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4217A - 목통을 이용한 액상식품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목통을 이용한 액상식품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44217A KR20120044217A KR1020110065624A KR20110065624A KR20120044217A KR 20120044217 A KR20120044217 A KR 20120044217A KR 1020110065624 A KR1020110065624 A KR 1020110065624A KR 20110065624 A KR20110065624 A KR 20110065624A KR 20120044217 A KR20120044217 A KR 201200442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ck
- frame
- pine
- liquid food
- wooden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21056 liquid food Nutrition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77
- RSWGJHLUYNHPMX-UHFFFAOYSA-N Abietic-Saeure Natural products C12CCC(C(C)C)=CC2=CCC2C1(C)CCCC2(C)C(O)=O RSWGJHLUYNHPMX-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KHPCPRHQVVSZAH-HUOMCSJISA-N Rosin Natural products O(C/C=C/c1ccccc1)[C@H]1[C@H](O)[C@@H](O)[C@@H](O)[C@@H](CO)O1 KHPCPRHQVVSZAH-HUOMCSJI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KHPCPRHQVVSZAH-UHFFFAOYSA-N trans-cinnamyl beta-D-glucopyranoside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CC1=CC=CC=C1 KHPCPRHQVVSZAH-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7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21419 vinega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052 vinega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3353 coffee beverag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5203 fruit ju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3322 soy milk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5192 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CDBYLPFSWZWCQE-UHFFFAOYSA-L Sod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Na+].[Na+].[O-]C([O-])=O CDBYLPFSWZWCQE-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abstract 2
- 241000018646 Pinus brutia Species 0.000 description 123
- 235000011613 Pinus brut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14
- 235000008331 Pinus X rigitae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13
- 210000003739 neck Anatomy 0.000 description 88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1
- 241000219492 Quercus Species 0.000 description 25
- 235000016976 Quercus macrolep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4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4571 nu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RRHGJUQNOFWUDK-UHFFFAOYSA-N Isoprene Chemical group CC(=C)C=C RRHGJUQNOFWUD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44000274906 Quercus alb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9137 Quercus alba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21 disti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41000218631 Conifer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1000218691 Cupress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1000721662 Juniperu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606 astringent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37 de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997 soju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5041 whisky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QTBSBXVTEAMEQO-UHFFFAOYSA-N 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1000722953 Akebi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UHOVQNZJYSORNB-UHFFFAOYSA-N Benzene Chemical compound C1=CC=CC=C1 UHOVQNZJYSOR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532 brandy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172 burs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845 discol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30004069 diterpe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85 radioa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0083 shōchū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8185 Betula X alpest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8212 Betula X uligino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255789 Bombyx mor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036 Castan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1070941 Castane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18645 Cedr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6717 Fistul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201 Ginkgo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194101 Ginkgo bilob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100 Ginkgo bilob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6010020649 Hyperkerat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GUBGYTABKSRVRQ-QKKXKWKRSA-N Lactose Natural products OC[C@H]1O[C@@H](O[C@H]2[C@H](O)[C@@H](O)C(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KKXKWKR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18652 Larix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590 Larix decidu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472 Leucaena leucocephal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643 Leucaena leucocepha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0249 Morus alb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708 Morus alb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8000031463 Palmoplantar Diffuse Keratoder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320 Pinus strob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578 Pinus strob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1116498 Taxus bacca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522 Wood fibr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0021 Zelkov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34 alcoholic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405 be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10 char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HVYWMOMLDIMFJA-DPAQBDIFSA-N chole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567 diterpen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890 fistula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21 hard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545 inva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1 la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658 monoterpe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773 monoterpene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577 monoterpen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1000006079 nonepidermolytic palmoplantar keratoder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188 paraffin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10 silicon-base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505 terp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586 terpen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648 triterp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8827 tubercul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101 w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5 wood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SNICXCGAKADSCV-JTQLQIEISA-N (-)-Nicotine Chemical compound CN1CCC[C@H]1C1=CC=CN=C1 SNICXCGAKADSCV-JTQLQIEISA-N 0.000 description 1
- YYGNTYWPHWGJRM-UHFFFAOYSA-N (6E,10E,14E,18E)-2,6,10,15,19,23-hexamethyltetracosa-2,6,10,14,18,22-hexa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 YYGNTYWPHWGJR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PIPGXGPPPQFEQ-UHFFFAOYSA-N 13-cis retinol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IDXCONKKJTLDX-UHFFFAOYSA-N 3,5-dimethylcyclopentane-1,2-dione Chemical compound CC1CC(C)C(=O)C1=O MIDXCONKKJTLD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725 Amygdalus commun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210 Arteri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6326 Breath odou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783 Dacrycarpus dacrydioid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3911 Dysgeu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93 FEMA 3089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502 Ostre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8641 Pin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041874 Pine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205 Pin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992303 Pinus <subge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893 Prunus dulcis var ama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9089 Quercus robu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471 Quercus robu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885 Quercus rub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135 Quercus rub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808 Saccharomyces cerevisi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61458 Solanum melonge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97 Solanum melonge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992309 Strob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BHEOSNUKNHRBNM-UHFFFAOYSA-N Tetramethylsqualen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 BHEOSNUKNHRB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313 Tilia cord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21220 Tricholoma matsutak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FPIPGXGPPPQFEQ-BOOMUCAASA-N Vitamin A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BOOMUCAA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52428 Wound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RSWGJHLUYNHPMX-ONCXSQPRSA-N abi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H]12)CC(C(C)C)=CC1=CC[C@@H]1[C@]2(C)CCC[C@@]1(C)C(O)=O RSWGJHLUYNHPMX-ONCXSQPR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FPIPGXGPPPQFEQ-OVSJKPMPSA-N all-trans-retinol Chemical compound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OVSJKPMP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02 analges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0 anti-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21 anti-sep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3 anti-wrink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1775 arteriosclerosi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41 bi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58 bitte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6 bui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14 cal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736 carame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71 carbonated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66 caroteno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47 carote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865 dilu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95 di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141 diterpene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PRAKJMSDJKAYCZ-UHFFFAOYSA-N dodecahydrosqualen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 PRAKJMSDJKAY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28 ero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31 forag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990 fruit w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HYBBIBNJHNGZAN-UHFFFAOYSA-N furfural Chemical class O=CC1=CC=CO1 HYBBIBNJHNGZA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79 hair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77 insect repell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49 insecticid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17 insec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8 load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1 malign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0 matu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51 moo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715 nicot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SNICXCGAKADSCV-UHFFFAOYSA-N nicotine Natural products CN1CCCC1C1=CC=CN=C1 SNICXCGAKADSC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858 northern red oa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36 oys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3 photosynth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7 pi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03 quality assess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70 ref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686 shark liver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69764 shark liver oi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22 soft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99 spi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1439 squalene Drugs 0.000 description 1
- TUHBEKDERLKLEC-UHFFFAOYSA-N squalen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C)CC=C(C)C)C)C)C TUHBEKDERLKL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64 tann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648 tann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553 tann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535 tetraterp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657 tetraterpen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57 tha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81 turquoi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92 vasc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5 vitamin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9 vitamin 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5997 vitamin a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22 vodk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1 volati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H—BENDING WOOD OR SIMILAR MATERIAL; COOPERAGE; MAKING WHEELS FROM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H5/00—Manufacture of tubes, coops, or barrel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8—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ethods for altering the composition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G3/02 - C12G3/07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12—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without precipita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ckages (AREA)
- 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통을 이용한 액상식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목재로 만든 널(stave)을 알코올에 용해시킨 소나무속(소나무, 잣나무 등) 송진(松津)의 용액으로 표면도포(coating)하거나 내부의 도관(vessel)과 공극(孔隙)을 충전시킨 널을 사용하여 누수를 방지가능하게 제작된 목통에 액상식품을 장시간 저장하는 것에 의해 널 고유의 목재와 송진의 향과 맛을 갖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목재를 단면이 사각형 형상인 널빤지 또는 각목으로 절단하여 목통용전면널과 목통용후면널 및 목통용측면널을 다수개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제작된 다수의 목통용전면널과 목통용후면널 및 목통용측면널의 표면과 내부 도관의 공극을 알코올에 용해시킨 송진용액으로 밀폐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알코올에 용해시킨 송진용액으로 밀폐된 다수의 목통용전면널과 목통용후면널 및 목통용측면널을 링형상의 단면을 갖는 전면테 및 후면테와, 상기 전면테의 상부면에 한쪽 부분이 용접으로 연결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후면에의 상부면에 용접으로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전면테와 후면테를 연결시키도록 일정 간격 원주방향으로 다수개로 구비되는 연결바로 구성된 목통용틀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제작된 목통용틀의 전면테와 후면테 그리고 연결바의 각 외측면에 일면이 서로 접하도록 병렬로 배열하여 누수방지가능하게 고정하여 다수의 목통용전면널과 목통용후면널 및 목통용측면널을 끼우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목통용틀에 다수의 목통용전면널과 목통용후면널 및 목통용측면널이 누수방지가능하게 고정되어 끼워지면, 목통에 액상식품 저장에 따른 다수의 목통용측면널의 부피팽창으로 전,후면테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목통용측면널 외주면을 감싸도록 후프를 끼워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목통용측면널 외주면에 후프가 끼워져 고정되면, 전,후면테의 전면에 각각 위치되는 것에 의해 양단은 스크류를 매개로 전,후면테에 고정되어 액상식품 저장에 따른 다수의 목통용전,후면널의 부피팽창으로 전,후면테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면지지바 및 후면지지바를 고정시켜 목통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제작된 목통에 액상식품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목통을 이용한 액상식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목재로 만든 널(stave)을 알코올에 용해시킨 소나무속(소나무, 잣나무 등) 송진(松津)의 용액으로 표면도포(coating)하거나 내부의 도관(vessel)과 공극(孔隙)을 충전시킨 널을 사용하여 누수를 방지가능하게 제작된 목통에 액상식품을 장시간 저장하는 것에 의해 널 고유의 목재와 송진의 향과 맛을 갖도록 한 목통을 이용한 액상식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증류주는 원료에서 유래되는 이취, 발효 중 발생하는 이취 및 증류단계에서 생성되는 이취를 보완하거나, 향미의 증진 또는 알코올과 물의 조화를 위하여 저장하여 숙성을 하고 있다.
