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3957A - 고형연료 소각로 - Google Patents

고형연료 소각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3957A
KR20200013957A KR1020180089227A KR20180089227A KR20200013957A KR 20200013957 A KR20200013957 A KR 20200013957A KR 1020180089227 A KR1020180089227 A KR 1020180089227A KR 20180089227 A KR20180089227 A KR 20180089227A KR 20200013957 A KR20200013957 A KR 20200013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e
combustion
unit
cooling water
solid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6355B1 (ko
Inventor
신경수
Original Assignee
(주)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에스 filed Critical (주)이에스
Priority to KR1020180089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355B1/ko
Publication of KR20200013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8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 F23G5/1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6Recuperation of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3/00Grates with hollow bars
    • F23H3/02Grates with hollow bars internally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5/00Blast-producing apparatus before the fire
    • F23L5/02Arrangements of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3/00Furnace arrangements
    • F23G2203/101Furnace arrangements with stepped or inclined g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7/00Control
    • F23G2207/10Arrangement of sens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형연료가 투입부재에 의해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로 투입된 고형연료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며 상부에서 하부로 점진적으로 돌출되게 번갈아 배치되고 내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냉각수가 순환하는 제1냉각수순환유로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화격자와, 각각의 고정화격자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화격자의 상부에서 왕복 이동하며 내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냉각수가 순환하는 제2냉각수순환유로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가동화격자와, 상기 복수개의 가동화격자를 개별적으로 구동시키는 실린더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고정화격자 및 가동화격자를 양측에서 지지하고 상기 복수개의 가동화격자를 구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상기 실린더부재를 고정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냉각수가 유동하는 유동유로가 형성되는 화격자 측벽을 포함하는 화격자 연소부; 상기 투입부로 투입된 고형연료를 상기 화격자 연소부로 공급하는 연료공급부; 상기 화격자 연소부로 공급된 후 이송되는 고형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상기 화격자 연소부로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상기 화격자 연소부에서 고형연료의 연소 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를 연소시키고 악취성분을 분해 제거하는 연소실; 상기 화격자 연소부의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화격자 연소부에서 고형연료가 연소된 후 잔존하는 산화재와 불연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산화재 배출부; 상기 화격자 연소부에서 고형연료가 연소 시 가열되는 상기 고정화격자, 상기 가동화격자, 및 상기 화격자 측벽을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화격자, 상기 가동화격자, 및 상기 화격자 측벽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부; 및 상기 화격자 연소부의 상기 화격자 측벽을 냉각시킨 냉각수를 이용하여 상기 화격자 연소부로 공급되는 공기 및 상기 연료공급부를 예열하는 열교환기부를 포함하는 고형연료 소각로를 제공한다.
따라서, 화격자의 내부에 냉각수가 순환하는 유로를 형성하여 외부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를 화격자 내부로 순환시켜 화격자 표면의 온도가 높아져 고온에서의 마멸이 심화되어 화격자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화격자 연소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고형연료가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복수개의 가동화격자에 의해 이송됨으로써 가동화격자의 부분적 고장 시에도 고형연료를 이송시킬 수 있고, 고장 난 화격자를 부분적으로 수리할 수 있으며, 가동화격자가 화격자 연소부의 분할된 복수의 구간에서 필요한 속도로 개별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분할된 구간마다 최적의 연소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형연료 소각로{Solid fuel incinerator}
본 발명은 고형연료 소각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냉식 화격자 연소방식을 이용하여 재생연료, 폐기물, 목질연료, 고체 화석연료 등을 포함하는 고형연료를 연소시키는 고형연료 소각로에 관한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32718호에 기재된 배경기술을 참조하면, 폐기물 소각로는 폐기물을 소각하는 방법에 따라 화격자 소각로, 유동층 소각로, 회전로 소각로 등으로 구분된다.
종래의 화격자 연소방식 소각로의 화격자 형식은 계단식, 다단원통회전식, 무한궤도식 등이 있으며, 이들 중 계단화격자는 소각로 내에 가동화격자와 고정화격자를 번갈아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이 화격자 위에 소각시키고자 하는 폐기물을 투입하여 소각하는 것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격자 연소방식 소각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로서, 소각로(10)의 상부 일측에는 종방향의 폐기물 투입구(30)가 형성되어 있고, 이 폐기물 투입구(30)의 아래쪽으로는 계단구조의 화격자(2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화격자(20)는 폐기물의 연소 시 연료를 받쳐주고,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면서 연료를 이송시키며, 소각재 등을 배출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소각실 바닥부에서 폭 방향으로 복수개가 병설하여 형성되는 화격자열을 전후방향으로 다단 배설함으로써, 계단식 소각 처리대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화격자 열 중, 하나는 반송장치 처리대의 고정프레임(23)에 장착되어 고정 화격자(22) 열을 구성하고, 인접한 다른 화격자 열은 반송장치의 가동프레임(25)에 장착되어 가동화격자(24) 열을 구성함으로써, 이들 양 화격자(22, 24) 열을 폐기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하고, 가동프레임(25)은 반송장치에 마련된 왕복 이동수단(미도시)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됨에 따라 양 화격자(22, 24) 열의 전단 벽 하단부와 상벽이 왕복 접동하게 된다. 따라서, 화격자(22, 24) 열에 재치된 폐기물 또는 소각재는 화격자의 전단벽에 의해 가압되어 이송방향으로 운반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화격자를 주물로 제작하므로 소재의 주조성으로 인하여 제작 가능한 폭이 제한됨에 따라 화격자의 수량이 많아지고 소재가 고가이어서 제조 비용이 과다한 외에, 공랭식 화격자는 화격자 상부에서 연소되는 폐기물의 연소열에 의하여 가열된 화격자를 냉각시키는 수단으로서 화격자 하부를 통하여 공급하는 연소공기에 의하여 화격자를 냉각시키고 있으나 냉각효과가 부족하여 화격자 표면의 온도가 높아져 고온에서의 마멸이 심화되어 화격자의 수명이 짧고, 주기적으로 전면적인 교체가 필요하여 교체작업 중 설비의 휴지기간이 길어지고 수선유지비가 과다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화격자의 내부에 냉각수가 순환하는 유로를 형성하여 외부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수냉식 화격자를 적용하여 화격자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투입된 고형연료를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복수개의 가동화격자를 이용하여 화격자 연소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연소시킬 수 있는 고형연료 소각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형연료가 투입부재에 의해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로 투입된 고형연료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며 상부에서 하부로 점진적으로 돌출되게 번갈아 배치되고 내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냉각수가 순환하는 제1냉각수순환유로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화격자와, 