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6244A - 에탄올-함유 음료 제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에탄올-함유 음료 제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6244A
KR20200016244A KR1020197036185A KR20197036185A KR20200016244A KR 20200016244 A KR20200016244 A KR 20200016244A KR 1020197036185 A KR1020197036185 A KR 1020197036185A KR 20197036185 A KR20197036185 A KR 20197036185A KR 20200016244 A KR20200016244 A KR 20200016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anol
wood
alcohol
flask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6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엘 저스틴 파울락
Original Assignee
넥스트 센추리 스피리츠,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스트 센추리 스피리츠, 엘엘씨 filed Critical 넥스트 센추리 스피리츠,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00016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2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12G3/06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flavour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12G3/06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flavouring ingredients
    • C12G3/07Flavouring with wood extracts, e.g. generated by contact with wood; Wood pretreatment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22Ageing or ripening by storing, e.g. lagering of be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02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combined with removal of precipitate or added materials, e.g. adsorption material
    • C12H1/06Precipitation by physical means, e.g. by irradiation, vibrations
    • C12H1/08Precipitation by physical means, e.g. by irradiation, vibrations by heating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lcoholic Beverages (AREA)
  • Distillation Of Fermentation Liquor, Processing Of Alcohols, Vinegar And Beer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개념은 일반적으로 증류된 스피릿의 배럴 숙성 또는 피니싱 공정을 신속한 방식으로 시뮬레이션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탄올-함유 음료 제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본 출원은 2017년 5월 9일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번호 62/503,652의 우선권 및 이익을 청구하며, 그 개시내용은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증류된 스피릿의 배럴 숙성 또는 피니싱 공정을 신속한 방식으로 시뮬레이션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알콜 음료는 목재 배럴에 저장한다. 저장 동안, 배럴과 연관된 향미가 알콜 음료 내로 침출되어 목재 향미를 부여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와인, 맥주 및 증류된 스피릿을 저장하고 숙성시켜 왔다. 일반적으로, 음료가 배럴에 존재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더 많은 향미가 음료에 부여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즉, 숙성 또는 피니싱). 따라서, 긴 저장 기간은 보다 강력한 향미를 제공할 수 있다.
증류된 스피릿 중에서, 위스키가 일반적으로 목재 향미와 연관된 하나의 스피릿이다. 전통적인 아메리칸 타입 위스키에서, 오크 배럴을 사용하여 증류액을 숙성시킨다. 이러한 숙성 공정은 일반적으로 2 내지 23년 동안 진행되며 이 시간 동안 증류된 스피릿에 향미를 부여한다. 또한, 이러한 숙성 공정 동안, 목재 배럴을 통해 스피릿의 일부분이 증발되고, 소위 "천사의 몫"이 손실된다. 천사의 몫으로 손실되는 스피릿의 일부분은 숙성 조건의 온도 및 습도, 배럴의 구성, 배럴의 목재 등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배럴 내의 액체의 약 2-10%가 매년 손실된다. 일부 계산에 따르면 (예를 들어, <http://www.alcademics.com/2014/01/how-much-pappy-van-winkle-is-left-after-23-years-in-a-barrel-.html> 참조), 표준 53 갤런 배럴은 3년의 숙성 후에 약 43.9 갤런의 스피릿 및 6년의 숙성 후에 38.9 갤런이 남을 것이다.
리진 (Reazin)에 의한 연구는 새로운 오크 배럴에서의 위스키의 숙성 공정을 조사하였다 (Reazin (1981) Am. J. Enol. Vitic. 32(4), 283-289). 이러한 숙성 공정 동안에, 목재의 성분이 추출되어 향미 및 색을 액체에 부여한다. 이 공정 동안, 배럴에 첨가된 에탄올로부터 에틸 아세테이트가 형성되며, 이는 목재로부터 추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에틸 아세테이트는 긴 숙성 공정 동안 서서히 형성되는 과일향 화학물질이다. 이는 아세트산과 에탄올을 조합함으로써 형성된다. 위스키의 색은 목재로부터 추출된 물질로부터 유래된다. 연구는 또한 전형적으로 위스키와 연관된 색을 수득하는데 약 3년이 걸리는 것을 보여주었다.
위스키 숙성에 요구되는 시간의 길이는 숙성된 증류된 스피릿의 제조업자에게 많은 문제를 제시한다. 첫째, 숙성은 일반적으로 배럴, 위스키, 및 저장 시설에서 소비될 상당한 자본을 필요로 한다. 이는 전형적으로 최소한의 허용되는 생성물을 달성하는데 약 3년이 걸린다. 둘째로,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스피릿의 상당 부분이 숙성 공정 동안 손실된다. 이러한 손실은 숙성 공정 동안 실제 생성물의 17-58%가 손실되게 할 수 있다. 셋째, 숙성 공정은 매우 가변적이다. 동일한 조건 하에 저장된 2개의 배럴은 현저하게 상이한 최종 생성물을 생성할 수 있어서, 하나는 소비에 적합하고 다른 것은 저가로 판매되거나 다른 생성물과 블렌딩해야 한다. 네 번째로, 긴 유도 시간으로 인해, 위스키의 경우 숙성되는 숙성실 내에 위치한 시간으로부터 2 내지 23년에 대한 요구를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이전에 확인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고 시도하였다. 숙성 공정을 가속화하기 위한 가장 간단하고 전통적인 방법은 목재 스타브 또는 칩을 배럴에 첨가하는 것이다. 이것은 목재 대 액체 비를 증가시켜, 위스키가 가속된 속도로 원하는 색에 도달하도록 한다. 이 방법은 현재 다수의 증류기에 의해 실행되지만; 이러한 방법은 위스키에서 새로운 목재의 미성숙 향미를 남기는 경향이 있다. 목편을 첨가하거나 목재 스타브를 첨가하면 원치 않는 캉거(conger)의 산화 및 저분자량의 원치 않는 물질 (예를 들어 메탄올, 아세톤, 알데히드 등)의 제거는 일어나지 않는다.
압력 용기 및 다양한 압력이 숙성 공정을 가속화시키기 위해 사용되었다.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2013/0149423을 참조. 다른 것들은 광을 추가하여 목재를 신속하게 숙성시키고 목재 향미를 생성물에 부여하려고 시도하는 반응 용기를 사용하였다. 다른 것들은 또한 초음파 (초음파처리)를 사용하여 목재를 신속하게 교반하고 목재로부터 목재 향미를 제거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또 다른 것은 압력 및 온도를 사용하여 목재로부터 목재 향미를 추출하려고 시도하였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2009/0068308 및 2011/0070330, 및 PCT 국제 공개 번호 WO 2015/013704를 참조한다. 그러나, 압력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임의의 방법은 장비에 상당한 비용을 부가하고, 예를 들어 장비는 압력에 맞춰져야 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다른 것들은 스피릿을 그의 비점 미만으로 유지하면서 사이클을 통해 스피릿이 펌핑되는 위스키 숙성을 위한 폐쇄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미국 특허 번호 2,807,547 참조). 스피릿으로부터의 증기는 액체가 탄화 목재와 접촉하지 않으면서 탄화 목재와 상호작용하도록 한다. '547 특허는 이 공정이 24개월 기간에 걸쳐 스피릿을 개선시킨다는 것을 보고한다. 24개월 기간은 여전히 상당한 양의 시간이고, 배럴에 추가로 추가 자본이 필요할 것이고, 이는 공정을 상업적 실행에 대해 매력적이지 않게 만든다.
추가로, 일부 주조업자, 와인 제조업자, 및 맥주제조업자는 그의 생성물을 피니싱하기 위해 배럴을 사용한다. 이 공정은 숙성 후에 이루어지고, 생성물에 추가의 향미를 부여하는데 사용된다. 다수의 생산자는 특유의 목재로 제조된 배럴을 사용하였고, 다른 숙성 공정으로부터의 사용된 배럴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사용된 포트 와인 배럴에서 피니싱된 버본, 사용된 버본 배럴로 피니싱된 맥주, 및 사용된 버본 배럴에서 피니싱된 스카치). 또한, 일부 생산자는 바닐라 빈, 과일, 꽃, 장과류, 및 그의 생성물에 특유의 향미를 추가하거나 피니싱하도록 의도된 다른 물질과 같은 향미를 첨가할 것이다.
따라서, 알콜 음료의 추가의 숙성 및/또는 피니싱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배럴 숙성 또는 피니싱 공정을 신속한 형태로 시뮬레이션한다. 본 발명의 측면에 따르면, 이들 공정은 통기 및/또는 촉매의 사용과 함께 증가된 온도 (예를 들어, 약 50℃-약 100℃)를 사용하고/거나 반응물의 농도 (예를 들어, 알콜: 약 0.05% 내지 약 95 부피% (ABV) 및 물: 약 5% 내지 약 99.5%)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측면에서, 배럴 숙성 공정은 4가지 구성요소로 분류될 수 있다: 1) 알콜에 가용성인 목재 성분의 추출; 2) 물에 가용성인 목재 성분의 추출; 3) 원치 않는 냄새 및/또는 맛을 가하는 화합물의 제거; 및 4) 스피릿 성분, 목재 및/또는 추출제의 반응에 의한 신규 화합물의 생성. 본 발명의 측면은 이들 공정 성분을 정제하고, 이들을 강화하여 전통적인 숙성 기술 또는 심지어 기존의 가속화된 숙성 기술에 비해 보다 신속한 페이스로 하나 이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특정한 측면은 알콜-함유 음료의 통상적인 숙성 방법에 비해 신속한 숙성 공정 하에 알콜-함유 음료를 제공하는 조건 하에 알콜/물 혼합물을 포함하는 알콜의 공급원, 및 적어도 1종의 향미 성분을 추출 공정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알콜-함유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 측면은, 제1 용기; 응축기 및/또는 환류 구성요소; 제2 용기, 여기서 제2 용기는 제1 용기보다 작음; 촉매 및/또는 여과 물질 및/또는 흡수제 물질; 및 통기장치를 포함하는, 알콜-함유 음료의 제조를 위한 규모조정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정한 측면에서, 알콜은 에탄올이다. 추가 측면에서, 알콜-함유 음료는 본원에 기재된 신속한 숙성 및/또는 피니싱 공정으로부터 유익한 위스키, 버본, 스카치, 럼, 브랜디, 코냑, 진, 보드카, 데킬라, 와인, 셰리, 포트와인, 미드, 맥주 등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정한 측면은 블렌딩된 알콜-함유 생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생성물, 및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알콜-함유 음료를 포함하지 않는 블렌딩된 또는 비-블렌딩된 알콜-함유 생성물에 필적할만한 바람직한 맛, 향미, 아로마 및/또는 색을 갖는 생성된 블렌딩된 알콜-함유 생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 개시된 대상을 일반적인 용어로 이와 같이 기재하였으며, 첨부되는 도면에 대한 언급이 이제 이루어질 것이다:
도 1은 촉매/흡수제/필터가 응축기와 제2 용기 사이에 위치되는 공정의 개략적인 설명을 도시한다.
도 2는 촉매/흡수제/필터가 제1 용기와 응축기 둘 다의 사이에 위치되는 공정의 개략적인 설명을 도시한다.
도 3은 제2 용기 후에 위치된 촉매/필터/흡수제를 보여주는 공정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제2 용기 내부에 위치된 흡수제/필터/촉매를 나타내는 공정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이는 층 형태일 수 있거나 용기 전반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양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방법의 예시적 실시양태에 따라 가공된 스피릿과 적어도 2년 동안 숙성된 버본 생성물 사이의 비교를 도시하는 크로마토그램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양태를 더욱 완전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실시양태는 많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원에 제시된 실시양태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오히려, 이들 실시양태는 본 개시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하게 되도록, 실시양태의 범주를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완전히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에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양태를 설명하는 목적을 위한 것이고 실시양태로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단수 형태는, 문맥이 달리 명백하게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를 또한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용어 "포함하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언급된 특징, 수, 단계, 작업, 요소, 성분 또는 그의 조합의 존재를 명시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수, 단계, 작업, 요소, 성분 또는 그의 조합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하나 이상의 연관된 나열된 항목의 임의의 및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표현, 예컨대 "적어도 하나"는 요소의 목록 앞에 있을 때, 요소의 전체 목록을 수식하며 목록의 개별 요소를 수식하는 것은 아니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된 기술 및 과학 용어를 비롯한 모든 용어는 예시적인 실시양태가 속하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추가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것과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분야에 관련하여 그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본원에 분명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알콜-함유 음료의 제조, 보다 특히 알콜-함유 음료의 가속화된 제조 뿐만 아니라 그의 피니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에탄올-함유 음료의 제조를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시스템은 여러 주요 가공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성요소는 가열될 수 있는 비교적 큰 제1 용기이다. 이 용기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용기는 크기가 약 50 ml 내지 약 10,000 갤런 (약 37,854 리터)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용기 내에, 에탄올의 공급원 및 목재 생성물을 포함하는 소정량의 유기 물질 예컨대 오크 목편, 목재 스타브, 오래된 버본 배럴로부터의 목재 성분, 와인 배럴, 향신료, 그래스, 향미를 부여하는 칩 또는 스타브 형태인 다른 나무 예를 들어 사과, 배, 피칸, 체리, 메스키트, 히코리 등으로부터의 목재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목편 및/또는 목재 스타브는 제1 용기에 위치하기 전에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임의의 방법에 의해 탄화 또는 토스팅될 수 있다. 탄화는 심부 탄화를 지칭하고, 카라멜 또는 꿀과 같은 에탄올-함유 음료에 감미제 향미를 부여할 수 있고, 특정 화합물을 흡수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토스팅은 연소 (즉, 탄화)에 비해 흑화 수준으로 특징화되는 훨씬 덜 가열된 생성물을 지칭하고, 에탄올-함유 음료에 부여된 바닐라 및/또는 스파이시 향미를 생성할 수 있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인지되는 바와 같은 다른 유기 물질이 또한 향미를 부여하기 위해 이 용기 내에 위치될 수 있고, 비제한적 예는 커피, 커피 분쇄물, 차, 잎, 훈제 고기 (예를 들어, 포크, 예컨대 베이컨, 비프, 칠면조 등), 장과류, 과일, 채소, 거미류, 다른 곤충류, 애벌레 등을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천연 또는 유기 물질만이 향미제로서 사용된다. 즉, 특정한 실시양태에서는, 공정에서 인공 향미제가 사용되지 않는다.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이 용기에 위치되는 향미제의 분율은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른 방법에서 중량 기준으로 사용되는 총 향미제의 약 1% 내지 약 99% 범위이다.