또한, 양조주, 양조식초, 양조간장 및 액젓 등은 원료와 발효 중 발생하는 잡미와 이취를 감소시키거나 향미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저장하여 숙성을 시키고 있다.
이러한 주류, 식초, 간장 및 액젓 등의 액상식품의 숙성을 위하여 여러 가지 용기와 방법들이 이용되어 왔으나, 현재는 주로 스테인레스스틸 탱크나 오크통(oak barrel)이 이용된다.
상기한 스테인레스스틸 탱크 숙성은 품질 향상이 미미하여 브랜디, 위스키, 와인, 맥주 등의 고급주류와 고급양조식초 숙성에는 대부분 오크통을 사용하여 숙성을 하고 있다.
이러한, 오크통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6-0013701호의 도 1에 도시된 바아 같이 참나무로 만들어지고, 참나무의 속(genus)에는 250여 종(species)이 있지만 미국 1종과 유럽 2종만이 오크통(oak barrel)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주류의 저장과 숙성에 사용되어온 나무의 종류에는 화이트오크(white oak), 레드오크(red oak), 아카시아 등이 있으나 저장 중에 새거나 또는 저장된 술에 좋지 않은 냄새가 나는 물질이 침출되기 때문에 오로지 화이트오크(white oak)가 술의 저장과 숙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목통을 주류의 저장용기로 쓰는 전제 조건으로 "술이 새지 않을 것"과 "술맛을 좋게 할 것"이 요구되었다. 미국산 화이트오크는 고목이 될수록 물관이 타일로시스(tylosis)라는 알갱이 같은 세포로 꽉 막혀버리지만, 미국산 레드오크(red oak)는 그렇지 않다. 한국에도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같은 참나무류가 있지만 물관이 제대로 막히지 않는다.
오크통 재료로 아시아산 참나무가 거의 쓰이지 않는 이유다. 유럽산 참나무는 미국산보다 타일로시스가 적어 물관과 같은 방향으로 나무를 제재하지 않으면 저장주류가 샌다.
물관이 타일로시스로 막혀 있는 것만으로 치자면 아카시아도 화이트오크에 결코 뒤지지 않지만 주류의 저장 중 술맛을 개선하는 효과가 적기 때문에 술통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오크나무가 술의 저장과 숙성에 특히 적합한 것은 목질이 단단하여 저장 술의 손실이 적고, 구부려 가공할 수도 있고, 쉽게 썩지 않고, 오크나무만의 독특한 향이 저장된 술과 잘 조화를 이루기 때문이다.
참나무로 만든 오크통에 숙성한 증류주는 색상과 향기를 증진하여 술맛을 부드럽게 하고 특유의 색상을 띠게 되어 증류된 알코올과는 향미에서 확실한 차이가 난다.
참나무에는 떫은맛을 내는 탄닌, 쓴 아몬드향의 푸르푸랄 화합물, 캐러멜향의 말리톨과 사이클로틴 등과 같은 많은 종류의 화합물질이 들어있다.
특히, 오크통에 저장한 위스키, 브랜디는 향이 좋지만 목통에서 유래되는 떫은맛이 강하게 남아있어 새 오크통은 3~4년간 다른 주류를 저장하고 난 다음 위스키, 브랜디의 저장용으로 사용한다. 널의 두께가 1인치 정도인 200ℓ오크통의 저장기간에 따른 증발로 손실되는 양은 목통의 재료 및 용량, 저장고의 온습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알코올 60% 위스키의 원액은 3년 저장 시 약 8%가 감소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오크통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그 첫 번째로는, 원목 대비 목통 제조효율이 낮다. 1m3의 원목에서, 유럽산 오크(타일로시스 두께; 0.1~0.5μm)로는 나뭇결로 쪼개서 널(stave)을 만들 때 25%만 사용하여 2개의 목통(barrel)을, 미국산 화이트오크(타일로시스 두께; 13μm)로는 톱으로 제재하여 널을 만들 때 50%만 사용하여 4개의 목통(barrel)을 만들 뿐이다.
두 번째로는, 100년 이상 고목을 사용해야 하기에 목통 재료인 오크 원목 수급이 어렵다.
세 번째로는, 베어진 통나무를 나뭇결 방향으로 약 10cm 두께로 잘라서 장기간인 2~3년간 자연건조를 하여야 한다.
네 번째로는, 약 34개 널을 이어 붙이는 구형(球形)의 목통제작이 어렵다.
다섯 번째로는, 신규로 제작된 목통(new barrel)에 숙성한 원주는 너무 쓰고 떫은맛, 강한 냄새 및 진한 색을 갖고 있어 고급 주류의 저장 오크통으로 사용하기 어렵다. 특히 목통에서 우러나는 진한 색과 떫은맛은 깨끗함을 주된 특징으로 하는 희석식소주, 증류식소주, 일반증류주에는 단점으로 작용한다.
여섯 번째로는, 목통은 통마다 주질이 다른데 목통이 소 용량으로 주질의 균질화가 어렵다.
일곱 번째로는, 후프(hoop) 교체, 목통조각 뒤틀림, 내부에 미생물 발생, 유해 해충에 의한 목통조각 침해 방지를 위한 빈 목통의 수리와 보관이 어렵다.
여덟 번째로는, 목통 사용 전 더운물로 24시간 이상 목통을 불린 다음 누수검사 후 저장할 주류를 충전하는 전처리가 어렵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목재의 향과 맛은 좋으나 누수발생으로 목통의 널로 사용하기 힘든 소나무, 잣나무, 전나무, 삼나무, 구상나무, 편백나무, 주목, 향나무, 낙엽송, 노간주나무, 고로쇠나무, 헛개나무, 뽕나무, 참나무, 밤나무, 아까시나무, 은행나무, 자작나무, 음나무, 보리수나무, 느티나무 등의 목재로 만든 널(stave)을 알코올에 용해시킨 소나무속(소나무, 잣나무 등) 송진(松津)의 용액으로 표면도포(coating)하거나 내부의 도관(vessel)과 공극(孔隙)을 충전시킨 널을 사용하여 누수를 방지가능하게 제작된 목통에 액상식품을 장시간 저장하는 것에 의해 널 고유의 목재와 송진의 향과 맛을 갖도록 한 목통을 이용한 액상식품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목통을 이용한 액상식품 제조방법에 있어서, 목재를 단면이 사각형 형상인 널빤지 또는 각목으로 절단하여 목통용전면널과 목통용후면널 및 목통용측면널을 다수개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제작된 다수의 목통용전면널과 목통용후면널 및 목통용측면널의 표면과 내부 도관의 공극을 알코올에 용해시킨 송진용액으로 밀폐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알코올에 용해시킨 송진용액으로 밀폐된 다수의 목통용전면널과 목통용후면널 및 목통용측면널을 링형상의 단면을 갖는 전면테 및 후면테와, 상기 전면테의 상부면에 한쪽 부분이 용접으로 연결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후면에의 상부면에 용접으로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전면테와 후면테를 연결시키도록 일정 간격 원주방향으로 다수개로 구비되는 연결바로 구성된 목통용틀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제작된 목통용틀의 전면테와 후면테 그리고 연결바의 각 외측면에 일면이 서로 접하도록 병렬로 배열하여 누수방지가능하게 고정하여 다수의 목통용전면널과 목통용후면널 및 목통용측면널을 끼우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목통용틀에 다수의 목통용전면널과 목통용후면널 및 목통용측면널이 누수방지가능하게 고정되어 끼워지면, 목통에 액상식품 저장에 따른 다수의 목통용측면널의 부피팽창으로 전,후면테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목통용측면널 외주면을 감싸도록 후프를 끼워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목통용측면널 외주면에 후프가 끼워져 고정되면, 전,후면테의 전면에 각각 위치되는 것에 의해 양단은 스크류를 매개로 전,후면테에 고정되어 액상식품 저장에 따른 다수의 목통용전,후면널의 부피팽창으로 전,후면테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면지지바 및 후면지지바를 고정시켜 목통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제작된 목통에 액상식품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액상식품은 주류, 식초, 간장, 액젓, 고추장, 탄산음료, 과실음료, 과일주스, 야채주스, 우유, 두유, 유산균음료, 다류, 커피음료, 기능성음료 또는 음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통을 이용한 액상식품 제조방법에 따르면, 향미가 좋으나 누수발생으로 목통의 재료로 사용할 수 없는 목재를 목통의 재료로 사용할 수 있고, 널을 목통의 전면테, 후면테 및 다수의 측면테로 분획되게 조립하여 목통제작이 쉬워지며, 원목 대비 목통 제조효율을 높일 수 있고, 목통 재료인 원목 수급이 쉬우며, 구형(球形)이 아닌 각기둥으로 목통을 제작할 수 있으며, 액상식품을 저장 및 숙성 시 액상식품에서 쓰거나 떫은맛이 없고, 목통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어 품질의 균질화가 쉬우며, 목통의 수리와 보관이 쉬우며, 목통 사용 시 누수검사 후 저장할 액상식품을 충전하는 전처리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와 송진과 널의 목재 향과 맛을 가짐으로써 액상식품의 