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4833A - 카테터 - Google Patents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4833A
KR20200014833A KR1020197038620A KR20197038620A KR20200014833A KR 20200014833 A KR20200014833 A KR 20200014833A KR 1020197038620 A KR1020197038620 A KR 1020197038620A KR 20197038620 A KR20197038620 A KR 20197038620A KR 20200014833 A KR20200014833 A KR 20200014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catheter
radial direction
shaft diameter
bra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8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3910B1 (ko
Inventor
마사토모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14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embedded materials for reinforcement, e.g. wires, coils, br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9/00Materials for catheters, medical tubing, cannulae, or endoscopes or for coating catheters
    • A61L29/08Materials for coatings
    • A61L29/085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09Making of catheters or other medical or surgical tubes
    • A61M25/0012Making of catheters or other medical or surgical tubes with embedded structures, e.g. coils, braids, meshes, strands or radiopaque co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4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multi-layered, e.g. co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embedded materials for reinforcement, e.g. wires, coils, braids
    • A61M25/005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embedded materials for reinforcement, e.g. wires, coils, braids having a variable stiffness along the longitudinal axis, e.g. by varying the pitch of the coil or br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4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regions for increasing flexi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058Basic structures of guide wires
    • A61M2025/09083Basic structures of guide wires having a coil around a c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058Basic structures of guide wires
    • A61M2025/09083Basic structures of guide wires having a coil around a core
    • A61M2025/09091Basic structures of guide wires having a coil around a core where a sheath surrounds the coil at the distal pa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과제] 내주면에서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축경되는 축경부를 가지는 카테터에서, 축경부의 유연성을 담보한다.
[해결 수단] 내층(50)과, 내층의 지름 방향에서의 외측에 권회된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와, 편조의 지름 방향에서의 외측에 권회된 보강 부재(64)와, 내층, 편조, 및, 보강 부재를 피복하는 외층(62)을 구비한 카테터에 있어서, 내층이, 내주면에서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축경되는 축경부(60)를 가지며,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와 보강 부재와의 사이의 외층의 두께가, 축경부의 지름 방향에서,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는 적어도 일부에서 증가한다. 이것에 의해, 축경부의 지름 방향에서, 편조와 보강 부재와의 사이의 층이 쿠션으로서 기능하여, 축경부의 유연성을 담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카테터
본 발명은, 의료용의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내강(內腔)의 형상의 변형 방지, 혈관 진입시의 회전 토크의 발휘 등을 목적 등으로 하여, 제1 보강체와 제2 보강체를 구비하는 카테터가 알려져 있다. 하기 특허 문헌에는, 그러한 카테터의 일 예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08-229160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공개 제2016-152907호 공보
또, 카테터의 내주면에,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축경(縮徑)하는(지름이 감소하는) 축경부가 형성되어 있는 카테터도 존재한다. 이러한 축경부를 가지는 카테터에서는, 카테터에 삽입된 가이드 와이어가, 축경부의 내주면에 접촉한다. 이 때문에, 축경부의 유연성을 담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제1 보강체와 제2 보강체와의 2개의 보강체를 구비하는 카테터에서는, 축경부의 유연성을 담보하기 어렵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제1 보강체와 제2 보강체를 구비하는 카테터에서, 축경부의 유연성을 담보할 수 있는 카테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명세서는, 관 모양의 내층과, 상기 내층의 지름 방향에서의 외측에 권회(卷回)된 제1 보강체와, 상기 제1 보강체의 지름 방향에서의 외측에 권회된 제2 보강체와, 상기 내층, 상기 제1 보강체, 및 상기 제2 보강체를 피복하는 외층을 구비한 카테터로서, 상기 내층이, 내주면에서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축경(縮徑)하는 축경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보강체와 상기 제2 보강체와의 사이의 상기 외층의 두께가, 상기 축경부의 지름 방향에서,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는 적어도 일부에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를 개시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제1 보강체와 제2 보강체와의 사이의 외층의 두께가, 축경부의 지름 방향에서,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는 적어도 일부에서 증가한다. 이것에 의해, 축경부의 지름 방향에서, 제1 보강체와 제2 보강체와의 사이의 층이 쿠션으로서 기능하여, 축경부의 유연성을 담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카테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카테터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제2 실시 형태의 카테터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제3 실시 형태의 카테터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카테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카테터의 평면도이며,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카테터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테터(10)는, 시술자가 조작하는 조작부(20)와, 조작부(20)의 선단에 접속된 카테터 튜브(22)를 구비하고 있다. 또, 카테터 튜브(22)의 조작부(20)에 접속되어 있는 측을 기단측으로 기재하고, 그 기단측과 반대측을 선단측으로 기재한다.