각각의 고정화격자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화격자의 상부에서 왕복 이동하며 내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냉각수가 순환하는 제2냉각수순환유로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가동화격자와, 상기 복수개의 가동화격자를 개별적으로 구동시키는 실린더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고정화격자 및 가동화격자를 양측에서 지지하고 상기 복수개의 가동화격자를 구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상기 실린더부재를 고정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냉각수가 유동하는 유동유로가 형성되는 화격자 측벽을 포함하는 화격자 연소부; 상기 투입부로 투입된 고형연료를 상기 화격자 연소부로 공급하는 연료공급부; 상기 화격자 연소부로 공급된 후 이송되는 고형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상기 화격자 연소부로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상기 화격자 연소부에서 고형연료의 연소 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를 연소시키고 악취성분을 분해 제거하는 연소실; 상기 화격자 연소부의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화격자 연소부에서 고형연료가 연소된 후 잔존하는 산화재와 불연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산화재 배출부; 상기 화격자 연소부에서 고형연료가 연소 시 가열되는 상기 고정화격자, 상기 가동화격자, 및 상기 화격자 측벽을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화격자, 상기 가동화격자, 및 상기 화격자 측벽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부; 및 상기 화격자 연소부의 상기 화격자 측벽을 냉각시킨 냉각수를 이용하여 상기 화격자 연소부로 공급되는 공기 및 상기 연료공급부를 예열하는 열교환기부를 포함하는 고형연료 소각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형연료 소각로는, 상기 공기 공급부와 상기 연소실 및 상기 화격자 연소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소실의 공기 유량, 연소가스의 유량, 연소실의 온도, 연소실의 산소농도 및 상기 고정화격자와 상기 가동화격자의 표면온도를 측정하는 계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형연료 소각로는, 상기 계측부에서 측정된 데이터가 전송되며, 상기 가동화격자의 이동속도 및 상기 연소실 및 상기 화격자 연소부의 하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형연료 소각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측부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화격자 연소부에서 연소되는 고형연료의 연소상태를 파악한 후 고형연료가 기준상태보다 빠르게 연소하면 실린더부재를 동작시켜 최상단에 위치하는 가동화격자의 이동속도를 설정속도보다 빠르도록 제어할 수 있고, 고형연료가 기준상태보다 느리게 연소하면 상기 실린더부재를 동작시켜 최상단에 위치하는 가동화격자의 이동속도를 설정속도보다 느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연소실은 다수의 수관으로 구성된 수냉벽으로 형성되고 상기 화격자 연소부에서 고형연료의 연소 시 발생되는 가연성가스를 연소시키는 1차연소실과, 상기 1차연소실의 상부에 위치하며 다수의 수관으로 구성된 수냉벽으로 형성되며 상기 1차연소실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 중의 미연소 성분을 완전히 연소시키는 2차연소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계측부는 2차연소실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 공급부는 상기 화격자 연소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화격자 연소부로 공급되어 이송되는 고형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기를 상기 화격자 연소부의 하부로 공급하는 복수개의 압력조정실과, 상기 복수개의 압력조정실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압력조정실로 공급되는 공기를 송풍하는 복수개의 압입송풍기와, 외기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한 공기를 복수개의 압입송풍기까지 도입하는 공기 도입배관과, 각각의 압입송풍기와 각각의 압력조정실을 연결하며 각각의 압입송풍기로 도입된 공기를 각각의 압력조정실로 공급하는 복수개의 공기 공급배관과, 상기 복수개의 공기 공급배관에 구비되어 각각의 압력조정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유량을 측정하고 각각의 압력조정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공기 자동유량제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압입송풍기는 상기 공기 자동유량제어부재에 의하여 운전되며 상기 공기 자동유량제어부재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계측부는 상기 공기 도입배관과 복수개의 공기 공급배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복수개의 압력조정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유량과 도입유량을 측정하는 공기 유량검출기와, 상기 2차연소실의 후면 벽에 구비되며 상기 연소실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의 유량을 측정하는 연소가스 유량검출기와, 상기 2차연소실 후면 벽에 구비되며 연소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 검출기와, 상기 2차연소실 후면 벽에 구비되며 연소가스에 함유된 산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산소농도검출기와, 상기 화격자 연소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고형연료를 연소시키는 상기 가동화격자와 고정화격자의 표면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 검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격자 연소부는 상기 고정화격자 및 상기 가동화격자의 전단 하부에 구비되는 화격자 굽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화격자 연소부는 상기 고형연료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구간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분할된 복수개의 구간 하부에 복수개의 압력조정실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부재는 상기 화격자 측벽의 내측에 고정단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고정단과 대응되게 위치하는 이동단은 상기 가동화격자의 양단 하부에 요동왕복기구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가동화격자를 개별적으로 왕복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개별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화격자는 고정화격자 본체와, 상기 고정화격자 본체의 상부를 보호하며 고형연료와 그 상부에 위치하는 가동화격자를 지지하는 고정화격자 덮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화격자 본체에는 상기 냉각수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냉각수가 순환하는 제1냉각수순환유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고정화격자 덮개에는 상기 제1냉각수순환유로를 관통하며 상기 고정화격자 덮개의 상면에 대하여 법선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압력조정실과 통하여 상기 공기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연소공기를 상기 고정화격자 덮개의 상면으로 분사하는 제1연소공기 분사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화격자는 가동화격자 본체와, 상기 가동화격자 본체의 상부를 보호하며 고형연료와 그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화격자를 지지하는 가동화격자 덮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동화격자 본체에는 상기 냉각수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냉각수가 순환하는 제2냉각수순환유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가동화격자 덮개에는 상기 제2냉각수순환유로를 관통하며 상기 가동화격자 덮개의 상면에 대하여 법선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압력조정실과 통하여 상기 공기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연소공기를 상기 가동화격자 덮개의 상면으로 분사하는 제2연소공기 분사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소공기 분사공과 상기 제2연소공기 분사공은 각각 상기 고정화격자 덮개의 상면과 상기 가동화격자 덮개의 상면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화격자 덮개 및 상기 가동화격자 덮개의 상면에서 하부의 제1냉각수순환유로 및 제2냉각수순환유로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화격자 덮개의 상면 및 상기 가동화격자 덮개의 상면에 대하여 법선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격자 측벽은 상기 복수개의 가동화격자에 동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실린더부재가 고정되는 측벽 본체와, 상기 측벽 본체의 일면에 복수개가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고정되고 상기 측벽 본체의 일면 상부를 밀폐시키며 내부에는 상기 냉각수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로 순환하는 순환유로가 형성되는 