제2 구성요소는 가열시 제1 용기로부터 증발하는 유체를 응축할 수 있는 응축기 및/또는 환류 구성요소이다. 환류 유닛에서 배출되는 증기의 프루프 또는 알콜 함량이 제1 용기 내의 유체보다 더 높은 프루프 또는 알콜 함량 (약 0.05% 내지 약 95% ABV의 알콜 함량)을 갖도록 환류 유닛이 위치될 수 있다. 응축기는 제1 용기에서 배출되는 모든 에탄올을 응축시키기에 충분한 용량을 가져야 한다. 이 응축기는 다중 스테이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응축기는 응축 공정의 대부분을 취급하는 제1 스테이지 및 응축기로부터의 분위기로 배출되는 물질을 제어하기 위한 미세한 조정을 갖는 연속 스테이지, 및 공기의 배출 온도를 약 5℃ 내지 약 75℃에서 제어할 수 있는 제2 스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구성요소는 또 다른 제2 용기이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제2 용기는 제1 용기의 부피의 약 1% 내지 약 95%일 것이고,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용기는 응축기에서 응축된 유체를 수집하는 제1 용기에 비해 유사하거나 더 작은 크기를 갖는다. 제2 용기에서 수집된 유체는 제1 용기에서의 것보다 더 큰 프루프 또는 알콜 함량을 가질 수 있다. 향미 물질, 예컨대 오크 목편, 목재 스타브, 오래된 버본 배럴로부터의 목재 성분, 와인 배럴, 향신료, 그래스, 칩 또는 스타브 형태일 수 있는 다른 나무 예를 들어 사과, 배, 피칸, 체리, 메스키트, 히코리 등으로부터의 목재가 상기 제2 용기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목편 및/또는 목재 스타브는 제2 용기에 위치하기 전에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인식되는 임의의 방법에 의해 탄화 또는 토스팅될 수 있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인지되는 바와 같은 다른 유기 물질이 또한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향미를 부여하기 위해 상기 용기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용기에 위치한 향미제의 분율은 중량 기준으로 사용되는 총 향미제의 약 1% 내지 약 100% 범위이다. 이러한 용기 내의 액체는 한정된 양의 시간 동안 수집되어야 한다. 이러한 제2 용기는 연속적으로 충전될 수 있지만, 액체는 회분식 공정에서 제거되어 제2 용기 내의 액체가 평균 약 10초 이상 내지 약 3시간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제4 구성요소는 촉매 및/또는 여과 물질 및/또는 흡수제 물질 중 적어도 하나이며, 일부 실시양태에서, 응축된 물질이 제2 용기 내에서 수집되기 전에 촉매/여과 물질/흡수제 물질 상에서 또는 그를 통해 유동하도록 응축기와 제2 용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촉매/여과 물질/흡수제 물질은 환류 유닛에서 배출되는 증기 및 응축된 물질 둘 다가 제2 용기 내에서 수집되기 전에 촉매/여과 물질/흡수제 물질 상에서 또는 그를 통해 유동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촉매/여과 물질/흡수제 물질은 제2 용기 내의 수집된 액체가 제2 용기로부터 제거된 후 촉매/여과 물질/흡수제 물질 상에서 또는 그를 통해 유동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촉매는 추출 공정에서 이들이 용해되지 않도록 (즉, 고체 촉매) 존재한다. 이러한 촉매는 전기, 광 또는 방사선 활성화 촉매를 포함한다. 이들 촉매는 선호하는 맛 및/또는 아로마를 액체에 부여하고/거나 원치 않는 화합물을 제거하는 반응을 가속하며, 관련 기술분야 통상의 기술자가 인식할 수 있는 임의의 이러한 촉매, 예를 들어: 구리 및 다른 금속 (미국 특허 번호 7,608,744 B1); 구리-계 촉매 (Santacesaria et al. (2012) "Ethanol dehydrogenation to ethyl acetate by using copper and copper chromite catalysts" Chem. Eng. J. 179, 209-220.); 목탄 생성 고체 산 촉매; UV 광 노출된 이산화티타늄; 앰버리스트 (시그마 알드리치 (Sigma Aldrich)); 앰버라이트 (시그마 알드리치); 산 이온 교환 수지; 술폰화 그래핀 (DOI : 10.1039/C0SC00484G); 실리카-포함 헤테로폴리 화합물 (Izumi et al. (1995) "Silica-included heteropoly compounds as solid acid catalysts" Microporous Mater. 5(4), 255-262); Au/MgAl2O4, Au/TiO2 (Jorgensen et al. (2007) "Aerobic oxidation of aqueous ethanol using heterogeneous gold catalysts: Efficient route to acetic acid and ethyl acetate" J. Catal. 251(2), 332-337); 및 금 촉매 (Christensen et al. (2006) "Formation of acetic acid by aqueous-phase oxidation of ethanol with air in the presence of a heterogeneous gold catalyst" Angew. Chem. Int. Ed. 45(28), 4648-4651)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촉매가 또한 제1 및/또는 제2 용기에 위치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액체에 선호하지 않는 향미 및/또는 아로마를 부여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분자 및/또는 화학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흡수제 물질이 첨가될 수 있고, 예로는 목탄, 활성탄, 이온 교환 수지, 변형된 천연 중합체 (예를 들어, 헤미셀룰로스, 전분, 셀룰로스, 리그닌, 키틴, 키토산), 비변형된 천연 중합체 (예를 들어, 헤미셀룰로스, 셀룰로스 리그닌, 전분, 키틴, 키토산)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흡수제 물질은 또한 제2 용기 전에 또는 제2 용기 후에 위치될 수 있다. 여과 물질은 첨가되어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여과 물질은 셀룰로스 섬유 필터, 목화, 면 볼, 플라스틱 기재 필터, 소결 유리, 유리 섬유 필터, 개방 다공성 발포체, 재생된 셀룰로스 물질, 변형된 셀룰로스 물질,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다공성 금속 물질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불용성 물질은 바람직하지 않은 캉거, 먼지, 미세 목재 입자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인지되는 바와 같이, 여과 물질 또는 흡수제 물질은 예를 들어 유리, 셀룰로스, 목재 섬유, 면, 박테리아 셀룰로스, 플라스틱, 셀룰로스 유도체, 다공성 금속 물질 등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여과 물질은 또한 제2 용기 전에 또는 제2 용기 후에 위치될 수 있다.
제5 구성요소는 공기 또는 다른 기체 (예를 들어 공기, 산소, 질소 등)가 응축기 및 분위기를 통해 액체를 통과하도록 제1 용기의 통기를 제공하는 통기장치이다. 산화 반응이 바람직한 숙성 또는 피니싱 공정의 경우, 공기 또는 산소가 바람직한 기체이고, 한편 산화 반응이 억제되어야 하는 숙성 또는 피니싱 반응의 경우, 불활성 분위기, 예컨대 이산화탄소, 질소 또는 아르곤이 바람직할 것이다. 공기는 또한 촉매, 흡수제 및/또는 필터를 통과할 수 있다. 공기는 또한 공정의 이러한 부분을 위해 원래의 액체로부터 원치 않는 아로마 및/또는 향미를 가져가 버리도록 의도되므로 기체의 정확한 성질은 덜 중요하다. 질소 분위기와 같은 불활성 분위기가 장치 내부에서 유지되도록, 물 트랩을 응축기의 출구에 첨가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이 단계는 대기압에서 수행된다. 용기 내에 다양한 양의 목재 또는 다른 향미 물질, 예컨대 향신료, 과일, 꽃, 허브, 장과류 (예를 들어 딸기, 블루베리, 블랙베리, 라즈베리, 아사이 베리, 크랜베리, 엘더베리, 멀베리, 링고베리 및 보이즌베리) 너트, 채소, 목재, 그래스, 식물 및/또는 본원에 기재된 다른 유기 물질 예컨대 그의 부분 및/또는 일부가 첨가될 수 있다. 장치는 제1 용기에 열이 가해질 때, 유체가 충전된 액체 또는 알콜 공급원으로부터 증발되도록 작동한다. 충전된 액체는 약 0.05% 내지 약 95%의 부피 기준 알콜 (ABV)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증발된 유체는 응축기에서 응축된다. 응축기의 단부는 원치 않는 증기가 공정에서 배출될 수 있도록 분위기에 개방된다. 바람직한 기체는 응축되고, 제2 용기로 전달되기 전에 촉매/필터/흡수제 물질에 통과한다. 제2 용기에서 목재, 향신료, 장과류, 그래스 또는 다른 유기 물질의 일부를 위치시킨다. 이러한 제2 용기에서, 응축된 유체는 배출되기 전에 한정된 양의 시간 동안 잔류하고 제1 용기로 복귀한다. 소정량의 공기 또는 다른 기체가 제1 용기로부터 응축기의 출구로의 공기 또는 다른 기체 흐름을 제공하기 위해 제1 용기 내로 도입된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시스템의 구성요소는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장치의 성질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일부 실시양태에서, 장치는 추출 절차를 수행하기에 적합할 수 있고,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출 절차는 연속 추출 절차일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양태에서, 장치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은 임의의 방식에 따른 연속 추출 절차를 수행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장치는 속슬렛 추출기, 변형된 액체 증류기, 또는 변형된 액체 포트 증류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장치는 증류 공정을 수행하기에 적합할 수 있는데, 여기서 공정 동안 제1 용기에 함유된 액체의 부피가 비교적 또는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에탄올의 공급원이 제1 용기에 연속적으로 첨가되고, 증류물은 제2 용기 내에 수집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시스템은 소형 및/또는 휴대용이다. 이러한 경우에, 시스템은 가정용 또는 테이블 상부 장치일 수 있다. 시스템이 규모 확장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스템은 더 크고, 마이크로-증류소, 크래프트 증류소 및/또는 상업적 증류소를 비롯한 보다 큰 상업적 응용에 대한 확장성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장치는 용량 크기가 1 리터 내지 2500 갤런 (그 사이의 모든 수치 포함)이다. 크기와 무관하게, 장치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숙성 및/또는 피니싱된 알콜-함유 음료와 필적하는, 비용-효과적이고 맛, 향미, 구강촉감, 바디감, 아로마 및/또는 색을 갖는 생성물을 생성하는, 알콜-함유 음료의 가속화된 숙성 및/또는 피니싱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스템은 통상적인 숙성 및/또는 피니싱 기술에 의해 수득된 알콜-함유 음료와 유사하거나 또는 그와 동일한 화학적 서명 또는 관능 프로파일 (특히 맛, 향미, 구강촉감, 바디감, 아로마 및/또는 색)을 갖는 알콜-함유 음료를 제공한다.
증류된 알콜-함유 음료, 예를 들어, 위스키 또는 위스키-향미 생성물의 제조가 본원에서 예를 들어 기재되지만, 다른 증류 알콜 또는 에탄올-함유 음료,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브랜디, 진, 럼, 스카치, 데킬라 또는 보드카 뿐만 아니라, 비증류된 에탄올-함유 음료, 예를 들어, 맥주, 미드, 또는 와인이 또한 본 개시내용의 범주 내에서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숙성 또는 피니싱의 목적을 위해 에탄올 또는 에탄올 용액과 비-에탄올 함유 용액을 함께 혼합함으로써 생성된 액체를 함유하는 에탄올이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예로서, 식초는 본원에 기재된 기술로 가공된 것에 첨가된 에탄올 함량을 갖고, 이어서 에탄올 함량은 증류 제거되어 목재-숙성 또는 피니싱된 식초를 남길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에탄올-함유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및 방법, 보다 특히 에탄올-함유 음료의 가속화된 제조 방법 및 방법이 제공된다.
어떠한 특정한 이론에 얽매이는 것을 원하지는 않지만, 알콜-함유 음료의 신속하고/거나 가속화된 제조 방법은 알콜-함유 음료의 전통적인 제조 방법에 비해 알콜-함유 음료에 향미 및/또는 색을 부여하는 성분 예컨대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에틸 아세테이트, 및/또는 알콜-함유 음료에 색을 부여할 수 있는 목재로부터의 물질의 형성을 가속화 및/또는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저분자량의 원치 않는 물질, 예컨대 메탄올, 아세톤, 알데히드 등의 제거/추출을 증진시키고 보조하는 절차 및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알콜-함유 음료에 향미 및/또는 색을 부가할 수 있는 성분 공급원 및 에탄올의 공급원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에탄올의 공급원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에탄올 및 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일 수 있고, 여기서 알콜의 양은 에탄올 및 물을 포함하는 혼합물, 또는 에탄올/물 혼합물 중에서 약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또는 약 95%의 부피 기준 알콜 (ABV), 또는 약 0.05% 내지 약 95%의 ABV의 범위 내의 임의의 % ABV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에탄올 및 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은 약 30% 내지 약 70% ABV, 약 40% 내지 약 60%, 또는 약 45% 내지 약 55% 에탄올 대 물의 범위일 수 있다. 에탄올 및 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공급원은, 일부 실시양태에서, 저비용 및/또는 보다 낮은 품질의 에탄올-함유 음료,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보다 낮은 품질의 보드카, 곡물 알콜, 가벼운 위스키, 옥수수 위스키, 미가공 증류물, 숙성된 위스키, 숙성된 스카치, 숙성된 캐나다 위스키, 비숙성된 위스키, 예를 들어 화이트 위스키, 비숙성된 스카치, 비숙성된 캐나다 위스키, 비숙성된 럼, 비숙성된 데킬라, 럼, 데킬라, 뉴 와인, 브라이트 탱크 맥주, 맥주, 와인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알콜의 공급원은 충전된 액체일 수 있다.
유사하게, 알콜-함유 음료에 향미 및/또는 색을 부가할 수 있는 성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알콜-함유 음료에 향미 및/또는 색상을 부가하는 성분은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오크 목편 및/또는 오크 목재 스타브; 오래된 버본 배럴로부터의 목재 성분; 와인 배럴로부터의 목재 성분일 수 있고, 목재는 탄화, 토스팅, 효소에 의한 처리 또는 다른 공정을 비롯하여 사용하기 전에 처리되거나 또는 변형될 수 있고, 목재는 또한 바람직한 향미를 부여할 수 있는 다른 종 예컨대 사과 목재, 체리 목재, 히코리 목재, 너도밤나무 목재, 메스키트 목재, 단풍나무 목재, 화이트 오크, 레드 오크, 프렌치 오크, 라이브 오크, 핀 오크, 아카시아 및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다른 목재; 와인, 포트, 버본, 위스키, 스파이스, 추출된 향미, 과일 주스, 핫 소스, 다른 유기 추출물에 침지함으로써 예비처리된 목재; 종,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시나몬, 넛멕, 클로브, 올스파이스, 아니스, 바질, 월계수 잎, 캐러웨이 종자, 카더몬, 셀러리 종자, 처빌, 코리안더, 쿠민 종자, 딜 종자, 펜넬 종자, 호로파, 생강, 호스래디시, 메이스, 마조람, 겨자분, 오레가노, 파프리카, 파슬리, 후추, 흰후추; 고추; 할라피뇨, 로즈마리, 사프론, 세이지, 세이보리, 팔각, 타라곤, 타임, 강황 및 바닐라; 목초 예컨대 레몬 그래스, 및 다른 그래스; 및 다른 나무, 예컨대 비제한적으로, 사과, 배, 페칸, 체리, 메스키트, 및 히코리로부터의 목재일 수 있으며, 이는 칩 또는 스타브의 형태로 있다. 특히, 알콜-함유 음료에 향미 및/또는 색을 부가할 수 있는 성분은 인공 향미제 또는 인공 색이 아니다.