카테터 튜브(22)는, 관 모양을 이루고 있고, 조작부(20)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카테터 본체부(30)와, 카테터 본체부(30)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선단 팁(32)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카테터(10)에서는, 조작부(20)를 통해서, 가이드 와이어(도시 생략)가 카테터 본체부(30)의 기단측의 단부로부터 삽입되고, 선단 팁(32)의 선단측의 단부로부터 돌출된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테터 본체부(30)는, 다층 구조를 이루고 있고, 카테터 본체부(3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지름 방향 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내층(50)과,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編組)(52)와, 보강층(54)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지름 방향은, 관 모양의 부재의 중심축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는 방향이다.
내층(50)은, 내강(58)을 가지는 관 모양을 이루고, 카테터 본체부(30) 및 선단 팁(32)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내층(50)은, 내주면에서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축경(縮徑)되는 축경부(60)를 가지고 있다. 그 축경부(60)는, 카테터 본체부(30)의 기단측의 단부와 선단측의 단부와의 사이부터, 카테터 본체부(30)의 선단측의 단부에 이르고 있다. 또, 내층(50)에서는, 전역(全域)에 걸쳐서, 막 두께가 대략 균일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내층(50)의 외주면도, 내주면과 마찬가지로 축경되어 있다. 즉, 내층(50)은, 축경부(60)에서, 선단을 향해 외경 및 내경이 수축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내층(50)은, 예를 들면, 미끄럼 저항이 작은 폴리 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 등의 불소계 수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내층(50)은, 일부 또는 전부가 다층 구조로 되어 있어도 괜찮다.
그 내층(50)의 지름 방향에서의 외측에는,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가 배치되어 있고, 내층(50)의 외주면을 따라서 권회(卷回)되어(감겨져) 있다. 이 때문에,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는, 내층(50)의 축경부(60)의 지름 방향에서,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축경되어 있다. 즉,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는, 내층(50)의 축경부(60)의 지름 방향에서, 선단을 향해 축경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축경부(60)의 테이퍼 각도와,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의 테이퍼 각도는,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환언하면, 카테터 본체부(30)의 중심축에 대한 축경부(60)의 경사 각도와, 카테터 본체부(30)의 중심축에 대한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의 경사 각도는,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의 선단은, 선단 팁(32) 내에 배치되고, 내층(50)의 선단보다도 기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로서, 복수의 소선(素線)을 짠 것을 배치하고 있지만, 제1 보강체로서 단일의 소선을 나선 모양으로 권회한 코일이나, 복수의 소선을 나선 모양으로 권회한 코일을 배치해도 좋다. 또,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는, 스테인리스강, Ni-Ti 합금 등의 초탄성 합금, 피아노선, 또는 텅스텐선 등의 재료로 구성된다.
그들 내층(50) 및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의 외주를 덮도록, 보강층(54)가 배치되어 있다. 보강층(54)은, 외층(62)과, 제2 보강체에 상당하는 코일(64)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외층(62)은, 내층(50) 및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의 외주를 피복하고 있고, 외층(62)의 선단이, 카테터 본체부(30)의 선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 제2 보강체에 상당하는 코일(64)은, 외층(62)에 매설(埋設)된 상태에서, 외층(62)로 동축적(同軸的)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제2 보강체에 상당하는 코일(64)은, 외층(62)에 의해서 피복되는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의 지름 방향에서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외층(62)은, 내층(50)과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와 제2 보강체에 상당하는 코일(64)을 피복하고 있다. 또, 제2 보강체에 상당하는 코일(64)의 선단은, 외층(62)의 선단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 제2 보강체에 상당하는 코일(64)은,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와 마찬가지로, 내층(50)의 축경부(60)의 지름 방향에서,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축경되어 있다. 즉, 제2 보강체에 상당하는 코일(64)도,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와 마찬가지로, 내층(50)의 축경부(60)의 지름 방향에서, 선단을 향해 축경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다만, 제2 보강체에 상당하는 코일(64)의 테이퍼 각도는,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의 테이퍼 각도보다 작게 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2 보강체에 상당하는 코일(64)의 경사 각도는,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의 경사 각도보다 작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보강체에 상당하는 코일(64)은, 내층(50)의 축경부(60)의 지름 방향에서,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보다 완만하게 축경된다. 이것에 의해,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와 제2 보강체에 상당하는 코일(64)과의 사이의 외층(62)의 두께가, 축경부(60)의 지름 방향에서,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증가한다.
