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6361A -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의 산출 장치 및 산출 방법 - Google Patents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의 산출 장치 및 산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6361A
KR20200016361A KR1020207000551A KR20207000551A KR20200016361A KR 20200016361 A KR20200016361 A KR 20200016361A KR 1020207000551 A KR1020207000551 A KR 1020207000551A KR 20207000551 A KR20207000551 A KR 20207000551A KR 20200016361 A KR20200016361 A KR 20200016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drum
radius
eastern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0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0983B1 (ko
Inventor
유이치로 미즈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200016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2Tyres
    • G01M17/022Tyres the tyre co-operating with rotatable ro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2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002Inspecting tyres
    • B60C25/007Inspecting tyres outside surf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 G01M1/14Determining imbalance
    • G01M1/16Determining imbalance by oscillating or rotating the body to be tes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 G01M1/14Determining imbalance
    • G01M1/16Determining imbalance by oscillating or rotating the body to be tested
    • G01M1/22Determining imbalance by oscillating or rotating the body to be tested and converting vibrations due to imbalance into electric variables
    • G01M1/225Determining imbalance by oscillating or rotating the body to be tested and converting vibrations due to imbalance into electric variables for vehicle whe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2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e.g. determining profi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Testing Of Balance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의 산출 장치(1)는, 타이어 회전 센서(2s)와, 드럼 회전 센서(3s)와, 드럼 회전 각도 도출부(c1)와, 타이어 동부하 반경 산출부(c2)를 구비한다. 드럼 회전 각도 도출부(c1)는, 상기 센서(2s, 3s)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타이어의 1회전당 드럼(3)의 회전 각도를 도출한다. 타이어 동부하 반경 산출부(c2)는, 드럼 회전 각도 도출부(c1)에 의해 도출된 회전 각도를 사용하여, 식(R=L/2π)에 의해 타이어(2)의 동부하 반경을 산출한다. 상기 식에 있어서, R은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이며, L은 타이어의 1회전당 타이어의 주행 거리이다.

Description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의 산출 장치 및 산출 방법
본 발명은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의 산출 장치 및 산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트럭, 승용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타이어의 성능에 관한 중요한 평가 항목의 하나로서,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이 있다.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이란, 타이어에 하중이 가해졌을 때의 타이어 반경을 말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회전 상태의 드럼에 타이어를 압박함으로써, 타이어에 하중을 가하면서 타이어를 회전시켜, 포텐시오미터에 의해 타이어의 변위량을 계측하여, 당해 타이어의 변위량으로부터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을 산출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은, 원래 하기 식 (1)에 의해 산출되어야 하는 것이며, 특허문헌 1과 같이 타이어의 변위량으로부터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을 산출하는 경우, 산출된 값의 정밀도가 낮아질 수 있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R은,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이며, L은, 타이어 1회전당 타이어의 주행 거리다.)
일본 특허 공개 (평) 5-34233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을 고정밀도로 산출할 수 있는,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의 산출 장치 및 산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의 산출 장치는, 드럼 축과, 타이어가 주행하는 노면을 모의한 외주면을 갖고, 상기 드럼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드럼과, 상기 타이어를 지지하기 위한 타이어 축과, 상기 타이어 축과 상기 드럼 축이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타이어의 트레드와 상기 외주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타이어 및 상기 드럼의 적어도 한쪽을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와, 상기 타이어의 회전을 검지하기 위한 타이어 회전 센서와, 상기 드럼의 회전을 검지하기 위한 드럼 회전 센서와, 상기 타이어 회전 센서 및 상기 드럼 회전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타이어의 1회전당 상기 드럼의 회전 각도를 도출하는 드럼 회전 각도 도출부와, 상기 드럼 회전 각도 도출부에 의해 도출된 상기 드럼의 회전 각도를 사용하여, 하기 식 (1)에 의해 상기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을 산출하는 타이어 동부하 반경 산출부를 구비한다.
Figure pct00002
(여기서, R은 상기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이며, L은 상기 타이어의 1회전당 상기 타이어의 주행 거리다.)