또한, 알콜-함유 음료에 향미 및/또는 색을 부가할 수 있는 성분의 공급원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목편 및/또는 스타브는, 예를 들어, 버본 또는 위스키 증류로부터의 숙성 배럴, 예컨대 비제한적으로, 버팔로 트레이스, 잭 다니엘스(Jack Daniels)®, 짐 빔(Jim Beam)® 화이트 라벨, 메이커스 마크(Maker's Mark)®, 놉 크릭(Knob Creek)® 또는 우드포드 리저브(Woodford Reserve)®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예를 들어 본원에 제시된 바와 같은 5개의 가공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시스템은 예를 들어, 알콜에 가용성인 향미 및/또는 색을 부가하는 성분, 예를 들어 목재 성분을 추출하고; 물에 가용성인 향미 및/또는 색을 부가하는 성분, 예를 들어 목재 성분을 추출하고; 원치 않는 냄새 및/또는 맛을 부가하는 화합물을 제거하고; 성분들을 반응시켜, 알콜-함유 음료에 향미 및/또는 색을 부가하는 신규 화합물, 예를 들어 에틸 아세테이트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절차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시스템의 사용은 추출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출 공정은 적어도 1개의 사이클을 포함할 수 있는 연속 추출 공정일 수 있다. 연속 추출 공정은 1회 초과의 사이클, 예를 들어, 2, 3, 4, 5회 또는 그 초과의 사이클, 또는 심지어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시간 내에 수행될 수 있는 일정한 횟수의 사이클을 포함할 수 있다. 연속 추출 공정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바와 같이 임의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연속 추출 공정은 예를 들어 속슬렛 추출기를 사용하는 속슬렛 추출, 또는 액체 내에 자유롭게 이동하는 향미 물질을 갖는 용기, 또는 향미 물질이 바스켓, 백, 또는 망에 함유되는 용기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추출 공정은 증류 공정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증류물은 제거되고 예를 들어 제2 용기에 수집되고, 예를 들어,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알콜의 공급원은 제1 용기에 함유된 액체의 부피가 공정 전체에 걸쳐 비교적 또는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1 용기에 연속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의 한 실시양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촉매 및/또는 여과 물질 및/또는 흡수제 물질은 응축기와 제2 용기 사이에 배치되고, 응축기로부터의 응축물은 제2 용기에서 수집하기 전에 촉매 및/또는 여과 물질 및/또는 흡수제 물질에 통과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의 또 다른 실시양태를 나타내며, 이는 공정 주위의 물질의 약간 상이한 흐름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제1 용기로부터 제거된 증기는 촉매 및/또는 여과 물질 및/또는 흡수제 물질에 통과한 후에 응축되고 촉매 및/또는 여과 물질 및/또는 흡수제 물질을 통해 다시 한 번 통과한다. 추가로, 촉매는 용기(1) 및/또는 용기(2)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다수 유형의 촉매 및/또는 여과 물질 및/또는 흡수제 물질이 특정 결과를 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제2 용기 후에 촉매 및/또는 여과 물질 및/또는 흡수제 물질을 위치시키는 본 발명의 방법의 또 다른 실시양태를 나타낸다. 도 2 및 3의 개략도를 조합하여 제2 용기 이전 및 이후에 촉매 및/또는 여과 물질 및/또는 흡수제 물질을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4는 촉매 및/또는 여과 물질 및/또는 흡수제 물질이 제2 용기 내부에 위치되는 본 발명의 방법의 또 다른 실시양태를 나타낸다. 이들 물질은 층일 수 있거나 또는 제2 용기 전체에 걸쳐 분산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양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촉매 및 흡수제 물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여과 물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용기로부터 제1 용기로 되돌아가는 증류물에 대한 출구 튜브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촉매 및/또는 흡수제 물질 및/또는 여과 물질은 도 1 내지 4의 개략도에 제시된 위치에 있는 시스템 내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거나, 도 1 내지 4에 제시된 바와 같은 위치의 임의의 조합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시중에서 입수가능하고 약 115 프루프에서 45% 밀 매쉬 빌을 갖는 숙성된 버본 위스키를 사용하여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석된 134.5 프루프에서 21% 호밀 매쉬 빌을 갖는 비숙성된 버본과의 비교를 보여준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는 본원에 개시된 주제의 대표적 실시양태를 실행하기 위한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안내를 제공하기 위해 포함되었다. 본 개시내용 및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의 일반적인 수준에 비추어,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 실시예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되고, 본원에 개시된 대상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수많은 변화, 변형 및 변경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실시예 1
기본 반응기 디자인은 속슬렛 추출기 상에 응축기를 갖는 2목 플라스크의 상부에 부착된 속슬렛 추출기를 갖는 2목 플라스크로 구성된다. 2목 플라스크의 부피는 1000 ml이고, 속슬렛 추출기의 챔버의 부피는 약 200 ml였다. 잭 다니엘스 배럴 (더블유 더블유 우드 인크.(W W Wood Inc.), 텍사스주 프레전턴)로부터 제조된 약 90 그램의 목편을 2목 플라스크에 위치시키고, 속슬렛 추출기 내에 잭 다니엘스 배럴 (더블유 더블유 우드 인크., 텍사스주)로부터의 약 20 그램의 유사한 목편을 두었다. 플라스크 상의 제2 구멍 내에, 마개를 통과하는 열전대를 갖는 고무 마개 및 유리관을 삽입하였다. 플라스크 외부의 유리관의 말단에 공기 공급원을 부착하였다. 공기를 완전 흐름으로 작동되는 통기장치 (위스퍼 60, 테트라-피쉬(Tetra-Fish), 버지니아주 블랙스버그)로 공급하였다. 목편과 함께 플라스크 내에 에탄올 및 물의 50/50 혼합물을 로딩하였다 (100 프루프 아리스토크랫 보드카). 응축기에 약 14℃의 입구 온도 및 거의 동일한 초기 배출 온도를 갖는 냉수를 공급하였다. 플라스크에 열원을 적용하여 플라스크 내부의 온도를 77℃ 내지 100℃로 상승시켰다. 이로써 에탄올이 먼저 플라스크 내에서 액체로부터 증발되고, 응축기 안으로 이동하여, 속슬렛 추출기 내로 다시 적하되는 액체로 형성되었다. 플라스크 내의 액체 내의 통기장치 (위스퍼 60, 테트라-피쉬, 버지니아주 블랙스버그)로부터의 기포는 속슬렛 추출기에서 상단 아암을 통해 응축기를 거쳐 분위기로 통과하였다. 이러한 공정 동안, 응축기의 상부를 약 20℃ 이하 근처로 유지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코에 의해 용이하게 검출될 수 있는 쓰고 가혹한 냄새 성분을 운반하는 공기의 흐름이 응축기의 상부를 벗어났다. 열이 플라스크에 적용됨에 따라, 추출기를 점진적으로 20 내지 30분의 시간에 걸쳐 채웠다. 이 시간의 종료시에, 추출기를 플라스크로 다시 비웠다. 추출기 내 액체는 하부 플라스크로부터 제거된 고농도의 에탄올이었다. 상부 추출기의 부피가 충분히 크면, 모든 에탄올이 플라스크로부터 배출될 수 있고, 물을 증발시켜 플라스크 내 나머지 공간을 채워 속슬렛을 비우게 하였다. 이러한 제1 사이클의 종료시에, 하부 챔버 내의 액체는 투명 액체 (보드카)로부터 암갈색/호박색 액체로 이미 변화되었다. 속슬렛의 사이클링을 열원으로부터 플라스크를 제거하기 전에 다시 한번 반복하였다. 샘플의 시음은 공정이 덜 가혹한/더 쓴 특징을 갖고 부여된 목재 향미를 갖는 생성물을 생성하는 것을 나타냈다. 이러한 가공액을 원래의 스피릿과 합하여 위스키 향미 생성물을 생성할 수 있었다. 가공액과 비가공액의 블렌딩 비는 원하는 향미 및/또는 착색의 깊이에 따라 1:1 내지 약 1:8의 범위였다.
실시예 2
기본 반응기 디자인은 위에 응축기를 갖는 상부에 부착된 속슬렛 추출기를 갖는 2목 플라스크로 구성된다. 2목 플라스크의 부피는 1000 ml이고, 속슬렛 추출기의 챔버는 약 200 ml였다. 잭 다니엘스 배럴 (더블유 더블유 우드 인크., 텍사스주 플레전턴)로부터 제조된 약 50 그램의 목편을 하부 챔버에 위치시켰다. 속슬렛 추출기에서 약 10 g의 동일한 목편을 위치시켰다. 또한, 추출기의 상부에 약 10 g의 경질목 목탄 (카우보이 챠콜, 듀라플레임, 인크., 캘리포니아주 스톡턴)을 삽입하였다. 목탄을 상부 추출기 내 목편 아래에 위치시키고 속슬렛의 출구를 덮는 목편 아래에 물질을 위한 필터를 작용하는 면 볼을 배치시킨다. 목탄은 생성물에 부정적인 맛을 부여할 수 있는 화합물의 공지된 흡수제이다. 목탄을 튜브에 위치시켜 흡수제로서 작용시킨다. 플라스크 상의 제2 구멍 내에, 마개를 관통하는 열전대를 갖는 고무 마개 및 유리관을 삽입하였다. 플라스크 외부의 유리관의 말단에 공기 공급원을 부착하였다. 공기를 완전 흐름으로 작동되는 통기장치 (위스퍼 60, 테트라-피쉬, 버지니아주 블랙스버그)로 공급하였다. 목편과 함께 플라스크 내에 에탄올 및 물의 50/50 혼합물을 로딩하였다 (100 프루프 아리스토크랫 보드카). 응축기에 약 14℃의 입구 온도 및 거의 동일한 초기 배출 온도를 갖는 냉수를 공급하였다. 플라스크에 열원을 적용하여 플라스크 내부의 온도를 77 내지 100℃로 상승시켰다. 이로써 에탄올이 먼저 플라스크 내에서 액체로부터 증발되고, 응축기 안으로 이동하여, 속슬렛 추출기 내로 다시 적하되는 액체로 형성되었다. 플라스크 내의 액체 내의 통기장치 (위스퍼 60, 테트라-피쉬, 버지니아주 블랙스버그)로부터의 기포는 속슬렛 추출기에서 상단 아암을 통해 응축기를 거쳐 분위기로 통과하였다. 이러한 공정 동안, 응축기의 상부를 약 20℃ 이하 근처로 유지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코에 의해 용이하게 검출될 수 있는 쓰고 가혹한 냄새 성분을 운반하는 공기의 흐름이 응축기의 상부를 벗어났다. 열이 플라스크에 적용됨에 따라, 추출기를 점진적으로 20 내지 30분의 시간에 걸쳐 채웠다. 이 시간의 종료시에, 추출기를 플라스크로 다시 비웠다. 추출기 내 액체는 하부 플라스크로부터 제거된 고농도의 에탄올이었다. 상부 추출기의 부피가 충분히 크면, 모든 에탄올이 플라스크로부터 배출될 수 있고, 물을 증발시켜 플라스크 내 나머지 공간을 채워 속슬렛을 비우게 하였다. 이러한 제1 사이클의 종료시에, 하부 챔버 내의 액체는 투명 액체 (보드카)로부터 암갈색/호박색 액체로 이미 변화되었다. 속슬렛의 사이클링을 열원으로부터 플라스크를 제거하기 전에 다시 한번 반복하였다. 샘플의 시음은 공정이 덜 가혹한/더 쓴 특징을 갖고 부여된 목재 향미를 갖는 생성물을 생성하는 것을 나타냈다. 이러한 가공액을 원래의 스피릿과 합하여 위스키 향미 생성물을 생성할 수 있다. 가공액과 비가공액의 블렌딩 비는 원하는 향미 및/또는 착색의 깊이에 따라 1:1 내지 약 1:8의 범위였다.
실시예 3
기본 반응기 디자인은 위에 응축기를 갖는 상부에 부착된 속슬렛 추출기를 갖는 2목 플라스크로 구성된다. 2목 플라스크의 부피는 1000 ml이고, 속슬렛 추출기의 챔버는 약 200 ml였다. 잭 다니엘스® 배럴 (더블유 더블유 우드 인크., 텍사스주 플레전턴)로부터 제조된 약 30 그램의 목편을 하부 챔버에 위치시켰다. 속슬렛 추출기에서 약 10 g의 동일한 목편을 위치시켰다. 목편을 삽입하기 전에, 속슬렛 추출기의 출구를 덮는 목편 아래에 면 볼을 위치시켰다. 이 면 볼은 필터로 작용하여 추출물로부터 입자를 제거하였다. 플라스크 상의 제2 구멍 내에, 마개를 관통하는 열전대를 갖는 고무 마개 및 유리관을 삽입하였다. 플라스크 외부의 유리관의 말단에 공기 공급원을 부착하였다. 공기를 완전 흐름으로 작동되는 통기장치 (위스퍼 60, 테트라-피쉬, 버지니아주 블랙스버그)로 공급하였다. 목편과 함께 플라스크 내에 에탄올 및 물의 50/50 혼합물을 로딩하였다 (100 프루프 아리스토크랫 보드카). 응축기에 약 14℃의 입구 온도 및 거의 동일한 초기 배출 온도를 갖는 냉수를 공급하였다. 플라스크에 열원을 적용하여 플라스크 내부의 온도를 77 내지 100℃로 상승시켰다. 이로써 에탄올이 먼저 플라스크 내에서 액체로부터 증발되고, 응축기 안으로 이동하여, 속슬렛 추출기 내로 다시 적하되는 액체로 형성되었다. 플라스크 내의 액체 내의 통기장치 (위스퍼 60, 테트라-피쉬, 버지니아주 블랙스버그)로부터의 기포는 속슬렛 추출기에서 상단 아암을 통해 응축기를 거쳐 분위기로 통과하였다. 이러한 공정 동안, 응축기의 상부를 약 20℃ 이하 근처로 유지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코에 의해 용이하게 검출될 수 있는 쓰고 가혹한 냄새 성분을 운반하는 공기의 흐름이 응축기의 상부를 벗어났다. 열이 플라스크에 적용됨에 따라, 추출기를 점진적으로 20 내지 30분의 시간에 걸쳐 채웠다. 이 시간의 종료시에, 추출기를 플라스크로 다시 비웠다. 추출기 내 액체는 하부 플라스크로부터 제거된 고농도의 에탄올이었다. 상부 추출기의 부피가 충분히 크면, 모든 에탄올이 플라스크로부터 배출될 수 있고, 물을 증발시켜 플라스크 내 나머지 공간을 채워 속슬렛을 비우게 하였다. 이러한 제1 사이클의 종료시에, 하부 챔버 내의 액체는 투명 액체 (보드카)로부터 암갈색/호박색 액체로 이미 변화되었다. 속슬렛의 사이클링을 열원으로부터 플라스크를 제거하기 전에 다시 한번 반복하였다. 샘플의 시음은 공정이 덜 가혹한/더 쓴 특징을 갖고 부여된 목재 향미를 갖는 생성물을 생성하는 것을 나타냈다. 이러한 가공액을 원래의 스피릿과 합하여 위스키 향미 생성물을 생성할 수 있다. 가공액과 비가공액의 블렌딩 비는 원하는 향미 및/또는 착색의 깊이에 따라 1:1 내지 약 1:8의 범위였다. 이와 같은 더 적은 양의 목재가 작업에 첨가되는 경우, 색 및 향미 강도는 레귤라 버본 위스키 예컨대 잭 다니엘스®, 짐 빔® 화이트 라벨, 메이커스 마크®, 놉 크릭® 또는 우드포드 리저브®에 대해서 확인된 것에 근접하였다. 이는 투명 내지 약간 흐린 호박색/갈색이었다.
