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4633A - 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4633A
KR20200014633A KR1020180090045A KR20180090045A KR20200014633A KR 20200014633 A KR20200014633 A KR 20200014633A KR 1020180090045 A KR1020180090045 A KR 1020180090045A KR 20180090045 A KR20180090045 A KR 20180090045A KR 20200014633 A KR20200014633 A KR 20200014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berry
extract
composition
calyx
pul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5171B1 (ko
Inventor
김은아
변미순
김호기
Original Assignee
(주)에스앤피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앤피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에스앤피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180090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171B1/ko
Publication of KR20200014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1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딸기 과육 추출물, 딸기 종자 추출물 및 딸기 꽃받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딸기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인 조성물은, 딸기 과육 추출물, 딸기 종자 추출물 및 딸기 꽃받침 추출물을 병용하여, 딸기 꽃받침이 갖는 생리활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자유 라디컬 소거능 또는 자유 라디컬 생성 억제능이 우수하여, 신체의 항산화 효과, 항노화 효과 및 항암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인체에 무독하여 인체 안정성이 확보된 것이므로, 식품 분야 또는 의약 분야를 예로 들 수 있는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COMPOSITON FOR ANTIOXIDATION COMPRISING STRAWBERRY EXTRACTS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명세서에는 딸기 과육 추출물, 딸기 종자 추출물 및 딸기 꽃받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딸기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체내 효소계, 환원대사, 화학약품, 공해물질 및 광화학반응 등의 각종 물리적, 화학적 및 환경적 요인 등에 의하여 생성되는 활성산소는 세포구성 성분들인 지질, 단백질, 당 및 DNA 등에 대하여 비선택적, 비가역적인 파괴작용을 함으로써 세포노화 또는 암을 비롯한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들 활성산소에 의한 결과로 생성되는 지질과산화물을 비롯한 다양한 체내 과산화물도 세포에 대한 산화적 파괴를 일으킴으로써, 각종 기능장애를 야기함으로써 여러 가지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노화와 산화작용과의 연관성은 많은 연구를 통하여 잘 알려진 사실이며, 특히 피부노화로 유발되는 주름생성 및 국소적인 흑화 현상도 이런 산화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최근 연구를 통해 건강한 피부의 경우는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Superoxide Dismutase), 카탈레이즈 (Catalase)로 대표되는 생체 항산화 방어인자에 의해 자유라디칼(Free Radical)이 제거되고 있지만, 이러한 제거가 완전하지 않을 경우 활성산소(자유라디칼의 일종)에 의한 산화작용이 발생되어 피부세포 및 조직의 기능이 저하되며 이러한 원인으로 피부주름 생성 및 국소적인 흑화현상이 촉진되는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이에 다양한 항산화제의 연구가 계속되고 있으나, 인위적인 화합물은 인체 부작용에 대한 우려로 인해 소비자로부터 선택받지 못하고 있으며, 자연물 유래 물질은 인체 부작용은 상대적으로 적지만, 그 효과가 미비하여 한계가 있었다. 딸기 역시 비타민 C를 풍부히 함유하고 있어, 오래전부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에 대하여 관심이 끊이지 않고 있으나, 아직까지 만족할 만한 항산화 효과를 얻은 연구 결과는 보고되지 않았다.
KR 10-2017-0034142 A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딸기에 내재된 생리활성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항산화 효과, 항암 효과 및 항노화 효과가 우수한 자연물 유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딸기 꽃받침 추출물; 딸기 과육 추출물; 및 딸기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딸기 꽃받침 추출물; 딸기 과육 추출물; 및 딸기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딸기 꽃받침 추출물; 딸기 과육 추출물; 및 딸기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또는 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딸기 꽃받침 추출물; 딸기 과육 추출물; 및 딸기 종자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딸기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인 조성물은, 딸기 과육 추출물, 딸기 종자 추출물 및 딸기 꽃받침 추출물을 병용하여, 딸기 꽃받침이 갖는 생리활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자유 라디컬 소거능 또는 자유 라디컬 생성 억제능이 우수하여, 신체의 항산화 효과, 항노화 효과 및 항암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인체에 무독하여 인체 안정성이 확보된 것이므로, 식품 분야 또는 의약 분야를 예로 들 수 있는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딸기 꽃받침 추출물; 딸기 과육 추출물; 및 딸기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이다.