본 발명에 관한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의 산출 방법은, 드럼 축과, 타이어가 주행하는 노면을 모의한 외주면을 갖고, 상기 드럼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드럼과, 상기 타이어를 지지하기 위한 타이어 축과, 상기 타이어 축과 상기 드럼 축이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타이어의 트레드와 상기 외주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타이어 및 상기 드럼의 적어도 한쪽을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와, 상기 타이어의 회전을 검지하기 위한 타이어 회전 센서와, 상기 드럼의 회전을 검지하기 위한 드럼 회전 센서를 구비한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의 산출 장치를 사용하여,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을 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회전 센서 및 상기 드럼 회전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타이어의 1회전당 상기 드럼의 회전 각도를 도출하는 드럼 회전 각도 도출 공정과, 상기 드럼 회전 각도 도출 공정에서 도출된 상기 드럼의 회전 각도를 사용하여, 하기 식 (1)에 의해 상기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을 산출하는 타이어 동부하 반경 산출 공정을 구비한다.
Figure pct00003
(여기서, R은 상기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이며, L은 상기 타이어의 1회전당 상기 타이어의 주행 거리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의 산출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의 산출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의 산출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의 산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의 산출 장치(1)(이하, 단순히 「산출 장치」라고 함)는, 타이어의 둘레 방향의 균일성을 검사하기 위한 타이어 유니포미티 시험(JIS D4233)을 행하는 타이어 유니포미티 시험기(TUM: Tire Uniformity Machine)에 적용되고,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대(1b)와, 기대(1b)에 장착된 타이어 축(2x)과, 기대(1b)에 지지된 프레임(3f)과, 프레임(3f)에 지지된 드럼 축(3x)과, 드럼 축(3x)에 지지된 드럼(3)을 갖는다.
산출 장치(1)는,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산출 장치(1)를 구성하는 구성 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c)와, 타이어 회전 모터(2m)와, 드럼 이동 모터(3m)와, 로터리 인코더(2s)와, 로터리 인코더(3s)와, 타이어 부하 센서(5s)를 갖는다.
타이어 축(2x)은, 연직 방향을 따른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기대(1b)에 지지되어 있다. 타이어 축(2x) 및 타이어 축(2x)에 지지된 타이어(2)는, 컨트롤러(1c)에 의한 제어 하에, 타이어 회전 모터(2m)가 구동됨으로써, 기대(1b)에 대해 연직 방향을 따른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즉, 타이어 회전 모터(2m)는, 타이어 축(2x)에 회전력을 부여함으로써, 타이어(2)를 회전시킨다.
드럼(3)은, 타이어(2)가 주행하는 노면을 모의한 외주면(3a)을 갖는다. 드럼(3)의 중심에는, 연직 방향을 따른 드럼 축(3x)이 삽입 관통되어 있다. 드럼 축(3x)은 프레임(3f)에 회전 불능으로 지지되어 있고, 드럼(3)은 드럼 축(3x)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드럼(3)은 회전하지만, 드럼 축(3x)은 회전하지 않는다.
지지 부재로서의 프레임(3f)은, 드럼 축(3x)이 당해 드럼 축(3x)의 축 중심선 둘레로 프레임(3f)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면서 드럼 축(3x)을 지지하고 있다. 프레임(3f)은, 도 1 및 도 2의 화살표 방향인 근접 방향과 이격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기대(1b)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근접 방향은, 프레임(3f)이 타이어(2)에 근접하는 방향이며, 도 1 및 도 2에 있어서는 좌측 방향이다. 상기 이격 방향은, 프레임(3f)이 타이어(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이며, 도 1 및 도 2에 있어서는 우측 방향이다. 프레임(3f) 및 프레임(3f)에 지지된 드럼(3)은, 컨트롤러(1c)에 의한 제어 하에, 드럼 이동 모터(3m)가 구동됨으로써, 기대(1b)에 대해 도 1 및 도 2의 상기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로터리 인코더(2s)는, 타이어(2)의 회전수를 검지하고, 당해 회전수를 나타내는 신호를 컨트롤러(1c)에 송신하여 컨트롤러(1c)에 입력한다. 로터리 인코더(2s)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이어 축(2x)에 장착되어 있다.