또, 외층(62)의 외주면도, 내층(50)의 축경부(60)의 지름 방향에서,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축경되어 있고,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외층(62)의 외주면의 테이퍼 각도는, 제2 보강체에 상당하는 코일(64)의 테이퍼 각도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보강체로서, 코일(64)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소선을 서로 짜넣은 편조가 사용되어도 좋다. 또, 제2 보강체에 상당하는 코일(64)은, 단일의 소선을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여 형성해도 좋고, 복수의 소선을 나선 모양으로 권회하여 형성해도 좋다. 이 제2 보강체는, 스테인리스강, Ni-Ti 합금 등의 초탄성 합금, 피아노선, 또는 텅스텐선 등의 재료로 구성된다. 또, 외층(62)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우레탄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폴리 에테르 블록 아미드 공중합체가 사용되고 있다.
또, 선단 팁(32)은, 다층 구조를 이루고 있고, 선단 팁(3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지름 방향 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내층(50)과,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와, 카테터 본체부(30)의 외층(62)으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선단 외층(68)으로 구성되어 있다. 선단 외층(68)은, 선단측을 향해 축경되어 있고,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선단 외층(68)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로서는, 카테터 본체부(30)의 외층(62)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우레탄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선단 외층(68)에는, 폴리우레탄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선단 팁(32)의 주요부를 폴리우레탄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혈관 내벽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선단 팁(32)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선단 외층(68)에는, 방사선 불투과성의 텅스텐 분말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카테터 튜브(22)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와 제2 보강체에 상당하는 코일(64)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외층(62)의 두께가, 축경부(60)의 지름 방향에서,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할수록 증가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축경부(60)의 유연성을 담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세하게는, 카테터(10)에서는,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의 테이퍼 각도와 제2 보강체에 상당하는 코일(64)의 테이퍼 각도를, 축경부(60)의 지름 방향에서, 억지로 변경하고 있고, 제2 보강체에 상당하는 코일(64)의 테이퍼 각도가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의 테이퍼 각도보다 작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와 보강 부재(64)와의 사이의 외층(62)의 두께가, 축경부(60)의 지름 방향에서,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할수록 증가한다. 즉,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와 보강 부재(64)와의 사이의 외층(62)이, 축경부(60)의 지름 방향에서,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할수록 두껍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축경부(60)에서, 카테터(10)의 내강(58)에 삽입된 가이드 와이어에 의해,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밀린 경우에, 선단측의 두께의 외층(62)이 바람직하게 휨으로써, 쿠션성이 높아져, 완충으로서 적절하게 기능한다.
이것에 의해, 축경부(60)의 유연성이 담보되고, 가이드 와이어의 카테터(10)로의 삽입시에, 가이드 와이어가 축경부에 접촉한 경우라도, 축경부의 손상 및, 가이드 와이어의 프리 셰이프(pre shape)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카테터(10)에서는, 제2 보강체에 상당하는 코일(64)을 축경부(60)에서 선단측을 향할수록 축경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함으로써, 카테터 본체부(30)의 선단측의 단부가, 선단측을 향할수록 축경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10)의 혈관으로의 삽입을 바람직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제2 실시 형태의 카테터에 대해 설명하지만, 제1 실시 형태의 카테터와 공통되는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간략 또는 생략함과 아울러, 도면에서 동일 부호를 붙인다.
도 3은, 제2 실시 형태의 카테터(80)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에서, 카테터(80)는, 제1 실시 형태의 카테터(10)와 비교하여, 제2 보강체에 상당하는 코일(82)이 축경부(60)의 지름 방향에서 축경하지 않는 점에서 다르다.