실시예 4
기본 반응기 디자인은 위에 응축기를 갖는 상부에 부착된 속슬렛 추출기를 갖는 2목 플라스크로 구성된다. 2목 플라스크의 부피는 1000 ml이고, 속슬렛 추출기의 챔버는 약 200 ml였다. 체리 목재 (킹스포드((Kingsford), 텍사스주 에니스)로부터 생성된 약 30 g의 목편을 하부 챔버에 위치시켰다. 체리 목편을 먼저 150℃의 오븐에서 1시간 동안 토스팅하였다. 속슬렛 추출기에서 약 10 g의 동일한 목편을 위치시켰다. 목편을 삽입하기 전에, 면 볼을 속슬렛 추출기의 출구를 덮는 목편 아래에 위치시켰다. 이 면 볼은 입자를 추출물로부터 여과하고 제거하는 작용을 하였다. 플라스크 상의 제2 구멍 내에, 마개를 통과하는 열전대를 갖는 고무 마개 및 유리관을 삽입하였다. 플라스크의 외부의 유리관의 말단에 공기 공급원을 부착하였다. 공기를 완전 흐름으로 작동되는 통기장치 (위스퍼 60, 테트라-피쉬, 버지니아주 블랙스버그)로 공급하였다. 목편과 함께 플라스크 내에 에탄올 및 물의 50/50 혼합물을 로딩하였다 (100 프루프 애스토스토래트 보드카)). 응축기에 약 14℃의 입구 온도 및 거의 동일한 초기 배출 온도를 갖는 냉수를 공급하였다. 플라스크에 열원을 적용하여 플라스크 내부의 온도를 77 내지 100℃로 상승시켰다. 이로써 에탄올이 먼저 플라스크 내에서 액체로부터 증발되고, 응축기 안으로 이동하여, 속슬렛 추출기 내로 다시 적하되는 액체로 형성되었다. 플라스크 내의 액체 내의 통기장치 (위스퍼 60, 테트라-피쉬, 버지니아주 블랙스버그)로부터의 기포는 속슬렛 추출기에서 상단 아암을 통해 응축기를 거쳐 분위기로 통과하였다. 이러한 공정 동안, 응축기의 상부를 약 20℃ 이하 근처로 유지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코에 의해 용이하게 검출될 수 있는 쓰고 가혹한 냄새 성분을 운반하는 공기의 흐름이 응축기의 상부를 벗어났다. 열이 플라스크에 적용됨에 따라, 추출기를 점진적으로 20 내지 30분의 시간에 걸쳐 채웠다. 이 시간의 종료시에, 추출기를 플라스크로 다시 비웠다. 추출기 내 액체는 하부 플라스크로부터 제거된 고농도의 에탄올이었다. 상부 추출기의 부피가 충분히 크면, 모든 에탄올이 플라스크로부터 배출될 수 있고, 물을 증발시켜 플라스크 내 나머지 공간을 채워 속슬렛을 비우게 하였다. 이러한 제1 사이클의 종료시에, 하부 챔버 내의 액체는 투명 액체 (보드카)로부터 호박색/적색빛 색조를 갖는 액체로 이미 변화되었다. 속슬렛의 사이클링을 열원으로부터 플라스크를 제거하기 전에 다시 한번 반복하였다. 샘플의 시음은 공정이 덜 가혹한/더 쓴 특징 및 부여된 목재 향미를 갖는 생성물을 생성하는 것을 나타냈다. 이러한 가공액을 원래의 스피릿과 합하여 목재 체리 목재 향미 생성물을 생성할 수 있다. 가공액과 비가공액의 블렌딩 비는 원하는 향미 및/또는 착색의 깊이에 따라 1:1 내지 약 1:8의 범위였다. 이러한 더 적은 양의 목재를 작업에 첨가하는 경우, 생성물을 작업으로부터 제거한 대로 직접 사용할 수 있었다. 이는 투명 내지 약간 흐린 호박색/적색빛이었다.
실시예 5
기본 반응기 디자인은 위에 응축기를 갖는 상부에 부착된 속슬렛 추출기를 갖는 2목 플라스크로 구성된다. 2목 플라스크의 부피는 1000 ml이고, 속슬렛 추출기의 챔버는 약 200 ml였다. 잭 다니셀® 배럴 (더블유 더블유 우드 인크., 텍사스주)로부터 생성된 약 30 g의 목편을 하부 챔버에 위치시켰다. 속슬렛 추출기에서 약 10 g의 동일한 목편을 위치시켰다. 목편을 삽입하기 전에, 면 볼을 속슬렛 추출기의 출구를 덮는 목편 아래에 위치시켰다. 이 면 볼은 입자를 추출물로부터 여과하고 제거하는 작용을 하였다. 속슬렛 추출기 내로 목재와 함께 약 1 인치 길이의 바닐라 빈 조각을 삽입하였다. 플라스크 상의 제2 구멍 내에, 마개를 통과하는 열전대를 갖는 고무 마개 및 유리관을 삽입하였다. 플라스크의 외부의 유리관의 말단에 공기 공급원을 부착하였다. 공기를 완전 흐름으로 작동되는 통기장치 (위스퍼 60, 테트라-피쉬, 버지니아주 블랙스버그)로 공급하였다. 목편과 함께 플라스크 내에 에탄올 및 물의 50/50 혼합물을 로딩하였다 (100 프루프 애스토스토래트 보드카)). 응축기에 약 14℃의 입구 온도 및 거의 동일한 초기 배출 온도를 갖는 냉수를 공급하였다. 플라스크에 열원을 적용하여 플라스크 내부의 온도를 77 내지 100℃로 상승시켰다. 이로써 에탄올이 먼저 플라스크 내에서 액체로부터 증발되고, 응축기 안으로 이동하여, 속슬렛 추출기 내로 다시 적하되는 액체로 형성되었다. 플라스크 내의 액체 내의 통기장치 (위스퍼 60, 테트라-피쉬, 버지니아주 블랙스버그)로부터의 기포는 속슬렛 추출기에서 상단 아암을 통해 응축기를 거쳐 분위기로 통과하였다. 이러한 공정 동안, 응축기의 상부를 약 20℃ 이하 근처로 유지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코에 의해 용이하게 검출될 수 있는 쓰고 가혹한 냄새 성분을 운반하는 공기의 흐름이 응축기의 상부를 벗어났다. 열이 플라스크에 적용됨에 따라, 추출기를 점진적으로 20 내지 30분의 시간에 걸쳐 채웠다. 이 시간의 종료시에, 추출기를 플라스크로 다시 비웠다. 추출기 내 액체는 하부 플라스크로부터 제거된 고농도의 에탄올이었다. 상부 추출기의 부피가 충분히 크면, 모든 에탄올이 플라스크로부터 배출될 수 있고, 물을 증발시켜 플라스크 내 나머지 공간을 채워 속슬렛을 비우게 하였다. 이러한 제1 사이클의 종료시에, 하부 챔버 내의 액체는 투명 액체 (보드카)로부터 암갈색/호박색 액체로 이미 변화되었다. 속슬렛의 사이클링을 열원으로부터 플라스크를 제거하기 전에 다시 한번 반복하였다. 샘플의 시음은 공정이 덜 가혹한/더 쓴 특징 및 부여된 목재 향미를 갖는 생성물을 생성하는 것을 나타냈다. 또한, 생성물은 단순히 목재를 추출하는 것으로부터 기대할 것보다 상당히 더 강하게 뚜렷한 바닐라 냄새를 가졌다. 이러한 향미는 또한 생성물을 시음하는 경우에 현저하였다. 이러한 가공액을 원래의 스피릿과 합하여 바닐라-위스키 향미 생성물을 생성할 수 있다. 가공액과 비가공액의 블렌딩 비는 원하는 향미 및/또는 착색의 깊이에 따라 1:1 내지 약 1:8의 범위였다. 이와 같은 더 적은 양의 목재가 작업에 첨가되는 경우, 색 및 향미 강도는 레귤러 버본 위스키 예컨대 잭 다니엘스®, 짐 빔® 화이트 라벨, 메이커스 마크®에 대해 확인된 것에 근접하였다. 이는 투명 내지 약간 흐린 호박색/갈색이었다.
실시예 6
기본 반응기 디자인은 위에 응축기를 갖는 상부에 부착된 속슬렛 추출기를 갖는 2목 플라스크로 구성된다. 2목 플라스크의 부피는 1000 ml이고, 속슬렛 추출기의 챔버는 약 200 ml였다. 잭 다니셀® 배럴 (더블유 더블유 우드 인크., 텍사스주)로부터 생성된 약 30 g의 목편을 하부 챔버에 위치시켰다. 속슬렛 추출기에서 약 10 g의 동일한 목편을 위치시켰다. 목편을 삽입하기 전에, 면 볼을 속슬렛 추출기의 출구를 덮는 목편 아래에 위치시켰다. 이 면 볼은 입자를 추출물로부터 여과하고 제거하는 작용을 하였다. 속슬렛 추출기 내로 목재와 함께 약 1 인치 길이의 바닐라 빈 조각을 삽입하였다. 하부 챔버에 약 1.5 인치 길이의 시나몬 스틱 뿐만 아니라 약간의 새로운 넛멕의 쉐이빙을 위치시켰다. 플라스크 상의 제2 구멍 안에 고무 마개를 삽입하였다. 목편과 함께 플라스크 내에 에탄올 및 물의 50/50 혼합물을 로딩하였다 (100 프루프 애스토스토래트 보드카)). 응축기에 약 14℃의 입구 온도 및 거의 동일한 초기 배출 온도를 갖는 냉수를 공급하였다. 플라스크에 열원을 적용하여 플라스크 내부의 온도를 77 내지 100℃로 상승시켰다. 이로써 에탄올이 먼저 플라스크 내에서 액체로부터 증발되고, 응축기 안으로 이동하여, 속슬렛 추출기 내로 다시 적하되는 액체로 형성되었다. 플라스크 내의 액체 내의 통기장치로부터의 기포 (위스퍼 60, 테트라-피쉬, 미국 버지니아주 블랙스버그)는 속슬렛 추출기에서 상단 아암을 통해 응축기를 거쳐 분위기로 통과하였다. 이러한 공정 동안, 응축기의 상부를 약 20℃ 이하 근처로 유지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공정에서 자연 대류에 의해 생성된 소량의 공기의 흐름이 응축기의 상부를 벗어났다. 이러한 냄새는 쓰고 가혹한 냄새 성분 뿐만 아니라 바닐라, 시나몬 및 넛멕의 희미한 냄새이다. 열이 플라스크에 적용됨에 따라, 추출기를 점진적으로 20 내지 30분의 시간에 걸쳐 채웠다. 이 시간의 종료시에, 추출기를 플라스크로 다시 비웠다. 추출기 내 액체는 하부 플라스크로부터 제거된 고농도의 에탄올이었다. 상부 추출기의 부피가 충분히 크면, 모든 에탄올이 플라스크로부터 배출될 수 있고, 물을 증발시켜 플라스크 내 나머지 공간을 채워 속슬렛을 비우게 하였다. 이러한 제1 사이클의 종료시에, 하부 챔버 내의 액체는 투명 액체 (보드카)로부터 암갈색/호박색 액체로 이미 변화되었다. 속슬렛의 사이클링을 열원으로부터 플라스크를 제거하기 전에 다시 한번 반복하였다. 샘플의 취입은 공정이 먼저 초래된 샘플 베이스 품질 및 부여된 목재/바닐라/시나몬/넛멕 향미를 많은 샘플을 갖는 생성물을 제공한다는 것을 나타냈다. 이러한 향미는 또한 생성물을 시음하는 경우에 현저하였다. 이러한 가공액은 원래의 스피릿과 다시 합하여 시나몬/넛멕/바닐라-위스키 향미 생성물을 생성할 수 있다. 가공액과 비가공액의 블렌딩 비는 원하는 향미의 깊이 및 착색에 따라 1:1 내지 약 1:8의 범위였다. 이와 같은 더 적은 양의 목재가 작업에 첨가되는 경우, 색 및/또는 향미 강도는 레귤라 버본 위스키, 예컨대 잭 다니엘스®, 짐 빔® 화이트 라벨, 메이커스 마크®에 대해 확인된 것에 근접하였다. 이는 투명 내지 약간 흐린 암호박색/갈색이었다.