밀폐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 본체에는 상기 냉각수 공급부와 연결되고 상기 냉각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상기 밀폐 덮개의 순환유로로 공급하는 복수개의 제1냉각수 공급단 및 상기 열교환기부와 연결되며 상기 순환유로를 순환한 냉각수를 상기 열교환기부로 공급하는 복수개의 제2냉각수 공급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폐 덮개의 일단에는 상기 제1냉각수 공급단과 연결되어 상기 밀폐 덮개의 내부로 냉각수를 유입하는 냉각수 유입홀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밀폐 덮개의 타단에는 상기 제2냉각수 공급단과 연결되어 상기 밀폐 덮개를 순환한 냉각수를 배출하는 냉각수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순환유로는 제1격벽에 의해 상기 밀폐 덮개를 교차되게 순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부는 상기 공기 도입배관에 구비되어 상기 화격자 측벽을 냉각시키면서 가열된 냉각수를 이용하여 상기 화격자 연소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예열하는 제1열교환기와, 상기 연료공급부에 구비되어 상기 화격자 측벽을 냉각시키면서 가열된 냉각수를 이용하여 상기 연료공급부의 내부를 예열하는 제2열교환기와, 상기 화격자 측벽을 냉각시킨 후 배출되는 냉각수를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와 상기 제2열교환기는 연결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한 냉각수는 상기 제2열교환기로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열교환기는 상기 냉각수 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열교환기를 통과한 냉각수는 상기 냉각수 공급부로 재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형연료 소각로는 화격자의 내부에 냉각수가 순환하는 유로를 형성하여 외부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를 화격자 내부로 순환시켜 화격자 표면의 온도가 높아져 고온에서의 마멸이 심화되어 화격자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화격자 연소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고형연료가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복수개의 가동화격자에 의해 이송됨으로써 가동화격자의 부분적 고장 시에도 고형연료를 이송시킬 수 있고, 고장 난 화격자를 부분적으로 수리할 수 있으며, 가동화격자가 화격자 연소부의 분할된 복수의 구간에서 필요한 속도로 개별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분할된 구간마다 최적의 연소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격자 연소방식의 소각로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형연료 소각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격자 연소부의 고정화격자와 가동화격자를 확대하여 가동화격자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동화격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가동화격자 본체에 형성된 제2냉각수순환유로를 통해 냉각수가 가동화격자 본체의 내부를 순환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복수개의 고정화격자 및 가동화격자가 화격자 측벽에 의해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화격자 측벽을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밀폐 덮개에 순환유로를 통해 냉각수가 순환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형연료 소각로(100)는 고체 화석연료, 목질연료, 재생연료 및 폐기물 등의 고형연료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연소시킨 후 산화재와 불연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투입부(1100), 화격자 연소부(1200), 연료공급부(1300), 공기 공급부(1400), 연소실(1500), 산화재 배출부(1600), 냉각수 공급부(1700), 열교환기부(1800)를 포함하고, 계측부(1900), 제어부(2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투입부(1100)로는 투입부재(미도시)에 의해 고형연료 저장소(미도시)에 저장된 고형연료가 투입되며, 상기 투입부(1100)는 후술되는 연료공급부(1300)의 전면 상부에 구비되고, 원료공급부(1300)는 화격자 연소부(1200)의 최상단 측면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입부(1100)로 투입된 고형연료는 연료공급부(1300)의 상부로 공급되고, 상기 연료공급부(1300)는 상기 투입부(1100)로 투입된 고형연료를 후술되는 화격자 연소부(1200)로 정량적으로 자동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투입부(1100)로 투입된 고형연료는 연료공급부(1300)에서 화격자 연소부(1200)의 일측 상부로 공급되어 화격자 연소부(1200)의 타단으로 서서히 이동하면서 연소되며, 화격자 연소부(1200)는 복수개의 고정화격자(1210), 복수개의 가동화격자(1220), 실린더부재(1230), 화격자 측벽(1240)를 포함하고, 화격자 굽(125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화격자 연소부(1200)의 하부에는 후술되는 공기 공급부(140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압력조정실(1410)이 구비된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고정화격자(1210)는 복수개의 가동화격자(1220)와 번갈아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점진적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화격자 연소부(1200)의 최상단에 구비되는 가동화격자(1220)의 상부로 공급되는 고형연료는 실린더부재(1230)의 동작에 의하여 작동되는 가동화격자(1220)가 후진하면서 최상단 가동화격자(1220)의 후부 상면에 위치하는 연료공급부(1300)에 부속되는 스크레이퍼(미도시)에 막혀 하부로 밀려내려 인접한 하부에 배치되는 고정화격자(1210)의 상부로 이송된다.
상기 가동화격자(1220)가 전진하면 상기 고정화격자(1210) 위의 고형연료가 인접한 하부의 가동화격자(1220)의 상부로 이송되고 상기 가동화격자(1220)의 반복적인 왕복운동에 따라 고형연료가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화격자 연소부(120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되면서 연소되게 된다.
상기 복수개의 가동화격자(1220)와 복수개의 고정화격자(1210)는 상기 화격자 연소부(1200)의 최상단으로부터 가동화격자(1220)와 고정화격자(1210)가 번갈아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배열되며, 가장 아랫단에는 고정화격자(1210)가 배치된다.
상기 가동화격자(1220)가 인접한 하부의 상기 고정화격자(1210) 위에서 왕복운동을 하며, 첫 번째 가동화격자(1220)가 완전히 전진하였을 때는 상기 연료공급부(1300)로부터 이송된 고형연료를 상기 가동화격자(1220)의 상면에 받았다가 후진하면서 상기 가동화격자(1220) 상면의 고형연료를 인접한 하부에 배치되는 고정화격자(1210)의 상면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가동화격자(1220)가 재차 전진하면서 인접한 하부에 배치된 고정화격자(1210) 상면의 고형연료를 밀어냄과 동시에 인접한 상부에 배치된 고정화격자(1210)에서 밀려내려오는 고형연료를 받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고형연료를 순차적으로 다음 순서의 하부에 위치하는 화격자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복수개의 고정화격자(1210) 및 가동화격자(1220)의 양 측면에는 화격자 측벽(1240)이 구비된다. 상기 화격자 측벽(1240)은 이격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상기 고정화격자(1210)를 상부에서 하부로 점진적으로 돌출되게 배치하여 고정하고, 상기 가동화격자(1220)를 지지하면서 왕복할 수 있도록 하는 안내장치(미도시)와 각각의 가동화격자(1220)를 구동하는 실린더부재(1230)를 구성하는 개별 실린더(1232)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화격자 측벽(1240)은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고정화격자(1210)와 가동화격자(1220)의 일 측면에 구비되는 제1화격자 측벽(1240a)과 상기 복수개의 고정화격자(1210)와 가동화격자(1220)의 타 측면에 구비되는 제2화격자 측벽(1240b)으로 이루어진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화격자 측벽(1240)는 측벽 본체(1242), 밀폐 덮개(1244)를 포함한다. 상기 측벽 본체(1242)는 상기 복수개의 가동화격자(1220)에 동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실린더부재(1230)의 개별 실린더(1232)가 고정된다.
상기 측벽 본체(1242)에는 복수개의 제1냉각수 공급단(1242a)과 제2냉각수 공급단(1242b)이 교차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냉각수 공급단(1242a)은 후술되는 냉각수 공급부(1700)와 연결되어 냉각수 공급부(1700)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를 상기 밀폐 덮개(1244)로 공급한다. 상기 제2냉각수 공급단(1242b)은 후술되는 열교환기부(1800)와 연결되며, 상기 밀폐 덮개(1244)의 순환유로(1244a)를 순환한 냉각수를 열교환기부(1800)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측벽 본체(1242)의 일면에는 복수개의 밀폐 덮개(1244)가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측벽 본체(1242)의 일면 상부를 밀폐시키게 된다. 상기 밀폐 덮개(1244)의 내부에는 상기 제1냉각수 공급단(1242a)을 통해 냉각수 공급부(1700)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로 순환하는 순환유로(1244a)가 형성된다.