즉, 제1 실시 형태의 카테터(10)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보강체에 상당하는 코일(64)이, 축경부(60)의 지름 방향에서,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보다 완만하게 축경되어 있다. 한편, 제2 실시 형태의 카테터(80)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보강체에 상당하는 코일(82)이, 축경부(60)의 지름 방향에서, 축경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와 제2 보강체에 상당하는 코일(82)과의 사이의 외층(84)의 두께가, 축경부(60)의 지름 방향에서, 기단부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증가하고, 제1 실시 형태에어서의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와 보강 부재(64)와의 사이의 외층(62)의 두께보다, 두꺼워진다. 이것에 의해, 축경부(60)의 유연성을 더욱 바람직하게 담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보강체로서, 복수의 소선을 서로 짠 편조(52)를 배치하고, 제2 보강체로서, 코일(82)이 사용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보강체로서, 단일의 소선을 나선 모양으로 권회한 코일이나, 복수의 소선을 나선 모양으로 권회한 코일을 배치해도 좋다. 또, 제2 보강체로서, 복수의 소선을 서로 짠 편조를 사용해도 좋다.
또, 카테터 본체부(30)의 선단에 접합된 선단 팁(33)은, 제1 실시 형태의 선단 팁(32)과 마찬가지로, 다층 구조를 이루고 있고, 선단 팁(3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지름 방향 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내층(50)과,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와, 카테터 본체부(30)의 외층(84)으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선단 외층(69)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3 실시 형태>
이하, 제3 실시 형태의 카테터에 대해 설명하지만, 제1 실시 형태의 카테터와 공통되는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간략 또는 생략함과 아울러,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 4는, 제3 실시 형태의 카테터(90)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에서, 카테터(90)는, 제1 실시 형태의 카테터(10)와 비교하여, 제2 보강체에 상당하는 코일(92)과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와의 사이의 외층(94)의 두께가, 축경부(60)의 지름 방향의 일부에서, 기단부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증가하는 점에서 다르다.
즉, 제1 실시 형태의 카테터(10)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보강체에 상당하는 코일(64)이, 축경부(60)의 지름 방향의 전역에서,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보다 완만하게 축경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보강체에 상당하는 코일(64)과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와의 사이의 외층(62)의 두께가, 축경부(60)의 지름 방향의 전역에서, 기단부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증가한다. 한편, 제3 실시 형태의 카테터(90)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보강체에 상당하는 코일(92)이, 축경부(60)의 지름 방향에서, 기단측의 단부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보다 완만하게 축경된 후에,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보다 급하게 축경된다. 즉, 제2 보강체에 상당하는 코일(92)의 기단측의 단부로부터 중앙부까지의 테이퍼 각도는,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의 테이퍼 각도보다 작게 되어 있고, 제2 보강체에 상당하는 코일(92)의 중앙부로부터 선단측의 단부까지의 테이퍼 각도는,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의 테이퍼 각도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보강체에 상당하는 코일(92)과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와의 사이의 외층(94)의 두께가, 축경부(60)의 지름 방향의 기단측의 단부로부터 중앙부에서, 기단부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증가한다.
이러한 구성에서도, 축경부(60)의 지름 방향의 일부에서, 제2 보강체에 상당하는 코일(92)과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와의 사이의 외층(94)의 두께가 증가하기 때문에, 축경부(60)의 유연성을 담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보강 부재(92)의 테이퍼 각도가 선단측을 향할수록 커진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90)의 선단측의 단부를 더 축경하는 것이 가능해져, 카테터(90)의 혈관으로의 삽입을 바람직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보강체로서, 복수의 소선을 서로 짠 편조(52)를 배치하고, 제2 보강체로서, 코일(92)이 사용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보강체로서 단일의 소선을 나선 모양으로 권회한 코일이나, 복수의 소선을 나선 모양으로 권회한 코일을 배치해도 좋다. 또, 제2 보강체로서, 복수의 소선을 서로 짠 편조를 사용해도 좋다.