또한,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딸기 꽃받침 추출물; 딸기 과육 추출물; 및 딸기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딸기 꽃받침 추출물; 딸기 과육 추출물; 및 딸기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또는 암 개선용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암"은, 조직 내에서 질서를 무시하고 무제한 증식하는 미분화 세포로 구성된 종괴(腫塊), 또는 종양을 형성하는 병을 의미할 수 있다. 사멸해야 할 비정상 세포들이 과다 증식하게 되며, 경우에 따라 주위 조직 및 장기에 침입하여 종괴(덩어리)를 형성하고 기존의 구조를 파괴하거나 변형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는 주위의 정상조직이나 기관을 침윤하여 파괴시키고 원발병소(原發病巢)에서 개체의 어떤 기관이든 전이하여 새로운 성장 장소를 만들 수 있어 개체의 생명을 빼앗아 갈 수 있는 질환군을 총칭하는 것일 수 있다. 암의 종류는 하기와 같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뇌척수종양, 두경부암, 폐암, 유방암, 흉선종, 중피종, 식도암, 위암, 대장암, 간암, 췌장암, 담도암, 신장암, 방광암, 전립선암, 고환암, 생식세포종, 난소암, 자궁 경부암, 자궁 내막암, 림프종, 급성 백혈병, 만성 백혈병, 다발성 골수종, 육종, 악성 흑색종, 피부암.
상기 딸기는, 제한되지 않고 야생종 딸기 및 재배종 딸기를 포함할 수 있다. 야생종 딸기는, 제한되지 않고, 흰땃딸기(Fragaria nipponica), 땃딸기(F. yezoensis) 등이 있고, 유연종으로는 뱀딸기(Duchesnea charysantha), 좀딸기(Potentilla centigrana), 겨울딸기(Rubus buergeri), 수리딸기(R. corchorefolius), 산딸기(R. crateagifolius), 맥도딸기(R. longisepalus), 곰딸기(R. phoenicolasius), 멍석딸기(R. parvifolius), 멍덕딸기(R. idaeus), 거지딸기(R. sorbifolius), 복분자딸기(R. coreanus), 함경딸기(R. arcticus), 장딸기(R. hirsutus), 검은딸기(R. croceacantha), 가시딸기(R. hongnoensis), 줄딸기(R. oldhamii), 섬딸기(R. ribesioideus), 오엽딸기(R. japonicus) 및 단풍딸기(R. palmatu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과육"은 열매에서 종자를 제외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추출 방법, 추출 용매, 추출된 성분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천연물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또한 천연물의 성분을 뽑아내어 얻어진 물질을 추출 후 다른 방법으로 가공 또는 처리하여 얻어질 수 있는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며, 구체적으로 상기 가공 또는 처리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발효, 또는 효소처리 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발효물, 농축물, 건조물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며,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발효물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딸기의 꽃받침 추출물 외에, 딸기 과육 추출물과 딸기 종자 추출물을 더 포함함으로써, 딸기 꽃받침이 갖는 생리활성을 더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자유 라디컬 소거능 또는 자유 라디컬 생성 억제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은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라디컬 또는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라디컬 소거능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의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측면에서, 상기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물, 유기용매 또는 유기용매의 수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유기용매는, 유기 용매로는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알코올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물은 증류수 또는 정제수를 포함하고, 유기 용매는 C1~C5의 저급 알코올을 예로 들 수 있는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메탄올, 에틸메틸케톤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 용매가 물일 때, 가열 추출, 냉침 추출, 환류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온 추출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12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0℃의 온도에서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시간은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4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딸기 꽃받침 추출물, 딸기 과육 추출물, 및 딸기 종자 추출물은, 순서대로 1:0.5~2:0.5~2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8~1.2:0.8~1.2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딸기 꽃받침 추출물, 딸기 과육 추출물, 및 딸기 종자 추출물을 상기 함량비로 포함할 때,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우수한, 항산화 효과, 항노화 효과 및 항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약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음료를 포함할 수 있고, 예컨대, 차(茶)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 