로터리 인코더(3s)는, 드럼(3)의 회전수를 검지하고, 당해 회전수를 나타내는 신호를 컨트롤러(1c)에 송신하여 컨트롤러(1c)에 입력한다. 로터리 인코더(3s)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형이며, 드럼(3)의 상면에 드럼 축(3x)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장착되어 있다. 로터리 인코더(3s)는, 예를 들어 자기식 로터리 인코더, 광학식 로터리 인코더(광을 사용하여 위치를 측정하는 인코더. 예를 들어, 광학식 스케일을 새겨 넣은 링형이나 원 형상의 부재를 사용한 것) 등이어도 된다.
타이어 부하 센서(5s)는, 타이어(2)의 트레드(2a)와 드럼(3)의 외주면(3a)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 있어서 타이어(2)에 가해지는 하중을 검지하고, 당해 하중을 나타내는 신호를 컨트롤러(1c)에 송신하여 컨트롤러(1c)에 입력한다. 타이어 부하 센서(5s)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럼 축(3x)에 장착되어 있고, 드럼 축(3x)에 생기는 하중을 검지한다. 타이어 부하 센서(5s)는, 예를 들어 드럼 축(3x)의 상단과 프레임(3f)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컨트롤러(1c)는,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로 구성되고, 연산 처리 장치인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을 포함한다. ROM은, CPU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등의 고정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RAM은, CPU가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1c)는, 드럼 회전 각도 도출부(c1)와, 타이어 동부하 반경 산출부(c2)와, 이동 제어부(c3)와, 기억부(c4)와, 하중 변경 필요 여부 판정부(c5)를 기능으로서 구비한다.
드럼 회전 각도 도출부(c1)는, 로터리 인코더(2s)(타이어 회전 센서의 일례) 및 로터리 인코더(3s)(드럼 회전 센서의 일례)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타이어(2)의 1회전당 드럼(3)의 회전 각도를 도출한다. 타이어 동부하 반경 산출부(c2)는, 드럼 회전 각도 도출부(c1)에 의해 도출된 드럼(3)의 회전 각도를 사용하여, 식(R=L/2π)에 의해 타이어(2)의 동부하 반경을 산출한다. 이동 제어부(c3)는, 타이어 부하 센서(5s)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드럼 이동 모터(3m)(이동 기구의 일례)를 제어하여 타이어(2)에 가해지는 상기 하중을 조절한다. 기억부(c4)는, 타이어(2)에 가해지는 상기 하중에 관하여 미리 설정된 복수의 값을 기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값은, 제1 값과, 제2 값을 포함한다. 하중 변경 필요 여부 판정부(c5)는, 타이어(2)에 가해지는 하중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한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의 산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타이어(2)가 타이어 축(2x)에 장착된다(스텝 S1).
스텝 S1의 후, 드럼(3)이 소정 위치에 배치된다(스텝 S2).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1c)의 이동 제어부(c3)가, 타이어 부하 센서(5s)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타이어(2)에 소정의 하중(상기 제1 값)이 가해지도록, 드럼 이동 모터(3m)를 제어하여, 드럼(3)을 소정 위치에 배치한다. 이 때문에, 트레드(2a)와 외주면(3a)이 서로 접촉하여, 타이어(2)에 소정의 하중이 가해진 상태로 된다.
스텝 S2의 후, 컨트롤러(1c)가, 타이어 회전 모터(2m)를 제어하여, 타이어(2)를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시킨다(스텝 S3).
스텝 S3의 후, 컨트롤러(1c)의 드럼 회전 각도 도출부(c1)가, 로터리 인코더(2s, 3s)로부터의 신호(타이어(2)의 회전수 및 드럼(3)의 회전수)에 기초하여, 타이어(2)의 1회전당 드럼(3)의 회전 각도 α를 도출한다(스텝 S4: 드럼 회전 각도 도출 공정).