첨가물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누수를 방지하여 장기간 저장 및 숙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통을 이용한 액상식품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통을 이용한 액상식품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목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통을 이용한 액상식품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목통용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목통을 이용한 액상식품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목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통을 이용한 액상식품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목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통을 이용한 액상식품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목통용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목통을 이용한 액상식품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목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식품 저장용 목통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통을 이용한 액상식품 제조방법은, 목재를 단면이 사각형 형상인 널빤지 또는 각목으로 절단하여 목통용전면널(120)과 목통용후면널(130) 및 목통용측면널(140)을 다수개 제작하는 단계(S210)와, 상기 단계(S210)에 의해 제작된 다수의 목통용전면널(120)과 목통용후면널(130) 및 목통용측면널(140)의 표면과 내부 도관의 공극을 알코올에 용해시킨 송진(松津)용액으로 밀폐하는 단계(S220)와, 상기 단계(S220)에 의해 알코올에 용해시킨 송진(松津)용액으로 밀폐된 다수의 목통용전면널(120)과 목통용후면널(130) 및 목통용측면널(140)을 링형상의 단면을 갖는 전면테(111) 및 후면테(112)와, 상기 전면테(111)의 상부면에 한쪽 끝부분이 용접으로 연결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후면테(112)의 상부면에 용접으로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전면테(111)와 후면테(112)를 연결시키도록 일정 간격 원주방향으로 다수개로 구비되는 연결바(113)로 구성된 목통용틀(110)을 제작하는 단계(S230)와, 상기 단계(S230)에 의해 제작된 목통용틀(110)의 전면테(111)와 후면테(112) 그리고 연결바(113)의 각 외측면에 일면이 서로 접하도록 병렬로 배열하여 누수방지가능하게 고정하여 다수의 목통용전면널(120)과 목통용후면널(130) 및 목통용측면널(140)을 끼우는 단계(S240)와, 상기 단계(S240)에 의해 목통용틀(110)에 다수의 목통용전면널(120)과 목통용후면널(130) 및 목통용측면널(140)이 누수방지가능하게 고정되어 끼워지면, 목통(100)에 액상식품 저장에 따른 다수의 목통용측면널(140)의 부피팽창으로 전,후면테(111,1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목통용측면널(140) 외주면을 감싸도록 후프(150)를 끼워 고정하는 단계(S250)와, 상기 단계(S250)에 의해 목통용측면널(140) 외주면에 후프(150)가 끼워져 고정되면, 전,후면테(111,112)의 전면에 각각 위치되는 것에 의해 양단은 스크류를 매개로 전,후면테(111,112)에 고정되어 액상식품 저장에 따른 다수의 목통용전,후면널(110,120)의 부피팽창으로 전,후면테(111,1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면지지바(160) 및 후면지지바를 고정시켜 목통(100)을 제작하는 단계(S260)와, 상기 단계(S260)에 의해 제작된 목통에 액상식품을 저장하는 단계(S2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목통용틀을 제작하는 단계(S230)에서 목통용틀(110)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면테(111)와 후면테(112) 사이에 다수의 연결바(113) 내측면과 외주면을 용접시켜 보강용링(170)을 고정하는 단계(S2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액상식품 저장 단계(S270)에 의해 목통(100)에 저장된 액상식품이 목질에서 우러난 수지성분에 의하여 백탁으로 흐려지거나 침전물로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액상식품을 순화시키도록 증류하는 단계(S2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목통을 이용한 액상식품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단계: 목통용전면널, 목통용후면널, 목통용측면널의 제작하는 단계
상기한 목통용전면널(120), 목통용후면널(130), 목통용측면널(140)(이하, 널이라 칭함)은 소나무, 잣나무, 전나무, 삼나무, 구상나무, 편백나무, 주목, 향나무, 낙엽송, 노간주나무, 고로쇠나무, 헛개나무, 뽕나무, 참나무, 밤나무, 아까시나무, 은행나무, 자작나무, 음나무, 보리수나무, 느티나무 등의 원목을 건조하여 단면이 사각형인 널빤지 또는 각목 형태의 널로 제재한다.
상기한 단면이 사각형인 널빤지 또는 각목 형태를 널이라 칭한다.
제재한 널을 건조한 후에 목통에 맞는 길이로 널을 자른 후, 거친 널의 표면을 목통에 필요한 단면이 되도록 대패로 깎아 낸다. 필요하다면, 액상식품의 품질 요구 수준이나 미생물과 해충에 대하여 살균과 살충 효과를 부여할 목적으로, 대패로 깍은 널을 널의 재질과 같은 목재나 참나무를 화목으로 하여 양동이 형태의 용기에 담아 불을 놓아서 목통의 액상식품에 접촉하는 널의 일면을 10분 내지 20분간 널의 외부면이 따뜻해질 정도로 불에 그을림(toasting)을 한다.
제2단계: 널의 표면과 내부의 도관과 공극을 송진으로 밀폐하는 단계
널의 표면과 내부의 도관과 공극을 송진으로 밀폐하는 제2단계는, 널의 외부를 송진에탄올용액으로 표면에 도포하거나 송진에탄올용액에 침지하는 상압처리 방법, 또는 널의 내부조직에 압력차에 의하여 송진이 충전되도록 하는 감압처리 방법 및 가압처리 방법을 선택적으로 또는 병행 처리할 수 있다.
상압처리 방법은 상압에서 대패로 깎은 널의 도관을 밀폐시키기 위하여 송진에탄올용액을 널 표면에 수회 털붓으로 칠하거나 송진에탄올용액에 침지하여 도포 후에 건조시키고, 재 도포는 30분 내지 3시간 건조 후, 칠하거나 침지시킨 후 건조한다.
송진은 방부, 살균, 방충, 방수 효과를 부여하고, 송진의 용매인 에탄올은 물보다 표면장력이 적어 침투성이 뛰어나 송진용액을 널의 내부로 깊이 확산시키고 살균력이 있어 표면의 미생물과 해충에 대하여 살균과 살충 효과를 부여한다.
감압처리 방법은, 상기 상압처리 방법을 거친 송진이 표면에 도포되어 건조된 널빤지 또는 각목 형태의 널을 압력탱크에 넣어 500mmHg 이상의 진공상태에서 널 내부의 도관 및 공극에 있는 수분과 공기를 20분 내지 40분간 제거한 후, 상기 진공상태에서 송진에탄올용액에 4시간 내지 6시간 동안 침수시켜 모세관 현상과 압력차이로 송진에탄올용액이 널 내부조직에 흡입 및 확산시킨다. 이후, 용매인 에탄올을 휘발시켜 농축된 송진이 널 내부의 도관 및 공극을 밀폐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감압처리 방법은 거친 널를 통상의 목재가 갖는 도관의 통수성(通水性), 흡습, 변색 및 부패가 되는 단점을 방지하여 뒤틀림, 터짐, 해충이나 곰팡이의 목통 침해를 방지하여 저장 용기의 누수 및 증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보다 큰 효과를 얻고자 한다면 가압처리 방법을 선택하면 된다.
가압처리 방법은 널을 먼저 건조시킨 후에 널을 압력탱크에 집어넣고 탱크 안의 공기를 빼내면서 진공(500mmHg~700mmHg)에서 20분 내지 40분간 유지하여 널 내부조직을 탈기시키고, 압력탱크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면서 송진에탄올용액을 투입하여 널을 침수시킨다.
압력탱크에 압력을 올려 가압(14kg/cm2 ~ 16kg/cm2)상태에서 4시간 내지 6시간 동안 유지하여 송진에탄올용액이 널 내부에 깊이 침투할 수 있게 한다. 다음에는 압력탱크 내부의 공기를 빼내면서 널 내부로 침투되고 남은 송진에탄올용액을 저장탱크로 보내고, 진공(500mmHg~700mmHg)에서 20분 내지 40분간 유지하여 배기를 시킨다. 마지막으로 압력탱크의 밸브를 열면 대기압과 널 속의 낮은 기압의 압력 차이로 널 표면에 있는 송진을 널 내부의 목재 조직이 흡수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에는 압력탱크에서 빼내어 가압처리 방법의 송진이 충전된 널을 양생시킨다.