과립제, 분말제, 드링크제와 같은 액제, 캐러멜, 겔, 바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제형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 성분 이외에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딸기 꽃받침 추출물; 딸기 과육 추출물; 및 딸기 종자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딸기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딸기 과육 추출물, 딸기 종자 추출물 및 딸기 꽃받침 추출물은 가당 및 숙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당 및 숙성 시키는 단계에서, 가당하는 단계는, 추출 대상물인 딸기 과육, 딸기 종자 및 딸기 꽃받침 각각에 대하여, 추출 대상물:당의 비율을 1:0.6~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숙성시키는 단계는, 딸기 과육, 딸기 종자 및 딸기 꽃받침 각각의 당 혼합물은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2~10℃, 더욱 바람직하게는, 2~6℃에서 12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딸기 꽃받침 추출물, 딸기 과육 추출물 및 딸기 종자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물, 아세톤, 헥산, 에탄올, 아세트산 에틸, 및 에테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딸기 꽃받침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및 에탄올 중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상기 딸기 과육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헥산 및 아세톤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딸기 종자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에테르 및 아세트산 에틸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딸기 꽃받침 추출물은 물 및 에탄올로 순차적으로 추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딸기 과육 추출물은 헥산 및 아세톤으로 순차적으로 추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딸기 종자 추출물은 에테르 및 아세트산 에틸로 순차적으로 추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측면에서, 상기 각 추출물들은 상기와 같은 순서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할 때, 각 추출 대상으로부터 가장 효과가 우수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각 추출물들은 동일한 용매로 2회 추출하는 경우, 사용하는 용매의 순서를 달리하여 추출하는 경우(예컨대, 딸기 꽃받침 추출물은, 에탄올로 추출한 후 물 추출한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기재되어 있는 순서대로 추출한 경우에, 추출물의 효과가 더 우수할 수 있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딸기 과육, 종자 및 꽃받침 추출물의 제조
딸기 과육, 딸기 열매에서 분리한 딸기 종자 및 딸기 꽃받침 각각을 수세한 후 건조하여, 각각의 중량대비 약 80중량부의 당을 각각에 첨가한 후 약 4도씨(℃)에서 12시간 저온 숙성시켰다. 그 후, 과육, 종자, 꽃받침 각각을 약 90℃에서 열수 추출 한 후 건조하여, 각각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딸기 과육, 딸기 종자 및 딸기 꽃받침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능 확인
DPPH (1,1-Diphenyl-β-picrylhydrazine, 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 라디칼 소거효과는 Blois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96well-plate에 시료 100㎕에 0.5 mM DPPH 용액 100 ㎕를 가하여 5초 동안 혼합하고 차광 후 30분간 반응시킨 뒤, Microplate spectrophotometer (Epoch, Biotek Instruments, Inc., VT, USA)로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아래의 식으로 계산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으며, 대조구는 시료 대신 증류수를 첨가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 ascorbic acid (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를 사용하였다.
[수학식 1]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1-Abs/Abc)Х100
Abc : Absorbance of DPPH solution without sample at 517nm
Abs : Absorbance of DPPH solution with sample at 517nm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Biglari 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7 mM의 2,2'-Azobis(2-aminopropane) dihydrochlordie (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를 2.45mM의 ABTS와 혼합한 후, 23℃의 암소에서 1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ABTS 용액의 농도는 734nm에서 흡광도가 0.75±0.05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96well-plate에 시료 50 ㎕와 100 ㎕ ABTS+ 용액을 첨가 후, 23℃에서 20분간 반응시켜 734nm에서 Microplate spectrophotometer (Epoch, Biotek Instruments, Inc., VT, USA)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아래의 식으로 계산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으며, 양성대조군으로 ascorbic acid (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를 사용하였다.