스텝 S4의 후, 컨트롤러(1c)의 타이어 동부하 반경 산출부(c2)가, 스텝 S4에서 도출된 드럼(3)의 회전 각도 α를 사용하여, 하기 식 (1)에 의해 타이어(2)의 동부하 반경 R을 산출한다(스텝 S5: 타이어 동부하 반경 산출 공정).
Figure pct00004
(여기서, R은, 타이어(2)의 동부하 반경이며, L은, 타이어(2)의 1회전당 타이어(2)의 주행 거리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1c)의 타이어 동부하 반경 산출부(c2)는, 상기 식 (1) 중, L에 하기 식 (2)를 적용시켜 계산을 행한다.
Figure pct00005
(여기서, L은, 타이어(2)의 1회전당 타이어(2)의 주행 거리이며, D는, 드럼(3)의 직경이며, α는, 타이어(2)의 1회전당 드럼(3)의 회전 각도(°)다.)
스텝 S5의 후, 컨트롤러(1c)의 하중 변경 필요 여부 판정부(c5)는, 타이어(2)에 가해지는 하중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6). 예를 들어, 타이어(2)에 가해지는 하중으로서 복수의 값이 설정되어 있고, 각 값에 있어서의 타이어(2)의 동부하 반경 R을 산출하도록 시험 조건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컨트롤러(1c)의 하중 변경 필요 여부 판정부(c5)는,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이 시험 조건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타이어(2)에 가해지는 하중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하고(스텝 S6: "예"), 컨트롤러(1c)는, 처리를 스텝 S2로 되돌리고, 컨트롤러(1c)의 이동 제어부(c3)는, 타이어 부하 센서(5s)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타이어(2)에 소정의 하중(제2 값)이 가해지도록, 드럼 이동 모터(3m)를 제어하여, 드럼(3)을 소정 위치에 배치한다. 그 후, 컨트롤러(1c)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스텝 S3 내지 S5를 실행한다.
한편, 컨트롤러(1c)의 하중 변경 필요 여부 판정부(c5)가 타이어(2)에 가해지는 하중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6: "아니오"), 컨트롤러(1c)는, 당해 루틴을 종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타이어(2)의 1회전당 드럼(3)의 회전 각도 α를 사용하여, 원래 사용해야 할 식 (1)에 의해 타이어(2)의 동부하 반경 R을 산출한다(도 4의 스텝 S4, S5 참조). 이 때문에, 타이어(2)의 동부하 반경 R을 고정밀도로 산출할 수 있다.
타이어 축(2x)과 드럼 축(3x)이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고, 또한 트레드(2a)와 외주면(3a)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타이어 회전 모터(2m)가, 타이어(2)를 회전시킨다. 이 경우, 실제로 차량이 주행할 때와 마찬가지의 구동력을 타이어(2)에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타이어(2)의 동부하 반경 R을 보다 고정밀도로 산출할 수 있다.
드럼 축(3x)은 회전 불능으로 지지되어 있고, 드럼(3)은 드럼 축(3x)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타이어 부하 센서(5s)가, 드럼 축(3x)에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 JIS D4233:2001의 규정(「회전력은, 타이어 축 또는 드럼 축, 어느측에서 부여해도 되지만, 힘의 검출 장치가 있는 부분을 통하여 부여하면 안된다.」)에 준한 구성으로 되고, 타이어 축(2x) 등의 회전하는 부재에 타이어 부하 센서(5s)가 장착된 경우에 비하여, 타이어(2)에 가해지는 하중을 고정밀도로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타이어(2)에 가해지는 하중에 관한 복수의 값 각각에 있어서의 타이어(2)의 동부하 반경 R을 산출한다(도 4의 스텝 S6에서 "예"인 경우, 스텝 S2 내지 S5가 다시 실행됨). 이 때문에, 타이어(2)에 가해지는 하중에 관한 복수의 값별로 타이어(2)의 동부하 반경 R을 얻음으로써, 타이어(2)의 성능 평가를 보다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을 고정밀도로 산출할 수 있는,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의 산출 장치 및 산출 방법이 제공된다.