상기 순환유로(1244a)는 제1격벽(1244b)에 의해 상기 밀폐 덮개(1244)의 내부에 교차되면서 순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밀폐 덮개(1244)에는 냉각수 유입홀(1244c)과 냉각수 배출홀(1244d)이 형성된다. 상기 냉각수 유입홀(1244c)은 상기 밀폐 덮개(1244)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냉각수 공급단(1242a)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후술되는 냉각수 공급부(1700)에서 공급되는 냉각수가 상기 순환유로(1244a)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밀폐 덮개(1244)의 타단에는 냉각수 배출홀(1244d)이 형성되며, 상기 냉각수 배출홀(1244d)은 상기 제2냉각수 공급단(1242b)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밀폐 덮개(1244)의 순환유로(1244a)를 순환한 냉각수를 후술되는 열교환기부(1800)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제1화격자 측벽(1240a)과 상기 제2화격자 측벽(1240b)의 순환유로(1244b)로 냉각수가 공급되고 냉각수가 상기 순환유로(1244b)를 순환함으로써 상기 제1화격자 측벽(1240a)과 상기 제2화격자 측벽(1240b)에 밀착되는 상기 고정화격자(1210)와 가동화격자(1220)의 측면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개의 고정화격자(1210)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화격자(1210)의 상부 일단에서 타단 사이를 왕복하면서 상기 고정화격자(1210) 상부의 고형연료를 인접한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고정화격자(1210)의 상부로 이송시키는 상기 복수개의 가동화격자(1220)는 실린더부재(12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움직이게 되며, 실린더부재(1230)는 복수개의 개별 실린더(1232)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개별 실린더(1232)는 상기 화격자 측벽(1240)의 내측에 고정단(1232a)이 연결되고, 상기 고정단(1232a)과 대응되게 위치하는 이동단(1232b)은 상기 가동화격자(1220)이 양단 하부에 요동왕복기구(1232c)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가동화격자(1220)를 개별적으로 왕복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복수개의 개별 실린더(1232)는 상기 복수개의 가동화격자(1220)와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가동화격자(1220)를 개별적으로 움직이게 한다. 각각의 가동화격자(1220)가 개별 실린더(1232)에 의해 개별적으로 동작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화격자 연소부(1200)에서 연소되는 고형연료의 연소조건에 따라 고형연료의 이송속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화격자(1220)의 부분적 고장 시에도 고형연료를 이송시킬 수 있고, 고장 난 가동화격자(1220) 또는 개별 실린더(1232)를 부분적으로 수리할 수 있어 수리 시간을 단축시켜 수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면서 연소설비의 가동시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개별 실린더(1232)의 동작 속도는 작업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되며,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개별 실린더(1232)를 동작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개별 실린더(1232)의 동작 속도를 조절하여 화격자 연소부(1200)에서 연소되는 고형연료의 이송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개별 실린더(1232)의 동작 속도는 작업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되는 제어부(20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제어부(2000)는 후술되는 계측부(190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토대로 하여 상기 가동화격자(1220)의 이동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개별 실린더(1232)로 공급되는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고형연료가 기준상태보다 빠르게 연소하는 성분을 함유하고, 상기 화격자 연소부(1200)의 상단에서 이송속도를 느리게 할 경우에는 연소 시 발생되는 화염에 의해 후술되는 연소실(1500)의 수냉벽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빨리 연소되는 고형연료는 빠르게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송시키고, 느리게 연소되는 고형연료는 천천히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송시키면서 연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화격자(1210)는 고정화격자 본체(1212)와 고정화격자 덮개(121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화격자 본체(1212)에는 후술되는 냉각수 공급부(1700)에서 공급되는 냉각수가 순환하는 제1냉각수순환유로(1212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화격자 덮개(1214)는 상기 고정화격자 본체(1212)의 상부를 보호하며 고형연료와 그 상부에 위치하는 가동화격자(12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고정화격자 덮개(1214)에는 상기 제1냉각수순환유로(1212a)를 관통하는 제1연소공기 분사공(1214a)이 형성된다. 상기 제1연소공기 분사공(1214a)은 상기 고정화격자 덮개(1214)의 상면에 대하여 법선방향으로 설치되고 후술되는 압력조정실(1410)과 통하여 후술되는 공기 공급부(1400)에서 공급되는 연소공기를 상기 고정화격자 덮개(1214)의 상면으로 분사한다.
상기 가동화격자(1220)는 가동화격자 본체(1222)와 가동화격자 덮개(1224)를 포함한다. 상기 가동화격자 본체(1222)에는 후술되는 냉각수 공급부(1700)에서 공급되는 냉각수가 순환하는 제2냉각수순환유로(1222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동화격자 덮개(1224)는 상기 가동화격자 본체(1222)의 상부를 보호하며 고형연료와 그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화격자(12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가동화격자 덮개(1224)에는 상기 제2냉각수순환유로(1222a)를 관통하는 제2연소공기 분사공(1224a)이 형성된다. 상기 제2연소공기 분사공(1224a)은 상기 가동화격자 덮개(1224)의 상면에 대하여 법선방향으로 설치되고 후술되는 압력조정실(1410)과 통하여 후술되는 공기 공급부(1400)에서 공급되는 연소공기를 상기 가동화격자 덮개(1224)의 상면으로 분사한다.
상기 제1냉각수순환유로(1212a)와 제2냉각수순환유로(1222a)에 냉각수를 순환시켜 연소열에 의해 가열된 고정화격자(1210)와 가동화격자(1220)를 냉각시켜 고정화격자 덮개(1214)와 가동화격자 덮개(1224)의 온도상승으로 인한 마찰부의 마멸 심화를 억제함으로써 화격자의 수명이 연장되게 된다.
상기 제1냉각수순환유로(1212a)와 상기 제2냉각수순환유로(1222a)는 각각 격벽(W)에 의해 연통되게 구획되어 상기 고정화격자 본체(1212)와 상기 가동화격자 본체(1222)의 내부를 교차되게 순환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화격자 본체(1212)와 상기 가동화격자 본체(1222)의 내부를 교차되게 순환함으로써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냉각수순환유로(1212a)와 제2냉각수순환유로(1222a)의 한쪽 끝에는 냉각수 공급부(1700)에서 공급되는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212b, 1222b)가 형성되고, 반대쪽 끝에는 상기 제1냉각수순환유로(1212a)와 제2냉각수순환유로(1222a)를 순환하고 나오는 냉각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212c, 1222c)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수 공급부(1700)는 고형연료의 연소 시 가열되는 상기 고정화격자(1210)와 가동화격자(1220) 및 상기 고정화격자(1210), 상기 가동화격자(1220)를 지지하는 상기 화격자 측벽(1240)을 냉각시키도록 상기 고정화격자(1210), 상기 가동화격자(1220), 및 상기 화격자 측벽(1240)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화격자 본체(1212)와 상기 가동화격자 본체(1222)의 전단 하부에는 굽 모양 단면을 가지는 화격자 굽(1250)이 구비되며, 상기 화격자 굽(1250)은 표면이 열처리된 합금강 재질을 가지고, 용접에 의해 상기 고정화격자 본체(1212)와 상기 가동화격자 본체(1222)의 하부에 장착된다.