제2단계를 거친 널빤지 또는 각목 형태의 널은 송진이 표면에 도포되고 널 내부의 도관에도 흡입 및 침투된 후 양생되어 표면이 건조하게 된다.
특히, 제2단계의 가압처리 방법을 거친 송진이 충전된 널은 널의 도관과 공극을 송진으로 채워 관솔처럼 도관을 봉쇄하여 널의 통수, 흡습, 변색, 부패를 방지하고 뒤틀림, 터짐, 해충이나 곰팡이의 목통 침해를 방지하여 저장 용기의 누수 및 증발 방지 효과가 크다.
제3단계: 액상식품 저장용 목통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한 제3단계는 널의 표면과 내부의 도관과 공극이 송진으로 밀폐된 널을, 전면테(111)와 후면테(112)의 각 내측 면과 목통의 측면이 되는 전면테(111)와 후면테(112)의 각 외측 면과 연결바(113)의 각 내측 면에, 누수방지가 가능하게 일면이 서로 접하도록 병렬로 배열하여 고정시켜 끼우고, 널이 끼워진 연결바(113)의 상부에 후프(hoop)를 끼워 목통을 제작하는 단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누수방지가 가능한 본 발명의 액상식품 저장용 목통이 되는 원리는, 널 자체를 송진으로 도관과 공극을 봉쇄하여 누수를 방지하고, 널의 수분함량에 따른 널의 길이와 부피 변화를 이용하여, 건조되어 부피가 작은 사각형 형상의 널을, 단면이 원형인 전면테(111)와 후면테(112)의 내측면 및 연결바(113)에 누수방지가 가능하게 일면이 서로 접하도록 병렬로 배열시켜 고정시키고, 전면테(111)와 후면테(112) 안에 병렬로 배열된 널이 액상식품과 접촉하여 널의 부피팽창으로 널과 널은 물론 널과 전면테(111)와 후면테(112)의 접촉면이 가압되어 결과적으로 액상식품의 누수를 방지하고, 후프(150)가 널과 전면테(111)와 후면테(112)는 물론 널과 널의 접촉면을 추가로 가압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제3단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전면테(111)와 후면테(112)의 내측 면에는 중앙부가 관통되어 빈 공간이 있어 널을 끼울 수 있고, 이 내측 면에는 끼워진 널이 외부의 압력에 의해 목통 내부로 밀려들어감을 방지할 수 있는 전,후면용밀림방지링(111c,112c)이 내측면의 내부면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면테(111)와 후면테(112)의 각 외측 면은 널의 길이 방향의 끝 부분이 걸쳐지면서 널이 전면테(111)와 후면테(112)의 외측면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게 널의 길이 방향의 절단면이 접할 수 있는 전,후면용밀림방지링(111c,112c)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연결바(113)는 전면테(111)와 후면테(112)의 외측면과 연결바(113)의 내부 면과 연결하여 목통(100)의 틀을 이루고, 각 연결바(113)의 내측 면이 전면테(111)와 후면테(112)의 각 외측면의 전,후면용밀림방지링(111c,112c)과 빈 공간을 형성하여, 이 빈 공간이 목통(100)의 측면을 구성하는 널을 끼울 수 있는 테를 이룬다.
상기 연결바(113)는 2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목통 측면을 2분할 또는 다분할하게 된다.
상기한 빈 공간인 전면테(111), 후면테(112) 및 연결바(113)에 상기한 송진을 충전하여 건조시킨 널을 누수방지가 가능하게 일면이 서로 접하도록 병렬로 배열하여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한 전면테(111)와 후면테(112) 및 연결바(113)에는 다수의 상기 널이 널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고, 널과 전면테(111), 후면테(112) 및 연결바(113)가 접촉되는 부분에는 널의 최외측 면과 상,하절단면이 액상식품이나 물로 널이 젖을 때 길이팽창과 부피팽창으로 가압시킴으로 인해 누수가 방지되도록 전면테(111)와 후면테(112)의 각 내측 면과 전면테(111)와 후면테(112)의 전,후면용누수방지링(111b,112b) 외주면과 내주면 그리고 연결바(113)의 양측면에는 다수의 전,후면용누수방지용돌기(111b'112b',111b",112b")와 외주면누수방지용돌기(113a)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전면테(111)와 후면테(112)의 내측 면에 상기의 널을 누수방지가 가능하게 일면이 서로 접하도록 병렬로 배열하여 고정시킨 다음에 전면테(111)와 후면테(112)의 각 외부 절단면에는 널이 내부의 압력에 의해 목통 외부로 밀려나감을 방지할 수 있는 전면지지바(160)와 후면지지바가 널의 길이 방향의 수직방향으로 각각 고정되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면지지바(160) 및 후면지지바는 널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쉽게 체결하였다가 분리할 수 있는 체결 방법과 대용량의 목통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후면지지바는 단면이 사각인 판 모양이고, 전면테(111)와 후면테(112)의 외부 절단면과 접하는 부위에 고정홀이 있고, 상기 고정홀에 일치되게 전면테와 후면테의 각 외부 절단면에 형성된 고정나사홈과, 상기 고정홀을 일단이 관통하여 고정나사홈에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통(100)의 측면에 가해지는 목통 내용물의 중량, 후프(150)의 조임, 운송 시의 충격, 목통 적재 등의 외부 압력으로 연결바(113)와 널의 휨 및 변형을 방지해 줄 수 있는 보강용링(170)이 각각의 연결바(113)와 연결되어 있다.
보강용링(170)은 각 연결바(113)의 내부 면과 보강용링(170)의 외부 면이 용접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연결바(113)의 상,하 그리고 좌,우의 휨과 변형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목통(100)의 측면을 이루는 널의 내부 면을 또한 지지하여 준다.
상기 연결바(113)에 고정되는 널 중에는 액상식품을 목통(100) 내측으로 충전시켜 막음하거나 시간 경과에 따른 저장된 액상식품을 배출시키기 위한 주입홀(141)이 형성된다.
상기한 주입홀(141)에는 주입홀(141)를 개폐하는 목재나 실리콘 재질로 만든 마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널이 끼워진 연결바(113) 상부에 후프(150)를 끼우고, 후프(150)를 널의 일정 부위에 고정하기 위한 후프 못(미도시함)을 후프(15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널에 박아 본 발명의 액상식품 저장용 목통 제작이 완성된다.
상기한 전면테(111)와 후면테(112)의 단면은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사각형, 육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목통이 원기둥, 사각기둥, 육각기둥 또는 다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연결바(113)의 단면은 연결바와 널의 접촉면을 고려하여 사각형 모양이 바람직하고, 연결바의 높이는 후프에 의하여 널이 전면테와 후면테의 외측 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널의 높이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보강용링(170)의 외부면의 모양과 크기는 전면테(111)와 후면테(112)의 외측 면의 모양과 같고, 크기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후프(150)는 목통의 용량과 모양에 따라 2개 이상으로 구성되고, 후프의 단면 모양은 전면테(111)와 후면테(112)의 외측 면의 모양과 같고, 크기는 건조된 널 위에 용이하게 끼워지면서 액상식품에 널이 젖을 때 널과 테가 밀착될 수 있는 크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전면테(111), 후면테(112), 연결바(113), 후프(150), 후프 못, 전,후면지지바(160), 나사 및 보강용링(170)은 장기간 사용에 따른 녹 발생을 방지가능 하도록 스테인레스스틸재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단계에 의한 목통의 모양과 크기는 액상식품의 보관, 발효, 제성, 숙성 등의 저장 용도에 따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또, 작은 목재 및 굽은 목재도 목통의 목재로 사용할 수 있게 널의 규격과, 널의 규격에 적합하게 전면테(111)와 후면테(112) 및 연결바(113)의 규격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널의 교체나 수리도 해당 테만 분리하여 교체나 수리를 하기 때문에 용이하고, 원하는 액상식품의 품질에 맞게 널의 재질 및 두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제4단계: 목통에 저장하여 액상식품을 제조하는 단계
액상식품의 목통 저장은, 상기와 같이 제작된 액상식품 저장용 목통에 상온의 물을 주입홀로 목통에 충전하여 1?8시간 방치하여 널을 팽창(swelling)시킨 후 물을 배출시킨 후, 목통의 주입홀을 통하여 액상식품을 충전하고 주입홀을 마개로 밀봉하여 액상식품의 보관, 발효, 제성, 숙성 등의 저장 용도와 액상식품의 목표 품질에 맞게 저장기간을 설정하여 저장한다. 저장된 액상식품은 필요에 따라 제품의 용도에 맞게 블렌딩(blending)하여 목통을 이용한 액상식품을 제품화 한다.
상기한 액상 식품은 주류, 식초, 간장, 액젓, 고추장, 탄산음료, 과실음료, 과일주스, 야채주스, 우유, 두유, 유산균음료, 다류, 커피음료, 기능성음료, 음료수 등을 포함한다.