[수학식 2]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1-Abs/Abc)Х100
Abc : Absorbance of ABTS solution without sample at 734nm
Abs : Absorbance of ABTS solution with sample at 734nm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부위 DPPH 라디칼 소거능(mgVCE/100g FW) ABTS 라디칼 소거능
(mgVCE/100g FW)
과육 190.21 258.31
종자 81.53 130.25
꽃받침 4440.79 5625.79
[실험예 2] 딸기 과육, 딸기 종자 및 딸기 꽃받침 추출물의 병용시 라디칼 소거능 확인
딸기 과육, 딸기 종자 및 딸기 꽃받침 추출물의 함량 비율을 아래 표와 같이 조절하여 혼합(총량은 실험예 1과 동일)한 후, 라디컬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과육 추출물 종자 추출물 꽃받침 추출물
1 1 0.1 1
2 1 0.3 1
3 1 0.5 1
4 1 1 1
5 1 1.5 1
6 1 2 1
7 1 2.2 1
8 1 1 0.1
9 1 1 0.3
10 1 1 0.5
11 1 1 1.5
12 1 1 2
13 1 1 2.3
14 0.1 1 1
15 0.3 1 1
16 0.5 1 1
17 1.5 1 1
18 2 1 1
19 2.2 1 1
실험예 DDPH 라디컬 소거능(mgVCE/100g FW) ABTS 라디칼 소거능
(mgVCE/100g FW)
1 4445 5640.2
2 4449.15 5655
3 4457.20 5700.5
4 5534.58 9305.11
5 5011 6545
6 5100 6617.73
7 5103 6623.05
8 195 630.4
9 201 1905
10 217.63 2708.33
11 5015.94 8705.45
12 5205 8778.13
13 5211 8908
14 4455.32 5705
15 4467.9 5832.32
16 4503 6017.61
17 5218.87 6305
18 5228 6427.75
19 5231.5 6433.5
그 결과, 딸기 과육, 딸기 종자 및 딸기 꽃받침이 각각 순서대로 약 1:0.5~2:0.5~2의 비율로 포함될 때, 혼합에 의한 시너지 효과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추출 용매에 따른 라디칼 소거능 확인
[실험예 3-1] 각 부위별 추출 용매 선별
딸기 과육, 딸기 종자, 및 딸기 꽃받침 각각의 부위에 대하여, 물, 에탄올, 헥산, 아세톤, 아세트산 에틸, 및 에테르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각 부위에서 우수한 추출물을 얻을 수 있는 추출 용매를 선별하였다.
추출 용매로 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각 부위 500g에 정제수를 5L 가하고 90℃에서 1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고, 에탄올을 사용할 경우에는 각 부위 500g에 80% 에탄올 5L를 가하여 상온(25℃)에서 8시간 추출하였으며, 헥산을 사용할 경우에는, 각 부위 500g에 헥산을 5L 가하여 상온에서 6시간 추출하였으며, 아세톤을 사용할 경우에는, 각 부위 500g에 아세톤 5L를 가하고 상온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하였으며, 아세트산 에틸을 사용할 경우에는, 각 부위 500g에 아세트산 에틸 5L를 가하여 상온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하였고, 에테르를 사용할 경우에는, 각 부위 500g에 헥산을 5L 가하여 상온에서 6시간 추출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추출된 추출물에 대하여 실험예 1의 방법으로 라디칼 소거능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다.
에탄올 헥산 아세톤 에테르 아세트산 에틸
과육 DPPH 라디칼 소거능 190.21 186.75 230.05 227.80 188.35 185.75
ABTS 라디칼 소거능 258.31 257.53 283.26 275.41 255.5 253/05
종자 DPPH 라디칼 소거능 81.53 79.89 80.32 78.51 90.45 92.53
ABTS 라디칼 소거능 130.25 126.40 128.37 129.81 140.32 139.55
꽃받침 DPPH 라디칼 소거능 4440.79 4885.53 4275.92 4165.19 4123.33 4201.1
ABTS 라디칼 소거능 5625.79 6320.18 5000.92 5111.13 5208.78 5198.60
* 단위: mgVCE/100g FW
그 결과, 과육의 추출용매는 헥산과 아세톤을, 종자는 에테르와 아세트산 에틸을, 꽃받침은 물과 에탄올을 선별하였다.