상기 제1연소공기 분사공(1214a)와 제2연소공기 분사공(1224a)으로는 압력조정실(1410) 내의 연소공기가 상기 고정화격자 덮개(1214)와 상기 가동화격자 덮개(1224) 상면의 법선방향으로 분사되어 상기 고정화격자 덮개(1214) 및 가동화격자 덮개(1224) 상부의 고형연료 뭉치와 강하게 교반작용을 일으켜 고형연료와 연소공기의 접촉을 촉진시켜 고형연료의 완전연소를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격자 연소부(1200)는 고형연료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구간으로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할된 복수개의 구간 하부에는 복수개의 압력조정실(1410)이 각각 배치되어 복수개의 압력조정실(1410)을 통해 분할된 구간의 하부로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제1연소공기 분사공(1214a)과 제2연소공기 분사공(1224a)은 상기 고정화격자 덮개(1214)와 상기 가동화격자 덮개(1224)의 상면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열되며, 복수개의 압력조정실(1410)과 연결되어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복수개의 압력조정실(1410)의 내부에서 상기 제1연소공기 분사공(1214a)과 제2연소공기 분사공(1224a)을 통하여 복수개의 구간으로 분할된 화격자 연소부(1200)의 전체 상면에서 고른 압력과 유량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연소공기 분사공(1214a)과 제2연소공기 분사공(1224a)은 후술되는 공기 공급배관(1430)에 의해 복수개의 압력조절실(1410)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화격자 연소부(1200)로는 공기 공급부(1400)에 의해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공급되며, 공급되는 공기는 고형연료 저장소(미도시) 또는 외부로부터 흡입하여 복수개의 압력조정실(1410)까지 공기를 압송한 후 화격자 연소부(1200)로 이송된다.
상기 공기 공급부(1400)는 이송되는 고형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상기 화격자 연소부(120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복수개의 압력조정실(1410), 복수개의 압입송풍기(1420), 공기 도입배관(1430), 공기 공급배관(1440), 및 공기 자동유량제어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압력조정실(1410)은 복수개로 분할되는 화격자 연소부(12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분할된 화격자 연소부(1200)의 하부로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고, 분할되는 각각의 구간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량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개의 압력조정실(1410)은 복수개의 압입송풍기(1420)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복수개의 압입송풍기(1420)는 복수개의 압력조정실(1410)로 공급된 공기를 송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복수개의 압입송풍기(1420)로는 공기 도입배관(1430)에 의해 공기가 공급되며, 상기 공기 도입배관(1430)은 고형연료 저장소(미도시) 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한 공기를 복수개의 압입송풍기(1420) 까지 도입하게 된다. 상기 공기 도입배관(1430)에는 후술되는 열교환기부(1800)의 제1열교환기(1820)가 구비되며, 상기 제1열교환기(1820)는 상기 화격자 측벽(1240)을 냉각시키면서 가열된 냉각수를 이용하여 상기 화격자 연소부(1200)로 공급되는 공기를 예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복수개의 압입송풍기(1420)와 복수개의 압력조정실(1410)은 복수개의 공기 공급배관(1440)에 의해 연결되며, 복수개의 공기 공급배관(1440)은 각각의 압입송풍기(1420)로 도입된 공기를 각각의 압력조정실(141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복수개의 공기 공급배관(1440)에는 공기 자동유량제어부재(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공기 자동유량제어부재(미도시)는 각각의 압력조정실(1410)로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유량을 측정하여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복수개의 압입송풍기(1420)는 공기 자동유량제어부재(미도시)에 의해 운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공기 자동유량제어부재(미도시)는 후술되는 제어부(2000)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개의 압력조정실(1410)은 제1연소공기 분사공(1214a)과 제2연소공기 분사공(1224a)으로 공기가 고르게 확산될 수 있도록 기류확산부재(미도시)를 구비하며, 상기 화격자 연소부(1200)의 분할된 구간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머물러 일정 압력을 유지함으로써 분할된 구간 내 상기 고정화격자(1210)와 가동화격자(1220)에 배열된 다수의 상기 제1연소공기 분사공(1214a)과 제2연소공기 분사공(1224a)을 통하여 공기의 압력과 유량을 고르게 분사하여 분할된 구간 내의 고형연료와 공기의 접촉을 고르게 유지함으로써 분할된 구간 내 상기 고정화격자(1210)와 가동화격자(1220) 상부의 고형연료가 고르게 연소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화격자 연소부(1200)로 공급되는 공기는 공기 공급부(1400)의 압력조정실(1420)로 공급되어 상기 고정화격자(1210)와 가동화격자(1220)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1연소공기 분사공(1214a) 및 제2연소공기 분사공(1224a)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화격자(1210)와 가동화격자(1220)의 상부로 분사되어 상기 고정화격자(1210)와 가동화격자(1220) 상부의 고형연료를 교반하며 연소시키면서 연소가스로 전환되어 후술되는 연소실(1500)로 유입된다.
상기 공기 공급부(140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압입송풍기(1420)는 상기 복수개의 공기 공급배관(1440)을 통해 복수개의 압력조정실(1410)로 공기를 개별적으로 송풍하며, 상기 독립적으로 운전되는 복수개의 압입송풍기(1420)를 통해 공기가 공급됨으로써 상기 고정화격자(1210)와 가동화격자(1220)의 상부로 이동하는 고형연료의 원활하게 연소시키면서 송풍 동력을 절약하게 된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화격자 덮개(1214)와 가동화격자 덮개(1224) 및 화격자 측벽(1240)의 밀폐 덮개(1244)는 내마모성 강판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화격자 덮개(1214) 및 가동화격자 덮개(1224)가 내마모성 강판으로 제작됨으로써 높은 온도에서도 쉽게 마멸되지 않아 상기 고정화격자(1210)와 가동화격자(122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화격자(1210)와 가동화격자(1220)는 구조용강판과 내마모성강판으로 구성되는 용접구조로 하여 화격자 1개의 폭을 넓게 제작할 수 있음으로써 초기 제작비용과 교체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화격자 사이의 연결부분을 최소화하여 설치와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화격자 연소부(1200)의 상부에는 1차연소실(1510)과 2차연소실(1520)로 구성되는 연소실(1500)이 구비된다. 상기 연소실(1500)은 다수의 수관으로 구성된 수냉벽으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화격자 연소부(1200)에서 고형연료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연성 가스를 완전히 연소시키고, 2차연소실(1520)의 고온 분위기 속에서 악취성분이 분해되어 제거되게 한다.
상기 1차연소실은(1510)은 하부에서 상부로 축소되는 형상을 가지며, 하부에서 상부로 축소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연소가스를 빠른 속도로 2차연소실(1520)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2차연소실(1520)은 상기 1차연소실(1510)의 일측 상부에 충분한 내부공간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악취성분을 분해할 수 있는 충분한 반응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1차연소실(1510)에는 확인창(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확인창(미도시)은 1차연소실(1510)에 복수개가 구비되고, 복수개의 확인창(미도시)은 복수개의 압력조정실(1410)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인창(미도시)은 화격자 연소부(1200)에서 연소되는 고형연료가 연소되는 상태를 관리자 또는 작업자가 확인하기 위해 1차연소실(1510)에 구비되며, 관리자 또는 작업자가 고형연료의 연소상태를 확인한 후 개별 실린더(1232)로 공급되는 유압을 조절하여 화격자 연소부(1200)에서 이송되는 고형연료의 이송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화격자 연소부(1200)의 끝단에는 산화재 배출부(1600)가 구비되며, 상기 산화재 배출부(1600)로는 상기 화격자 연소부(1200)에서 고형연료가 연소된 후 잔존하는 산화재와 불연물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화격자 측벽(1240)을 냉각시킨 냉각수를 이용하여 상기 화격자 연소부(1200)로 공급되는 공기 및 상기 연료공급부(1300)를 예열하는 열교환기부(1800)가 구비된다.