제5단계: 목통에 저장한 액상식품을 증류하는 단계
상기한 증류는 필요에 따라 주로 액상식품이 주류인 경우에 실시하며, 제4단계의 목통에 증류식 소주나 희석식 소주를 저장하여 숙성할 경우에 목통에서 용출된 나무냄새와 쓴맛, 이취 등을 감소시키고, 또, 목질에서 우러난 수지성분에 의하여 백탁으로 흐려지거나 침전물로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증류하여, 주질을 순화시킬 수 있다. 종래의 증류식 소주, 보드카, 희석식 소주는 고도의 정제기술에 의하여 원료, 효모, 발효의 특성이 거의 사라져서 주질이 획일적이고 특징이 없어, 목통 숙성 주류를 증류하는 제5단계로 새로운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막걸리, 약주, 과실주, 맥주 등을 상기 목통에서 발효시키거나 숙성시킨 후 증류하여 증류식 소주나 일반증류주 제조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목통을 이용한 액상식품 제조방법에 있어, 목통의 널 재료가 될 수 있는 목재이면서 송진의 생성 목재인 소나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나무류(pine)는 소나무과(pinaceae)에 속하며, 전 세계에 걸쳐 100여 종(種) 이상으로 이루어진 소나무속(-屬 Pinus)의 상록 침엽수로 북반구의 온대지방이 원산지이고, 가장 많이 분포하는 지역은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멕시코와 중앙아메리카의 산악지대이다.
소나무는 가뭄에 잘 견디지만 생식과 성장을 위해 깨끗한 공기와 충분한 햇빛을 필요로 한다. 바늘처럼 생긴 광합성을 하는 다자란 잎은 2개 이상의 수지도(樹脂道)를 가지고 있으며 짧은 가지의 정단부에는 다자란 잎 2~5개가 다발로 달려 있다.
다자란 잎은 2~17년 동안 달려 있다. 많은 식물학자들은 소나무속 식물들을 연한 소나무로 바늘잎에 1개의 섬유성 관다발을 가지는 잣나무, 눈잣나무, 스트로브잣나무, 백송 등의 잣나무아속(Haploxylon)과 단단한 소나무로 바늘잎에 2개의 섬유성 관다발을 가지는 소나무, 곰솔, 리기다소나무, 테에다소나무, 방크스소나무, 구주소나무, 풍겐스소나무 등의 소나무아속(Diploxylon)으로 나눈다.
연한 소나무들은 바늘잎이 5개(드물게는 1~4)씩 다발을 형성하고, 목재는 얇고 나뭇결이 고우며 대부분이 백색의 변재로 되어 있고 나무에는 송진이 거의 없다. 단단한 소나무들은 바늘잎이 2~3(드물게는 5~8)씩 다발을 형성하고, 목재는 나뭇결이 거칠고 두꺼운 변재로 어두운 빛깔을 띠며 나무에는 송진이 많다.
우리나라 나무의 42%를 차지하는 소나무는 2010년 산림청의 산림에 대한 국민의식 설문조사에서 67.7%가 가장 좋아하는 나무는 “소나무”로 조사되었다. 침엽수, 특히 소나무(잣나무)에서 주로 발산하는 피톤치드(phytoncide)는 식물계에 있어서 외부의 유해성분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데 사용하는 물질로서 “산림향”으로 휘발성이고 테르펜(terpene)이 주성분이다.
이 피톤치드는 사람에게 쾌적한 느낌을 줘 심신을 이완시키며, 유해한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악취를 없애고, 상쾌한 향을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테르펜은 이소플렌 단위체의 수에 따라 분류하는데 이소플렌(C5H8) 2개가 모인 모노테르펜(C10H16), 이소플렌 4개가 모인 디테르펜(C20H32), 이소플렌 6개가 모인 트리테르펜(C30H48), 이소플렌 8개가 모인 테트라테르펜(C40H64)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모노테르펜, 디테르펜은 식물의 정유에 많고, 비타민A와 로진산은 디테르펜에 속하고, 상어의 간유에 들어 있는 스콸렌은 트리테르펜에 속하고, 카로티노이드 색소는 테트라테르펜에 속한다.
소나무의 순, 가지, 속껍질, 꽃가루, 잎, 씨는 식용 또는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소나무의 효능은 혈액 정화작용 및 담즙 분비 촉진, 악성 콜레스트롤을 제거하여 동맥경화를 예방하거나 풍의 예방, 백발을 검게 하며 발모효과, 활성산소 제거, 신진대사 촉진, 소염, 진통, 진정의 효능, 입 냄새 제거, 니코틴 해독 작용 등이 있으며 동의보감에도 송지(松脂:송진), 송실(松實:씨), 송화(松花) 등 소나무 각각의 성분을 그 효과와 함께 소개하고 있다.
소나무의 심재는 춘양목이 87%, 일반소나무는 52%이다. 변재는 흡습, 변색, 부패가 용이하여 뒤틀림, 터짐, 곰팡이 번식 및 해충 침식을 받기 쉽다. 소나무의 원주재나 제재표면의 갈라짐은 잣나무와 반대로 좌상에서 우하 섬유방향으로 경사져 갈라진다. 재의 구성 비율은 가도관 95.9%, 방사조직 3.5%, 수직수지구 0.7%이고, 가도관의 길이는 1.5~6.0mm이다. 가도관은 나무를 곧게 서 있을 수 있는 역할과 뿌리에서부터 잎까지 수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방사조직은 영양분이 목재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하는 통로이다. 방사조직은 방사유세포와 방사가도관으로 되어 있으며 수평수지구가 있는 것도 있다. 수지구는 수직 및 수평수지구를 가지고 있으며, 수지구에는 타일로시스가 발달되어 있다. 참나무가 속하는 활엽수는 가도관이 없으며 목섬유가 40~65%, 도관 20~40%, 유세포는 10~20% 차지하고, 소나무가 속하는 침엽수는 가도관 또는 헛물관이 약 95%, 유세포가 약 5%인 반면에 침엽수를 구성하는 주요 세포인 가도관은 길이가 3~5mm로 길고, 속이 비어 있으며 양끝이 막힌 튜브형태이고, 세포 폭은 30~50μm 정도이다. 활엽수를 구성하는 목섬유 길이는 1mm 정도이고 세포 폭은 좁고, 양끝은 뾰족하다.
소나무의 화학적 조성은 셀루로오스 49~58%, α-셀루로오스 36~44%, 펜토산 10~12%, 만난 2~8%, 가락탄 0.3~0.6%, 리그린 26~31%, 온수추출물 2~4%, 1% NaOH 추출물 11~24%, 알코올, 벤젠 추출물 2~4%, 회분 0.2~0.4%이다. 소나무의 가공성은 절삭성, 함열성, 건조성은 양호하며, 휨 가공성과 표면 마무리는 불량하다. 수지는 비교적 많아 미건조재는 수지가 침출하는 경우가 많다. 소나무의 용도는 식생활 도구로 도마, 뒤주, 소반, 주걱, 목기, 제상, 떡판, 떡뫼 등으로 사용되고, 건축재, 농기구재, 목탄, 신탄재 등으로 이용된다. 소나무는 목재 외에 송이버섯, 복령(한약재), 관솔(목공제품), 송화가루(다식, 건강음료), 솔잎(건강음료), 송진(약품, 향료), 솔방울(약술, 목 공예품)등의 부산물을 생산하는 고부가가치 나무이다.
송진(pine resin)은 소나무의 상처 등에서 흘러나오는 끈적끈적한 수지로, 주로 수피에서 분비되며 수지산에서 나오는 흰색 고체를 석출한다. 에탄올, 아세트산에 녹으나 물에는 녹지 않으며, 수증기로 증류하여 테레빈유를 얻고 나면 로진(rosin)이 남게 된다. 성분은 로진이 70~75%, 테레빈유는 18~22%, 물과 기타불순물이 5~7%이다. 송진은 따뜻하면 끈적거리고 소나무 냄새를 풍기며, 소나무의 흡습, 부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관솔은 소나무 줄기에서 분비되는 송진이 나무줄기에 발달한 세포간도(細胞間道)에 엉겨서 생성되며, 주로 가지와 옹이에 많고 성분은 로진과 테레빈유이다. 관솔은 송진에 의하여 고목에서도 관솔부분은 썩지 않고, 터짐, 변형이 거의 없고, 소나무의 강도와 내후성을 높인다.
소나무의 수축정도는 접선 방향이 가장 크고, 다음이 반지름 방향, 섬유 방향이 가장 작다. 대체적인 수축비는 10:5:1 정도이고, 함수율 1%당 수축률은 접선 방향이 0.2~0.4%, 반지름 방향이 0.1~0.2% 정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목통을 이용한 액상식품 제조방법의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통을 이용한 액상식품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액상식품을 제조함에 있어서, 특히 주류가 알코올에 의한 침투성이 높아 누주가 잘 발생하기에 주류를 실시예로 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소나무, 잣나무를 이용한 홈 목통 주류 제조
홈 목통 제조용 원목은 벌목 후 소나무는 60일, 잣나무는 45일 건조시키고 겉껍질을 제거하고, 아래의 [표 1]과 같은 원목규격으로 원목을 절단 후 6일 건조시켰으며, 절단 원목을 목공예업체에서 홈파기 후 13일 건조시켰다. 절단 원목의 수령은 소나무가 23년, 잣나무는 19년이고, 심재의 직경은 소나무가 7cm, 잣나무가 9cm이었다. 홈 목통의 홈이 있는 상부 면은 유리판으로 밀봉이 될 수 있게 대패로 표면을 매끄럽게 처리하였다. 송진은 경기도 여주군 야산 소나무에서 채취하여, 85% 에탄올에 송진을 30%(w/v)로 용해시킨 후, 찌꺼기는 가라앉힌 후 청징액을 사용하였다. 홈 목통의 표면도포는 30% 송진에탄올용액(w/v)을 소나무 홈 목통과 잣나무 홈 목통의 표면에 충분히 도포 후에 건조시켜 저장 및 숙성 실험에 사용하였다. 송진 표면도포 실험은 소나무와 잣나무의 재질에 따른 비교, 같은 잣나무의 송진 표면도포 유무에 대한 비교를 하였고, 실험에 사용한 원목규격과 홈 목통규격은 아래의 [표 1]에 나타냈다.