제공되는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의 산출 장치는, 드럼 축과, 타이어가 주행하는 노면을 모의한 외주면을 갖고, 상기 드럼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드럼과, 상기 타이어를 지지하기 위한 타이어 축과, 상기 타이어 축과 상기 드럼 축이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타이어의 트레드와 상기 외주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타이어 및 상기 드럼의 적어도 한쪽을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와, 상기 타이어의 회전을 검지하기 위한 타이어 회전 센서와, 상기 드럼의 회전을 검지하기 위한 드럼 회전 센서와, 상기 타이어 회전 센서 및 상기 드럼 회전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타이어의 1회전당 상기 드럼의 회전 각도를 도출하는 드럼 회전 각도 도출부와, 상기 드럼 회전 각도 도출부에 의해 도출된 상기 드럼의 회전 각도를 사용하여, 하기 식 (1)에 의해 상기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을 산출하는 타이어 동부하 반경 산출부를 구비한다.
Figure pct00006
(여기서, R은 상기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이며, L은 상기 타이어의 1회전당 상기 타이어의 주행 거리다.)
또한, 제공되는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의 산출 방법은, 드럼 축과, 타이어가 주행하는 노면을 모의한 외주면을 갖고, 상기 드럼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드럼과, 상기 타이어를 지지하기 위한 타이어 축과, 상기 타이어 축과 상기 드럼 축이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타이어의 트레드와 상기 외주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타이어 및 상기 드럼의 적어도 한쪽을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와, 상기 타이어의 회전을 검지하기 위한 타이어 회전 센서와, 상기 드럼의 회전을 검지하기 위한 드럼 회전 센서를 구비한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의 산출 장치를 사용하여,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을 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회전 센서 및 상기 드럼 회전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타이어의 1회전당 상기 드럼의 회전 각도를 도출하는 드럼 회전 각도 도출 공정과, 상기 드럼 회전 각도 도출 공정에서 도출된 상기 드럼의 회전 각도를 사용하여, 하기 식 (1)에 의해 상기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을 산출하는 타이어 동부하 반경 산출 공정을 구비한다.
Figure pct00007
(여기서, R은 상기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이며, L은 상기 타이어의 1회전당 상기 타이어의 주행 거리다.)
상기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의 산출 장치 및 산출 방법에 따르면, 타이어의 1회전당 드럼의 회전 각도를 사용하여, 원래 사용해야 할 식 (1)에 의해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을 산출함으로써,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을 고정밀도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기구는, 상기 타이어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실제로 차량이 주행할 때와 마찬가지의 구동력을 타이어에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을 보다 고정밀도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드럼은 상기 드럼 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상기 산출 장치는, 상기 드럼 축의 회전을 저지하면서 상기 드럼 축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드럼 축에 장착됨과 함께 상기 타이어에 가해지는 하중을 검지하기 위한 타이어 부하 센서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JIS D4233:2001의 규정(「회전력은, 타이어 축 또는 드럼 축, 어느측에서 부여해도 되지만, 힘의 검출 장치가 있는 부분을 통하여 부여하면 안된다.」)에 준한 구성으로 되고, 타이어 축 등이 회전하는 부재에 타이어 부하 센서가 장착된 경우에 비하여, 타이어에 가해지는 하중을 고정밀도로 검지할 수 있다.
