(5)의 접촉점(9)의 전도성 면과 접촉하게 되어, 전도성 블록(13)이 절연 케이스(7)의 홈 내로 진입하게 되고, 커넥터(6)의 절연 블록(12)과 접촉 스위치(5)의 절연 케이스(7) 사이에 형성된 간격(c)이 4mm 이하로, 여기서 부재의 외부 윤곽에서 커넥터(6)의 전기적 부재에 도달하는 깊이(H1)는
    Figure pct00004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로킹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로킹 장치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 본체(1)와 도어 가이드 레일(20)은 고정 연결되고, 구동 도어 행거판(2)과 종동 도어 행거판(15)은 도어 가이드 레일(20)에서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구동 도어 행거판(2)과 종동 도어 행거판(15)은 각각 제1 와이어 베이스(18), 제2 와이어 베이스(19)를 통해 와이어(17)와 연결되고, 와이어(17)는 2개의 와이어 휠(16)에 감겨져 회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장치.
KR1020207000100A 2017-10-10 2018-08-03 엘리베이터 승강장 로킹 장치 및 엘리베이터 승강장 장치 KR1022492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934869.7A CN109650232B (zh) 2017-10-10 2017-10-10 电梯层门门锁装置及电梯层门装置
CN201710934869.7 2017-10-10
PCT/CN2018/098473 WO2019072003A1 (zh) 2017-10-10 2018-08-03 电梯层门门锁装置及电梯层门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564A true KR20200018564A (ko) 2020-02-19
KR102249239B1 KR102249239B1 (ko) 2021-05-10

Family

ID=66101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100A KR102249239B1 (ko) 2017-10-10 2018-08-03 엘리베이터 승강장 로킹 장치 및 엘리베이터 승강장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650393A4 (ko)
JP (1) JP6902670B2 (ko)
KR (1) KR102249239B1 (ko)
CN (1) CN109650232B (ko)
WO (1) WO20190720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61940A (zh) * 2020-08-31 2020-12-11 六盘水市特种设备检验所 一种互换性强且安全度高的电梯门锁机构
CN113602943B (zh) * 2021-08-06 2022-12-09 浙江昊崛电梯配件有限公司 高灵敏度的层门开关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736U (ko) * 2010-07-21 2012-02-02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인터록 장치
KR20140143407A (ko) * 2012-03-28 2014-12-16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고 전류 어플리케이션용 안전 시스템
KR20160112636A (ko) * 2015-03-20 2016-09-28 (주)모든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인터록 2중 록킹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3710U (ko) * 1978-09-13 1980-03-21
JPH0859154A (ja) * 1994-08-18 1996-03-05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の乗場錠スイッチ
JP2003261282A (ja) * 2002-03-11 2003-09-16 Fujitec Co Ltd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スイッチ短絡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保守点検方法
JP5182691B2 (ja) * 2008-03-12 2013-04-1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ドアスイッチ支持構造
CN101786569B (zh) * 2010-02-24 2012-08-08 宁波市北仑欣凌电梯配件厂 电梯门锁触点开关
CN202829244U (zh) * 2012-08-21 2013-03-27 江苏立达电梯有限公司 一种杂物电梯门锁机构
JP6057197B2 (ja) * 2012-10-08 2017-01-11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閉止確認装置
CN103818809B (zh) * 2014-02-21 2016-08-17 慈溪市宏峰电梯配件有限公司 一种电梯门锁装置
EP3048075B1 (en) * 2015-01-22 2018-03-07 Kone Corporation Car door lock
CN204529048U (zh) * 2015-03-30 2015-08-05 上海贝思特门机有限公司 一种电梯门锁组合装置
CN204588410U (zh) * 2015-04-29 2015-08-26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电梯轿门锁防跳动装置
CN205274978U (zh) * 2015-12-11 2016-06-01 杭州西子孚信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层门门锁
JP6489571B2 (ja) * 2016-04-15 2019-03-27 三菱電機株式会社 乗場ドアの施錠装置および接点用保護カバー
CN107792761B (zh) * 2016-09-02 2019-10-18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层门门锁装置及电梯层门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736U (ko) * 2010-07-21 2012-02-02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인터록 장치
KR20140143407A (ko) * 2012-03-28 2014-12-16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고 전류 어플리케이션용 안전 시스템
KR20160112636A (ko) * 2015-03-20 2016-09-28 (주)모든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인터록 2중 록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72003A1 (zh) 2019-04-18
EP3650393A1 (en) 2020-05-13
CN109650232B (zh) 2020-06-02
CN109650232A (zh) 2019-04-19
KR102249239B1 (ko) 2021-05-10
EP3650393A4 (en) 2021-04-14
JP2020528036A (ja) 2020-09-17
JP6902670B2 (ja) 202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2912B2 (en) Connecting element for a contact line, contact line,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ntact line
KR20200018564A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로킹 장치 및 엘리베이터 승강장 장치
US11038289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08883908B (zh) 层站门的锁定装置及触点用保护罩
KR101760794B1 (ko) 안전 콘센트
CN205248691U (zh) 一种抽出式断路器
CN104952640B (zh) 控制中压电气保护设备的移动触点弹起的装置及其设备
EP3586407B1 (en) Electrical power outlet with extractor and platform for type c, e or f plug
US8777678B2 (en) Quick lock conductor receiver
CN102299013A (zh) 与电气开关设备一起使用的盖组件
US3832676A (en) Fused connector
CN106507630A (zh) 配线保持结构
EP1711982B1 (de) Liftklemme
KR100502643B1 (ko)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건축물 내장형 전기기구
CN107792761B (zh) 电梯层门门锁装置及电梯层门装置
CN210156272U (zh) 一种电梯门锁开关用的端子排装置
KR102550438B1 (ko) 커넥터용 리어 홀더
CN203397988U (zh) 锁式启动开关
CN217956663U (zh) 一种电缆终端头
KR102657453B1 (ko) 커넥터
CN218180888U (zh) 一种便于维护的电力检测装置
US1731775A (en) Hanger
KR20070039423A (ko)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건축물 내장형 전기기구
US1106294A (en) Elevator-door safety device.
ITMI970901U1 (it) Dispositivo anti innesto per connettori elettrici multipolar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