또, 카테터 본체부(30)의 선단에 접합된 선단 팁(34)은, 제1 실시 형태의 선단 팁(32)과 마찬가지로, 다층 구조를 이루고 있고, 선단 팁(34)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지름 방향 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내층(50)과, 제1 보강체에 상당하는 편조(52)와, 카테터 본체부(30)의 외층(94)으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선단 외층(70)으로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서, 상기 실시 형태에서의 카테터(10)는, 본 발명의 카테터의 일 예이다. 내층(50)은, 본 발명의 내층의 일 예이다. 편조(52)는, 본 발명의 제1 보강체의 일 예이다. 축경부(60)는, 본 발명의 축경부의 일 예이다. 외층(62)은, 본 발명의 외층의 일 예이다. 코일(64)은, 본 발명의 제2 보강체의 일 예이다. 카테터(80)는, 본 발명의 카테터의 일 예이다. 코일(82)은, 본 발명의 제2 보강체의 일 예이다. 외층(84)은, 본 발명의 외층의 일 예이다. 카테터(90)는, 본 발명의 카테터의 일 예이다. 코일(92)은, 본 발명의 제2 보강체의 일 예이다. 외층(94)은, 본 발명의 외층의 일 예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당업자의 지식에 근거하여 여러 가지의 변경, 개량을 실시한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축경부(60)의 선단이 카테터 본체부(30)의 선단까지 이르고 있지만, 축경부(60)의 선단이 카테터 본체부(30)의 선단까지 이르지 않아도 괜찮다. 즉, 카테터 본체부(30)의 선단측의 단부와 기단측의 단부와의 사이에, 축경부가 형성되어도 괜찮다. 그 경우에서도,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카테터(10, 80, 90)에 1개의 축경부(60)가 형성되어 있지만, 복수의 축경부(60)가 형성되어도 괜찮다. 즉, 카테터(10, 80, 90)의 내강(58)이 다단적(多段的)으로 축경되는 구조라도 괜찮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복수의 축경부(60) 중 적어도 1개의 축경부(60)의 지름 방향에서, 제1 보강체와 제2 보강체와의 사이의 외층의 두께가,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증가하면 좋다. 그 경우에서도,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카테터에, 제1 보강체와 제2 보강체와의 2개의 보강체가 배치되어 있지만, 3개 이상의 보강체가 배치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3개 이상의 보강체 중 지름 방향에서 대향하는 적어도 2개의 보강체의 사이의 외층의 두께가,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증가하면 좋다. 그 경우에도,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다만, 3개 이상의 보강체 중 지름 방향에서의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보강체와, 그 보강체와 대향하는 보강체와의 사이의 외층의 두께가 증가하는 형태에서,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낸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외층(62, 84, 94)은, 단층으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외층(62, 84, 94)을 2층(외측 하층 및 외측 상층)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1 보강체와 제2 보강체와의 사이에 외측 하층을 형성하고, 제2 보강체의 외주를 피복하도록 외측 상층을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제1 보강체와 제2 보강체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외측 하층의 두께가, 축경부의 지름 방향에서,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는 적어도 일부에서 증가하면 좋다.
10, 80, 90 : 카테터
20 : 조작부 30 : 카테터 본체부
32, 33, 34 : 선단 팁 50 : 내층
52 : 제1 보강체(편조) 60 : 축경부
62, 84, 94 : 외층 64, 82, 92 : 제2 보강체(코일)
68, 69, 70 : 선단 외층

Claims (4)

  1. 관 모양의 내층과,
    상기 내층의 지름 방향에서의 외측에 권회(卷回)된 제1 보강체와,
    상기 제1 보강체의 지름 방향에서의 외측에 권회된 제2 보강체와,
    상기 내층, 상기 제1 보강체, 및 상기 제2 보강체를 피복하는 외층을 구비한 카테터로서,
    상기 내층이, 내주면에서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축경(縮徑)하는 축경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보강체와 상기 제2 보강체와의 사이의 상기 외층의 두께가, 상기 축경부의 지름 방향에서,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는 적어도 일부에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체는, 상기 축경부의 지름 방향에서,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축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체는, 상기 축경부의 지름 방향에서,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는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제1 보강체보다 완만하게 축경하고,
    상기 제1 보강체와 상기 제2 보강체와의 사이의 상기 외층의 두께가, 상기 제2 보강체의 상기 제1 보강체보다 완만하게 축경되는 부분의 지름 방향에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체는, 상기 축경부의 지름 방향에서,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는 적어도 일부에서 축경하지 않고,