상기 산출 장치는, 상기 타이어 및 상기 드럼이 상기 타이어 축 및 상기 드럼 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타이어 및 상기 드럼의 적어도 한쪽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기구와, 상기 타이어 부하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기구를 제어하여 상기 하중을 조절하는 이동 제어부와, 상기 하중에 관하여 미리 설정된 복수의 값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이동 제어부는, 상기 하중이 상기 복수의 값 중, 제1 값이 되도록 상기 이동 기구를 제어하고, 상기 타이어 동부하 반경 산출부가 상기 제1 값에 있어서의 상기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을 산출한 후, 상기 이동 제어부는, 상기 하중이 상기 복수의 값 중, 상기 제1 값과는 다른 제2 값이 되도록 상기 이동 기구를 제어하고, 상기 타이어 동부하 반경 산출부는, 상기 제2 값에 있어서의 상기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을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타이어에 가해지는 하중의 복수의 값별 타이어 동부하 반경을 얻음으로써, 타이어의 성능 평가를 보다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드럼 회전 센서는, 자기식 로터리 인코더여도 된다.
상기 드럼 회전 센서는, 광학식 로터리 인코더여도 된다.
상기 산출 장치는, 상기 타이어의 둘레 방향의 균일성을 검사하기 위한 타이어 유니포미티 시험을 행하는 타이어 유니포미티 시험기에 적용되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한 한에 있어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타이어 유니포미티 시험기에 적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타이어 시험 장치(밸런서 등)에 적용되어도 된다. 본 발명을, 드럼을 갖지 않는 장치(밸런서 등)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장치에 드럼을 별도 마련함으로써,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회전 기구는, 타이어를 회전시키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드럼을 회전시켜도 된다.
이동 기구는, 드럼을 이동시키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타이어를 이동시켜도 된다(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타이어를 회전시켜, 드럼을 타이어 축 및 드럼 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지만, 타이어를 타이어 축 및 드럼 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드럼을 회전시켜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드럼 축이 회전 불능으로 지지되어 있고, 드럼이 드럼 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지만(즉, 드럼은 회전하지만, 드럼 축은 회전하지 않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드럼이 드럼 축과 함께 회전해도 된다.
타이어 부하 센서는, 드럼 축에 장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타이어 축에 장착되어도 된다.
드럼 회전 센서는, 자기식 로터리 인코더, 광학식 로터리 인코더 등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센서이면 된다. 예를 들어, 드럼 회전 센서는, 드럼 축에 장착된 평 기어와, 당해 평 기어에 맞물린 다른 평 기어와, 당해 다른 평 기어의 축에 장착된 인코더를 포함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구성의 경우, 먼지 등의 이물이 드럼 회전 센서에 부착되어도 검지 정밀도에 영향을 미치기 어렵다는 이점이 있다.
타이어 동부하 반경 산출부는, 타이어에 가해지는 하중의 복수의 값 각각에 있어서의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을 산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타이어에 가해지는 하중의 하나의 값에 있어서의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을 산출해도 된다.
상기 식 (2)는, 드럼의 회전 각도 α의 단위가 °인 경우이며, 드럼의 회전 각도 α의 단위(°외에, 라디안, 분, 초 등)에 따라 식 (2)를 적절하게 변경해도 된다.

Claims (8)

  1. 드럼 축과,
    타이어가 주행하는 노면을 모의한 외주면을 갖고, 상기 드럼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드럼과,
    상기 타이어를 지지하기 위한 타이어 축과,
    상기 타이어 축과 상기 드럼 축이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타이어의 트레드와 상기 외주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타이어 및 상기 드럼의 적어도 한쪽을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와,
    상기 타이어의 회전을 검지하기 위한 타이어 회전 센서와,
    상기 드럼의 회전을 검지하기 위한 드럼 회전 센서와,
    상기 타이어 회전 센서 및 상기 드럼 회전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타이어의 1회전당 상기 드럼의 회전 각도를 도출하는 드럼 회전 각도 도출부와,
    상기 드럼 회전 각도 도출부에 의해 도출된 상기 드럼의 회전 각도를 사용하여, 하기 식 (1)에 의해 상기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을 산출하는 타이어 동부하 반경 산출부을 구비하는,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의 산출 장치.