[실험예 3-2] 추출 용매의 사용 순서에 따른 효과 차이 확인
하기 표 5~표 7에 기재된 순서대로 용매를 사용하여, 딸기 각 부위의 추출물을 제조한 후,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모든 추출물은, 1차 추출 후 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2차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 조건(온도, 시간, 양)은 상기 실험예 3-1에서와 동일하였다.
헥산 -> 아세톤 헥산 -> 헥산 아세톤 -> 헥산 아세톤 -> 아세톤
과육 DPPH 라디칼 소거능 300.27 245.65 231.12 233.18
ABTS 라디칼 소거능 368.23 301.33 295.52 287.95
* 단위: mgVCE/100g FW
에테르 -> 아세트산 에틸 에테르 -> 에테르 아세트산 에틸 -> 에테르 아세트산 에틸 -> 아세트산 에틸
종자 DPPH 라디칼 소거능 123.50 100.5 95.52 101.32
ABTS 라디칼 소거능 175.42 151.72 142.18 152.51
* 단위: mgVCE/100g FW
물 -> 에탄올 물 -> 물 에탄올 -> 물 에탄올 -> 에탄올
꽃받침 DPPH 라디칼 소거능 5527.33 4653.05 5153.05 4997.75
ABTS 라디칼 소거능 6995.30 5853.13 6405.78 6528.38
* 단위: mgVCE/100g FW
그 결과, 딸기 과육은, 1차 용매로서 헥산, 2차 용매로서 아세톤을 사용하는 경우, 딸기 종자는 1차 용매로서 에테르, 2차 용매로서 아세트산 에틸을 사용하는 경우, 딸기 꽃받침은 1차 용매로서 물, 2차 용매로서 에탄올을 사용하는 경우, 가장 우수한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6)

  1. 딸기 과육 추출물;
    딸기 종자 추출물; 및
    딸기 꽃받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2. 딸기 과육 추출물;
    딸기 종자 추출물; 및
    딸기 꽃받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3. 딸기 과육 추출물;
    딸기 종자 추출물; 및
    딸기 꽃받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또는 암 개선용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자유 라디컬 소거능 또는 자유 라디컬 생성 억제능을 포함하는,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의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인,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개선용인,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유기용매 또는 유기용매의 수용액을 포함하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딸기 꽃받침 추출물, 딸기 과육 추출물, 및 딸기 종자 추출물은, 순서대로
    1 : 0.5~2: 0.5~2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 음료를 포함하는, 조성물.
  11. 딸기 꽃받침 추출물; 딸기 과육 추출물; 및 딸기 종자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딸기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딸기 꽃받침 추출물, 딸기 과육 추출물 및 딸기 종자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물, 아세톤, 헥산, 에탄올, 아세트산 에틸, 및 에테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딸기 함유 조성물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딸기 꽃받침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및 에탄올 중 하나 이상이고,
    상기 딸기 과육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헥산 및 아세톤 중 하나 이상이고,
    상기 딸기 종자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에테르 및 아세트산 에틸 중 하나 이상인, 딸기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딸기 꽃받침 추출물은 물 및 에탄올로 순차적으로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딸기 과육 추출물은 헥산 및 아세톤으로 순차적으로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딸기 종자 추출물은 에테르 및 아세트산 에틸로 순차적으로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딸기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산화용, 항노화용 또는 항암용 조성물인, 딸기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딸기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80090045A 2018-08-01 2018-08-01 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2165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045A KR102165171B1 (ko) 2018-08-01 2018-08-01 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045A KR102165171B1 (ko) 2018-08-01 2018-08-01 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633A true KR20200014633A (ko) 2020-02-11
KR102165171B1 KR102165171B1 (ko) 2020-10-13

Family

ID=69569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045A KR102165171B1 (ko) 2018-08-01 2018-08-01 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1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3627B1 (ko) * 2021-12-14 2022-12-30 서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딸기꼭지 추출물 제조방법, 및 항산화 및 항염증성이 우수한 이너뷰티 조성물
KR102491188B1 (ko) * 2021-12-14 2023-01-19 서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 및 항염증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KR20230050990A (ko) * 2021-10-08 2023-04-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개족도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000A (ko) 2021-03-29 2022-10-06 농업회사법인제주생물자원㈜ 가시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