구 분 | 송진 표면도포 | 송진 미도포 | ||
소나무 홈 목통 | 잣나무 홈 목통 | 잣나무 홈 목통 | ||
원목규격 |
상부외경(㎝) | 15.3~15.6 | 15.0~16.0 | 15.1~15.2 |
하부외경(㎝) | 15.6~15.8 | 16.0~17.5 | 15.5~16.3 | |
높이(㎝) | 24.2 | 24.3 | 25.0 | |
홈 목통 규격 |
홈 직경(㎝) | 9.9 | 11.4 | 10.4 |
홈 깊이(㎝) | 20.4 | 19.9 | 20.8 | |
밑바닥 두께 | 3.8 | 4.4 | 4.2 | |
부피(㎖) | 1570 | 2030 | 1766 | |
홈두께(최소~최대) | 2.6~2.7 | 1.4~2.8 | 2.3~2.5 | |
30% 송진에탄올용액 도포량 | 125g | 102g | - |
<실험예 1>
본 발명의 목통을 이용한 액상식품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소나무, 잣나무를 이용하여 송진을 표면도포한 소나무와 잣나무의 홈 목통을 제작하고, 저장 중 누주를 분석하고 주질 개선 효과를 판별하기 쉬운 이취가 적은 48.42%(v/v) 에탄올용액을 저장용 주류로 사용하였다. 저장 주류의 홈 목통 주입량은 홈 목통 자체의 흡수로 최초 주입 후 30분 후에 공간 부분(headspace) 깊이(홈 목통의 홈 입구에서 저장주류 수위까지의 거리)가 1cm 되도록 저장 주류를 주입하였다.
저장 주류를 주입 후 홈 목통의 홈이 있는 상부 면은 파라핀으로 유리판과 밀폐가 되게 한 후 유리판 위에 무거운 물체를 두어 밀봉하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분석은, 주류의 누주량은 공간 부분 깊이를 측정하였고, 홈 목통의 주류 누출 부위는 육안관찰을 하였고, 관능검사는 홈 목통에 주류를 6일 저장 후 시료를 주질 평가 전문가에 의해서 관능적 특성을 향과 맛으로 나타내는 묘사분석법으로 기술하여 아래의 [표 2]에 나타냈다. 송진 표면도포 유무에 의한 잣나무 홈 목통의 누주는 6일 저장 후 약 81%의 차이가 발생하여, 송진 표면도포는 누주 방지에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홈 목통의 누주 육안관찰에서 홈 목통은 홈 옆면 보다 홈 바닥으로 대부분 누주되었다.
구분 | 송진 표면도포 | 송진 미도포 | ||
소나무 홈 목통 | 잣나무 홈 목통 | 잣나무 홈 목통 | ||
홈 깊이 | 20.4㎝ | 19.9㎝ | 20.8㎝ | |
공간부분깊이 |
저장 0일 | 1.0㎝ | 1.0㎝ | 1.0㎝ |
저장 3일 | 7.9㎝ | 6.8㎝ | 11.3㎝ | |
저장6일 | 12.9㎝ | 10.8㎝ | 19.5㎝ | |
누주 육안관찰 |
홈 옆면 | 누출전무 | 누출 전무 | 일부 누출 |
홈 바닥 | 바닥면 누출 | 바닥면 누출 | 바닥면 누출 | |
관능검사 |
향 | 강한 소나무향 | 강한 잣 냄새 | 강한 나무 냄새 |
맛 | 소나무 향미 | 소나무 향미 | 은은한 나무 맛 |
<실험예 2>
본 발명에 사용되는 소나무, 잣나무를 이용하여 제작한 송진 표면도포 소나무, 잣나무 홈 목통의 저장 주류의 성분분석은 경시적 변화를 판별하기 쉬운 무색인 48.42%(v/v) 에탄올용액을 저장 및 숙성용 주류로 사용하였다.
알코올 분석은 Density Meter, pH는 pH Meter, 색차는 Spectrophotometer, 탁도는 Turbidimeter로 측정하였다. [표 1]의 홈 목통에 알코올 48.42%(v/v) 에탄올용액을 넣고 저장 주류의 경시적 변화를 분석하여 아래의 [표 3]에 나타냈다. 저장 6일 경과 후 알코올 함량은 소나무 표면도포 홈 목통은 1.35%(v/v), 잣나무 표면도포 홈 목통은 1.82%(v/v), 송진 미도포 잣나무 홈 목통은 2.21%(v/v) 감소하여, 송진 미도포 잣나무 홈 목통은 송진 표면도포 잣나무 홈 목통에 비하여 알코올 함량이 21% 더 감소하였다.
구분 |
저장기간 | 송진표면도포 | 송진 미도포 | |
소나무 홈 목통 | 잣나무 홈 목통 | 잣나무 홈 목통 | ||
알코올(%) |
0일 | 48.42 | 48.42 | 48.42 |
3일 | 47.57 | 47.20 | 46.65 | |
6일 | 47.07 | 46.60 | 46.21 | |
pH |
0일 | 8.5 | 8.5 | 8.5 |
3일 | 7.2 | 7.0 | 6.7 | |
6일 | 6.1 | 6.5 | 6.2 | |
색차(△E) |
0일 | 0.23 | 0.23 | 0.23 |
3일 | 1.48 | 1.91 | 2.14 | |
6일 | 2.44 | 3.52 | 4.04 | |
탁도(NTU) |
0일 | 0.26 | 0.26 | 0.26 |
3일 | 0.33 | 0.30 | 0.30 | |
6일 | 0.45 | 0.41 | 0.36 |
본 발명에 사용되는 소나무 널의 도관 충전
본 발명에 사용되는 소나무 널의 내부 도관으로 물과 에탄올의 확산 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소나무 각목을 2개의 수조 위에 각각 세우고, 잉크 색소를 물과 80% 에탄올용액에 각각 혼합한 후에 각목의 끝에서 1cm 높이까지 색소물과 색소에탄올용액을 수조에 부어서 3시간 동안 널의 내부 도관으로 확산되는 정도를 알아보았다. 내부 도관으로 확산은 톱으로 일정 높이를 단계적으로 잘라서 절단면의 50%가 색소로 염색된 높이를 확산거리로 하였다. 아래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목 외부의 색소 확산거리와 달리 내부의 색소 확산거리는 짧았고, 물에 비해 80% 에탄올용액은 3.5배 확산거리가 길었다.
송진에탄올용액의 압력에 따른 도관 충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비교시료인 상압시료는 길이; 32cm, 가로; 2.8cm, 세로; 2.8cm인 각목을 세우고, 감압 시료는 길이; 32cm, 가로; 2.8cm, 세로; 2.9cm인 각목의 상부 끝 부분에서 약 2cm를 끝이 점점 가늘어지게(tapering) 깍은 후 직경이 2.8cm인 원형으로 하여 각목의 도관으로 감압이 전달되도록 파라핀 필름을 감아 감압이 450mmHg 유지되도록 감압 펌프에 연결하여 세우고, 각각의 시료 하부의 각목 끝에서 1cm 높이까지 80% 에탄올에 송진을 30%(w/v)로 용해시킨 30% 송진에탄올용액을 바닥이 넓은 용기에 부어서 3시간 동안 널의 내부 도관으로 확산되는 정도를 알아보았다. 확산 정도는 각각의 시료를 1일 건조시킨 후 톱으로 일정 높이를 단계적으로 잘라서 절단면의 50%가 송진으로 확산된 거리를 절단면 상승거리로 하였다. 아래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압에 비해 감압은 2.4배 확산거리가 길었다.
상기한, 널을 약 15kg/cm2(약 14.5기압) 압력탱크에서 약 5시간 동안 유지하는 가압처리 방법에서는, 송진에탄올용액이 널의 도관 및 공극에 많이 주입될 것이다.
구분 |
색소+물 | 색소+에탄올 | 30% 송진에탄올용액 | ||
상압 | 상압 | 감압 | 상압 | ||
시료규격(㎝) | 가로×세로 | 2.8×2.9 | 2.8×2.9 | 2.8×2.9 | 2.8×2.8 |
높이 | 31 | 31 | 32 | 32 | |
침지시간 | 3시간 | 3시간 | 3시간 | 3시간 | |
외부관찰 |
평균상승거리 | 1㎝ | 6㎝ | 2.3㎝ | 2.4㎝ |
최소상승거리 | 0.5㎝ | 4㎝ | 1.9㎝ | 2.1㎝ | |
최대상승거리 | 6㎝ | 8.5㎝ | 2.7㎝ | 2.7㎝ | |
절단면 상승거리(면적50%) | 0.4㎝ | 1.4㎝ | 3.1㎝ | 1.3㎝ |
본 발명에 따른 목통 제작으로 주류 숙성
본 발명에 따른 목통을 이용한 액상식품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널을 테에 끼운 액상식품 저장용 목통(100)을 첨부한 도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작하고, 액상식품으로 소주를 선정하여 숙성을 실시하였다.