실시예 7
기본 반응기 디자인은 위에 응축기를 갖는 상부에 부착된 속슬렛 추출기를 갖는 2목 플라스크로 구성된다. 2목 플라스크의 부피는 1000 ml이고, 속슬렛 추출기의 챔버는 약 200 ml였다. 생성된 약 70 g의 목편을 하부 챔버에 위치시켰다. 속슬렛 추출기에서 약 20 g의 동일한 목편을 위치시켰다. 목편을 1 인치 두께 및 6 인치 폭의 아메리칸 화이트 오크 보드로부터 제조하였다. 보드를 1 인치 x 6 인치 x 약 1 인치의 블록으로 절단하였다. 이어서, 이들 블록을 오븐에서 180℃에서 3시간 동안 토스팅하였다. 이어서, 블록을 1 인치 x 약 1/2 인치 x 약 1/4 인치의 치수의 블록 형상으로 칩으로 감소시켰다. 이들 칩은 그의 일반적인 외관에서 "미니" 스타브를 나타냈다. 목편을 삽입하기 전에, 면 볼을 속슬렛 추출기의 출구를 덮는 목편 아래에 위치시켰다. 이 면 볼은 입자를 추출물로부터 여과하고 제거하는 작용을 하였다. 플라스크 상의 제2 구멍 안에 고무 마개를 삽입하였다. 목편과 함께 플라스크 내에 에탄올 및 물의 50/50 혼합물을 로딩하였다 (100 프루프 애스토스토래트 보드카)). 응축기에 약 14℃의 입구 온도 및 거의 동일한 초기 배출 온도를 갖는 냉수를 공급하였다. 플라스크에 열원을 적용하여 플라스크 내부의 온도를 77 내지 100℃로 상승시켰다. 이로써 에탄올이 먼저 플라스크 내에서 액체로부터 증발되고, 응축기 안으로 이동하여, 속슬렛 추출기 내로 다시 적하되는 액체로 형성되었다. 플라스크 내의 액체 내의 통기장치로부터의 기포 (위스퍼 60, 테트라-피쉬, 미국 버지니아주 블랙스버그)는 속슬렛 추출기에서 상단 아암을 통해 응축기를 거쳐 분위기로 통과하였다. 이러한 공정 동안, 응축기의 상부를 약 20℃ 이하 근처로 유지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통기장치 (위스퍼 60, 테트라-피쉬, 버지니아주 블랙스버그)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에 더하여 공정에서 자연 대류에 의해 생성되는 소량의 공기의 흐름이 응축기의 상부를 벗어났다. 열이 플라스크에 적용됨에 따라, 추출기를 점진적으로 20 내지 30분의 시간에 걸쳐 채웠다. 이 시간의 종료시에, 추출기를 플라스크로 다시 비웠다. 추출기 내 액체는 하부 플라스크로부터 제거된 고농도의 에탄올이었다. 상부 추출기의 부피가 충분히 크면, 모든 에탄올이 플라스크로부터 배출될 수 있고, 물을 증발시켜 플라스크 내 나머지 공간을 채워 속슬렛을 비우게 하였다. 이러한 제1 사이클의 종료시에, 하부 챔버 내의 액체는 투명 액체 (보드카)로부터 암갈색/호박색 액체로 이미 변화되었다. 속슬렛의 사이클링을 열원으로부터 플라스크를 제거하기 전에 다시 한번 반복하였다. 샘플의 향 및 맛은 공정이 개선된 향미를 갖는 생성물을 생성하고, 원치 않는 액체 성분을 제거하고 카라멜, 스모크, 바닐라, 메이플 시럽 아로마 및 향미를 부여하는 것을 나타냈다. 이러한 향미는 또한 생성물을 시음하는 경우에 현저하였다. 이러한 가공액은 원래의 스피릿과 합하여, 위스키 향미 생성물을 생성할 수 있다. 가공액과 비가공액의 블렌딩 비는 원하는 향미 및/또는 착색의 깊이에 따라 1:1 내지 약 1:30의 범위였다. 이는 투명 내지 약간 흐린 암호박색/갈색 호박색/갈색이었다.
실시예 8
기본 반응기 디자인은 위에 응축기를 갖는 상부에 부착된 속슬렛 추출기를 갖는 2목 플라스크로 구성된다. 응축기의 하부에는, 속슬렛으로 되돌아갈 때 응축물이 통과해야 하는 구리 메쉬를 삽입하였다. 이러한 구리는 원치 않는 황 화합물을 결합에 의해 제거하고, 또한 소량으로 에탄올로부터 아세트산을 생성하는 촉매를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목 플라스크의 부피는 1000 ml이고, 속슬렛 추출기의 챔버는 약 200 ml였다. 생성된 약 70 g의 목편을 하부 챔버에 위치시켰다. 속슬렛 추출기에서 약 20 g의 동일한 목편을 위치시켰다. 목편을 1 인치 두께 및 6 인치 폭의 아메리칸 화이트 오크 보드로부터 제조하였다. 보드를 1 인치 x 6 인치 x 약 1 인치의 블록으로 절단하였다. 이어서, 이들 블록을 오븐에서 180℃에서 3시간 동안 토스팅하였다. 이어서, 블록은 1 인치 x 약 1/2 인치 x 약 1/4 인치의 치수의 블록 형상으로 칩으로 감소되었다. 이들 칩은 그의 일반적인 외관에서 "미니" 스타브를 나타냈다. 목편을 삽입하기 전에, 면 볼을 속슬렛 추출기의 출구를 덮는 목편 아래에 위치시켰다. 이 면 볼은 입자를 추출물로부터 여과하고 제거하는 작용을 하였다. 플라스크 상의 제2 구멍 안에 고무 마개를 삽입하였다. 목편과 함께 플라스크 내에 에탄올 및 물의 50/50 혼합물을 로딩하였다 (100 프루프 애스토스토래트 보드카)). 응축기에 약 14℃의 입구 온도 및 거의 동일한 초기 배출 온도를 갖는 냉수를 공급하였다. 플라스크에 열원을 적용하여 플라스크 내부의 온도를 77 내지 100℃로 상승시켰다. 이로써 에탄올이 먼저 플라스크 내에서 액체로부터 증발되고, 응축기 안으로 이동하여, 속슬렛 추출기 내로 다시 적하되는 액체로 형성되었다. 플라스크 내의 액체 내의 통기장치로부터의 기포 (위스퍼 60, 테트라-피쉬, 미국 버지니아주 블랙스버그)는 속슬렛 추출기에서 상단 아암을 통해 응축기를 거쳐 분위기로 통과하였다. 이러한 공정 동안, 응축기의 상부를 약 20℃ 이하 근처로 유지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통기장치 (위스퍼 60, 테트라-피쉬, 버지니아주 블랙스버그)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에 더하여 공정에서 자연 대류에 의해 생성되는 소량의 공기의 흐름이 응축기의 상부를 벗어났다. 열이 플라스크에 적용됨에 따라, 추출기를 점진적으로 20 내지 30분의 시간에 걸쳐 채웠다. 이 시간의 종료시에, 추출기를 플라스크로 다시 비웠다. 추출기 내 액체는 하부 플라스크로부터 제거된 고농도의 에탄올이었다. 상부 추출기의 부피가 충분히 크면, 모든 에탄올이 플라스크로부터 배출될 수 있고, 물을 증발시켜 플라스크 내 나머지 공간을 채워 속슬렛을 비우게 하였다. 이러한 제1 사이클의 종료시에, 하부 챔버 내의 액체는 투명 액체 (보드카)로부터 암갈색/호박색 액체로 이미 변화되었다. 속슬렛의 사이클링을 열원으로부터 플라스크를 제거하기 전에 다시 한번 반복하였다. 샘플의 향 및 맛은 공정이 개선된 향미를 갖는 생성물을 생성하고, 원치 않는 액체 성분을 제거하고 카라멜, 스모크, 바닐라, 메이플 시럽 아로마 및 향미를 부여하는 것을 나타냈다. 이러한 향미는 또한 생성물을 시음하는 경우에 현저하였다. 이러한 가공액을 원래의 스피릿과 합하여 위스키 향미 생성물을 생성할 수 있다. 가공액과 비가공액의 블렌딩 비는 원하는 향미의 깊이에 따라 1:1 내지 약 1:30의 범위였다. 이는 투명 내지 약간 흐린 암호박색/갈색이었다.
실시예 9
기본 반응기 디자인은 위에 응축기를 갖는 상부에 부착된 속슬렛 추출기를 갖는 2목 플라스크로 구성된다. 응축기의 하부에는, 속슬렛으로 되돌아갈 때 응축물이 통과해야 하는 구리 메쉬를 삽입하였다. 이러한 구리는 원치 않는 황 화합물을 결합에 의해 제거하고, 또한 소량으로 에탄올로부터 아세트산을 생성하는 촉매를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목 플라스크의 부피는 1000 ml이고, 속슬렛 추출기의 챔버는 약 200 ml였다. 생성된 약 70 g의 목편을 하부 챔버에 위치시켰다. 속슬렛 추출기에서 약 20 g의 동일한 목편을 위치시켰다. 목편을 1 인치 두께 및 6 인치 폭의 아메리칸 화이트 오크 보드로부터 제조하였다. 보드를 1 인치 x 6 인치 x 약 1 인치의 블록으로 절단하였다. 이어서, 이들 블록을 오븐에서 180℃에서 3시간 동안 토스팅하였다. 이어서, 블록은 1 인치 x 약 1/2 인치 x 약 1/4 인치의 치수의 블록 형상으로 칩으로 감소되었다. 이들 칩은 그의 일반적인 외관에서 "미니" 스타브를 나타냈다. 목편을 삽입하기 전에, 면 볼을 속슬렛 추출기의 출구를 덮는 목편 아래에 위치시켰다. 이 면 볼은 입자를 추출물로부터 여과하고 제거하는 작용을 하였다. 플라스크 상의 제2 구멍 안에 고무 마개를 삽입하였다. 목편과 함께 플라스크 내에, 뉴 오크 배럴 (80 프루프 진 빔® 화이트 고스트 화이트 위스키)에서 적어도 1년 숙성시킨 40% (80 프루프) 화이트 위스키를 로딩하였다. 응축기에 약 14℃의 입구 온도 및 거의 동일한 초기 배출 온도를 갖는 냉수를 공급하였다. 플라스크에 열원을 적용하여 플라스크 내부의 온도를 77 내지 100℃로 상승시켰다. 이로써 에탄올이 먼저 플라스크 내에서 액체로부터 증발되고, 응축기 안으로 이동하여, 속슬렛 추출기 내로 다시 적하되는 액체로 형성되었다. 플라스크 내의 액체 내의 통기장치로부터의 기포 (위스퍼 60, 테트라-피쉬, 미국 버지니아주 블랙스버그)는 속슬렛 추출기에서 상단 아암을 통해 응축기를 거쳐 분위기로 통과하였다. 이러한 공정 동안, 응축기의 상부를 약 20℃ 이하 근처로 유지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통기장치 (위스퍼 60, 테트라-피쉬, 버지니아주 블랙스버그)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에 더하여 공정에서 자연 대류에 의해 생성되는 소량의 공기의 흐름이 응축기의 상부를 벗어났다. 열이 플라스크에 적용됨에 따라, 추출기를 점진적으로 20 내지 30분의 시간에 걸쳐 채웠다. 이 시간의 종료시에, 추출기를 플라스크로 다시 비웠다. 추출기 내 액체는 하부 플라스크로부터 제거된 고농도의 에탄올이었다. 상부 추출기의 부피가 충분히 크면, 모든 에탄올이 플라스크로부터 배출될 수 있고, 물을 증발시켜 플라스크 내 나머지 공간을 채워 속슬렛을 비우게 하였다. 이러한 제1 사이클의 종료시에, 하부 챔버 내의 액체는 투명한 액체 (화이트 위스키)로부터 암갈색/호박색 액체로 이미 변화되었다. 속슬렛의 사이클링을 열원으로부터 플라스크를 제거하기 전에 다시 한번 반복하였다. 샘플의 향 및 맛은 공정이 개선된 향미를 갖는 생성물을 생성하고, 원치 않는 액체 성분을 제거하고 카라멜, 스모크, 바닐라, 메이플 시럽 아로마 및 향미를 부여하는 것을 나타냈다. 이러한 향미는 또한 생성물을 시음하는 경우에 현저하였다. 이러한 가공액은 원래의 스피릿과 합하여, 위스키 향미 생성물을 생성할 수 있다. 가공액과 비가공액의 블렌딩 비는 원하는 향미의 깊이에 따라 1:1 내지 약 1:30의 범위였다. 이는 투명 내지 약간 흐린 암호박색/갈색이었다.
실시예 10
기본 반응기 디자인은 위에 응축기를 갖는 상부에 부착된 속슬렛 추출기를 갖는 2목 플라스크로 구성된다. 응축기의 하부에는, 속슬렛으로 되돌아갈 때 응축물이 통과해야 하는 구리 메쉬를 삽입하였다. 이러한 구리는 원치 않는 황 화합물을 결합에 의해 제거하고, 또한 소량으로 에탄올로부터 아세트산을 생성하는 촉매를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목 플라스크의 부피는 1000 ml이고, 속슬렛 추출기의 챔버는 약 200 ml였다. 생성된 약 70 g의 목편을 하부 챔버에 위치시켰다. 속슬렛 추출기에서 약 20 g의 동일한 목편을 위치시켰다. 목편을 1 인치 두께 및 6 인치 폭의 아메리칸 화이트 오크 보드로부터 제조하였다. 보드를 1 인치 x 6 인치 x 약 1 인치의 블록으로 절단하였다. 이어서, 이들 블록을 오븐에서 180℃에서 3시간 동안 토스팅하였다. 이어서, 블록은 1 인치 x 약 1/2 인치 x 약 1/4 인치의 치수의 블록 형상으로 칩으로 감소되었다. 이들 칩은 그의 일반적인 외관에서 "미니" 스타브를 나타냈다. 목편을 삽입하기 전에, 면 볼을 속슬렛 추출기의 출구를 덮는 목편 아래에 위치시켰다. 이 면 볼은 입자를 추출물로부터 여과하고 제거하는 작용을 하였다. 플라스크 상의 제2 구멍 안에 고무 마개를 삽입하였다. 목편과 함께 플라스크 내에, 뉴 오크 배럴 (80 프루프 진 빔® 화이트 고스트 화이트 위스키)에서 적어도 1년 숙성시킨 43% (86 프루프) 스트레이트 버본 위스키를 로딩하였다. 응축기에 약 14℃의 입구 온도 및 거의 동일한 초기 배출 온도를 갖는 냉수를 공급하였다. 플라스크에 열원을 적용하여 플라스크 내부의 온도를 77 내지 100℃로 상승시켰다. 이로써 에탄올이 먼저 플라스크 내에서 액체로부터 증발되고, 응축기 안으로 이동하여, 속슬렛 추출기 내로 다시 적하되는 액체로 형성되었다. 플라스크 내의 액체 내의 통기장치로부터의 기포 (위스퍼 60, 테트라-피쉬, 미국 버지니아주 블랙스버그)는 속슬렛 추출기에서 상단 아암을 통해 응축기를 거쳐 분위기로 통과하였다. 이러한 공정 동안, 응축기의 상부를 약 20℃ 이하 근처로 유지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통기장치 (위스퍼 60, 테트라-피쉬, 버지니아주 블랙스버그)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에 더하여 공정에서 자연 대류에 의해 생성되는 소량의 공기의 흐름이 응축기의 상부를 벗어났다. 열이 플라스크에 적용됨에 따라, 추출기를 점진적으로 20 내지 30분의 시간에 걸쳐 채웠다. 이 시간의 종료시에, 추출기를 플라스크로 다시 비웠다. 추출기 내 액체는 하부 플라스크로부터 제거된 고농도의 에탄올이었다. 상부 추출기의 부피가 충분히 크면, 모든 에탄올이 플라스크로부터 배출될 수 있고, 물을 증발시켜 플라스크 내 나머지 공간을 채워 속슬렛을 비우게 하였다. 이러한 제1 사이클의 종료시에, 하부 챔버 내의 액체는 투명한 액체 (화이트 위스키)로부터 암갈색/호박색 액체로 이미 변화되었다. 속슬렛의 사이클링을 열원으로부터 플라스크를 제거하기 전에 다시 한번 반복하였다. 샘플의 향 및 맛은 공정이 개선된 향미를 갖는 생성물, 액체의 원치 않는 성분을 제거하고 카라멜, 스모크, 바닐라, 메이플 시럽 아로마 및 향미제를 부여하는 것을 일으킨다는 것을 나타냈다. 이러한 향미는 또한 생성물을 시음하는 경우에 현저하였다. 이러한 가공액을 원래의 스피릿과 합하여 위스키 향미 생성물을 생성할 수 있다. 가공액과 비가공액의 블렌딩 비는 원하는 향미 및/또는 착색의 깊이에 따라 1:1 내지 약 1:30의 범위였다. 이는 투명 내지 약간 흐린 암호박색/갈색이었다. 이러한 생성물은 맥주와 조합되어 버번 배럴 향미 맥주를 제조할 수 있었다.