상기 열교환기부(1800)는 제1열교환기(1820), 제2열교환기(1840), 순환펌프(18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열교환기(1820)는 상기 공기 도입배관(1430) 내에 구비되어 상기 화격자 측벽(1240)를 냉각시키면서 가열된 냉각수를 이용하여 상기 공기 도입배관(1430)을 통해 상기 화격자 연소부(1200)로 공급되는 공기를 예열한다. 상기 제2열교환기(1840)는 상기 연료공급부(1300) 내에 구비되어 상기 화격자 측벽(1240)를 냉각시키면서 가열된 냉각수를 이용하여 상기 연료공급부(1300)를 예열한다. 상기 제1열교환기(1840)는 연결배관이 다단으로 절곡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열교환기(1840)는 상기 공기 도입배관(1430)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열교환기(1840)는 상기 연료공급부(1300)의 외측 둘레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순환펌프(1860)는 상기 화격자 측벽(1240)을 냉각시킨 후 배출되는 냉각수를 상기 제1열교환기(1820)와 제2열교환기(1840)를 거친 후 냉각수 공급부(1700)로 순환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화격자 측벽(1240), 제1열교환기(1820), 제2열교환기(1840), 냉각수 공급부(1700)는 연결배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열교환기(1820)와 상기 제2열교환기(1840)는 연결배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1820)를 통과한 냉각수는 상기 제2열교환기(1840)로 공급되고, 상기 제2열교환기(1840)는 상기 냉각수 공급부(1700)와 연결배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2열교환기(1840)를 통과한 냉각수는 상기 냉각수 공급부(1700)로 재공급되며, 냉각수는 순환펌프(1860)에 의해 순차적으로 순환하게 된다.
상기 공기 공급부(1400)와 상기 연소실(1500) 및 상기 화격자 연소부(1200)에는 계측부(1900)가 설치되며, 상기 계측부(1900)는 상기 연소실(1500)의 공기 유량, 연소가스의 유량, 연소실의 온도, 연소실의 산소농도 및 상기 가동화격자(1220)와 고정화격자(1210)의 표면온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데이터는 후술되는 제어부(2000)로 전송된다.
상기 계측부(1900)는 공기 유량검출기(1910), 연소가스 유량검출기(1920), 제1온도 검출기(1930), 산소농도검출기(1940), 제2온도 검출기(195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유량검출기(1910)는 상기 공기 도입배관(1430)과 공기 공급배관(1440)에 각각 구비되어 분할된 화격자 연소부(1200)로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유량과 도입유량을 측정하고, 상기 연소가스 유량검출기(1920)는 상기 2차연소실(1520)의 후면 벽에 구비되어 상기 연소실(150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의 유량을 측정한다. 상기 제1온도 검출기(1930)는 상기 2차연소실(1520) 후면 벽에 구비되어 연소가스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산소농도검출기(1940)는 상기 2차연소실(1520) 후면 벽에 구비되어 연소가스에 함유된 산소의 농도를 측정하며, 상기 제2온도 검출기(1950)는 상기 화격자 연소부(12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형연료를 연소시키는 상기 가동화격자(1220)와 고정화격자(1210)의 표면온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온도 검출기(1950)가 상기 고형연료를 연소시키는 상기 가동화격자(1220)와 고정화격자(1210)의 표면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화격자 연소부(1200)에서 이송되면서 연소되는 고형연료의 연소상태를 유추하여 개별 실린더(1232)로 공급되는 유압을 조절하여 화격자 연소부(1200)에서 이송되는 고형연료의 이송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계측부(1900)에서 측정한 상기 공기 도입유량과 분할된 구간별 공급유량, 상기 2차연소실(1520)의 연소가스의 온도, 연소가스의 유량, 연소가스의 산소 농도 및 상기 가동화격자(1220)와 고정화격자(1210)의 표면온도 데이터는 제어부(2000)로 전송되며, 상기 제어부(2000)는 상기 가동화격자(1220)의 이동속도 및 상기 연소실(1500) 및 상기 화격자 연소부(1200)의 하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량을 제어하여 고형연료의 연소를 원활하게 하면서 이송되는 고형연료의 이송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2000)는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1860)의 동작 역시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2000)는 상기 계측부(1900)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화격자 연소부(1200)에서 연소되는 고형연료의 연소상태를 파악하게 된다. 상기 화격자 연소부(1200)에서 이송되는 고형연료가 기준상태보다 빠르게 연소할 경우에는 실린더부재(1230)의 개별 실린더(1232)를 동작시켜 상기 화격자 연소부(1200)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가동화격자(1220)의 이동속도를 설정속도보다 빠르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상기 화격자 연소부(1200)에서 이송되는 고형연료가 기준상태보다 느리게 연소할 경우에는 상기 실린더부재(1230)의 개별 실린더(1232)를 동작시켜 상기 화격자 연소부(1200)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가동화격자(1220)의 이동속도를 설정속도보다 느리도록 제어하여 상기 화격자 연소부(1200)에서 이송되는 고형연료의 이송속도를 조절하면서 연소시키게 된다. 상기 화격자 연소부(1200)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가동화격자(1220)를 제외한 나머지 가동화격자(1220)는 설정속도로 이동하면서 화격자 연소부(1200)에서 고형연료를 순차적으로 하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화격자(1210,1220)의 내부에 냉각수가 순환하는 냉각수순환유로(1212a,1222a)를 형성하여 외부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를 화격자(1210,1220) 내부로 순환시켜 화격자 표면의 온도가 높아져 고온에서의 마멸이 심화되어 화격자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화격자 연소부(120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고형연료가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복수개의 가동화격자(1220)에 의해 이송됨으로써 가동화격자(1220)의 부분적 고장 시에도 고형연료를 이송시킬 수 있고, 고장 난 화격자(1210,1220)를 부분적으로 수리할 수 있으며, 가동화격자(1220)가 화격자 연소부(1200)의 분할된 복수의 구간에서 필요한 속도로 개별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분할된 구간마다 최적의 연소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고형연료 소각로 1100 : 투입부
1200 : 화격자 연소부 1210 : 고정화격자
1212 : 고정화격자 본체 1214 : 고정화격자 덮개
1220 : 가동화격자 1222 : 가동화격자 본체
1224 : 가동화격자 덮개 1230 : 실린더부재
1232 : 개별 실린더 1240 : 화격자 측벽
1250 : 화격자 굽 1300 : 연료공급부
1400 : 공기 공급부 1410 : 압력조정실
1420 : 압입송풍기 1430 : 공기 도입배관
1440 : 공기 공급배관 1500 : 연소실
1510 : 1차연소실 1520 : 2차연소실
1600 : 산화재 배출부 1700 : 냉각수 공급부
1800 : 열교환기부 1820 : 제1열교환기
1840 : 제2열교환기 1900 : 계측부
1910 : 공기 유량검출기 1920 : 연소가스 유량검출기
1930 : 제1온도 검출기 1940 : 산소농도검출기
1950 : 제2온도 검출기 2000 : 제어부

Claims (18)

  1. 고형연료가 투입부재에 의해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로 투입된 고형연료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며 상부에서 하부로 점진적으로 돌출되게 번갈아 배치되고 내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냉각수가 순환하는 제1냉각수순환유로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화격자와, 각각의 고정화격자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화격자의 상부에서 왕복 이동하며 내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냉각수가 순환하는 제2냉각수순환유로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가동화격자와, 상기 복수개의 가동화격자를 개별적으로 구동시키는 실린더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고정화격자 및 가동화격자를 양측에서 지지하고 상기 복수개의 가동화격자를 구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상기 실린더부재를 고정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냉각수가 유동하는 유동유로가 형성되는 화격자 측벽을 포함하는 화격자 연소부;