목재소에서 소나무 널빤지를 구입하고 4주간 건조하여, 널빤지의 단면이 전면테(111)와 후면테(112)에 사용할 것은 직사각형 모양, 측면테(140)에 사용할 것은 사다리꼴 모양으로 대패로 깎은 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널(110)을 만든다. 목통 제작 시 목통 내부로 위치할 널의 일면을 소나무를 화목으로 한 불에 널의 표면이 검은색이 나타나도록 그을림을 한다. 그을려진 널을 상기한 상압처리 방법에 해당하는 85% 에탄올에 송진을 30%(w/v)로 용해시킨 30% 송진에탄올용액(w/v)을 널 표면에 수회 털붓으로 칠하여 건조한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인 전면테(111)와 후면테(112)는 목통용전면널(120)과 목통용후면널(130)을 각각 끼울 수 있고, 이 내측면에는 널이 외부의 압력에 의해 목통 내부로 밀려들어감을 방지할 수 있는 전,후면용밀림방지링(111c,112c)이 구비되어 있고, 전면테(111)와 후면테(112)의 외측 면은 널의 길이 방향의 끝 부분이 걸쳐지면서 널이 테의 외측 면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널의 길이 방향의 절단면이 접할 수 있는 전,후면용링(111a,112a)이 구비되어 있다.
단면이 직사각형 모양인 연결바(113) 3개가 전면테(111)와 후면테(112)의 전,후면용누수방지링(111b,112b) 상부면에 양 끝부분면이 각각 용접으로 연결되어 있고, 3개의 연결바(113)를 지지하여 주는 원형의 보강용링(150)은 연결바(113)의 내주면에 외주면이 용접으로 연결되어 목통의 틀을 이루고 있다.
각 연결바(113)의 내측 면이 전면테(111)와 후면테(112)의 각 외측 면의 전,후면용링(111a,112a)과 빈 공간을 형성하여 이 공간에 목통의 측면을 구성하는 목통용측면널(140)을 끼울 수 있도록 공간을 갖는 스테인레스스틸재로 만들어진 목통의 틀에, 상기의 송진을 표면 도포하여 건조된 다수의 목통용전면널(120), 목통용후면널(130), 목통용측면널(140)을 각각 누수방지가 가능하게 일면이 서로 접하도록 병렬로 배열시켜 전면테(111)와 후면테(112) 및 연결바(113)에 고정시킨다.
원형의 후프(150) 2개를 연결바(113)에 고정되어 있는 널의 양 끝부분 위에 끼우고, 후프(150)를 고정하기 위하여 후프(15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널에 후프 못을 박았다.
상기 목통(100)의 연결바(113)에 고정되는 널(110) 중에는 액상식품을 목통(100) 내측으로 충전시켜 막음하거나 시간 경과에 따른 저장된 액상식품을 배출시키기 위한 주입홀(141)가 형성되어 있고, 주입홀(141)에는 주입홀(141)을 개폐하는 실리콘 재질로 만든 마개를 구비하고 있다.
전면테(111)와 후면테(112)의 내측 면에 상기한 다수의 목통용전면널(120), 목통용후면널(130)을 각각 누수방지가 가능하게 일면이 서로 접하도록 병렬로 배열하여 고정시킨 다음에는, 전면테(111)와 후면테(112)의 외부 절단면에 목통용전면널(120)이 내부의 압력에 의해 목통 외부로 밀려나감을 방지하도록 전면지지바(160) 및 후면지지바를 목통용전면널(120), 목통용후면널(130)의 길이 방향의 수직방향으로 고정시킨다. 상기 전면지지바(160) 및 후면지지바는 판 모양이고, 전면테(111)와 후면테(112)의 외부 절단면과 접하는 부위에 고정홀(미도시함)이 있고, 고정홀에 일치되게 전면테(111)와 후면테(112)의 외부 절단면에 형성된 고정나사홈(미도시함)과, 고정홀을 일단이 관통하여 고정나사홈에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널이 테와 접촉되는 전면테(111)와 후면테(112)의 각 내측 면과 전면테(111)와 후면테(112)의 각 외측 면 및 각 연결바(113)의 양 내측 면에는 테의 길이방향으로 전,후단측면누수방지용돌기(111b',112b')와 전,후면용누수방지용돌기(111b",112b") 그리고 외주면누수방지용돌기(113a)를 다수 돌출 형성하여 널과 테가 누수를 방지하도록 견고하게 접촉되도록 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연결바(113)가 3개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2개 이상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작된 액상식품 저장용 목통(100)에 상온의 물을 주입홀(141)로 목통에 충전하여 5시간 방치하여 목통용전면널, 목통용후면널, 목통용측면널을 팽창(swelling)시킨 후 물을 배출시켰다.
상기 목통의 물을 배출한 후에 시중에서 구입한 19.5% 희석식 소주를 주입홀(141)를 통하여 주입하여 충전하고 실리콘 재질의 마개로 막음하였다.
목통에 소주를 충전 후 누주가 발생하지 않았다.
도면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테, 후면테 및 연결바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전,후단측면누수방지용돌기와, 다수의 전,후면용누수방지용돌기 그리고 외주면누수방지용돌기에 의해 누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목통이 원기둥으로 형성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목통이 사각기둥, 육각기둥 또는 다각기둥의 형상을 포함한 다면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실험예 3>
상기한 [실시예 3]에서 널을 테에 끼울 때, 누주 방지를 위한 소나무 널의 건조 전후 길이변화에 대한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실험예 3>을 실시하였다. 목재소에서 구입한 각목형태의 소나무 널 3개를 8시간 물에 침지 후 꺼내어 표면의 수분을 제거하고, 2시간 상온 건조 후에 중량과 길이를 측정하고, 5일간 자연 건조 후 중량과 길이를 측정하여 널의 수분함량 1%당 각 방향의 길이 변화를 아래의 [표 5]에 나타냈다. 수분 1% 변화에 따른 널의 길이 방향인 섬유 방향은 길이 변화가 거의 없었고, 접선 방향은 0.395%, 반지름 방향은 0.178%의 변화가 있었다. 이 분석 결과에 따라 널을 테에 끼울 때는 널의 길이 방향으로는 테에 밀착 시키고, 널과 널 사이는 거리가 좀 있어도 널을 저장할 액상식품이나 물에 침지하거나 분무하여 널을 팽창시킬 때 부피가 크게 늘어나기 때문에 누주의 염려가 없을 것이다.
구분 |
건조 후 수분함량 | 건조 전후 길이 변화 | ||||||||||
전중량(g) | 후중량(g) | 수분함량(%) | 섬유방향 | 접선방향 | 반지름방향 | |||||||
전(㎝) | 후(㎝) | 변화(%) | 전(㎝) | 후(㎝) | 변화(%) | 전(㎝) | 후(㎝) | 변화(%) | ||||
시료1 | 124.40 | 109.01 | 12.4 | 31.00 | 31.00 | 0 | 2.95 | 2.80 | 5.08 | 2.90 | 2.85 | 1.72 |
시료2 | 129.95 | 113.28 | 12.8 | 32.00 | 31.95 | 0.16 | 2.95 | 2.80 | 5.08 | 2.95 | 2.90 | 1.69 |
시료3 | 130.45 | 113.05 | 13.3 | 32.15 | 32.15 | 0 | 2.95 | 2.80 | 5.08 | 2.90 | 2.80 | 3.45 |
합계 | 384.8 | 335.34 | 12.85 | 95.10 | 95.10 | 0.05 | 8.85 | 8.40 | 5.08 | 8.75 | 8.55 | 2.29 |
길이변화율/수분1% | 0.004% | 0.395% | 0.178% |
본 발명에 따른 목통에 사용하는 송진을 첨가한 주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목통을 이용한 액상식품 제조방법에 의해 저장된 주류의 주질 특성과 다양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소나무와 잣나무에서 채취한 소나무송진과 잣나무송진으로 주질 변화를 용이하게 판별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목통에 저장된 주류를 사용하지 않고 시중에서 구입한 19.5% 희석식소주를 사용하여 송진을 블렌딩(blending)한 주류와 이 블렌딩한 주류를 증류하여 증류 주류를 제조하였다. 소나무송진과 잣나무송진은 경기도 여주군 야산의 소나무와 잣나무에서 채취하여 85% 에탄올에 용해시킨 후 찌꺼기는 가라앉힌 후 청징액을 사용하였다. 블렌딩은 희석식 소주에 각각의 송진을 30ppm(w/v)이 되게 첨가하였다. 증류는 소나무송진 블렌딩, 잣나무송진 블렌딩 및 대조구인 희석식소주를 각각 200ml를 상압증류하여 100ml를 수기에 받아 <실험예 2>에서 상기한 분석기기와 관능검사방법으로 알코올 함량, 탁도, pH를 분석하여 아래의 [표 6]에 나타냈다. 증류한 주류의 탁도는 4~5NTU에서 0.1~0.2NTU로 맑아져 백탁에 의한 침전물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관능검사 결과는 향은 깨끗하고 부드러워졌으며 맛은 쓴맛이 약화되어 주질이 순화되었다. 소나무송진과 잣나무송진으로 희석식소주에 블렌딩한 주류는 3ppm에서도 송진 맛과 향이 감지되었다.