KR20240031202A (ko) 2022-08-29 2024-03-07 범석현 알타킹 딸기 추출물 및 루비에스 사과 추출물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항산화 및 항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452B1 (ko) * 2009-09-08 2010-11-30 (주)지에프씨 딸기 꼭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28485A (ko) * 2012-08-29 2014-03-1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딸기 꼭지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이 강화된 딸기 음료 제조 방법
KR20140069427A (ko) * 2012-11-29 2014-06-10 전라남도 딸기 식물체 분말의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2016196429A (ja) * 2015-04-03 2016-11-24 オリザ油化株式会社 Nrf2活性化剤
KR20170034142A (ko) 2015-09-18 2017-03-28 논산시(관리부서:논산시농업기술센터) 딸기 발효액을 이용한 흑현미 전통주의 제조방법
KR101793928B1 (ko) * 2015-08-06 2017-11-06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적근대, 골드키위, 및 딸기를 함유하는 항노화 기능성 과채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452B1 (ko) * 2009-09-08 2010-11-30 (주)지에프씨 딸기 꼭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28485A (ko) * 2012-08-29 2014-03-1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딸기 꼭지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이 강화된 딸기 음료 제조 방법
KR20140069427A (ko) * 2012-11-29 2014-06-10 전라남도 딸기 식물체 분말의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2016196429A (ja) * 2015-04-03 2016-11-24 オリザ油化株式会社 Nrf2活性化剤
KR101793928B1 (ko) * 2015-08-06 2017-11-06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적근대, 골드키위, 및 딸기를 함유하는 항노화 기능성 과채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34142A (ko) 2015-09-18 2017-03-28 논산시(관리부서:논산시농업기술센터) 딸기 발효액을 이용한 흑현미 전통주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대익 등, ‘천연 식물자원으로부터 Acetylcholinesterase 저해 및 항산화 활성 탐색’,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4(3), 427~432면(2005)* *
서승연, ‘딸기 꽃받침 생리활성 물질로부터 항산화 화장품 소재 개발’, 아주대학교 대학원 이학 석사학위 논문(2011)*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0990A (ko) * 2021-10-08 2023-04-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개족도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83627B1 (ko) * 2021-12-14 2022-12-30 서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딸기꼭지 추출물 제조방법, 및 항산화 및 항염증성이 우수한 이너뷰티 조성물
KR102491188B1 (ko) * 2021-12-14 2023-01-19 서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 및 항염증성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171B1 (ko) 202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5171B1 (ko) 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1828584B1 (ko) 참여로, 가래나무, 도깨비 부채 및 모과나무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JP5072369B2 (ja) 幹細胞増殖因子発現上昇抑制剤及び塩基性線維芽細胞増殖因子発現上昇抑制剤
KR101402550B1 (ko) 황칠 추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품
KR101435159B1 (ko) 블루베리를 이용한 양념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념 갈비
KR101730852B1 (ko) 5색 컬러푸드 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36071B1 (ko) 용암해수를 활용하여 재배한 병풀 또는 작약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KR20190072445A (ko) 참취 및 무화과를 이용한 피부 미백 효능이 증진된 식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91499B1 (ko) 아마란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355143B1 (ko) 대추씨 발효물의 제조방법
JP6595192B2 (ja) 特定の波長域を有する光を照射して栽培したフェヌグリーク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
KR20200079202A (ko) 고추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1960571B1 (ko) 살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살구 추출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피부미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76618B1 (ko) 옥촉서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20180094641A (ko)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누에고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25090B1 (ko)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06245B1 (ko) 특정 발아 상태의 메밀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JP2010530412A (ja) 皮膚皺改善用キサントリゾールの使用
Marnewick Antioxidant properties of Rooibos (Aspalathus linearis)–in vitro and in vivo evidence
KR20160091037A (ko) 구스베리 추출물 또는 글루타티온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313083B1 (ko) 등수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352453B1 (ko)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곡물 발효추출물과 베리류 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527379B1 (ko) 클로로겐산이 증대된 몰로키아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101551240B1 (ko) 검은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73860B1 (ko) 발아 메밀의 루틴 함량 증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