    상기 투입부로 투입된 고형연료를 상기 화격자 연소부로 공급하는 연료공급부;
    상기 화격자 연소부로 공급된 후 이송되는 고형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상기 화격자 연소부로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상기 화격자 연소부에서 고형연료의 연소 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를 연소시키고 악취성분을 분해 제거하는 연소실;
    상기 화격자 연소부의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화격자 연소부에서 고형연료가 연소된 후 잔존하는 산화재와 불연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산화재 배출부;
    상기 화격자 연소부에서 고형연료가 연소 시 가열되는 상기 고정화격자, 상기 가동화격자, 및 상기 화격자 측벽을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화격자, 상기 가동화격자, 및 상기 화격자 측벽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부; 및
    상기 화격자 연소부의 상기 화격자 측벽을 냉각시킨 냉각수를 이용하여 상기 화격자 연소부로 공급되는 공기 및 상기 연료공급부를 예열하는 열교환기부를 포함하는 고형연료 소각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부와 상기 연소실 및 상기 화격자 연소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소실의 공기 유량, 연소가스의 유량, 연소실의 온도, 연소실의 산소농도 및 상기 고정화격자와 상기 가동화격자의 표면온도를 측정하는 계측부를 더 포함하는 고형연료 소각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계측부에서 측정된 데이터가 전송되며, 상기 가동화격자의 이동속도 및 상기 연소실 및 상기 화격자 연소부의 하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고형연료 소각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측부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화격자 연소부에서 연소되는 고형연료의 연소상태를 파악한 후 고형연료가 기준상태보다 빠르게 연소하면 실린더부재를 동작시켜 최상단에 위치하는 가동화격자의 이동속도를 설정속도보다 빠르도록 제어하고,
    고형연료가 기준상태보다 느리게 연소하면 상기 실린더부재를 동작시켜 최상단에 위치하는 가동화격자의 이동속도를 설정속도보다 느리도록 제어하는 고형연료 소각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은,
    다수의 수관으로 구성된 수냉벽으로 형성되고 상기 화격자 연소부에서 고형연료의 연소 시 발생되는 가연성가스를 연소시키는 1차연소실과,
    상기 1차연소실의 상부에 위치하며 다수의 수관으로 구성된 수냉벽으로 형성되며 상기 1차연소실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 중의 미연소 성분을 완전히 연소시키는 2차연소실을 포함하며,
    상기 계측부는 2차연소실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연료 연소설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부는,
    상기 화격자 연소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화격자 연소부로 공급되어 이송되는 고형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기를 상기 화격자 연소부의 하부로 공급하는 복수개의 압력조정실과,
    상기 복수개의 압력조정실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압력조정실로 공급되는 공기를 송풍하는 복수개의 압입송풍기와,
    외기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한 공기를 복수개의 압입송풍기까지 도입하는 공기 도입배관과,
    각각의 압입송풍기와 각각의 압력조정실을 연결하며 각각의 압입송풍기로 도입된 공기를 각각의 압력조정실로 공급하는 복수개의 공기 공급배관과,
    상기 복수개의 공기 공급배관에 구비되어 각각의 압력조정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유량을 측정하고 각각의 압력조정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공기 자동유량제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압입송풍기는 상기 공기 자동유량제어부재에 의하여 운전되며 상기 공기 자동유량제어부재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연료 소각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계측부는,
    상기 공기 도입배관과 복수개의 공기 공급배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복수개의 압력조정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유량과 도입유량을 측정하는 공기 유량검출기와,
    상기 2차연소실의 후면 벽에 구비되며 상기 연소실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의 유량을 측정하는 연소가스 유량검출기와,
    상기 2차연소실 후면 벽에 구비되며 연소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 검출기와,
    상기 2차연소실 후면 벽에 구비되며 연소가스에 함유된 산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산소농도검출기와,
    상기 화격자 연소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고형연료를 연소시키는 상기 가동화격자와 고정화격자의 표면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 검출기를 포함하는 고형연료 소각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화격자 연소부는,
    상기 고정화격자 및 상기 가동화격자의 전단 하부에 구비되는 화격자 굽을 더 포함하는 고형연료 소각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화격자 연소부는,
    상기 고형연료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구간으로 분할되며, 분할된 복수개의 구간 하부에 복수개의 압력조정실이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연료 소각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재는,
    상기 화격자 측벽의 내측에 고정단이 연결되고, 상기 고정단과 대응되게 위치하는 이동단은 상기 가동화격자의 양단 하부에 요동왕복기구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복수개의 가동화격자를 개별적으로 왕복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개별 실린더를 포함하는 고형연료 소각로.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화격자는,
    고정화격자 본체와,
    상기 고정화격자 본체의 상부를 보호하며 고형연료와 그 상부에 위치하는 가동화격자를 지지하는 고정화격자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화격자 본체에는 상기 냉각수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냉각수가 순환하는 제1냉각수순환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화격자 덮개에는 상기 제1냉각수순환유로를 관통하며 상기 고정화격자 덮개의 상면에 대하여 법선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압력조정실과 통하여 상기 공기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연소공기를 상기 고정화격자 덮개의 상면으로 분사하는 제1연소공기 분사공이 형성되는 고형연료 소각로.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동화격자는,
    가동화격자 본체와,
    상기 가동화격자 본체의 상부를 보호하며 고형연료와 그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화격자를 지지하는 가동화격자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화격자 본체에는 상기 냉각수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냉각수가 순환하는 제2냉각수순환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가동화격자 덮개에는 상기 제2냉각수순환유로를 관통하며 상기 가동화격자 덮개의 상면에 대하여 법선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압력조정실과 통하여 상기 공기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연소공기를 상기 가동화격자 덮개의 상면으로 분사하는 제2연소공기 분사공이 형성되는 고형연료 소각로.
  13.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연소공기 분사공과 상기 제2연소공기 분사공은 각각 상기 고정화격자 덮개의 상면과 상기 가동화격자 덮개의 상면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열되며, 상기 고정화격자 덮개 및 상기 가동화격자 덮개의 상면에서 하부의 제1냉각수순환유로 및 제2냉각수순환유로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화격자 덮개의 상면 및 상기 가동화격자 덮개의 상면에 대하여 법선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고형연료 소각로.