구분 |
증류 주류 | 블렌딩 주류 | ||||
소나무 송진 | 잣나무 송진 | 대구조 | 소나무 송진 | 잣나무 송진 | ||
알코올 | 40.6% | 40.5% | 40.4% | 19.6% | 19.6% | |
탁도(NUT) | 0.08 | 0.21 | 0.23 | 5.1 | 4.2 | |
pH | 8.6 | 8.5 | 8.4 | 6.5 | 6.1 | |
관능 검사 |
향 | 약한 솔향 | 약한 솔향 | 주정취 | 약한 송진향 | 약한 잣향 |
맛 | 약한 송진맛 | 약한 송진맛 | 알콜맛 | 쓴 송진맛 | 쓴 잣송진맛 |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액상식품 저장용 목통 110 ; 목통용틀
120 ; 목통용전면널 130 ; 목통용후면널
140 ; 목통용측면널 150 ; 후프
160 ; 전면지지바 170 ; 보강용링
120 ; 목통용전면널 130 ; 목통용후면널
140 ; 목통용측면널 150 ; 후프
160 ; 전면지지바 170 ; 보강용링
Claims (4)
- 목통을 이용한 액상식품 제조방법에 있어서,
목재를 단면이 사각형 형상인 널빤지 또는 각목으로 절단하여 목통용전면널(120)과 목통용후면널(130) 및 목통용측면널(140)을 다수개 제작하는 단계(S210)와,
상기 단계(S210)에 의해 제작된 다수의 목통용전면널(120)과 목통용후면널(130) 및 목통용측면널(140)의 표면과 내부 도관의 공극을 알코올에 용해시킨 송진용액으로 밀폐하는 단계(S220)와,
상기 단계(S220)에 의해 알코올에 용해시킨 송진(松津)용액으로 밀폐된 다수의 목통용전면널(120)과 목통용후면널(130) 및 목통용측면널(140)을 링형상의 단면을 갖는 전면테(111) 및 후면테(112)와, 상기 전면테(111)의 상부면에 한쪽 끝부분이 용접으로 연결되고 다른쪽 끝부분은 후면테(112)의 상부면에 용접으로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전면테(111)와 후면테(112)를 연결시키도록 일정 간격 원주방향으로 다수개로 구비되는 연결바(113)로 구성된 목통용틀(110)을 제작하는 단계(S230)와,
상기 단계(S230)에 의해 제작된 목통용틀(110)의 전면테(111)와 후면테(112) 그리고 연결바(113)의 각 외측면에 일면이 서로 접하도록 병렬로 배열하여 누수방지가능하게 고정하여 다수의 목통용전면널(120)과 목통용후면널(130) 및 목통용측면널(140)을 끼우는 단계(S240)와,
상기 단계(S240)에 의해 목통용틀(110)에 다수의 목통용전면널(120)과 목통용후면널(130) 및 목통용측면널(140)이 누수방지가능하게 고정되어 끼워지면, 목통(100)에 액상식품 저장에 따른 다수의 목통용측면널(140)의 부피팽창으로 전,후면테(111,1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목통용측면널(140) 외주면을 감싸도록 후프(150)를 끼워 고정하는 단계(S250)와,
상기 단계(S250)에 의해 목통용측면널(140) 외주면에 후프(150)가 끼워져 고정되면, 전,후면테(111,112)의 전면에 각각 위치되는 것에 의해 양단은 스크류를 매개로 전,후면테(111,112)에 고정되어 액상식품 저장에 따른 다수의 목통용전,후면널(110,120)의 부피팽창으로 전,후면테(111,1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면지지바(160) 및 후면지지바를 고정시켜 목통(100)을 제작하는 단계(S260)와,
상기 단계(S260)에 의해 제작된 목통에 액상식품을 저장하는 단계(S2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통을 이용한 액상식품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식품은 주류, 식초, 간장, 액젓, 고추장, 탄산음료, 과실음료, 과일주스, 야채주스, 우유, 두유, 유산균음료, 다류, 커피음료, 기능성음료 또는 음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통을 이용한 액상식품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70)에 의해 목통(100)에 저장된 액상식품이 목질에서 우러난 수지성분에 의하여 백탁으로 흐려지거나 침전물로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액상식품을 순화시키도록 증류하는 단계(S2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통을 이용한 액상식품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30)에서 목통용틀(110)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면테(111)와 후면테(112) 사이에 다수의 연결바(113) 내측면과 외주면을 용접시켜 보강용링(170)을 고정하는 단계(S2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통을 이용한 액상식품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105447 | 2010-10-27 | ||
KR1020100105447 | 2010-10-2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4217A true KR20120044217A (ko) | 2012-05-07 |
KR101221420B1 KR101221420B1 (ko) | 2013-01-11 |
Family
ID=462641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55207A KR20120044215A (ko) | 2010-10-27 | 2011-06-08 | 소나무목통을 이용한 액상음료 제조방법 |
KR1020110065624A KR101221420B1 (ko) | 2010-10-27 | 2011-07-01 | 목통을 이용한 액상식품 제조방법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55207A KR20120044215A (ko) | 2010-10-27 | 2011-06-08 | 소나무목통을 이용한 액상음료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120044215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984568A (zh) * | 2016-10-27 | 2018-05-04 | 湖南舜皇峰竹木有限公司 | 一种装饭竹桶 |
CN110653903A (zh) * | 2019-11-06 | 2020-01-07 | 吕志东 | 一种榫结构竹木桶盆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3043Y1 (ko) | 2001-05-22 | 2001-10-29 | 권길평 | 조립식 원목욕조 |
KR20030080458A (ko) * | 2002-04-08 | 2003-10-17 | 송호엽 | 목재의 장기 보존 처리 공법 |
KR200423087Y1 (ko) | 2006-05-22 | 2006-08-02 | 고대중 | 광고기능을 갖는 술통 |
-
2011
- 2011-06-08 KR KR1020110055207A patent/KR2012004421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1-07-01 KR KR1020110065624A patent/KR10122142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984568A (zh) * | 2016-10-27 | 2018-05-04 | 湖南舜皇峰竹木有限公司 | 一种装饭竹桶 |
CN110653903A (zh) * | 2019-11-06 | 2020-01-07 | 吕志东 | 一种榫结构竹木桶盆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4215A (ko) | 2012-05-07 |
KR101221420B1 (ko) | 2013-0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79242B1 (ko) | 액상식품 저장용 목통 | |
Tao et al. | Advances in wine aging technologies for enhancing wine quality and accelerating wine aging process | |
Garde-Cerdán et al. | Review of quality factors on wine ageing in oak barrels | |
JP6266524B2 (ja) | 改良したアルコール飲料の製造方法及びこの製造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製品 | |
JP5174020B2 (ja) | 紫蘇のフレッシュで自然な芳香を有する蒸留酒類及びその製造方法 | |
Christaki et al. | Quality and safety assurance in winemaking | |
Rubio-Bretón et al. | Wine aging and spoilage | |
Zhang et al. | Aroma evaluation of young Chinese Merlot wines with denomination of origin | |
JP7309210B2 (ja) | エタノール含有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Rubio-Bretón et al. | Recent advances in the study of grape and wine volatile composition: Varietal, fermentative, and aging aroma compounds | |
Zamora | Barrel aging; types of wood | |
Chen et al. | Use of lysozyme and Oligomeric Proanthocyanidin to reduce sulfur dioxide and the evolution of volatile compounds in Italian Riesling ice wine during aging process | |
Rubio-Bretón et al. | Influence of oak barrel aging on the quality of red wines | |
WO2018147154A1 (ja) | 山椒成分を含有した蒸留酒の製造方法 | |
KR101221420B1 (ko) | 목통을 이용한 액상식품 제조방법 | |
Pickering et al. | Remediation of wine with elevated concentrations of 3-alkyl-2-methoxypyrazines using cork and synthetic closures | |
Canas et al. | Sustainable use of wood in wine spirit production | |
Van Jaarsveld et al. | Rapid induction of ageing character in brandy products–Part III. Influence of toasting | |
CN103659975B (zh) | 陈酿水果酒用荔枝木片及其制备和应用工艺 | |
Van Jaarsveld et al. | Rapid induction of ageing character in brandy products. Part I. Effects of extraction media and preparation conditions | |
van Jaarsveld et al. | Rapid induction of ageing character in brandy products–Part II. Influence of type of oak | |
Barba et al. | Influence of fungicide residues in wine quality | |
KR100729487B1 (ko) | 증자 또는 자비된 대나무 조각을 이용한 주류의 제조방법 | |
Russo | Alternative technologies to red wine barrel aging: a review | |
Dharmadhikari | Oak aging of red w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