    상기 제1 보강체와 상기 제2 보강체와의 사이의 상기 외층의 두께가, 상기 제2 보강체의 축경하지 않는 부분의 지름 방향에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KR1020197038620A 2017-06-30 2017-06-30 카테터 KR1023339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24185 WO2019003425A1 (ja) 2017-06-30 2017-06-30 カテーテ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833A true KR20200014833A (ko) 2020-02-11
KR102333910B1 KR102333910B1 (ko) 2021-12-02

Family

ID=64741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8620A KR102333910B1 (ko) 2017-06-30 2017-06-30 카테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11697B2 (ko)
EP (1) EP3646915B8 (ko)
JP (1) JP6886751B2 (ko)
KR (1) KR102333910B1 (ko)
CN (1) CN110799234B (ko)
WO (1) WO20190034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97050A (zh) * 2017-08-02 2020-04-10 朝日英达科株式会社 导管
EP3476423B1 (en) * 2017-10-27 2021-01-20 Heraeus Medical Components, LLC Microcatheter and method
WO2019146086A1 (ja) * 2018-01-26 2019-08-01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WO2019189533A1 (ja) * 2018-03-29 2019-10-03 テルモ株式会社 カテーテル組立体
EP4056220A4 (en) * 2019-11-08 2024-03-06 Asahi Intecc Co Ltd CATHETER
CN111467650A (zh) * 2020-05-27 2020-07-31 深圳北芯生命科技有限公司 微导管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12445A (ja) * 1994-04-20 1997-12-16 シー ワン,ジェームズ 管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229160A (ja) 2007-03-22 2008-10-02 Kaneka Corp カテーテル
JP2014138755A (ja) * 2012-12-18 2014-07-31 Sumitomo Bakelite Co Ltd 医療機器
JP2016152907A (ja) 2015-02-13 2016-08-25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5147B2 (ja) * 1993-01-26 2002-11-18 テルモ株式会社 血管拡張器具およびカテーテル
US6663614B1 (en) * 2000-11-06 2003-12-16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Catheter shaft having variable thickness layers and method of making
US8535293B2 (en) * 2004-04-13 2013-09-17 Gyrus Acmi, Inc. Atraumatic ureteral access sheath
JP5441336B2 (ja) * 2007-05-11 2014-03-12 テルモ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US20090018525A1 (en) * 2007-07-13 2009-01-15 Cook Incorporated Tapered catheter devices
JP4993632B2 (ja) 2009-06-16 2012-08-08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医療用ガイドワイヤ
US20110245775A1 (en) * 2010-04-01 2011-10-06 Cook Incorporated Tapered sheath
CN105361978B (zh) * 2010-11-15 2019-03-22 新特斯有限责任公司 用于容纳骨移植材料的装置
US8585858B2 (en) * 2011-06-06 2013-11-19 Alex M. Kronfeld Medical catheter with bump tubing proximal segment
EP3056238B1 (en) * 2015-02-13 2019-08-28 Asahi Intecc Co., Ltd. Cathe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12445A (ja) * 1994-04-20 1997-12-16 シー ワン,ジェームズ 管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229160A (ja) 2007-03-22 2008-10-02 Kaneka Corp カテーテル
JP2014138755A (ja) * 2012-12-18 2014-07-31 Sumitomo Bakelite Co Ltd 医療機器
JP2016152907A (ja) 2015-02-13 2016-08-25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03425A1 (ja) 2019-01-03
KR102333910B1 (ko) 2021-12-02
JP6886751B2 (ja) 2021-06-16
EP3646915A1 (en) 2020-05-06
CN110799234B (zh) 2022-01-11
EP3646915B8 (en) 2022-06-29
JPWO2019003425A1 (ja) 2020-06-11
US20200129730A1 (en) 2020-04-30
CN110799234A (zh) 2020-02-14
EP3646915B1 (en) 2022-04-20
EP3646915A4 (en) 2021-04-07
US11311697B2 (en)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4833A (ko) 카테터
US10245412B2 (en) Catheter
US10888687B2 (en) Catheter
KR102184238B1 (ko) 장척 의료용 부재
US10034998B2 (en) Catheter with a folded braid
KR20180048436A (ko) 카테터
JP6381138B2 (ja) カテーテル
JP2016013285A (ja) 医療用チューブ体
JP6667024B2 (ja) カテーテル
JP6782510B2 (ja) カテーテル
JP6719809B2 (ja) カテーテル及びバルーンカテーテル
JP6886471B2 (ja) カテー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