실시예 11
기본 반응기 디자인은 위에 응축기를 갖는 상부에 부착된 속슬렛 추출기를 갖는 2목 플라스크로 구성된다. 응축기의 하부에는, 속슬렛으로 되돌아갈 때 응축물이 통과해야 하는 구리 메쉬를 삽입하였다. 이러한 구리는 원치 않는 황 화합물을 결합에 의해 제거하고, 또한 소량으로 에탄올로부터 아세트산을 생성하는 촉매를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목 플라스크의 부피는 1000 ml이고, 속슬렛 추출기의 챔버는 약 200 ml였다. 생성된 약 70 g의 목편을 하부 챔버에 위치시켰다. 속슬렛 추출기에서 약 20 g의 동일한 목편을 위치시켰다. 목편을 1 인치 두께 및 6 인치 폭의 아메리칸 화이트 오크 보드로부터 제조하였다. 보드를 1 인치 x 6 인치 x 약 1 인치의 블록으로 절단하였다. 이어서, 이들 블록을 오븐에서 180℃에서 3시간 동안 토스팅하였다. 이어서, 블록은 1 인치 x 약 1/2 인치 x 약 1/4 인치의 치수의 블록 형상으로 칩으로 감소되었다. 이들 칩은 그의 일반적인 외관에서 "미니" 스타브를 나타냈다. 목편을 삽입하기 전에, 면 볼을 속슬렛 추출기의 출구를 덮는 목편 아래에 위치시켰다. 이 면 볼은 입자를 추출물로부터 여과하고 제거하는 작용을 하였다. 목편 이외에, 고체 산 촉매가 속슬렛에 위치하였다. 5 M 황산 중에 약 3 g의 경질목 목탄 조각을 3시간 동안 침지시킴으로써 상기 촉매를 형성하였다. 이어서, 탈이온수 중에 밤새 침지시킨 후 pH가 7+/-0.5 가 될 때까지 촉매를 반복하여 탈이온수로 세정하였다. 고체 산 촉매는 반응을 위해 아세트산 및 에탄올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전환시키는 촉매에 작용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플라스크 상의 제2 구멍 안에 고무 마개를 삽입하였다. 목편과 함께 플라스크 내에, 뉴 오크 배럴 (80 프루프 진 빔® 화이트 고스트 화이트 위스키)에서 적어도 1년 숙성된 43% (86 프루프) 스트레이트 버본 위스키를 로딩하였다. 응축기에 약 14℃의 입구 온도 및 거의 동일한 초기 배출 온도를 갖는 냉수를 공급하였다. 플라스크에 열원을 적용하여 플라스크 내부의 온도를 77 내지 100℃로 상승시켰다. 이로써 에탄올이 먼저 플라스크 내에서 액체로부터 증발되고, 응축기 안으로 이동하여, 속슬렛 추출기 내로 다시 적하되는 액체로 형성되었다. 플라스크 내의 액체 내의 통기장치로부터의 기포 (위스퍼 60, 테트라-피쉬, 미국 버지니아주 블랙스버그)는 속슬렛 추출기에서 상단 아암을 통해 응축기를 거쳐 분위기로 통과하였다. 이러한 공정 동안, 응축기의 상부를 약 20℃ 이하 근처로 유지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통기장치 (위스퍼 60, 테트라-피쉬, 버지니아주 블랙스버그)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에 더하여 공정에서 자연 대류에 의해 생성되는 소량의 공기의 흐름이 응축기의 상부를 벗어났다. 열이 플라스크에 적용됨에 따라, 추출기를 점진적으로 20 내지 30분의 시간에 걸쳐 채웠다. 이 시간의 종료시에, 추출기를 플라스크로 다시 비웠다. 추출기 내 액체는 하부 플라스크로부터 제거된 고농도의 에탄올이었다. 상부 추출기의 부피가 충분히 크면, 모든 에탄올이 플라스크로부터 배출될 수 있고, 물을 증발시켜 플라스크 내 나머지 공간을 채워 속슬렛을 비우게 하였다. 이러한 제1 사이클의 종료시에, 하부 챔버 내의 액체는 투명한 액체 (화이트 위스키)로부터 암갈색/호박색 액체로 이미 변화되었다. 속슬렛의 사이클링을 열원으로부터 플라스크를 제거하기 전에 다시 한번 반복하였다. 샘플의 향 및 맛은 공정이 개선된 향미를 갖는 생성물을 생성하고, 원치 않는 액체 성분을 제거하고 카라멜, 스모크, 바닐라, 메이플 시럽 아로마 및 향미를 부여하는 것을 나타냈다. 이러한 향미는 또한 생성물을 시음하는 경우에 현저하였다. 이러한 가공액은 원래의 스피릿과 다시 합하여 위스키 향미 생성물을 생성할 수 있다. 가공액과 비가공액의 블렌딩 비는 원하는 향미 및 착색의 깊이에 따라 1:1 내지 약 1:30의 범위이었다. 이는 투명 내지 약간 흐린 암호박색/갈색이었다. 이러한 생성물은 맥주와 조합되어 버번 배럴 향미 맥주를 제조할 수 있었다.
실시예 12
기본 반응기 디자인은 단단히 밀봉되는 뚜껑을 갖는 반응 케틀로 구성된다. 뚜껑은 그 안에 5개의 구멍을 갖는다. 하나는 속슬렛 추출기에 부착하고, 하나는 유리관와 함께 고무 마개를 통해 삽입된 열전대를 가져 액체에 기체 흐름을 제공하였다. 다른 개구부를 고무 마개로 밀봉하였다. 속슬렛 추출기에 상기 응축기를 부착하였다. 응축기의 하부에는, 속슬렛으로 되돌아갈 때 응축물이 통과해야 하는 구리 메쉬를 삽입하였다. 이러한 구리는 원치 않는 황 화합물을 결합에 의해 제거하고, 또한 소량으로 에탄올로부터 아세트산을 생성하는 촉매를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응 케틀의 부피는 1000 ml이고, 속슬렛 추출기의 챔버는 약 200 ml였다. 생성된 약 70 g의 목편을 하부 챔버에 위치시켰다. 속슬렛 추출기에서 약 14 g의 동일한 목편을 위치시켰다. 목편은 인디펜던트 스타브 캄파니 엘엘씨 (Independent Stave Company LLC) (미주리주 레바논)로부터 입수하고, 큐베' 2로 공지된다. 이들은 다양한 수준의 토스팅에서 토스팅하고 함께 블렌딩하는 화이트 오크 칩인 것으로 여겨졌다. 목편을 삽입하기 전에, 면 볼을 속슬렛 추출기의 출구를 덮는 목편 아래에 위치시켰다. 이 면 볼은 입자를 추출물로부터 여과하고 제거하는 작용을 하였다. 목편과 함께 플라스크 내에 렉스 골리아스 카베르네 쇼비뇽 레드 와인 (600 그램)을 로딩하였다. 호스를 응축기의 상부에 고정시켰다. 호스의 말단을 물에 잠기게 하여 공기가 장치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물 트랩을 생성하였다. 마개를 통과하는 유리관에 질소 상의 흐름을 부가하여 장치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제거하였다. 퍼징 후에, 소량의 질소 흐름이 남아있어 장치로부터 원치 않는 향미 및 아로마를 제거하는 것을 보조하였다. 응축기에 약 14℃의 입구 온도 및 거의 동일한 초기 배출 온도를 갖는 냉수를 공급하였다. 플라스크에 열원을 적용하여 플라스크 내부의 온도를 77 내지 100℃로 상승시켰다. 이로써 에탄올이 먼저 플라스크 내에서 액체로부터 증발되고, 응축기 안으로 이동하여, 속슬렛 추출기 내로 다시 적하되는 액체로 형성되었다. 이러한 공정 동안, 응축기의 상부를 약 20℃ 이하 근처로 유지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가압 질소 탱크에 의해 공급되는 소량의 질소의 흐름이 응축기의 상부를 벗어났다. 열이 플라스크에 적용됨에 따라, 추출기를 점진적으로 20 내지 30분의 시간에 걸쳐 채웠다. 이 시간의 종료시에, 추출기는 반응 케틀로 다시 비웠다. 추출기 내 액체는 하부 플라스크로부터 제거된 고농도의 에탄올이었다. 상부 추출기의 부피가 충분히 크면, 모든 에탄올이 플라스크로부터 배출될 수 있고, 물을 증발시켜 플라스크 내 나머지 공간을 채워 속슬렛을 비우게 하였다. 이 제1 사이클의 종료시, 하부 챔버 내의 액체는 현저하게 어두워졌다. 속슬렛의 이러한 사이클링을 비우기 사이클에서 약 30분 피니싱 동안 반복한 후, 플라스크를 열원으로부터 제거하였다. 샘플의 향 및 맛은 공정이 상이한 향미 및 아로마를 갖는 생성물을 생성하는 것을 나타냈다. 소량으로 원래의 와인에 첨가될 경우에, 구강 촉감을 개선시키고, 와인을 어둡게 하고, 오크 우드 향미를 부가하고, 바닐라 향미를 부가하고, 와인을 보다 고급스럽게 하도록 와인을 변경시켰다. 이러한 특징은 일반적으로 와인 향미 및 아로마에서의 개선으로서 인지된다.
실시예 13
기본 반응기 디자인은 단단히 밀봉한 뚜껑을 갖는 반응 케틀로 구성된다. 뚜껑은 그 안에 5개의 구멍을 갖는다. 하나는 속슬렛 추출기에 부착하고, 하나는 유리관와 함께 고무 마개를 통해 삽입된 열전대를 가져 액체에 기체 흐름을 제공하였다. 다른 개구부를 고무 마개로 밀봉하였다. 속슬렛 추출기에 상기 응축기를 부착하였다. 응축기의 하부에는, 속슬렛으로 되돌아갈 때 응축물이 통과해야 하는 구리 메쉬를 삽입하였다. 이러한 구리는 원치 않는 황 화합물을 결합에 의해 제거하고, 또한 소량으로 에탄올로부터 아세트산을 생성하는 촉매를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응 케틀의 부피는 1000 ml이고, 속슬렛 추출기의 챔버는 약 200 ml였다. 생성된 약 70 g의 목편을 하부 챔버에 위치시켰다. 속슬렛 추출기에서 약 14 g의 동일한 목편을 위치시켰다. 목편은 인디펜던트 스타브 캄파니 엘엘씨 (미주리주 레바논)로부터 입수하고, 큐베' 2로 공지된다. 이들은 다양한 수준의 토스팅에서 토스팅하고 함께 블렌딩하는 화이트 오크 칩인 것으로 여겨졌다. 목편을 삽입하기 전에, 면 볼을 속슬렛 추출기의 출구를 덮는 목편 아래에 위치시켰다. 이 면 볼은 입자를 추출물로부터 여과하고 제거하는 작용을 하였다. 목편과 함께 플라스크 내에 베어푸트 샤도네이 화이트 와인 (600 그램)을 로딩하였다. 호스를 응축기의 상부에 고정시켰다. 호스의 말단을 물에 잠기게 하여 공기가 장치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물 트랩을 생성하였다. 마개를 통과하는 유리관에 질소 흐름을 부가하여 장치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제거하였다. 퍼징 후에, 소량의 질소 흐름이 남아있어 장치로부터 원치 않는 향미 및/또는 아로마를 제거하는 것을 보조하였다. 응축기에 약 14℃의 입구 온도 및 거의 동일한 초기 배출 온도를 갖는 냉수를 공급하였다. 플라스크에 열원을 적용하여 플라스크 내부의 온도를 77 내지 100℃로 상승시켰다. 이로써 에탄올이 먼저 플라스크 내에서 액체로부터 증발되고, 응축기 안으로 이동하여, 속슬렛 추출기 내로 다시 적하되는 액체로 형성되었다. 이러한 공정 동안, 응축기의 상부를 약 20℃ 이하 근처로 유지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응축기의 상부를 통해 벗어나는 것은 가압 질소 탱크에 의해 공급되는 소량의 질소의 흐름이었다. 열이 플라스크에 적용됨에 따라, 추출기를 점진적으로 20 내지 30분의 시간에 걸쳐 채웠다. 이 시간의 종료시에, 추출기는 반응 케틀로 다시 비웠다. 추출기 내 액체는 하부 플라스크로부터 제거된 고농도의 에탄올이었다. 상부 추출기의 부피가 충분히 크면, 모든 에탄올이 플라스크로부터 배출될 수 있고, 물을 증발시켜 플라스크 내 나머지 공간을 채워 속슬렛을 비우게 하였다. 이 제1 사이클의 종료시, 하부 챔버 내의 액체는 현저하게 어두워졌다. 속슬렛의 이러한 사이클링을 비우기 사이클에서 약 30분 동안 반복한 후, 플라스크를 열원으로부터 제거하였다. 샘플의 냄새 및 맛은 공정이 상이한 향미 및 아로마를 갖는 생성물을 생성하는 것을 나타냈다. 와인의 외관은 색에 있어서 담황색에서 꿀의 색과 연관된 호박색, 또는 숙성된 버본으로 변하였다. 소량으로 원래의 와인에 첨가될 경우에, 구강 촉감을 개선시키고, 와인을 어둡게 하고, 오크 우드 향미를 부가하고, 바닐라 향미를 부가하고, 와인을 보다 고급스럽게 하도록 와인을 변경시켰다. 이러한 특징은 일반적으로 와인 향미 및 아로마에서의 개선으로서 인지된다.