  14.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화격자 측벽은,
    상기 복수개의 가동화격자에 동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실린더부재가 고정되는 측벽 본체와,
    상기 측벽 본체의 일면에 복수개가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고정되고, 상기 측벽 본체의 일면 상부를 밀폐시키며 내부에는 상기 냉각수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로 순환하는 순환유로가 형성되는 밀폐 덮개를 포함하는 고형연료 소각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측벽 본체에는 상기 냉각수 공급부와 연결되고 상기 냉각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상기 밀폐 덮개의 순환유로로 공급하는 복수개의 제1냉각수 공급단 및 상기 열교환기부와 연결되며 상기 순환유로를 순환한 냉각수를 상기 열교환기부로 공급하는 복수개의 제2냉각수 공급단이 형성되는 고형연료 소각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밀폐 덮개의 일단에는 상기 제1냉각수 공급단과 연결되어 상기 밀폐 덮개의 내부로 냉각수를 유입하는 냉각수 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 덮개의 타단에는 상기 제2냉각수 공급단과 연결되어 상기 밀폐 덮개를 순환한 냉각수를 배출하는 냉각수 배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순환유로는 제1격벽에 의해 상기 밀폐 덮개를 교차되게 순환하도록 형성되는 고형연료 소각로.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부는,
    상기 공기 도입배관에 구비되어 상기 화격자 측벽을 냉각시키면서 가열된 냉각수를 이용하여 상기 화격자 연소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예열하는 제1열교환기와,
    상기 연료공급부에 구비되어 상기 화격자 측벽을 냉각시키면서 가열된 냉각수를 이용하여 상기 연료공급부의 내부를 예열하는 제2열교환기와,
    상기 화격자 측벽을 냉각시킨 후 배출되는 냉각수를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포함하는 고형연료 소각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열교환기와 상기 제2열교환기는 연결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한 냉각수는 상기 제2열교환기로 공급되며,
    상기 제2열교환기는 상기 냉각수 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열교환기를 통과한 냉각수는 상기 냉각수 공급부로 재공급되는 고형연료 소각로.
KR1020180089227A 2018-07-31 2018-07-31 고형연료 소각로 KR102196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227A KR102196355B1 (ko) 2018-07-31 2018-07-31 고형연료 소각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227A KR102196355B1 (ko) 2018-07-31 2018-07-31 고형연료 소각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957A true KR20200013957A (ko) 2020-02-10
KR102196355B1 KR102196355B1 (ko) 2020-12-30

Family

ID=69627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227A KR102196355B1 (ko) 2018-07-31 2018-07-31 고형연료 소각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3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846B1 (ko) * 2020-07-03 2020-12-31 주식회사 한성아이엠 폐기물 소각로의 이송장치
EP4361500A1 (de) * 2022-10-26 2024-05-01 Hitachi Zosen Inova AG Rostbahnbegrenzungselement für einen verbrennungsros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5630A (ja) * 1993-12-29 1996-02-06 Martin Gmbh Fuer Umwelt & Energietech 燃焼炉の火格子上の燃焼に影響を与える個別あるいは全体の要因を調整する方法
JP2000111022A (ja) * 1999-11-15 2000-04-18 Plantec Inc ごみ焼却炉におけるダイオキシン類の除去方法
JP2001343112A (ja) * 2000-05-31 2001-12-14 Nkk Corp 廃棄物焼却炉
KR100874986B1 (ko) * 2008-06-27 2008-12-19 김홍진 소각열 회수식 연소장치
KR101342392B1 (ko) * 2011-10-21 2013-12-18 하경호 고형연료의 소각을 위한 화격자 및 이를 구비하는 고형연료 소각장치
JP2013257065A (ja) * 2012-06-12 2013-12-26 Jfe Engineering Corp 廃棄物焼却炉及び廃棄物焼却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5630A (ja) * 1993-12-29 1996-02-06 Martin Gmbh Fuer Umwelt & Energietech 燃焼炉の火格子上の燃焼に影響を与える個別あるいは全体の要因を調整する方法
JP2000111022A (ja) * 1999-11-15 2000-04-18 Plantec Inc ごみ焼却炉におけるダイオキシン類の除去方法
JP2001343112A (ja) * 2000-05-31 2001-12-14 Nkk Corp 廃棄物焼却炉
KR100874986B1 (ko) * 2008-06-27 2008-12-19 김홍진 소각열 회수식 연소장치
KR101342392B1 (ko) * 2011-10-21 2013-12-18 하경호 고형연료의 소각을 위한 화격자 및 이를 구비하는 고형연료 소각장치
JP2013257065A (ja) * 2012-06-12 2013-12-26 Jfe Engineering Corp 廃棄物焼却炉及び廃棄物焼却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846B1 (ko) * 2020-07-03 2020-12-31 주식회사 한성아이엠 폐기물 소각로의 이송장치
EP4361500A1 (de) * 2022-10-26 2024-05-01 Hitachi Zosen Inova AG Rostbahnbegrenzungselement für einen verbrennungsrost
WO2024088955A1 (de) * 2022-10-26 2024-05-02 Hitachi Zosen Inova Ag Rostbahnbegrenzungselement für einen verbrennungsro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355B1 (ko)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2097B2 (ja) 改善された大量燃料燃焼システム
KR101974150B1 (ko) 고형연료 연소설비
KR102196355B1 (ko) 고형연료 소각로
JP5358794B2 (ja) ボイラシステム
CS229928B2 (en) Equipment for combustion of solid fuels
JP2007527497A (ja) 塵芥の焼却火格子用の火格子ブロック
KR101326481B1 (ko) 하향통풍식 화염건류소각로
KR102110167B1 (ko) 연소공기 토출구를 분할배치시켜 바이오매스 연소속도에 대응하는 수냉 및 공냉 일체형 화격자
KR200471741Y1 (ko) 소각로용 화격자 유닛
JP2015090221A (ja) 混合型廃棄物焼却装置とそれを備えた廃棄物焼却炉
KR20120032718A (ko) 화격자 연소방식의 소각로
US6302038B1 (en) Anti-erosion system of grate in stoker-type incinerator
JP2013133943A (ja) 廃棄物燃焼装置とそれを備えた廃棄物焼却炉
CN214249597U (zh) 一种平板火化炉
KR101019059B1 (ko) 와류가 형성되는 소각장치
JP2013522570A5 (ko)
KR102319512B1 (ko) 화격자를 구비한 소각로
CN114893778A (zh) 一种炉排框架、炉排段和焚烧炉
US4895084A (en) Stoker for refuse incinerators
KR101415913B1 (ko) 클링커 억제를 위해 스토커의 양측단이 융기된 소각로
KR200424968Y1 (ko) 소각로용 화격자 구조
JP5087221B2 (ja) ストーカ式燃焼装置
KR100221529B1 (ko) 왕복동식 스토커가 설치된 폐기물 소각장치
JP6130704B2 (ja) ストーカ式焼却炉
WO2022163615A1 (ja) 焼却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