    Figure pct00008

    (여기서, R은 상기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이며, L은 상기 타이어의 1회전당 상기 타이어의 주행 거리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기구는, 상기 타이어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의 산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드럼 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상기 산출 장치는,
    상기 드럼 축의 회전을 저지하면서 상기 드럼 축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드럼 축에 설치됨과 함께 상기 타이어에 가해지는 하중을 검지하기 위한 타이어 부하 센서를 추가로 구비하는,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의 산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및 상기 드럼이 상기 타이어 축 및 상기 드럼 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타이어 및 상기 드럼의 적어도 한쪽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기구와,
    상기 타이어 부하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기구를 제어하여 상기 하중을 조절하는 이동 제어부와,
    상기 하중에 관하여 미리 설정된 복수의 값을 기억하는 기억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이동 제어부는, 상기 하중이 상기 복수의 값 중 제1 값이 되도록 상기 이동 기구를 제어하고, 상기 타이어 동부하 반경 산출부가 상기 제1 값에 있어서의 상기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을 산출한 후, 상기 이동 제어부는, 상기 하중이 상기 복수의 값 중 상기 제1 값과는 다른 제2 값이 되도록 상기 이동 기구를 제어하고, 상기 타이어 동부하 반경 산출부는, 상기 제2 값에 있어서의 상기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을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의 산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회전 센서는, 자기식 로터리 인코더인,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의 산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회전 센서는, 광학식 로터리 인코더인,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의 산출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의 둘레 방향의 균일성을 검사하기 위한 타이어 유니포미티 시험을 행하는 타이어 유니포미티 시험기에 적용되는,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의 산출 장치.
  8. 드럼 축과, 타이어가 주행하는 노면을 모의한 외주면을 갖고, 상기 드럼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드럼과, 상기 타이어를 지지하기 위한 타이어 축과, 상기 타이어 축과 상기 드럼 축이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타이어의 트레드와 상기 외주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타이어 및 상기 드럼의 적어도 한쪽을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와, 상기 타이어의 회전을 검지하기 위한 타이어 회전 센서와, 상기 드럼의 회전을 검지하기 위한 드럼 회전 센서를 구비한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의 산출 장치를 사용하여,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을 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회전 센서 및 상기 드럼 회전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타이어의 1회전당 상기 드럼의 회전 각도를 도출하는 드럼 회전 각도 도출 공정과,
    상기 드럼 회전 각도 도출 공정에서 도출된 상기 드럼의 회전 각도를 사용하여, 하기 식 (1)에 의해 상기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을 산출하는 타이어 동부하 반경 산출 공정을 구비하는,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의 산출 방법.
    Figure pct00009

    (여기서, R은 상기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이며, L은 상기 타이어의 1회전당 상기 타이어의 주행 거리다.)
KR1020207000551A 2017-06-21 2018-06-11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의 산출 장치 및 산출 방법 KR1023009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21670 2017-06-21
JP2017121670A JP6735254B2 (ja) 2017-06-21 2017-06-21 タイヤの動負荷半径の算出装置及び算出方法
PCT/JP2018/022189 WO2018235647A1 (ja) 2017-06-21 2018-06-11 タイヤの動負荷半径の算出装置及び算出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361A true KR20200016361A (ko) 2020-02-14
KR102300983B1 KR102300983B1 (ko) 2021-09-13

Family

ID=64735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551A KR102300983B1 (ko) 2017-06-21 2018-06-11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의 산출 장치 및 산출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408643A1 (ko)
EP (1) EP3637084A4 (ko)
JP (1) JP6735254B2 (ko)
KR (1) KR102300983B1 (ko)
CN (1) CN110753836A (ko)
TW (1) TWI684750B (ko)