실시예 14
기본 반응기 디자인은 속슬렛 추출기 상에 응축기를 갖는 2목 플라스크의 상부에 부착된 속슬렛 추출기를 갖는 2목 플라스크로 구성된다. 2목 플라스크의 부피는 1000 ml이고, 속슬렛 추출기의 챔버의 부피는 약 200 ml였다. 목재를 표 1에 따라 하부 플라스크 및 상부 플라스크에 위치시켰다. 목재는 장치에 위치되기 전에 토스팅되는 방법에 따라 달라졌다. 목재의 원래의 공급원은 대략 1/2 인치 x 3/4 인치 x 1/4 인치의 칩으로 감소된 화이트 오크 보드였다. 이어서, 칩을 표 1에 따라 0 내지 3시간에 토스팅하였다. 플라스크 상의 제2 구멍 내로 마개를 통과하는 열전대를 갖는 고무 마개 및 유리관을 삽입하였다. 플라스크의 외부의 유리관의 말단에 공기 공급원을 부착하였다. 공기를 다양한 흐름으로 작동되는 통기장치 (위스퍼 60, 테트라-피쉬, 버지니아주 블랙스버그)에 의해 공급하였다. 흐름을 3개의 위치 중 하나로 이동되는 작은 밸브의 부착에 의해 제어하였다: 완전 개방 (고 공기), 절반 개방 (중간 공기), 및 1/4 개방 (저 공기). 표 1에 따라 공기를 적용하였다. 목편과 함께 플라스크 내로 표 1에 나타낸 에탄올 및 물의 50/50 혼합물을 로딩하였다 (100 프루프 애스토스토래트 보드카). 응축기에 약 14℃의 입구 온도 및 거의 동일한 초기 배출 온도를 갖는 냉수를 공급하였다. 플라스크에 열원을 적용하여 플라스크 내부의 온도를 77 내지 100℃로 상승시켰다. 이로써 에탄올이 먼저 플라스크 내에서 액체로부터 증발되고, 응축기 안으로 이동하여, 속슬렛 추출기 내로 다시 적하되는 액체로 형성되었다. 플라스크 내의 액체 내의 통기장치로부터의 기포 (위스퍼 60, 테트라-피쉬, 미국 버지니아주 블랙스버그)는 속슬렛 추출기에서 상단 아암을 통해 응축기를 거쳐 분위기로 통과하였다. 이러한 공정 동안, 응축기의 상부를 약 20℃ 이하 근처로 유지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코에 의해 용이하게 검출될 수 있는 쓰고 가혹한 냄새 성분을 운반하는 공기의 흐름이 응축기의 상부를 벗어났다. 열이 플라스크에 적용됨에 따라, 추출기를 점진적으로 20 내지 30분의 시간에 걸쳐 채웠다. 이 시간의 종료시에, 추출기를 플라스크로 다시 비웠다. 추출기 내 액체는 하부 플라스크로부터 제거된 고농도의 에탄올이었다. 상부 추출기의 부피가 충분히 크면, 모든 에탄올이 플라스크로부터 배출될 수 있고, 물을 증발시켜 플라스크 내 나머지 공간을 채워 속슬렛을 비우게 하였다. 이러한 제1 사이클의 종료시에, 하부 챔버 내의 액체는 투명 액체 (보드카)로부터 암갈색/호박색 액체로 이미 변화되었다. 속슬렛의 사이클링을 열원으로부터 플라스크를 제거하기 전에 다시 한번 반복하였다. 이어서, 샘플을 하기와 같이 희석하였다: 150 ml의 농축물을 600 ml의 원래의 보드카에 첨가하였다 (농축물 대 보드카 1:4 비). 이어서, 샘플을 브루잉 앤드 디스틸링 어낼리티컬 서비시스, 엘엘씨(rewing and Distilling Analytical Services, LLC) (켄터키주 렉싱턴)에 제출하였다. 샘플을 하기에 대해 시험하였다: 부피 기준 알콜 (% 20℃), 부피 기준 알콜 (% 60℉), 중량 기준 알콜 (% 20℃), 프루프 (60℉), 총 고체 (g/100L, 프루프), 총 산도 (g/100L 아세트산), 휘발성 산도 (g/100L 아세트산), 아세트알데히드 (ppm), 에틸 아세테이트 (ppm), 메탄올 (ppm), n-프로판올 (ppm), 이소부탄올 (ppm), 1-부탄올 (ppm), 활성 및 이소-아밀 알콜 (ppm), 퓨젤유 (ppm), pH, 색상 (abs 525 nm)에 대해 시험하였다. 장치의 작동의 다양한 조건 하에 변동성을 나타내는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표 1. 대조군 샘플을 포함하는 12개 샘플의 실험 설정.
Figure pct00001
표 2: 상기 조건에 의해 생성된 샘플에 대해 이루어진 17회 측정 결과. 샘플 선택물을 실온에서 "B" 표시로 표시된 병에 보관한 후 1년 후에 시험하였다. 델타 값은 초기 값에서 병에서의 1년 값을 뺀 차를 기록한다.
Figure pct00002
실시예 15
기본 반응기 디자인은 단단히 밀봉되는 뚜껑을 갖는 반응 케틀로 구성된다. 뚜껑은 그 안에 5개의 구멍을 가졌다. 하나는 속슬렛 추출기에 부착하고, 하나는 유리관와 함께 고무 마개를 통해 삽입된 열전대를 가져 액체에 기체 흐름을 제공하였다. 다른 개구부는 플라스틱 마개로 밀봉하였다. 속슬렛 추출기에 상기 응축기를 부착하였다. 응축기의 하부에는, 속슬렛으로 되돌아갈 때 응축물이 통과해야 하는 구리 메쉬를 삽입하였다. 이러한 구리는 원치 않는 황 화합물을 결합에 의해 제거하고, 또한 소량으로 에탄올로부터 아세트산을 생성하는 촉매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응 케틀의 부피는 1000 ml이고, 속슬렛 추출기의 챔버는 약 200 ml였다. 상이한 기원 및 유형의 다양한 양의 목편을 하부 챔버에 위치시켰다. 이들 양은 표 3에 기재되어 있고, "목재-하부"로 표시된다. 속슬렛 추출기에서,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양한 양의 동일한 목편을 위치시키고, "목재-상부"로 표시한다. 목편은 인디펜던트 스타브 캄파니 엘엘씨 (미주리주 레바논)로부터 입수하였다. 이들 목편은 다양한 토스트를 가지며 공급 회사로부터의 상표명으로 "목재 유형" 하에 확인된다. 하기 목재 유형은 연관 액체, 즉, 포트, 크림 셰리, 건조 셰리 내에 칩을 담그는 것에 의해 변형된 목편이고, +바닐라는 바닐라 빈을 하부 챔버에 첨가하였음을 나타낸다. 이들은 다양한 수준의 토스팅으로 토스팅하고 함께 블렌딩한 화이트 오크 칩인 것으로 여겨졌다. 목편을 삽입하기 전에, 면 볼을 속슬렛 추출기의 출구를 덮는 목편 아래에 위치시켰다. 이 면 볼은 입자를 추출물로부터 여과하고 제거하는 작용을 하였다. 목편과 함께 반응 케틀에 미드웨스트 그레인 프로덕츠 앤드 인그리디언츠(Midwest Grain Products and Ingredients) (MGPI) (캔사스주 애취슨)로부터의 비숙성된 버본 21 % 호밀을 135 프루프로 로딩하였다. 반응 케틀 내로 로딩된 양은 표 3에 제시된다. 호스를 응축기의 상부에 부착하였다. 마개를 통과하는 유리관에 공기의 흐름을 첨가하였다. 응축기의 상부를 통해 벗어나는 공기는, 통기장치 (위스퍼 60, 테트라-피쉬, 버지니아주 블랙스버그)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에 더하여 공정에서 자연 대류에 의해 생성된 소량의 공기의 흐름이었다. 소량의 공기 흐름이 남아있어 장치로부터 원치 않는 향미 및/또는 아로마를 제거하는 것을 보조하였다. 응축기에는 약 16℃의 입구 온도 및 초기 배출 온도가 거의 동일하도록 냉수를 공급하였다. 플라스크에 열원을 적용하여 플라스크 내부의 온도를 77℃ 내지 85℃로 상승시켰다. 이로써 에탄올이 먼저 플라스크 내에서 액체로부터 증발되고, 응축기 안으로 이동하여, 속슬렛 추출기 내로 다시 적하되는 액체로 형성되었다. 이러한 공정 동안, 응축기의 상부를 약 20℃ 이하 근처로 유지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응축기의 상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은 소량의 공기의 흐름이었다. 열이 플라스크에 적용됨에 따라, 추출기를 약 20 내지 60분의 시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채웠다. 이 시간의 종료시에, 추출기는 반응 케틀로 다시 비웠다. 추출기 내 액체는 하부 플라스크로부터 제거된 고농도의 에탄올이었다. 상부 추출기의 부피가 충분히 크면, 모든 에탄올이 플라스크로부터 배출될 수 있고, 물을 증발시켜 플라스크 내 나머지 공간을 채워 속슬렛을 비우게 하였다. 이 제1 사이클의 종료시, 하부 챔버 내의 액체는 현저하게 어두워졌다. 속슬렛의 이러한 사이클링을 비우기 사이클에서 약 10 내지 50분 동안 반복한 후에, 플라스크를 열원으로부터 제거한다. 샘플의 향 및 맛은 공정이 상이한 향미 및 아로마를 갖는 생성물을 생성하는 것을 나타냈다. 비숙성된 버본의 외관은 투명에서 꿀의 색과 연관된 호박색, 또는 숙성된 버본으로 변하였다. 표 4는 3개 파장에서 선택된 샘플의 자외선 광/가시광 흡수를 명시한다.
샘플 UV-Vis 흡수는 바이오라드 스마트스펙 3000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샘플을 1.5 ml 폴리스티렌 큐벳에 희석하지 않고 첨가하였다. 흡광도를 280 nm, 320 nm, 및 420 nm에서 기록하였다. 280 nm 및 320 nm는 가시 스펙트럼 아래이고, 일반적으로 목재 (예: 리그닌 단편)에서 발견될 수 있는 방향족 화합물로 인한 흡수와 관련된다 (Hauser, Marie-Theres, Wimmer, Rupert, "Lignin analysis in ARABIDOPSIS THALIANA using the photometer-microscope MPMSOO", Holzforschung, January 2015.; Kallavus, Urve, Karner, Kristi, Karner, Kart, Elomaa, Matti, "Rapid semi-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aspen lignin in lignocellulosic products", Proceedings of the Estonian Academy of Sciences, 64, 1S, 105-112 (2015)). 420 nm 파장은 가시 영역 내에 있고 자색/자주색/청색 색과 연관된다. 이러한 가시광선 파장 영역에서의 흡수는 또한 목재 또는 다른 식물 물질과 연관된 리그닌으로부터 유래된 pf 발색단의 존재와 연관된다. 목재는 UV-Vis 스펙트럼의 이러한 영역에서 흡수를 생성하지만, 다른 유기 물질은 또한 추출 공정을 통해 통과할 때 이러한 영역에서 흡수를 생성할 것이다.
표 3. 실시예 15에 기재된 프로토콜로 실행된 샘플
Figure pct00003
표 4. 상기 기재된 다양한 샘플 및 상업용 샘플에 대한 UV-Vis 흡광도 값.
Figure pct00004
실시예 16
반응기는 보다 큰 부피로 규모조정될 수 있다. 샘플의 한 예는 380 L의 하부 용기 및 약 67 L의 부피를 갖는 상부 용기를 갖는 반응기를 사용하였다. 하부 용기에 스크린 바스켓에 함유된 4.5 kg의 토스팅된 목편을 로딩하였다. 상부 챔버에 1.5 kg의 토스팅된 목편 및 1.5 kg의 경질목 목탄을 로딩하였다. 장치의 업 레그에는 구리 와이어 메쉬가 있었다. 하부 용기에 질소 퍼지를 첨가하였다. 미드웨스트 그레인 프로덕츠 앤드 인그리디언츠 (MGPI) (캔사스주 애취슨)으로부터의 21% 호밀 매쉬 빌을 134.5 프루프로 사용하여 제조된 약 230 L의 비숙성된 버본을 하부 용기에 첨가하였다. 하부 용기의 온도를 85℃로 설정하고, 응축기는 22℃의 온도를 가졌다. 제1 사이클은 약 45분 내에 상부 용기를 채웠다. 이어서, 상부 용기를 하부 용기에 비웠다. 제2 사이클은 약 35분 내에 상부 용기를 채웠다. 생성된 액체는 전형적으로 위스키와 관련된 특징을 가졌다. 상기 스피릿의 UV-Vis 흡광도는 100으로 프루핑한 경우 280 nm에서 0.56, 320 nm에서 1.96, 및 420 nm에서 0.92였다. 이러한 스피릿은 위스키 또는 버본의 특징으로 보이는 호박색을 가졌다.
이 공정으로부터 제조된 스피릿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석하였다.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는 샘플을 분해하지 않고 물질을 특징화하는 수단이다. 샘플은 기화되고, 운반 기체에 의해 칼럼을 통과한다. 칼럼을 통과할 때 상이한 화합물은 상이한 양의 시간을 취한다. 생성된 크로마토그래프는 물질의 조성의 특징이다. 사용된 방법은 문헌 [Lynam, K.; Zou, Y. Agilent Application Note: "Analysis of Distilled Spirits Using and Agilent J&W DB-WAX Ulra Intert Capillary GC Column," 11 March 2016]에 기초하였다. 기기는 페노메넥스 제브론 ZB-WAX 모세관 GC 칼럼, 30 m x 0.32 mm x 0.50 μm 칼럼을 사용한 애질런트 7820A GC (캘리포니아주 산타 클라라)였다. 유입구 온도는 250℃이고, 20:1 스플릿이었다. 오븐 프로파일은 4분 동안 40℃, 12℃/분으로 최대 200℃, 5분 동안 200℃이었다 (22.333분 총 실행 시간). 운반 기체는 헬륨이고, 1.2 ml/분 흐름이었다. 샘플의 측정을 위해 FID 검출기를 사용하였다. 공기 흐름은 450 ml/분이었고, 수소 흐름은 40 ml/분의 메이크업 헬륨을 사용하여 40 ml/분이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가공된 스피릿과 적어도 2년 동안 숙성되고 45% 밀 매쉬 빌을 갖는 버본 생성물을 비교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숙성된 생성물이다. 2개의 크로마토그래피 사이에 높은 정도의 유사성이 확인될 것이다. 사실상, 본 발명의 화합물을 기준으로 두 샘플을 구별하는 것은 곤란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알콜-함유 음료에 대한 신속한 숙성, 및 숙성 및 비-숙성된 알콜-함유 음료에 대한 신속한 피니싱 기술을 제공한다. 공정은 일반적으로 통기 및/또는 촉매의 사용과 함께 증가된 온도 및 반응물 농도를 사용하여 달성가능하다. 본 기술의 이점은, 신속하게 숙성되거나 또는 그 사이의 모든 수치를 포함하여 약 2 내지 35년 범위일 수 있는 숙성 공정에서 숙성될 수 있는 다른 생성물과 비교했을 때 이러한 영역에서의 예상과 동일하거나 초과하는 바디감, 맛, 아로마, 안정성, 확장성, 신속한 숙성, 블렌딩 적합성, 더 낮은 비용, 및/또는 최종 생성물과 마케팅까지의 시간 감소를 포함하나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강촉감, 바디감, 맛, 아로마 및/또는 색의 검출가능한 비교는 소비자 맛 패널 관능 시험에서 확인될 수 있다.
상기 대상을 이해의 명확성의 목적으로 예시 및 실시예의 방식으로 일부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특정 변화 및 변형이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실시될 수 있음이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Claims (63)

  1. 에탄올-함유 음료의 통상적인 숙성 방법에 비해 신속한 숙성 공정 하에 에탄올-함유 음료를 제공하는 조건 하에 에탄올/물 혼합물을 포함하는 에탄올의 공급원 및 적어도 1종의 향미 성분을 추출 공정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탄올-함유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에탄올의 공급원이 약 35% 내지 약 70% ABV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에탄올의 공급원이 약 40% 내지 약 60% ABV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에탄올의 공급원이 약 2% 내지 약 20% ABV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에탄올의 공급원이 약 20% 내지 약 35% ABV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향미 성분이 목편 및/또는 목재 스타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목편 및/또는 목재 스타브가 탄화 및/또는 토스팅된 것인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목편 및/또는 목재 스타브가 사과, 체리, 히코리, 메스키트, 오크 및 피칸, 및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목재로부터 유래된 것인 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목편 및/또는 목재 스타브가 오크로부터 유래된 것인 방법.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목편 및/또는 목재 스타브가 버본 또는 위스키 배럴로부터 유래된 것인 방법.