WO (1) WO20182356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4301B2 (en) 2020-06-16 2023-10-03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load estimation system and method
CN112985849B (zh) * 2021-04-01 2024-05-14 中信戴卡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底盘模拟路试的疲劳试验设备
CN115452422A (zh) * 2022-08-01 2022-12-09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考虑胎面磨损的轮胎滚动半径和负荷半径的试验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233A (ja) 1991-08-01 1993-02-09 Kobe Steel Ltd タイヤ試験機におけるタイヤ回転数制御装置
JP2017026468A (ja) * 2015-07-23 2017-02-0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の接地特性の測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3903A (en) * 1980-02-06 1981-12-16 Sumitomo Rubber Ind Ltd Urethane filled tyre
US5448910A (en) * 1994-03-07 1995-09-12 Bridgestone/Firestone, Inc. Portable tire uniformity test machine
JP2002248915A (ja) * 2001-02-26 2002-09-03 Toyota Motor Corp タイヤ状態推定装置
JP4339048B2 (ja) * 2003-08-25 2009-10-07 国際計測器株式会社 タイヤのユニフォーミティ計測方法及び装置、並びにタイヤ修正方法及び装置
KR100796332B1 (ko) * 2006-08-16 2008-01-21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의 동하중 반경 검사방법
JP5553712B2 (ja) * 2010-09-01 2014-07-16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性能測定方法及びタイヤ性能測定装置
JP5887224B2 (ja) * 2012-07-20 2016-03-1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の接地特性の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JP5616931B2 (ja) * 2012-08-02 2014-10-2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の台上試験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タイヤ性能試験方法
DE112014005516B4 (de) * 2013-12-04 2022-11-17 The Yokohama Rubber Co., Ltd. Luftreifen
JP6282198B2 (ja) * 2014-08-27 2018-02-2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ユニフォミティ試験機及びタイヤユニフォミティ測定方法
KR101647696B1 (ko) * 2015-07-13 2016-08-11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반경 분석을 이용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233A (ja) 1991-08-01 1993-02-09 Kobe Steel Ltd タイヤ試験機におけるタイヤ回転数制御装置
JP2017026468A (ja) * 2015-07-23 2017-02-0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の接地特性の測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35254B2 (ja) 2020-08-05
CN110753836A (zh) 2020-02-04
TWI684750B (zh) 2020-02-11
EP3637084A4 (en) 2021-01-20
WO2018235647A1 (ja) 2018-12-27
US20200408643A1 (en) 2020-12-31
TW201907145A (zh) 2019-02-16
JP2019007774A (ja) 2019-01-17
EP3637084A1 (en) 2020-04-15
KR102300983B1 (ko) 2021-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2437B2 (ja) タイヤの転がり抵抗予測手法およびタイヤの転がり抵抗予測装置
US9114676B2 (en) Tire changer and method of measuring force variations
JP5887224B2 (ja) タイヤの接地特性の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KR20200016361A (ko) 타이어의 동부하 반경의 산출 장치 및 산출 방법
EP2543980B1 (en) Wheel balancer with means for determining tyre uniformity
KR20140084263A (ko) 부하 시뮬레이션에 의하여 부하가 걸린 휠의 행동의 결정
US20130008249A1 (en) Wheel balancer with means for determining tyre uniformity
JP4014264B2 (ja) タイヤのトレツド剛性の決定装置及び関連の方法
JP2007003218A (ja) タイヤ特性測定装置及びタイヤ特性測定方法
JP6265864B2 (ja) タイヤ試験装置
CN103547897A (zh) 用于平衡车辆车轮的平衡机器
JP4616212B2 (ja) 車両振動計測装置および車両振動計測方法
JP6992077B2 (ja) タイヤ試験機、タイヤを試験する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213680B2 (ja) タイヤ転がり抵抗試験機及びタイヤ転がり抵抗試験方法
KR20160039920A (ko) 회전체용 측정센서 검사장치
US10466121B2 (en) Force-based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JP2017026468A (ja) タイヤの接地特性の測定方法
JP2006329831A (ja) 自動車用タイヤ付ホイールの試験装置
KR20190012479A (ko) 타이어 비드 진원도 검사 장치
KR102360876B1 (ko) 타이어 성능 평가용 실내 시험 장치
JP2019015581A (ja) 金型内周面測定装置
JP5422403B2 (ja) タイヤの残留コーナリングフォースの測定方法
JP2024016580A (ja) 車両の走行試験装置
KR20200024428A (ko) 타이어의 균일성 검사장치
JP2023065142A (ja) コーナリング特性評価方法及びフラットベルト試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