  11.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목편 및/또는 목재 스타브가 와인 배럴로부터 유래된 것인 방법.
  12.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향미 성분이 카라멜, 시나몬, 넛멕, 스모크, 바닐라, 메이플 시럽 아로마 또는 향미, 및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로마 및/또는 향미 중 1종 이상을 부여하는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 공정이 연속 추출 공정인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 공정이 속슬렛 추출 공정인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탄올-함유 음료가 위스키, 버본, 스카치, 럼, 브랜디, 꼬냑, 진, 보드카, 데킬라, 와인, 셰리, 포트와인, 미드 또는 맥주인 방법.
  16. 적어도 1종의 향미 성분을 에탄올/물 혼합물을 포함하는 에탄올의 공급원과 함께 추출 공정에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추출 공정은 적어도 1회의 하기 사이클:
    제1 용기에서 에탄올의 공급원 및 향미 성분의 제1 부분을 가열 및 환류시켜 증기를 생성하는 단계;
    가열 및 환류된 에탄올의 공급원으로부터 생성된 증기를 응축기에서 응축시켜 응축물을 제공하는 단계;
    응축물을, 그 안에 함유된 향미 성분의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2 용기 내에 수집하는 단계; 및
    제2 용기 내에 수집된 응축물을 제1 용기 내의 에탄올의 공급원과 재혼합하여 에탄올-함유 음료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에탄올-함유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제1 용기 내의 에탄올의 공급원을 통기장치로 통기시키는 것인 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향미 성분의 제1 부분 및 향미 성분의 제2 부분이 실질적으로 유사한 조성, 실질적으로 동일한 조성 또는 동일한 조성을 갖는 것인 방법.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용기 내에 수집된 응축물이 제1 용기 내의 에탄올의 공급원과 즉시 재혼합되지 않는 것인 방법.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용기에 응축물을 부분적으로 채운 후에, 응축물과 제1 용기 내의 에탄올의 공급원을 재혼합하는 것인 방법.
  21.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용기에 응축물을 완전히 채운 후에, 응축물을 제1 용기 내의 에탄올의 공급원과 재혼합하는 것인 방법.
  22. 제16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증기 및/또는 응축물을 촉매 및/또는 여과 물질 및/또는 흡수제 물질에 통과시키는 것인 방법.
  23. 제1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응축물을 촉매 및/또는 여과 물질 및/또는 흡수제 물질에 통과시킨 후에, 제2 용기 내에 응축물을 수집하는 것인 방법.
  24. 제16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탄올의 가열 및 환류된 공급원으로부터 생성된 증기를 촉매 및/또는 여과 물질 및/또는 흡수제 물질에 통과시킨 후에, 응축기에서 증기를 응축시키는 것인 방법.
  25. 제16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용기 내에 수집된 응축물을 촉매 및/또는 여과 물질 및/또는 흡수제 물질에 통과시킨 후에, 제1 용기 내의 에탄올의 공급원과 재혼합하는 것인 방법.
  26. 제16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용기가 그 안에 함유된 촉매 및/또는 여과 물질 및/또는 흡수제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27. 제16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 공정이 1회 초과의 사이클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28. 제16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 공정이 연속 추출 공정인 방법.
  29. 제1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 공정이 속슬렛 추출 공정인 방법.
  30. 제16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탄올의 공급원이 약 35% 내지 약 70% ABV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1. 제16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탄올의 공급원이 약 40% 내지 약 60% ABV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2. 제1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탄올의 공급원이 약 2% 내지 약 20% ABV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3. 제1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탄올의 공급원이 약 20% 내지 약 35% ABV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4. 제16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향미 성분이 목편 및/또는 목재 스타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목편 및/또는 목재 스타브가 탄화 및/또는 토스팅된 것인 방법.
  36.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목편 및/또는 목재 스타브가 사과, 체리, 히코리, 메스키트, 오크 및 피칸 및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목재로부터 유래된 것인 방법.
  37. 제34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목편 및/또는 목재 스타브가 오크로부터 유래된 것인 방법.
  38. 제34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목편 및/또는 목재 스타브가 버본 또는 위스키 배럴로부터 유래된 것인 방법.
  39. 제34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목편 및/또는 목재 스타브가 와인 배럴로부터 유래된 것인 방법.
  40. 제34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용기 내의 향미 성분 및/또는 제2 용기 내의 향미 성분이 카라멜, 시나몬, 넛멕, 스모크, 바닐라, 메이플 시럽 아로마 또는 향미, 및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아로마 및/또는 향미를 부여하는 적어도 1종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41. 제16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탄올-함유 음료가 위스키, 버본, 스카치, 럼, 브랜디, 꼬냑, 진, 보드카, 데킬라, 와인, 셰리, 포트와인, 미드 또는 맥주인 방법.
  42. 제1 용기;
    응축기 및/또는 환류 구성요소;
    제2 용기, 여기서 제2 용기는 제1 용기보다 작음;
    촉매 및/또는 여과 물질 및/또는 흡수제 물질; 및
    통기장치
    를 포함하는 에탄올-함유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
  43. 제42항에 있어서, 추출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44. 제42항 또는 제43항에 있어서, 추출 장치가 연속 추출 장치인 시스템.
  45. 제44항에 있어서, 연속 추출 장치가 속슬렛 추출 장치인 시스템.
  46. 제43항에 있어서, 추출 장치가 공정 전체에 걸쳐 액체의 실질적으로 일정한 유동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시스템.
  47. 제43항에 있어서, 추출 장치가 증류 공정을 포함하며, 여기서 공정 동안에 제1 용기에 함유된 액체의 부피가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에탄올의 공급원이 제1 용기에 연속적으로 첨가되고, 증류물은 제2 용기 내에 수집되는 것인 시스템.
  48. 제42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휴대용인 시스템.
  49. 제42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테이블 상부 장치인 시스템.
  50. 제42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상적인 숙성 및/또는 피니싱 공정으로 수득된 알콜-함유 음료와 유사하거나 또는 그와 동일한 화학적 서명 및/또는 관능 프로파일을 갖는 알콜-함유 음료를 제공하는 시스템.
  51. 제1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신속하게 숙성된 알콜-함유 음료.
  52. 제16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신속하게 숙성된 알콜-함유 음료.
  53. 제51항 또는 제52항에 있어서, 위스키, 버본, 스카치, 럼, 브랜디, 꼬냑, 진, 보드카, 데킬라, 와인, 셰리, 포트와인, 미드 또는 맥주인, 신속하게 숙성된 알콜-함유 음료.
  54. 제53항에 있어서, 통상적인 숙성 및/또는 피니싱 공정으로 수득된 알콜-함유 음료와 유사하거나 또는 그와 동일한 화학적 서명 및/또는 관능 프로파일을 갖는 신속하게 숙성된 알콜-함유 음료.
  55. 제54항에 있어서, 신속하게 숙성된 알콜-함유 음료의 제조 비용 및/또는 마케팅 시간이 통상적인 숙성 및/또는 피니싱 공정으로 수득된 알콜-함유 음료의 경우보다 적은 것인, 신속하게 숙성된 알콜-함유 음료.
  56. 제51항 또는 제52항의 신속하게 숙성된 알콜-함유 음료를 (a) 통상적인 숙성 및/또는 피니싱 공정으로 수득된 알콜-함유 음료, (b) 제51항 또는 제52항의 신속하게 숙성된 알콜-함유 음료, 및/또는 (c) 상이한 신속한 숙성 공정에 의해 수득된 알콜-함유 음료와 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블렌딩된 알콜-함유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57. 제56항에 있어서, 블렌딩된 알콜-함유 생성물이 위스키인 방법.
  58. 제57항에 있어서, 위스키가 통상적인 숙성 및/또는 피니싱 공정에 의해 수득된 위스키와 유사하거나 또는 그와 동일한 관능 프로파일을 갖는 것인 방법.
  59. 제58항에 있어서, 위스키가 프리미엄 위스키와 유사하거나 또는 그와 동일한 관능 프로파일을 갖는 것인 방법.
  60. 제56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블렌딩된 알콜-함유 생성물.
  61. 제60항에 있어서, 블렌딩된 알콜-함유 생성물이 위스키, 버본, 스카치, 럼, 브랜디, 꼬냑, 진, 보드카, 데킬라, 와인, 셰리, 포트와인, 미드 또는 맥주인 블렌딩된 알콜-함유 생성물.
  62. 제61항에 있어서, 제60항의 블렌딩된 알콜-함유 생성물이 통상적인 숙성 및/또는 피니싱 공정으로 수득된 알콜-함유 음료와 유사하거나 또는 그와 동일한 화학적 서명 및/또는 관능 프로파일을 갖는 것인 블렌딩된 알콜-함유 생성물.
  63. 제61항 또는 제62항에 있어서, 위스키인 블렌딩된 알콜-함유 생성물.
KR1020197036185A 2017-05-09 2018-05-09 에탄올-함유 음료 제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162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03652P 2017-05-09 2017-05-09
US62/503,652 2017-05-09
PCT/US2018/031844 WO2018208946A1 (en) 2017-05-09 2018-05-09 Systems and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ethanol-containing beverag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244A true KR20200016244A (ko) 2020-02-14

Family

ID=64105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6185A KR20200016244A (ko) 2017-05-09 2018-05-09 에탄올-함유 음료 제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210079322A1 (ko)
EP (1) EP3635086A4 (ko)
JP (1) JP7309210B2 (ko)
KR (1) KR20200016244A (ko)
CN (1) CN111133091A (ko)
AU (1) AU2018266175A1 (ko)
BR (1) BR112019023394A2 (ko)
CA (1) CA3069832A1 (ko)
CL (1) CL2019003199A1 (ko)
CO (1) CO2019013721A2 (ko)
CR (1) CR20190556A (ko)
MA (1) MA47550B2 (ko)
RU (1) RU2019139914A (ko)
WO (1) WO2018208946A1 (ko)
ZA (1) ZA2018029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61558B2 (ja) * 2019-09-30 2023-10-16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容器詰アルコール飲料
US11970679B2 (en) 2019-12-16 2024-04-30 James Haller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shortening aging time and enhancing flavor of distilled or fermented beverages
IL284357A (en) * 2021-04-11 2023-01-01 Sergey Gurevich Ilhachov technology for the production of vodka that reduces production costs by 40 percent compared to today's well-known brands in the world
CN114480067A (zh) * 2022-01-14 2022-05-13 肥城金塔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降低猕猴桃酒甲醇的装置及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7099A (en) * 1933-08-30 1936-01-07 Nelson S Talbott Aging of whiskey
GB428518A (en) * 1933-12-19 1935-05-14 Carroll Alonzo Hochwalt Method of ageing whiskey
US2132435A (en) * 1934-06-06 1938-10-11 R G N Dev Corp Aging distilled alcoholic spirits
US4265860A (en) * 1980-03-27 1981-05-05 J & W Scientific, Incorporated High pressure Soxhlet extractor
US4570534A (en) * 1982-01-21 1986-02-18 Joseph E. Seagram & Sons, Inc. Reduced alcohol wine and its manufacture
US6506430B1 (en) * 1995-07-21 2003-01-14 Brown-Forman Corporation Oak aged alcoholic beverage extract and accelerated whisky maturation method
US6703060B1 (en) * 1999-11-12 2004-03-09 Kairos Corporation All natural accelerated aging of distilled spirits
US6846503B2 (en) * 2001-04-27 2005-01-25 Vickers, Jr. Marcus Lad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tion of an alcoholic beverage
WO2003020870A2 (en) * 2001-09-04 2003-03-13 Tyler O Z Iii Enhanced beverage flavoring process and products
JP2014076956A (ja) * 2012-10-10 2014-05-01 Nobuo Sakaki 天然素材を有効成分とする皮膚用外用剤
WO2015164414A1 (en) * 2014-04-21 2015-10-29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Methods of making modified alcohol containing produ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09210B2 (ja) 2023-07-18
EP3635086A4 (en) 2021-01-20
JP2020519307A (ja) 2020-07-02
CL2019003199A1 (es) 2020-02-07
US20210079322A1 (en) 2021-03-18
CN111133091A (zh) 2020-05-08
AU2018266175A1 (en) 2019-12-05
WO2018208946A1 (en) 2018-11-15
MA47550B2 (fr) 2023-04-28
RU2019139914A3 (ko) 2021-12-24
CR20190556A (es) 2020-03-29
ZA201802993B (en) 2019-01-30
MA47550A1 (fr) 2020-03-31
CA3069832A1 (en) 2018-11-15
EP3635086A1 (en) 2020-04-15
RU2019139914A (ru) 2021-06-09
CO2019013721A2 (es) 2020-04-01
BR112019023394A2 (pt) 202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09210B2 (ja) エタノール含有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Garde-Cerdán et al. Review of quality factors on wine ageing in oak barrels
US20120164300A1 (en) Accelerated Aging of Wines and Sprits
JPWO2008153118A1 (ja) 紫蘇のフレッシュで自然な芳香を有する蒸留酒類及びその製造方法
Maga Oak lactones in alcoholic beverages
Conner Maturation
Pérez-Coello et al. Volatile compounds and wine aging
US20210198604A1 (en) Method for conditioning wood barrels
Guimarà et al. Evaluation of maturation congeners in beer aged with Brazilian woods
WO2018147154A1 (ja) 山椒成分を含有した蒸留酒の製造方法
Viana et al. Evaluation of toxic compounds and quality parameters on the aged Brazilian sugarcane spirit
Perestrelo et al.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Madeira wine regarding its traditional winemaking and modern analytical methodologies
Petrozziello et al. Chemistry and technology of wine aging with oak chips
US20050084597A1 (en) Methods for accelerating the production and maturation of distilled, uniquely flavored spirits
Van Jaarsveld et al. Rapid induction of ageing character in brandy products–Part III. Influence of toasting
Panakhov Prospects of using oak wood integrated processing products in winemaking, dealing with shortcomings on the base of implementing oak wood derivative products
RU2321626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винного или плодово-ягодного дистиллята
López Brandy production: Fundamentals and recent developments
JPS5925659A (ja) 香味料
Bajerski et al. Application of the oak wood chips in brewing®
KR20120044217A (ko) 목통을 이용한 액상식품 제조방법
Miljić et al. The impact of Quercus pubescens wood chips on 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a Serbian ‘Kadarka’red wine during aging: A comparison with other oak species (Q. petraea, Q. alba, and Q. pyrenaica)
Puteo Kinetics of mineral elements in wine spirits produced by applying different aging system
Tesfaye et al. Jerez vinegar
Balanuţă et al. The influence of distillation methods on the flavor profile and quality indices of wine brand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